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434B1 -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434B1
KR101340434B1 KR1020110096324A KR20110096324A KR101340434B1 KR 101340434 B1 KR101340434 B1 KR 101340434B1 KR 1020110096324 A KR1020110096324 A KR 1020110096324A KR 20110096324 A KR20110096324 A KR 20110096324A KR 101340434 B1 KR101340434 B1 KR 10134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child anchor
child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613A (ko
Inventor
이국진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4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차일드 앵커와,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고, 상기 하우징을 개방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을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Child anchor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소비자가 차일드 시트를 리어시트에 설치할 때 시트벨트 웨빙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차일드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를 리어시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하도록 법규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는 그 위치의 범위가 규제되어 있으며, 좌석 설계시 착좌 위치와 동일한 차량의 종방향 선상에 위치하고, 보통 세단형 승용차에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차일드 시트에 형성된 후크를 상부 앵커에 걸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는 커버가 리어패키지 트레이의 상면에서 보이도록 배치되고, 커버의 하측에 하우징이 설치되며, 하우징의 저면을 통하여 차일드 앵커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차일드 앵커와 인너 패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설치된다. 이때, 종래 기술에 따른 차일드 앵커는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하여야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는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한 후 유아용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는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하므로 유아용 카시트가 움직이거나 차량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유아용 카시트와 접촉하여 커버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하여야 하므로 차일드 앵커에 유아용 카시트를 설치할 때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를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개방이 용이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차일드 앵커와,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고, 상기 하우징을 개방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을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2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커버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제 2 커버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커버의 일부와 상기 제 2 커버의 일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하우징을 개방 시 상기 복원력을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커버를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진동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가 움직일 때, 유아용 카시트와 커버의 충돌로 인한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차체에 설치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차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차일드 앵커(C)를 포함한다. 차일드 앵커(C)는 차체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앵커(C)는 외부의 유아용 카시트(미도시)의 걸림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결합홀(C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을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커버(120)를 포함한다.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개방 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때, 커버(120)는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제 1 커버(121)와, 제 1 커버(12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제 2 커버(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커버(121) 및 제 2 커버(122)는 하우징(110)에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제 1 커버(121)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 1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제 2 커버(122)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 2 가이드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홈(111)과 제 2 가이드홈(112)은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가이드홈(111)과 제 2 가이드홈(112)은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가 회전하는 원주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커버(120)에 설치되어 커버(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30)는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에 각각 설치되어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가 하우징(110)을 개방시킬 때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평소에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가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는 하우징(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의 일부에는 탄성부재(130)가 설치되어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가 하중에 의하여 제 1 가이드홈(111)과 제 2 가이드홈(112)을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는 평소에 하우징(110)의 개구부(미표기)를 완전히 폐쇄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 등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가 하우징(110)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유아용 카시트의 결합부재를 차일드 앵커(C)에 결속시키기 위하여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커버(121) 및 제 2 커버(122)는 상기 힘에 의하여 제 1 가이드홈(111) 및 제 2 가이드홈(112)을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의 운동은 서로 유사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커버(121)가 운동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힘이 가해지면, 제 1 커버(121)는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제 1 커버(121)의 일부분은 제 1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홈(111)은 곡률지게 형성되므로 제 1 커버(121)는 제 1 가이드홈(111)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가 작동하면, 차일드 앵커(C)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아용 카시트의 결합부재를 차일드 앵커(C)에 결합하여 상기 유아용 카시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탄성부재(130)는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30)는 상기 복원력을 통하여 제 1 커버(121)와 제 2 커버(122)를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상기 유아용 카시트의 결합부재를 차일드 앵커(C)로부터 제거하면, 제 1 커버(121) 및 제 2 커버(122)는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제 1 커버(121) 및 제 2 커버(122)를 하우징(110)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100)는 차량의 진동에 따른 상기 유아용 카시트가 움직일 때, 상기 유아용 카시트와 제 1 커버(121) 및 제 2 커버(122)의 충돌로 인한 제 1 커버(121) 및 제 2 커버(1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
110 : 하우징
111 : 제 1 가이드홈
112 : 제 2 가이드홈
120 : 커버
121 : 제 1 커버
122 : 제 2 커버
130 : 탄성부재

Claims (5)

  1. 차체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차일드 앵커와,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고, 상기 하우징을 개방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을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 2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커버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 1 가이드홈과, 상기 제 2 커버의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 2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홈 및 상기 제 2 가이드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곡률지게 형성되는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커버의 일부와 상기 제 2 커버의 일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하우징을 개방 시 상기 복원력을 상기 제 1 커버 및 상기 제 2 커버에 제공하는 차일드 앵커 어셈블리.

KR1020110096324A 2011-09-23 2011-09-23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KR10134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24A KR101340434B1 (ko) 2011-09-23 2011-09-23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24A KR101340434B1 (ko) 2011-09-23 2011-09-23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13A KR20130032613A (ko) 2013-04-02
KR101340434B1 true KR101340434B1 (ko) 2013-12-11

Family

ID=4843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24A KR101340434B1 (ko) 2011-09-23 2011-09-23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547B1 (ko) * 2014-12-03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터치 슬라이딩 차일드 앵커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179B1 (ko) * 2013-07-03 2014-12-05 현대다이모스(주) 차일드시트 앵커 커버장치
KR102053211B1 (ko) * 2018-09-17 2019-12-0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일드 시트용 앵커 커버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312A (ko) * 2006-11-20 2008-05-23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일드 앵커
JP2011057207A (ja) * 2009-09-04 2011-03-24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子供用安全シート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312A (ko) * 2006-11-20 2008-05-23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일드 앵커
JP2011057207A (ja) * 2009-09-04 2011-03-24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子供用安全シート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547B1 (ko) * 2014-12-03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터치 슬라이딩 차일드 앵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13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9382B2 (en) Vehicle seat assembly
KR200488080Y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1340434B1 (ko)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US9974365B2 (en) Buckle guide
DE502006007343D1 (de) Drehbarer kindersitz für kraftfahrzeuge
US11155187B2 (en) Child restraint base and child restraint system
EP2708691B1 (en) Vehicular door handle device
CN103370547B (zh) 用于将安全带的支撑物安装至车辆的安装结构
KR20150113226A (ko) 차일드 시트 고정용 앵커의 커버구조
KR101751688B1 (ko) 커튼 에어백 전개시 프론트 필러와 테더 클립 간의 이탈 방지 구조
JP2016060323A (ja) 乗員保護装置
KR100570382B1 (ko)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CN207711930U (zh) 闩锁组件、闭合件组件和存储箱组件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JP616869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382821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장치
KR101934906B1 (ko) 차량 러기지 커버의 소음방지 기구
JP2017537840A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
KR20080045312A (ko) 자동차용 차일드 앵커
KR101714236B1 (ko) 시트벨트의 로어앵커 커버
JP5325612B2 (ja) 収納装置の振動抑制構造
JP2006176969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2236884B1 (ko) 진동 억제형 암레스트 장치
JP6828353B2 (ja)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周辺構造
JP5813490B2 (ja) 車両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