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378A - 압력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제어 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31378A KR20050031378A KR1020040074031A KR20040074031A KR20050031378A KR 20050031378 A KR20050031378 A KR 20050031378A KR 1020040074031 A KR1020040074031 A KR 1020040074031A KR 20040074031 A KR20040074031 A KR 20040074031A KR 20050031378 A KR20050031378 A KR 200500313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pressure
- feedback
- linear solenoid
- thrus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05D16/202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with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05D16/2024—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the throttling means being a multiple-way val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582—Pilot-actuat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10T137/86702—With internal flow pass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7—Reciprocating valve
- Y10T137/86694—Piston valve
- Y10T137/8671—With annular passage [e.g., spo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압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고, 제어압을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어, 압력 제어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입력 포트(p1), 출력 포트(p2) 및 드레인 포트(p4∼p6)가 형성된 슬리브(62),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슬리브(62)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추력이 전달되고, 입력 포트(p1)에 입력된 입력압을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하는 제1 스풀과, 슬리브(62)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추력이 전달되고, 출력압을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2 스풀을 갖는다.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되므로, 컨트롤 밸브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에 있어서는, 오일 펌프에 의해 발생되어진 유압을 레귤레이터 밸브로 압력 조정하여 레귤레이터압으로 하고, 그 레귤레이터압을 유압 회로의 각소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 회로에는 각종의 압력 제어 밸브가 배치되고, 그 압력 제어 밸브 중, 예를 들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 및 압력 조정 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귤레이터압을 모듈레이터 밸브에 의해 감압함으로써 얻어진 모듈레이터압을 입력압으로서 받고,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압력 조정 밸브부를 작동시키고, 유압을 조정하여, 조정된 유압을 출력압으로서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2는 종래의 유압 회로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 부호 C는 마찰 걸림 결합 요소로서의 클러치, 도면 부호 91은 리니어 솔레노이드부(92) 및 압력 조정 밸브부(93)를 구비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그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91)는 도시되지 않는 레귤레이터 밸브로 압력 조절된 레귤레이터압을, 모듈레이터 밸브(94)로 더욱 감압함으로써 얻어진 모듈레이터압을 입력압으로서 받고, 제어 장치(95)로부터의 전류를, 리니어 솔레노이드부(92)의 도시되지 않는 코일에 공급함으로써, 압력 조정 밸브부(93)를 작동시켜, 유압을 조정하고, 조정된 유압을 출력압으로서 발생시킨다.
컨트롤 밸브(96)는 오일 펌프(97)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입력압(원압)으로서 받음과 동시에,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91)로부터 보내어진 출력압을 신호 유압으로서 받아서 제어압을 발생시켜, 상기 클러치(C)의 도시되지 않는 유압 서보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압은 상기 유압 서보에 소정의 유압 패턴으로 공급되어, 클러치(C)는 상기 유압 패턴에 기초하여 걸거나 벗겨진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상기 마찰 걸림 결합 요소로서 클러치(C)를 대신하여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그 브레이크를 상기 제어압의 유압 패턴에 기초하여 걸거나 벗길 수도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03-7473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유압 회로에 있어서는, 제어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91), 컨트롤 밸브(96) 등이 필요하게 되고, 부품의 수가 많아질 뿐 아니라, 유압 회로가 복잡해 진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91)만으로 제어압을 발생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그 경우, 제어압을 클러치(C)를 걸림 결합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최대의 유압으로 할 때에,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편차가 발생할 경우가 있어, 제어압을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제어압을 높게 하기 위해, 리니어 솔레노이드부(92)에 있어서 큰 추력이 요구되므로, 리니어 솔레노이드부(92)가 그 만큼 대형화되며, 그 결과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91)가 대형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유압 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어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압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어압을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는 압력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압력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제1 스풀과,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출력압을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2 스풀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압력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제1 스풀과,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스풀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출력압을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2 스풀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는 전류가 공급되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피전류 공급부, 및 상기 추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추력은 상기 가동부로부터 제2 스풀로 직접 전달되고, 그 제2 스풀, 및 제2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1 스풀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추력은 상기 가동부로부터 제1 스풀로 직접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스풀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다.
그리고, 그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과, 상기 추력 및 상기 피드백압에 의한 피드백력이 대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다. 그리고, 그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 및 상기 피드백압에 의한 피드백력과, 상기 추력이 대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스풀은 상기 제1 스풀에서 지름 방향 안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제2 스풀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슬리브에, 제1 스풀에 피드백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피드백압 작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스풀 간에 형성된 피드백 유로와 상기 피드백압 작용부가 연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추력이 변경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 스풀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어, 피드백 유로의 연통 상태가 전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조정하는 탄성력 조정 부재가, 상기 슬리브에 대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제2 스풀 간에, 다른 탄성 부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으로, 상기 탄성력 조정 부재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으로, 상기 다른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조정하는 다른 탄성력 조정 부재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스풀, 및 그 스풀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상기 스풀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과, 상기 추력 및 상기 피드백압에 의한 피드백력이 대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 내에, 상기 피드백압을 상기 스풀에 작용시킬 것인지 여부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피드백압 전환 수단은 2개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상기 슬리브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서로 스프링 상수가 다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축방향에 있어서 직렬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축방향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되고, 서로 길이가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압력 제어 밸브 중, 예를 들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특성도이다. 또한, 도4에 있어서, 횡축에 전류를, 종축에 출력압을 취하였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번호 10은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그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회로에서의 라인압의 유로 등에 도시되지 않는 레귤레이터 밸브를 통하여 접속되어, 오일 펌프에 있어서 발생된 유압이 레귤레이터 밸브에 의해 압력 조정되어 레귤레이터압이 되고, 그 레귤레이터압이 입력압으로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공급된다. 그리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되어, 전류에 대응하는 유압을 소정의 출력압(파이롯트압)으로서 발생시켜, 그 출력압을 제어압으로서 도시되지 않은 유압 서보에 공급한다. 그 유압 서보는 마찰 걸림 결합 요소로서의 클러치(C)를 계탈하기 위해 배치되고, 상기 제어압은 상기 유압 서보에 소정의 유압 패턴으로 공급되어, 클러치(C)는 상기 유압 패턴에 기초하여 걸거나 벗겨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마찰 걸림 결합 요소로서 클러치(C)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클러치(C)를 대신하여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압을 모듈레이터 밸브로 감압함으로써 모듈레이터압을 발생시켜, 그 모듈레이터압을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 번호 11은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부로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 도면 번호 12는 그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를 구동함으로써 작동되는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이다.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10)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를 위쪽에, 압력 조정 밸브부(12)를 아래쪽에 두어 도시되지 않는 자동 변속기 케이스에 장착된다.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는 환상의 코어(15), 그 코어(15)에 감겨져, 전류가 공급되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피전류 공급부로서의 코일(17), 그 코일(17)에 대하여 진퇴(도1 및 도3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 자유롭게 배치되어, 상기 추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부로서의 가동 철심(54), 상기 코일(17)에 전류를 공급하는 터미널(21), 및 통상의 케이싱체로서의 요크(20)를 구비하고, 그 요크(20)는 상기 코어(15), 코일(17) 및 가동 철심(54)을 포위하여 배치된다.
상기 코어(15)는 통상의 본체(16), 및 그 본체(16)의 전단(도1 및 도3에 있어서 좌단)에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된 플랜지부(28)를 구비하고, 본체(16)에 관통공(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6)는 축방향에 있어서 코일(17)보다 길게 되고, 본체(16)의 후단(도1 및 도3에 있어서 우단)은 소정의 양만큼 코일(17)의 후단에서 후방(도1 및 도3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동 철심(54)은 환상의 플런저(31), 및 그 플런저(31)의 중앙에 형성된 공(34)에 끼워져 고정된 샤프트(32)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17)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이동된다. 상기 플런저(31)는 원판상부(35), 및 그 원판상부(35)의 외주연에 있어서 전방(도1 및 도3에 있어서 왼쪽)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된 통상부(3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2)는 상기 관통공(18)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본체(16)의 전단 및 후단에 배치된 부싱(bushing, 19)을 통하여, 코어(15)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또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원판상부(35)의 전단면(도1 및 도3에 있어서 좌단면)에는 환상의 플레이트(33)가 샤프트(32)를 포위하여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33)는 코어(15)와 플런저(31)를 자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비자성체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20)는 바닥이 있는 통상체로 이루어지고, 통상부(55) 및 원형의 형상을 갖는 저부(56)를 구비하고, 상기 통상부(55)의 전단의 원주 방향에서의 소정의 개소에 절결(57)이 형성되고, 그 절결(57)을 통하여 코어(15)에 터미널(2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요크(20)에 있어서, 통상부(55)의 전단에 코킹부(80)가 형성되고, 요크(20) 내에 코어(15), 코일(17) 및 가동 철심(54)을 끼우고,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슬리브(62)를 세팅한 후, 코킹부(80)와 슬리브(62)의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부(63)를 코킹함으로써,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 및 압력 조정 밸브부(12)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가동 철심(54)에 있어서, 샤프트(32)의 전단면에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내측 스풀(26)의 후단이 당접된다.
상기 코어(15), 플런저(31) 및 요크(20)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강자성체로서, 예를 들면, 전자 연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전자 연철로서는, 순철을 95〔%〕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99〔%〕이상(소수점 제1 자리에서 사사오입하여 99〔%〕이상) 포함하는 것, 즉 실질적으로 순철이 사용된다. 또한, 샤프트(3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비자성체로서, 예를 들면 스텐레스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철심(54)은 도1에 도시되는 작동 상태에서 전진 한계 위치에 놓여지고, 도3에 도시되는 초기 상태에서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그리고, 작동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31)는 본체(16)의 후단에 플레이트(33)를 통하여 당접하고, 본체(16)의 후단부(도1 및 도3에 있어서 우단부)를 포위한다. 또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31)는 요크(20)에 당접한다.
상기 통상부(36)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소정의 개소에, 축방향으로 관통시켜 구멍(30)이 형성되고, 그 구멍(30)을 통하여 플런저(31)로부터 전방과 후방이 연통된다. 따라서, 가동 철심(54)이 진퇴됨에 따라서, 플런저(31)로부터 전방의 오일이 후방으로 흐르거나, 플런저(31)로보터 후방의 오일이 전방으로 흐르기도 한다.
한편, 압력 조정 밸브부(12)는 상기 슬리브(62), 내측 스풀(26), 외측 스풀(27), 상기 슬리브(62)의 전단에 고정되고, 외측 스풀(27)이 슬리브(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엔드 플레이트(64), 그 엔드 플레이트(64)와 외측 스풀 (27)의 전단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 스풀(27)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측을 향하여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f1)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 및 상기 외측 스풀(27) 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측을 향하여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 하중(f2)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측 스풀(27)에 의해 제1 스풀이, 내측 스풀(26)에 의해 제2 스풀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엔드 플레이트(64)는 상기 스프링 하중(f1)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력 조정 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내측 스풀(26)은 외측 스풀(27)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진퇴가 자유롭게, 즉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풀(26)은 전단에 형성되고, 스프링 (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中徑)의 홈(groove)(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大徑)의 랜드(68), 및 그 랜드(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小經)의 가동 철심 당접부(6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측 스풀(27)은 슬리브(62)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진퇴가 자유롭게, 또한 슬리브(6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또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스풀은(27)은 전단에 형성되어, 스프링(44)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70), 그 스프링 시트(7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1), 그 랜드(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 (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7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홈(72) 내에는 스프링(45)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76)가, 랜드(71)의 후단면(도1 및 도3에 있어서 우단면)에 인접시켜,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60)와 대향시켜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 시트(60, 76)에 의해 내측 스풀(26)용의 정지부가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시트(70), 랜드(71) 및 스프링 시트(76)의 축심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드레인구멍(78)이 형성되고, 그 드레인구멍(78)은 외측 스풀(27) 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보다 전방에 형성된 실을 슬리브(62) 외로 연통시킨다.
또한, 외측 스풀(27)의 상기 홈(72, 74)의 소정의 개소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형성되고,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 사이에는 홈(67)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피드백 유로(83)가 형성된다. 그리고, 랜드(75)의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후단면에서 전방에 걸쳐 가공부로서의 내주면을 가공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커지게 되어, 랜드(68) 및 슬리브(62)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드레인 유로(84)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62)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로부터 공급된 입력압이 공급(IN)되는 입력 포트(p1), 출력압을 제어압으로서 발생시키고, 유압 서보에 대하여 출력(OUT)하기 위한 출력 포트(p2), 밀폐된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 및 드레인 포트(p4∼p6)를 구비하고, 상기 피드 백 포트(p3)는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 및 피드백 유로(83)를 통하여 상기 출력 포트(p2)와 연통되고,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공급되어, 랜드(73, 75)의 면적차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그 탄성력으로 외측 스풀(27)을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스풀(27)은 가동 철심(54)에서 발생되어, 내측 스풀(26) 및 스프링(45)을 통하여 전달된 추력, 스프링(44)의 스프링 하중(f1) 및 피드백압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가동 철심 당접부(69)를 샤프트(32)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가동 철심(54)과 일체로 진퇴한다.
또한, 상기 내측 스풀(26)은 가동 철심(54)에서 발생되어, 직접 전달된 추력 및 스프링(45)의 스프링 하중(f2)을 받아, 상기 피드백 유로(83)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출력압을, 선택적으로 피드백시켜 외측 스풀(27)에 가하여, 작용시킨다. 그 때문에, 상기 추력이 변경됨에 따라서,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이 상대적으로 이동되면, 피드백 유로(83)와 입력 포트(p1) 및 드레인 유로(84)와의 연통 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풀(26)은 외측 스풀(27) 내에 있어서, 피드백압을 상기 외측 스풀(27)에 작용시킬지 여부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을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드백압 작용부로서 피드백 포트(p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피드백 포트(p3)를 대신하여 피드백압을 외측 스풀(27)에 작용시키기 위한 압력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노멀 오픈형의 구조를 갖는다.
우선,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에 있어서, 가동 철심(54)이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지고, 가동 철심(54)의 후단면이 저부(56)와 당접된다. 한편,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44)의 스프링 하중(f1)에 의해서 외측 스풀(27)이, 스프링(45)의 스프링 하중(f2)에 의해 내측 스풀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71)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1 피드백 구멍(81)은 랜드(66)에 의해 폐쇄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차단됨과 동시에,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가 연통되어, 피드백 유로(83) 내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84)로 보내어지고,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EX)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속이 발생하여, 요크(20)로부터 플런저(31) 및 코어(15)를 차례로 통과하여 요크(20)로 복귀하는 자로(磁路)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그 자로에서의 본체(16)의 후단의 외주연과 통상부(36)의 전단의 내주연의 사이에 흡인부(S)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17)이 가동 철심(54)을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고, 가동 철심(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직접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f2)에 대항하여 전진(도1 및 도3에 있어서 좌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45)을 수축시킨다. 이 때, 외측 스풀(27)에 같은 추력이 전달되는데, 스프링 44의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 45의 스프링 상수와 비교하여 충분히 크므로, 외측 스풀(27)은 전진하지 않고, 대략 같은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지고,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며, 드레인 포트(p4)가 랜드(7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4에 있어서, 라인 L-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포트 p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압의 값 P1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어서, 전류의 값이 i1이 되고, 스프링 시트 60이 스프링 시트 76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83)와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83)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으로 민다.
그 결과, 상기 입력 포트(p1)와 출력 포트(p2) 사이가 랜드(73)의 전단에 의해 좁혀지고, 출력압은 라인 L-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급격히 낮아지고, 전류의 값이 i2가 됨에 따라, 출력압의 값이 P2가 된다.
그리고, 외측 스풀(27)에 내측 스풀(26) 및 스프링(45)을 통하여 전달된 가동 철심(54)으로부터의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f1)이 가해져, 외측 스풀(27)은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f1)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어서, 전류를 값 i2로부터 더욱 크게 하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커지게 되고, 외측 스풀(27)은 전진된다. 그에 따라서, 가동 철심(54)의 스트로크량에 기초하여, 외측 스풀(27)이 내측 스풀(26) 및 가동 철심(54)과 일체로 전진되고, 상기 입력 포트(p1)와 출력 포트(p2) 사이가 랜드(73)의 전단에 의해 그만큼 좁혀져, 출력압이 라인 L-3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전류의 값에 비례하여 낮아진다. 이 경우, 전류의 변화량에 대한 출력압의 변화량의 비는 상기 스프링(44, 45)의 각 스프링 상수, 랜드(73, 75)의 면적차 등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전류의 값을 i5으로 하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최대가 되어, 출력압이 최저의 값 P3를 취한다.
한편, 작동 상태에 있어서, 전류의 값을 i5에서 작게하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작아지고, 외측 스풀(27)이 후퇴(도1 및 도3에 있어서 우방향으로 이동)되고, 출력압이 전류의 값에 비례하여 높아진다. 그리고, 전류의 값이 i2가 되면, 스프링 시트 60이 스프링 시트 76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피드백 구멍(81)이 랜드(66)에 의해 폐쇄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차단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가 연통된다. 이에 따라서, 출력압은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지 않게 되고, 피드백 유로(83)내의 오일이 드레인되어, 피드백력은 없어진다.
그 결과, 외측 스풀(27)이 더욱 후퇴되어,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71)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입력압과 같은 값 P1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 도4의 라인 L-1, L-2로 나타내어지는 특성에 따라서, 출력압을 비 압력 조정 영역에서 변화시켜, 라인 L-3로 나타내어지는 특성에 따라서, 출력압을 압력 조정 영역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라인 L-4는 비 압력 조정 영역을 형성함 없이, 출력압을 발생시켰을 때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외측 스풀(27)에 작용되므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비 압력 조정 영역 및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 출력압을 제어압으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밸브 등이 필요없게 된다. 그 결과, 유압 회로에서의 부품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유압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최대의 출력압을 비 압력 조정 영역에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 가동 철심(54)에 발생되는 추력을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비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는 피드백압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출력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과대한 추력이 필요없게 되어,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를 한층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는, 피드백압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지 않으므로, 출력압을 최대의 유압으로 할 때에, 코일(17)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값 P1의 출력압을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는, 라인 L-3의 기울기는 라인 L-4의 기울기 보다 작으므로, 전류의 변화량에 대한 출력압의 변화량을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의 값에 편차가 발생했을 때의 출력압의 편차를 작게할 수 있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류가 값 i3, i4를 취했을 때, 라인 L-4에 있어서는, 출력압에 값 δ1의 편차가 발생하는데 대하여, 라인 L-3에 있어서는, 출력압에 값 δ2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압력 조정 영역 및 비 압력 조정 영역에서 출력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내측 스풀(26)을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스풀(27)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보다 전방에 형성된 실은, 드레인구멍(78)을 통하여 슬리브(62)외와 연통되므로, 내측 스풀(26)에는 가동 철심(54)에 의한 추력 및 스프링 하중(f2)만이 가해진다. 따라서, 제1 피드백 구멍(81)을 개방하고,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 사이를 차단할 때와, 제1 피드백 구멍(81)을 폐쇄하고,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 사이를 연통시킬 때에, 전류의 값에 대한 출력압의 값은 일치하므로, 랜드 L-2에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60) 및 가동 철심 당접부(69)는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아지고, 랜드(66, 68)도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아져, 내측 스풀(26)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공수를 적게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6의 (a)는 내측 스풀(26)의 정면도, (b)는 내측 스풀(26)의 단면도이다.
이 경우,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은, 전단(도5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도5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1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168), 그 랜드(1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171), 및 그 홈 (1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2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중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169)를 구비한다. 그 가동 철심 당접부(169)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부로서의 평탄부(173, 17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은 전단에 형성되고,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70), 그 스프링 시트(7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1), 그 랜드(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175)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169)는 내측 스풀(26)의 진퇴(도5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서,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때문에,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169)에서의 평탄부(173, 174) 이외의 반달 모양 부분(176, 177)의 외경은 랜드(175)의 내주면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반달 모양 부분(176, 177)에 의해 지지면이 구성된다.
상기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 사이에는 홈(67)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피드백 유로(83)가, 홈(171) 및 가동 철심 당접부(169)의 외주면을 따라서 드레인 유로(185)가 형성된다. 또한, 그 드레인 유로(185)에 있어서, 홈(171)의 외주면을 따른 부분은 통상의 형상을, 가동 철심 당접부(169)의 외주면을 따른 부분은 평탄부(173, 174)의 각 바깥쪽 부분으로 2분할 되어, 원호 부분 및 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arch)상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랜드(175)의 가공부로서의 내주면을 가공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랜드(168)의 외주면에 따라 통상의 드레인 유로(18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44)의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외측 스풀(27)이, 스프링(45)의 제2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서 내측 스풀(26)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인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71)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도4)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1 피드백 구멍(81)은 랜드(66)에 의해 폐쇄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차단됨과 동시에,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184,185)가 연통되어, 피드백 유로(83) 내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184, 185)로 보내어져,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17)이 가동 철심(54)을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가동 철심 (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직접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5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 시트 60이 스프링 시트 76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83)와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1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83)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로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도5에 있어서 왼쪽)으로 민다. 또한, 스프링 시트(60, 76)에 의해, 내측 스풀(26)용의 정지부가 구성된다.
그런데,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184)가 연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랜드(168)는 외측 스풀(27)의 내주면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외측 스풀(27)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나,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169)가 반달 모양 부분(176, 177)에 있어서 외측 스풀(27)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은 랜드(66) 및 가동 철심 당접부(169)를 통하여, 외측 스풀(27)에 의해 확실히 지지되므로, 내측 스풀(26)을 원활하게 진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은 전단(도면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267), 그 홈(2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268), 그 랜드(2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269), 그 홈(269)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68), 및 그 랜드(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6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홈 267에서 홈 269에 걸쳐, 경사지게 관통하는 피드백 유로(284)가 형성된다. 그 피드백 유로(284)는 일단이 홈(267)의 외주면에 있어서, 타단이 홈(269)의 외주면에 있어서 개구된다.
또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은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70), 그 스프링 시트(7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1), 그 랜드(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75)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 사이에는 홈(267, 269)의 외주면을 따라 통상의 피드백 유로(283, 285)가 형성된다. 그리고, 랜드(75)의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후단면(도면에 있어서 우단면)에서 전방(도면에 있어서 왼쪽)에 걸쳐서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랜드(68)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드레인 유로(8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 (44)의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외측 스풀(27)이, 스프링(45)의 제2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 내측 스풀(26)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71)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도4)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1 피드백 구멍(81)은 랜드(66)에 의해 폐쇄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283)가 차단됨과 동시에, 피드백 유로(283∼285)와 드레인 유로(84)가 연통되어, 피드백 유로(283∼285)내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84)에 보내어져,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17)이 가동 철심(54)을 소정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가동 철심(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면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 시트 60이 스프링 시트 76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 (81,82)이 개방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283∼285)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283∼285)와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283∼285)와 드레인 유로(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283∼285)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고,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으로 민다. 또한, 스프링 시트(60, 76)에 의해, 내측 스풀(26)용의 정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 60 및 가동 철심 당접부(69)는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고, 랜드(66, 68)도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고, 또한 홈(267, 269)도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어, 내측 스풀 (26)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피드백 유로(285)와 드레인 유로(84)가 연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랜드(68)는 상기 랜드(68)는 외측 스풀(27)의 내주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외측 스풀(27)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나, 상기 랜드(268)가 외측 스풀(27)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은 랜드(66, 268)를 통하여 외측 스풀(27)에 의해 확실히 지지되므로, 내측 스풀(26)을 원활히 진퇴(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홈(72)내에,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 76이 랜드(71)의 후단면에 인접시키고,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 60과 대향시켜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측 스풀(27)의 가공성이 낮아지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외측 스풀(27)의 가공성을 높게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부로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는 코일 어셈블리(313), 그 코일 어셈블리(313)에 대하여 진퇴(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 자유롭게 배치된 플런저(354), 및 상기 코일 어셈블리(313)를 포위하여 배치된 통상의 케이싱체로서의 요크(3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코일 어셈블리(313)는 보빈(315)에 권선(316)을 권장함으로써 형성된 코일(317), 그 코일(317)의 후단(도면에 있어서 우단)에 인접시켜 배치된 제1 엔드 요크로서의 환상의 엔드부(358), 상기 코일(317)의 전단(도면에 있어서 좌단)에 인접시켜 배치된 제2 엔드 요크로서의 환상의 엔드부(359), 및 상기 코일(317)에 전류를 공급하는 터미널(21)을 구비한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313)는 상기 터미널(21) 부분을 제외하고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코일 어셈블리(313)내(보빈(315) 및 엔드부(358, 359)의 지름 방향 안쪽)에는 축방향에 있어서 같은 지름을 갖는 중공부(322)가 형성되고, 그 중공부(322)에 상기 플런저(354)가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진다. 따라서, 플런저(354)는 중공부(322)에 끼워진 상태로 코일 어셈블리(313)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보빈(315)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비자성체로서, 예를 들면 스텐레스 스틸(SUS) 등의 비자성 금속을 사용하거나, 합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보빈(315)은 통상부(351), 그 통상부(351)의 후단에 있어서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부(352), 및 통상부(351)의 전단에 있어서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부(353)를 구비하고, 단면이 'コ'자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빈(315)과 엔드부(358, 359)는 용접, 브레이징(brazing), 소결 접합 또는 접착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엔드부(358, 359)는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강자성체로서, 예를 들면, 전자 연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전자 연철로서는 순철을 95〔%〕이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99〔%〕이상(소수점 제1 자리에서 사사오입하여 99〔%〕이상)포함하는 것, 즉 실질적으로 순철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요크(320)는 바닥이 있는 통상체로 이루어지고, 통상부(355) 및 원형의 형상을 갖는 저부(356)를 구비하고, 딥 드로잉(deep drawing), 냉간 단조 등의 소성 금속 가공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통상부(355)의 전단의 원주 방향에서의 소정의 부분에 절결(357)이 형성되고, 그 절결(357)을 통하여 코일 어셈블리(313)에 터미널(21)이 장착된다.
상기 요크(320)는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강자성체로서, 소성 금속 가공이 용이한 탄소층이 적은 저탄소강, 예를 들면, 상기 엔드부(358, 359)와 같은 전자 연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크(320)에 있어서, 통상부(355)의 전단에 코킹부(80)가 형성되고, 요크(320)내에 코일 어셈블리(313)를 끼워 넣고,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슬리브(62)를 세트한 후, 코킹부(80)와 슬리브(62)의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부(63)를 코킹함으로써,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 및 압력 조정 밸브부(12)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플런저(354)는 외주면이 축방향에 있어서 같은 지름을 가지고, 축방향에 있어서 코일(317)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354)의 전단면(도면에 있어서 좌단면) S1의 중앙에, 당접 로드(371)가 전방(도면에 있어서 왼쪽)에 돌출시켜 플런저(354)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당접 로드(371)의 전단에,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의 후단이 당접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354) 및 당접 로드(371)에 의해 가동 철심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당접 로드(371)의 전단 근방의 외주면에 환상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환상의 박판재(372)의 내주연이 결합되어, 그 박판재(372)의 외주연은 플랜지부(63)와 엔드부(359) 사이에 끼움 지지된다. 상기 박판재(372)는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내의 공간과 중공부(322)를 구획하고, 외측 스풀(27)내에서 발생한 철분 등이 중공부(32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플런저(354)의 후단면(도면에 있어서 우단면, S2)에는 소정의 높이의 구면상의 당접부(327)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 당접부(327)의 표면에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고,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354)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지름의 유로(330)가 관통시켜 형성되고, 그 유로(330)를 통하여 플런저(354)의 전단측과 후단측이 연통된다. 따라서, 플런저(354)가 진퇴됨에 따라서, 중공부(322)내에서의 플런저(354)의 전단측의 오일이 후방(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흐르거나, 중공부(322)내에서의 플런저(354)의 후단측의 오일이 전방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플런저(354)에 당접부(327)가 형성되고, 또한 당접부(327)의 표면에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외층이 형성되므로, 당접부(327)가 요크(320)에 당접한 상태에 있어서, 요크(320)와 당접부(327) 사이에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자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당접부(327)는 구면상의 형상을 가지나 , 원주상, 각주상, 환상 등의 각종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플런저(354)에 당접부(327)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플런저(354)의 후단면 S2를 평탄하게 하고, 요크(320)에, 당접부를 플런저(354)측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하거나, 플런저(354) 및 요크(320)에 당접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플랜지부(352,353) 중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측에 배치된 플랜지부(353)가 관두께(Wall Thickness)로 형성되고, 또한, 플랜지부(353)의 내주면이 테이퍼상으로 형성된다. 즉, 플랜지부(353)의 내경은 플랜지부(353)의 전단에 있어서 가장 크고, 후방으로 감에 따라 작아져서, 플랜지부(353)의 후단에 있어서 통상부 (351)의 내경과 같아진다.
그리고, 상기 엔드부(359)의 내주연의 근방에, 상기 플랜지부(353)의 내주면에 대응시켜, 테이퍼상의 외주면을 구비하고, 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가장자리(361)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되고, 플랜지부(353)의 내주면과 가장자리(361)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그 때문에, 가장자리(361)의 외경은 권선(316)의 전단에 있어서 가장 크고, 후방으로 감에 따라 작아져서, 엔드부(359)의 내경과 같아진다. 이 경우, 가장자리(361)는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taper)로 형성되므로, 가장자리(361)에 있어서 자기 포화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361)의 외주면 및 플랜지부(353)의 내주면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나, 외주면 및 내주면은 볼록형 또는 오목형으로 만곡시키거나, 다른 경사각의 다단 경사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354)는 엔드부(358, 359) 및 요크(320)와 마찬가지로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강자성체로서, 예를 들면, 전자 연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내측 스풀(26)은 전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360), 그 스프링 시트(36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68), 및 그 랜드(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369)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시트(360)는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369)는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모두 테이퍼상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외측 스풀(27)은 전단에 형성되어,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70), 그 스프링 시트(7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1), 그 랜드(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75)를 구비한다.
상기 랜드(71)및 스프링 시트(70)의 축심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드레인구멍(78)이 형성되고, 그 드레인 구멍(78)은 외측 스풀(27)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보다 전방에 형성된 실을 슬리브(62)외로 연통시킨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접부(327)가 저부(356)와 당접된다.
한편,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44)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외측 스풀(27)이, 스프링(45)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 내측 스풀(26)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71)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도4)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1 피드백 구멍(81)은 랜드(66)에 의해 폐쇄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차단됨과 동시에,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83)내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84)로 보내어져,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EX)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속이 발생되나, 보빈(315)이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빈 (315)을 우회하여, 요크(320)로부터 엔드부(358), 플런저(354) 및 엔드부(359)를 차례로 지나 요크(320)로 복귀하는 자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그 자로에서의 가장자리(361)와 플런저(354) 사이에 흡인부 S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 (354)에 추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직접 전달되고,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면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 45를 수축시킨다. 이 때, 외측 스풀(27)에 같은 추력이 전달되나, 스프링 44의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 45의 스프링 상수와 비교하여 충분히 크므로, 외측 스풀(27)은 전진하지 않고, 대략 같은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지고,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가 랜드(7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4에 있어서, 라인 L-1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압의 값 P1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어서, 전류의 값이 i1이 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 (360)가 홈(72)의 저부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83)와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83)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으로 민다.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360) 및 홈(72)의 저부에 의해 내측 스풀(26)용의 정지부가 구성된다.
그 결과, 상기 입력 포트(p1)와 출력 포트(p2) 사이가 랜드(73)의 전단에 의해 좁혀지고, 출력압은 라인 L-2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급격히 낮아져서, 전류의 값이 i2가 됨에 따라서, 출력압의 값이 P2가 된다.
그리고, 외측 스풀(27)에는 내측 스풀(26) 및 스프링(45)을 통하여 전달된 가동 철심(54)으로부터의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 f1이 가해져, 외측 스풀(27)은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 f1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어서, 전류를 값 i2에서 더욱 크게 하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커지고, 외측 스풀(27)은 전진된다. 그에 따라, 플런저(354) 및 당접 로드(371)의 스트로크량에 기초하여, 외측 스풀(27)이 내측 스풀(26), 플런저(354) 및 당접 로드(371)와 일체로 전진되고, 상기 입력 포트(p1)와 출력 포트(p2) 사이가 랜드(73)의 전단에 의해서 그 만큼 좁혀져서, 출력압이 라인 L-3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전류의 값에 비례하여 낮아진다. 이 경우, 전류의 변화량에 대한 출력압의 변화량의 비는 상기 스프링(44, 45)의 각 스프링 상수, 랜드(73, 75)의 면적차 등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전류의 값을 i5로 하면, 외측 스풀(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최대가 되고, 출력압이 최저의 값 P3를 취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 시트(360)는 전진했을 때에 홈(72)의 바닥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어, 외측 스풀(27)측에는 스프링 시트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측 스풀(27)의 가공성을 높게할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비용을 낮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360) 및 가동 철심 당접부(369)는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고, 랜드(66, 68)도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어, 내측 스풀(26)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및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은 전단(도면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360), 그 스프링 시트(360)의 후방(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267), 그 홈(2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268), 그 랜드(2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269), 그 홈(269)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68), 및 그 랜드(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369)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홈 267에서 홈 269에 걸쳐서, 경사지게 관통하는 피드백 유로(284)가 형성된다. 그 피드백 유로(284)는 일단이 홈(267)의 외주면에 있어서, 타단이 홈(269)의 외주면에 있어서 개구된다.
또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은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 (44)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70), 그 스프링 시트(7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1), 그 랜드(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75)를 구비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 44의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외측 스풀(27)이, 스프링 45의 제2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 내측 스풀(26)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71)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도4)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1 피드백 구멍(81)은 랜드(66)에 의해 폐쇄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283)가 차단됨과 동시에, 피드백 유로(283∼285)와 드레인 유로(84)가 연통되어, 피드백 유로(283∼285)내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84)에 보내어져,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EX)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3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면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도1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 360이 홈(72)의 저부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283∼285)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283∼285)와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283∼285)와 드레인 유로(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283∼285)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민다. 또한, 스프링 시트 360 및 홈(72)의 저부에 의해 내측 스풀(26)용의 정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시트 360 및 가동 철심 당접부(369)는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고, 랜드(66, 68)도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고, 또한 홈(267, 269)도 지름 및 축방향 치수가 서로 같게 형성되어, 내측 스풀(26)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제1∼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스풀(26)이 전진하여 스프링 시트 60(도1)가 스프링 시트 76에 당접하면,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스풀(26)이 전진하여 스프링 시트 360이 홈(72)의 저부에 당접하면, 압력 조정 밸브부(12)가 잠김 상태가 되고,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시트 60이 스프링 시트 76에 당접하여 내측 스풀(26)이 전진 한계 위치에 놓여짐에 따라서 드레인 구멍(78)이 차단되고, 스프링 시트 60이 스프링 시트 76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드레인 구멍(78)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시트 360이 홈(72)의 저부에 당접하여 내측 스풀(26)이 전진 한계 위치에 놓여짐에 따라서 드레인 구멍(78)이 차단되고, 스프링 시트 360이 홈(72)의 저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드레인 구멍(78)이 개방된다.
따라서, 드레인 구멍(78)의 개폐에 따라서,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져,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4의 (a)는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의 정면도, (b)는 내측 스풀(26)의 X-X 단면도이다.
이 경우, 내측 스풀(26)은 전단(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1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468), 그 랜드(4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제2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홈(491), 및 그 홈 (49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내측 스풀(26)용의, 또한 제1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최대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469)를 구비한다. 상기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부로서의 평탄부(473, 47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은 전단에 형성되고,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을 수용하는 오목부(470)를 구비한 대경의 랜드(471), 그 랜드(4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47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62)는 후단(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우단)의 근방에, 지름 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되고, 외측 스풀(27)용의, 또한 제2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환상의 돌기(401)를 구비하고, 그 돌기(401)의 내경은 랜드(475)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랜드(475)의 후단이 돌기(401)의 전단에 당접하는 위치에서 외측 스풀(27)이 정지되어,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상기 홈(491)은 내측 스풀(26)의 진퇴(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서,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때문에, 상기 홈(491)에서의 평탄부(473,474) 이외의 반달 모양 부분(477, 478)의 외경은 랜드(475)의 내주면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469)에서의 평탄부(473, 474) 이외의 반달 모양 부분(487, 488)의 외경은 랜드(47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전단이 랜드(475)의 후단에 당접하는 위치에서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내측 스풀(26)이 정지되어, 전진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상기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 사이에는 홈(67)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피드백 유로(83)가,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평탄부(473, 474)를 따라 드레인 유로(485)가 형성된다. 또한, 그 드레인 유로(485)에 있어서,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외주면을 따른 부분은 평탄부(473, 474)의 각 바깥쪽 부분에 2분할되어, 원호 부분 및 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랜드(475)의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랜드(468)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드레인 유로(484)가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도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스프링 44의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외측 스풀(27)이, 스프링 45의 제2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 내측 스풀(26)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471)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도4)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제1 피드백 구멍(81)은 랜드(66)에 의해 폐쇄되고,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차단됨과 동시에,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 485)가 연통되어, 피드백 유로(83)내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484, 485)에 보내어져,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EX)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3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직접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도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철심 당접부(469)가 랜드(475)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83)와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어,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83)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로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왼쪽)으로 민다.
그런데,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가 연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랜드(468)는 외측 스풀(27)의 내주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외측 스풀(27)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나, 상기 홈(491)이 반달 모양 부분(477, 478)에 있어서 외측 스풀(27)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내측 스풀(26)은 랜드(66) 및 홈(491)을 통하여 외측 스풀(27)에 의해 확실히 지지되므로, 내측 스풀(26)을 원활히 진퇴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철심 당접부(469)가 랜드(475)에 당접함에 따라서 내측 스풀(26)이 전진 한계 위치에 놓이므로, 내측 스풀(26)의 전진 한계 위치에 있어서 스프링 시트(60)와 홈(72)의 저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드레인 구멍(78)을 항상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어,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4,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 당접부(369, 도11)가 테이퍼상의 형상을 가지므로, 가동 철심 당접부(369)의 후단면의 외경이 작아지고, 당접 로드(371)와 가동 철심 당접부(369)의 접촉 면적이 그 만큼 작아져 버리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외경은 홈(49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당접 로드(371)와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접촉 면적을 그 만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접 로드(371)와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접촉면압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철심 당접부(469)가 랜드(475)에 당접하지 않는 비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는, 외측 스풀(27)이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지고, 랜드(475)가 돌기(401)에 당접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스프링 44의 휨량이 변화하지 않고,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이 일정해 진다. 따라서, 비 압력 조정 영역에 있어서, 내측 스풀(26)이 진퇴될 때에, 스프링 45의 스프링 하중 f2에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의 영향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 45가 수축될 때의 스프링 하중 f2와 스프링 45가 신장될 때의 스프링 하중 f2가 같아진다. 그 결과, 라인 L-2에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특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한편, 엔드 플레이트(64)는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을 조정하기 위한 스프링 하중 조정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엔드 플레이트(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슬리브(62)의 전단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엔드 플레이트(64)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엔드 플레이트(64)의 나사산(screw thread)량을 변화시키면, 상기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측 스풀(27)을 후퇴 한계 위치에 두고, 랜드(475)를 돌기(401)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 44의 신축에 따라서 스프링 45가 신축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의 조정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를 초기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이행할 경우, 내측 스풀(26)이 스프링 45를 수축시키면서 전진되나, 그 동안, 외측 스풀(27)은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 있으므로, 스프링 44를 수축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를 초기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이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응답성 높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를 작동 위치에 둔 상태에서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으나,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를 차단할 때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7의 (a)는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의 정면도, (b)는 내측 스풀(26)의 Y-Y 단면도이다.
이 경우, 내측 스풀(26)은 전단(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1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468), 그 랜드(4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제2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홈(491), 및 그 홈 (49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내측 스풀(26)용의, 또한 제1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최대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569)를 구비한다. 상기 홈(491)은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부로서의 평탄부(573, 5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62)는 후단(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우단)의 근방에, 지름 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되고,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용의, 또한 제2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환상의 돌기(401)를 구비하고, 그 돌기(401)의 내경은 랜드(475)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랜드(475)의 후단이 돌기(401)의 전단에 당접하는 위치에서 외측 스풀(27)이 정지되어,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상기 홈(491)은 내측 스풀(26)의 진퇴(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서,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때문에, 상기 홈(491)에서의 평탄부(573, 574) 이외의 반달 모양 부분(477, 478)의 외경은 랜드(475)의 내주면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569)의 외경은 랜드(475)의 내주면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569)의 전단(前端)이 랜드(475)의 후단에 당접하는 위치에서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내측 스풀(26)이 정지되어, 전진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또한, 상기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 사이에는 홈(67)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피드백 유로(83)가,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569)의 평탄부(573, 574)를 따라서 드레인 유로(585)가 형성된다. 또한, 그 드레인 유로(585)에 있어서,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569)의 외주면을 따른 부분은 평탄부(573, 574)의 각 바깥쪽 부분에 2분할되어, 원호 부분 및 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상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랜드(475)의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랜드(468)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드레인 유로(484)가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3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직접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도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동 철심 당접부(569)가 랜드(475)에 당접하면, 제1, 제2 피드백 구멍(81, 82)이 개방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유로(83)가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유로(83)와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가 연통되고,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81), 피드백 유로(83) 및 제2 피드백 구멍(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로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왼쪽)으로 민다.
이 경우,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가 차단될 때에, 가동 철심 당접부(569)가 랜드(475)에 당접하므로, 드레인 유로(585)와 드레인 포트(p6)가 차단된다. 또한, 가동 철심 당접부(569) 및 랜드(475)에 의해서 밀봉재가 구성된다.
따라서, 피드백 유로(83)와 드레인 유로(484)를 차단할 때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피드백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20의 (a)는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의 정면도, (b)는 내측 스풀(26)의 Z-Z 단면도이다.
이 경우, 내측 스풀(26)은 전단(도18 및 도18에 있어서 좌단)의 중앙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60), 그 스프링 시트(660)의 후방(도18 및 도19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1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랜드(66), 그 랜드(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제2 지지부로서 기능하는대경의 홈(671), 및 그 홈(6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밀봉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669)를 구비한다. 상기 홈(671)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부로서의 평탄부(673, 674)가 형성된다.
상기 홈(671)은 내측 스풀(26)의 진퇴(도18 및 도19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 때문에, 상기 홈(671)에서의 평탄부(673, 674) 이외의 반달 모양 부분(677, 678)의 외경은 랜드(675)의 내주면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 사이에는 홈(67)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피드백 유로(83)가, 홈(671)의 평탄부(673, 674)를 따라서 드레인 유로(685)가 형성된다. 또한, 그 드레인 유로(685)에 있어서, 홈(671)의 외주면을 따른 부분은 평탄부(673, 674)의 각 바깥쪽 부분에 2분할되어, 원호 부분 및 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형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동 철심 당접부(669)의 외경은 랜드(675)의 내주면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가동 철심 당접부(669)와 랜드(675)에 의해서 밀봉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를 작동 위치에 두었을 때에, 드레인 유로(685)와 드레인 포트(p6)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평탄부(673, 674)를 제외한 홈(671)의 외경과 가동 철심 당접부 (669)의 외경을 같게 할 수 있으므로, 내측 스풀(26)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스프링 시트(660)는 전방(도18 및 도19에 있어서 왼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테이퍼상의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랜드 (71) 및 홈(72)의 외주연의 근방에, 축심에 대하여 편심시켜,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드레인 공(678)이 형성되고, 그 드레인 공(678)은 외측 스풀(27)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보다 전방에 형성된 실(室)을 슬리브(62)외로 연통시킨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시트(660)가 내측 스풀(26)의 축심에 형성되는데 대하여, 드레인 공(678)은 축심에 대하여 편심시켜 형성되므로, 스프링 시트(660)가 홈(72)의 저부에 당접하여 내측 스풀(26)이 전진 한계 위치에 놓이더라도, 드레인 공(678)이 차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시트(660) 및 홈(72)의 저부에 의해서 내측 스풀(26)용의 정지부가 구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은 전단(도면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1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랜드(766), 그 랜드(7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67), 그 홈(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468), 그 랜드(4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제2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홈(491), 및 그 홈(49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내측 스풀(26)용의, 또한 제1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최대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469)를 구비한다. 상기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부로서의 평탄부(473, 도14 및 47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은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과 당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71), 그 랜드(7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2), 그 홈(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475)를 구비한다.
상기 랜드(771)의 측벽의 축방향에서의 대략 중앙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제2 드레인 구멍(778, 779)이 형성되고, 그 제1, 제2 드레인 구멍(778, 779)은 외측 스풀(27)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보다 전방에 형성된 실을, 드레인 포트(p4)를 통하여 슬리브(62)외로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제2 드레인 구멍(778, 779)은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의 위치에 형성되므로, 오일이 배출될 때에 내측 스풀(26)이 지름 방향의 힘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드레인 구멍(778, 779)이 지름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내측 스풀(26)의 진퇴(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에 관계없이, 제1, 제2 드레인 구멍(778, 779)이 차단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제2 스풀로서의, 또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으로서의 내측 스풀(26)은 전단(도면에 있어서 좌단)에 형성되고,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60), 그 스프링 시트(60)의 후방(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제1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랜드(866), 그 랜드(866)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홈(867), 그 홈(86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468), 그 랜드(46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제2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대경의 홈(491), 및 그 홈(49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내측 스풀(26)용의, 또한 제1 정지부로서 기능하는 최대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469)를 구비한다. 상기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하게 가공부로서의 평탄부(473, 도14 및 47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스풀로서의 외측 스풀(27)은 전단에 형성되고,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44)을 수용하는 오목부(870)를 구비한 대경의 랜드(871), 그 랜드(8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872), 그 홈(8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73), 그 랜드(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74), 및 그 홈(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475)를 구비한다.
상기 랜드(871)및 홈(872)의 축심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드레인 구멍(878)이 형성되고, 그 드레인 구멍(878)은 외측 스풀(27)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26)보다 전방에 형성된 실을 슬리브(62)외로 연통시킨다.
또한, 상기 슬리브(62)의 외주면과 도시되지 않는 밸브 바디 사이에, 출력 포트(p2)로부터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에 걸쳐서, 피드백 유로 (88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홈(74)의 소정의 개소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드백 구멍(88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풀(26)과 외측 스풀(27) 사이에는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평탄부(473, 474)를 따라서 드레인 유로(485)가 형성된다. 또한, 그 드레인 유로(485)에 있어서, 홈(491) 및 가동 철심 당접부(469)의 외주면을 따른 부분은 평탄부(473, 474)의 각 바깥쪽 부분에 2분할 되어, 원호 부분 및 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랜드(475)의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랜드(468)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드레인 유로(484)가 형성된다.
상기 피드백 포트(p3)는 상기 피드백 유로(883)를 통하여 상기 출력 포트(p2)와 연통되고,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공급되어, 랜드(73,475)의 면적차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그 탄성력으로 외측 스풀(27)을 전방(도면에 있어서 왼쪽)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2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로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에 있어서, 플런저(354)가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지고, 플런저(354)의 후단면(도면에 있어서 우단면)이 저부(356)와 당접된다. 한편,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외측 스풀(27)이, 스프링 45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 내측 스풀(26)이 모두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871)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도4)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출력 포트(p2)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피드백 유로(883)를 지나 피드백 포트(p3)로 보내어지나, 그 피드백 포트(p3)는 피드백 구멍(882), 드레인 유로(484, 485)를 통하여 드레인 포트(p6)와 연통되므로, 피드백 포트(p3)의 오일은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EX)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354)에 전류에 비례하는 추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추력이 내측 스풀(26)에 직접 전달되어, 내측 스풀(26)은 상기 스프링 하중 f2에 대항하여 전진(도면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도2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가동 철심 당접부(469)가 랜드(475)에 당접하면, 피드백 포트(p3)와 드레인 유로(484)가 랜드(468)에 의해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출력압은 피드백 유로(883)를 통하여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어, 외측 스풀(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으로 민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슬리브(62)의 외주면과 도시되지 않는 밸브 바디 사이에 피드백 유로(883)가 형성되므로, 내측 스풀(26)내에 피드백 유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외측 스풀(27)에는 하나의 피드백 구멍(882)을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가공량을 적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측 스풀(26)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측 스풀(26) 및 외측 스풀(27)의 2가지의 스풀을 사용하여 출력압을 비 압력 조정 영역 및 압력 조정 영역으로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한가지 스풀을 사용하여 출력압을 비 압력 조정 영역 및 압력 조정 영역으로 변화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압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링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27에 있어서, 횡축에 전류를, 종축에 출력압을, 도28에 있어서, 횡축에 스트로크를, 종축에 흡인력을, 도29에 있어서, 횡축에 스트로크를, 종축에 스프링 하중을 취하고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부로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는 코일 어셈블리(313), 그 코일 어셈블리(313)에 대하여 진퇴(도25 및 도26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 자유롭게 배치된 플런저(354), 및 상기 코일 어셈블리(313)를 포위하여 배치된 통상의 케이싱체로서의 요크(3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코일 어셈블리(313)는 보빈(515)에 권선(316)을 권장함으로써 형성된 코일(317), 그 코일(317)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코일(317)에 인접시켜, 또한 코일(317)의 소정의 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앙 근방에서 후방(도25 및 도26에 있어서 오른쪽)에 연장시켜 배치된 제1 엔드 요크로서의 통상의 엔드부(558), 상기 코일(317)의 전단(도25 및 도26에 있어서 좌단)에 인접시켜 배치된 제2 엔드 요크로서의 환상의 엔드부(359), 및 상기 코일(317)에 전류를 공급하는 터미널(2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빈(515)은 통상부(501), 및 그 통상부(501)의 전단에 있어서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부(353)을 구비한다.
그리고, 요크(320)는 바닥이 있는 통상체로 이루어지고, 통상부(355), 원형의 형상을 갖는 저부(356), 및 통상부(355)와 저부(356)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통상부(355)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시켜 형성된 환상의 연결부(502)를 구비한다.
한편,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는 슬리브(62), 그 슬리브(62)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된 스풀(927), 상기 슬리브(62)의 전단에 고정되고, 스풀(927)이 슬리브(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엔드 플레이트(64), 그 엔드 플레이트(64)와 스풀(927)의 전단, 즉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와 반대측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944, 945)을 구비한다. 그 스프링(944, 945)은 축방향에 대하여 병렬로 배치되고, 서로 스프링 상수가 다름과 동시에, 서로 길이도 다르다. 또한, 2개의 스프링을 축방향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풀(927)은 상기 스프링 944 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960), 그 스프링 시트(96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고, 스프링 944와 선택적으로 당접시키고, 스프링 945와 항상 당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971), 그 랜드(97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972), 그 홈(9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973), 그 랜드(9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974), 그 홈(9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975), 및 그 랜드(975)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가동 철심 당접부(901)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944는 압축되지 않는 상태로 스프링 945 보다 짧게 설정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초기 상태 및 출력압의 비 압력 조정 영역에서, 스프링 944의 전단은 엔드 플레이트(64)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랜드(97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스프링 945의 전단은 엔드 플레이트(64)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랜드(971)와 당접된다. 또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작동 상태 및 출력압의 압력 조정 영역에서, 스프링 944, 945의 전단은 엔드 플레이트(64)에 고정되고, 후단은 상기 랜드(971)에 당접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압의 비 압력 조정 영역에서, 상기 스프링 944는 스풀 (927)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측을 향하여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1로 탄성 부가하고, 상기 출력압의 압력 조정 영역에서, 상기 스프링 944, 945는 스풀(927)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측을 향하여 제2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2로 탄성력을 가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62)의 외주면과 도시되지 않는 밸브 바디 사이에, 출력 포트(p2)로부터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에 걸쳐서, 피드백 유로 (98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62)에서의 피드백 포트(p3)와 인접하는 개소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드백 구멍(98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스프링 944, 945는 스풀(927)내에 있어서, 피드백압을 상기 스풀(927)에 작용시킬지의 여부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당접부(327)가 저부(356)와 당접된다.
한편,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944)의 스프링 하중 f11에 의해 스풀(927)이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고, 드레인 포트(p4)는 랜드(971)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입력압과 같은 값 P1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피드백 포트(p3)는 드레인 포트(p6)와 연통되므로, 피드백 포트(p3)의 오일은 드레인 포트(p6)로부터 배출(EX)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자속이 발생되나, 보빈(515)이 비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빈 (515)을 우회하여, 요크(320)로부터 엔드부(558), 플런저(354) 및 엔드부(359)를 차례로 지나 요크(320)로 복귀하는 자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그 자로에서의 가장자리(361)와 플런저(354) 사이에 흡인부 S가 형성된다.
그리고,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 (354)에 추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추력이 스풀(927)에 전달되고, 스풀(927)은 상기 스프링 하중 f1에 대항하여 전진(도25 및 도26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 945를 수축시킨다.
따라서, 도27에 있어서, 라인 L-11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압의 값 P1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어서, 전류의 값이 i11이 되고,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945의 전단이 랜드(971)에 당접하면, 피드백 구멍(982)이 개방되어, 출력 포트(p2)와 피드백 포트(p3)가 피드백 유로(983) 및 피드백 구멍(982)을 통하여 연통되고, 또한 피드백 포트(p3)와 드레인 포트(p6)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출력압은 피드백 유로(983) 및 피드백 구멍(98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3)에 공급되고, 스풀(927)을 피드백력으로 전방(도25 및 도26에 있어서 왼쪽 )으로 민다.
그 결과, 상기 입력 포트(p1)와 출력 포트(p2) 사이가 랜드(973)의 전단에 의해 좁혀지고, 출력압은 라인 L-12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급격히 낮아져서, 출력압의 값이 P2가 된다.
그리고, 스풀(927)에, 플런저(354)로부터의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 f12가 가해지고, 스풀(927)은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 f12가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어서, 전류를 값 i11에서 더욱 크게 하면, 스풀(9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커져서, 스풀(927)은 전진된다. 그에 따라, 플런저(354)의 스트로크량에 기초하여, 스풀(927)이 플런저(354)와 일체로 전진되고, 상기 입력 포트(p1)와 출력 포트(p2) 사이가 랜드(973)의 전단에 의해서 그 만큼 좁혀져서, 출력압이 라인 L-13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전류의 값에 비례하여 낮아진다. 이 경우, 전류의 변화량에 대한 출력압의 변화량의 비는 상기 스프링(944, 945)의 각 스프링 상수, 랜드(973, 975)의 면적차 등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전류의 값을 i12로 하면, 스풀(9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최대가 되고, 출력압이 최저의 값 P3를 취한다.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는, 출력압이 비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 플런저(354)의 스트로크가 크고, 플런저(354)가 후퇴 한계 위치에 가까워 질수록 흡인력은 작아지고, 플런저(354)의 스트로크가 작고, 플런저 (354)가 전방으로 갈수록 흡인력은 커진다. 또한, 출력압이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 플런저(354)의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흡인력은 일정해진다. 또한, 당접 로드(371)에 공급되는 전류가 클수록 흡인력은 크고, 전류가 작을수록 흡인력은 작아진다. 또한, 라인 L-21은 출력압이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있는 경우의 스풀(927)의 스트로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제10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출력압 특성 및 흡인력 특성은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출력압 특성 및 흡인력 특성과 같다.
또한, 상기 스프링 944, 945의 스프링 하중은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하중 특성을 갖고, 출력압이 비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 스풀(927)에 가해지는 스프링 하중 f11의 기울기는 작고, 출력압이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 스풀(927)에 가해지는 스프링 하중 f12의 기울기는 커진다.
한편, 상기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 944, 945를 사용하여 출력압을 비 압력 조정 영역 및 압력 조정 영역에서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에서의 전류·스트로크 특성에 근거하여, 출력압을 비 압력 조정 영역 및 압력 조정 영역에서 변화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압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압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32 및 도36에 있어서, 횡축에 전류를, 종축에 출력압을, 도33 및 도37에 있어서, 횡축에 스트로크를, 종축에 흡인력을 취하였다.
이 경우,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는 슬리브(62), 그 슬리브(62)에 대하여 진퇴(도30, 31, 34 및 35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 자유롭게 배치된 스풀(927), 상기 슬리브(62)의 전단(도30, 31, 34 및 35에서의 좌단)에 고정되고, 스풀(927)이 슬리브(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 엔드 플레이트(64), 그 엔드 플레이트(64)와 스풀(927)의 전단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 (91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입력 포트(p1) 및 출력 포트(p2)가 개방되어, 입력압과 같은 값 P1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2)로부터 출력된다.
그 때문에,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는,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배열로 입력 포트(p1), 출력 포트(p2),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3) 및 드레인 포트(p4∼p6)가 형성되고,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는, 입력 포트(p11), 출력 포트(p12),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p13) 및 드레인 포트(p14∼p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풀(927)은 상기 스프링(911)과 당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971), 그 랜드(971)의 후방(도30, 31, 34 및 35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972), 그 홈(97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973), 그 랜드(97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974), 그 홈(97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975), 및 그 랜드(975)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가동 철심 당접부(90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62)의 외주면과 도시되지 않는 밸브 바디 사이에, 출력 포트(p2)로부터 피드백 포트(p3)에 걸쳐서, 피드백 유로(98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62)에서의 피드백 포트(p3)와 인접하는 개소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드백 구멍(982)이 형성된다.
한편,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는, 압력 조정 밸브부(12)는 슬리브(62), 그 슬리브(62)에 대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된 스풀(947), 상기 슬리브(62)의 전단에 고정되고, 스풀(947)이 슬리브(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의 엔드 플레이트(64), 그 엔드 플레이트(64)와 스풀(947)의 전단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911)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는 작동 상태에 있어서, 입력 포트(p11) 및 출력 포트(p12)가 개방되어, 입력압과 같은 값 P1의 출력압이 출력 포트(p12)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기 스풀(947)은 상기 스프링(911)과 당접시켜 형성된 중경의 랜드(921), 그 랜드(92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922), 그 홈(92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923), 그 랜드(92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924), 그 홈(92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925), 및 그 랜드(925)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가동 철심 당접부(90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62)의 외주면과 도시되지 않는 밸브 바디 사이에, 출력 포트(p12)로부터 피드백 포트(p13)에 걸쳐서, 피드백 유로(93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62)에서의 피드백 포트(p13)와 인접하는 개소에,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피드백 구멍(932)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에 있어서는, 노멀 오픈 타입인 것, 및 노멀 클로즈 타입인 것 모두, 출력압이 비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 플런저(354)의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흡인력은 소정의 값으로 일정해지고,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 있는 경우, 플런저(354)의 스트로크에 관계없이, 흡인력은 상기 값보다 큰 값으로 일정해진다. 또한, 당접 로드(371)에 공급되는 전류가 클수록 흡인력은 크고, 전류가 작을수록 흡인력은 작아진다. 또한, 라인 L-22, L-23은 출력압이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있는 경우의 스풀(927, 947)의 스트로크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는 동 실시 형태의 효과를 원용한다.
도3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밸브부로서의 압력 조정 밸브부(12)는 슬리브(62), 내측 스풀(126), 외측 스풀(127), 상기 슬리브(62)의 전단(도면에 있어서 좌단)에 고정되고, 외측 스풀(127)이 슬리브(6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용의 제1 엔드 플레이트(164), 그 제1 엔드 플레이트(164)와 외측 스풀(127)의 전단 사이에 배치되고, 외측 스풀(127)을 솔레노이드부로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측을 향하여 제1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1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1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 44, 상기 외측 스풀(127)내에 있어서, 내측 스풀(126)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와 반대측을 향하여 제2 탄성력으로서의 스프링 하중 f2로 탄성력을 가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의 조심용의 스프링 145,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164)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상기 내측 스풀(126)과 외측 스풀(127) 사이에 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16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측 스풀(127)에 의해 제1 스풀이, 내측 스풀(126)에 의해서 제2 스풀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164)는 상기 스프링 하중 f1을 조정하기 위한 탄성력 조정 부재를 구성하고, 그를 위해, 슬리브(62)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165)는 나사부(101), 및 그 나사부 (101)보다 지름이 작은 원주상의 당접부(102)를 구비하고, 그 당접부(102)의 후단(도면에 있어서 우단)과 상기 내측 스풀(126)의 전단이 당접된다. 또한,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165)는 상기 스프링 하중 f2를 조정하기 위한 탄성력 조정 부재를 구성함과 동시에, 내측 스풀(126)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위치 조정 부재를 구성하고, 그를 위해, 제1 엔드 플레이트(164)와, 슬리브(62)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나사 결합된다.
상기 내측 스풀(126)은 외측 스풀(127)에서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스프링 (145)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해서 제2 엔드 플레이트(165)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져서, 항상 소정의 위치에 놓여진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풀(126)은 전단에 형성되고, 상기 당접부(102)와 당접되는 대경의 랜드(106), 그 랜드(106)의 후방(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107), 그 홈(107)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108), 그 랜드(108)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랜드(109), 그 홈(109)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110), 및 그 랜드(110)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되어, 스프링(145)내에 삽입되는 스프링 시트(11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홈 107에서 홈 109에 걸쳐서, 경사지게 관통하는 피드백 유로(201)가 형성되고, 그 피드백 유로(201)는 일단이 홈(107)의 외주면에 있어서, 타단이 홈(109)의 외주면에 있어서 개구된다.
또한, 상기 외측 스풀(127)은 슬리브(62)에서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진퇴(도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 자유롭게, 또한 슬리브(6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그리고,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스풀(127)은 전단에 형성되고, 스프링 44와 당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131), 그 랜드(131)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132), 그 홈(132)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133), 그 랜드(133)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홈(134), 그 홈(134)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대경의 랜드(135), 및 그 랜드(135)의 후방에 인접시켜 형성된 소경의 가동 철심 당접부(136)를 구비한다.
또한, 외측 스풀(127)의 상기 홈(132, 134)의 소정의 개소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제2 피드백 구멍(141, 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스풀(126)과 외측 스풀(127) 사이에는 홈(107, 109)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피드백 유로(202, 203)가 형성된다. 또한, 랜드(131)의 지름 방향 안쪽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내경이 크게 형성되고, 랜드(106)의 외주면을 따라서, 통상의 드레인 유로(20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랜드(106)의 외주면에는 전단에서 소정의 거리에 걸쳐서, 원주 방향에서의 적어도 1개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에, 서로 평행한 가공부로서의 평탄부(207)가 형성되고, 상기 랜드(131)의 내주면과 상기 평탄부(207) 사이에, 각 평탄부(207)를 따라서 드레인 유로(20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랜드(106)의 평탄부(207)로부터 후방의 부분에는 원형부(209)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62)는 상기 레귤레이터 밸브로부터 공급된 입력압이 공급 (IN)되는 입력 포트(p11), 출력압을 제어압으로서 발생시키고, 유압 서보에 대하여출력(OUT)하기 위한 출력 포트(p12), 밀폐된 피드백압 작용부로서의 피드백 포트 (p13) 및 드레인 포트(p14∼p16)를 구비하고, 상기 피드백 포트(p13)는 제1, 제2 피드백 구멍(141, 142) 및 피드백 유로(201∼203)를 통하여 상기 출력 포트(p12)와 연통되고,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공급되어, 랜드(131, 133)의 면적차에 대응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그 탄성력으로 외측 스풀(127)을 후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스풀(127)은 플런저(354)에서 발생되어, 직접 전달된 추력, 스프링 44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한 탄성력, 스프링 145의 스프링 하중 f2에 의한 탄성력 및 피드백압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가동 철심 당접부(136)를 당접 로드(371)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플런저(354)와 일체적으로 진퇴한다.
또한, 상기 추력이 변경됨에 따라서, 내측 스풀(126)에 대하여 외측 스풀(127)이 상대적으로 이동되면, 피드백 유로(201∼203)와 입력 포트(p11) 및 드레인 유로 (205, 208)의 연통 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내측 (126)은 외측 스풀(127)내에 있어서, 피드백압을 상기 외측 스풀(127)에 작용시킬지의 여부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을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피드백압 작용부로서 피드백 포트(p1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피드백 포트(p13)를 대신하여 피드백압을 외측 스풀(127)에 작용시키기 위한 압력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95, 도2 참조)로부터 터미널(21)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도3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당접부(327)가 저부(356)와 당접된다.
한편, 압력 조정 밸브부(12)에 있어서, 스프링(44)의 스프링 하중 f1에 의해 스풀(127)이 후퇴 한계 위치에 놓여진다. 이 때, 입력 포트(p11) 및 출력 포트(p12)가 랜드(133)에 의해 폐쇄되고, 드레인 유로(205)는 상기 랜드(106)의 원형부(209)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출력압은 0이고, 출력 포트(p12)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95)로부터 터미널(21)을 통하여 코일(317)에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17)이 플런저(354)를 소정의 흡인력으로 흡인하여, 플런저(354)에 추력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추력이 외측 스풀(127)에 전달되고, 외측 스풀(127)은 상기 스프링 하중 f1에 대항하여 전진(도면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 44를 수축시킨다. 이에 따라, 스프링 145도 수축된다.
이어서, 전류를 크게 하면, 외측 스풀(127)의 전진에 따라서 입력 포트(p11)와 출력 포트(p12)가 연통되고, 출력 포트(p12)와 피드백 포트(p13)가 제1 피드백 구멍 (141), 피드백 유로(203, 201, 202) 및 제2 피드백 구멍(142)을 통하여 연통된다. 이 동안에도, 드레인 유로(205)는 상기 랜드(106)의 원형부(209)에 의해서 폐쇄된다.
따라서, 출력압은 제1 피드백 구멍(141), 피드백 유로(203, 201, 202) 및 제2 피드백 구멍(142)을 통하여 피드백 포트(p13)에 공급되어, 외측 스풀(127)을 피드백력으로 후방으로 민다. 그 결과, 상기 입력 포트(p11)와 출력 포트(p12) 사이가 랜드(133)의 후단에 의해 좁혀지고, 출력압은 전류의 값에 비례하는 값이 되어,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진다.
그리고, 외측 스풀(127)에, 플런저(354)로부터의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 f1이 가해지고, 외측 스풀(127)은 추력, 피드백력 및 스프링 하중 f1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어서, 전류를 더욱 크게 하면, 외측 스풀(1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커져서, 외측 스풀(127)은 더욱 전진된다. 그에 따라, 플런저(354)의 스트로크량에 기초하여, 외측 스풀(127)이 플런저(354)와 일체로 전진되고, 상기 입력 포트(p11)와 출력 포트(p12) 사이가 랜드(133)의 전단에 의해서 그 만큼 열려서, 출력압이 전류의 값에 비례하여 높아진다. 이 경우, 전류의 변화량에 대한 출력압의 변화량의 비는, 상기 스프링 44의 스프링 상수, 랜드(131, 133)의 면적차 등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전류의 값을 더욱 크게 하면, 외측 스풀(127)에 가해지는 추력이 최대가 되어, 외측 스풀(127)이 더욱 전진된다. 이에 따라, 제1 피드백 구멍(141)은 상기 랜드(108)에 의해 막혀서, 피드백 유로(203)와 차단된다. 따라서, 피드백압에 의한 탄성력이 없어지고, 외측 스풀(127)은 더욱 전진한다. 이 동안, 입력 포트(p11)와 상기 랜드(133)의 간극은 최대가 되어, 입력 포트(p11)에 입력되는 입력압은 감압됨 없이 출력 포트(p12)로부터 출력되고, 출력압은 비 압력 조정 영역에 놓여진다.
또한, 드레인 유로(205)와 드레인 포트(p16)가 드레인 유로(208)를 통하여 연통되므로, 피드백 포트(p13)의 오일은 드레인 유로(205, 208)를 통하여 드레인 포트(p16)로부터 배출(EX)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슬리브(62)를 도시되지 않은 밸브 바디와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각 슬리브를 밸브 바디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밸브 바디에 소정의 슬리브 공을 형성하고, 그 슬리브공에 스풀을 삽입하고, 그 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11)를 밸브 바디에 장착하고, 핀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제1 스풀과,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출력압을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2 스풀을 갖는다.
이 경우,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되므로, 컨트롤 밸브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유압 회로에서의 부품의 수를 적게할 수 있어, 유압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압이 제1 스풀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출력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과대한 추력이 불필요하게 되고,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를 소형화할 수 있어, 그 결과 압력 제어 밸브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는 전류가 공급되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피전류 공급부, 및 상기 추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피드백압이 제1 스풀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출력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출력압을 최대의 유압으로 할 때에, 피전류 공급부에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편차가 발생하더라도, 제어압을 안정시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2 스풀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제2 스풀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지므로, 제2 스풀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공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의 유압 회로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특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내(內) 스풀을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내측 스풀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압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스프링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압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오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5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력압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3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9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노멀 클로즈 타입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11 : 리니어 솔레노이드부
17 : 코일
26, 126 : 내측 스풀
27, 127 : 외측 스풀
44, 45, 145, 944, 945 : 스프링
54 : 가동 철심
64 : 엔드 플레이트
83, 201 내지 203, 283 내지 285, 883, 933, 983 : 피드백 유로
164, 165 :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354 : 플런저
371 : 당접 로드
p1, p11 : 입력 포트
p2, p12 : 출력 포트
p3, p13 : 피드백 포트
p4 내지 p6, p14 내지 p16 : 드레인 포트
Claims (19)
-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그리고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를 구비한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압력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제1 스풀과,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출력압을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2 스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그리고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를 구비한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압력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제1 스풀과,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스풀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출력압을 피드백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제1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2 스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는 전류가 공급되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피전류 공급부, 및 상기 추력에 의해 이동되는 가동부로 이루어지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은 상기 가동부로부터 제2 스풀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제2 스풀, 및 제2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1 스풀에 전달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은 상기 가동부로부터 제1 스풀로 직접 전달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풀은 축방향에 있어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과, 상기 추력 및 상기 피드백압에 의한 피드백력이 대향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 및 상기 피드백압에 의한 피드백력과, 상기 추력이 대향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풀은 상기 제1 스풀에서 지름 방향 안쪽에 배치되고, 제1, 제2 스풀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에, 제1 스풀에 피드백압을 작용시키기 위한 피드백압 작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스풀 사이에 형성된 피드백 유로와 상기 피드백압 작용부가 연통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에 의해 상기 추력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제1, 제2 스풀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어, 피드백 유로의 연통 상태가 전환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을 상기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조정하는 탄성력 조정 부재가, 상기 슬리브에 대하여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에 배치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풀 사이에, 다른 탄성 부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브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으로서, 상기 탄성력 조정 부재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에, 상기 다른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조정하는 다른 탄성력 조정 부재가 배치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입력 포트, 출력 포트 및 드레인 포트가 형성된 슬리브, 추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솔레노이드부,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추력이 전달되어, 상기 입력 포트에 입력된 입력압을 조정하여 출력압을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하는 스풀, 그리고 상기 스풀을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압이 피드백압으로서 상기 스풀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과, 상기 추력 및 상기 피드백압에 의한 피드백력이 대향되는 압력 제어 밸브에 있어서,슬리브 내에, 상기 피드백압을 상기 스풀에 작용시킬지 여부의 전환을 행하기 위한 피드백압 전환 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압 전환 수단은 2개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상기 슬리브에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서로 스프링 상수가 상이한 압력 제어 밸브.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축방향에 있어서 직렬로 배치되는 압력 제어 밸브.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 부재는 축방향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되고, 서로 길이가 상이한 압력 제어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38291 | 2003-09-29 | ||
JP2003338291 | 2003-09-29 | ||
JP2003376246 | 2003-11-05 | ||
JPJP-P-2003-00376246 | 2003-11-05 | ||
JP2004116955A JP4306519B2 (ja) | 2003-09-29 | 2004-04-12 | 圧力制御弁 |
JPJP-P-2004-00116955 | 2004-04-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1378A true KR20050031378A (ko) | 2005-04-06 |
KR100892832B1 KR100892832B1 (ko) | 2009-04-10 |
Family
ID=3419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4031A KR100892832B1 (ko) | 2003-09-29 | 2004-09-16 | 압력 제어 밸브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20050067597A1 (ko) |
EP (1) | EP1519256A3 (ko) |
JP (1) | JP4306519B2 (ko) |
KR (1) | KR100892832B1 (ko) |
CN (1) | CN100353110C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6463B1 (ko) * | 2006-01-20 | 2007-02-26 | 주식회사 로템 | 스위치 기능을 갖는 방향제어 밸브 |
KR100772018B1 (ko) * | 2006-03-16 | 2007-10-31 | 장분선 |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
KR200460967Y1 (ko) * | 2009-12-24 | 2012-06-13 | 설철수 | 복동식 실린더용 솔레노이드 밸브 |
KR101579304B1 (ko) | 2014-06-19 | 2016-01-04 |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 기계식 유로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이온수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20630A (ja) * | 2005-10-28 | 2007-05-17 | Aisin Aw Co Ltd | ソレノイドバルブ |
DE102008028564A1 (de) * | 2007-07-03 | 2009-01-08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Hydrauliksystem zum Erzeugen eines Vorsteuerdruckes zum Ansteuern einer Getriebekomponente |
JP5125441B2 (ja) * | 2007-11-21 | 2013-01-23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リニア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電磁弁 |
ES1066985Y (es) * | 2008-01-15 | 2008-07-01 | Dominguez Raquel Santos | Maletin para visita domiciliaria de enfermeria |
US7883073B2 (en) | 2008-01-15 | 2011-02-08 | Emerson Process Management Power And Water Solutions,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spring load in an actuator |
US8397759B2 (en) | 2008-03-04 | 2013-03-19 | Keihin Corporation | Electromagnetic spool valve |
JP5416366B2 (ja) * | 2008-05-27 | 2014-02-12 | 株式会社ケーヒン | 電磁スプール弁装置 |
JP5351560B2 (ja) * | 2008-03-04 | 2013-11-27 | 株式会社ケーヒン | 電磁スプール弁装置 |
JP5136242B2 (ja) * | 2008-06-27 | 2013-02-06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電磁弁 |
KR100991502B1 (ko) | 2008-07-24 | 2010-11-04 |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 압전방식에 의한 공압 서보밸브 |
JP5416398B2 (ja) * | 2008-12-22 | 2014-02-12 | 株式会社ケーヒン | 電磁スプール弁装置 |
JP5093090B2 (ja) * | 2008-12-25 | 2012-12-05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電磁弁装置および動力伝達装置 |
US8578967B2 (en) * | 2009-01-29 | 2013-11-12 | Pratt & Whitney Canada Corp. | Pressure regulating valve for aircraft engine |
KR101638892B1 (ko) * | 2009-03-30 | 2016-07-13 |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 제어 밸브 |
CN101691860B (zh) * | 2009-09-17 | 2011-04-27 | 高志明 | 用于功率控制器的压力切断阀 |
CN101691890B (zh) * | 2009-10-13 | 2011-08-31 | 金仁召 | 一种节流阀 |
KR101210139B1 (ko) * | 2010-10-28 | 2012-12-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오일펌프용 릴리프밸브 |
EP2570707B1 (en) * | 2010-12-06 | 2016-12-28 | Eagle Industry Co., Ltd. | Solenoid valve |
DE202011001671U1 (de) | 2011-01-18 | 2012-04-19 | Eto Magnetic Gmbh | Schieberventil |
JP5454511B2 (ja) * | 2011-05-16 | 2014-03-26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ソレノイドバルブ |
JP2012241740A (ja) * | 2011-05-16 | 2012-12-10 | Denso Corp | ソレノイドバルブおよび油圧制御装置 |
EP2600045B1 (de) * | 2011-12-01 | 2016-09-14 | SVM Schultz Verwaltungs-GmbH & Co. KG |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Ventil |
DE102012207584A1 (de) | 2012-05-08 | 2013-11-14 | Robert Bosch Gmbh | Magnetventil |
US8955533B2 (en) | 2013-06-07 | 2015-02-17 | Sonnax Industries, Inc. | Multiple pressure ratio valve assembly |
JP5920325B2 (ja) * | 2013-11-11 | 2016-05-18 | 株式会社デンソー | 付勢力調整装置、これを用いた油圧制御弁、及び、付勢力調整装置の製造方法 |
US9447871B2 (en) | 2013-11-20 | 2016-09-20 | Sonnax Industries, Inc. | Multiple-ratio boost valve |
JP2015145725A (ja) * | 2014-01-31 | 2015-08-13 |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ラッチソレノイドレギュレータ弁 |
JP6335693B2 (ja) * | 2014-07-08 | 2018-05-30 | Kyb株式会社 | ソレノイドバルブ |
AU2015268578A1 (en) * | 2015-01-13 | 2016-07-28 | Mac Valves, Inc. | Stepper Motor Operated Balanced Flow Control Valve |
BE1024622B1 (fr) * | 2016-09-30 | 2018-05-24 | Safran Aero Boosters S.A. | Vanne fluidique |
KR20190082898A (ko) * | 2016-12-08 | 2019-07-10 |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 솔레노이드 밸브 |
JP6941540B2 (ja) * | 2017-11-15 | 2021-09-29 | 株式会社オグラ | 油圧作動装置 |
DE102018208893A1 (de) * | 2018-06-06 | 2019-12-12 | Robert Bosch Gmbh | Direktgesteuertes hydraulisches Wegeventil |
FR3084922B1 (fr) * | 2018-08-10 | 2020-11-20 | Bontaz Centre R & D | Electrovanne on/off offrant 2 niveaux de regulation mecanique de la pression |
US11143287B2 (en) * | 2019-04-01 | 2021-10-1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Hydraulic control valve |
JP7183985B2 (ja) * | 2019-07-18 | 2022-12-06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ソレノイド |
CN110319067B (zh) * | 2019-08-05 | 2024-03-22 | 安徽理工大学 | 一种基于双电机的比例流量控制和高速开关两用阀 |
CN113027844B (zh) * | 2021-01-29 | 2023-09-29 | 中国北方车辆研究所 | 负载压力自反馈流量调节阀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01116A (en) * | 1977-07-11 | 1980-05-06 | The Cessna Aircraft Company | Electro-hydraulic proportional control servo valve |
US4238112A (en) * | 1978-12-22 | 1980-12-09 | Rexnord Inc. | Spool spin prevention for hydraulic control valves |
DE3207393C1 (de) * | 1982-03-02 | 1983-10-13 |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 Steuerventil,insbesondere elektrohydraulisches Steuerventil |
DE3305092A1 (de) * | 1983-02-14 | 1984-08-16 | Herion-Werke Kg, 7012 Fellbach | Druckregelventil |
US4605197A (en) * | 1985-01-18 | 1986-08-12 | Fema Corporation | Proportional and latching pressure control device |
US4779648A (en) * | 1985-02-25 | 1988-10-25 | Sloate Harry M | Pilot controlled valves |
US4683915A (en) * | 1985-02-25 | 1987-08-04 | Sloate Harry M | Pilot controlled valves |
US4966195A (en) * | 1987-06-25 | 1990-10-30 | Colt Industries Inc. | Transmission pressure regulator |
US4791956A (en) * | 1987-09-28 | 1988-12-20 | Asahi Yukizai Kogyo Co., Ltd. | Constant flow valve |
US4821774A (en) * | 1988-04-04 | 1989-04-18 | Chorkey William J | Solenoid operated valve with balancing means |
JPH0544626Y2 (ko) * | 1988-05-25 | 1993-11-12 | ||
US4873948A (en) * | 1988-06-20 | 1989-10-17 | Magnavox Government And Industrial Electronics Company | Pneumatic actuator with solenoid operated control valves |
US5259414A (en) * | 1988-11-09 | 1993-11-09 | Aisin Aw Co., Ltd | Pressure control valve |
JP2898081B2 (ja) * | 1990-11-05 | 1999-05-31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リニヤソレノイドバルブ並びにその組立方法 |
FR2683337B1 (fr) * | 1991-10-31 | 1994-01-07 | Bendix Europe Services Technique | Dispositif de regulation de pression pour circuit hydraulique. |
US5518091A (en) * | 1992-12-03 | 1996-05-21 | Volkswagen Ag | Slide valve for controlling a bridging clutch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
US5497804A (en) * | 1994-06-27 | 1996-03-12 | Caterpillar Inc. | Integral position sensing apparatus for a hydraulic directional valve |
JP3744017B2 (ja) * | 1995-02-09 | 2006-02-08 | ヤマハ株式会社 | 画像デコーダ |
JPH094747A (ja) * | 1995-06-22 | 1997-01-07 | Aisin Seiki Co Ltd | 電磁比例式圧力弁 |
JP3627338B2 (ja) * | 1995-12-30 | 2005-03-09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における圧力調整弁 |
CN2324308Y (zh) * | 1996-11-15 | 1999-06-16 |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控制设备研究所 | 水轮机调速器的电动阀控缸式电液伺服装置 |
JP3633166B2 (ja) * | 1996-12-28 | 2005-03-30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リニアソレノイド |
DE19904902A1 (de) * | 1999-02-06 | 2000-08-10 |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 Proportional-Druckregelventil |
DE19907348A1 (de) * | 1999-02-20 | 2000-08-24 | Bosch Gmbh Robert | Kraftstoffeinspritzventil |
JP4016370B2 (ja) * | 1999-03-29 | 2007-12-05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磁弁 |
US6179107B1 (en) * | 1999-11-08 | 2001-01-30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Trim valve for a fluid operated friction torque transmitting device |
US6776391B1 (en) * | 1999-11-16 | 2004-08-17 |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 Electromagnet valve |
JP2001263529A (ja) * | 2000-03-16 | 2001-09-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電磁弁 |
JP2001280516A (ja) * | 2000-03-30 | 2001-10-10 | Denso Corp | 調圧弁 |
JP2002181222A (ja) * | 2000-10-04 | 2002-06-26 | Denso Corp | 電磁弁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2130514A (ja) * | 2000-10-17 | 2002-05-09 | Aisin Seiki Co Ltd | 電磁弁 |
WO2003001115A1 (en) * | 2001-06-21 | 2003-01-03 | Connemara Innovation Limited | A valve and a gas burner |
JP2003074733A (ja) * | 2001-09-03 | 2003-03-12 | Toyoda Mach Works Ltd | 電磁弁 |
JP3952727B2 (ja) * | 2001-10-16 | 2007-08-01 |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
JP4099749B2 (ja) * | 2002-01-17 | 2008-06-11 | Smc株式会社 | エアサーボバルブ |
-
2004
- 2004-04-12 JP JP2004116955A patent/JP430651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16 KR KR1020040074031A patent/KR1008928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24 EP EP20040022791 patent/EP1519256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9-29 US US10/952,415 patent/US2005006759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9-29 CN CNB2004100117882A patent/CN10035311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2-23 US US11/709,827 patent/US2007017038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
- 2009-02-04 US US12/365,595 patent/US790906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6463B1 (ko) * | 2006-01-20 | 2007-02-26 | 주식회사 로템 | 스위치 기능을 갖는 방향제어 밸브 |
KR100772018B1 (ko) * | 2006-03-16 | 2007-10-31 | 장분선 | 유체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
KR200460967Y1 (ko) * | 2009-12-24 | 2012-06-13 | 설철수 | 복동식 실린더용 솔레노이드 밸브 |
KR101579304B1 (ko) | 2014-06-19 | 2016-01-04 |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 기계식 유로 전환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이온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03668A (zh) | 2005-04-06 |
JP2005155893A (ja) | 2005-06-16 |
CN100353110C (zh) | 2007-12-05 |
EP1519256A3 (en) | 2012-07-25 |
EP1519256A2 (en) | 2005-03-30 |
US20050067597A1 (en) | 2005-03-31 |
US20090140192A1 (en) | 2009-06-04 |
US7909060B2 (en) | 2011-03-22 |
US20070170387A1 (en) | 2007-07-26 |
KR100892832B1 (ko) | 2009-04-10 |
JP4306519B2 (ja) | 2009-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2832B1 (ko) | 압력 제어 밸브 | |
JP5136242B2 (ja) | 電磁弁 | |
US6378557B2 (en) | Pressure regulation valve | |
US6161585A (en) | High flow proportional pressure reducing valve | |
EP0801256B1 (en) | Hydraulic solenoid control valve | |
JP4930428B2 (ja) | ブリード型電磁弁 | |
JPWO2007020895A1 (ja) | スプールバルブ装置 | |
US6732999B2 (en) | Electromagnetic valve device | |
KR100476246B1 (ko) | 비례압력 제어밸브 | |
CN109790931B (zh) | 滑阀和阀系统 | |
US20070075283A1 (en) | Valve apparatus | |
JP4492649B2 (ja) | ブリード式バルブ装置 | |
JPH07151257A (ja) | 電磁制御弁 | |
JP4301318B2 (ja) | ブリード式バルブ装置 | |
JP2009243544A (ja) | 電磁弁 | |
JPH11118063A (ja) | 電磁制御弁 | |
JP4703615B2 (ja) | ブリード式バルブ装置 | |
WO2021106707A1 (ja) | ソレノイドバルブ | |
JP2009008159A (ja) | ソレノイドバルブ | |
US20200363827A1 (en) | Cap with electromagnetic proportional valve | |
JP2007157796A (ja) | ソレノイド駆動装置及びソレノイドバルブ | |
JP2657361B2 (ja) | リニアソレノイドの通電制御方法 | |
CN110878779B (zh) | 一种减压阀 | |
JP4529568B2 (ja) | 油圧制御装置 | |
JP2020197289A (ja) | リニアソレノイドバル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