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491B1 -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491B1
KR100840491B1 KR1020070085440A KR20070085440A KR100840491B1 KR 100840491 B1 KR100840491 B1 KR 100840491B1 KR 1020070085440 A KR1020070085440 A KR 1020070085440A KR 20070085440 A KR20070085440 A KR 20070085440A KR 100840491 B1 KR100840491 B1 KR 10084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erilization
water
uni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837A (ko
Inventor
도시오 후꾸시마
도오루 아라까와
히로유끼 고바야시
다꾸로오 니시하라
히로아끼 우스이
요오이찌 우찌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8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14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87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1423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대략 상자 모양의 하우징을 천장 내에 매립하여 구성되는 천장 매립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로부터의 바람이 통하는 송풍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전해수에 침윤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에 의해 온도 조정된 공기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거나, 혹은 제거하여, 공기를 청정화할 수 있다.
하우징, 전기 분해, 전해수, 기액 접촉 부재, 천장 매립형의 공기 조화 장치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수도물을 흡수한 가습 엘리먼트에 의해 가습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실용신안 평07-52508호 공보 참조).
그런데, 실내의 공기에는 미생물[세균, 바이러스, 진균(이하, 간단히 「바이러스 등」이라고 함)]이 부유하고 있으며, 공기 조화 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도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예를 들어 저항력이 약한 사람이나, 인파에 있어서의 감염의 가능성을 저하시키거나 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유용하다. 그리고,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면 상기한 효과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는 제균 능력을 갖춘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균 능력을 갖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제균을 목적으로 한 운전과 공조 운전을 간단한 조작으로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및,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의 실내기는,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대략 상자 모양의 하우징을 천장 내에 매립하여 구성되는 천장 매립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이 통하는 송풍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전해수에 침윤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전해수에 침윤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통함으로써 제균된다. 이 때문에, 냉방 또는 난방에 의해 온도 조정된 공기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거나, 혹은 제거할 수 있어, 공기 조화 장치에 공기의 제균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는, 피공조실 내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유저가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부담없이, 공기를 청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어진 개구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들어간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의 하우징의 측면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이 개구부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를 넣게 함으로써 기액 접촉 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를 막는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를 구비하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전해조가 고정되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다른 쪽의 면에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고정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판 형상 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이 판 형상 부재에 기액 접촉 부재와 전해조를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기액 접촉 부재와 전해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와 전해조가 근접하고 있으므로, 전해조에서 생성한 전해수를 조속히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천장 내에 실내기를 매립해 설치할 때에, 물 공급관 및 냉매 배관의 접속 작업을 통합하여 행할 수 있어, 설치 시의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해조에 의해 전해수를 생성하므로, 전해조가,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의 하우징 내부에 있어서의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유로를 좁게 하거나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통풍 저항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지 않아, 하우징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의 메인터넌스를,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간단히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천장 내에 실내기를 매립해 설치할 때에, 물 공급관 및 냉매 배관의 접속 작업을 통합하여 행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부터의 드레인 물을 받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으로부터 드레인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와, 상기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공급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침윤시키는 전해수 공급부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하는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서 받는 전해수 받이와, 상기 전해수 받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상기 드레인 팬에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액 접촉 부재에 공급된 전해수가,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하여 드레인 팬으로 배출되므로, 전해수를 드레인 물와 함께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작용을 갖는 전해수가 드레인 팬을 흐름으로써, 드레인 팬에 있어서의 잡균의 번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한 전해수는, 일단 전해수 받이에 저류된 후에 드레인 팬에 흐르므로, 배출관을 개폐함으로써 전해수 받이로부터 드레인 팬으로의 전해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전해수 받이의 전해수를 배출하지 않고 순환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전해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펌프는 상기 하우징의 한 구석에 설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는, 상기 드레인 펌프의 설치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드레인 펌프의 근방에 기액 접촉 부재 및 전해수 받이가 위치하므로, 드레인 팬으로 배출된 전해수가 조속히 드레인 펌프에 도달하여, 드레인 펌프에 의해 조속히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전해수가 드레인 팬에 장시간 체류하지 않으므로, 실내 열교환기에 대한 전해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에 방식(防蝕) 가공 등을 실시할 경우의 시공 면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수 받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순환 공급하는 순환 공급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해수를 순환시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 수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의하면, 천장 매립형의 공기 조화 장치에 공기의 제균 기능을 갖게 할 수 있고, 피공조실 내의 바닥면에 있어서 의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을 받지 않고, 공기의 청정화하는 기능을 갖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기와,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를 연결 배관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상기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고,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침투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에 침투한 전해수에 공기를 접촉시켜 제균하는 제균 장치와, 상기 제균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여, 그 동작 모드로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한 공조 동작 및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상기 공조 동작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연동 운전 모드와 운전 정지 모드가 실행 가능하여, 연동 운전 모드의 실행 시에는, 실내기가 피공조실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동시에 공기의 제균을 행하고, 공조 동작에 연동시켜 제균 동작도 행하거나, 혹은, 공조 동작의 정지에 연동시켜 제균 동작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런 한편, 독립 제균 운전 모드의 실행 시에는 제균 동작만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조 동작과 제균 동작이 연동한 동작 모드와, 제균 동작만을 실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용이하게 절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가 동작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절환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환 조작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 상기 연동 운전 모드의 실행 중에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정지시켜 상기 공조 동작을 행하는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이행하거나, 혹은, 상기 독립 공조 운전 모드의 실행 중에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개시시켜 상기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가 절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연동 운전 모드의 실행 중에 제균 동작을 정지시켜 공조 동작을 행하는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이행시키고, 독립 공조 운전 모드의 실행 중에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개시시켜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공조 동작과 제균 동작을 조합한 운전 모드를 절환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 제균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여, 상기 송풍기에 의한 송풍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균 장치만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공조 동작용의 송풍기를 구동함으로써, 제균 장치 전용의 송풍기를 설치하지 않고, 제균된 공기를 피공조실에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하면, 공조 동작과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와,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만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구비하여, 제균 동작만을 행하게 하거나, 혹은, 공조 동작과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등, 다채로운 운전 상태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절환하여 실행시킬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기와,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를 연결 배관으로 접속하여 구성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상기 실내기의 상기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고,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침투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에 침투한 전해수에 공기를 접촉시켜 제균하는 제균 장치와, 상기 제균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여, 그 동작 모드로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한 공조 동작 및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상기 공조 동작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를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유저에 의한 공조 동작 혹은 제균 동작의 개시 지시를 검지하는 스텝과, 현재의 운전 상황이 운전 중인지 운전 정지 중인지를 판별하는 스텝과, 유저에 의한 공조 동작의 개시 지시를 검지하고, 또한, 현재의 운전 상황이 운전 정지 중이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연동 운전 모드를 개시하고, 유저에 의한 제균 동작의 개시 지시를 검지하고, 또한, 현재의 운전 상황이 운전 정지 중이라고 판별한 경우에는, 상기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개시하는 스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공조 동작과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와,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만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제균 동작만을 행하게 하거나, 혹은, 공조 동작과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 는 등, 다채로운 운전 상태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절환하여 실행시킬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4방향 분출형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본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외 유닛(실외기)(1)과 실내기(2)를 구비한 분리형의 히트 펌프식 공기 조화 장치이다. 실외 유닛(1)의 실외 냉매 배관(10)과 실내기(2)의 실내 냉매 배관(34)이 연결 배관(35)을 통하여 연결되고, 이들 실외 유닛(1) 및 실내기(2)는 제어 장치(제어부)(8)에 의해 운전 제어된다.
실외 유닛(1)은, 실외에 설치됨으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냉매 배관(10)에 압축기(11)가 배치되고, 압축기(11)에는 그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12)가이 접속되고, 그 토출측에는 사방 밸브(13)와 실외 열교환기(14)와 전동 팽창 밸브(15)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외 유닛(1)에는, 실외 열교환기(14)를 향하여 송풍하는 실외 팬(16)이 배치되어 있다.
실내기(2)는, 피조화실 내에 설치됨으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구(31) 및 분출구(32)를 구비한 하우징(20) 내에 실내 열교환기(21)와, 공기의 흡입구(31)로부터 분출구(32)를 향하여 하우징(20) 내에서 공기를 도통시키는 송풍 팬(송풍기)(22)과, 이 송풍 팬(22)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20) 내의 공기 도통 경로 내에 배치되고, 실내 열교환기(2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에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접촉시켜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부(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8)는, 도시하지 않은 CPU와,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이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용 데이터 등을 저장한 ROM과, CPU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 장치(8)는, 실내기(2)의 장치 외의 리모콘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를 구비한다. CPU는, 적외선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적외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콘 장치에 의한 지시를 받아, 이 지시에 따라 ROM 내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RAM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00)에서는, 사방 밸브(13)를 절환함으로써 냉매 회로(100a)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여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방 운전 시에는 도면 중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는 파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냉매가 흐른다.
즉, 냉방 운전 시에는,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가 어큐뮬레이터(12)를 거쳐 실외 열교환기(14)에 도달하고, 실외 열교환기(14)에서 응축되어서 전동 팽창 밸브(15)에 보내어진다. 이 고압의 냉매는 전동 팽창 밸브(15)를 통과하여 팽창하고, 실내 열교환기(21)에 있어서 기화된 후에 압축기(11)의 흡입측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난방 운전 시에는,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가 실 외 냉매 배관(10)을 거쳐 실내 열교환기(21)에 보내어지고, 실내 열교환기(21)에 있어서 응축되고, 전동 팽창 밸브(15)에 보내어진다. 이 냉매는 전동 팽창 밸브(15)에 있어서 팽창하여 실외 열교환기(14)에 보내어져, 실외 열교환기(14)에서 기화하고, 사방 밸브(13)를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2)에 보내어져, 압축기(11)의 흡입측으로 되돌아간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실내기가, 천장에 매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부 단면도이다. 또한, 도3은, 도2에 도시하는 실내기(2)의 상하 방향을 반대로 하여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실내기(2)는, 실내 열교환기(21)나 제어 장치(8) 등을 내포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20)의 피조화실 내측에는 화장 패널(30)이 설치되어 있다. 도2와 같이 실내기(2)가 천장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화장 패널(30)은 하우징(20)의 하측에 위치한다.
하우징(20)은, 피조화실측의 면(도2에서는 하측의 면, 도3에서는 상측의 면)이 개구한 대략 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의 측면은, 대략 직사각형의 3매의 측판(20a)과, 동일하게 대략 직사각형의 1매의 측판(20e)을 접합하여 구성된다. 각 측판의 접합부에는 다른 평판이 개재되어 있고, 이들 측판은, 전체적으로 대략 팔각형의 틀을 구성한다.
측판(20a)에는 녹아웃 홀부(20c)가 형성되어 있다. 녹아웃 홀부(20c)는, 측판(20a)을 구성하는 한 장의 판에 의해 막힌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이며, 필요에 따 라 누름으로써 상기 구멍을 막는 판이 탈락하여, 개구한다. 녹아웃 홀부(20c)를 눌러 형성되는 개구를, 개구부(20d)로 한다.
또한, 측판(20e)의 일단에는, 실내기(2) 내의 실내 열교환기(21)에 연결되는 실내 냉매 배관(34) 등을 유도하기 위한 절취부(20f)가 형성되어 있다.
화장 패널(30)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 더 구체적으로는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화장 패널에 의해 하우징(20)의 개구면 및 천장 구멍(102)이 덮혀 있다. 이 화장 패널(30)에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흡입구(31)와, 화장 패널(30)의 4변의 근방에, 각각의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된 분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분출구(32)는, 상술한 측판(20a, 20e)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 후술하는 실내 열교환기(21)를 통과한 공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31)의 내측, 즉 천장(101)의 이면측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필터(33)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기(2)는, 이 흡입구(31)로부터 피조화실 내의 공기를 하우징(20)의 내부에 빨아들여, 하우징(20) 내에서 공기의 열교환을 행한 후, 4개의 분출구(32)로부터 피조화실 내를 향하여 공기를 4 방향으로 분출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20)의 네 구석에는, 현수 금속 부재(103)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유닛(1)이 설치되는 건물의 천장(101)에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천장 구멍(102)에, 피조화실측으로부터 천장(101)의 이면측에 매립되고, 천장 뒤부터 수직 하강하는 현수 볼트(104)에 현수하고 금속 부 재(103)가 고착됨으로써, 천장 공간에 현수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하우징(2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1 내지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하우징(20)의 측판(20a)의 내면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체(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20b로 나타내는 하우징(20)의 상부판의 내측에는, 모터(22a)가 고정되고, 이 모터(22a)의 샤프트에는 임펠러(2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이 송풍 팬(22)을 구성하고 있다. 이 송풍 팬(22)을 둘러싸도록, 하우징(20)의 측판(20a, 20e)을 따라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구부려진 실내 열교환기(21)가 상기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체(2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3 참조). 이 실내 열교환기(21)에는 송풍 팬(22)에 의해 흡입구(31)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가 공급되고, 실내 열교환기(21)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각 분출구(32)로부터 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O) 내에 배치되는 실내 열교환기(21)는, 상기 측판에 의해 구성되는 대략 팔각형의 틀을 따른 형상을 갖고, 측판(20a, 20e)에 바로 대하는 면은 평평하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21)의 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24)이 배치된다. 드레인 팬(24)의 외주는 하우징(20)의 내면에 거의 접한다. 드레인 팬(24)은, 도2에 도시하는 실내기(2)의 설치 상태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21)의 하방에 위치하여, 주로 냉방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 유하하는 결로수(드레인 물)를 받아 저류한다. 드레인 팬(24)에는, 실내 열교환기(21)의 한 코너에 상당하는 위치에 드레인 펌프(27)가 배치되어, 드레인 팬(24)에 저류한 드레인 물은 드레인 펌프(27)에 의해 퍼 올려진 다. 드레인 펌프(27)에 의해 퍼 올려진 드레인 물은, 절취부(20f)를 통하여 하우징(20)의 밖으로 연장되는 드레인관(27a)에 의해, 실내기(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절취부(20f)에는,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배관(냉매 배관)(35)(도1)이 통과하고 있다.
드레인 팬(24)에는, 화장 패널(30)의 흡입구(31) 및 분출구(32)에 대응하는 위치에 흡입 개구(25) 및 분출 개구(26)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 개구(2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드레인 팬(24)의 중앙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개구(26)는 드레인 팬(24)의 4변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드레인 팬(24)의 분출 개구(26)는, 실내 열교환기(21)의 평평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며, 이 분출 개구(26)로부터 상술한 분출구(32)를 통하여, 피조화실 내를 향하여 공기가 분출된다.
또한, 녹아웃 홀부(20c)에 형성된 개구부(20d)에는, 공기 제균부(4) 등이 설치된 제균 유닛(3)이 외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0)에서는, 실내기(2)의 하우징(20)을 구성하는 3매의 측판(20a) 중, 드레인 펌프(27)가 배치되는 한 구석에 근접하는 1매의 측판(20a)에 있어서, 녹아웃 홀부(20c)를 개구시키고, 제균 유닛(3)을 배치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균 유닛(3)은 개구부(20d)를 폐쇄하는 베이스판(판 형상 부재)(3a)을 구비하고 있으며, 개구부(20d)에 제균 유닛(3)을 삽입하고, 베이스판(3a)과 측판(20a)을 고정함으로써 개구부(20d)가 폐쇄된다.
베이스판(3a)에는, 하우징(20) 내에 들어가는 측에, 공기 제균부(4)가 설치 되어 있다. 공기 제균부(4)는, 부착 금속 부재(61)에 의해, 베이스판(3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지지되고 있으며, 이 베이스판(3a)과 공기 제균부(4) 사이에는,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판(3a)에는, 하우징(20)의 밖으로 나오는 측에, 후술하는 전해 유닛(5), 수도물 제어 밸브(46), 역지 밸브(47), 순환 펌프(49), 전장 기판(4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균 유닛(3)은, 하우징(20)의 외측으로부터 덮는 대략 상자 모양의 외장(80)을 갖는다. 이 외장(80)은 하우징(20)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해 유닛(5), 수도물 제어 밸브(46), 역지 밸브(47), 순환 펌프(49), 및 전장 기판(40)을 포함하는 제균 유닛(3)의 각 부를 수용한다.
제균 유닛 유닛(3)을 개구부(20d)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는, 공기 제균부(4)가 실내 열교환기(21)에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공기 제균부(4)는, 실내 열교환기(21)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송풍 팬(22)에 의해 송풍되고, 실내 열교환기(21)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 제균부(4)에 내뿜어진다. 이 공기는, 공기 제균부(4)를 통함으로써 제균되어, 공기 제균부(4)와 베이스판(3a) 사이를 하방으로 흐르고, 화장 패널(30)에 형성된 분출구(32)로부터, 피조화실에 분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a)에는 단열체가 배치되어 있으며, 공기 제균부(4)를 통한 공기는 단열체와 공기 제균부(4) 사이를 하방으로 흐르므로, 제균 유닛(3)에 있어서의 공기의 온도 변화는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도4a 및 도4b는, 제균 유닛(3)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4a는 공기 제균부(4)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4b는 전해 유닛(5)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5는, 제균 유닛(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5에는,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실내 열교환기(21), 드레인 팬(24) 및 드레인 펌프(27)를 도시하는 동시에, 제균 유닛(3)의 일부를 모식화하여 도시한다. 또한, 도5에서는, 화살표G가 나타내는 방향을 하방으로 한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제균부(4)는, 보수성이 높은 엘리먼트(기액 접촉 부재)(41)와, 실내기(2)의 설치 상태(도2)에 있어서 엘리먼트(41) 상에 배치되는 분산 접시(42)를 구비한다. 엘리먼트(41)는, 예를 들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로 구성된다. 엘리먼트(41)의 소재로서는, 전해수에 대한 반응성이 적은 소재가 바람직하고, 상기한 아크릴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외,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 프로필렌 수지 등),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스계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먼트(41)에 친수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전해수에 대한 친화성을 높이고 있다. 이에 의해, 엘리먼트(41)에 있어서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며, 엘리먼트(41)에 도입된 공기가 확실하게 전해수에 접촉한다.
분산 접시(42)는, 후술하는 전해 유닛(5)으로부터 전해수 주입 튜브(5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해수를, 엘리먼트(41)에 적하시킨다. 분산 접시(42)의 측면에 는 전해수 주입 튜브(51)가 접속되는 접속구(4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산 접시(42)의 바닥면에는, 전해수를 엘리먼트(41)에 적하하여, 엘리먼트(41)에 분산·침윤시키기 위한 구멍(도시 생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분산 접시(42)로부터 엘리먼트(41)에 전해수를 적하함으로써 엘리먼트(41) 전체에 균일하게 전해수가 공급된다.
이 엘리먼트(41)에 공급되어, 엘리먼트(41)로부터 흘러내리는 전해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다.
전해수 주입 튜브(51)는, 전해 유닛(5)에 있어서 생성된 전해수를 분산 접시(42)에 유도하는 관이다.
전해 유닛(5)은,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물 등의 물이 공급되는 전해조(52)를 갖는다. 이 전해조(5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53a, 53b)이 배치되고, 이들 전극(53a, 53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물을 전기 분해하여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란, 일반적인 산소보다도 높은 산화 활성을 갖는 산소분자와, 그 관련 물질을 말하며, 슈퍼옥시드 음이온, 일중항산소, 히드록실래디칼, 혹은 과산화수소라고 하는, 소위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 할로겐산 등이라고 한, 소위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시킨 것으로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해조(52)는 베이스판(3a)의 1면에 고정되고, 베이스판(3a)의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 엘리먼트(41)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전해수 주입 튜브(51)를 통하여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바로 엘리먼트(41)에 공급할 수 있다.
전극(53a, 53b)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티탄(Ti)이며, 피막층이 이리듐(Ir), 백금(Pt)으로 구성된 2매의 전극판이다.
상기 전극(53a, 53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수중의 수소 이온(H+)과 수산화수 이온(OH-)이 하기 화학식1로 표현한 바와 같이 반응한다.
4H++4e-+(4OH-) → 2H2+(4OH-)
한편, 애노드 전극(양극)에서는, 하기 화학식2로 표현한 바와 같이 물이 전기 분해된다.
2H2O → 4H++O2+4e-
와 함께, 애노드 전극에 있어서는, 물에 포함되는 염소 이온(염화물 이온 : Cl-)이 하기 화학식3으로 표현한 바와 같이 반응하여, 염소(Cl2)가 발생한다.
2Cl- → Cl2+2e-
또한, 이 염소는 하기 수학식4로 표현한 바와 같이 물과 반응하여, 차아염소산(HClO)과 염화수소(HCl)가 발생한다.
Cl2+H2O → HClO+HCl
이 구성에서는, 전극(53a, 53b) 사이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차아염소산(HClO) 등의 활성 산소종이 발생하고, 이 활성 산소종을 포함한 전해수가 엘리먼트(41)에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엘리먼트(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당해 엘리먼트(4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켜, 공기를 제균할 수 있으며, 또한 엘리먼트(41) 자체에 있어서의 잡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악취 등의 원인 물질인 가스상 물질도, 엘리먼트(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되거나, 전해수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과 반응하거나 해서, 공기 내에서 제거되므로, 엘리먼트(41)에 의해 탈취가 가능하다.
또한, 전극(53a, 53b) 사이에 소정의 전류 밀도의 전류(예를 들어, 20㎃/㎠ 등)를 통전하면,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소정의 농도의 활성 산소종(예를 들어, 유리잔류염소 농도 1㎎/l 등)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류값을 변경함으로써, 전해수 중의 활성 산소종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구체적인 예로서는, 전류값을 작게 한 경우에는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낮출 수 있고, 전류값을 크게 한 경우에는 전해수의 차아염소산의 농도를 높힐 수 있다.
또한, 전해 유닛(5)의 상류측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관(50), 수도수 제어 밸브(46) 및 역지 밸브(47)를 구비한 수도물 조정부(6)가 접속된다.
도5는, 공기 제균부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흐름을 설명하는 계통도이다. 또한, 도5에서는, 화살표 G로 나타내는 방향을 하방으로 한다.
역지 밸브(47)는, 도시하지 않은 상수도관 등의 수원에 접속된 수도물 주입 배관(물 공급관)(48)에, 커넥터(59)를 통하여 접속된다. 역지 밸브(47)의 하류측에는 수도물 제어 밸브(46)가 배치된다. 수도물 제어 밸브(46)는, 후술하는 전장 기판(40)의 제어에 의해 개폐 및 개방도가 조정되는 밸브이다. 수도물 제어 밸브(46)에 연통하는 접속관(50)은 전해 유닛(5)에 도달하고 있으며, 수도물 제어 밸브(46)의 개방도에 따른 양의 물이, 전해 유닛(5)에 공급된다.
그리고, 수도물 주입 배관(48)은, 절취부(20f)를 통하는 연결 배관(35) 및 드레인관(27a)을 따라, 하우징(20)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전해 유닛(5)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천장 내에 실내기(2)를 매립해 설치할 때에, 수도물 주입 배관(48), 연결 배관(35), 드레인관(27a) 등의 접속 작업을 통합하여 행할 수 있어, 설치에 걸리는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도물 주입 배관(48)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물을 공급하는 수원은, 시수(수도물) 혹은 급수조 등에 저류된 물 등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또한,급수조 등에 저류되는 물이란, 수도물 등과 같이 염화물 이온 등의 이온종이 미리 함유되어 있는 물이어도 되고, 우물물 등의 이온종 농도가 희박한 물이어도 된다.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을 총칭하여 물로 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먼트(41)의 하방에는 전해수 트레이(전해수 받이)(43)가 배치되어 있다. 전해수 트레이(43)는, 분산 접시(42)로부터 엘리먼트(41)에 공급된 전해수가 엘리먼트(41)로부터 흘러 내리므로, 이 전해수를 받아 저류하는 트레이이다. 전해수 트레이(43)의 바닥면에는, 저류된 전해수를 드레인 팬(24)으로 유도하는 드레인관(44)이 접속되어 있다. 전해수 트레이(43)의 양단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 금속 부재(61)에 의해 베이스판(3a)에 지지 고정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엘리먼트(41)는 스테이(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전해수 트레이(43)에 연결되고, 베이스판(3a)에 의해 지지된다.
전해 유닛(5)으로부터 공기 제균부(4)에 공급된 전해수는,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다. 전해수 트레이(43)에는, 순환 펌프(49)의 흡입 노즐(49A)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흡입 노즐(49A)을 통하여,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가 순환 펌프(49)에 의해 빨아 올려져, 접속관(50)을 통하여 전해 유닛(5)에 공급된다.
또한, 전해수 트레이(43)의 하부에 접속된 드레인관(44)은, 전자 밸브인 유량 제어 밸브(45)를 구비하고 있다. 유량 제어 밸브(45)는, 후술하는 전장 기판(40)의 제어에 따라 개폐 혹은 개방도 조정되어, 이 유량 제어 밸브(45)의 개방도에 따라,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가, 드레인관(44)으로 유출된다. 드레인관(44)은 드레인 팬(24)의 상방에 있어서 개구하고, 드레인관(44)으로 유출된 전해수는 드레인 팬(24)으로 유하한다. 따라서, 유량 제어 밸브(45)의 개방도에 따라,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가 배출된다.
또한, 전해수 트레이(43)에는, 저류된 전해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플로트 스위치(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트 스위치(54)는, 전장 기판(40)에 접속되어 있다. 전장 기판(40)은, 플로트 스위치(54)에 의해 저수위가 검출된 경우, 즉, 전해수를 순환시키는데도 필요한 수위를 하회한 경우에, 수도물 제어 밸브(46)를 열어, 수도물 등을 전해 유닛(5)에 공급시킨다.
전장 기판(40)은, 도시하지 않은 CPU와, CPU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이 제어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용 데이터 등을 저장한 ROM과, CPU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구비한다. CPU 는, ROM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전해 유닛(5) 내의 전극(53a, 53b)에 대한 통전 제어, 유량 제어 밸브(45)의 개방도 제어, 수도물 제어 밸브(46)의 개방도 제어, 순환 펌프(49)의 구동 제어 등의 각종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CPU는, 전해 유닛(5)에 있어서 소정의 농도의 전해수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이 농도에 대응하는 전류 밀도로 전극(53a, 53b)에 전류를 흘린다. 또한, 예를 들어, CPU는, 전해 유닛(5)에 대하여 수도물 주입 배관(48)으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도물 제어 밸브(46)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를 배출하기 위해 유량 제어 밸브(45)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CPU는, 전해 유닛(5) 및 공기 제균부(4)에 있어서 전해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순환 펌프(49)를 구동시킨다.
또한, 전장 기판(40)의 CPU는 제어 장치(8)의 CPU에 통신 회선 등(도시 생략)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8)로부터 입력되는 지시, 예를 들어 상 기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지시에 따라, 상기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실외 유닛(1)의 냉방·난방 운전에 연동하거나, 혹은 독립하여 공기 제균부(4)에 전해수를 공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유저에 의해, 리모콘 장치(도시 생략)에 있어서 운전 개시의 지시가 입력되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8)는 지시된 운전 모드(냉방 운전 모드/난방 운전 모드)의 동작을 실행하여, 실외 유닛(1)의 사방 밸브(13)를 냉방측 또는 난방측으로 절환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 등의 소정의 공조 운전을 행한다.
냉방 운전을 행할 경우에는, 제어 장치(8)는 사방 밸브(13)를 냉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1에 도시하는 파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100a) 내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교환기(14)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교환기(21)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22)을 동작시켜, 실내기(2)에 있어서 흡입구(31)로부터 피조화실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하여 실내 열교환기(21)에 의해 열교환을 행하게 하여, 냉각한 공기를 공기 제균부(4)에 공급시킨다. 공기 제균부(4)에 공급된 공기는, 분출구(32)로부터 피조화실 내를 향하여 분출된다.
한편, 난방 운전을 행할 경우에는, 제어 장치(8)는 사방 밸브(13)를 난방측으로 절환함으로써, 도1에 도시하는 실선 화살표와 같이, 냉매 회로(1OOa) 내에 냉매를 흘려, 실외 열교환기(14)를 증발기로서 기능시키고, 실내 열교환기(21)를 응축기로서 기능시킨다. 그리고, 송풍 팬(22)을 동작시켜, 실내기(2)에 있어서 흡입구(31)로부터 피조화실 내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하여 실내 열교환기(21)에 의해 열 교환을 행하게 하여, 가온한 공기를 공기 제균부(4)(도5 참조)에 공급한다. 공기 제균부(4)에 공급된 공기는, 분출구(32)로부터 피조화실 내를 향하여 분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공조 운전이 행해지는 동시에, 제어 장치(8)는 전장 기판(40)에 대하여 지시를 출력하여, 전장 기판(40)의 제어에 의해, 제균 운전이 행해진다. 즉, 전장 기판(40)은, 수도물 제어 밸브(46)를 열어 물을 전해 유닛(5)에 공급하고, 전해 유닛(5)에 있어서 물의 전기 분해를 행하게 하여, 차아염소산 등의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시켜, 공기 제균부(4)에 전해수를 공급시킨다. 또한, 전장 기판(40)은, 순환 펌프(49)를 구동시켜, 공기 제균부(4)에 있어서 전해수를 순환 공급시킨다.
이 제균 동작에 의해, 공기 제균부(4)에 있어서는, 실내 열교환기(21)를 통한 공기가 엘리먼트(41) 상에서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에 접촉하여, 제균 된다.
이렇게,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천장 매립형의 공기 조화 장치(100)의 실내기(2)에 있어서, 전해수에 침윤되는 엘리먼트(41)를, 실내 열교환기(21)를 통과한 공기가 통하므로, 냉방 또는 난방에 의해 온도 조정된 공기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하거나, 혹은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00)에 공기의 제균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피조화실 내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설치 스페이스의 제약을 받지 않아, 공기의 청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20a)에 개구부(20d)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0d)로부터 공기 제균부(4)를 하우징(20)으로 들어가게 한 구성으로 되 어 있기 때문에, 실내기(2)에 공기 제균부(4)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에 있어서는, 전해 유닛(5)이 하우징(2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해 유닛(5)의 존재에 의하여 바람의 유로가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통풍 저항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지 않아, 하우징(20)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해 유닛(5)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균 유닛(3)은, 베이스판(3a)의 한 쪽 면에 엘리먼트(41)를 고정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면에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 유닛(5) 등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판(3a)을 측판(20a)에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공기 제균부(4) 및 전해 유닛(5)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41)와 전해 유닛(5)이 근접하고 있으므로, 생성한 전해수를 조속히 엘리먼트(41)에 공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20)의 한구석에 드레인 펌프(27)가 배치되어, 공기 제균부(4)가 드레인 펌프(27)의 배치 위치에 인접하는 측판(20a)을 따라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 팬(24)으로 배출된 전해수가 조속히 드레인 펌프에 달하여, 조속히 실내기(2)의 밖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전해수가 드레인 팬(24)에 장시간 체류하지 않으므로, 실내 열교환기(21)에 대한 전해수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21)에 방식 가공 등을 실시하는 경우의 시공 면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장 기판(40)은, 수도물 제어 밸브(46)를 닫아 수도 물 주입 배관(48)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정지한 경우에도, 순환 펌프(49)를 구동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를 전해 유닛(5)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전해 유닛(5)이 정지하고 있어도, 공기 제균부(4)에 전해수가 공급되는 것 외에,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사용 수량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증발 등에 의해 순환하는 전해수의 양이 감소한 경우, 플로트 스위치(54)에 의해 저수위가 검지되므로, 전장 기판(40)의 제어에 의해 수도물 제어 밸브(46)가 열려, 새로운 물이 전해 유닛(5)에 공급된다.
또한,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는, 전장 기판(40)의 제어에 의해 유량 제어 밸브(45)를 엶으로써 드레인관(44)을 통하여 드레인 팬(24)으로 유하한다. 여기서, 전장 기판(40)은, 유저가 선택하여 설정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43)에 저류된 전해수를, 간헐적(예를 들면,1시간 마다 등)으로 드레인 팬(24)으로 유하시키거나, 드레인 팬(24)으로 항상 유하시키거나 할 수 있다. 드레인 팬(24)으로 유하한 전해수는, 드레인 팬(24)에 저류된 드레인 물과 함께, 드레인 펌프(27)에 의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에 의해, 공기 제균부(4) 및 전해 유닛(5)을 순환하는 전해수가 정기적으로 신선한 전해수로 치환되어, 예를 들어 전해 유닛(5)의 전극(53a, 53b)에 축적하는 스케일을 배출할 수 있다. 그와 함께, 드레인 팬(24)에 있어서는, 살균력을 갖는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흐름으로써 드레인 팬(24)에 있어서의 잡균의 번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청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기(2)에 1개의 제균 유닛(3)을 설치한 구성 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제균 유닛(3)을 실내기(2)에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을 구성하는 3매의 측판(20a)은, 각각 녹아웃 홀부(20c)를 갖는 것이며, 이들 3개소의 녹아웃 홀부(20c) 모두에 제균 유닛(3)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최대 3개의 제균 유닛(3)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 이러한 경우에 대해, 제2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하는 2매의 측판(20a)에 있어서의 녹아웃 홀부(20c)을 펀칭하여 개구부(20d)를 형성하고, 이들 2개소의 개구부(20d)에, 각각 제균 유닛(3)이 배치되어 있다.
이 2개소의 제균 유닛(3)은, 상술한 제균 유닛(3)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2개소의 제균 유닛(3)은, 각각 개구(20d)에 끼워 넣어져 개구(20d)를 폐쇄하는 판부(3a)를 구비하고, 이 판부(3a)의 내측에, 공기 제균부(4)가 설치 금속 부재(61)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공기 제균부(4)는, 설치 금속 부재(61)를 통하여 설치됨으로써, 판부(3a) 사이에 간격이 두어진다. 판부(3a)의 내측의 측면에는,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체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판부(3a)의 외측에는, 후단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전해 유닛(전해 수단)(5), 수도물 제어 밸브(46), 역지 밸브(47), 순환 펌프(49), 전장 기판(제어 수단)(4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균 유닛(3)은, 외측이 외장 커버(80)로 덮힌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실내기(2)로부터 피조화실에 분출하는 공기 중, 보다 많은 비율의 공기를 제균하는 것이 가능해져, 실내기(2)의 제균 능력이 대폭 향상한다.
이렇게, 녹아웃 홀부를 펀칭하여, 필요하게 되는 제균 능력에 따라, 실내기(2)에 설치하는 제균 유닛(3)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피조화실의 성질에 적합한 제균 능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병원이나 학교 혹은 기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출입하는 장소에서는, 높은 제균 능력을 실현하기 위하여 많은 제균 유닛(3)을 실내기(2)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피조화실의 밀폐성이 비교적 높아, 낮은 제균 능력으로 충분히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소수의 제균 유닛(3)을 실내기(2)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균 능력의 조정을, 녹아웃 홀부(20c)를 펀칭하여 제균 유닛(3)을 설치한다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7은 제3 실시 형태의 공기 제균 장치가 구비하는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이 도7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도2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는 달리, 전해 유닛(5)이 베이스판(3a)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전해 유닛(5)으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4)로 연장되는 전해수 주입 튜브(51)가, 전해 유닛(5)의 상방으로 돌출된 후에 일단 하방으로 권취되고, 그 후에 베이스판(3a)를 관통하여, 기액 접촉 부재(4)에 달하고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전해 유닛(5)을 베이스판(3a)에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전해수주입 튜브(51)를 적절하게 권취함으로써 전해 유닛(5)을 베이스판(3a)에 고정하 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제4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동작 모드의 제어를 행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공기 조화 장치(1)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중 어느 구성을 이용해도 실현 가능하지만, 여기에서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도1 내지 도5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이용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8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8)는, 적어도,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외 유닛(1), 전장 기판(40), 송풍 팬(22)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 장치(8)는, 원격 조작용의 리모트 콘트롤러(36)(이하, 「리모콘」이라고 함)를 통하여, 유저로부터 각종 지시가 입력된다.
제어 장치(8)는, 전장 기판(40)에 각종 동작 지시를 행함으로써, 전장 기판(40)이 전해 유닛(5), 플로트 스위치(54), 수도물 제어 밸브(46), 순환 펌프(49) 등을 제어한다.
플로트 스위치(54)는, 전해수 트레이(43) 내에 미리 정해진 허가 수위 이상의 전해수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전해수 트레이(43) 내의 물의 유무를 검출한다. 전장 기판(40)은, 플로트 스위치(54)로부터 '물없음'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물있음'으로 될 때까지, 수도물 제어 밸브(46)를 열고, 전해 유닛(5)에 수도물 등을 공급시킨다.
리모콘(36)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 지시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장치(8)에 송신하는 조작 디바이스이다. 리모콘(36)은, 적어도, 공조 버튼(37)과, 제균 버튼(절환 조작부)(38)을 구비하고 있다.
공조 버튼(37)은, 유저가 실내기(2)의 동작 상태에 관한 지시 조작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며, 이 공조 버튼(37)의 조작에 따라, 제어 장치(8)가 실내기(2)의 공조 동작을 제어한다.
도9는,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한 운전 모드의 상태 천이도이다.
실내기(2)에 의한 공조 동작과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과는 연동하고 있으며, 공조 동작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공조 버튼(37)이 조작되면, 공조 동작과 제균 동작을 동시에 행하는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한다.
실내기(2)에 의한 공조 동작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공조 버튼(37)이 조작되면, 공조 동작 및 제균 동작을 정지하는 운전 정지 모드로 이행한다.
제균 버튼(38)은,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제균 유닛(3)의 제균 동작을 조작한다.
실내기(2)에 의한 공조 동작과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을 행하는 연동 운전 모드로 공기 조화 장치(100)가 운전하고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공조 동작만을 행하는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이행한다.
실내기(2)에 의한 공조 동작만을 행하는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공기 조화 장치(100)가 운전하고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공조 동작 및 제균 동작을 행하는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한다.
공기 조화 장치(100)가 운전 정지 모드에서 공조 동작 및 제균 동작을 정지하고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실내기(2)에 송풍 팬(22)에 의한 송풍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동시에, 제균 유닛(3)에 제균 동작을 행하게 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 이행한다.
공조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에서 공기 조화 장치(100)가 운전하고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운전 정지 모드로 이행한다.
도10은, 리모콘이 조작되었을 때의, 실내기(2)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00)의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 장치(8)는, 리모콘(36)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
이 판별의 결과, 리모콘(36)이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1:'아니오'), 제어 장치(8)는, 리모콘(36)이 조작될 때까지 스텝 S1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의 판별의 결과, 리모콘(36)이 조작된 경우에는(스텝 S1:'예'), 제어 장치(8)는, 공조 버튼(37)이 조작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
상기 스텝 S2의 판별의 결과, 공조 버튼(37)이 조작된 경우에는(스텝 S2:' 예'),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3).
이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일 경우에는(스텝 S3:'예'),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연동 운전 모드 혹은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부터 운전 정지 모드로 이행시켜, 공조 동작 및 제균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5).
한편, 상기 스텝 S3의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이 아닐 경우에는(스텝 S3:'아니오'),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독립 제균 운전 모드 혹은 운전 정지 모드로부터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시켜, 공조 동작 및 제균 동작을 행한다(스텝 S4).
상기 스텝 S2에 있어서, 공조 버튼(37)이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2:'아니오'), 제어 장치(8)는, 리모콘(36)의 제균 버튼(38)이 조작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6).
이 판별의 결과, 제균 버튼(38)이 조작된 것은 아니며, 즉, 공조 버튼(37) 및 제균 버튼(38) 이외의 그 밖의 버튼이 조작된 경우에는(스텝 S6:'아니오'), 제어 장치(8)는, 조작된 그 밖의 버튼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7), 리모콘(36)이 조작되었을 때의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6의 판별의 결과, 제균 버튼(38)이 조작된 경우에는(스텝 S6:'예'),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8).
이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인 경우에는(스텝 S8:'예'),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가 제균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9).
이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제균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9:'아니오'),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부터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시켜, 공조 동작 및 제균 동작을 행한다(스텝 S11).
한편, 상기 스텝 S9의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제균 동작 중인 경우에는(스텝 S9:'예'),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운동 모드로부터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이행시켜, 공조 동작만을 행한다(스텝 S10).
상기 스텝 S8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8:'아니오'), 공기 조화 장치(100)가 제균 동작 중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2).
이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제균 동작 중인 경우에는(스텝 S12:'예'),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부터 운전 정지 모드로 이행시켜, 제균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S14).
한편,상기 스텝 S12의 판별의 결과, 공기 조화 장치(100)가 제균 동작 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 S12:'아니오'), 제어 장치(8)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를, 운전 정지 모드로부터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 이행시켜, 공조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제균 동작을 행한다(스텝 S13).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저가 공조 버튼(37)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라, 제어 장치(8)는, 연동 운전 모드와 운전 정지 모드를 절환한다. 이 때, 실내기(2)에 의한 공조 동작과,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이 연동하고 있기 때문에, 공조 동작에 연동시켜 제균 동작도 행하거나, 혹은, 공조 동작의 정지에 연동시켜 제균 동작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일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제어 장치(8)는, 연동 운전 모드와 독립 공조 운전 모드를 절환하기 때문에, 공조 동작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만의 실행/정지를 절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동 운전 모드에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절환하고, 독립 공조 운전 모드에 있을 때,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연동 운전 모드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이 아닐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제어 장치(8)는, 운전 정지 모드와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절환하기 때문에, 공조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의 실행/정지를 절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 정지 모드에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 절환하여, 송풍 팬(22)에 의한 송풍 동작과,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을 행하게 하고, 독립 제균 운전 모드에 있을 때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되면, 운전 정지 모드로 절환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내기(2)에 의한 공조 동작과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있 다. 이에 의해, 유저가 리모콘(36)의 공조 버튼(37)을 한번 누른 것만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의 운전 모드가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하여, 공조 동작이 행해지는 동시에, 이 공조 동작에 연동하여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한번의 조작만으로 공조 동작과 제균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만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100)가 공조 동작 중이 아닐 때에, 유저가 제균 버튼(38)을 한번 누른 것만으로, 운전 정지 모드로부터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 절환되어, 실내기(2)의 송풍 팬(22)에 의한 송풍 동작이 행해지는 동시에,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복수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한번의 조작만으로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독립 제균 운전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실내기(2)의 송풍 팬(22)을 구동함으로써, 제균 유닛(3)을 위해 전용의 송풍 팬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공조 동작 중에 제균 버튼(38)이 조작됨으로써, 연동 운전 모드와 독립 공조 운전 모드를 절환하기 때문에, 공조 동작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균 유닛(3)에 의한 제균 동작만의 실행/정지를 절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활성 산소종으로서 차아염소산을 발생시키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활성 산소종으로서 오존(O3)이나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53a, 53b)으로서 백금 탄탈 전극을 이용하면, 이온종이 희박한 물로부터라도, 전기 분해에 의해 고효율로 안정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전극(53a, 53b) 사이에 통전함으로써, 애노드 전극에서는, 하기 화학식5 내지 화학식7로 표현하는 반응이 일어나, 오존이 생성된다.
2H2O → 4H++O2+4e-
3H2O → O3+6H++6e-
2H2O → O3+4H++4e-
한편, 캐소드 전극에서는, 하기 화학식8 및 화학식9로 표현되는 반응이 일어나, 전극 반응에 의해 생성한 O2 -와 용액 중의 H+가 결합하여, 과산화수소(H2O2)가 생성된다.
4H++4e-+(4OH-) → 2H2+(4OH-)
O2 -+e-+2H+ → H2O2
이 구성에서는, 전극(53a, 53b)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오존이나 과산화수소가 발생하여, 이들 오존이나 과산화수소를 포함한 전해수를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전해수 중에 있어서의 오존 혹은 과산화수소의 농도를,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시키는 농도로 조정하여, 이 농도의 전해수가 공급된 엘리먼트(41)에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상 바이러스 등을 불활화할 수 있다. 또한, 악취 등의 가스 형상 물질도 엘리먼트(41)를 통과할 때에, 전해수에 용해하거나, 전해수 중의 오존 또는 과산화수소와 반응하거나 함으로써, 공기 내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탈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2)에서는, 이온종이 희박한 물(순수, 정제수, 우물물, 일부 수도물 등을 포함함)을 이용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온종이 희박한 물에 할로겐화합물(식염 등)을 첨가하면, 상기 화학식3 및 화학식4와 마찬가지의 반응이 일어나, 활성 산소종을 얻을 수 있다. 즉, 공기 제균 장치(1)는, 염소화합물이 충분히 첨가된 수도물에 한하지 않고, 다른 물을 이용한 경우에도, 충분한 공기 청정 효과(바이러스 등의 불활화, 살균, 탈취 등)를 발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해조(52)에 도입되는 물에, 약제(할로겐화합물 등)가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를 실내기(2)에 형성해도 되고, 이 약제 공급 장치는, 수도물 주입 배관(48)으로부터 전해조(52)에 이르는 경로 상에 있어서 약제를 주입하는 것이어도 되고, 전해조(52)에 직접 약제를 주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며, 수도물 주입 배관(48)에 의해, 농도를 조정한 약제를 실내기(2)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여기서, 약제로서는 식염 또는 식염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해조(52) 내의 식염수의 농도를 2 내지 3%(중량 퍼센트) 정도로 조정하면, 전해조(52)에 있어서 식염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 혹은 과산화수소를 포함한 전해수(0.5 내지 1%)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해조(52)에 도입되는 수중의 이온종이 희박한 경우에도, 식염 또는 식염수를 첨가함으로써, 이온종을 증가시켜, 물의 전기 분해 시에, 고효율로 안정되게 활성 산소종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의 일례로서, 4 방향 분출형의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방향이나 2방향의 공기 조화 장치이어도 되며, 또한 벽걸이형 공기 조화 장치 등의, 천장 매립형이 아닌 형태의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순환 펌프(49)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제균부(4)를 통과하는 전해수를 순환시켜 재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순환 펌프(49)를 구비하지 않고, 공기 제균부(4)를 통과한 전해수를 순환하여 재이 용시키지 않고 배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독립 공조 운전 모드와 연동 운전 모드를 절환하여, 공조 동작 중에 제균 동작의 실행/정지를 절환하는 조작 버튼과, 독립 제균 운전 모드와 운전 정지 모드를 절환하여, 공조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 제균 유닛(3) 단독에 의한 운전/정지를 조작하는 조작 버튼을 제균 버튼(38)으로서 공통의 버튼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개별의 버튼으로서 각각 리모콘(36)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서, 드레인 팬(24)을 구성하는 재료나 실내 열교환기(21)의 형상 등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임의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제균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도1의 공기 제균 장치가 구비하는 실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도1의 공기 제균 장치가 구비하는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제균 유닛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4a는 공기 제균부의 사시도이고, 도4b는 전해 유닛의 구성도.
도5는 도4a의 공기 제균부를 통과하는 전해수의 흐름을 설명하는 계통도.
도6은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제균 장치가 구비하는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제3 실시 형태의 공기 제균 장치가 구비하는 실내기의 단면도.
도8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공기 제균 장치의 블록도.
도9는 도8에 도시하는 공기 제균 장치의 운전 모드의 천이를 도시하는 상태 천이도.
도10은 도8에 도시하는 공기 제균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 유닛
2 : 실내 유닛
4 : 공기 제균부
5 : 전해 유닛
10 : 실외 냉매 배관
11 : 압축기
14 : 실외 열교환기
21 : 실내 열교환기

Claims (13)

  1.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대략 상자 모양의 하우징을 천장 내에 매립하여 구성되는 천정 매립형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이 통하는 송풍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전해수에 침윤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되어진 개구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막는 판 형상 부재와,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구비하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전해조가 고정되고, 상기 판 형상 부재의 다른 쪽의 면에는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연결된 냉매 배관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전해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부터의 드레인 물을 받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으로부터 드레인 물을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와,
    상기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공급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침윤시키는 전해수 공급부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부터 유하하는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의 하방에서 받는 전해수 받이와,
    상기 전해수 받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상기 드레인 팬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는 상기 하우징의 한구석에 설치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는, 상기 드레인 펌프의 설치 위치에 인접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받이에 저류된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순환 공급하는 순환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10.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기와,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를 연결 배관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상기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고,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침투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에 침투한 전해수에 공기를 접촉시켜 제균하는 제균 장치와,
    상기 제균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여, 그 동작 모드로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한 공조 동작 및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상기 공조 동작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유저가 동작 모드의 절환을 지시하는 절환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환 조작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 상기 연동 운전 모드의 실행 중에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정지시켜 상기 공조 동작을 행하는 독립 공조 운전 모드로 이행하거나, 혹은, 상기 독립 공조 운전 모드의 실행 중에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개시시켜 상기 연동 운전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 제균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여, 상기 송풍기에 의한 송풍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3.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갖는 실외기와, 송풍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실내기를 연결 배관으로 접속하여 구성되는 공기 조화 장치가,
    상기 실내기의 상기 송풍기에 의한 공기의 유로 상에 배치되고,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침투되는 기액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이 기액 접촉 부재에 침투한 전해수에 공기를 접촉시켜 제균하는 제균 장치와,
    상기 제균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여, 그 동작 모드로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한 공조 동작 및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제균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운전 모드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상기 공조 동작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균 장치에 의한 상기 제균 동작을 행하는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를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유저에 의한 공조 동작 혹은 제균 동작의 개시 지시를 검지하는 스텝과,
    현재의 운전 상황이 운전중인지 운전 정지 중인지를 판별하는 스텝과,
    유저에 의한 공조 동작의 개시 지시를 검지하고, 또한, 현재의 운전 상황이 운전 정지 중이라고 판별한 경우는, 상기 연동 운전 모드를 개시하고, 유저에 의한 제균 동작의 개시 지시를 검지하고, 또한, 현재의 운전 상황이 운전 정지 중이라고 판별한 경우는, 상기 독립 제균 운전 모드를 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70085440A 2006-08-25 2007-08-24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0840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28572A JP2008051416A (ja) 2006-08-25 2006-08-25 室内ユニット
JP2006228752A JP2008051423A (ja) 2006-08-25 2006-08-25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6-00228572 2006-08-25
JPJP-P-2006-00228752 2006-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837A KR20080018837A (ko) 2008-02-28
KR100840491B1 true KR100840491B1 (ko) 2008-06-23

Family

ID=3865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440A KR100840491B1 (ko) 2006-08-25 2007-08-24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689577B2 (ko)
EP (1) EP1892482B1 (ko)
KR (1) KR100840491B1 (ko)
CA (1) CA25981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5976B (zh) * 2008-07-15 2015-11-25 布鲁尔·莫雷因 用于捕获空气传播物的方法和过滤器
KR101510183B1 (ko) * 2009-01-28 2015-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세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551358B2 (en) * 2010-11-30 2017-01-24 Lennox Industries Inc. Air moving unit and a HVAC system employing the same
WO2015156773A1 (en) * 2014-04-08 2015-10-15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Analysis of airflow using ionization
CN107076432A (zh) * 2015-01-22 2017-08-18 三菱电机株式会社 室内机及制冷循环装置
KR20160095726A (ko) 2015-02-04 2016-08-12 황용학 천장 매입형 냉난방 공기조화기
JP6504349B2 (ja) * 2015-03-31 2019-04-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106839111A (zh) * 2017-02-22 2017-06-13 杭州史宾纳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免清洗多功能家用空调机
EP3643983B1 (en) * 2017-06-23 2021-08-11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KR102034800B1 (ko) * 2018-01-03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9442847A (zh) * 2018-12-03 2019-03-08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拼接式冷藏筒
CN111720908B (zh) 2019-03-19 2022-04-01 Lg电子株式会社 空气净化器、空气净化系统以及控制空气净化系统的方法
EP3712521B1 (en) * 2019-03-19 2023-01-18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EP3712519B1 (en) * 2019-03-19 2022-12-07 LG Electronics Inc.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system
CN110115891A (zh) * 2019-03-26 2019-08-13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操作的风水转换联动装置
US20220186979A1 (en) * 2020-12-14 2022-06-16 Rheem Manufacturing Company Heating systems with unhoused centrifugal fan and wraparound heat exchanger
CN113335030A (zh) * 2021-06-21 2021-09-03 美埃(中国)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公共交通工具内环境空气净化方法
CN115200160B (zh) * 2022-07-22 2024-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清洁控制方法、装置和空调内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79A (ko) * 1990-08-10 1992-03-27 오까사끼 도메 살균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60043474A (ko) * 2004-03-26 2006-05-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KR20060110743A (ko) 2005-04-21 2006-10-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냉동 장치
KR20070064232A (ko) * 2005-12-15 2007-06-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1401A (en) 1963-01-14 1965-03-02 Mcduffee Bros Inc Humidifier
JPH04278134A (ja) 1991-03-04 1992-10-02 Daikin Ind Ltd 加湿装置
JPH04320743A (ja) 1991-04-22 1992-11-11 Daikin Ind Ltd 自然蒸発式加湿器
JP3177336B2 (ja) 1992-08-24 2001-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
JP2919711B2 (ja) 1993-06-30 1999-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3378703B2 (ja) 1995-08-22 2003-02-1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108002B2 (ja) 1995-12-18 2000-11-1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気化式加湿器
EP2030639B1 (en) * 2000-08-28 2017-07-05 Sharp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an ion generator
US6367782B1 (en) * 2000-09-12 2002-04-09 Research Products Corporation Water distributor
JP2002181358A (ja) 2000-10-04 2002-06-26 Denso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装置付き空調装置
JP2002257400A (ja) 2001-02-26 2002-09-11 Osaka Gas Co Ltd 空気調和室内機の保守装置
US7156962B2 (en) 2001-06-21 2007-01-02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lyzing electrod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and electrolysis method using electrolyzing electrode and electrolysis solution producing device
DE10157187A1 (de) 2001-11-22 2003-06-12 Globinvent Ag Verfahren zur Anreicherung eines Gasvolumenstroms mit einem flüssigen Medium
JP2003250876A (ja) 2001-12-28 2003-09-09 Omega:Kk 空気清浄方法とその装置
JP2003227622A (ja) 2002-02-04 2003-08-15 Techno Ryowa Ltd 殺菌水を用いた除菌脱臭空調システム
JP3889640B2 (ja) 2002-02-27 2007-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装置
KR100474577B1 (ko) * 2002-07-0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정 공기 덕트 및 청정실용 공기 제공 장치
US7114346B2 (en) * 2003-07-02 2006-10-03 Adobeair, Inc. Low profile evaporative cooler housing
JP2005069631A (ja) 2003-08-27 2005-03-17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JP4347012B2 (ja) 2003-10-02 2009-10-21 株式会社サンシ−ル 空気清浄化装置
EP1787064A2 (en) * 2004-07-27 2007-05-2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JP4497360B2 (ja) 2004-11-11 2010-07-0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殺菌兼用脱臭装置
JP2006334212A (ja) * 2005-06-03 2006-12-14 Sanyo Electric Co Ltd 除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US7461513B2 (en) * 2006-03-08 2008-12-09 Illinois Tool Works Inc. Cool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279A (ko) * 1990-08-10 1992-03-27 오까사끼 도메 살균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60043474A (ko) * 2004-03-26 2006-05-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및 전해수 분무장치
KR20060110743A (ko) 2005-04-21 2006-10-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냉동 장치
KR20070064232A (ko) * 2005-12-15 2007-06-2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제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837A (ko) 2008-02-28
US20080047281A1 (en) 2008-02-28
EP1892482A3 (en) 2009-09-16
US8695361B2 (en) 2014-04-15
EP1892482A2 (en) 2008-02-27
US8689577B2 (en) 2014-04-08
US20090248208A1 (en) 2009-10-01
CA2598131A1 (en) 2008-02-25
EP1892482B1 (en) 2016-10-05
CA2598131C (en)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491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35609B1 (ko) 공기제균장치
JP495609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326357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00033356A (ko) 전해수 생성 장치 및 제균 시스템
JP2008051420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5550896B2 (ja) 空気除菌装置
JP5033518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KR10083031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5033452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8241139A (ja) 除菌装置
JP2009074735A (ja) 空気調和装置
JP5317601B2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2008051451A (ja) 空気調和装置
JP498213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845404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JP5405072B2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2008051416A (ja) 室内ユニット
JP2008051423A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33453B2 (ja) 除菌装置
JP2008175475A (ja) 空気調和装置
JP2009036385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008241140A (ja) 除菌装置
JP2008241137A (ja) 除菌装置
JP2008076041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