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671A -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671A
KR20220044671A KR1020210129423A KR20210129423A KR20220044671A KR 20220044671 A KR20220044671 A KR 20220044671A KR 1020210129423 A KR1020210129423 A KR 1020210129423A KR 20210129423 A KR20210129423 A KR 20210129423A KR 20220044671 A KR20220044671 A KR 2022004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itting
selector
cam
select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211B1 (ko
Inventor
마사노리 고토
요시노리 시마사키
히로유키 우에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4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7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stitch-length reg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선택할 수 있는 편성동작의 수를 늘려서, 편성동작 혼재 시의 편성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입구측 선침기구(11)는, 편침(3)의 실렉터(7)에 작용하여 경로(7A, 7H, 7H) 중 어느 하나로 안내하고, 캠시스템(2)의 작용을 최초로 받는 대상이 되는 편침(3)을, 실렉트잭(6)의 선택용 버트(6b)가 A포지션(6bA), H포지션(6bH) 또는 B포지션(6bB)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선택한다. 중간측 선침기구(12)는, 캠시스템(2)의 작용을 받고 있는 편침(3)의 실렉트잭(6)을, A포지션보다 니들베드갭측에 형성되는 새로운 F포지션(6bF)이 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F포지션의 선택은, 스티치값이 다르거나 또는 스플릿 편성을 편성동작으로서 추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어,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편침(編針)을 선택하기 위한 선침기구(選針機構)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는, 편침을 구동하여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시스템(cam system)과 함께, 구동의 대상이 되는 편침을 선택하기 위한 선침기구를 탑재하고 있다. 니들베드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적어도 전후 한 쌍 설치된다. 편침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니들홈(needle groove)에 각각 수용되고, 니들홈 내를 슬라이딩하여,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편침의 선택은, 편침에 형성되는 버트(butt)의 니들홈으로부터의 돌출상태로 반영된다. 편침의 기본적인 편성동작은, 니트(knit), 턱(tuck) 및 미스(miss)의 3종이고, 선침기구는 이 3종을 구별하여 대상이 되는 편침을 캠시스템의 입구측에서 선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 3을 참조).
편침은, 니들베드갭측의 선단(先端)에 스티치 형성을 위한 훅(hook)을 구비함과 아울러,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꼬리부측에, 선침기구에 의한 선택을 받기 위한 실렉터(selector) 및 실렉트잭(select jack)을 구비한다. 실렉터는, 2회의 선택을 받아서 실렉트잭을 3종의 포지션, 예를 들면 B포지션, H포지션 및 A포지션으로 안내하도록 구동된다. 특허문헌1은, 실렉터의 선택을, 실렉터에 형성되는 선택버트(選擇butt)에 대한 가압의 유무에 의하여 한다. 특허문헌2, 3은, 실렉터의 선택을, 실렉터를 자기적(磁氣的)으로 흡착하고 있는 상태로부터의 해방(解放)의 유무에 의하여 한다. 특허문헌1, 2는, 선택된 실렉터에 의하여 실렉트잭을, 1회째의 비선택(非選擇)에 의하여 B포지션, 1회째의 선택 및 2회째의 비선택에 의하여 H포지션, 2회째에도 선택에 의하여 A포지션으로 안내한다. 특허문헌3은, 1단째의 선택에 의하여 A포지션, 1단째의 비선택 및 2단째의 선택에 의하여 H포지션, 2단째에도 비선택에 의하여 B포지션으로 안내한다. 안내를 받은 실렉트잭은, 각 궤도에 배치되는 프레서(presser)로부터의 가압을 버트에서 받는다. 프레서는, 니트, 턱 및 미스에 대응하는 것을, A포지션, H포지션 및 B포지션에 대응하는 버트의 궤도에 각각 배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편침을 안내하는 새로운 구동경로를 캠시스템에 형성하여, 프레서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동식(可動式)으로 하거나, 버트에 대한 작용을 중간단계에서 멈추거나 함으로써, 편침은 기본적인 편성동작과는 다른 동작이 되도록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 국제공개2007-074944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9―241952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64207호 공보
종래의 선침기구에 의하여 편침을 3개의 포지션으로 선택하는 것만으로는, 혼재시킬 수 있는 편성동작에 수적인 한계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캠시스템에 있어서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도록 인입하는 스티치캠(stitch cam)의 인입캠면(引入cam面)에 후반(後半)에서 낮아지는 고저차(高低差)를 형성하여 두고, 편침에 형성되는 버트의 돌출량을 고저차에 따라 절체(切替)하면, 니들베드갭에 있어서 훅에서 급사(給絲)를 받는 편침에 대한 인입량을 절체하여 형성되는 스티치의 크기를 절체하는 스티치값이 서로 다른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구루프(舊loop)를 녹오버(knock over)시키는 대신에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의 훅으로 옮겨서 폭늘림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형성하는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의 동작도, 캠시스템이나 프레서의 부분적인 변경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동작 중 어느 하나를 3종의 기본동작과 혼재시키는 것은, 선택할 수 있는 포지션이 부족하여 불가능하게 된다.
선침기구에 의하여 4개의 포지션 이상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면, 3종의 기본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혼재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선침기구는, 캐리지의 주행방향인 좌우방향이나, 편침의 진퇴방향인 전후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린다. 선침기구가 대형화되면, 탑재되는 캐리지도 대형화되어,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의 주행 스트로크(走行 stroke)도 커져 버린다. 캐리지의 주행 스트로크가 커지면, 주행속도가 동일하다면 주행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편성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선침기구에 의한 선택 수를 늘리지 않고, 캠시스템이나 프레서의 절체에 의하여 많은 종류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절체 전후에서 캐리지의 주행을 일단 정지하고 역방향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공주행(空走行)을 한 후에 반전되는 반환이 필요하게 된다. 캐리지의 반환도 편성효율을 저하시켜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할 수 있는 편성동작의 수를 늘려서, 편성동작 혼재 시의 편성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니들홈에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편침,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
캐리지에 탑재되어,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시스템, 및
캐리지에 탑재되어,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편침을 선택하기 위한 선침기구를
구비하고,
편침은,
캠시스템의 작용을 받는 선택용 버트를 구비하고, 기저위치의 B포지션, B포지션보다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중간위치의 H포지션 및 진출위치의 A포지션을 포함하는 다른 위치로 안내되고, 각 위치에서 선택용 버트가 받는 캠시스템으로부터의 가압의 차이에 의하여, 캠시스템이 편침에 하는 편성동작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실렉트잭과,
선침기구에 의한 편침의 선택상태에 대응하여, 편침이 비선택인 경우의 기저경로, 편침이 선택되는 경우의 중간경로, 또는 진출경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구동되고, 중간경로 또는 진출경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면, 실렉트잭과 결합하여 실렉트잭을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으로 각각 안내할 수 있는 실렉터를
포함하고,
선침기구는, 실렉터를 미리 설정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서, 결합을 통하여 실렉트잭을 안내하도록 구동되는 실렉터 구동캠을 포함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캠시스템에 대한 입구측에서,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편성동작의 전반부분에 관하여 편침을 선택하는 입구측 선침기구와,
캠시스템의 중간에서,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하는 편성동작의 후반부분에 관하여 편침을 선택하는 중간측 선침기구와,
실렉트잭 또는 실렉터를 니들홈에 가라앉히는 방향으로 가압 할 수 있는 가압캠을
더 포함하고,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은, B포지션의 실렉트잭과 실렉터가 결합하는 제1단계와,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의 실렉트잭과 실렉터가 결합하는 제2단계를, 가압캠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절체하고,
중간측 선침기구에, 제2단계의 결합에 의하여 실렉트잭이 안내되는 위치로서 A포지션보다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전진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캠은, 상기 입구측 선침기구에 형성되어 상기 실렉트잭의 상기 선택용 버트를 가압하고,
실렉트잭은, 선택용 버트에 의하여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후단의 베이스 부분에, 후단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는,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1단계에서 가압캠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니들홈에 가라앉는 실렉트잭의 선택용 버트의 후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돌출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캠은, 상기 중간측 선침기구에 형성되어 상기 실렉터에 의하여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꼬리부를 가압하고,
상기 실렉트잭은, 후단에 상기 니들홈 내에서 얕아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후단에, 니들홈 내에서 깊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1단계에서 실렉트잭의 상기 선택용 버트의 후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가압캠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니들홈에 가라앉는 돌기가 실렉트잭의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구측 선침기구 및 상기 중간측 선침기구는, 상기 실렉터를 자력에 의하여 흡인하는 상태를, 상기 선택을 받아서 복수의 위치에서 해제할 수 있는 흡인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렉터 구동캠은, 흡인 액추에이터에 의한 흡인이 해제된 위치에 따라 다른 경로로 안내하도록 실렉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편성동작의 상기 후반부분은, 상기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캠시스템에 형성되는 스티치캠에 의한 인입량을 다르게 하는, 스티치값이 다른 편성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침은 실렉터와 실렉트잭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실적이 있는 기본적인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입구측 선침기구에 의하여 선택되어 캠시스템에 의한 구동을 받는 편침에 대하여, 캠시스템의 중간에 형성되는 중간측 선침기구는,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장소가 입구측 선침기구에 의하여 제1단계로부터 제2단계로 절체되어, 편성동작의 선택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입구측 선침기구와 중간측 선침기구는, 1회의 캐리지 주행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는 편성동작의 수를 늘려서, 기본적인 편성동작과는 다른 편성동작 혼재 시 등의 편성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캠에 의한 실렉트잭에 대한 가압에 의하여,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에 대하여 2단계의 절체를 할 수 있다. 실렉터의 선단부는, 제1단계에서 실렉트잭의 선택용 버트의 후단과 결합하고, 제2단계에서 돌출부의 후단과 결합하기 때문에, 실렉터의 결합부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캠에 의한 실렉터에 대한 가압에 의하여,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에 대하여 2단계의 절체를 할 수 있다.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장소의 조합을 제1단계와 제2단계로 절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구측 선침기구와 중간측 선침기구는 좌우방향으로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측 선침기구에 의하여, 스티치캠에 의한 편침의 인입에 스티치값이 다른 편성동작을 혼재시킬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 캠시스템(2) 및 선침기구(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을 간략화한 캠 배치도 및 제어대상이 되는 편침(3)의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2] 도1의 입구측 선침기구(11) 및 중간측 선침기구(12)의 구성을 포함하는 캠시스템(2)의 부분적인 캠 배치도이다.
[도3] 도1의 가압캠(15)에 의하여 절체되는, 실렉트잭(6)을 실렉터(7)로 이동시키기 위한 결합장소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4] 입구측 선침기구(11)에서의 실렉터(7)와 실렉트잭(6)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5] 중간측 선침기구(12)에서의 실렉터(7)와 실렉트잭(6)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6]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절체되는, 실렉트잭(46)을 실렉터(47)로 이동시키기 위한 결합장소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7] 결합장소의 2단계의 절체를 포함하는, 실렉터(47)와 실렉트잭(46)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 도1∼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인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1)의 선침기구(選針機構)(10)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대각선을 교차시켜서 나타내는 면은 경사면을 나타낸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있어서 실렉터(selector)(7)에 의한 실렉트잭(select jack)(6)의 안내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각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인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 캠시스템(cam system)(2) 및 선침기구(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은, 간략화를 하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것도 언급한다. 캠시스템(2)은, 횡편기의 니들베드(needle bed)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된다. 니들베드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적어도 한 쌍 설치된다. 각 니들베드는,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니들홈(needle groove)을 구비한다. 니들홈은,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편침(編針)(3)은,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sliding)이 가능한 상태로 각 니들홈에 수용되고, 니들잭(needle jack)(4), 슬라이더(slider)(5), 실렉트잭(select jack)(6) 및 실렉터(selector)(7)를 포함한다. 이 편침(3)은 복합바늘(compound needle)로서, 니들잭(4)에 있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전단(前端) 측에서, 선단(先端)에 훅(hook)을 형성하는 바늘본체에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더(5)도,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전단 측에, 훅을 개폐함과 아울러 2장으로 나누어지고 훅을 넘어가서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할 수 있는 블레이드(blade)를 구비한다. 니들잭(4), 슬라이더(5) 및 실렉트잭(6)은, 기계적인 작용에 의한 제어를 받기 위한 버트(butt)(4b, 5b) 및 선택용 버트(選擇用 butt)(6b)를 각각 구비한다. 실렉터(7)는, 자기적(磁氣的)인 작용에 의한 제어를 받기 위한 접극자(接極子)(7a)를 구비하고, 선단부(先端部)(7b)에서 실렉트잭(6)과 결합한다. 실렉터(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동버트(驅動butt)(7c) 및 인하버트(引下butt)(7d)도 구비한다.
선침기구(10) 및 캠시스템(2)은, 캐리지가 좌우로 왕복주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이 대칭적으로 가능하도록 쌍방향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은, 캐리지가 니들베드에 대하여 도면의 좌방(左方)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한다. 선침기구(10)는, 캠시스템(2)에 대하여 입구측 선침기구(11), 중간측 선침기구(12) 및 출구측 선침기구(13)를 구비한다. 캐리지의 주행방향이 우방(右方)이 되면, 출구측 선침기구(13)가 입구측이 되고, 입구측 선침기구(11)가 출구측이 된다. 입구측 선침기구(11)는, 편침(3)의 실렉터(7)에 작용하여 경로(7A, 7H, 7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경로(7A, 7H)가 선택되면, 실렉터(7)에는 니들베드갭측으로의 이동 스트로크(移動 stroke)가 발생한다. 실렉트잭(6)은, 결합장소에서 실렉터(7)로부터 이동 스트로크를 받아서 니들베드갭측의 포지션으로 옮겨진다. 캠시스템(2)의 작용을 입구측으로부터 받는 대상이 되는 편침(3)은, 경로(7A) 또는 경로(7H)로 선택시키는 실렉터(7)에 의하여, 실렉트잭(6)의 선택용 버트(6b)가 A포지션(6bA) 또는 H포지션(6bH)이 되도록 각각 안내된다. 단, 입구측 선침기구(11)는 가압캠(加壓cam)(15)을 구비한다. 가압캠(15)은, 선택용 버트(6b)를 가압하여 실렉트잭(6)을 니들홈에 반 정도 가라앉히기 때문에, 실렉터(7)의 선단부(7b)는, 반 정도 가라앉은 상태의 실렉트잭(6)에 있어서 선택용 버트(6b)의 후단(後端)에 결합된다. 중간측 선침기구(12)는, 편침(3)의 실렉터(7)에 작용하여, 경로(7A, 7H, 7B) 중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는 것은 입구측 선침기구(11)와 동일하다. 단, 가압캠(15)은 형성되지 않고, 후행 A프레서(後行 A presser)(31b)나 후행 H프레서(32b)가 없거나 또는 있더라도 비작용(非作用)의 상태에서 실렉트잭(6)은 부상(浮上)하여, 실렉트잭(6)에 있어서 실렉터(7)의 선단부(7b)의 결합장소는, 돌출부(6c)의 후단으로 절체된다. 결합장소의 절체에 의하여, 캠시스템(2)의 작용을 받고 있는 편침(3)의 실렉트잭(6)을, 입구측 선침기구(11)에서의 안내보다 니들베드갭측의 포지션으로 옮기도록 안내할 수 있고, 특히 A포지션보다 니들베드갭측으로 전진위치로서 형성되는 새로운 F포지션(6bF)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출구측 선침기구(13)는, 캠시스템(2)의 작용을 받기 위한 선침동작을 하지 않는다. 입구측 선침기구(11) 및 중간측 선침기구(12)에 관하여 부호 a, b 및 c, d를 붙인 세로선은, 도4 및 도5에서 설명하는 위치관계에 대응하는 위상을 각각 나타낸다. 선침기구(10)는, 실렉트잭(6)을 B포지션으로 되돌리는 되돌림부(16), 및 실렉터(7)를 경로(7B)로 되돌리는 리턴캠(return cam)(17)도 구비하고 있다.
캠시스템(2)은,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20), 스티치캠(stitch cam)(21) 및 브리지캠(bridge cam)(22)을 포함한다. 니들 레이징캠(20)과 브리지캠(22)의 사이에는, 니들잭(4)의 버트(4b)를 니트의 편성동작에 대응시키는 경로(4bA)가 형성된다. 캠시스템(2)은, 브리지캠(22)보다 니들베드갭측에, 슬라이더(5)의 버트(5b)에 작용하는 슬라이더캠(slider cam)도 구비하지만 도시를 생략한다. 니들 레이징캠(20)의 정상부(頂上部)보다 낮은 위치를 가로지르는 경로(4bH, 4bB)는 턱(tuck) 또는 미스(miss)의 편성동작에 각각 대응한다. 스티치캠(21)은, 인입캠면(引入cam面)의 후반(後半)에, 캠 높이가 높은 상태에서 인입량이 작은 스티치 크기 결정캠면(2lb)과, 캠 높이가 낮아져서 인입량이 큰 스티치 크기 결정캠면(21a)을 구비하여, 버트(4b)의 돌출량을 서로 다르게 하면, 스티치값이 서로 다른 편성의 동작이 가능하다. 중간측 선침기구(12)는, 실렉트잭(6)이 A포지션을 계속 유지할지, A포지션으로부터 F포지션으로 이행할지의 선택에 의하여, 버트(4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스티치가 가는 편성의 경로(4ba)와 굵은 편성의 경로(4bA)를 절체할 수 있다. 이러한 편성경로의 절체는, 실렉트잭(6)의 선택용 버트(6b)에 작용하는 프레서군(presser群)(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입구측 선침기구(11)는, 실렉트잭(6)에 대하여 B포지션을 계속 유지시킬지, H 또는 A포지션으로 이행시킬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측 선침기구(12)도 B포지션의 실렉트잭(6)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B, H 또는 A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다.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H포지션이 선택되어 있으면, 중간측 선침기구(12)에서는 H, A 또는 F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다.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A포지션이 선택되어 있으면, 중간측 선침기구(12)에서는 A 또는 F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다. 단, B포지션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선택용 버트(6b)를 가압하여 실렉트잭(6)이 니들홈에 깊게 가라앉도록 작용하는 고정의 B프레서(33)를 형성하고 있다. B프레서(33)에서의 가압의 도중에 포지션을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돌출량을 저감시키면 좋다.
도2는, 도1의 입구측 선침기구(11) 및 중간측 선침기구(12)의 구성을 포함하는 캠시스템(2)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1의 입구측 선침기구(11) 및 중간측 선침기구(12)는, 흡인 액추에이터(吸引 actuator)(11a, 12a) 및 실렉터 구동캠(selector 驅動cam)(11b, 12b)을 각각 포함한다. 흡인 액추에이터(11a, 12a)는, 위상(a, c)의 전후에 형성되는 해방위치(解放位置)(α, β)에서, 특허문헌2와 마찬가지로 실렉터(7)의 접극자(7a)를 자력(磁力)에 의하여 흡인하는 상태와, 선택을 받아서 흡인을 해제하는 상태를 절체할 수 있다. 입구측 선침기구(11)의 실렉터 구동캠(11b)은, 특허문헌3과 마찬가지로 흡인 액추에이터(11a)에 의한 흡인이 해제된 상태의 실렉터(7)의 구동버트(7c)를 미리 설정된 경로(7A, 7H, 7B)를 따라 이동시키고, 결합장소를 통하여 실렉트잭(6)을 3개의 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 경로(7B)는 기저위치(基底位置)에 대응하고, 경로(7H, 7A)는 선택위치에 대응한다. 중간측 선침기구(12)의 실렉터 구동캠(12b)도, 흡인 액추에이터(12a)에 의한 흡인이 해제된 상태의 구동버트(7c)를 경로(7A, 7H, 7B)를 따라 이동시키지만, 실렉트잭(6)의 이동은, 결합장소의 절체에 의하여 입구측 선침기구(11)에서의 이동에 추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렉트잭(6)에는 전술한 F포지션을 형성할 수 있다. 리턴캠(17)은, 각 실렉터 구동캠(11b, 12b)의 출구측에, 실렉터(7)의 인하버트(7d)에 작용하여 경로(7B)로 되돌리는 캠면(17a)을 구비한다.
프레서군(30)은, 실렉트잭(6)의 선택용 버트(6b)에 작용하여 선택용 버트(6b)를 가압함으로써, 니들잭(4)의 버트(4b) 및 슬라이더(5)의 버트(5b)를 니들홈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가라앉힐지 아닌지의 제어를 한다. F포지션에는, 프레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A포지션 및 H포지션에는, 중간에 간격을 두고 선행 A프레서(先行 A presser)(31a) 및 선행 H프레서(32a)와, 후행 A프레서(31b) 및 후행 H프레서(32b)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프레서는, 개별적으로 작용과 비작용을 절체할 수 있다. B포지션은 기저상태로서, B포지션에는 선택용 버트(6b)를 가압하는 작용상태로 고정된 B프레서(33)가 형성된다.
도3은, 도1의 입구측 선침기구(11)에 형성되고, 가압캠(15)에 의한 가압의 유무에 의하여 2단계로 절체되는 실렉트잭(6)을 실렉터(7)로 이동시키기 위한 결합장소를 나타낸다. 가압캠(15)은, 실렉트잭(6)의 선택용 버트(6b)를 가압하여,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렉트잭(6)을 니들홈에 약 반 정도 가라앉히도록 작용한다.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실렉터(7)가 경로(7A, 7H)로 선택되면, 실렉터(7)의 선단부(7b)가 선택용 버트(6b)의 후단을 전방으로 제1단계의 밀어올리기를 하여, 실렉트잭(6)을 A포지션 또는 H포지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H포지션의 실렉트잭(6)은, 중간측 선침기구(12)에 의하여,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용 버트(6b)에 대한 가압이 없는 상태에서 실렉터(7)에 의한 제2단계의 밀어올리기가 작용한다. 실렉트잭(6)은 니들홈 내에서 부상되기 때문에, 실렉터의 선단부(7b)에 의하여 밀어올리기 위한 결합장소를, 선택용 버트(6b)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부(6c)의 후단으로 절체할 수 있다. 이러한 절체는, 제1단계의 결합에서는 선단부(7b)보다 돌출부(6c)의 후단이 후방이 되고, 중간측 선침기구(12)의 실렉터 구동캠(12b)의 입구측에서 기저상태의 경로(7B)로 실렉터(7)가 되돌려지면, 선단부(7b)가 돌출부(6c)의 후단보다 후방이 되도록 하여 두면 좋다. 또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실렉트잭(6)이 B포지션으로 선택되어 있으면, 기저상태의 경로(7B)로 실렉터(7)가 되돌려지더라도, 선단부(7b)가 돌출부(6c)보다 전방에 멈추어서, 선단부(7b)는 선택용 버트(6b)의 후단에 결합되는 상태를 계속한다. 이러한 결합상태는, 입구측 선침기구(11)와 동일하여, 중간측 선침기구(12)에서도 제1단계의 결합상태에서 A, H, B의 3개의 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다.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장소에 관한 2단계의 절체는, 실렉터의 선단부에 대한 결합장소를, 선택용 버트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부의 후단으로 교체하는 것으로서, 본건 출원인은 선출원(先出願)인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9―07317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선출원에서는, 결합장소의 교체에 대하여 다른 예도 개시하고 있으며, 그러한 예를 본건 출원의 발명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4는, 입구측 선침기구(11)에 관하여 도1에 나타내는 위상(a, b)에서의 실렉터(7)의 선택과 실렉트잭(6)의 위치관계를 도4(a―A), 도4(b―H), 도4(b―A)에 각각 나타낸다. 위상(a)에서는, 가압캠(15)에 의한 선택용 버트(6b)에 대한 가압에 의하여, 실렉트잭(6)은 니들베드(8)의 니들홈(8a)에 약 반 정도 가라앉혀져서, 실렉터(7)는 실렉트잭(6)을 도3(a)에 나타내는 결합장소에서 제1단계의 밀어올리기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4(a―A)에 나타내는 실렉터(7)는 기저위치이지만, 도2에 나타내는 해방위치(α)에서 실렉트잭(6)을 A포지션으로 설정하는 선택을 받아서, 접극자(7a)에 대한 흡인 액추에이터(11a)로부터의 흡인은 해제되어 있다. 실렉트잭(6)을 H포지션으로 설정하는 선택에 대응하여 해방위치(β)에서 해방되거나, 실렉트잭(6)을 B포지션에 멈추게 하는 비선택에 대응하여 양 해방위치(α, β)에서 해방되지 않는 경우에, 위상(a)에서는 접극자(7a)가 흡인 액추에이터(11a)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B포지션에서는, 위상(a)의 가압캠(15)에 계속하여, 위상(b)의 이후에는 B프레서(33)가 선택용 버트(6b)를 가압한다. 도4(b―H) 및 도4(b―A)는, 해방위치(β, α)에서 H, A포지션으로 각각 선택한 후의 위상(b)에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선택용 버트(6b)의 H, A포지션에는, 위상(b)보다 후행측에 선행 H프레서(32a) 및 선행 A프레서(3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4(b―H)는, 참고로서 선행 H프레서(32a)가 출몰식(出沒式)의 프레서인 것을 나타내며, 파선으로 비작용의 상태, 실선으로 작용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선행 A프레서(31a)에 관해서도 스윙식(swing式)의 프레서로서, 실선의 작용상태와 파선의 비작용상태를 나타낸다. 선행 A프레서(31a) 및 선행 H프레서(32a)를 포함하여, A포지션이나 B포지션에 형성되는 프레서나 전술한 가압캠(15)은, 작용상태에서의 높이를 B프레서(33)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실렉트잭(6)의 선택용 버트(6b)가 니들홈으로부터 반 정도 돌출되도록 하여 둔다.
도5는 중간측 선침기구(12)에 관하여, 도1에 나타내는 위상(c, d)에서의 실렉터(7)와 실렉트잭(6)의 위치관계의 일부를 도5(c―H→F), 도5(d―A), 도5(d―F)에 각각 나타낸다. 위상(c)에서는 가압캠(15)에 의한 선택용 버트(6b)에 대한 가압이 없고, H, A포지션에서는 프레서로부터의 가압도 없기 때문에, 실렉트잭(6)은 니들베드(8)의 니들홈(8a)에 가라앉혀지지 않아서, 실렉터(7)는 실렉트잭(6)을 도3(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제2단계의 결합장소로 밀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5(c―H→F)에 나타내는 실렉터(7)는 기저상태로서, 실렉트잭(6)은 H포지션이다. 실렉터(7)는, 위상(c)에 선행하는 해방위치(α)에서 선택을 받아서, 접극자(7a)는 흡인 액추에이터(12a)로부터 해방되어 있다. 이 선택은, 실렉트잭(6)을 H포지션으로부터 F포지션까지 안내할 수 있다. 또 해방위치(α)에서의 실렉터(7)의 선택은, A포지션의 실렉트잭(6)에 대해서도 F포지션까지 안내할 수 있다. 도5(d―A) 및 도5(d―F)는, 위상(d)에서 실렉트잭(6)을 A, F포지션으로 안내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제2단계의 밀어올리기는, H포지션으로부터 A포지션,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으로부터 F포지션으로 각각 이행시킨다.
프레서군(30)은, 선행 A프레서(31a)를 비작용, 후행 A프레서(31b)를 작용, 선행 H프레서(32a)를 작용, 후행 H프레서(32b)를 비작용으로 설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편성동작이 선택 가능하게 된다. 입구측 선침기구(11)에서의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의 선택은, 턱 또는 니트의 편성동작의 종별 선택을 전반부분에서 하는 것에 각각 대응한다. 이러한 H포지션을 선택하면, 니들잭(4)의 버트(4b)는 도1에 나타내는 턱의 경로(4bH)로 안내된다.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턱에 대응하는 H포지션을 선택하고 있으면, 중간측 선침기구(12)에서는,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어, 형성되는 턱의 스티치를 상대적으로 굵거나 또는 가늘게 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값이 서로 다른 것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니트에 대응하는 A포지션을 선택하고 있으면, 중간측 선침기구(12)에서는, A포지션 또는 F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어, 형성되는 니트의 스티치를 상대적으로 가늘거나 또는 굵게 하는 것과 같은 스티치값이 서로 다른 것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본건 출원인은, 기본적인 스티치값이 서로 다른 동작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8―60499호 공보에 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니트와 턱에 의하여 스티치값이 서로 다른 편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B포지션의 미스를 포함하여 5종의 편성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1에서는, 편침(3)으로서 슬라이더(5)의 선단측의 블레이드에 의하여 훅을 개폐하는 복합바늘을 사용하기 때문에, 본건 출원인이 일본국 특허 제5330249호 공보에 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의 편성동작을, 턱의 스티치값이 서로 다르고 또한 니트와 혼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캠시스템(2)에 있어서 슬라이더(5)의 버트(5b)에 작용하는 슬라이더캠에 스티치를 형성할 때에, 블레이드가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안내경로를 형성하여 둔다. 슬라이더캠에는, F포지션에서 슬라이더(5)의 버트(5b)의 전방에 형성되는 보조버트를 가압하는 니트 프레서(knit presser)를 형성하여 둔다. F포지션에서 니트 프레서를 작용시키면, 니들잭(4)을 스티치캠(21)에 의하여 인입할 때에, 슬라이더는 녹오버(knock over)되는 구루프(舊loop)를 지지하여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스플릿 편성의 동작은, 입구측 선침기구(11)에 의하여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을 선택하고, 중간측 선침기구(12)에 의하여 F포지션을 선택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2)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도1의 입구측 선침기구(11) 및 중간측 선침기구(12)에 각각 대응하는 입구측 선침기구(41) 및 중간측 선침기구(42)에 의하여 절체되는 실렉트잭(46)을 실렉터(47)로 이동시키기 위한 결합장소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2에서는, 입구측 선침기구(41)에 가압캠(15)이 형성되지 않고, 중간측 선침기구(42)에 가압캠(45)이 형성된다. 실렉트잭(46)과 실렉터(47)는, 가압캠(45)에 의한 결합장소의 절체에 관한 차이를 제외하고, 실시예1의 실렉트잭(6)과 실렉터(7)와 각각 동일하여, 캠시스템(2)도 실시예1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실렉터(47)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후단에, 니들홈 내에서 깊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47e)를 구비한다. 실렉터(47)는, 실렉터(7)의 구동버트(7c) 및 인하버트(7d)와 동일한 구동버트(47c) 및 인하버트(47d)를 구비함과 아울러, 돌기(47e) 및 꼬리부(47f)도 구비한다. 본 실시예2에서의 제1단계의 결합은, 도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렉트잭(46)에 있어서 선택용 버트(46b)의 후단과 실렉터(47)의 선단부(47b)의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제2단계의 결합은,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렉터(47)에 있어서 후단의 접극자(47a) 부근에 형성되는 돌기(47e)와 실렉트잭(46)의 돌기(46c)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체는, 도6(b)에서 실렉터(47)의 꼬리부(47f)가 니들홈 내에서 약간만 가라앉도록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결합장소의 절체는, 제1단계의 결합에서는 돌기(47e)보다 돌기(46c)가 후방으로, 입구측 선침기구(41)에 있어서 실렉터 구동캠(4lb)의 출구측에서 기저상태의 경로(7B)로 실렉터(47)가 되돌려지면, 돌기(47e)가 돌기(46c)보다 후방이 되도록 하여 두면 좋다.
도7은, 결합장소에 대한 2단계의 절체를 포함하는 실렉터(47)와 실렉트잭(46)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위상(a, b, c, d)은 도1에 대응한다. 도7(a―A)는, 실렉터(47)가 기저상태에서 실렉트잭(46)이 A포지션으로 선택되어 있는 위상(a)에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7(b―A)는, 입구측 선침기구(41)에 의하여 실렉트잭(46)이 A포지션이 되도록 이동하고 있는 위상(b)에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이 상태는 도4(b―A)에 대응한다. 도4(b―H)에 대응하도록 실렉트잭(46)을 H포지션으로 진행시킬 수도 있다. 도7(c―A→F)는, 도7(b―A)에 계속하여 위상(c)에서 F포지션의 선침을 받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7(d―F)는, 위상(d)에서 실렉트잭(46)을 A포지션으로부터 F포지션으로 이행시키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1, 2에서는, 입구측 선침기구(11, 41) 및 중간측 선침기구(12, 42)에 자력을 이용하는 흡인 액추에이터(11a, 12a ; 41a, 42a)를 사용하고 있지만, 특허문헌1과 같은 선침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흡인 액추에이터(11a, 12a ; 41a, 42a)를 사용하면, 좌우방향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어, 중간측 선침기구(12, 42)를 기존의 캠시스템(2)의 중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편침(3)으로서 복합바늘을 사용하고 있지만, 래치니들(latch needle)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건 출원인은, 래치니들을 사용하는 스플릿 편성을,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5913427호 공보에 개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동작을 중간측 선침기구(12)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추가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선침의 대상으로서 실렉터(7, 47)와 실렉트잭(6, 46)의 조합 이외의 것도 적용할 수 있다.
1 : 횡편기
2 : 캠시스템
3 : 편침
4 : 니들잭
4b, 5b : 버트
5 : 슬라이더
6, 46 : 실렉트잭
6b, 46b : 선택용 버트
6c : 돌출부
7, 47 : 실렉터
7a, 47a : 접극자
7b, 47b : 선단부
8 : 니들베드
8a : 니들홈
10 : 선침기구
11 : 입구측 선침기구
11a, 12a : 흡인 액추에이터
1lb, 12b : 실렉터 구동캠
15, 45 : 가압캠
21 : 스티치캠
31 : 니트 프레서
31a : 선행 A프레서
3lb : 후행 A프레서
32a : 선행 H프레서
32b : 후행 H프레서
33 : B프레서
46c, 47e : 돌기
47f : 꼬리부

Claims (5)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니들홈(needle groove)에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편침(編針),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carriage),
    캐리지에 탑재되어,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캠시스템(cam system), 및
    캐리지에 탑재되어, 편성동작을 하게 하는 편침을 선택하기 위한 선침기구(選針機構)를
    구비하고,
    편침은,
    캠시스템의 작용을 받는 선택용 버트(選擇用 butt)를 구비하고, 기저위치(基底位置)의 B포지션, B포지션보다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설정되는 중간위치(中間位置)의 H포지션 및 진출위치(進出位置)의 A포지션을 포함하는 다른 위치로 안내되고, 각 위치에서 선택용 버트가 받는 캠시스템으로부터의 가압(加壓)의 차이에 의하여, 캠시스템이 편침에 하는 편성동작을 다르게 할 수 있는 실렉트잭(select jack)과,
    선침기구에 의한 편침의 선택상태에 대응하여, 편침이 비선택(非選擇)인 경우의 기저경로, 편침이 선택되는 경우의 중간경로, 또는 진출경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구동되고, 중간경로 또는 진출경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면, 실렉트잭과 결합하여 실렉트잭을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으로 각각 안내할 수 있는 실렉터(selector)를
    포함하고,
    선침기구는, 실렉터를 미리 설정되는 경로를 따라 이동시켜서, 결합을 통하여 실렉트잭을 안내하도록 구동되는 실렉터 구동캠을 포함하는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에 있어서,
    캠시스템에 대한 입구측에서,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편성동작의 전반부분(前半部分)에 관하여 편침을 선택하는 입구측 선침기구와,
    캠시스템의 중간에서, 편침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하는 편성동작의 후반부분(後半部分)에 관하여 편침을 선택하는 중간측 선침기구와,
    실렉트잭 또는 실렉터를 니들홈에 가라앉히는 방향으로 가압 할 수 있는 가압캠(加壓cam)을
    더 포함하고,
    실렉터와 실렉트잭의 결합은, B포지션의 실렉트잭과 실렉터가 결합하는 제1단계와, H포지션 또는 A포지션의 실렉트잭과 실렉터가 결합하는 제2단계를, 가압캠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절체하고,
    중간측 선침기구에, 제2단계의 결합에 의하여 실렉트잭이 안내되는 위치로서 A포지션보다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전진위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캠은, 상기 입구측 선침기구에 형성되어 상기 실렉트잭의 상기 선택용 버트를 가압하고,
    실렉트잭은, 선택용 버트에 의하여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후단(後端)의 베이스 부분에, 후단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는,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제1단계에서 가압캠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니들홈에 가라앉는 실렉트잭의 선택용 버트의 후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돌출부의 후단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캠은, 상기 중간측 선침기구에 형성되어 상기 실렉터에 의하여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꼬리부를 가압하고,
    상기 실렉트잭은, 후단에 상기 니들홈 내에서 얕아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는,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되는 방향이 되는 후단에, 니들홈 내에서 깊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니들베드갭으로 진출하는 방향의 선단부가, 상기 제1단계에서 실렉트잭의 상기 선택용 버트의 후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단계에서, 가압캠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니들홈에 가라앉는 돌기가 실렉트잭의 돌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선침기구 및 상기 중간측 선침기구는, 상기 실렉터를 자력(磁力)에 의하여 흡인하는 상태를, 상기 선택을 받아서 복수의 위치에서 해제할 수 있는 흡인 액추에이터(吸引 actuator)를 포함하고,
    상기 실렉터 구동캠은, 흡인 액추에이터에 의한 흡인이 해제된 위치에 따라 다른 경로로 안내하도록 실렉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동작의 상기 후반부분은, 상기 편침을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캠시스템에 형성되는 스티치캠(stitch cam)에 의한 인입량을 다르게 하는, 스티치값이 다른 편성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210129423A 2020-10-02 2021-09-30 횡편기 KR102602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8105A JP7477422B2 (ja) 2020-10-02 2020-10-02 横編機
JPJP-P-2020-168105 2020-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671A true KR20220044671A (ko) 2022-04-11
KR102602211B1 KR102602211B1 (ko) 2023-11-13

Family

ID=7817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423A KR102602211B1 (ko) 2020-10-02 2021-09-30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78669B1 (ko)
JP (1) JP7477422B2 (ko)
KR (1) KR102602211B1 (ko)
CN (1) CN114381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7012B (zh) * 2022-08-03 2023-06-09 浙江丰帆数控机械有限公司 一种针织横机的织针组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457A (ja) * 1982-09-07 1984-03-17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横編機におけるプレツサ−ジヤツクの予備選針装置
JPH09241952A (ja) 1995-06-15 1997-09-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KR19990014148U (ko) * 1998-07-22 1999-04-26 이근수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KR19990088076A (ko) * 1998-05-06 1999-12-27 시마 마사히로 횡편기
KR20070074944A (ko) 2006-01-11 2007-07-18 삼성카드 주식회사 선할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0313A (ko) * 2011-09-16 2013-03-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선침 시스템, 실렉터 및 횡편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0249B2 (ko) 1974-04-30 1978-08-25
IN155544B (ko) 1974-09-23 1985-02-16 Otis Elevator Co
JPS5468440A (en) * 1977-11-08 1979-06-01 Shima Idea Center Co Ltd V bed knitting machine
DE3237732A1 (de) * 1982-10-12 1984-04-12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auswahleinrichtung
JP3306763B2 (ja) 1994-08-24 2002-07-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ティングカムおよびカム装置
KR101209644B1 (ko) 2005-12-27 2012-12-0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선침장치
JP2009068122A (ja) 2007-09-10 2009-04-02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およびその選針方法
JP5719557B2 (ja) * 2010-10-06 2015-05-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選針装置
CN202090146U (zh) * 2011-05-18 2011-12-28 王来成 一种针织横机的山角装置
CN102560851A (zh) * 2011-12-28 2012-07-11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低机号电脑针织横编机编织系统
JP2015196926A (ja) * 2014-04-02 2015-11-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プレッサ装置を備える横編機
JP5913427B2 (ja) * 2014-05-08 2016-04-2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割増やし方法
CN208235086U (zh) * 2018-03-30 2018-12-14 黄建华 一种新型电脑横机山板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457A (ja) * 1982-09-07 1984-03-17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横編機におけるプレツサ−ジヤツクの予備選針装置
JPH09241952A (ja) 1995-06-15 1997-09-16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KR19990088076A (ko) * 1998-05-06 1999-12-27 시마 마사히로 횡편기
KR19990014148U (ko) * 1998-07-22 1999-04-26 이근수 횡편기(橫編機)의 셀렉터 작동구조
KR20070074944A (ko) 2006-01-11 2007-07-18 삼성카드 주식회사 선할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0313A (ko) * 2011-09-16 2013-03-26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의 선침 시스템, 실렉터 및 횡편기
JP2013064207A (ja) 2011-09-16 2013-04-11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選針システム、セレクタ、および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81853B (zh) 2023-07-07
KR102602211B1 (ko) 2023-11-13
CN114381853A (zh) 2022-04-22
JP7477422B2 (ja) 2024-05-01
JP2022060095A (ja) 2022-04-14
EP3978669A1 (en) 2022-04-06
EP3978669B1 (en)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5295B1 (en) Needle selecting device for weft knitting machine
US7412850B2 (en) Complex cam system
JP4977383B2 (ja) 横編機の編成用カム装置
JP5330249B2 (ja) 横編機
JP2012132114A (ja) 横編機の選針装置
KR20220044671A (ko) 횡편기
CN100432314C (zh) 横机的给纱装置
KR101537941B1 (ko) 횡편기
WO2005035852A1 (ja) 編地編成用カム装置
JP4015973B2 (ja)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JP2010090488A (ja) 編地編成用カム装置
JP2009068122A (ja) 横編機およびその選針方法
JPH11181657A (ja) 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目移し機構を備えた横編機
EP4253625A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its needle selection mechanism
JP2012082531A (ja) 選針装置
KR20110091692A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KR20030023755A (ko) 코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코이동 방법
US6668595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JPH06184888A (ja) 横編機における交差柄編成方法及び交差柄編成装置
JP2012087423A (ja) 横編機の選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