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793B1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793B1
KR101646793B1 KR1020100061303A KR20100061303A KR101646793B1 KR 101646793 B1 KR101646793 B1 KR 101646793B1 KR 1020100061303 A KR1020100061303 A KR 1020100061303A KR 20100061303 A KR20100061303 A KR 20100061303A KR 101646793 B1 KR101646793 B1 KR 10164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s
contacts
bodies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367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타카오 아사노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01R13/6584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formed by conductive elastomeric members, e.g. flat gaskets or 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9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wires separated by conductiv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 1, 제 2의 보디 및 제 1, 제 2의 콘택트를 정밀도 좋게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실드케이스(300)에 수용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와,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에 매설된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를 구비하고 있다. 실드케이스(300)는, 베이스부(310), 접힘부(320), 측벽부(330) 및 연결판(350)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10)의 길이 치수가 다른 부위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310)의 후면부가 제 1의 보디(100a)가 접촉되는 정지면(313a)으로 되어 있다. 측벽부(330)의 후면부에는, 제 2의 보디(200b)의 후면부와 접촉하여, 정지면(313a)과의 사이에서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를 끼워 유지하는 로크편(37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기기{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로서 이용되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콘택트가 보디에 압입 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하 2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압입은, 소형 커넥터에 있어서 콘택트의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나쁘며,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도 나빠진다. 한편, 인서트 성형은, 소형 커넥터이어도, 콘택트의 조립작업의 작업성 및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양호하여, 저비용이다. 그러나, 커넥터가 한층 더 소형화되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콘택트가 매설되는 절연수지(보디)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콘택트의 테일부를 동일 높이에서 2열로 배치하는 경우(즉, SMT(Surface Mount Technology) 실장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소형화되면, 1개의 보디에 콘택트를 2열로 인서트 성형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는, 보디를 제 1, 제 2의 보디로 양분해서, 제 1의 보디에 제 1의 콘택트를, 제 2의 보디에 제 2의 콘택트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한 후, 이 제 1, 제 2의 보디를 조합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와 같이 2개의 보디에 각각 콘택트를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보디의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WO2003-028169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4-53783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제 1, 제 2의 보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제 2의 보디를 조합한 상태에서 실드케이스 내에 위치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며,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 1, 제 2의 보디가 위치 어긋남으로써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악화한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 1, 제 2의 보디 및 제 1, 제 2의 콘택트를 정밀도 좋게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보디수용부를 가지는 실드케이스와, 이 실드케이스의 보디수용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제 1, 제 2의 보디와, 상기 제 1의 보디에 매설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제 1의 보디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 1의 콘택트와, 상기 제 2의 보디에 매설되어 있으며 또한 이 제 2의 보디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 1의 콘택트와 다른 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2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디수용부는, 천판부와, 저판부와, 한 쌍의 측판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천판부, 저판부 및 측판부의 적어도 1개의 부위의 길이 치수가 다른 부위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1개의 부위의 후면부가 제 1의 보디가 접촉되는 정지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다른 부위의 적어도 1개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 2의 보디의 후면부와 접촉하며, 상기 정지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제 2의 보디를 끼워 유지하는 로크편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선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경우, 이 제 1, 제 2의 콘택트가 1개의 보디에 매설되어 있으면,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선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서 내압보증을 할 수 없는 거리가 될 수 있지만, 본 커넥터는, 제 1, 제 2의 보디에 제 1, 제 2의 콘택트가 각각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선단부의 사이의 거리를 내압보증을 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 1, 제 2의 콘택트가 제 1, 제 2의 보디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각각 매설되어 있으므로, 커넥터가 소형화되었다 해도, 제 1, 제 2의 보디에 제 1, 제 2의 콘택트를 매설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를 보디에 압입하는 경우와 같이, 이 제 1, 제 2의 콘택트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제 1, 제 2의 콘택트의 변형에 의해 생기는 이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사이의 거리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 2의 보디에 제 1, 제 2의 콘택트를 정밀도 좋게 배열할 수 있다. 이 제 1, 제 2의 보디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정지면과 로크편과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제 2의 보디를 제 2의 실드케이스의 보디수용부 내에서 간단히 위치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 1, 제 2의 보디가 위치 어긋남으로써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악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고정밀도로 안정된다. 또, 조합된 제 1, 제 2의 보디 중, 제 1의 보디를 상기 정지면에 접촉시키고, 제 2의 보디에 상기 로크편을 접촉시킬 뿐이므로, 제 1, 제 2의 보디의 실드케이스에의 조립이 매우 간단해진다.
상기 제 1의 보디의 제 2의 보디대향면에 끼워맞춤볼록부 또는 끼워맞춤오목부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 2의 보디의 제 1의 보디대향면에 끼워맞춤오목부 또는 끼워맞춤볼록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의 보디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끼워맞춤볼록부가 상기 끼워맞춤오목부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워맞춤볼록부를 상기 끼워맞춤오목부에 끼워 맞추기만 해도, 제 1, 제 2의 보디가 조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고, 또한 제 1, 제 2의 콘택트가 2열로 배열된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저판부와 상기 천판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의 보디의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제 1의 보디의 하부면이 상기 저판부에, 이 제 1의 보디의 상부면이 상기 천판부에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의 보디가 상기 보디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의 보디의 하부면이 상기 저판부에, 이 제 1의 보디의 상부면이 상기 천판부에 접촉되어서 고정되므로, 이 제 1의 보디 및 이 보디에 조합된 제 2의 보디의 위치정밀도가 더욱더 향상된다. 이에 따라서,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도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저판부의 후면부가 상기 정지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의 보디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지면에 접촉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의 두께방향의 제 1, 제 2의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신한 제 1, 제 2의 긴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제 2의 긴홈에 연통하는 구멍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콘택트는, 상기 제 2의 보디에 매설된 제 2의 매설부와, 이 제 2의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구멍부분 및 제 2의 긴홈에 삽입된 제 2의 접촉부와, 상기 제 2의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제 2의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의 콘택트는, 상기 본체부에 매설된 제 1의 매설부와, 이 제 1의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볼록부의 제 1의 긴홈에 삽입된 제 1의 접촉부와, 상기 제 1의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돌기부의 근방에 배치된 제 1의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 1의 테일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정지면에 접촉되어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실장부인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의 실장 피치 및 코프라나리티(평탄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의 보디를 조합할 때에, 제 2의 콘택트의 제 2의 접촉부를 제 1의 보디의 구멍부분 및 제 2의 홈부에 삽입하기만 해도, 이 제 2의 콘택트의 제 2의 접촉부를 위치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실드케이스는, 앞면에서 보면 대략 ○자 형상의 상기 보디수용부와, 이 보디수용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후측 또는 전측으로 접힌 한 쌍의 접힘부와, 이 접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보디수용부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각각 연신한 한 쌍의 측벽부와, 이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측벽부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 1의 걸림편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걸림편이 상기 보디수용부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연신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보디수용부의 저판부를 잘라내서 걸림편을 작성할 필요가 없고, 이 저판부의 잘라낸 개소에 구멍이 형성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보디수용부를 기판 위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편을 기판에 납땜접속하는 경우에서도, 땜납이나 플럭스가 상기 보디수용부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가 보디수용부 내에 비집고 들어갔다 해도, 상기 측벽부가 좀처럼 경사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가 경사져서, 상기 접힘부 및 상기 걸림편과 기판과의 납땜접속 부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드케이스는, 앞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후측 또는 전측으로 접힌 한 쌍의 접힘부와, 이 접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각각 연신한 한 쌍의 측벽부와, 이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측벽부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 1의 걸림편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 측벽부 및 연결부에 의해 보디수용부가 구획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저판부를, 상기 측벽부가 상기 측판부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천판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치수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부의 후면부가 상기 정지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의 후면부 또는 연결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 2의 보디의 후면부와 접촉하여, 상기 정지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제 2의 보디를 끼워 유지하는 로크편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연신한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보디수용부의 저판부를 잘라내서 걸림편을 작성할 필요가 없고, 이 저판부의 잘라낸 개소에 구멍이 형성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를 기판 위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편을 기판에 납땜접속하는 경우에서도, 땜납이나 플럭스가 상기 보디수용부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가 보디수용부 내에 비집고 들어갔다 해도, 상기 측벽부가 좀처럼 경사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가 경사져서, 상기 접힘부 및 상기 걸림편과 기판과의 납땜접속 부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드케이스는, 앞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후측 또는 전측으로 접힌 한 쌍의 접힘부와, 이 접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각각 연신한 한 쌍의 측벽부와, 이 측벽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측벽부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 1의 걸림편과, 상기 측벽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 측벽부 및 연결부에 의해 보디수용부가 구획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저판부를, 상기 측벽부가 상기 측판부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천판부를 이루고 있다. 상기 연결부의 길이 치수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이 연결부의 후면부가 상기 정지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의 후면부 또는 베이스부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 2의 보디의 후면부와 접촉하여, 상기 정지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제 2의 보디를 끼워 유지하는 로크편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편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연신한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보디수용부의 저판부를 잘라내서 걸림편을 작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 저판부의 잘라낸 개소에 구멍이 형성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를 기판 위에 설치하고, 상기 걸림편을 기판에 납땜접속하는 경우에서도, 땜납이나 플럭스가 상기 보디수용부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가 보디수용부 내에 비집고 들어갔다 해도, 상기 측벽부가 좀처럼 경사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가 경사져서, 상기 접힘부 및 상기 걸림편과 기판과의 납땜접속 부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걸림편은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걸림편은, 상기 보디수용부에 수용되는 보디의 플러그의 선단부면이 접촉 가능한 접촉면보다도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에 접속된 케이블을 역점(力點)으로서 이 플러그가 상기 보디수용부 내에 비집고 들어간 경우, 플러그의 선단부가 지지점이 되어서 제 1, 제 2의 실드케이스에 부하를 부여하지만, 상기 제 1의 걸림편은 보디의 플러그의 선단부면이 접촉되는 접촉면보다도 전측(즉, 지지점으로부터 역점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편이 접촉면보다도 후측(즉, 지지점으로부터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 1의 걸림편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박리하거나, 본 커넥터가 변형 또는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드케이스는,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하방향으로 연신한 한 쌍의 제 2의 걸림편을 또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의 걸림편을 기판에 납땜접속시킴으로써, 제 1, 제 2의 실드케이스의 기판에의 고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측벽부 및 연결부의 길이 치수를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의 상기 베이스부 비대향영역에는 한 쌍의 유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지부와 상기 연결부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의 보디의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며, 상기 제 1의 보디의 하부면이 상기 유지부에, 이 제 1의 보디의 상부면이 상기 연결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의 보디가 상기 보디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의 보디의 하부면이 상기 유지부에, 이 제 1의 보디의 상부면이 상기 연결부에 접촉되어서 고정되므로, 이 제 1의 보디 및 상기 제 1의 보디에 조합된 제 2의 보디의 위치정밀도가 더욱더 향상된다. 이에 따라서,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도 한층 더 향상된다.
상기 베이스부 또는 연결부는, 오목부가 형성된 제 1의 편부와, 볼록부가 형성된 제 2의 편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제 1, 제 2의 편부는,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클램핑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전후 2열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기판에 전후 2열로 배치된 제 1, 제 2의 전극 위에 납땜접속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를 수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기판에 전후 2열로 배치된 제 1, 제 2의 스루홀상에 납땜접속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제 2의 콘택트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일렬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기판의 일렬로 배치된 제 1, 제 2의 전극상에 납땜접속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를 수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기판에 일렬로 배치된 제 1, 제 2의 스루홀상에 납땜접속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1(a)가 우측 경사 상방향에서 본 도면, 도 1(b)가 우측 경사 하방향에서 본 도면;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2(a)가 정면도, 도 2(b)가 배면도, 도 2(c)가 평면도, 도 2(d)가 저면도;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기판실장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3(a)가 측면도, 도 3(b)가 도 2 중 A-A단면도;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제 1, 제 2의 보디를 조합하고 또한 이 제 1, 제 2의 보디를 실드케이스에 수용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5(a)가 배면 우측 경사 하방향에서 본 도면, 도 5(b)가 배면 우측 경사 상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제 1, 제 2의 보디가 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6(a)가 배면 우측 경사 상방향에서 본 도면, 도 6(b)가 평면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의 실드케이스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7(a)가 정면도, 도 7(b)가 배면도, 도 7(c)가 평면도, 도 7(d)가 저면도, 도 7(e)가 측면도;
도 8은 상기 실드케이스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8(a)가 도 7 중의 B-B단면도, 도 8(c)에 있어서 도 7 중의 C-C단면도;
도 9는 상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의 개략적 평면도;
도 10은 상기 커넥터의 실드케이스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10(a)는 천판부의 길이 치수가 저판부 및 측판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예를 예시한 도면, 도 10(b)는 측판부의 길이 치수가 천판부 및 저판부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은 예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실드케이스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적 정면도로서, 베이스부를 대신해서 앞면에서 보면 대략 ○자 형상의 보디수용부를 설치한 예를 예시한 도면;
도 12는 상기 커넥터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13은 상기 커넥터의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제 1, 제 2의 테이블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13(a)는 제 1, 제 2의 테일부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3(b)는 제 1, 제 2의 테일부가 수하되어서, 기판의 제 1, 제 2의 스루홀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텔레비전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되어서, 해당 전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로 이용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와, 복수의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와, 실드케이스(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의 보디(100a)는, 도 1(b)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의 성형품이다. 이 제 1의 보디(100a)는, 본체부(110a)와, 볼록부(120a)와, 한 쌍의 벽부(130a)와, 돌기부(140a)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0a)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상체이다. 이 본체부(110a)의 중간부분에는, 도 3(b), 도 4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Oa)를 관통하는 복수의 대략 직사각형상의 구멍부분(111a)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11Oa)의 구멍부분(111a)의 하측부분에는, 제 1의 콘택트(200a)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콘택트(200a)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부분(111a)과 위상을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후면부의 구멍부분(111a)의 양측부분에는, 원형의 끼워맞춤오목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a)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벽부(130a)가 후방을 향해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10a)의 전면부(113a)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대상인 플러그(P)가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이 본체부(110a)의 전면부(113a)의 구멍부분(111a)의 하측부분에는 볼록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0a)는 커넥터의 전방으로 연신한 판상체이다. 볼록부(120a)의 하부면(두께방향의 제 1의 면)에는, 도 4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의 긴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20a)의 상부면(두께방향의 제 2의 면)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2의 긴홈(122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의 긴홈(121a, 122a)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보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긴홈(121a)의 피치간격은 제 1의 콘택트(200a)의 피치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제 1의 긴홈(121a)에는, 제 1의 콘택트(200a)의 후술하는 제 1의 접촉부(220a)가 삽입되어 있다. 제 2의 긴홈(122a)의 피치간격은 구멍부분(111a)의 피치간격에 대응하고 있다. 제 2의 긴홈(122a)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부분(111a)에 연통되어 있다. 본체부(110a)의 하부면에는, 도 2(d), 도 3(b), 도 4 및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돌기부(140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140a)는, 제 1의 콘택트(200a)의 후술하는 제 1의 테일부(230a)의 전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의 콘택트(200a)는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이다. 제 1의 콘택트(200a)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으로 대략 L자 형상의 제 1의 매설부(210a)와, 제 1의 매설부(210a)의 선단부(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평판형상의 제 1의 접촉부(220a)와, 제 1의 매설부(210a)의 후단부(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평판형상의 제 1의 테일부(230a)를 가지고 있다. 제 1의 매설부(210a)의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본체부(110a) 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제 1의 매설부(210a)의 후단부는 본체부(110a)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의 접촉부(220a)는 본체부(110a)로부터 돌출되어서, 볼록부(120a)의 제 1의 긴홈(121a)에 삽입되어 있다. 제 1의 테일부(230a)는, 제 1의 매설부(210a)의 후단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제 1의 테일부(230a)가, 기판(10)의 도 9에 도시한 제 1의 전극(11a)에 납땜접속되는 부위가 되고 있다.
제 2의 보디(100b)는, 도 1(b)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의 성형품이다. 이 제 2의 보디(100b)는, 본체부(110b)와,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120b)와, 한 쌍의 산부분(130b)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10b)는, 도 2(b),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치수가 제 1의 보디(100a)의 한 쌍의 벽부(130a)의 사이의 간격보다도 약간 작은 단면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의 부위이다. 즉, 본체부(11Ob)는 벽부(130a)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110b)의 전면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볼록부(120b)는 원기둥형상의 돌기로서, 제 1의 보디(100a)의 끼워맞춤오목부(112a)에 각각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다.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끼워맞춤오목부(112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 1, 제 2의 보디(1OOa, 1OOb)가 본 커넥터의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본체부(110b)에는, 제 2의 콘택트(200b)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 2의 콘택트(200b)는, 후술하는 제 1의 접촉부(220b)가 제 1의 보디(100a)의 구멍부분(111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커넥터의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상태에서, 제 2의 콘택트(200b)의 제 2의 접촉부(220a)가 제 1의 보디(100a)의 구멍부분(111a) 및 제 2의 긴홈(122a)에 각각 삽입되고, 이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의 제 1, 제 2의 접촉부(220a, 220b)가 다른 높이 위치에서 2열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110b)의 후면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한 쌍의 산부분(13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산부분(130b)의 선단부는,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커넥터의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상태에서, 벽부(130a)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제 2의 콘택트(200b)는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이다. 제 2의 콘택트(200b)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의 매설부(210b)와, 제 2의 매설부(210b)의 선단부(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제 2의 접촉부(220b)와, 제 2의 매설부(210b)의 후단부(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제 2의 테일부(230b)를 가지고 있다. 제 2의 매설부(210b)는, 비스듬히 경사진 중간부분과, 이 중간부분에 대해서 절곡된 선단부와, 상기 중간부분에 대해서 절곡되어서, 하방향으로 수하된 후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 제 2의 매설부(210b)의 선단부 및 중간부분이 본체부(110b) 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제 2의 매설부(210b)의 후단부는 본체부(110b)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2의 접촉부(220b)는 본체부(110b)의 전면부로부터 돌출된 평판으로서, 제 1의 접촉부(220a)보다도 길다. 제 2의 접촉부(22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의 보디(100a)의 구멍부분(111a) 및 제 2의 긴홈(122a)에 삽입되어 있다. 제 2의 테일부(230b)는, 제 2의 매설부(210b)의 후단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평판으로서, 기판(10)의 도 9에 도시한 제 2의 전극(11b)에 납땜접속되는 부위이다. 이 제 2의 테일부(230b)의 하부면의 높이위치는,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조합된 상태에서, 제 1의 테일부(230a)의 하부면의 높이위치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조합된 상태에서,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가 동일 높이에서 전후 2열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실드케이스(3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된 것이다. 이 실드케이스(300)는, 앞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베이스부(310)와, 한 쌍의 접힘부(320)와, 한 쌍의 측벽부(330)와, 한 쌍의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과, 연결판(350)(연결부)과, 한 쌍의 유지부(360)와, 한 쌍의 로크편(370)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310)는, 전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판체인 베이스 본체부(311)와, 한 쌍의 확장부(312)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본체부(311)는, 폭방향으로 양분되어 있다. 양분된 한쪽이 제 1의 편부(311a)이며, 다른 쪽이 제 2의 편부(311b)이다. 제 1의 편부(311a)에는, 제 1의 오목부(311a1)와, 이 양측의 한 쌍의 제 1의 볼록부(311a2)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편부(311b)에는, 제 2의 볼록부(311b1)와, 이 양측의 한 쌍의 제 2의 오목부(311b2)가 형성되어 있다. 제 2의 볼록부(311b1)가 제 1의 오목부(311a1)에 끼워 맞춰지고, 제 1의 볼록부(311a2)가 제 2의 오목부(311b2)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 제 1, 제 2의 편부(311a, 311b)는 클램핑되어서, 연결되어 있다. 확장부(31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부(311)의 양측 단부 위에 연장된 하향으로 대략 L자 형상의 판체이다. 이 확장부(312)의 전면부에 접힘부(320)가 연속되어 있다.
접힘부(320)는 후방을 향해서 접힌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판체이다. 이 접힘부(320)의 후단부에 측벽부(330)가 연속되어 있다. 측벽부(330)는 확장부(312)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신한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로서, 베이스부(310)보다도 길다. 이 측벽부(330)의 하단부는, 도 7(a) 및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부(311)에 대향하는 부분(이하, 대향부(331))과, 베이스 본체부(311)에 대향하지 않은 부분(이하, 비대향부)이 절개부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대향부(331)는 상기 베이스 본체부(311)를 향해서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측벽부(330)의 상단부는 연결판(3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판(350)은 측벽부(330)와 대략 동일한 길이 치수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이다. 즉, 연결판(350)의 길이 치수는 베이스부(310)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베이스부(310), 측벽부(330) 및 연결판(350)에 의해, 보디수용공간(α)(보디수용부)이 구획되어 있다. 이 보디수용공간(α)에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상태에서, 실드케이스(30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310)가 보디수용공간(α)을 획정(劃定)하는 저판부를, 측벽부(330)가 보디수용공간(α)을 획정하는 측판부를, 연결부(350)가 보디수용공간(α)을 획정하는 천판부를 이루고 있다.
베이스부(310)의 제 1, 제 2의 편부(311a, 311b)의 후면부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수용공간(α)에 수용된 제 1의 보디(100a)의 돌기부(140a)의 전면부가 접촉되어서, 이 제 1의 보디(100a)를 정지하는 정지면(313)으로 되어 있다. 측벽부(330)의 후면부에는 로크편(37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편(370)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보디수용공간(α)에 수용된 제 2의 보디(100b)의 한 쌍의 산부분(130b)에 접촉되어 있다. 즉, 로크편(370)과 정지면(313)과의 사이에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끼워 유지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서는, 로크편(370)은 절곡하기 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수용공간(α)에 있어서, 베이스부(310), 연결판(350) 및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전면부(113a)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이, 플러그(P)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구멍으로 되어 있다. 연결판(350)에는, 도 1(a), 도 2(c)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연결판(350)의 일부를 잘라낸 한 쌍의 로크암(3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암(351)의 선단부는 하방향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부의 정상부가 보디수용공간(α)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디수용공간(α)에 플러그(P)가 삽입되면, 로크암(351)의 상기 정상부가 플러그(P)에 탄성 접촉되어서, 상기 플러그(P)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310)의 대향부(331)의 하단부에는, 제 1의 걸림편(340a)이 하방향(측벽부(33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310)의 상기 비대향부의 하단부에는, 유지부(360) 및 제 2의 걸림편(340b)이 하방향을 향해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은, 기판(10)의 도 9에 도시한 제 1, 제 2의 걸림구멍(12a, 12b)에 삽입되어서, 납땜되는 부위이다. 제 1, 제 2의 걸림구멍(12a, 12b)은 스루홀로서, 기판(10) 의 그라운드층에 접속되어 있다. 제 1의 걸림편(340a)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수용공간(α)에 수용된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전면부(113a)보다도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P)가 보디수용공간(α)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플러그(P)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역점으로서 상기 플러그(P)가 비집고 들어간 경우(플러그(P)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플러그(P)의 선단부가 지지점이 되어서 실드케이스(300)에 부하를 부여하지만, 제 1의 걸림편(340a)이 플러그의 선단부가 접촉되는 본체부(110a)의 전면부(113a)(접촉면)보다도 전측(즉, 지지점으로부터 역점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편이 상기 접촉면보다도 후측(즉, 지지점으로부터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제 1의 걸림편(340a)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커넥터가 상기 기판(10)으로부터 박리하거나, 본 커넥터가 변형 또는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유지부(360)는,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의 사이에 배치된 L자 형상의 판체이다. 유지부(360)는, 도 1(d), 도 2(b) 및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수용공간(α)에 수용된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돌기부(140a)의 외측부분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부(360)와 연결판(350)과의 사이의 거리는 제 1의 보디(1OOa)의 본체부(11Oa)의 높이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이 때문에, 본체부(110a)가 유지부(360)에 유지된 상태에서, 이 본체부(110a)의 상부면이 연결판(350)에 접촉된다. 또, 측벽부(330)의 사이의 거리는, 제 1의 보디(100a)의 벽부(130a)의 외부면의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 1의 보디(100a)가 보디수용공간(α)에 수용된 상태에서, 벽부(130a)의 외부면이 측벽부(330)의 내부면에 접촉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의 보디(100b)에 인서트 성형된 제 2의 콘택트(200b)의 제 2의 접촉부(220b)를 제 1의 보디(100a)의 구멍부분(111a)에 각각 위치 맞추면서 삽입한다. 또한, 제 1의 보디(100a)에도 제 1의 콘택트(200a)가 미리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그 후, 제 1의 보디(100a)와 제 2의 보디(100b)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제 2의 보디(100b)의 끼워맞춤볼록부(120b)를 제 1의 보디(100a)의 끼워맞춤오목부(112a)에 각각 끼워 맞춘다. 이때, 제 2의 접촉부(220b)가 제 1의 보디(100a)의 구멍부분(111a)을 전진하여,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제 1의 긴홈(121a)에 유입된다. 이에 의해, 제 1, 제 2의 접촉부(220a, 220b)가 다른 높이 위치에서 상하 2열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와 함께,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가 동일 높이에서 전후 2열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를 실드케이스(300)의 보디수용공간(α)에 후방에서 삽입하고, 제 1의 보디(100a)의 돌기부(140a)의 전면부를 실드케이스(300)의 베이스부(310)의 정지면(313)에 접촉시킨다. 이와 함께,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돌기부(140a)의 양외측부분을 유지부(360) 위에 재치(載置)시킨다. 이때, 본체부(110a)의 상부면이 연결판(350)에 접촉되고, 벽부(130a)가 측벽부(330)의 내부면에 접촉된다.
그 후, 로크편(370)을 각각 절곡해서, 제 2의 보디(100b)의 산부분(130b)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베이스부(310)의 정지면(313)과 로크편(370)과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고, 제 1, 제 2의 접촉부(220a, 220b) 및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가 상술한 배치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기판(10)에 실장된다. 우선, 실드케이스(300)의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을, 기판(10)의 제 1, 제 2의 걸림구멍(12a, 12b)에 삽입하고, 상기 실드케이스(300)의 베이스부(310)를 기판(10)의 도 9에 나타낸 설치영역(β)에 설치한다. 그러면,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의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가 기판(10)의 제 1, 제 2의 전극(11a, 11b) 위에 각각 재치된다. 그 후,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을 기판(10)의 제 1, 제 2의 걸림구멍(12a, 12b)에,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를 기판(10)의 제 1, 제 2의 전극(11a, 11b)에 납땜접속한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가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에 각각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각각 매설되어 있으므로, 본 커넥터가 소형화된 경우에서도,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에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가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에 각각 인서트 성형되어 있으므로, 콘택트를 보디에 압입하는 경우와 같이,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가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의 변형에 의해 생기는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의 사이의 거리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베이스부(310)의 정지면(313)과 로크편(370)과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되는 동시에,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돌기부(140a)의 양외측부분이 유지부(360) 위에 재치되어서, 본체부(110a)의 상부면이 연결판(350)에 접촉되고, 측벽(130a)이 측벽부(330)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의 실드케이스(300) 내에서의 고정이 안정되고, 또한 제 1, 제 2의 콘택트(200a, 200b)의 위치정밀도가 안정된다. 특히, 베이스부(310)의 정지면(313)에 제 1의 보디(100a)의 제 1의 테일부(230a)의 근방에 위치하는 돌기부(140a)가 접촉되어서 위치 고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는 실장 피치 및 코프라나리티가 고정밀도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리셉터클 커넥터는 소형화 및 배저(背低)화에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대상인 플러그(P)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 소형의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상기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함으로써, 상기 기판(10)에 실장되는 다른 인터페이스용 커넥터와의 사이의 거리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의 본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 유닛부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드케이스(300)의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이 베이스부(310)의 확장부(312)를 따라서 연신한 측벽부(33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베이스부(310)에 걸림편을 잘라내서 작성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베이스부(310)에는, 제 1, 제 2의 편부(311a, 311b)를 클램핑, 연결된 부분의 틈 이외에 구멍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틈은 매우 작다. 따라서, 베이스부(310)를 기판(10)의 설치영역(β)에 설치하고,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을 기판(10)에 납땜접속할 때에, 땜납이나 플럭스가 실드케이스(300)의 보디수용공간(α)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330)가 연결판(3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P)가 보디수용공간(α) 내에 비집고 들어갔다 해도(플러그(P)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켰다 해도), 측벽부(330)의 경사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측벽부(330)가 경사져서, 접힘부(320) 및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과 기판(10)의 납땜접속 부분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의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서술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드케이스(300)는, 베이스부(310), 접힘부(320), 측벽부(330),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 연결판(350), 유지부(360) 및 로크편(370)을 가지는 구성이라고 서술하였지만, 제 1, 제 2의 보디를 수용 가능한 통형상의 보디수용부를 적어도 가지며, 이 보디수용부의 천판부, 저판부 및 측판부의 적어도 1개의 부위의 길이 치수가 다른 부위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1개의 부위의 후면부가 제 1의 보디가 접촉되는 정지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다른 부위의 적어도 1개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 2의 보디의 후면부와 접촉하여, 상기 정지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제 2의 보디를 끼워 유지하는 로크편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수용부(310')의 천판부(311')의 길이 치수를 저판부(312') 및 측판부(313')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하고, 천판부(311')의 후면부를 제 1의 보디(100a)가 접촉되는 접촉면(311a')으로 하고, 이 접촉면(311a')과 측판부(313')에 설치된 로크편(313a')과의 사이에서 제 1, 제 2의 보디(100a, 10Ob)를 끼워 유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수용부(310'')의 측판부(313'')의 길이 치수를 천판부(311'') 및 저판부(312'')의 길이 치수보다 작게 하고, 측판부(313'')의 후면부를 제 1의 보디(100a)가 접촉되는 접촉면(313a'')으로 하고, 이 접촉면(313a'')과 천판부(311'')에 형성된 로크편(311a'')과의 사이에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를 끼워 유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로크편이, 보디수용부의 저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디수용부의 저판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를 측판부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연신하고, 그 후 단부면에 상기 로크편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로크편은 보디수용부의 저판부, 천판부 및 측판부의 2개소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310)를 대신해서 앞면에서 보면 대략 ○자 형상(각기둥형상)의 보디수용부(31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디수용부(310''')의 양측 단부에 접힘부(3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 실드케이스(300)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디수용부에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힘부(320) 및 측벽부(330)를 생략할 수 있다.
또,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은, 본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이며, 기판(10)에 실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경우에는, 제 1, 제 2의 콘택트의 제 1, 제 2의 테일부에 케이블의 리드선을 접속하면 된다. 또, 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에는, 적어도 제 1의 걸림편(340a)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물론, 실드케이스(300)는 3쌍 이상의 걸림편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 1의 걸림편(340a)은, 제 1의 보디(100a)의 전면부(113a) 보다도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 1, 제 2의 걸림편(340a, 340b)은, 측벽부(33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측벽부(330)의 하단부로부터 경사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유지부(360)는 생략 가능하다. 유지부(360)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310'''') 위에 제 1의 보디(100a)의 일부를 재치하도록 하면 된다. 또, 제 1의 보디(1OOa)를 유지부 및 베이스부의 쌍방에 재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연결판(350)은 측벽부(33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판체라고 서술하였지만, 측벽부(330)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연결판(350)은 측벽부(330)와 별체이며, 측벽부(330)의 사이에 현가(懸架)됨으로써 측벽부(33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연결판(350) 및 측벽부(330)의 길이 치수는 베이스부(310)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실드케이스(300'''')와 같이, 연결판(350'''')의 길이 치수를 베이스부(310)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연결판(350'''')의 후면부를 정지면(352'''')으로 하고, 제 1의 보디(100a)의 전면부(113a)를 정지면(352'')에 접촉시키도록 하면 된다. 즉, 정지면(352'')과 로크편(370'')과의 사이에서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를 끼워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돌기부(140a)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로크편은, 베이스부(310)의 저판부 또는 연결판(350)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에는, 베이스부의 저판부의 폭방향의 양측 단부를 측벽부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연신하고, 그 후 단부면에 상기 로크편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로크편은, 제 2의 보디의 산부분에 접촉된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크편은, 정지면과의 사이에서 제 1, 제 2의 보디를 끼워 유지할 수 있는 한, 제 2의 보디의 어느 개소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베이스부(310)는, 베이스 본체부(311)와, 확장부(312)를 가지는 구성이라고 서술하였지만, 앞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인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의 편부(311a)에는 제 1의 오목부(311a1) 및 한 쌍의 제 1의 볼록부(311a2)가, 제 2의 편부(311b)에는 제 2의 볼록부(311b1) 및 제 2의 오목부(311b2)가 형성되어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의 편부(311a)에 제 1의 오목부(311a1)가, 제 2의 편부(311b)에 제 2의 볼록부(311b1)가 적어도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베이스부(310) 대신에, 연결판(350)을 폭방향으로 양분해서 제 1, 제 2의 편부로 하고, 제 2의 편부의 볼록부를 제 1의 편부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커넥터는, 3 이상의 보디를 전후방향으로 조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끼워맞춤볼록부(120b)를 제 1의 보디(100a)에, 끼워맞춤오목부(112a)를 제 2의 보디(100a)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끼워맞춤볼록부(120b) 및 끼워맞춤오목부(112a)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110a)의 하부면에는 돌기부(140a)가 형성되어 있다고 서술하였지만, 정지면(313)에 접촉 가능하며 제 1의 테일부의 근방에 위치하는 돌기부이면 된다.
또, 본 커넥터는, 3 종류 이상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이 콘택트가 3열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는,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조합된 상태에서, 전후 2열로 배치된다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테일부(230a')를 길게 해서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의 후단부를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또,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를 수하해서 기판(10')의 제 1, 제 2의 스루홀(11a', 11b')에 DIP 땜납에 의해 납땜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를 일렬로 배치하고, 일렬로 배치된 제 1, 제 2의 스루홀(11a', 11b')에 납땜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제 1, 제 2의 접촉부의 일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의 접촉부(220a)의 선단부를 상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고, 제 2의 접촉부(220b)의 선단부를 하방향으로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개수나 치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은, HDMI로서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라고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에도 적응 가능하다. 또, 전자기기로서는 텔레비전수상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기판 11a: 제 1의 전극
11b: 제 2의 전극 12a: 제 1의 걸림구멍
12b: 제 2의 걸림구멍 1OOa: 제 1의 보디
11Oa: 본체부 111a: 구멍부분
112a: 끼워맞춤오목부 113a: 전면부(접촉면)
120a: 볼록부 121a: 제 1의 긴홈
122a: 제 2의 긴홈 130a: 벽부
140a: 돌기부 100b: 제 2의 보디
11Ob: 본체부 120b: 끼워맞춤볼록부
130b: 산부분 200a: 제 1의 콘택트
210a: 제 1의 매설부 220a: 제 1의 접촉부
230a: 제 1의 테일부 200b: 제 2의 콘택트
210b: 제 2의 매설부 220b: 제 2의 접촉부
230b: 제 2의 테일부 300: 실드케이스
310: 베이스부 311a: 제 1의 편부
311a1: 제 1의 오목부 311a2: 제 1의 볼록부
311b: 제 2의 편부 311b1: 제 2의 볼록부
311b2: 제 2의 오목부 312: 확장부(베이스부의 양측 단부)
313: 정지면 320: 접힘부
330: 측벽부 340a: 제 1의 걸림편
340b: 제 2의 걸림편 350: 연결판(연결부)
360: 유지부 370: 로크편
α: 보디수용공간

Claims (16)

  1. 보디수용부를 가지는 실드케이스(300)와,
    이 실드케이스(300)의 보디수용부(α)에 수용되어 있으며 또한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제 1, 제 2의 보디(100a),(100b)와,
    상기 제 1의 보디(100a)에 상기 제 1의 보디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제 1의 콘택트(200a)와,
    상기 제 2의 보디(100b)에 상기 제 2의 보디(100b)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 1의 콘택트(200a)와 다른 열로 배열된 복수의 제 2의 콘택트(200b)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보디수용부(α)는, 천판부(350)와, 저판부(310)와, 한 쌍의 측판부(33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저판부(310)의 길이 치수가 상기 천판부(350) 및 측판부(330)의 길이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저판부(310)의 후면부가 정지면(313)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부(350) 및 측판부(330)의 적어도 1개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 2보디(100b)의 후면부와 접촉하는 로크편(37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의 보디(100a)는,
    단면에서 보면 직사각형상의 본체부(110a)와,
    상기 본체부(110a)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면부가 상기 정지면(313)에 접촉되는 돌기부(140a)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의 콘택트(200b)는,
    상기 제 2의 보디(100b)에 인서트 성형된 제 2의 매설부(210b)와,
    이 제 2의 매설부(210b)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제 2의 접촉부(220b)와,
    상기 제 2의 매설부(210)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제 2의 테일부(230b)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의 콘택트는,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에 인서트 성형된 제 1의 매설부(210a)와,
    이 제 1의 매설부(210a)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는 제 1의 접촉부(220a)와,
    상기 제 1의 매설부(210a)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돌기부(140a)의 후측에 배치된 제 1의 테일부(230a)를 가지고 있고,
    제 1, 제 2의 보디는 정지면(313)과 로크편(370)과의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끼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전후방향의 후면부에는, 끼워맞춤볼록부(120b) 또는 끼워맞춤오목부(1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의 보디(100b)의 전후방향의 전면부에는, 끼워맞춤오목부(112a) 또는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의 보디(100a), (100b)가 전후방향으로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상기 끼워맞춤오목부(112a)에 끼워 맞추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310)와 상기 천판부(350)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높이 치수와 동일하며,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하부면이 상기 저판부(310)에,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상부면이 상기 천판부(350)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보디(100a)는 상기 본체부(110a)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된 볼록부(120a)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볼록부(120a)의 두께방향의 제 1, 제 2의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신한 제 1, 제 2의 긴홈(121a), (1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110a)에는, 상기 제 2의 긴홈(122a)에 연통하는 구멍부분(1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1의 콘택트(200a)의 제 1의 접촉부(220a)는 상기 볼록부(120a)의 제 1의 긴홈(121a)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2의 콘택트(200b)의 제 2의 접촉부(220b)는 상기 본체부(110a)의 구멍부분 및 상기 볼록부(120a)의 제 2의 긴홈(122a)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케이스는 폭방향으로 양측단부(312)를 가지고, 상기 양측단부(312)가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가지는 앞면에서 보면 U자 형상의 저판부(310)와,
    이 저판부(310)의 양측 단부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후측 또는 전측으로 접힌 한 쌍의 접힘부(320)와,
    이 접힘부(320)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저판부(310)의 양측 단부를 따라서 각각 연신한 상기 한 쌍의 측판부(330)와,
    이 측판부(330)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방향을 향해서 연신한 한 쌍의 제 1의 걸림편(340a)과,
    상기 측판부(330)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천판부(350)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걸림편(340a)은, 상기 측판부(3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판부(350)는, 상기 측판부(330)의 상단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보디(100a)는, 상기 보디수용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선단부면이 접촉 가능한 접촉면(113a)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의 걸림편(340a)은 상기 제 1의 보디 접촉면(113a)보다도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3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방향으로 연신한 한 쌍의 제 2의 걸림편(340b)을 또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330)는 그 하단부에 상기 저판부(310)와 대향하고 있지 않은 비대향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실드케이스(300)는 상기 비대향영역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유지부(360)를 또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부(360)와 상기 천판부(350)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높이 치수와 동일하며,
    상기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하부면의 상기 돌기부(140a)의 양측부분이 상기 유지부(360)에, 이 제 1의 보디(100a)의 본체부(110a)의 상부면이 상기 천판부(350)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310) 또는 천판부(350)는, 오목부(311a1)가 형성된 제 1의 편부(311a)와, 볼록부(311b1)가 형성된 제 2의 편부(311b)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제 1, 제 2의 편부 (311a), (311b)는, 상기 볼록부(311b1)가 상기 오목부(311a1)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클램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는,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콘택트가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제 2의 테일부 (230a), (230b)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의 테일부(230a), (230b)는 하방향으로 수하(垂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삭제
  16. 삭제
KR1020100061303A 2009-08-07 2010-06-28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646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85113A JP5285533B2 (ja) 2009-08-07 2009-08-07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JP-P-2009-185113 200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367A KR20110015367A (ko) 2011-02-15
KR101646793B1 true KR101646793B1 (ko) 2016-08-08

Family

ID=4285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303A KR101646793B1 (ko) 2009-08-07 2010-06-28 커넥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5532B2 (ko)
EP (1) EP2282375B1 (ko)
JP (1) JP5285533B2 (ko)
KR (1) KR101646793B1 (ko)
CN (1) CN101997229B (ko)
TW (1) TWI5300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2875B (zh) * 2008-02-26 2014-04-30 莫列斯公司 阻抗受控的电连接器
CN201374433Y (zh) * 2009-01-22 2009-12-3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JP4704504B1 (ja) * 2010-03-19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91782U (en) * 2010-04-16 2010-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12054215A (ja) * 2010-09-03 2012-03-15 Yazaki Corp コネクタ
JP5587714B2 (ja) * 2010-09-22 2014-09-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EP2568545A1 (en) * 2010-11-12 2013-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and interface device
JP5930272B2 (ja) * 2011-10-11 2016-06-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8951050B2 (en) 2011-02-23 2015-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capable of reducing skew between a differential signal pair
JP4976568B1 (ja) * 2011-04-18 2012-07-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1289B2 (ja) * 2012-01-26 2014-01-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579043B (zh) 2012-02-17 2017-04-21 先進精鍊科技有限公司 球形觸媒支撐物及其製備方法
TWI611836B (zh) 2012-02-17 2018-01-21 Advanced Refining Technologies Llc. 觸媒支撐物及其製備方法
US8920197B2 (en) 2012-03-14 2014-12-30 Apple Inc. Connector receptacle with ground contact having split rear extensions
JP5878071B2 (ja) 2012-04-13 2016-03-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9011176B2 (en) * 2012-06-09 2015-04-21 Apple Inc. ESD path for connector receptacle
CN202772376U (zh) * 2012-08-29 2013-03-0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US9431770B2 (en) * 2013-03-13 2016-08-30 Panduit Corp. Shielded communication connectors and systems comprising shielded communication connectors
US20150050821A1 (en) * 2013-08-14 2015-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JP6210540B2 (ja) 2013-09-13 2017-10-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9160098B1 (en) * 2014-06-20 2015-10-1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9437988B2 (en) 2014-10-17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9496651B2 (en) * 2015-03-03 2016-11-1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DMI connector
WO2017079626A1 (en) * 2015-11-06 2017-05-11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heat dissipation holes
CN206076581U (zh) * 2016-09-14 2017-04-0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JP6307573B1 (ja) * 2016-10-19 2018-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固定構造
US9847614B1 (en) * 2016-12-14 2017-12-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ceptacle connector
US10116090B2 (en) * 2017-03-17 2018-10-30 Hosiden Corporation Female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4350A (ja) 2002-06-07 2004-01-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4192838A (ja) 2002-12-09 2004-07-08 Hirose Electric Co Ltd 角筒ケース付電気コネクタ
JP2004537836A (ja) 2001-08-01 2004-12-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サート成形端子モジュール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み立て体
US20090042421A1 (en) 2007-08-10 2009-02-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8544A (en) * 1996-06-27 1998-04-14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TW553545U (en) 2001-09-25 2003-09-11 Molex Inc High speed transmission connector
US6619986B1 (en) * 2002-04-19 2003-09-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shield
US6986681B2 (en) 2004-02-20 2006-01-17 Advanced Connectek, Inc. HDMI connector
CN2932689Y (zh) 2006-04-10 2007-08-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13076Y (zh) * 2007-08-10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TWM330608U (en) * 2007-11-16 2008-04-11 Wonte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TWM357088U (en) * 2008-12-24 2009-05-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connector assembly
US7748999B1 (en) * 2009-08-26 2010-07-0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37836A (ja) 2001-08-01 2004-12-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サート成形端子モジュール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み立て体
JP2004014350A (ja) 2002-06-07 2004-01-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4192838A (ja) 2002-12-09 2004-07-08 Hirose Electric Co Ltd 角筒ケース付電気コネクタ
US20090042421A1 (en) 2007-08-10 2009-02-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7229B (zh) 2014-07-16
JP2011040224A (ja) 2011-02-24
US20110034079A1 (en) 2011-02-10
EP2282375A1 (en) 2011-02-09
TWI530026B (zh) 2016-04-11
TW201121149A (en) 2011-06-16
JP5285533B2 (ja) 2013-09-11
EP2282375B1 (en) 2015-10-07
CN101997229A (zh) 2011-03-30
US8025532B2 (en) 2011-09-27
KR20110015367A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79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695409B1 (ko) 실드케이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8454397B2 (en) Anti-wicking terminal and connector
KR10178886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JP2570939Y2 (ja)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金具
US20120077365A1 (en) Wire-to-board connector and wire connector
KR101958063B1 (ko) 전기 커넥터
US704478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JP7419146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KR101760520B1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7985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JP5525332B2 (ja) シールドケース、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H0145714B2 (ko)
JP7206170B2 (ja) ソケット及び電子機器
KR101877990B1 (ko) 전기커넥터
CN219659023U (zh) 线缆连接器
CN215184627U (zh) 电连接器
JP2023069607A (ja) コネクタ
CN112086778A (zh) 连接器、对象连接器以及连接装置
JP200631369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