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729A -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729A
KR20050075729A KR1020050003974A KR20050003974A KR20050075729A KR 20050075729 A KR20050075729 A KR 20050075729A KR 1020050003974 A KR1020050003974 A KR 1020050003974A KR 20050003974 A KR20050003974 A KR 20050003974A KR 20050075729 A KR20050075729 A KR 20050075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terminal fitting
press
connector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934B1 (ko
Inventor
츠치야다카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5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피팅(20)의 후퇴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는 정합 커넥터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12)과, 리셉터클(11)의 뒷벽(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15),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12)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삽입 구멍(15)에 압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20)을 구비한다. 각 단자 피팅(20)에는 삽입 구멍(15)에 삽입되는 삽입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부(21)는, 삽입 구멍(15)의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하면서 삽입 구멍(15) 안으로 압입되는 압입부(23)와; 이 압입부(23)와 연속하고, 압입부(23)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가 압입부(23)의 통과 이후에 복원되어 수용부 주위에 수용되게 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23)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24A)을 구비하는 수용부(24)를 포함한다. 수용부(24)의 경사면(24A)의 후방 단부 사이의 폭은 삽입 구멍(15)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그보다 작게 설정된다.

Description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IT}
본 발명은 단자 피팅과, 이 단자 피팅을 구비하는 커넥터,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는, 단자 피팅(2)이 커넥터 하우징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정합 커넥터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단자 피팅의 단부는 일측면에서 전방을 향해 (정합 커넥터 하우징과의 접속면을 향해) 돌출하는 반면에, 타측면에서 커넥터 하우징(1)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회로 기판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일본 실용 신안 공개 제S61-60486호).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압입부가 마련된 복수 개의 단자 피팅(20)을 상기 리셉터클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즉 상기 정합 커넥터 하우징과의 접속면측으로부터 상기 단자 피팅을 압입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압입부는 상기 관통 구멍보다 크다.
근래에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자동화 설비에 대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통상의 실시 방법과는 반대로, 단자 피팅(2)을 커넥터 하우징(1)의 후방 표면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정합 커텍터와의 접속면을 향해) 압입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단자 피팅을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부터 압입하는 경우에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하는 동안에 단자 피팅의 후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항하는 충분한 단자 유지력이 존재하지 않았다. 여기서, 단자 유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단자 피팅의 압입부를 확대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지만, 보다 큰 압축 응력이 커넥터 하우징에 작용하게 되면 커넥터 하우징에는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계발된 것으로, 단자 피팅의 후퇴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측으로부터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 또는 삽입되는 단자 피팅이 제공되는데, 이 단자 피팅은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이 삽입부는 삽입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 구멍에 압입되는 압입부로서, 삽입 구멍의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 또는 변형시키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압입부와;
실질적으로 상기 압입부와 연속하는 수용부로서, 압입부에 의해 밀려나거나 변형된 재료가 압입부의 통과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수용부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압입부에 의해 밀려나거나 변형된 재료는 압입부의 통과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부 주위에 또는 부근에 수용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는 것이 허용되므로, 단자 피팅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복원된 재료에 의해 붙잡혀 단자 피팅의 후퇴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의 후방 단부에서 각 단자 피팅의 폭은 상기 삽입 구멍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그보다 작게 설정된다.
상기 수용부의 경사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 구멍의 입구까지 연장되도록 삽입 방향을 따르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수용부의 경사면이 상기 삽입 구멍의 입구까지 연장되지 않고 삽입 구멍의 중간 위치에서 종결된다면, 상기 경사면의 경사가 보다 가파라지고, 이로 인해 단자 피팅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복원된 재료와 상기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보다 커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재료에 의해 충분하게 붙잡히지 못한다. 그러나, 상기 수용부의 경사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 구멍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완만하게 경사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재료에 의해 충분하게 붙잡힐 수 있어, 상기 단자 피팅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할 때 단자 피팅의 후퇴가 방지된다.
상기 단자 피팅은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단자 피팅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 구멍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의 단차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단자 피팅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융기부가 단자 피팅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수용부 주위에 또는 부근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를 향하여 이동 또는 변형시키도록 상기 단차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과;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측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거나 삽입되는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은 정합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은 커넥터 하우징의 뒷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정합 커넥터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의 뒷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구멍에 압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
을 포함하고, 각 단자 피팅은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 구멍의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하면서 삽입 구멍 안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와 연속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압입부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가 압입부의 통과 이후에 복원되어 수용부 주위에 수용되게 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상기 압입부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후방 단부에서 각 단자 피팅의 폭은 상기 삽입 구멍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그보다 작게 설정된다.
각 수용부의 경사면은 삽입 구멍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피팅을 위한 각 삽입 구멍의 입구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입구에 단차면이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되는데, 이 커넥터는
정합 커넥터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리셉터클의 뒷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상기 삽입 구멍에 압입되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
을 포함하고, 각 단자 피팅은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는, 삽입 구멍의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하면서 삽입 구멍 안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와;
상기 압입부와 연속하는 수용부로서, 상기 압입부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가 압입부의 통과 이후에 복원되어 수용부 주위에 수용되게 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상기 압입부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수용부
를 포함하며, 단자 피팅을 위한 각 삽입 구멍의 입구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입구에 단차면이 형성되고,
단자 피팅이 적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 구멍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차면과 접촉하여 단자 피팅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융기부가 각 단자 피팅에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에는 상기 수용부 주위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상기 단차면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부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는 압입부의 통과 이후에 상기 수용부 주위에 수용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는 것이 허용되므로, 단자 피팅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복원된 재료에 의해 붙잡혀 단자 피팅의 후퇴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 주위에 수용되는 재료와 상기 단차면에서 맞물려서 상기 재료를 수용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맞물림 돌기가 상기 융기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동된 재료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붙잡힐 수 있어, 상기 단자 피팅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할 때 단자 피팅의 후퇴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조립 및 구성하는 방법이 더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측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하는 압입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피팅은, 삽입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삽입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삽입 구멍을 형성하는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 또는 변형시키도록, 상기 삽입부의 압입부가 삽입 구멍에 압입되고,
압입부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는 실질적으로 압입부와 연속하는 수용부에 의해 압입부의 통과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재료를 그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피팅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 구멍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의 단차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단자 피팅의 융기부에 의해 단자 피팅의 삽입 위치가 제한된다.
상기 압입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융기부 상에 또는 융기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기가 수용부 주위에 또는 부근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를 향하여 이동 또는 변형시키도록 단차면에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그 밖의 것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실시예가 개별적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의 단일 특징은 추가 실시예에 통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넥터(10)가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인 인쇄 회로 기판(도시 생략)에(또는 상에) 장착 가능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방향(FBD)과 관련해서는 정합 커넥터(도시 생략)가 존재하는 정합측(도 1에서 좌측)을 전방측이라 하고, 수직 방향과 관련해서는 도 1을 기준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리셉터클(11)을 구비하는 커넥터 하우징[이하,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도 2는 단자 피팅(20)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12)만을 보여준다.
리셉터클(11)을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15)이 리셉터클(11)의 뒷벽(13)에 하나 이상의 단으로, 바람직하게는 2개(상, 하)의 단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은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측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 또는 삽입된다.
각 삽입 구멍(15)은 바람직하게는 특정(예정된 또는 예상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 거의 직사각형(그 4면은 실질적으로 중심 축선에 평행한 직선임)인 단면을 갖는 구멍이다. 삽입 구멍(15)보다 큰(즉, 단면적이 더 큰) 개구를 구비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도입 구멍(18)이 단자 피팅(20)을 위한 삽입 구멍(15)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반면에, 삽입 구멍(15)보다 큰 개구를 구비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리세스(16)가 단자 피팅(20)을 위한 삽입 구멍(15)의 출구측에 형성된다. 전방을 향하여 약간 테이퍼진 또는 수렴하는 테이퍼부 또는 수렴부(15A)가 각 삽입 구멍(15)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다.
리세스(16)는, 단지 피팅을 삽입 구멍(15) 안으로 압입 또는 삽입할 때 단자 피팅(20)에 의한 마모 또는 긁힘에 의해 발생되는 삽입 구멍(15)으로부터의 부스러기 또는 마모되거나 긁힌 입자 혹은 부분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해 부스러기가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각 도입 구멍(18)의 4면 중에서 하나의 면(예컨대, 상부면)을 제외한 3면은, 도입 구멍(18)이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져 있다. 도입 구멍(18)의 상기 하나의 면(상부면)은 단자 피팅(20)을 위한 보호벽(12A)과 실질적으로 연속하도록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다 [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삽입 구멍(15)의 후방 단부(15RE)("삽입 구멍의 입구"에 해당)로부터 상기 도입 구멍(18)의 면까지 연장되는 표면은, 0°또는 180°가 아닌 각도의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 혹은 단자 피팅(20)의 하우징(12) 안으로의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단차면 또는 수렴면(17)이고, 단자 피팅(20)을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 또는 삽입할 때에 이들 단차면(17)과 후술하는 단자 피팅(20)의 융기부(22)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커넥터(10)와 정합 커넥터(도시 생략)의 접속 시에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강제 접속 방지 탭부(19)가, 실질적으로 인접한 한 쌍의 삽입 구멍(15)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단의 삽입 구멍 사이에서 (예컨대, 상부단과 하부단의 삽입 구멍 사이에서), 뒷벽(1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므로, 양측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 관계로 접속되거나 접속될 수 있다.
한편, 각 단자 피팅(20)은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 바아 재료로 제조되는데, 이 경우 단자 피팅(20)의 전방측은 정합 커넥터의 단자 피팅(도시 생략)과 접속될 단자 접속부(20B)이고, 상기 단자 피팅의 후방측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바람직한 전기 또는 전자 장치임) 또는 와이어(도시 생략)에 연결될 기판, 장치 혹은 와이어 접속부(20C)이다. 기판 접속부(20C)는 0°또는 180°가 아닌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90°로 (예컨대, 하향) 구부러지고, 단자 피팅(20)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모두가 커넥터 하우징(12)에 장착된다는 것을 유의하라.
각 단자 피팅(20)의 중간 부분(바람직하게는 거의 중앙)이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으로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1)로 이루어지며, 융기부(22)는 도입 구멍(1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삽입부(21)는 하우징(12)의 삽입 구멍(15)보다 약간 짧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삽입부의 전방부(바람직하게는 거의 전방 절반)는 한 쌍의 경사면 또는 발산면(23A)에 의해 후방을 향해 갈수록 넓어지도록 또는 발산하도록 형성되는 압입부(23)가 되고, 삽입부의 후방부(바람직하게는 거의 후방 절반)는 압입부(23)와 연속하고 한 쌍의 경사면 또는 수렴면(24A)에 의해 후방[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측]을 향해 갈수록 완만하게 좁아지거나 수렴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24)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피팅(20)이 하우징(12)에 압입될 때,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인 단면(바람직하게는 거의 크기가 일정함)을 갖는 부분(20A)이 단자 피팅(20)의 전방 단부로부터 리세스(16) 약간 후방의 위치(25A)까지 연장되고, 삽입부(21)의 중앙 또는 중간부(25B)[압입부(23)의 후방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위치에서의 삽입 구멍(15)의 폭[단자 피팅(20)이 아직 삽입되지 않았을 때 도 7에서의 수직 치수]보다 약간 더 큰 최대 폭에 도달하기까지, 삽입부(21)는 상기 위치(25A)로부터 후방을 향해 갈수록 점차 넓어지며[경사면(23A)](즉, 단면적이 커짐), 그 후 근소한 양으로 점차 좁아진다[경사면(24A)](즉, 단면적이 작아짐). (수용부의 후방 단부에서의 단자 피팅의 바람직한 폭에 해당하는) 삽입부(21)의 폭은 단차면(17)(즉, 실질적으로 삽입 구멍의 입구까지 연장되는 것에 해당)에 인접한 부분(25C)[융기부(22)의 전방 단부]에서의 삽입 구멍(15)의 폭보다 약간 작다. 경사면(24A)의 경사는 경사면(23A)의 경사보다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의하라.
단자 피팅(20)을 삽입 구멍(15)에 압입하면, 삽입 구멍(15)보다 폭이 넓은 압입부(23)의 일부분이 삽입 구멍(15)을 형성하는 재료를 바깥쪽으로 밀어내고, 이렇게 밀려난 재료는 수용부(24)를 향해 갈수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수용부(24)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융기부(22)는 삽입부(21)의 후방 단부[수용부(24)]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데, 이 경우 융기부의 전방 단부의 횡방향 대향 단부는 삽입부(21)의 후방 단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원호형 부분 또는 오목한 부분을 매개로 하여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며, 이로써 맞물림 돌기(26)가 형성된다.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위치까지 압입될 때(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될 때), 융기부(22)는 단자 피팅(2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도록 하우징(12)의 단차면(17)과 접촉하게 되고, 융기부(22)의 전방 단부에 마련된 맞물림 돌기(26)는 단차면(17)과 맞물려서, 바람직하게는 수용부(24) 주위의 또는 부근의 재료[실질적으로 수용부(24) 주위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24)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끌어 당기거나 변형시킨다.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위치까지 압입될 때, 융기부(22)는 도입 구멍(18)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융기부(22)의 후방 단부면(22B)이 뒷벽(13)의 후방 단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그 크기가 일정한 단면을 갖는 부분(20A)은, 융기부(22)의 후방에서 기판 접속부(20C)를 향해 계속된다.
상기 실시예의 커넥터(1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도 5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피팅(20)은 그 전방측[단자 접속부(20B)측]으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삽입 구멍(15)의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데, 이 경우 삽입 구멍의 입구는 리셉터클(11)의 뒷벽(13)에 하우징(12)의 후방측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그 후, 단자 피팅(20)의 압입부(23)의 뒷부분은 삽입 구멍(15)의 입구의 대향 측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삽입 구멍(15)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삽입 구멍(15)을 넓히면서 삽입 구멍(15) 안으로 더 삽입된다. 단자 피팅(20)이 더 삽입되어 바람직하게는 압입부(23)의 거의 전부가 삽입 구멍(15) 내에 위치하게 될 때, 압입부(23)에 후속하는 수용부(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수용부(24)는 상기 횡방향 대향 단부에서 한 쌍의 경사면 또는 수렴면(24A)에 의해 점차 좁아지거나 수렴하게 되므로, 압입부(23)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는 압입부(23)의 통과 이후에 복원되어 실질적으로 수용부(24) 주위에 위치하게 된다.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위치(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에 도달할 때, 수용부(24)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융기부(22)는 단차면(17)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되고, 그 결과 단자 피팅(20)은 실질적으로 적정한 위치(적정한 삽입 깊이)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돌출한 맞물림 돌기(26)가 바람직하게는 단차면(17)과 맞물려 수용부(24) 주위에 또는 부근에 위치하는 재료의 일부분을 수용부(24)를 향하여 강제로 이동 또는 변형시킨다.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위치(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에서 고정된 이후에, 뒷벽(13)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단자 피팅(20)의 단부는, 0°또는 180°가 아닌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절곡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거의 직각으로 아래로 구부러져서, 실질적으로 하나 이상의 열(예컨대, 전방 및 후방 열) 등과 같은 특정(예정된 또는 예상 가능한) 패턴으로 정렬되도록 정렬판(31)을 통과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며, 그 후 바람직한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인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예컨대, 커넥터(10)를 정합 커넥터(도시 생략)에 접속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도, 수용부(24)는 상기 복원된 재료에 의해 붙잡혀서 단자 피팅(20)의 후퇴가 방지되는 데, 이는 압입부(23)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가 압입부(23)의 통과 이후에 복원되어 수용부(24) 주위에 수용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만약 단차면(17)에 인접한 부분(25C)에서의 삽입부(21)[수용부(24)]의 폭이 삽입 구멍(15)의 폭보다 크다면, 상기 밀려나온 재료는 충분하게 복원될 수 없다. 그러나, 융기부(22)의 전방 단부에서 삽입부(21)[수용부(24)]의 폭은 삽입 구멍(15)의 폭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려나온 재료는 충분하게 복원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부(24)의 경사면(24A)이 삽입 구멍(15)의 입구까지 연장되지 않고 삽입 구멍(15)의 중간 위치에서 종결된다면, 수용부의 경사는 가파라지고, 이로 인해 단자 피팅(20)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할 때 상기 복원된 재료와 경사면(24A)과의 사이에 보다 큰 간극이 형성된다. 그 결과, 수용부(24)는 상기 재료에 의해 충분하게 붙잡힐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수용부(24)의 경사면(24A)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삽입 구멍(15)의 입구까지 연장되므로, 상기 경사면은 완만하게 경사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용부(24)는 상기 재료에 의해 충분하게 붙잡혀서, 단자 피팅(20)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할 때 단자 피팅(20)의 후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융기부(22)에는 수용부(24) 주위에 또는 부근에 수용된 재료를 실질적으로 수용부(24)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또는 변형시키도록 단차면(17)에 맞물리는 맞물림 돌기(2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부(24)는 이렇게 이동된 재료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붙잡혀서, 단자 피팅(20)에 후퇴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할 때 단자 피팅(20)의 후퇴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정합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11)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12)과, 리셉터클(11)의 뒷벽(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삽입 구멍(15),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12)의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그 후방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구멍(15)에 압입 또는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단자 피팅(20)이 커넥터(10)에 마련된다. 각 단자 피팅(20)에는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 삽입부(21)는 삽입 구멍(15)에 압입 또는 삽입되면서 삽입 구멍(15)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 또는 변형시키는 압입부(23)와, 상기 압입부(23)에 실질적으로 연속하고, 바람직하게는 압입부(23)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가 압입부(23)의 통과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수용부 주위에 또는 부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하도록,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23)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24A)을 구비하는 수용부(24)를 포함한다. 수용부(24)의 경사면(24A)의 후방 단부 사이의 폭은 삽입 구멍(15)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의 실시예 이외에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실시될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 커넥터(10)는 회로 기판에 연결 가능한 회로 기판 커넥터이지만, 본 발명은 와이어 대 와이어 커넥터, 와이어 대 접속함 커넥터 등과 같은 그 밖의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자 피팅(20)의 삽입부(21)[수용부(24)]의 후방 단부의 폭이 삽입 구멍(15)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지만, 상기 삽입부의 폭은 삽입 구멍(15)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자 피팅(20)의 융기부(22)에는 수용부(24) 주위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24)를 향하여 끌어 당기는 맞물림 돌기(26)가 마련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맞물림 돌기(26)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고, 원주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맞물림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 후방을 향해 갈수록 좁아지거나 수렴하는 수용부(24)의 경사면(24A)은 삽입 구멍(15)의 입구까지 연장되지만, 상기 경사면은 삽입 구멍(15)의 입구 부근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경사면(24A)이 실질적으로 삽입 구멍(15)의 입구까지 연장된다면, 상기 재료는 보다 효과적으로 수용부(24)를 향하여 충분하게 이동된다.
(5)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자 피팅(20)은 뒷벽(13)의 2개(상, 하)의 단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면서 삽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 피팅(20)은 뒷벽(13)의 3개 이상의 단에 정렬되면서 또는 다양한 특정(예정된 또는 예상 가능한) 패턴으로 정렬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 뒷벽(13)에 형성된 삽입 구멍(15)의 단면은 직사각형이지만, 삽입 구멍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그 밖의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 피팅의 후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2는 단자 피팅이 삽입 구멍 안으로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
도 3은 단자 피팅의 평면도.
도 4는 단자 피팅의 측면도.
도 5는 단자 피팅을 삽입 구멍 안으로 삽입하는 것을 단면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단자 피팅이 삽입 구멍 안에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
도 7은 단자 피팅이 삽입 구멍 안에 삽입된 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개념적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리셉터클
12 : 커넥터 하우징
13 : 뒷벽
15 : 삽입 구멍
16 : 리세스
17 : 단차면
18 : 도입 구멍
20 : 단자 피팅
21 : 삽입부
22 : 융기부
23 : 압입부
24 : 수용부
26 : 맞물림 돌기

Claims (12)

  1. 커넥터(10)의 커넥터 하우징(12)의 삽입측으로부터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는 단자 피팅(20)으로서,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삽입 구멍(15)보다 크게 형성되는 삽입부(21)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21)는, 삽입 구멍(15)에 압입되는 압입부(23)로서, 삽입 구멍(15)의 형성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 또는 변형시키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압입부(23)와;
    실질적으로 압입부(23)와 연속하는 수용부(24)로서, 압입부(23)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가 압입부(23)의 통과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어 수용부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게 하도록,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23)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4A)을 갖는 수용부(24)
    를 구비하는 것인 단자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부(24)의 후방 단부에서 각 단자 피팅(20)의 폭은 삽입 구멍(15)의 폭과 동일하게 또는 그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인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용부(24)의 경사면(24A)은, 실질적으로 삽입 구멍(15)의 입구까지 연장되도록 삽입 방향(ID)을 따르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인 단자 피팅.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23)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면(24A)을 포함하는 것인 단자 피팅.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 구멍(15)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12)의 단차면(17)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단자 피팅(20)의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융기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6. 제5항에 있어서, 융기부(22)에는 수용부(24) 주위에 또는 부근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24)를 향하여 이동 또는 변형시키도록 단차면(17)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단자 피팅.
  7. 커넥터 하우징(12)과;
    커넥터 하우징(12)의 일부분(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15);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12)의 삽입측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15)에 압입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
    을 포함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12)은 정합 커넥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리셉터클(11)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15)은 커넥터 하우징(12)의 뒷벽(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단자 피팅(20)을 위한 각 삽입 구멍(15)의 입구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입구에 단차면(17)이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0. 커넥터 하우징(12)의 일부분(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 구멍(15)이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10)의 커넥터 하우징(12)을 제공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을 커넥터 하우징(12)의 삽입측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하는 압입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10) 조립 방법으로서,
    단자 피팅(20)은, 삽입 구멍(1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삽입 구멍(15)보다 크게 형성되는 삽입부(21)를 포함하고,
    삽입 구멍(15)을 형성하는 재료를 바깥쪽으로 압박 또는 변형시키도록, 삽입부(21)의 압입부(23)가 삽입 구멍(15) 내로 압입되며,
    압입부(23)에 의해 밀려나온 재료는 실질적으로 압입부(23)와 연속하는 수용부(24)에 의해 압입부(23)의 통과 이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되고, 상기 수용부(24)는 상기 재료를 그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후방을 향할수록 압입부(23)에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4A)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단자 피팅(20)이 실질적으로 적정한 삽입 깊이까지 삽입 구멍(15)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 하우징(12)의 단차면(17)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단자 피팅(20)의 융기부(22)에 의해 단자 피팅(20)의 삽입 위치가 제한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융기부(22) 상에 또는 그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맞물림 돌기(26)가 수용부(24) 주위에 또는 부근에 수용된 재료를 수용부(24)를 향하여 이동 또는 변형시키도록 단차면(17)에 맞물리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050003974A 2004-01-16 2005-01-15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KR101032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9622A JP4179170B2 (ja) 2004-01-16 2004-01-16 コネクタ
JPJP-P-2004-00009622 2004-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729A true KR20050075729A (ko) 2005-07-21
KR101032934B1 KR101032934B1 (ko) 2011-05-06

Family

ID=3474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974A KR101032934B1 (ko) 2004-01-16 2005-01-15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33229B2 (ko)
JP (1) JP4179170B2 (ko)
KR (1) KR101032934B1 (ko)
CN (1) CN100468873C (ko)
DE (1) DE102005001955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79B1 (ko) * 2007-01-24 2010-07-2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200453172Y1 (ko) * 2009-04-30 2011-04-15 양기선 커넥터 검사 지그
KR101249586B1 (ko) * 2010-09-14 2013-04-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3281B4 (de) 2006-03-21 2024-04-04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ungs-Adapter
JP4862612B2 (ja) * 2006-10-31 2012-01-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成形用の金型
JP4924247B2 (ja) * 2007-07-04 2012-04-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491096B1 (en) * 2007-07-31 2009-02-1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Modular terminal block
JP5115149B2 (ja) * 2007-11-02 2013-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0015913A (ja) * 2008-07-07 2010-01-21 Jst Mfg Co Ltd コネクタ、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壁部
JP5210814B2 (ja) * 2008-11-11 2013-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ーミナル構造およびはんだ接合方法
US8133075B2 (en) * 2009-03-25 2012-03-1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083554B2 (en) * 2009-06-05 2011-12-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unitary housing
US8506336B2 (en) 2011-09-02 2013-08-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tamped and formed contact
JP5956298B2 (ja) * 2012-09-25 2016-07-27 株式会社河西精機製作所 ピン孔と端子ピンの間の防水構造
JP6258115B2 (ja) * 2014-04-24 2018-01-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さ違いの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3595417A4 (en) * 2017-03-06 2020-03-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UNIT WITH INLET STRUCTURE
CN108953319B (zh) * 2017-05-22 2024-03-08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连接结构
EP3814564B1 (en) * 2018-06-29 2023-12-06 Picanol Connecting rod for a drive mechanism for a harness frame
JP2021168227A (ja) * 2018-07-25 2021-10-2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圧入端子保持構造及びコネクタ
JP7452344B2 (ja) * 2020-09-16 2024-03-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1814A1 (de) 1984-08-30 1986-03-06 Werner Grüske, EDV Zubehör, 8521 Spardorf Einrichtung zum geordneten aufbewahren einer groesseren anzahl von aufzeichnungstraegern
US5064391A (en) * 1990-09-27 1991-11-12 Amp Incorporated Asymmetrical high density contact retention
JP3145452B2 (ja) * 1991-12-27 2001-03-12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接触子固定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US5263882A (en) * 1992-11-02 1993-11-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retention means
JP3028199B2 (ja) * 1996-03-14 2000-04-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のターミナル
DE29700452U1 (de) * 1997-01-13 1997-02-27 Framatome Connectors Int Kontaktstift mit gegenläufigen Verankerungsflügeln und Steckverbinderelement
JP3503877B2 (ja) * 1999-02-19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角線材を使用した基板用の端子構造
JP4295384B2 (ja) * 1999-03-08 2009-07-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267000A (ja) * 2000-03-21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3928483B2 (ja) * 2002-05-29 2007-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分割コネクタ
JP2004047323A (ja) * 2002-07-12 2004-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DE102004011962B4 (de) * 2003-03-12 2008-11-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anschluß, Verbinder und Montageverfahren
JP2004362814A (ja) * 2003-06-02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2005135794A (ja) * 2003-10-31 2005-05-26 Hirose Electric Co Ltd 圧入端子のモールド圧入構造とこのモールド圧入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379B1 (ko) * 2007-01-24 2010-07-2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200453172Y1 (ko) * 2009-04-30 2011-04-15 양기선 커넥터 검사 지그
KR101249586B1 (ko) * 2010-09-14 2013-04-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5001955A1 (de) 2005-08-25
KR101032934B1 (ko) 2011-05-06
JP4179170B2 (ja) 2008-11-12
US20050159038A1 (en) 2005-07-21
CN1645675A (zh) 2005-07-27
DE102005001955B4 (de) 2009-03-26
US7033229B2 (en) 2006-04-25
CN100468873C (zh) 2009-03-11
JP2005203271A (ja)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934B1 (ko)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US7037146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EP0795929B1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US4687267A (en)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US607115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serted terminals
US569292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US4583807A (en) Surface mount connector
US7377823B2 (en) Press-fit pin
US634395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58907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lf-retaining board locks
US20040005794A1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KR100972379B1 (ko)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US5542851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JP2004047323A (ja) 基板用コネクタ
US676435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73586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portions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20030082938A1 (en) Circuit 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tails
US4752246A (en) Preloaded spring contact electrical terminal
US5630733A (en) Female terminal
US6953372B2 (en) Connector with press-in terminal fittings and recessed bulges surrounding the terminal fittings
US5672075A (en) Round terminal-receiving connector
JP3331412B2 (ja) 基板スルーホール接続用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KR101029668B1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US62737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