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431B1 - 커넥터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3431B1
KR101763431B1 KR1020110010505A KR20110010505A KR101763431B1 KR 101763431 B1 KR101763431 B1 KR 101763431B1 KR 1020110010505 A KR1020110010505 A KR 1020110010505A KR 20110010505 A KR20110010505 A KR 20110010505A KR 101763431 B1 KR101763431 B1 KR 10176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connector
shielding case
body portion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44A (ko
Inventor
타카히사 오츠지
타카유키 나가타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7256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889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6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55253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7367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7277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비집어졌다고 해도, 만곡부 부근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제1, 제2몸체부(100a), (100b)와, 제1몸체부(100a)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제2컨택트(200a), (200b)와, 제2몸체부(100b)에 설치된 제3, 제4컨택트(200c), (200d)와,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삽입된 통 형상의 차폐 케이스(300)를 구비하고 있다. 차폐 케이스(300)는, 밑판부(310)의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으면서 삽입 방향(γ)으로 연장된 칸막이부(311)와, 이 칸막이부(311)의 뒷편에 형성되어서 삽입 방향(γ)으로 연장된 오목부(312)를 지니고 있다. 제1몸체부(100a)의 삽입 방향(γ)의 앞면에는 오목부(312)의 일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보강부재(160a)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전자기기{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차폐 케이스를 지니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각진 통 형상의 차폐 케이스와, 이 차폐 케이스에 삽입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설치된 컨택트(contact)를 구비하고, 차폐 케이스가 천판부(天板部)와, 이 천판부에 대향하는 밑판부를 지니고, 이 밑판부의 중앙부에 천판부를 향해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밑판부의 몸체부 삽입 방향의 제1단부로부터 그 반대쪽의 제2단부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어,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대방 커넥터가 각각 끼워 맞춤가능한 제1, 제2슬롯으로서 칸막이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 2009-277497호 공보
그런데, 차폐 케이스는 만곡부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슬롯에 상대방 커넥터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둘레 방향으로 비집어지면, 그 응력이 만곡부에 집중되기 쉬워, 만곡부 주변에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비집어졌다고 해도, 만곡부 부근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성을 지니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에 설치된 컨택트와, 상기 몸체부가 삽입된 통 형상의 차폐 케이스와,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폐 케이스는, 해당 차폐 케이스의 일부가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으면서 상기 몸체부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만곡부와, 이 만곡부의 뒷편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를 지니고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의한 경우, 만곡부의 뒷편의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보강부재가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차폐 케이스 내에 상대방 커넥터가 삽입되어, 비집어졌다고 해도, 만곡부 주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커넥터의 비집어짐 강도(こじり强度)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오목부의 전부에 끼워 맞추어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만곡부의 뒷편의 오목부의 전부에 보강부재가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더욱 만곡부 주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본 커넥터의 비집어짐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 방향의 제1면과, 상기 삽입 방향의 제1면과는 반대쪽에 있는 제2면을 지닐 경우, 상기 보강부재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를 몸체부에 돌출 설치하고, 일체화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가 몸체부의 삽입 방향의 제1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몸체부를 차폐 케이스에 삽입하는 동시에, 보강부재를 오목부에 삽입하여 끼워 맞추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커넥터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가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제1, 제2슬롯으로서 칸막이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상기 만곡부가 상대방 커넥터의 키(key) 홈에 삽입가능한 키 부분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폐 케이스는, 도전성을 지니는 판이 통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서 단부끼리 접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만곡부의 뒷편의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보강부재가 끼워 맞추어져 있음으로써, 만곡부 주변의 변형이 억제되는 동시에, 접합부가 빠져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1(a)는 정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배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배면도, 도 2(c)는 평면도, 도 2(d)는 밑면도, 도 2(e)는 우측면도, 도 2(f)는 좌측면도;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A-A 단면도,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B-B 단면도, 도 3(c)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C-C 단면도, 도 3(d)는 상기 커넥터의 도 2(a)의 D-D 단면도;
도 4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커넥터의 차폐 케이스의 패드가 기판의 전극에 땜납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7(a)는 일체형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상기 커넥터의 제1슬롯에 접속되는 단체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7(c)는 상기 커넥터의 제2슬롯에 접속되는 단체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도 8(a)는 정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배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상기 커넥터의 개략도로서, 도 9(a)는 정면도, 도 9(b)는 배면도, 도 9(c)는 평면도, 도 9(d)는 밑면도, 도 9(e)는 우측면도, 도 9(f)는 좌측면도;
도 10(a)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의 A-A 단면도, 도 10(b)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의 B-B 단면도, 도 10(c)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의 C-C 단면도, 도 10(d)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의 D-D 단면도, 도 10(e)는 도 9(a)의 E-E 단면도;
도 11은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설계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 정면도;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커넥터의 설계 변형예를 나타낸 배면, 평면 및 우측면 쪽으로부터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리셉터클 커넥터는,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되어, 해당 전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되는 커넥터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제2몸체부(100a), (100b)와 복수의 제1, 제2, 제3, 제4컨택트(200a), (200b), (200c), (200d)와 차폐 케이스(3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차폐 케이스(300)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대략 각진 통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것이다. 이 차폐 케이스(300)는 밑판부(310)와 천판부(320)와 1쌍의 측판부(330)와 1쌍의 록편(lock piece)(340)을 구비하고 있다. 밑판부(310)는 천판부(320)에 대향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 판으로서, 그 외면이 기판(10) 상에 설치가능하게 되어 있다. 밑판부(310)의 폭방향의 양단부에는 측판부(330)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측판부(330)의 상단부의 사이가 천판부(3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밑판부(310)의 안길이 치수(후술하는 삽입 방향(γ)의 길이 치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판부(320) 및 측판부(330)의 깊이 치수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밑판부(310), 천판부(320)의 선단부 및 측판부(330)의 선단부가 차폐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천판부(320) 및 측판부(330)의 밑판부(310)의 후단부가,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후방에서부터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또,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방향을 삽입 방향(γ)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 밑판부(310)의 중앙부에는, 도 1(a) 및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판부(320)를 향해서 아래쪽으로 향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가 차폐 케이스(300)의 상기 내부 공간을 제1, 제2슬롯(α), (β)으로 칸막이하는 칸막이부(311)로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부(311)의 뒷편에는 단면이 아래쪽으로 향한 대략 U자 형상의 오목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311) 및 오목부(31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판부(310)의 삽입 방향(γ)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존재하고 있다. 오목부(312)는, 직사각 형상의 상측 오목부(312a)와, 양 가장자리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점차 확대되는 하측 오목부(312b)를 지니고 있다. 이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은 밑판부(310)의 외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밑판부(310)의 외면의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과의 경계부분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단부(315a), (315b)를 지니는 대략 U자 형상의 제1오목부(3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오목부(315)는 제1, 제2단부(315a), (315b) 사이의 개방부가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의 밑판부(310)의 외면과의 경계부분에는, 제1오목부(315)의 제1, 제2단부(315a), (315b)에 연통하는 직사각 형상의 1쌍의 제2오목부(3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제2오목부(315), (316)에 구획된 부분이 기판(10)의 1쌍의 그라운드 전극(11)에 각각 땜납 접속가능한 패드(317)로 되어 있다. 패드(317)는 제1, 제2패드부(317a), (317b)를 지닌다. 제1패드부(317a)는 밑판부(310)의 외면에 설치된 부위이다. 제1패드부(317a)의 표면과 밑판부(310)의 외면은 높이 위치가 같게 되어 있다(즉, 평탄한 상태이다). 제2패드부(317b)는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에 설치된 부위로서, 제1패드부(317a)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2패드부(317b)의 표면과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은 높이 위치가 같게 되어 있다(즉, 평탄한 상태이다). 또한, 그라운드 전극(11)은, 제1패드부(317a)에 접촉가능한 부분과 제2패드부(317b) 쪽에 연이어 설치된 부분을 지니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표면 전극이다.
또, 밑판부(310)의 제2슬롯(β) 부분에는 접합부(318)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접합부(318)는 차폐 케이스(300)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단부끼리 접합해서 코킹(caulking)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밑판부(310)의 제2슬롯(β) 부분에 차폐 케이스(300)의 접합부를 마련함으로써, 차폐 케이스(300)의 제1, 제2슬롯(α), (β) 부분의 강도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제1슬롯(α)의 내형은, 도 7(a)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20)의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lnterface; 등록상표) 타입(Type) D용의 접속부(21) 또는 도 7(b)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30)의 HDMI 타입 D용의 접속부(31)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제2슬롯(β)의 내형은, 도 7(a)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20)의 HDMI 이외의 규격에 대응한 접속부(22) 또는 도 7(c)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40)의 HDMI 이외의 규격에 대응한 접속부(41)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제1슬롯(α)에 접속부(21) 또는 접속부(31)가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2슬롯(β)에 접속부(22) 또는 접속부(41)가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밑판부(310)의 제1, 제2슬롯(α), (β) 부분의 후면은, 도 3(b) 내지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a)의 후술하는 1쌍의 돌출부(150a)의 앞면에 맞닿는 저지면(313), (314)으로 되어 있다.
천판부(3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부이다. 천판부(320)에는, 그 일부가 잘라져 형성된 2개의 걸림편(係止片)(321)과, 2개의 걸림편(322)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21), (322)의 선단부가 아래쪽을 향해서 원호 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져 있다. 걸림편(321)의 선단부는, 제1슬롯(α)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1) 또는 플러그 커넥터(30)의 접속부(3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해당 접속부(21) 또는 접속부(31)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편(322)의 선단부는, 제2슬롯(β)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2) 또는 플러그 커넥터(40)의 접속부(4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해당 접속부(22) 또는 접속부(41)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320)의 걸림편(321), (322)의 후방부분의 일부는, 잘라서 늘어뜨려, 아래쪽으로 볼록한 걸림부(323), (324)로 되어 있다.
측판부(330)의 하단부에는, 앞쪽 단자(331)와 뒤쪽 단자(332)가 늘어뜨려져 있다. 앞쪽 단자(331)는, 밑판부(310)의 폭방향의 양 단부의 일부분이 잘라져, 아래쪽을 향해서 꺾여 구부러진 편부재(片部材)이다. 뒤쪽 단자(332)는, 밑판부(310)의 안길이 치수를 천판부(320) 및 측판부(330)보다도 짧게 하기 위해서 잘라내는 판부의 일부를 잘라내기 전에 자르고, 아래쪽을 향해서 꺾어 구부린 편부재이다. 앞쪽 단자(331) 및 뒤쪽 단자(332)는,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관통형 전극(through hole electrode)에 각각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측판부(330)의 후단에는 록편(340)이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제1몸체부(100a)는 절연 수지제의 사출 성형품이다. 이 제1몸체부(100a)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a)와, 제1, 제2볼록부(120a), (130a)와, 1쌍의 가이드부(140a)와, 1쌍의 돌출부(150a)와, 보강부재(160a)와, 1쌍의 걸림 볼록부(170a)를 지니고 있다. 본체부(110a)는 단면에서 보아서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체이다. 이 본체부(110a)에는, 삽입 방향(γ)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제2구멍부(111a), (112a)가 제1몸체부(100a)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삽입 방향(γ)의 앞면의 상단부에는, 직사각 형상의 절결부(113a), (114a)(도 3 및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13a), (114a)에는, 차폐 케이스(300)의 저지부(323), (324)가 삽입되어, 해당 절결부(113a), (114a)의 안쪽 측면에 저지부(323), (324)가 전방으로부터 맞닿게 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삽입 방향(γ)의 앞면(몸체부의 제1면)의 중앙부에는, 제1, 제2슬롯(α), (β)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제1, 제2볼록부(120a), (1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제2볼록부(120a), (130a)의 외형은, 도 7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1), (22)의 도시하지 않은 접속 구멍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1, 제2볼록부(120a), (130a)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제1, 제2긴 홈(121a), (131a)이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볼록부(120a), (130a)의 상부면에는, 제1, 제2구멍부(111a), (112a)에 연통하는 복수의 제3, 제4긴 홈(122a), (132a)이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긴 홈(121a), (122a), (131a), (132a)은 삽입 방향(γ)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3긴 홈(122a)은 평면위치적으로 이웃하는 제1긴 홈(121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4긴 홈(132a)은 평면위치적으로 이웃하는 제2긴 홈(131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긴 홈(121a)과 제3긴 홈(122a)은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긴 홈(131a)과 제4긴 홈(132a)은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의 앞면의 중앙 하단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의 보강부재(16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부재(160a)는, 대략 삼각 기둥의 암(arm)부(161a)와, 각진 기둥의 돌기부(162a)를 지니고 있다. 암부(161a)는 본체부(110a)의 앞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삼각 기둥이다. 돌기부(162a)는 암부(161a)의 선단부에 위쪽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각진 기둥이다. 돌기부(162a)가 차폐 케이스(300)의 오목부(312)의 상측 오목부(312a)에 끼워 맞추어지고, 암부(161a)가 해당 오목부(312)의 하측 오목부(312b)에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160a)가 차폐 케이스(300)의 오목부(312)의 일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암부(161a)의 하부면에는, 원주 형상의 1쌍의 걸림 볼록부(17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볼록부(170a)는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 구멍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체부(110a)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제2컨택트(200a), (200b)가 각각 상기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1컨택트(200a)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a)와 접촉부(220a)와 꼬리부(230a)를 지니고 있다. 매설부(210a)는 본체부(110a)에 매설된 아래로 향한 대략 L자 형상의 부위로서, 후단부가 본체부(110a)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접촉부(220a)는, 매설부(210a)의 선단부에 연속하는 직선 형상의 부위로서, 제1볼록부(120a)의 제1긴 홈(121a)에 삽입되어 있다. 꼬리부(230a)는 매설부(210a)의 후단부에 연속되면서도 매설부(210a)의 후단부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린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제2컨택트(200b)는,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b)와 접촉부(220b)와 꼬리부(230b)를 지니고 있다. 이 제2컨택트(200b)는, 접촉부(220b)가 제2볼록부(130a)의 제2긴 홈(131a)에 삽입되어 있는 이외에, 제1컨택트(200a)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컨택트(200b)의 각 부에 대해서, 제1컨택트(200a)와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체부(110a)의 하부면에는 1쌍의 돌출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0a)가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저지면(313), (314)에 전방에서부터 맞닿아 있다. 또한, 본체부(110a)의 삽입 방향(γ)의 후면(몸체부의 제2면)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는 1쌍의 가이드부(140a)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140a)의 상부면은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제1몸체부(100a) 및 이것에 조합된 제2몸체부(100b)의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대한 평행도가 향상하고 있다. 또, 본체부(110a)의 후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구멍부(111a), (112a) 사이와 제2구멍부(112a)의 외측에 끼워맞춤 구멍부(115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몸체부(100b)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수지제의 사출 성형품으로서, 본체부(110b)와 1쌍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와 1쌍의 산 형상부(130b)를 지니고 있다. 본체부(110b)는, 단면에서 보아서 대략 L자 형상의 부위로서, 그 폭치수가 제1몸체부(100a)의 가이드부(140a) 사이의 치수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 제2몸체부(100b)가 제1몸체부(100a)의 가이드부(140a)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삽입 방향(γ)으로 전후로 조합되어 있다. 본체부(110b)의 삽입 방향(γ)의 앞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맞춤 구멍부(115a)에 대응하는 위치에 1쌍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볼록부(120b)는, 원주 형상의 돌기부로서, 제1몸체부(100a)의 끼워맞춤 구멍부(115a)에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끼워맞춤 구멍부(115a)에 끼워 맞춤됨으로써,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본체부(110b)의 삽입 방향(γ)의 후면의 폭방향의 양 단부에는, 1쌍의 산 형상부(1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산 형상부(130b)의 선단부는,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조합된 상태로, 제1몸체부(100a)의 가이드부(140a)보다도 후방으로 돌출하는 높이 치수를 지니고 있다. 이 산 형상부(130b)의 선단부에 차폐 케이스(300)의 대략 L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린 록편(340)이 맞닿고 있다. 이것에 의해, 차폐 케이스(30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록편(340)과, 밑판부(310)의 칸막이부(311), 저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저지부(323), (324)와의 사이에서 끼여 유지되어, 상기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록편(340)은 꺾어 구부리기 전의 곧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110b)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제3, 제4컨택트(200c), (200d)가 각각 폭방향으로 제1, 제2구멍부(111a), (112a)와 같은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3, 제4컨택트(200c), (200d)는 제1, 제2컨택트(200a), (200b)의 위쪽 위치(즉, 다른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3컨택트(200c)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c)와 접촉부(220c)와 꼬리부(230c)를 지니고 있다. 매설부(210c)는 본체부(110b)에 매설된 부위로서, 비스듬히 경사진 중간부와, 이 중간부에 대해서 꺾여 구부러진 선단부와, 상기 중간부에 대해서 꺾어 구부려서, 아래쪽으로 늘어진 후단부를 지니고 있다. 이 매설부(210c)의 선단부 및 중간부가 본체부(110b) 내에 매설되어 있다. 매설부(210c)의 후단부는 본체부(110b)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접촉부(220c)는 매설부(210c)의 선단부에 연속되면서도 본체부(110b)의 앞면으로부터 돌출된 평판이다. 이 접촉부(220c)는 제1접촉부(220a)보다도 제1몸체부(100a)의 본체부(110b)의 들어간 분만큼 길다. 이 접촉부(220c)가 제1몸체부(100a)의 제1구멍부(111a) 및 제3긴 홈(122a)에 삽입되어 있다. 꼬리부(230c)는 매설부(210c)의 후단부에 연속되면서도 매설부(210c)의 후단부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여 구부러진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제4컨택트(200d)는,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가늘고 긴 금속판으로서, 매설부(210d)와 접촉부(220d)와 꼬리부(230d)를 지니고 있다. 이 제4컨택트(200d)는, 접촉부(220d)가 제2볼록부(130a)의 제4긴 홈(132a)에 삽입되어 있는 이외에, 제3컨택트(200c)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4컨택트(200d)의 각 부에 대해서, 제3컨택트(200c)와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긴 홈(121a)에 삽입된 접촉부(220a)와 제3긴 홈(122a)에 삽입된 접촉부(220c)는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3컨택트(200c)의 접촉부(220c)가, 평면위치적으로, 이웃하는 제1컨택트(200a)의 접촉부(22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접촉부(220a), (220c)는, 제1볼록부(120a)와 함께 제1슬롯(α)에 삽입되어, 해당 제1슬롯(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1) 또는 플러그 커넥터(30)의 접속부(31)의 하측, 상측 컨택트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긴 홈(131a)에 삽입된 접촉부(220b)와 제4긴 홈(132a)에 삽입된 접촉부(220d)는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4컨택트(200d)의 접촉부(220d)가, 평면위치적으로, 이웃하는 제2컨택트(200b)의 접촉부(220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접촉부(220b), (220d)는, 제2볼록부(130a)와 함께 제2슬롯(β)에 삽입되어, 해당 제2슬롯(β)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접속부(22) 또는 플러그 커넥터(40)의 접속부(41)의 하측, 상측 컨택트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꼬리부(230a), (230c)는, 하부면이 동일 높이로 되어 있으면서 삽입 방향(γ)으로 전후 2열로 배열되어 있다. 꼬리부(230b), (230d)도 하부면이 동일 높이로 되어 있으면서 삽입 방향(γ)으로 전후 2열로 배열되어 있다. 꼬리부(230a), (230b), (230c), (230d)가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표면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a)에 제1, 제2컨택트(200a), (200b)의 매설부(210a), (210b)를, 제2몸체부(100b)에 제3, 제4컨택트(200c), (200d)의 매설부(210c), (210d)를 삽입 성형에 의해 매설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컨택트(200a), (200b)가 제1몸체부(100a)에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제3, 제4컨택트(200c), (200d)가 제2몸체부(100b)에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제1, 제2컨택트(200a), (200b)의 접촉부(220a), (220b)가 제1몸체부(100a)의 제1, 제2긴 홈(121a), (131a)에 삽입된다.
그 후, 제1, 제2몸체부(100a), (100b)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제2몸체부(100b)의 제3, 제4컨택트(200c), (200d)의 접촉부(220c), (220d)를 제1몸체부(100a)의 제1, 제2구멍부(111a), (112a) 및 제3, 제4긴 홈(122a), (132a)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220a)와 접촉부(220c)가 다른 높이 위치에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고, 접촉부(220b)와 접촉부(220d)가 다른 높이 위치에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것과 함께, 제1몸체부(100a)의 1쌍의 가이드부(140a)에 제2몸체부(100b)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안내시키면서 해당 제2몸체부(100b)를 제1몸체부(100a)의 가이드부(140a) 사이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2몸체부(100b)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제1몸체부(100a)의 끼워맞춤 구멍부(115a)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삽입 방향(γ)으로 전후로 조합되고, 꼬리부(230a), (230c)가 동일 높이에서 또한 삽입 방향(γ)으로 전후 2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꼬리부(230b), (230d)가 동일 높이에서 또한 삽입 방향(γ)으로 전후 2열로 배치된다.
그 후, 제1몸체부(100a)의 보강부재(160a)를 차폐 케이스(300)의 오목부(312)에 삽입하고, 해당 보강부재(160a)의 돌기부(161a)를 오목부(312)의 상측 오목부(312a)에, 암부(162a)를 하측 오목부(312b)에 끼워 맞춘다. 이때, 보강부재(160a)가 오목부(312)에 삽입 방향(γ)으로 안내된다. 이것과 함께, 측판부(330)를 따라서 곧은 상태의 록편(340) 사이에 제1, 제2몸체부(100a), (100b)를 삽입한다. 이때, 제1몸체부(100a)의 폭방향의 양 단부가 록편(340)에 안내되면서,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차폐 케이스(300)의 수용 공간에 후방에서부터 삽입 방향(γ)을 따라서 삽입되어, 제1몸체부(100a)의 제1, 제2볼록부(120a), (130a)가 차폐 케이스(300)의 제1, 제2슬롯(α), (β)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몸체부(100a)의 본체부(110b)의 앞면이 칸막이부(311)에 맞닿는다. 이것과 함께, 제1몸체부(100a)의 돌출부(150a)가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저지면(313), (314)에 각각 맞닿아,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의 저지부(323), (324)가 제1몸체부(100a)의 절결부(113a), (114a)에 삽입되어, 해당 절결부(113a), (114a)의 안쪽 측면에 맞닿는다. 또한, 제1몸체부(100a)의 가이드부(140a)가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록편(340)을 안쪽으로 각각 접어 구부려, 제2몸체부(100b)의 산 형상부(130b)에 각각 맞닿게 한다. 이것에 의해, 록편(340)과, 밑판부(310)의 칸막이부(311), 저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저지부(323), (324)와의 사이에서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끼이게 되어,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차폐 케이스(30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기판(10)에 실장된다. 우선, 차폐 케이스(300) 앞쪽 단자(331)와 뒤쪽 단자(332)를 기판(10)의 상기 관통형 전극에 각각 삽입한다. 이것과 함께, 제1몸체부(100a)의 걸림 볼록부(170a)를 기판(10)의 상기 걸림 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걸리게 한다. 그러면,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외면이 기판(10) 상에 설치되어, 차폐 케이스(300)의 패드(317)가 기판(10)의 1쌍의 그라운드 전극(11)에 각각 접촉하는 동시에, 꼬리부(230a), (230b), (230c), (230d)가 기판(10)의 상기 표면 전극 상에 각각 접촉한다. 그 후, 앞쪽 단자(331)와 뒤쪽 단자(332)를 기판(10)의 상기 관통형 전극에, 패드(317)를 1쌍의 그라운드 전극(11)에, 꼬리부(230a), (230b), (230c), (230d)를 기판(10)의 상기 표면 전극에 각각 납땜한다. 이때, 패드(317)의 제2패드부(317b)와 그라운드 전극(11)에 땜납 필렛(solder fillet)이 형성된다. 또한, 차폐 케이스(300)는, 기판(10)의 상기 관통형 전극 및 그라운드 전극(11)을 통해서, 해당 기판(10)의 그라운드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차폐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보강부재(160a)가 차폐 케이스(300)의 칸막이부(311)의 뒷편의 오목부(312)에 부분적으로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슬롯(α)에 플러그 커넥터(30)의 접속부(31)가 또는 슬롯(β)에 플러그 커넥터(40)의 접속부(41)가 삽입되어, 비집어졌다고 해도, 칸막이부(311) 주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접합부(318)가 빠져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커넥터의 비집어짐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60a)가 제1몸체부(100a)의 본체부(110a)의 앞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몸체부(100a), (100b)를 차폐 케이스(300)에 삽입할 때, 보강부재(160a)를 차폐 케이스(300)의 오목부(312)에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커넥터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외면 및 칸막이부(311)의 뒷편의 오목부(312)의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에, 제1, 제2오목부(315), (316)가 형성된 것뿐이며, 제1, 제2오목부(315), (316)에 구획된 부분이 패드(317)로 되어 있다. 이 패드(317)의 제1패드부(317a)는 밑판부(310)의 외면과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밑판부(310)의 외면을 기판(10) 상에 설치했다고 해도, 밑판부(310)의 외면과 기판(10)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1패드부(317a)는 대략 U자 형상의 제1오목부(315)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땜납 접속 시 땜납이 밑판부(310)의 외면과 기판(10) 사이에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밑판부(310)의 접합부(318)로부터 차폐 케이스(300)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패드(317)의 제2패드부(317b)는 제1패드부(317a)에 대해서 경사져 있으므로, 제2패드부(317b)에 땜납을 도포함으로써, 커다란 땜납 필렛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리셉터클 커넥터의 중앙부의 기판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차폐 케이스(300) 앞쪽 단자(331) 및 뒤쪽 단자(332)가 기판(10)의 관통형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되어 있으므로, 본 리셉터클 커넥터의 양 단부의 기판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체로서 높은 기판 박리 강도를 지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밑판부(310)의 외면과 기판(10)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 높이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드(317)는, 제1, 제2오목부(315), (316)로 둘러싸인 부분이므로, 밑판부(310)의 외면 및 칸막이부(311)의 뒷편의 오목부(312)의 하측 오목부(312b)의 양쪽 내면에, 차폐 케이스의 일부를 잘라서 늘어뜨려서 접속용 단자가 작성되는 경우와 같이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땜납 접속 시 밑판부(310)의 중앙부 및 칸막이부(311)로부터 차폐 케이스(300) 내에 땜납이나 플럭스(flux)가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밑판부(310)의 중앙부 및 칸막이부(311)에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에 의한 차폐 케이스(300)의 비집어짐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리셉터클 커넥터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의 기판(10)에 실장되어, 해당 전자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되는 커넥터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1, 제2몸체부(100a'), (100b')의 형상이 제1, 제2몸체부(100a), (100b)의 형상과 다르고, 또 차폐 케이스(300')의 형상이 차폐 케이스(300)의 형상과 다른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제1, 제2몸체부 및 차폐 케이스의 부호에 대해서는, '를 붙여서 실시예 1의 제1, 제2몸체부 및 차폐 케이스와 구별한다.
차폐 케이스(300')는, 밑판부(310')의 칸막이부(311') 및 오목부(312')의 형상이 실시예 1의 차폐 케이스(300)와 다르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밑판부(310')의 중앙부는,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향한 Y자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만곡부가 차폐 케이스(300')의 내부 공간을 제1, 제2슬롯(α), (β)으로 구분하는 단면이 아래쪽을 향하는 Y자 형상의 칸막이부(311')로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부(311')의 뒷편에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상인 오목부(312')(칸막이부의 오목면)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311') 및 오목부(31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판부(310')의 삽입 방향(γ)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존재하고 있다. 오목부(312')의 양쪽 내면은, 밑판부(310')의 외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밑판부(310')의 외면의 오목부(312')의 양쪽 내면과의 경계부분에는, 제1, 제2단부(315a'), (315b')를 지니는 대략 U자 형상의 제1오목부(3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오목부(315')는 제1, 제2단부(315a'), (315b') 사이의 개방부가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오목부(312')의 양쪽 내면의 밑판부(310')의 외면과의 경계부분에는, 제1오목부(315')의 제1, 제2단부(315a'), (315b')에 연통하는 직사각 형상의 1쌍의 제2오목부(3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제2오목부(315'), (316')에 구획된 부분이 기판(10)의 1쌍의 그라운드 전극(11)에 각각 땜납 접속가능한 패드(317')로 되어 있다. 패드(317')는 제1, 제2패드부(317a'), (317b')를 지닌다. 제1패드부(317a')는 밑판부(310')의 외면에 설치된 부위이다. 제1패드부(317a')의 표면과 밑판부(310')의 외면은 높이 위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즉, 평탄한 상태이다). 제2패드부(317b')는 오목부(312')의 양쪽 내면에 설치된 부위로서, 제1패드부(317a')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2패드부(317b')의 표면과 오목부(312')의 양쪽 내면과는 높이 위치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즉, 평탄한 상태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2 중, (318')는 접합부, (320')는 천판부, (330')는 측판부, (340')는 록편, (321'), (322')는 걸림편, (323'), (324')는 저지부, (331')는 앞쪽 다리부, (332')는 뒤쪽 다리부이다.
제1몸체부(100a')는, 본체부(110a')의 제2구멍부(112a') 및 제4긴 홈(132a')의 배열, 본체부(110a')의 끼워맞춤 구멍부(115a')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 본체부(110a')에 끼워맞춤 볼록부(116a')가 새롭게 설치되어 있는 점, 보강부재(160a')의 형상 및 1쌍의 걸림 볼록부(170a')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가 실시예 1의 제1몸체부(100a)와 다르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제2구멍부(112a') 및 제4긴 홈(132a')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10a')에 해당 제2구멍부(112a') 및 제4긴 홈(132a')의 열의 한 가운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4컨택트(200d)의 매설부(210d)도, 제2몸체부(100b')의 본체부(110b')에 해당 제4컨택트(200d)의 열의 한 가운데에 간격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보강부재(160a')는 본체부(110a)의 앞면에 돌출 설치된 대략 삼각 기둥형상의 돌출부이다. 보강부재(160a')의 길이 치수는 오목부(312')의 삽입 방향(γ)의 길이 치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보강부재(160a')는 오목부(312')의 전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또한, 걸림 볼록부(170a')는 1쌍의 가이드부(140a')의 하부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볼록부(170a')도 기판(10)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 구멍에 각각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16a')는, 본체부(110a')의 삽입 방향(γ)의 후면의 중앙부에 돌출 설치된 입방체 형상의 돌기이다. 이 끼워맞춤 볼록부(116a')의 후면에 1쌍의 끼워맞춤 구멍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 중, (120a')는 제1볼록부, (130a')는 제2볼록부, (150a')는 돌출부, (111a')는 제1구멍부, (113a'), (114a')는 오목부, (121a')는 제1긴 홈, (122a')는 제2긴 홈, (131a')는 제3긴 홈이다.
제2몸체부(100b')는, 본체부(110b')의 삽입 방향(γ)의 앞면의 중앙부에 끼워맞춤 오목부(111b')가 새롭게 형성되어 있는 점 및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가 실시예 1의 제2몸체부(100b)와 다르다. 이하,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끼워맞춤 오목부(111b')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움푹 패인 곳으로서, 끼워맞춤 볼록부(116a')가 끼워 넣어져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부(111b')의 밑면에는, 1쌍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끼워맞춤 볼록부(116a')의 후면의 끼워맞춤 구멍부(115a')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또한, 본체부(110b') 및 산 형상부(130b')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의 상부면에 맞닿아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a')에 제1, 제2컨택트(200a), (200b)의 매설부(210a), (210b)를, 제2몸체부(100b')에 제3, 제4컨택트(200c), (200d)의 매설부(210c), (210d)를 삽입 성형에 의해 매설한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컨택트(200a), (200b)가 제1몸체부(100a')에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제3, 제4컨택트(200c), (200d)가 제2몸체부(100b')에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제1, 제2컨택트(200a), (200b)의 접촉부(220a), (220b)가 제1몸체부(100a')의 제1, 제2긴 홈(121a'), (131a')에 삽입된다.
그 후, 제1, 제2몸체부(100a'), (100b')를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제2몸체부(100b')의 제3, 제4컨택트(200c), (200d)의 접촉부(220c), (220d)를 제1몸체부(100a')의 제1, 제2구멍부(111a'), (112a') 및 제3, 제4긴 홈(122a'), (132a')에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220a)와 접촉부(220c)가 다른 높이 위치에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되고, 접촉부(220b)와 접촉부(220d)가 다른 높이 위치에서 물떼새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것과 함께, 제1몸체부(100a')의 1쌍의 가이드부(140a')에 제2몸체부(100b')의 폭방향의 양 단부를 안내하면서, 해당 제2몸체부(100b')를 제1몸체부(100a')의 가이드부(140a') 사이에 삽입한다. 그러면, 제1몸체부(100a')의 끼워맞춤 볼록부(116a')가 제2몸체부(100b')의 끼워맞춤 오목부(111b')에 끼워 넣어지는 동시에, 제2몸체부(100b')의 끼워맞춤 볼록부(120b')가 제1몸체부(100a')의 끼워맞춤 구멍부(115a')에 각각 끼워 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삽입 방향(γ)으로 전후로 조합되어, 꼬리부(230a), (230c)가 동일 높이로 또한 삽입 방향(γ)으로 전후 2열로 배치되는 동시에, 꼬리부(230b), (230d)가 동일 높이로 또한 삽입 방향(γ)으로 전후 2열로 배치된다.
그 후, 제1몸체부(100a')의 보강부재(160a')를 차폐 케이스(300')의 오목부(312')에 끼워 맞춤시킨다. 이때, 보강부재(160a')가 오목부(312')에 삽입 방향(γ)으로 안내된다. 이것과 함께, 측판부(330')를 따라서 곧은 상태의 록편(340') 사이에, 제1, 제2몸체부(100a'), (100b')를 삽입한다. 이때, 제1몸체부(100a')의 폭방향의 양 단부가 록편(340')에 안내되면서,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차폐 케이스(300')의 수용 공간에 후방에서부터 삽입 방향(γ)을 따라서 삽입되고, 제1몸체부(100a')의 제1, 제2볼록부(120a'), (130a')가 차폐 케이스(300')의 제1, 제2슬롯(α), (β)에 삽입된다. 그러면, 제1몸체부(100a')의 본체부(110b')의 앞면이 칸막이부(311')에 맞닿는다. 이것과 함께, 제1몸체부(100a')의 돌출부(150a')가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저지면(313'), (314')에 각각 맞닿고,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의 저지부(323), (324')가 제1몸체부(100a')의 절결부(113a'), (114a')에 삽입되어, 해당 절결부(113a'), (114a')의 안쪽 측면에 맞닿는다. 또한, 가이드부(140a'), 본체부(110b') 및 산 형상부(130b')의 상부면이 차폐 케이스(300')의 천판부(320')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록편(340')을 안쪽으로 각각 꺾어 구부려서, 제2몸체부(100b')의 산 형상부(130b')에 각각 맞닿게 한다. 이것에 의해, 록편(340')과, 밑판부(310')의 칸막이부(311'), 저지면(313'), (314') 및 천판부(320')의 저지부(323'), (324')와의 사이에서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끼여 유지되어, 제1, 제2몸체부(100a'), (100b')가 차폐 케이스(30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기판(10)에 실장된다. 우선, 차폐 케이스(300')의 앞쪽 단자(331')와 뒤쪽 단자(332')를 기판(10)의 상기 관통형 전극에 각각 삽입한다. 이것과 함께, 제1몸체부(100a')의 걸림 볼록부(170a')를 기판(10)의 상기 걸림 구멍에 각각 삽입해서 걸어 고정시킨다. 그러면,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외면이 기판(10) 상에 설치되어, 차폐 케이스(300')의 패드(317')가 기판(10)의 1쌍의 그라운드 전극(11)에 각각 접촉한다. 이것과 함께, 꼬리부(230a), (230b), (230c), (230d)가 기판(10)의 상기 표면 전극 상에 각각 접촉한다. 그 후, 앞쪽 단자(331')와 뒤쪽 단자(332')를 기판(10)의 상기 관통형 전극에, 패드(317')를 1쌍의 그라운드 전극(11)에, 꼬리부(230a), (230b), (230c), (230d)를 기판(10)의 상기 표면 전극에 각각 납땜한다. 이때, 패드(317')의 제2패드부(317b')와 그라운드 전극(11)에 땜납 필렛이 형성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한 경우, 보강부재(160a')가 차폐 케이스(300')의 칸막이부(311')의 뒷편의 오목부(312')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슬롯(α)에 플러그 커넥터(30)의 접속부(31)가 또는 슬롯(β)에 플러그 커넥터(40)의 접속부(41)가 삽입되어, 비집어졌다고 해도, 칸막이부(311') 주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접합부(318')가 빠져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보강부재(160a')가 오목부(312')의 전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으므로, 실시예 1의 커넥터보다도 본 커넥터의 비집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60a')가 제1몸체부(100a')의 본체부(110a')의 앞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제2몸체부(100a'), (100b')를 차폐 케이스(300')에 삽입할 때, 보강부재(160a')를 차폐 케이스(300')의 오목부(312')에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커넥터의 조립 공정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기타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1의 리셉터클 커넥터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차폐 케이스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된 것으로 했지만, 도전성을 지니는 통 형상체로서, 그 내부 공간에 몸체부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차폐 케이스는, 절연 수지나 세라믹 재료 등의 절연 재료를 통 형상으로 해서 그 외면에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을 증착시킨 것이나,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을 통 형상으로 주조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예 1 및 2에서는, 밑판부의 만곡부가, 차폐 케이스의 안쪽으로 만곡되고, 차폐 케이스의 밑판부의 삽입 방향의 선단부(제1단부)로부터 후단부(제2단부)까지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면서 차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제1, 제2슬롯으로서 칸막이하는 칸막이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 만곡부는 차폐 케이스의 일부가 안쪽으로 만곡되면서 상기 몸체부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만곡부는 천판부나 측판부에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차폐 케이스의 밑판부, 천판부 또는 측판부의 삽입 방향의 선단부(제1단부)로부터 후단부(제2단부)에 걸친 전역에 연장되어 존재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더욱이, 도 13에 나타낸 커넥터와 같이, 차폐 케이스(300")의 밑판부(310")의 만곡부를 상대방 커넥터의 키 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키 부분(311")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키 부분(311")은 상기 키 홈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키 홈을 지니고 있지 않은 커넥터나 다른 키 홈을 지니는 커넥터의 착오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곡부를 키 부분(311")으로서 이용했다고 해도, 키 부분(311")의 뒷편의 오목부(312")의 적어도 일부에 몸체부(100")의 본체부(110")의 삽입 방향의 앞면에 돌출 설치된 보강부재(160")가 끼워 맞춤됨으로써, 키 부분(311")을 보강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칸막이부나 키 부분으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을 필요는 없고, 그 밖의 역할을 지니고 있는 것이나 특별한 역할을 지니고 있지 않고, 설계상 차폐 케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3 중, (320")는 천판부, (330")는 측판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보강부재가 만곡부의 뒷편의 오목부의 일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실시예 2에서는, 보강부재가 칸막이부의 뒷편의 오목부의 전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으로 했지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만곡부의 뒷편의 오목부의 일부에 적어도 끼워 맞추어져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부재(160a"')의 삽입 방향(γ)의 길이 치수를 오목부(312')의 삽입 방향(γ)의 길이 치수보다 짧게 하여, 보강부재(160a"')가 오목부(312')의 일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보강부재는 제1몸체부의 삽입 방향의 앞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몸체부와 별체의 보강부재를 만곡부의 뒷편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금속 재료나 세라믹 재료 등의 몸체부보다도 단단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몸체부에 뚫어 설치한 구멍에 압입시키거나, 몸체부에 삽입 성형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몸체부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차폐 케이스는 제1, 제2슬롯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도 13에 나타낸 커넥터와 같이, 차폐 케이스(300"')가 하나의 슬롯(α")을 지닌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차폐 케이스에 복수개의 만곡부를 마련하거나, 별도 작성한 칸막이판을 차폐 케이스 내에 부착하거나, 만곡부 및 칸막이판의 쌍방을 이용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3개 이상의 슬롯을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폐 케이스가 복수개의 슬롯을 지니는 구성일 경우더라도, 상기 칸막이판을 이용해서 차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하여, 차폐 케이스의 만곡부를 키 부분 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패드를 구획하는 제1, 제2오목부가 밑판부의 외면과 오목부의 하측 오목부의 양쪽 내면과의 경계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1, 제2오목부는, 차폐 케이스의 제1면과 이 제1면에 연속하고 있으면서 해당 제1면에 대해서 경사 또는 직각인 제2면과의 경계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한 어떤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차폐 케이스의 측판부의 외면을 밑판부의 외면에 대해서 경사 또는 직각으로 하고, 제1, 제2오목부를 상기 밑판부의 외면 및 상기 측판부의 외면의 경계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제2오목부는, 대략 직사각 형상인 것으로 했지만, 제1오목부의 제1, 제2단부에 연통하는 한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오목부를 만곡시켜, 그 선단부끼리 연통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나타낸 패드는, 그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오목부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제1, 제2오목부 및 패드는, 필요 없다면,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차폐 케이스는 1쌍의 앞쪽 단자 및 뒤쪽 단자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쪽 단자 및 뒤쪽 단자는 생략가능하고, 또한, 앞쪽 단자 및 뒤쪽 단자의 어느 한쪽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제1, 제2몸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적어도 1개의 몸체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컨택트에 대해서도 적어도 1종류의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컨택트는, 몸체부에 매설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몸체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컨택트의 꼬리부는, 삽입 방향으로 전후 2열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일렬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꼬리부를 늘어뜨려, 기판의 관통형 전극에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개수나 치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슬롯은, HDMI 타입 D에, 제2슬롯은 HDMI 이외의 규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했지만, 상기 제1, 제2슬롯은, 타입 D 이외의 HDMI의 규격, HDMI 이외의 규격, 또한, 상대측 커넥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제2슬롯의 내형을 동일하게 하여, 동일한 상대측 커넥터가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뿐만 아니라, 기판의 단부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전자기기로서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기판 20: 플러그 커넥터
30: 플러그 커넥터 40: 플러그 커넥터
100a: 제1몸체부 160a: 보강부재
100b: 제2몸체부 200a: 제1컨택트
200b: 제2컨택트 200c: 제3컨택트
200d: 제4컨택트 300: 차폐 케이스
310: 밑판부 311:칸막이부(만곡부)
312: 오목부(칸막이부의 오목면) 318: 접합부

Claims (7)

  1. 절연성을 지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된 컨택트(contact);
    상기 몸체부가 삽입된 통 형상의 차폐 케이스; 및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차폐 케이스는, 밑판부와, 상기 밑판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몸체부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만곡부와,
    해당 만곡부의 뒷편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밑판부의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오목부의 적어도 일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전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삽입 방향의 앞면과, 상기 삽입 방향의 상기 앞면과는 반대쪽에 있는 후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앞면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차폐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제1, 제2슬롯으로서 칸막이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대방 커넥터의 키 홈에 삽입가능한 키 부분인 것인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는, 통형상으로 꺾여 구부러진 도전성을 지니는 판이며, 또한 해당 판의 단부끼리가 접속된 접합부를 또 가지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외부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 구비하고 있는 전자기기.
KR1020110010505A 2010-03-26 2011-02-07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763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72566 2010-03-26
JP2010072566A JP5388922B2 (ja) 2010-03-26 2010-03-26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JP-P-2010-116038 2010-05-20
JP2010116038A JP5525332B2 (ja) 2010-05-20 2010-05-20 シールドケース、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0117367A JP5657277B2 (ja) 2010-05-21 2010-05-21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JP-P-2010-117367 2010-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44A KR20110108244A (ko) 2011-10-05
KR101763431B1 true KR101763431B1 (ko) 2017-07-31

Family

ID=4426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505A KR101763431B1 (ko) 2010-03-26 2011-02-07 커넥터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41064B2 (ko)
EP (1) EP2369692B1 (ko)
KR (1) KR101763431B1 (ko)
CN (1) CN102201628B (ko)
TW (1) TWI5083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2266B2 (en) * 2012-02-28 2014-06-03 Creston Electronics Inc. Hi-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asket with fingers
CN203288827U (zh) * 2012-04-28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TWM489394U (en) * 2014-05-08 2014-11-01 Advanced Connectek Inc Micro-plug electrical connector
CN206225604U (zh) 2016-09-22 2017-06-0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复合式连接器
CN206236856U (zh) * 2016-09-22 2017-06-0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复合式连接器
JP2019003902A (ja) 2017-06-19 2019-01-10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207949A (zh) * 2019-07-31 2022-03-1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板对板连接器
CN111048925B (zh) * 2019-12-30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卡座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97899Y (zh) * 2009-03-05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0682U (ko) * 1989-05-22 1990-12-27
US5772453A (en) * 1996-10-01 1998-06-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ide-by-side dual port USB connector
JP2002015816A (ja) * 2000-06-28 2002-01-18 Honda Tsushin Kogyo Co Ltd 雌型コネクタ
TW470239U (en) * 2000-10-20 2001-12-21 Hon Hai Prec Ind Co Ltd Socket connector
JP3761428B2 (ja) * 2001-07-04 2006-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3012928A1 (en) 2001-08-01 2003-02-13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nsert molded terminal modules
TW553545U (en) 2001-09-25 2003-09-11 Molex Inc High speed transmission connector
CN2665986Y (zh) * 2003-08-27 2004-12-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7172907A (ja) * 2005-12-20 2007-07-05 Hosiden Corp 複合型コネクタ
JP4623584B2 (ja) * 2005-12-28 2011-0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004302A (ja) 2007-06-25 2009-0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US7682172B2 (en) * 2007-11-29 2010-03-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SD protection
US7604490B2 (en) * 2007-12-05 2009-10-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 piece
JP2011519463A (ja) 2008-02-26 2011-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インピーダンス制御電気コネクタ
JP4519181B2 (ja) 2008-05-14 2010-08-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1673903B (zh) * 2008-09-09 2013-05-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CN101740951B (zh) * 2008-11-25 2012-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039118B2 (ja) * 2009-11-27 2012-10-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97899Y (zh) * 2009-03-05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37127A1 (en) 2011-09-29
US8241064B2 (en) 2012-08-14
TWI508393B (zh) 2015-11-11
CN102201628B (zh) 2015-03-11
CN102201628A (zh) 2011-09-28
EP2369692A1 (en) 2011-09-28
KR20110108244A (ko) 2011-10-05
TW201212421A (en) 2012-03-16
EP2369692B1 (en)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431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78886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760520B1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KR101646793B1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1087963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95409B1 (ko) 실드케이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전자기기
US10063018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pace-saving metal shell
US992951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lic shielding plate unitarily formed with verticla board
US2010026138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7010429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water-proof function
JP5525332B2 (ja) シールドケース、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5657277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0135166B2 (en) Symmetric dual beam contact
JP200927220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1189463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ucture to secure a shield to an insulating body
KR20240027559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JPH1120418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