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919B1 -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919B1
KR101223919B1 KR1020077022441A KR20077022441A KR101223919B1 KR 101223919 B1 KR101223919 B1 KR 101223919B1 KR 1020077022441 A KR1020077022441 A KR 1020077022441A KR 20077022441 A KR20077022441 A KR 20077022441A KR 101223919 B1 KR101223919 B1 KR 101223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itting
cam
carriage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269A (ko
Inventor
히데키 나카
도모유키 다니구치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11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7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stitch-length reg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04B15/36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two needle beds in V-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Abstract

캐리지가 반전하기 직전에 형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이것과 대면하는 편침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사이에는, 캐리지의 캠군에 형성한 하강캠으로 하강함으로써 상기 루프로부터 인출된 편사의 얀피더가 캐리지의 반전에 따라 그 급사방향이 반전할 때에 당해 편사에 텐션이 높아져 스티치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筒模樣 編成布)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양말이나 장갑, 스웨터 등의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실린더의 원주면에 편침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원형 편성기(圓形 編成機)를 사용하고, 이 실린더 원주면의 편침(編針)을 캐리지(carriage)에 의하여 승강 제어하면서 급사(給絲)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원형 편성기에 의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통모양 편성포의 웨일수(wale數) 및 둘레의 길이는 편침의 수 내지는 실린더의 지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통모양 편성포의 웨일수 및 둘레의 길이가 다른 것을 편성하려고 하면, 그에 맞추어 다양한 실린더를 구비한 원형 편성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둘레의 길이가 긴 통모양 편성포를 형성하려고 하는 경우에, 원형 편성기의 실린더의 지름이 커지고 원형 편성기 전체가 대형화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편침이 나란히 설치된 니들베드를 편침의 니들베드갭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전후 한 쌍으로 설치한 횡편기에서 지름이 서로 다른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 가능하게 한 것이 있다.
이 횡편기에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은, 니들베드 상을 왕복하는 캐리지의 일방주행(一方走行) 동작 시에 당해 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일측면의 편성포를 편성함과 아울러 캐리지가 타방주행(他方走行) 동작 시에 도5에 나타나 있는 상기 일측면의 편성포를 편성한 편사가 연속하는 상태에서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타측면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 코스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양단부가 결합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로 옮겨질 때에, 급사된 편사의 텐션 방향이 이동하기 때문에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성포단의 편침이 인출되기 쉽고, 편침이 인출되어 버리면 당해 부분의 루프가 작아져버린다.
이러한 작은 루프가 제품에 나타나버리므로, 통모양 편성포 제품의 품질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후 한 쌍으로 설치된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캐리지의 왕복에 의하여 각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양단부가 결합한 상태의 통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여 이루어지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 시에 있어서, 캐리지의 일방주행 동작 시에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편성용 제어캠에 의하여 편침이 진출할 때에는 편성포의 양단 및/또는 양단 근방의 편침에 설치한 편침진출 방지수단을 해방하여 편침을 진출 가능하게 하고, 캐리지의 타방주행 동작 시에는 편침진출 방지수단을 작용시켜 편성포의 양단 및/또는 양단 근방의 편침을 후퇴 만이 가능한 상태로 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한 것을 이미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1).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86561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이미 제안한 상기 방법에 의하면, 편성포 편성기구의 이외에 편성포의 양단부 측 부분의 편침의 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침의 후단부분에 편침진출 방지수단을, 캐리지에는 편침진출 방지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큰 제어기구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들 편침진출 방지수단 및 제어기구에 의하여 구조가 복잡해져 비용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편성포의 편성폭을 변경할 때에는 이 편침진출 방지수단도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설정이나 조정 등의 조작에 시간이걸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제안된 것으로, 루프 길이가 일정하여 품질이 높은 제품을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횡편기 및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니들베드갭부를 돌출시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배치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 슬라이딩하는 캐리지의 캠군에 의하여 니들베드에 수납된 편침 중에서 선택된 편침을 진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캐리지가 반전(反轉) 후에 계속하여 코스를 편성할 때에,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캐리지의 캠군의 스티치캠에 의하여 진출을 방지한 상태로 하고,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루프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편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의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사이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을 스티치캠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한 것이나,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캐리지의 캠군의 후행의 스티치캠에 의하여 진출을 방지한 상태로 하고,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전에, 선행한 위치에 있는 하강캠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한 것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하강캠이 니들 상승캠 내에 형성된 조작캠인 것이나, 하강캠이 선행의 스티치캠인 것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는, 편침을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한 니들베드를, 그 니들베드갭부를 돌출시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 쌍배치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 슬라이딩하는 캐리지의 캠군에 의하여, 니들베드의 편침 중에서 선택된 편침을 진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주회모양으로 급사된 편사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구성된 횡편기로서, 캐리지의 반전 후에 계속하여 코스를 편성할 때에,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하강시키는 하강캠을 니들 상승캠 내에 형성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가 반전하기 직전에 형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이것과 대면하는 편침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사이는, 캐리지의 캠군에 형성된 하강캠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이 인출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당해 편침에 걸려 있는 루프가 작아지는 일이 없어, 통모양 편성포는 루프 길이가 일정하여 품질이 높은 통모양 편성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편침의 하강캠을 캐리지의 캠군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바와 같이, 편성포의 양단부 측 부분의 편침의 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편침의 후단 부분에 편침진출 방지수단을, 캐리지에는 편침진출 방지수단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큰 제어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아, 구조가 복잡해지는 않아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편침의 하강캠을 캐리지의 캠군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인이 이미 제안한 바와 같이, 편성포의 편성폭을 변경할 때에는 이 편침진출 방지수단도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설정이나 조정 등의 조작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편침의 하강캠으로서 캐리지의 선행측의 스티치캠을 이용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에서는, 기존의 횡편기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캐리지의 니들 상승캠 내에 편침의 하강캠을 형성하는 횡편기에서는, 그 캐리지에 큰 변경을 실시하는 않아, 본 발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하는 횡편기의 니들베드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하는 횡편기의 캐리지의 캠군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횡편기의 캐리지가 일방주행 동작을 할 때에 편침이 통과하는 궤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관한 횡편기의 캐리지가 복행할 때에 편침이 통과하는 궤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5는, 주회편성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를 구현하는 캐리지의 캠군의 개략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도6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및 Y-Y선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캐리지가 일방주행 동작을 할 때에 편침이 통과하는 궤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관한 캐리지가 복행할 때에 편침이 통과하는 궤도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니들베드 4…편침
5…캐리지 6…캠군(cam群)
22…니들 상승캠 25a…선행 스티치캠(하강캠)
37…조작캠(하강캠)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
도1은 전후 한 쌍으로 설치된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요부의 측면도로서, 도면에서의 부호 1은 이 횡편기의 니들베드 부분을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이 니들베드 부분1은, 프레임2의 상면에 니들베드갭 부분을 대향시켜 대략 팔(八)자형으로 형성된 니들베드3·3을 설치하고, 각 니들베드3·3의 상면에는 다수의 편침4·4…이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편침4·4…은, 후술하는 선침기구(選針機構)S에 의하여 선택된 편침4 만이 캐리지5에 내장된 캠군6(도2 참조)에 의하여 승강이 제어 되도록 되어 있다.
편침4는, 선단 부분에 래치7을 구비하는 훅8을 형성한 편침 본체9와, 편침 본체9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니들잭(needle jack)10, 니들잭10의 뒷부분 상방에 실렉터잭(selector jack)11의 각 부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다.
니들잭10, 실렉터잭11의 각 부의 상면에는 캐리지5의 캠군6에 의하여 니들베드3·3의 바늘홈17 내를 각 편침4·4…가 승강하는 것을 조작하기 위한 버트(butt)13, 1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선침기구S는, 각 편침4·4…의 실렉터잭11의 상면에는 편침의 승강방향에 대하여 이웃하는 편침에 있어서 위상(位相)을 다르게 한 실렉터 버트15(selector butt)가 형성되어 있고, 캐리지5 내에 설치된 액추에이터33(도2참조)의 기동에 의하여 작용된 실렉터 버트15의 편침4의 버트14가 캐리지5의 캠군6에 의하여 니들베드3·3의 바늘홈17 내를 승강하도록 조작하고 있다.
또한, 각 편침4·4…의 실렉터잭11의 뒷부분 하면(下面)에는 오목부18·19·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8·19·20이, 니들베드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와이어21에 택일적으로 걸림으로써, 예를 들면 와이어21이 오목부 20에 걸려 있을 때에는 웰트 위치(welt 位置), 와이어21이 오목부19에 걸려 있을 때에는 니트 위치(knit 位置), 와이어21이 오목부18에 걸려 있을 때에는 턱 위치(tuck 位置)에서 각각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각 니들베드3 상을 슬라이딩 하고, 선택된 편침4를 승강 조작하는 캐리지5의 캠군6은, 도2에 나타나 있다.
이 도2에서는, 각 니들베드3 상을 슬라이딩하는 캐리지5의 캠군6을 위에서부터 투시(透視)한 상태로 하고 있는데, 부호F는 앞측의 캐리지5의 캠군6을, 부호B는 뒤측의 캐리지5의 캠군6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캐리지5의 캠군6은, 니들 상승캠22의 상방에 브릿지캠23을 설치하고, 브릿지캠23의 양 측방에 상하 한 쌍의 고정 가이드캠24를 설치함과 아울러, 브릿지캠23과 고정 가이드캠24의 사이에 스티치캠25가 승강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티치캠25의 승강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프로그램에 설정된 승강량(昇降量)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스티치캠25는, 캐리지5의 진행방향 하류쪽을 선행(先行)의 스티치캠25a으로 하고 상류쪽을 후행(後行)의 스티치캠25b으로 하여, 편성 시는 주로 후행측의 스티치캠25b가 작용한다.
캐리지5의 캠군6의 브릿지캠23과 니들 상승캠22의 사이에는 도면에서 앞측(F)의 캐리지5의 캠군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프 형성을 위한 편침궤도L1(니트 루트)이 형성됨과 아울러 또 하나의 편침궤도L2를 형성하는 홈이 있고, 이들 캠 이외에 6개의 궤도전환캠(軌度轉換cam)26, 27, 28, 29, 30, 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궤도전환캠26∼31의 각각은, 캐리지5 내에 설치되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솔레노이드의 작용에 의하여 출몰(出沒)하여 그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편침궤도L1 또는 L2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침된 편침4는, 편침궤도L1 또는 L2 중의 어느 하나를 통과함으로써 니들베드3의 바늘홈17을 승강하도록 조작된다.
또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니들 상승캠22의 하방에는 상기 웰트 위치, 니트 위치, 턱 위치에 있는 실렉터 버트15에 대응시켜 니들 프레서32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좌우에 설치된 고정캠24의 하방 부분에 상기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횡편기에서 본 발명에 관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다음에 설명하는데, 이하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그 편성의 주회방향(周回方向)을,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하고, 도3은, 캐리지5가 화살표A로 나타내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편사를 얀피더34로부터 공급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일방주행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방주행 동작은, 앞측 니들베드3에서 편성을 끝낸 캐리지5가 반전하여 우측방향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뒤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포가 형성되게 된다.
이 일방주행 동작 시에는, 뒤측의 캐리지5의 궤도전환캠26, 28이 돌출하여 통로를 봉쇄(block)하기 때문에 편성포의 편성영역 내의 편침으로서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편침4는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편침궤도L1을 지난다.
한편, 앞측의 캐리지5의 궤도전환캠26, 29, 30이 돌출하여 통로를 봉쇄하고,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도5에서 우측의 루프N을 걸고 있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도3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편침궤도L2를 지난다.
따라서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뒤측의 캐리지5의 캠군6의 니들 상승캠22에 의하여 니트 위치로 상승하는 사이에, 편침궤도L2를 지나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브릿지캠23의 하방 근방에까지 밀어 올려진다.
계속하여, 선침된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브릿지캠23의 하단 수평부 중간위치로 하강하면, 얀피더34로부터 편사가 공급되게 되는데, 이 때에 궤도전환캠29에 의하여 안내되는 편침궤도L2를 지나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이미 하강하고 있어, 얀피더34로부터 공급된 편사가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더하여지는 일은 없다.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더 하강되면, 전(前) 코스에서 형성된 구루프(舊loop)가 훅8 부분을 녹오버(knock-over) 하여 새로운 루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일방주행 동작에서의 편성포의 편성 시에, 캐리지5가 반전하여 편성포의 편성이 앞측 니들베드3으로부터 뒤측 니들베드3으로 옮겨질 때에는, 캐리지5가 반전하기 직전에 앞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루프(도5 중의 우측의 N)를 걸고 있는 편침4는, 이것과 대면하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급사되어서 루프가 형성될 때까지는, 앞측 캐리지5의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의 하단 부분에 의하여 하강되므로,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루프(도5에서 우측의 N)의 스티치가 찌그러지는 일이 억제된다.
이렇게 하여, 뒤측 니들베드3에 의한 편성이 종료하고, 그 편성영역 밖(도면 윗쪽 좌측방향)으로 나가면, 캐리지5가 반전하여 좌측방향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앞측 니들베드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도4에 나타내는 타방주행 동작이 된다.
도4의 타방주행 동작 시에는, 앞측의 캐리지5의 궤도전환캠27, 29가 돌출하여 통로를 봉쇄하므로,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편성영역의 편침4는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편침궤도L1을 지나고, 뒤측의 캐리지5의 궤도전환캠27, 28, 31이 돌출하여 통로를 봉쇄하기 때문에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도5에서 좌측의 루프N을 걸고 있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도면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편침궤도L2를 지나게 된다.
캐리지5의 반전 후에, 앞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할 때 에, 반전하기 직전에 뒤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끝의 루프(도5에 있어서의 좌측의 N)를 걸고 있는 편침4와 대면하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앞측의 캐리지5의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되어, 앞측의 캐리지5의 캠군6의 니들 상승캠22에 의하여 니트 위치로 상승하는 사이에,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궤도L2를 지나는 편침4가 브릿지캠23의 하방 근방에까지 밀어 올려진다.
계속하여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브릿지캠23의 하단 수평부 중간위치로 하강하고 얀피더34로부터 편사가 공급되는 것이지만, 이 때에 궤도전환캠28에 의하여 안내되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이미 하강하고 있어, 공급된 편사가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더하여지는 일이 없는 것은 일방주행 동작 시와 마찬가지이다.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더 하강되면, 전(前) 코스에서 형성된 구루프가 녹오버 되어 새로운 루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될 때에, 이것과 대향하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뒤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코스의 끝의 편침)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된다.
이에 따라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루프(도5에서 좌측의 N)의 스티치가 찌그러지는 일이 억제된다.
그리고 앞측 니들베드3에서의 편성이 종료하고, 그 편성영역 밖(그림 위쪽 우측방향)으로 나가면, 캐리지5가 다시 반전하여 우측방향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앞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상기의 일방주행 동작이 된다.
이후에, 상기 일방주행 동작과 타방주행 동작의 편성이 교대로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이 편성포의 양단에서 반복하여 이루어짐으로서 전후의 니들베드3의 편침4에 주회모양으로 편사를 공급하여 횡편기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때라도, 캐리지5가 반전하는 부분의 루프4가 찌그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침기구S와 니들 상승캠22 내에 설치된 궤도전환캠26∼31을 조작함으로써 캐리지가 반전하기 직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종단(終端)의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편침궤도L2에 의하여 안내하므로, 상기 편침과 대면하는 니들베드3의 편침4가 루프를 형성하는 사이에는,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편침4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선침기구S와 니들 프레서32의 협동에 의하여 선침된, 종단의 루프를 형성하는 편침의 버트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를, 니들 프레서에 의하여 가압시켜 니들 상승캠의 작용을 받지 않고 통과시키고, 그 후에 니들 프레서의 가압으로부터 해제시켜 후행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니들 프레서를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편침궤도L2와 다른 궤도를 지나게 되지만, 편침이 상승되는 것을 역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전하기 직전에 편성된 편성포의 끝의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4의 하강량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좋고 반드시 하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캐리지5가 반전하기 직전에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4를, 이것과 대면하는 편침4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사이는, 이 편성포의 끝의 편침4과 대면하는 1개의 편침4를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측단의 편침 몇 개를 하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본 실시예는, 주로 통모양 편성포의 일방의 편성포의 코스 편성을 한 후에, 캐리지를 반전시켜 타방의 편성포의 코스 편성을 할 때에, 타방의 편성포에서의 루프의 형성에 선행시켜, 반전하기 직전에 편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다시 하강시키는 조작캠을 캠군의 니들 상승캠 내에 설치한 편성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횡편기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슬라이더가 승강 슬라이딩 함으로써 훅 부분을 개폐하도록 하는 복합 편침인 점과, 후술하는 도6에 나타내는 캐리지의 캠군을 제외하는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1과 대 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5의 캠군6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 상승캠22의 상방에 브릿지캠23을 설치하고, 브릿지캠23의 양 측방(캐리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후방향)에 상하 한 쌍의 고정 가이드캠24를 설치함과 아울러, 브릿지캠23과 고정 가이드캠24의 사이에 스티치캠25가 승강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티치캠25의 승강조작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프로그램에 설정된 승강량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텝핑 모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스티치캠25는, 캐리지5의 진행방향 하류쪽을 선행의 스티치캠25a로 하고 상류쪽을 후행의 스티치캠25b로 하여, 편성 시는 주로 후행측의 스티치캠25b가 스티치 밀도(stitch 密度) 설정용으로서 작용한다.
캐리지5의 캠군6의 브릿지캠23과 니들 상승캠22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도6의 밑에 나타내는 앞측(F)의 캐리지5의 캠군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루프 형성을 위한 편침궤도L1(니트 루트)이 형성됨과 아울러 니들 상승캠22 내에 또 하나의 편침궤도L2(컨트롤 루트)가 형성되어 있다.
니트 루트의 편침궤도L1은, 사다리꼴로 형성된 니들 상승캠22의 상면 부분에서 브릿지캠23의 정상부의 중심선을 대칭선으로 하는 전후 위치에 삼각형상을 하는 출몰캠(出沒cam)35·35를 형성하여 설치하고 있고, 이들 출몰캠35·35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의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 여 편성포의 편성 시에 선행측의 출몰캠이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니들 상승캠22 내에 형성되는 편침궤도L2는, 사다리꼴로 형성된 니들 상승캠22의 중간 높이 위치에 전후로 관통하는 통로36을 형성하고, 당해 통로36 중간 부분36a를 상부로 넓힌 상태로 함과 아울러, 그 넓혀진 중간 부분36a에 하강캠으로서 하방을 향하는 사다리꼴의 조작캠37을 니들 상승캠22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편침궤도L2에 있어서 니들 상승캠22 내의 높이는 도7에 나타나 있다.
즉 도7(a)는 도6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 도7(b)은 도6에 있어서의 Y-Y선 단면도로서, 니들 상승캠22와 스티치캠25 및 돌출한 출몰캠35의 돌출시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고, 상기 통로36 중간 부분36a는 지판(地板)38 부분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고, 통로36의 전후 출입구 부분36b는 니들 상승캠22와 지판38과의 중간의 높이(중간 높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편성영역의 편침4는, 그 실렉터 버트15가 니들 프레서32의 작용을 받음으로써 루프 형성을 위한 편침궤도L1을 통과할지, 컨트롤 루트의 편침궤도L2를 통과할지가 결정된다.
니들 프레서32는, 전후의 스티치캠25a·25b의 동작범위를 커버하도록 길게 형성된 웰트 프레서(welt presser)39와, 그 상방에 상기 통로36의 전후 출입구 부분36b에 대응하는 부분에 진출 및 후퇴 가능하게 형성된 중간 높이의 중간 프레서(中間 presser)40을 구비하고, 중간 프레서40을 A포지션으 로 하며 웰트 프레서39를 B포지션이라고 했을 때에, 그 중간부분에 도6에 점선41로 나타내는 중간(half)(H) 포지션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A포지션의 중간 프레서40이 지판38과 대략 동일한 높이(높이 제로)로 하강하고 있을 때 및 편침4의 실렉터 버트15가 점선41로 나타내는 H포지션에 있을 때, 즉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편침4가 니들 프레서32의 작용을 받지 않을 때에, 편침4는 니트 루트인 편침궤도L1을 지나고, 편침4가 A포지션의 중간 프레서40의 작용을 받을 때에는 컨트롤 루트인 편침궤도L2를 지난다.
또한 B포지션의 웰트(welt) 프레서39가 편침4의 실렉터 버트15에 작용할 때에는, 그 편침4는 캐리지5의 캠군6의 작용을 받지 않고 통과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횡편기에서 본 발명에 관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이하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실시예1과 같이 편성의 주회방향을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하며, 도8은, 캐리지5가 화살표A로 나타내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딩하여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편사를 얀피더34로부터 공급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일방주행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방주행 동작은, 앞측 니들베드3에서 편성을 끝낸 캐리지5가 반전하여 우측방향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뒤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포가 형성된다.
이 일방주행 동작 시에는, 뒤측(B)의 캐리지5의 선행측의 출몰캠35가 돌출하고 있고,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의 실렉터 버트15는 니들 프레서32의 작용을 받지 않고, 당해 편침4의 버트13은, 니들 상승캠22와 출몰캠35의 작용을 받아서 도8에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니트 루트인 편침궤도L1을 지난다.
한편 도5의 우측의 루프N을 걸고 있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앞측의 캐리지5의 선행측의 선침기구S에 의하여 선침되어, 그 편침4의 버트13이 중간 프레서40의 작용을 받아서 H위치(중간 높이 위치)로 가압된다.
그렇게 하면, 그 편침4의 버트13은, 도8의 앞측(F)의 캐리지5의 캠군6의 니들 상승캠22 내에 형성된 통로36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컨트롤 루트의 편침궤도L2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뒤측(B)의 캐리지5의 캠군6의 니들 상승캠22 및 출몰캠35에 의하여 니트 위치로 상승하는 사이에, 앞측(F)의 캐리지5의 캠군6 내의 편침궤도L2를 지나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편침의 하강캠을 구성하는 조작캠37 부분에 의하여 하강된다.
계속하여, 뒤측 니들베드3의 선침된 편침4가 하강하여 브릿지캠23의 하단의 수평부의 중간위치가 되면, 얀피더34로부터 편사가 공급된다.
이 때에, 앞측(F)의 캐리지5의 통로36에 의하여 안내되는 편침궤도L2를 지나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하강캠인 조작캠37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가 되고,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더욱 하강되면, 전(前) 코스에서 형성된 구루프가 훅 부분을 녹오버 되어서 새로운 루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일방주행 동작에서의 편성포의 편성 시에, 캐리지5가, 즉 편성포의 편성이 앞측 니들베드3으로부터 뒤측 니들베드3으로 반전될 때에는, 캐리지5가 반전하기 직전에 앞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루프(도5에서 우측의 N)를 걸고 있는 편침4가, 이것과 대면하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급사되어 편성되기 전에, 앞측(F)의 캐리지5의 조작캠37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으므로, 캐리지5의 반전에 따라 얀피더34의 급사방향이 반전할 때에, 편사의 텐션이 높아지고, 그 결과, 반전 직전에 형성된 루프로부터 편사가 인출되어 루프가 찌그러져도, 이것을 수정하여 편성포의 루프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급사되어 편성하는 사이, 앞측(F)의 캐리지5의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으므로,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될 때에, 앞측 니들베드3의 상기 편침4가 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루프(도5에서 우측의 N)의 스티치가 찌그러지는 일이 없어진다.
이렇게 하여 뒤측 니들베드3에서의 편성이 종료하고, 그 편성영역 밖(도면 위쪽 좌측방향)으로 나가면, 캐리지5가 반전하여 도9에 화살표B로 나타내는 좌측방향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고, 앞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타방주행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9의 타방주행 동작 시에는, 앞측(F)의 캐리지5의 선행측의 출몰캠 35가 돌출하여 있고,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된 편침4의 실렉터 버트15는 니들 프레서32의 작용을 받지 않고, 당해 편침4의 버트13은, 니들 상승캠22와 출몰캠35의 작용을 받아서 도9의 앞측(F)의 캐리지5의 캠군6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니트 루트인 편침궤도L1을 지난다.
한편 도5의 좌측의 루프N을 걸고 있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뒤측의 캐리지5의 선행측의 선침기구S의 액추에이터33에 의하여 선침되어, 그 편침4의 버트13이 중간 프레서40의 작용을 받아서 H위치로 가압된다.
그러면, 그 편침4의 버트13은, 도9의 뒤측(B)의 캐리지5의 캠군6 내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 상승캠22 내에 형성된 통로36에 형성되는 컨트롤 루트의 편침궤도L2를 통과한다.
여기에서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앞측의 캐리지5의 캠군6의 니트 루트인 편침궤도L1의 니들 상승캠22 및 출몰캠35에 의하여 니트 위치로 상승하는 사이에, 편침궤도L2를 지나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편침의 하강캠을 구성하는 조작캠37 부분에 의하여 하강된다.
계속하여, 앞측 니들베드3의 선침된 편침4가 출몰캠35의 정상부로부터 하강하여 브릿지캠23의 하단의 수평부의 중간위치가 되면, 얀피더34로부터 편사가 공급된다.
이 때에, 뒤측(B) 캐리지5의 통로36에 의하여 안내되어 편침궤도L2를 지나는 뒤측 니들베드3의 편침4는 하강캠인 조작캠37에 의하여 하강한 상태가 되어 있고,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더 하강되면, 전(前) 코스에서 형성된 구루프가 훅 부분을 녹오버 하여 새로운 루프가 형성된다.
이러한 타방주행에서의 편성포의 편성 시에, 캐리지5가 반전하여 편성포의 편성이 뒤측 니들베드3으로부터 앞측 니들베드3에 옮겨질 때에는, 캐리지5가 반전하기 직전에 뒤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루프(도5의 좌측의 N)를 걸고 있은 편침4가, 이것과 대면하는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급사되어 편성되기 전에 뒤측(B)의 캐리지5의 조작캠37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으므로, 캐리지5의 반전에 따라 얀피더34의 급사방향이 반전할 때에, 편사의 텐션이 높아지고, 그 결과, 반전 직전에 형성된 루프로부터 편사가 인출되어 루프가 찌그러져도, 이것을 수정하여 편성포의 루프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에 급사되어 편성하는 사이에, 뒤측(B)의 캐리지5의 후행측의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으므로, 앞측 니들베드3의 편침4가 스티치캠25b에 의하여 하강될 때에, 뒤측 니들베드3의 상기 편침4가 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캐리지5의 반전에 동반하는 얀피더4의 급사방향의 반전 시에, 루프(도5에서 좌측의 N)의 스티치가 찌그러지는 일이 없어진다.
이렇게 하여 앞측 니들베드3에서의 편성이 종료하고, 그 편성영역 밖(도면 위쪽 우측방향)으로 나가면, 캐리지5가 다시 반전하여 우측방향으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앞측 니들베드3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 는 상기의 일방주행 동작이 된다.
이후에, 상기 일방주행 동작과 타방주행 동작의 편성이 교대로 연속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이 편성포의 양단에서 반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전후의 니들베드3의 편침4에 주회모양으로 편사를 공급하여 횡편기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캐리지5의 반전에 따라 얀피더34의 급사방향이 반전할 때에, 편사의 텐션이 높아지고, 그 결과, 반전 직전에 형성된 루프로부터 편사가 인출되어 루프가 찌그러져도, 이것을 수정하여 편성포의 루프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5가 반전하기 직전에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4를, 이것과 대면하는 편침4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사이는, 이 편성포의 끝의 편침4와 대면하는 편침4를 편침의 조작캠(하강캠)37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캐리지가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루프(도5에서 우측의 N)를 걸고 있는 편침을,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편성하기 전에, 일방의 니들베드의 캐리지의 선행측의 스티치캠에 의하여 하강시켜 둠으로써, 캐리지5의 반전에 따라 얀피더34의 급사방향이 반전할 때에, 편사의 텐션이 높아지고, 그 결과, 반전 직전에 형성된 루프로부터 편사가 인출되어 루프가 찌그러져도, 이것을 수정하여 편성포의 루프 길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일방의 니들베드의 캐리지의 선행측의 스티치캠도 하강캠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스티치캠도 하강캠으로서 작용시키는 경우에, 상기 조작캠과도 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1에서는 스티치캠에서 캐리지가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하강시키도록 하고, 상기 실시예2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선행측의 스티치캠과 하강캠을 병용하여 편침을 하강시키도록 하여 있지만, 하강캠의 작용 만으로도 상기 편침을 하강시켜 캐리지가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최후에 형성된 루프의 스티치가 찌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강캠에 의하여 하강되는, 캐리지5가 반전하기 직전에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의 편침은 1개로 한정되지 않고 몇 개를 하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캠은 고정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횡편기의 게이지나 편사의 종류 등에 맞는 섬세한 설정을 할 수 있다.

Claims (6)

  1. 니들베드갭부(needle gap部)를 돌출시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배치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 슬라이딩하는 캐리지(carriage)의 캠군(cam群)으로 니들베드에 수납된 편침 중에서 선택된 편침을 진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한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캐리지가 반전(反轉) 후에 계속하여 코스를 편성할 때에,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캐리지의 캠군의 스티치캠으로 그 진출을 방지한 상태로 하고,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루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편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의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급사하여 편성하는 사이에는, 스티치캠으로 하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캐리지의 캠군의 후행의 스티치캠으로 그 진출을 방지한 상태로 하고, 이것과 대면하는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전에, 선행하는 위치에 있는 하강캠에 의하여 하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하강캠이 니들 상승캠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하강캠이 선행의 스티치캠인 것인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6. 편침을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한 니들베드를, 그 니들베드갭부를 돌출시켜 대향시킨 상태에서 적어도 전후 한 쌍 배치하고, 니들베드 상을 왕복 슬라이딩하는 캐리지의 캠군으로 니들베드의 편침 중에서 선택된 편침을 진퇴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주회모양으로 급사된 편사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도록 구성된 횡편기로서,
    캐리지의 반전 후에 계속하여 코스를 편성할 때에, 반전하기 직전에 일방의 니들베드로 편성된 편성포의 적어도 최후에 형성된 루프를 걸고 있는 편침을 하강시키는 하강캠을 니들 상승캠 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
KR1020077022441A 2005-03-25 2006-03-17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KR101223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8279 2005-03-25
JPJP-P-2005-00088279 2005-03-25
JP2005232983 2005-08-11
JPJP-P-2005-00232983 2005-08-11
PCT/JP2006/305381 WO2006103957A1 (ja) 2005-03-25 2006-03-17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269A KR20070113269A (ko) 2007-11-28
KR101223919B1 true KR101223919B1 (ko) 2013-01-18

Family

ID=3705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441A KR101223919B1 (ko) 2005-03-25 2006-03-17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6954B2 (ko)
EP (1) EP1867768B1 (ko)
JP (1) JP4944015B2 (ko)
KR (1) KR101223919B1 (ko)
CN (1) CN101146942B (ko)
WO (1) WO2006103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682B2 (ja) * 2008-12-29 2012-11-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および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5431002B2 (ja) * 2009-04-03 2014-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
CN102277681A (zh) * 2011-08-09 2011-12-14 陶春明 一种电脑横机的中山三角
CN102383256A (zh) * 2011-09-29 2012-03-21 陶春明 一种电脑横机的中山三角
BR112015000643A2 (pt) * 2012-07-17 2017-06-27 Shima Seiki Mfg cabedal de sapato e método para produzir o cabe-dal de sapato
JP2015028226A (ja) * 2013-07-30 2015-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EP3128055B1 (de) * 2015-08-05 2018-09-19 H. Stoll AG & Co. KG Schlosssystem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und flachstrickmaschine
US10368590B2 (en) 2015-11-03 2019-08-06 Nike, Inc. Flat-knit support garment for upper torso
JP2017089043A (ja) * 2015-11-09 2017-05-25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の編成方法及び編成機構並びにその丸編機
US10612169B2 (en) 2017-04-13 2020-04-07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Knitting mechanism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the circular knitting machine
US10912340B2 (en) 2017-05-02 2021-02-09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415164B2 (en) 2017-05-02 2019-09-17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0145042B2 (en) 2017-05-02 2018-12-04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US10179960B2 (en) 2017-05-02 2019-01-15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ubular-jacquard knit structure
JP7233309B2 (ja) * 2018-07-13 2023-03-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US11142854B2 (en) 2018-10-03 2021-10-12 Nike, Inc. Upper-torso garment with three-dimensional knit structures
US11064279B2 (en) 2019-10-09 2021-07-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adphone earcup including seamless cov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1923B2 (ja) * 1991-09-24 1997-07-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装置
JP2700203B2 (ja) * 1991-10-04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92836B2 (ja) * 1998-05-06 2002-06-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9639A1 (de) * 1978-10-03 1980-04-24 Bentley Alemannia Ltd Flachstrickmaschine
DE3220055A1 (de) * 1982-05-27 1983-12-01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Strick-umhaengeschloss fuer v-bett-flachstrickmaschinen mit schiebernadeln
DE3334040C2 (de) * 1983-09-21 1986-03-13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Ein- oder Mehr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DE3433628C2 (de) * 1984-09-13 1986-12-18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und Verfahren zum kombinierten Bilden und Umhängen von Maschen an Flachstrickmaschinen
DE3537612C2 (de) * 1985-10-23 1994-07-28 Stoll & Co H Schloßsystem für Flachstrickmaschinen
CH671977A5 (ko) * 1986-12-01 1989-10-13 Dubied & Cie Sa E
US5305619A (en) * 1990-03-26 1994-04-26 Shima Seiki Mfg. Ltd. Stitch increasing method and cams for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stitch increasing function
JP3022322U (ja) * 1995-09-01 1996-03-22 シルバー精工株式会社 横編機
US6591430B1 (en) * 2001-11-13 2003-07-15 Wilson Harris Sledge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JP4015982B2 (ja) * 2003-10-1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編成用カム装置
JP4336305B2 (ja) * 2004-12-27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複合カ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1923B2 (ja) * 1991-09-24 1997-07-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編成装置
JP2700203B2 (ja) * 1991-10-04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292836B2 (ja) * 1998-05-06 2002-06-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269A (ko) 2007-11-28
CN101146942B (zh) 2010-06-09
EP1867768B1 (en) 2016-03-09
US7716954B2 (en) 2010-05-18
CN101146942A (zh) 2008-03-19
WO2006103957A1 (ja) 2006-10-05
JP4944015B2 (ja) 2012-05-30
EP1867768A1 (en) 2007-12-19
EP1867768A4 (en) 2014-02-19
US20090314037A1 (en) 2009-12-24
JPWO2006103957A1 (ja)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19B1 (ko) 횡편기에 있어서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기
US6079233A (en)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loop forming plates
JP4406893B2 (ja) 高低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およびかかる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US6857294B2 (en) Method for knitting intarsia pattern knitting fabric and knitting program producing device therefor
KR102226578B1 (ko) 횡편기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JPH05214639A (ja) プラッシュ生地製造用の丸編み機およびシンカ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US5275022A (en) Process for the fully-fashioned knitting of intarsia jacquard fabric
US6705129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ulticolored plush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H06264341A (ja) ジャカードパイル編地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ー
US4266411A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plush-loop warp knit fabric
KR19990077454A (ko) 코늘이기방법
US4389860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jacquard-patterned pile-knit fabrics
US2960854A (en) Knitting machine
JPH07324259A (ja) インターシャ編地の編成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カムロック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S5837421B2 (ja) インタ−シヤ編編成方法
US1865385A (en) Process and machine for producing knitted fabric
JPH07268748A (ja) シンカー退避機構を有する横編機
JP2024034491A (ja) パイル編成用横編機およびパイル編成方法
JP2022138703A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地の編成方法
JPH0657902B2 (ja) 編地編成方法及び前記編地編成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キャリッジ装置
CN113950546A (zh) 用于在装配有复合针的圆形针织机上添纱的方法和针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