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24A -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324A
KR20050065324A KR1020040107899A KR20040107899A KR20050065324A KR 20050065324 A KR20050065324 A KR 20050065324A KR 1020040107899 A KR1020040107899 A KR 1020040107899A KR 20040107899 A KR20040107899 A KR 20040107899A KR 20050065324 A KR20050065324 A KR 20050065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mirror
led
reflec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825B1 (ko
Inventor
후루야가오리
이와타치하루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직사 타입이기 때문에, 눈부시게 강한 빛 밖에 얻을 수 없는 점에 있다.
(해결수단) LED(17)로부터의 빛을 일단 반사면(21)의 평면반사면(22) 및 곡면반사면(23)에서 반사시켜서, 그 뒤 램프 렌즈(14)의 광 투과부(20)로부터 외부로 간접 조사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직접 조사 타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램프 렌즈(14)의 광투과부(20)가 거의 전면에 걸쳐서 발광하고, 또한, 눈부시지 않은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종래부터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특허문헌2, 특허문헌3). 이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또한, 이중 괄호가 붙은 부호는, 특허문헌1, 특허문헌2, 특허문헌3에 각각 대응한다. 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창부((5, 4, 106))를 가지는 미러 하우징((2, 2, 102))과, 상기 미러 하우징((2, 2, 102))의 내측에 장비된 조명 장치((3, 12, 104))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조명장치((3, 12, 104))의 LED 등의 광원((8, 15, 40))을 점등 발광시키면, LED 등의 광원((8, 15, 40))으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직접 조사된다. 이에 따라, 미러 하우징((2, 2, 102)) 중 조명 장치((3, 12, 104))의 개소가 발광한다. 상기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조명장치((3, 12, 104))는, 장식광을 발광시키거나, 또는/및, 신호등 등의 턴 램프 기능을 작용하거나 한다.
그런데, 상기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LED 등의 광원((8, 15, 40))으로부터의 빛을 외부로 직접 조사하는 직사 타입의 조명장치((3, 12, 104))를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LED 등의 광원((8, 15, 40))이 점등 발광 시에 있어서 점발광하고, 또한, 빛이 번쩍번쩍하는 눈부시게 강한 빛인 점 등, 외관상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1:일본국 특개2002-19519호 공보)
(특허문헌2:일본국 특개2002-96684호 공보)
(특허문헌3:일본국 특개2002-36222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LED 등의 광원((8, 15, 40))이 점등 발광시에 있어서 점발광하고, 또한, 빛이 번쩍번쩍하는 눈부시게 강한 빛인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미러 하우징의 내측에 장비된 조명장치가 하기의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조명 장치의 램프 렌즈에 광원이 고정되어 있고, 이 램프 렌즈 중 광원이 고정되어 있는 개소에 광 불투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램프 렌즈 중 광원이 고정되어 있는 개소 이외의 개소에 광 투과부가 설치되어 있고, 한편, 조명 장치의 램프 하우징에,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서 광 투과부에서 외부로 조사시키는 반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 중의 4예를 도면을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도 1∼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1를 도시한다. 이하, 이 실시예1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F」는, 자동차(차량)(C)의 전방측(자동차(C)의 전진 방향측)을 나타낸다. 부호「B」는, 자동차(C)의 후방측을 나타낸다. 부호「I」는, 자동차(C)의 내측(중앙측)을 나타낸다. 부호「O」는, 자동차(C)의 외측(측방측)을 나타낸다. 부호「U」는, 드라이버측에서 전방측을 본 상측을 나타낸다. 부호「D」는, 드라이버측에서 전방측을 본 하측을 나타내다. 부호 「L」은, 드라이버측에서 전방측을 본 경우의 좌측을 나타낸다. 부호「R」은, 드라이버측에서 전방측을 본 경우의 우측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이 실시예1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로서, 이 예에서는 자동차용의 도어 미러이다. 상기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C)의 좌우의 도어(D)에 각각 장비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D)에 고정되는 베이스(2)와, 상기 베이스(2)에 설치된 샤프트(도시 생략)와, 상기 샤프트에 전동 격납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비된 미러 어셈블리(3)를 구비한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상기 전동 격납 기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2)에 대하여, 사용 위치(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상태의 위치)와 후방 격납 위치(도시 생략)와의 사이를 전동 회전한다. 또,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상기 전동격납 기구의 클러치 작용에 의해, 완충을 위해, 전방측(F) 및 후방측(B)으로 회전한다.
상기 미러 어셈블리(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또는, 미러바디, 미러 커버)(4)을 갖는다. 상기 미러 하우징(4)은, 후방측(B)에서 외측(O)에 걸친 부분(5)이 폐쇄되고, 또한, 전방측(F)의 부분(6)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4)내에는, 파워 유닛(도시 생략)을 통해 미러 유닛(7)이 상하 좌우로 경동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상기 미러 유닛(7)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 바디(8)와, 상기 미러 바디(8)를 유지하는 미러 홀더(9)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미러 홀더(9)가 상기 파워 유닛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미러 바디(8)의 반사면은, 상기 미러 하우징(4)의 개구부(6)에 상하좌우로 경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미러 유닛(7)이 좌우로 경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1, 도 4, 도 5,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하우징(4)의 폐쇄부(5) 상하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거의 중간에서 외측(O)에 걸친 개소에는,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창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러 하우징(4)의 창부(10)에는, 조명 장치(11)(이하, 램프 유닛(11)으로 칭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11)은, 상기 미러 하우징(4)의 내측에 장비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1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부(10)와 마찬가지로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룬다. 또, 상기 램프 유닛(11)은,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실(12)을 구획하는 램프 하우징(13) 및 램프 렌즈(14)를 갖는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14) 상하방향의 중간부에는, 볼록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부(15)는, 상기 창부(10)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형상은, 도 1,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러 하우징(4)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을 이룬다. 그 결과,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외면과 상기 미러 하우징(4)의 외면은, 거의 면 일치가 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내면(상기 등실(12)과 대향하는 면)에는, 글래스 에폭시 수지등의 플렉시블 기판(16)의 이면(裏面)이 상기 램프 렌즈(14)의 단면형상을 따라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기판(16)의 표면에는, 광원으로서의 복수개의 LED(17)가 거의 등간격으로 표면실장 되어 있다. 상기 LED(17)의 표면실장은, 플렉시블 기판(16)의 표면에 LED(17)의 에폭시 수지 등의 칩을 본딩하고, 이 칩을 투명수지의 렌즈로 덮고, 이 렌즈를 플렉시블 기판(16)의 표면에 고정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LED(17)는, 주로 장식광을 발광시키는 것이다.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 중 상기 플렉시블 기판(16) 및 상기LED(17)가 고정되어 있는 개소에는, 광 불투과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 불투과부(18)는,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내면에 알루미늄 도장이나 알루미늄 증착이나 은도장 등을 행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광 불투과부(18)의 알루미늄 도장이나 알루미늄 증착이나 은도장 등은, 도 7 중 굵은 실선으로 나타나 있고, 도 7 중의 화살표의 범위, 및, 도 9 중 상기 플렉시블 기판(16)과 함께 굵은 실선으로 나타나 있으며, 도 9 중의 화살표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외면 중 상기 광 불투과부(18)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장식용의 프리즘군(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리즘군(19)은, 도면 중에 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광 불투과부(18) 및 상기 프리즘군(19)은,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 상하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 중 상기 플렉시블 기판(16), 상기LED(17), 상기 광 불투과부(18), 상기 프리즘군(19)이 설치되어 있는 개소 이외의 개소에는, 광 투과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 투과부(20)는, 장식용 색(램프 렌즈(14)의 색), 스모크(반투명색), 호닝 등을 행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광 투과부(20) 장식용 색, 스모크, 호닝 등은, 상기 광 불투과부(18) 이외의 범위로서, 도 10 중의 화살표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 투과부(20)는, 상기 광 불투과부(18)에 대응하는 개소를 마스킹하고 나서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광 불투과부(18)는, 상기 광 투과부(20)를 설치한 후에, 상기 마스킹 개소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광 투과부(20)는,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상기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상기 광 불투과부(18) 및 상기 프리즘군(19)의 상하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룬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하우징(13) 상하방향의 중간부의 내면(등실(12)에 대항하는 면)에는, 반사면(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면(21)은, 상기 LED(17)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광 투과부(20)에서 외부로 조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반사면(2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LED(17)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반사면(21)은, 도 1,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라미드 형상(정방형의 4각뿔형상)의 평면반사면(22)과, 상기 LED(17)의 발광점을 거의 초점으로 하는 회전 포물면의 곡면반사면(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 유닛(11)에는, 턴 램프 기능용의 2개의 LED(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LED(2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유닛(11)의 전방측(F)으로부터 외측(O)의 곡면부의 등실(12)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램프 렌즈(14)의 외측(O)의 부분에는, 상기 LED(24)로부터의 빛(도 11 중의 실선 화살표로 나타냄)을 배광 제어하는 프리즘(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램프 렌즈(14) 중 상기 배광 제어용의 프리즘(25)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광 투과부(20)의 스모크 등이 행해져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상기 램프 유닛(11)은, 상기 램프 하우징(13)과, 상기 램프 렌즈(14)와, 상기 LED(17)와, 상기 광 불투과부(18)와, 상기 광 투과부(20)와, 상기 반사면(21)과, 상기 LED(24)로 구성되어 있는 유닛 구조를 이룬다.
이하, 이 실시예1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1의 도어 미러(1))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LED(17, 24)가 소등 비발광 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인다. 이 때에 있어서는, 프리즘군(19)이 설치되어 있는 광 불투과부(18)가 발광할 것처럼 보이고, 또, 스모크 등이 행해져 있는 광 투과부(20)가 빛나지 않을 것처럼 보인다.
여기에서, LED(17)를 점등 발광시킨다. 그러면, LED(17)로부터의 빛은, 반사면(21)의 평면반사면(22) 및 곡면반사면(23)에서 반사된다. 이 반사광은, 광 불투과부(18)에 있어서는 투과할 수 없으므로, 광 불투과부(18)는, 발광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반사광은, 광투과부(20)를 투과하므로, 광투과부(20)는, 전면(全面)에 걸쳐서 발광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인다. 즉, 상하 2개의 좌우로 가늘고 긴 장식광의 빛 줄기가 보이는 것이 된다.
또, LED(24)를 점등 발광시킨다. 그러면, LED(24)로부터의 빛은, 도 11의 실선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렌즈(14)의 배광 제어용의 프리즘(25)을 투과해서 외부에 소정의 범위로 배광 제어되어 조사된다. 상기의 LED(24)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범위는, 도 2 및 도 3 중의 사선을 그은 범위이다. 이 범위는, 턴 램프기능의 배광을 만족하는 범위이다. 여기에서, 도 2 중의 자동차(C)의 진행축V-V에 대하여 θ1은 60°, θ2는 5°, 또, 도 3 중의 자동차(C)의 수평축H-H θ3은 15°이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LED(17)에 의한 장식광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LED(24)에 의한 턴 램프 기능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는, 자동차(C)의 좌측(L)의 도어(D)에 장비되어 있는 도어 미러(1)에 의한 배광범위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자동차(C)의 우측(R)의 도어(D)에 장비되어 있는 도어 미러(1)에 관해서도 동일한 배광범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에 있어서, LED(17, 24)은, 노란색 또는 호박색의 빛을 발광하는 LED, 또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를 사용한다. 백색광을 발광하는 LED를 사용할 경우에는, 램프 렌즈(14)를 노란색 혹은 호박색의 착색 렌즈를 사용한다.
이하,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실시예1의 도어 미러(1))의 효과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LED(17)로부터의 빛을 일단 반사면(21)의 평면반사면(22) 및 곡면반사면(23)에서 반사시켜서, 그 뒤 램프 렌즈(14)의 광 투과부(20)로부터 외부로 간접조사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간접 조사 타입의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직접 조사 타입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해서, 램프 렌즈(14)의 광 투과부(20)가 거의 전면에 걸쳐 발광하고, 또한, 눈부시지 않는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램프 렌즈(14) 중 LED(17)가 고정된 개소가 광 불투과부(18)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램프 렌즈(14)를 통해 등실(12)내를 보아도, 플렉시블 기판(16)이나 LED(17)가 광 불투과부(18)에 의해 숨겨져 보이지 않으므로, 더욱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램프 렌즈(14)에 광 불투과부(18)와 광투과부(20)를 설치하고, 더군다나,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광 불투과부(18)에 프리즘군(19)을 설치하고, 광 투과부(20)에 스모크 등을 행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LED(17)가 소등 비발광 시에 있어서, 프리즘군(19)을 설치하고 있는 광 불투과부(18)가 빛날 것처럼 보이고, 또, 스모크 등을 행하고 있는 광투과부(20)가 빛날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실제로는, LED(17)의 점등 발광시에 있어서, 빛날 것으로 생각되는 프리즘군(19)을 설치하고 있는 광 불투과부(18)가 빛나지 않고, 빛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스모크 등을 행하고 있는 광 투과부(20)가 빛난다. 그 결과,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LED(17)의 소등 불발광 시의 램프 렌즈(14)의 광 불투과부(18)의 발광 예상과, LED(17)의 점등 발광 시의 램프 렌즈(14)의 광 투과부(20)의 실제 발광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의외성에 의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조명 장치의 의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광 불투과부(18)에 프리즘군(19)을 설치하고, 광 투과부(20)에 스모크 등을 행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의 의외성에 의한 의장효과는 크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 불투과부(18)나 광 투과부(20)에 프리즘군(19)이나 스모크 등을 설치하거나 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조명 장치가 램프 유닛(11)으로서 유닛 구조를 이루므로, 미러 하우징(4)에 창부(10)를 형성하면, 램프 유닛(11)을 여러가지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램프 유닛(11)의 범용성, 공통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램프 렌즈(14)에 고정된 플렉시블 기판(16)에 LED(17)를 표면실장한 것이기 때문에, 램프 유닛(11)을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램프 유닛(11)이 미러 하우징(4)으로부터 튀어 나오지 않고 미러 하우징(4)의 외형면을 따를 수 있다. 더군다나, LED(17)를 플렉시블 기판(16)에 의해 램프 렌즈(14)의 외형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더욱이 또,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복수개의 LED(17)의 각각에 대응해서 평면반사면(22)과 곡면반사면(23)과의 복합 반사면(21)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LED(17)로부터의 빛을 유효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고, 광투과부(20)에 있어서 퍼짐이 있는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또,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턴 램프 기능용의 LED(24)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턴 램프 기능도 겸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턴 램프 기능을 만족하는 범위(도 2 및 도 3 중의 사선이 그어져 있는 범위)를 조명하기 위해서는, 도어 미러(1)의 전방측(F)으로부터 외측(O)에 걸쳐서의 곡면부에 조명 수단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미러(1)에 있어서, 미러 유닛(7)이 경동한다. 이 때문에, 이 미러 유닛(7)의 경동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명 수단(LED(24) 등)을 곡면부로부터 외측(O)으로 튀어 나온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조명 수단이 도어 미러(1)(미러 하우징(4))의 외면(의장)으로부터 삐져 나온 형상이 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이 실시예1의 도어 미러(1)는, 램프 렌즈(14)에 배광 제어용의 프리즘(25)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LED(24)를 미러 하우징(4)의 곡면부로서, 미러 유닛(7)의 경동의 방해가 되지 않는 전방측(F)의 위치에 배치해서 램프 렌즈(14)를 미러 하우징(4)의 외면(의장)을 따르게 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턴 램프기능의 배광범위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도 13∼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2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12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2의 도어 미러(1A)는, 상기의 실시예1의 도어 미러(1)에 대하여, 턴 램프기능의 LED(24)를 없애고, 또한, 반사면(26)의 구조를 변경한 것이다. 상기 반사면(26)은, 복수개의 LED(17)를 따라 설치된 산형태의 평면반사면(27) 및 계곡형태의 평면반사면(28)과, 상기 복수개의 LED(17)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LED(17)의 발광점을 거의 초점으로 하는 회전 포물면의 곡면반사면(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산형태의 평면반사면(27)은, 상기 LED(17)로부터의 빛을 반사광(L1)으로서 곡면반사면(29)측에 반사시킨다. 상기 계곡형태의 평면반사면(28)은, 상기LED(17)로부터의 빛을 반사광(L2)으로서 외부로 반사시킨다. 상기 곡면반사면(29)은, 상기 LED(17)로부터의 빛을 평행광의 반사광(L3)으로서, 또 상기 산형태의 평면반사면(27)으로부터의 반사광(L1)을 반사광(L4)으로서 각각 외부로 반사시킨다.
이 실시예2의 도어 미러(1A)는, 상기의 실시예1의 도어 미러(1)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 할 수 있다. 게다가, 반사면(26)은, 산형태의 평면반사면(27)으로부터의 반사광(L1)과, 계곡형태의 평면반사면(28)로부터의 반사광(L2)과, 곡면반사면(29)로부터의 반사광(L3, L4)과의 복합 반사에 의해, LED(17)로부터의 빛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2의 도어 미러(1A)는, 턴 램프기능의 LED(24)를 없앤 것으로도 되고, 미러 하우징(4)의 곡면부의 외측(B)에 대응하는 곡면반사면(29)의 광축(ZB)은, 미러 하우징(4)의 전방측(F)에 대응하는 다른 곡면반사면(29)의 광축(ZF)에 대하여, 후방측(B)을 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식용의 LED(17)로 턴 램프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도 17은, 상기의 실시예2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16과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2의 변형예의 도어 미러(1B)는, 상기의 실시예2의 도어 미러(1A)에 대하여, 등실(12)내에 이너 렌즈(30)를 배치하고, 상기 이너 렌즈(30)에 플렉시블 기판(16)을 통해 LED(17)가 고정되어 있다. 이 변형예의 도어 미러(1B)는, 상기의 실시예1, 2의 도어 미러(1, 1A)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3을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17과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3의 도어 미러(1C)는, 상기의 실시 예1, 2, 변형예의 도어 미러(1, 1A, 1B)에 대하여,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상측부분(또는, 하측부분)에 플렉시블 기판(16)을 통해 LED(17)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램프 하우징(13)에 복수개의 LED(17)의 각각에 대응하는 예를들면 회전 포물면의 편방의 곡면반사면(31)을 설치한다.
이 실시예3의 도어 미러(1C)는, 상기의 실시예1, 2, 변형예의 도어 미러(1, 1A, 1B)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3의 도어 미러(1C)는, 플렉시블 기판(16)이나 LED(17)가 미러 하우징(4)의 이면측에 위치하므로, 램프 렌즈(14)에 알루미늄 도장이나 알루미늄 증착이나 은도장 등의 광 불투과부를 행하지 않고, 플렉시블 기판(16)이나 LED(17)의 존재를 숨길 수 있다.
(실시예4)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4를 도시한다. 도면 중, 도 1∼도 18과 동일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4의 도어 미러(1D)는, 상기의 실시예1, 2, 3, 변형예의 도어 미러(1, 1A, 1B, 1C)에 대하여, 램프 렌즈(14)의 볼록부(15)의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의 쌍방에 플렉시블 기판(16)을 통해 LED(17)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램프 하우징(13)에 복수개의 LED(17)의 각각에 대응하는 예를들면 회전 포물면의 쌍방의 곡면반사면(32)을 설치한다.
이 실시예4의 도어 미러(1D)는, 상기의 실시예1, 2, 3, 변형예의 도어 미러(1, 1A, 1B, 1C)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이 실시 예3의 도어 미러(1D)는, 플렉시블 기판(16)이나 LED(17)가 미러 하우징(4)의 이면측에 위치하므로, 램프 렌즈(14)에 알루미늄 도장이나 알루미늄 증착이나 은도장 등의 광 불투과부를 행하지 않고, 플렉시블 기판(16)이나 LED(17)의 존재를 숨길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1, 2, 3,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어 미러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밖의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예를 들면, 펜더 미러나 트럭 미러 등이라도 좋다.
또, 상기의 실시예1, 2, 3, 변형예에 있어서, 미러 하우징(4)과, 유닛 구조를 이루는 램프 유닛(11)의 램프 하우징(13)은, 별체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램프 유닛(11)을 유닛 구조로 하지 않고, 램프 하우징을 미러 하우징으로 겸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 하우징에 반사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일단 반사면으로 반사시켜서, 그 뒤 조명 장치의 램프 렌즈의 광 투과부에서 외부로 간접 조사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간접 조사 타입의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직접 조사 타입의 종래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와 비교하여, 조명 장치의 램프 렌즈의 광 투과부가 거의 전면에 걸쳐서 발광하고, 또한, 눈부시지 않는 부드러운 빛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조명 장치의 램프 렌즈 중 광원이 고정된 개소가 광 불투과부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램프 렌즈를 통해서 조명 장치의 등실내를 보아도, 광원이 광 불투과부에 의해 숨겨져 보이지 않으므로, 더욱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조명 장치의 램프 렌즈에 광 불투과부와 광 투과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광원의 소등 불발광 시에 있어서, 램프 렌즈 전면(全面)이 발광하는 듯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광원의 점등 발광 시에 있어서, 램프 렌즈의 광 불투과부가 발광하지 않고, 광 투과부가 발광하는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는, 빛날 것으로 생각되는 램프 렌즈의 전면이 실제로는 일부의 광투과부가 빛나는 것 뿐으로서, 이 광원의 소등 불발광 시의 램프 렌즈 전면의 발광 예상과, 광원의 점등 발광 시의 램프 렌즈 일부 광 투과부의 실제 발광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의외성에 의해,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조명 장치의 의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자동차에 장비된 상태로서, 턴 램프 기능의 배광범위를 도시한 평면설명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턴 램프 기능의 배광범위를 도시한 정면설명도로서, 도 2에 있어서의 III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LED의 소등 비 발광 시에 있어서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LED의 점등 발광시에 있어서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도 2에 있어서의 III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평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도 4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도 7에 있어서의 VIII-V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도장이나 알루미늄 증착이나 은도장 등의 광 불투과부를 행하는 범위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4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스모크 등의 광투과부를 행하는 범위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4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마찬가지로, 턴 램프 기능의 LED 근방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2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마찬가지로, 도 4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 및 도 16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마찬가지로, LED로부터의 빛의 광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마찬가지로, 도 14에 있어서의 XVI-XV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 및 도 16에 있어서의 XIV-XIV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의 실시예4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있어서의 VII-VII선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1D 도어 미러(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베이스 3 미러 어셈블리 4 미러 하우징
5 폐쇄 부분 6 개구부 7 미러 유닛
8 미러 보디 9 미러 홀더 10 창부
11 램프 유닛(조명 장치) 12 등실 13 램프 하우징
14 램프 렌즈 15 볼록부 16 플렉시블 기판
17 LED(장식용) 18 광 불투과부 19 프리즘군
20 광투과부 21 반사면 22 평면반사면
23 곡면반사면 24 LED(턴 램프 기능용) 25 프리즘(배광 제어용)
26 반사면 27 산형태의 평면반사면
28 계곡형태의 평면반사면 29 곡면반사면
30 이너 렌즈 31 반사면 32 반사면
C 자동차(차량) D 도어 F 전방측
B 후방측 I 내측(중앙측) O 외측(측방측)
U 상측 D 하측 L 좌측
R 우측 V-V 진행축 H -H 수평축
ZF, ZB 광축 L1, L2, L3, L4 LED로부터의 빛의 광로

Claims (5)

  1. 조명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에 있어서,
    창부를 가지는 미러 하우징과, 상기 미러 하우징의 내측에 장비된 상기 조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 장치는,
    등실을 구획하는 램프 하우징 및 램프 렌즈와,
    상기 등실내의 상기 램프 렌즈에 고정된 광원과,
    상기 램프 렌즈 중 상기 광원이 고정되어 있는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창부에 배치된 광 불투과부와,
    상기 램프 렌즈 중 상기 광원이 고정되어 있는 개소 이외의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창부에 배치된 광투과부와,
    상기 등실내의 상기 램프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광투과부로부터 외부로 조사시키는 반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불투과부에는, 장식용의 프리즘군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광투과부에는, 장식용의 색, 스모크, 호닝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유닛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램프 렌즈에 고정된 플렉시블 기판에 표면실장된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램프 렌즈에 고정된 플렉시블 기판에 표면실장된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복수개의 LED의 각각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있고, 평면반사면, 또는/및, 곡면반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20040107899A 2003-12-24 2004-12-17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0603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7573 2003-12-24
JP2003427573A JP2005190716A (ja) 2003-12-24 2003-12-24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24A true KR20050065324A (ko) 2005-06-29
KR100603825B1 KR100603825B1 (ko) 2006-07-24

Family

ID=3454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899A KR100603825B1 (ko) 2003-12-24 2004-12-17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34772B2 (ko)
EP (1) EP1547863B1 (ko)
JP (1) JP2005190716A (ko)
KR (1) KR100603825B1 (ko)
CN (1) CN100345706C (ko)
DE (1) DE6020040097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789B2 (ja) * 2003-12-24 2010-03-1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8305225B2 (en) * 2005-02-14 2012-11-06 Truck-Lite Co., Llc LED strip light lamp assembly
KR100715896B1 (ko) * 2005-12-08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웃사이드 미러의 턴 시그널 램프
JP2008097848A (ja) * 2006-10-06 2008-04-24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4631838B2 (ja) * 2006-10-20 2011-02-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631840B2 (ja) * 2006-11-02 2011-02-1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4850743B2 (ja) * 2007-02-13 2012-01-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5032163B2 (ja) * 2007-03-12 2012-09-26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ランプ
JP5075572B2 (ja) * 2007-10-18 2012-11-21 株式会社ミツバ ドアミラー
JP5425443B2 (ja) * 2008-10-31 2014-02-26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ランプ
EP2340967B2 (en) * 2009-12-29 2016-09-14 SMR Patents S.à.r.l. Turn-indicator light module for a vehicle mirror assembly and vehicle mirror assembly comprising a turn-indicator light module
US9487133B2 (en) * 2011-03-30 2016-11-08 Mitsuba Corporation Turn lamp for door mirror
JP5711600B2 (ja) * 2011-04-27 2015-05-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9117991B1 (en) * 2012-02-10 2015-08-25 Flextronics Ap, Llc Use of flexible circuits incorporating a heat spreading layer and the rigidizing specific areas within such a construction by creating stiffening structures within said circuits by either folding, bending, forming or combinations thereof
JP6237987B2 (ja) * 2013-07-12 2017-11-2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6234157B2 (ja) * 2013-10-17 2017-11-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293604B2 (ja) * 2014-07-28 2018-03-14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ランプ付き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CA3035031A1 (en) * 2018-10-22 2020-04-22 David Andrew Trytko Multi-purpose safety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105908A (zh) * 1985-08-01 1986-07-23 邹自正 带有照明灯的汽车外后视镜
JPH08142745A (ja) 1994-11-17 1996-06-04 Kyowa Shatai:Kk 自動車の補助フラッシャ−ランプ
DE29804489U1 (de) * 1998-03-13 1998-05-20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DE19828253B4 (de) * 1998-06-25 2006-04-06 Daimlerchrysler Ag Außenrückblickspiegel
JP2000025519A (ja) * 1998-07-14 2000-01-25 Kayama Yuki 車両用サイドミラー
US6079858A (en) * 1998-08-17 2000-06-27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Side view mirror with detachable flashlight
KR20000017474U (ko) * 1999-02-26 2000-09-25 이문성 보조표시등을 설치한 자동차용 백미러
DE19933724A1 (de) * 1999-07-19 2001-02-01 Fer Fahrzeugelektrik Gmbh Seitenblinkleuchte
DE20001407U1 (de) * 2000-01-27 2000-03-16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DE10025810B4 (de) 2000-05-24 2014-01-23 SMR Patents S.à.r.l. Leuchteneinheit, insbesondere für Außenrückblickspiegel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JP4038975B2 (ja) 2000-09-21 2008-01-3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ミラー
US6637917B2 (en) * 2000-10-04 2003-10-28 Fer Fahrzeugelektrik Gmbh Side flashing lamp
JP2002362222A (ja) 2001-05-31 2002-12-18 Tokai Rika Co Ltd アウタミラーのターンシグナル付きバイザカバー構造
KR100439822B1 (ko) * 2001-09-27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램프 체결구조
US6769798B2 (en) * 2002-04-11 2004-08-03 E'sam Co.,. Ltd. Side mirror cover and cover lamp to be used therefor
US6749325B2 (en) * 2002-10-29 2004-06-15 K.W. Muth Company Signaling assembly
US20040218041A1 (en) * 2003-01-30 2004-11-04 Ichikoh Industries, Ltd. Outside mirror for vehicle
JP4110989B2 (ja) * 2003-02-03 2008-07-02 市光工業株式会社 ランプ付き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6932497B1 (en) * 2003-12-17 2005-08-23 Jean-San Huang Signal light and rear-view mirro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825B1 (ko) 2006-07-24
EP1547863A1 (en) 2005-06-29
US20050146886A1 (en) 2005-07-07
CN100345706C (zh) 2007-10-31
EP1547863B1 (en) 2007-10-31
DE602004009748D1 (de) 2007-12-13
US7134772B2 (en) 2006-11-14
CN1636795A (zh) 2005-07-13
DE602004009748T2 (de) 2008-03-06
JP2005190716A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825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0637016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3544010B2 (ja) 車両用灯火器
US20030026105A1 (en) Sliding roof for a motor vehicle
KR102565730B1 (ko) 자동차 조명 장치
JP4654921B2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を備える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7532389A (ja) 特に自動車とする車両のための車外バックミラー
WO2014112288A1 (ja) 車両用ランプ構造
WO2014112287A1 (ja) 車両用ランプ構造
JP2004237780A (ja) ランプ付きアウターミラーおよびランプ付きサイドミラー
KR20210080229A (ko) 자동차 조명 및/또는 시그널링 디바이스
JP4561749B2 (ja) 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を備える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6205746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11498480B2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ceiling lamp
JP2010143346A (ja) 室内照明装置
CN114846270A (zh) 车辆用灯具
JP2000348513A (ja) 自動車用灯具
KR20220035687A (ko) 차량용 통합 조명장치
JP2626206B2 (ja) 車両用灯具
JP2001135110A (ja) 車両用後退灯具
JP2555774Y2 (ja) 車両用室内灯
JP2001210110A (ja) 車輌用ヘッドランプ
KR20040086469A (ko)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외부 후사경
JPH1153903A (ja) 車両用照明装置
JPH11339504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