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255A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255A
KR20050023255A KR10-2004-7018032A KR20047018032A KR20050023255A KR 20050023255 A KR20050023255 A KR 20050023255A KR 20047018032 A KR20047018032 A KR 20047018032A KR 20050023255 A KR20050023255 A KR 20050023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locking member
smoke blocking
smok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2945B1 (ko
Inventor
모로또메미쯔루
요시다히로유끼
이리에아쯔시
야마우찌미즈끼
Original Assignee
도요샷타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73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00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85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264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42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0041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샷타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샷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출입구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103) 및 종프레임(102, 102)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레일(104)로 안내되고 상기 출입구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랫폼 도어(110, 110)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도어(110, 110)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에는 연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연기 차단 부재(120, 130, 1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부의 연기 차단 부재(130)는 바닥부의 연기 차단 부재(111)와 하방에 있어서 접촉하고,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120)와는 상방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DOOR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플랫폼 출입구로부터 연기가 승강로 내로 유입되거나, 혹은 승강로 내로부터 플랫폼측으로 연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연기의 침입」이라 표현하는 경우에는, 연기의 유입과 유출 중 어느 한 쪽, 혹은 양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종래 장치로서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도어 장치의 정면도, 도4는 도3의 A-A선 화살표를 따라 본 도면, 도5는 도3의 B-B선 화살표를 따라 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1은 엘리베이터 플랫폼 출입구에 있어서 양측으로 개방되는 플랫폼 도어, 부호 102는 출입구의 종프레임, 부호 103은 출입구의 상부 프레임, 부호 104는 레일로, 종프레임(102)과 상부 프레임(103)과 레일(104)에 의해 플랫폼 출입구의 개구부를 포위하고 있다. 부호 105a는 도어(101)의 측부에 설치하여 종프레임(102)의 간극을 폐색하는 연기 차단 부재, 부호 105b는 도어(101)와 상부 프레임(103)과의 간극을 폐색하는 연기 차단 부재, 부호 105c는 레일(104)의 홈(104a)에 삽입되어 간극을 폐색하는 연기 차단 부재이다. 또한, 부호 106은 각각의 연기 차단 부재(105a, 105b, 105c)를 부착하는 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 장치는 도어(101)의 주위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105a, 105b, 105c)에 의해 도어 폐쇄시에 출입구 종프레임(102), 출입구 상부 프레임(103), 레일(104)과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해도 연기가 승강로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승강로를 통과하여 다른 층으로 연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50-79184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63-112389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연기 차단 부재(105a, 105b, 105c)가 항상 대향 부재에 접하게 되므로 통상의 도어의 개폐에 수반하여 마모되게 되어, 그 결과 보수를 적절하게 행해야만 한다. 또한, 플랫폼 도어(101)의 개폐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은 매우 곤란해, 항상 미끄럼 이동음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최근의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즉 구동 모터나 제어반 등의 발화 지점이 될 수 있는 기기가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타입의 엘리베이터(소위 머신룸레스 엘리베이터)가 증가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에 건물 내가 발화 지점이 되는 경우와 맞추어 연기의 침입 방향이 플랫폼 및 승강로 중 어느 측으로부터라도 적절하게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해져 왔다. 또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플랫폼 도어(101) 상호의 상방 및 하방에 있어서의 도어 맞댐부의 간극(107)이나 도18의 화살표로 나타낸 부위에서는, 3개 이상의 부재가 대향하고 있으므로 간극을 폐색하여 연기의 침입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고안도 빠뜨릴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의 도어 개폐 동작시에 특별히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연기 차단 부재 성능이 우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플랫폼 연기 차단 도어 정치의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의 A-A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5는 도3의 B-B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6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도2에 있어서의 도어 장치의 하부 부분 정면도이다.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도어 장치의 상부 부분 정면도이다.
도9는 도2의 P부 확대도이다.
도10은 도7의 Q부 확대도이다.
도11은 도7의 A-A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12는 도7의 B-B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13은 도7의 C-C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14는 도8의 R부 확대도이다.
도15는 도14의 D-D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16은 플랫폼 도어와 종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확대 사시도와 부분 정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15의 대응도이다.
도18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9는 플랫폼 도어와 종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 밖의 분해 확대 사시도와 부분 정면도이다.
도20은 도어와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간극과 도어 상호간의 간극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1은 도어와 상부 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2는 브래킷에 의해 연기 진입로가 폐색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23은 차폐재에 의해 도어 상호간의 간극이 폐색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25는 도24의 A-A선을 따라 본 확대도이다.
도26은 도24의 B-B선을 따라 본 확대도이다.
도27은 도24의 C-C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28은 도27의 Z부 확대도이다.
도29는 도27의 D-D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30은 도24의 E-E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31은 도27의 F-F선 부분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32는 고속 도어와 상부 프레임과 종프레임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3은 도32의 평면도이다.
도34는 저속 도어의 고속 도어측 상부와 상부 프레임과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5는 저속 도어와 상부 프레임과 종프레임과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36은 본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7은 본 실시예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8은 본 발명에 관한 도어 장치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자물쇠 장치의 전체도이다.
도39는 도38의 B-B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40은 상기 자물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1은 본 발명의 도어 장치를 도시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42는 도40의 좌측면도이다.
도43은 도어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4는 도43의 우측면도이다.
도45는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6은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7은 연기 차단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8은 연기 차단 기구의 상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9는 상부에 설치되는 연기 차단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50은 연기 차단 기구의 하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1은 하부에 설치되는 연기 차단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출입구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종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레일로 안내되고 출입구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랫폼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플랫폼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 혹은 플랫폼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 연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연기 차단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출입구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종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레일로 안내되고 출입구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고속 도어와 저속 도어로 이루어지는 플랫폼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고속 도어 및 저속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 혹은 고속 도어 및 저속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 연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연기 차단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도어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위하고, 상부 프레임(103) 및 좌우 한 쌍의 종프레임(102, 102)이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에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개방되는 좌우 한 쌍의 양쪽 개방 플랫폼 도어(110, 110)가 배치되어 있다. 도어(110, 110)는 레일(4)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109, 109)에 현수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의 하방 모서리에는 레일(104)이 배치되어 있어, 도어(110, 110)의 하단부가 레일(10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2는 본 실시예의 도어 장치를 도시한 투시 평면도, 도7은 도2에 있어서의 도어 장치의 하부 부분 정면도,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도어 장치의 상부 부분 정면도, 도9는 도2의 P부 확대도, 도10은 도7의 Q부 확대도, 도11은 도7의 A-A선을 따라 본 도면, 도12는 도7의 B-B선을 따라 본 도면, 도13은 도7의 C-C선을 따라 본 도면, 도14는 도8의 R부 확대도, 도15는 도14의 D-D선을 따라 본 도면, 도16은 플랫폼 도어(110)와 종프레임(102)과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확대 사시도와 부분 정면도이다.
도면 중, 도3 내지 도6과 동일 부호인 것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8에 도시한 부호 110은 도어 행거(109)에 현수된 도어이고, 110a(도2, 도7, 도9, 도10 및 도12에 도시)는 레일(104)의 홈(104a)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슈로, 도어(110)의 바닥부에 브래킷(110b)(도12에 도시)을 거쳐서 부착되어 있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부호 111은 예를 들어 선단부를 향해 확대 개방되는 좌우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한 난연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연기 차단 부재로, 플랫폼 도어(110)의 바닥부에 브래킷(110c)을 거쳐서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부착되어 있고, 가이드 슈(110a)의 부착 부분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랫폼 도어(110)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지와 같이 추에 의한 도어 폐쇄력이 항시 부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10 및 도13에 도시한 부호 112 및 112'는 플랫폼 도어(110)의 측부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의 작용도 갖는 도어 맞댐 고무로, 하방에서는 레일(104)의 홈(104a)으로 인입될 때까지, 즉 연기 차단 부재(111)의 단부를 덮는 위치까지 수직 현수되어 있다. 즉, 이 도어 맞댐 고무(112, 112')와 연기 차단 부재(111)는 예를 들어 동일 수직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접촉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 맞댐 고무(112)와 도어 맞댐 고무(112')는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서로가 확실히 밀착되도록, 예를 들어 한 쪽에 오목부, 다른 쪽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간극없이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연기 차단 부재(111)는, 도어의 개폐시에는 좌우 한 쌍의 돌기의 선단부가 레일 홈(104a)의 측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휠 수 있으므로, 통상의 개폐시에는 연기 차단 부재(111)의 선단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화재시에는 화재실측의 공기가 열팽창되어 고압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가 도어의 하부를 통과하여 도피하고자 하지만,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11) 내로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에 비화재실측의 연기 차단 부재의 돌기가 레일 홈(104a)의 측벽으로 압박되므로, 연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충분한 기밀성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여기서, 플랫폼 도어(110)의 폐쇄시에는 도어 폐쇄력에 의해 도어 맞댐 고무(112, 112')와 연기 차단 부재(111)가 적절하게 접촉됨으로써 전술한 작용 효과도 더해져, 하방의 간극을 폐색할 수 있다. 이 연기 차단 부재(111)의 형상에 대해서는, 좌우 한 쌍의 돌기의 선단부가 약간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져도 좋다. 또한, 좌우의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이 플랫폼 도어(110)에 설치된 전술한 연기 차단 부재(111)끼리를 적절하게 접촉시킴으로써, 이 도어 맞댐 고무(112, 112')의 수직 현수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14에 도시한 부호 113 및 113'는 플랫폼 도어(110)의 상단부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로, 도어 맞댐 고무(112, 112')와 마찬가지로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도어 폐쇄력에 의해 서로가 확실히 밀착되도록 한 쪽에 오목부, 다른 쪽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간극없이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맞댐 고무(112, 112')와 도어 맞댐 고무(112, 112')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연기 차단 부재(113)에 의해, 플랫폼 도어(110)의 폐쇄시에는 확실하게 상방의 간극이 없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 폐쇄력에 의해 단순히 플랫폼 도어(110) 상호간의 간극뿐만 아니라, 상부와 하부에 있어서의 간극에 대해서도 적절히 폐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극없이 접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단순히 오목부와 볼록부와의 끼워 맞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8 및 도15에 도시한 부호 120은 플랫폼 도어(110)의 상단부에 경사져 설치된 U홈 브래킷(114) 중에 제거 가능하게 끼움 삽입된, 예를 들어 속이 빈 연기 차단 부재로, 종프레임(102)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부호 121은 상부 프레임(10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 맞댐판으로, 플랫폼 도어(110)의 폐쇄시에는 연기 차단 부재(120)와 접촉하여 간극을 폐색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맞댐판(121)도 종프레임(2)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높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우의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되었을 때에, 이 대향하는 플랫폼 도어(110)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120)끼리를 접촉시키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연기 차단 부재(113, 113')를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16의 (a)는 플랫폼 도어(110)와 종프레임(102)과 상부 프레임(103)과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 확대도이고, 도16의 (b)는 도16의 (a)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면 중, 부호 115는 플랫폼 도어(110)의 측면에 설치된 L자형 브래킷으로, 이 브래킷(115)에는 연기 차단 부재(130)를 갖는 브래킷(131)[브래킷(131)에 설치된 U홈 브래킷(132) 중에 제거 가능하게 연기 차단 부재(130)가 끼움 삽입되어 있음]이 플랫폼 도어(110)의 폭 방향으로 긴 구멍(115a)을 통해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고, 연기 차단 부재(120)와 연기 차단 부재(130)가 항상 접촉하도록 부착된다. 즉, 연기 차단 부재(120)와 연기 차단 부재(130)는 동일 수직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호 122는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종프레임(2)에 설치된 브래킷이고, 상부 프레임(103)이 종프레임(102)의 상측을 덮도록 종프레임(102) 상에 적재되므로, 브래킷(122)은 상부 프레임(103)의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140은 이 연기 차단 부재(130)의 상방을 덮는 커버이다.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될 때에는, 브래킷(122)의 한 쪽면에 연기 차단 부재(130)가 압접됨으로써 플랫폼 도어(110)와 종프레임(102)과 상부 프레임(103)과의 간극이 연기 차단 부재(120)와 연기 차단 부재(130)에 의해 적절하게 폐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L자형 브래킷(115'), 브래킷(131') 및 연기 차단 부재(130)는 종프레임(102)의 높이까지밖에 없고, 이로 인해 부착면에 고무가 첨부된 L자형 브래킷(133)[예를 들어, 연기 차단 부재(120)와 연기 차단 부재(130)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에 의해, 상부 프레임(103)의 측면과 종프레임(102)의 상면을 동시에 덮어 간극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좌우의 플랫폼 도어(110)가 폐쇄된 경우에는 종프레임(102)과 플랫폼 도어(110)와의 간극은 연기 차단 부재(130)에 의해 폐색되고, 상부 프레임(103)과 플랫폼 도어(110)와의 간극은 연기 차단 부재(120)에 의해, 또한 플랫폼 도어(110)끼리의 간극에 대해서는 도어 맞댐 고무(112, 112')에 의해, 플랫폼 도어(110)와 레일(104)과의 간극은 연기 차단 부재(111)에 의해, 또한 플랫폼 도어(110)끼리와 레일(104)과의 간극에 대해서는 연기 차단 부재(111) 및 도어 맞댐 고무(112, 112')에 의해, 플랫폼 도어(110)끼리와 상부 프레임(103)과의 간극에 대해서는 도어 맞댐 고무(112, 112') 및 연기 차단 부재(113, 113') 혹은 연기 차단 부재(120)끼리에 의해 폐색되어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 내로의 연기의 유입이나 승강로 내로부터 플랫폼측으로 연기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연기 차단 부재(120, 130) 및 연기 차단 부재(111)에 대해서는, 각각의 역할·기능·성질 등에 따라서 재질이나 형상을 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즉, 연기 차단 부재(130)의 경우는 표면이 단순히 압박될뿐인 부재이므로 연기 차단 성능을 충족시키면 될뿐이고, 마찰이 수반된 움직임에 대해 고려할 필요는 없다. 한편, 연기 차단 부재(111)의 경우는 도어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항상 레일(104)에 대해 상대 연동을 일으키므로, 연기 차단 부재 성능뿐만 아니라 마찰에 대한 고려(진동이나 소음 대책 등)도 필요하고, 원활한 미끄럼 이동 동작도 행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연기 차단 부재(120)의 경우는 도어의 폐쇄시에 있어서 맞댐판(121)과의 상대 운동에 의한 마찰도 받으므로, 연기 차단 부재(111) 정도가 아니라고 해도 원활한 미끄럼 이동 동작도 행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즉, 연기 차단 성능과 미끄럼 이동 성능의 양방의 성질을 모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시에는 특히, 기온이나 기압이 변동되므로 이 기온 및 기압차의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부재, 예를 들어 연기 차단 부재(120, 130)의 경우는 속이 빈 부분이 다소 팽창되거나, 연기 차단 부재(111)의 경우는 연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한 쌍의 돌기가 변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기압차에 따라서 연기 차단 부재의 형상이 변화되는 경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연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부재(U홈 브래킷 등)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기 차단 성능에 관한 규정상은 도어의 양측의 압력차가 19.6 ㎩일 때의 연기 누설량이 O.2 ㎥/min × ㎡ 이하이면 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완전한 연기 차단 성능까지는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부재끼리가 완전 밀착일 필요는 없다.
여기서 도17은, 연기 차단 부재(120')로서 연기 차단 부재(111)와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가능한 한 부품을 공용하도록 고안하면, 부품 개수를 그 만큼 적게 억제할 수 있어 적합하다. 그러나, 그 부재에 요구되는 성질·역할·기능에 따라서, 적절하게 재질이나 형상을 선택하여 정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20 및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03)과 도어(110)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있고, 상기 간극으로부터 헤더 내로 연기가 침입되었다고 해도 도16 및 도19에 도시한 브래킷(122, 133)에 의해 도22에 해칭으로 도시한 연기의 통로가 폐색되어 있으므로, 연기가 좌우로 빠져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양 도어(110, 110)의 상호간에도 간극(G)(약 2 ㎜)이 존재하지만, 상기 간극은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기 차단 부재(113, 113')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므로, 연기가 상방으로 빠져 나가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의 도어의 개폐시에 진동이나 소음 등의 장해가 발생될 우려는 매우 적고, 도어가 폐쇄되면 플랫폼 도어와 출입구 프레임 및 레일과의 간극을 그 장소의 상황에 따라서 확실하게 폐색하므로, 언제 어떠한 때에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적절하게 연기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이 연기 침입 차단 및 방지를 위한 특별한 구동 기구나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미 설명한 엘리베이터에 추가 채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4는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플랫폼 도어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25는 도24의 A-A선을 따라 본 확대도, 도26은 도24의 B-B선을 따라 본 확대도, 도27은 도24의 C-C선을 따라 본 도면, 도28은 도27의 Z부 확대도, 도29는 도27의 D-D선을 따라 본 도면, 도30은 도24의 E-E선을 따라 본 도면, 도31은 도27의 F-F선 부분을 따라 본 도면, 도32는 고속 도어(311)와 상부 프레임(301)과 종프레임(302)과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33은 도32의 평면도, 도34는 저속 도어(312)의 고속 도어(311)측 상부와 상부 프레임(301)과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35는 저속 도어(312)와 상부 프레임(301)과 종프레임(302)과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24에 도시한 부호 311 및 312는 도어 행거(307, 308)에 각각 현수된 편측 개방식의 플랫폼 도어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고속 도어(311)와 저속으로 이동하는 저속 도어(312)이며, 각각의 가이드 슈(311a, 312a)가 도26의 레일(305)의 홈(305a, 305b)으로 각각 안내된다. 이 플랫폼 도어(311, 31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지와 같이 추 또는 스프링에 의한 도어 폐쇄력이 항상 부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312) 쪽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반도어(311)측 단부의 굽힘 가공을 얕게 구성하고 있다.
도27 및 도32에 도시한 부호 313은 도어(311)의 반도어(312)측에 설치된 도어 맞댐 고무, 부호 314는 이 도어 맞댐 고무(313)에 대향하도록 종프레임(302)에 설치된 도어 맞댐 고무로, 이 도어 맞댐 고무(313, 314)끼리 서로가 확실히 밀착되도록 한 쪽에 오목부, 다른 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연기 차단 부재의 작용을 갖는 바와 같이 간극없이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극없이 접촉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단순히 오목부와 볼록부의 끼워 맞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으며, 당연히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부호 315는 고속 도어(311)의 저속 도어(312)측 외면에 브래킷(315a)을 거쳐서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로, 플랫폼 도어 폐쇄시에 도어(312)에 접촉하여 간극(301s)을 봉쇄하는 것이다. 그리고, 플랫폼 도어 개방시에는 이 연기 차단 부재(315)는 도어(312)에 접촉하지 않도록 도어(312)의 반도어(311)측 단부의 굽힘 가공이 얕게[한 쪽 치수(l1)에 대해, 치수(l2)는 l 1 > l2]되어 있다. 즉, 도어(312)의 좌우 측부의 두께에 있어서, 반도어(311)측이 얇게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부호 341은 도어(312)의 반도어(311)측 외면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로, 플랫폼 도어 폐쇄시에는 종프레임(302)에 접촉하여 간극(302s)을 봉쇄하는 것이다.
다음에, 도26에 도시한 부호 317 및 318은 예를 들어 선단부를 향해 확대 개방하는 좌우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한 난연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연기 차단 부재로, 도어(311, 312)의 하단부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도24에 도시한 가이드 슈(311a, 312a)의 부착 부분 이외의 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이 연기 차단 부재(317, 318)는 도어의 개폐시에는 좌우 한 쌍의 돌기의 선단부가 레일 홈(305a, 305b)의 측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휠 수 있으므로, 통상의 개폐시에는 연기 차단 부재(317, 318)의 선단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화재시에는 화재실측의 공기가 열팽창하여 고압의 연기를 포함한 공기가 도어의 하부를 통해 도피하고자 하지만,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연기 차단 부재(317, 318) 내로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에, 비화재실측의 연기 차단 부재 중 어느 한 쪽의 돌기가 레일 홈(305a, 305b)의 측벽으로 압박되므로, 연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충분한 기밀성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 연기 차단 부재(317, 318)의 형상에 대해서는, 좌우 한 쌍의 돌기의 선단부가 약간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도25에 도시한 부호 321 및 322는 도어(311, 312)의 상방에 각각 경사져 설치된 도24의 U홈 브래킷(323, 324) 중에 제거 가능하게 끼움 삽입된, 예를 들어 속이 빈 연기 차단 부재로, 도어의 폐쇄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U홈 브래킷(323) 및 연기 차단 부재(321)는 도어(312)의 절결부(312b) 내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 325 및 326은 상부 프레임(301)에 대해 상하 방향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 맞댐판으로, 도어(311, 312)의 폐쇄시에는 연기 차단 부재(321, 322)와 접촉하여 간극(303s, 304s)을 폐색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맞댐판(325, 326)도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32에 도시한 부호 327은 맞댐판(325)의 단부를 폐색하는 평판, 328은 이 평판(327)에 접하도록 설치된 베이스로, 베이스(328) 상에는 도어 맞댐 고무(329)가 부착되어 있다. 도어(311)가 폐쇄될 때에는, 도어 맞댐 고무(313, 314)끼리 밀착되지만,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11)와 종프레임(302)과의 사이에는 상방을 향해 간극(303s)이 존재하고 있고, 이 고무(329)가 이 간극(303s)을 덮음으로써 간극(303s)을 적절하게 폐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고무(329)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어 맞댐 고무(313, 314)와 동일 부재를 사용한 예를 서술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판이라도 물론 상관없다.
다음에, 도27, 도31 및 도34에 도시한 부호 330은 도어(312)의 폐쇄시에는 연기 차단 부재(322), 맞댐판(326) 및 U홈 브래킷(324)의 단부를 막는 평판으로, L자형 브래킷(331)을 거쳐서 상부 프레임(301)에 설치되어 있다. 도27, 도28, 도29 및 도30에 도시한 부호 332는 도어(311) 하단부 측부 외면에 있어서의 브래킷(315a)의 절결부에 부착된 탄성체를 구비하는 평판으로, 도어(311)의 폐쇄시에는 전술한 연기 차단 부재(315) 하방의 간극(305s)을 폐색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또한, 평판(332)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의 탄성체를 구비하는 평판(333)도 마찬가지로 도어(312) 하단부 측부 외면에 있어서의 브래킷(340)(후술)의 절결부에 설치되고, 도어(312)의 폐쇄시에는 후술하는 연기 차단 부재(341)에 있어서의 하방의 간극(306s)을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평판(332, 333)의 형상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그 장소의 상황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부착 부위에 대해서도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35에 도시한 부호 340은 도어(312)의 측부 외면에 설치된 L자형 브래킷으로, 이 브래킷(340)에는 연기 차단 부재(341)를 갖는 브래킷(342)[브래킷(342)에 설치된 U홈 브래킷(343) 중에 제거 가능하게 연기 차단 부재(341)가 끼움 삽입되어 있음]이 도어(312)의 폭 방향으로 긴 구멍(340a)을 통해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연기 차단 부재(322)와 연기 차단 부재(341)가 항상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즉, 연기 차단 부재(322)와 연기 차단 부재(341)는 동일 수직 평면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 344는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종프레임(302)에 설치된 브래킷으로, 상부 프레임(301)이 종프레임(302)의 상방을 피복하도록 종프레임(302) 상에 적재되므로, 브래킷(344)은 상부 프레임(301)의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부호 350은 이 연기 차단 부재(341)의 상방을 덮는 커버이다. 도어(312)가 폐쇄될 때에는, 브래킷(344)의 한 쪽면에 연기 차단 부재(341)가 압접됨으로써, 도어(312)와 종프레임(302)과 상부 프레임(301)의 간극(307s)이 연기 차단 부재(322)와 연기 차단 부재(341)에 의해 적절하게 폐색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랫폼 도어(311, 312)가 폐쇄된 경우에는 종프레임(302)과 도어(311)와의 간극은 도어 맞댐 고무(313)와 도어 맞댐 고무(314)와 도어 맞댐 고무(329)에 의해, 도어(312)와 종프레임(302)과의 간극은 브래킷(344)과 연기 차단 부재(341)에 의해, 도어(311)와 도어(312)와의 간극은 평판(332)과 연기 차단 부재(315)에 의해, 상부 프레임(301)과 도어(311)와의 간극은 연기 차단 부재(322)와 맞댐판(325) 및 도어 맞댐 고무(329)에 의해, 도어(312)와 상부 프레임(301)과의 간극은 평판(330)과 연기 차단 부재(322)와 맞댐판(326)에 의해, 도어(311) 혹은 도어(312)와 레일(305)과의 간극은 연기 차단 부재(317, 318) 및 평판(332, 333)에 의해 폐색되어,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 내로의 연기의 유입이나 승강로 내로부터 플랫폼측으로의 연기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부재가 대향하고 있는 화살표 부위에 있어서의 간극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폐색할 수 있으므로, 연기 차단 부재 효과는 완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연기 차단 부재(317, 318) 및 연기 차단 부재(321, 322) 혹은 연기 차단 부재(315, 341)에 대해서는, 각각의 역할·기능·성질 등에 따라서 재질이나 형상을 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즉, 연기 차단 부재(315, 341)의 경우는 표면이 단순히 가압될뿐인 부재이므로 연기 차단 성능을 충족시키면 될뿐이며, 마찰이 수반된 움직임에 대해 특별히 고려할 필요는 없다. 한편, 연기 차단 부재(317, 318)의 경우는 도어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항상 레일(305)에 대해 상대 운동을 일으키므로, 연기 차단 성능 뿐만 아니라 마찰에 대한 고려(진동이나 소음 대책 등)도 필요하고, 원활한 미끄럼 이동 동작도 행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연기 차단 부재(321, 322)의 경우는 도어의 폐쇄시에 있어서 맞댐판(325, 326)과의 상대 운동에 의한 마찰도 받으므로, 연기 차단 부재(317, 318) 정도가 아니라고 해도 원활한 미끄럼 이동 동작도 행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즉, 연기 차단 성능과 미끄럼 이동 성능의 양방의 성질을 모두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폐쇄 종단부에서 맞댐판(325, 326)에 가압된 상태에서 도어(311, 312)가 폐쇄되기 때문에 마찰을 수반하는 동작이 되므로, 이 연기 차단 부재(321, 322)에는 저마찰 계수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특수 가공을 실시하도록 하고, 맞댐판(325, 326)측에는 미끄럼 이동 특성이 우수한 테이프 등을 접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화재시에는 특히, 기온이나 기압이 변동되므로, 이 기온 및 기압차의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부재, 예를 들어 연기 차단 부재(321, 322, 341)의 경우는 속이 빈 부분이 다소 팽창되거나, 연기 차단 부재(317, 318)의 경우는 연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서 좌우 한 쌍의 돌기가 변형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기압차에 따라서 연기 차단 부재의 형상이 변화하는 경우 이외에도, 예를 들어 연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부재(U홈 브래킷 등)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기 차단 성능에 관한 규정상은 도어 양측의 압력차가 19.6 ㎩일 때의 연기 누설량이 0.2 ㎥/min × ㎡ 이하이면 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완전한 연기 차단 성능까지는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부재끼리가 완전 밀착일 필요는 없다.
여기서 도37은, 연기 차단 부재(321', 322')로서 연기 차단 부재(317, 318)와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가능한 한 부품을 공용하도록 고안하면, 부품 개수를 그 만큼 적게 억제할 수 있어 적합하다. 그러나, 그 부재에 요구되는 성질·역할·기능에 따라서 적절하게 재질이나 형상을 선택하여 정하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통상의 도어의 개폐시에 진동이나 소음 등의 장해가 발생할 우려는 매우 적고, 도어가 폐쇄되면 각 도어와 출입구 프레임 및 레일과의 간극 및 도어 상호의 간극을 그 장소의 상황에 따라서 확실하게 폐색하므로, 언제 어떠한 때에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적절하게 연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기 침입 차단·방지 성능을 위한 특별한 구동 기구나 장치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이미 설명한 엘리베이터에 추가 채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제3 실시예
도38은 본 발명에 관한 자물쇠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도, 도39는 도38의 B-B선을 따라 본 도면, 도40은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 중, 부호 201은 플랫폼 도어로, 내부에는 속이 빈 부재(211)가 너트(21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부호 220은 상기 플랫폼 도어(201)의 내부에 자물쇠 구멍(202)에 면하도록 설치된, 예를 들어 힌지 구조로 지지된 밸브로, 패킹(220a)에 의해 속이 빈 부재(211)의 개구부(211a)를 폐색함으로써 연기 차단 부재 성능을 만족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상시에는 토션(220b)에 의해 개구부(211a)를 폐쇄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속이 빈 부재는, 플랫폼 도어(2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단순한 철사로는 조작하기 어렵게 하는 장난 의 대책을 위한 것이다.
부호 230은 자물쇠 금속 부재(240)를 조작하는 레버로, 일단부는 자물쇠 부재(24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예를 들어 속이 빈 부재(211)의 하방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부호 250은 본 발명에 관한 해정(解錠) 키로, 예를 들어 L자 형상을 하고 있고, 선단부는 소정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해정 키의 선단부가 L자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장치의 해정 동작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해정 키(250)의 한 쪽 부재를 상방을 향하게 하고 선단부를 열쇠 구멍(202)에 삽입하여, 안쪽까지 파고들도록 넣는다. 그러면, 선단부가 속이 빈 부재(211)를 관통하여 패킹(220a)을 후방으로 누름으로써, 이 패킹(220a)은 토션 스프링(220b)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4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해정 키(250)의 선단부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꺾여 수직 현수되는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그 다음은, 도38 및 도40의 (b)에 있어서 이 해정 키(250)의 상방을 향하게 한 부재를 전방으로 돌리면, 선단부(250a)가 레버(230)에 접촉하여 도38의 안쪽으로 누르는, 즉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3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자물쇠 부재(24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로크를 해제하게 된다. 그로 인해, 열쇠 구멍(202)을 개방하는 동작과, 로크를 해제하는 동작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행해지므로, 매우 원활하게 플랫폼 도어의 개폐를 행할 수 있어, 구출·보수 작업 등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속이 빈 부재(211)의 존재 및 레버(230)와의 배치 관계에 의해 단순히 철사를 구부린 부재로서는 조작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장난에 의한 플랫폼 도어(210)의 개방 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지만, 단순히 플랫폼 도어의 열쇠 구멍(2)을 밸브(220)에 의해 직접 폐색하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여기서 해정 키(250)의 선단부의 절곡 구조에 대해서는, 자중으로 굽히는 것 이외에도 절곡의 방향이 밸브(210)의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해도 좋고, 한 쪽 레버(230)의 타단부의 배치에 대해서는 하방 뿐만 아니라, 밸브(210)의 개방측 부근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 밸브에 의해 연기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연기 차단 성능을 매우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도어의 로크를 해제하는 작업에 대해서도 아무런 지장 없이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의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10)의 하단부 및 배면 상부에 각각 연기 차단 부재(95, 96)가 부착되어 있다. 상방의 연기 차단 부재(96)는, 도어(9)가 완전 폐쇄 위치의 근방으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48과 같이 상부 프레임(91)에 돌출 설치된 맞댐판(94)에 미끄럼 접촉하여 화재 발생시의 연기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하방의 연기 차단 부재(95)는 도50과 같이 레일(93)의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어, 화재 발생시의 연기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방의 연기 차단 부재(96)는 합성 수지제이며, 맞댐판(94)과의 미끄럼 접촉 부분이 도49와 같이 단면 환형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폴리머 등의 표면 활성 개질 처리제에 의한 코팅(96a)이 실시되고, 이에 의해 맞댐판(94)과의 마찰에 의한 연기 차단 부재(96)의 마모나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하방의 연기 차단 부재(95)는 합성 수지제이며, 레일(93)과의 미끄럼 접촉 부분이 도51과 같이 하방을 향해 확대 개방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는 예를 들어 우레탄 폴리머 등의 표면 활성 개선 처리제에 의한 코팅(95a)이 실시되고, 이에 의해 레일(93)과의 마찰에 의한 연기 차단 부재(95)의 마모나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이 연기 차단 부재(96, 95)의 표면 가공에 대해서는 미끄러지기 쉽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면 좋고, 이 밖에도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연기 차단 부재(96, 95)의 양 부재에 표면 가공을 실시하고 있지만, 어느 한 쪽의 부재에만 표면 가공을 실시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개구부의 상방 위치에는, 도41에 도시한 헤더(3)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헤더(3)에는 레일(4)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4)에는 한 쌍의 행거(109, 109)가 레일(4)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더(3)에는 그 양단부에 한 쌍의 풀리(6, 7)가 배치되고, 양 풀리(6, 7)에는 와이어(5)가 권취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는 한 쪽 행거(109)에 연결되어 있다. 양 풀리(6, 7) 사이에 걸쳐진 와이어(5)의 중간 위치에는 그립(8)이 고정되고, 상기 그립(8)은 다른 쪽 행거(109)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 행거(109, 109)는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양 풀리(6, 7)는 도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자세로 지지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공간의 유효 이용이 도모되고 있다.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쪽 행거(109)에는 도어를 완전 폐쇄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장치(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행거(109)와 헤더(3) 사이에는 스프링(11)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11)에 의해 한 쌍의 행거(109, 109)가 항상 도어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쪽의 행거(109)에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가 연계되어 있다. 상기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에 있어서는, 헤더(3)에 캠(21)이 고정되어 있다. 행거(109)에는 브래킷(24)을 거쳐서 레버(23)의 중간부가 피봇 지지되고, 상기 레버(23)의 베이스 단부에는 스프링(25)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25)에 의해 레버(23)가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레버(23)의 선단부에는 롤러(22)가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상기 롤러(22)는 스프링(25)에 의한 가압력을 받고 캠(21)에 압접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행거(109, 109) 중 한 쪽 행거(109)에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행거(109)에 로크 장치(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령 와이어(5)가 화재 등에 의해 절단된 경우라도 한 쪽 행거(109)에 지지되어 있는 도어는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의 동작에 의해 폐쇄 위치로 보유 지지되는 동시에, 다른 쪽 행거(109)에 지지되어 있는 도어는 로크 장치(10)의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는 개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도어는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므로 안전하다.
또한,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에는 도어 폐쇄력 증강의 크기, 혹은 증강을 개시하는 도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롤러(22) 및 레버(23)로 이루어지는 롤러 지지 기구의 위치를 상하 혹은 수평으로 옮기는 조정 기구나, 스프링(25)의 초기 변형량을 조절하는 조정 기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현장에서 쉽게 도어 폐쇄력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41에 있어서, 이점 쇄선은 도어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행거(109, 109) 및 롤러(22)의 위치를 나타내고, 실선은 도어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의 행거(109, 109) 및 롤러(22)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어 완전 개방 상태로부터 도어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롤러(22)는 우선 캠(21)의 수평 캠면에 의해 안내된다. 여기서, 롤러(22)에는 스프링(25)에 의해 수평 캠면에 대해 수직 방향의 반력이 작용하고 수평 방향의 분력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도어는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스프링(11)의 압박을 받아 폐쇄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 후, 도어 완전 폐쇄 상태의 직전까지 이행하면, 롤러(22)가 캠(21)의 경사 캠면에 압접되게 되어, 상기 롤러(22)에는 경사 캠면에 대해 수직 방향의 반력이 작용한다. 상기 반력은 수평 방향의 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수평 방향의 분력에 의해 행거(109)가 폐쇄 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도어에는 스프링(11)의 압박에 의한 도어 폐쇄력과 상기 수평 방향의 분력에 의한 도어 폐쇄력이 동시에 가해져, 도어 폐쇄력이 증강되게 된다.
상기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의 근방으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특히 도어 완전 폐쇄 상태의 직전으로부터 상방의 연기 차단 부재(96)가 맞댐판(94)과의 미끄럼 접촉을 개시하여 도어의 이동에 저항력을 미치지만,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에 의해 도어 폐쇄력이 저항력을 상회하는 크기로 증강되기 때문에, 도어는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도어 밖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가 바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경우나, 그 밖의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에 근접하였을 때에 큰 저항력이 작용하였다고 해도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에 의한 도어 폐쇄력의 증강에 의해, 도어는 완전하게 폐쇄되게 된다.
도43 및 도44는 도어가 편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2매의 도어에 의해 구성되는 편측 개방식인 경우의 도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비교적 공간에 여유가 있으므로,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20')의 일부가 로크 장치(10)를 구비하여 고속측의 도어를 현수하고 있는 행거(109')에 배치되어 있다. 즉, 캠(21)'은 헤더(3)에 설치되는 한편, 롤러(22')는 레버(23')와 브래킷(24')을 거쳐서 행거(109')에 부착되어 있고, 레버(23')의 타단부는 스프링(25)에 의해 압박되어 있다.
상기 도어 장치에 있어서도 전술한 도어 장치와 마찬가지로, 도어 완전 폐쇄 상태의 직전으로부터 도어 완전 폐쇄 상태까지 이행하는 과정에서 롤러(22')가 캠(21')의 경사 캠면에 압접되어, 상기 롤러(22')가 받는 수평 방향의 분력에 의해 도어 폐쇄력이 증강된다.
또한, 도45 및 도46은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에 있어서의 롤러 지지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45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롤러(32)를 압박하는 부재로서 토션 스프링(31)이 채용되어 있고, 일단부에 롤러(32)를 구비한 T자형 레버(33)가 토션 스프링(3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상기 롤러(32)를 캠(21, 21')에 압접하는 구성으로서 공간 절약이 도모되고 있다.
한편, 도46에 도시한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레버를 생략하여 코일형의 스프링(41)에 의해 롤러(32)를 수직 상방으로 압박하고 있고, 이에 의해 스프링 정수가 작은 스프링(41)의 채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어 장치에 따르면 종래 장치에 대한 간이한 구성의 추가에 의해, 연기 차단 부재 기구의 장비나 주위의 환경 조건 등에 상관없이 항상 도어를 확실하게 완전 폐쇄 위치까지 폐쇄할 수 있다.

Claims (46)

  1.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출입구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종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레일로 안내되어서 상기 출입구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플랫폼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 혹은 상기 플랫폼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는 연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연기 차단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바닥부의 연기 차단 부재와 하방에 있어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와 상방에 있어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연기 차단 부재와 상기 바닥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동일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양 연기 차단 부재는 각각의 단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연기 차단 부재와 상기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동일 수직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양 연기 차단 부재는 각각의 단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도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주위의 기온 혹은 기압차에 의해 변형되는 부재인 도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기압차에 의해 이동하는 부재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는 도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속이 빈 부재인 도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상기 플랫폼 도어에 설치된 브래킷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부재인 도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혹은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선단부를 향해 확대 개방되는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도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가이드 슈 부착 부분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측부로 치우친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도어는 중앙 개방 도어이며, 대향하는 플랫폼 도어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연기 차단 부재끼리가 간극없이 접촉할 수 있는 구성인 도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대향하는 연기 차단 부재는 한 쪽에는 오목부, 다른 쪽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인 도어 장치.
  18.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출입구에 설치된 상부 프레임 및 종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출입구 프레임과, 상기 출입구 프레임에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레일로 안내되어서 상기 출입구 프레임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고속 도어와 저속 도어로 이루어지는 플랫폼 도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고속 도어 및 저속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 혹은 상기 고속 도어 및 저속 도어의 상부와 측부와 바닥부에 대향하는 대향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는 연기의 침입을 저지하는 연기 차단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도어는 좌우 측부의 두께에 있어서 반고속 도어측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있는 도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도어의 상부에는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에는 상기 고속 도어용 연기 차단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와 접촉하는 평판을 고속 도어 혹은 저속 도어 혹은 상부 프레임에 설치하고 있는 도어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의 연기 차단 부재와 상기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동일 수직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주위의 기온 혹은 기압차에 의해 변형되는 부재인 도어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기압차에 의해 이동하는 부재를 거쳐서 부착되어 있는 도어 장치.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속이 빈 부재인 도어 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는 상기 플랫폼 도어에 설치된 브래킷의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부재인 도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혹은 상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선단부를 향해 확대 개방되는 좌우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도어 장치.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연기 차단 부재는 가이드 슈 부착 부분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30. 플랫폼 도어에 마련된 구멍을 거쳐서 레버 조작에 의해 로크가 해제되는 자물쇠 부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플랫폼 도어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후방에는 상기 구멍을 개폐하는 패킹을 갖는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플랫폼 도어의 자물쇠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후방에는 속이 빈 부재를 갖고, 상기 속이 빈 부재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힌지 구조로 지지되고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자물쇠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구조에는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 자물쇠 장치.
  34. 제3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는 해정 키에 의해 행해지는 자물쇠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키는 선단부가 자중에 의해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물쇠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부를 상기 밸브의 개방측 부근에 배치하고, 해정 키는 선단부가 소정 방향으로 절곡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선단부가 상기 레버의 일단부와 결합 및 이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자물쇠 장치.
  37.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정 키는 L자형을 이루고 있는 자물쇠 장치.
  38. 엘리베이터의 플랫폼으로부터 승강로를 통과하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의 근방까지 폐쇄되었을 때에 도어를 완전 폐쇄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가 연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상방에 부착된 헤더에는 레일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는 행거가 레일에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행거에 상기 도어가 현수되는 동시에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의 전영역에 걸쳐 압박 장치에 의해 도어가 폐쇄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도어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장치는 헤더에 설치된 스프링인 도어 장치.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는 헤더에 설치된 캠과, 행거에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를 캠에 압박하는 압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캠은 수평으로 신장되는 수평 캠면과, 상기 수평 캠면에 연속하여 비스듬히 신장하는 경사 캠면을 구비하고,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의 근방으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가 상기 캠의 경사 캠면에 압접되어 도어를 완전 폐쇄 위치를 향해 압박하는 힘이 발생되는 도어 장치.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개방하는 복수매의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도어 장치.
  43.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개구부를 편측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개방하는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도어 장치.
  44. 제38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2매의 도어 중 한 쪽 도어에 상기 도어를 완전 폐쇄 위치에서 로크하는 로크 장치가 연계되는 동시에, 다른 쪽 도어에 상기 도어 폐쇄력 증강 장치가 연계되어 있는 도어 장치.
  45. 제38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개구부를 포위하는 개구 주연부와의 사이에는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도어와 개구 주연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는 연기 차단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도어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차단 부재 기구는 도어에 부착된 연기 차단 부재와 상기 개구 주연부에 부착되어 연기 차단 부재가 미끄럼 접촉해야 할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연기 차단 부재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표면에 표면 활성 개질 처리제에 의한 코팅을 실시하여 구성되어 있는 도어 장치.
KR1020047018032A 2002-05-10 2003-05-12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플랫폼 도어의 자물쇠 장치 KR100962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6046 2002-05-10
JP2002136046 2002-05-10
JPJP-P-2002-00173302 2002-06-13
JP2002173302A JP4280032B2 (ja) 2002-05-10 2002-06-13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2002185695A JP2004026415A (ja) 2002-06-26 2002-06-26 エレベータ乗場扉の錠装置
JPJP-P-2002-00185695 2002-06-26
JP2002242798A JP4280041B2 (ja) 2002-08-23 2002-08-23 エレベータ扉装置
JPJP-P-2002-00242798 2002-08-23
JPJP-P-2003-00122557 2003-04-25
JP2003122557A JP4299573B2 (ja) 2003-04-25 2003-04-25 エレベータの扉装置
PCT/JP2003/005862 WO2003095351A1 (fr) 2002-05-10 2003-05-12 Dispositif de port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255A true KR20050023255A (ko) 2005-03-09
KR100962945B1 KR100962945B1 (ko) 2010-06-09

Family

ID=2942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032A KR100962945B1 (ko) 2002-05-10 2003-05-12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플랫폼 도어의 자물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10055B2 (ko)
JP (1) JP4299573B2 (ko)
KR (1) KR100962945B1 (ko)
CN (1) CN1665738B (ko)
AU (1) AU2003235930A1 (ko)
HK (1) HK1080441A1 (ko)
WO (1) WO2003095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8854B2 (en) * 2002-09-03 2010-09-07 Harold S. Friedman Elevator entrance door sill pivotable into and out of elevator shaft via hinge connected support and alignment brackets
JP4322579B2 (ja) * 2003-07-28 2009-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US20100083581A1 (en) * 2007-06-18 2010-04-08 Mattice Douglas A Environmental brush seal
US8653982B2 (en) 2009-07-21 2014-02-18 Openings Door monitoring system
CU24084B1 (es) * 2009-11-27 2015-03-30 Bayer Ip Gmbh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4,6-diamino-2-[1-(2-fluorobencil)-1h-pirazolo[3,4-b]piridin-3-il]pirimidin-5-il}metilcarbamato de metilo y su purificación para uso como principio activo farmacéutico
JP5953650B2 (ja) * 2011-03-10 2016-07-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戸閉力増強装置を備えた扉装置
JP5765164B2 (ja) * 2011-09-28 2015-08-1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装置
GB2506628B (en) * 2012-10-04 2015-03-11 Isolux Ssl Ltd Locking mechanism for a door of an elevator shaft
WO2014207896A1 (ja) * 2013-06-28 2014-12-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
JP6229943B2 (ja) * 2014-03-05 2017-11-1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6335134B2 (ja) * 2015-03-30 2018-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9516B2 (ja) * 2015-03-30 2018-06-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ES2628906T3 (es) * 2015-04-28 2017-08-04 Kone Corporation Hoja de puerta de acceso de piso a un ascensor
CN107473061B (zh) * 2016-06-08 2020-10-16 奥的斯电梯公司 升降电梯系统的维护安全装置及其操作方法
TWI600605B (zh) * 2016-12-22 2017-10-01 國揚電梯工業股份有限公司 具遮煙阻燃機構的同側位移電梯門結構
CN110697537A (zh) * 2018-07-09 2020-01-17 松山特殊电梯有限公司 紧急电梯
US10858220B2 (en) * 2019-02-26 2020-12-08 Td Ip Holdco, Llc Surface mounted door frame
DE102019211973A1 (de) * 2019-08-09 2021-02-11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die sich in horizontaler Richtung bewegt
WO2021199106A1 (ja) * 2020-03-30 2021-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システム
USD957923S1 (en) * 2020-04-20 2022-07-19 Daniel Lance Universal doo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6951A (en) * 1920-10-23 1922-02-14 Fehr Frank Elevator-hatchway seal
US3024504A (en) * 1959-10-02 1962-03-13 Wallace W Miller Sealing means for swinging doors and windows
US3504456A (en) * 1969-01-16 1970-04-07 Steelcraft Mfg Co Adjustable weather sealing rail for doors
JPS5123829B2 (ko) 1973-11-14 1976-07-20
JPS5415401Y2 (ko) * 1973-11-22 1979-06-21
US4058191A (en) * 1976-10-06 1977-11-1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including an elevator car having door operated sealing devices adjacent door opening
JPS5449066U (ko) * 1977-09-13 1979-04-05
JPS5449066A (en) 1977-09-27 1979-04-18 Nec Corp Semiconductor device
DE3590606C2 (de) * 1984-11-27 1995-04-06 Howa Kk Dichtungsvorrichtung für eine selbstschließende Schiebetür
JPS6247588A (ja) 1985-08-28 1987-03-02 財団法人 電力中央研究所 原子炉
JPS6247588U (ko) * 1985-09-11 1987-03-24
JPS63112389A (ja) 1986-10-30 1988-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防煙装置
JPH0626530Y2 (ja) * 1987-05-30 1994-07-2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乗降口用引き戸装置
ES2046616T3 (es) 1989-09-22 1994-02-01 Inventio Ag Aislamiento acustico de puertas de cabinas de ascensor.
JP2502180B2 (ja) 1990-10-01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乗場ドア装置
JP2674424B2 (ja) 1992-06-10 1997-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乗場遮煙ドア装置
JPH0626530A (ja) 1992-06-23 1994-02-01 Aisin Chem Co Ltd クラッチプレートの慣らし方法
JP3121683B2 (ja) 1992-06-30 2001-01-09 日本化薬株式会社 芳香性室内用ダニ忌避剤
JPH0616515U (ja) * 1992-07-31 1994-03-04 東芝モノフラック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ャフトの防火構造
JP2715828B2 (ja) 1992-08-28 1998-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出入口装置
JPH06234488A (ja) 1993-02-08 1994-08-23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H06345366A (ja) 1993-06-07 1994-12-2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階床ドア装置
JP2878934B2 (ja) 1993-07-16 1999-04-0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US5377784A (en) * 1993-09-08 1995-01-03 The Peelle Company Pass door fire lintel
JP3089141B2 (ja) 1993-09-08 2000-09-18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7206345A (ja) 1994-01-18 1995-08-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JPH08127485A (ja) 1994-11-01 1996-05-21 Otis Elevator Co 防音型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2842516B2 (ja) 1994-12-12 1999-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出入口遮煙装置
JPH08239185A (ja) 1995-03-02 1996-09-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
GB2298887B (en) * 1995-03-16 1998-12-23 Kleeneze Sealtech Ltd Protective measures for use with elevators
JPH08259153A (ja) 1995-03-24 1996-10-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閉止保持装置
AU702836B2 (en) * 1995-04-18 1999-03-04 Thomas H. Allen Hoistway door seal structure
US5936424A (en) * 1996-02-02 1999-08-10 Xilinx, Inc. High speed bus with tree structure for selecting bus driver
WO1998022381A1 (en) * 1996-11-18 1998-05-28 Allen Thomas H Elevator hoistway door seal structure and drainage system for a multiple level building
JP2004196451A (ja) * 2002-12-17 2004-07-1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323222A (ja) * 2003-04-28 2004-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05030629A1 (ja) * 2003-09-30 2005-04-07 Toshiba Elevator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防災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5147A1 (en) 2006-08-10
AU2003235930A8 (en) 2003-11-11
JP4299573B2 (ja) 2009-07-22
CN1665738A (zh) 2005-09-07
KR100962945B1 (ko) 2010-06-09
US7510055B2 (en) 2009-03-31
CN1665738B (zh) 2010-09-29
AU2003235930A1 (en) 2003-11-11
HK1080441A1 (en) 2006-04-28
WO2003095351A1 (fr) 2003-11-20
JP2004323204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945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플랫폼 도어의 자물쇠 장치
KR20130124367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장치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280032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H08165081A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遮煙装置
JP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625345B2 (ja) 吊り戸装置における密閉機構
JP2674424B2 (ja) エレベータ用乗場遮煙ドア装置
JP5692791B2 (ja)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
JP4514442B2 (ja) エレベータの防災装置
JP4280041B2 (ja) エレベータ扉装置
JPH0629847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2012162370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ドア装置
KR10075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JP2004155582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JP3789180B2 (ja) 可動式連絡通路
JPH08135313A (ja) 防火扉装置
JP4331061B2 (ja) 吊り戸装置
KR100890603B1 (ko) 도어 이탈방지용 측면브라켓이 장착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실구조
JPS62387Y2 (ko)
JP2009149450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密閉装置
JP2005263448A (ja)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装置
JPH0228218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ガイドシュー
JP2002054345A (ja) 吊り戸の走行装置
JP2004182401A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