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748B1 - 차량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748B1
KR102517748B1 KR1020210079587A KR20210079587A KR102517748B1 KR 102517748 B1 KR102517748 B1 KR 102517748B1 KR 1020210079587 A KR1020210079587 A KR 1020210079587A KR 20210079587 A KR20210079587 A KR 20210079587A KR 102517748 B1 KR102517748 B1 KR 10251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umper
tray cover
dispos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521A (ko
Inventor
박원대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레이바디, 트레이바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개구부와 평행하도록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 트레이바디의 개구부를 커버하고 지지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트레이커버, 지지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트레이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트레이커버의 일 측에 배치되고 일 측 단부가 레일에 지지되는 범퍼를 포함하여, 트레이커버에 배치된 범퍼가 범퍼지지돌기에 밀착하는 바, 트레이커버가 트레이바디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차량용 트레이가 닫혀있는 동안 트레이커버가 레일에 지지되어, 트레이커버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 {Tra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물체를 수납하고,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한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트레이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배치되는 위치와 여유공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는 커버는 열리는 방식에 따라, 여닫이 방식과 슬라이딩 방식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커버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는 타입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측 하단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우측 상방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트레이커버는 전방으로 이동하며 닫히거나, 후방으로 이동하며 열리도록 구성된다. 트레이커버는 하면이 지지판의 상면에 지지되고, 지지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하지만, 트레이커버가 전방 임계위치까지 이동하여 닫힐 경우에, 트레이커버와 지지판이 서로 중첩되는 접촉면적이 매우 좁기 때문에, 트레이커버는 좌우로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근래 제작되는 차량들 중에 대형SUV 등 대형 차종이 증가됨에 따라, 트레이의 크기도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슬라이딩 방식의 트레이의 크기가 커질 경우, 전술한 트레이커버가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가 심각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슬라이딩 방식의 트레이커버가 닫혀있는 동안 트레이커버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트레이커버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레이바디, 트레이바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개구부와 평행하도록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 트레이바디의 개구부를 커버하고 지지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트레이커버, 지지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트레이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트레이커버의 일 측에 배치되고 일 측 단부가 레일에 지지되는 범퍼를 포함한다.
레일은 내측면에서 내측방으로 돌출되고, 트레이커버가 제1위치에 있을 때 범퍼에 접촉하는 범퍼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는 트레이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레일에 지지되는 범퍼머리, 범퍼머리의 내측단에 배치되고 트레이커버를 지지하는 범퍼플랜지, 범퍼플랜지의 내측단에서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트레이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범퍼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머리는 트레이커버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범퍼는 트레이커버의 일 측면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은 트레이커버와 마주하는 면에서 트레이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하부리브를 포함하고, 트레이커버는 지지판과 마주하는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리브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커버는 레일에 마주하는 단부에서 레일을 향하여 돌출된 측방리브를 포함하고, 레일은 측방리브에 마주하는 면에서 내부로 함몰되고 트레이커버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방리브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트레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트레이커버에 배치된 범퍼가 범퍼지지돌기에 밀착하는 바, 트레이커버가 트레이바디의 개구부를 폐쇄하여 차량용 트레이가 닫혀있는 동안 트레이커버가 레일에 지지되어, 트레이커버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트레이커버는 하부리브 및 하부리브슬릿에 의하여 트레이커버의 상하방향 흔들림이 방지되고, 측방리브 및 측방리브슬렛에 의하여 트레이커버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는 바, 트레이커버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트레이커버가 개구부를 폐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에서 트레이커버가 개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레일의 안쪽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커브의 하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2에서 A부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트레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용 트레이(1)는 차량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구성요소이다.
차량용 트레이(1)는 운전석 패널, 좌석 사이의 암레스트부, 후방 좌석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1)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암레스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형 차량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공간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 대형 차량용 트레이(1)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트레이(1)는 트레이바디(10) 및 트레이커버(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1)에서 트레이커버(30)가 개구부(11)를 폐쇄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트레이(1)에서 트레이커버(30)가 개구부(11)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트레이바디(10)는 내부에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수납공간의 일 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된다.
트레이바디(10)는 상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탑승자는 트레이바디(10) 상부의 개구부(11)를 통해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트레이바디(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는 트레이바디(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판(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트레이커버(30)의 제1위치 내지 제3위치를 정의한다. 트레이커버(30)가 전방 임계위치까지 이동한 때, 트레이커버(30)는 트레이바디(10)의 개구부(11)를 폐쇄한다. 이때 트레이커버(30)가 제1위치에 있다고 정의한다. 트레이커버(30)가 후방 임계위치까지 이동한 때, 트레이커버(30)는 트레이바디(10)의 개구부(11)를 개방하고, 트레이바디(10)는 지지판(20)과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때 트레이커버(30)가 제3위치에 있다고 정의한다. 트레이커버(30)가 제1위치와 제3위치의 사이에 배치될 때를 제2위치에 있다고 정의하며, 이때는 일부만 개방된 개구부(11)에 컵 거치대를 배치하여 컵을 거치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는 손잡이(31)를 포함한다. 손잡이(31)는 탑승자에 의해 작동되며, 트레이커버(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지지판(20)은 트레이바디(1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판(20)은 트레이바디(10)의 개구부(11)에 배치되고, 개구부(11)와 평행하도록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판(20)은 전-후-좌-우로 연장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0)은 트레이바디(10)의 후단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판(20)은 트레이커버(30)의 하부면과 마주한다. 트레이커버(30)는 지지판(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지지판(20)의 하부리브(21)가 트레이커버(30)의 하부리브슬릿(3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트레이커버(30)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리브(21)는 트레이커버(30)와 마주하는 지지판(20)의 일 측 면에서 돌출되고, 트레이커버(30)를 향하여 돌출된다.
하부리브(21)는 지지판(20)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된다. 하부리브(21)가 연장되는 방향은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리브슬릿(32)은 지지판(20)과 마주하는 트레이커버(30)의 일 측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리브(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하부리브슬릿(32)은 트레이커버(30)의 하부면에서 상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하부리브슬릿(32)은 전후방으로 연장된다.
하부리브(21)는 하부리브슬릿(32)에 안내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리브(21) 중 대부분이 하부리브슬릿(32)에 삽입되는 바, 트레이커버(30)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안착될 수 있다. 반면에, 트레이커버(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하부리브(21) 중 대부분은 하부리브슬릿(32)으로부터 벗어나는 바, 트레이커버(30)가 좌우로 흔들릴 우려가 있다. 이때, 트레이커버(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커버(30)의 전단에 범퍼(50)가 배치된다.
레일(40)은 트레이커버(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레일(40)은 지지판(20)의 일 측에 배치된다.
도 4는 레일(40)의 안쪽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레일(40)은 지지판(20)의 양 측단에 배치된다. 레일(40)은 트레이커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레일(40)의 전단은 트레이바디(10)의 전단까지 연장되고, 레일(40)의 후단은 지지판(20)의 후단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커버(30)는 레일(40)에 의해 안내되며, 트레이바디(10)의 개구부(11)를 온전히 개방하거나 온전히 폐쇄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의 측방리브(33)가 레일(40)의 측방리브슬릿(4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트레이커버(30)는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측방리브(33)는 레일(40)에 마주하는 트레이커버(30)의 일 단에서 레일(40)을 향하여 돌출된다. 측방리브(33)는 트레이커버(30)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측방리브(33)는 전후방으로 연장된다. 측방리브(33)의 적어도 일부는 측방리브슬릿(41)에 삽입된다.
측방리브돌기(34)는 레일(40)에 마주하는 트레이커버(30)의 일 단에서 레일(40)을 향하여 돌출된다. 측방리브돌기(34)는 트레이커버(30)의 측면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측방리브돌기(34)의 적어도 일부는 측방리브슬릿(41)에 삽입된다.
측방리브돌기(34)는 측방리브(3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 상에 배치된다.
측방리브돌기(34)는 하나의 측방리브(33)와 다른 하나의 측방리브(33) 사이에 배치된다.
측방리브슬릿(41)은 측방리브(33)에 마주하는 레일(40)의 일 면에서 내부로 함몰되고,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리브(3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범퍼(50)는 레일(40)에 지지됨으로써, 트레이커버(3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범퍼(50)는 트레이커버(30)의 일 측에 배치되고, 레일(40)로부터 트레이커버(30)를 지지한다.
범퍼(50)는 트레이커버(30)와 별개로 제작될 수 있다. 범퍼(5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범퍼(50)의 재질은 전술한 것에 한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범퍼(50)는 적어도 일부가 트레이커버(30)에 삽입된다. 트레이커버(30)의 측면에는 범퍼(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범퍼(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트레이커버(30)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범퍼(50) 중 범퍼다리(53)가 삽입홈에 삽입된다.
레일(40)에는 범퍼지지돌기(42)가 배치된다. 범퍼지지돌기(42)는 범퍼(50)에 접촉하여, 범퍼(5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범퍼지지돌기(42)는 레일(40)의 내측면에서 내측방으로 돌출되고, 트레이커버(3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범퍼(50)에 접촉한다.
범퍼지지돌기(42)는 레일(40)과 별개로 제작될 수 있다. 범퍼지지돌기(42)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범퍼지지돌기(42)의 재질은 전술한 것에 한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범퍼지지돌기(42)는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범퍼(50)는 범퍼머리(51), 범퍼플랜지(52) 및 범퍼다리(53)로 구성될 수 있다.
범퍼지지돌기(42)는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으로 적어도 3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3쌍은 좌측 레일(40)과 우측 레일(40)에 대칭으로 배치된 2개의 범퍼지지돌기(42)를 하나의 세트로 한다. 최전방에 배치된 범퍼지지돌기(42)는 트레이커버(3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범퍼(50)의 외측에 밀착되며, 이때 트레이커버(30)는 범퍼바디의 개구부(11)를 온전하게 폐쇄한다. 최후방에 배치된 범퍼지지돌기(42)는 트레이커버(30)가 제3위치에 있을 때의 범퍼(50)의 외측에 밀착되며, 이때 트레이커버(30)는 범퍼바디의 개구부(11)를 온전하게 개방한다. 범퍼지지돌기(42)는 상기 최전방과 최후방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트레이커버(30)는 범퍼바디의 개구부(11)를 일부만 개방하며, 상기 일부 개방부에 컵거치대를 설치하여 컵을 거치할 수 있다.
범퍼다리(53)는 범퍼플랜지(52)의 내측단에서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트레이커버(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범퍼다리(53)의 내측단의 단면적은 외측단의 단면적보다 작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범퍼다리(53)는 트레이커버(30)의 삽입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범퍼고정후크(531)는 범퍼(50)가 트레이커버(3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범퍼고정후크(531)는 범퍼다리(53)에서 외측으로 더욱 돌출하여 형성된다.
범퍼고정후크(531)는 외측방으로 가면서 점점 더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범퍼고정후크(531)의 외측단에는 수직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범퍼(50)는 트레이커버(30)에 용이하게 삽입되나, 분리가 어렵게 된다.
범퍼고정후크(531)가 연장되는 방향은 범퍼머리(51)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범퍼고정후크(531)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범퍼머리(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범퍼고정후크(531)가 돌출되는 방향과 범퍼머리(51)가 연장되는 방향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범퍼고정후크(531)는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범퍼고정후크(53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범퍼고정후크(531)는 좌우로 유격없이 긴밀하게 트레이커버(3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범퍼고정후크(531)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바, 범퍼고정후크(531)가 트레이커버(30)의 삽입홈을 통과하기 위하여, 트레이커버(30)의 삽입홈의 상하 폭은 범퍼다리(53)의 상하 폭보다 약간이나마 넓게 설계하여야 한다. 이와 달리, 범퍼고정후크(531)가 형성되지 않은 범퍼다리(53)의 전후 너비는 트레이커버(30)의 삽입홈의 좌우 너비와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퍼(50)의 전면과 후면은 트레이커버(30)에 밀착되는 바, 유격이 없어 범퍼(50)는 전후 방향으로 밀착되어 흔들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범퍼플랜지(52)는 범퍼머리(51)의 내측단에 배치되고, 트레이커버(30)를 지지한다. 달리 말하면, 범퍼플랜지(52)는 범퍼다리(53)의 외측단에 배치되고, 트레이커버(30)를 지지한다.
범퍼플랜지(52)는 범퍼다리(53)의 외측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함은, 범퍼다리(53)에서 전방-후방-상방-하방으로 돌출하여 더욱 연장되는 것을 말한다. 범퍼플랜지(52)가 트레이커버(30)의 삽입홈에 지지됨으로써, 범퍼(50)는 일정 이상으로 트레이커버(30)의 삽입홈 안쪽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범퍼플랜지(52)의 외측면에는 외측방으로 범퍼머리(51)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범퍼플랜지(52)의 내측면에는 내측방으로 범퍼다리(53)가 돌출하여 형성된다.
범퍼플랜지(52)의 내측면 일부는 트레이커버(30)의 측면에 밀착된다. 트레이커버(30)의 외측면에는 범퍼플랜지(52)가 밀착되고, 트레이커버(30)의 내측면에는 범퍼고정후크(531)가 밀착된다. 이에 따라, 범퍼(50)는 트레이커버(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범퍼머리(51)는 트레이커버(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레일(40)에 지지된다.
범퍼머리(51)는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범퍼지지돌기(42)는 트레이커버(3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범퍼머리(51)의 중앙과 범퍼지지돌기(42)의 중앙이 서로 밀착함으로써, 범퍼(50)는 범퍼지지돌기(42)에 지지된다.
범퍼머리(51)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범퍼머리(51)의 양 단은 범퍼(50)의 바디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범퍼머리(51)가 범퍼지지돌기(42)를 따라 이동할 때, 범퍼머리(51)의 단부가 안쪽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손쉽게 범퍼지지돌기(42)의 중앙으로 경사면을 오를 수 있다.
범퍼(50)는 트레이커버(30)의 일 측면의 전단에 배치된다. 좌측 범퍼(50)는 좌측면의 전단에서 우측방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우측 범퍼(50)는 우측면의 전단에서 좌측방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커버(30)는 후단을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고, 흔들리는 폭은 트레이커버(30)의 전단에서 가장 심해지는 바, 트레이커버(30)의 전단을 지지함으로써 트레이커버(30)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범퍼(50)는 측방리브(33)의 상방에 배치되어, 트레이바디(1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차량용 트레이
10: 트레이바디 11: 개구부
20: 지지판 21: 하부리브
30: 트레이커버 31: 손잡이
32: 하부리브슬릿 33: 측방리브
34: 측방리브돌기
40: 레일 41: 측방리브 슬릿
42: 범퍼지지돌기
50: 범퍼 51: 범퍼머리
52: 범퍼플랜지 53: 범퍼다리
531: 범퍼고정후크

Claims (7)

  1.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트레이바디;
    상기 트레이바디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평행하도록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
    상기 트레이바디의 개구부를 커버하고, 상기 지지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트레이커버;
    상기 지지판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트레이커버의 일 측에 배치되고, 일 측 단부가 상기 레일에 지지되는 범퍼;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레일에 마주하는 단부에서 상기 레일을 향하여 돌출된 측방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범퍼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트레이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측방리브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내측면에서 내측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트레이커버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범퍼에 접촉하는 범퍼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일에 지지되는 범퍼머리;
    상기 범퍼머리의 내측단에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커버를 지지하는 범퍼플랜지;
    상기 범퍼플랜지의 내측단에서 내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이커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범퍼다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머리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이 단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는,
    상기 트레이커버의 일 측면의 전단에 배치되는 차량용 트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트레이커버와 마주하는 면에서 상기 트레이커버를 향하여 돌출된 하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커버는,
    상기 지지판과 마주하는 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하부리브슬릿;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측방리브에 마주하는 면에서 내부로 함몰되고, 상기 트레이커버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방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측방리브슬릿;을 포함하는 차량용 트레이.
KR1020210079587A 2021-06-18 2021-06-18 차량용 트레이 KR10251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87A KR102517748B1 (ko) 2021-06-18 2021-06-18 차량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87A KR102517748B1 (ko) 2021-06-18 2021-06-18 차량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521A KR20220169521A (ko) 2022-12-28
KR102517748B1 true KR102517748B1 (ko) 2023-04-06

Family

ID=8453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87A KR102517748B1 (ko) 2021-06-18 2021-06-18 차량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7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022B1 (ko) * 2023-09-13 2024-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737A (ja) * 2007-06-26 2009-01-15 Molten Corp スライド機構
KR101755973B1 (ko) * 2016-01-04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00Y1 (ko) * 2016-07-06 2018-03-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737A (ja) * 2007-06-26 2009-01-15 Molten Corp スライド機構
KR101755973B1 (ko) * 2016-01-04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521A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5000354A (es) Puerta corrediza para un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en una consola central del piso de un vehiculo.
JP6328677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装置
JP5522136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060261621A1 (en) A modular vehicle interior component system and release latch mechanism for use with the system
KR102517748B1 (ko) 차량용 트레이
US10882433B2 (en) Console having a cup holder
US9216694B2 (en) Vehicle center console
US9630563B2 (en) Vehicle center console assembly
US10676005B2 (en) Vehicle floor mat with storable barriers
US20050127725A1 (en) Seat unit
US7225957B2 (en) Cup holding device
JP5728281B2 (ja) ロック装置
KR101315315B1 (ko) 소음 제거용 차량 헤드레스트 및 슬리브 결합구조
US20160046335A1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US10676034B2 (en) Storage compartments having sliding trays of console assemblies for vehicles
JP7240620B2 (ja) 収納ボックス
KR200476294Y1 (ko) 차량용 암레스트 리드의 스토퍼장치
KR100657701B1 (ko) 확장가능한 차량의 콘솔 박스
JP6078564B2 (ja) 車両後部構造
JP2019111989A (ja) 車両の荷室構造
JP6418489B2 (ja) 車両の荷室構造
WO2021060429A1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装置
KR102650022B1 (ko) 차량용 트레이
JP7200583B2 (ja) 車両の荷室構造
US20230311777A1 (en) Sliding transport apparatus of storage portion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