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348A -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348A
KR20040094348A KR1020040030050A KR20040030050A KR20040094348A KR 20040094348 A KR20040094348 A KR 20040094348A KR 1020040030050 A KR1020040030050 A KR 1020040030050A KR 20040030050 A KR20040030050 A KR 20040030050A KR 20040094348 A KR20040094348 A KR 2004009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r
door
doors
c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7523B1 (ko
Inventor
볼프강 메이스너
발터 뉘브링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3956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9434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04009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2Operation of door or gate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가 다른 것 위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개의 카들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 상기 샤프트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을 가지고 상기 카들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들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샤프트 도어들 또는 카 도어들이 개방될때 카들의 이동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송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카들이 서로 가능한 방해하지 않도록 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안전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 및/또는 그와 연관된 카 도어를 각각 가진 적어도 두개의 독립 안전회로들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카의 이동이 안전장치들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본 발명이 제안된다. 엘리베이터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안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ELEVAT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본 발명은 하나가 다른 것 위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카(car)들이 위 및 아래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들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를 각각 포함함 ―를포함하고, 또한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이 개방될때 카들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안정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가 다른 것위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카(car)들이 위 및 아래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들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를 각각 포함함 ―를 포함하고, 또한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이 개방될때 카들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안정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들의 핸들링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이 US-A-19 73 920에서 제안되었으며, 상기 특허문헌에는 두개의 카들이 공통 이동경로를 따라 샤프트내에서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한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이 경우에 안정 유닛을 가지며, 이 안전 유닛의 도움으로 카 도어 또는 샤프트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 두개의 카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직렬접속 스위칭 접촉부들을 형성하는 모니터링 엘리먼트들이 모든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에 배치된다. 만일 이들 스위칭 접촉부들중 하나가 샤프트 도어 또는 카 도어의 개방으로 인하여 개방되면, 양 카들로의 공급전압은 인터럽트되고 결과적으로 카들의 이동은 차단된다.
인용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에, 하부 카는 상부 카위에서 이동된다. 이는 양 카들이 동시에 중지하고 다시 동시에 스타트 업하는 결과를 가진다. 만일 카 도어 및 샤프트 도어가 카의 로딩 또는 언로딩을 위하여 개방되면, 양 카들의이동은 사용중인 안전장치에 의하여 차단되나, 양 카들이 동시에 정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단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교통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두개의 카들이 샤프트내에서 서로 무관하게 상하로 이동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엘리베이터 장치는 양 카들이 단지 하나의 카가 로드 또는 언로드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걸리거나 또는 정지될 수 있고 다른 방식으로 카 도어 및 연관된 하나의 카의 샤프트 도어가 열릴때 사용중인 안정장치로 인하여 다른 카의 경우에 비상정지가 트리거되는 적정 동작모드에 의하여 안정하게되어야 한다. 이는 다른 카의 승객들에게 상당한 상해위험의 결과를 초래한다. 카들중 한 카의 중지는 결과적으로 다른 카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는 결국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송용량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송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카들이 가능한 서로 방해하지 않도록, 앞서 언급된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개선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축-도어 안전 유닛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추출형태인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엘리베이터 장치 12: 샤프트
14: 상부 카 16: 하부 카
24, 25: 드라이브 모터 28, 29: 브레이크
34: 카 도어 37: 카-도어 안전회로
이러한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 및/또는 이와 연관된 카 도어를 각각 가진 적어도 두개의 독립형 안전회로를 가진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의 이동이 안전 회로들에 의하여 차단되도록 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카들의 상호간 방해가 각각 서로에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의 카의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안전회로를 사용함으로서 감소될 수 있는 사상을 통합한다. 이는 카들의 제어가 카 도어들 및 샤프트 도어들의 상태와 별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적절한 경우에 단지 하나의 카의 이동만이 차단되고 다른 카의 이동은 방해받지 않고 계속될 수 있다. 특히, 이는 하나의 카가 정지될때 카 도어들 및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이 다른 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샤프트는 샤프트 도어들이 단지 하나의 안전 회로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이들 샤프트 도어들중 한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안전회로에 결합된 카들의 이동만이 차단된다. 결과로서, 다른 샤프트 영역들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카들의 이동은 단순한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샤프트는 다수의 샤프트 영역들, 예컨대 상부 샤프트 영역 및 하부 샤프트 영역내로 수직방향으로 다시 분할될 수 있다. 만일 샤프트 도어가 상부 샤프트 영역에서 개방되면 이는 단순히 상기 샤프트 도어와 연관된 안전 회로가 응답하는 결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안전회로에 결합된 카들의 이동은 차단되나 안전장치와 결합되지 않은 카들의 이동은 차단되지 않는다.
단지 하나의 안전회로와 각각 연관된 샤프트 영역들은 수직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며 이에 따라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은 연관된 안전회로가 응답하는 결과를 각각 가지며, 상기 개별 샤프트 영역들은 각각 그들과 연관된 개별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카들이 각각 그들과 연관된 다른 샤프트 도어들을 가지도록 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하나의 카와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 또는 폐쇄는 다른 카의 이동을 차단하지 않는다.
샤프트는 샤프트 도어들이 적어도 두개의 안전회로들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샤프트 도어가 샤프트 영역에서 개방되면, 다른 카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안전회로들이 응답한다.
만일 카의 도어들이 단지 하나의 안전 회로와 연관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결과로서, 카 도어가 개방될때 단지 상기 카와 연관된 안전회로만이 응답하고 다른 안전회로들이 상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구성적으로 단순한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상부 카는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 상부 샤프트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카는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 하부 샤프트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카의 카 도어들 및 상부 샤프트 영역의 샤프트 도어들은 하나 이상의 제 1 안전회로들과 연관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카의 카 도어들 및 하부 샤프트 영역의 샤프트 도어들은 하나 이상의 제 2 안전 회로들과 연관된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샤프트내에서 두개의 카들이 상부 샤프트 영역 및 하부 샤프트 영역에서 서로에 무관하게 이동하고 또한 두개의 카들의 이동이 서로 방지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만일 적어도 하나의 안전회로가 그와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만을 가지는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만이 카들의 이동만을 차단하며, 상기 카들의 서빙 영역내에는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이 배치된다. 카들의 "서빙 영역"은 하나의 카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의 영역을 의미하는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만일 안전장치가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를 가지면, 상기 안전회로는 단지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에만 응답한다음에 카들의 이동을만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카의 서빙영역내에는 샤프트-도어 안전회로와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이 배치된다.
만일 적어도 하나의 안전회로가 그와 연관된 카 도어들만을 가지는 카-도어 안전회로를 형성하면 카-도어 안전회로는 카 도어들이 카-도어 안전회로와 연관되는 카들의 이동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카-도어 안전회로는 연관된 카 도어들의 개방에만 응답하며, 샤프트 도어의 개방은 카-도어 안전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만일 각각의 카-도어 안전회로가 그와 연관된 하나의 카의 카 도어들만을 각각 가지는 경우에 유리하다. 만일 카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카와 연관된 단지 카-도어 안전회로만이 응답하며 다른 카들의 카-도어 안전회로들이 상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각각의 카는 단일 카-도어 안전회로 및 이와 연관된 단일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엘리베이터 장치를 가능한 단순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카들이 서로 거의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높은 이송용량이 달성된다. 카와 각각 연관된 카-도어 안전회로는 단순히 그 자신의 카 도어들의 상태를 모니터하며,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는 그것이 상기 카의 서빙 영역에 배치된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에만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특히 구성적으로 단순한 구성의 경우에, 카-도어 및 카와 각각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은 모니터링 엘리먼트들, 예컨대 서로 직렬로 접속된 스위칭 접촉부들을 가진다. 이는 예컨대 서빙 영역내에 배치된 샤프트 도어들중 하나 또는 카 도어들중 하나가 개방되자마자 카의 이동이 차단되는 직렬접속에 의하여 확실하게 될 수 있다. 샤프트 도어로 이동하는 각각의 카에 대한 각각의 샤프트 도어에 샤프트-도어 모니터링 엘리먼트가 배치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는 카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와 각각 연관된 샤프트-도어 모니터링 엘리먼트들, 예컨대 스위칭 접촉부들을 서로 직렬로 접속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다른 카들의 샤프트-도어 안전 회로들과 연관된 스위칭 접촉부들의 직렬 접속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샤프트내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카들의 서빙 영역들은 서로 분리되며, 이에 따라 서빙 영역은 다른 카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다. 그러나, 높은 이송용량을 달성하기 위하여, 샤프트 도어들의 적어도 한 도어가 제 1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카에 의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카들의 서빙 영역들이 중첩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단지 하나의 카의 서빙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 및 하나의 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카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 둘다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에 의하여 각각의 카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카가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서 정지될때 샤프트 도어의 개방 및 폐쇄의 모니터링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카가 정지할때의 샤프트 도어의 개방에 의하여 안전장치가 응답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다른 카의 이동이 차단되는 구성에 의하여 확실하게 될 수 있다. 오히려, 샤프트 도어의 동작 개방시에, 모니터링이 디스에이블된다. 샤프트 도어의 "동작 개방"은 도어의 개방시 카가 샤프트-도어 영역에 들어갈때 샤프트 도어의 개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카 도어의 개방과 동일한 방식에서, 샤프트 도어의 개방은 카가 대략 0.8 m/s 보다 느린 속도를 가지는 경우에 대략 +/- 0.3m의 거리에서 샤프트 도어를 가진 카의 위치가 도달하기 바로전에 일어날 수 있다. 샤프트 도어의 개방은 카 도어의 개방동작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카가 정지할때 카의 적어도 한 도어가 샤프트 도어에 결합되며, 이에 다라 카의 도어와 함께 샤프트 도어가 개방된다. 샤프트 도어의 모니터링을 디스에이블하는 가능성 때문에, 샤프트내의 다른 카들의 이동은 한 카의 정지에 의하여 악영항을 미치지 않는다.
개방 및 폐쇄 상태의 모니터링은 적어도 두개의 카들의 서빙영역에 배치되는 샤프트 도어들에 의해서만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단일 카의 서빙영역에 배치되는 샤프트 도어들의 모니터링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기 구성의 경우에 디스에이블될 수 없다. 이는 모니터링이 디스에이블될 수 없는 샤프트 도어를 이동 및 개방시킴으로서 카에 결합된 안전회로의 응답을 체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의 개방 및 폐쇄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은 샤프트 도어 또는 카 도어들과 각각 상호작용하는 안전장치의 모니터링 엘리먼트들의 도움으로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관된 샤프트 도어 또는 카 도어의 개방에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칭 접촉부들은 예컨대 모니터링 엘리먼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위칭 접촉부들의 접촉 또는 무접촉 동작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이 스위칭 접촉부들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유도 또는 용량성 결합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렇치 않은 경우에 적외선 또는 광방사에 의한 결합이 제공된다.
모니터링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샤프트 도어들의 모니터링 엘리먼트가 무효하게 되고, 예컨대 교락 유닛에 의하여 교락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교락유닛은 샤프트 도어, 그렇치 않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카들에 배치될 수 있다. 교락유닛이 연관된 샤프트 도어에서 카 정지부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엘리먼트를 가지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만일 카를 개방하지 않고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 들어가면, 카는 샤프트 도어와 연관된 모니터링 엘리먼트들을 교락시키는 교락 유닛의 작동 엘리먼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 엘리먼트의 작동은 접촉 그렇치 않은 경우에 무접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작동 엘리먼트는 카의 접근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자기 스위치로서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설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엘리먼트 장치는 승객에 의한 목적지 호출의 입력동안 샤프트 외부에 배치된 입력 엘리먼트들에 바람직하게 접속되는 설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카의 이동 목적지는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입력될 수 있으며, 샤프트 도어들의 모니터링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하여 사용된 교락 유닛들이 엘리베이터 제어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카가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에 정지할때마다 샤프트 도어의 교락 유닛들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교락 유닛들은 카에 의한 작동 엘리먼트들의 작동에 의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교락 유닛들이 장치 제어부에 의하여 제공된 제어신호에 동작되는 시간에 있을때마다 작동 엘리먼트들의 작동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교락 유닛들은 두개의 채널 형태로 구성되며, 이 두 채널은 각각 연관된 샤프트 도어의 모니터링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하여 동시에 유효하게 된다. 교락 유닛의 제 1채널은 샤프트 도어의 영역에서 정지하는 카와 상호작용하는 각각의 작동 엘리먼트에 의하여 제어되며, 교락 유닛의 제 2채널은 장치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된다. 장치 제어부의 제어신호가 제공되고 작동 엘리먼트가 카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에만, 샤프트 도어의 모니터링은 디스플레이된다.
샤프트 도어가 샤프트 도어에 대응하는 정지부에 제공되는 카없이 개방될때 상기 정지부에 모든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이 응답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카들의 구동 및 제어 엘리먼트들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각각의 카는 개별 전압 공급유닛에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카의 카-도어 및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 즉 각각의 카가 통합되는 카-도어 및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이 카의 각 전압 공급유닛에 접속되는 경우에 유리하며, 적어도 두개의 카들의 서빙 영역에 배치된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은 대상 카들중 한 카의 전압 공급유닛에 접속될 수 있다.
다수의 카들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 샤프트-도어안전회로들은 상기 카가 동작중인한 미리 선택된 카의 전압 공급유닛에 자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 다수의 카들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샤프트 도어들을 가진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은 바람직한 전압 공급유닛에 접속되며, 전압 공급유닛은 샤프트 도어들로 이동하는 카들중 한 카의 전압 공급전압 유닛이다. 그러나, 접속은 단지 상기 카가 동작중일때만 존재한다. 만일 상기 카가 동작중이 아닌경우에, 문제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은 샤프트 도어들로 이동하는 카들중 다른 카의 공급 전압유닛에 자동적으로 접속된다. 결과로서, 예컨대 유지 및 수선작업동안 그들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카 및 다른 카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을 가지는 샤프트-도어 안전 회로들 없이 카의 전압 공급유닛은 스위치 오프되며 카는 동작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은 개방된 샤프트 도어가 놓이는 서빙영역내의 샤프트내에서 모든 카들의 이동을 방해하는 결과를 샤프트 도어들의 비동작 개방이 가지도록 한다. 그러나,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은 카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단지 안전 관련 사건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 상태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두개의 카들이 함께 너무 접근하면 엘리베이터 장치는 카들중 적어도 하나의 카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며, 예컨대 카를 브레이크 걸거나 가속시킬 수있다. 각각의 카가 그와 연관된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를 가지는 경우에, 이에 의하여 카의 이동은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들의 상태에 따라 차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부재는 스위칭 부재가 무효화 되도록 하기위하여 그와 연관된 교락 엘리먼트를 가지며, 제 1카가 연관된 활성 교락 엘리먼트와 함께 이동할때 적어도 하나의 제 2카가 차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안전 교락 스위칭 부재가 무효하게 될 수 있는 사실, 예컨대 교락 엘리먼트에 의하여 교락될 수 있는 사실에 의하여 구별되나, 제 1카가 활성 교락 엘리먼트와 함께 이동할때 적어도 하나의 제 2카의 이동은 차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 예컨대 근접 스위치는 두개의 카가 고의로 함께 근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무효하게 될 수 있으며, 응답 근접 스위치는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를 형성하나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는 선택적으로 무효하게 되며 예컨대 교락될 수 있다. 두개의 카들이 다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할때, 교락은 다시 디스에이블될 것이다. 교락이 예컨대 결함때문에 고의로 유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제 1카가 연관된 활성 교락 엘리먼트와 함께 이동할때 적어도 하나의 제 2카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이는 하나의 카에 의하여 이동이 수행될지라도 교락 엘리먼트가 손상될때조차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한 이동이 계속해서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에 다른 카의 이동이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의 결함 교락에 의하여 야기산 사고의 임의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되도록 한다. 교락대신에, 스위칭 부재를 무효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형태가 예컨대 전압 공급의 제거에 의하여 예상가능하다.
제 2카의 차단이 엘리베이터 제어에 의하여 무효로 될 수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는 특정 샤프트 도어의 영역내의 차단을 무효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제 2카는 샤프트 도어 영역내에서 정렬될 수 있나 샤프트 도어의영역을 떠날 수 없다.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를 각각 가진 카들 및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를 가지고, 하나가 다른 것위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카(car)들이 위 및 아래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이 개방될때 카들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안정장치를 가진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장치의 가능 높은 이용가능성과 함께 이송용량을 달성하는 것은 카 도어들 및 모든 샤프트 도어들의 개방 및 폐쇄 상태들에 따라 그리고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든 카들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카의 이동이 개별적으로 차단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개별 카 도어들의 상태, 개별 카들의 위치들 및 샤프트 도어들의 상태들을 체크한후에 개별 카들의 이동이 해제 또는 차단될 수 있는 사실에 의하여 구별된다. 만일 예컨대 상부 카가 상부 샤프트 영역에 배치되고 하부 카가 하부 샤프트 영역내에 위치된다고 가정하면, 하부 카의 이동은 샤프트 도어가 하부 카의 서빙영역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부 샤프트 영역내에서 개방될때조차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샤프트 도어가 하부 카의 서빙 영역내에서 개방되면, 하부 카의 이동은 샤프트 도어의 개방이 상부 카에 의하여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샤프트내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카들의이동이 가능한 방해되지 않아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송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로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 실시예는 개략도로 도시되고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샤프트(12)내에서 하나가 다른 것 위에 배치된 두개의 카들, 특히 가이드들(11, 13)상의 공통 이동경로를 따라 개별적으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 카(14) 및 하부 카(16)를 포함한다.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내에는 샤프트(12)가 두개의 카들(14, 16)에 대하여 오프셋된 것으로 도시된다.
상부 카(14)는 현가 케이블(18)을 통해 카운터웨이트(19)에 결합되며, 하부 카(16)는 현가 케이블(21)을 통해 카운터웨이트(22)에 결합된다. 각각의 카(14, 16)는 전자 드라이브 모터(24, 25)의 형태로 그와 연관된 개별 드라이브 및 각 경우에 개별 브레이크(28, 29)를 각각 가진다. 드라이브 모터들(24, 25)은 현가 케이블들(18, 21)이 리드된 견인 도르래(31, 32)를 구동시킨다.
상부 카(14)는 두개의 도어 리프를 가진 카 도어(34)를 가지며,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상태는 스위칭 엘리먼트들(35)에 의하여 표현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된다. 스위칭 엘리먼트(35)는 연관된 카 도어(34)가 폐쇄될때 폐쇄되는 전기 접촉부들을 가진다. 스위칭 엘리먼트들(35)의 전기 접촉부들은 연관된 카 도어(34)가 폐쇄되지 않을때 개방된다. 상부 카(14)의 모든 스위칭 엘리먼트들(35)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며 상부 카(14)의 카-도어 안전회로(37)를 형성한다.
대응 방식에서, 하부 카(16)는 두개의 도어 리프를 가진 카 도어(39)를 가지며, 도어의 개방 및 폐쇄상태는 전기 스위칭 엘리먼트들(40)의 형태의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된다. 스위칭 엘리먼트들(40)은 연관된 카 도어(39)가 폐쇄될때 폐쇄되는 전기 스위칭 접촉부들을 가진다. 스위칭 엘리먼트들(40)의 전기 접촉부들은 연관된 카 도어(39)가 폐쇄되지 않을때 개방된다. 하부 카(16)의 모든 스위칭 엘리먼트들(40)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며, 하부 카(16)의 카-도어 안전회로(42)를 형성한다.
카들(14, 16)중 한 카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한 각 정지부에서, 샤프트(12)는 일 실시예에서 두개의 도어 리프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14)를 가진다. 샤프트 도어들(44)의 개방 및 폐쇄 상태는 전기 접촉부들을 가진 각각의 연관된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모니터링된다. 각각의 샤프트 도어(44)는 차단수단, 예컨대 신호 접촉부들을 가진 후크 볼트들을 가진다. 모니터링 수단 및 차단수단은 이후에 스위칭 엘리먼트(45)로서 언급된다. 스위칭 엘리먼트(45)의 전기 접촉부들은 연관된 샤프트 도어(44)가 폐쇄 및 로크될때 폐쇄되며, 접촉부들은 연관된 샤프트 도어(44)가 폐쇄 또는 로크되지 않을때 개방된다.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의 전기 접촉부들에 대한 상호접속은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고 도 2에 도시된 샤프트-도어 안전 유닛(47)을 형성한다.
만일 카(14, 16)가 그것에 의하여 서비스될 수 있는 정지부에 들어가면, 거기에서 로드 또는 언로드되도록 하기 위하여, 카 도어(34, 39)는 전기 도어 드라이브에 의하여 공지된 방식으로 정지부의 언로킹 영역에서 개방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여기에서 기술되지 않은 방식에서, 본 경우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하여, 정지부에 들어갈때 대응 카(14, 16)가 들어가는 정지부의 카 도어(34 또는 39) 및 샤프트 도어(44)사이에 기계적인 결합이 발생한다. 개방 카 도어(34 또는 39)의 이동은 결합된 샤프트 도어(44)가 언로크되고 카 도어(34 또는 39)와 동시에 발생하는 효과를 가진다. 폐쇄동작은 대응 방식으로 일어나며, 샤프트 도어(44)는 폐쇄 위치에 로크되며 카 도어(34 또는 39) 및 샤프트 도어(44)간의 기계적인 결합은 다시 해제된다.
각각의 카(14, 16)는 각각의 카(14 또는 16)와 연관된 모든 제어 및 구동 소자들에 전압을 공급하는 개별 전압 공급유닛(49, 50)과 연관된다. 특히, 각각의 카(14, 16)의 브레이크들(28, 29) 및 전기 드라이브 모터들(24, 25)은 각각 연관된 전압 공급유닛(49 또는 50)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전압 공급유닛(49)은 전기 공급라인(52) 및 제 1 전류경로(53)를 통해 드라이브 모터(2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전기 공급라인(52) 및 제 2전류경로(54)를 통해 상부 카(14)의 브레이크(2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 1접촉블록(55) 및 자동 드라이브 제어부(56)는 전기 공급라인(52) 및 제 1전류경로(53)사이에 접속되며, 제 2접촉블록(57)은 전기 공급라인(52) 및 제 2전류경로(54)사이에 접속된다.
대응 방식으로, 하부 카(16)의 전압 공급유닛(50)은 전기 공급라인(60) 및 제 1전류경로(61)를 통해 연관된 드라이브 모터(25)에 접속되며, 전기공급라인(60) 및 제 2전류경로(62)를 통해 연관된 브레이크(29)에 접속되며, 제 1접촉블록(63) 및 자동 드라이브 제어부(64)는 전기 공급라인(60) 및 제 1전류경로(61)사이에 접속되며, 제 2접촉블록(65)은 전기 공급라인(60) 및 제 2전류경로(62)사이에 접속된다.
카(14 또는 16)와 각각 연관된 제 1 및 제 2접촉블록들(55, 57;63, 65)은 각각의 카(14 또는 16)와 연관된 이동 접촉기(67 또는 69)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부 카(14)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접촉블록들(55, 57)은 이동 접촉기(67)의 접촉기 접촉들을 형성하며, 하부 카(16)와 연관된 제 1 및 제 2접촉블록들(63, 65)은 이동 접촉기(69)의 접촉기 접촉들을 형성한다.
이동 접촉기(67)의 전압 공급은 상부 카(14)와 연관되고 이동 접촉기(67)가 상부 카(14)의 전압 공급유닛(49)에 접속되는 안전 체인(71)을 통해 수행된다. 안전 체인(71)은 상부 카(14)와 연관된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 상부 카(14)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의 상부 접촉부들(74), 및 카-도어 안전회로(37)에 의하여 형성된다. 샤프트-도어 모니터링 회로(72), 출력 접촉부들(74) 및 카-도어 안전회로(37)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다. 상부 카(14)와 연관된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는 공지된 방식으로 여기에 구성되며 상부 카(14)와 연관된 모든 안전 스위치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비상 제안 스위치들, 안전 기어 스위치들, 버퍼 스위치들 등과 같은 안전 루프에 통합된다. 그러나,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에는 상부 카(14)의 카 도어들(34)에 대한 스위치 엘리먼트들(35)과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이 통합되지 않는다.
전압 공급유닛(49)으로부터 이동 접촉기(67)로의 전류흐름은 전류 흐름에 포함되는 안전 체인(71)의 모든 전기 접촉부들이 폐쇄될때 발생한다. 전류 흐름은 전류 흐름에 포함된 단지 하나의 접촉부만이 개방되자마자 인터럽트된다. 만일 안전 체인(71)의 모든 접촉부들들이 폐쇄될때, 상부 카(14)의 브레이크(28)는 브레이크(28)가 개방되도록 전기 공급라인(52) 및 제 2전류경로(54)를 통해 전압 공급유닛(49)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동시에, 상부 카(14)의 드라이브 모터(24)는 전기 공급라인(52) 및 제 1전류경로(53)를 통해 전압 공급라인(49)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며 카(1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세팅될 수 있다. 안전 체인(71)을 통해 이동 접촉기(67)로의 전류 흐름의 인터럽션은 제 1 및 제 2 접촉블록들(55, 57)이 개방되고 브레이크(28) 및 드라이브 모터(24)로의 에너지 공급이 인터럽트되는 결과를 유발한다. 이는 드라이브 모터(24)에 드라이브 에너지가 이용가능하지 않고 브레이크(28)가 수행되는 효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드라이브 모터(24)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브레이크 걸리며 결과적으로 카(14)는 정지된다.
하부 카(16)와 연관된 이동 접촉기(69)는 하부 카(16)의 안전 체인(78)을 통해 하부 카(16)의 전압 공급유닛(50)에 접속된다.
안전 체인(78)은 안전 체인(71)의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하부 카(16) 및 하부 카(16)의 카-도어 안전회로(42)의 스위칭 엘리먼트(40)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의 출력 접촉부들(80)과 직렬로 접속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9)를 가진다.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9)는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의 방식에 대응하는방식으로 형성된다.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9)는 안전 루프, 예컨대 비상 제한 스위치들, 안전 기어 스위치들, 버퍼 스위치들 등에 통합되고 하부 카(16)와 연관된 모든 안전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9)내에는 하부 카(16)의 카 도어들(39)에 대한 스위칭 엘리먼트들(40)과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이 포함되지 않는다.
전압 공급유닛(50)으로부터 이동 접촉기(69)로의 전류 흐름은 전류 흐름에 포함된 안전 체인(78)의 모든 전기 접촉부들이 폐쇄될때만 일어진다. 전류 흐름은 전류 흐름에 포함된 단지 하나의 접촉부들만이 개방되자 마자 인터럽트된다. 만일 전류의 흐름이 일어나면, 연관된 제 1 및 제 2 접촉블록들(63, 65)은 이동 접촉기(69)에 의하여 폐쇄되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29)는 전기 공급라인(60) 및 제 2전류경로(62)를 통해 전압 공급유닛(50)에 접속되며 이 결과로 개방되며, 드라이브 모터(25)는 전기 공급라인(60) 및 제 1전류경로(61)를 통해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며 하부 카(16)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되도록 세팅된다. 드라이브 모터(25)의 회전속도는 예컨대 주파수 컨버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자동 드라이브 제어부(64)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부 카(14)와 연관된 자동 드라이브 제어부(56)는 드라이브 모터(24)의 회전속도의 대응 자동제어를 허용하며 마찬가지로 주파수 컨버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전압 공급유닛(50)으로부터 안전 체인(78)을 통해 이동 접촉기(69)로의 전류 흐름이 인터럽트되면, 제 1 및 제 2 접촉 블록들(63, 65)의 접촉부들은 개방되며, 즉 드라이브 모터(25) 및 브레이크(29)로의 에너지 공급이 인터럽트된다. 이는 브레이크(29)가 동작되어 드라이브 모터(25)의 드라이브 샤프트가 브레이크 걸리며 결과적으로 하부 카(16)가 정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0)는 상부 카(14)의 드라이브 모터(24)의 드라이브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고 또한 신호 라인(86)을 통해 인코더(87)에 접속되는 설치 제어부(85)를 가지고, 설치 제어부(85)에 변위 펄스들을 제공하며, 상기 설치 제어부(85)는 상기 변위 펄스들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부 카(1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 신호라인(88)을 통해 설치 제어부(85)는 인코더(89)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인코더(89)는 하부 카(16)의 드라이브 모터(25)의 드라이브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한 고정방식으로 장착되어 변위 펄스들을 장치 제어부(85)에 제공하며, 설치 제어부(85)는 상기 변위 펄스들로부터 통상적인 방식으로 하부 카(16)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 제어부(85)는 상부 카(14)와 연관되고, 카-도어 안전회로(37)와 병렬로 접속되며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제 1교락 회로(92)와 제 1제어라인(91)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부 카와 연관된 카-도어 안전회로(42)를 교락시키기 위하여 제 2교락회로(93)가 사용되며, 제 2교락회로(93)는 제 2제어라인(94)을 통해 장치 제어부(85)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교락회로들(92, 93)에 의한 카-도어 안전회로들(37, 42)의 교락은 각각의 정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레벨에 카(14 또는 16)가 도달하기전에 상기 정지부의 언로킹 영역내에서 개방될 카 도어들(34, 39)에 대하여 정지부가 들어갈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14 또는 16)는 이미 개방된 다른 카(34 또는 39)와 동일평면상의 레벨에 도달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카 도어들(34 또는 39)의 개방은 카-도어 안전회로(37 또는 42)가 개방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동 접촉기(67 또는 69)의 전류 흐름에 대한 인터럽션은 제어신호가 상부 또는 하부 카(14, 16)의 각각의 확인된 위치에 따라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제공되는 경우에 제 1 또는 제 2 교락회로(92 또는 93)에 의하여 방지될 수 있다. 교락 회로(92 또는 93)의 작동은 전기 접촉부들이 폐쇄되어 결과적으로 교락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개방 카-도어 안전회로(37 또는 42)는 연관된 이동 접촉기(67 또는 69)로의 전류 흐름의 인터럽션을 더 이상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연관된 교락회로(92 또는 93)가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작동되지 않으면, 접촉부들은 개방되고 이에 따라 교락이 발생되지 않는다.
샤프트(12)내의 카들(14, 16)의 위치들은 각각의 인코더들(87, 89)에 의하여 제공된 변위 펄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장치 제어부(85)에 알려지며, 교락회로(92, 93)의 작동은 각각의 카(14 또는 16)가 이동 목적지인 정지부의 인코딩 영역에 배치될때마다 발생한다.
만일 카(14, 16)가 정지부에 들어가는 동안 카 도어들(34 또는 39)이 개방될때 각각의 샤프트 도어(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이 작동되면, 각각의 카(14 또는 16)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81)의 출력 접촉부들(74, 80)은 교락회로들(92, 93)에 의하여 각각의 카-도어 안전회로(37 또는 42)에 더하여 교락될 수있으며, 교락회로들(92, 93)은 연관된 카-도어 안전회로(37 또는 42)의 교락을 허용하는 접속라인(96)이 아니라 도 1에서 점선들로 표시된 접속라인(97)을 통해 각각의 안전 체인(71 또는 78)에 접속되며, 접속라인(97)은 카-도어 안전회로(37 또는 42)의 교락 뿐만아니라 각각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또는 81)의 출력 접촉부들의 교락을 허용한다.
샤프트 안전회로들(75, 81)은 도 2를 참조로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서, 엘리베이터 장치(10)는 전체 11개의 정지부들을 가지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형식으로 도시되며, 최하 정지부는 빌딩의 지하층상에 배치되며 도면부호(100)를 가지며, 다음 정지부는 제 1상부층상에 배치되고 도면부호(101)를 가진다. 다른 정지부들은 도면부호(102)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제 10 상부층상의 정지부는 도면부호(110)를 가진다.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제 3 내지 제 6 층들의 정지부들은 도 2에 도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응 정지부들 및 이들 정지부에 있는 대응 소자들의 전기 배선의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정지부(102 또는 107)와 동일하다.
도 2에 기술된 전형적인 실시예의 경우에, 지하층상에 배치된 정지부(100)가 하부 카(16)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제 9 및 제 10 층들의 두개의 최상부 정지부들(109, 110)이 상부 카(14)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들 층사이에 배치된 정지부들(101 내지 108)이 양 카들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것이 가정된다. 하부 카(16)의 서빙 영역은 정지부들(100 내지 108)위에서 연장하며, 상부 카(14)의 서빙영역은 정지부(101 내지 110)위에 연장되며, 전체 샤프트(12)는 정지부들(109,110)을 상부 샤프트 영역, 정지부(101 내지 108)를 가진 공통 샤프트 영역 및 정지부(100)를 가진 하부 샤프트 영역으로 다시 세분화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샤프트 영역들의 정지부들은 두개의 카들(14, 16)중 하나의 카에 의해서만 각각 이동될 수 있으며, 공통 샤프트 영역내의 정지부들은 양 카들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2에서, 모든 정지부들(100 내지 110)은 각각 각각의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과 연관되며, 모든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은 샤프트-도어 접촉부(45a) 및 볼트 접촉부(45b)를 가지며, 이 샤프트-도어 접촉부(45a) 및 볼트 접촉부(45b)는 최상부 정지부(110)의 스위칭 엘리먼트의 예로서만 도 2에 기술된다. 샤프트 도어 접촉부(45a)는 샤프트 도어(44)가 폐쇄될때 폐쇄되며, 볼트 접촉부(45b)는 샤프트 도어(44)가 로크될때 폐쇄된다.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은 전체적으로 샤프트-도어 안전유닛(47)을 형성한다. 이는 상부 카(14)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및 하부 카(16)와 연관되는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를 가진다. 상부 카(14)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는 출력 접촉부들(74)을 가지는 스위칭 유닛(112)에 접속되며, 하부 카(16)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는 출력 접촉부들(80)을 가진 스위칭 유닛(114)에 접속된다.
하부 카(16)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는 지하층상에 배치된 정지부들(100) 및 정지부들(101 내지 108)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의 직렬접속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 9 내지 제 10 상부층들상에 배치된 정지부들(109, 110)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은 하부 카(16)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에 통합되지 않는다.
하부 카(14)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는 지하층상에 배치된 정지부들(100) 및 정지부들(101 내지 110)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의 직렬접속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 1층상에 배치된 정지부들(100)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은 상부 카(14)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에 통합되지 않는다.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에의 전압공급은 공통 급전라인은 스위칭 유닛들(112, 114)에 접속되고, 접촉 블록들(119, 120)을 통해 상부 카(14)의 전압 공급유닛(49)에 또는 하부 카(16)의 전압 공급유닛(50)에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공통 급전라인(116) 및 공통 리턴라인(117)을 통해 발생한다. 접촉 블록들(119, 120)은 상부 카(14)의 전압 공급유닛(49)에 접속되는 스위칭 접촉기(12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만일 상부 카(14)가 동작중이면, 전압 공급유닛(49)은 작동된다. 스위칭 접촉기(122)에는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며, 두개의 접촉 블록들(119, 120)은 두개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의 공통 리턴라인(117) 및 공통 급전라인(116)이 전압 공급유닛(49)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작동된다. 만일 다른 한편으로 상부 카(14)가 동작중이 아니라면, 전압 공급유닛(49)은 스위치 오프된다. 이는 스위칭 접촉기(122)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 다음에, 접촉 블록들(119, 120)은 급전라인(116) 및 리턴 라인(117)이 하부 카(16)의 전압 공급유닛(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칭 위치를 가정한다.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은 단일 전압 공급유닛(49 또는 50)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며, 상부 카(14)의 전압 공급유닛(49)은 카(14)가 동작할때마다 사용된다.
상부 카(14)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를 통한 전류흐름은 급전라인(116)으로부터, 카들(14, 16)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정지부들(101 내지 108)의 직렬접속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을 통해, 또한 상부 카(14)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정지부들(109, 110)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 결과적으로 전류경로(124)를 통해 스위칭 유닛(112)으로 이루어지며, 스위칭 유닛(112)으로부터 리턴 라인(117)을 통해 두개의 전압 공급유닛들(49 또는 50)중 하나로 이루어진다.
하부 카(16)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를 통한 전류흐름은 급전라인(116)으로부터, 카들(14, 16)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정지부들(101 내지 108)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을 통해, 그 다음에 전류경로(125)를 통해 최하위 정지부(100)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로 이루어지며, 그 다음에 스위칭 유닛(114)을 통해 리턴라인(117)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각각의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또는 81)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스위칭 유닛들(112, 114)에 공급되면, 출력 접촉부들(74 또는 80)은 폐쇄된다. 만일 스위칭 유닛들(112 또는 114)로의 에너지 공급이 인터럽트되면, 각각의 출력 접촉부들(74 또는 80)은 폐쇄된다.
정지부(101 내지 108)의 영역에 배치되고 카들(14, 16)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은 각각의 정지부의 영역내에 배치되고 각각의 스위칭 엘리먼트(45)가 전기적으로 교락되도록 무효로될 수 있는 개별적으로 연관된 교락유닛(127)을 각각 가진다. 동일하게 구성된 교락유닛들(127)은 각각의 경우에 두개의 제어 채널들을 가지며, 이 두개의 제어채널들은 각각의 정지부(101 내지 108)의 영역에 배치된 포크형 자기 스위치(129)를 가진 제 1입력 라인(128)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입력라인(130)을 통해 장치 제어부(85)의 제어 엘리먼트(132)에 접속된다.
교락 유닛들(127)은 각각 일련의 제 1 접촉부들(134) 및 일련의 제 2 접촉부들(135)을 가지며, 이들 접촉부들의 스위칭 위치들은 항상 동일하다. 일련의 제 1접촉부들(134)의 각각은 출력라인(137)을 통해 장치 제어부(85)의 리턴 신호 엘리먼트(13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각각의 교락유닛(127)과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45)는 일련의 제 2 접촉부들(135)을 통해 교락될 수 있다.
스위칭 엘리먼트(45)의 교락은 샤프트(12)내의 각 정지부의 영역내에 배치된 자기 스위치(129)가 작동되고 제어 신호가 제 2입력라인(130)을 통해 제어 엘리먼트(132)에 의하여 제공될때마다 연관된 교락유닛(127)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자기 스위치(129)는 카들(14, 16)상에 고정되고 예컨대 시트-금속 스트립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스위칭 러그들(140)에 의하여 작동한다. 한편으로 각각의 자기 스위치들(129)과 연관된 정지부의 영역의 샤프트(12)에의 자기 스위치들(129)의 장착 위치들 및 다른 한편으로 카들(14, 16)상의 스위칭 러그(14)의 장착위치들은 두개의 카(14, 16)중 한 카가 각각의 자기 스위치(129)와 연관된 정지부의 언로킹 영역에 있을때마다 자기 스위치(129)가 작동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두개의 일련의 접촉부들(134, 135)은 대응교락유닛(127)의 제어 채널들이 동시에 작동될때마다 폐쇄된다. 앨런의 접촉부들(134, 135)은 단지 하나의 채널만이 작동되거나 또는 두개의 채널 모두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개방된다.
교락 유닛(127)의 폐쇄된 일련의 접촉부들(135)은 연관된 정지부의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45)를 교락시킨다. 이미 설명된 바와같이, 일련의 접촉부들(134)은 일련의 접촉부들(135)과 항상 동일한 스위칭 위치를 가진다. 이는 일련의 접촉부들(135)의 스위칭 위치의 신호를 리턴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련의 접촉부들(134)의 스위칭 위치들의 신호들에 의하여, 장치 제어부(85)에는 모든 교락 유닛들(127)의 스위칭 위치가 계속해서 알려지며, 장치 제어부(85)는 카들(14, 16)의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를 사용하며 에러 발생의 경우에 트래픽 흐름을 정정하기 위하여 개입한다.
카들(14, 16)의 트래픽 흐름과 관련한 교락 유닛들(127)의 동작모드는 제 1상부층상에 배치된 정지부(101)내로 카(16)의 진입을 위하여 예로서 이하에 기술되며, 카(16)는 초기에 정지부(101)의 로킹영역 외부에 배치되며 정지부(101)에 정지되도록 정지부에 접근한다. 일단 정지부(101)로의 진입이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허가될 수 있는 정도로 카(16)가 0.8m/s 이하의 속도로 감속되고 카(16)가 정지부의 동일평면 레벨로부터 대략 0.3m의 거리까지 정지부(101)의 언로킹 영역에 직접 근접하면, 정치 제어부(85)는 제 2입력라인(130)을 통해 연관된 교락유닛(127)의 제 1채널을 활성화시킨다. 카(16)가 정지부의 언로크 위치에 도달할때, 스위칭 러그(140)는 제 1입력라인(128)을 통해 동일한 교락 유닛(127)의 제 2채널을 활성화시킨다. 일단 정지부(101)와 연관된 교락 유닛(127)의 양 채널들이 활성화되면, 교락유닛(127)의 두개의 일련의 접촉부들(134, 135)은 폐쇄된다. 폐쇄된 일련의 접촉부들(135)은 정지부(101)의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에 대한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을 교락시킨다. 폐쇄된 일련의 접촉부들(134)은, 출력라인(137)을 통해, 정지부(101)에서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의 교락이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85)의 리턴 신호 엘리먼트(138)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 다음에, 장치 제어부(85)는 정지부(101)에서 샤프트 도어(44)의 개방을 인증한다. 비록 스위칭 엘리먼트(44)의 전기 접촉이 개방에 의하여 정지부(101)에서의 샤프트 도어(44)가 개방될지라도, 교락 유닛(127)의 일련의 접촉부들(135)에 의한 활성 교락때문에, 이는 두개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의 스위칭 유닛들(112, 114)의 작동을 인터럽트하지 않으며, 즉 출력 접촉부들(74, 80)은 계속해서 폐쇄된다. 정지부(101)에서 개방된 샤프트 도어에도 불구하고, 두개의 카들(14, 16)의 각 이동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부 카(16)가 정지부(101)의 언로킹 영역을 떠날때, 연관된 자기 스위치(129)는 하부 카(16)의 스위칭 러그(140)에 의하여 더이상 작동되지 않으며, 즉 교락 유닛(127)의 제 2채널은 더이상 활성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교락유닛(127)의 일련의 양 접촉부들(134, 135)은 개방되고 결과적으로 정지부(101)에서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의 교락은 해제된다. 만일 결함때문에 정지부(101)의 샤프트 도어들(44)중 한 도어가 계속해서 개방되면, 이는 양 카들(14, 16)을 즉시 정지시킨다.
그러나, 만일 정지부(101)의 교락된 스위칭 엘리먼트들(45)과 함께 앞서 설명된 예의 경우에 샤프트 도어(44)가 다른 정지부, 예컨대 정지부(107)에서 비상 언로킹 키의 도움으로 개방될때, 이는 두개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의 스위칭 유닛들(112, 114)에 대한 작동을 인터럽트하지 않고 양 카들(14, 16)을 즉시 정지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하부 카(16)가 정지부(101)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정지부로 이동하는 경우에, 정지부(101)와 연관된 교락유닛(127)의 제 1채널에 대한 활성화는 이동을 시작하기전에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종료되며, 이에 따라 교락 유닛(127)의 일련의 접촉부들(134, 135)은 개방되고 정지부(101)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에 대한 교락은 해제된다. 이는 정지부(101)의 샤프트 도어들(44)이 폐쇄될때 정지부(101)로부터 시작하는 하부 카(16)의 새로운 이동이 시작할 수있다는 결과를 가진다.
하나의 카(16 또는 14)에 의하여 각각 이동될 수 있는 정지부(100, 109, 110)에서, 교락 유닛(127)이 설치되지 않는다. 샤프트 도어들(44)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에 대한 교락은 이들 정지부(100, 109, 110)에서 발생할 수 없다. 그러나, 사용되는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의 상호접속의 결과로서, 정지부(100, 109, 110)내로의 진입 및 정지부들(100, 109, 110)의 샤프트 도어들(44)에 대한 개방은 각각의 진입 카(14, 16)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또는 81)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만일 상부 카(14)가 정지부(109) 또는 정지부(110)에 진입하면, 상부 카(14)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의 스위칭 유닛(112)에 대한 작동만이 정지부(109 또는 110)의 영역에서 개방하는 샤프트 도어(44)에 의하여 인터럽트된다. 이는 출력 접촉부들(74)을 개방시키고, 상부 카(14)와 연관된 안전 체인(71)을 인터럽트하나 하부 카(16)와 연관된 안전 체인(78)을 인터럽트하지 않는다. 상부 카(14)가 정지부들(109, 110)내에 진입할때 상부 카(14)의 즉시 정지는 도 1에서 점선들로 표시된 바와같이 접속라인(97)이 접속라인(96) 대신에 사용되는 경우에 방지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상부 카(14)가 진입하는 연관된 정지부의 언로킹 영역에 있을때 교락회로(92)가 유효하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은 안전 관련 단점들을 가지지 않는다.
만일 하부 카(16)가 정지부(100)에 진입하면, 샤프트-도어 안전회로(81)의 스위칭 유닛(114)에 대한 작동은 개방 샤프트 도어(44)에 의하여 인터럽트된다. 이는 출력 접촉부들(80)을 개방시킨다. 상부 카(14)의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는 상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으며 출력 접촉부들(74)은 계속해서 폐쇄된다. 하부 카(16)가 정지부(100)내에 들어갈때 하부 카(16)의 즉시 정지는 도 1에서 점선들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같이 접속라인(96) 대신에 접속라인(97)을 사용함으로서 방지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같이 하부 카(16)가 진입하는 정지부의 언로킹 영역에 있을때마다 교락 회로(93)가 유효하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은 안전 관련 단점들을 가지지 않는다.
도 2에 기술된 실시예의 경우에, 단일 샤프트-도어 안전 유닛(47)은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직렬 접속 스위칭 엘리먼트들(45)과 함께 사용되며, 카(14 또는16)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은 스위칭 엘리먼트들(45)의 직렬 접속의 부영역을 커버한다. 선택적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카에 할당된 샤프트-도어 안전 회로를 각각 포함하는 두개의 샤프트-도어 안전 유닛들을 사용하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샤프트 도어(44)에서, 자체 스위칭 엘리먼트(45 또는 46)는 샤프트 도어(44)로 이동하는 각각의 카(14, 16)를 위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스위칭 엘리먼트들(45) 및 스위칭 엘리먼트들(46)은 직렬 접속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개별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를 형성한다. 양 카들(14, 16)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샤프트 도어들의 경우에, 도 1에 점선들로 표시된 스위칭 엘리먼트들(45) 및 스위칭 엘리먼트들(46)은 각각의 스위칭 엘리먼트들(45 또는 46)에만 전기적으로 접속되나 각각의 샤프트 도어(44)로 이동하는 모든 카들(14, 16)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연관된 교락유닛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은 카들(14, 16)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회로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2실시예가 개략적으로 기술되며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50을 가진다. 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하여 앞서 설명된 엘리베이터 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도 3에서 동일한 소자들을 위하여 사용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된 전체 설명내용을 참조할 것이다.
도 3에 기술된 엘리베이터 장치(150)의 경우에, 상부 카(14)는 근접 스위치(152), 상부 카(14)와 연관된 안전 체인(71)의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에 통합된 스위칭 접촉부들(153), 및 안전 회로(72)의 추가 스위칭 접촉부들과 직렬로접속된 스위칭 접촉부들(153)을 포함한다.
근접 스위치(152)의 작동은 상부 카(14)의 외부측면에 장착되고, 상부 카(14)가 하부 카(16)에 매우 근접하여 스위칭 면(155)과 접촉할때 하부 카(16)의 카 루프(156)를 넘어 돌출하는 스페이서(157)상에 고정되는 스위칭 롤러(15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만일 하부 카(16)의 스위칭면(155)이 스위칭 롤러(154)를 작동시키는 정도까지 상부 카(14)가 하부 카(16)에 도달하면, 상부 카(14)의 근접 스위치(152)는 작동되며 이의 스위칭 접촉부들(153)은 개방된다. 이는 상부 카(14)의 이동 접촉기(67)로의 전압 공급이 인터럽트되고 결과적으로 상부 카(14)의 이동이 차단되는 결과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스위칭면(155)은 스위칭 롤러(154) 및 연관된 근접 스위치(152)와 결합으로 충돌방지 장치를 형성하며, 이 충돌방지 장치에 의하여 두개의 카들(14, 16)은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트래픽 패턴에 따라 및/또는 예컨대 감소된 층 대 층 거리들과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150)가 설치되는 빌딩의 특정 환경들에 따라, 두개의 카들(14, 16)이 함께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두개의 카들(14, 16) 이동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샤프트(12)내의 고정위치에 장착되고 정상 개방 접촉부(161) 및 정상 폐쇄 접촉부(162)를 가진 교락 모듈(160)의 형태인 실효 엘리먼트는 엘리베이터 장치(150)의 경우에 사용된다. 교락 모듈(160)은 두개의 카들(14, 16)이 함께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12)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장착되며, 정상 개방 접촉부(161)는 근접 스위치(152)의 스위칭 접촉부들(153)과 병렬로 접속된다. 작동을 위하여, 교락 모듈(160)은 상부 카(16)의 외부측면에 고정된 스위칭 캠(164)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칭 캠 폴로워(163)를 가진다. 만일 교락모듈(160)이 스위칭 캠 폴로워(163)의 작동을 통해 스위칭 캠(164)에 의하여 작동되면, 이는 정상 개방 접촉부(161)가 폐쇄되고 이와 동시에 정상 폐쇄 접촉부(162)가 개방되는 결과를 가진다. 정상 폐쇄 접촉부(162)는 하부 카(16)의 안전 체인(78)내 통합되며, 카-도어 안전회로(42)와 직렬로 접속된다. 카-도어 안전회로(42)와 함께, 정상 폐쇄 접촉부(162)는 제 2교락회로(93)에 의하여 교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근접 스위치(152)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상부 카(14)는 하부 카(16)에 접근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보 카(14)의 이동시의 악영향이 방지된다. 왜냐하면, 근접 스위치(152)의 스위칭 접촉부들(153)은 폐쇄 정상 개방 접촉부(161)에 의하여 교락된다. 그러나, 상부 카(14)가 하부 카(16)에 접근하도록 만들어질때 하부 카의 이동이 차단되는 정상 폐쇄 접촉부(162)의 동시 개방이 예상된다. 왜냐하면, 정상 폐쇄 접촉부(162)는 하부 카(16)의 안전 체인(78)에 통합된다.
전술한 엘리베이터 장치(150)의 구성은 예컨대 지하층상에 배치된 정지부(100) 및 제 1상부층상에 배치된 정지부(101)사이의 층 대 층 거리가 매우 좁게 선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하부 카(16)는 정지부(100)에 있으며, 비록 상부 카(14)가 정지부(101)에 진입할때 근접 스위치(152)가 작동될지라도 상기 상황은 트래픽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장치(150)의 샤프트(12)내의 교락 모듈(160)의 장착 위치는 카(14)가 정지부(101)에 진입할때 스위칭 캠(164)이 교락 모듈(160)의 스위칭 캠 폴로워(163)를 작동하도록 선택되며, 이에 따라 폐쇄 정상 개방 접촉부(161)는 근접 스위치(152)의 스위칭 접촉부들(153)을 교락시키며 이와 동시에 정상 폐쇄 접촉부(162)는 개방 스위칭 위치를 추정한다. 만일 상부 카(14)가 정지부(101)를 떠나고 이와 동시에 교락 모듈(160)이 결함으로 인하여 계속해서 작동되면, 정상 폐쇄 접촉부(162)는 개방 위치를 유지한다. 이는 하부 카(16)의 정상 폐쇄 접촉부(162) 및 카 안전회로(42)가 교락 회로(93)의 작동에 의하여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교락되는 동안 하부 카(16)가 정지부(110)내에서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는, 예컨대 조절할 수 있는 결과를 가지며, 또한 장치 제어부(85)가 하부 카(16)의 교락회로(93)를 더이상 동작시키기 않기 때문에 다른 정지부에 이동하도록 정지부(100)를 떠날 수 없는 결과를 가지며, 이에 따라 교락은 해제되며 결과적으로 개방 정상 폐쇄 접촉부(162)는 이동 접촉기들(69)로의 전류 흐름을 인터럽트한다. 이는 하부 카(16)를 즉시 정지시키는 결과를 야기한다. 그러나, 상부 카(14)의 이동은 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송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카들이 가능한 서로 방해하지는 엘리베이터 장치(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조절하는 방법)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5)

  1. 하나가 다른 것위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 상기 샤프트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카들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들을 각각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도어들 또는 카 도어들이 개방될때 상기 카들의 이동을 차단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안전장치는 그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 및/또는 카 도어(34, 39, 44)를 각각 가진 적어도 두개의 독립 안전회로들(37, 42, 75, 81)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14, 16)의 이동은 상기 안전 회로들(37, 42, 75, 81)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샤프트 도어들(44)이 하나의 안전회로(75, 81)와만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영역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2)는 상기 샤프트 도어들(44)이 적어도 두개의 안전회로들(75, 81)과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영역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14, 16)의 상기 카도어들(34, 39)은 단지 하나의 안전회로(37, 42)와 연관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카(14)는 샤프트 도어들(44)을 가진 상부 샤프트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카(16)는 샤프트 도어들(44)을 가진 하부 샤프트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카(14)의 카 도어들(34) 및 상기 상부 샤프트 영역의 샤프트 도어들(44)은 하나 이상의 제 1 안전회로들(37, 75)과 연관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카(16)의 카 도어들(39) 및 상기 하부 샤프트 영역의 샤프트 도어들(44)은 하나 이상의 제 2안전회로들(42, 81)과 연관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전회로는 그와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44)만을 가진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81)를 형성하며, 상기 카들(14, 16)의 이동은 상기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81)에 의해서만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들(14, 16)의 서빙 영역내에는 상기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44)이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전회로는 그와 연관된 카 도어들(34;39)만을 가진 카-도어 안전회로(37, 42)를 형성하며, 상기 카들(14, 16)의 이동은 상기 카-도어 안전회로(37, 42)에 의해서만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들(14, 16)의 카 도어들(34, 39)은 상기 카-도어 안전회로(37; 42)와 연관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도어 안전회로(37, 42)는 그와 연관된 하나의 카(14, 16)의 카 도어들(34, 39)만을 각각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14, 16)는 단일 카-도어 안전회로(37,42) 및 그와 연관된 단일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81)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카(14, 16)와 연관된 상기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37, 75;42, 81) 및 상기 카 도어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모니터링 엘리먼트들(35, 40, 45, 46)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도어(44)로 이동하는 각각의 카(14; 16)에 대하여, 각각의 샤프트 도어(44)에 샤프트-도어 모니터링 엘리먼트(45; 46)가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 6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14, 16)의 이동은 단지 하나의 카(14, 16)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44) 및 상기 하나의 카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카(14, 16)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도어(44)와 연관된 샤프트-도어 안전회로(75, 81)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14, 16)가 샤프트 도어(44)의 영역에 정지될때, 상기 샤프트 도어(44)의 개방 및 폐쇄 상태의 모니터링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및 폐쇄 상태의 모니터링은 적어도 두개의 카들(14, 16)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상기 샤프트 도어들(44)의 경우에만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도어들 및 카 도어들(34, 39, 44)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안전장치는 샤프트 도어 또는 카 도어(34, 39, 44)와 각각 작용하는 모니터링 엘리먼트들(35, 40, 45, 46)을 가지며, 상기 모니터링이 디스에이블될 수 있는 샤프트 도어들(44)의 모니터링 엘리먼트들(45, 46)은 교락 유닛들(127)에 의하여 무효로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교락유닛(127)은 상기 연관된 샤프트 도어(44)에서 정지하는 카(14, 16)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엘리먼트(129)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엘리먼트는 자기 스위치(129)로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18. 제 15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락유닛(127)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100, 150)의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교락유닛(127)은 상기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제공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시에 제어될때만 카(14, 16)에 의한 상기 작동 엘리먼트(129)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0. 제 6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샤프트 도어(44)가 상기 샤프트 도어(44)에 대응하는 정지부에 출현하는 카(14, 16)없이 개방될때, 상기 정지부와 연관된 모든 샤프트 도어 안전회로들(75, 81)이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1. 제 9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카(14, 16)는 개별 전압 공급유닛(49, 50)에 접속되며, 상기 각각의 카(14, 16)의 카-도어 및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37, 42, 75, 81)은 상기 카(14, 16)의 각각의 전압 공급유닛(49, 50)에 접속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카들(14, 16)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샤프트 도어들(44)을 가진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은 관련 카들(14, 16)중 한 카의 전압 공급유닛(49, 50)에 접속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다수의 카들(14, 16)의 서빙영역에 배치된 연관된 샤프트 도어들(44)을 가진 상기 샤프트-도어 안전회로들(75, 81)은 상기 카(14, 16)가 동작중인 동안 미리 선택된 카(14, 16)의 전압 공급유닛(49, 50)에 각 경우에 자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3. 제 1항 내지 제 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카(14, 16)는 그와 연관된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 79)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 모니터링 회로(72, 79)에 의하여 상기 카(14, 16)의 이동이 안전 관련 스위칭 부재들(153)의 상태에 따라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부재(153)는 상기 스위칭 부재가(153)가 무효로되게 하기 위하여 그와 연관된 교락 엘리먼트(160)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카(16)의 이동은 제 1카(14)가 연관된 활성 교락 엘리먼트(160)와 함께 이동할때 차단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카(16)의 차단은 상기 장치 제어부(85)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5. 하나가 다른 것위에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카들(14, 16)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 상기 샤프트(12)는 다수의 샤프트 도어들(44)을 가지고 상기 카들(14, 16)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34, 39)들을 각각 포함함 ―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도어 또는 카 도어(34, 39, 44)가 개방될때 상기 카들(14, 16)의 이동이 안전장치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100, 150)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각각의 카(14, 16)의 이동은 상기 카 도어들(34, 39) 및 상기 모든 샤프트 도어들(44)의 개방 및 폐쇄상태들에 따라 그리고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모든 카(14, 16)의 위치에 따라 개별적으로 차단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제어방법.
KR1020040030050A 2003-04-30 2004-04-29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157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03/04487 2003-04-30
PCT/EP2003/004487 WO2004096690A1 (de) 2003-04-30 2003-04-30 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348A true KR20040094348A (ko) 2004-11-09
KR101157523B1 KR101157523B1 (ko) 2012-06-22

Family

ID=3339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50A KR101157523B1 (ko) 2003-04-30 2004-04-29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78635B2 (ko)
EP (1) EP1618059B1 (ko)
JP (1) JP5010094B2 (ko)
KR (1) KR101157523B1 (ko)
CN (1) CN100436296C (ko)
AT (1) ATE350327T1 (ko)
DE (1) DE50306235D1 (ko)
ES (1) ES2280742T3 (ko)
WO (1) WO20040966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130A (ko) * 2015-03-18 2017-11-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307325D1 (de) * 2002-03-27 2007-07-05 Inventio Ag Schachtüberwachungssystem für aufzug
US7353914B2 (en) * 2003-10-20 2008-04-08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P1765710A4 (en) * 2004-06-21 2011-09-21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COMPRISING SEVERAL CABINS IN A WELL
ES2665497T3 (es) * 2004-12-16 2018-04-26 Otis Elevator Company Sistema de elevador con múltiples cabinas en un hueco de elevación
JP4833225B2 (ja) * 2004-12-29 2011-12-0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1つの昇降路に複数のかごを有す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補償
US7784588B2 (en) * 2005-02-04 2010-08-31 Otis Elevator Company Calls assigned to one of two cars in a hoistway to minimize delay imposed on either car
US20080190705A1 (en) * 2005-02-04 2008-08-14 Harry Terry Announcements Indicating One Car is Waiting for Another Car in the Same Hoistway
CN100554120C (zh) * 2005-02-17 2009-10-28 奥蒂斯电梯公司 将轿厢去往底坑或者顶部的运行告知电梯乘客的方法
WO2006088456A1 (en) * 2005-02-17 2006-08-24 Otis Elevator Company Collision prevention in hoistway with two elevator cars
DE112005003475B4 (de) * 2005-02-25 2019-04-18 Otis Elevator Co. Aufzugfahrkorb mit einer abgewinkelten Unterzugs-Verseilungsanordnung
WO2006108433A1 (en) * 2005-04-11 2006-10-19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circuit for a passenger conveyor system
EP1940717B1 (en) * 2005-10-25 2012-10-03 Otis Elevator Company Multiple car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EP2032489B1 (en) * 2006-06-07 2018-12-05 Otis Elevator Company Multi-car elevator hoistway separation assurance
EP1894874A1 (de) * 2006-08-31 2008-03-0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JP5133352B2 (ja) * 2006-12-22 2013-01-3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単一の昇降路に複数のかごを含むエレベータ装置
FI120088B (fi) * 2007-03-01 2009-06-30 Kone Corp Järjestely ja menetelmä turvapiirin valvomiseksi
EP2022742B1 (de) * 2007-08-07 2014-06-25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ystem
EP2238064B1 (en) 2007-11-30 2012-03-14 Otis Elevator Company Coordin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a hoistway
WO2009073025A1 (en) * 2007-12-05 2009-06-11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 strategy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US8439167B2 (en) * 2007-12-21 2013-05-14 Inventio Ag Spacing control for two elevator cars in a common shaft
BRPI0923698B1 (pt) 2008-12-26 2020-01-14 Inventio Ag instalação de elevador com pelo menos duas cabines de elevador, método de monitoramento de uma instalação de elevador e dispositivo de segurança
EP2336073A1 (de) * 2009-12-18 2011-06-22 Inventio AG Schaltvorrichtung für Beförderungsanlage
KR101393957B1 (ko) * 2010-03-01 2014-05-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JP5876881B2 (ja) 2010-09-13 2016-03-0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465804A1 (de) * 2010-12-16 2012-06-20 Inventio AG Multikabinenaufzug mit Bremszustandsanzeige
WO2012140758A1 (ja) * 2011-04-14 2012-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システム
US8544524B2 (en) 2011-06-21 2013-10-01 Won-Door Corporation Leading end assemblies for movable partitions including sensor assemblies, movable partition systems including senso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899299B2 (en) 2011-09-16 2014-12-02 Won-Door Corporation Leading end assemblies for movable partitions including diagonal members, movable partitions including leading end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JP5668865B2 (ja) * 2011-09-28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DE102012005541A1 (de) * 2012-03-21 2013-09-26 Aufzugswerke M. Schmitt & Sohn Gmbh & Co. Schachtsicherheitsvorrichtung sowie Aufzugsanlage
WO2013145144A1 (ja) * 2012-03-28 2013-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2836453B1 (de) * 2012-04-12 2016-03-09 Inventio AG Überwachungseinrichtung einer aufzugsanlage
CN104854011B (zh) * 2012-12-17 2017-05-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显示控制装置
DE102014017486A1 (de) 2014-11-27 2016-06-02 Thyssenkrupp Ag Aufzuganlage mit einer Mehrzahl von Fahrkörben sowie einem dezentralen Sicherheitssystem
RU2579376C1 (ru) * 2015-04-03 2016-04-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Единая фасадная компания"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EP3257799B1 (en) * 2016-06-17 2022-02-23 KONE Corporation Redundant safety circuit
ES2809469T3 (es) * 2016-12-29 2021-03-04 Kone Corp Un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 ascensor y un ascensor
EP3617115A1 (en) * 2018-08-31 2020-03-04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system
JP7373433B2 (ja) * 2020-02-26 2023-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15362119A (zh) * 2020-03-31 2022-11-18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对电梯设备进行安全监控的安全监控装置和方法
KR20230154080A (ko) 2021-04-22 2023-11-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승강장 문 스위치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3920A (en) * 1931-03-25 1934-09-18 Jacob D Wilson Elevator system
US1920369A (en) 1932-09-30 1933-08-01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Elevator door operating system
EP0177741B1 (de) * 1984-10-09 1988-05-11 Inventio Ag Einrichtung zur Steuerung von Aufzügen mit Doppelkabinen
JPS61166489A (ja) 1985-01-14 1986-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制御方式
US5107964A (en) * 1990-05-07 1992-04-28 Otis Elevator Company Separate elevator door chain
US5387769A (en) * 1993-06-01 1995-02-07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between an elevator system building controller, group controller and car controller, using redundant communication links
JPH09110326A (ja) * 1995-07-31 1997-04-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かごの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機構
JPH09221285A (ja) 1996-02-16 1997-08-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4190626B2 (ja) * 1998-10-23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US6173814B1 (en) * 1999-03-04 2001-01-16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levators having a dual redundant safety bus
US6223861B1 (en) * 1999-08-30 2001-05-0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CN1232436C (zh) * 2000-08-07 2005-12-21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的监控装置和监控电梯安全链路的方法
JP4642200B2 (ja) * 2000-09-07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2002255460A (ja) * 2000-12-28 2002-09-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運行制御装置
DE10108772A1 (de) * 2001-02-23 2002-11-21 Otis Elevator Co Aufzugssicherheitseinrichtung
US6467585B1 (en) * 2001-07-05 2002-10-22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safety chain for elevator system
US6603398B2 (en) * 2001-11-16 2003-08-05 Otis Elevator Company Hoistway access det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130A (ko) * 2015-03-18 2017-11-2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5135A1 (en) 2006-08-10
CN100436296C (zh) 2008-11-26
WO2004096690A1 (de) 2004-11-11
JP2004331397A (ja) 2004-11-25
DE50306235D1 (de) 2007-02-15
KR101157523B1 (ko) 2012-06-22
EP1618059A1 (de) 2006-01-25
US7178635B2 (en) 2007-02-20
EP1618059B1 (de) 2007-01-03
JP5010094B2 (ja) 2012-08-29
ES2280742T3 (es) 2007-09-16
ATE350327T1 (de) 2007-01-15
CN1771180A (zh)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52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7849975B2 (en) Safety arrangement of an elevator having sensors limiting extent of elevator travel
EP2125591B1 (en) Safety arrangement
RU2325315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имеющей несколько кабин в одной шахте
KR101481568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12179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2448863B (zh) 电梯的安全装置
EP3322660B1 (en) Elevator control system
EP2229331B1 (en) Control strategy for operating two elevator cars in a single hoistway
EP247792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eventing the drifting of an elevator car
JP578404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CN101573284A (zh) 电梯安全配置
CN1043631C (zh) 电梯门干预防护系统
CN112135787B (zh) 安全切换系统以及用于在正常运行模式与检查运行模式之间切换电梯设备的方法
CA1191632A (en) Elevator system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9990044162A (ko)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CN113677612B (zh) 无尾缆电梯装置以及无尾缆电梯装置的控制方法
JP2012254845A (ja) エレベータ
SU16611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спечени безопасности работы лифта
CN115535752A (zh) 用于多轿厢并行电梯的轿厢安全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