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841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841A
KR20050041841A KR1020040013259A KR20040013259A KR20050041841A KR 20050041841 A KR20050041841 A KR 20050041841A KR 1020040013259 A KR1020040013259 A KR 1020040013259A KR 20040013259 A KR20040013259 A KR 20040013259A KR 20050041841 A KR20050041841 A KR 2005004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harvesting
stem
feed chain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528B1 (ko
Inventor
소야다모쯔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5004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A01D61/04Cha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35)와 예취 곡간의 끝측을 계지 반송하는 계지 반송 기구(36)를 갖고, 예취 곡간을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12)와, 상기 협지 반송 기구(35)의 반송 종단부측에 설치되고, 이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예취 곡간을 수취하는 종회전식의 보조 반송 장치(43) 및 상기 보조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측에 설치되고, 이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가로로 쓰러짐 자세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수취하는 종회전식의 피드 체인(22)과, 이 피드 체인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끝측을 수용하는 입구(21)를 갖는 탈곡 장치(4)를 구비한 콤바인이며, 상기 보조 반송 장치(43)의 반송 시단부와 상기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 사이로 분리 가이드(56)가 설치되고, 이 분리 가이드가 예취 곡간을 상기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피드 체인에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와 예취 곡간의 끝측을 계지 반송하는 계지 반송 기구를 갖고, 예취 곡간을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와, 상기 협지 반송 기구의 반송 종단부측에 설치되어 이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예취 곡간을 수취하는 종회전식 보조 반송 장치 및 상기 보조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측에 설치되어 이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수취하는 종회전식 피드 체인과, 이 피드 체인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끝측을 수용하는 입구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략 수평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하는 롤러군에 걸쳐서 체인이 대략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체인을「종회전식」의 체인이라 칭하고, 대략 상하 방향의 축심 주위에 회전하는 롤러군에 걸쳐서 체인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체인을「횡회전식」의 체인이라 칭한다.
콤바인에서는 차속에 비례하여 수확하는 단위 시간당의 작물량이 변화된다. 또한, 곡간 반송 장치는 예취 곡간을 적당한 층 두께로 일련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하는 곡간량이 저하되어 반송 중인 예취 곡간의 층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면, 그 협지 반송 기구에 의한 예취 곡간의 보유 지지력이 지나치게 약해져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지므로, 그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반송 불량 등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반송하는 곡간량이 증가하여 예취 곡간의 층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그 협지 반송 기구에 의한 예취 곡간의 보유 지지력이 지나치게 강해져 예취 곡간이 반송되기 어려워 막히기 쉬워지므로, 그 막힘에 기인한 반송 불량 등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곡간 반송 장치의 구동 속도를 차속의 변속에 동조 또는 대략 동조하여 변속함으로써, 차속의 변화에 관계없이 곡간 반송 장치가 예취 곡간을 적당한 층 두께로 일련 반송하도록 구성하여 곡간 반송 장치에서의 예취 곡간의 반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탈곡 장치에서는 그 탈곡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하여 반송하는 피드 체인이나, 예취 곡간의 끝측에 대해 훑기 작용을 실시하는 취급통 등을 차속의 변화에 관계없이 탈곡 처리를 행하는 데 적합한 소정 속도로 정속 구동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로 인해, 차속에 따라서는 예취 곡간을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 사이에서 큰 속도차가 생기게 된다. 또한, 곡간 반송 장치가 예취 곡간을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를 향해 자세 변경하면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반해, 피드 체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에 적합한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반송하는 종회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점으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에의 예취 곡간의 전달을 직접 행하면, 그 전달 부위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지는 일이 있다. 그로 인해, 그 전달 부위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져 그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콤바인의 예취 곡간 반송 구조에 있어서는 곡간 반송 장치의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피드 체인에의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의 전달을 중계하는 종회전식 보조 반송 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이 보조 반송 장치를 곡간 반송 장치와 함께 차속의 변속에 동조 또는 대략 동조하여 변속하도록 구성하면, 곡간 반송 장치에 의한 반송에 의해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 근방까지 자세 변경된 예취 곡간은 그 줄기 밑둥측이 보조 반송 장치에 수취될 때에는 그 곡간 반송 장치와 동조 또는 대략 동조하여 변속되므로 곡간 반송 장치와의 속도차가 비교적 작게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고, 또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가 가로로 쓰러지는 것에 가까운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변경된다. 그 후,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차속에 따라서는 속도차가 커지는 경우가 있지만,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에 대해서는 동일하고 안정성이 높은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설정된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으로 전달되게 된다.
즉, 예취 곡간의 전달 부위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회피하여 예취 곡간의 전달시에 있어서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억제함으로써, 그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초래하기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피드 체인으로의 예취 곡간의 전달을, 보조 반송 장치를 거쳐서 행하는 구성이라도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 사이에서의 예취 곡간의 전달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보조 반송 장치를 그 반송 종단부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와 곡간 반송 방향에서 포개어지는 상태로 배치하면, 이하의 문제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즉, 보조 반송 장치 및 피드 체인의 반송부가 포개어지는 부위에서는, 예취 곡간이 차속에 따라서는 속도차가 커지는 일이 있는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에 의해 양쪽 지지 반송되게 된다. 이로 인해, 양자의 속도차에 기인하여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 사이에 낙차를 마련하여 예취 곡간을 보조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로 떨어뜨려 공급함으로써, 예취 곡간이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으로 양쪽 지지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의 속도차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회피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59-39867호 공보(제2 페이지 제3 란 제 15 내지 30행, 도2, 도8, 도9) 참조].
상기한 구성에서는 예취 곡간을 보조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로 떨어뜨려 공급하는 것이므로,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져 그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초래하는 일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속도차가 있는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의 양쪽 지지 반송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이나,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에의 떨어뜨리기 공급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하여 이들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회피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상기 보조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 사이에 분리 가이드가 설치되어 이 분리 가이드가 예취 곡간을 상기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피드 체인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피드 체인으로의 예취 곡간의 전달이 종회전식 보조 반송 장치를 거쳐서 행해진다. 그 보조 반송 장치를 곡간 반송 장치와 함께 차속의 변속에 동조 또는 대략 동조하여 변속하도록 구성하면, 예취 곡간의 전달 부위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리 가이드를 장비함으로써,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피드 체인으로 전달할 때에는 피드 체인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이 개시되는 데 수반하여 보조 반송 장치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이 종료되게 된다.
즉, 상기 종래 구성과 같이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 사이에 낙차를 마련하여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로 예취 곡간을 떨어뜨려 공급하도록 구성하지 않아도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으로 예취 곡간이 양쪽 지지 반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피드 체인으로의 예취 곡간의 전달을 종회전식 보조 반송 장치를 거쳐서 행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전달 부위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짐으로써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예취 곡간이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으로 양쪽 지지 반송되는 것이나, 예취 곡간을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로 떨어뜨려 공급함으로써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특징 구성에다가, 상기 분리 가이드가 상기 보조 반송 장치의 양 횡측부에 분배 배치된 한 쌍의 분리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이들 분리 가이드부 중 상기 탈곡 장치측에 배치되는 한 쪽의 분리 가이드부의 높이 위치가 다른 쪽의 분리 가이드부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예취 곡간을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피드 체인으로 전달할 때에는 협지 반송 기구의 양 횡측부에 분배 배치한 한 쌍의 분리 가이드부에 의해 예취 곡간을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피드 체인으로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은 그 끝측이 입구로부터 탈곡 장치 내로 수용되는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통형의 취급통과, 그 하방에 배치된 만곡 형상의 받침망 사이에 공급되어 취급통의 훑기 작용을 받게 된다. 이로부터 피드 체인에 의한 반송 중에는 피드 체인에 의한 협지 위치에 보다 가까운 곡간 부분으로부터 받침망을 따라서 만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협지 반송 기구의 양 횡측부에 분배 배치됨으로써 피드 체인보다도 입구측의 위치에 줄기 길이 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분리 가이드부를 동일한 높이로 설정하면, 예취 곡간은 그들 분리 가이드부에서 안내되는 줄기 밑둥측 부분의 하방에의 자중 변형이 각 분리 가이드부에 의해 저지되고, 피드 체인에 의한 협지 위치로부터 떨어진 곡간 부분으로부터 받침망을 따라서 만곡하게 된다. 그로 인해, 예취 곡간의 층 두께가 두꺼운 경우 등에는 그 피드 체인에 의한 협지 위치에 가까운 줄기 밑둥측의 곡간 부분이 탈곡 장치의 전방벽 등에 걸리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탈곡 장치의 입구로부터 탈곡 장치 내로 예취 곡간의 도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구성에서는 탈곡 장치측에 배치되는 한 쪽의 분리 가이드부의 높이 위치를 다른 쪽의 분리 가이드부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게 하고 있으므로, 피드 체인으로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이 피드 체인에 의한 협지 위치에 가까운 곡간 부분으로부터 받침망에 따라서 만곡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예취 곡간의 층 두께가 두꺼운 경우 등이라도 그 피드 체인에 의한 협지 위치에 가까운 줄기 밑둥측의 곡간 부분이 탈곡 장치의 전방벽 등에 걸릴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탈곡 장치의 입구로부터 탈곡 장치 내로 예취 곡간의 도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 곡간이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으로 양쪽 지지 반송되는 것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는 데다가 탈곡 장치의 입구로부터 탈곡 장치 내로 예취 곡간의 도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반송 장치가 상기 곡간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예취 반송부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피드 체인의 비반송 영역을 횡외측방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이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보다도 곡간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보조 반송 장치를 탈곡 장치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경우에 비해, 보조 반송 장치를 곡간 반송 장치와 함께 차속의 변속에 동조 또는 대략 동조하여 변속하는 것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보조 반송 장치 전용의 커버를 설치하는 일 없이 보조 반송 장치의 비반송 영역을 횡외측방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게다가, 예취 반송부의 구동 정지 상태에서는 보조 반송 장치도 구동 정지 상태가 되고, 또한 보조 반송 장치의 횡외측방에는 커버의 연장부가 위치한다. 이것으로부터 수동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에 수동 공급하기 위해, 예취 반송부를 구동 정지시키고, 또한 탈곡 장치를 구동시켜 행하는 베개 훑기 작업시에는 보조 반송 장치와 커버의 연장부를 수동 예취 곡간을 임시 거치하는 장착대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용의 장착대를 장비하지 않아도 베개 훑기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도 베개 훑기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구성 및 그 특징 구성으로부터 발휘하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기기 본체 전진 직진 방향을 기준으로 서술하고 있다.
도1에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기기 본체 프레임(1)의 하부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가 장비되어 있다. 기기 본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는 식립 곡간을 예취하여 후방을 향해 반송하는 예취 반송부(3)가 승강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기 본체 프레임(1)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부(3)의 후방 부위에는 예취 반송부(3)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4)가 탑재되어 있다. 기기 본체 프레임(1)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4)의 우측방 부위에는 탈곡 장치(4)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가 장비되어 있다. 기기 본체 프레임(1)에 있어서의 예취 반송부(3)의 우측방 부위에는 탑승 운전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반송부(3)는 기기 본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 곡간을 분초하는 복수의 분초구(7)와, 분초 후의 곡립 곡간을 일으키는 복수의 일으킴 장치(8)와, 일어난 식립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9)와,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후방을 향해 긁어 반송하는 복수의 패커(10)와, 예취 곡간의 끝측을 후방을 향해 긁어 반송하는 복수의 긁기 벨트(11) 및 긁어 반송된 예취 곡간을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를 향해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의 탈곡 장치(4)를 향해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12)를 구비한다. 예취 반송부(3)의 이들 부재는 예취 프레임(13)에 장비되어 있다.
도1 및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프레임(13)의 좌우 방향의 원통형에는 승강 지지점 프레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기 본체 프레임(1)에는 좌우 한 쌍의 적재대(15)가 장비되고, 각 적재대(15)에는 홀더(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적재대(15) 및 홀더(16) 사이에 승강 지지점 프레임부(14)의 좌우 양단부 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기 본체 프레임(1)과 예취 프레임(13)에 걸쳐서 유압식 리프트 실린더(17)가 가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예취 프레임(13)은 리프트 실린더(17)의 작동에 의해 승강 지지점 프레임부(14)를 지지점으로 하여 승강 요동한다. 즉, 리프트 실린더(17)의 작동으로 예취 반송부(3)를 승강 요동하여 그 승강 요동으로 예취 높이의 조절 등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홀더(16)는 대응하는 적재대(15)와의 사이에 승강 지지점 프레임부(14)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와, 승강 지지점 프레임부(14)의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에 걸쳐서 요동 조작 가능하다. 각 홀더(16)의 헐거운 단부를 적재대(15)에 볼트(18)로 고정하면 홀더(16)는 지지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실린더(17)는 그 일단부의 예취 프레임(13)에 대한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연결 핀(19)의 조작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 도2, 도6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는 그 전방벽(20)에 형성된 입구(21)와, 그 좌측부에 배치된 반송 돌기가 달린 무단부 회전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종회전식 피드 체인(22)과, 피드 체인(22)의 협지 반송 영역에 대향 배치된 협지 레일(23)과, 원통형의 취급통(24)과, 취급통(24)의 하방에 배치된 만곡 형상의 받침망(25)과, 요동 구동에 의한 체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판(26)과,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선별풍에 의한 풍력 선별을 행하는 당기(27)와, 요동 선별판(26) 및 당기(a "tohmi" or a winnowing fan)(27)의 선별 처리로 얻게 된 단립화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자세 변경된 예취 곡간은 그 끝측이 입구(21)로부터 수용되고, 또한 줄기 밑둥측이 피드 체인(22)과 협지 레일(23) 사이에 협지되어 피드 체인(22)의 구동에 의해 후방을 향해 반송된다. 그 반송으로 취급통(24)과 받침망(25) 사이로 안내된 예취 곡간의 끝측에 대해서는 취급통(24)의 회전 구동에 의한 탈곡 처리가 실시된다. 그 탈곡 처리로 얻게 된 처리물에 대해서는 요동 선별판(26)의 체 선별이나 당기(27)의 풍력 선별 등의 선별 처리가 실시된다. 그 선별 처리로 얻게 된 단립화 곡립은 회수되어 곡립 탱크(5)로 공급 반송된다. 한편, 미단립화 곡립 등은 회수되어 단립화 처리를 실시한 후에 요동 선별판(26)으로 환원 반송되고, 또한 겨 부스러기 등의 먼지는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받침망(25)에는 격자형으로 형성된 콘케이브 받침망이 채용되어 있다. 또한, 협지 레일(23)은 피드 체인(22) 사이에서 적절한 협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압박 스프링에 의해 피드 체인(22)을 향해 압박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콤바인에서는 엔진(28)으로부터의 동력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로 전달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에 의해 변속 후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30)에 내장한 주행 전동계(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좌우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2)로 전달되는 동시에, 벨트 장력식 예취 클러치(31)를 거쳐서 예취 반송부(3)로 전달된다. 또한, 탈곡 장치(4)에는 엔진(29)으로부터의 동력이 벨트 장력식의 탈곡 클러치(32)를 거쳐서 전달된다.
예취 반송부(3)에서는 예취 클러치(31)를 거쳐서 전달된 동력이 예취 프레임(13)에 내장된 제1 작업 전동계(33)를 거쳐서 일으킴 장치(8)나 예취 장치(9) 등에 분배 공급된다. 또한, 탈곡 장치(4)에서는 탈곡 클러치(32)를 거쳐서 전달된 동력이 제2 작업 전동계(34)를 거쳐서 피드 체인(22)이나 취급통(24) 등에 분배 공급된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예취 반송부(3)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에 의한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곡간 반송 장치(12) 등의 구동 속도가 변속되게 된다. 이에 의해, 곡간 반송 장치(12)에서는 차속의 변화에 비례하여 증감하는 단위 시간당의 수확 작물량에 관계없이 예취 곡간을 적당한 층 두께로 일련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하는 곡간량의 대폭적인 저하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이나, 반송하는 곡간량의 대폭적인 증가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막힘 등이 생기기 어려워져 그들에 기인한 반송 불량 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곡간 반송 장치(12)에서의 곡간 반송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탈곡 장치(4)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에 의한 차속의 변속에 관계없이 피드 체인(22)이나 취급통(24) 등을, 탈곡 처리를 행하는 데 적합한 소정 속도로 정속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탈곡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간 반송 장치(12)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35)와, 그 상방에 위치하여 예취 곡간의 끝측을 계지 반송하는 계지 반송 기구(36)를 구비한다.
협지 반송 기구(35)는 좌우 및 좌우 중앙의 각각에 배치된 반송 돌기가 달린 제1 무단부 반송 체인(37), 대응하는 제1 무단부 반송 체인(37)의 협지 반송 영역에 대향 배치된 제1 협지 레버(38), 우측의 제1 무단부 반송 체인(3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좌측 후방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된 반송 돌기가 달린 제2 무단부 반송 체인(39), 그 제2 무단부 반송 체인(39)의 협지 반송 영역에 대향 배치된 제2 협지 레버(40), 제2 무단부 반송 체인(39)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에 배치된 반송 돌기가 달린 제3 무단부 반송 체인(41) 및 그 제3 무단부 반송 체인(41)의 협지 반송 영역에 대향 배치된 제3 협지 레버(42) 등을 구비한다. 각 무단부 반송 체인(37, 39, 41)의 구동에 의해 협지 반송 기구(35)의 반송 시단부측에서는 각 패커(10)로 긁어 반송된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좌우의 제1 무단부 반송 체인(37)과 제1 협지 레버(38) 사이에 협지되어 후측 상방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모아서 반송된다. 협지 반송 기구(35)의 반송 종단부측에서는 모아서 반송된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제2 무단부 반송 체인(39)과 제2 협지 레버(40) 사이에 협지되어 좌측 후방 상방을 향해 반송된다. 그 후, 줄기 밑둥측의 부분은 제3 무단부 반송 체인(41)과 제3 협지 레버(42) 사이에 협지되어 후방의 피드 체인(22)을 향해 반송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의 각 협지 레버(38, 40, 42)는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의 각 무단 반송 체인(37, 39, 41) 사이에서 적절한 협지력이 얻어지도록, 도시하지 않은 압박 스프링에 의해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의 각 무단 반송 체인(37, 39, 41)을 향해 압박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 반송 기구(35)의 반송 시단부가 되는 제3 무단 반송 체인(41)과,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 사이에는 제3 무단 반송 체인(41)으로부터 피드 체인(22)에의 예취 곡간 줄기 밑둥측의 전달을 중계하는 종회전식의 보조 반송 장치(43)가 장비되어 있다.
도3, 도4 및 도6 내지 도10도 참조하면, 보조 반송 장치(43)는 제3 무단 반송 체인(41)의 반송 종단부 좌측방에 배치된 전방측 종동 롤러(44)와,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 우측방에 배치된 후방측 종동 롤러(45)와, 후방측 종동 롤러(45)의 하방에 배치된 구동 스프로킷(46)과, 전방측 종동 롤러(45)와 구동 스프로킷(46) 사이에 배치된 장력 롤러(47) 및 이들에 걸쳐 권취된 반송 돌기가 달린 무단 반송 체인(48)을 구비한다. 이 보조 반송 장치(43)는 기기 본체 프레임(1)에 적재대(15) 등을 통해 고정 장비된 제1 지지 플레이트(49), 제2 지지 플레이트(50) 등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곡간 반송 방향에 있어서는 무단 반송 체인(48)의 반송 시단부가 제3 무단 반송 체인(41)의 반송 시단부와 포개지고, 또한 무단 반송 체인(48)의 반송 시단부가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와 포개어져 있다. 또한, 무단 반송 체인(48)의 반송 영역에서의 반송 궤적(K1)과,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측에서의 반송 궤적(K2)이 대략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보조 반송 장치(43)의 반송 궤적(K1)은 무단 반송 체인(48)의 구동시에 그 반송 돌기(51)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피드 체인(22)의 반송 궤적(K2)은 피드 체인(22)의 구동시에 그 반송 돌기(52)의 선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보조 반송 장치(43)의 구동 스프로킷(46)은 예취 프레임(13)의 승강 지지점 프레임부(14)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제1 작업 전동계(33)의 제1 출력축(53)에 대해, 보조 반송 장치(43)의 좌측 횡측방에 인접하는 체인식 전동 기구(54)나, 그 체인식 전동 기구(54)의 좌측 횡측방에 인접하는 기어식 전동 기구(55) 등을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즉, 보조 반송 장치(43)의 구동 속도도 예취 반송부(3)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에 의한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변속된다.
탈곡 장치(4)에 있어서는 그 피드 체인(22)이 차속의 변화에 관계없이 소정 속도 A에서 정속 구동되는 데 반해, 보조 반송 장치(43)에 있어서는 그 무단 반송 체인(48)이 속도 0 내지 B의 범위에서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변속된다. 또한, 곡간 반송 장치(12)에 있어서는 그 협지 반송 기구(35)의 제3 무단 반송 체인(41)이 속도 0 내지 C의 범위에서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변속된다. 여기서, 피드 체인(22)의 구동 속도 A(정속), 무단 반송 체인(48)의 속도 B(최고속), 제3 무단 반송 체인(41)의 속도 C(최고속)의 관계는 A < B ≒ C이며, 또한 속도 B와 속도 C의 속도차가 1 퍼센트 이내로 설정되어 있다.
단, 상기한 구동 속도 A(정속), 속도 B(최고속), 속도 C(최고속)의 관계는 A < B < C가 되도록, 혹은 A < B = C가 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또한, 구동 속도 A, B, C의 관계를 A < B < C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무단 반송 체인(48)의 구동 속도 B(최고속)와 제3 무단 반송 체인(41)의 구동 속도 C(최고속)의 차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내지 도4, 도6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 곡간의 반송 방향으로 포개어지는 보조 반송 장치(43)의 반송 시단부와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 사이에는, 피드 체인(22)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이 개시되는 데 수반하여, 그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안내하는 분리 가이드(56)가 장비되어 있다.
분리 가이드(56)는 무단 반송 체인(48)의 좌우 양 횡측부에 분배 배치되는 한 쌍의 분리 가이드부(56A, 56B)를 갖고, 제2 지지 플레이트(50)에 고정되어 있다. 분리 가이드부(56A, 56B)의 전반 부분(a1, b1)은 분리 안내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피드 체인(22)에 의한 반송이 개시된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무단 반송 체인(48)으로부터 퍼 올려 분리하는 동시에, 피드 체인(22)의 반송 방향에 따라서 안내한다. 분리 가이드부(56A, 56B)의 후반 부분(a2, b2)은 자세 변경 안내 영역으로서 기능하고,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의 안내를 피드 체인(22)으로부터 취급통(24)과 받침망(25) 사이를 향하는 우측 하강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행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분리 가이드부(56A, 56B)의 전반 부분(a1, b1)에 있어서는 서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후방 상승으로 경사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높이 위치는 피드 체인(22)으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을 안내하는 데 적합한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에 있어서의 반송 궤적(K2)의 높이 위치보다도 조금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분리 가이드부(56A, 56B)의 후반 부분(a2, b2)에 있어서는, 좌측의 분리 가이드부(56A)에 대해, 우측의 분리 가이드부(탈곡 장치측에 배치되는 한 쪽 분리 가이드부에 상당)(56B)의 경사쪽이 완만해지고 있다. 즉, 곡간 반송 방향의 하부측일수록 탈곡 장치측이 되는 우측의 분리 가이드부(56B)의 높이 위치와, 좌측의 분리 가이드부(56A)의 높이 위치의 고저차가 보다 큰 것이 되고, 양 분리 가이드부의 후방 상단부를 연결하는 선 L이 입구(21)의 수용 폭 내에 있어서, 이 입구(21)의 하부 모서리에 대략 따른 우측 하강 경사 자세가 된다(도10 참조).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곡간 반송 장치(12)에 의해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짐 자세를 향해 자세 변경하면서 반송된 예취 곡간은, 이하와 같이 하여 탈곡 장치(4)에 공급된다.
즉, 우선 협지 반송 기구(35)에 의해 협지된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속도차가 거의 없는 협지 반송 기구(35)의 제3 무단 반송 체인(41)과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으로 2점 지지되어, 협지 반송 기구(35)로부터 보조 반송 장치(43)에 전달된다. 이 때, 예취 곡간의 자세는 곡간 반송 장치(12)에 의한 반송으로 얻어진 가로로 쓰러짐에 가까운 자세로부터 탈곡 장치(4)에의 공급에 적합한 가로로 쓰러짐 자세로 약간 변경된다. 다음에,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보조 반송 장치(43)로부터 피드 체인(22)에 전달되게 된다. 보조 반송 장치(43)와 피드 체인(22) 사이의 속도차는 보조 반송 장치(43)와 협지 반송 기구(35) 사이의 속도차보다도 커지는 경우가 있지만, 이 전달 부위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에 대해서는 동일한 자세[즉, 탈곡 장치(4)에의 공급에 적합한 안정성이 높은 가로로 쓰러짐 자세]로 설정되어 있다.
결국, 곡간 반송 장치(12)의 협지 반송 기구(35)로부터 피드 체인(22)으로 예취 곡간의 전달을 직접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전달 부위에 있어서 곡간 반송 장치(12)에 의한 가로로 쓰러짐에 가까운 자세로부터 탈곡 장치(4)에의 공급에 적합한 가로로 쓰러짐 자세로의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달 부위에 있어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기 쉬워져, 그 반송 자세가 흐트러짐에 기인한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이 점,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반송 장치(43)를 배치하면, 예취 곡간의 전달 분위에 있어서의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과 반송 속도의 대폭적인 변경이 동시에 행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전달 부위에서의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협지 반송 기구(35)로부터 보조 반송 장치(43)로의 예취 곡간의 전달은, 속도차가 거의 없는 협지 반송 기구(35)의 제3 무단 반송 체인(41)과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으로 2점 지지된 안정성이 높은 상태로 행해진다. 이 것으로부터, 예취 곡간의 자세 변경에 기인하여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보조 반송 장치(43)와 피드 체인(22) 사이에서는 피드 체인(22)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이 시작되는 동시에, 분리 가이드(56)가 그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으로부터 분리하여, 보조 반송 장치(43)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을 종료시킨다. 이 것으로부터, 보조 반송 장치(43)와 피드 체인(22) 사이에서 속도차가 비교적 커지는 경우가 있어도, 이들 사이에서 예취 곡간을 양쪽 지지하는 데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회피하기 위해, 보조 반송 장치(43)와 피드 체인(22) 사이에 낙차를 형성하는 대신에, 보조 반송 장치(43)의 반송 영역에서의 반송 궤적(K1)과 피드 체인(25)의 반송 시단부에서의 반송 궤적(K2)을 대략 일직선 상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것으로부터, 낙차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 반송 장치(43)로부터 피드 체인(22)으로의 예취 곡간의 전달 반송을 원활하게 또한 미려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협지 반송 기구(35)의 제3 무단 반송 체인(41) 및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과, 피드 체인(22)과의 구동 속도의 관계를 제3 무단 반송 체인(41) 및 무단 반송 체인(48)의 최고속 상태에서는, 이들의 구동 속도가 피드 체인(22)의 구동 속도보다도 빠르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무단 반송 체인(41) 및 무단 반송 체인(48)의 변속 범위 내의 속도로 피드 체인(22)이 구동되므로, 예취 곡간의 전달이 행해지는 무단 반송 체인(48)과 피드 체인(22) 사이에서의 속도차를 경감할 수 있어, 그 속도차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분리 가이드부(56A, 56B)의 후반 부분(a2, b2)을 자세 변경 안내 영역으로 하고,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로서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이 피드 체인(22)으로부터 취급통(24)과 받침망(25) 사이를 향하는 우측 하강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이 것으로부터,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에 있어서는 예취 곡간은 그 줄기 밑둥측에 있어서의 피드 체인(22)에 의한 협지 위치에, 보다 가까운 곡간 부분으로부터 받침망(25)에 따라서 만곡하도록 된다. 그 결과, 예취 곡간의 층 두께가 두꺼운 경우라도, 피드 체인(22)에 의한 협지 위치에 가까운 줄기 밑둥측의 곡간 부분이 탈곡 장치(4)의 전방벽(20) 등에 걸릴 우려를 회피할 수 있어, 탈곡 장치(4)의 입구(21)로부터 탈곡 장치(4) 내로 예취 곡간의 도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예취 곡간을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탈곡 장치(4)를 향해 반송하는 공급 반송을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 등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효과적으로 초래하기 어렵게 하면서 원활하게 또한 미려하게 행할 수 있다.
도1, 도2 및 도6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4)에는 피드 체인(22)의 비반송 영역[협지 레일(23)에 대향한 영역을 제외한 하측 영역]을 가로 외측방으로부터 덮는 커버(57)가 간이 착탈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다. 이 커버(57)에는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보다도, 곡간 반송 방향의 상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57A)에 의해, 보조 반송 장치(43)의 비반송 영역[보조 반송 장치(43)가 협지 반송 기구(35) 및 피드 체인(22) 사이에서 예취 곡간의 전달을 행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가로 외측방으로부터 덮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부(57A)에는 그 상단부 모서리와 보조 반송 장치(43)와의 간극을 숨기는 천정판 부분(57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버(57)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57A)를 구비함으로써, 수동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4)에 수동 공급하기 위해 예취 반송부(3)를 구동 정지시키고, 또한 탈곡 장치(4)를 구동시킨 베개 훑기 작업시에 있어서는, 수동 예취 곡간을 동일하게 구동 정지되는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과 커버(57)의 연장부(57A)에 걸친 임시 거치를 할 수 있다.
즉, 피드 체인(22)의 커버(57)를 보조 반송 장치(43)의 커버에도 겸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과 함께, 수동 예취 곡간을 임시 거치하는 적재대에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결과, 구성의 간소화나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베개 훑기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3 내지 도7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반송 장치(43)의 구동 스프로킷(46)에 연동 연결된 상기 체인식 전동 기구(54)는 제1 출력축(53)과 일체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58)과, 그 후방에 배치된 제2 스프로킷(59) 및 이들의 스프로킷(58, 59)에 걸쳐 권취된 전동 체인(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스프로킷(58)은 제1 출력축(53)에 너트(61)로 고정되어 있다.
보조 반송 장치(43)의 구동 스프로킷(46)에 동일하게 연동 연결된 기어식 전동 기구(55)는 제1 전동축(62)을 통해 체인식 전동 기구(54)의 제2 스프로킷(59)과 일체 회전하는 제1 기어(63)와, 이 제1 기어(63)에 맞물리는 동시에 제2 전동축(64)을 통해 보조 반송 장치(43)의 구동 스프로킷(46)과 일체 회전하는 제2 기어(65) 및 이들의 기어(63, 65)를 외위하는 기어 - 케이스(6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기기 본체 프레임(1)으로부터 예취 반송부(3)를 떼어낼 때에는, 우선 체인식 전동 기구(54)의 제1 스프로킷(58)을 그 고정용의 너트(61)와 함께 제1 출력축(53)으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에, 연결 핀(19)에 의한 예취 프레임(13)과 리프트 실린더(17)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 후, 각 볼트(18)에 의한, 좌우의 적재대(15)에 대한 홀더(16)의 고정을 해제하면 좋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예취 반송부(3)와 탈곡 장치(4) 사이에는 곡간 반송 장치(12)의 협지 반송 기구(35)로부터 피드 체인(22)에의 예취 곡간의 전달을 양호하게 하는 보조 반송 장치(43)가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반송 장치(43)가 개재되어 있어도, 예취 반송부(3)는 이들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기기 본체 프레임(1)으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예취 반송부(3)와 탈곡 장치(4) 사이나 예취 반송부(3)와 탑승 운전부(6) 사이에 배치된 전동계나 조작계 등의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반송 장치(43)는 예취 반송부(3)의 제1 작업 전동계(33)를 통한 동력으로 구동되고, 이 예취 반송부(3)와 함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에 의한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변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예취 반송부(3)를 기기 본체 프레임(1)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보조 반송 장치(43)에 대해서는 예취 반송부(3)측이 아니라 탈곡 장치(4) 측에 남길 수 있다. 이로 인해, 예취 반송부(3)에 장비하는 경우에 비해, 조립시 등에 있어서의 보조 반송 장치(43)와 피드 체인(22) 위치 맞춤도 행하기 쉬워진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간 반송 장치(12)의 계지 반송 기구(36)는 우측단부에 배치된 긁기 벨트(11)의 상방으로부터 탈곡 장치(4)의 입구(21)의 가까이까지 연장되는 상태에 배치된 우측 계지 반송대(67), 좌우 중앙에 배치된 긁기 벨트(11)의 상방으로부터 우측 계지 반송대(67)의 중간부를 향해 연장된는 상태에 배치된 중앙측 계지 반송대(68) 및 우측단부에 배치된 긁기 벨트(11)의 상방으로부터 우측 계지 반송대(67)의 중간부를 향해 연장된는 상태에 배치된 좌측 계지 반송대(6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계지 반송대(67 내지 69)의 구동에 의해, 그 반송 시단부측에서는 각 긁기 벨트(11)로 긁어 반송된 예취 곡간의 끝측에 대응하는 각 계지 반송대(67 내지 69)가 계지하여 예취 곡간의 끝측이 후방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긁어 반송된다. 반송 종단부측에서는 긁어 반송된 예취 곡간의 끝측에 우측 계지 반송대(67)의 반송 종단부측이 계지하여, 그 끝측을 곡간 반송 장치(12)의 상방으로부터 우측으로 서서히 변위시키면서 후방의 탈곡 장치(4)의 입구(21)를 향해 반송한다.
각 계지 반송대(67 내지 69)는 무단 회전 이동 체인(70)에 복수의 계지 갈고리(71)를 일정 간격을 두고 병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7 내지 도10에 도시한 부호 72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 기구(35)로부터 보조 반송 장치(43)에 안내하는 제1 가이드 레버(72)이다. 이 제1 가이드 레버(72)는 예취 프레임(13)으로부터 무단 반송 체인(48)을 향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된 둥근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연장 단부가 보조 반송 장치(43)의 무단 반송 체인(48)에 의해 받아내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7 내지 도10에 도시한 부호 73은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 기구(35)로부터 피드 체인(22)에 안내하는 제2 가이드 레버이다. 이 제2 가이드 레버(73)는 예취 프레임(13)으로부터 피드 체인(22)을 향해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장된 둥근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연장 단부가 피드 체인(22)에 의해 받아내어 지지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1] 콤바인으로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9) 대신에 예를 들어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 등을 장비한 것이라도 된다.
[2] 콤바인으로서는, 예취 반송부(3)를 탈곡 장치(4)의 전방에 위치하는 작업 위치와, 그 작업 위치로부터 기기 본체 횡외측방으로 떨어진 보수 위치에 걸쳐 좌우 요동 가능하게 기기 본체 프레임(1)에 연결하는 것이라도 된다.
[3] 보조 반송 장치(43)를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차속의 변속에 대략 동조하여 변속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차속이 소정의 미속 영역 내인 경우에는,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보조 반송 장치(43)를 차속의 변속에 관계없이 소정의 저속으로 정속 구동하고, 차속이 소정의 미속 영역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보조 반송 장치(43)를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변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지나치게 저속이 되는 데 기인한 보조 반송 장치(43)의 절단 불량이나 반송 불량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차속이 소정의 고속 이하인 경우에는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보조 반송 장치(43)를 차속의 변속에 동조하여 변속하고, 차속이 소정의 고속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보조 반송 장치(43)를 차속의 변속에 관계없이 소정의 고속으로 정속 구동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취 반송부(3)의 예취 장치(9)나 곡간 반송 장치(12) 등과 함께 지나치게 고속이 되는 데 기인한 보조 반송 장치(43)에 있어서의 심한 소음의 발생 등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4] 보조 반송 장치(43)의 반송 영역에서의 반송 궤적(K1)과,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측에서의 반송 궤적(K2)과는,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5] 분리 가이드(56)에 대해서는 좌측의 분리 가이드부(56A)만, 또는 우측의 분리 가이드부(56B)만을 갖는 구성이라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리 가이드(56)는 그 전반 부분(a1, b1)에 있어서는 높이 위치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에 양 분리 가이드부의 전반 부분(a1, b1)으로부터 이미 고저차를 부여하고, 우측(탈곡 장치측)의 분리 가이드부(56B)의 높이 위치를 좌측의 분리 가이드부(56A)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게 형성해도 된다.
[7] 보조 반송 장치(43)의 비반송 영역에 대해서는, 이를 횡 외측방으로부터 덮는 전용의 커버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속도차가 있는 보조 반송 장치와 피드 체인의 양쪽 지지 반송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이나,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피드 체인에의 떨어뜨리기 공급에 의한 예취 곡간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하여 이들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에 기인한 예취 곡간의 반송 불량이나 탈락을 회피하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예취 반송부의 개략 평면도.
도3은 예취 반송부의 지지 구조 및 예취 곡간의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4는 예취 반송부의 지지 구조 및 예취 곡간의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5는 예취 반송부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6은 전동계의 개략도.
도7은 예취 곡간의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
도8은 예취 곡간의 전달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
도9는 분리 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측면도.
도10은 분리 가이드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예취 반송부
4 : 탈곡 장치
12 : 곡간 반송 장치
21 : 입구
22 : 피드 체인
35 : 협지 반송 기구
36 : 계지 반송 기구
43 : 보조 반송 장치
56 : 분리 가이드
56A : 분리 가이드부
56B : 분리 가이드부(탈곡 장치측)
57 : 커버

Claims (3)

  1.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협지 반송하는 협지 반송 기구(35)와 예취 곡간의 끝측을 계지 반송하는 계지 반송 기구(36)를 갖고, 예취 곡간을 기립 자세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자세 변경하면서 반송하는 곡간 반송 장치(12)와,
    상기 협지 반송 기구(35)의 반송 종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협지 반송 기구로부터 예취 곡간을 수취하는 종회전식 보조 반송 장치(43) 및
    상기 보조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가로로 쓰러진 자세로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줄기 밑둥측을 수취하는 종회전식 피드 체인(22)과, 상기 피드 체인에 의해 협지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끝측을 수용하는 입구(21)를 갖는 탈곡 장치(4)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장치(43)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피드 체인(22)의 반송 시단부 사이에 분리 가이드(56)가 설치되고, 상기 분리 가이드가 예취 곡간을 상기 보조 반송 장치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피드 체인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가이드(56)가 상기 보조 반송 장치(43)의 양 횡측부에 분배 배치된 한 쌍의 분리 가이드부(56A, 56B)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가이드부 중 상기 탈곡 장치(4)측에 배치되는 한 쪽의 분리 가이드부(56B)의 높이 위치가 다른 쪽의 분리 가이드부(56A)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장치(43)가 상기 곡간 반송 장치(12)를 구비하는 예취 반송부(3)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고,
    상기 피드 체인(22)의 비반송 영역을 횡외측방으로부터 덮는 커버(57)가 상기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부보다도 곡간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40013259A 2003-10-30 2004-02-27 콤바인 KR100542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0032 2003-10-30
JP2003370032A JP4101153B2 (ja) 2003-10-30 2003-10-30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841A true KR20050041841A (ko) 2005-05-04
KR100542528B1 KR100542528B1 (ko) 2006-01-11

Family

ID=3464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259A KR100542528B1 (ko) 2003-10-30 2004-02-27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01153B2 (ko)
KR (1) KR100542528B1 (ko)
CN (1) CN13092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2017B (zh) * 2009-08-27 2010-12-29 湖南农夫机电有限公司 作物夹持调节装置
CN102282964B (zh) * 2011-05-20 2013-04-10 吉林农喜机械有限责任公司 大豆收割机
JP6169058B2 (ja) * 2014-09-02 2017-07-26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7093406A (ja) * 2015-11-27 2017-06-0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708571B2 (ja) * 2017-02-24 2020-06-1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20200051288A (ko) 2018-11-05 2020-05-13 대동공업주식회사 콤바인용 보조반송 구동벨트부 측 비산 오일 차단구조
KR20210001949A (ko) * 2019-06-27 2021-01-0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JP7407696B2 (ja) * 2020-12-21 2024-01-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867Y2 (ja) * 1978-05-24 1984-11-0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搬送装置
CN2295319Y (zh) * 1997-06-02 1998-10-28 江西省永丰机械厂 半喂入联合收割机
JP3445123B2 (ja) * 1997-10-30 2003-09-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装置
JP3504569B2 (ja) * 2000-03-14 2004-03-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3727254B2 (ja) * 2001-06-11 2005-12-1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02360039A (ja) * 2001-06-12 2002-12-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1103A (zh) 2005-05-04
KR100542528B1 (ko) 2006-01-11
JP2005130761A (ja) 2005-05-26
JP4101153B2 (ja) 2008-06-18
CN1309295C (zh)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528B1 (ko) 콤바인
KR100655342B1 (ko) 자탈형 콤바인
JP2004337036A (ja) さとうきび収穫機
JP4162573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構造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3547362B2 (ja) 根菜類収穫機の葉部除去装置
JP2003000033A (ja) コンバインの株元移送装置
JPH083238Y2 (ja) コンバイン
JP3332183B2 (ja) 農産物収穫機
JP3513459B2 (ja) 根菜類収穫機
JP4101157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構造
JP2021141857A (ja) コンバイン
JPH0648933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刈取部伝動装置
JP3513462B2 (ja) 根菜類収穫機
JPS599560Y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装置
JP2002176835A (ja) コンバイン
JP4104144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構造
JPS62273120A (ja) コンバイン等のフレ−ム
JP2005204519A (ja) 鱗茎作物調製機の調製部高さ可変構造
JP2002176836A (ja) コンバイン
JPH0635U (ja) コンバインの穀稈引起装置
JPH11243744A (ja) 野菜収穫機
JPH081590U (ja) 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装置
JP2000316365A (ja) コンバイン
JPH081591U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