KR19990088076A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076A
KR19990088076A KR1019990016166A KR19990016166A KR19990088076A KR 19990088076 A KR19990088076 A KR 19990088076A KR 1019990016166 A KR1019990016166 A KR 1019990016166A KR 19990016166 A KR19990016166 A KR 19990016166A KR 19990088076 A KR19990088076 A KR 19990088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needle
cam
butt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230B1 (ko
Inventor
시마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8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1/00Straight-bar knitting machines with fixed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to produce fully-fashion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04B15/365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with provision for loop transfer from one needle bed to the 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편침을 구비한 횡편기에 의한 스플릿 편성시 슬라이더의 요동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편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편침 본체와 슬라이더로 된 복합 편침의 슬라이더에 제1버트와 제2버트를 형성함과 아울러 스플릿 편성과 니트 편성이 나누어지는 슬라이더 버트의 루트를 분기하는 위치에 슬라이더의 제2버트의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와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결합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과 슬라이더의 제1버트가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에 캠결합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캠 수단을 상기 캠로크내에 형성한다.

Description

횡편기{A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침 본체와 슬라이더로 구성된 복합 편침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치 루프(stitch loop)의 증식(增殖)(이하 스플릿 편성이라 한다) 편성을 하기 위한 횡편기에 관한다.
본 출원인은 트릭 갭부(trick gap部)를 중심으로 선단부를 대향하도록 설치한 각각의 니들 베드에, 선단부에 텅을 형성하고 서로 겹쳐진 박판(薄板) 형태의 2장의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편침 본체의 훅(hook)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협지(挾持)하고 상기 텅에 의해 훅이 개폐가능하도록 하는 형태의 복합 편침(이하 편침이라고 한다)을 병렬로 구성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한 코 늘임, 즉 "스플릿 편성(split knit)" 을 이미 제안하였다(특원평 9 - 202462호).
이것은 대향하는 니들 베드간의 편침들이 동작하는 것만이 아니라 니들 베드 상방(上方)에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과 래치 편침(latch needle) 등의 편성부재(編成部材)를 장착시킨 베드부를 설치하면 편침과 이것들의 편성부재 사이에서 스플릿 편성을 할 수 있다.
이 스플릿 편성은 연속하는 두 개의 캠로크를 사용한다. 우선 최초의 캠로크로 스티치 루프(stitch loop)(구루프)를 결합한 편침을 니트 위치까지 진출시킨 후 후퇴시키고 급사구(給絲口)로부터 공급된 편사를 편침의 훅으로 포착하여 구루프내로 끌어 들인다. 이 편침의 후퇴시, 구루프이 슬라이더의 선단을 넘어 녹 오버(knock over)되지 않도록 슬라이더를 트릭 갭부(trick gap部)상에 진출시킨 위치를 지속시킨 상태에서 후속하는 캠로크로 보내기 시작한다. 그리고 후속하는 캠로크에서는, 슬라이더의 텅과 결합한 구루프내로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편침의 훅을 삽입한 다음에 구루프와 결합한 상기 슬라이더를 후퇴시킴으로써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편침의 훅에 구루프를 걸쳐서 서로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양편침에 신·구루프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플릿 편성을 실시하기 위한 횡편기의 실시예와 그것에 의한 캠조작에 관해서 도14 ∼ 도29와 함께 이하 설명한다.
횡편기는 트릭 갭을 사이에 두고 앞뒤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니들 베드(F, B)에 편침을 배치하고 있다. 도14는 니들 베드상을 왕복 운동하며 니들 베드에 배치된 편침을 진퇴 조작하는 캐리지(carriage)를 하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냄과 동시에 스플릿 편성시의 셀렉트 잭(select jack)과 편침의 편침 본체와 슬라이더에 형성된 각 버트(butt)의 통과 루트를 나타낸다. 도15는 편침을 구성하는 각 부품을 나타낸다. 도16은 상기 캠로크에 의하여 진퇴 조작되는 편침을 배치한 니들 베드 선단부의 단면도로서 도16a는 후술하는 프레스기(presser)의 가압 작용을 받지 않는 편침의 버트가 편침홈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16b는 프레스기의 압력에 의해 편침의 버트가 편침홈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17 ∼ 도25는 스플릿 편성시의 도14의 각 위치 ① ∼ ⑪에 있어서 앞뒤의 니들 베드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편침(101)은 편침 본체(103)과 슬라이더(105)로 구성되고 슬라이더(105)는 슬라이더 기체(slider基??)(107)와 2장의 탄성판재(彈性板材)를 서로 겹치게 한 블레이드(109a, 109b)로 구성되어 있다. 편침 본체(103)는 편침 후단부(後端部) 부근에 니들 잭(111)의 선단부가 결합하는 오목부(113)를 구비하고 있고 편침 본체 선단부의 훅 기부(hook基部)(115a)의 목(throat)부분에서부터 편침 본체 중앙을 향하여 슬라이더 홈(117)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더 기체(107)는 후단부 부근에 슬라이더 버트(119)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슬라이더 기체(107)는 중앙부의 약간 전방에, 하방으로 돌출하고 그 돌출부분에 수용홈(122)과 오목 결합부(124)를 구비한 블레이드 지지부(121)를 구비한다.
블레이드(109a, 109b)는 형상이 서로 같고 중앙 상부에 슬라이더 기체(107)의 상기 블레이드 유지부(121)에 형성된 오목 결합부(124)와 결합하는 돌기부(130)를 구비하고 있고 그 돌기부(130)를 상기 오목 결합부(124)와 결합하여 지지되고 있다. 블레이드(109a, 109b)의 선단에는 텅(110a, 110b)가 형성되어 있다.
니들 잭(111)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탄성각부(彈性脚部)(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각부(112)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부가 편침홈 바닥과 접해있음으로써 니들 잭(111)의 윗 가장자리에 형성된 버트(114)를 편침홈 밖으로 돌출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이 탄성각부(112)에 의하여 상방으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니들 잭(111)의 상위에서 지지되는 슬라이더(105)와 셀렉트 잭(126)의 각 버트(119, 128)도 편침홈밖으로 돌출된다. 또한 편침 본체(103)와 니들 잭(111)은 일체로 형성해도 좋고 여기에서는 니들 잭(111)의 버트(114)를 편침 본체(103)의 버트(114)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16의 123은 니들 베드 기판을 나타내고 이 기판에 다수 형성된 홈에 니들 플레이트(125)를 삽입하고 이 니들 플레이트(125)들 사이에 편침홈(127)을 형성한다. 129는 편침의 부상을 방지하는 금속판을 나타낸다.
앞뒤의 캐리지(131F, 131B)에는 각각 앞뒤의 대칭형태로 된 캠로크(133, 133)가 2기 배치된다. 캠로크(133)는 편침(101)의 편침 본체 버트(114)를 진퇴 조작하는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135)와 슬라이더 버트(119)를 진퇴 조작하는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137)가 형성되어 있다.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135)는 중앙에 편침 본체를 니트 위치로 진출시키는 레이징 캠(raising cam)(141), 그 양 옆에 스티치 캠(stitch cam)(143l, 143r)과 전방에 브릿지 캠(bridge cam)(145)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각 캠사이에 편침 본체 버트(114)를 안내하는 루트를 형성한다. 레이징 캠(141)의 후방의 위치에 B(웰트) 프레스기(147), H 프레스기(148), A(스플릿 편성) 프레스기(149)로 된 프레스기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기 중 H 프레스기(148)와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149)는 함께 캐리지 기판(151)에 대하여 출몰제어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B 프레스기(147)과 H 프레스기(148)의 버트 압력량은 풀(full)이고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149)의 압력량은 상기 프레스기(147, 148)의 압력량의 하프(half)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캠과 프레스기의 높이와 버트의 상태를 나타낼 때 풀, 하프, 제로 높이라고 하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 높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버트가 프레스기에 의해 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가 풀 높이, 하프 높이의 프레스기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하프 높이, 풀 높이의 프레스기에 의해 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가 제로 높이이다. 또한 캠에 대해서 하프 높이의 캠은 풀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고 풀 높이의 캠은 하프 높이와 풀 높이의 버트와 결합할 수 있다. 제로 높이의 캠면이라 함은 풀 높이의 버트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를 말한다.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137)에는 슬라이더 버트(119)를 안내하기 위한 중앙 가이드 홈(153)을 형성하고 있고 그 중앙 가이드 홈(153)의 각각에 각 중앙 가이드 홈(153)보다도 브릿지 캠(145)에 가까운 후방측에 연결로(155)를 통하여 중앙 가이드 홈(153)과 평행하는 가이드 면(1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가이드 홈(153)의 깊이는 가장 깊으므로 캠로크(133)가 올려져 있는 캐리지 기판(151)의 면의 높이와 같고(제로 높이), 가이드 면(157)은 하프 높이이고 슬라이더 가이드 캠(132)의 표면은 풀 높이이다. 가이드 면(157)의 양단부 부근에는 각각 캐리지 기판(151)의 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내려가는 좌우의 경사면(161, 163)을 가지고 있다. 중앙 가이드 홈(153, 153) 사이는 하프 높이의 제1바이패스 홈(165)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1바이패스 홈(165, 165) 사이에는 중앙 가이드 홈(153)의 정상부분에 연결된 제2바이패스 홈(167)이 형성된다. 사면(169)은 제로 높이와 하프 높이를 연결하는 사면으로서 제2바이패스 홈(167)은 사면(169, 169) 사이를 제로 높이, 그 사면(169, 169) 사이의 바깥쪽을 하프 높이로 형성한다.
도28은 상기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로서 편성폭은 스플릿 편성에 의해 서서히 증가(내부 스플릿)된다. 도29의 스텝 A ∼ F는 편성포 좌측 단부에 있어서 코스 편성을 나타내는 스텝도이다. 스텝 A는 스플릿 편성이 진행되기 직전의 니들 베드(F, B)에서 스티치 루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전 코스(前 course)의 구루프(170)은 앞니들 베드(F)의 모든 편침 b ∼ z과 결합되어 있다. 스텝 B에서는 편침 b ∼ z에 공급되고 다음 코스의 신루프(173)를 형성함과 동시에 뒷니들베드(B)의 편침 f에 루프(170b)를 스플릿 편성하고 있다. 스텝 C에서는 앞니들베드(F)의 편침 b ∼ e과 결합된 신루프(173)을 뒷니들베드(B)의 편침 b ∼ e로 코를 이동하고 스텝 D에서는 뒷니들베드(B)를 왼쪽으로 록킹하고 스텝 E에서는 상기 코 이동된 신루프(173)와 스플릿 편성에 의해 뒷니들베드(B)의 편침으로 이동된 루프(170b)를 앞니들베드(F)의 편침 a ∼ e로 코 이동한다. 이후 이와 같이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폭을 서서히 늘린다.
다음으로 스플릿 편성 코스에 있어서 캠 조작과 앞뒤 니들베드의 편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7은 캐리지 도달전의 편침의 상태를 나타내고 앞뒤 니들베드의 각 편침은 후퇴 위치(초기 위치)에 있다. 캐리지의 선침부(도시 생략)의 도달에 의해 앞니들베드에서는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셀렉트 잭 버트(128)는 셀렉트(도시 생략)를 통하여 초기 위치의 B 포지션에서부터 A 포지션으로 셋트되고 니트 편성을 하는 다른 편침의 셀렉트 잭 버트(128)는 H 포지션으로 셋트된다. 각 편침의 조작은 선행 캠로크(133)에 있어서는 앞의 캐리지(131F)만으로 진행되고 스플릿 편성과 니트 편성을 하는 각 편침은 후술하는 ⑤의 위치까지는 같은 진퇴 루트를 따라 간다.
도14의 ①의 위치에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 또는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각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레이징 캠(141)의 상승 사면과 접한다. 이 때 슬라이더 버트(119)는 후퇴 위치(초기 위치)에 있다. 도17은 이 때의 편침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14의 ②의 위치에서는 스플릿 편성 또는 니트 편성을 하는 각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선행 캠 로크의 레이징 캠(141)의 상승 사면을 따라 캠의 등성이 위치까지 상승한다. 슬라이더 버트(119)는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137)의 하프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 면(157)과 이어지는 경사면(161)을 오른 후, 상기 편침 본체의 전진에 의해 밀려지기 시작하여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137)의 하프 높이의 가이드 면(157)으로 들어간다(도18). 도14의 ③의 위치에서는 스플릿 편성과 니트 편성을 하는 각 편침의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선행하는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135)의 레이징 캠(141)의 정상부분으로 오르고 훅은 더욱 진출함과 아울러 슬라이더 버트(119)는 연결로(155)를 통하여 가장 깊게 형성된 중앙 가이드 홈(153)으로 안내된다. 도19는 이 때의 편침의 상태로서, 앞니들베드의 편침에 결합된 구 루프(170)는 슬라이더의 텅(110)의 상위에서 편침의 슬롯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도14의 ④의 위치에서는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과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브릿지 캠(145)의 하강캠면에서 레이징 캠(141)의 캠의 등성이 위치까지 끌려 내려지지만 슬라이더 버트(119)는 중앙 가이드 홈(153)안으로 안내된 채로 도20과 같이 훅(115)이 텅(110)에 약간 근접한 상태에서 급사구(180)에 의해 편사(182)가 공급된다. 그 후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셀렉트 잭 버트(128)는 A 포지션에 셋트된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149)에 의해 압력을 받고 하프 정도로 가라앉는다. 이렇게 하여 편침 본체 버트(114), 슬라이더 버트(119)도 동일한 편침홈 안으로 동일한 힘에 의해 밀려 들어간다. 이에 비해서 H 포지션으로 선택된 니트 편성을 하는 다른 편침은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149)의 작용을 받지 않으며 각 버트는 가장 돌출하여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14의 ⑤의 위치에서는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과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스티치 캠(143r)의 하강 사면을 따라 약간 후퇴하고 텅(110)의 선단에 훅(115) 선단이 접하여 그 갈고리를 닫는다. 이 때에 공급된 편사(182)는 훅(152)에 포착되어 있다.
다음의 ⑥의 위치 이후에 있어서는 스플릿 편성과 니트 편성을 하는 각 편침의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모두 같은 루트를 따라가지만 슬라이더 버트(119)는 통과 루트를 다르게 한다. 즉,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스티치 캠(143r)의 하강 사면을 따라 더욱 후퇴함과 아울러 슬라이더 버트(119)는 버트 전체를 니들 베드의 상면으로 돌출시키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137)의 하프 높이의 제1바이패스 홈(165)의 가장자리의 하강 사면(165a)과 결합하여 후퇴하고 선행 캠로크(133)안을 통과한다(도14의 파선). 이것에 의해 편침 본체(103)와 슬라이더(105)는 초기 위치까지 함께 후퇴하고 훅(115)에 새롭게 형성된 스티치 루프(173)와 결합함과 아울러 구루프(170)이 슬라이더 선단으로부터 훅을 넘어 녹 오버된다.
한편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 본체의 버트(114)는 니트 편성의 편침과 같은 방법으로 스티치 캠(143r)의 하강면을 따라 초기 위치까지 하강되지만 슬라이더 버트(119)는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149)에 의해 하프 정도의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하강 사면(165a)에는 결합하지 않고 직진하여 중앙 가이드 홈(153)으로부터 제1바이패스 홈(165)쪽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훅(115)에 스티치 루프(173)을 결합할 뿐만이 아니라 구루프(170)이 슬라이더의 텅(110)상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도14의 ⑦, 도23).
후속하는 후행 캠로크(133)에서 셀렉트 잭 버트(128)는 가이드 캠(142)에 의해 B포지션으로 후퇴되고 그 위치에 있는 B 프레스기(147)에 의해 편침홈(127)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편침 본체 버트(114)는 캠의 작용을 받지 않고 통과한다.
이후 스플릿 편성이 종료하기까지 앞니들베드의 편침의 편침 본체(103)는 초기 위치를 유지한다. 도14의 ⑧위치는 슬라이더 버트(119)가 제1바이패스 홈(165)에서 제2바이패스 홈(167)으로 안내됨과 아울러 뒷니들베드에서는 이에 대응하여 편침이 후행 캠로크의 안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캐리지의 선침부(도시 생략)에 의하여 H 포지션으로 선택되고 레이징 캠(141)의 상승 사면으로 진출하여 앞니들베드의 편침의 슬라이더의 텅(110)에 결합하고 있는 구루프(170)내로 훅을 삽입한다(도24 참조).
도14의 ⑨위치에서는,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137)의 제2바이패스 홈(167)안에 위치하는 앞니들베드(F)의 슬라이더 버트(119)는 하강하여 중앙 가이드 홈(153)안으로 안내된다. 이에 의해 텅(110)과 결합하고 있던 구루프(170)은 뒷니들베드(B)의 편침의 훅(115)으로 이동된다(도25). 이 때, 뒷니들베드(B)의 편침의 슬라이더 버트(119)는 편침 본체 버트(114)의 진출 방향으로 밀려지고 경사면(161)에서부터 가이드 면(157)에 들어간다. 그리고 셀렉트 잭 버트(128)는 H 프레스기(148)에 의해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버트(114)는 레이징 캠(141)의 정상부분으로 진출하지 않고 캠의 등성이 부분의 높이를 유지하며 스티치 캠(143r)으로 안내된다(도26).
도14의 ⑩, ⑪위치에서는, 뒷니들베드(B)의 편침은 후행 캠로크(133)의 스티치 캠(143r)에 의해서 하강되고 가이드 면(157)에 있는 슬라이더 버트(119)는 슬라이더 가이드 캠(132)의 사면을 따라 초기 위치까지 후퇴한다. 같은 방법으로 앞니들베드(F)의 슬라이더(105)도 슬라이더 가이드 캠(132)의 사면을 따라 초기 위치까지 하강한다. 그 결과, 앞뒤의 니들 베드의 각각의 편침에 루프가 결합되어 스플릿 편성을 완료한다(도27, 도29의 스텝B에 있어서 편침 f, f)
그러나 상기 ⑤위치에서부터 ⑥위치에 있어서 그 때까지 같은 루트를 따라서 안내되어 온 앞니들베드의 스플릿 편성용 편침과 니트 편성용 편침의 슬라이더 버트(119)가 각각의 루트를 선택할 때에 스플릿 편성의 편침이나 니트 편성의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114)는 스티치 캠(143r)을 따라 후퇴하지만 그 때에 슬라이더(105)가 편침 본체(103)가 후퇴함에 따라 함께 후퇴한다. 이른바 요동 현상이 발생한다. 요동은 슬라이더상에 결합된 스플릿 편성의 구루프(170)를 슬라이더의 선단으로부터 분리시켜 버리고 구루프(170)를 다시 편침 훅에 유지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후속하는 캠로크(133)에 있어서 구루프(170)를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편침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 스플릿 편성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 슬라이더의 요동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편침홈과 슬라이더 간의 접합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고려되었지만 저항을 크게 하는 것만으로는 슬라이더의 요동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슬라이더와 편침홈 사이의 접합 저항을 너무 크게 하면 편침의 내구성 등에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슬라이더의 요동을 방지하고 스플릿 편성을 확실히 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된 횡편기의 제1실시예의 선행 캠로크의 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캠로크에 의해 진퇴 조작되는 편침을 배열한 니들 베드 선단부의 단면도로서 도2a는 프레스기의 가압 작용을 받지 않는 편침의 버트가 편침홈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2b는 프레스기에 의해 편침의 버트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스플릿 편성시의 선행 캠로크의 위치 ①∼⑦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니들 베드(needle bed)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4a는 스플릿 편성시에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4b는 그 일부의 확대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관계된 횡편기의 제2실시예의 캠로크의 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니트·터킹·미스 편성시의 캠로크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코 옮김 편성시의 캠로크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스플릿 편성시의 선행 캠로크의 위치 ①∼⑦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스플릿 편성시의 후행 캠로크의 위치 ⑧∼⑪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캠로크의 유도캠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상기 제2실시예의 도8의 대응도로서 스플릿 편성시의 선행 캠로크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상기 제2실시예에 있어서 캠로크의 유도캠 수단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13은 상기 제2실시예의 도8의 대응도로서 스플릿 편성시의 선행 캠로크에 있어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4는 슬라이더의 요동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경우의 캠로크와 스플릿 편성시의 편침에 형성된 각 버트의 통과 루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15는 편침을 구성하는 각 버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캠로크에 의해 진퇴 조작되는 편침을 배열한 니들 베드 선단부의 단면도로서 도12a는 프레스기의 가압 작용을 받지 않는 편침의 버트가 편침홈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12b는 프레스기에 의해 편침의 버트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①에 있어서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18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②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19는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③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0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④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1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⑤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2는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⑥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3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⑦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4는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⑧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5는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⑨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6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⑩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7은 스플릿 편성시의 도10의 위치 ⑪에 있어서의 앞뒤의 편침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28은 횡편기로서 스플릿 편성을 실행하면서 편성폭을 서서히 증가시킨 편성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29는 스텝 A ∼ F는 편성포 좌측 단부에 있어서 코스 편성을 나타낸 스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편침 3, 103 : 편침 본체
5, 105 : 슬라이더(slider) 7, 109 : 블레이드(blade)
8, 110 : 텅(tongue) 9, 111 : 니들 잭(needle jack)
11, 113, 17a : 오목부 13, 115 : 훅(hook)
14, 114 : 편침 본체 버트 15 : 제2버트
16, 112 : 탄성각부(彈性脚部) 17 : 제1버트
18, 117 : 슬라이더 홈 23, 123 : 니들 베드 기판
26 : 셀렉트 잭(select jack)
28, 128 : 셀렉트 잭 버트(select jack butt)
31, 75, 131 : 캐리지(carriage)
33, 75, 133 : 캠로크(cam lock)
35, 76, 135, 276, 376 :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
37, 77, 137, 277, 377 :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
39, 78, 139, 278, 378 : 프레스기부(press基部)
41, 94, 141 : 레이징 캠(raising cam)
43, 95, 143, 395 : 스티치 캠(stitch cam)
45, 96, 145, 296, 396 : 브릿지 캠(bridge cam)
45a, 96a, 45b, 96b : 브릿지 캠 각부(bridge cam 脚部)
47, 90, 147 : B 프레스기
48, 98, 148, 398b : H 프레스기
49, 99, 149 :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 79 : 선택부
70, 93, 293, 393 :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
본 발명은 트릭 갭을 사이에 두고 앞뒤로 대향하여 배치한 니들 베드상에, 선두부에 텅(tongue)을 형성한 2장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와 선두부에 훅을 형성한 편침 본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와 편침 본체의 상대 이동에 있어서 훅의 갈고리를 개폐함과 아울러 슬라이더의 텅이 훅을 넘어 더욱 진출가능한 복합 편침과, 그 복합 편침을 위한 선침부재로서의 셀렉트 잭을 구비하고,
상기 편침 본체는 그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제어 버트를 편침홈내로 삽입가능하게 하는 편침 본체 후방으로 연장되고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각부를 갖추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편침 본체상에 있어서 편침 본체상에 지지되어 있고 그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버트와 그 후방측에 위치한 제2버트를 갖추고,
상기 셀렉트 잭은 편침 본체의 후방측의 상위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제어 버트를 돌출하여 형성함과 함께 초기위치와 진출위치의 사이에서 변위가능(變位 可能)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니들 베드상을 왕복 운동하는 캐리지에는,
상기 편침 본체의 제어용 버트와 결합하여 편침 본체를 진퇴 조작하는 브릿지 캠, 스티치 캠, 레이징 캠을 포함하는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제2버트와 결합하여 슬라이더를 진퇴 조작하는 가이드 캠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와,
상기 셀렉트 잭의 제어 버트에 선택적으로 가압 작용할 수 있는 프레스기부를 설치하고 프레스기의 가압 작용에 의해 편침 본체의 제어 버트 및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니들 베드상으로부터 삽입이 가능하고,
또한 캐리지에는 스플릿 편성을 하기 위해서,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진출한 위치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후속하는 캠로크로 안내하는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와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제2버트가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을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안에 형성함과 아울러,
슬라이더의 제1버트가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과 캠결합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캠 수단을 상기 캠로크안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유도캠 수단을,
상기 셀렉트 잭 버트를 편침홈 내로 반정도 삽입하기 위한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와,
상기 브릿지 캠의 적어도 일단에서 연장하고 또한 셀렉트 잭이 삽입되지 않는 복합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와 결합하지 않는 하프 높이의 각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캠 수단을,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내에 형성한 하프 높이의 제1하강면과 그 후행측에 형성된 풀 높이의 제2하강면을 구비하는 스티치 캠과,
프레스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상기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로 유도하는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유도캠 수단을,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내의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보다 선행측에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제2버트와 결합하여 슬라이더의 제1버트를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과 캠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진출시키는 하프 높이의 상승캠과,
상기 셀렉트 잭 버트를 편침홈내에 반 정도 삽입하기 위한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캠로크의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와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내에 니트, 터킹, 미스의 스티치 형성 루트에 더하여 스티치 루프의 트랜스퍼 루트를
형성한다.
이에 의하면 루트 선택 장소에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은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에 의한 편침 본체의 버트와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편침홈내에 결합된다.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의 압력을 받고 있는 동안에 편침 본체 버트는 브릿지 캠의 각부를 그대로 지나치고 스티치 캠으로 진출하고 슬라이더의 제2버트는 바이패스 경로로 안내되게 된다. 이 사이의 편침 본체와 슬라이더가 캠 조작을 받지 않고 동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평행이동하는 사이에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에 형성된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이 캠결합한다. 이 캠결합이 실행되고 있는 사이에 편침 본체 버트가 스티치 캠에서 끌려 내려지기 때문에 슬라이더는 요동을 하지 않고 편침 본체와 함께 내려가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인 횡편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의 캐리지는 선행 캠로크와 후행 캠로크(도시 생략)의 2개의 캠 로크가 형성된 더블캠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캠로크는 서로 좌우대칭으로 구성되고 도1은 그 선행 캠로크만을 나타낸다. 도2는 니들 베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편침(1)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한 종래의 것과 거의 같고 편침 본체(3)와 슬라이더 기체(6), 2장이 겹쳐진 블레이드(7a, 7b)로 구성된 슬라이더(5)로 되어 있다. 편침 본체(3)은 후단부 부근에 니들 잭(9)의 선단부와 결합하는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있고 편침 본체(3)의 훅(13) 기부의 목부분으로부터 편침 본체 중앙에 걸쳐서 슬라이더 홈(18)을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더 기체(6)는 후단부 부근에 제2버트(15)와 그 전방측에 제1버트(17)를 구비하고 있고 선단부 부근의 하면에 블레이드 지지부재(19)를 세워 형성한다. 이것으로 블레이드(7)를 슬라이더 기체(6)에 결합한다. 블레이드(7a, 7b)는 거의 같은 형태를 하고 있고 선단측에 텅(8)을 구비한다. 상기 제1버트(1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윗 가장자리의 중앙부(17a)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캐리지에 형성된 후술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의 돌기 부분이 이 오목부(17a)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29는 금속판, 23은 니들 베드 기판, 27은 편침홈, 16은 탄성각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캐리지(31)의 캠로크(33)에 대해서 설명한다.
캠로크(33)는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35),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37), 프레스기부(39)와 프레스기의 후방에서 그 양측에 설치된 선침부(도시 생략)로 되어 있다. 캠로크(33)는 중앙에 레이징 캠(41), 그 양 옆에 스티치 캠(43), 전방에 브릿지 캠(45)를 구비하고 있다. 47은 B 프레스기, 48은 H 프레스기, 49는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를 나타내고 H 프레스기와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49)는 출몰전환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49)만 하프 높이로 하고 다른 것들은 풀 높이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의 제2버트(15)의 통과 루트에 스티치 캠(43)전방에 형성된 중앙 가이드 홈(53)과 그 가이드 홈(53)보다도 브릿지 캠(45)에 가까운 후방측에 연결로(55)를 통하여 중앙 가이드 홈(53)과 평행한 가이드 면(57)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 가이드 홈(53)의 깊이는 가장 깊어 캠로크가 올려져 있는 캐리지 기판(51)의 면의 높이와 같고(제로 높이), 가이드 면(57)은 그것보다 높은 하프 높이이고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37)의 슬라이더 가이드 캠(66)의 표면 높이는 풀 높이이다. 그리고 가이드 면(57)의 양단부근에는 각각 캐리지 기판(51)의 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내려가는 좌우의 경사면(61, 63)을 가지고 있다. 중앙 가이드 홈(53)과 도시하지 않은 후행 캠로크의 중앙 가이드 홈 사이를 제1바이패스 홈(65)과 제2바이패스 홈(67)으로 연결한다. 제2바이패스 홈(67)내의 사면(69)은 하프 높이에서 시작하여 제로 높이로 이어지는 사면을 나타내고 중앙 가이드홈(53)과 사면(69)의 사이에는 하프 높이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슬라이더가 일정한 루트로 안내되도록 하는 루트 선택 장소(root 選擇場所)에 슬라이더의 제1 버트와 결합하여 제2버트가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을 슬라이더 가이드 캠(66)의 캠표면에 돌출하여 형성한다는 점이다. 또한 제2버트를 진출시킨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후속하는 캠로크로 안내하는 스플릿 편성용 제1바이패스 홈(65)를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37)안에 형성한다는 점이다. 또한 슬라이더의 제1버트가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과 캠결합하도록 유도하는 유도 캠수단으로서 상기 프레스기부에 형성한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49)와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33)안에서 하방으로 뻗은 풀 높이와 하프 높이의 각부(하강캠)(45a, 45b)를 형성한 브릿지 캠(45)으로 구성했다는 점이다.
또한 니들 베드 기판(23)에 삽입되고 편침홈(27)을 형성하는 니들 플레이트(73)에는 그 상면부(73a)를 다른 것보다 한 단계 낮게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제1버트(17)와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과의 캠 결합을 허용한 점이 전술한 종래의 기술과 상이하다.
이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은 슬라이더의 제1버트(17)와 결합하여 슬라이더의 요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1버트(17)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횡편기에 의한 스플릿 편성과 그 때의 캐리지의 캠로크의 캠조작과 앞뒤의 니들 베드의 편침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편성된 편성포와 편성 스텝은 먼저 설명한 도28, 도29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3에 있어서 각 위치 ① ∼ ④에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동작은 전술한 도17 ∼ 도20과 같다. ⑤위치는 각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14)가 풀 높이의 브릿지 캠의 각부(45b)에서 약간 후퇴하고 슬라이더의 텅(8)의 선단부에 훅(13) 선단이 접하고 그 갈고리를 폐쇄한다. 이 때에 공급된 편사는 훅(13)으로 포착된다(도17).
⑤위치에서 각 편침의 훅(13)의 갈고리를 폐쇄한 후, 연속하는 ⑥위치에 걸쳐서 스플릿 편성과 니트 편성을 하는 각 편침의 루트가 선택된다. 즉 A 포지션에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은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49)의 압력을 받아 각 버트는 도4-a에 나타나는 하프 높이의 상태가 된다. 도4-b는 그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렇게 하여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에 대응하는 셀렉트 잭 버트(28)는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49)에 의해 압력을 받기 때문에 편침 본체 버트(14)와 슬라이더 제2버트(15)는 하프 높이의 브릿지 캠 각부(45a)와 제1바이패스 홈의 하강캠(65a)과 결합하지 않고 직진한다.
도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 위치에서는 슬라이더의 제2버트는 제1바이패스 홈(65)안으로 안내된 상태이고 이 때의 제1버트(17)은 니들 플레이트(73)의 표면 높이가 한 단계 낮은 상면부(73a)에 있으므로 니들 베드의 표면으로부터 살짝 보이게 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가 동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수평이동하는 사이에 슬라이더 제1버트(17)의 오목부(17a)가 슬라이더 가이드 캠(66)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3에서는 각 버트의 스플릿 편성 루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니트 편성 루트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H 포지션에서 니트 편성을 하는 다른 편침은 프레스기의 작용을 받지 않고 각 버트가 가장 돌출되어 형성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편침 본체 버트(14)는 브릿지 캠의 하프 높이의 각부(45a)의 하강캠면과 결합하여 후퇴하고 슬라이더측도 제2버트(15)를 제1바이패스 홈(65)의 하강캠면(65a)과 결합하여 도3의 파선 루트를 따라간다.
⑥위치 이후에 있어서는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14)는 스티치 캠(43r)과 결합하여 후퇴하지만 슬라이더는 제1버트(17)를 이미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과 캠 결합시킨 상태이기 때문에 편침 본체의 후퇴와 동시에 슬라이더가 요동하여 후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과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루트는, 우선 브릿지 캠의 풀 높이의 각부(45b)에 의해서 우선 훅의 갈고리를 닫는 위치까지 편침 본체(3)를 후퇴시킨 다음에 루트 선택 장소에서 니트 편성용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14)를 브릿지 캠의 하프 높이의 각부(45a)의 하강캠면에 의해서 후퇴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더의 제2버트(15)를 제1바이패스 홈(65)의 경사면(65a)에 의해 후퇴시킨다. 그리고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은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49)에 의해 편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 버트(14, 15)를 각각 해당하는 높이만큼 편침홈안으로 삽입시킨다. 이 결과, 편침 본체 버트(14)는 브릿지 캠의 각부(45a)를 그냥 지나치고 스티치 캠(43r)으로 진행한다. 또한 슬라이더의 제2버트(15)는 제1바이패스 홈(65)을 통과해서 제2바이패스 홈(67)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3)와 슬라이더(5)가 캠조작을 받지 않고 동일한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평행이동하는 사이에 슬라이더의 제1버트(17)를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70)과 결합시킨 후 편침 본체 버트(14)는 스티치 캠(43r)에 의해 끌려 내려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슬라이더의 요동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스플릿 편성의 루트로 안내할 수가 있다.
그리고 ⑦위치 이후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은 편침 본체(3)와 슬라이더(5)는 함께 초기위치까지 후퇴한다. 그 결과 훅(13)에 새롭게 형성된 스티치 루프를 결합함과 아울러 구루프가 슬라이더의 텅(8)의 선단으로부터 훅(13)을 넘어 녹 오버한다. 또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14)는 니트 편성의 편침과 같이 스티치 캠(43r)의 하강 사면을 따라 초기위치까지 하강되지만 슬라이더 버트(15, 17)는 직진하고 제2버트(15)는 중앙 가이드 홈(53)으로부터 제1바이패스 경로(65)로 안내된다. 그 결과 훅(13)에 새로운 스티치 루프를 결합하는 것만이 아니라 구루프가 슬라이더의 텅(8)상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후속하는 후행의 캠로크(도시 생략)에서 전술한 종래예와 같이 슬라이더상에 결합된 구루프이 뒷니들베드의 편침에 걸쳐져서 스플릿 편성을 완료한다.
<실시예2>
본 실시예의 캐리지는 단일의 캠로크를 탑재한 싱글캠 시스템으로서 캠로크는 복합캠로크로 구성되고 니트(knit)·터킹(tucking)·미스(miss)의 스티치 형성과 앞뒤의 니들 베드 사이에서 스티치 루프의 트랜스퍼를 실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플릿 편성의 루트를 추가시킨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편침은 상기 본 실시예1의 것과 같다. 이하 복합 캠로크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이하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로크(75)는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76)와 그 전방에 트릭갭에 근접한 측에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77)와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76)의 후방측에 형성된 프레스기부(78)와 또한 프레스기부(78)의 후방측의 양측에 설치된 선택부(79)로 구성된다.
편침은 셀렉트 잭 버트(28)을 통하여 진행방향에 있어서 선행하는 선택부(79a)로 선택된 후에 조작용 캠로크로 운반되어 니트, 터킹, 미스 또는 트랜스퍼를 실행한다.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77)는 고정된 슬라이더캠(81, 82, 83, 84)과 중앙에 위치하여 출몰절환이 가능한 제1트랜스퍼 제어캠(85)으로 구성한다.
슬라이더 가이드 캠(83, 84)사이에 슬라이더 제2버트(15)를 가이드 캠(82, 84)사이의 루트로 연결하는 연결로(87)를 형성한다. 삼각형 모양의 제1트랜스퍼 제어캠(85)은 그 바닥부분을 슬라이더 가이드 캠(84)의 앞 가장자리에 접하게 하고 정상부분을 슬라이더 가이드 캠(81, 82)사이에 형성한 슬라이더 제2버트(15)의 루트와 면하게 하고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 캠(82)과 제1트랜스퍼 제어캠(85) 사이에 슬라이더 제2버트(15)를 가장 앞의 위치에 형성한 슬라이더 버트홈으로 안내하는 하프 높이의 연결로 캠(89)를 형성한다. 상기한 각 슬라이더 가이드 캠은 하프 높이의 연결로 캠(89)을 제외하고 모두 풀 높이의 캠으로 구성한다. 도5 중에 91은 스플릿 편성을 위한 바이패스 홈을 나타내고 91a는 하프 높이, 91b는 하프 높이에서부터 제로 높이로의 경사면을 나타낸다. 93은 슬라이더 제2버트(17)와 결합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을 나타낸다. 바이패스 홈(91)과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93)은 우측의 스티치 캠(95r)의 전방측에만 형성된다.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76)은 외형이 두 개의 뿔 형태인 레이징 캠(94)과 그 양측에 한 쌍의 스티치 캠(95r, 95l)과 그 전방에 형성된 브릿지 캠(96)과 레이징 캠의 두 개의 뿔 모양의 것 사이에 형성된 제2트랜스퍼 제어캠(97)로 구성된다. 브릿지 캠(96)에는 스플릿 편성을 위한 하프 높이의 각부(96a)와 풀 높이의 각부(96b)는 상기 스플릿 편성용의 각 캠(93, 91)과 같이 우측의 스티치 캠(95r)의 좌측에만 형성된다. 상기 캠 중에서 레이징 캠(94)과 브릿지 캠(96)은 고정캠으로, 제2트랜스퍼 제어캠(97)은 출몰절환이 가능한 가동캠으로 구성한다. 레이징 캠(94)의 후방의 프레스기부(78)에는 A, H, B의 각 포지션에 프레스기 캠을 설치한다. B 포지션에는 풀 높이의 B 프레스기(90)를, H 포지션에는 레이징 캠(94)의 좌우 뿔부분에 위치하는 하프 높이의 H 프레스기(98a, 98b)를, A 포지션에는 레이징 캠(94)의 뿔 끝부분에 위치하는 풀 높이의 A 프레스기(99a, 99b)를 각각 설치한다. 레이징 캠(94)는 상기 프레스기부(78)의 각 프레스기와의 협동작용에 의해 편침 본체 버트(14) 뿔은 슬라이더 버트(15)를 니트, 터킹, 미스, 트랜스퍼 및 스플릿 편성의 각 루트로 안내할 수 있도록 캠표면의 높이가 부분적으로 변하여 형성되어 있고 94a는 풀 높이, 94b는 하프 높이, 94c는 하프 높이와 제로 높이의 중간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6은 스티치 형성(니트, 터킹, 미스)에 있어서 캠로크의 동작 상태와 각 버트의 통과 루트를 나타낸다. 도면은 캐리지의 좌방향 진행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니트의 루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터킹과 미스의 루트를 각각 파선,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선행 선침부(79a)에서 니트, 터킹, 미스의 편침의 셀렉트 잭 버트(28)가 H, A, B의 각 포지션으로 각각 선택된다. 이 때의 프레스기와 캠의 작동상태는 도시한 대로 고정된 B 프레스기(90)외에 선행 A 프레스기(99a)가 작동하고 H 프레스기(98), 후행 A 프레스기(99b), 트랜스퍼 제어캠(85, 97)은 작동하지 않는다.
니트 편성에서 편침 본체 버트(14)는 우선 레이징 캠(94)의 좌측 상승캠면을 따라 진출한다. 이에 의하여 편침 본체(3)가 전진하고 슬라이더(5)와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훅이 열린다. 그리고 편침 본체 버트(14)가 캠의 등성이 부분(P)까지 진출함으로써 슬라이더(5)를 트릭갭 방향으로 진출시킨다. 캠의 등성이 부분(P)에서 슬라이더 버트(15)가 슬라이더 가이드 캠(83)의 뒤쪽 가장자리에 닿는다. 편침 본체 버트(14)는 더욱 진출하여 레이징 캠(94)의 정상부분(Q)까지 전진하고 슬라이더 제2버트(15)는 연결로(87)를 경유하여 슬라이더 가이드 캠(82, 84)사이의 캠홈안으로 안내된다. 편침 본체 버트(14)는 레이징 캠(94)의 정상부분을 통과한 후에는 브릿지 캠(96)의 하강 사면으로 안내되고 캠의 등성이 높이까지 후퇴한 후 같은 레벨을 유지한 상태로 뿔 부분을 지나치고 브릿지 캠의 각부(96a, 96b)와 이것과 이어지는 스티치 캠(95)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편침 본체 버트(14)가 스티치 캠(95r)을 따라 후퇴할 때에 급사구에서 보내진 편사를 훅으로 포착하고 슬라이더(5)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하여 훅(13)를 폐쇄하고 후퇴함으로써 니트 루프를 형성한다.
터킹 편성에서는, 편침 본체 버트(14)가 레이징 캠(94)을 따라 캠의 등성이 부분까지 진출한 후 선행 A 프레스기(99a)의 압력을 받고 이 때에 편침홈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레이징 캠(94)의 정상부분으로는 안내되지 않고 도시한 루트를 취한다.
미스 편성은, 선침부(79a)로 선택되지 않고 셀렉트 잭은 B 포지션을 유지하기 때문에 B 프레스기(90)의 작용에 의해 셀렉트 잭 버트(28)가 눌려지고 그 결과 편침 본체 버트(14), 슬라이더 제2버트(15)는 함께 조작캠에 의해 진퇴 조작을 받지 않고 캠로크안을 통과한다.
다음으로 트랜스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캐리지의 좌방향 진행시의 트랜스퍼(코 이동, 코 수신) 상태를 나타내고 코 이동의 루트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코 수신 루트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코 이동은 A 포지션, 코 수신은 H 포지션의 편침으로 수행된다. 그 때의 프레스기와 캠의 작동 상태는 도시한 대로 후행 A 프레스기(99b), 선행 H 프레스기(98a), 및 트랜스퍼 제어캠(85, 97)이 작동하고 있다.
코 이동 공정에서는 편침 본체 버트(14)가 레이징 캠(94)을 따라 우선 캠의 등성이 부분(P)까지 진출한다. 이 때 편침 본체(3)와 슬라이더(5)와의 상대이동에 의해 슬라이더의 텅(8)이 슬라이더의 수용홈(18)으로 빠지고 그 훅(13)을 완전히 개방한다. 계속해서 편침 본체 버트(14)는 레이징 캠(94)의 정상 부분(Q)까지 안내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의 제2 버트(15)는 연결로(87)를 통해서 슬라이더 가이드 캠(82, 84)사이로 안내된다. 그 후 편침 본체 버트(14)는 브릿지 캠(96)과 제2트랜스퍼 제어캠(97)의 하강면을 따라 후퇴한다. 그 사이에 슬라이더의 제2버트(15)는 제1트랜스퍼 제어캠(85)과 결합하여 슬라이더 가이드 캠(81, 82)사이의 트랜스퍼의 높이로 진출한다. 셀렉트 잭 버트(28)는 후행 A 프레스기(99b)에 의해 편침홈내로 눌러지고 편침 본체 버트(14)는 후속하는 레이징 캠(94)의 뿔 부분과 결합하지 않고 통과한다. 한편 셀렉트 잭 버트(28)가 프레스기에 의해 하프 높이로 밀려지지만 슬라이더의 제2버트(15)의 일부가 니들 베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슬라이더 가이드 캠(81, 82)사이로 안내되고 스티치 루프는 슬라이더(5)에 의해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수신 편침의 훅과 대면하는 위치까지 들어 올려져 코 수신 편침의 훅이 스티치 루프를 관통하게 된다. 그 후 편침 본체 버트(14)와 슬라이더 제2버트(15)는 각각 스티치 캠(95), 슬라이더 가이드 캠(81)을 따라 초기위치까지 후퇴한다.
코 수신 공정에서는 편침 본체 버트(14)가 선행 A 프레스기(98a)의 작용에 의해 레이징 캠(94)의 하프 높이의 캠부분(94b)으로 안내된 후,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캠 사면을 따라 레이징 캠(94)의 캠의 등성이 부분까지 진출한다. 그 결과 대향하는 코 이동의 위치에 있는 편침의 스티치 루프내로 코 수신 편침의 훅을 관통시킨다. 그리고 후속하는 브릿지 캠(96)의 각부, 스티치 캠(95)에 의해 편침 본체 버트(14)가 후퇴됨으로써 편침 본체(3) 및 슬라이더(5)가 초기위치까지 후퇴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캠로크를 갖춘 캐리지에 의한 스플릿 편성에서의 캠조작과 스플릿 편성을 하는 앞뒤의 니들 베드의 편침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편성된 편성포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도28에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같은 방법으로 스플릿 편성 코스에서의 편성 스텝은 도29와 같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단일 캠로크를 탑재한 싱글 캐리지에 의해 스플릿 편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플릿 편성에 사용되는 연속하는 캠로크라 함은 캐리지의 좌측 이동이 최초의 캠로크가 되고 캐리지 반전 후의 우측이동이 후속하는 캠로크가 되어, 캐리지의 일차 왕복에 의해 스플릿 편성이 종료된다. 각 위치 ① ∼ ⑪에서 편침의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우선 좌측 이동 편성에 있어서 각 버트는 도8에 나타난 루트를 따라 캠로크(75)안을 통과한다. 실선이 스플릿 편성의 각 버트의 루트를 나타내고 니트 편성에 대해서는 그것과 다른 루트만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좌측 이동 편성에서는 후행 H 프레스기(98b)만이 작동되고 다른 프레스기와 트랜스퍼 제어캠은 작동하지 않는다.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셀렉트 잭은 A 포지션으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셀렉트 잭은 H 포지션으로 선택된다. 니트 편성의 편침은 전술한 도6과 같은 루트를 따라간다.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편침 본체와 슬라이더의 각 버트는 ⑤위치까지는 니트 편성과 같은 루트를 따라간다. ⑤위치에서는 후행 H 프레스기의 작용에 의해 셀렉트 잭 버트(28)가 하프 높이로 압력을 받고 편침 본체 버트(14)는 브릿지 캠의 하프 높이의 각부(96b)와 결합하지 않는다. 같은 방법으로 슬라이더의 제2버트(15)도 바이패스 홈(91)의 하강사면(91a)과 결합하지 않고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하고 제1버트(17)의 오목부(17a)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93)이 결합한다. 이후 이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93)에 의하여 안내된 상태에서 슬라이더의 제2버트(15)는 바이패스 홈(91)안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캐리지가 통과한 상태는 도19의 상태보다도 편침 본체가 가이드 캠에 의해 약간 진출되는 정도로 다른 것은 거의 도19와 같고, 편침의 훅(13)에 신루프를 유지하여 슬라이더(5)의 텅(8)에 구루프를 유지시킨 상태이다.
그 후, 캐리지는 우측 방향으로 진행 방향을 반전시켜 진행하고 각 버트는 도9에 나타난 루트를 따라간다. 우측 이동 편성에서는 선행 및 후행의 H 프레스기(98a, 98b)와 제1트랜스퍼 제어캠(85)이 작동한다. 그리고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만이 선침부(79b)에서 H 포지션으로 선침된다. 편침 본체 버트(14)는 레이징 캠(94)의 하프 높이의 부분(94b)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슬라이더의 제2버트(15)는 트랜스퍼의 코 이동의 루트를 따라가게 된다. 이때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스플릿 편성에 대응하는 편침이 코 수신 루트를 따라가고 스플릿 편성의 편침의 슬라이더의 텅위에 결합된 구루프을 취하여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바늘이 스플릿 편성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도캠 수단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10 ∼ 도13과 함께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2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편의상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1>
도10는 전술한 도6에 나타난 캠로크의 유도캠 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니트 편성용 편침과 스플릿 편성용 편침의 슬라이드의 루트 선별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의 브릿지 캠에 하프 높이의 각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277)의 가이드 캠(283)에 하프 높이의 상승캠(285)을 형성한다. 이와 함께 슬라이더의 제2버트의 통과 경로를 사이에 두고 형성한 고정 슬라이더 가이드 캠(281)의 상기 상승캠(285)과 대치하는 부분을 도시와 같이 도려낸 형태로 함과 아울러 상승캠(285)에 의해 전진한 제2버트가 바이패스 홈(291)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사면(291c)을 형성한다. 291d는 바이패스 홈의 제로 높이에서 풀 높이로 향하는 경사면을 나타내고, 291e는 상승캠(285)에 의해 진출한 제2버트를 끌어 내리는 하강캠면을 나타낸다. 293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을 나타내고 상승캠(285)에 의해서 진출한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슬라이더의 제1버트에 형성된 오목부가 결합한다.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은 A 포지션에 있어서 그 편침 본체의 버트가 스티치 캠(95r)에 의해서 끌려 내려지고 슬라이더는 제2버트가 하강면(281a)과 결합하여 끌려 내려짐으로써 후퇴한다. 스플릿 편성의 편침은 H 포지션에 있어서 프레스부(278)의 작용을 받지않고 그 결과 편침 본체의 버트는 니트 편성의 편침과 같은 방법으로 스티치 캠(95r)에서 끌어 내려진다. 하지만 슬라이더의 제2버트가 상승캠(285)과 결합하여 전진됨으로써 제1버트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293)과 결합하여 그 결합상태에 있을 때에 스티치 캠(95r)에서 편침 본체를 끌어 내리기때문에 슬라이더가 편침 본체와 같이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바이패스 홈(291)으로 안내하여 후속하는 캠로크로 보낼 수 있다.
또한 프레스부(278)에 있어서는 상기 루트선별개소에 위치하는 A 프레스기(299b)의 폭이 전술한 실시예의 것보다도 조금 길게 형성된다. 이 A 프레스기(299b)는 스플릿 편성시에 작동하여 A 포지션에서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의 셀렉트 잭 버트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제2 버트를 누르고 상승캠(285)과 캠결합시키지 않고 그대로 지나치게 한다.
도11는 전술한 도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플릿 편성시의 선행하는 캠로크에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실선이 스플릿 편성의 각 버트의 루트이고 니트 편성에 대해서는 스플릿 편성과 다른 루트만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변형예2>
도12는 전술한 도6에 나타나는 캠로크의 유도캠 수단에 대한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니트용 편침과 스플릿 편성용 편침의 슬라이더의 루트선별을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내에 형성한 스티치 캠(395)과 프레스부(378)에 형성한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398)로 구성한다.
스티치 캠(395)은 하프 높이의 제1하강면(395a)과 이 후행측에 형성한 풀 높이의 제2하강면(395b)으로 구성된다. H 프레스기(398)는 편침의 셀렉트 잭 버트를 하프 높이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상기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391)로 유도한다. 바이패스 경로의 391a는 하프 높이, 391b는 하프 높이와 제로 높이를 연결하는 사면을 나타낸다.
니트 편성을 하는 편침은 A 포지션에서 그 편침 본체의 버트가 스티치 캠(395)의 제1하강면(395a)과 결합함으로써 끌어 내려지고 슬라이더는 제2버트가 바이패스 홈(391)의 하프 높이의 하강면(391a)과 결합하여 끌려 내려짐으로써 후퇴한다. 그리고 스플릿 편성의 편침은 H 포지션에서 H 프레스기(398b)에 의해 압력을 받고 그 결과 편침 본체의 버트가 스티치 캠(395)의 제1하강면(395a)과 결합하지 않아 끌려 내려오지 않고서 수평이동한다. 그 사이에 슬라이더의 제1버트의 오목부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393)을 캠결합하고 그 결합상태에 있을 때에 편침 본체를 스티치 캠(395)의 제2하강면(395b)에 의해서 끌려 내려지도록 하여 슬라이더의 요동을 방지하고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바이패스 홈(391)를 통과시켜서 후속하는 캠로크로 안내한다.
도13은 전술한 도8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플릿 편성시의 선행하는 캠로크에서 각 버트의 통과 루트와 캠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이 스플릿 편성의 각 버트의 루트이고 니트 편성에 대해서는 스플릿 편성과 다른 루트만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상기한 본 발명의 횡편기의 알맞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횡편기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의 제1버트의 상면을 오목부로 형성하고 그 위에 결합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의 선단을 볼록부로서 형성하였지만 이 요철부(오목, 볼록)의 관계를 바꾸어서 형성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결합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것은 슬라이더의 제2버트가 스플릿 편성 루트(캠 홈)안으로 안내될 동안에 편침 본체의 후퇴에 의한 슬라이더의 동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좋기 때문에 단순히 슬라이더의 제1버트의 뒷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캠면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횡편기는 유도캠 수단을 형성하고 스플릿 편성을 하는 편침의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안에 형성된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을 캠결합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이 캠결합 상태에 있을 때에 편침 본체를 끌어 내리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요동은 일어나지 않고 확실하게 슬라이더의 제2버트는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홈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후속하는 캠로크에서 스플릿 편성을 할 수가 있다.

Claims (5)

  1. 트릭 갭을 사이에 두고 앞뒤로 대향하여 배치한 니들 베드상에, 선두부에 텅(tongue)을 형성한 2장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와 선두부에 훅을 형성한 편침 본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와 편침 본체의 상대 이동에 있어서 훅의 갈고리를 개폐함과 아울러 슬라이더의 텅이 훅을 넘어 더욱 진출가능한 복합 편침과, 그 복합 편침을 위한 선침부재로서의 셀렉트 잭을 구비하고,
    상기 편침 본체는 그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제어 버트를 편침홈내로 삽입가능하게 하는 편침 본체 후방으로 연장되고 가요성(可撓性)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각부를 갖추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편침 본체상에 있어서 편침 본체상에 지지되어 있고 그 상면에 돌출하여 형성된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1버트와 그 후방측에 위치한 제2버트를 갖추고,
    상기 셀렉트 잭은 편침 본체의 후방측의 상위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제어 버트를 돌출하여 형성함과 함께 초기위치와 진출위치의 사이에서 변위가능(變位 可能)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니들 베드상을 왕복 운동하는 캐리지에는,
    상기 편침 본체의 제어용 버트와 결합하여 편침 본체를 진퇴 조작하는 브릿지 캠, 스티치 캠, 레이징 캠을 포함하는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제2버트와 결합하여 슬라이더를 진퇴 조작하는 가이드 캠을 포함하는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와,
    상기 셀렉트 잭의 제어 버트에 선택적으로 가압 작용할 수 있는 프레스기부를 설치하고 프레스기의 가압 작용에 의해 편침 본체의 제어 버트 및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니들 베드상으로부터 삽입이 가능하고,
    또한 캐리지에는 스플릿 편성을 하기 위해서,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진출한 위치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후속하는 캠로크로 안내하는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와 슬라이더의 제1버트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제2버트가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을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안에 형성함과 아울러,
    슬라이더의 제1버트가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과 캠결합하도록 유도하는 유도캠 수단을 상기 캠로크안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캠 수단을,
    상기 셀렉트 잭 버트를 편침홈 내로 반정도 삽입하기 위한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와,
    상기 브릿지 캠의 적어도 일단에서 연장하고 또한 셀렉트 잭이 삽입되지 않는 복합 편침의 편침 본체 버트와 결합하지 않는 하프 높이의 각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캠 수단을,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내의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보다 선행측에 형성되고 슬라이더의 제2버트와 결합하여 슬라이더의 제1버트를 상기 스플릿 편성 가이드 캠과 캠결합 가능한 위치까지 진출시키는 하프 높이의 상승캠과,
    상기 셀렉트 잭 버트를 편침홈내에 반 정도 삽입하기 위한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캠 수단을,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내에 형성한 하프 높이의 제1하강면과 그 후행측에 형성된 풀 높이의 제2하강면을 구비하는 스티치 캠과,
    프레스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제2버트를 상기 스플릿 편성용 바이패스 경로로 유도하는 하프 높이의 스플릿 편성 프레스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제1 ∼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로크의 슬라이더 조작용 캠로크와 편침 본체 조작용 캠로크내에 니트, 터킹, 미스의 스티치 형성 루트에 더하여 스티치 루프의 트랜스퍼 루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19990016166A 1998-05-06 1999-05-06 횡편기 KR100554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23786 1998-05-06
JP12378698 1998-05-06
JP10-142594 1998-05-19
JP14259498A JP3292836B2 (ja) 1998-05-06 1998-05-25 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076A true KR19990088076A (ko) 1999-12-27
KR100554230B1 KR100554230B1 (ko) 2006-02-22

Family

ID=2646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166A KR100554230B1 (ko) 1998-05-06 1999-05-06 횡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25661A (ko)
EP (1) EP0955401B1 (ko)
JP (1) JP3292836B2 (ko)
KR (1) KR100554230B1 (ko)
DE (1) DE69911838T2 (ko)
ES (1) ES2204068T3 (ko)
TW (1) TW4995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671A (ko) * 2020-10-02 2022-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5982B2 (ja) * 2003-10-1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編成用カム装置
JP4336305B2 (ja) * 2004-12-27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カムシステム
KR101223919B1 (ko) * 2005-03-25 2013-01-1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CN101184879B (zh) * 2005-05-26 2010-09-29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针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产品
CN100434584C (zh) * 2006-02-17 2008-11-19 奥华斯精密机械(深圳)有限公司 针织机三角导块模组
JP4977383B2 (ja) * 2006-02-28 2012-07-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CN101395312B (zh) * 2006-02-28 2011-06-15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形成放针线圈的方法及在针织物的编织宽度方向端部的内侧形成放针线圈的针织物
JP5330249B2 (ja) * 2007-09-05 2013-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DE102010017952B4 (de) * 2010-04-22 2012-04-19 H. Stoll Gmbh & Co. Kg Stricknadel für Strickmaschinen
CN101851825B (zh) * 2010-07-13 2011-06-01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电脑横机的度目三角
CN101892551B (zh) * 2010-08-24 2011-12-07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电脑横机的度目三角
JP5808096B2 (ja) * 2010-11-05 2015-11-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および編地
CN102154775B (zh) * 2011-05-05 2012-11-21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低机号电脑针织横机编织系统
JP5856783B2 (ja) * 2011-09-07 2016-02-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CN102383257B (zh) * 2011-10-17 2013-09-25 徐贵丰 一种多段选针电脑提花横机三角板
CN102505313A (zh) * 2011-10-31 2012-06-2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电脑横机接针及集圈控制机构
CN102560851A (zh) * 2011-12-28 2012-07-11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低机号电脑针织横编机编织系统
CN102660833A (zh) * 2012-05-26 2012-09-12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横编织机的翻针装置
CN102787438B (zh) * 2012-08-23 2013-11-06 宁波慈星股份有限公司 电脑针织横机翻针三角机构
CN103088535A (zh) * 2013-01-11 2013-05-08 邓福明 一种电脑横机三针道及双向移圈技术的编制控制机构
CN103334220B (zh) * 2013-03-31 2015-03-04 浙江金越管业有限公司 在同一行内编织、集圈的单系统电脑横机及针织方法
CN103255564A (zh) * 2013-04-22 2013-08-21 邓颖 一种电脑针织横机的编织控制机构
CN103437054B (zh) * 2013-09-02 2015-03-04 冯加林 一种电磁选针的横机三角编织机构及其集圈、接圈编织方法
CN103603129B (zh) * 2013-11-20 2015-03-04 江苏通力机电集团有限公司 用于实现无规则单面嵌花的三角装置
CN105887302B (zh) * 2016-05-20 2018-07-03 福建睿能科技股份有限公司 横机及其选针方法
JP7438011B2 (ja) * 2020-04-30 2024-02-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EP4306698A1 (en) 2021-03-10 2024-01-17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CN117071159B (zh) * 2023-04-28 2024-01-16 杭州翔阳科技有限公司 一种横编织机的机头组件及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0055A1 (de) * 1982-05-27 1983-12-01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Strick-umhaengeschloss fuer v-bett-flachstrickmaschinen mit schiebernadeln
DE3327093C2 (de) * 1983-07-27 1986-05-22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Kombiniertes Strick-Umhhängeschloß für R-R-Flachstrickmaschinen mit V-förmig angeordneten Nadelbetten und mit Schiebernadeln
JPS6221851A (ja) * 1985-07-18 1987-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JPS6221850A (ja) * 1985-07-19 1987-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US5305619A (en) * 1990-03-26 1994-04-26 Shima Seiki Mfg. Ltd. Stitch increasing method and cams for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stitch increasing function
JP2700203B2 (ja) * 1991-10-04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890667B1 (en) * 1997-07-11 2002-11-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A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671A (ko) * 2020-10-02 2022-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230B1 (ko) 2006-02-22
DE69911838T2 (de) 2004-09-09
JP3292836B2 (ja) 2002-06-17
ES2204068T3 (es) 2004-04-16
JP2000027053A (ja) 2000-01-25
EP0955401A2 (en) 1999-11-10
DE69911838D1 (de) 2003-11-13
EP0955401B1 (en) 2003-10-08
EP0955401A3 (en) 2000-11-15
TW499520B (en) 2002-08-21
US6125661A (en) 200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230B1 (ko) 횡편기
KR100585267B1 (ko) 횡편기의 싱커 장치
JP4977383B2 (ja)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JPS6221851A (ja)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EP0449549B1 (en) Stitch increasing method and cams for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stitch increasing function
KR102226578B1 (ko) 횡편기
US6018966A (en) Stitch form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therefor
JP4121286B2 (ja) 編機用スライダタイプ複合針
JP2917146B2 (ja) 編目形成方法及び該編目形成のための横編機
GB2182064A (en) A cam system for a flat knitting machine
EP0567282A1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rocking sinker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JPS6221850A (ja) 複合針を使用した横編機
JP2013064205A (ja) ループプレッサーを備えた横編機
WO2007132559A1 (ja)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JP5637984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3306763B2 (ja) ニッティングカムおよびカム装置
JP3886807B2 (ja) 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および目移し方法
JPS6221849A (ja) 横編み機
CN102264965B (zh) 横编机及其移圈方法
JPS6120670B1 (ko)
KR101356443B1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KR100768347B1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JPS6252063B2 (ko)
WO2005001186A1 (ja) 複合針
JP3000461B2 (ja) 目移し装置を備えた横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