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379B1 -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379B1
KR100972379B1 KR1020080007618A KR20080007618A KR100972379B1 KR 100972379 B1 KR100972379 B1 KR 100972379B1 KR 1020080007618 A KR1020080007618 A KR 1020080007618A KR 20080007618 A KR20080007618 A KR 20080007618A KR 100972379 B1 KR100972379 B1 KR 10097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contact portion
terminal fitting
contac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928A (ko
Inventor
유우지로우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피팅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단자(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부(41)를 각각 구비하는 단자 피팅(20)과, 단자 피팅(20)이 내부로 압입되는 압입 구멍(14; 14A)이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하며, 단자 피팅(20)은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 14A)을 통과한 후에 하우징(10) 내에 가압 유지된다. 하우징(10)의 각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65)에 대응하는 정점(62; 62A)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 14A)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41)와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의 서로에 대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6-100231은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상대 암형 단자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압입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 압입 구멍 내로 단자 피팅이 압입된다. 접촉부를 포함한 각 단자 피팅의 전방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압입 구멍도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이들 양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치수를 갖는다. 단자 피팅은 뒤로부터 하우징의 압입 구멍으로 삽입되고, 접촉부의 뒤에 위치한 그 후방부는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한 후에 그 압입 구멍 내에 가압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전술한 경우에, 접촉부를 포함한 전방부의 단면 형상과 압입 구멍의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사이즈도 동일하기 때문에,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의 도금면과 압입 구멍의 내면이 서로에 대하여 마모되어 접촉부에 손상을 가할 가능성이 있었다. 심지어 접촉부를 포함한 전방부의 단면 형상이 압입 구멍의 단면 형상보다 작아서 접촉부와 압입 구멍의 내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접촉부는 허용 오차, 변위 등의 관점에서 압입 구멍의 내면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 피팅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단자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과, 단자 피팅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압입되는 하나 이상의 압입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압입 구멍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에 대응하는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 부분이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에 대응하는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와 압입 구멍의 내면의 사이의 상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 피팅은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한 후에 하우징 내에 가압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한가운데 부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단자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단자 피팅과, 단자 피팅이 내부로 압입되는 압입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며, 단자 피팅은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한 후에 하우징 내에 가압 유지되며, 압입 구멍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에 대응하는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 부분이 통과 영역의 폭방향 한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는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와 압입 구멍의 내면의 사이의 상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릿지 라인은 실질적으로 정점을 향하여 경사지게 직선으로 연장한다.
접촉부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의 릿지 라인이 실질적으로 정점을 향하여 경사지게 직선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심지어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정점을 향하여 변위되려고 할 경우에도, 접촉부를 릿지 라인에 의해 적절한 통과 위치로 교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입 구멍의 측면과 릿지 라인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정점은 뾰족하며, 및/또는 상기 측면이 상기 릿지 라인보다 길고, 및/또는 각 정점의 양측에 있는 양 릿지 라인 사이의 각도가 약 120도를 넘고, 및/또는 측면과 릿지 라인 사이의 각도가 약 120도보다 작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적어도 접촉부의 폭방향 양단 코너 중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사면(bevel)이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면의 경사각은, 접촉부에 평행한 기준선에 대하여, 접촉부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 중 릿지 라인의 상향 연장부의 경사각보다 작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에 있어서 접촉부의 폭방향 양단 코너부에 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사면의 경사각은, 접촉부에 평행한 기준선에 대하여, 접촉부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 중 릿지 라인의 상향 연장부의 경사각보다 작다.
사면의 경사각이, 접촉부에 평행한 기준선에 대하여, 압입 구멍의 릿지 라인의 상향 연장부의 경사각보다 작기 때문에,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가 축선을 중심으로 크게 기울어지지 않으면, 사면과 릿지 라인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그 결과, 사면과 릿지 라인은 서로 떨어져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로써 접촉부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는 단자 피팅의 압입 방 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압입 구멍은 압입 방향으로 관통 구멍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가 확장부보다 협소하기 때문에,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의 폭방향 양단이 압입 구멍의 내면을 마모시켜 그 내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자 피팅은 압입 방향으로 접촉부의 뒤에 있는 확장부를 구비하고, 이 확장부는 접촉부보다 넓고, 압입 구멍의 내면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방법이 제공되며, 이 조립 방법은
하나 이상의 압입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각 압입 구멍에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단자 피팅은,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에 대응하는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압입 구멍의 내면의 부분까지의 거리를 유지하면서, 상대 단자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압입 구멍의 내면 부분이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에 대응하는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부가 압입 구멍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와 압입 구멍의 내면의 사이의 상호 마모를 방지하여,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이 추가의 실시예에 합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인쇄 회로 기판(도시 생략)과 같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회로 기판용 커넥터가 본 실시예의 커넥터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도시 생략)와 접속될 수 있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을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대 커넥터와 접속하는 측면을 전후 방향(FBD)과 관련하여 전방측으로서 지칭한다.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관형의) 리셉터클(11)을 구비한다. 단자 피팅(20)이 삽입측(IS)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구멍(TH; 13, 14 및/또는 15)이,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리셉터클(11)의 후방 벽(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TH; 13, 14 및/또는 15)은 하나 이상의 리세스 구멍(13; recessed hole), 하나 이상의 압입 구멍(14)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내 구멍(1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리세스 구멍(13)은 바람직하게는 압입 구멍(14)의 전단과 실질적으로 연통하고, 및/또는 안내 구멍(15)은 바람직하게는 압입 구멍(14)의 후단과 실질적으로 연통한다. 리세스 구멍(13)은 바람직하게는 압입 구멍(14)보다 큰 직경 또는 사이즈를 갖고, 후방 벽(12)의 전방면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안내 구멍(15)은 압입 구멍(14)의 후단으로부터 후방 벽(12)의 후면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발산하거나 실질적으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입 구멍(14)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특정의(예정되어 있거나 예정 가능한)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또는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단자 피팅(20)은 안내 구멍(15)을 통하여 압입 방향(PID)으로 압입 구멍(1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거나, 끼워지거나, 삽입되고, 이로써 하우징(10) 내에 지지된다. 압입 구멍(14)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단자 피팅(20)은 바람직하게는 협소하고 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칼럼 또는 부분의 형태를 갖는 부스바(bus bar)이고, 중간 위치에서 0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즉 실질적으로 L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일반적으로, 단자 피팅(20)은 절곡 기점으로서의 절곡부(21)와, 실질적으로 절곡부(21)의 앞에 배치된[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을 따라 배치된] 수평한 제1 부분(22)과, 절곡부(21)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향하여 0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즉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연장하는 수직한 제2 부분(23)을 포함한다. 수직 한 제2 부분(23)의 선단은, 특히 납땜, 용접(특히 초음파 용접), 억지 끼워맞춤(press fitting) 등에 의하여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기 또는 전자 기기의 도전 경로에 접속하고 있다.
수평한 제1 부분(22)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탭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FBD)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보다 협소한) 협소부(24), (보다 넓은) 확장부(25) 및 팽출부(26)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한 제1 부분(22)은 팽출부(26)를 향하여 단계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방지 부재(27)가 팽출부(26)[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후방 벽(12)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어서 단자 피팅(20)이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한다.
확장부(25)는, 단자 피팅(20)을 압입 방향(PID)으로 하우징(10) 내로 적절하게 장착할 때에 압입 구멍(14)의 내면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확장부(25)(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양단)는 바람직하게는 압입 구멍(14)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로 있고, 압입 구멍(14)의 내면(들)(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양단)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압입부(28)로서 작용한다.
협소부(24)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정방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후방 벽(12)의 관통 구멍(13, 14, 15)[압입 구멍(14)을 포함]에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그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에 리셉터클(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협소부(24)의 선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절단되어, 단자 피팅(20)을 관통 구멍(13, 14, 15) 내로 안내하는 테이퍼면(29)을 형성한다.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접속함에 따라, 협소부(24)는 상대 커넥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된 상대 단자(30)와 접속한다.
상대 단자(30)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단자 피팅이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실질적으로 튜브 형태의 박스부(31)를 포함하고, 적어도 협소부(24)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박스부(31)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용부(32)의 돌출 단부면은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WD)으로 연속하여 평탄한 접촉면(33)으로서 작용한다. 박스부(31) 내에서 수용부(32)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접촉면(33)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엠보싱 가공되거나, 뾰족해지거나 또는 볼록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접촉편(34)이 형성되어, 접촉부(35)를 형성한다.
박스부(31)에 들어갈 때에, 협소부(24)는 높이 방향으로 수용부(32) 및/또는 탄성 접촉편(34)과 접촉 상태로 (바람직하게는 이들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높이 방향[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0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협소부(24)의 상부 하면이 상대 단자(30)와 접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협소부(24)의 상면 또는 측방향 표면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한 가운데 부분)가 수용부(32)의 접촉면(33)과 면 접촉하여 바람직한 접촉부(41)로서 작용하며, 협소부(24)의 하면 또는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측면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의 한가운데 부분)는 탄성 접촉편(34)의 접촉부(35)와 점 접촉한다. 특히, 폭방향 중간부(들)는 폭방향의 한가운데 부분에 대하여 약간, 예컨대 총 폭의 약 1/3 미만만큼, 보다 바람직하게는 총 폭의 약 1/4 미만만큼 변위될 수 있다. 접촉부(41)는 바람직하게는 동일 높이에서 연속하는 수평면[또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을 포함하는 표면]이고, 이 표면에 주석 도금 또는 금 도금이 실시되어 상대 단자(30)와의 접속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압입 구멍(14)의 형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압입 구멍(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다각형(특히 육각형) 개구이며, 바람직하게는 폭방향(WD)으로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한 쌍의 좌우 측면(61)과, 폭방향(WD)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쌍의 상하 정점(62)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하 쌍을 이룬 릿지 라인(63; ridge lines)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정점은 둔각[바람직하게는 약 100도 내지 약 160도,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0도 내지 약 13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도 내지 약 120도]으로 양 측면(61)의 상단 및 하단과 교차하면서 압입 구멍(14)의 폭방향 중앙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단자 피팅(20)의 외벽의 각 위치[특히 그 협소부(24)]에 대한 정점(62)은 압입 구멍(14)의 각 릿지 라인(63)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보다 큰 거리[D; 단자 피팅(20)의 가상의 종방향 중심 라인(CL)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측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달리 말하면, 압입 구멍(14)의 내벽과 단자 피팅(20) 사이의 간극 또는 간격은 정점(6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보았을 때 확대된다. 측면(61)과 릿지 라인(63)은 모두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정점(62)은 뾰족한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61)은 릿지 라인(63)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각 정점(62)의 양측에 있는 양 릿지 라인(63) 사이의 각도는 약 120도를 넘고, 및/또는 측면(61)과 릿지 라인(63) 사이의 각도는 약 120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협소부(24)가 적절한 위치에서 압입 구멍(14)을 통과할 때에는, 통과 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의 외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외주에 걸쳐서 협소부(24)와 압입 구멍(14)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정점(62)과 릿지 라인(63)은, 바람직하게는 접촉부(41)가 통과하는 접촉부(41)의 통과 영역[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접촉부(41)의 배치 영역과 동일함]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압입 구멍(14)의 [실질적으로 높이 방향(HD)을 향하는] 내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정점(62)은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으로 한가운데 부분(65)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릿지 라인(63)은 바람직하게는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 양단(66)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측면(61)의 대응 단부로부터 정점(62)을 향하여 연장하는 상태로 정점(62)에서 교차하도록 접촉부(41)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진다. 달리 말하면, 정점(62)은 접촉부(41)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릿지 라인(63)은 측면(61)의 대응 단부로부터 정점(62)을 향하여 연장함에 따라 접촉부(41)로부터 더욱 멀어지고, 접촉부(41)와 압입 구멍(14)의 내면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협소부(24)가 높이 방향(HD)으로 변위되거나 오프셋된 상태로 압입 구멍(14) 내로 삽입될 경우라도, 협소부(24)의 코너[접촉부(41)의 폭방향 양단 코너(68)]가 릿지 라인(63)과 측면(61)의 교차부 또는 릿지 라인(63)에 접촉할 가능성은 있지만,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의 내면과 접촉할 가능성은 없게 된다. 압입 구멍(14)의 내면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접촉부(41)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협소부(24)의 표면[협소부(24)의 하면]이 통과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내면의 전술한 부분과 일치하게 형상화되고, 후술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단자 피팅(20)을 하우징(10) 내로 장착하는 방법과, 본 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를 설명한다.
단자 피팅(20)을 삽입측(is)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하우징(10)의 관통 구멍(13, 14, 1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할 때에, 확장부(25)는 협소부(24)가 관통 구멍(13, 14 및/또는 15)을 통과한 후에 압입 구멍(14) 내로 압입되고, 그 결과 압입부(28)는 압입 구멍(14)의 내면(바람직하게는 폭방향 단부)에 의해 높이 방향(HD)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압되거나, 맞물리거나 유지된다. 후속하여, 단자 피팅(20)은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즉 실질적으로 L형상으로 구부러져서, 수평한 제1 부분(22)과 수직한 제2 부분(23)으로 구분된다. 물론, 이러한 벤딩 작업을 단자 피팅(20)을 하우징(10) 내로 장착하기 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압입 구멍(14)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통과 영역의 폭방향의 한가운데 부분(6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정점(62)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릿지 라인(63)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허용 오차 및 변위를 고려하더라도,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41)와 압입 구멍(14)의 내면이 서로에 대하여 마모될 가능성은 없게 된다. 그 결과, 접촉부(41)는 보호 유지되어, 특히 접촉부(41)의 도금이 박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압입 구멍(14)의 릿지 라인(63)이 정점(62)을 향하여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을 통과할 때에 정점(62)을 향하여 변위되려고 할 경우에도, 접촉부(41)의 폭방향 양단 코너(68)가 각 릿지 라인(63)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접촉부(41)[협소부(24)]는 릿지 라인(63)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적절한 통과 위치로 교정된다. 또한, 릿지 라인(63)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기 때문에, 협소부(24)가 축선을 중심으로 약간 경사진 경우라도, 접촉부(41)와 릿지 라인(63)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접촉부(41)는 바람직하게는 확장부(25)보다 협소하기 때문에,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41)의 폭방향 양단이 압입 구멍(14)의 내면에 문질러져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입 구멍(14)의 내면에 정점(62)을 구비함으로써, 협소부(24)의 단면 형상의 치수가 압입 구멍(14)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한에 있어서는, 협소부(24)가 축선을 중심으로 크게 기울어지지 않으면 접촉부(41)와 압입 구멍(14)의 내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자 피팅(20)의 협소부(24A)의 형상과 압입 구멍(14A)의 형상이 제1 실시예에서와 다르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자 피팅(20)의 협소부(24A)에는 접촉부(41)의 하나 이상의 코너에, 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양측 코너에 하나 이상의 사면(71)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사면(71)은 전후 방향(FBD)으로 [바람직하게는 테이퍼면(29)을 포함한] 협소부(24A)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협소부(24A)의 두 코너를 모따기함으로써 접촉부(41)의 수평면보다 낮게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소부(24A)가 상대 단자(30)의 박스부(3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때에, 접촉부(41)의 수평면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용부(32)의 접촉면(33)에 면 접촉하게 되는 반면에, 사면(71)은 수용부(32)를 포함한 상대 단자(30)와 접촉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압입 구멍(14A)의 내면은 적어도 한 쌍의 (좌우) 측면(61)과,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한가운데 부분(6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측방향 (상하) 정점(62A)과, 정점(62A)을 향하여 연장함에 따라 통과 영역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상하 한 쌍의 릿지 라인(63A)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측면(61) 근처의 각 릿지 라 인(63A)의 상승부(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부(63B)이며, 정점(62A) 근처의 부분은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거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만곡부 또는 절곡부(63C)이다. 각 정점(62A)은 만곡부(63C)에 의해 구획된 아치 상의 뾰족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그 위치에 대응한다.
여기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41)에 평행한 기준선(L;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수평선)에 대한 직선부(63B)의 경사각(B)은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정점(62A)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직선인 제1 실시예에서의 릿지 라인(63)의 경사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접촉부(41)에 평행한 기준선(L)에 대한 사면(71)의 경사각(A)보다 크다.
따라서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A)을 통과할 때에, 협소부(24A)가 축선을 중심으로 크게 기울어지지 않으면 사면(71)과 릿지 라인(63A)[직선부(63B)]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간극이 형성되어, 사면(71)과 릿지 라인(63A)이 서로에 대해 문질러질 가능성은 없게 된다. 심지어는, 접촉부(41)가 수평면이기 때문에 접촉부(41)와 릿지 라인(63A)의 마모가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기 어려우며, 그 결과 접촉부(41)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접촉부(41)의 폭방향 양단 코너에 사면(71)을 형성함으로써 접촉부(41)의 폭방향 양단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직선부(63B)를 형성함으로써 접촉부(41)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따라서 단자 피팅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는 상대 단자(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접촉부(41)를 각각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단 자 피팅(20)과 하나 이상의 압입 구멍(14; 14A)이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하고, 상기 압입 구멍 내로 단자 피팅(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입되거나, 삽입되거나 끼워 넣어지며, 단자 피팅(20)은 접촉부(41)가 각 압입 구멍(14; 14A)을 통과한 후에 하우징(10) 내에 가압 유지되거나 맞물림 유지된다. 하우징(10)의 각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41)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의 한가운데 부분(65)]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점(62; 62A)을 향함에 따라 통과 영역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 14A)을 통과할 때에 접촉부(41)와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 사이의 상호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음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본 발명은, 2개의 수용부가 상대 단자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접촉부가 단자 피팅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 정점은 두 접촉부에 대응하는 압입 구멍의 내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릿지 라인은 각 정점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두 접촉부에 대응하는 압입 구멍의 단면 형상은 이중 피크(double-peaked) 형상이다.
(2) 릿지 라인은 전체적으로 상승부를 포함하여 정점을 향하여 연장하는 외 향으로 볼록한 곡선일 수 있다.
(3) 접촉부의 폭방향 양단 코너에 사면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2 실시예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의 경우를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4) 접촉부의 통과 영역[상대 단자의 수용부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압입 구멍의 내면의 위치에 정점 및 릿지 라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한 쌍의 상하 정점과 쌍을 이룬 상하의 릿지 라인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5) 단자 피팅은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가압 유지되는 억지 끼워맞춤 단자(press-fit terminals)일 수 있다.
(6) 단자 피팅은 실질적으로 L형상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실질적으로 직선의 형태일 수도 있다.
(7) 단자 피팅은 협소부와 확장부로 구분되지 않고 일정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8) 하우징의 각 관통 구멍은 안내 구멍 및 리세스 구멍이 없을 수도 있으며, 전체적으로 압입 구멍일 수도 있다.
(9) 본 발명은, 압입 구멍의 내면 중에서 접촉부의 통과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 여러 개의 정점을 향할수록 통과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화되어 있는 커넥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경우는, 예컨대 압입 구멍의 각 측면 상의 직선부(63B)가 서로 (직접적으로) 교차하지 않고, 도 6과 유사하게, 예컨대 어느 정도 파형으로 되게 함으로써 여러 개의 정점을 갖는 중간부 [절곡부 또는 만곡부(63C)]를 사이에 가질 수 있는 경우이다.
도 1은 단자 피팅을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측면도이고,
도 2는 단자 피팅의 수평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접촉부가 압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접촉부가 상대 단자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수평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6은 접촉부가 압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접촉부가 상대 단자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수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4, 14A : 압입 구멍
20 : 단자 피팅
24, 24A : 보다 협소한 부분 또는 협소부
25 : 보다 넓은 부분 또는 확장부
26 : 팽출부
30 : 상대 단자
41 : 접촉부
61 : 측면
62, 62A : 정점
63, 63A : 릿지 라인
65 : 접촉부가 통과하는 통과 영역의 폭방향 중간부
71 : 사면(bevel)

Claims (10)

  1. 전방부 및 미리 예정된 폭을 형성하는 상기 전방부 뒤쪽의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를 따라 연장되고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며 서로 반대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 상에서 상대 단자(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41)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과,
    상기 단자 피팅(20)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압입 구멍(14; 14A)이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하며,
    상기 압입 구멍(14; 14A)은 상기 단자 피팅(20)의 후방부의 미리 예정된 폭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고 서로 반대되며 평행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각각으로부터 제1 릿지 라인 및 제2 릿지 라인이 서로를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고,
    정점(62; 62A)이 상기 릿지 라인들(63; 63A)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점(62; 62A)이 상기 단자 피팅(20)의 접촉부(41)의 통과 영역(24; 24A)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상기 정점(62; 62A)이 상기 단자 피팅(20)의 접촉부(41)의 통과 영역(24; 24A)과 마주하고,
    상기 단자 피팅(20)의 접촉부(41)의 서로 반대되는 폭방향 코너 중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사면(71; bevel)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41)에 평행한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사면(71)의 경사각은 상기 하우징(10)의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 중 릿지 라인(63; 63A)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20)은 접촉부(41)가 압입 구멍(14; 14A)을 통과한 후에 하우징(10) 내에 가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영역(24; 24A)의 폭방향 중간부(65)는 폭방향으로 한가운데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 중에서, 상기 접촉부(41)의 통과 영역(24; 24A)의 폭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릿지 라인(63; 63B)은 정점(62; 62A)을 향하여 경사지게 직선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구멍(14; 14A)의 측면(61)과 릿지 라인(63)은 직선이며, 정점(62)은 뾰족한 것과,
    상기 측면(61)이 상기 릿지 라인(63)보다 긴 것과,
    각 정점(62)의 양측에 있는 양 릿지 라인(63) 사이의 각도가 120도를 넘는 것과,
    상기 측면(61)과 릿지 라인(63) 사이의 각도가 120도보다 작은 것 중 하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단자 피팅(20)의 압입 방향(PID)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TH)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입 구멍(14; 14A)은 압입 방향(PID)으로 관통 구멍(TH)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피팅(20)은 압입 방향(PID)으로 접촉부(41)의 뒤에 있는 확장부(25)를 구비하고, 이 확장부(25)는 접촉부(41)보다 넓고,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하나 이상의 압입 구멍(14; 14A)이 형성된 하우징(10)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각 압입 구멍(14; 14A)에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20)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피팅(20)은, 전방부 및 미리 예정된 폭을 형성하는 상기 전방부 뒤쪽의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및 상기 후방부를 따라 연장되고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며 서로 반대되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 상에서 상대 단자(3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41)를 포함하고,
    상기 압입 구멍(14; 14A)은 상기 단자 피팅(20)의 후방부의 미리 예정된 폭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있고 서로 반대되며 평행한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각각으로부터 제1 릿지 라인 및 제2 릿지 라인이 서로를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고,
    정점(62; 62A)이 상기 릿지 라인들(63; 63A)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점(62; 62A)이 상기 단자 피팅(20)의 접촉부(41)의 통과 영역(24; 24A)으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상기 정점(62; 62A)이 상기 단자 피팅(20)의 접촉부(41)의 통과 영역(24; 24A)과 마주하고,
    상기 단자 피팅(20)의 접촉부(41)의 서로 반대되는 폭방향 코너 중 하나 이상에는 하나 이상의 사면(71; bevel)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41)에 평행한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사면(71)의 경사각은 상기 하우징(10)의 압입 구멍(14; 14A)의 내면 중 릿지 라인(63; 63A)의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조립 방법.
KR1020080007618A 2007-01-24 2008-01-24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0972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13411 2007-01-24
JP2007013411A JP4899889B2 (ja) 2007-01-24 2007-01-2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928A KR20080069928A (ko) 2008-07-29
KR100972379B1 true KR100972379B1 (ko) 2010-07-27

Family

ID=3943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618A KR100972379B1 (ko) 2007-01-24 2008-01-24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45172B2 (ko)
EP (1) EP1950841B1 (ko)
JP (1) JP4899889B2 (ko)
KR (1) KR100972379B1 (ko)
CN (1) CN101267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5930A (ja) * 2011-03-01 2012-10-11 Panasonic Corp スピーカ用フレー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およびこの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移動体装置
JP5751874B2 (ja) * 2011-03-22 2015-07-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仮係止構造
JP5795907B2 (ja) * 2011-08-29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コネクタ用の圧入端子およびその圧入端子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に対する固定構造
JP5912632B2 (ja) * 2012-02-16 2016-04-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0345B2 (ja) * 2013-02-27 2018-12-19 日本端子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7382B2 (ja) * 2015-05-14 2018-1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38540B2 (ja) * 2017-02-03 2020-08-12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CN108539483A (zh) * 2018-02-01 2018-09-14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智能充电机充电枪上结构改良的防尘帽
DE102019217862A1 (de) * 2019-11-20 2021-05-20 Robert Bosch Gmbh Stecker mit einer Führungsplatte
JP2022144858A (ja) * 2021-03-19 2022-10-03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729A (ko) * 2004-01-16 2005-07-2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3798B2 (ja) * 1978-10-25 1983-12-01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真偽判別装置におけるテストデ−タ表示方式
NL8105229A (nl) * 1981-11-18 1983-06-16 Du Pont Nederland Connectormontageblok.
JPS63117069A (ja) 1986-11-05 1988-05-21 Kibun Kk カルサミンの精製方法
JPS6466767A (en) 1987-09-08 1989-03-13 Pfu Ltd Data transfer system
JP3044979B2 (ja) 1993-07-15 2000-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吊り具及び住宅構成用ユニットの載置方法
JP2803574B2 (ja) * 1994-08-30 1998-09-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プレスイン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095826A (en) * 1997-02-21 2000-08-01 Berg Technology, Inc. Press fit circuit board connector
EP0924806B1 (en) 1997-12-17 2004-04-07 Fci Connectors with floating terminals and a terminal for such a connector
US6086434A (en) * 1998-02-23 2000-07-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One piece terminal system
JP2000150022A (ja) * 1998-11-04 2000-05-30 Yazaki Corp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における端子圧入構造
JP3503877B2 (ja) * 1999-02-19 2004-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角線材を使用した基板用の端子構造
JP3489670B2 (ja) * 1999-08-05 2004-01-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保護カバー
JP2002015806A (ja) 2000-06-29 2002-01-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164932A (ja) * 2002-11-11 200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362814A (ja) * 2003-06-02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4112475B2 (ja) * 2003-10-31 2008-07-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タインプレート
JP2006100231A (ja) * 2004-09-29 2006-04-13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EP1643597B1 (en) * 2004-09-29 2007-11-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terminal fitting
KR100768738B1 (ko) * 2005-02-02 2007-10-22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수형 단자 피팅과, 수형 단자 피팅용 플레이트 재료,그리고 수형 단자 피팅의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729A (ko) * 2004-01-16 2005-07-2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99889B2 (ja) 2012-03-21
JP2008181729A (ja) 2008-08-07
CN101267068A (zh) 2008-09-17
CN101267068B (zh) 2012-02-22
US7645172B2 (en) 2010-01-12
KR20080069928A (ko) 2008-07-29
EP1950841A3 (en) 2009-10-21
US20080176454A1 (en) 2008-07-24
EP1950841A2 (en) 2008-07-30
EP1950841B1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379B1 (ko)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KR101784193B1 (ko) 커넥터
KR101450401B1 (ko) 전기 커넥터
KR10164679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695409B1 (ko) 실드케이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038036B1 (ko) 커넥터
US7946871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tructures for preventing arc-discharge
US7481685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8444444B2 (en) Connector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KR20050075729A (ko) 단자 피팅과, 커넥터, 그리고 커넥터 조립 방법
US2008007627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502816B2 (en) Connector terminal
KR20090023142A (ko) 커넥터
US841431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tacts embedded in inner bottom of mating cavity
US7544106B2 (en) Terminal fitting
JP2021180196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018773B1 (ko) 회로 기판 커넥터의 세트 및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장착하는 방법
US10135166B2 (en) Symmetric dual beam contact
JP2014099391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7287619A (ja) 音叉端子
JP2012009345A (ja) コネクタ
JP2007149383A (ja) ファストン端子
JP2014220142A (ja) デイジーチェーン用圧接コネクタと圧接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