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260A - 공기 제균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제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260A
KR20080039260A KR1020070108609A KR20070108609A KR20080039260A KR 20080039260 A KR20080039260 A KR 20080039260A KR 1020070108609 A KR1020070108609 A KR 1020070108609A KR 20070108609 A KR20070108609 A KR 20070108609A KR 20080039260 A KR20080039260 A KR 20080039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s
liquid contact
contact me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아끼 소노다
하루끼 미노시마
아끼후미 이와마
이찌로오 다떼노
마사후미 나까니시
겐조오 가노
아끼요시 안도오
신이찌 고즈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전해수의 외부로의 누출을 최대한 해소하고, 또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제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기액 접촉 부재와 흡수 부재를 일체화하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흡수 부재는 저수부 내로 진입하여, 전해수에 침지되고, 또한 저수부는 밀폐 혹은 반밀폐 상태로 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전해수, 공기 제균 장치, 저수부, 흡수 부재, 기액 접촉 부재

Description

공기 제균 장치{AIR STERILIZING DEVICE}
본 발명은,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의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관한 것인다.
종래부터, 공중 부유 미생물 등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공기 중에 전해수 미스트를 확산시켜, 이 전해수 미스트를 공중 부유 미생물에 직접 접촉시켜, 바이러스 등을 불활성화하는 제균 장치가 제안되고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2002-181358호 공보 참조).
그러나, 전해수 미스트를 확산할 수 있는 공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 미스트를 확산 가능한 작은 공간에서는 유효하지만, 공공 시설이나 탈것 등의 큰 공간에서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제균 장치에서는, 전해수의 미스트를 공간으로 확산하기 위해, 미스트를 발생하기 위한 다량의 물이 사용되는 동시에, 미스트에 의해 공간내가 가습되어 창이 흐려지는 등의 불편함이 생겼다.
그래서, 출원인은 먼저, 스탠드식의 하우징 내에 비스듬한 모양으로 배치되고,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와, 이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적하하기 위한 펌프 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수 적하 수단과, 기액 접촉 부재에 피제균 공간의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흡입구로부터 송풍 수단에 의해 빨아들인 공기를 기액 접촉 부재에 적하한 전해수에 접촉시켜,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된 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스탠드식의 공기 제균 장치를 개발했다.
그러나, 상기 공기 제균 장치는 생성된 전해수를 퍼 올려서 상방으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에 적하시키기 위한 각별한 펌프 기구 등(전해수 적하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적어도 기액 접촉 부재에 과잉 공급된 전해수를 회수 가능한 구조로 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화되어, 장치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코스트가 앙등 한다는 문제가 생겼다.
게다가 또한, 기액 접촉 부재에는 공기 중의 진애나 전해수 중의 스케일이 부착되기 때문에, 세정하는 등의 일상적인 메인터넌스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기액 접촉 부재를 공기 제균 장치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도 생겼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밀봉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장치가 경사진 경우에는 전해수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제균 장치는, 차나 전철 등의 차내의 공기 제균 장치로서의 실용에는 많은 과제를 남기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전 해수의 외부로의 누출을 최대한 해소하고, 또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제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것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기액 접촉 부재와 흡수 부재를 일체화하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흡수 부재는 저수부 내로 진입하여, 전해수에 침지되고, 또한 저수부는 밀폐 혹은 반밀폐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것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송풍 수단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되는 공기 경로 중에, 집진 수단 및/또는 탈취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것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 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이 전극 주위의 상부 공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획하는 칸막이 벽과, 당해 칸막이 벽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를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것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서 저수부 내의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저수부 내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밀어내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를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가스 릴리프 장치의 출구를 기액 접촉 부재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것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수부 내에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본체가 경사졌을 때에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는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것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수부 내에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송풍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기액 접촉 부재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에서는, 상기 제6 본 발명에 있어서 일단부가 기액 접촉 부재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저수부 내의 전해수에 침지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당해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로 공급하는 흡수 부재와,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제어하는 플로트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이 플로트 밸브 장치는, 적어도 흡수 부재의 타단부가 저수부 내의 전해수에 침지되는 수위보다 위까지 당해 전해수의 수위가 상승한 경우에,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에서는, 제6 본 발명 또는 제7 본 발명에 있어서 기액 접촉 부재를 본체의 일단부 상에, 급수 탱크를 본체의 타단부 상에 배치하 고, 저수부를 본체의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걸쳐 구성하고, 전극을 급수 탱크와 기액 접촉 부재간의 저수부 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송풍 수단을 기액 접촉 부재와 급수 탱크간의 본체 상에 배치하고, 이 송풍 수단이 회전하는 축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에서는, 제1 본 발명 내지 제8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기액 접촉 부재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 부재를 구비하므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흡수 부재에 의해 빨아올려, 기액 접촉 부재에 신속하게 공급하고,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기액 접촉 부재와 흡수 부재를 일체화하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흡수 부재는 저수부 내로 진입하여, 전해수에 침지되고, 또한 저수부는 밀폐 혹은 반밀폐 상태로 되므로,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 우의 언덕길 주행 시 등에 이러한 구조가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액 접촉 부재 및 흡수 부재를 본체로부터 자유롭게 떼어내어, 기액 접촉 부재 및 흡수 부재에 부착된 통풍 공기로부터의 진애나 전해수 중의 스케일을 세정할 수 있고, 세정 후에는 본체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상적인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므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신속하게 공급하고,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를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우의 언덕길 주행 시 등에 이러한 구조가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송풍 수단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되는 공기 경로 중에, 집진 수단 및/또는 탈취 수단을 마련했으므로, 집진 수단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에의 진애의 부착을 해소,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수단에 의해 공기를 탈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이 전극 주위의 상부 공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획하는 칸막이 벽과, 당해 칸막이 벽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를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므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신속하게 공급하고,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를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우의 언덕길 주행 시 등에 이러한 구조가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칸막이 벽과 가스 릴리프 장치에 의해, 전극에서 발생한 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 저수부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4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 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저수부 내의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저수부 내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밀어내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를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므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신속하게 공급하고,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를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릴리프 장치에 의해, 전극에서 발생한 가스를 저수부 내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당해 가스 릴리프 장치의 출구를 기액 접촉 부재 근방에 배치했으므로, 경사져서 저수부 내의 전해수가 가스 릴리프 장치에 들어간 경우에도, 가스 릴리프 장치의 출구로부터 기액 접촉 부재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 전해수가 누출되는 불편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우의 언덕길 주행 시 등에 본 발명은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제5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된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수부 내에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본체가 경사졌을 때에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는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므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신속하게 공급하고,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를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밸브 장치에 의해 본체가 경사진 경우에는,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가 금지되므로, 급수 탱크측이 높게 경사져, 급수 탱크 출구의 수위가 내려갔을 때에, 급수 탱크로부터 저수부에 과잉 급수되는 불편함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우의 언덕길 주행 시 등에 본 발명은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제6 본 발명에 따르면,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수부 내에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송풍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기액 접촉 부재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므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신속하게 공급하고,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를 저류하는 저수부를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로 함으로써,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우의 언덕길 주행 시 등에 이러한 구조가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저수부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로 공급함으로써, 기액 접촉 부재와 접촉시킨 전해수를 저수부로 다시 복귀하는 종래의 순환형과 같이 기액 접촉 부재로 공급된 전해수를 회수 가능한 구조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7 본 발명에 따르면, 제6 본 발명에 있어서 일단부가 기액 접촉 부재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저수부 내의 전해수에 침지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당해 전해수를 기액 접촉 부재로 공급하는 흡수 부재와,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제어하는 플로트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이 플로트 밸브 장치는, 적어도 흡수 부재의 타단부가 저수부 내의 전해수에 침지되는 수위보다 위까지 당해 전해수의 수위가 상승한 경우에,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므로, 흡수 부재를 항상 전해수에 침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에의 전해수의 공급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8 본 발명에 따르면, 제6 본 발명 또는 제7 본 발명에 있어서 기액 접촉 부재를 본체의 일단부 상에, 급수 탱크를 본체의 타단부 상에 배치하고, 저수부를 본체의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걸쳐 구성하고, 전극을 급수 탱크와 기액 접촉 부재간의 저수부 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송풍 수단을 기액 접촉 부재와 급수 탱크간의 본체 상에 배치하고, 이 송풍 수단이 회전하는 축의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므로, 장치 전체를 슬림화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외기를 흡인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송풍하여, 급수 탱크로부터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저수부에 보충하여, 전해하고, 기액 접촉 부재로 공급하는 일련의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9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본 발명 내지 제8 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기액 접촉 부재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했으므로, 전해수에 대한 친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액 접촉 부재의 전해수의 보수성이 유지되어, 당해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되는 공기와 전해수와의 접촉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켜, 공중 부유 미생물 등을 제거하는 공기 제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해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불편함을 최대한 해소하면서, 기액 접촉 부재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누수를 최대한 해소하고, 또한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제균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기액 접촉 부재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기액 접촉 부재와 흡수 부재를 일체화하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흡수 부재는 저수부 내로 진입하여, 전해수에 침지되고, 또한 저수부는 밀폐 혹은 반밀폐 상태로 됨으로써 실현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저수부의 밀봉성을 확보하여,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승용차나 버스 등의 자동차의 실내나 전철의 차량 등의 차량 탑재에 적합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 제균 장치(VW)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공기 제균 장치(VW)의 종단 측면을 일면측(정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3은 도1의 VW의 종단 측면을 타면측(배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참조 부호 1은 본 실시예의 공기 제균 장치(VW)의 본체, 참조 부호 2는 본체(1)에 설치되고, 본체(1) 상에 장착된 후술하는 제균 엘리먼트(8), 필터(7), 송풍기(20) 등을 피복하는 본체 커버이다. 본체 커버(2)는, 상부판(2T)과, 이 상부판(2T)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패널[정면 패널(2A), 배면 패널(2B), 측면 패널(2R) 및 측면 패널(2L)]로 형성된 벽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2T)의 상면에는, 복수(실시예에서는 4개)의 제어용의 조작 스위치(11)와, 복수(실시예에서는 2개)의 LED 램프로 이루어지는 표시 수단(12)과, 전 원 스위치(13)를 구비한 조작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판(2T)의 일단부(도1에서는 전단부)와 정면 패널(2A)의 상단부 사이에는 피제균 공간이 되는 실내의 공기를 공기 제균 장치(VW) 내[본체 커버(2) 내]로 빨아들이기 위한 흡기구(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면 패널(2A)과 배면 패널(2B)의 일단측[도1 및 도2에서는 정면 패널(2A) 및 배면 패널(2B)의 우단측]에 위치하는 측면 패널(2R)에는 제균 엘리먼트(8)로 제균된 후의 공기를 공기 제균 장치(VW)의 외부(피제균 공간인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배기구(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구(5)는 측면 패널(2R)의 상하 방향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5A, …)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 커버(2)의 상부판(2T)의 타단측[측면 패널(2L)측]에는, 상부판(2T)을 연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4)은, 급수 탱크(15)용의 구멍이며, 본체 커버(2)가 본체(1)에 설치되면, 급수 탱크(15)의 상면(15B)이 이 구멍(14)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 커버(2)의 정면 패널(2A)에는, 당해 급수 탱크(15) 내에 저류된 물(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의 일례로서의 수도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량 확인용 창(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량 확인용 창(16)에 의해, 본체 커버(2)를 떼어내지 않고, 급수 탱크(15) 내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도2 내지 도5를 이용하여 공기 제균 장치(VW)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4는 본체 커버(2)를 본체(1)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공기 제균 장치(VW)의 내부 구성도, 도5는 도4의 공기 제균 장치(VW)의 분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공기 제균 장치(VW)의 본체(1)는, 받이면(1A)과, 이 받이면(1A)의 외주연으 로부터 연직 방향(하방)으로 연장되는 벽면(1B)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체이며, 벽면(1B)의 하단에는 벽면(1B)으로부터 외방으로 확장된 확장부(1C)가 형성되어 있다. 벽면(1B)의 외주는 상기 본체 커버(2)의 내주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고, 확장부(1C)의 외주는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에 본체 커버(2)를 설치했을 때에 본체 커버(2)의 벽면 선단(하단)의 내면이 본체(1)의 벽면(1B)에 접촉되고, 이에 의해, 본체 커버(2)가 확장부(1C)의 상면에서 본체(1)의 벽면(1B)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상기 본체(1)의 받이면(1A)에는, 일단부, 타단부 및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의 중앙부에 받이면을 연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30, 31, 32, 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받이면(1A)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통 구멍(30)은, 본체(1)의 일단부에 제균 엘리먼트(8)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주위에 받이면(1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하는 결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받이면(1A)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통 구멍(33)은, 본체(1)의 타단부에 급수 탱크(15)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이 연통 구멍(33)의 주위에도 받이면(1A)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하는 결합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받이면(1A)의 중앙부의 연통 구멍(31)과 연통 구멍(32)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연통 구멍(31)이 배면 패널(1B)측, 연통 구멍(32)이 정면 패널(1A)측에 병설되어 있다. 당해 연통 구멍(31)에는 후술하는 전극(17, 18)이 설치되고, 연통 구멍(32)에는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통기관(37)의 일단이 접속된다.
또한,받이면(1A)의 저면(하면)에는, 본체(1)에 전해조 트레이(25)를 설치하 기 위한 결합부(2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해조 트레이(25)는, 내부에 충분한 용적이 확보된 공간을 구비한 일단부(25A)측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충분한 용적이 확보된 공간을 구비한 타단부(25B)측과, 일단부(25A)측과 타단부(25B)측을 연통하고, 일방측(전방측)이 크게 도려져, 내부의 용적이 작아, 좁은 형상의 중앙부(25C)로 이루어지는 세로로 긴 형상의 물받이 부재이다.
당해 전해조 트레이(25)는, 상단의 개구연이 본체(1)의 받이면(1A)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5D)에 감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전해조 트레이(25)의 상단 개구연 전체 둘레에 밀봉 부재로서의 패킹(26)을 설치한 상태에서, 본체(1)의 확장부(1C)의 하방으로부터 벽면(1B) 내로 전해조 트레이(25)가 삽입된다. 그리고, 전해조 트레이(25)가 소정의 설치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단 개구가 결합부(25D) 내에 감합되고, 이에 의해, 전해조 트레이(25)가 본체(1)에 설치된다. 전해조 트레이(25)는 본체(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단 개구가 본체(1)의 받이면(1A)에 의해 밀폐적으로 폐색되어, 이 전해조 트레이(25)의 내부에는 밀폐 구조,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 탱크(9)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저수 탱크(9) 내에는 후술하는 전해수가 저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해조 트레이(25)의 상단 개구연 전체 둘레에 패킹(26)을 설치한 상태에서, 본체의 받이면(1A)에 의해 밀폐적으로 폐색되어, 당해 받이면(1A)에 형성된 연통 구멍(30, 31, 33)이 각각 흡수 부재(19), 전극(17, 18), 급수 탱크(15)로 폐색되지만, 연통 구멍(32)에 통기관(37)이 접속되는 관계 상, 완전하게 밀폐된 구조가 아니라 반밀폐 구조로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전해조 트레이(25)의 중앙부는 전방면측이 크게 도려내어 내부의 용적이 작아, 좁은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 탱크(9)의 중앙부에 저류되는 전해수의 용량도 필연적으로 적어진다. 이 저수 탱크(9) 내의 중앙부,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일단부 상에 제균 엘리먼트(8)가 설치되고, 타단부 상에 급수 탱크(15)가 설치되므로, 이 제균 엘리먼트(8)와 급수 탱크(15)의 사이로 되는 저수 탱크(9) 내에는, 전술한 한 쌍의 전극(17, 18)(전해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전극(17, 18)은 저수 탱크(9) 내에 저류된 수도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17, 18)은, 전원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 저수 탱크(9) 내의 수도물을 전기 분해하여, 활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전해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상단이 전극 단자(52, 5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전극 단자(52, 53)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에 접속되어, 여기에서 전극 단자(52, 53)를 통하여 전극(17, 18)에 통전되는 것이다.
여기서, 활성 산소종이란, 일반적인 산소보다도 높은 산화 활성을 갖는 산소분자와, 그 관련 물질이며, 슈퍼옥시드 음이온, 일중항 산소, 히드록시 라디칼, 혹은 과산화수소라는, 소위 협의의 활성 산소에, 오존, 차아할로겐산 등의, 소위 광의의 활성 산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극(17, 18)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Ti(티탄)으로 피막조가 Ir(이리듐), Pt(백금)로 구성된 전극판이며, 이 전극(17, 18)에 인가하는 전류값은, 전류 밀도가 20㎃(밀리암페어)/㎠(평방 센티미터)로서, 소정의 부유 잔류 염소 농도[예를 들어, 1㎎(밀리그램)/1(리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전극(17, 18)에 의해 수도물에 통전하면, 캐소드 전극에서는,
4H++4e-+(4OH-)→2H2+(4OH-)
의 반응이 일어나고, 애노드 전극에서는,
2H2O→4H++O2+4e-
의 반응이 일어나는 동시에, 물에 포함되는 염화물 이온(수도물에 미리 첨가되어 있는 것)이,
2Cl-→Cl2+2e-
와 같이 반응하고, 또한 이 Cl2은 물과 반응하고,
Cl2+H2O→HClO+HCl
로 된다. 상기 화학식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7, 18)을 이용한 전기 화학적 처리에 의해, 전술한 수소 및 산소 등의 기체(가스)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구성에서는, 전극(17, 18)에 통전함으로써, 살균력이 큰 HClO(차아염소산)를 포함하는 살균수(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전극(17, 18)이 배치된 저수 탱크(9) 내의 중앙부는 내부의 용적이 작아, 좁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저류되는 수도물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전극(17, 18)에 의한 전기 분해로 고농도의 (즉, 차아염소산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당해 전극(17, 18)이란,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전극판의 면이 소정의 간격을 갖고 대향하여 병설되도록 전극 고정판(54)에 의해 주위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전극 고정판(54)의 상단에는 전술한 본체(1)의 연통 구멍(31)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 돌기부(54A)가 형성되고, 당해 돌기부(54A)가 연통 구멍(31)의 내면에 결합되어 유지되어, 본체(1)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받이면(1A)의 저면측(하측)으로부터 연통 구멍(31) 내에 전극(17, 18)이 고착된 전극 고정판(54)을 삽입하면, 상단에 형성된 돌기부(54A)가 연통 구멍(31)의 내벽에 감합되어, 이에 의해, 돌기부(54A)가 연통 구멍(31)의 내벽면으로 유지되며, 본체(1)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때,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즉 본체(1)의 타단부측[급수 탱크(15)]으로부터 저수 탱크(9) 내로 공급되는 수도물을 전극(17, 18)에 흘리고, 또한 전극(17, 18)으로 생성된 전해수가 일단부측[제균 엘리먼트(8)]에 원활하게 흐르도록 대향하여 설치된 양 전극(17, 18)의 판면이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는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유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저수 탱크(9)에 설치된다. 또한, 전극(17, 18)은 본체(1)에 설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선단(하단)이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에 침지된다.
한편, 본체(1)의 중앙부 상, 즉 전술한 전극(17, 18)이 배치된 저수 탱크(9)의 중앙부의 상방에는, 송풍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20)는, 제균 엘리먼트(8)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이며, 외부(실내)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하고, 접촉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풍기(20)는, 송풍 팬(21)과, 송풍 팬(21)의 회전의 축 중심에 설치되고, 송풍 팬(21) 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22)와, 정면 패널(2A)이 위치하는 일면측(도2에서는 정면측)의 중심부에 팬 흡기구(23A)가 형성되는 동시에, 측면 패널(2R)이 위치하는 일단측(도2에서는 우단측)의 하부에 팬 배기구(23B)가 형성된 팬 케이싱(23)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송풍기(20)는, 송풍 팬(21)이 회전하는 축의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20)는, 정면 패널(2A)측에 상기 팬 흡기구(23A), 측면 패널(2R)측에 팬 배기구(23B)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외주를 고정판[제1 고정판(40)과 제2 고정판(45)]으로 위요된 상태에서 본체(1)의 받이면(1A)의 중앙부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은, 송풍기(20)의 일면측(전방면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판(40)과, 타면측(배면측)에 위치하는 제2 고정판(45)으로 이루어진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40)은 송풍기(20)의 일면측(정면측)에 병설되는 평면(41)과, 이 평면(41)의 외주연으로부터 송풍기(20)측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부(42)와, 평면(41)의 일단측(도5에서는 우단측)으로부터 평면(41)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균 엘리먼트(8)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8A)과, 평면(41) 상부 단연으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기립하고, 양단(도5에 도시하는 좌우단)이 송풍기(20)와는 반대측에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그 내측에 필터(7)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 부재(43)를 구비한 설치부(44)로 구성된다. 당해 제1 고정판(40)의 평면(41)에는 송풍기(20)의 팬 케이싱(23)에 형성된 팬 흡기구(2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41)의 상방에 위치하는 둘레 벽부(42)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제2 고정판(45)에 형성된 볼록부(47A)와 감합하는 오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고정판(45)은 송풍기(20)의 타면측(배면측)에 병설되는 평면(46)과, 이 평면(46)의 외주연으로부터 송풍기(20)측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부(47)와, 평면(46)의 일단측(도5에서는 우단측)으로부터 평면(46)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제균 엘리먼트(8)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면(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당해 평면(46)의 상방에 위치하는 둘레 벽부(47)의 하부의 일단측에는 상기 오목부(42A)와 감합되는 볼록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46)의 둘레 벽부(47)가 연장되는 측[송풍기(20)측]의 일단측[도3에서는 좌단측이고, 도5에서는 우단측이며, 즉 제균 엘리먼트(8)측]이며, 송풍기(20)를 고정판(40, 45) 내에 배치했을 때에, 팬 배기구(23B)가 위치하는 개소로부터 제균 엘리먼트(8)측으로 되는 일단측에 걸쳐, 팬 배기구(23B)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하는 공기 덕트(48)를 형성하는 구획판(48A, 48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방에 설치된 구획판(48B)에는 팬 배기구(23B)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핀(4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20)를 본체(1)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송풍기(20)의 일단측의 평면(41)에 형성된 구멍(41A)과 송풍기(20)의 팬 케이싱(23)의 팬 흡기구(23A)를 위치 맞춤하여 제1 고정판(40)을 배치한다. 다음에 송풍기(20)의 타단측으로부터 제2 고정판(45)을 배치한다. 이 때, 제1 고정판(40)의 둘레 벽부(42)의 선단에 접촉시키도록 제2 고정판(45)의 둘레 벽부(47)의 선단을 배치하면, 둘레 벽부(42)의 상방에 형성된 상기 오목부(42A) 내에 둘레 벽부(46)의 볼록부(47A)가 감합되며, 이에 의해 송풍기(20)는 고정판(40, 45)으로 형성된 공간 내에 위요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 고정판(45)의 배면측으로부터 양 고정판(40, 45)을 나사 결합하는 동시에, 양 고정판(40, 45)과 본체(1) 모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본체(1)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40)의 전방면측의 설치부(44)에는 고정 부재(43)를 개재하여 필터(7)가 설치된다. 이 필터(7)는, 집진 또는 탈취, 혹은 집진과 탈취의 쌍방의 기능을 갖춘 수단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과 탈취의 쌍방의 기능을 갖춘 필터(7)가 사용된다. 당해 필터(7)는, 송풍기(20)에 의해 제균 엘리먼트(8)로 통풍되는 공기 경로 내에 있고, 제균 엘리먼트(8)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필터(7)는, 송풍기(20)의 상류측인 상기 제1 고정판(40)의 설치부(44)의 고정 부재(43)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에 본체 커버(2)를 설치한 상태에서, 당해 필터(7)는 전방면 패널(2A)의 내측에 당해 전방면 패널(2A)과는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동시에, 필터(7)의 상방의 전방면측, 즉 전방면 패널측에는 흡기구(4)가 위치한다. 이로 인해, 송풍기(20)가 운전되면, 흡기구(4)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전방면 패널(2A)과 필터(7)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송풍기(20) 전방면에 설치된 당해 필터(7)를 통과한 후, 송풍기(20)에 빨아들여지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제균 엘리먼트(8)는, 저수 탱크(9)에 저류된 상기 전해수와 송풍기(20)로부터의 통풍 공기를 접촉시키는 기액 접촉 부재이며, 본체(1)의 일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균 엘리먼트(8)는, 벌집 구조를 갖는 필터 부재이며, 기액 접촉 면적이 널리 확보되어, 보수 가능하여, 눈 막힘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균 엘리먼트(8)는, 물결 형상으로 굴곡된 소재와, 평판 형상의 소재를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벌집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재에는,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 즉 전해수에 의한 열화가 적은 소재,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 PET(폴리에틸렌 텔레프타놀) 수지, 염화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PTFE, PFA, ETFE 등), 셀룰로스계 재료 또는 세라믹계 재료 등의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균 엘리먼트(8)를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당해 제균 엘리먼트(8)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제균 엘리먼트(8)에는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고, 전해수에 대한 친수성을 높일 수 있어, 이에 의해, 제균 엘리먼트(8)의 전해수의 보수성(습윤성)이 유지되며, 당해 제균 엘리먼트(8)로 통풍되는 공기와 전해수와의 접촉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균 엘리먼트(8)의 상면 및 저면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판 부재가 설치된다.
게다가 또한, 이 제균 엘리먼트(8)에는, 2개의 원통 모양의 흡수 막대(19)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 막대(19, 19)는, 전해수를 빨아올려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하기 위한 흡수 부재이며, 예를 들어 아크릴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스폰지 등, 흡수성이 우수한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수 막대(19)는, 일단부(상단부)가 상면의 판 부재(8C)에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일단부로부터 제균 엘리먼트(8) 내를 연직 방향(아랫 방향) 으로 연장된 후, 제균 엘리먼트(8)의 타단(하단)으로부터 나오고, 타단부(하단부)는 제균 엘리먼트(8)의 저부[저면의 판 부재(8C)]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저면의 판 부재(8C)에는 흡수 막대(19)가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지점부터 흡수 막대(19)의 타단이 돌출되고,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균 엘리먼트(8)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흡수 막대(19)의 길이 치수는, 저수 탱크(9) 내[전해조 트레이(25)]의 높이 치수보다 작지만, 그러나 충분한 길이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저면의 판 부재(8C)의 상기 구멍의 연부에는 흡수 막대(19)를 유지하는 대략 도넛 형상을 나타낸 지지부(8D)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흡수 막대(19)는 당해 지지부(8D)로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제균 엘리먼트(8)는 본체(1)의 받이면(1A)에 형성된 연통 구멍(3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균 엘리먼트(8)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받이면(1A)의 연통 구멍(30)의 주위에 형성된 결합부(30A)의 상단의 전체 주연에 밀봉 부재로서의 패킹(34)을 설치하고, 그 상측으로부터 엘리먼트받이(35)를 얹어 놓는다. 또한 제1 고정판(40)의 지지면(8A)과 제2 고정판의 지지면(8B) 사이의 공간에 엘리먼트 받이(35)의 상방으로부터 흡수 막대(19)가 일체화된 제균 엘리먼트(8)를 삽입하고, 제균 엘리먼트(8)의 판 부재(8C)의 저면을 엘리먼트 받이(35)의 상면에 얹어 놓는다. 이 때, 패킹(34)의 내주면에 판 부재(8C)의 지지부(8D)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패킹(34)과 지지부(8D)가 밀착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제균 엘리먼트(8)가 본체(1) 상에 설치된다. 당해 제균 엘리먼트(8)가 본체(1) 상에 설치된 전술한 상태에서, 연통 구멍(30)은, 패킹(34), 엘리먼트 받이(35)를 개재하여 제균 엘리먼트(8)에 폐색되어, 밀폐적으로 밀봉되기 때문에, 저수 탱크(9)는 밀폐 상태, 혹은 반밀폐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흡수 막대(19)는 저수 탱크(9) 내로 진입하여, 타단부가 전해수에 침지되게 된다.
다른 한편 전술한 급수 탱크(15)는, 저수 탱크(9) 내에 수도물을 보충하기 위한 카트리지식의 탱크이다. 당해 급수 탱크(15)는, 저면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15A)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기립한 후, 외방으로 확장되고, 또한 연직 방향으로 기립하여, 상단이 개구(15A)보다 대경으로 되는 상면(15B)에 의해 폐색된 형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하단에 형성된 개구(15A)로부터 내부로 급수하는 동시에, 이 개구(15A)로부터 후술하는 캡 받이(62)에 형성된 통수구(64)를 통하여 저수 탱크(9) 내에 수도물이 보충되는 것이다.
또한, 급수 탱크(15)의 개구(15A)측의 외주면에는 캡(60)의 내면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 홈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산(6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60)은, 급수 탱크의 개구(15A)측을 유지하는 동시에, 전술한 캡 받이(62), 밀봉 부재로서의 패킹(65, 66)과 함께, 급수 탱크(15)를 본체(1)의 받이면(1A)의 타단측에 형성된 연통 구멍(33)에 밀폐적이며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캡(60)의 하단에는 급수 탱크(15)이 설치된 상태에서, 급수 탱크(15)의 개구(15A)의 내면에 기립하는 원통 모양의 물 막음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물 막음부(60A)의 상측에는 물 막음 밸브(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 막음 밸브(72)는, 운반 시나 급수 탱크(15)를 본체(1)에 설치할 때에 급수 탱크(15) 내로 부터의 누수를 회피하기 위한 밸브 장치이다. 이 물 막음 밸브(72)의 외부 직경은, 개구(15) 부근의 급수 탱크(15)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물 막음부(60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 막음 밸브(72)의 중심부에는 하단이 캡받이(62)에 설치된 물 막음 밸브의 축 부품(7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 탱크(15)가 본체(1)에 설치된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당해 물 막음 밸브(72)는 물 막음부(60A)의 상방이며, 당해 물 막음부(60A)와 소정의 간극을 갖고 위치하기 때문에, 급수 탱크(15) 내의 수도물은, 도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간극을 통과하여 개구(15A)에 이르고, 이 개구(15A)로부터 상기 캡받이(62)의 통수구(64)를 통하여, 저수 탱크(9) 내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급수 탱크(15)가 본체(1)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축 부품(73)의 하단측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75)가 신장되어, 물 막음 밸브(72)가 당해 스프링 부재(75)에 의해 아랫 방향으로 인장되어 아랫 방향으로 이동하고, 물 막음부(60A)의 상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간극이 폐색되어, 급수 탱크(15) 내로부터의 급수가 금지되게 된다.
그런데, 급수 탱크(15)가 본체(1)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 급수 탱크(15)로부터 저수 탱크(9) 내로의 급수는 밸브 장치(7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 장치(70)는,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수위에 따라 급수 탱크(15)로부터의 급수를 제어하는 플로트 밸브(7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 밸브(71)는, 세로로 긴 형상을 나타내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일단에 항상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수면 상에 위치하는 부유가 설치 되고, 본체의 타단은 캡받이(62)의 저면에 틸팅 가능하게 피봇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 밸브(71)는 당해 플로트 밸브(71)의 일단의 부유가 위치하는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밸브 장치(70)는, 통상적으로,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가 흡수 막대(19)의 타단부(하단부)보다 상방인 소정 수위까지 저류되어 있을 경우에는, 통수구(64)를 플로트 밸브(71)의 본체 상면에 의해 폐색하여, 급수 탱크(15)로부터 저수 탱크(9)로의 급수를 확실하게 금지하는 동시에,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수위가 소정 수위에 저하한 경우에는, 상기 플로트 밸브(71)의 틸팅 동작에 의해, 통수구(64)를 개방하여, 저수 탱크(9) 내로 급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로트 밸브(71)가 통수구(64)를 개방하는 수위는 흡수 막대(19)의 타단부(하단부)가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에 침지된 수위이다.
또한, 이러한 급수 탱크(15)로부터의 급수는 적어도 흡수 막대(19)의 타단부(하단부)가 저수 탱크(9) 내의 전극(17, 18) 위까지 전해수의 수위가 상승한 경우, 즉 전술한 급수를 금지하는 소정 수위에 도달한 경우에는, 플로트 밸브(71)에 의해, 통수구(64)가 확실하게 폐색되어, 급수 탱크(15)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밸브 장치(70)에 의해 흡수 막대(19)를 항상 전해수에 침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균 엘리먼트(8)로의 전해수의 공급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로트 밸브(71)는 본체(1)가 경사진 경우에는 급수 탱크(15)로부터 저수 탱크(9)로의 급수가 확실하게 금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체(1)의 일단측의 제균 엘리먼트(8)측이 높게 경사진 경우에는, 본체(1)의 타단측인 급수 탱크(15)측이 낮게 경사져, 급수 탱크(15)측의 저수 탱크(9) 내의 수면이 상승하기 때문에, 플로트 밸브(71)가 통수구(64)를 물론 폐색한다. 그러나, 본 플로트 밸브(71)는, 본체(1)의 타단측인 급수 탱크(15)측이 높게 경사져, 급수 탱크(15)의 개구(15A)의 수위가 내려간 경우에도 저수 탱크(9)로의 급수를 금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체(1)의 타단측인 급수 탱크(15)측이 높게 경사져, 급수 탱크(15)의 개구(15A)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 수위보다 저하된 경우에는, 저수 탱크(9) 내의 물이 제균 엘리먼트(8)측으로 이동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 탱크(9) 내는 밀폐 구조, 혹은 반밀폐 구조(본 실시예에서는 반밀폐 구조)로 되어 있어, 저수 탱크(9)로부터 전해수가 누출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급수 탱크(15)측의 저수 탱크(9) 내에 일정량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로트 밸브(71)가 통수구(64)를 폐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급수 탱크(15)측이 높게 경사진 경우에도, 급수 탱크(15)로부터 저수 탱크(9)에 과잉 급수되는 불편함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본체(1)의 전극(17, 18)이 설치된 연통 구멍(31)과, 이 연통 구멍(31)에 병설되어, 상기 통기관(37)이 접속되는 연통 구멍(32)이 형성된 중앙부의 받이면(1A)의 저면의 저수 탱크(9) 내에는, 전극(17, 18) 주위의 상부 공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획하는 칸막이 벽(50)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벽(50)은, 본체(1) 의 받이면(1A)의 저면으로부터 저수 탱크(9) 내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은 저수 탱크(9) 내에 저류된 전해수 내이며, 또한 저수 탱크(9)의 저면으로 되는 전해조 트레이(25)의 상면 사이에 전해수의 유통에 지장이 없는 충분한 간극을 갖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당해 칸막이 벽(50)에 의해 위요된 공간 내에는 상기 전극(17, 18)과 함께, 연통 구멍(32) 내에 접속된 통기관(37)의 일단도 배치되어 있다. 통기관(37)은, 밀폐 구조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 탱크(9) 내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밀어내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이며, 본 실시예의 통기관(37)은 저수 탱크(9) 내의 칸막이 벽(50)에 의해 둘러싸여진 저수 탱크(9)의 전해수의 수면 상의 공간 내에서 개구(가스 릴리프 장치의 입구)하는 일단으로부터 저수 탱크(9) 외부로 연장되어, 송풍기(20)의 주위를 통과한 후, 타단이 제균 엘리먼트(8)의 측면 패널(2R)과는 반대측의 상단 근방에서 개구(가스 릴리프 장치의 출구)하고 있다.
즉, 전극(17, 18)에 통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 탱크(9) 내의 수도물이 전기 분해되어, HClO(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살균수(전해수)가 생성되지만, 이 전해수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전극(17, 18)에서는 가스(수소나 산소 등)가 생성된다. 여기서, 가스 릴리프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저수 탱크(9)는 밀폐 구조, 혹은 반밀폐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가스는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의 수면 상에 계속 축적되게 된다. 그리고, 생성되고, 축적된 가스에 의해, 저수 탱크(9) 내의 압력이 서서히 상승하여, 저수 탱크(9)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거나 하여, 최악의 경우, 저류된 전해수가 누출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과 같이 통기관(37)을 설치함으로써, 전극(17, 18)에서 발생한 가스를 당해 통기관(37)을 통하여, 저수 탱크(9)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전극(17, 18)의 주위를 칸막이 벽(50)으로 위요하여, 다른 부분과 구획하는, 특히 칸막이 벽(50)의 외측의 저수 탱크(9)의 전해수의 수면 상의 공간과 구획함으로써, 전극(17, 18)에서 생성된 가스는 칸막이 벽(50)으로 위요된 전해수의 수면 상의 공간 내에 모이기 때문에, 이 공간 내에 통기관(37)의 일단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통기관(37)에 의해, 전극(17, 18)에서 발생한 가스를 원활하게 포집하여, 제균 엘리먼트(8)의 측면 패널(2R)과는 반대측의 상단 근방에서 개구하는 타단으로부터 저수 탱크(9)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발생한 가스에 의해, 저수 탱크(9)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불편함을 미연에 해소할 수 있다.
특히, 통기관(37)의 타단의 개구(출구)를 제균 엘리먼트(8)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본체(1)가 경사져,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가 통기 구멍(37) 내에 들어가, 타단의 개구로부터 배출된 경우에도, 전해수는 제균 엘리먼트(8)로 배출 되게 되므로, 제균 엘리먼트(8)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제균 장치(VW)의 외부로 전해수가 누출되는 불편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다음에 본 실시예의 공기 제균 장치(VW)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본체 커버(2)의 상부판(2T)에 형성된 조작부(10)의 전원 스위치(13)가 눌려, 전원이 투입되면, 전극(17, 18)으로의 통전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저수 탱크(9) 내에 저류된 수도물이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전해수가 생성된다(전기 화학적 처리).
또한, 전극(17, 18)으로의 통전과 동시에 송풍기(20)가 기동된다. 이에 의해, 흡기구(4)로부터 빨아들여진 실내(피제균 공간 내)의 공기가 필터(7), 송풍기(20), 제균 엘리먼트(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기구(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경로가 형성된다. 즉, 흡기구(4)로부터 빨아들여진 실내의 공기는, 본체 커버(2)의 전방면 패널(2A)과 필터(7)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거쳐, 필터(7)를 통과한다. 이 때, 공기 중에 포함되는 진애가 당해 필터(7)에 의해 포집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필터(7)는 집진 효과 외에 탈취 효과도 갖는 것이기 때문에, 이 필터(7)를 통과할 때에 공기 중의 악취도 제거된다. 필터(7)에서 진애 및 악취가 제거된 공기는, 다음에 송풍 팬(21)이 회전하는 축 방향이며, 팬 케이싱(23)의 전방면측에 형성된 팬 흡기구(23A)로부터, 송풍기(20)에 흡인된다. 그리고, 공기는 송풍 팬(21)의 반경 방향이며, 팬 케이싱(23)의 일단측의 하부에 형성된 팬 배기구(23B)로부터 토출되어, 이 팬 배기구(23B)의 공기 토출측에 형성된 공기 덕트(48)를 통하여, 제균 엘리먼트(8)로 통풍 공급된다.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된 공기는 제균 엘리먼트(8)에 스며든 차아염소산에 접촉한다. 이 차아염소산은, 실내의 공기 중에, 예를 들어 인풀루엔자 바이러스가 침입한 경우, 그 감염에 필수적인 인풀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스파이크)을 파괴, 소실(제거)시키는 기능을 갖는데, 이것을 파괴하면, 인풀루엔자 바이러스와, 이 바이러스가 감염하는데 필요한 피감염 생물의 수용체(리셉터)가 결합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감염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제균 엘리먼트(8)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공급하고, 당해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되는 전해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전 해수 중 에 포함되는 차아염소산에 의해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또한, 제균 엘리먼트(8)를 통과하여 제균된 공기는, 제균 엘리먼트(8)의 일단측에 설치된 측면 패널(2R)의 배기구(5)로부터 외부(실내)로 배출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VW)에 의하면, 전극(17, 18)의 통전에 의해 전기 분해되어 생성되고, 저수 탱크(9) 내에 저류된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흡수 막대(19)를 통하여 제균 엘리먼트(8)에 신속하게 공급하여, 제균 엘리먼트(8)에 의해 전해수와 송풍기(20)로부터의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공기를 효율적으로 제균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각별한 펌프 기구 등의 전해수 적하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 저수 탱크(9) 내에 저류된 전해수를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펌프 기구가 불필요해짐으로써,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 소비도 없어지므로,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수의 저류되는 저수 탱크(9)는, 전해조 트레이(25)의 상단 개구연에 패킹(26)을 개재하여 본체(1)에 밀폐적으로 부착함으로써 구성되는 동시에, 본체(1)의 받이면(1A)에 형성된 각 연통 구멍(30, 31, 32, 33)도 각각 흡수 막대(19)와 일체화된 제균 엘리먼트(8), 전극(17, 18)을 고정하는 전극 고정판(54), 통기관(37) 및 급수 탱크(15)에 의해 마찬가지로 밀폐적으로 폐색되어, 당해 저수 탱크(9)는 밀폐 구조 혹은 반밀폐 구조로 되므로, 저수 탱크(9)의 밀봉성을 확보하여, 누수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제균 엘리먼트(8)와 접촉시킨 전해수를 저수 탱크(9)로 다시 복귀시키는 종래의 순환형의 장치에서는, 적어도 기액 접촉 부재에 과잉 공급된 전해수를 회수 가능한 구조로 해야만 하므로, 구조가 복잡화되어, 장치가 대형화되는 동시에, 코스트가 앙등한다는 문제가 생겼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저수 탱크(9) 내의 전해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하므로, 종래와 같은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된 전해수를 회수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의 경로나 구조를 간소화하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9)를 밀폐 구조로 하기 쉬워, 저수 탱크(9)의 밀봉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나 전철 등의 차내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제균 장치를 차량 탑재한 경우에는, 언덕길 주행 시 등 공기 제균 장치가 경사진 조건에서 사용될 경우에, 이러한 구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또한 제균 엘리먼트(8)와 흡수 막대(19)를 일체화하여,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제균 엘리먼트(8)와 흡수 막대(19)를 본체(1)로부터 자유롭게 떼어내어, 제균 엘리먼트(8) 및 흡수 막대(19)에 부착된 통풍 공기로부터의 진애나 전해수 중의 스케일을 세정할 수 있고, 세정 후에는 본체(1)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상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제균 엘리먼트(8)보다 상류측이 되는 공기 경로 중에 필터(7)를 설치하고, 공기 중의 진애를 제거한 후,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함으로써, 제균 엘리먼트(8)에의 진애의 부착을 해소,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필터(7)는 탈취 기능도 갖추므로, 공기 중의 악취도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송풍기(20)를 송풍 팬(21)이 회전하는 축의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시로코 팬으로 구성함으로써, 제균 엘리먼트(8)는 송풍기(20)의 송풍 팬(21)이 회전하는 축 방향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수 탱크(9)도 세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장치 전체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되므로,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외기(실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제균 엘리먼트(8)로 송풍하고, 급수 탱크(15)로부터 수도물을 저수 탱크(9)에 보충하여, 전해하고, 제균 엘리먼트(8)로 공급하는 일련의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공기 제균 장치의 외관도.
도2는 도1의 일면측(정면측)으로부터 본 공기 제균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3은 도2의 반대측(배면측)으로부터 본 공기 제균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4는 도1의 본체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공기 제균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5는 도4의 공기 제균 장치의 분해도.
도6은 도3의 공기 제균 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7은 도5의 공기 제균 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본체 커버
2T : 상부판
14 : 구멍
15 : 급수 탱크
16 : 수량 확인용 창

Claims (9)

  1.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상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액 접촉 부재와 상기 흡수 부재를 일체화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수 부재는 상기 저수부 내로 진입하고, 상기 전해수에 침지되고, 또한 상기 저수부는 밀폐 혹은 반밀폐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2.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상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되는 공기 경로 중에, 집진 수단 및/또는 탈취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3.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상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상기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상기 전극 주위의 상부 공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획하는 칸막이 벽과, 상기 칸막이 벽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4.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상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서 상기 저수부 내의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상기 저수부 내로부터 외부로 가스를 밀어내기 위한 가스 릴리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가스 릴리프 장치의 출구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 근 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5.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상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상기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수부 내에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상기 본체가 경사졌을 때에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는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6. 전해수에 반응성이 적은 소재로 형성된 기액 접촉 부재로, 전해수와 통풍 공기를 접촉시킴으로써, 제균을 행하는 공기 제균 장치이며,
    상기 전해수를 저류하는 밀폐 혹은 반밀폐 구조의 저수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저수부 내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통전되어 상기 저수부 내의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전기 화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극과,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수부 내에 적어도 염화물 이온을 포함하는 물을 보충하기 위한 급수 탱크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통풍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수부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상기 전해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상기 기액 접촉 부재와 접촉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저수부 내의 전해수에 침지되어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당해 전해수를 상기 기액 접촉 부재로 공급하는 흡수 부재와,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제어하는 플로트 밸브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 밸브 장치는, 적어도 상기 흡수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저수부 내의 전해수에 침지되는 수위보다 위까지 당해 전해수의 수위가 상승한 경우에,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의 급수를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를 상기 본체의 일단부 상에, 상기 급수 탱크를 상기 본체의 타단부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저수부를 상기 본체의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걸쳐 구성하고, 상기 전극을 상기 급수 탱크와 상기 기액 접촉 부재간의 상기 저수부 내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 수단을 상기 기액 접촉 부재와 상기 급수 탱크간의 상기 본체 상에 배치하고, 상기 송풍 수단이 회전하는 축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접촉 부재에, 친수성 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제균 장치.
KR1020070108609A 2006-10-30 2007-10-29 공기 제균 장치 KR200800392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4164A JP2008110011A (ja) 2006-10-30 2006-10-30 空気除菌装置
JPJP-P-2006-00294164 2006-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260A true KR20080039260A (ko) 2008-05-07

Family

ID=3898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609A KR20080039260A (ko) 2006-10-30 2007-10-29 공기 제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28272A1 (ko)
EP (1) EP1918652A3 (ko)
JP (1) JP2008110011A (ko)
KR (1) KR20080039260A (ko)
CN (1) CN1011738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6053B2 (ja) * 2008-10-21 2012-1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脱臭装置
US9533897B2 (en) * 2013-03-12 2017-01-03 Radical Waters International Ltd. Method for electro-chemical activation of water
CN103216896A (zh) * 2013-04-15 2013-07-24 欧坤 多功能空气治理机
CN104121652B (zh) * 2013-04-27 2018-10-16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加湿装置
CN106114146A (zh) * 2016-07-28 2016-11-16 太仓文广汇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车载空气净化器
CN106985639A (zh) * 2017-03-08 2017-07-28 珠海爱琴海智能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载空气净化器
GB2561864B (en) * 2017-04-25 2020-01-01 Protex Hygiene Ltd Improvements related to the disinfecting of an air space
CN207445856U (zh) * 2017-09-19 2018-06-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WO2021066203A1 (ja) * 2019-10-03 2021-04-08 学校法人 東邦大学 空間除菌清浄化装置
JP7228140B2 (ja) * 2019-10-03 2023-02-24 学校法人東邦大学 空間除菌清浄化装置
CN110671761A (zh) * 2019-11-07 2020-01-10 深圳市康弘环保技术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
CN117769611A (zh) * 2021-08-23 2024-03-26 怡迅(珠海)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杀菌功能的电解器具和空气净化装置
KR102400096B1 (ko) * 2021-11-29 2022-05-23 주식회사 한새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4541U (ja) * 1992-03-16 1993-10-12 正義 前川 脱臭用フィルター
JP2000257914A (ja) * 1999-03-05 2000-09-22 Techno Ryowa Ltd 強酸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US6394427B1 (en) * 2000-09-13 2002-05-28 Research Products Corp. Drainless humidifier with water level sensing
JP2002181358A (ja) * 2000-10-04 2002-06-26 Denso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装置付き空調装置
US7754157B2 (en) * 2002-07-08 2010-07-13 Panasonic Corporation Humidifier
JP4401695B2 (ja) * 2002-07-08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装置
JP4239692B2 (ja) * 2003-06-04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4347012B2 (ja) * 2003-10-02 2009-10-21 株式会社サンシ−ル 空気清浄化装置
JP4549204B2 (ja) * 2004-07-21 2010-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8652A3 (en) 2010-05-26
US20080128272A1 (en) 2008-06-05
JP2008110011A (ja) 2008-05-15
CN101173808A (zh) 2008-05-07
EP1918652A2 (en)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260A (ko) 공기 제균 장치
KR100872243B1 (ko) 공기 제균 장치
US7896947B2 (en) Air filtering apparatus
KR101035609B1 (ko) 공기제균장치
JP4740080B2 (ja) 空気除菌装置
JP2000257914A (ja) 強酸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JP5305770B2 (ja) 空気除菌装置
JP4753824B2 (ja) 空気除菌装置
JP5241135B2 (ja) 空気除菌装置
JP2008036135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KR101156121B1 (ko) 공기제균장치
JP4781288B2 (ja) 空気除菌装置の洗浄方法、及び、空気除菌装置
JP5340856B2 (ja) 空気除菌装置
JP5340850B2 (ja) 空気除菌装置
KR100802280B1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JP4878836B2 (ja) 床置き式空気除菌装置
JP2009106706A (ja) 空気除菌装置
JP2011010702A (ja) 空気除菌装置
KR10083031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11045563A (ja) 空気除菌装置
JP2012052166A (ja) 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及びこの電解水生成装置を備えた除菌装置若しくは空気清浄装置
KR20070070046A (ko) 공기 제균 장치
JP2008183187A (ja) 空気除菌装置
JP2008183186A (ja) 空気除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