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863B1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863B1
KR101788863B1 KR1020100123184A KR20100123184A KR101788863B1 KR 101788863 B1 KR101788863 B1 KR 101788863B1 KR 1020100123184 A KR1020100123184 A KR 1020100123184A KR 20100123184 A KR20100123184 A KR 20100123184A KR 101788863 B1 KR101788863 B1 KR 10178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portions
contact
shield case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36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타카히사 오츠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5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br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01R13/6584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formed by conductive elastomeric members, e.g. flat gaskets or O-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9Shield structure with plural ports for distinct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01R13/504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different pieces being assembled by press-f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2이상의 상대방 커넥터가 접속 가능하고 또한 실드케이스내에서 제1, 제2 보디 및 콘택트를 정밀도 좋게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는, 슬롯(α, β)을 가지는 케이스(300)와, 케이스(300) 내에서 전후로 조합된 보디(100a, 100b)와, 보디(100a)에 간격을 두고 매설된 콘택트(200a, 200b)와, 보디(100b)에 콘택트(200a, 200b)와 다른 높이위치에서 간격을 두고 매설된 콘택트(200c, 200d)를 구비한다. 케이스(300)는, 내부공간을 슬롯(α, β)으로 구분하는 격벽부(311)와, 케이스(300)의 후단부에 형성된 로크편(340)을 가진다. 격벽부(311)가 제1 보디(100a) 전면에 접촉되고, 로크편(340)이 제2 보디(100b) 후면에 접촉되어서 격벽부(311)와의 사이에 보디(100a, 100b)를 끼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기기{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로서 이용되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1개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1개의 플러그 커넥터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2종류의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2개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필요하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가 각각 실장되는 기판상의 실장공간을 크게 차지할 필요가 있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를 기판에 각각 실장하면, 조립공정수가 증대하여, 고비용이 된다. 또, 각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위치에 불균일이 생기기 때문에, 양리셉터클 커넥터간의 치수에도 불균일이 생긴다.
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콘택트가 보디에 압입 또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상하 2열로 조립되어 있는 것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압입은, 소형의 커넥터에 있어서 콘택트의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나쁘고,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도 나빠진다. 한편, 인서트성형은, 소형의 커넥터에서도, 콘택트의 조립작업의 작업성 및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좋아서, 저비용이다. 그런데, 커넥터가 더욱더 소형화되면, 인서트성형에 의해 상하의 콘택트가 매설되는 절연수지(보디)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없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는, 보디를 제1, 제2 보디로 양분해서, 제1 보디에 제1 콘택트를, 제2 보디에 제2 콘택트를 인서트성형에 의해 매설한 후, 상기 제1, 제2 보디를 조합함으로써, 제1, 제2 콘택트를 상하 2열로 배열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와 같이 2개의 제1, 제2 보디에 제1, 제2 콘택트를 인서트성형함으로써, 제1, 제2 보디에 제1, 제2 콘택트를 유지하기 위한 두께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W02003-028169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4-537836호 공보
그러나, 상기 커넥터는, 제1, 제2 보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 제2 보디를 조합한 상태에서 실드케이스 내에 위치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고,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1, 제2 보디가 위치 어긋남으로써 제1, 제2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악화한다고 하는 다른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2이상의 상대방 커넥터가 접속 가능하고, 또한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1, 제2 보디 및 이것에 매설되는 콘택트를 정밀도 좋게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 제2 슬롯을 가지는 통형상의 실드케이스와, 이 실드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된 제1, 제2 보디와, 상기 제1 보디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1 콘택트와, 상기 제1 보디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2 콘택트와, 상기 제2 보디에 상기 제1 콘택트와 다른 높이위치에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3 콘택트와, 상기 제2 보디에 상기 제2 콘택트와 다른 높이위치에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4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드케이스는, 그 내부공간을 상기 제1, 제2 슬롯으로서 구분하는 격벽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후단부에 형성된 로크편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격벽부가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로크편이 상기 제2 보디의 후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격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제2 보디를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실드케이스의 격벽부에 의해, 상기 실드케이스의 내부공간이 제1, 제2 슬롯으로서 구분되어 있다. 이 제1, 제2 슬롯에 2개의 상대방 커넥터가 접속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커넥터는, 2개의 커넥터가 일체화된 것이므로, 2개의 커넥터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상의 실장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커넥터는, 2개의 커넥터와 같이 실장위치에 불균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콘택트가 제1 보디에, 제3, 제4 콘택트가 제2 보디에 매설되고, 상기 제1, 제2 보디가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됨으로써, 제1 콘택트와 제3 콘택트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배치되고, 제2 콘택트와 제4 콘택트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배치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커넥터가 소형화되었다 해도, 제1 보디에 제1, 제2 콘택트를, 제2 보디에 제3, 제4 콘택트를 매설 유지시키기 위한 충분한 두께를 갖게 할 수 있어서, 제1, 제2 콘택트를 제1 보디에, 제3, 제4 콘택트를 제2 보디에 정밀도 좋게 배열할 수 있다. 또, 실드케이스의 격벽부와 로크편과의 사이에서 제1, 제2 보디가 끼워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보디를 실드케이스 내에서 간단히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케이스 내에서 제1, 제2 보디가 위치 어긋남으로써 제1, 제2, 제3, 제4 콘택트의 위치정밀도가 악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합된 제1, 제2 보디 중, 제1 보디의 전면을 실드케이스의 격벽부에 접촉시켜서, 제2 보디의 후면에 상기 로크편을 접촉시키는 것뿐이므로, 제1, 제2 보디의 실드케이스로의 조립이 매우 간단해진다.
상기 제1 보디의 후면에 끼워맞춤볼록부 또는 끼워맞춤오목부를, 상기 제2 보디의 전면에 끼워맞춤오목부 또는 끼워맞춤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제2 보디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끼워맞춤볼록부가 상기 끼워맞춤오목부에 끼워 맞춰지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워맞춤볼록부를 상기 끼워맞춤오목부에 끼워 맞추기만 해도, 제1, 제2 보디가 조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고, 또한 제1 콘택트와 제3 콘택트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제2 콘택트와 제4 콘택트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각각 위치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드케이스는, 천판부와, 저판부와, 한 쌍의 측판부를 또한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저판부는, 상기 천판부보다도 상기 삽입방향의 길이치수가 짧아져 있으며,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가 상기 천판부를 향해서 절곡되어서, 상기 격벽부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를 상기 천판부를 향해서 절곡하기만 해도, 간단히 격벽부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의 외부면에는 위치결정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의 외부면에는, 상기 중앙부가 절곡됨으로써 위치결정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는,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1 보디가 실드케이스에 위치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보디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제2 보디를 격벽부와 로크편에 의해 끼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제2 보디의 실드케이스 내에서의 위치정밀도 및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가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보디가 상기 실드케이스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가 상기 제1 보디의 위치결정용 볼록부를 안내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상기 제1 보디의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안내됨으로써, 제1 보디를 실드케이스 내에 삽입하여, 간단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보디의 실드케이스 내에서의 위치정밀도 및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저판부의 후면이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격벽부에 부가해서, 상기 저판부의 후면이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보디의 실드케이스 내에서의 위치정밀도 및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천판부에 상기 저판부를 향해서 볼록한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정지부가 상기 제1 보디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 격벽부에 부가해서, 정지부가 제1 보디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보디의 실드케이스 내에서의 위치정밀도 및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보디의 적어도 2개소가 상기 천판부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보디의 2개소가 상기 천판부에 접촉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1 보디 및 이것에 조합된 제2 보디의 상기 천판부에 대한 평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제1, 제2 보디의 실드케이스 내에서의 위치정밀도 및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로크편은 상기 측판부의 후단부에 각각 연이어 형성된 편부재로 할 수 있다. 상기 로크편은, 상기 측판부를 따라서 연신한 수직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보디가 상기 실드케이스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제1, 제2 보디를 안내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로크편은,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보디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로크편이, 제1, 제2 보디를 격벽부와의 사이에서 끼워 유지하는 로크부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제1, 제2 보디를 실드케이스 내에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서의 기능도 발휘하게 되어 있으므로, 실드케이스에 가이드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서, 실드케이스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커넥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디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제2 구멍부분을 가지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슬롯에 삽입된 제1, 제2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판부의 후면에 접촉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볼록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한 제1, 제2 긴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볼록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구멍부분에 연통하는 제3, 제4 긴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제4 콘택트는, 상기 제2 보디에 매설된 매설부와, 이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구멍부분 및 제3, 제4 긴홈에 삽입된 접촉부와, 상기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제2 콘택트는, 상기 본체부에 매설된 매설부와, 이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볼록부의 제1, 제2 긴홈에 삽입된 접촉부와, 상기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테일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제1, 제3 콘택트의 테일부는, 동일높이로 또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제4 콘택트의 테일부는, 동일높이로 또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 제3 콘택트의 접촉부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제4 콘택트의 접촉부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콘택트의 테일부가 동일높이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상기 테일부가 아래쪽으로 수하(垂下)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에 실장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인 경우, 상기 제1 보디는, 상기 기판의 걸림구멍에 걸림 가능한 걸림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보디의 걸림볼록부가 기판의 걸림구멍에 걸리게 됨으로써, 본 커넥터의 제1, 제2 슬롯과 본 커넥터 및 기판이 수용되는 전자기기의 플러그삽입구와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제1, 제2 슬롯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 축어긋남이 생겨서, 본 커넥터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1(a)가 정면, 평면 및 우측면측에서 본 도면, 도 1(b)가 배면, 저면 및 좌측면측에서 본 도면;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2(a)가 정면도, 도 2(b)가 배면도, 도 2(c)가 평면도, 도 2(d)가 저면도, 도 2(e)가 우측면도, 도 2(f)가 좌측면도;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A-A단면도,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B-B단면도, 도 3(c)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c-c단면도, 도 3(d)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D-D단면도;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저면 및 좌측면측에서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6(a)가 일체형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6(b)가 상기 커넥터의 제1 슬롯에 접속되는 단체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6(c)가 상기 커넥터의 제2 슬롯에 접속되는 단체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도 7(a)가 정면, 평면 및 우측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b)가 배면, 저면 및 좌측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상기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8(a)가 정면도, 도 8(b)가 배면도, 도 8(c)가 평면도, 도 8(d)가 저면도, 도 8(e)가 우측면도, 도 8(f)가 좌측면도;
도 9(a)는 상기 커넥터의 도 8(a)의 A-A단면도, 도 8(b)는 상기 커넥터의 도 8(a)의 B-B단면도, 도 8(c)는 상기 커넥터의 도 8(a)의 C-C단면도, 도 9(d)는 상기 커넥터의 도 8(a)의 D-D단면도, 도 9(e)가 도 8(a)의 E-E단면도;
도 10은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배면, 저면 및 좌측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12는 상기 커넥터의 설계변경예를 표시한 개략도로서, 도 12(a)가 제1, 제2, 제3, 제4 테일부가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예를 표시한 저면도, 도 12(b)가 제1, 제2, 제3, 제4 테일부가 수하된 예를 표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와 이용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제2 보디(100a, 100b)와, 복수의 제 1, 제 2, 제 3, 제 4의 콘택트(200a, 200b, 200c, 200d)와, 실드케이스(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드케이스(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대략 각기둥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것이다. 이 실드케이스(300)는, 저판부(310)와, 천판부(320)와, 한 쌍의 측판부(330)와, 한 쌍의 로크편(340)을 가지고 있다. 저판부(310)는 천판부(320)에 대향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부이다. 저판부(310)의 폭방향의 양단부와 천판부(320)의 양단부는, 측판부(3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저판부(310)의 안길이치수(즉, 제1, 제2 보디(100a, 100b)의 삽입방향의 길이치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판부(320) 및 측판부(330)의 안길이치수보다도 짧아져 있다. 저판부(310), 천판부(320)의 선단부 및 측판부(330)의 선단부가 실드케이스(3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고, 천판부(320) 및 측판부(330)의 저판부(310)의 후단부가,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서,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상기 삽입방향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저판부(310)의 중앙부는 천판부(320)를 향해서 하향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중앙부가 상기 내부공간을 제1, 제2 슬롯(α, β)으로 구분하는 단면 하향 대략 U자 형상의 격벽부(311)가 되는 동시에, 상기 중앙부의 외부면에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하는 단면 하향 대략 U자 형상의 위치결정용 오목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오목부(312)는, 직사각형상의 상측 오목부(312a)와, 양가장자리부분이 아래쪽을 향해서 점차 확대되는 하측 오목부(312b)를 가지고 있다. 제1 슬롯(α)의 내형은, 도 6(a)에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20)의 HDMI-mini용의 접속부(21) 또는 도 6(b)에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30)의 HDMI-mini용의 접속부(31)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2 슬롯(β)의 내형은, 도 6(a)에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20)의 HDMI용의 접속부(22) 또는 도 6(c)에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40)의 HDMI용의 접속부(41)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슬롯(α)에 접속부(21) 또는 접속부(31)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제2 슬롯(β)에 접속부(22) 또는 접속부(41)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저판부(310)의 제1, 제2 슬롯(α, β) 부분의 후면은, 제1 보디(100a)의 후술하는 한 쌍의 돌기부분(150a)의 전면에 접촉되는 정지면(313, 314)으로 되어 있다(도 3(b)~도 3(d) 참조). 또, 저판부(310)의 제2 슬롯(β) 부분에 실드케이스(300)의 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실드케이스(300)의 제1, 제2 슬롯(α, β) 부분의 강도저하를 억제하고 있다(도 2(d) 참조).
천판부(3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부이다. 천판부(320)에는, 그 일부가 절단되어서 형성된 2개의 걸림편(321)과, 2개의 걸림편(32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21, 322)의 선단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원호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걸림편(321)의 선단부는, 제1 슬롯(α)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1) 또는 플러그 커넥터(30)의 접속부(31)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상기 접속부(21) 또는 접속부(31)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편(322)의 선단부는, 제2 슬롯(β)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2) 또는 플러그 커넥터(40)의 접속부(41)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상기 접속부(22) 또는 접속부(41)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또, 천판부(320)의 걸림편(321, 322)의 후방부분의 일부는, 잘라 늘어뜨려져서, 아래쪽으로 볼록한 정지부(323, 324)로 되어 있다.
측판부(330)의 하단부에는, 전측 다리부(331)와, 후측 다리부(332)가 수하되어 있다. 전측 다리부(331)는, 저판부(310)의 폭방향의 양단부의 일부분이 절단되고, 아래쪽을 향해서 절곡된 편부재이다. 후측 다리부(332)는, 저판부(310)의 안길이치수를 천판부(320) 및 측판부(330)보다도 짧게 하기 위해서 제거되는 판부의 일부가 제거되기 전에 절단되고, 아래쪽을 향해서 절곡된 편부재이다. 전측 다리부(331) 및 후측 다리부(332)는,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스루홀에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10)의 그랜드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보디(100a)는 절연수지제의 사출성형품이다. 이 제1 보디(100a)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a)와, 제1, 제2 볼록부(120a, 130a)와, 한 쌍의 가이드부(140a)와, 한 쌍의 돌기부분(150a)(돌기부)과,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와, 한 쌍의 걸림볼록부(170a)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110a)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이다. 이 본체부(110a)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제2 구멍부분(111a, 112a)이 제1 보디(100a)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전면의 상단부에는, 오목부(113a, 11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3a, 114a)에는, 실드케이스(300)의 정지부(323, 324)가 삽입되어서, 상기 오목부(113a, 114a)의 깊숙한 측면에 정지부(323, 324)가 전방으로부터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전면의 중앙부에는, 제1, 제2 슬롯(α, β)에 삽입되는 판형상의 제1, 제2 볼록부(120a, 1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제2 볼록부(120a, 130a)의 외형은, 도 6에 도시한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1, 22)의 도시하지 않은 접속구멍에 끼워 맞출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1, 제2 볼록부(120a, 130a)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제1, 제2 긴홈(121a, 131a)이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 볼록부(120a, 130a)의 상부면에는, 제1, 제2 구멍부분(111a, 112a)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3, 제4 긴홈(122a, 132a)이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제2, 제3, 제4 긴홈(121a, 131a, 122a, 132a)은, 상기 두께방향(즉, 제1, 제2 보디(100a, 100b)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연신하고 있다. 제3 긴홈(122a)은, 평면 위치적으로, 인접하는 제1 긴홈(121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4 긴홈(132a)은, 평면 위치적으로, 인접하는 제2 긴홈(131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긴홈(121a)과 제3 긴홈(122a)과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긴홈(131a)과 제4 긴홈(132a)과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전면의 중앙 하단부에는 대략 L자 형상의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는, 대략 삼각기둥의 암부(161a)와, 각기둥의 돌기부(162a)를 가지고 있다. 암부(161a)는, 본체부(110a)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신한 대략 삼각기둥이다. 돌기부(162a)는, 암부(161a)의 선단부에 위쪽을 향해서 돌출 형성된 각기둥이다. 돌기부(162a)가 실드케이스(300)의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의 상측 오목부(312a)에 끼워 맞춰지고, 암부(161a)가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의 하측 오목부(312b)에 끼워 맞춰져 있다. 이에 의해, 제1 보디(100a)가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 내에서 상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암부(161a)의 하부면에는, 원기둥형상의 한 쌍의 걸림볼록부(17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볼록부(170a)는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삽입되어서 걸리게 된다.
또, 본체부(110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제2 콘택트(200a, 200b)가 각각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1 콘택트(200a)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a)와, 접촉부(220a)와, 테일부(230a)를 가지고 있다. 매설부(210a)는 본체부(110a)에 매설된 하향 대략 L자 형상의 부위로서, 후단부가 본체부(110a)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220a)는, 매설부(210a)의 선단부(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는 직선형상의 부위로서, 제1 볼록부(120a)의 제1 긴홈(121a)에 삽입되어 있다. 테일부(230a)는 매설부(210a)의 후단부(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평판형상의 부위이다. 제2 콘택트(200b)는,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b)와, 접촉부(220b)와, 테일부(230b)를 가지고 있다. 이 제2 콘택트(200b)는, 접촉부(220b)가 제2 볼록부(130a)의 제2 긴홈(131a)에 삽입되어 있는 것 이외에, 제1 콘택트(200a)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콘택트(200b)의 각 부에 대해서, 제1 콘택트(200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부(110a)의 하부면에는 한 쌍의 돌기부분(1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분(150a)이 실드케이스(300)의 저판부(310)의 정지면(313, 314)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후면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140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40a)는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보디(100a) 및 이것에 조합된 제2 보디(100b)의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대한 평행도가 향상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후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구멍부분(111a, 112a)의 사이와 제2 구멍부분(112a)의 외측에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보디(100b)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수지제의 사출성형품으로서, 본체부(110b)와,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120b)와, 한 쌍의 산부분(130b)을 가지고 있다. 본체부(110b)는, 단면에서 보면 대략 L자 형상의 부위로서, 그 폭치수가 제1 보디(100a)의 가이드부(140a)의 사이의 치수보다도 약간 작아져 있다. 이 제2 보디(100b)가 가이드부(140a)의 사이에 삽입되어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상기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되어 있다. 본체부(110b)의 전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볼록부(120b)는, 원기둥형상의 돌기부로서, 제1 보디(100a)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끼워 맞추게 되어 있다.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본체부(110b)의 후면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산부분(13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산부분(130b)의 선단부는,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조합된 상태에서, 제1 보디(100a)의 가이드부(140a)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높이치수를 가지고 있다. 이 산부분(130)의 선단부(이것이 제2 보디(100b)의 후면)에, 실드케이스(300)의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된 로크편(340)이 접촉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로크편(340)과, 저판부(310)의 격벽부(311), 정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정지부(323, 324)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로크편(340)은 절곡하기 전의 수직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110b)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3, 제4 콘택트(200c, 200d)가 각각 폭방향으로 제1, 제2 구멍부분(111a, 112a)와 동일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3, 제4 콘택트(200c, 200d)는 제1, 제2 콘택트(200a, 200b)의 상측위치(즉,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콘택트(200c)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c)와, 접촉부(220c)와, 테일부(230c)를 가지고 있다. 매설부(210c)는, 본체부(110b)에 매설된 부위로서, 비스듬히 경사진 중간부와, 이 중간부에 대해서 절곡된 선단부와, 상기 중간부에 대해서 절곡되어서, 아래쪽으로 수하된 후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 매설부(210c)의 선단부 및 중간부가 본체부(110b) 내에 매설되어 있다. 매설부(210c)의 후단부는 본체부(110b)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촉부(220c)는 매설부(210c)의 선단부(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본체부(110b)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평판이다. 이 접촉부(220c)는, 제1 접촉부(220a)보다도 제1 보디(100a)의 본체부(110b)의 두께분 만큼 길다. 이 접촉부(220c)가 제1 보디(100a)의 제1 구멍부분(111a) 및 제3 긴홈(122a)에 삽입되어 있다. 테일부(230c)는 매설부(210c)의 후단부(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평판형상의 부위이다. 제4 콘택트(200d)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d)와, 접촉부(220d)와, 테일부(230d)를 가지고 있다. 이 제4 콘택트(200d)는, 접촉부(220d)가 제2 볼록부(130a)의 제4 긴홈(132a)에 삽입되어 있는 것 이외에, 제3 콘택트(200c)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4 콘택트(200d)의 각 부에 대해서, 제3 콘택트(200c)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긴홈(121a)에 삽입된 접촉부(220a)와 제3 긴홈(122a)에 삽입된 접촉부(220c)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3 콘택트(200c)의 접촉부(220c)가, 평면 위치적으로, 인접하는 제1 콘택트(200a)의 접촉부(220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촉부(220a, 220c)는, 제1 볼록부(120a)와 함께 제1 슬롯(α)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 슬롯(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1) 또는 플러그 커넥터(30)의 접속부(31)의 하측, 상측 콘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긴홈(131a)에 삽입된 접촉부(220b)와 제4 긴홈(132a)에 삽입된 접촉부(220d)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4 콘택트(200d)의 접촉부(220d)가, 평면 위치적으로, 인접하는 제2 콘택트(200b)의 접촉부(22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촉부(220b, 220d)는, 제2 볼록부(130a)와 함께 제2 슬롯(β)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 슬롯(β)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2) 또는 플러그 커넥터(40)의 접속부(41)의 하측, 상측 콘택트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테일부(230a, 230c)는, 하부면이 동일높이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열되어 있다. 테일부(230b, 230d)도, 하부면이 동일높이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열되어 있다. 테일부(230a, 230b, 230c, 230d)가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전극에 각각 납땜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디(100a)에 제1, 제2 콘택트(200a, 200b)의 매설부(210a, 210b)를, 제2 보디(100b)에 제3, 제4 콘택트(200c, 200d)의 매설부(210c, 210d)를 인서트성형에 의해 매설한다. 이에 의해, 제1, 제2 콘택트(200a, 200b)가 제1 보디(100a)에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제3, 제4 콘택트(200c, 200d)가 제2 보디(100b)에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제1, 제2 콘택트(200a, 200b)의 접촉부(220a, 220b)가 제1 보디(100a)의 제1, 제2 긴홈(121a, 131a)에 삽입된다.
그 후, 제1, 제2 보디(100a, 100b)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제2 보디(100b)의 제3, 제4 콘택트(200c, 200d)의 접촉부(220c, 220d)를 제1 보디(100a)의 제1, 제2 구멍부분(111a, 112a) 및 제3, 제4 긴홈(122a, 132a)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220a)와 접촉부(220c)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접촉부(220b)와 접촉부(220d)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와 함께, 제1 보디(100a)의 한 쌍의 가이드부(140a)에 제2 보디(100b)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안내하게 하면서, 상기 제2 보디(100b)를 제1 보디(100a)의 가이드부(140a)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2 보디(100b)의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제1 보디(100a)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되어서, 테일부(230a, 230c)가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테일부(230b, 230d)가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된다.
그 후, 제1 보디(100a)의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를 실드케이스(300)의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에 삽입해서, 상기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의 돌기부(161a)를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의 상측 오목부(312a)에, 암부(162a)를 하측 오목부(312b)에 끼워 맞춘다. 이때,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가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에 삽입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와 함께, 측판부(330)를 따라서 수직 상태의 로크편(340)의 사이에, 제1, 제2 보디(100a, 100b)를 삽입한다. 이때, 제1 보디(100a)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로크편(340)에 안내되면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방향을 따라서 삽입되고, 제1 보디(100a)의 제1, 제2 볼록부(120a, 130a)가 실드케이스(300)의 제1, 제2 슬롯(α, β)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 보디(100a)의 본체부(110b)의 전면이 격벽부(311)에 접촉된다. 이와 함께, 제1 보디(100a)의 돌기부분(150a)이 실드케이스(300)의 저판부(310)의 정지면(313, 314)에 각각 접촉되고,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의 정지부(323, 324)가 제1 보디(100a)의 오목부(113a, 114a)에 삽입되어서, 상기 오목부(113a, 114a)의 깊숙한 측면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된다. 제1 보디(100a)의 가이드부(140a)가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로크편(340)을 내측으로 각각 절곡해서, 제2 보디(100b)의 산부분(130b)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로크편(340)과, 저판부(310)의 격벽부(311), 정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정지부(323, 324)와의 사이에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끼워 유지되어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기판(10)에 실장된다. 우선, 실드케이스(300)의 전측 다리부(331)와 후측 다리부(332)를 기판(10)의 상기 스루홀에 각각 삽입한다. 이것 모두, 제1 보디(100a)의 걸림볼록부(170a)를 기판(10)의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해서 걸리게 한다. 그러면, 테일부(230a, 230b, 230c, 230d)가 기판(10)의 상기 전극상에 재치된다. 그 후, 전측 다리부(331)와, 후측 다리부(332)를 기판(10)의 상기 스루홀에, 테일부(230a, 230b, 230c, 230d)가 기판(10)의 상기 전극에 각각 납땜 접속된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실드케이스(300)의 내부공간이 격벽부(311)에 의해 제1, 제2 슬롯(α, β)으로서 구분되고, 상기 제1, 제2 슬롯(α, β)에 플러그 커넥터의 2종의 HDMIㆍmini용의 접속부 및 HDMI용의 접속부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커넥터는, 2종의 리셉터클 커넥터가 일체화된 것이므로, 2종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해서, 기판(10)상의 실장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 및 조립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커넥터는, 2종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기판(10)의 실장위치에 불균일이 생기지 않는다.
또, 제1, 제2 콘택트(200a, 200b)가 제1 보디(100a)에, 제3, 제4 콘택트(200c, 200d)가 제2 보디(100b)에 매설되어 있다. 이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됨으로써, 제1 콘택트(200a)와 제3 콘택트(200c)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제2 콘택트(200b)와 제4 콘택트(200d)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커넥터가 소형화되었다 해도, 제1 보디(100a)에 제1, 제2 콘택트(200a, 200b)를, 제2 보디(100b)에 제3, 제4 콘택트(200c, 200d)를 매설 유지시키기 위한 충분한 두께를 갖게 할 수 있어서, 제1, 제2 콘택트(200a, 200b)를 제1 보디(100a)에, 제3, 제4 콘택트(200c, 200d)를 제2 보디(100b)에 정밀도 좋게 배열할 수 있다.
또, 실드케이스(300)의 로크편(340)과, 저판부(310)의 격벽부(311), 정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정지부(323, 324)와의 사이에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끼워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보디(100a, 100b)를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 내에서 간단히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드케이스(300) 내에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위치 어긋남으로써 제1, 제2, 제3, 제4 콘택트(200a, 200b, 200c, 200d)의 위치정밀도가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합된 제1, 제2 보디(100a, 100b)를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해서, 제1 보디(100a)의 전면을 실드케이스(300)의 격벽부(311)에 접촉시키고, 그 후, 상기 로크편(340)을 절곡해서 제2 보디(100b)의 후면에 접촉시키는 것뿐이므로, 제1, 제2 보디(100a, 100b)의 실드케이스(300)로의 조합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한 쌍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끼워 맞춰져 있으므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조합된 상태에서, 테일부(230a, 230b, 230c, 230d)의 하부면의 평탄도를 향상시켜서, 균일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디(100a)의 걸림볼록부(170a)가 기판(10)의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게 되게 되어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케이스의 플러그삽입구와 제1, 제2 슬롯(α, β)과의 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서, 플러그삽입 시에 축어긋남에 의해 본 리셉터클 커넥터가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커넥터는, 실시예 1과 동일한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되고,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와 이용되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제2 보디(100a', 100b')의 형상 및 실드케이스(300')의 형상이 제1, 제2 보디(100a, 100b)의 형상 및 실드케이스(300)의 형상과 상위한 것 이외에, 실시예 1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제1, 제2 보디 및 실드케이스의 부호에 대해서는, '를 교부해서 실시예 1의 제1, 제2 보디 및 실드케이스와 구별한다.
실드케이스(300')는, 저판부(310')의 격벽부(311') 및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의 형상이 실시예 1의 실드케이스(300)와 상위하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판부(310')의 중앙부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Y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중앙부가 실드케이스(300')의 내부공간을 제1, 제2 슬롯(α, β)으로 구분하는 단면 하향 Y자 형상의 격벽부(311')가 되는 동시에, 상기 중앙부의 외부면에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하는 단면 대략 삼각형상의 위치결정용 오목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1 중, (320')는 천판부, (330')는 측판부, (340')는 로크편, (321'), (322')는 걸림편, (323'), (324')는 정지부, (331')는 전측 다리부, (332')는 후측 다리부이다.
제1 보디(100a')는, 본체부(110a')의 제2 구멍부분(112a') 및 제4 긴홈(132a')의 배열, 본체부(110a')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 본체부(110a')에 끼워맞춤볼록부(116a')가 새롭게 형성되어 있는 점,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의 형상 및 한 쌍의 걸림볼록부(170a')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가 실시예 1의 제1 보디(100a)와 상위하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2 구멍부분(112a') 및 제4 긴홈(132a')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a')에 상기 제2 구멍부분(112a') 및 제4 긴홈(132a')의 열의 한가운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제4 콘택트(200d)의 매설부(210d)나, 제2 보디(100b')의 본체부(110b')에 상기 제4 콘택트(200d)의 열의 한가운데에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는 본체부(110a')의 전면에 돌출 형성된 대략 삼각기둥형상의 암이다. 이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가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 걸림볼록부(170a')는 한 쌍의 가이드부(140a')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볼록부(170a')가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구멍에 각각 삽입되어서, 걸리게 되어 있다. 끼워맞춤볼록부(116a')는, 본체부(110a)의 후면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 입방체형상의 돌기부이다. 이 끼워맞춤볼록부(116a')의 후면에 한 쌍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 중, (120a')는 제1 볼록부, (130a')는 제2 볼록부, (150a')는 돌기부분, (111a')는 제1 구멍부분, (113a', 114a')는 오목부, (121a')는 제1 긴홈, (122a')는 제2 긴홈, (131a')는 제3 긴홈이다.
제2 보디(100b')는, 본체부(110b')의 전면의 중앙부에 끼워맞춤오목부(111b')가 새롭게 형성되어 있는 점 및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가 실시예 1의 제2 보디(100b)와 상위하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끼워맞춤오목부(111b')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홈으로서, 끼워맞춤볼록부(116a')가 끼워져 있다. 이 끼워맞춤오목부(111b')의 저면에는,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끼워맞춤볼록부(116a')의 후면 위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각각 끼워 맞춰져 있다. 본체부(110b') 및 산부분(130b')이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접촉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디(100a')에 제1, 제2 콘택트(200a, 200b)의 매설부(210a, 210b)를, 제2 보디(100b')에 제3, 제4 콘택트(200c, 200d)의 매설부(210c, 210d)를 인서트성형에 의해 매설한다. 이에 의해, 제1, 제2 콘택트(200a, 200b)가 제1 보디(100a')에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제3, 제4 콘택트(200c, 200d)가 제2 보디(100b')에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제1, 제2 콘택트(200a, 200b)의 접촉부(220a, 220b)가 제1 보디(100a')의 제1, 제2 긴홈(121a', 131a')에 삽입된다.
그 후, 제1, 제2 보디(100a', 100b')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서, 제2 보디(100b')의 제3, 제4 콘택트(200c, 200d)의 접촉부(220c, 220d)를 제1 보디(100a')의 제1, 제2 구멍부분(111a', 112a') 및 제3, 제4 긴홈(122a', 132a')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220a)와 접촉부(220c)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고, 접촉부(220b)와 접촉부(220d)가 다른 높이위치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와 함께, 제1 보디(100a')의 한 쌍의 가이드부(140a')에 제2 보디(100b')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안내시키면서, 상기 제2 보디(100b')를 제1 보디(100a')의 가이드부(140a')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1 보디(100a')의 끼워맞춤볼록부(116a')가 제2 보디(100b')의 끼워맞춤오목부(111b')에 끼이는 동시에, 제2 보디(100b')의 끼워맞춤볼록부(120b')가 제1 보디(100a')의 끼워맞춤구멍부분(115a')에 각각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되어서, 테일부(230a, 230c)가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테일부(230b, 230d)가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된다.
그 후, 제1 보디(100a')의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를 실드케이스(300')의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에 삽입해서, 끼워 맞춘다. 이때,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가 위치결정용 오목부(312')에 삽입방향으로 안내된다. 이와 함께, 측판부(330')를 따라서 수직 상태의 로크편(340')의 사이에, 제1, 제2 보디(100a', 100b')를 삽입한다. 이때, 제1 보디(100a')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로크편(340')에 안내되면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 후방으로부터 삽입방향을 따라서 삽입되고, 제1 보디(100a')의 제1, 제2 볼록부(120a', 130a')가 실드케이스(300')의 제1, 제2 슬롯(α, β)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 보디(100a')의 본체부(110b')의 전면이 격벽부(311')에 접촉된다. 이와 함께, 제1 보디(100a')의 돌기부분(150a)'이 실드케이스(300')의 저판부(310')의 정지면(313', 314')에 각각 접촉되고,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의 정지부(323', 324')가 제1 보디(100a')의 오목부(113a', 114a')에 삽입되어서, 상기 오목부(113a', 114a')의 깊숙한 측면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된다. 가이드부(140a'), 본체부(110b') 및 산부분(130b')이 실드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로크편(340')을 내측에 각각 절곡해서, 제2 보디(100b')의 산부분(130b')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로크편(340')과, 저판부(310')의 격벽부(311'), 정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정지부(323', 324')와의 사이에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끼워 유지되어서, 제1, 제2 보디(100a', 100b')가 실드케이스(3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실시예 1과 같이 기판(10)에 실장되고, 제1 보디(100a')의 걸림볼록부(170a')가 기판(10)의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되어서,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에서도, 상기 실시예 1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의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실드케이스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대략 각기둥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통형상으로서, 그 내부공간에 제1, 제2 보디를 수용할 수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드케이스는, 절연수지로 통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외부면에 금속을 증착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저판부(310, 310')의 중앙부를 절곡함으로써 격벽부(311, 311') 및 위치결정용 오목부(312, 312')가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별도로 작성된 격벽판을 실드케이스 내에 장착해서 상기 실드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제1, 제2 슬롯으로 구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격벽부(311, 311')와는 별도로 실드케이스(300, 300')의 저판부(310, 310')에 위치결정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위치결정용 오목부(312, 312')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제1 보디(100a, 100a')의 위치결정용 볼록부(160a, 160a')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케이스의 저판부의 외부면에 형성되어서,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끼워맞춤 가능한 구멍 또는 홈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위치결정용 오목부는 직사각형상이나 원형의 구멍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로크편은, 측판부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로크편을 실드케이스의 천판부나 저판부의 후단부에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 로크편을 실드케이스와 별체로 하고, 실드케이스에 형성한 구멍에 로크편을 삽입해서, 제2 보디의 후면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저판부의 삽입방향의 길이치수가 천판부 및 측판부의 삽입방향의 길이치수보다도 짧아져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저판부의 상기 길이치수를 천판부 및 측판부의 상기 길이치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저판부의 상기 길이치수를 천판부 및/또는 측판부의 상기 길이치수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저판부의 상기 길이치수가 천판부 및/또는 측판부의 상기 길이치수보다도 긴 경우, 저판부의 후면이 아니고, 천판부 및/또는 측판부의 후면을, 보디의 전면에 접촉하는 정지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천판부에 정지부가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정지부를 저판부 및/또는 측판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정지부는,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천판부의 일부를 잘라 늘어뜨려서 형성한다고 설명했지만, 실드케이스의 내부공간 내에 볼록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제2 보디는 적어도 격벽부와 로크편과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1 보디는, 본체부와, 제1, 제2 볼록부와, 한 쌍의 가이드부와, 한 쌍의 돌기부분과, 위치결정용 볼록부와, 한 쌍의 걸림볼록부를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제2 보디와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1, 제2 콘택트가 매설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위치결정용 볼록부는, 삼각기둥형상의 암을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상술한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1 보디의 한 쌍의 돌기부분이 실드케이스의 정지면에 접촉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보디의 본체부의 전면을 정지면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되고, 돌기부를 정지면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1 보디의 가이드부가 실드케이스의 천판부에 접촉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상기 제1 보디의 임의의 2개소를 천판부에 접촉시키면 된다. 또,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끼워 맞춤으로서, 제1 보디의 실드케이스 내에서의 높이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등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보디가 천판부에 접촉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2 보디는, 본체부와, 한 쌍의 끼워맞춤볼록부와, 한 쌍의 산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제1 보디와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3, 제4 콘택트가 매설될 수 있는 것인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산부분에 실드케이스의 로크편이 접촉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로크편을 제2 보디의 후면에 접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산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제2 보디의 본체부 및 산부분이 실드케이스의 천판부에 접촉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상기 제2 보디의 어느 부분을 천판부에 접촉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과 같이, 상기 제2 보디를 천판부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커넥터는, 3이상의 보디를 삽입방향에 전후방향으로 조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1 보디에 끼워맞춤볼록부가, 제2 보디에 끼워맞춤구멍부분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제1 보디에 끼워맞춤구멍부분, 제2 보디에 상기 끼워맞춤구멍부분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끼워맞춤구멍부분 및 끼워맞춤볼록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1, 제2 콘택트는, 매설부와, 접촉부와, 테일부를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상기 제1 보디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되어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3, 제4 콘택트는, 매설부와, 접촉부와, 테일부를 가진다고 설명했지만, 상기 제2 보디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되어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테일부(230a, 230c)가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테일부(230b, 230d)가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일부(230a, 230b)를 길게 함으로써, 테일부(230a, 230b, 230c, 230d)가 동일높이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일부(230a, 230b, 230c, 230d)를 수하시키고, 기판(10)에 형성된 스루홀에 삽입해서 납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테일부를 기판(10)의 전극에 접속하지 않고, 케이블의 리드에 접속하는 또는 기판(10)의 전극에 접속된 도전 라인의 단부에 케이블의 리드에 접속함으로써, 본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테일부는, 동일높이로 또한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해도 되고, 동일높이로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해도 되며, 다른 높이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커넥터의 보디가 3이상인 경우에는, 3개째 이상의 보디에 콘택트를 제1, 제2, 제3, 제4 콘택트와 다른 높이위치에서 폭방향으로 배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개수나 치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본 발명은, HDMI로서 이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라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제2 슬롯은, HDMI-mini와 HDMI에 대응한다고 설명했지만, 상기 제1, 제2 슬롯의 내형은 기타 상대측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제2 슬롯의 내형을 동일하게 해서, 동일한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격벽부를 복수 형성해서, 실드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에도 적응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전자기기로서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기판 20, 30, 40: 플러그 커넥터
21, 22, 31, 41: 접속부 100a: 제1 보디
11Oa, 11Ob: 본체부 111a: 제1 구멍부분
112a: 제2 구멍부분 120a: 제1 볼록부
121a: 제1 긴홈 122a: 제3 긴홈
130a: 제2 볼록부 131a: 제2 긴홈
132a: 제4 긴홈 140a: 가이드부
150a: 돌기부분(돌기부) 160a: 위치결정용 볼록부
100b: 제2 보디 120b: 끼워맞춤볼록부
130a: 산부분 200a: 제1 콘택트
21Oa, 21Ob, 210c, 210d: 매설부 220a, 220b, 220c, 220d: 접촉부
230a, 230b, 230c, 230d: 테일부 200b: 제2 콘택트
200c: 제3 콘택트 200d: 제4 콘택트
300: 실드케이스 310: 저판부
311: 격벽부 312: 위치결정용 오목부
313, 314: 정지면(저판부의 후면) 320: 천판부
323, 324: 정지부 330: 측판부
340: 로크편

Claims (16)

  1. 제1, 제2 슬롯을 가지는 통형상의 실드케이스와,
    이 실드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삽입방향에 전후로 조합된 제1, 제2 보디와,
    상기 제1 보디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1 콘택트와,
    상기 제1 보디에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2 콘택트와,
    상기 제2 보디에 상기 제1 콘택트와 다른 높이위치에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1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3 콘택트와,
    상기 제2 보디에 상기 제2 콘택트와 다른 높이위치에서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고 또한 일부가 상기 제2 슬롯에 삽입된 복수의 제4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실드케이스는, 그 내부공간을 상기 제1, 제2 슬롯으로서 구분하는 격벽부와, 상기 실드케이스의 후단부에 형성된 로크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격벽부가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편이 상기 제2 보디의 후면에 접촉되어서, 상기 격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제2 보디를 끼워 유지하게 되어 있고,
    상기 실드케이스는, 천판부와, 저판부와, 한 쌍의 측판부를 또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저판부는, 상기 천판부보다도 상기 삽입방향의 길이치수가 짧아져 있으며,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가 상기 천판부를 향해서 절곡되어서, 상기 격벽부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의 외부면에는, 위치결정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는,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디의 후면에는, 끼워맞춤볼록부 또는 끼워맞춤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보디의 전면에는, 끼워맞춤오목부 또는 끼워맞춤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보디가 조합된 상태에서 상기 끼워맞춤볼록부가 상기 끼워맞춤오목부에 끼워 맞춰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의 중앙부의 외부면에는, 상기 중앙부가 절곡됨으로써 위치결정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는,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위치결정용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용 오목부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보디가 상기 실드케이스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제1 보디의 위치결정용 볼록부를 안내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의 후면이 상기 제1 보디의 전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부에는, 상기 저판부를 향해서 볼록한 정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지부가 상기 제1 보디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디의 적어도 2개소가 상기 천판부에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편은 상기 측판부의 후단부에 각각 연이어 형성된 편부재이며,
    상기 로크편이 상기 측판부를 따라서 연신한 수직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보디가 상기 실드케이스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제1, 제2 보디를 안내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편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보디의 후면에 접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디는, 단면에서 보면 직사각형상의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슬롯에 삽입된 제1, 제2 볼록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판부의 후면에 접촉되는 돌기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제2 볼록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한 제1, 제2 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볼록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연신한 제3, 제4 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를 상기 삽입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제3, 제4 긴홈에 연통하는 제1, 제2 구멍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제4 콘택트는, 상기 제2 보디에 매설된 매설부와,
    이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구멍부분 및 제3, 제4 긴홈에 삽입된 접촉부와,
    상기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테일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제2 콘택트는, 상기 본체부에 매설된 매설부와,
    이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 볼록부의 제1, 제2 긴홈에 삽입된 접촉부와,
    상기 매설부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연속되는 테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제3 콘택트의 테일부는, 동일높이로 또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제4 콘택트의 테일부는, 동일높이로 또한 상기 삽입방향을 따라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제1, 제3 콘택트의 접촉부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제4 콘택트의 접촉부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 제4 콘택트의 테일부는 동일높이로 상기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테일부는 아래쪽으로 수하(垂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에 실장 가능한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제1 보디는, 상기 기판의 걸림구멍에 걸림 가능한 걸림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00123184A 2010-03-26 2010-12-06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788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2566 2010-03-26
JP2010072566A JP5388922B2 (ja) 2010-03-26 2010-03-26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36A KR20110108236A (ko) 2011-10-05
KR101788863B1 true KR101788863B1 (ko) 2017-10-20

Family

ID=4424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184A KR101788863B1 (ko) 2010-03-26 2010-12-06 커넥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1063B2 (ko)
EP (1) EP2369687B1 (ko)
JP (1) JP5388922B2 (ko)
KR (1) KR101788863B1 (ko)
CN (1) CN102201629B (ko)
TW (1) TWI5259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47916A (zh) * 2012-02-03 2013-08-1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DE102012105258A1 (de) * 2012-06-18 2013-12-19 Tyco Electronics Amp Gmbh Schirmhülse und Abschirmendelement umfassend eine Schirmhülse
US9022802B2 (en) * 2013-03-18 2015-05-05 Concraft Holding Co., Ltd. Terminal module
EP2821988A1 (en) * 2013-07-02 2015-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for reducing near-end crosstalk
RU2650492C1 (ru) 2013-12-12 2018-04-16 Хартинг Электрик Гмбх Унд Ко. Кг Удерживающая рамка для штекерного разъема
US9362685B2 (en) * 2014-03-21 2016-06-07 Rockwell Automation Asia Pacific Business Center Pte Ltd. Control system components with key
CN104332771B (zh) * 2014-10-31 2016-08-24 昆山德朋电子科技有限公司 双接口电连接器
US9496651B2 (en) * 2015-03-03 2016-11-15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HDMI connector
JP2019003902A (ja)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966714B1 (en) 2017-07-05 2018-05-08 Rockwell Automation Asia Pacific Business Ctr. Pte., Ltd. I/O migration adapter for control system
USD896180S1 (en) * 2018-07-03 2020-09-15 Asustek Computer Inc. Connector
DE102019106980B3 (de) * 2019-03-19 2020-07-0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Kontaktträger und Steckverbinder für eine geschirmte hybride Kontaktanordnung
CN210866593U (zh) * 2019-12-02 2020-06-26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
US11106611B2 (en) * 2019-12-10 2021-08-31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Control system migration using interface c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2453A (en) 1996-10-01 1998-06-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ide-by-side dual port USB connector
US20090149045A1 (en) * 2007-12-05 2009-06-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 piece
US20090286419A1 (en) * 2008-05-14 2009-11-19 Hirose Electric Co., Ltd. Connector
US20100062653A1 (en) 2008-09-08 2010-03-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ultiport receptacle connector having emi shell interlocked to partitioning wall for preventing warpa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15500Y (zh) * 2000-01-20 2001-01-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JP3761428B2 (ja) * 2001-07-04 2006-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3012928A1 (en) 2001-08-01 2003-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nsert molded terminal modules
TW553545U (en) * 2001-09-25 2003-09-11 Molex Inc High speed transmission connector
US7044779B1 (en) * 2005-06-21 2006-05-16 Lankom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onnector socket
CN1992447A (zh) * 2005-12-29 2007-07-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7192297B1 (en) * 2006-07-05 2007-03-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shell
CN200969414Y (zh) * 2006-11-17 2007-10-31 莫列斯公司 滑动式电连接器组合
CN201112838Y (zh) * 2007-07-10 2008-09-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堆叠式电连接器
US7651371B2 (en) * 2007-11-15 2010-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ESD protection
US7758380B2 (en) * 2008-05-16 2010-07-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ell for EMI protection
CN201323356Y (zh) * 2008-11-03 2009-10-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TWM357088U (en) * 2008-12-24 2009-05-1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connector assembly
TWM373028U (en) * 2009-09-16 2010-01-21 Advanced Connectek Inc Two-slot socket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2453A (en) 1996-10-01 1998-06-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ide-by-side dual port USB connector
US20090149045A1 (en) * 2007-12-05 2009-06-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 piece
US20090286419A1 (en) * 2008-05-14 2009-11-19 Hirose Electric Co., Ltd. Connector
US20100062653A1 (en) 2008-09-08 2010-03-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ultiport receptacle connector having emi shell interlocked to partitioning wall for preventing warp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9687A1 (en) 2011-09-28
CN102201629A (zh) 2011-09-28
CN102201629B (zh) 2014-10-08
KR20110108236A (ko) 2011-10-05
EP2369687B1 (en) 2015-02-18
JP2011204567A (ja) 2011-10-13
US20110237107A1 (en) 2011-09-29
US8241063B2 (en) 2012-08-14
TWI525928B (zh) 2016-03-11
TW201145702A (en) 2011-12-16
JP5388922B2 (ja)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86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10320102B2 (en) Receptacle connector with contact assembly
KR10164679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8858237B2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modules
KR101695409B1 (ko) 실드케이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전자기기
JP4615593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
KR101691665B1 (ko) 실드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한 커넥터
KR101760520B1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763431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485837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방법
US990596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530081B1 (en) Dual connector assembly for a circuit board
US792254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s each with free guiding end
US829267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s depressed from mating surfaces
US8668511B2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US809684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183155B1 (en) Lower profile connector assembly
JP5525332B2 (ja) シールドケース、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0135166B2 (en) Symmetric dual beam contact
JP565727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825172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one pair of switch terminals thereof
JP2019050175A (ja) 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