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751A -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751A
KR20050118751A KR1020040043838A KR20040043838A KR20050118751A KR 20050118751 A KR20050118751 A KR 20050118751A KR 1020040043838 A KR1020040043838 A KR 1020040043838A KR 20040043838 A KR20040043838 A KR 20040043838A KR 20050118751 A KR20050118751 A KR 2005011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voltage
voltage
power
fla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590B1 (ko
Inventor
조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590B1/ko
Priority to TW094119466A priority patent/TW200603160A/zh
Priority to US11/154,076 priority patent/US7436730B2/en
Publication of KR2005011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2Circuits for initialization, powering up or down, clearing memory or preset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는 파워-업 플래그 신호 발생기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파워-업 플래그 신호 발생기는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 회로는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의 파워-업시의 기울기가 선형적인 특성을 갖도록 개선할 수 있고,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의 각 래치 단들의 초기치 오류(fail)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VOLTAG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파워-업(power-up)이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 전압(IVC) 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초기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VC 발생기(내부 전원 발생기)(10)는 외부 전원 전압(EVC)을 이용하여 내부 전원 전압(IVC)을 발생시킨다. 이때, 외부 전원 전압(EVC)은 RC 입력단(12)에 의해 소정 값만큼 전압 강하가 발생하며, IVC 발생기(10)의 출력에 결합된 RC 출력단(14)에 의해 다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 전압(EVC)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패드(pad)로부터 공급되며 이상적으로 무한 전압원에 가깝기 때문에 파워-업시 선형적인(linear) 기울기(slope)를 가진다.
내부 전원 전압(IVC)은 파워-업시에는 IVC 발생기(10)의 조정 시간(setting time)이 필요하고, 또한 IVC 발생기(10)의 각 논리 회로들의 논리 상태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IVC 발생기(10)에서 공급하는 전하량과 대비하여 전류 소모가 많다. 따라서, 파워-업시 초기에는 외부 전원 전압(EVC)과 대비하여 기울어진 기울기를 가지며(A 구간), 선형적인 기울기 특성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내부 전원 전압(IVC)의 파워-업시의 기울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이용한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는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사용된다.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플래그 신호 발생기;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플래그 신호 발생 회로;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발생된 제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의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은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상기 외부 전원 전압과 상기 내부 전원 전압 사이에 결합된 전압 제어 전류원의 제어 전압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RAM 반도체 메모리 장치, DDR SDRAM 메모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내부에 존재하는 래치(latch)회로들을 포함하는 주변 회로를 초기화하기 위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power-up flag signal)(PVCCH)를 사용한다.
도 3은 전원 전압으로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한 경우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 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의 초기 파워-업시의 파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 발생기(30)는 전압 분배 회로(32), 레벨 감지 회로(34) 및 드라이버 회로(36)를 포함하며, 외부 전원 전압(EVC)을 전원 전압으로 공급받는다.
외부 전원 전압(EVC)은 전압 분배회로(32)에 의해 전압 분배된다. 레벨 감지 회로(34)에 의해 상기 전압 분배 회로(32)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 레벨 이상이 되었음이 감지된 경우, 드라이버 회로(56)를 거쳐 하이 레벨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가 발생된다. 반면에, 전압 분배 회로(32)의 출력 전압이 소정의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로우 레벨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1)가 발생된다.
도 4를 참조하면, PVCCH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업시에 외부 전원 전압(EVC)이 소정 전압 레벨-예를 들어 약 1 volt- 보다 작을 경우 로우 레벨 상태로 세팅되어 있으며(T1 구간),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의 초기치를 확정해준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 회로는 래치(latch)단(미도시)들을 포함한다. PVCCH 신호는 외부 전원 전압(EVC)의 레벨이 상기 소정 레벨에 도달하면 하이 레벨 상태로 세팅되어 상기 주변회로의 각 래치단의 논리 상태에 무관하게 되어 초기화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8Volt의 외부 전원 전압(EVC)이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 발생기의 전원 전압으로 사용된 경우, PVCCH는 외부 전원 전압(EVC)이 약 1 volt가 된 경우 하이 레벨로 세팅된다(T2 구간).
도 5는 전원 전압으로 내부 전원 전압(IVC)을 사용한 경우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 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의 초기 파워-업시의 파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VCCH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파워-업시에 내부 전원 전압(IVC)이 소정 전압 레벨-예를 들어 약 1 volt- 보다 작을 경우 로우 레벨 상태로 세팅되어 있으며(T3 구간), 내부 전원 전압(IVC)이 상기 소정 레벨 보다 커질 경우 PVCCH는 하이 레벨로 세팅된다(T4 구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CH 신호 발생기의 전압원으로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면 파워-업시 PVCCH 신호가 하이레벨로 세팅(setting)되는 시간이 PVCCH 신호 발생기의 전압원으로 내부 전원 전압(IVC)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빨라지게 된다. 그 결과, 파워-업시 상기 주변회로의 래치단이 세팅되기 이전에 PVCCH 신호가 세팅되어 각 래치단들의 초기치 오류(fail)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PVCCH 신호 발생기의 전압원으로 내부 전원 전압(IVC)을 사용하면, 파워-업시 PVCCH 신호가 하이 레벨로 세팅되는 시간이 PVCCH 신호 발생기의 전압원으로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늦어지게 된다. 그 결과, 파워-업시 각 래치단의 스탠바이 전류(stand-by current)로 인하여 전류가 증가할 소지가 있다.
도 7은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의 초기 파워-업시의 파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PVCCH 신호 발생기의 전원 전압원으로 도 3과 같이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60)는 외부 전원 전압(EVC)과 IVC 발생기(70)사이에 결합된 제어 회로(80) 및 IVC 발생기(5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회로(80)는 전압 제어 전류원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PMOS 트랜지스터(TP1)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VC 발생기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EVC)을 제공받아 내부 전원 전압(IVC)을 출력한다.
주변 회로(52)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의 의해 초기화되며, 상기 IVC 발생기(50) 및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내부 전원 전압(IVC)을 공급받는다.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는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의 제어 전압으로 사용된다.
파워-업 초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레벨 상태의 PVCCH 신호가 인가되며, PMOS 트랜지스터 TP1이 턴온되어 포화 영역에서 동작한다. 이때, PMOS 트랜지스터 TP1은 전압 제어 전류원으로 동작하며, PVCCH 신호에 응답하여 IVC 전압 파형이 EVC 전압 파형을 쫓아갈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파워-업 초기(도 8의 A' 구간)에 IVC 전압이 EVC 전압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고 EVC 파형을 쫓아가게 되어 파워-업 초기에 IVC 신호의 기울기 특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주변 회로(52)의 각 래치단들의 초기치 오류(fail)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파워-업시 각 래치단의 스탠바이 전류(stand-by current)로 인한 전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CH 신호가 하이 레벨로 세팅되면 PMOS 트랜지스터 P1이 턴오프된다. 그 결과, IVC 전압과 EVC 전압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며, IVC 발생기(50)에서 출력된 IVC 전압이 주변 회로(52)로 제공된다.
이 경우, EVC 전압 파형과 IVC 전압 파형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파워-업 기울기 특성을 가지게 되므로 PVCCH 신호의 세팅 타임(setting time)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IVC 전압의 초기 파워-업시의 기울기도 선형적으로 개선된다.
도 9는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으로 적어도 2개의 PMOS 트랜지스터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를 제어 전압으로 하여 동작하는 게이트가 공통 결합된 적어도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가 공통 결합된 적어도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파워-업 초기(A' 구간)에 더욱 빠른 속도로 IVC 전압이 EVC 전압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고 EVC 파형을 쫓아가게 된다. 그 결과, 파워-업 초기에 IVC 신호의 기울기 특성이 개선된다.
도 10은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를 제공받는 인버터(72) 및 상기 인버터(72)에 결합된 NMOS 트랜지스터(TN1)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파워-업 초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우 레벨 상태의 PVCCH 신호가 인가되면 인버터(72)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 되어 NMOS 트랜지스터 TN1이 턴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CCH 신호가 하이 레벨로 세팅되면 인버터(72)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어 NMOS 트랜지스터 TN1이 턴오프된다. 그 결과, IVC 전압과 EVC 전압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며, IVC 발생기(50)에서 출력된 IVC 전압이 주변 회로(52)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의 하이 레벨로의 세팅 타임을 안정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내부 전원 전압(IVC)의 파워-업시의 기울기(slope)가 선형적인 특성을 갖도록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파워-업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의 각 래치단들의 초기치 오류(fail)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워-업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의 각 래치단의 스탠바이 전류(stand-by current)로 인한 전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 전압(IVC) 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초기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전원 전압으로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한 경우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 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의 초기 파워-업시의 파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전원 전압으로 내부 전원 전압(IVC)을 사용한 경우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PVCCH) 발생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파워-업 플래그 신호의 초기 파워-업시의 파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초기 파워-업시의 파형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내부 전원 전압(IVC)과 외부 전원 전압(EVC)을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Claims (19)

  1.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플래그 신호 발생기;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제1 논리 레벨을 가지고,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상기 소정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 제2 구간에서는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발생된 제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 및 상기 내부 전원 전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제어 전압으로 동작하는 전압 제어 전류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제어 전압으로 동작하는 게이트가 공통 결합된 적어도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DDR S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의 내부 전원 전압 제어 장치.
  9.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플래그 신호 발생 회로;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고,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발생된 제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 및 상기 내부 전원 전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제어 전압으로 동작하는 전압 제어 전류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전류원은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DDR S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는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소정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제1 구간에서는 상기 제1 논리 레벨을 가지고,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이 상기 소정 레벨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 제2 구간에서는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발생된 제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DDR SDR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18. 내부 전원 전압과 외부 전원 전압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를 상기 외부 전원 전압과 상기 내부 전원 전압 사이에 결합된 전압 제어 전류원의 제어 전압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1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의 레벨을 따라 변하는 제1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반도체 장치의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의 파워-업시 제2 논리 레벨을 가지는 상기 파워-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원 전압을 전압원으로 사용하여 발생된 제2 내부 전원 전압을 상기 주변 회로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KR1020040043838A 2004-06-15 2004-06-15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50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38A KR100750590B1 (ko) 2004-06-15 2004-06-15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TW094119466A TW200603160A (en) 2004-06-15 2005-06-13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voltag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US11/154,076 US7436730B2 (en) 2004-06-15 2005-06-15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voltag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838A KR100750590B1 (ko) 2004-06-15 2004-06-15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51A true KR20050118751A (ko) 2005-12-20
KR100750590B1 KR100750590B1 (ko) 2007-08-20

Family

ID=3546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38A KR100750590B1 (ko) 2004-06-15 2004-06-15 파워-업시 내부 전원 전압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6730B2 (ko)
KR (1) KR100750590B1 (ko)
TW (1) TW2006031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12B1 (ko) * 2009-05-29 2011-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US7990174B2 (en) 2009-06-30 2011-08-02 Hynix Semiconductor Inc. Circuit for calibrating impedanc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US8054708B2 (en) 2008-12-01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on detector, operating method of power-on detector and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957B1 (ko) * 2007-03-08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입출력 구동회로 및 그것에대한 전류 공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749B1 (ko) * 1995-07-06 1998-12-01 김광호 외부 전원 전압감지기를 가지는 내부 승압 전원 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JP3938410B2 (ja) 1996-04-16 2007-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US5781490A (en) 1996-07-03 1998-07-14 Micron Technology, Inc. Multiple staged power up of integrated circuit
JP4219516B2 (ja) * 1999-12-20 2009-02-04 富士通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394757B1 (ko) * 2000-09-21 2003-08-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장치
US6791892B2 (en) 2001-07-18 2004-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generating an initializing signal during power-up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3242784A (ja) * 2002-02-15 2003-08-29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連想メモリ装置
TWI371674B (en) * 2003-05-07 2012-09-01 Mosaid Technologies Inc Managing power on integrated circuits using power islan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4708B2 (en) 2008-12-01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on detector, operating method of power-on detector and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15712B1 (ko) * 2009-05-29 2011-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동 방법
US7990174B2 (en) 2009-06-30 2011-08-02 Hynix Semiconductor Inc. Circuit for calibrating impedance and semiconductor apparatu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3160A (en) 2006-01-16
US7436730B2 (en) 2008-10-14
US20050275986A1 (en) 2005-12-15
KR100750590B1 (ko) 200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5791B2 (ja) 半導体装置のパワーアップ検出回路
KR100648537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집적 회로의 내부 전원 전압발생 방법
JP4350568B2 (ja) 内部電圧発生回路
US5867442A (en) Variable output voltage booster circuits and methods
JP3879892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
US677846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core voltage
KR100753034B1 (ko) 내부 전원전압 발생 회로
KR10058654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실레이터용 전원공급회로 및 이를이용한 전압펌핑장치
JPH1079191A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内部昇圧電圧発生器
JPH1166855A (ja) 電位検出回路、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
JP2004364254A (ja) リセット信号発生回路
KR20060127366A (ko) 내부전압 구동 회로
US74367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voltag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2007607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전압 발생방법
KR1006658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의 파워 업 회로
KR100429888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초기화 신호의 발생 방법
US7696796B2 (en) Initial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JP2007517298A (ja) 電圧制御システム
KR100224666B1 (ko) 반도체장치의 전원제어회로
KR100996192B1 (ko) 파워 업 신호 생성회로
KR100799103B1 (ko) 반도체 소자
KR100604818B1 (ko) 클럭 주파수에 따라 내부 전원 전압의 구동 전류를변화시키는 메모리 장치 및 그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 방법
KR100772705B1 (ko) 내부전압 생성장치
KR100304279B1 (ko) 래치-업방지회로
KR100596840B1 (ko) 내부전원전위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