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116B1 - 회로기판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116B1
KR102617116B1 KR1020230100324A KR20230100324A KR102617116B1 KR 102617116 B1 KR102617116 B1 KR 102617116B1 KR 1020230100324 A KR1020230100324 A KR 1020230100324A KR 20230100324 A KR20230100324 A KR 20230100324A KR 102617116 B1 KR102617116 B1 KR 10261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ircuit board
connector
fix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일렉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일렉트㈜ filed Critical 에스엠일렉트㈜
Priority to KR102023010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는 회부기판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의 케이스는,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 단자와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신호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을 둘러 구비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는 고정다리, 및 상기 고정다리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비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로기판의 커넥터{connector on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티비(TV)나 셋탑박스(settop box)에 적용되는 회로기판에 고정되며, 외부 케이블에 연결되는 회로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여 신호 핀과 신호 단자의 접합 불량을 방지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비(TV)나 셋탑박스(settop box)는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무선 주파수 신호)를 입력 받아 IF 신호(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검파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안테나에 연결된 외부 케이블을 티비(TV)나 셋탑박스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사용된다.
회로기판의 커넥터는 외부 케이블에서 티비(TV)나 셋탑박스(settop box)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외부 케이블을 고정하고, 신호 핀을 통해 회로기판의 신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신호 핀과 신호 단자의 접합 상태가 불량인 경우 영상이나 음성의 출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신호 핀과 회로기판에 구비된 신호 단자의 접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밀착하여 고정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써, 신호 핀과 회로기판에 구비된 신호 단자의 접합 불량을 최소화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회로기판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는,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 단자와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신호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을 둘러 구비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는 고정다리, 및 상기 고정다리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비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측벽의 내측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 단자에 접하는 신호 핀,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핀은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연결된 일 단부와 상기 신호 단자에 접하는 타 단부가 일정 높이 차를 형성하도록 굽어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측벽의 하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더 내려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다리를 상기 측벽을 따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결합부에 인접한 고정다리에 상기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결합부가 구비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일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측벽, 상기 제2 측벽의 타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타 단부와 상기 제3 측벽의 타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4 측벽,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이 감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5 측벽, 및 상기 제2 및 제3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4 및 제5 측벽이 감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6 측벽, 및 상기 제1 내지 제6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측벽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전자부품 및 신호 회선 중 적어도 하나가 지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를 따라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 상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1 보강부, 상기 제6 측벽의 상부와 인접한 상기 제3 측벽 상부의 일부, 제4 측벽 상부의 일부, 및 제6 측벽 상부의 일부를 둘러 연결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측벽 상부 일부와 인접한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5 측벽 상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나의 강판이 절단 및 절곡되어 상기 제1 내지 제6 측벽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를 따라 구비된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연장부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보강부는 상기 제2 측벽의 상부를 따라 구비된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6 측벽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연장부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굽은 경사면 또는 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하부가 감싸는 영역보다 상기 측벽의 상부가 감싸는 영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는 신호 핀과 회로기판에 구비된 신호 단자의 접합 불량을 최소화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커넥터는 접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신호 핀으로 인해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들뜬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 커넥터는 하나의 강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형성하여, 제작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회로기판 커넥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상하 방향에 맞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하 방향이 뒤집힌 회로기판의 커넥터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티비(TV)나 셋탑박스(settop box)는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무선 주파수 신호)를 입력 받아 IF 신호(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검파하여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안테나에 연결된 외부 케이블을 티비(TV)나 셋탑박스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사용된다.
회로기판의 커넥터는 외부 케이블에서 티비(TV)나 셋탑박스(settop box)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외부 케이블을 고정하고, 신호 핀을 통해 회로기판의 신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신호 핀과 신호 단자의 접합 상태가 불량인 경우 영상이나 음성의 출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신호 핀과 회로기판에 구비된 신호 단자의 접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는 신호 단자(2100)를 포함하는 회로기판(20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케이스(1200), 및 케이스(1200)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신호 단자(2100)와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결합부(1100)를 포함한다.
케이스(1200)는 회로기판(2000)의 일 영역을 둘러 구비되는 측벽(1210)과, 측벽(1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로기판(2000)에 구비된 홀에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1220)를 포함한다.
측벽(1210)은 회로기판(2000)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벽이 감싸는 일 영역 내에 신호 단자(21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회로기판(2000)에 전자부품을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측벽(1210)은 감싸는 영역을 구획(A1 내지 A3)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1210)이 감싸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케이스(1200)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케이스(1200)가 회로기판(2000)에 고정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수직하게 세워진 측벽(12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1231, 1232, 1233)가 구비될 수 있다. 측벽(1210)의 구성 및 보강부(1231, 1232, 1233)의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케이스 고정부(1220)는 회로기판(2000)에 구비된 홀을 관통되고, 회로기판(2000) 후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납땜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결합부(1100)는 측벽(1210)의 내측 방향에 구비되어 신호 단자(2100)에 접하는 신호 핀(1120), 및 측벽(1210)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어 외부 케이블(미도시)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1110)를 포함한다.
신호 핀(1120)은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가 회로기판(20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호 단자(2100)를 가압하여 접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통해서 신호 핀(1120)의 구조 및 이에 따른 문제점 해결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케이스 고정부에 고정돌기가 없는 실시예이고, 도 3(b)는 케이스 고정부에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의 회로기판의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케이스 고정부에 고정돌기가 없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b)는 케이스 고정부에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신호 핀(1120)은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가 회로기판(20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호 단자(2100)를 가압하여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고정부(1110)에 연결된 일 단부와 신호 단자(2100)에 접하는 타 단부가 일정 높이 차를 형성하도록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타 단부가 측벽(1210)의 하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더 내려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1210)의 하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이 회로기판(2000)의 상면과 오버랩되는 상태에서, 신호 핀(1120)의 탄성력에 의해 타 단부가 신호 단자(2100)에 일정 수준의 압력을 가하며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만큼 타 단부가 내려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신호 핀(1120)이 측벽(1210)의 하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도다 더 내려오도록 구비되는 경우,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를 회로기판(2000)에 밀착시킨 상태로 납땜작업을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신호 핀(1120)의 탄성 때문에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와 회로기판에 들뜸(B)이 발생하게 된다. 들뜬 상태로 납땜하여 고정하는 경우 신호 핀(1120)과 신호 단자(2100)의 접합상태가 불량한 상태로 고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가 회로기판(2000)에 들뜬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고정부(1220)는 측벽(1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회로기판(2000)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는 고정다리(1221), 및 고정다리(12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회로기판(2000)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비된 고정돌기(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 참조) 구체적으로, 고정돌기(1222)는 회로기판(200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측벽(1210)의 하부에서 이격(d)되어 고정다리(1221)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1222)는 신호 핀(1120)의 탄성력 반대 방향으로 지지하여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가 회로기판(20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4(b) 참조)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가 회로기판(2000)에 들뜸 없이 밀착된 상태로 납땜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 핀(1120)과 신호 단자의 접합상태가 불량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 고정부(1220)는 측벽(1210)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데, 고정돌기(1222)는 이 중 케이블 결합부(1100)에 인접한 고정다리(1221)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의 경우도 신호 핀(1120)에 인접한 고정다리(1221)에만 고정돌기(1222)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및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회로기판 커넥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로기판의 커넥터(1000)를 구성하는 케이스(1200)는 하나의 강판이 절단 및 절곡되어 측벽(1210) 및 보강부(1231, 1232, 123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200)의 측벽(1210)은 케이블 결합부(1100)가 구비된 제1 측벽(1211), 제1 측벽(1211)의 일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측벽(1212), 제2 측벽(1212)의 타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 측벽(1213), 제1 측벽(1211)의 타 단부와 제3 측벽의 타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4 측벽(1214), 제1 내지 제4 측벽(1214)이 감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5 측벽, 및 제2 및 제3 측벽(1213)의 일부 및 제4 및 제5 측벽(1215)이 감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6 측벽(1216)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200)는 제1 내지 제6 측벽(1216)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측벽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보강부(1231, 1232, 12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보강부(1231, 1232, 1233)는 제1 보강부(1231), 제2 보강부(1232), 및 제3 보강부(1233)를 포함한다. 보강부(1231, 1232, 1233)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1200)의 일부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 있다. 제1 보강부(1231)는 제1 측벽(1211)의 상부를 따라 구비되어 인접한 제2 측벽(1212) 및 제4 측벽(1214)의 상부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강부(1232)는 제6 측벽(1216)의 상부와 인접한 제3 측벽의 상부의 일부, 제6 측벽(1216) 상부의 일부, 및 제4 측벽(1214) 상부의 일부를 둘러 연결될 수 있다. 제3 보강부(1233)는 제2 측벽(1212) 상부 일부와 인접한 제3 측벽(1213) 및 제5 측벽(1215) 상부의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부(1231)는 제1 측벽(1211)의 상부를 따라 구비된 제1 베이스, 및 제1 베이스의 단부에서 제2 측벽(1212) 및 제4 측벽(1214)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와 제1 연장부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부(1231)는 측벽(1210)이 감싸는 제1 영역(A1, 도 1 참조)의 상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된 제1 베이스와 제1 연장부는 제1 영역(A1)의 개방영역을 넓히면서, 접하는 측벽(1210)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제2 보강부(1232)는 가운데가 개방된 상태로 제2 영역(A2, 도 1 참조)의 상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보강부(1232)의 내측 모서리는 곡률을 형성하여 제2 영역(A2)의 개방영역을 넓히면서, 접하는 측벽(1210)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제3 보강부(1233)는 제2 측벽(1212)의 상부를 따라 구비된 제2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의 단부에서 제3 측벽(1213) 및 제6 측벽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와 제2 연장부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될 수 있다. 제2 보강부(1232)는 측벽(1210)이 감싸는 제2 영역(A3, 도 1 참조)의 상면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된 제2 베이스와 제2 연장부는 제3 영역(A3)의 개방영역을 넓히면서, 접하는 측벽(1210)간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회로기판의 케이스(1200)는 하나의 강판이 도 6과 같이 절단되고, 측벽(1210)은 보강부(1231, 1232, 1233)에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작된다. 회로기판의 케이스(1200)는 하나의 강판이 절단 및 절곡되어 구성할 수 있어 제작 과정이 간단하다.
구체적으로, 제1 측벽(1211)은 제1 절곡선(L1)을 따라 제1 보강부(1231)에 수직으로 절곡된다. 제2 측벽(1212)은 제2 절곡선(L2)을 따라 제1 보강부(1231) 및 제3 보강부(1233)에 수직으로 절곡된다. 제3 측벽(1213)은 제3 절곡선(L3)을 따라 제2 보강부(1232) 및 제3 보강부에 수직으로 절곡된다. 제4 측벽(1214)은 제3 절곡선(L4)을 따라 제1 보강부(1231) 및 제2 보강부(1232)에 수직으로 절곡된다. 제5 측벽(1215)은 제5 절곡선(L5)을 따라 제2 보강부(1232) 및 제3 보강부(1233)에 수직으로 절곡된다. 제6 측벽(1216)은 제6 절곡선(L6)을 따라 제2 보강부(1232)에 수직으로 절곡된다.
케이스 고정부(1220)도 측벽(1210)의 하부에 구성되어 하나의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 고정부(1220)는 제1 측벽(1211) 내지 제6 측벽(1216)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케이스 고정부(1220)가 제1 측벽(1211), 제2 측벽(1212), 제4 측벽(1214), 및 제6 측벽(1216)에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측벽(1211) 내지 제6 측벽(1216)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에 회로기판(2000) 상에 구비된 전자부품 및 신호 회선 중 적어도 하나와 겹치지 않도록 홈(1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1240)은 제1 측벽(1211) 내지 제6 측벽(1216) 중 내측벽을 형성하는 제5 측벽(1215) 및 제6 측벽(1216)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제5 측벽(1215) 및 제6 측벽(1216)은 구획을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구획간 연결 구성을 가로지를 수 있다. 따라서, 제5 측벽(1215) 및 제6 측벽(1216)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홈(1240)은 구획을 연결하는 구성(예를들어, 전자부품 또는 신호 회선)과 측벽이 간섭되지 않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측벽(1211)은 케이블 결합부(1100)가 구비되는 홀(C)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결합부(1100)는 홀(C)을 사이로 신호 핀(1120)이 측벽(1210)의 내측 방향에 구비되고, 케이블 고정부(1110)가 측벽(1210)의 외측 방향에 구비된다. 여기서 내측 방향은 측벽(1210)이 감싸는 영역 방향 외측 방향은 측벽(1210)이 감싸는 영역의 바깥 방향이다.
제1 측벽(1211) 내지 제6 측벽(1216) 중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측벽 연결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 연결부(1250)는 측벽(1210) 일면에서 연장된 연결날개(1251), 인접하는 측벽(1210)의 모서리에서 돌출된 연결돌기(1252), 및 연결날개(1251)에 구비되고 연결돌기(1252)가 삽입되는 연결홀(125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00)는 측벽(1210)의 하부가 감싸는 영역보다 측벽(1210)의 상부가 감싸는 영역이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부(1231, 1232, 1233)가 상면을 형성하여 개방된 영역을 축소하는 것을 상쇄하여, 회로기판(2000) 내부 부품 실장이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1210)은 제1 측벽(1211) 내지 제4 측벽(1214)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굽은 경사면 또는 절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측벽(1212)에 두 개의 절곡선(L2’, L2”)을 포함하고, 제1 측벽(1211), 제3 측벽(1213), 및 제5 측벽(1215)의 모서리 형상(D)에 맞게 접하도록 조립되어, 제2 측벽의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굽은 경사면 및 절곡면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회로기판의 커넥터 1221: 고정다리
1100: 케이블 결합부 1222: 고정돌기
1110: 결합부 1231: 제1 보강부
1120: 신호 핀 1232: 제2 보강부
1200: 케이스 1233: 제3 보강부
1210: 측벽 1240: 홈
1211: 제1 측벽 1250: 연결부
1212: 제2 측벽 1251: 연결날개
1213: 제3 측벽 1252: 연결돌기
1214: 제4 측벽 1253: 연결홀
1215: 제5 측벽 2000: 회로기판
1216: 제6 측벽 2100: 신호 단자
1220: 고정부

Claims (10)

  1.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 단자와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고정하는 케이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신호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적어도 일 영역을 둘러 구비되는 측벽;
    상기 측벽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는 고정다리; 및
    상기 고정다리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걸리도록 구비된 고정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결합부가 구비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일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측벽;
    상기 제2 측벽의 타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3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타 단부와 상기 제3 측벽의 타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4 측벽;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이 감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5 측벽; 및
    상기 제2 및 제3 측벽의 일부 및 상기 제4 및 제5 측벽이 감싸는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6 측벽; 및
    상기 제1 내지 제6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측벽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측벽의 내측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 단자에 접하는 신호 핀; 및
    상기 측벽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핀은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 연결된 일 단부와 상기 신호 단자에 접하는 타 단부가 일정 높이 차를 형성하도록 굽어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 단부가 상기 측벽의 하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평면보다 더 내려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다리를 상기 측벽을 따라 복수 개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결합부에 인접한 고정다리에 상기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및 제6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된 전자부품 및 신호 회선 중 적어도 하나가 지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를 따라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 상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1 보강부;
    상기 제6 측벽의 상부와 인접한 상기 제3 측벽 상부의 일부, 제4 측벽 상부의 일부, 및 제6 측벽 상부의 일부를 둘러 연결되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제2 측벽 상부 일부와 인접한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5 측벽 상부의 일부에 연결되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부를 따라 구비된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단부에서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4 측벽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연장부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제3 보강부는
    상기 제2 측벽의 상부를 따라 구비된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단부에서 상기 제3 측벽 및 상기 제6 측벽의 상부를 따라 각각 연장된 제2 연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연장부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가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굽은 경사면 또는 절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하부가 감싸는 영역보다 상기 측벽의 상부가 감싸는 영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나의 강판이 절단 및 절곡되어 상기 제1 내지 제6 측벽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의 커넥터.
KR1020230100324A 2023-08-01 2023-08-01 회로기판의 커넥터 KR10261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324A KR102617116B1 (ko) 2023-08-01 2023-08-01 회로기판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0324A KR102617116B1 (ko) 2023-08-01 2023-08-01 회로기판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116B1 true KR102617116B1 (ko) 2023-12-27

Family

ID=8937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0324A KR102617116B1 (ko) 2023-08-01 2023-08-01 회로기판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1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89U (ko) * 1992-06-24 1994-01-03 김경현 뻐꾸기음 발성시계의 모형뻐꾸기 동작장치
KR20060049217A (ko) * 2004-06-15 2006-05-1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20160036451A (ko) *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솔루엠 튜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90124827A (ko) * 2011-08-04 2019-11-05 소니 주식회사 튜너 모듈 및 수신 장치
KR20220135961A (ko) * 2021-03-31 2022-10-07 한솔테크닉스(주)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89U (ko) * 1992-06-24 1994-01-03 김경현 뻐꾸기음 발성시계의 모형뻐꾸기 동작장치
KR20060049217A (ko) * 2004-06-15 2006-05-1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전자 장치용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20190124827A (ko) * 2011-08-04 2019-11-05 소니 주식회사 튜너 모듈 및 수신 장치
KR20160036451A (ko) *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솔루엠 튜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220135961A (ko) * 2021-03-31 2022-10-07 한솔테크닉스(주)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6268B2 (en)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circuit board and connector assembly structure
JP4425959B2 (ja) 同軸コネクターと、この同軸コネクターを構成するピン、誘電体及び本体と、これらの部品を使用して同軸コネクターを組み立てる方法並びに雄コネクター
US5336112A (en) Coaxial microstrip line transducer
KR102617116B1 (ko) 회로기판의 커넥터
JPH087956A (ja) 半導体装置の端子組立構造
CN108649356A (zh) 板对板型射频插头
US6956531B2 (en) Built-in antenna and mobile terminal incorporating same
CN114843731A (zh) 模块化的Pin针到微带的过渡结构
US20050148215A1 (en) Connector
JPH0810609B2 (ja) 高背型コネクタ
US20240006732A1 (en) Dielectric Filter
CN114899630A (zh) 基于htcc的ssmp过渡结构及组件
CN211406453U (zh) 一种红外触显pcb连接结构
CN213845722U (zh) 连接器
CN209561121U (zh) 一种共模电感
WO2023155643A1 (en) Rf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JPH04211501A (ja) 誘電体共振器及び誘電体フィルタ
JPH0353703A (ja) 電子部品の端子構造
CN218483026U (zh) 电路板安装结构
KR102110972B1 (ko) 분리형 튜너 및 이를 포함하는 분리형 튜너 모듈
JPH05283913A (ja) 同軸マイクロストリップライン変換器
KR101029419B1 (ko) 플로팅형 2인1 트랜스포머
KR0122322B1 (ko) 관통형 커패시터
JPH062322Y2 (ja) 誘電体フイルタ
KR20220095937A (ko) 터미널 단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