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759A - 염료감응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염료감응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759A
KR20050030759A KR1020030066886A KR20030066886A KR20050030759A KR 20050030759 A KR20050030759 A KR 20050030759A KR 1020030066886 A KR1020030066886 A KR 1020030066886A KR 20030066886 A KR20030066886 A KR 20030066886A KR 20050030759 A KR20050030759 A KR 2005003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dye
electrode
solar cell
sensitized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440B1 (ko
Inventor
이지원
이화섭
최재만
박정원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440B1/ko
Priority to JP2004273795A priority patent/JP4287344B2/ja
Priority to EP20040090374 priority patent/EP1523019A3/en
Priority to US10/948,925 priority patent/US20050067009A1/en
Publication of KR2005003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4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ruthen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광전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염료 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투광성 물질로 이루어진 판상으로서, 이면에 도포된 다공질막과 상기 다공질막에 흡착된 염료를 포함하는 제1전극; 제1전극의 이면과 마주보면서 면 접합되어 있는 제2전극;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공간에 매립된 전해질; 및 제1전극의 이면과 다공질막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과, 제1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방지막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염료감응 태양전지 중에서 대표적인 연구 개발로는 1991년도 스위스 국립 로잔 고등기술원(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의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입자 산화티탄늄(아나타제)을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있다. 이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하여 공정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내구성과 효율에 한계가 있어 상품화까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남아 있다.
그라첼 연구팀에 의해 출원된 특허인 미국특허 4,927,721과 미국특허 5,084,365은 광전기 화학 전지에 관한 특허로서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극막의 표면 거칠기를 제한하는 특허이다. 이 특허에서는 표면 거칠기 팩터(factor)가 20보다 큰 표면을 가진 다결정 금속 산화물 반도체 표면에 단분자의 착색층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내에서는 ETRI의 박남규 박사팀에서 출원한 특허들로서 한국 공개번호 제2001-0111379호, 공개번호 제2002-0043945호, 공개번호 제2002-0078291호, 공개번호 제2003-0032538호가 있다.
이 중에서 공개번호 제2001-0111379호에서는, 기존의 색소 증감형 태양전지에서 광전극으로 이용되는 TiO2의 결정상이 아나타제(Anatase)였던 것에 비해 루타일 산화티타늄 필름을 형성하는 특허이다.
공개번호 제2002-0043945호는 고분자 전해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와 티타니아 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개번호 제2002-0078291호은 태양전지 모듈 구성에 관한 것으로 직렬 및 병렬로 조립시 태양전지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지 및 모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개번호 제2003-0032538호는 전이금속 산화물에 티타노 실리칼라이트-2를 혼합하여 광전환 효율을 개선하는 특허이다.
이와 같은 종래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상품화하는 데 가장 어려운 문제점은 광전환 효율과 내구성이 낮다는 것이며, 따라서 효율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광전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염료 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투광성 물질로 이루어진 판상으로서, 이면에 도포된 다공질막과 상기 다공질막에 흡착된 염료를 포함하는 제1전극; 제1전극의 이면과 마주보면서 면 접합되어 있는 제2전극;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공간에 매립된 전해질; 및 제1전극의 이면과 다공질막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과, 제1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방지막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이 때, 다공질막은 전이금속 산화물의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이며, Ti산화물, Zr산화물, Sr산화물, Zn산화물, In산화물, Yr산화물, La산화물, V산화물, Mo산화물, W산화물, Sn산화물, Nb산화물, Mg산화물, Al산화물, Y산화물, Sc산화물, Sm산화물, Ga산화물, In산화물, 및 SrTi산화물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100n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40nm이다.
다공질막에는 다공질막과 동일한 물질이고 평균입경이 200nm 이상인 광산란자가 첨가될 수도 있고, 다공질막에는 바인더로 폴리 에틸렌 글리콜(PEG),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 비닐 알콜(PVA), 폴리 비닐 피리돈(PVP) 중의 어느 한 고분자가 첨가될 수도 있다.
다공질막은 20nm 이상의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은 다공질막보더 더 치밀한 구조의 막으로 형성된다. 버퍼층 형성은 증착, 전기 분해, 습식법 등으로 가능하다.
염료는 다공질막의 나노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으며, Ru 복합체를 포함하여 가시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제1전극(working electrode)은 PET, PEN, PC, PP, PI, TA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 플로린 도핑된 인듐틴옥사이드(FTO), ZnO-(Ga2O3 또는 Al2O3), SnO 2-Sb2O3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이 코팅된 것이며, 제2전극(counter electrode)은 PET, PEN, PC, PP, PI, TA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 상에 제1전극과 동일한 도전 필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Pt가 코팅된 것이다. Pt 이외에 귀금속 물질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나노 입자의 다공질막, 태양광의 가시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여기하는 염료, 전해질, 투명전극 등으로 구성되어, 자연상태의 광합성 원리를 응용한 전지이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내로 태양광이 입사되면 광양자는 먼저 염료에 흡수되고, 여기상태로 된 염료가 전자를 다공질막을 이루는 전이금속 산화물의 전도대로 보낸다. 여기서 전자는 전극으로 이동한 후 외부 회로로 흘러가서 상대 전극으로 이동한다.
염료는 전이금속 산화물에 전자를 전이한 후 산화되나 전해질 용액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원래의 상태로 환원된다. 전해질은 산화환원에 의해 상대전극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염료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상 투명전극(제1전극(10) 및 제2전극(20))이 서로 면 접합된 샌드위치 구조이고, 한 투명전극(제1전극(10))의 이면에는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다공질막(30)이 도포되어 있으며, 다공질막의 나노입자 표면에는 가시광 흡수로 전자가 여기되는 광 감응 염료가 흡착되어져 있다. 이 두 투명전극 사이의 공간은 산화환원용 전해질(40)로 채워져 있다.
투명전극 중 다공질막(30)이 도포된 제1전극(working electrode)(10)으로는 PET, PEN, PC, PP, PI, TA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11)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 플로린 도핑된 인듐틴옥사이드(FTO), ZnO-(Ga2O3 또는 Al2O3), SnO2-Sb2 O3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12)이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
다공질막(30)은 전이금속 산화물의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Ti산화물, Zr산화물, Sr산화물, Zn산화물, In산화물, Yr산화물, La산화물, V산화물, Mo산화물, W산화물, Sn산화물, Nb산화물, Mg산화물, Al산화물, Y산화물, Sc산화물, Sm산화물, Ga산화물, In산화물, 및 SrTi산화물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전이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페이스트를 제1전극의 이면에 코팅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다공질막을 형성한다. 코팅법에 따라 요구되는 페이스트의 물성도 조금씩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닥터 브레이드 또는 스크린 프린트 등의 방법으로 페이스트를 코팅하고, 투명막 형성을 위해서는 스핀 코팅 또는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스퀴즈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습식 코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열처리는 바인더를 첨가한 경우 450-600℃에서 30분 정도 수행하고, 바인더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200℃ 이하로도 가능하다.
또한, 다공질막(30)의 다공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공질막(30)에 고분자를 첨가하여 열처리(400~600℃)하면 다공성이 높은 도포막이 얻어지는데, 이 때에는 열처리 후 유기물이 잔존하지 않는 고분자를 선택해야 한다.
적합한 고분자로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PEG),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 비닐 알콜(PVA), 폴리 비닐 피리돈(PVP)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도포법을 포함한 도포 조건을 고려하여 적합한 분자량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하여 첨가하면 된다. 이러한 고분자를 첨가하면 다공성 향상 이외에도 분산성 향상, 점도 증가로 성막성 및 기반과의 부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다공질막(30)은 나노미터 규모의 입경을 가지는 나노 입자들이 균일하게 분포하며 다공성을 유지하면서 표면에 적당한 거칠기(roughness)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노입자는 평균입경 100nm 이하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10-40nm의 입경을 가지며, 또한 표면거칠기는 2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막(30)을 이루는 대표적인 물질로서 TiO2의 입경별 효율을 검토해 보면, TiO2의 입경이 10nm이하로 작으면 성막 후 열처리 시 기반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박리가 일어난다. 반면에, TiO2의 입경이 40nm 초과로 커지면 표면적의 감소로 염료 흡착 포인트가 감소하여 광전변환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공정성과 효율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 10~40nm 입경의 TiO2를 이용하여 다공질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공질막(30)에는 전자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ITO와 같은 도전성 미립자를 첨가할 수도 있고, 또는 광로를 연장시켜 효율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광산란자를 첨가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전성 미립자 및 광산란자 둘 모두를 첨가할 수도 있다. 광산란자는 다공질막을 이루는 물질과 동일한 것으로서 평균입경이 100nm 이상으로 큰 것이다.
또한, 다공질막(30)과 제1전극(10)의 계면에는 제1전극(10)과 다공질막(30)과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 다공질막(30)보다 치밀한 구조의 버퍼층(50)을 형성할 수 있다.
버퍼층(50)은 다공질막보다 더 치밀하며, 따라서, 접착력 항상의 역할 뿐만 아니라 전해질(40)이 제1전극(10)에 직접 닿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단로방지에 의한 효율 향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에너지 준위의 균형화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방지하여 전자의 수집율이 좋아져 효율 개선 효과가 있다.
버퍼층(50)은 에너지 준위가 제1전극(10)의 에너지 준위 이상 다공질막(30)의 에너지 준위 이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다공질막(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다공질막(30)을 이루는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다공질막(30)이 TiO2 일 때, 버퍼층(50)으로서 TiO2를 형성할 수도 있고, TiO2-WO3 또는 WO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a는 제1전극(10)의 표면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b는 제1전극(10)의 표면에 버퍼층(50)으로서 TiO2-WO3을 형성한 후 TiO2-WO 3의 표면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10)의 표면은 매끄럽지 못하고 표면 단차가 심하며, 이러한 표면 위에 다공질막을 형성하면 계면 간의 접촉이 나빠 전기적 특성과 내구성이 저하될 것이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iO2-WO3의 표면은 매끈하고 표면 단차가 거의 없으므로 그 위에 형성될 다공질막과의 계면 접촉성이 개선되어져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버퍼층을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J-V Curve를 측정 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인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층을 형성하면 전류 및 전압이 증가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다공질막의 나노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로는 Ru 복합체를 포함하여 가시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Ru은 백금족에 속하는 원소로서 많은 유기 금속 복합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원소이다.
태양전지용으로 적합한 염료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Ru(etc bpy)2(NCS)2·2CH3CN 타입이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여기서 etc는 (COOEt) 2 or (COOH)2 로서 다공질막(일 예로 TiO2) 표면과 결합 가능한 반응기이다. 이 외에도 가시광내의 장파장 흡수를 개선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염료 및 전자 방출이 용이한 새로운 타입의 염료를 개발하고 있으며 염료의 반응기를 개선하여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방지하여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칼라의 유기 색소는 저가이면서도 소재가 풍부하여 활용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효율 향상을 위한 검토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유기색소로는 큐마린(Cuemarine), 포피린(porphyrin)의 일종인 페오포바이드 에이(pheophorbide a) 등을 단독 또는 Ru 복합체와 혼합 사용하여 장파장의 가시광 흡수를 개선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염료의 흡착은 염료를 용해시킨 알콜용액에 다공질막을 도포한 제1전극을 침지시킨후 12시간 정도 지나면 자연 흡착이 된다.
제2전극(counter electrode)(20)은 PET, PEN, PC, PP, PI, TA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21)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 플로린 도핑된 인듐틴옥사이드(FTO), ZnO-(Ga2O3 또는 Al 2O3), SnO2-Sb2O3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전도성 필름이 코팅되어 있고, 제1전도성 필름 상에 Pt 또는 귀금속 물질을 포함한 제2전도성 필름(22)이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 Pt는 반사도가 높을수록 효율이 우수하므로 반사율이 높은 막이 선호된다.
제1전극(10) 및 제2전극(20)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면 접합시킨 후, 제1전극(10) 및 제2전극(20)을 관통하는 미세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을 통해 두 전극 사이의 공간에 전해질 용액을 주입한 다음, 다시 홀의 외부를 접착제로 밀봉한다.
접착제로는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는 상품명 surlyn이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두 전극 사이에 위치시킨 후 가열 압착하여 밀폐시킨다.
접착제의 또 다른 종류로는 에폭시 수지 또는 자외선(UV)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처리 또는 UV 처리 후에 경화시킬 수도 있다.
전해질(40)은 도 1에서 설명의 편의상 한 층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제1전극(10) 및 제2전극(20) 사이의 공간에서 다공질막(30) 내부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다.
전해질(40)은 요오드화물(iodide)/삼요오드화물(triodide) 쌍으로서 산화, 환원에 의해 상대전극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염료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개방회로 전압은 염료의 에너지 준위와 전해질의 산환, 환원 준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제1전극(10)의 표면에는 반사방지막(60)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조사되는 태양광의 반사를 줄이고 반사로 인해 손실되는 광량을 최소화하고 태양전지 내로 흡수시키며, 이렇게 흡수된 광은 제2전극(20)에 의해 태양전지의 내부로 재반사되어 외부로 투과되어 버리는 광량을 최소화하고 광흡수를 최대화하고자 한다.
도 4는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면 가시광 영역에서의 총 반사율이 약 13%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J-V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면 전류 및 전압이 증가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극의 최외 표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여 태양광 조사 시 표면에 반사되어 손실되는 광을 최소화하고 태양전지 내부로 흡수시킴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전극과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다공질막 사이의 계면에 버퍼층을 형성하여 전해질과 전극과의 접촉에 의한 리크 발생으로 인한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전극과 다공질막 간의 계면 접촉을 개선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다공질막의 박리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공질막으로서 일차 입경이 40nm이하인 나노입자를 적용하여 다공질막의 고표면적 및 다공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다공질막 내에 도전성 미립자 또는/ 및 광산란자를 첨가하여 태양전저의 효율을 향상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a는 제1전극의 표면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며,
도 2b는 제1전극의 표면에 버퍼층으로서 TiO2-WO3을 형성한 후 TiO2-WO 3의 표면을 관찰한 주사전자현미경이고,
도 3은 버퍼층을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J-V Curve를 측정 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4는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반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J-V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16)

  1. 투광성 물질로 이루어진 판상의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의 이면에 도포된 다공질막과 상기 다공질막에 흡착된 염료;
    상기 제1전극의 이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전극;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의 공간에 매립된 전해질; 및
    상기 제1전극의 이면과 상기 다공질막 사이의 계면에 형성된 버퍼층과, 상기 제1전극의 표면에 형성된 반사방지막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전이금속 산화물의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염료감응 태양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Ti산화물, Zr산화물, Sr산화물, Zn산화물, In산화물, Yr산화물, La산화물, V산화물, Mo산화물, W산화물, Sn산화물, Nb산화물, Mg산화물, Al산화물, Y산화물, Sc산화물, Sm산화물, Ga산화물, In산화물, 및 SrTi산화물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물로 이루어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100nm 이하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의 평균입경은 10-40nm인 염료감응 태양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에는 도전성 미립자가 첨가되거나, 상기 다공질막과 동일한 물질이고 평균입경이 100nm 이상인 광산란자가 첨가되거나, 또는 도전성 미립자 및 광산란자 모두가 첨가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20nm 이상의 표면거칠기를 가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30)에는 폴리 에틸렌 글리콜(PEG),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 비닐 알콜(PVA), 폴리 비닐 피리돈(PVP) 중의 어느 한 고분자가 첨가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다공질막보다 더 치밀한 구조의 막으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에너지 준위가 상기 제1전극의 에너지 준위 이상이고 상기 다공질막의 에너지 준위 이하인 물질로 이루어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TiO2 이고, 상기 버퍼층은 TiO2, WO3, 및 TiO2 -WO3 중의 하나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증착, 전기 분해, 습식법 중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상기 나노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Ru 복합체를 포함하여 가시광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PET, PEN, PC, PP, PI, TA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 플로린 도핑된 인듐틴옥사이드(FTO), ZnO-(Ga2O3 또는 Al2O3), SnO2 -Sb2O3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이 코팅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PET, PEN, PC, PP, PI, TAC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리 기판 상에 인듐틴옥사이드(ITO), 플로린 도핑된 인듐틴옥사이드(FTO), ZnO-(Ga2O3 또는 Al2O3), SnO2 -Sb2O3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전도성 필름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제1전도성 필름 상에 Pt 또는 귀금속 물질을 포함한 제2전도성 필름이 코팅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20030066886A 2003-09-26 2003-09-26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056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886A KR101056440B1 (ko) 2003-09-26 2003-09-26 염료감응 태양전지
JP2004273795A JP4287344B2 (ja) 2003-09-26 2004-09-21 染料感応太陽電池
EP20040090374 EP1523019A3 (en) 2003-09-26 2004-09-23 Dye-sensitized solar cell with a buffer layer
US10/948,925 US20050067009A1 (en) 2003-09-26 2004-09-24 Dye-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886A KR101056440B1 (ko) 2003-09-26 2003-09-26 염료감응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759A true KR20050030759A (ko) 2005-03-31
KR101056440B1 KR101056440B1 (ko) 2011-08-11

Family

ID=3430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886A KR101056440B1 (ko) 2003-09-26 2003-09-26 염료감응 태양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67009A1 (ko)
EP (1) EP1523019A3 (ko)
JP (1) JP4287344B2 (ko)
KR (1) KR1010564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54B1 (ko) * 2005-06-14 2007-06-18 한국전기연구원 교육용 인공광합성 태양전지의 구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829064B1 (ko) * 2006-12-19 2008-05-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성을 갖는 랜덤 레이징 나노 다공성 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0650B1 (ko) * 2008-05-27 2009-03-27 아크로솔 주식회사 발광타일
KR101125407B1 (ko) * 2011-01-24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25646B1 (ko) * 2010-09-16 2013-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전지 및 그 형성방법
KR20160096495A (ko) * 2015-02-05 201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전자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와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7560B2 (ja) * 2004-12-22 2012-05-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電変換素子用の対極及び光電変換素子
JP4523549B2 (ja) 2006-01-18 2010-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8039834B2 (en) 2006-06-13 2011-10-1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Nanogenerator comprising piezoelectric semiconducting nanostructures and Schottky conductive contacts
US8022601B2 (en) 2008-03-17 2011-09-2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Piezoelectric-coated carbon nanotube generators
KR100977831B1 (ko) 2008-05-16 2010-08-2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7705523B2 (en) 2008-05-27 2010-04-2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Hybrid solar nanogenerator cells
KR100997843B1 (ko) 2008-08-29 2010-12-01 주식회사 솔켐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6939B1 (ko) 2008-10-29 2017-01-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색소, 이것을 사용한 광전 변환 소자, 광전기 화학 전지, 및 색소의 제조 방법
US20100154878A1 (en) * 2008-12-20 2010-06-24 Jyh-An Chen Electrode Structure and Fabrication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EP2228809A1 (en) * 2009-03-12 2010-09-15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003987A1 (en) * 2009-07-09 2011-01-13 Nlab Solar Ab Dye sensitized solar cell with improved optical characteristics
JP5620081B2 (ja) 2009-09-28 2014-11-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JP5524557B2 (ja) 2009-09-28 2014-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光電変換素子、および光電気化学電池
KR101084208B1 (ko) * 2009-10-13 2011-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373503B1 (ko) 2009-12-18 2014-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염료 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23957A1 (en) * 2010-08-19 2012-02-23 Lehigh University Microlens array for solar cells
JP2012243527A (ja) * 2011-05-18 2012-12-10 Sony Corp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太陽電池用光電極
EP3067906A4 (en) * 2013-11-08 2016-10-12 Panasonic Corp ELECTROCHEMICAL DEVICE
TWI570430B (zh) * 2015-01-23 2017-02-11 國立虎尾科技大學 次波長結構抗反射薄膜之製造方法及具有次波長結構抗反射薄膜的染料敏化太陽能電池
JP6609202B2 (ja) * 2016-03-08 2019-11-2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電変換装置
CN106158390A (zh) * 2016-08-15 2016-11-23 陆鹏 染料敏化太阳能电池浆料的制备方法
RU2649239C1 (ru) * 2016-12-01 2018-03-30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ефтяная компания "Роснефть" (ПАО "НК "Роснефть") Сенси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красителем металлооксидный солнечный элемент
CN111273513B (zh) * 2020-03-27 2021-09-24 宁波华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直流电解法制得的透明显示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IT202200008738A1 (it) 2022-05-02 2023-11-02 Iinformatica Srl Sistema green per la generazione di energia pulita dal vento e da irradiazione luminosa tramite alberi, arbusti e piante e relativo metodo di generazione di energia pulita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5031A (en) * 1973-05-07 1976-01-27 New England Institute, Inc. Photovoltaic cell with enhanced power output
US4724011A (en) * 1983-05-16 1988-02-09 Atlantic Richfield Company Solar cell interconnection by discrete conductive regions
CH674596A5 (ko) * 1988-02-12 1990-06-15 Sulzer Ag
ES2080313T3 (es) * 1990-04-17 1996-02-01 Ecole Polytech Celulas fotovoltaicas.
CH686206A5 (it) * 1992-03-26 1996-01-31 Asulab Sa Cellule photoelectrochimique regeneratrice transparente.
FR2694451B1 (fr) * 1992-07-29 1994-09-30 Asulab Sa Cellule photovoltaïque.
JP3152328B2 (ja) * 1994-03-22 2001-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多結晶シリコンデバイス
US5626687A (en) * 1995-03-29 1997-05-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Thermophotovoltaic in-situ mirror cell
ES2212286T3 (es) * 1997-05-07 2004-07-1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Fotosensibilizador de complejo metalico y celula fotovoltaica.
US6236061B1 (en) * 1999-01-08 2001-05-22 Lakshaman Mahinda Walpita Semiconductor crystallization on composite polymer substrates
JP3966638B2 (ja) * 1999-03-19 2007-08-29 株式会社東芝 多色色素増感透明半導体電極部材とその製造方法、多色色素増感型太陽電池、及び表示素子
DE19927981A1 (de) * 1999-06-18 2001-01-04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räumlichen Durchdringung oder Benetzung einer porenhaltigen nichtleitenden Struktur mit einem Elektronen oder Löcher leitendem Kunststoff sowie Verwendung des Verfahrens zur Herstellung einer photovolatischen Feststoff-Zelle
WO2001003232A1 (fr) * 1999-06-30 2001-01-11 Catalysts & Chemicals Industries Co., Ltd. Cellule photoelectrique
DE60027512T2 (de) * 1999-08-04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Minami-Ashigara Elektrolytzusammensetzung und photolektrochemische Zelle
US6592842B2 (en) * 1999-10-01 2003-07-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Nanocrystalline heterojunction materials
JP4477729B2 (ja) * 2000-01-19 2010-06-0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US7022910B2 (en) * 2002-03-29 2006-04-04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cells utilizing mesh electrodes
JP5081345B2 (ja) * 2000-06-13 2012-1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
KR100792381B1 (ko) * 2000-07-27 2008-01-08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색소 증감 광전 변환소자
ATE342573T1 (de) * 2000-08-15 2006-11-15 Fuji Photo Film Co Ltd Photoelektrische zelle und herstellungsmethode
JP4278080B2 (ja) * 2000-09-27 2009-06-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高感度受光素子及びイメージセンサー
JP4100863B2 (ja) 2000-10-23 2008-06-11 触媒化成工業株式会社 光電気セル
DE60132450T2 (de) * 2001-09-04 2008-04-17 Sony Deutschland Gmbh Solarzelle und Herstellungsmethode
JP2003092153A (ja) * 2001-09-18 2003-03-28 Fuji Photo Film Co Ltd 電解質組成物、光電変換素子及び光電池
JP2003123859A (ja) 2001-10-19 2003-04-25 Bridgestone Corp 有機色素増感型金属酸化物半導体電極及びこの半導体電極を有する太陽電池
JP2003132964A (ja) 2001-10-26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02412B2 (en) * 2002-01-18 2007-04-10 Sharp Kabushiki Kaisha Photovoltaic cell including porous semiconductor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olar cell
JP2003297446A (ja) * 2002-01-29 2003-10-17 Nippon Shokubai Co Ltd 色素増感太陽電池
US6452229B1 (en) * 2002-02-21 2002-09-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Ultra-thin fully depleted SOI device with T-shaped gate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825330B2 (en) * 2002-07-09 2010-11-02 Fujikura Ltd. Solar cell
US7427538B2 (en) * 2002-08-16 2008-09-23 Intel Corporation Semiconductor on insulator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854B1 (ko) * 2005-06-14 2007-06-18 한국전기연구원 교육용 인공광합성 태양전지의 구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829064B1 (ko) * 2006-12-19 2008-05-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향성을 갖는 랜덤 레이징 나노 다공성 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90650B1 (ko) * 2008-05-27 2009-03-27 아크로솔 주식회사 발광타일
KR101325646B1 (ko) * 2010-09-16 2013-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전지 및 그 형성방법
KR101125407B1 (ko) * 2011-01-24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96495A (ko) * 2015-02-05 201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전자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와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7009A1 (en) 2005-03-31
JP4287344B2 (ja) 2009-07-01
EP1523019A3 (en) 2005-04-20
EP1523019A2 (en) 2005-04-13
JP2005108836A (ja) 2005-04-21
KR101056440B1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440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0589322B1 (ko) 고효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7939749B2 (en)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89323B1 (ko) 광 흡수파장대가 확장된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78798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4046974B2 (ja) 光電極及びこれを備え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
KR20080045025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JP4312991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10177109A (ja) 下地層形成用組成物、下地層の製造方法、光電極の製造方法、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72361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JP4897226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4102054B2 (ja) 光電極及びこれを備え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
JP4050535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04134298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
KR101110651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1030040B1 (ko)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9214286B2 (en)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KR100578799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JP2008027777A (ja) 酸化チタン粒子含有組成物、光電極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JP2005302695A (ja) 光電極及びこれを備えた色素増感型太陽電池
KR20130010049A (ko) 연료감응 태양전지
JP2012124024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
Sahmer et al. Effect of Reflective Platinum Film on the Performance of Flexible Dye Solar Cell (DS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