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961A -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961A
KR20220135961A KR1020210042339A KR20210042339A KR20220135961A KR 20220135961 A KR20220135961 A KR 20220135961A KR 1020210042339 A KR1020210042339 A KR 1020210042339A KR 20210042339 A KR20210042339 A KR 20210042339A KR 20220135961 A KR20220135961 A KR 20220135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fixing pin
fixing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527B1 (ko
Inventor
이주현
진호성
한철희
현인수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21004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05K3/3426Leaded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l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 H05K2201/10318Surface mounted metallic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땜 없이도 고정이 가능하고, 납땜할 경우에는 들뜸이나 틀어짐 없이 납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히트싱크가 장착되는 전자부품 베이스 및 상기 전자부품 베이스 길이 양단에 마련되어 전자부품 베이스를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전자부품 고정체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는,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 및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에서 양측으로 절개되어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 중 하나 이상에는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관통할 때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에 걸림촉을 형성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Insertion fixed type Electronic parts}
본 발명은 전자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끼워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서 납땜 없이도 고정이 가능하고, 납땜할 경우에는 들뜸이나 틀어짐 없이 납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전자부품은, 하부에 형성된 삽입핀을 인쇄회로기판의 삽입홀로 삽입 관통시켜 장착하고,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삽입핀 부분을 납땜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삽입핀은 이러한 전자부품 장착 과정에서 삽입홀로 삽입 관통이 가능하도록 삽입홀과 공차를 형성하도록 제작되어 헐거운 끼워맞춤으로 장착을 하는데, 이는 납땜 공정 시에 들뜸이나 틀어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삽입홀에 대한 삽입핀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중간 끼워맞춤이나 억지 끼워맞춤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조립이 용이하지 않아 조립 공정 시간이 증대되며, 자칫하면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납땜 방식의 경우, 전자부품의 발열로 인한 열 팽창 및 수축 반복과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고정력이 점차 저하되어 납땜을 주기적으로 보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고정을 위한 재료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으로 삽입되어 관통되는 전자부품의 고정핀 구조를 개선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장착 시에는 헐거운 끼워맞춤이 가능하되, 납땜 없이도 고정이 가능하며, 납땜 시에는 인쇄회로기판에 밀착 고정되어 들뜸이나 틀어짐 없이 납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은, 전자부품을 이루는 전자부품 베이스 및 전자부품 베이스에 마련되어 전자부품 베이스를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전자부품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는, 전자부품에 형성되는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 및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에서 양측으로 절개되어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 중 하나 이상에는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관통할 때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에 걸림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1 연장편의 측방으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편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은, 각각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절곡면이 내측으로 마주하도록 각 연장편에서 연장되어, 각 연장편과 고정핀 사이로 사각형태의 여유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편과 제2 연장편 중 하나는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여유홀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편은, 상기 제1 고정핀이 연장된 위치에서 더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연장편은, 상기 제2 고정핀이 연장된 위치에서 더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 중 걸림촉이 형성되지 않는 고정핀은, 삽입 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외측면이 굴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촉은, 고정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에서 제1 경사부보다 길게 고정핀 단부로 하향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촉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연장부위가 형성하는 돌출단부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거나 적은 돌출길이로 돌출되되, 상기 제1 경사부 상측에 마련되는 삼각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사부는, 길이를 따라 다단의 뾰족 돌기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촉은, 고정핀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3 경사부 및 상기 제3 경사부에서 제3 경사부보다 길게 고정핀 단부로 하향 경사지는 제4 경사부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을 아울러 끼워지며 상기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이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삽입홀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고정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은 상기 걸림촉에 의해 각 고정핀과 결속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 내측면에 고정키 삽입홈을 형성하여, 삽입 반대 방향에 저항하는 고정키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키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키 삽입홈간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형성하는 고정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은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 내측면에서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간 사이로 돌출되어, 고정핀을 내측으로 오므리는 외력이 작용할 시 외측으로 반발력을 형성하는 오므림 저항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 중 하나 이상에는 고정핀의 오므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오므림 조절체를 마련하며, 상기 오므림 조절체는, 고정핀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 내측면에서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간 사이로 돌출되며,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돌기 및 내주면에 상기 나사돌기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돌기를 따라 유동하면서 타측 고정핀에 대한 오므림 저항을 발생시키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 시에는 헐거운 끼워맞춤이 가능하되, 납땜 시에는 인쇄회로기판에 밀착 고정되어 들뜸이나 틀어짐 없이 납땜이 가능한 타입으로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조립 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인쇄회로기판의 파손 여지를 현저히 낮춘 장점이 있다.
또한, 납땜 없이 고정할 경우에는 조립 공정을 단축시키며 유지보수가 수월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면을 전자부품 고정체의 방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의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의 일 구성인 고정핀의 다양한 형태들을 예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도면을 전자부품 고정체의 방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의 일 구성인 고정핀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1)은, 전자부품을 이루는 전자부품 베이스(10) 및 전자부품 베이스(10)에 마련되어 전자부품 베이스(10)를 인쇄회로기판(PCB)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전자부품 고정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자부품 베이스(10)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장착되는 CPU, MPU, 그래픽 카드, 메모리 카드, LED, 냉각팬 등 다양한 전자부품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자부품 고정체(20)는 전자부품 베이스(10)의 폭 길이와 동일한 길이 또는 인접한 길이를 형성하는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 및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삽입되고 관통하여 일부가 인쇄회로기판(PCB) 하측으로 노출되는 고정핀(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특징은 고정핀(22)이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에서 양측으로 절개되는 구조를 가지어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을 형성하는 데 특징이 있다.
즉, 고정핀(22)의 중심부가 높이 방향을 따라 절개됨으로써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이 서로 양측으로 이격되어 높이를 형성하는데, 이때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 사이에 마련된 절개부(22c)로 인하여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탄성구조를 가지어 오므리거나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이로 인해,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서로 오므린 상태로 인쇄회로기판(PCB)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확장되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밀착되고 이탈에 저항하는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의 이탈방지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제1 고정핀(22a) 및 제2 고정핀(22b) 중 하나 이상에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삽입 관통할 때 인쇄회로기판(PCB) 하측으로 노출되는 위치에 걸림촉(23)을 형성할 수가 있다.
즉,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각각 걸림촉(23)을 형성할 수도 있고, 둘 중 하나의 고정핀(22)만 걸림촉(23)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여기서 제1 고정핀(22a) 또는 제2 고정핀(22b)에 마련되는 걸림촉(23)은 고정핀(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핀(22)이 상승하려고 할 시에 인쇄회로기판(PCB)에 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촉(23)의 형태는 고정핀(2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고정핀(22)의 다양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에서 바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제1 연장편(24a)과 제2 연장편(24b)을 더 구성하여 제1 연장편(24a)과 제2 연장편(24b)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편(24a)은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연장편(24b)은 제1 연장편(24a)의 측방으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가 있다. 즉, 제1 연장편(24a)과 제2 연장편(24b)이 양측으로 대향하는 구조이다.
이때,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각각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연장편(24a) 및 제2 연장편(24b)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절곡면(22a-1, 22b-1)이 내측에서 마주하도록 각 연장편(24a, 24b)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은 각 연장편(24a, 24b)과 함께 사각형태의 여유홀(25)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절개부(22c)에 의해서도 탄성력을 갖지만, 여유홀(25)에 의해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어 오므리거나 펼쳐지는 것이 보다 수월하고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특정 부분에 집중 하중이 발생하지 않고 보다 균일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여유홀(25)은 제1 연장편(24a)과 제2 연장편(24b) 중 하나가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 사이가 확장될 때에 경사방향으로 확장되기 때문으로써 보다 유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여유홀(25)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연장편(24a)과 제2 연장편(24b)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어 등변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연장편(24a)은 제1 고정핀(22a)이 연장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전자부품(1) 장착 시 인쇄회로기판(PCB)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지지대(26a)를 형성하고, 제2 연장편(24b)은 제2 고정핀(22b)이 연장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전자부품(1) 장착 시 인쇄회로기판(PCB)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대(26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지지대(26a, 26b)는 고정핀(22)이 인쇄회로기판(PCB)에 삽입될 경우 전자부품(1)이 인쇄회로기판(PCB)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쇄회로기판(PCB)과의 유격을 형성하여 마찰을 최소화하며 공기층 등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대(26a, 26b)는 그 단부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균일하게 전자부품(1)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 중 걸림촉(23)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핀(22)은 삽입 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외측면이 굴곡(R)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핀(22)의 삽입이 보다 수월할 수가 있다.
도 3 내지 도 10은 고정핀의 다양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걸림촉(23)은 고정핀(22)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부(231) 및 제1 경사부(231)에서 제1 경사부(231)보다 긴 길이를 형성하면서 고정핀(22) 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부(231)와 제2 경사부(232)의 연장부위에 돌출단부(233)가 형성되는데 이 돌출단부(233)가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한 걸림 작용을 하여 이탈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출단부(233)는 도면과 같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가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 작용에 효과적이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걸림촉(23)은 제1 경사부(231) 상측에서 돌출단부(233)의 돌출길이와 동일하거나 적은 돌출길이로 돌출되는 삼각 돌출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삼각 돌출부(234)는 제1 경사부(231)와 제2 경사부(232)의 돌출단부(233)와 함께 이중으로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핀(22)의 이탈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경사부(232)는 길이를 따라 다단의 뾰족 돌기(232a)를 마련할 수도 있다. 다단의 뾰족 돌기(232a)는 고정핀이 이탈하고자 할 경우 다단으로 걸림 작용을 발생시켜 이탈 방지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걸림촉(23)은 다른 예로써 고정핀(22)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제3 경사부(235)와, 제3 경사부(235)에서 제3 경사부(235)보다 긴 길이로 고정핀(22) 단부로 하향 경사지는 제4 경사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경사부(235)와 제4 경사부(236)의 연장으로 인해 상향 뾰족단부(237)가 형성되고, 이 상향 뾰족단부(237)가 인쇄회로기판(PCB)에 대한 걸림 작용을 하여 이탈에 대한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경사부(235)와 제4 경사부(23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림촉(23)은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나, 한편으론 고정핀(22)의 높이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3 경사부(235)와 제4 경사부(236)는 높이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개수가 많을 수록 이탈 방지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고정캡(27)을 고정핀(22)에 장착한 상태에서 고정캡(27)을 절개한 단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전자부품 고정체(20)는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이 인쇄회로기판(PCB)에 삽입될 때에 노출된 부분을 아울러 끼워지고,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이 삽입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의 삽입홀(H)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고정캡(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캡(27)은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을 아울러 끼워질 때에 걸림촉(23)에 의해 각 고정핀(22a, 22b)과 결속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고정캡(27) 마련 시에는 걸림촉(23)은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 중 하나에만 걸림촉(23)이 마련되어도 고정캡(27)의 장착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캡(27)은 인쇄회로기판(PCB)의 삽입홀(H)보다 큰 직경을 형성함으로써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이 삽입 방향 반대로 이탈하는 것에 저항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고정캡(27)은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탈거도 가능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가감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은 각각 인쇄회로기판(PCB) 삽입 시에 인쇄회로기판(PCB)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 내측면에 고정키 삽입홈(221)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에 형성되는 각 고정키 삽입홈(221)을 통해 그 사이로 하나의 고정키(222)를 삽입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키(222)가 각 고정핀(22a, 22b)이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려는 저항으로 작용하여 각 고정핀(22a, 22b)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다 균형적인 이탈 저항을 위해 각 고정키 삽입홈(221)은 서로 대칭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술한 고정키(222)는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에 각각 마련되는 양측 고정키 삽입홈(221)간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형성하는 고정키(222)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키 삽입홈(221)간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형성하는 고정키(222)를 사용할 경우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 간을 확장시켜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은 각각 인쇄회로기판(PCB)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 내측면에서 제1 고정핀(22a) 및 제2 고정핀(22b)간 사이로 돌출되는 오므림 저항돌기(223)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오므림 저항돌기(223)는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할 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실리콘이나 TPU 등의 탄성 변형소재로 마련되어,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삽입 시에는 작업자의 힘에 의해 내측으로 면적을 좁혀 삽입되도록 할 수 있지만, 삽입 후에는 특별히 작업자의 힘만큼의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각 고정핀(22a, 22b)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수단으로 작용되어 제1 고정핀(22a)과 제2 고정핀(22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오므림 저항돌기(223)는 각 고정핀(22a, 22b)이 내측으로 오므리는 외력이 작용될 시에 외측으로 반발력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이때 오므림 저항돌기(223)는 작업자가 힘을 주어 고정핀(22)을 최대로 오므릴 경우에 인쇄회로기판(PCB)에 가까스로 끼워질 수 있는 변형성만 마련함으로써 작업자의 힘 외에는 다른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 중 하나 이상에는 고정핀(22)의 오므림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오므림 조절체(224)를 마련할 수도 있으며, 오므림 조절체(224)는 나사돌기(224a) 및 조절부재(22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사돌기(224a)는 고정핀(22)의 인쇄회로기판(PCB)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 내측면에서 제1 및 제2 고정핀(22a, 22b)간 사이로 돌출되며, 외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224b)는 내주면에 나사돌기(224a)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돌기(224a)를 따라 유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절부재(224b)는 타측 고정핀(22) 방향으로 유동할 경우 오므림 정도를 낮출 수 있고, 조절부재(224b)가 유동하는 나사돌기(224a)가 형성된 일측 고정핀(22) 방향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오므림 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고정핀(22a, 22b)의 인쇄회로기판(PCB) 삽입 전에는 각 고정핀(22a, 22b)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24b)를 조절하고, 인쇄회로기판(PCB) 삽입 후에는 각 고정핀(22a, 22b)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조절부재(224b)를 조절하고, 다시 탈거시킬 때는 조절부재(224b)를 각 고정핀(22a, 22b)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전자부품의 조립과 이탈 방지, 차후 유지보수에 있어서 전자부품 탈거가 모두 수월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고정핀(22)은 도면과 같이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의 양측방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 중심에 1개만 마련될 수도 있고,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21)의 길이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정핀(22)은 납땜 없이도 고정이 가능하여, 납땜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는데, 납땜 없이 고정할 경우에는 조립 공정을 단축시키며 유지보수가 수월하고 재료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고, 납땜을 할 경우에는 들뜸이나 틀어짐 없이 납땜이 가능한 큰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10 : 전자부품 베이스
20 : 전자부품 고정체
21 :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
22 : 고정핀
221 : 고정키 삽입홈
222 : 고정키
223 : 오므림 저항돌기
224 : 오므림 조절체
224a : 나사돌기
224b : 조절부재
22a : 제1 고정핀
22b : 제2 고정핀
22c : 절개부
23 : 걸림촉
231 : 제1 경사부
232 : 제2 경사부
232a : 뾰족 돌기
233 : 돌출단부
234 : 삼각 돌출부
235 : 제3 경사부
236 : 제4 경사부
237 : 뾰족단부
24a : 제1 연장편
24b : 제2 연장편
25 : 여유홀
26a : 제1 지지대
26b : 제2 지지대
27 : 고정캡
PCB : 인쇄회로기판
H : 삽입홀
R : 굴곡

Claims (8)

  1. 전자부품을 이루는 전자부품 베이스 및
    전자부품 베이스에 마련되어 전자부품 베이스를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전자부품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는,
    전자부품에 형성되는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 및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관통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삽입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에서 양측으로 절개되어 제1 고정핀과 제2 고정핀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고정핀 및 제2 고정핀 중 하나 이상에는 인쇄회로기판을 삽입 관통할 때 인쇄회로기판 하측으로 노출된 위치에 걸림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핀은,
    상기 제1 연장편의 측방으로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전자부품 고정체 베이스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편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은,
    각각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절곡면이 내측으로 마주하도록 각 연장편에서 연장되어,
    각 연장편과 고정핀 사이로 사각형태의 여유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편과 제2 연장편 중 하나는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여유홀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편은,
    상기 제1 고정핀이 연장된 위치에서 더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안착되는 제1 지지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연장편은,
    상기 제2 고정핀이 연장된 위치에서 더 돌출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 중 걸림촉이 형성되지 않는 고정핀은,
    삽입 방향을 향해 폭이 좁아지도록 외측면이 굴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촉은,
    고정핀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에서 제1 경사부보다 길게 고정핀 단부로 하향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촉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의 연장부위가 형성하는 돌출단부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거나 적은 돌출길이로 돌출되되, 상기 제1 경사부 상측에 마련되는 삼각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는,
    길이를 따라 다단의 뾰족 돌기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KR1020210042339A 2021-03-31 2021-03-31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KR10251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39A KR102510527B1 (ko) 2021-03-31 2021-03-31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339A KR102510527B1 (ko) 2021-03-31 2021-03-31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961A true KR20220135961A (ko) 2022-10-07
KR102510527B1 KR102510527B1 (ko) 2023-03-16

Family

ID=8359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339A KR102510527B1 (ko) 2021-03-31 2021-03-31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116B1 (ko) * 2023-08-01 2023-12-27 에스엠일렉트㈜ 회로기판의 커넥터
WO2024090719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체결 구조물 및 상기 일체형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097A (ko) * 1997-11-17 1999-06-05 구자홍 회로소자 및 그 조립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20100006457U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과 히트 싱크용 러그의 체결구조
KR101978793B1 (ko) * 2013-07-11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097A (ko) * 1997-11-17 1999-06-05 구자홍 회로소자 및 그 조립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20100006457U (ko) * 2008-12-17 2010-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과 히트 싱크용 러그의 체결구조
KR101978793B1 (ko) * 2013-07-11 201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719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체결 구조물 및 상기 일체형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17116B1 (ko) * 2023-08-01 2023-12-27 에스엠일렉트㈜ 회로기판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527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5961A (ko) 끼움 고정식 전자부품
US6105215A (en) Clip heat assembly for heat sink
US6313993B1 (en) Strap spring for attaching heat sinks to circuit boards
US6104614A (en) Fastening device for tight attachment between two plates
US20090169326A1 (en) Fastening device
US20090129026A1 (en) Heat sink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heat sink
US6644387B1 (en) Heat sink assembly with spring clamp
GB2293487A (en) Attacking heat sinks to integrated circuits
US7661462B2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KR102468966B1 (ko) 복수의 결합 섹션을 갖는 전기 컨택트
US11812584B2 (en) Heat spreader device
JPWO2011158756A1 (ja) ヒートシンクの装着構造並びにこの構造によって装着されたヒートシンク
US20140036451A1 (en) Heat sink assembly
US20060162920A1 (en) Heat sink
CN115632035A (zh) 用于双侧散热器的固定装置和相关联的散热系统
US20090183863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Heat Radiation Fins
KR102344976B1 (ko) 끼움 고정식 히트싱크용 러그
DE102018218101A1 (de) Leistungsmodul und Halbleitergerät
US10230184B1 (en) Compliant pin with an engagement section
US6311765B1 (en) Heat sink assembly
US7768786B2 (en) Heatsink assembly
JP4138634B2 (ja) ヒートシンク固定装置
US6275380B1 (en) Add-on heat sink and method
JP7267469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8825620A (zh) 一种散热器紧固推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