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809B1 -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809B1
KR102309809B1 KR1020190173965A KR20190173965A KR102309809B1 KR 102309809 B1 KR102309809 B1 KR 102309809B1 KR 1020190173965 A KR1020190173965 A KR 1020190173965A KR 20190173965 A KR20190173965 A KR 20190173965A KR 102309809 B1 KR102309809 B1 KR 10230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otrusion
cover body
tray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728A (ko
Inventor
이호덕
진경준
김동주
Original Assignee
대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8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7Heating of passenger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을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크레이의 접속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물품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함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레일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운동을 유도하는 소음방지캡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방지캡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끝에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돔형태의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단부 외면에 띠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의 접속부에 맞닿게 되는 띠돌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부에 점(點)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방향으로의 접속부에 맞닿게 되는 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Structure For Conjunction Of Tra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닫을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크레이의 접속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 특히 승용차량은 매우 다양한 편의장치를 갖고 있다. 승용차량의 정숙성은 소비자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차량에는 물체끼리 부딪히면서 상호작용하게 되는 많은 접속부위가 있다. 소품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트레이 역시 접속부위를 갖고 있다. 트레이의 접속부위라 함은 고정된 본체함과 본체함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커버의 경계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도 상대적 유동에 의한 마찰소음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20-2018-0000169호는 트레이 본체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가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유도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작동시에도 가이드돌기가 트레이 본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접촉되어 마찰음이 발생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기술를 개시하고 있다. 본 종래기술은 자체 탄성력을 갖고 있는 실리콘링을 이용하고 있다. 이 실리콘링은 오링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제2몸체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내측벽면에 접촉되는 실링콘링이 가이드돌기의 전후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레일에 인입되어지게 됨으로써,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레일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마찰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잦은 사용 또는 거친 사용에 의해 링이 끊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오링형상으로 된 제1몸체와 반구형상으로 된 제2몸체의 연결부위가 인장력에 의해 끊겨질 수 있는 취약함이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20-2018-0000169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물품 수납용 트레이에 있어서, 커버를 여닫을 때 본체함과의 접촉부위에서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여기서 더 나아가 종래기술이 가지는 내구성 관련 문제점을 보완 또는 해결하여 더욱 개선된 형태의 트레이 접속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물품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본체함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함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레일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운동을 유도하는 소음방지캡;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방지캡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끝에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돔형태의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단부 외면에 띠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의 접속부에 맞닿게 되는 띠돌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부에 점(點)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방향으로의 접속부에 맞닿게 되는 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패킹결합홈이 그루브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방에는 점형태의 패킹유동방지홈이 점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의 내면 중심부에는 상기 패킹유동방지홈에 끼워지는 유동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물품 수납용 트레이에 있어서, 소음방지캡에 의해 커버를 여닫을 때 본체함과 커버의 접촉부위에서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오래 사용하거나, 윤활작용을 못하는 상황에서 작동을 하거나, 급격한 작용이 가해질 때도 파열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개략적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소음방지캡과 가이드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소음방지캡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의 소음방지캡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트레이(1)는 기본적으로 본체함(3), 커버(5) 및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본체함(3)은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물품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커버(5)는 본체함의 상부에 그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장치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여닫는 방식이 종래에 있어 왔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트레이(1)는 슬라이드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끔 되어 있다. 개폐방식도 다양하다. 본 발명의 트레이(1)는 손잡이(7)를 잡고 일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열기도 하고 닫기도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여닫는 방식과 그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핵심과는 거리가 있다. 가령 도시된 것처럼 커버(5)가 고정되어 있고 본체함(3)이 움직이면서 개방되는 방식이 있을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본체함(3)과 커버(5)의 형태 내지 크기가 다양함은 차종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체함(3)이 고정된 커버(5)에 대해 대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본체함(3)의 양 측면에 가이드레일(9)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9)은 기다란 레일부재(11)에 의해 마련된다. 레일부재(11)는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이 "
Figure 112019133504987-pat00001
" 형태로 되어 있다. 커버(5)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레일(9)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돌기(13)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3)는 노브(knob) 형태로 되어 있다.
소음방지캡(15)이 가이드돌기(13)의 외부에 캡(cap)처럼 끼워진다. 소음방지캡(15)은 가이드돌기(13)와 가이드레일(9)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운동을 유도한다.
소음방지캡(15)은 커버본체(17)와, 띠돌기(19)와, 점돌기(21)를 포함한다. 커버본체(17)는 가이드돌기(13)의 끝을 감싸는 돔형태로 되어 있으며, 모자와 같은 방식으로 끼워진다.
띠돌기(19)는 커버본체(17)의 단부 외면에 띠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의 접속부(C1,C2)에 맞닿게 되는 부분이다(도 3 참조 ). 점돌기(21)는 커버본체(17)의 중심부에 점(點)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방향으로의 접속부(C3)에 맞닿게 되는 것이다.
소음방지캡(15)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리콘, 우레탄 또는 고무 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소음방지캡(15)과 레일부재(11)의 경계면에는 윤활수단이 매개될 수 있다. 윤활수단으로는 그리스 또는 오일과 같은 윤활제가 적당하다.
띠돌기(19)는 커버본체(17)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띠돌기(19)가 원호 형태로 된 복수 개의 단위띠돌기(19')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단위띠돌기(19')가 설치되어 있다. 단위띠돌기(19')가 설치되지 않은 리세스(recess) 부분(23)은 폭(W)이 좁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2mm 이하, 좀더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일 수 있다. 리세스 부분(23)을 구비함으로써 윤활유를 머금을 수도 있고 가이드돌기(13)에 조립하기도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돌기(1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패킹결합홈(25)이 그루브(groove)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본체(17)의 내면, 특히 단부에는 가이드돌기(13)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착돌기(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안착돌기(27)는 패킹결합홈(25)에 끼워지게 된다. 안착돌기(27)는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구간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지만,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안착돌기(27)도 복수 개의 단위안착돌기(27')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단위안착돌기(27')에 대응되는 형태로 가이드돌기(13)의 패킹결합홈(25)에도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핀(28)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4개의 안착돌기(27')와 핀(28)이 마련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위띠돌기(19')와 단위패킹결합홈(25')은 교번하여 설치된다. 잘록한 부분, 즉 리세스부분(23,23')이 겹쳐짐으로써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돌기(15)의 전방에는 점형태의 패킹유동방지홈(29)이 점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커버본체(17)의 내면 중심부에는 패킹유동방지홈(29)에 끼워지는 유동방지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유동방지돌기(31)와 패킹유동방지홈(29)은 소음방지캡(15)이 가이드돌기(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7)의 외면에는 골프공과 유사한 방식으로 덴트부(33)가 커버본체(17)의 외면 전체 구간에 걸쳐 다수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윤활성을 좋게 하기 위한 것이며 마찰력을 감소시켜 커버(5)의 동작이 더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덴트부(33)는 커버본체(17) 뿐 아니라 띠돌기(19)와 점돌기(21)에도 마련될 수 있다. 덴트부(33)는 직경이 0.5 ~ 1mm, 깊이가 0.2 ~ 0.5mm 가 될 수 있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차량용 트레이 3 : 본체함
5 : 커버 7 : 손잡이
9 : 가이드레일 11 : 레일부재
13 : 가이드돌기 15 : 소음방지캡
17 : 커버본체 19 : 띠돌기
19' : 단위띠돌기 21 : 점돌기
23 : 리세스(recess) 부분 25 : 패킹결합홈
27 : 안착돌기 27' : 단위안착돌기
29 : 패킹유동방지홈 31 : 유동방지돌기
33 : 덴트부 C1,C2,C3 : 접속부

Claims (5)

  1. 상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물품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함; 상기 본체함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본체함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함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레일의 접속부에 설치되어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운동을 유도하는 소음방지캡을 포함하되; 상기 소음방지캡은,
    상기 가이드돌기의 끝에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돔형태의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단부 외면에 띠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의 접속부에 맞닿게 되는 띠돌기; 상기 커버본체의 중심부에 점(點)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측방향으로의 접속부에 맞닿게 되는 점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패킹결합홈이 그루브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전방에는 점형태의 패킹유동방지홈이 점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의 내면 중심부에는 상기 패킹유동방지홈에 끼워지는 유동방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돌기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원호 형태로 된 복수 개의 단위띠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외면에는 골프공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수 개의 덴트부(3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KR1020190173965A 2019-12-24 2019-12-24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KR10230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65A KR102309809B1 (ko) 2019-12-24 2019-12-24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65A KR102309809B1 (ko) 2019-12-24 2019-12-24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28A KR20210081728A (ko) 2021-07-02
KR102309809B1 true KR102309809B1 (ko) 2021-10-07

Family

ID=7689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965A KR102309809B1 (ko) 2019-12-24 2019-12-24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022B1 (ko) * 2023-09-13 2024-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673B1 (ko) * 2004-10-15 2006-07-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슬라이드구조
KR20130003710U (ko) * 2011-12-13 2013-06-2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
KR200485900Y1 (ko) 2016-07-06 2018-03-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022B1 (ko) * 2023-09-13 2024-03-2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28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0839B2 (en) Air damper for a movably supported structural part, in particular in automobiles
US6672554B2 (en) Article storage device and shutter used therein
KR102309809B1 (ko) 차량용 트레이의 접속부 구조
KR20040057883A (ko) 소물 수납함
JP6290581B2 (ja) 自動車用の空気案内装置
US20140144870A1 (en) Water bottle with poppet valve
KR102084382B1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손잡이 구조
RU2009109099A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бутылок, включающее две сцепленные друг с другом детали, надетые одна на другую
KR102052925B1 (ko)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커버
US10260260B2 (en) Door checker apparatus for vehicle
CN100532128C (zh) 组装简易的夹持元件
US20040032150A1 (en) Sliding block guide for openable motor vehicle rooves or motor vehicle hatches
KR102530050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418583B1 (ko) 자동차의 센터 콘솔
CN109952233B (zh) 车辆用空气阻尼器
KR101755973B1 (ko) 차량용 트레이
KR200476294Y1 (ko) 차량용 암레스트 리드의 스토퍼장치
KR101502940B1 (ko)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KR102616042B1 (ko) 자동차용 에어댐퍼
KR101987134B1 (ko) 물품 수용 장치 개폐용 셔터의 가이드 구조
US1354914A (en) Container
KR20014159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KR100517697B1 (ko) 글로브박스의 댐퍼구조
KR101812983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용 범퍼
KR0115824Y1 (ko) 콘솔 리드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