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217A -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217A
KR20060049217A KR1020050051453A KR20050051453A KR20060049217A KR 20060049217 A KR20060049217 A KR 20060049217A KR 1020050051453 A KR1020050051453 A KR 1020050051453A KR 20050051453 A KR20050051453 A KR 20050051453A KR 20060049217 A KR20060049217 A KR 20060049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hole
connector
f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566B1 (ko
Inventor
게이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압입 단자를 위한 충분한 유지력을 보장하면서 압입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협소하게 하는 것이다.
압입 단자(10)가 위로부터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5개의 삽입부(25)가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의 전후 2열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부(25)에는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비교적 넓은 관통 구멍(26)과, 압입부(13)가 내부로 가압되는 비교적 협소한 압입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26)의 폭방향은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정렬되어 있고, 압입 구멍(28)의 폭방향은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먼저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가 관통 구멍(26)을 통하여 삽입되고, 그 후에 압입 단자(10)는 종축을 중심으로 90° 회전한다. 그 후에, 압입부(13)는 압입 구멍(28) 내로 가압되고, 스토퍼(14)가 수납 구멍(29)의 바닥면에 접촉할 때에 압입이 중지된다.

Description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A CONNECTOR FOR AN ELECTRIC/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 단면도이고,
도 2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하우징의 저면도이고,
도 5의 (A) 내지 (C)는 압입 단자의 저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압입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각각 전방 및 측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압입 단자의 탄성 팽출부가 베이스 벽의 하면 아래에 배치된 상태를 각각 전방 및 측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의 (A) 및 (B)는 압입 단자의 압입을 개시하는 상태를 각각 전방 및 측면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압입 단자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전방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이고,
도 11은 종래 기술의 회로 기판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입 단자
12 : 탄성 팽출부
13 : 압입부
14 : 스토퍼
20 : 커넥터 하우징
21 : 베이스 벽(후방벽 또는 배열벽)
22 : 리셉터클(접속부)
25 : 삽입부
26: 관통 구멍
28 : 압입 구멍
29 : 수납 구멍
30 : 회로 기판(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
본 발명은 압입 단자를 이용하는 회로 기판 커넥터와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이 커넥터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로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기판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맞물림 커넥터가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리셉터클(2)이 예컨대 커 넥터 하우징(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탄성 팽출부(4)와 이 탄성 팽출부(4) 위에 위치되고 스토퍼(5)가 설치된 압입부(6)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압입 단자(3)가 상기 리셉터클(2)의 바닥벽(2A)을 관통한다. 각 압입 단자(3)의 상단이 리셉터클(2) 내로 돌출하고, 탄성 팽출부(4)는 바닥벽(2A)으로부터 하향 돌출하여, 접속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회로 기판 커넥터는 국제 특허 공개 번호 WO 95/14315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 있어서, 압입 단자(3)는, 스토퍼(5)가 압입 구멍(7)의 에지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압입부(6)를 압입 구멍(7) 내로 가압하도록 바닥벽(2A)에 형성된 압입 구멍(7)을 통하여 아래로부터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의 바닥벽(2A)을 관통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압입 단자(3)를 잠금 상태로 되게 하는 힘은 압입 단자(3)에 하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예컨대 맞물림 커넥터를 리셉터클(2) 내로 끼우는 때에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하방으로의 잠금 힘(locking force)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입 단자(3)를 위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압입부(6)는 탄성 팽출부(4)가 압입 구멍(7)을 통과한 후에 압입 구멍(7) 내로 가압되기 때문에, 이들 압입부는 탄성 팽출부(4)보다 넓어야 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5)를 포함하는 압입 단자(3)는 폭이 커져야 한다. 그러므로, 압입 단자(3) 사이의 간격을 협소하게 하는 것과 관련한 제한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유지력을 보장하면서 단자 구조를 보다 협소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커넥터와, 청구항 9에 따른 커넥터 조립 방법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림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선단 또는 그 근처의 탄성 팽출부와, 이 탄성 팽출부의 뒤에 마련되는 압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의 배열벽을 나란히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압입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가 제공되며,
압입 구멍의 폭방향이 압입 단자의 배열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정렬될 수 있고, 관통 구멍이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압입 구멍에 교차하도록, 비교적 폭이 작고 대응하는 압입부가 내부로 가압되는 압입 구멍과, 비교적 폭이 크고 대응하는 탄성 팽출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이 커넥터 하우징의 배열벽에서 각 압입 단자에 대하여 삽입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입 단자는, 후단부가 접속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탄성 팽출부가 접속부의 반대측을 향하여 적어 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접속부의 배열벽을 나란히 관통하도록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탄성 팽출부는 접속되는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의 대응하는 접속 구멍 또는 리세스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맞물림 커넥터가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선단의 탄성 팽출부와, 이 탄성 팽출부의 뒤에 마련되는 압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부가 접속부 내로 돌출하고 상기 탄성 팽출부가 접속부의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접속부의 후방벽(back wall)을 나란히 관통하는 복수의 압입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가 제공되며,
각각의 탄성 팽출부는 접속되는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접속 구멍 내로 삽입되고,
압입 구멍의 폭방향이 압입 단자의 배열 방향과 정렬되고, 관통 구멍이 수직으로 압입 구멍에 교차하도록, 비교적 폭이 작고 대응하는 압입부가 내부로 가압되는 압입 구멍과, 비교적 폭이 크고 대응하는 탄성 팽출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이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벽에서 각 압입 단자에 대하여 삽입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압입 단자의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압입 단자의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는 동일 평면에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압입 단자의 회전 자세는 탄성 팽출부가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에 90°로 회전되어, 압입부가 압입 구멍 내로 연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압입 단자의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입 단자의 회전 자세는 탄성 팽출부가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에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90°로 회전되어, 압입부가 압입 구멍 내로 연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가 압입 단자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먼저 탄성 팽출부가 관통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후에, 압입부는 압입 단자가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90°로 회전한 후에 압입 구멍 내로 가압된다.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가 수직으로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먼저 탄성 팽출부가 관통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후에, 압입부는 압입 단자가 특정의 회전 자세로 유지되는 동안에 압입부 내로 가압된다.
압입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부의 측면으로부터 삽입되기 때문에, 맞물림 커넥터가 접속부 내로 끼워짐에 따라 삽입 방향으로 압입 단자에 푸싱 힘이 작용할 경우에 상당한 잠금 힘이 작용한다. 달리 말하면, 맞물림 커넥터가 끼워질 때에 압입 단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압입 단자와 맞물림 커넥터에 장 착된 단자 사이의 접속 신뢰성이 개선된다.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는 소위 개별 구멍들인 압입 구멍과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압입부를 탄성 팽출부보다 협소하게 마련할 수 있는데, 즉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가 이러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삽입됨에도 불구하고 압입 구멍을 협소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압입 구멍은 그것의 폭방향이 압입 단자의 배열 방향과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압입 구멍들의 간격을 협소하게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압입 단자를 보다 협소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입 구멍은 압입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압입 단자의 바(bar) 부분의 폭과 압입부의 폭 사이의 측방향 폭을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의 대응하는 부분에 맞닿게 되어 있는 스토퍼가 압입부의 뒤에 형성되고, 이 스토퍼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팽출부의 최대 폭보다 큰 폭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림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선단 또는 그 근처의 탄성 팽출부와, 이 탄성 팽출부의 뒤에 마련되는 압입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압입 단자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압입 단자를 상기 접속부의 배열벽을 나란히 관통하도록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이 제공되며,
압입 구멍의 폭방향이 압입 단자의 배열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정렬될 수 있고, 관통 구멍이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압입 구멍에 교차하도록, 비교적 폭이 작고 대응하는 압입부가 내부로 가압되는 압입 구멍과, 비교적 폭이 크고 대응하는 탄성 팽출부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이 커넥터 하우징의 배열벽에서 각 압입 단자에 대하여 삽입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입 단자의 회전 자세는 탄성 팽출부가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에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90 회전되어, 압입부가 압입 구멍 내로 연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예의 단일 특징은 다른 실시예와 합쳐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와 접속되는 바람직한 커넥터로서의) 본 실시예의 회로 기판 커넥터는, 하나 이상, 예컨대 10개의 압입 단자(1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 이하에서는 "하우징(20)"으로 칭함〕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압되거나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한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로서의) 인쇄 회로 기판〔30; 이하에서는 회로 기판 (30)으로 칭함〕(도 9 참조)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압입 단자(10)는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도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플레이트를 스탬핑 가공하거나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입 단자(20)는 실질적으로 대략 협소하고 긴 직사각형 바의 형태로 있으며, 그 일측(상측)은 맞물림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11)로서 기능하고, 선단은 안내를 위하여 테이퍼지거나 수렴하게 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회로 기판(30)과 접속되는 장치 또는 기판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탄성 팽출부(12)가 타측 또는 실질적으로 반대측(바닥측)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팽출부(12)는 중간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 중공 부분을 형성하면서 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 폭방향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팽출부(12)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을 따라 탄성적으로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팽출부(12)는 탄성적으로 축소되는 동안에 회로 기판(30)의 리세스 또는 관통 구멍(3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그 후에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31)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된 접점(contact)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탄성 팽출부(12)와 단자 접속부(11)의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압입 단자(10)의 종방향 중간 부분에 압입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압입부(1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 폭방향(WD)으로 팽출하고, 그 폭(w2)은 상기 탄성 팽출 부(12)의 최대 폭(w1)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바닥측에서 압입부(13)의 측방향 (좌우) 에지는 바닥측이 바닥을 향할수록 점차 협소하게 되도록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거나 수렴하는 에지(13A)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접속부(11)에 보다 인접한 압입부(13)의 측면에 또는 압입부(13)의 위에 스토퍼(14)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4)가 하나 이상의 단차부를 형성하도록 압입부(13)로부터 팽출하지만, 스토퍼의 폭(w3)은 탄성 팽출부(12)의 최대 폭(w1)보다 단지 약간만 크게 설정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개방 단부(바람직하게는 상측 단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22)이 베이스 벽(21)의 한 표면(바람직하게는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 생략된 맞물림 커넥터가 한 측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위로부터 리셉터클(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30)의 외면과 접촉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23)가 베이스 벽(21)에 또는 그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압입 단자(10)는 삽입측(IS)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위로부터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베이스 벽(21)에는 1열 이상으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후 2열의 각각에서 복수(예컨대 5개)의 위치에 압입 단자(10)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삽입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열에 있는 삽입부(25)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방열의 삽입부는 후방열의 삽입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삽입부(25)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벽(21)은 압입 단자(10)의 스토퍼(14)의 상측 단부로부터 압입부(13)의 경사진 에지(13A)의 바닥 단부에 이르는 길이보다 약간 큰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삽입부(25)에는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 구멍(26)과, 압입부(1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가압되거나 가압될 수 있는 압입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구멍(26, 28)은 베이스 벽(21)을 관통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6)은 거의 어떠한 탄성 압축도 없이 탄성 팽출부(12)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종방향 폭(Wa)〔즉, 실질적으로 폭방향(WD)을 따른 폭〕〔도 6의 (B) 참조〕과, 압입 단자(1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바 부분(16)의 최대 두께(= 폭; w0)보다 약간 큰 측방향 폭(Wb)〔즉,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에 수직인 방향(LD)을 따른 폭〕〔도 6의 (A) 참조〕을 갖는다. 바 부분(16)이 라운드진 형상이나 타원 형상과 같은 임의의 다른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측방향 폭(W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바 부분(16)이 관통 구멍(26)에서 실질적으로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께(w0)보다 크게 설정된다. 관통 구멍(26)은, 종방향 폭(Wa)의 방향이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의 열 각각에 있는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AD)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즉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26)의 입 구, 즉 상측 개방 에지에는 상측 단부를 향하여 점차로 확장되는 안내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압입 구멍(28)은, 압입부(13)가 그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압입부(13)의 폭(w2)과 압입 단자(10)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바 부분(16)의 폭(w0) 사이의 측방향 폭(Wc)을 갖는다. 압입 구멍(28)의 측방향 폭(Wc)은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관통 구멍(26)의 측방향 폭(W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관통 구멍(26)의 종방향 폭(Wa)보다 작다. 압입 구멍(28)의 종방향 폭(Wd)은 관통 구멍(26)의 측방향 폭(W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압입 구멍(28)의 측방향 폭(Wc)의 방향은 커넥터에서, 바람직하게는 전후의 열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AD)을 따라, 즉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상태의 스토퍼(1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수납 구멍(29)이 압입 구멍(28)의 입구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 구멍(29)의 측방향 폭(We)은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27)의 측방향 폭 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수납 구멍의 깊이는, 스토퍼(14)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구멍(29)에 적절하게 수납된 때에 스토퍼(14)의 상측 단부가 베이스 벽(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입 단자(10)를 장착하기 위하여, 압입 단자(10)는 삽입측(IS)으로부터, 바 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위로부터 대응하는 삽입부(25)의 관통 구멍(26) 내로 삽입되고, 압입 단자의 폭방향(WD)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먼저,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는 안내부(27)에 의해 안내되면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센터링되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거의 어떠한 탄성 압축도 없이 관통 구멍(26)을 통과한다. 탄성 팽출부(12)가 하방으로 나오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6)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 후에, 압입 단자(10)는 종축을 중심으로 및/또는 압입 단자(10)가 관통 구멍(26) 내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0°또는 180°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90°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압입 단자(10)를 더욱 압박하면, 압입부(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 구멍(28) 내로 들어가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폭(Wc)의 방향에 대하여 압입 구멍(28)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벽에 맞물리거나 결합되거나, 측벽을 벌리도록 가압된다. 스토퍼(14)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구멍(29)의 바닥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될 때에 푸싱이 중지되어, 압입 단자(10)는, 탄성 팽출부(12)가 하향으로 또는 베이스 벽(21)으로부터 외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단자 접속부(11)가 베이스 벽(21)의 다른 표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리셉터클(22)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장착된다.
모든 압입 단자(10)의 장착이 종료된 후에, 각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는 지그 등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30)의 대응하는 리세스 또는 관통 구멍(3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로써 내주면 또는 그 내주면상의 접점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 접속부를 확립한다.
그 후에, 하나 이상, 예컨대 레그(23)의 일부는 나사, 프레스-피팅 핀, 래치 등과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회로 기판(30)에 고정되어, 하우징(20)을 회로 기판(30)에 고정한다. 그 후, 맞물림 커넥터는 하우징(20)의 리셉터클(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끼워질 수 있으며, 이로써 압입 단자(10)와 맞물림 커넥터에 장착된 맞물림 단자의 단자 접속부(11)가 접속된다. 이 때에, 도 9의 하측 방향 또는 회로 기판(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푸싱 힘이 압입 단자(10)에 작용한다. 그러나, 압입 단자(10)의 추가의 푸싱은 방지되는데, 즉 수납 구멍(29)의 바닥면과 스토퍼(14)의 접촉에 의해 압입 단자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 후에, 압입 단자(10)와, 맞물림 커넥터에 장착된 맞물림 단자는 확실하게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압입 단자(10)는 하우징(20)의 리셉터클(22)의 내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및 가압되며, 수납 구멍(29)의 바닥면과 스토퍼(14)의 접촉에 의해 임의의 추가의 삽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맞물림 커넥터가 리셉터클(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짐에 따라 압입 단자(10)를 삽입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할 때에도, 이러한 방향으로의 압입 단자(10)의 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맞물림 커넥터가 끼워질 때에 압입 단자(10)가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고, 이 때문에 압입 단자(10)와 맞물림 커넥터에 장착된 맞물림 단자는 높은 신뢰성으로 접속될 수 있다.
탄성 팽출부(12)와 압입부(13)는 소위 개별 구멍들인 압입 구멍(28)과 관통 구멍(2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탄성 팽출부(12)와 압입부(13) 가 이러한 순서로 베이스 벽(21)을 관통하여 삽입됨에도 불구하고 압입부(13)를 탄성 팽출부(12)보다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입부(13)보다 넓은 스토퍼(14)를 가능한 한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수납 구멍(29)을 포함한 압입 구멍(28)을 보다 협소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협소한 폭을 갖는 압입 구멍(28)은 그것의 폭방향(WD)이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AD)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이로써 압입 구멍(28)들의 간격을 협소하게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압입 단자(10)를 보다 협소한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입 단자에 대한 충분한 유지력을 보장하면서 압입 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협소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압입 단자 각각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측(IS)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위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예컨대, 5개의) 삽입부(25)가 하우징(20)의 베이스 벽(21)의 전후의 2열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삽입부(25)에는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가 통과할 수 있는 비교적 넓은 관통 구멍(26)과 압입부(13)가 내부로 가압되는 비교적 협소한 압입 구멍(28)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26)의 폭방향은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에 수직인 방향과 정렬되어 있고, 압입 구멍(28)의 폭방향은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과 정렬되어 있다.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가 먼저 관통 구멍(26)을 통하여 삽입된 후에, 압입 단자(10)가 종축을 중심으로 90° 회전한다. 그 후에, 압입부(13)는 압입 구멍(28)의 내부로 가압되고, 스토퍼(14)가 수납 구멍(29)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될 때에 압입이 중지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된다. 이하의 실시예 외에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다.
(1) 압입 단자의 탄성 팽출부와 압입부는, 예컨대 이들 부분 사이의 일부를 비틀리게 함으로써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 팽출부가 먼저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에, (예정되거나 예정될 수 있는) 특정의 회전 자세로 유지된 압입 단자를 삽입함으로써 압입부가 압입 구멍 내로 가압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가 압입 단자의 압입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있지만, 압입부의 형상 등에 의하여 삽입이 충분히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면 스토퍼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또한 포함된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입 단자가 직선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압입 단자는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중간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구부러지는 L-형상일 수도 있다.
(4) 본 발명을 회로 기판 커넥터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정션 박스(junction box), 계기판(예컨대 차량용), 또는 CD/DVD-리더/버너, 드라이브 등의 컴퓨터 장치와 같은 다른 전기 및/또는 전자 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커넥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맞물림 커넥터가 끼워질 때에 압입 단자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압입 단자와 맞물림 커넥터에 장착된 단자 사이의 접속 신뢰성이 개선시킬 수 있는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0)

  1. 맞물림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접속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20)과,
    선단 또는 그 근처의 탄성 팽출부(12)와, 이 탄성 팽출부(12)의 뒤에 마련되는 압입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22)의 배열벽(21; arranging wall)을 나란히 관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압입 단자(10)
    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로서,
    압입 구멍(28)의 폭방향(WD)이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AD)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정렬될 수 있고, 관통 구멍(26)이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압입 구멍(28)에 교차하도록, 비교적 폭(Wc)이 작고 대응하는 압입부(13)가 내부로 가압되는 압입 구멍(28)과, 비교적 폭(Wa)이 크고 대응하는 탄성 팽출부(12)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26)이 커넥터 하우징(20)의 배열벽(21)에서 각 압입 단자(10)에 대하여 삽입부(25)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단자(10)는, 후단부가 접속부(2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상기 탄성 팽출부(12)가 접속부(22)의 반대측을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접속부(22)의 배열벽(21)을 나란히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팽출부(12)는 접속되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의 대응하는 접속 구멍 또는 리세스(3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압입 단자(10)의 상기 탄성 팽출부(12)와 압입부(13)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압입 단자(10)의 탄성 팽출부(12)와 압입부(13)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서로 교차하는 자세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단자(10)의 회전 자세는 상기 탄성 팽출부(12)가 관통 구멍(26)을 통과한 후에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회전되어, 압입부(13)가 압입 구멍(25) 내로 연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구멍(28)은, 압입부(13)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압입 단자(10)의 바 부분(16)의 폭(W0)과 압입 부(13)의 폭(W2) 사이의 측방향 폭(Wc)을 갖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20)의 대응하는 부분(29)에 맞닿게 되어 있는 스토퍼(14)가 압입부(13)의 뒤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14)는 탄성 팽출부(12)의 최대 폭(W1)보다 큰 폭(W3)을 갖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
  9. 맞물림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끼워질 수 있는 접속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하우징(20)을 제공하는 단계와,
    선단 또는 그 근처의 탄성 팽출부(12)와, 이 탄성 팽출부(12)의 뒤에 마련되는 압입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압입 단자(10)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압입 단자(10)를 상기 접속부(22)의 배열벽(21)을 나란히 관통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를 조립하는 조립 방법으로서,
    압입 구멍(28)의 폭방향(WD)이 압입 단자(10)의 배열 방향(AD)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정렬될 수 있고, 관통 구멍(26)이 0° 또는 180° 이외의 소정의 각도로 압입 구멍(28)에 교차하도록, 비교적 폭(Wc)이 작고 대응하는 압입부(13)가 내부로 가압되는 압입 구멍(28)과, 비교적 폭(Wa)이 크고 대응하는 탄성 팽출부(12)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26)이 커넥터 하우징(20)의 배열벽(21)에서 각 압입 단자(10)에 대하여 삽입부(25)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의 조립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단자(10)의 회전 자세는 상기 탄성 팽출부(12)가 관통 구멍(26)을 통과한 후에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회전되어, 압입부(13)가 압입 구멍(25) 내로 연속적으로 가압될 수 있는 것인 전기 또는 전자 장치용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20050051453A 2004-06-15 2005-06-15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0708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6571 2004-06-15
JP2004176571A JP4259405B2 (ja) 2004-06-15 2004-06-15 基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217A true KR20060049217A (ko) 2006-05-18
KR100708566B1 KR100708566B1 (ko) 2007-04-19

Family

ID=3493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453A KR100708566B1 (ko) 2004-06-15 2005-06-15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37146B2 (ko)
EP (1) EP1608041B1 (ko)
JP (1) JP4259405B2 (ko)
KR (1) KR100708566B1 (ko)
CN (1) CN100448105C (ko)
DE (1) DE602005016492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79B1 (ko) * 2013-12-30 2015-05-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쇄회로기판의 터미널 압입장치 및 방법
KR102617116B1 (ko) * 2023-08-01 2023-12-27 에스엠일렉트㈜ 회로기판의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3281B4 (de) 2006-03-21 2024-04-04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ungs-Adapter
JP2007311092A (ja) * 2006-05-17 2007-11-29 Yazaki Corp 印刷配線板組立体及び該印刷配線板組立体の製造方法
JP2008053091A (ja) * 2006-08-25 2008-03-06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プレスフィットコンタクト
DE102006040640A1 (de) * 2006-08-30 2008-03-13 Robert Bosch Gmbh Einpressstift
WO2008098193A2 (en) * 2007-02-09 2008-08-14 Johnson Controls--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uss bar for batteries
JP4983387B2 (ja) * 2007-05-16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924247B2 (ja) * 2007-07-04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75522B2 (ja) * 2007-08-02 2012-1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保持構造
JP5115149B2 (ja) * 2007-11-02 2013-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51939A (ja) 2007-12-18 2009-07-09 Tyco Electronics Amp Kk 端子圧入構造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2009151940A (ja) 2007-12-18 2009-07-09 Tyco Electronics Amp Kk 端子圧入構造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201252219Y (zh) * 2008-07-02 2009-06-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0040257A (ja) * 2008-08-01 2010-02-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09025113A1 (de) * 2009-06-11 2010-12-1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inpresskontakt zur Verbindung eines elektronischen Bauelementes mit einer Leiterplatte sowie Einpresswerkzeug
US7896655B1 (en) * 2009-08-14 2011-03-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port connector system
DE102010006483A1 (de) * 2010-02-02 2011-08-04 Wilo Se, 44263 Anschlusselement mit Messerkontakt und Pressfit-Kontakt
JP5387863B2 (ja) * 2011-03-31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
US8727815B1 (en) 2012-11-29 2014-05-20 Samtec, Inc. Compliant pin connector mounting system and method
JP2014222976A (ja) * 2013-05-14 2014-11-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US20150173181A1 (en) * 2013-12-16 2015-06-18 Cisco Technology, Inc. Enlarged Press-Fit Hole
US9537278B2 (en) * 2015-02-09 2017-01-03 Yazaki Corporation Terminal group and connector
JP6531438B2 (ja) * 2015-03-13 2019-06-19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ーブユニット
KR101636766B1 (ko) 2015-03-30 2016-07-07 (주)케이블루 다핀 커넥터 조립용 지그
JP6550890B2 (ja) * 2015-04-22 2019-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17004859A (ja) * 2015-06-12 2017-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と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6600261B2 (ja) * 2016-02-10 2019-10-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DE102016205635A1 (de) * 2016-04-05 2017-10-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bindungselement
JP7043751B2 (ja) * 2016-10-12 2022-03-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プレスフィット端子
EP3595417A4 (en) * 2017-03-06 2020-03-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UNIT WITH INLET STRUCTURE
US10201087B2 (en) * 2017-03-30 2019-02-0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Discrete device
TWM551357U (zh) * 2017-04-06 2017-11-0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連接器
CN109504955B (zh) * 2017-09-14 2023-06-23 深圳市博敏电子有限公司 多层线路板沉镍金工序快速插架器具及其使用方法
DE102017122591A1 (de) * 2017-09-28 2019-03-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und Dichtanordnung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er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9390836B (zh) * 2018-11-23 2024-02-13 上海雷迪埃电子有限公司 弯式连接器的装配工装
JP7238675B2 (ja) * 2019-07-31 2023-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および基板用コネクタ
CN111628337B (zh) 2020-06-24 2021-07-30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电连接器
CN111628328B (zh) * 2020-06-24 2022-02-01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4634A (en) * 1991-04-11 1992-03-1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employing terminal pins
JPH09505435A (ja) 1993-11-15 1997-05-27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直角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挿入する部材
US5453016A (en) 1993-11-15 1995-09-26 Berg Technology, Inc.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and insertion tool therefor
US5702257A (en) * 1996-02-29 1997-12-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therefor
US5692928A (en) * 1996-05-10 1997-12-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BE1010707A3 (nl) * 1996-10-23 1998-12-01 Framatome Connectors Belgium Werkwijze voor het indrukken van een elektrische contactpen met een elastische bevestigingszone in een gat van een bedrukte schakelplaat.
US6095826A (en) * 1997-02-21 2000-08-01 Berg Technology, Inc. Press fit circuit board connector
TW502885U (en) * 2001-03-02 2002-09-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3086277A (ja) * 2001-09-06 2003-03-20 Fujitsu Ltd 圧入接続型コネクタおよびその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引き抜き装置
JP2004031006A (ja) * 2002-06-24 2004-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の取付け構造及び回路基板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79B1 (ko) * 2013-12-30 2015-05-1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인쇄회로기판의 터미널 압입장치 및 방법
KR102617116B1 (ko) * 2023-08-01 2023-12-27 에스엠일렉트㈜ 회로기판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8105C (zh) 2008-12-31
US7037146B2 (en) 2006-05-02
EP1608041B1 (en) 2009-09-09
JP4259405B2 (ja) 2009-04-30
DE602005016492D1 (de) 2009-10-22
CN1713455A (zh) 2005-12-28
KR100708566B1 (ko) 2007-04-19
US20050277312A1 (en) 2005-12-15
EP1608041A3 (en) 2006-04-12
EP1608041A2 (en) 2005-12-21
JP2006004642A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566B1 (ko)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US607115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ed terminals
KR101168093B1 (ko) 커넥터 및 케이블 리테이너
US710122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emory modules
KR20060016726A (ko) 커넥터
KR20070002678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200217584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5123029A (ja) 電気コネクタ
JP4240401B2 (ja) コネクタ
JPH1040991A (ja) コネクタ
KR20080101759A (ko) 회로 기판 커넥터의 세트 및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장착하는 방법
US20220393402A1 (en) First electrical connector, secon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7265458B2 (ja) コネクタおよび接続方法
JP7312014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0067988A (ja) 圧接形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3355476B2 (ja) 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JP2001357900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4079302A (ja) 双方向挿着形コネクタ
CN112652904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JP3118234B2 (ja) 回路基板への電気コネクタの取付構造
US20230378664A1 (en) Cable holding member, cable holding device including cable holding member, and cable connector device including cable holding device
JP3064215B2 (ja) 回路基板への電気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5318693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とバスバーと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