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474A -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474A
KR20060043474A KR1020050018814A KR20050018814A KR20060043474A KR 20060043474 A KR20060043474 A KR 20060043474A KR 1020050018814 A KR1020050018814 A KR 1020050018814A KR 20050018814 A KR20050018814 A KR 20050018814A KR 20060043474 A KR20060043474 A KR 2006004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bubble
reservo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709B1 (ko
Inventor
히데요시 이나즈미
토시로 카미도조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전용 액체를 준비 하는 일 없이, 살균기능이나 탈취기능을 달성한다. 공기 청정기(1)의 하우징(2)내에 미스트 발생장치(12)를 배치한다. 미스트 발생장치(12)의 저수탱크(15)내에 수돗물을 저축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전극(35)에 통전을 행함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이나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전해수에 대해서 공기 공급로(20)를 개재하여 공기를 들여보내고,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미스트를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공급한다.
공기 조화기, 살균 기능, 탈취 기능, 전해수, 미스트 발생 장치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AIR CONDITIONER AND ELECTROLYZED WATER SPRAY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된 공기 조화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1에 나타낸 화살표 A-A를 따라 본 개략단면도이다.
도 3 은, 도1에 나타낸 화살표 B-B를 따라 본 개략단면도이다.
도 4 는, 도3에 있어서 좌측 통부(筒部)의 근방의 단면을 확대해서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는, 도4에 나타낸 화살표 C-C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4에 나타낸 화살표 D-D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4에 나타낸 화살표 E-E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계된 삽입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에 있어서, 좌측 통부의 근방을 전후방향을 따라 연직면(鉛直面)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왼쪽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는, 도8에 나타낸 화살표 F-F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관계된 미스트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에 있어서, 미스트 발생장치를 전후방향을 따라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왼쪽에서 본 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미스트 발생장치를 좌우방향을 따라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앞쪽에서 본 도이다.
도 12는, 미스트 발생장치를 수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위쪽에서 본 도이다.
*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공기 청정기 2 하우징
6 필터 9 배기구
14 분무구 15 저수탱크 
17 삽입부재 17A, 17C 통수공
18 거품 발생실 18A 전면벽(前面壁)
19 전해실 19C 전면벽
20 공기 공급로 21 공급구
24 작은 구멍 25 배출구
28 제1 구획실 30 연통구
32 투명 커버 33 발광소자
35 전극판 40 잭
50 삽입부재 51 착탈부
61 저수탱크 65 거품 발생실
67 공기 공급로 68 작은 구멍
69 배출구 70 유도부재
71 연통구 72 전극판
74 오목부
본 발명은,공기 청정기, 가습기,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電解水)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외(機外)의 공기를 취입하고, 소정의 처리를 실시해서 기외로 배출함으로서 실내의 공기조화를 행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로서, 기외의 공기를 기내(機內)로 취입하기 위해 회전되는 팬과, 기외의 공기가 기내로 취입될 때에 통과하는 필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가 알려져 있다. 기내로 취입되는 공기는, 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그 공기중에 포함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003-10281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기 청정기에서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은 제거되지만, 공기를 살균하거나 탈취하거나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살균기능이나 탈취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가 제 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참조). 이 특허문헌 2003-7971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기 청정기에서는,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액체를 저수부에 수용해서, 그 액체를 이용해서 생성한 미스트를 기외로 배출함으로서, 공기를 살균하거나 탈취하거나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3-102816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3-79714호 공보
그러나, 특개2003-79714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공기 청정기에서는,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전용 액체, 또는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생성하기 위한 전용 액체를 저수부에 수용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용 액체를 일부러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관계된 배경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용 액체를 준비하는 일 없이, 살균기능이나 탈취기능을 달성 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기외의 공기를 취입하 고, 소정의 처리를 실시해서 기외로 배출함으로서 공기조화를 행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1)에 있어서, 물을 저축할 수 있는 저수부(15 ; 61)와,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35 ; 72)과,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거품발생기구(18, 20 ; 65, 67)와,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해방될 때에 거품이 튀는 것에 의해 발생된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 공급수단(14, 25, 28, 30 ; 14, 69, 70, 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이다.
즉, 괄호내의 영어숫자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대응구성요소 등을 나타낸다. 이하, 이 항에 있어서 동일.
이 구성에 의하면, 전극으로의 통전을 행해서 저수부에 저축된 물(예를 들면,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나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전해수에 대해서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발생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미스트 발생수단에 의해 기외로 공급하면, 적용 액체를 준비하는 일 없이, 수돗물 등의 물을 이용해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달성 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극(35 ; 72)은, 상기 저수부(15 ; 61)에 저축된 수돗물을 전기 분해해서 차아염소산(HClO)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돗물을 저수부에 저축하는 것에 의해, 염소를 포함한 수돗물을 전기 분해해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차아염소산(HClO)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키면, 수돗물을 이용해서 살균기능이나 탈취기능을 달성 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상기 거품발생기구(18, 20 ; 65, 67)는, 발생시키는 거품이 상기 전극(35 ; 72)에 접촉하지 않은 것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이 전극에 접촉함으로서 전기 분해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기 분해를 행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저수부(15)내에는, 상기 거품발생기구(18, 20)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이 상기 전극(35)측으로 향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19C)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이 전극측으로 향하는 것을 규제부에서 규제할 수 있으므로, 거품이 전극에 접촉함으로서 전기 분해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기 분해를 행해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극(35)을 수용하는 전해실(19)과, 상기 거 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15)에 저축된 수중으로 방출되는 복수의 거품 방출구(24)가 형성된 거품 발생실(18)을 구획하고, 상기 저수부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삽입부재(17 ;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삽입부재를 저수부로부터 떼어내서, 저수부내에 전기 부품 등의 다른 부품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 (빈(空) 상태)에서 저수부내로 물을 보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부로 물의 보급을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삽입부재(17 ; 50)에 형성된 상기 전해실(19)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일부는, 상기 거품 방출구(24)로부터 방출되는 거품이 상기 전극(35)측으로 향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19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이 전극측으로 향하는 것을 전해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규제부에서 규제할 수 있으므로, 거품이 전극에 접촉함으로서 전기 분해 성능이 저하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기 분해를 행해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해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일부에 장출부(張出部)를 설치하고, 그 장출부에 의해 상기 규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출부를 설치함으로서 전해실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해실 내에 전극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상기 삽입부재(17 ; 50)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저수부(15)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수부 내의 물을 상기 거품 발생실(18) 내로 출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저수부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상기 거품 발생실 내의 물을 배출 할 수 있는 거품 발생실 통수공(17C)과,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저수부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수부내의 물을 상기 전해실(19)내로 출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저수부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상기 전해실 내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전해실 통수공(17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저수부내에 물이 저축된 상태에서 삽입부재를 저수부내로부터 떼어낼 경우, 거품 발생실내의 물은 거품 발생실 통수공을 통해 저수부내로 흘러나가고, 전해실내의 물은 전해실 통수공을 통해 저수부내로 흘러나가게 된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 내 또는 전해실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삽입부재를 저수부내로부터 떼어내어, 거품 발생실내 또는 전해실내의 물이 저수부의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상기 거품 발생실 통수공(17C)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들의 면적이 상기 거품 방출구(24)의 면적 이하이고, 그들의 수가 상기 거품 방출구의 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은, 거품 발생실 통수공보다도 거품 방출구로부터의 쪽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수중으로 방출되기 쉽다. 따라서,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거품 방출구로부터 방출되게 되므로, 보다 양호하게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거품 발생실 통수공의 면적이 거품 방출구의 면적 이하이므로,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거품 발생실 통수공에서 방출되더라도, 그 거품의 크기는 거품 방출구에서 방출된 거품의 크기와 같은 정도 또는 그 미만이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에서 규정하는 크기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양호하게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청구항 9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해실 통수공(17A)은, 그 면적이 상기 거품 발생실 통수공(17C)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거품 발생실 통수공과 비교해서) 비교적 큰 전해실 통수공을 개재하여, 저수부내의 물을 전해실내로 출입시킬 수 있으므로, 전해실에 대한 물의 순환이 좋고, 전기분해 효율이 좋다.
청구항 10 기재의 발명은, 상기 삽입부재(50)의 일부는, 상기 전해실(19)을 구획하는 탈취 가능한 착탈부(51)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착탈부를 떼어냄으로서, 전해실을 개방해서 전해실내의 유지 보존성(Maintenance)(예를 들면, 전극에 부착된 물에 포함되는 미네랄분 (말 하자면 스케일) 제거 등)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은, 상기 착탈부(51)는, 상기 전해실(19)의 적어도 상기 전극(35)의 주위를 구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착탈부를 떼어냄으로서, 전극의 주위를 넓게 해방하고, 전극을 전해실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존성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2 기재의 발명은,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외형을 구획하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15)의 적어도 일부에는 투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의 상기 투명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기외로부터 상기 투명부를 개재하여 상기 저수부내를 시인(視認)하기 위한 창(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17 ; 50)의 상기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창의 면적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대향면(18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저수부내에 저축된 수중을 상승하는 거품을 창 및 투명부를 개재하여 기외에서 볼 수 있다. 이 때, 삽입부재의 대향면이 배경으로 되어, 거품이 시인(視認)하기 쉽다. 특히, 대향면의 면적을 창 면적보다도 크게 함으로서, 거품을 더욱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대향면이 착색(예를 들면, 푸른 계열의 색)되어 있으면, 거품이 더욱 시인하기 쉽다.
상기 대향면은, 평면 또는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저수부(15)내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대향면(18A) 사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33)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해당하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거품 발생실(18)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로부터 저수부내(투명부와 대향면의 사이)에 광을 조사함으로서, 거품의 윤곽을 비출 수 있으므로, 거품이 더욱 시인하기 쉽다. 특히,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거품 발생실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거품을 향해 조사되는 광이 거품 발생실에 의해 차단되어, 거품이 보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청구항 1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극(72)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거품발생기구(65, 67)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61)에 저축된 수중으로 방출되는 복수의 거품 방출구(68)가 형성된 거품 발생실(65)을 포함하고, 상기 거품 발생실의 상기 전극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전극측으로부터 상기 거품 발생실측으로 향하는 상기 저수부내의 물을 상기 거품 발생실을 회피해서 상방으로 인도하기 위한 유도부(7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 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거품 발생실이 전극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거품 방출구로부터 방출되는 거품이 전극에 접촉하는 일 없이, 거품이 전극에 접촉함으로서 전극 분해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극 분해를 행해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 킬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에서의 전극 분해에 의해 발생한 전해수가, 전극측으로부터 거품 발생실측으로 상승했을 때에, 그 전해수를 유도부에 의해 양호하게 상방으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의 하방에 전해수가 고여, 전해수를 이용해서 양호하게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청구항 15 기재의 발명은, 기외로부터 취입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6)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발생기구(18, 20 ; 65, 67)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이용해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필터를 통과함으로서 티끌이나 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를 이용해서 거품을 발생시키므로, 공기에 포함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이 거품발생기구에 파고 들어가 그물눈의 막힘 등의 폐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 기재의 발명은, 상기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의 공기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9)를 포함하고, 상기 미스트 공급수단(14, 25, 28, 30 ; 14, 69, 70, 71)은, 상기 배기구의 근방으로부터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미스트 공급수단으로부터 기외로 공급되는 미스트를,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혼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가 혼입된 공기가 기외의 비교적 광범위하게 퍼지게 되고,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청구항 17 기재의 발명은, 상기 미스트 공급수단(14, 25, 28, 30 ; 14, 69, 70, 71)은, 발생한 미스트가 기외로 공급되기 전에 통과하는 완충실(28 ; 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큰 물방울 모양의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 물방울 모양의 미스트를 완충실에서 포획해서, 비교적 작은 미스트만을 기외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저수부가 완충실을 개재하여 기외로 연통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저수부내에서 거품이 튈 때에 생기는 소리를 기외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공기 조화기가 전도(轉倒)했을 경우와 같이, 저수부가 기울어져 저수부내의 물이 누출했을 때에, 그 누출된 물을 완충실에서 받아 들여, 곧바로 기외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8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저수부(15)는, 상기 공기 조화기(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저수부가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됨으로서, 상기 전극(35) 및 상기 거품발생기구(18, 20)가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저수부를 공기 조화기로부터 떼어내서, 해당 저수부내에 물을 용이하게 넣을 수 있다.
특히, 저수부를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함으로서, 동시에, 전극 및 거품발생기구를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저수부에 물을 넣을 때의 작업이 용이해 진다.
청구항 19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극(35)의 상기 공기 조화기(1)에 대한 접속부(40)와, 상기 거품발생기구(18, 29)의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21)는, 상기 저수부(15)의 상방측에 서로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8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극의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와, 거품발생기구의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가 저수부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수부내의 물이 거품발생기구를 개재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극의 단자부에 저수부내의 물이 튀어 통전불량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와, 거품발생기구의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가 서로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접수부를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할 때에는, 그들 2개의 접속을 동시에 보고, 그들 접속부의 접속상태에 주의하면서 착탈을 행함으로서,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0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전극(35 ; 72)으로의 통전이 단속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공기 조화기(1)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저수부내의 물의 전기 분해를 단속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저수부내의 물의 전해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1 기재의 발명은, 물을 저축할 수 있는 저수부(15 ; 61)와,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한 전극(35 ; 72)과,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거품발생기구(18, 20 ; 65, 67)와,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해방될 때에 거품이 튐으로서 발생된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 공급수단(14, 25, 28, 30 ; 14, 69, 70, 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분무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 전해수 분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해서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상기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된 공기 조화기(1)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 는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A-A를 따라 본 개략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B-B를 따라 본 개략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오른쪽 안측을 후방, 왼쪽 앞측을 전방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3을 참조해서, 상기 공기 청정기(1)는, 예를 들면, 실내에 설치되고, 기외의 공기를 취입하고, 그 공기를 청정하는 처리를 실시해서 기외로 배출함으로서, 실내의 공기청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1)의 외형은, 좌우방 향의 길이에 따라 전후방향의 길이가 짧은 박형(薄型)인 하우징(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하우징(2)의 전면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전면판(3)이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2)내에는, 전후 방향으로 축선이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기외의 공기를 기내로 취입하기 위해 회전되는 팬(4)과, 상기 팬(4)에 회전축(5A)이 장착되고, 팬(4)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모터(5)와, 기외의 공기가 기내로 취입될 때에 통과하는 필터(6)가 구비되어 있다(도 3에서는, 팬(4), 회전축(5A) 및 모터(5)를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필터(6)는,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을 포획해서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것이고, 하우징(2)의 전면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개구(7)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필터(6)의 두께는 개구(7)의 깊이보다도 작게 형성되고, 필터(6)는, 개구(7)의 후측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그 하단면 및 좌우 양단면에는, 하우징(2)내에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흡기구(8)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4)는 말하자면 시로코 팬이며, 팬(4)이 회전되면 전방측(축선방향의 한쪽측)으로부터 팬(4)측으로 공기가 흐르고, 그 공기가 지름 방향으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팬(4)이 회전되면, 도2 및 도3에 있어서 화살표(D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기외의 공기가 흡기구(8)로부터 필터(6)를 통과해서 하우징(2)내에 취입되고, 팬(4)측으로 흐르게 된다.
하우징(2)에는, 그 좌우측부의 전단부에 각각 하우징(2)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는 단면 대략 타원형 형상의 통부(10)가 형성되어 있다. 한쪽(예를 들면, 우측) 통부(10)내의 공간은, 하우징(2)내에 배치된 구획벽(10A)에 의해 하우 징(2)내의 그 외의 공간(팬(4)나 모터(5) 등이 배치되어 있는 공간)으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우측 통부(10)의 측면에는, 통기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7)를 형성하는 우측면 벽의 앞측부분(필터(6)보다도 앞측)에는, 상기 우측 통부(10)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관통공(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팬(4)이 회전되면, 기외의 공기가 통기구(11)로부터 우측 통부(10)내에 흡입되고, 도3에 있어서 화살표(D3)로 나타낸 것과 같이, 관통공(10B)으로부터 필터(6)의 전방으로 인도되어, 필터(6)를 통과해서 하우징(2)내에 취입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2)의 상면에는, 팬(4)의 지름방향의 연장선상(팬(4)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의 유로내)에 복수의 배기구(9)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6)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청정된 공기는, 팬(4)에 의해 지름방향으로 방출되고, 도2에 있어서 화살표(D2)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배기구(9)로부터 상방을 향해 기외로 배출된다.
다른쪽(예를 들면, 좌측) 통부(10)내의 상단부에는, 미스트를 발생하기 위한 미스트 발생장치(12)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내의 하부에는 하우징(2)내의 공기(필터(6)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에어 펌프(13)가 배치되어 있고, 미스트 발생장치(12)는, 상기 에어 펌프(13)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스트 발생장치(12)로부터 발생한 미스트는, 좌측 통부(10)의 상단면에 형성된 분무구(14)로부터 상방을 향해 기외로 공급된다. 에어 펌프(13)는, 그 흡입구가 팬(4)의 지름방향의 연장선상(팬(4)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의 유로내)에 위치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는, 도3에 있어서 좌측 통부(10)의 근방 단면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5는, 도4에 나타낸 화살표 C-C를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6은 도4에 나타내 화살표 D-D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7은, 도4에 나타낸 화살표 E-E를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4~도7을 참조해서, 미스트 발생장치(12)에는, 상단면에 개구를 갖고, 규정량(예를 들면, 160cc 정도) 물을 저축할 수 있는 저수탱크(15)와, 상기 저수탱크(15)의 상단면의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뚜껑(16)이 구비되어 있다. 뚜껑(16)의 하면에는, 복수의 통수공(17A, 17B, 17C)이 형성된 수지제로 중공형상의 삽입부재(17)가 장착되어 있다. 저수탱크(15)내에 물을 저축한 상태에서,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내에 삽입하도록 해서 뚜껑(16)을 저수탱크(15)의 상단부에 덮어씌우면, 삽입부재(17)가 저수탱크(15)내의 물에 침적되어, 저수탱크(15)내의 물이 통수공(17A, 17B, 17C)을 통해 삽입부재(17)내에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삽입부재(17)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거품 발생실(18)과 전해실(19)이 전후로 나란하도록 구획 형성되어 있다.
뚜껑(16)에는, 거품 발생실(18)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방을 향해 움푹한 오목부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내의 공간은, 에어 펌프(13)로부터 미스트 발생장치(12)로 보내져온 공기를 저수탱크(15)내(거품 발생실(18)내)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로(20)를 구성하고 있다. 공기 공급로(20)의 오른쪽에는, 에어 펌프(13)로부터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2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구(21)의 주연부에는, 예를 들면, 고무제인 패킹(22)이 장착되어 있다. 공기 공급로(20)의 우단부는 좌우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공급로 (20)의 우단부가 패킹(22)에 압착됨으로서, 에어 펌프(1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로(21)로부터 공기 공급로(20)로 새는 것 없이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저수탱크(15)내에 물을 저축한 상태에서 에어 펌프(13)를 구동하면, 공기 공급로(20)를 통해 보내져 온 공기가 거품 발생실(18)내로 공급되고, 그 압력으로 거품 발생실(18)내의 물이 교반되어, 다수의 거품이 발생한다. 삽입부재(17)의 전면하부에는, 전방으로 튀어나와 거품 발생실(18)을 전방으로 연설(延設)하기 위한 장출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거품 발생실(18)내에서 발생한 거품의 일부는, 상기 장출부(23)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24)로부터 삽입부재(17)의 외부로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 거품 발생실(18)내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직경은 예를 들면, 0.1~10mm 정도이고, 작은 구멍(24)의 직경은 예를 들면, 0.5mm 정도이다. 따라서, 작은 구멍(24)로부터 유출하는 거품의 직경은, 0.1~0.5mm 정도이다.
작은 구멍(24)로부터 유출된 거품은, 삽입부재(17)의 외측에 있어서 저수탱크(15)내의 물의 수중을 통해 부상하고, 저수탱크(15)내의 물의 수면으로부터 대기중(저수탱크(15)내의 공기중)으로 해방된다. 이 때, 거품이 튀는 것에 의해 미스트가 발생하게 된다. 뚜껑(16)에는, 작은 구멍(24)의 상방 위치에, 저수탱크(15)내에서 발생한 미스트를 저수탱크(15) 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장출부(23)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수공(17C)은, 각각 작은 구멍(24)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작은 구멍(24)의 면적보다도 작은 면적을 갖고 있다. 또한, 통수공(17C)의 수는, 작은 구멍(24)의 수보다도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 면, 거품 발생실(18)내에서 발생한 거품은, 통수공(17C)보다도 작은 구멍(24)로부터의 쪽이, 저수탱크(15)내(거품 발생실(18) 외)의 수중으로 방출되기 쉽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18)내에서 발생한 거품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작은 구멍(24)로부터 방출되게 되므로, 보다 양호하게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통수공(17C)의 면적이 작은 구멍(24)의 면적이하이므로, 거품 발생실(18)내에서 발생한 거품이 통기공(17C)로부터 방출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거품의 크기는 작은 구멍(24)로부터 방출되는 거품의 크기와 동일한 정도 또는 그 미만이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18)로부터 규정 크기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양호하게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해실(19)의 저면 및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수공(17A, 17B)은, 각각 통수공(17C)의 면적보다도 큰 면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거품 발생실(18)의 저면에 형성된 통수공(17C)과 비교해서 비교적 큰 통기공(17A)을 개재하여, 저수탱크(15)내의 물을 전해실(19)내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전해실(19)에 대한 물의 순환이 좋고, 전기분해의 효율이 좋다.
전해실(19)의 좌우방향의 폭은, 저수탱크(15)의 좌우방향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이고, 전해실(19)의 좌면을 구획하는 좌면벽(19A) 및 우면을 구획하는 우면벽(19B)은, 각각 대향하는 저수탱크(15)의 내면과 근접해 있다. 거품 발생실(18)의 좌우방향의 폭은, 전해실(19)의 좌우방향의 폭보다도 작고, 거품 발생실(18)이 전해실(19)의 좌측전방으로 배치됨으로서, 정면에서 볼 때는, 거품 발생실(18)의 우측에 전해실(19)의 전면을 구획하는 전면벽(19C)이 튀어나와 있다(도7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은 구멍(24)로부터 유출하는 거품이 전해실(19)의 후방측으로 돌아 들어가고, 통수공(17A)이나 통수공(17B)을 통해 전극판(35)측으로 향하는 것을 전면벽(19C)으로 규제할 수 있으므로, 거품이 전극판(35)에 접촉함으로서 전기 분해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기 분해 성능을 행해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해실(19)이 거품 발생실(18)의 우측으로 튀어나온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전해실(19)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실(19)내에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뚜껑(16)의 상방에는, 배출구(25)로부터 배출된 미스트를 분무구(14)로 인도하기 위한 유도부재(26)가 배치되어 있다. 유도부재(26)의 내부는, 좌우로 연장되는 구획판(27)에 의해 제1 구획실(28)과 제 2구획실(29)로 구획되어 있고, 배출구(25)는 제 1구획실(28)의 후부에 면해있다. 유도부재(26)의 상면의 전단부에는, 분무구(14)에 연통하는 연통구(30)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16)의 배출구(25)와, 유도부재(26)의 연통구(30)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상하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 1구획실(28)이 완충실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배출구(25)로부터 제 1구획실(28)내에 유입된 미스트는, 배출구(25)의 상방에 있어서 유도부재(26)(제 1구획실(28))의 내벽면에 부딪혀 제1구획실(28) 전체로 퍼지고, 그 뒤에는 연통구(30)를 개재하여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큰 물방울 모양의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 물방울 모양의 미스트를 제 1구획실(28)의 내벽면에 부착시켜 포획하고, 비교적 작은 미스트(예를 들면, 직경이 약 2nm~10μm)만을 기외로 공급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미스트는 브라운 운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공급된 후, 보다 멀리 까지 퍼짐과 동시에, 의류 등의 섬유에 파고 들어가기 쉽다.
또한, 저수탱크(15)가 제1 구획실(28)을 개재하여 기외로 연통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저수탱크(15)내에서 거품이 튈 때에 생기는 소리를 기외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공기 조화기(1)가 전도한 경우와 같이, 저수탱크(15)가 기울어져 저수탱크(15)내의 물이 배출구(25)로부터 누출했을 때에, 그 누출된 물을 제 1구획실(28)에서 막아내고, 곧바로 기외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저수탱크(15)가 투명한 부재에 의해 형성됨과 동시에, 좌측 통부(10)의 일부(전면측)에 형성된 개구(31)에 투명 커버(32)가 장착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투명커버(32)를 개재하여 저수탱크(15)내를 볼 수 있으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에 발생하고 있는 거품을 시인할 수 있다. 다만, 저수탱크(15) 전체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저수탱크(15)의 투명커버(32)에 대향하는 부분이, 투명한 부재로 형성됨으로서 투명부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저수탱크(15)의 하방에는, 상방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33)(예를 들면, 청색LED 등의 LED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발 광소자(33)를 발광시킴으로서, 저수탱크(15)내의 물을 밝게 비출 수 있으므로(거품의 윤곽을 비출 수 있으므로), 투명커버(32)를 개재하여 저수탱크(15)내를 봤을 때, 저수탱크(15)내의 물에 발생하고 있는 거품을 시인하기 쉽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33)는, 평면에서 볼 때, 삽입부재(17)의 전단(장출부(23)의 전단)과, 저수탱크(15)의 전면벽과의 사이에 위치해 있고, 해당 발광소자(33)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거품 발생실(18)(장출부(23))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거품을 향해 조사되는 광이 거품 발생실(18)에 의해 차단되어, 거품이 시인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7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투명커버(32)는, 저수탱크(15)내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재(17), 특히, 거품 발생실(18)의 장출부(23)보다도 상방부분의 전면을 구획하는 전면벽(18A)에 대향하고 있다. 전면벽(18A)의 전면은, 투명커버(32)의 면적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저수탱크(15)내에 저축된 수중을 상승하는 거품을, 투명커버(32) 및 투명한 저수탱크(15)를 개재하여 기외에서 시인(視認)했을 때, 전면벽(18A)의 전면이 배경으로 되어, 거품이 시인하기 쉽다. 특히, 전면벽(18A)의 전면의 면적을 투명커버(32)의 면적보다도 크게 함으로서, 거품을 보다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삽입부재(17)(적어도 전면벽(18A)의 전면에 대한 투명 커버(32)에 대향하는 부분)가 청색계의 색 등으로 착색되어 있으면, 거품이 더욱 시인하기 쉽다. 단지, 전면벽(18A)의 전면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곡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전해실(19)내에는, 각각 전극유지부재(34)에 의해 유지된 한 쌍의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이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은, 예를 들면, 티탄 또는 루테늄계 재료에 백금을 코팅하고, 그 외측에 이리듐을 코팅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35)은, 전해실(19)의 저부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 전극판(35)에는 상하방향으로 긴 단자(37)의 하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수위검지용 전극(36)은, 상하방향으로 길고, 그 하단부가 전해실(19)의 저부(한 쌍의 전극판(35)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단자(37)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의 각 상단부는, 뚜껑(16)을 관통해서 제 2구획실(29)내에 임해있다. 제 2구획실(29)의 우측 벽면에는, 해당 벽면을 관통해서 유도부재(26)로부터 오른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핀(38)이 장착되어 있고, 2개의 단자(37)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의 각 상단부는, 각각 배선을 개재하여 각각 핀(38)에 접속되어 있다.
유도부재(26)의 우측에는, 한쌍의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을 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박스(39)가 배치되어 있다. 접속 박스(39)내에는, 3개의 핀(38)을 끼워 넣기 위한 3개의 잭(40)이 배치되어 있고, 각 잭(40)은 배선을 개재하여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유도부재(26)로부터 오른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핀(38)이, 각각 대향하는 잭(40)에 끼워 넣어짐으로서, 한 쌍의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에 대해 통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공기 청정기(1)를 연속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단속적으로(예를 들면, 1시간마다 3~10분 정도), 한 쌍의 전극판(35)이 서로 역극성이 되도록 소정 전압( 예를 들면, 10V)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전극판(35)사이에 있는 물에 전류가 흐른다. 염소를 포함하는 수돗물을 저수탱크(15)내에 저축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전극판(35)에 통전을 행한 경우에는, 양극, 음극 및 전극판 사이에서 하기와 같은 전기화학반응이 일어난다.
(양극측)
4H2O-4e- --> 4H++O2↑+2H2O
2Cl- --> Cl2+2e-
H20+Cl2 ↔ HClO+H++Cl-
(음극측)
4H2O+4e- --> 2H2↑+4OH-
(전극판사이)
H++OH- --> H2O
상기와 같은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나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전해수에 대해서 에어 펌프(13)로부터 공기 공급로(20)를 개재하여 공기를 들여보내고,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와 같이해서 발생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공급하면, 전용 액체를 준비하는 일 없이, 수돗물을 사용해서 살균기능이나 탈취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함으로서, 알레르기 억제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는, 거품 발생실(18)과 전해실(19)이 구획됨으로서, 거품 발생실(18)에서 발생한 거품이 전극판(35)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발생한 거품이 전극판(35)에 접촉함으로서 전기 분해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기 분해 성능을 행해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6)를 통과함으로서 티끌이나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에어 펌프(13)에서 흡입하고, 거품을 발생시키므로, 공기에 포함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이 거품 발생실(18)에 파고 들어가 작은 구멍(24)의 그물눈이 막히는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분무구(14)가 배기구(9)의 비교적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공급되는 미스트를, 배기구(9)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혼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가 혼입된 공기가 기외의 비교적 광범위하게 퍼짐으로서, 살균효과나 탈취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전극판(35)으로 통전을 단속적으로 행하 도록 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라면, 저수탱크(15)내의 물의 전기 분해를 단속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의 전해수 농도(차아염소산 농도 등)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판(35)으로 통전이 1회 행해질 때마다, 이들 전극판(35)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이 전환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공기 청정기(1)의 연속운전 중, 에어펌프(13)로부터 공기 공급로(20)를 개재하여 거품 발생실(18)로 들여보낸 공기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연속적으로 공급할 경우, 저수탱크(15)내의 물은 1시간에 1cc 정도씩 감소한다. 따라서, 저수탱크(15)내에 규정량(예를 들면, 160cc)의 물을 넣고 공기 청정기(1)를 연속 운전하는 경우에는, 저수탱크(15)내의 물은 7일정도 가지게 된다. 에어 펌프(13)로부터 거품 발생실(18)에 단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과 같은 구성의 경우, 한 쌍의 전극판(35)으로 통전과 동시 또는 교대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한 쌍의 전극판(35)으로 통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예를 들면, 3~10분)이 경과하고 나서 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수위검지용 전극(36)과, 한 쌍의 전극판(35) 중의 한쪽에는,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통전이 행해지고, 그 때의 통전상태에 따라,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소정수위(수위검지용 전극(36)의 하단의 수위)미만인지 아닌지가 검지된다. 즉,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수위검지용 전극(36)의 하단 이상의 수위일 때에는, 수위검지용 전극(36)과 한쪽 전극판(35)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상단보다 낮은 수위일 때에는, 수위검지용 전극(36)과, 한쪽 전극판(35) 사이에 전류가 흐르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상기 소정 수위미만이라고 검지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위검지용 전극(36)의 하단이 전극판(35)의 하다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해 있으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상기 소정 수위미만이라고 검지된 시점에서는, 아직 한 쌍의 전극판(35)은 저수탱크(15)내의 물에 침수되어 있다. 따라서,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소정 수위미만이라고 검지된 경우에, 그것을 통보하는(報知)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한 쌍의 전극판(35)이 저수탱크(15)내의 물에 침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수탱크(15)의 상단부의 전면 및 배면에는, 각각 해당 저수탱크(15)에 유도부재(26)를 연결하기 위한 훅(41)이 장착되어 있다. 각 훅(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에 따른 연직면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각 선단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회동된 상태(도5에 나타낸 상태)에서 유도부재(26)의 하단부에 걸쳐, 유도부재(26)가 저수탱크(15)측에 압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저수탱크(15)의 상단과 유도부재(26)의 하단에 의해 뚜껑(16)이 협지(挾持)되고, 저수탱크(15), 뚜껑(16) 및 유도부재(26)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된다.
하우징(2)의 좌측 통부(10)의 상부(미스트 발생장치(12)를 둘러싸는 부분)는, 하우징(2)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커버(2A)를 구성하고 있다. 커버(2A)의 후측 상부에는, 해당 커버(2A)를 하우징(2)로부터 제거할 때에 조작되는 조작부(42)가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42)는, 하우징(2)에 형성된 계합공(43)에 계합 가능한 조부(爪部)(44)와, 커버(2A)의 후면을 관통해서 후방측으로 노출하고, 커버(2A)를 하우 징(2)로부터 떼어낼 때에 전방으로 향해 압압되는 압압부(45)와, 압압부(45)가 압압됨에 따라 탄성변형하고, 조부(44)를 전방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변형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압압부(45)를 압압해서 조부(44)를 전방측으로 회동시키면, 조부(44)의 계합공(43)에 대한 계합이 벗겨져, 커버(2A)를 하우징(2)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커버(2A)를 하우징(2)로부터 떼어내면, 미스트 발생장치(12)가 기외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커버(2A)를 하우징(2)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미스트 발생장치(12)를 수평방향좌측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3개의 핀(38)이 대응하는 잭(40)으로부터 빠짐과 동시에, 공기 공급로(20)의 우단부가 공급로(21)(패킹(22))로부터 이간한다. 이와 같이 해서, 미스트 발생장치(12)를 공기 청정기(1)로부터 떼어낸 후, 2개의 훅(41)을 회동시켜 각 선단의 유도부재(26)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면, 유도부재(26)를 저수탱크(15)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유도부재(26)를 저수탱크(15)로부터 떼어내면, 나아가 뚜껑(16)을 저수탱크(15)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로부터 빼내도록 해서 뚜껑(16)을 저수탱크(15)로부터 떼어냄으로서, 저수탱크(15)내에 물을 보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내로부터 떼어내서, 저수탱크(15) 내에 전기부품 등(예를 들면, 전극판(35))의 다른 부품이 아무것도 없는 상태(공 상태)에서 저수탱크(15) 내에 물을 보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탱크(15) 로의 물 보급을 용이하게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술한대로, 수위검지용 전극(36)의 하단이 전극판(35)의 하단보다도 상방에 위치에 있으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이 상기 소정수위미만인 것을 통보(저수탱크(15) 내에 물을 보급해야함을 알림)가 행해진 시점에서는, 아직 삽입부재(17)의 하단부가 저수탱크(15) 내의 물에 침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저수탱크(15) 내에 물을 보급하기 위해서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 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거품 발생실(18)내의 물이 통수공(17C)을 통해 저수탱크(15) 내로 흘러 나와, 전해실(19)내의 물이 통수공(17A)을 통해 저수탱크(15) 내로 흘러 나가게 된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18)내 또는 전해실(19)내로 물이 들어간 상태에서 삽입부재(17)가 저수탱크(15) 내로부터 떼어내어져, 거품 발생실(18)내 또는 전해실(19)내의 물이 저수탱크(15)의 외부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극판(35)이나 수위검지용 전극(36)이 삽입부재(17)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로부터 빼냈을 때에도, 전극판(35)이나 수위검지용 전극(36)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방지하고, 전극판(35)이나 수위검지용 전극(36)을 보호할 수 있다.
저수탱크(15)내에 물을 보급한 후, 삽입부재(17)를 저수탱크(15) 내에 삽입하도록 해서 뚜껑(16)으로 저수탱크(15)의 개구를 차단하고, 나아가 뚜껑(16)의 상방에 유도부재(26)를 배치해서 훅(41)을 회동시킴으로서, 각 훅(41)을 유도부재(26)에 계합시켜, 저수탱크(15), 뚜껑(16) 및 유도부재(26)를 일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 뒤, 일체로 된 미스트 발생장치(12)를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 도록 해서 하우징(2), 공기 공급로(20)의 우단부를 패킹(22)으로 꽉 누르고, 미스트 발생장치(12)를 공기 청정기(1)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저수탱크(15)를 공기 청정기(1)로부터 떼어내서, 해당하는 저수탱크(15)내에 물을 용이하게 들여보낼 수 있다.
특히, 저수탱크(15) 를 공기 청정기(1)에 대해 착탈함으로서, 동시에, 핀(38) 및 공기 공급로(20)를 공기 청정기(1)에 대해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저수탱크(15) 에 물을 들여보낼 때의 작업이 용이해 진다.
또한, 핀(38)의 공기 청정기(1)에 대한 접속부(잭(40))와, 공기 공급로(20)의 공기 청정기(1)에 대한 접속부(공급구(21))가 저수탱크(15)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수탱크(15)내의 물이 공기 공급로(20) 등의 거품발생기구를 개재하여 에어 펌프(13)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핀(38)이나 잭(40)에 저수탱크(15) 내의 물이 튀어 통전불량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핀(38)의 공기 청정기(1)에 대한 접속부(잭(40))와, 공기 공급로(20)의 공기 청정기(1)에 대한 접속부(공급구(21))가 서로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저수탱크(15) (미스트 발생장치(12))를 공기 청정기(1)에 대해서 착탈할 때에는, 그들 2개의 접속부를 동시에 보고, 그들의 접속부의 접속 상태에 주의하면서 착탈을 행함으로서,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계된 삽입부재(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에서, 좌측 통부(10)의 근방을 전후방향을 따라 연직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 면을 왼쪽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도8에 나타낸 화살표 F-F에 따라 본 단면도이다. 상기 삽입부재(50)는, 상기 실시예에 관계된 삽입부재(17)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삽입부재(50)의 일부가 착탈 가능한 착탈부(51)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따라서, 착탈부(51)에 관련된 구성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및 도 9를 참조해서, 삽입부재(50)의 측면을 구성하는 구획벽 중, 전해실(19)의 좌면(左面)을 구획하는 좌면벽(50B)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부분과, 전해실(19)의 후면을 구획하는 후면벽(50C)의 상단으로부터 하단부에 걸친 부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평면시 대략 コ자 형상의 착탈부(51)를 구성하고 있다. 좌면벽(50A), 우면벽(50B) 및 후면벽(50C)에는, 각각 복수의 통수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전해실(19)의 전면을 구획하는 전면벽(50D)의 좌우양단부에는, 각각 후방에 돌출하는 계지조(係止爪)(53)가 형성되어 있고, 착탈부(51)의 좌면벽(50A)을 구획하는 부분의 전단부, 및 우면벽(50B)을 구획하는 부분의 전단부에는, 각각 대응하는 계지조(係止爪)(53)를 걸어서 계지시키기 위한 계지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탈부(51)를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착탈부(51)를 떼어냄으로서, 전해실(19)을 개방해서, 전해실(19)내의 유지 보존성(예를 들면, 전극판(35)이나 수위검지용 전극(36)에 부착된 물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말하자면 스케일)의 제거 등)을 행할 수 있다.
전해실(19)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판(35)의 각 하단은, 그 높이가 거의 일치해 있고, 수위검지용 전극(36)의 하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해 있다. 또한, 착탈부(51)의 하단부는, 전극판(35)의 하단 근방, 또는 전극판(35)의 하단 근방보다 하방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착탈부(51)를 떼어냄으로서,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의 주위를 넓게 해방하고, 전극판(35) 및 수위검지용 전극(36)을 전해실(19)에 대해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존성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0~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관계된 미스트 발생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에서, 도 10은, 미스트 발생장치(60)를 전후 방향을 따라 연직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왼쪽에서 본 도이고, 도 11은 미스트 발생장치(60)의 좌우방향을 다라 연직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전방에서 본 도이고, 도 12는, 미스트 발생장치(60)를 수평면에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상방에서 본 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미스트 발생장치(6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관계된 공기 청정기(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도 12를 참조해서, 상기 미스트 발생장치(60)에는, 상단면에 개구를 갖고, 규정량(예를 들면, 160cc 정도)의 물을 저축할 수 있는 대략 중공직방체 형상의 저수탱크(61)와, 상기 저수탱크(61)의 상단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뚜껑(62)이 구비되어 있다. 뚜껑(62)의 하면에는, 상기 저수탱크(61)의 상단면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뚜껑(62)이 구비되어 있다. 뚜껑(62)의 하면에는 수지제로 중공형상의 삽 입부재(63)가 장착되어 있다. 삽입부재(63)의 상단부와 뚜껑(62)에 의해 구획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은, 에어 펌프(13)로부터 미스트 발생장치(60)로 보내져 온 공기를 저수탱크(61)내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로(67)를 구성하고 있다.
삽입부재(63)는, 저수탱크(61)내의 상단으로부터 하부까지 상하방향으로 곧바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부의 전면에 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4)에는, 중공형상의 장출부(66)의 후단부가 끼워져 있고, 이것에 의해, 장출부(66)가 삽입부재(63)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튀어 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삽입부재(63)내의 공간 및 장출부(66)내의 공간은 개구(64)를 개재하여 연통해 있고, 이들 공간이 거품 발생실(65)을 구성하고 있다. 장출부(66)의 상면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재(63) 및 장출부(66)의 좌우방향의 폭은, 각각, 저수탱크(61)의 좌우방향의 폭보다도 약간 작은 정도이고, 삽입부재(63) 및 장출부(66)의 각 좌단면 및 각 우단면은 각각 대향하는 저수탱크(61)의 내면과 근접해 있다.
저수탱크(61)내에 물을 저축한 상태에서, 삽입부재(63)를 저수탱크(60)내에 삽입하도록 해서 뚜껑(62)을 저수탱크(60)의 상단부에 덮어씌우면, 삽입부재(63)가 저수탱크(60)내의 물에 침수되고, 저수탱크(60)내의 물이 작은 구멍(68)을 통해 장출부(66)내 및 삽입부재(63)내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삽입부재(63)에는, 작은 구멍(68)과는 별도로 통수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저수탱크(61)내에 물을 저축한 상태로 에어 펌프(13)를 구동하면, 공기 공급로(67)를 통해 보내져 온 공기가 거품 발생실(65)내에 공급되고, 그 압력으로 거품 발생실(65)내의 물이 교반되어 다수의 거품이 발생한다. 거품 발생실(65)내에서 발생한 거품의 일부는, 장출부(66)의 거품 발생실(65)내에서 발생하는 거품의 직경은 예를 들면 0.1~10mm정도이고, 작은 구멍(68)의 직경은, 예를 들면 0.5mm 정도이다. 따라서, 작은 구멍(68)로부터 유출하는 거품의 직경은 0.1~0.5mm 정도로 된다.
작은 구멍(68)로부터 유출된 거품은, 장출부(66)의 외측(상방)에 대한 저수탱크(61)내의 물의 수중을 통해 부상하고, 저수탱크(61)내의 물의 수면으로부터 대기중(저수탱크(61)내의 공기중)으로 해방된다. 이 때, 거품이 튀는 것에 의해 미스트가 발생하게 된다. 뚜껑(62)에는 작은 구멍(68)의 상방 위치에, 저수탱크(61)내에서 발생한 미스트를 저수탱크(61)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9)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62)의 상방에는, 배출구(69)로부터 배출된 미스트를 분무구(14)로 인도하기 위한 유도부재(70)이 배치되어 있다. 배출구(69)는 유도부재(70)내의 전단부로 임해 있다. 또한, 유도부재(70)의 상면 중앙부보다도 약간 후측에는, 분무구(14)에 연통하는 연통구(71)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62)의 배출구(69)와, 유도부재(70)의 연통구(71)는, 서로 수평방향에 벗어난 위치(상하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유도부재(70)내로 유입된 미스트는, 배출구(69)의 상방에 대한 유도부재(70)의 내측면에 부딪혀 유도부재(70)내 전체로 퍼지고, 그 후 연통구(71)를 개재하여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큰 물방울 모양의 미스트가 발생한 경우라도, 그 물방울 모양의 미스트를 유도부재(70)의 내벽면에 부착시켜 포획하고, 비교 적 작은 미스트(예를 들면, 직경이 약 2nm~10μm)만을 기외로 공급할 수 있다. 비교적 작은 미스트는 브라운 운동이 활발하기 때문에,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공급된 후, 보다 멀리까지 퍼짐과 동시에, 의류 등의 섬유로 들어가기 쉽다.
또한, 저수탱크(61)가 유도부재(70)를 개재하여 기외로 연통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서, 저수탱크(61)내에서 거품이 튈 때에 생기는 소리를 기외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공기 조화기(1)이 전도한 경우와 같이, 저수탱크(61)가 기울어져 저수탱크(61)내의 물이 배출구(69)로부터 누출했을 때에, 그 누출된 물을 유도부재(70)에서 막아내고, 곧바로 기외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출부(66)의 하방에는, 한 쌍의 전극판(72)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저수탱크(61)내에 대한 장출부(66) 보다도 하방의 공간은 저수탱크(61)내의 물을 전기분해해서 전해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해실(73)을 구성해 있다. 한 쌍의 전극판(72)은, 예를 들면, 티탄 또는 루테늄계 재료에 백금을 코팅하고, 그 외측에 이리듐을 코팅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72)은, 전해실(73)의 저부(저수탱크(61)의 저부)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72)에, 상기 실시예와 같이 소정의 상태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나 활성탄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생성된 전해수에 대해서 에어 펌프(13)로부터 공기 공급로(67)를 개재하여 공기를 들여보내고,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발생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분무구(14)로부터 기외로 공급하면, 전용 액체를 준비하는 일 없이, 수돗물을 이용해서 살균기능이나 탈취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살균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함으로서, 알레르기의 억제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거품 발생실(65)이 전극판(72)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은 구멍(68)로부터 방출되는 거품이 전극판(72)에 접촉하는 일 없이, 거품이 전극판(7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분해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하게 전기분해를 행해서 전해수를 생성하고, 그 전해수를 이용해서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살균작용이나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6)를 통과함으로서 티끌이나 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를 에어 펌프(13)에서 흡입하고, 거품을 발생시키므로, 공기에 포함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이 거품 발생실(65)에 파고 들어가 작은 구멍(68)의 그물눈이 막히는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것에 의해 장출부(66)의 전단면 좌우방향 중앙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장출부(66)는, 평면시에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72)은, 오목부(74)의 하방에 위치해 있다. 즉, 장출부(66)의 전극판(72)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판(72) 사이에서 발생된 전해수는, 전극판(72)측으로부터 거품 발생실(65)측과 상방으로 향하는 것으로 되지만, 이 때, 전해수는 오목부(74)를 통과함으로서 거품 발생실(65)을 회피해서 상방으로 인도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극판(72)에서의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한 전해수가 전극판(72)측으로부터 거품 발생실(65)측으로 상승했을 때에, 그 전해수를 오목부(74)를 통해 양호하게 상방으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거품 발생실(65)의 하방(장출부(66)의 하방)에 전해수가 고여, 전해수를 이용해서 양호하게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지, 장출부(66)의 형상은, 전극판(72)측으로부터 거품 발생실(65)측으로 상승하는 전해수가 장출부(66)의 하방에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면, 예를 들면, 그 저면이 하방을 향해 볼록 만곡(凸彎曲) 또는 오목 굴곡(凹屈曲)한 형상이라도 좋다.
이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분무구(14)는 청정후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9)의 근방으로부터 미스트를 공급하는 것과 같은 구성이라면, 상기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저수탱크(15, 61)내의 물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는, 에어 펌프(13)를 이용해서 저수탱크(15, 61)측으로 인도되는 것과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어 펌프(13)를 사용하지 않고, 팬(4)에 의해 방출된 공기의 일부가 저수탱크(15, 61)측으로 직접 인도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일예로서 공기 청정기(1)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한정되지 않고, 가습기나 에어컨 등의 다른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공기 조화기능을 구비해 있지 않은 장치에 적용함으로서, 전해수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에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차아염소산(HClO)나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전해수에 대해서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발생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갖는 미스트를 미스트 발생수단에 의해 기외로 공급하면, 적용 액체를 준비하는 일 없이, 수돗물 등의 물을 이용해서 살균작용이나 탈취작용을 달성 할 수 있다.

Claims (21)

  1. 기외의 공기를 취입하고, 소정 처리를 실시해서 기외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 공기조화를 행하기 위한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물을 저축할 수 있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과,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거품발생기구와,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의 수면으로부터 대기중으로 해방될 때에 거품이 튀기는 것에 의해 발생된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수돗물을 전기분해해서 차아염소산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기구는 발생시키는 거품이 상기 전극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 내에는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되는 거품이 상기 전극측으로 향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을 수용하는 전해실과,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수중으로 방출되는 복수의 거품방출구가 형성된 거품 발생실을 구획하고, 상기 저수부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에 형성된 상기 전해실을 구획하는 구획벽의 일부는, 상기 거품방출구로부터 방출되는 거품이 상기 전극측으로 향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에는,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저수부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수부내의 물을 상기 거품 발생실내로 출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저수부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상기 거품 발생실내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거품 발생실 통 수공과,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저수부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수부내의 물을 상기 전해실내로 출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삽입부재를 상기 저수부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상기 전해실내의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전해실 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발생실 통수공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들의 면적이 상기 거품방출구의 면적이하이고, 그들의 수가 상기 거품방출구의 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실 통수공은, 그 면적이 상기 거품 발생실 통수공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일부는, 상기 전해실을 구획하는 착탈 가능한 착탈부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전해실의 적어도 상기 전극 주위를 구획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외형을 구획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투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투명부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기외로부터 상기 투명부를 개재하여 상기 저수부내를 시인하기 위한 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의 상기 창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창의 면적보다도 큰 면적을 갖는 대향면이 구비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내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와 상기 대향면과의 사이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해당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상기 거품 발생실에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수중으로 방출되는 복수의 거품방출구가 형성된 거품 발생실 을 포함하고,
    상기 거품 발생실의 상기 전극에 대항하는 위치에는, 상기 전극측으로부터 상기 거품 발생실측으로 향하는 상기 저수부내의 물을 상기 거품 발생실을 회피해서 상방으로 인도하기 위한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외로부터 취입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거품발생기구는, 상기 필터를 통과한 후의 공기를 이용해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가 실시된 후의 공기를 기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미스트 공급수단은, 상기 배기구의 근방으로부터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공급수단은, 발생한 미스트가 기외로 공급되기 전에 통과하는 완충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저수부가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됨으로서, 상기 전극 및 상기 거품발생기구가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 착탈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와, 상기 거품발생기구의 상기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속부는, 상기 저수부의 상방측에 서로 근접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이 단속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1. 물을 저축할 수 있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과,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에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거품발생기구와,
    상기 거품발생기구에 의해 발생된 거품이 상기 저수부에 저축된 물의 수면으 로부터 대기중으로 해방될 때에 거품이 튀는 것에 의해 발생한 미스트를 기외로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분무장치.
KR1020050018814A 2004-03-26 2005-03-07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KR100679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2786 2004-03-26
JP2004092786 2004-03-26
JPJP-P-2004-00176032 2004-06-14
JP2004176032A JP4471742B2 (ja) 2004-03-26 2004-06-14 空気調和機および電解水噴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474A true KR20060043474A (ko) 2006-05-15
KR100679709B1 KR100679709B1 (ko) 2007-02-06

Family

ID=3504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814A KR100679709B1 (ko) 2004-03-26 2005-03-07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71742B2 (ko)
KR (1) KR100679709B1 (ko)
CN (1) CN100338402C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87B1 (ko) * 2005-07-29 2007-07-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청정기
KR100802280B1 (ko) 2005-11-18 2008-02-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KR100810408B1 (ko) 2006-03-08 2008-03-0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KR100840491B1 (ko) * 2006-08-25 2008-06-2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0883011B1 (ko) * 2006-07-20 2009-02-1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KR100885112B1 (ko) * 2006-08-25 2009-02-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공기 제균 시스템
KR100893476B1 (ko) * 2006-10-30 2009-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8820B2 (ja) * 2005-11-18 2012-02-15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4663518B2 (ja) * 2005-12-28 2011-04-06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4721921B2 (ja) * 2006-01-30 2011-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除菌装置
JP4771850B2 (ja) * 2006-03-31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の周辺空気の除菌装置
JP4726680B2 (ja) * 2006-03-31 2011-07-20 三洋電機株式会社 除菌ユニット
JP4483857B2 (ja) * 2006-11-20 2010-06-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解ミスト発生装置とそれを用いた洗濯機
JP4821579B2 (ja) * 2006-11-24 2011-11-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JP2008157585A (ja) * 2006-12-26 2008-07-10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4812633B2 (ja) * 2007-01-12 2011-11-09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除菌装置
CN101397740B (zh) * 2007-09-30 2011-06-15 海尔集团公司 一种酸性功能性水雾的杀菌漂洗方法
JP5029316B2 (ja) * 2007-11-22 2012-09-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及び同装置の検査システム
JP2009066434A (ja) * 2008-11-28 2009-04-02 Sanyo Electric Co Ltd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11145031A (ja) * 2010-01-18 2011-07-28 Sanyo Electric Co Ltd 加湿機
JP2012029803A (ja) * 2010-07-29 2012-02-16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4883819B1 (ja) * 2010-11-15 2012-02-22 頼男 名出 院内感染防止用病棟
JP5991360B2 (ja) * 2014-09-30 2016-09-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水処理装置及び加湿装置
CN105032088A (zh) * 2015-05-18 2015-11-11 凯天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pm2.5治理工艺、装置及其应用
CN105233316A (zh) * 2015-08-31 2016-01-13 广州中国科学院先进技术研究所 一种降低家用电器内微生物污染的方法
CN110958890B (zh) * 2017-07-28 2021-10-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解水喷洒装置
CN112654821B (zh) * 2018-09-19 2022-07-2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液体微细化装置以及使用该液体微细化装置的热交换换气装置
KR102346883B1 (ko) * 2020-01-23 2022-01-04 나기원 이동형 전해수 살포 공기살균 소독기
JP2023143658A (ja) * 2022-03-24 2023-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間浄化装置
JP7198987B1 (ja) 2022-03-24 2023-01-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間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443A (ja) * 2001-07-24 2003-02-07 Sanyo Electric Co Ltd 加湿機
JP2003062573A (ja) * 2001-08-29 2003-03-04 Mikuni Corp 電解水生成器
JP5149473B2 (ja) * 2001-09-14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脱臭装置
JP2003102816A (ja) * 2001-09-27 2003-04-08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
JP3837335B2 (ja) * 2002-01-23 2006-10-25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987B1 (ko) * 2005-07-29 2007-07-0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청정기
KR100802280B1 (ko) 2005-11-18 2008-02-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KR100810408B1 (ko) 2006-03-08 2008-03-0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KR100883011B1 (ko) * 2006-07-20 2009-02-1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KR100840491B1 (ko) * 2006-08-25 2008-06-23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0885112B1 (ko) * 2006-08-25 2009-02-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시스템, 공기 제균 장치 및공기 제균 시스템
KR101326357B1 (ko) * 2006-08-25 2013-11-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KR100893476B1 (ko) * 2006-10-30 2009-04-1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71742B2 (ja) 2010-06-02
JP2005305100A (ja) 2005-11-04
CN1673635A (zh) 2005-09-28
CN100338402C (zh) 2007-09-19
KR100679709B1 (ko)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709B1 (ko)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KR100734987B1 (ko) 공기 청정기
KR20080039260A (ko) 공기 제균 장치
EP1891980A2 (en) Air filtering apparatus
KR2018003815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168287A (zh) 超声波加湿器
JP4434853B2 (ja) ミスト発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113979513B (zh) 清洁设备及消毒组件
JP4371919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電解水噴霧装置
KR20090097768A (ko) 가습기, 공기청정기 및 전해수 유닛
WO2011065289A1 (ja) 給水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た電解装置
TWM555856U (zh) 氫氣生成裝置及包含其之氫氣吸入裝置
CN217303058U (zh) 一种次氯酸除菌的加湿空气净化消毒机
JP5340850B2 (ja) 空気除菌装置
JP5340856B2 (ja) 空気除菌装置
JP2011177293A (ja) 空気除菌装置
CN211734772U (zh) 衣物处理设备
JP2010249337A (ja) 超音波霧化装置
CN114786736B (zh) 空气净化装置
JP2006175043A (ja) 電気掃除機、電気掃除機用除菌装置、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電気掃除機用接続ホース
JP2008109984A (ja) 空気除菌装置
EP1953462A2 (en) Air filtering apparatus
JP4429093B2 (ja) 空気調和機
CN216007170U (zh) 一种坐便器
CN216417041U (zh) 一种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