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382B1 -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 Google Patents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82B1
KR100570382B1 KR1020040040457A KR20040040457A KR100570382B1 KR 100570382 B1 KR100570382 B1 KR 100570382B1 KR 1020040040457 A KR1020040040457 A KR 1020040040457A KR 20040040457 A KR20040040457 A KR 20040040457A KR 100570382 B1 KR100570382 B1 KR 10057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ezel
housing
hinge portion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486A (ko
Inventor
조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382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일드 앵커 베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버 힌지부에 간단한 클립 구조와 걸림턱 구조를 추가하여 노이즈를 방지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는, 커버 힌지부를 구비하는 베젤 커버와 하우징이 힌지 연결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서 일정 각도를 간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하우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힌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홀에 삽입, 이탈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베젤 커버의 개폐시, 상기 하우징 홀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베절 커버가 고정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젤 커버의 커버 힌지부의 측부에 가세하도록 배설된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의 측면은 상기 다수의 하우징 홀의 각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탄성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여, 베젤 커버의 개폐시, 상기 하우징 홀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접촉면에 밀착, 가세하고, 상기 하우징 홀로부터 스토퍼가 이탈된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커버 힌지부의 접촉면과 인접 접촉면 사이의 에지부에 가세하여 커버에 작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A STRUCTURE OF CHILD ANCHOR BEZEL}
도 1은 차량의 리어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차량 리어 시트 뒷 선반에 설치된 어퍼 앵커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을 나타낸 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a-a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b-b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의 커버 힌지부와 철클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를 0도에서 45도 위치로 여는 과정에서의 커버 힌지부와 철클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를 45도로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b-b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의 커버 힌지부와 철클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를 45도에서 90도 위치로 여는 과정에서의 커버 힌지부와 철클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를 90도로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 그리고,
도 8b는 도 8a의 b-b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의 커버 힌지부와 철클립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일드 어퍼 앵커 3, 30 : 베젤 커버
32 : 스토퍼 33 : 커버 힌지부
34, 35, 36 : 클립 접촉면 4, 40 : 하우징
41, 42, 43 : 하우징 홀 5 : 철클립
본 발명은 어퍼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의 스토퍼가 하우징에 일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홀에 삽입, 이탈되고, 베젤 커버의 힌지부에 상기 일정 각도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클립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면에 철클립을 접촉, 가세시킴으로써, 내구 후에도 커버 오픈 고정력이 저하되지 않고, 커버 개폐시 및 주행시 노이즈 및 작동력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차일드 시트 후크 장착 편의성을 제공하고 차일드 시트의 착용을 유도하여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북미향 자동차에는 자동차 안전 법규 FMVSS 225에 따라 차량에 어린이 보호 시트 전용 앵커리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앵커리지 타입, 치수 및 요구 사항 등 이 규정되어 있다. 그 중 본 발명은 차일드 어퍼/로워 앵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리어 시트(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량 리어 시트(1) 뒷 선반에 설치된 어퍼 앵커(2)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차일드 시트(미도시)를 자동차의 리어 시트(1)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로워 앵커(3)를 시트 벨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하고, 어퍼 앵커(2)에 차일드 시트의 후크(6)를 걸어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세단 차량의 경우 차일드 어퍼 앵커(2)는 뒷선반(리어 패키지 트레이 트림)에 장착하고, 미관 문제로 인하여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3)를 적용하게 된다.
차일드 앵커 베젤은 크게 하우징(4)과 커버(3) 구조로 되어 있는데, 종래의 구조는 차일드 시트의 후크(6)를 걸기 위해 커버(3)를 열 때 하우징(4)과 커버(3)의 힌지축과의 간섭에 의해 오픈 상태가 유지되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하우징(4)과 커버(3)의 간섭으로 인해 커버 오픈시 매우 듣기 싫은 노이즈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이를 제거하고자 커버(3)와 하우징(4) 측벽의 간섭부를 0.5mm 컷팅하여 커버(3)를 열 때의 간섭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으나 이는 근본적인 개선안이 아니다.
둘째, 내구 후 커버(3) 힌지축의 변형으로 인해 오픈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차일드 시크 후크면으로 커버(3)가 내려 앉아, 주행시 노면 상태에 따라 커버(3)와 후크(6)의 접촉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둘째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차일드 시트를 로워 앵커에만 고정시키려고 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걸림턱 구조를 추가하여 오픈 각도에 따라 커버 힌지부의 스토퍼를 위치 고정할 수 있는 홀을 하우징에 추가하고 힌지부에 상기 각도에 상응하도록 철클립 구조를 두어, 회전 각도에 따라 작동력을 개선시키며 커버 오픈 시 하우징과 커버의 간섭 노이즈 및 떨림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커버 힌지부를 구비하는 베젤 커버와 하우징이 힌지 연결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서 일정 각도를 간격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하우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힌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홀에 삽입, 이탈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베젤 커버의 개폐시, 상기 하우징 홀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베절 커버가 고정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젤 커버는 커버가 닫힌 클로즈 단계, 커버가 45도 부근에서 열려 고정되는 제 1단계, 커버가 90도 부근에서 열려 고정되는 제 2단계로 작동하고, 상기 하우징 홀은 각각 상기 클로즈 단계, 제 1단계, 제 2단계에서 상기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젤 커버의 커버 힌지부의 측부에 가세하도록 배설된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의 측면은 상기 다수의 하우징 홀의 각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탄성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여, 베젤 커버의 개폐시, 상기 하우징 홀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접촉면에 밀착, 가세하고, 상기 하우징 홀로부터 스토퍼가 이탈된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커버 힌지부의 접촉면과 인접 접촉면 사이의 에지부에 가세하여 커버에 작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젤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촉면은 상기 힌지부의 하측면으로부터 후측면으로 상기 다수의 하우징 홀의 각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커버 힌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커버 힌지부에 접촉하며 상방으로 가세하는 접촉부와; U자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철클립 안착부에 안착되는 U자부와; 하우징의 걸림턱에 끼워져 있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철클립일 수 있다.
종래의 차일드 앵커 베젤과 달리 상기한 구조에 의한다면 노이즈 개선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커버(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차일드 앵커 베젤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40)의 힌지축(c)에서 일정 간격 하부에는 원형의 0도 하우징 홀(41)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c)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 홀(41)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45도 떨어진 위치에는 45도 하우징 홀(42)이 형성되어 있고, 다시 그로부터 45도 떨어진 위치에는 90도 하우징 홀(43)이 형성되어 있다. 세가지 홀(41, 42, 43)의 형상은 원형으로 모두 동일하다. 한편, 힌지축(c)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는 하우징 부위는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젤 커버(30)의 후방 양측부에는 커버 힌지부(33)가 있고 그 하부로 뻗은 부재(31)의 단부에는 외향하는 돌출부 형태의 스토퍼(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2)는 커버(30)를 닫은 도 3a 및 도 3b의 상태에서는 0도 하우징 홀(41)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베젤 커버(30)는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재료의 사출물로 되어 있어 상기 스토퍼(32)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31)는 탄성이 있다. 한편 커버 힌지부(33)의 하부에는, 탄성체로서, 하우징(40)에 내설되며 상기 힌지부(33)와 접촉하면서 힌지부를 상방으로 가세하는 철클립(5)이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30)를 닫은(클로즈 단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단면(도 3b에서 표시한 b-b단면과 같은 위치)으로서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의 커버 힌지부(33)와 철클립(5)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베젤 커버(30)를 닫은 상태에서는 스토퍼(32)가 0도 하우징 홀(41)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32)가 하우징 홀(4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커버(30)에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하 도 4b를 참조하여 커버 힌지부(33)와 철클립(5) 구조를 설명하면, 힌지 축(c; 도 3a 참조) 위치의 주변에 해당하며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하우징 부위에 상기 구조가 구성된다(단면의 빗금친 부분은 하우징 파트이다). 힌지축(c)을 둘러싸는 커버 힌지부(33)는 0도 면(34), 45도 면(35), 90도 면(36)을 구비하고 있다. 힌지축(c)으로부터 상기 면들(34, 35, 36)에 이르는 거리는 같다. 커버(30)가 닫힌 상태에서는 0도 면(34)이 커버 힌지부(33)의 하면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 힌지부(33)의 하부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철클립(5)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 철클립(5)은 접촉부(51)와 U자부(52)와 걸림부(53)로 구성되는데, 접촉부(51)는 상기 0도 면(34)에 면으로 접하고, U자부(52)는 U자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40)의 철클립 안착부(41)에 안착되어 있으며, 걸림부(53)는 하우징(40)의 걸림턱(42)에 끼워져 있다. 안착부(41)와 걸림턱(42)은 상기 철클립(5)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커버(30)를 열거나 닫는 중에도 안착부(41)와 걸림턱(42)에 각각 안착되어 있고 끼워져 있는 철클립(5)의 U자부(52)와 걸림부(53)는 철클립(5)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면 철클립(5)의 접촉부(51)는 상방으로 가세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세력에 의해 커버(30)의 고정력이 증가된다. 또, 상기 접촉부(51)는 상하로 요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클립(5)은 일종의 판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를 0도(클로즈 단계)에서 45도(제1 단계) 위치로 여는 과정에서의 커버 힌지부(33)와 철클립(5)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닫혀 있는 커버(30)를 열게 되면, 스토퍼(32)가 0도 하우징 홀(41)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커버(30)를 45도 열 때까지 스토퍼(32)는 0도 하우징 홀(41)과 45도 하우징 홀(42) 사이에서 하우징의 내면과 접촉하며 0도 하우징 홀(41)에서 45도 하우징 홀(42)까지 함께 이동한다(미도시).
이러한 과정에서 철클립(5)은 작동력을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러한 작동력을 설명하면, 초기에 커버(30)를 열 때 상기 철클립(5)의 탄성력을 이길 정도의 힘을 주게 되면, 0도 면(34)으로부터 접촉부(51)가 미끄러지게 되고, 0도 면(34)과 45도 면(35) 사이의 에지부와 접촉부(51)가 접촉하게 된다. 힌지축(c)에서 에지부까지의 거리는 힌지축에서 상기 면들(34, 35) 사이의 거리보다 크므로, 철클립(5)은 압축이 되고, 압축에 의해 커버 힌지부(33)로의 탄성력은 더 강해지게 된다. 즉, 커버(30)가 올려지는 과정이 힘을 받으므로 한결 스무드해진다. 상기 탄성력을 이길 만큼 커버(30)를 열게 되면(대략 22.5도 근방), 철클립(5)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커버(30)는 45도까지 자동으로 열리려고 하는 작동력을 받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30)를 45도(제1 단계)로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단면(도 3b에서 표시한 b-b단면과 같은 위치)으로서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의 커버 힌지부(33)와 철클립(5)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작동력에 의해 커버(30)가 45도 위치에 다다르면 45도 하우징 홀(42)에 스토퍼(32)가 삽입, 안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고, 철클립(5)의 접촉부(51)가 커버 힌지부(33)의 45도 면(35)에 접촉, 가세하여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45도(제1 단계) 오픈은 차일드 시트의 후크 크기가 작을 때 주로 사용 가능하다.
도 7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30)를 45도(제1 단계)에서 90도(제2 단계) 위치로 여는 과정에서의 커버 힌지부(33)와 철클립(5)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0도에서 45도 위치로 커버(30)를 여는 과정과 마찬가지로 먼저 스토퍼(32)가 45도 하우징 홀(42)에서 빠져나오고, 어느 정도의 힘을 주게 되면(대략 67.5도까지) 철클립(5)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30)가 90도까지 자동으로 열리려고 하는 작동력을 받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30)를 90도(제2 단계)로 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b-b단면(도 3b에서 표시한 b-b단면과 같은 위치)으로서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의 커버 힌지부(33)와 철클립(5)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작동력에 의해 커버(30)가 90도 위치에 다다르면 45도로 열 때와 마찬가지로, 90도 하우징 홀(43)에 스토퍼(32)가 삽입, 안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고, 철클립(5)의 접촉부(51)가 커버 힌지부(33)의 90도 면(36)에 접촉, 가세하여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90도(제2 단계) 오픈은 차일드 시트의 후크 크기가 클 때 주로 사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는 어퍼 차일드 앵커 베젤 커버의 스토퍼가 하우징에 일정 각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하우징 홀에 삽입, 이탈되고, 베젤 커버의 힌지부에 상기 일정 각도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클립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면에 철클립을 접촉, 가세시킴으로써, 내구 후에도 커버 오픈 고정력이 저하되지 않고, 커버 개폐시 및 주행시 노이즈 및 작동력을 개선시킬수 있으며, 차일드 시트 후크 장착 편의성을 제공하고 차일드 시트의 착용을 유도하여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 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커버 힌지부를 구비하는 베젤 커버와 하우징이 힌지 연결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서 대략 45도 간격으로 위치하는 3개의 하우징 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힌지부는 상기 하우징 홀에 삽입 이탈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베젤 커버의 스토퍼는 커버가 닫힌 클로즈 단계, 커버가 45도 부근에서 열려 고정되는 제 1단계, 커버가 90도 부근에서 열려 고정되는 제 2단계 위치에서 상기 3개의 하우징 홀에 각각 삽입되어서 베젤 커버에 고정력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젤 커버의 커버 힌지부의 측부에 가세하도록 배설된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의 측면은 상기 3개의 하우징 홀의 각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탄성체와 접촉하는 0도 면, 45도 면, 90도 면의 3개의 접촉면을 구비하여서, 베젤 커버의 개폐시, 상기 하우징 홀에 스토퍼가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상기 접촉면에 밀착, 가세하고, 상기 하우징 홀로부터 스토퍼가 이탈된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체가 커버 힌지부의 접촉면과 인접 접촉면 사이의 에지부에 가세하여 커버에 작동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커버 힌지부의 하부에서 상기 커버 힌지부에 접촉하며 상방으로 가세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철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KR1020040040457A 2004-06-03 2004-06-03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KR100570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57A KR100570382B1 (ko) 2004-06-03 2004-06-03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57A KR100570382B1 (ko) 2004-06-03 2004-06-03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86A KR20050115486A (ko) 2005-12-08
KR100570382B1 true KR100570382B1 (ko) 2006-04-11

Family

ID=3728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457A KR100570382B1 (ko) 2004-06-03 2004-06-03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16B1 (ko) 2009-09-17 2011-09-2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리어패키지트레이와 차일드 테더 앵커용 베젤의 조립장치
KR101817530B1 (ko) * 2016-05-23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일드 앵커 커버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101852060B1 (ko) * 2016-12-12 2018-04-26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일드 앵커 커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608B1 (ko) * 2005-09-14 2007-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일드앵커 시스템
KR100848459B1 (ko) * 2006-11-20 2008-07-25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일드 앵커
KR100844359B1 (ko) * 2007-07-13 2008-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일드 테더 앵커용 베젤
JP6180268B2 (ja) * 2013-10-01 2017-08-16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16B1 (ko) 2009-09-17 2011-09-2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리어패키지트레이와 차일드 테더 앵커용 베젤의 조립장치
KR101817530B1 (ko) * 2016-05-23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일드 앵커 커버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KR101852060B1 (ko) * 2016-12-12 2018-04-26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일드 앵커 커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86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382B1 (ko) 차일드 앵커 베젤 구조
JP4293116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340434B1 (ko) 차일드 앵커 커버 어셈블리
JP417968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4293117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001334826A (ja) 車両用ドアトリムの取付構造
JP4059144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00245032A (ja) 自動車用部品のロック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H11291835A (ja) カバーの取付け構造
KR101057039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장치
KR100394949B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의 고정클립
JP3086920B2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
JP2001207695A (ja)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KR100482664B1 (ko) 트렁크리드 잠금장치
JP2004042848A (ja) 車両用収納部構造
JPH07164972A (ja) コンソールドアロック
JP2005262982A (ja) ウエストモール取付構造
KR200254489Y1 (ko) 사이드 댐퍼
JP2001339824A (ja) 電気接続箱
JP3937199B2 (ja) 蓋体ロック装置
KR101805014B1 (ko) 일체형 차일드 앵커 베젤
JP3694632B2 (ja) 開閉ロック装置
JPH0853025A (ja) バニティミラー
JP2000085479A (ja) ケースのポケット部構造
JP2000085478A (ja) ケースのポケット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