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00Y1 - 자동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00Y1
KR200485900Y1 KR2020160003917U KR20160003917U KR200485900Y1 KR 200485900 Y1 KR200485900 Y1 KR 200485900Y1 KR 2020160003917 U KR2020160003917 U KR 2020160003917U KR 20160003917 U KR20160003917 U KR 20160003917U KR 200485900 Y1 KR200485900 Y1 KR 200485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ray
guide rail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69U (ko
Inventor
권혁두
노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2020160003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00Y1/ko
Priority to DE112017003401.9T priority patent/DE112017003401T5/de
Priority to US16/315,225 priority patent/US11279292B2/en
Priority to PCT/KR2017/007244 priority patent/WO2018009004A1/ko
Priority to CN201780042088.5A priority patent/CN109476251B/zh
Publication of KR20180000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 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가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도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작동시에도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접촉되어 마찰음이 발생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측이 개구된 수용부(110)를 갖는 트레이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210)가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커버(200)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돌기(210) 전후단부에 안착홈(211a)을 갖는 돌기부(2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11)에는 내측면이 안착홈(21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실리콘링(400)이 설치된 자동차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링(400)은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오링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410)와,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수직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42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레이{Automotive tray}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트레이 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가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작동시에도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접촉되어 마찰음이 발생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트레이는 물품을 수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게 되며, 커버가 하우징에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예가 대부분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트레이 중, 특히 도어의 내측 돌출부분에 설치된 3가지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의 차량용 트레이는 일본국실용신안 공개공보 평62-33335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암 레스트부(50)의 상면 모서리부에 형성된 상측이 개구되고 단면 대략 L형의 수용부(51)와, 수용부(51)에 대응하는 단면이 대략 역(逆)L형의 커버(5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52)는, 수용부(51)의 실내측 하측 가장자리부에 추축(53)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수용부(51)에 용기(K) 등을 출입시키는 경우에 추축(53)을 지점으로 하여, 수용부(51)를 덮은 폐쇄위치와, 실내측으로 회전되어서 사용상태가 되는 개방위치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의 (b) 및 (c)의 차량용 트레이는, 수용부(54,57)가 암 레스트부(50)의 상면에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K) 등이 상기 수용부(54,57)의 상측으로부터 오목형상 내로 들어온다는 점에서 공통되고 있다.
도 1의 (b)에서는, 커버(55)가 수용부(54)의 상측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추축(56)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이 추축(56)을 지점으로 하여, 수용부(54)의 상측 개구를 막은 폐쇄위치와, 외측으로 회전되는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도 1의 (c)에서는, 커버(58)가 수용부(54)의 상측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추축(59) 및 탄지 스프링(60)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이 추축(59)을 지점으로 하여, 수용부(57)의 상측 개구를 막은 폐쇄위치에서, 탄지 스프링(6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회전되어서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그리고, 수용부(51,54,57)는 용기 이외의 물품용 격납부로서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종래 차량용 트레이는 물품을 출입시키거나 용기(K)를 유지하는 점에서 모두 간이하고 간명하다.
도 1 (b) 및 (c)의 구조는 도 1 (a)에 비해서 커버(55, 58)가 실내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수하고, 도 1 (c)의 구조는 (b)와 같이 개방위치에 있는 커버(55)가 물품이나 용기(K)를 꺼낼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용 트레이는, 물품 수납성이나 용기 유지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용부 내의 깊이를 어느 정도 깊게 해야만 하므로, 수용부 내의 깊이가 증대하는 만큼, 예를 들어 물품의 출입성이 나빠지거나 커버의 개폐조작도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용부(51,54,57)의 설치개소가 도 1의 (c)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 돌출부분(61)의 기립벽(61a)인 경우에는, 물품이나 용기(K)를 수용부(57)에 출입할 때, 기립벽(61a)에 닿아서 더러워지거나, 실내측으로 크게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나 외관을 손상시키기 쉽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측이 개구된 수용부를 갖는 트레이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커버의 좌우 양측에 형성시켜, 상기 커버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커버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트레이는 트레이 본체의 개구부 좌우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덮개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삽입시, 작동갭이 형성되도록 삽입시켜야만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안내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차량을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커버에 유동이 발생하면서 래틀이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레일 사이의 작동갭이 줄어들도록 축소시켜 가이드돌기를 가이드레일에 삽입시키는 경우에는, 커버의 개폐시 작동 힘 값이 커져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레이 본체의 개구부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커버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레일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있는 커버가 차량을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개폐시 필요로 하는 작동 힘 값을 낮게 하여 감성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이 개구된 수용부(110)를 갖는 트레이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210)가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커버(200)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돌기(210) 전후단부에 안착홈(211a)을 갖는 돌기부(2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11)에는 내측면이 안착홈(21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실리콘링(400)이 설치된 자동차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링(400)은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오링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410)와,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수직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420)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가이드레일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실링콘링이 가이드돌기의 전후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레일에 인입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에 커버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레일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있는 커버가 차량을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마찰음과 같은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가이드레일에 커버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삽입시키는 경우에도, 커버의 슬라이드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의 (a)는 종래 자동차용 트레이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b)는 종래 자동차용 트레이의 일실시예를 보안 단면도
(c)는 종래 자동차용 트레이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와 트레이 본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가 트레이 본체의 수용부가 개방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실리콘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실리콘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의 수용부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실린콘링에 의한 지지를 받으며 인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와 트레이 본체의 결합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가 트레이 본체의 수용부가 개방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실리콘링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에 실리콘링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의 수용부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실린콘링에 의한 지지를 받으며 인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레이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수용부(110)를 갖는 트레이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210)가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있는 커버(20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돌기(210) 전후단부에는 안착홈(211a)을 갖는 돌기부(211)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11)에는 내측면이 안착홈(21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실리콘링(4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링(400)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오링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410)와,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수직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420)로 구성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트레이 본체(100)의 수용부(110)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300)에 커버(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10)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10)의 전후단부에 형성된 돌기부(211)에는 내측면이 안착홈(211a)에 안착되도록 고정되게 실리콘링(40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돌기(210)를 가이드레일(300)에 인입시 실리콘링(400)의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벽면에 접촉되어 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리콘링(400)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오링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410)와,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수직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420)로 구성된 상태에서 가이드돌기(210)의 전후단부에 형성된 돌기부(211)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이드돌기(210)를 가이드레일(300)에 삽입시키면 도 8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링(400)의 제1몸체(410) 외측면은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상하부면에 접촉되고,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420)의 외측면은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수직면에 접촉되도록 가이드돌기(210)가 가이드레일(300)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실리콘링(400)의해 탄지되면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커버(200)를 트레이 본체(1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게 되면, 차량을 운행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가이드레일(300)과 가이드돌기(210) 사이에 형성된 작동갭에 의해 커버(200)가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돌기(210)와 가이드레일(300)이 상호 접촉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어지게 된다.
100 : 트레이 본체
110 : 수용부
200 : 커버
210 : 가이드돌기
211 : 돌기부
211a: 안착홈
300 : 가이드레일
400 : 실리콘링
410 : 제1몸체
420 : 제2몸체

Claims (2)

  1. 상측이 개구된 수용부(110)를 갖는 트레이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슬라이드이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210)가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커버(200)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가이드돌기(210) 전후단부에 안착홈(211a)을 갖는 돌기부(2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11)에는 내측면이 안착홈(211a)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에 접촉되는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실리콘링(400)이 설치된 자동차용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링(400)은 외측면이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상하부면에 접촉되도록 오링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410)와,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내측 벽면 수직면에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레이.
  2. 삭제
KR2020160003917U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트레이 KR200485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17U KR200485900Y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트레이
DE112017003401.9T DE112017003401T5 (de) 2016-07-06 2017-07-06 Fahrzeugablage
US16/315,225 US11279292B2 (en) 2016-07-06 2017-07-06 Vehicle tray
PCT/KR2017/007244 WO2018009004A1 (ko) 2016-07-06 2017-07-06 자동차용 트레이
CN201780042088.5A CN109476251B (zh) 2016-07-06 2017-07-06 汽车用托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17U KR200485900Y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69U KR20180000169U (ko) 2018-01-16
KR200485900Y1 true KR200485900Y1 (ko) 2018-03-08

Family

ID=6091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17U KR200485900Y1 (ko) 2016-07-06 2016-07-06 자동차용 트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79292B2 (ko)
KR (1) KR200485900Y1 (ko)
CN (1) CN109476251B (ko)
DE (1) DE112017003401T5 (ko)
WO (1) WO20180090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022B1 (ko) * 2023-09-13 2024-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809B1 (ko) 2019-12-24 2021-10-07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KR102418583B1 (ko) * 2020-10-23 2022-07-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센터 콘솔
KR102418585B1 (ko) * 2020-10-27 2022-07-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 트레이 레일 구조
KR102517748B1 (ko) * 2021-06-18 2023-04-06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737A (ja) 2007-06-26 2009-01-15 Molten Corp スライ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2577A1 (de) * 1973-08-23 1975-03-13 Hammerstein Gmbh C Rob Mit kunststoff-gleitkoerper und mit tragrollen bestueckte gleitschienenfuehrungen fuer fahrzeugsitze
US4811925A (en) * 1986-06-23 1989-03-14 Tachi-S Co. Ltd. Slide rail
JPH02204139A (ja) * 1989-02-01 1990-08-14 Daihatsu Motor Co Ltd シートトラック
DE4430342C2 (de) * 1994-01-29 1998-08-13 Vsg Verkehrstechnik Gmbh Gummigefedertes Schienenrad
KR19990035680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아암레스트겸용 콘솔박스
KR20010019334A (ko) * 1999-08-26 2001-03-15 윤종용 정렬노광 설비의 얼라인먼트 보정방법
KR100399117B1 (ko) * 2000-10-24 2003-09-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재떨이
US6585465B1 (en) * 2002-05-07 2003-07-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cargo restraint system
JP4247062B2 (ja) * 2003-08-21 2009-04-02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両の床用防振装置
KR20050037206A (ko) * 2003-10-17 2005-04-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재떨이 구조
KR20050096660A (ko) * 2004-03-31 2005-10-06 주식회사 키프코 자동차용 트레이의 유동방지구조
KR100589271B1 (ko) * 2004-08-17 2006-06-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이의 가이드 구조
KR100602673B1 (ko) * 2004-10-15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슬라이드구조
DE102010036000B4 (de) * 2010-08-31 2014-11-27 F.S. Fehrer Automotive Gmbh Mittelkonsole mit Linearführung
FR2991930B1 (fr) * 2012-06-15 2014-06-20 Faurecia Interieur Ind Compartiment de rangement pour vehicule equipe d'un element de separation mobile
GB2552652B (en) * 2016-07-27 2019-04-10 Ford Global Tech Llc A motor vehicle draw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737A (ja) 2007-06-26 2009-01-15 Molten Corp スライド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022B1 (ko) * 2023-09-13 2024-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46845A1 (en) 2021-05-20
KR20180000169U (ko) 2018-01-16
DE112017003401T5 (de) 2019-03-21
CN109476251B (zh) 2021-04-23
WO2018009004A1 (ko) 2018-01-11
CN109476251A (zh) 2019-03-15
US11279292B2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900Y1 (ko) 자동차용 트레이
JP6466293B2 (ja) 車両のリッド装置
KR200488080Y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20120112490A1 (en) Mirror unit, and sun visor body having mirror unit
JP2010111210A (ja) 車両用収納装置
US20170057416A1 (en)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KR100844359B1 (ko) 차일드 테더 앵커용 베젤
KR101875656B1 (ko) 차량용 도어 가변 벨트 몰딩 구조
JP2007290458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3686017B2 (ja) 2段式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2192779A (ja) フック装置
KR101340434B1 (ko)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JP2018167833A (ja) 車両のリッド装置
KR20180001566U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KR20230010887A (ko)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KR20050115486A (ko)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JP5710285B2 (ja) 車両用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JP5813490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1610547B1 (ko) 원터치 슬라이딩 차일드 앵커구조
KR101393867B1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개폐장치
JP2015182495A (ja) 車両のリアドアガーニッシュ構造
KR102145962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JP4326128B2 (ja) 貯氷庫
KR102541111B1 (ko)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