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342B1 - 자탈형 콤바인 - Google Patents

자탈형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342B1
KR100655342B1 KR1020050076189A KR20050076189A KR100655342B1 KR 100655342 B1 KR100655342 B1 KR 100655342B1 KR 1020050076189 A KR1020050076189 A KR 1020050076189A KR 20050076189 A KR20050076189 A KR 20050076189A KR 100655342 B1 KR100655342 B1 KR 10065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vesting
auxiliary conveying
chain
auxiliary
conve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165A (ko
Inventor
야스히코 가타야마
미키오 오모리
다모츠 소야
요시타네 미야노
가쿠지 가와무라
유지 가토
치하루 우에키타
노리무네 오자키
이치로 마에다
후미오 나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4102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31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240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96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12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96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05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예취부(3)를 그 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 가능하게 구성한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의 선회 개방에 의한 상기 이점을 발휘시키면서,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의 곡물짚 공급 반송을 확실하고 양호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취부(3)에 구비된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의 종단부와, 탈곡 장치(5)에 장비된 피드 체인(21)의 시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22)를 배비하는 동시에, 보조 반송장치(22)와 이것으로의 전동수단을 일체화 하여 보조 반송 유닛(A)을 구성하고, 이 보조 반송 유닛(A)을 주행 기체(2)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자탈형 콤바인, 주행 기체, 예취부, 보조 반송 장치, 보조 반송 유닛, 반송 체인, 곡물짚.

Description

자탈형 콤바인{HEAD-FEEDING TYPE COMBINE HARVES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이하, 단지 「콤바인」이라고 칭함)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콤바인의 예취(刈取)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동력전동 계통도,
도 5는 보조 반송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보조 반송 유닛의 측면도,
도 7은 보조 반송 유닛을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예취부를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선회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예취부의 기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예취부 프레임의 기부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동 구조 및 들어 올리기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13은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14는 예취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동력전동 계통도,
도 16은 보조 반송장치 주변의 측면도,
도 17은 보조 반송장치 주변의 평면도,
도 18은 보조 반송장치를 기체내측에서 본 측면도,
도 19는 예취부를 도 1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선회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도 20은 예취부의 기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예취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2는 보조 반송장치 주변의 측면도,
도 23은 보조 반송장치 주변의 평면도,
도 24는 보조 반송장치를 기체내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탈형(自脫型) 콤바인(head-feeding type combine harvest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곡물짚(穀稈) 반송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주행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탈곡 장치를 탑재한 주행 기체와, 이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연결된 예취부를 구비하는 자탈형 콤바인으로서, 상기 예취부가 그 기부의 요동축심을 중심으로 횡외측방(횡방향 바깥쪽, 橫外側方)으로 선회 개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자탈형 콤바인」이란, 예취 곡물짚의 밑동측(株元側) 부분을 피드 체인으로 파지·반송하면서 이삭 끝측 부분을 탈곡 장치의 훑기처리 동체(扱胴)에 돌입시켜서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타입의 콤바인을 말하며, 피더 등으로 탈곡 장치로 반송한 예취 곡물짚의 전체를 훑기처리실에 투입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타입의 「전체 짚 투입형 콤바인(whole-culm discharging type combine harvester)」 또는 「보통형 콤바인(ordinary combine harvester)」이라고 칭해지는 콤바인에 대한 명칭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의 축심주위를 회전하는 롤러(휠)군에 걸쳐져서 체인이 대략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체인을 「종방향 회전식」의 체인이라고 칭하고, 대략 상하방향의 축심주위를 회전하는 롤러 군에 걸쳐져서 체인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구동하는 체인을 「횡방향 회전식」의 체인이라고 칭한다.
자탈형 콤바인의 곡물짚 반송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1-37317호 공보나 일본 특개 2001-3731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취부를 그 기부를 중심으로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있다(양 공보의 도 22 참조).
상기 곡물짚 반송 구조는 예취부를 횡외측쪽으로 선회 개방함으로써, 예취부의 배후를 크게 노출시킬 수 있고, 예취부의 각 부에 있어서의 점검 정비나 곡물짚 반송계에서의 막힘 제거,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엔진 주변도 기체 내측으로부터 개방할 수 있으므로, 엔진으로부터 각부로의 전동계의 점검 정비도 예취부의 이동에 의해 크게 비워진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취부의 선회 개방에 의한 상기 이점을 발휘시키면서,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의 곡물짚 공급 반송을 확실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자탈형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 구성은, 상기 예취부에 구비된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의 종단부와 상기 탈곡 장치에 장비된 피드 체인의 시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 반송장치와 이 보조 반송장치로의 동력 전동수단을 일체화 하여 보조 반송 유닛이 구성되고, 이 보조 반송 유닛이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에 있다.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예취부에서 예취하여 수확된 곡물짚이 곡물짚공급 반송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의 피드 체인으로 공급될 때,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의 종단에 다다른 곡물짚이 보조 반송장치에 의해 강제적으로 피드 체인의 시단부(始端部)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의 곡물짚 공급구 부근에서의 체류가 없는 곡물짚 공급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보조 반송 유닛을 떼어냄으로써 예취부 후방부의 선회 개방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예취부의 선회 개방에 의해 열린 큰 공간에서, 예취부의 배후부로부터의 점검 정비나 막힘 제거, 또는, 예취부로 가려져 있던 기체 내부의 점검 정비 등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취부의 선회 개방에 의한 이점을 발휘시키면서,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의 곡물짚 공급 반송을 확실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동력전동 수단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의 일방측에 설치한 전동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전동 케이스에 상기 예취부에 연동 연결된 입력축과 상기 보조 반송장치와 연동 연결된 출력축이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조 반송장치는 예취부에 연동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체주행 속도의 증대에 따라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가 빨라지면 보조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도 빨라진다. 반대로, 기체주행 속도의 저하에 따라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가 늦어지면 보조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도 늦어진다. 따라서, 항상 곡물짚의 체류나 자세 교란이 적은 원활한 곡물짚 공급이 행해진다.
상기 보조 반송 유닛을 주행 기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서는, 예를들면, 상기 보조 반송 유닛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를 지지하는 반송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반송 프레임이 복수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주행 기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취부를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들면,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예취부의 예취부 프레임의 후단 기부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가 세워 설치되고, 이 지지대의 상기 회전 축심측에 상기 예취부를 선회 개방하기 위해서 이 예취부를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들어올리기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특징구성은, 상기 예취부에 구비된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의 종단부와 상기 탈곡 장치에 장비된 피드 체 인의 시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가 배비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 반송장치에 종방향 회전식의 반송 체인이 감겨지고, 상기 예취부의 기부에 횡방향으로 걸쳐진(橫架) 카운터축의 단부와 상기 보조 반송장치를 전동 체인을 통하여 연동 연결하고, 이 카운터 축보다도 고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보조 반송장치를 주행 기체측에 설치한 것에 있다.
상기 특징구성에 의하면, 앞에 기술한 특징구성의 경우와 동일하게, 예취부에서 예취하여 수확된 곡물짚이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고 탈곡 장치의 피드 체인에 공급될 때,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의 종단에 다다른 곡물짚이 보조 반송장치에 의해 강제적으로 피드 체인의 시단부에 반송되어, 탈곡 장치의 곡물짚 공급구 부근에서의 체류가 없는 곡물짚 공급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보조 반송장치는 예취부에 연동 연결되어서 동조 구동되므로, 단위시간당의 수확량의 증대 등에 따라 공급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를 빨리하면, 보조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도 빨라진다. 반대로, 단위시간당의 수확량의 감소 등에 따라 공급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를 느리게 하면, 보조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도 느리게 된다. 따라서, 공급 반송장치로부터 보조 반송장치로의 수계(이어받기) 반송이 항상 곡물짚의 체류나 자세교란이 적은 것으로 된다.
또, 예취부에서의 카운터 축의 단부에 구비된 스프로킷, 또는, 보조 반송장치의 입력부에 구비된 스프로킷으로부터 전동 체인을 벗겨냄으로써, 예취부를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부의 점검 정비나 막힘 제거, 또는, 예취부로 가려져 있던 기체 내부의 점검 정비 등을 개방된 예취부의 배후부에 형성 된 넓은 공간에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카운터축보다도 고위치에 위치시켜서 보조 반송장치를 주행 기체측에 설치하고 있고, 예취부를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할 때에, 카운터축과 보조 반송장치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으므로, 예취부를 무리없이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특징구성에 의해서도, 예취부를 선회 개방시키는 것에 의한 이점을 발휘시키면서,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의 곡물짚 공급반송을 확실하고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특징구성에서는, 보조 반송장치를 떼어내지 않아도 간단하게 예취부를 선회 조작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에도 우수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반송 체인이 전후의 아이들 휠(遊轉輪)과 하단부의 구동 스프로킷에 걸쳐서 역삼각 형상으로 감겨져서 팽팽하게 설치되고, 이 구동 스프로킷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의 일측방에 설치한 전동 케이스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전동 케이스의 입력축과 상기 카운터 축이 상기 전동 체인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조 반송장치는 위쪽으로 펼쳐진 역삼각 형상이므로, 이 보조 반송장치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카운터축의 단부가 선회 이동하는 이동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예취부를 무리없이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할 수 있는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전동 체인의 되돌아오기 경로에 판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타이트너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이 타이트너의 자유 단부(遊端部)에 손가락을 올려 놓는 조작부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취부를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하는 조작에 앞서, 예취부에 있어서의 카운터 축의 단부에 구비된 스프로킷, 또는, 보조 반송장치의 입력부에 구비된 스프로킷으로부터 전동 체인을 벗겨낼 때, 타이트너의 자유단에 형성한 조작부에 손가락을 올려 놓고 타이트너를 휨 변형시켜서 전동 체인을 느슨하게 할 수 있어, 예취부 선회를 위한 준비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구성, 및 그 특징구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유리한 점이나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확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
[제 1 실시형태]
도 1∼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에 자탈형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가, 또한 도 2에 그 전체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자탈형 콤바인은, 좌우 한쌍의 크롤러 주행장치(주행장치의 일례)(1)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2)를 구비하고, 이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3조베기 사양의 예취부(3)가 승강 자유롭게 연결되는 동시에, 주행 기체(2)에 운전부(4), 탈곡 장치(5), 및, 곡물입자회수탱크(6), 등이 탑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예취부(3)에는 예취부 프레임(7)이 구비되어 있고, 이 예취부 프레임(7)의 후단 기부가, 주행 기체(2)의 전단부에 세워 설치된 지지대(8)에 횡방향의 지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9)로 상하로 구동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예취부 프레임(7)은 상기 지지점(P)으로부터 전방 아래쪽을 향하여 뻗어나온 통 형상 전동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고, 이 예취부 프레임(7)에, 직립 곡물짚을 소정의 예취 자세로 일으켜 세우는 일으키기 장치(10), 일으켜 세운 직립 곡물짚을 절단하는 이발기형태의 예취 장치(11), 예취 곡물짚을 후방으로 가볍게 긁어모아 넣는 전방 반송벨트(12), 예취 곡물짚의 밑동을 후방으로 긁어모아 넣어 반송하는 회전 패커(13), 예취 곡물짚을 한곳으로 합류하는 좌우 한쌍의 이삭 끝 걸음 반송기구(14, 15)와 짚 밑동 협지 반송기구(16, 17), 합류된 곡물짚을 후방 위쪽을 향하여 반송하는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 등이 지지되어 있다.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는 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이삭 끝 걸음 반송기구(15)의 후방 연장부분, 가동식의 짚 밑동 협지 반송기구(19), 및, 횡방향 회전형의 중계 반송기구(20)로 구성되어 있다.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에는, 짚 밑동 협지 반송기구(19)를 전방부 지지점 주위에서 상하 요동시켜 반송 종단위치를 짚 길이 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탈곡 장치(5)의 횡외측면에 배비된 피드 체인(21)으로의 곡물짚 주고받기 위치를 짚 길이방향으로 변경하여 탈곡 장치(5)로의 곡물짚 삽입길이를 변경 조절하는 훑기 깊이 조절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또, 공급 반송장치(18)의 종단과 피드 체인(21)의 시단부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22)가 배비되어 있다.
도 4에, 이 콤바인에 있어서의 전동구조의 개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운전부(4)의 좌석 아래쪽에 배비된 엔진(26)의 동력의 일부는 정 역전 전환가능한 유압식의 무단 변속장치로 이루어지는 주변속장치(27)에 텐션식의 주클러치(28)를 통하여 벨트식으로 전달된다. 엔진(26)의 동력의 다른 일부는, 텐션식의 탈곡 클러치(29)를 통하여 탈곡 장치(5)로 벨트식으로 전달되고, 훑기처리 동체(23), 피드 체인(21), 등의 탈곡 장치(5)에 장비된 모든 기구가 정속도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속장치(27)의 변속출력이 미션 케이스(30)에 입력되어 주행계와 작업계로 분기되고, 주행계의 동력은 미션 케이스(30)내에서 복수단으로 기어 변속된 후, 좌우의 크롤러 주행장치(1)에 전달된다. 또, 미션 케이스(30)로부터 PTO축(31)을 통하여 취출된 작업계의 동력은 그 정회전 동력만이 일방향 클러치(32)를 통하여 예취부(3)로 전달된다.
예취 프레임(7)의 기부에는 상기 지지점(P)과 동심으로 횡방향으로 긴 통 형상의 기단 보스부(7a)가 구비되어 있고, 이 기단 보스부(7a)가 상기 지지대(8)에 지지점(P) 주위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기단 보스부(7a)에 삽입통과되어 지지된 카운터축(33)의 우단과 상기 PTO축(31)이 벨트 텐션식의 예취 클러치(34)를 통하여 벨트 연동되고, 이 카운터축(33)에 전달된 동력으로 상기 일으키기 장치(10), 예취 장치(11), 전방 반송 벨트(12), 회전패커(13), 및, 이삭 끝 걸음 반송기구(14, 15), 짚 밑동 협지 반송기구(16, 17), 공급 반송장치(18), 및, 중계 반송장치(20)가 주행속도와 동조한 속도로 구동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22)는, 반송 돌기(23a)부착 반송 체인(23)과, 이것의 위쪽에 대향하여 배비된 가이드 레일(24)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 반송장치(22)의 반송 체인(23)은 중계 반송기구(20)와 피드 체인(21)의 시단부 사이에서 둘러쳐지듯이 감겨, 예취부(3)의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와 동조한 속도로 구동되게 되어 있다.
즉, 피드 체인(21)의 전단부 근방의 기체 내측에 전동 케이스(감속 케이스)(35)가 배비되고, 이 전동 케이스(35)의 전방부에 구비된 입력축(36)과 상기 카운터 축(33)의 좌단부가 전동 체인(37)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또, 전동 케이스(35)의 후부에는, 상기 입력축(36)에 기어 연동된 출력축(38)이 지지되어 있고, 이 출력축(38)에 보조 반송장치(22)의 구동 스프로킷(39)이 연결되어 있다. 반송 체인(23)은 구동 스프로킷(39)과 전방부의 아이들 휠(49a) 및 후방부의 아이들 휠(49b)에 걸쳐 감겨져서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의 아이들 휠(49b)을 지지한 브래킷(50)은 평면형상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반송 체인(23)의 후단부를 측면으로부터 은폐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어, 반송 체인(23)에 의한 반송 곡물짚의 휩쓸림이 회피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래킷(50)이 반송 체인(23)의 릴리프판 부재의 역할과 롤러(아이들 휠(49b))의 지지부재의 역할을 갖도록 일체화되어 있음으로써, 부품수가 저감되고, 따라서 코스트 다운 및 조립 공수의 저감이 도모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조 반송장치(22)와 전동 케이스(35)는 반송 프레임(41)을 통하여 일체화되는 동시에, 보조 반송장치(22)의 반송 체인(23)에 가압되는 텐션 롤러(44)도 반송 프레임(41)에 지지되고, 그것에 의해, 보조 반송 유닛(A)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송 프레임(41)의 하부 프레임부(41a)가,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배비된 지지틀(42)에 기체 좌측방향으로부터 탈착조작 가능한 3개의 볼트(체결수단의 일례)(43)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동 체인(37)을 카운터 축(33), 또는, 입력축(36)으로부터 벗겨내는 동시에, 반송 프레임(41)을 고정하고 있는 3개소의 볼트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보조 반송 유닛(A)을 지지틀(42)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의 개수는 3개 이외의 임의의 개수이어도 좋다.
또한, 예취부(3)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뻗어나온 지지 암(45)의 후단부에 지지대(46)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 이 지지대(46)에, 상기 중계 반송기구(20)의 반송 돌기(23a) 부착의 반송 체인(20a)에 대향배비된 가이드 봉(20b)이 탄성적으로 후퇴변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보조 반송장치(22)의 가이드 레일(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24)은 후방측으로 캔틸레버 상태이고 지지대(46)에 지지점(q) 주위에 상하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스프링(47)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운동 가압되고, 중계 반송기구(20)로부터 이어받은 곡물짚의 짚 밑동를 협지 반송하여 피드 체인(21)의 시단부로 보내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 암(45)의 후단부에는, 보조 반송장치(22)보다도 이삭 끝측 위치에서 곡물짚을 가볍게 탄성적으로 눌러서 옆으로 쓰러진 자세를 안정시키는 띠 형상의 스프링판(48)이 후방측으로 캔틸레버 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예취부(3)는 점검 정비를 위해 횡외측방으로 선회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프레임(7)에 있어서의 기단 보스부(7a)의 좌우 양단부는, 상기 지지대(8)에 구비한 좌우의 베어링부(51, 52)에 상기 지지점(P) 주위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좌측의 베어링부(51)가 종축심(회전축심의 일예)(X)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대(8)에 지지되는 동시에 ,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우측의 베어링부(52)는 위쪽으로 요동 개방 가능한 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 보스부(7a)의 우측 단부가 베어링부(52)에 받아들여져 지지되어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지지대의 종축심(X)측에는, 예취부(3)를 선회 개방하기 위해서 이 예취부(3)를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들어올리기 기구(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들어올리기 기구(F)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기체 좌측의 베어링부(51)에는 횡방향의 조작 지지축(53)을 통하여 회전운동조작 가능한 들어올리기 로킹용의 각(角) 블록(블록 부재의 일예)(54)과, 치켜올려 회전된 각 블록(54)이 올라앉아 재치되는 받이부(5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예취 프레임(7)에 있어서의 기단 보스부(7a)에는, 각 블록(54)과의 맞닿음부(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취부(3)를 전방을 향하는 통상의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좌측 횡측방으로 요동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예취부(3)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들어올리기 로킹용의 각 블록(54)을 치켜올려 회전시켜 받이부(55)에 올려놓는다. 그후,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3)를 하강시켜서 기단 보스부(7a)에 일체로 형성한 맞닿음부(56)를 각 블록(54)의 위에 올려놓아, 그 이상으로 예취부(3)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각 블록(54)을 통하여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는 예취부(3) 는 지상으로부터 떠오른 높이에서 유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예취 프레임(7)과 유압실린더(9)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시에, 우측의 베어링부(52)를 개방하여, 예취부(3)를 종축심(X) 주위에서 회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예취부(3)를 선회 요동하기에 앞서, 보조 반송 유닛(A)을 상기한 바와 같이 떼어내는 동시에 지지대(46)를 지지 암(45)으로부터 떼어내어, 예취부(3)의 후방부 선회 스페이스를 확보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2∼20은 본 발명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의 반복을 생략한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도 10∼11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에서도 적당하게 참조한다.
도 12∼17을 참조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보조 반송장치(22)는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중계 반송기구(20)와 피드 체인(21)의 시단부 사이에 둘러쳐지듯이 감겨진 반송 돌기(23a) 부착의 반송 체인(23)과, 이것의 위쪽에 대향하여 배비된 가이드 레일(24)로 구성되고,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와 동조된 속도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반송기구(20)의 후방부에 다다른 곡물짚의 밑동이, 반송 체인(23)과 가이드 레일(24)로 협지되어서 후방에 보내지는 동시에, 짚 밑동 협지 반송기구(19)로부터 비스듬히 후방을 향해서 캔틸레버 형상으로 뻗어나온 불출봉(134)으로 안내되어서 횡외방으로 불출되고, 피드 체인(21)의 시단상에 보내지 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드 체인(21)의 전단부는 광폭의 안내 커버(135)로 덮혀서, 불출봉(134)에 의해 치켜올려져 안내되어 온 곡물짚 밑동를 원활하게 피드 체인(21)의 반송 영역까지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 보조 반송장치(22)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다. 피드 체인(21)의 전단부 근방의 기체 내측에는, 전동 케이스(감속 케이스)(37)가 배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케이스(37)가 반송 체인(23)보다도 기체의 횡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기체 횡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다르다. 이 전동 케이스(37)의 전방부에 구비된 입력축(36)의 스프로킷(143)과, 상기 카운터축(33)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144)에 걸쳐서, 전동 체인(37)이 감겨져 있다. 이 전동 체인(37)이 느슨한 측으로 되는 하측 경로에는, 띠 형상의 스프링판재로 이루어지는 타이트너(tighterner,146)가 가압작용 하고 있다. 또한, 타이트너(146)의 일단은 반송 프레임(147)에 소정의 후방측으로 캔틸레버 자세로 고정 연결되는 동시에, 자유단에 조작부(146a)가 굴곡형성되고, 이 조작부(146a)에 손가락을 올려 놓고 아래쪽으로 휘게 함으로써 전동 체인(37)을 느슨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동 케이스(37)의 후방부에는, 상기 입력축(36)에 기어 감속 연동된 출력축(38)이 지지되어 있고, 이 출력축(38)에 보조 반송장치(22)의 구동 스프로킷(49)이 연결되어 있다. 반송 체인(23)은 아래쪽의 구동 스프로킷(49)과 위쪽에 배비된 전후의 아이들 휠(49a, 49b)에 걸쳐서 역삼각 형상으로 감겨져서 팽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의 아이들 휠(49b)을 지지한 브래킷(50)은 평면형상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반송 체인(23)의 후단부를 측면으로부터 은폐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어, 반송 체인(23)에 의한 반송 곡물짚의 휩쓸림이 회피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조 반송장치(22)와 전동 케이스(37)는 반송 프레임(147)을 통하여 유닛 형상으로 일체화되는 동시에, 보조 반송장치(22)의 반송 체인(23)에 가압되는 텐션 롤러(154)의 지지 암(155)도 반송 프레임(147)에 지지되고, 그것에 의해, 보조 반송 유닛(A)이 구성되어 있다. 이 보조 반송 유닛(A)의 반송 프레임(147)은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세워 설치되어 배비된 지지대(8)에 볼트 등으로 연결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또, 예취부(3)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암 형상의 레일 지지부재(57)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이 레일 지지부재(57)의 후단부에 구비된 레일대(58)에, 중계 반송기구(20)의 반송 체인(20a)에 대향 배비된 가이드 레일(20b)이 탄성적으로 후퇴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레일 지지부재(57)의 후단부에 보조 반송장치(22)의 가이드 레일(24)이 장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24)의 전단은 레일 지지부재(57)에 지지점(q) 주위에서 상하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스프링(59)에 의해 아래쪽으로 회전운동 가압되어, 중계 반송기구(20)로부터 이어받은 곡물짚의 짚 밑동을 보조 반송장치(22)의 반송 체인(23)과 가이드 레일(24)로 상하로부터 탄성적으로 협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일 지지부재(57)의 후단에는, 피드 체인(21)의 전방부 위쪽에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60)의 전단부도 상하 회전운동 가능하게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공통의 레일 지지부재(57)로 복수의 가이드 레일(20b, 24, 60)을 지지함으로써 레일 지지 구조의 부품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예취부(3)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검 정비를 위해 좌측 횡외측방으로 선회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20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부 프레임(7)에 있어서의 기단 보스부(7a)의 좌우 양 단부는, 상기 지지대(8)에 구비한 좌우의 베어링부(51, 52)에, 상기 지지점(P) 주위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 좌측(도 20에서는 우측)의 베어링부(51)가 종축심(X)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대(8)에 지지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우측의 베어링부(52)는 위쪽으로 요동 개방 가능한 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 보스부(7a)의 우측 단부가 베어링부(52)에 받아들여져 지지되어 있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지지대의 종축심(X)측에는, 예취부(3)를 선회 개방하기 위해서 이 예취부(3)를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들어올리기 기구(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들어올리기 기구(F)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기체 좌측의 베어링부(51)에는, 횡방향의 조작 지지축(53)을 통하여 회전운동조작 가능한 들어올리기 로킹용의 각 블록(블록 부재의 일예)(54)과, 치켜올려 회전된 각 블록(54)이 올라앉아 재치되는 받이부(5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예취 프레임(7)에 있어서의 기단 보스부(7a)에는 각 블록(54)과의 맞닿음부(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방을 향한 통상의 위치에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의 좌측 횡측방으로 예취부(3)를 요동 개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예취부(3)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들어올리기 로킹용의 각 블록(54)을 치켜올려 회전시켜 받이부(55)에 올려놓는다. 그 후,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취부(3)를 하강시켜서 기단 보스부(7a)에 일체로 형성한 맞닿음부(56)를 각 블록(54)상에 얹어놓아, 그 이상으로 예취부(3)가 하강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각 블록(54)을 통하여 하강이 저지된 상태에서는 예취부(3)는 지상으로부터 떠오른 높이로 유지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예취 프레임(7)과 유압실린더(9)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시에, 우측의 베어링부(52)를 개방하여, 예취부(3)를 종축심(X) 주위에서 회전 개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취부(3)의 선회 개방조작에 앞서, 카운터 축(33)과 보조 반송장치(22)의 연동을 해제해 놓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우선, 타이트너(146)의 자유단에 구비한 조작부(146a)에 손가락을 올려놓고 끌어내려, 타이트너(146)를 아래쪽으로 휘게하여 전동 체인(37)을 느슨하게 하고, 다음에, 예를 들면, 카운터축(33)의 스프로킷(144)으로부터 전동 체인(37)을 벗겨내고, 벗겨낸 전동 체인(37)을 입력축(36)의 스프로킷(143)에 걸어서 늘어뜨려 놓는다. 또, 가이드 레일(24, 60)을 치켜올려 격납하거나 떼어내어, 가이드 레일(24)과 반송 체인(23) 및 가이드 레일(60)과 피드 체인(21)과의 걸림을 푼다. 그 후에 예취부(3)의 선회 개방조작을 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21∼24는 본 발명에 의한 자탈형 콤바인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이하, 그 변형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제 2 실시형태(또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의 반복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5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설치된 곡물짚 안내편(50a)이 탈곡 장치(5) 전면의 곡물짚 공급구의 하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뻗어나온 곡물짚 받아들임 안내용의 입구 플레이트(153)에, 측면에서 보아 위쪽으로부터 겹치도록(오버행 하도록) 배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입구 플레이트(153)로의 곡물짚 송입이 확실하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또, 보조 반송장치(22)에서의 가이드 레일(24)로부터는 종방향 판 형상의 반송 가이드(25)가, 가이드 레일(24)을 따라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가이드(25)는 반송 체인(23)의 반송 돌기(23a)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반송 가이드(25)는 손으로 벤 곡물짚을 피드 체인(21)의 시단부에 손으로 꽂아 공급하는 탈곡 작업(소위 기초탈곡(枕脫穀) 작업)에 있어서, 손으로 벤 곡물짚의 임시 놓는 곳으로 이용된다. 즉, 기초탈곡 작업에서는 주행을 정지하고 예취부(3)의 구동을 정지하므로, 예취부(3)로부터 동력을 받아서 구동되는 보조 반송장치(22)도 정지하게 되는데, 정지해 있는 반송 체인(23)의 반송 돌기(23a)가 가이드 레일(24)의 반송 가이드(25)에 의해 은폐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24)위에 재치한 손으로 꽂은 곡물짚을, 반송 돌기(23a)에 걸려들게 하지 않고 반송 가이드(24a)위를 미끄러지게 하여 곡물짚 자세를 정돈하면서, 피드 체인(21)의 시단부로 보낼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반송장치(22)에 있어서의 반송 체인(23)의 권회루프내에는 구동 스프로킷(49)을 향하는 주유 노즐(66)이 배비되어 있다. 운전부(4)에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동식의 주유 펌프(도시 생략)가 기동되어, 주유 튜브(67)를 통하여 주유 노즐(66)로 보내어진 윤활유가 구동 스프로킷(49)을 통하여 반송 체인(23)으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유 펌프는 예취부(3)의 각종의 윤활이 필요한 개소에 설치한 주유 노즐(도시 생략)에도 접속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각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해 왔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면 이하와 같은 여러가지의 개변이 가능하다.
(1) 상기 보조 반송 유닛(A)에, 짚 밑동 반송용의 돌기부착 체인과 이삭 끝 반송용의 돌기부착 체인을 좌우에 병렬 배비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2) 보조 반송장치(22)를 탈곡 장치(5)의 전동계에 연동 연결하고, 주행 속도에 관계없이 보조 반송장치(22)를 일정한 속도로 구동하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3) 주변속장치(27)로서는 유압식의 무단 변속장치 대신에, 예를들면 벨트식 무단 변속장치 등을 장비한 것 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부(3)를 그 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 가능하게 구성한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부의 선회 개방에 의한 상기 이점을 발휘시키면서, 예취부로부터 탈곡 장치로의 곡물짚 공급 반송을 확실하고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8)

  1. 주행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탈곡 장치(5)를 탑재한 주행 기체(2)와, 이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연결된 예취부(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예취부가 그 기부의 회전 축심(X)을 중심으로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구비된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의 종단부와 상기 탈곡 장치(5)에 장비된 피드 체인(21)의 시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22)가 배비되는 동시에,
    상기 보조 반송장치와 이 보조 반송장치로의 동력 전동수단을 일체화 하여 보조 반송 유닛(A)이 구성되고, 이 보조 반송 유닛이 상기 주행 기체(2)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동수단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의 일방측에 설치된 전동 케이스(35)를 구비하고, 이 전동 케이스에 상기 예취부에 연동 연결된 입력축(36)과 상기 보조 반송장치와 연동 연결된 출력축(38)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반송 유닛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를 지지하는 반송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이 반송 프레임이 복수의 체결수단(43)에 의해 상기 주행 기체(2)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예취부의 예취부 프레임(7)의 후단 기부를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8)가 세워 설치되고, 이 지지대의 상기 요동 축심(X)측에, 상기 예취부를 선회 개방하기 위해서 이 예취부를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들어올리기 기구(F)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5. 주행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탈곡 장치(5)를 탑재한 주행 기체(2)와, 이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연결된 예취부(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예취부가 그 기부의 요동 축심(X)을 중심으로 횡외측방으로 선회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에 구비된 곡물짚 공급 반송장치(18)의 종단부와 상기 탈곡 장치(5)에 장비된 피드 체인(21)의 시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 보조 반송장치(22)가 배비되는 동시에, 상기 보조 반송장치에 종방향 회전식의 반송 체인(23)이 감겨지고,
    상기 예취부의 기부에 횡방향으로 걸쳐진 카운터축(33)의 단부와 상기 보조 반송장치를 전동 체인(37)을 통하여 연동 연결하고, 이 카운터축보다도 고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보조 반송장치를 주행 기체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체인(23)이 전후의 아이들 휠(49a, 49b)과 하단부의 구동 스프로킷(49)에 걸쳐서 역삼각 형상으로 감겨져서 팽팽하게 설치되고,
    이 구동 스프로킷이 상기 보조 반송장치의 일방측에 설치된 전동 케이스(35)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전동 케이스의 입력축(36)과 상기 카운터 축(33)이 상기 전동 체인(37)을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체인의 되돌아오기 경로에 판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타이트너(146)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동시에, 이 타이트너의 자유단부에 손가락을 올려놓는 조작부(146a)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전단부에는 상기 예취부의 예취부 프레임(7)의 후단 기부를 상하 요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8)가 세워 설치되고, 이 지지대의 상기 회전 축심(X)측에, 상기 예취부를 선회 개방하기 위해서 이 예취부를 상승상태로 유지하는 들어올리기 기구(F)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탈형 콤바인.
KR1020050076189A 2004-08-20 2005-08-19 자탈형 콤바인 KR100655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1025A JP4413103B2 (ja) 2004-08-20 2004-08-20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JPJP-P-2004-00241025 2004-08-20
JPJP-P-2004-00312405 2004-10-27
JPJP-P-2004-00312407 2004-10-27
JP2004312407A JP4289622B2 (ja) 2004-10-27 2004-10-27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JP2004312405A JP4289621B2 (ja) 2004-10-27 2004-10-27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65A KR20060053165A (ko) 2006-05-19
KR100655342B1 true KR100655342B1 (ko) 2006-12-08

Family

ID=3715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189A KR100655342B1 (ko) 2004-08-20 2005-08-19 자탈형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5342B1 (ko)
CN (1) CN10037763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4756B (zh) * 2009-12-07 2012-12-26 广西汽牛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联合收割机
KR101709779B1 (ko) * 2012-10-10 2017-02-23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102075171B1 (ko) * 2013-03-27 2020-02-0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05309114B (zh) * 2014-08-03 2020-02-21 托克托县宏昌机械制造有限公司 葵花盘收割机
JP7407696B2 (ja) * 2020-12-21 2024-01-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315A (ja) * 1999-07-28 2001-02-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稈移送装置
JP2001037317A (ja) * 1999-07-29 2001-02-13 Kubota Corp 刈取収穫機の刈取部支持構造
JP4411741B2 (ja) * 2000-04-26 2010-02-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2095336A (ja) * 2000-09-26 2002-04-0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2305937A (ja) * 2001-04-16 2002-10-2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稈移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6147A (zh) 2006-02-22
KR20060053165A (ko) 2006-05-19
CN100377637C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342B1 (ko) 자탈형 콤바인
KR102207702B1 (ko) 콤바인
JP4289622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KR100542528B1 (ko) 콤바인
JP2010172282A (ja)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
JP2021185783A (ja) コンバイン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4289621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JP4413103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JP2005137274A (ja)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受け渡し構造
JP200513727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構造
JP3671550B2 (ja) コンバイン
JP4101157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構造
JP3103058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KR20210001966A (ko) 콤바인
JP3318256B2 (ja) コンバイン
JP2010172266A (ja) コンバイン
JPH10136754A (ja) コンバインの穀稈継送装置
JP2003009628A (ja) コンバイン
JP2006006320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H0631935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04129520A (ja) コンバイン
JPH09238553A (ja) コンバインのスライド式刈取装置
JP2006055087A (ja) 自脱型コンバインの穀稈搬送構造
JPH11155344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