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584A -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점착 시트 - Google Patents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점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584A
KR20060047584A KR1020050035503A KR20050035503A KR20060047584A KR 20060047584 A KR20060047584 A KR 20060047584A KR 1020050035503 A KR1020050035503 A KR 1020050035503A KR 20050035503 A KR20050035503 A KR 20050035503A KR 20060047584 A KR20060047584 A KR 20060047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eight
meth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쓰키 고바야시
다쓰미 아마노
마사히코 안도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31Pressure sensitiv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박리시 감압성 점착 시트의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저감되고, 점착 신뢰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15 내지 100중량%, 상기 부가물 이외의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85중량% 및 기타 중합성 단량체 0 내지 85중량%를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및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점착 시트{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도 1은 실시예에서 박리 대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위측정부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감압성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시트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보상 필름, 반사시트, 휘도향상 필름 등의 광학 부재표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표면보호 필름(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감압성 점착 시트는 상온으로 단시간동안 약간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점착할 수 있어 각종 물품의 접합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 시트는 응집력과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점착하는 반면, 딱딱한 평활면에 서 벗겨질 수 있어 표면보호 필름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표면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 보호필름 측에 코팅된 감압성 점착제 층을 통해 보호될 피보호체에 점착시킴으로써 보호될 피보호체의 가공 또는 운반시에 생기는 상처나 오염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컨대 상처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보호 필름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패널에 사용되는 편광판이나 파장판과 같은 광학 부재에 표면보호 필름이 감압성 점착제 층을 통해 점착된다. 이들 광학 부재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에서, 세퍼레이터(separator)는 일반적으로 감압성 점착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광학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표면보호 필름을 광학 부재에 점착시키는 단계에서 이러한 세퍼레이터는 불필요하므로 광학 필름으로부터 박리되어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표면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보호 필름이나 감압성 점착제 및 세퍼레이터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절연성이 높고, 마찰 또는 박리시 정전기가 발생한다. 따라서, 편광판 같은 광학 부재로부터 표면보호 필름의 박리시 정전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정전기로 인해 표면보호 필름 또는 광학 부재에 먼지가 점착하게 되어 광학 부재가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표면보호 필름에 각종 대전방지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지금까지 상술된 정전기를 억제하는 시도로서는 예를 들어 감압성 점착제에 저분자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감압성 점착제로부터 계면활성제를 피보호체에 전사시켜 대전방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9-165460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첨가한 저분자의 계면활성제는 감압성 점착제 표면에 흘러나오기 쉽고, 표면보호 필름에 점착시킬 경우,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분자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감압성 점착제를 광학 부재용 표면보호 필름에 점착시킬 경우 광학 부재의 광학특성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대전방지제를 점착제 층에 함유시킨 감압성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 6-128539호 공보 참조). 이러한 감압성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 표면에 대전방지제가 흘러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대전방지제를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에 첨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 시트를 이용하더라도 대전방지제 등의 흘림현상은 피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실제로 표면보호 필름에 점착시킬 경우 시간 처리 또는 고온조건하의 처리를 실시하면 흘림현상에 의해 보호될 피보호체로부터 표면보호 필름이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방법으로든 상술된 문제점을 온전하게 해결할 수 없으며, 정전기의 대전이나 오염이 특별히 심각한 문제가 되는 전자 기기 관련 기술분야에서 대전방지성 표면보호 필름의 추가적인 향상 요건에 순응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박리시 감압성 점착 시트의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고, 점 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저감되고, 점착 신뢰성이 우수한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하기 개시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상술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점착성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15 내지 100중량%, 상기 부가물 이외의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85중량% 및 기타 중합성 단량체 0 내지 85중량%를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란 아크릴계 중합체 및/또는 메타크릴계 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계 단량체 및/또는 메타크릴계 단량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하면 실시예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15 내지 100중량%를 단량체 성분으로 하고 알칼리 금속염을 추가로 함유하기 때문에 이를 가교한 감압성 점착제 층은 점착 지지 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저감되어 박리시 감압성 점착 시트의 대전방지성이 우수하게 된다. 상기 단량체 성분을 주성분으로 이용하는 가교된 기재 중합체가 이러한 특성을 발현하는 상세한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중의 에테르기를 알칼리 금속염으로 배위함으로써 알칼리 금속염이 흘러내림을 어렵게 하여 우수한 대전방지성과 저오염성을 동시에 실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산가는 바람직하게 29이하, 보다 바람직하게 20이하, 가장 바람직하게 15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가란 시료 1g 중에 함유된 유리 지방산 또는 수지산을 중화하는데 필요로 하는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의미한다. (메트)아크릴 중합체 골격 중에는 알칼리 금속염과의 상호작용이 큰 카복실기 및 설포네이트기가 다수 존재하게 되어 그 결과 이온전도가 방해되고, 감압성 점착 시트의 우수한 대전방지능이 수득되지 않는 것으로 추측된다. 산가가 29를 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에서는 감압성 점착 시트의 우수한 대전방지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알칼리 금속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칼리 금속염을 이용하여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의 상용성 및 온전한 상호작용을 수득함으로써 박리시 대전방지가 실현되며,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저감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 이용하는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염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높은 해리성을 갖는 리튬염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층은 상술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층에 따르면 상술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층이 형성되므로,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저감되어 박리시 감압성 점착제 시트의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감압성 점착 시트가 수득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 층은 특별히 대전방지형의 감압성 점착제 층으로서 유용하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구성단위 및 구성비율, 가교제의 선택 및 첨가비율을 적절히 조절하고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보다 내열성이 우수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감압성 점착 시트는, 필름이 전술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가교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감압성 점착제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시트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므로 박리시 감압성 점착제 시트의 전정기가 감소되며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서의 오염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감압성 점착 시트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러한 시트는 특히 정전기의 대전이나 오염이 특별히 심각한 문제가 되는 전자 부품 관련의 기술분야에서의 대전방지성 표면보호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15 내지 100중량%, 상기 부가물 이외의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 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85중량%, 및 기타 중합성 단량체 0 내지 85중량%를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및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로서는 상술된 특성과 상응하는 감압성 점착성을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옥시알킬렌 단위로서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예컨대 옥시메틸렌기,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및 옥시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 옥시알킬렌 단위의 부가몰수는 알칼리 금속염과의 친화성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이다. 옥시알킬렌 쇄의 말단은 하이드록실기를 그대도 유지하거나 다른 작용기로 치환할 수 있으며, 가교밀도를 적절히 제어하는데 있어서 알킬기, 페닐기 등으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메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형,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톡시-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형, 부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톡시-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부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형, 페녹 시-다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페녹시-트라이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페녹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형, 메톡시-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유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 중 바람직하게 15 내지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20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 25 내지 100중량%이다.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의 함유량이 15중량%보다 적은 경우, 알칼리 금속염과의 상호작용이 불충분하게 되어 알칼리 금속염의 흘러내림 억제효과 및 피보호체의 오염 저감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지만, 탄소수 2 내지 13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레이트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 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라이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n-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단량체 성분 중 0 내지 85중량%가 바람직하며, 0 내지 8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 내지 75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이용함으로써 알칼리 금속염과의 양호한 상호작용 및 양호한 점착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이외의 기타 중합성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점이나 박리성을 조정하기 위한 중합성 단량체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중합화에 사용되는 기타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설폰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바이닐 에스터 단량체, 방향족 바이닐 단량체의 응집력 또는 열성 향상성분, 및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아마이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바이닐 에테르의 점착력 향상이나 가교점으로서 작용하는 작용기를 갖는 성분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기타 성분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 다.
카복실기, 설폰산기 및 인산기와 같은 산 작용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산가가 29 이하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산가가 29를 초과하면, 대전특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산가는 배합될 산 작용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에 의해 조정될 수 있으며, 이의 예로는 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을 3.7중량부로 조정함으로써 상술된 산가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설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스티렌설폰산, 알릴설폰산, 2-(메트)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메트)아크릴아마이드프로페인설폰산,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설폰산 및 바이닐설폰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
바이닐 에스터 단량체로서는 바이닐 아세테이트, 바이닐 프로피오네이트 및 바이닐 라우레이트를 들 수 있다.
방향족 바이닐 단량체로서는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기타 치환된 스티렌을 들 수 있다.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카복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복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및 아이소크로톤산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및 상술된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무수산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롤(메트)아크릴아마이드, 바이닐 알콜, 알릴 알콜, 2-하이드록시에틸 바이닐 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바이닐 에테르 및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바이닐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아마이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바이닐피롤리돈,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타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메타크릴아마이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마이드 및 다이아세톤아크릴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는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 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을 들 수 있다.
이미도기 함유 단량체로는 사이클로헥실멜레이미드, 아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및 이타콘이미드를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릴글리시딜 에테르를 들 수 있다.
바이닐 에테르로는 메틸 바이닐 에테르, 에틸 바이닐 에테르 및 아이소부틸 바이닐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상술한 기타 중합가능한 단량체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로서의 함유량은 중합성 단량체 성분이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총 구성 단위 100중량부의 0 내지 8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내지 75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된 기타 중합성 단량체를 이용함으로써 알칼리 금속염과의 양호한 상호작용 및 양호한 점착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 100,000 내지 5,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4,000,00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0 내지 3,000,000이다.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보다 작은 경우는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작게 되므로 나머지가 페이스트(paste)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중합체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편광판상의 젖음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어 수득된다.
또한, 점착성 점착 성능이 쉽게 균형화되는 이유 때문에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가 0℃ 이하(보통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0℃보다 높은 경우, 충분한 점착성을 수득하기 어렵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g)는 사용되는 단량체 성분 및 조성비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전술된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는 용액 중합, 유액 중합, 벌크 중합 및 현탁 중합과 같은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합성하는 공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또한, 생성된 중합체는 래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을 포함하는 금속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Li+, Na+ 또는 K+로 이루어진 양이온과 Cl-, Br-, I-, BF4 -, PF6 -, SCN-, ClO4 -, CF3SO3 -, (CF3SO2)2N-, (C2F5SO2)2N-, 또는 (CF3SO2)3C-로 이루어진 음이온으로부터 구성되는 금속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LiBr, LiI, LiBF4, LiPF6, LiSCN, LiC1O4,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및 Li(CF3SO2)3C와 같은 리튬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알칼리 금속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염의 배합량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칼리 금속염을 0.01 내지 5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05 내지 3중량부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중량부보다 적으면 충분한 대전특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배합량이 5중량부보다 크면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에의 오염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에서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감압성 점착 시트는 가교계 중합체, 특히 (메트)아크릴계 중합체를 적절히 가교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교제로서는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수지, 아지리딘 유도체, 및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 주로 적절한 응집력을 얻는 관점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에폭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일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방향족 아이소시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환족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아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보다 특정한 예로는 부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저급 지방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펜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환족 아이소시아네이트, 2,4-톨일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와 같는 방향족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톨일렌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엘(Coronate L, 닛폰 폴리유레테인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품),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닛폰 폴리유레테인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아이소시아누레이트(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닛폰 폴리유레테인 인더스트리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와 같은 아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아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다이아민(상품명 TETRAD-X, 미쓰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제품) 및 1,3-비스(N,N-다이글리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상품명 TETRAD-C, 미쓰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멜라민계 수지로서는 헥사메틸올멜라민을 들 수 있다.
아지리딘 유도체로서는 시판품으로서 상품명 HDU, 상품명 TAZM, 상품명 TAZO(모두 소고 파마슈티칼 컴파니 리미티드(Sogo Pharmaceutical Co., Ltd.) 제품임)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 용할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금속성분으로서 알루미늄, 철, 주석, 티타늄, 니켈 등을 들 수 있고, 킬레이트 성분으로서 아세틸렌,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가교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사이의 균형에 의해 좌우되며 적합하게는 감압성 점착 시트로서 유용성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아크릴 감압성 점착제의 응집력으로 인해 충분한 내열성을 수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교제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5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내지 10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O.01중량부보다도 적은 경우, 가교제에 의한 가교형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이 작게 되어 충분한 내열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이는 점착제 잔기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함유량이 15중량부를 넘는 경우, 중합체의 응집력이 커지고 유동성이 저하되어 점착 지지체(보호될 피보호체)상의 젖음이 불충분하게 되어 들뜸의 원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실질적인 가교제로서 두 개 이상의 방사선 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함유하는 다작용성 단량체를 첨가하며, 이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가교시킬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방사선 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다작용성 단량체로서는 예 컨대 바이닐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및 바이닐벤질기의 방사선의 조사로 가교처리(경화)될 수 있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방사선 반응성을 두 개 이상 갖는 다작용성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반응성 불포화 결합을 10개 이하 갖는 성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다작용성 단량체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작용 단량체의 예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바이닐벤젠 및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다작용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가교될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와의 균형에 의해 좌우되며 적합하게 감압성 점착 시트로서의 유용성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아크릴 감압성 점착제의 응집력으로 인해 충분한 내열성을 수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30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 및 점착성 면에서 단량체를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이하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방사선으로서는 자외선, 레이저-선, α선, β선, γ선, X선 및 전자빔을 들 수 있다. 제어성 및 취급성 면에서의 장점, 및 비용 면에서 자외선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파장 200 내지 400 nm의 자외선이 사용된다. 자외선은 고압수은 램프, 미세파 여기 유형 램프 및 화학 램프와 같은 적절한 광원을 이용하여 조사될 수 있다. 방사선으로서 자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아크릴 감압성 점착제 층에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다.
광중합 개시제는 방사선 반응성 성분의 종류에 의해 좌우되며, 중합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는 적당한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라디칼 또는 양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일 수 있다.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메틸 o-벤조일벤조에이트-p-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아이소프로필 에테르, α-메틸벤조인과 같은 벤조인, 벤질다이메틸케탈, 트라이클로로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및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과 같은 아세토펜,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및 2-하이드록시-4'-아이소프로필-2-메틸프로피오페논과 같은 프로피오페논, 벤조페논, 메틸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및 p-다이메틸아미노벤조페논과 같은 벤조페논, 2-클로로티옥산톤, 2-에틸티옥산잔톤 및 2-아이소프로필티옥산톤과 같은 티옥산톤, 비스(2,4,6-트라이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2,4,6-트라이메틸벤조일)-(에톡시)-페닐포스핀 옥사이드와 같은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벤질, 다이벤즈수베론 및 α-아실옥심 에테르를 들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 방향족 다이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방향족 설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알렌 착체, 타이타노센 착체 및 아릴 실란올-알루미늄 착체와 같은 유기 금속 착체, 니트로벤질 에스터, 설폰산 유도체, 인산 에스터, 페 놀설폰산 에스터, 다이아조나프토퀴논 및 N-하이드록시이미도설포네이트를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보통 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로 배합하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7중량부의 범위로 배합한다.
추가로, 아민과 같은 광개시 중합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광개시 보조제로서는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 다이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다이메틸아미노벤조산 에틸 에스터 및 p-다이메틸아미노벤조산 아이소아밀 에스터를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 제조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 제조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내지 7중량부의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시트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기타 공지된 첨가제, 예컨대 착색제, 안료 같은 분말, 계면활성제, 가소제, 점착성부여제, 저분자량 중합체, 표면 윤활제, 평활제,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중합억제제, 실란 커플링제,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분말, 입자 및 호일 및 금속분말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층은 상술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시트는 이러한 감압성 점착제 층을 지지 필름(지지체)상에 형성시킨 것이다. 이 때,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는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의 코팅 후에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가교 후 감압성 점착 제 층 조성물을 지지 필름(지지체)에 전이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성분으로서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할 경우 감압성 점착제 층은,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보호될 피보호체상에 직접 코팅하거나 또는 지지 기재의 한면 또는 양면에 코팅한 후, 광조사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대개 감압성 점착제 층은 파장 300 내지 400nm에서 조도가 1 내지 200mW/cm2인 자외선을 광량 400 내지 4000 mJ/cm2 정도로 조사하여 광중합시킴으로써 사용된다.
필름(지지체)상에 감압성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술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 필름에 코팅하고 중합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감압성 점착제 층을 지지 필름(지지체)상에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어서, 감압성 점착제 층의 성분 전달의 조정이나 가교반응의 조정을 목적으로 양생시킬 수 있다. 택일적으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 필름상에 코팅하여 점착 시트를 제조할 때 조성물을 지지 필름상에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도록 조성물에 중합용제 이외의 1종 이상의 용제를 새롭게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예로는 롤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싱(brushing), 분무 코팅 및 에어 나이프 코팅법, 침지 및 휘장 코팅법 및 다이 코팅기를 사용하는 압출 성형 코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시트는 상술된 감압성 점착제 층을 플라스틱 필름, 예컨대 폴리에스터 필름 또는 다공성 물질, 예컨대 종이 및 부직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지지체상에 대개 3 내지 100μ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μm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여 시트 또는 테이프의 양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층을 사용하는 표면보호 필름으로 구성된 지지체의 두께는 대개 2 내지 200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정도이다. 지지체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마이드계의 이형제 및 실리카 분말에 의한 이형 및 방오처리 또는 산처리, 알칼리 처리,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및 자외선 처리와 같은 역점착 처리, 코팅형, 니딩형 또는 증착형 대전방지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갖는 동시에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을 갖는 지지체에 의해 롤 코팅기 등에 의해서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할 수 있어 롤 형상으로 감을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재로서는 시트 또는 필름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폴리부타다이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바이닐알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터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유레테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아마이드 필름, 예컨대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부분방향족 폴리아 마이드,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필름, 바이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필름, 폴리바이닐리덴 클로라이드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 시트는 필요에 따라 감압성 점착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감압성 점착제 표면에 세퍼레이터(또는 박리선, 박리시트 등)를 점착시킬 수 있다.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기재로서 종이 및 플라스틱 필름이 있으며, 우수한 표면 평활성 면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필름으로서는 상기 감압성 점착제 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및 폴리4-메틸-1펜텐, 폴리부타다이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바이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 및 에틸렌 바이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에스터 필름,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 폴리유레테인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아마이드 필름, 예컨대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부분방향족 폴리마아미드, 폴리바이닐 클로라이드 필름, 바이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필름, 폴리바이닐리덴 클로라이드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수 있다.
상기 필름의 두께는 보통 5 내지 200μ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정도이다. 필름의 표면에 점착시키는 감압성 점착제 층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마이드계의 이형제 및 실리카 분말에 의한 이형 및 방오처리 또는 산처리, 알칼리 처리,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 마 처리 및 자외선 처리와 같은 역점착 처리, 코팅형, 니딩형 또는 증착형 대전방지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한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감압성 점착제 층 및 감압성 점착 시트는 특히 정전기가 발생하기 쉬운 플라스틱 제품에 사용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특히 정전기의 대전이나 오염이 특별히 심각한 문제가 되는 광학·전자부품 관련 기술분야에서 대전방지성 표면보호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효과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실시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평가항목은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메트)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측정>
중량평균 분자량을 GPC 기기(HLC-8220GPC, 도소 코포레이션(Tosoh Corporation)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시료 농도: 0.2중량%(THF 용액)
시료 주입량: 10㎕
용리액: THF
유량: 0.6ml/분
컬럼온도: 40℃
컬럼:
시료 컬럼; TSK가드 칼럼 수퍼HZM-H(1칼럼)+ TSK 겔 수퍼HZM-H(2칼럼)
참조컬럼;
TSK 겔 수퍼H-RC(1칼럼)
검출기: 굴절율 검출기(RI)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하였다.
<유리전이온도(Tg) 측정>
유리전이온도 Tg(℃)는 각 단량체의 동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 Tgn(℃)로서 하기의 참조치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했다.
Figure 112005022345353-PAT00001
[상기 식에서,
Tg(℃)는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이고,
Wn(-)는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이고,
Tgn(℃)는 각 단량체의 동종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이고,
n은 각 단량체의 종류를 나타낸다]
참조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5℃
부틸 아크릴레이트: -55℃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70℃
메톡시-다이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40℃(동적점탄성 측정에 의해 결정됨)
아크릴산: 106℃
<동적점탄성 측정>
두께 25μm의 점착 시트를 약 2mm의 두께로 적층하여 φ7.9 mm로 펀칭하여 원주상 펠렛을 제조하고, 이를 유리전이온도(Tg)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측정 시료를 사용하여 φ7.9mm 펠렛의 판 지그(jig)상에 측정 시료를 고정하고, 동적점탄성 측정 장치(ARES, 레오메트릭 사이언티픽, 인코포레이티드(Rheometric Scientific, Inc) 제품)를 이용하여 이 시료의 손실 탄성율 G"의 온도의존성을 측정하여 수득된 G" 곡선이 극대로 되는 온도를 유리전이온도(Tg)로 하였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측정: 전단모드
온도범위: -70 내지 200℃
승온속도: 5℃/분
주파수: 1Hz
<산가 측정>
산가는 자동적정 장치(COM-550, 히라누마 산교 컴파니 리미티드(HIRANUMA SANGYO Co., Ltd.)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22345353-PAT00002
[상기 식에서,
A는 산가이고,
Y는 시료 용액의 적정량(ml)이고,
X는 혼합용매 50g만의 용액 적정량(ml)이고,
f는 적정용액 인자이고,
M은 증합체 시료의 중량(g)이다]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시료용액: 중합체 시료 약 0.5g을 혼합용매(중량비: 톨루엔/2-프로판올/증류수150/49.5/0.5) 50g에 용해하여 시료용액으로 하였다.
적정용액: 2-프로판올성 수산화칼륨 용액(0.lN, 와코 푸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석유제품 중화가 시험용)
전극: 유리전극; GE-101, 비교전극; RE-201
측정모드: 석유제품 중화가 시험 1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실시예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A)]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40중량부,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8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94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18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 근을 유지하여 약 6시간동안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0, 유리전이온도(Tg)는 -68℃, 산가는 0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B)]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0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2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197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197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동안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B) 용액(35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30,000, 유리전이온도(Tg)는 -68℃, 산가는 0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C)]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40중량부, 메톡시-다이프로필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8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47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65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동안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C)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90,000, 유리전 이온도(Tg)는 -60℃, 산가는 0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D)]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4O중량부,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아크릴산 4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94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18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동안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D)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D)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0, 유리전이온도(Tg)는 -68℃, 산가는 15였다.
[아크릴계 공중합체(E)]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부틸 아크릴레이트 140중량부,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8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94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18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동안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E)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E)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40,000, 유리전이온도(Tg)는 -58℃, 산가는 O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F)]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40중량부,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벤질다이메틸케탈(이르가큐어(Irgacure)65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컴파니(Ciba Specialty Chemicals Co.) 제품) 0.2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고압수은 램프(SHL-100 UVQ-2, 도시바 라이팅 앤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제품)로 자외선 조사함으로써 약 3분간 중합반응시켜 중합율 10%의 부분 중합물(시럽)인 아크릴계 공중합체(F) 용액(10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F)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200,000, 유리전이온도(Tg)는 -70℃, 산가는 0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G)]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40중량부,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60중량부, 아크릴산 8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94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18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G)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G)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10,000, 유리전이온도(Tg)는 -66℃, 산가는 30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H)]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구 플라 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O중량부, 에톡시-다이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8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톨루엔 47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65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H)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H)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0, 유리전이온도(Tg)는 -68℃, 산가는 0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I)]
교반날개,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00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8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니트릴 0.4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312중량부를 채우고 느슨히 교반하면서 질소가스를 도입하여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6시간동안 중합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I) 용액(40중량%)을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I)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40,000, 유리전이온도(Tg)는 -68℃, 산가는 0이었다.
<대전방지제 용액의 제조>
[대전방지제 용액(a)]
교반날개, 온도계,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과염소산리튬 5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중량부를 채우고 플라스크 안의 액온을 2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2시간동안 혼합교반하여 대전방지제 용액(a)(20중량%)을 제조 하였다.
[대전방지제 용액(b)]
교반날개, 온도계,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요오드화리튬 5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중량부를 채우고 플라스크 안의 액온을 2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2시간동안 혼합교반하여 대전방지제 용액(b)(20중량%)을 제조하였다.
[대전방지제 용액(c)]
교반날개, 온도계,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요오드화리튬 0.5중량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다이올형, 수평균 분자량 2000) 9.5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10중량부를 채우고 플라스크 안의 액온을 80℃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2시간동안 혼합교반하여 대전방지제 용액(c)(50중량%)을 제조하였다.
[대전방지제 용액(d)]
교반날개, 온도계, 냉각기, 적하 깔대기를 구비한 4목 플라스크에 과염소산리튬 02중량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다이올형, 수평균분자량 2000) 9.8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10중량부를 채우고 플라스크내의 액온을 80℃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2시간동안 혼합교반하여 대전방지제 용액(d)(50중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40중량%)을 에틸 아세테이트 20중량%로 희석하고, 이 용액 1OO중량부에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O중량부, 가교제로서 트 라이메틸올프로페인/톨일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콜로네이트 L, 닛폰 폴리유레테인 인더스트리 컴파니 제품, 75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1.1중량부, 가교촉매로서 다이부틸주석-다이아우레이트(1중량%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0.6중량부를 가하여 혼합교반하여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을 대전방지처리되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μm)의 한면에 코팅하고 110℃에서 3분간 가열하여 두께 20μm의 점착제 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실리콘 처리된 한면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25μm)의 실리콘 처리면을 감압성 점착층 표면에 적층시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0중량부 대신에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b) 0.7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2)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B)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3)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3)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C)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4)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4)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D) 용액(40중량%)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0중량%에 희석하고, 이 용액 100중량부에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0중량부, 가교제로서 1,3-비스(N,N-다이글리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세인(TETRAD-C, 미쓰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제품) 0.8중량부를 가하고 혼합교반하여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5)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5)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E)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6)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6)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F) 용액(100중량%) 100중량부에 요오드화리튬 0.2중 량부, 다작용 단량체로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벤질다이메틸케탈(이르가큐어651,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컴파니 제품) 0.1중량부를 가하여 25℃ 부근으로 유지하여 약 2시간동안 혼합교반시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7)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7)을 대전방지처리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μm)의 한면에 코팅하여 두께 20μm의 점착제 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제 층의 표면에 한면을 실리콘 처리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25μm)의 실리콘 처리면을 접합시킨 필름 시트를 고압수은 램프(UVL-4000-N, 우시오 인코포레이티드(Ushio Inc.) 제품)로 자외선 조사(조도 37 mW/cm2, 광량 660mJ/cm2)함으로써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D)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G)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8)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8)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 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H) 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9)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9)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I)을 이용하고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0중량부 대신에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c) 4.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0)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0)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I) 용액을 이용하고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0중량부 대신에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d) 4.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1)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A) 용액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I) 용액을 이용하고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O 중량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다이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에스터 나트륨염(네오콜(NEOCOL) P, 다이-인치 코교 세이야쿠 컴파니 리미티드(Dai-Ichi Kogyo Seiyaku Co., Ltd,) 제품)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2)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감압성 점착제 용액 제조]
상기 대전방지제 용액(a) 1.O 중량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3)을 제조하였다.
[감압성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 대신에 상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용액(13)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감압성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된 감압성 점착 시트에 있어서, 박리 대전압, 오염성, 들뜸 발생 및 점착력을 하기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
<박리 대전압 측정>
감압성 점착 시트를 폭 70mm 및 길이 13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바람직하게 정전기가 제거된 아크릴판(아크릴라이트(Acrylite), 미쓰비시 레이온 컴파니 리미티드(Mitsubishi Rayon Co., Ltd.) 제품, 두께 1mm, 폭 7Omm, 길이 1OOmm)에 적층된 편광판(SEG1425EWVAGS2B, 니토덴코 코퍼레이션 제품, 폭 70mm, 길이 100mm)의 표면에 한면의 단부가 3Omm로 밀려나오도록 핸드롤러를 사용하여 접합시켰다. 23℃X50% RH의 환경하에서 하루 방치한 후, 시료를 도 1에 나타낸 제시된 위치에 놓았다. 30mm로 밀려나온 한면 단부를 자동 감기 기계로 고정 하고 시료를 박리각도 150° 및 박리속도 10m/분으로 박리하였다. 박리된 시료를 고정대에 놓고 감압성 점착제 표면의 전위를 시료로부터 100mm의 높이에 고정된 전위전압계(KSD-0103, 가수가 덴키 인코포레이티드(Kasuga Denki, INC.)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23℃X50% RH의 환경하에서 수행하였다.
<오염성 평가>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후지 TAC, 후지 포토 필름 컴파니 리미티드(Fuki Photo Film Co., Lid.) 제품, 두께 90μm)을 폭 70mm 및 길이 100mm로 절단하여 60℃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중량%)에 1분간 침지한 후, 증류수로 세정하여 점착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감압성 점착 시트를 폭 50mm 및 길이 8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상기 피착체(증류수로 세정한 후, 23℃X50% RH의 환경하에서 하루 방치한 피착체를 사용함)에 0.25MPa의 압력으로 적층하여 평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평가 시료를 23℃X50% RH의 환경하에서 하루 방치한 후, 감압성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손으로 박리하여 이 때의 피착체 표면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써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오염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 0
오염이 관찰되는 경우 :×
<들뜸 발생 평가>
편광판(SEG1425EWVAGS2B, 닛토덴코 코포레이션 제품)에 감압성 점착 시트를 0.25MPa의 압력으로 적층한 시료를 폭 30mm 및 길이 30mm의 크기로 절단하여 편광판측에 적층된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핸드롤러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유리(슈엔 마(Suienma), 마wM나미 글라스 인더스트리 리미티드(Matsunami Glass Industry Ltd.) 제품, 두께 1.3mm, 폭 65mm, 길이 165mm)에 접촉 결합시켜 평가 시료를 수득하였다. 평가 시료를 23℃X50% RH의 환경하에서 하루 방치한 후, 50℃X5atm의 환경하에서 40분간 오토클래이빙하였다. 그 후 80℃의 환경하에서 2시간 방치한 후, 편광판으로부터 감압성 점착 시트가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써 확인하였다.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들뜸 발생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0
들뜸 발생이 나타나는 경우: ×
<점착력 측정>
두께 90μm의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후지 TAC, 후지 포토 필름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 두께 90μm)을 폭 70mm 및 길이 100mm로 100mm로 절단하여 60℃에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중량%)에 1분간 침지한 후, 증류수로 세정하여 점착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 지지체를 23℃X50% RH의 환경하에서 하루 방치한 후, 폭 20mm 및 길이 100mm의 크기로 절단한 감압성 점착 시트를 0.25MPa의 압력으로 적층하여 평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적층 후 30분간 방치한 후, 장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10m/분 및 박리각도 180°로 박리시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23℃X50% RH의 환경하에서 실시하였다.
이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22345353-PAT00003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8) 모두에서 점착 신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박리 대전압이 낮은 값으로 억제되어 편광판에의 오염 및 들뜸 발생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구성단위 중 1O 중량%밖에 함유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2 및 3) 및 대전방지제로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경우(비교예 4) 모두에서 박리 대전압은 낮게 억제되었지만, 편광판에의 오염 발생이 나타났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함유하지만 알칼리 금속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5)에서는 편광판에의 오염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박리 대전압이 0.5kV 이상으로서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4 모두에서 들뜸 발생이 나타났다. 따라서, 임의의 비교예에서 박리 대전압의 억제 및 편광판에의 오염 및 들뜸 발생 억제가 동시에 실현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 대전방지성 감압성 점착 시트용 점착제 조성물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은 박리시 대전방지성이 우수함 과 동시에 점착 지지체(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감소되었으며, 점착 신뢰성이 높은 점착제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은 박리시 대전방지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피보호체에의 오염성이 감소되었으며, 점착 신뢰성이 높은 점착제 조성물이다.

Claims (4)

  1. (메트)아크릴산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15 내지 100중량%, 상기 부가물 이외의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0 내지 85중량% 및 기타 중합성 단량체 0 내지 85중량%를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및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염이 리튬염인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시킴으로써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 층.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을 지지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가교시킴으로써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감압성 점착 시트.
KR1020050035503A 2004-04-30 2005-04-28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점착 시트 KR200600475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5167 2004-04-30
JP2004135167A JP2005314579A (ja) 2004-04-30 2004-04-30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224A Division KR101128129B1 (ko) 2004-04-30 2011-11-25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584A true KR20060047584A (ko) 2006-05-18

Family

ID=34935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503A KR20060047584A (ko) 2004-04-30 2005-04-28 감압성 점착제 조성물 및 감압성 점착 시트
KR1020110124224A KR101128129B1 (ko) 2004-04-30 2011-11-25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224A KR101128129B1 (ko) 2004-04-30 2011-11-25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53251B2 (ko)
EP (1) EP1591506B1 (ko)
JP (1) JP2005314579A (ko)
KR (2) KR20060047584A (ko)
CN (1) CN1693406B (ko)
DE (1) DE602005019944D1 (ko)
TW (1) TWI365903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91B1 (ko) * 2005-06-10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08130136A1 (en) * 2007-04-19 2008-10-30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WO2009128645A3 (en) * 2008-04-15 2010-01-14 Dongwoo Fine-Chem Co., Ltd. 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composition
WO2018216938A1 (ko) * 2017-05-22 2018-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9151822A1 (ko) * 2018-02-02 2019-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WO2019151824A1 (ko) * 2018-02-02 2019-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WO2020075951A1 (ko) * 2018-10-10 2020-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공성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40628A (ko) * 2018-10-10 202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2098183A1 (ko) * 2020-11-09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46404A1 (en) 2004-03-08 2010-11-03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surface protecting film
JP2005314579A (ja) 2004-04-30 2005-1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JP4562070B2 (ja) * 2004-05-14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388640B (zh) * 2004-06-01 2013-03-11 Nitto Denko Corp 壓敏黏合劑組成物、壓敏黏合片及表面保護膜
TWI387629B (zh) 2004-07-26 2013-03-01 Nitto Denko Corp 壓感黏合劑組成物、壓感黏合片及表面保護膜
DE102004044086A1 (de) * 2004-09-09 2006-03-16 Tesa Ag Thermisch vernetzte Acrylat-Hotmelts
JP5535987B2 (ja) * 2004-09-16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917267B2 (ja) 2004-09-16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531628B2 (ja) 2004-09-1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358190B2 (ja) 2005-03-16 2009-11-0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CN101175830B (zh) 2005-05-20 2011-05-25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片及表面保护薄膜
TWI384049B (zh) 2005-09-05 2013-02-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5259940B2 (ja) * 2005-09-05 2013-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066672B2 (ja) * 2005-12-15 2012-11-07 綜研化学株式会社 光重合性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粘着シート
JP5066671B2 (ja) * 2005-12-15 2012-11-07 綜研化学株式会社 光重合性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使用した粘着シート
JP4814000B2 (ja) * 2006-07-26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4735B2 (ja) * 2006-08-18 2012-07-2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クリル粘着剤の製造方法
JP4942171B2 (ja) * 2006-09-14 2012-05-30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KR100995509B1 (ko) * 2007-01-18 2010-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061939B1 (ko) * 2007-12-12 2011-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023842B1 (ko) 2008-01-11 201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23837B1 (ko) * 2008-01-11 201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23843B1 (ko) * 2008-01-11 2011-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82450B1 (ko) * 2008-01-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133064B1 (ko) * 2008-04-25 2012-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JP5566046B2 (ja) * 2008-04-30 2014-08-06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一時表面保護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なる一時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一時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ならびに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101114354B1 (ko) * 2008-07-01 2012-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부재용 아크릴계 조성물,광학부재용 보호필름,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240852B1 (ko) * 2008-08-01 2013-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조성물, 광학부재용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0050527A1 (ja) * 2008-10-31 2010-05-06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および活性エネルギー線および/または熱硬化型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
JP5291115B2 (ja) * 2008-11-12 2013-09-18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バーテープ
EP2373421B1 (en) * 2008-12-30 2014-02-12 OLIVETTI S.p.A. Acrylic adhesive for assembling elements contacting biological substances
JP5623020B2 (ja)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KR20120036829A (ko) * 2009-06-09 2012-04-18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및 광학 부재용 점착제, 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 부착 광학 부재
JP5496583B2 (ja) * 2009-09-02 2014-05-21 株式会社日本触媒 溶剤型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再剥離用粘着製品
JP5587645B2 (ja) * 2010-03-18 2014-09-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光学用粘着シート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US8883281B2 (en) 2010-12-17 2014-11-11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Multilayer film hav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N103459537B (zh) * 2011-03-28 2015-09-30 日本电石工业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及光学构件用薄膜
JP5683369B2 (ja) * 2011-04-22 2015-03-11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774375B2 (ja) * 2011-05-23 2015-09-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JP5912833B2 (ja) * 2011-05-26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247574A (ja) *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79813B1 (ko) * 2012-04-10 2015-01-06 (주)엘지하우시스 반경화 감압 점착필름
JP6067405B2 (ja) 2012-07-31 2017-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放射線硬化型粘着剤、放射線硬化型粘着剤層、放射線硬化型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2014043546A (ja) * 2012-07-31 2014-03-13 Nitto Denko Corp 放射線硬化型粘着剤層及び放射線硬化型粘着シート
CN104640953B (zh) 2013-06-19 2017-04-12 株式会社Lg化学 压敏粘合剂组合物
WO2014204249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50125370A (ko) * 2014-04-30 2015-11-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101743371B1 (ko) * 2014-12-18 2017-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CN107849264B (zh) 2015-07-10 2020-09-18 株式会社Lg化学 化合物
JP6688054B2 (ja) * 2015-11-27 2020-04-28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および粘着シート
JP6893124B2 (ja) * 2016-07-14 2021-06-23 日東電工株式会社 樹脂組成物、樹脂層、および積層シート
JP6827670B2 (ja) * 2016-09-30 2021-02-10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保護フィルム
CN106626861B (zh) * 2016-12-27 2019-05-07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医疗胶片片基及其应用
JP6976063B2 (ja) * 2017-02-17 2021-12-0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シート
KR102159513B1 (ko) * 2017-12-15 2020-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교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171A (en) * 1979-09-11 1981-05-12 Hitachi Chem Co Ltd Preparation of adhesive film
JPS587470A (ja) 1981-07-07 1983-01-1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
US4668730A (en) * 1985-08-05 1987-05-26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 Colloid stabilized latex adhesives
JP2718519B2 (ja) * 1988-09-19 1998-02-25 久光製薬株式会社 医療用導電性粘着剤
US5635564A (en) 1988-12-09 1997-06-03 Basf Lacke + Farben, Ag Preparation of a multicoat coating, water-thinnable coating compositions, water-thinnable emulsion polymers and preparation of water-thinnable emulsion polymers
JPH03122165A (ja) 1989-10-06 1991-05-24 Japan Carlit Co Ltd:The 導電性樹脂組成物
JPH03183545A (ja) 1989-12-14 1991-08-09 Teijin Ltd 制電易接着性フイ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磁気カード
GB9101204D0 (en) 1990-02-14 1991-02-27 Ici Plc Production of polyurethane polymers,the polymers so produced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4039780C1 (ko) 1990-12-13 1992-08-06 Lohmann Gmbh & Co Kg, 5450 Neuwied, De
JPH059449A (ja) 1991-06-28 1993-01-19 Toyo Ink Mfg Co Ltd 再剥離型粘着剤組成物
JP3122165B2 (ja) 1991-07-03 2001-01-09 旭電化工業株式会社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DE69309795T2 (de) * 1992-07-10 1997-11-27 Nippon Catalytic Chem Ind Acrylat Polymer, seine Verwend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665551A (ja) 1992-08-21 1994-03-08 Toyo Ink Mfg Co Ltd 水性感圧接着剤組成物
JP3190743B2 (ja) 1992-10-14 2001-07-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NZ248977A (en) 1992-11-09 1995-06-27 Squibb & Sons In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a polyurethane having excess hydroxyl functionality; medical articles comprising a layer of such adhesive
US5378405A (en) 1993-07-28 1995-01-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ductive microparticles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made therefrom
US5508107A (en) * 1993-07-28 1996-04-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JP3352176B2 (ja) 1993-10-04 2002-12-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板
JPH07157741A (ja) 1993-12-10 1995-06-20 Toyo Ink Mfg Co Ltd 再剥離型水性感圧接着剤組成物
US5670557A (en) 1994-01-28 1997-09-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ized micro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EP0758366B1 (en) * 1994-05-06 1999-01-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temperature resistant antistat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3486698B2 (ja) * 1994-10-04 2004-01-13 一方社油脂工業株式会社 感圧性接着剤組成物及び感圧性接着剤製品
JPH08155040A (ja) * 1994-12-08 1996-06-18 Nitto Denko Corp 導電性粘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電極パッド
JPH0959581A (ja) 1995-08-22 1997-03-04 Mitsubishi Rayon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
JP3186541B2 (ja) 1995-09-26 2001-07-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導電性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JPH09165460A (ja) 1995-12-14 1997-06-24 Hitachi Chem Co Ltd 帯電防止処理方法
US5985990A (en) 1995-12-29 1999-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se of pendant free-radically polymerizable moieties with polar polymers to prepare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5885708A (en) * 1997-02-14 1999-03-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ntistatic latex adhesives
JP2980874B2 (ja) 1997-09-19 1999-11-22 株式会社寺岡製作所 再剥離性帯電防止保護粘着フィルム
US5952389A (en) * 1998-01-13 1999-09-14 Synchroneuron Methods of treating tardive dyskinesia and other movement disorders
JP4014280B2 (ja) 1998-03-13 2007-11-28 帝人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0044912A (ja) 1998-07-28 2000-02-15 Ipposha Oil Ind Co Ltd 粘着剤組成物
JP2000129235A (ja) 1998-10-27 2000-05-0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帯電防止性粘着剤組成物
JP4531883B2 (ja) 1999-03-25 2010-08-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着シート
JP2001049205A (ja) 1999-08-04 2001-02-20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2001146581A (ja) 1999-11-19 2001-05-29 Nippon Nsc Ltd 水再分散性粘着剤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粘着製品
ID28481A (id) 1999-11-30 2001-05-3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Komposisi emulsi berair dan komposisi bahan perekat
JP2001220474A (ja) 1999-11-30 2001-08-14 Takeda Chem Ind Ltd 水系エマルション組成物および接着性組成物
JP5135494B2 (ja) 1999-12-22 2013-02-06 綜研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84333B2 (ja) 2000-04-24 2009-12-16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表面保護フィルム
JP4584404B2 (ja) 2000-05-02 2010-11-24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2019039A (ja) 2000-07-11 2002-01-22 Nitto Denko Corp 光学部材の表面を保護する保護フィルム
DE10111792A1 (de) 2001-03-12 2002-09-26 Borchers Gmbh Neue Polyurethane und ihre Verwendung zur Verdickung wässriger Systeme
JP2003041205A (ja) 2001-07-30 2003-02-13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ATE286936T1 (de) 2001-08-02 2005-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Optisch klare und antistatische haftklebemittel
JP2003147325A (ja) 2001-11-14 2003-05-21 Nitto Denko Corp 表面変性粘着剤および粘着剤の表面変性方法並びに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WO2003093008A1 (fr) 2002-05-02 2003-11-13 Teijin Dupont Films Japan Limited Film lamelle a usage optique
JP4151838B2 (ja) 2003-01-27 2008-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保護テープ
JP2004287199A (ja) 2003-03-24 2004-10-14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US7038746B2 (en) 2003-03-31 2006-05-0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aminated polarizing film
JP5422091B2 (ja) * 2003-12-26 2014-02-1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帯電防止アクリル粘着剤
JP4907058B2 (ja) 2004-01-19 2012-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5314579A (ja) 2004-04-30 2005-1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JP4562070B2 (ja) 2004-05-14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I388640B (zh) 2004-06-01 2013-03-11 Nitto Denko Corp 壓敏黏合劑組成物、壓敏黏合片及表面保護膜
KR100694445B1 (ko) 2004-08-24 2007-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917267B2 (ja) 2004-09-16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531628B2 (ja) 2004-09-1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259940B2 (ja) 2005-09-05 2013-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91B1 (ko) * 2005-06-10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08130136A1 (en) * 2007-04-19 2008-10-30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9499725B2 (en) 2007-04-19 2016-11-22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WO2009128645A3 (en) * 2008-04-15 2010-01-14 Dongwoo Fine-Chem Co., Ltd. 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composition
US8187680B2 (en) 2008-04-15 2012-05-29 Dong-Woo Fine-Chem Co. Ltd. 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composition
KR20180127874A (ko) * 2017-05-22 2018-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216938A1 (ko) * 2017-05-22 2018-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1618837B2 (en) 2017-05-22 2023-04-04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including sam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WO2019151822A1 (ko) * 2018-02-02 2019-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WO2019151824A1 (ko) * 2018-02-02 2019-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US11708512B2 (en) 2018-02-02 2023-07-25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dhesive film using same,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US11851589B2 (en) 2018-02-02 2023-12-26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dhesive film using same,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WO2020075951A1 (ko) * 2018-10-10 2020-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공성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40628A (ko) * 2018-10-10 202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2098183A1 (ko) * 2020-11-09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5903B (en) 2012-06-11
KR101128129B1 (ko) 2012-03-22
US20050244633A1 (en) 2005-11-03
CN1693406B (zh) 2010-12-08
EP1591506B1 (en) 2010-03-17
DE602005019944D1 (de) 2010-04-29
US8153251B2 (en) 2012-04-10
CN1693401A (zh) 2005-11-09
EP1591506A1 (en) 2005-11-02
JP2005314579A (ja) 2005-11-10
TW200613490A (en) 2006-05-01
KR20120006465A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12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1069486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022079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이트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183790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류 및 표면 보호 필름
US9328264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P1640427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surface protecting films
KR102132619B1 (ko) 대전 방지층, 대전 방지성 점착 시트 및 광학 필름
JP2014189786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ム
JP5110675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類
JP2011017029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類
JP2010189656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042803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02

Effective date: 2013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