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130A -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9130A KR20170129130A KR1020177025657A KR20177025657A KR20170129130A KR 20170129130 A KR20170129130 A KR 20170129130A KR 1020177025657 A KR1020177025657 A KR 1020177025657A KR 20177025657 A KR20177025657 A KR 20177025657A KR 20170129130 A KR20170129130 A KR 201701291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ontrol system
- card
- signal
- c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3194 cardiovers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G01D5/36—Forming the light into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12)의 이동을 제어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 -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은 상기 카 도어(12)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함 - , 및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의 카 도어 안전 스위치로부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카 도어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위치를 결정하는 증분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보통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이동 곡선에 따라 카 도어의 이동 속도를 조정하도록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전달된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카 도어용 구동 신호를 제어한다.
EN 81-20과 같은 현대식 엘리베이터 안전 코드는 차량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음을 나타내는 카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신호를 제공하도록 요청된다. 카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신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는 운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정상 작동 시, 이와 같은 카 도어 폐쇄 모니터링 신호는 자동차 도어 안전 컨택트에 의해 전달된다. 카 도어 안전 콘택트는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폐쇄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개방되는 안전 스위치이다. 카 도어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안전 체인이 개방되도록 카 도어 안전 컨택트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체인에 연결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작동 시 카 도어 안전 컨택트를 바이패스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 도어 안전 컨택트의 작업 컨택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식별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유지 보수 작업 중에 이러한 바이패스가 필요할 수 있다. 카 도어 안전 컨택트의 잠재적인 오작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시험하기 위해, 카 도어 안전 컨택트가 바이패스되고, 카 도어 안전 컨택트 없이 카가 작동된다.
엘리베이터 코드는 카 도어가 완전히 패쇄되지 않은 임의의 상황, 카 도어 안전 컨택트가 바이패스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카가 움직이는 것을 금지하도록 요구하여, 카 도어 및/또는 랜딩 도어에 대한 심각한 손상의 위험을 감소하고, 또한 그렇지 않다면 카 도어 안전 컨택트의 의도하지 않은 바이패스로 야기될 수 있는 승객에 대한 잔여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 점에서의 기술 수준은 카 도어의 메카닉 또는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에만 폐쇄되는 도어 패널에서의 추가적인 컨택트 또는 센서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컨택트 또는 센서는 센서/컨택트 및 이에 대응하는 베인 또는 마그넷을 위한 추가적인 하드웨어를 필요로 한다. 추가적인 센서는 가끔씩만 사용되므로, 상대적으로 신뢰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카 도어 안전 컨택트가 바이패스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더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엘리베이터의 작동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적인 센서 또는 컨택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 -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상기 카 도어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함 - , 및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의 카 도어 안전 스위치로부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은 카 도어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카 도어 안전 스위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으로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 및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과 통신하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서 카 도어 이동 거리 신호를 전달하는데 특히 유용한 증분 인코더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얻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절차를 기술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서 카 도어 이동 거리 신호를 전달하는데 특히 유용한 증분 인코더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얻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절차를 기술한 흐름도이다.
엘리베이터 도어(12)를 제어하기 위한 도 1에서 도면 부호 10으로 일반적으로 도시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12)를 이동시키는 구동기(14), 카 도어(12)가 이동할 때 펄스를 발생 및 검출하기 위한 펄스 인코더(16) 형태의 증분 인코더, 및 생성 및 검출된 펄스에 따라 카 도어 구동기(14)를 제어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엘리베이터 도어(12)가 움직일 때 펄스 인코더(16)에 의해 생성되고 검출된 펄스를 카운트하는 수단과, 카 도어(12)의 원하는 이동 속도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에 따라 카운트된 펄스 개수를 엘리베이터 도어(12)의 위치와 관련된 저장된 엘리베이터 도어 이동 커브와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어 구동기(14)는 구동 샤프트(28)를 갖는 모터(26)(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28)는 구동 샤프트(28)의 회전 운동을 카 도어(12)의 선형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30)에 의해 카 도어(1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 샤프트(28)는 한 세트의 연결 아암을 구동하는 풀리에 의해 카 도어(12)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샤프트(28)는 카 도어(12)에 연결된 벨트 구동기를 구동하는 풀리에 연결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구동 샤프트(28)의 회전과 카 도어(12)에 의해 이동된 선형 거리 사이의 관계가 알려진다. 따라서, 이 전달비는 카 도어(12)가 이중 도어 시스템인지 또는 단일 도어 시스템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알려진 인자이다. 이러한 회전 운동 대 직선 운동 변환 시스템은 본 기술 분야에서 상당히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더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모터(26)는 도어 작동 제어기(18)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3상 AC 모터일 수 있다. 3상 AC 모터의 경우, 주파수는 구동 샤프트(28)의 회전 속도에 상응하며, 전압은 모터(26)의 토크에 상응하며, 위상은 구동 샤프트(28)의 회전 방향에 관련된다. 따라서, 모터(26)의 주파수, 전압 및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속도, 토크 및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DC 모터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모터도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도 1의 박스(50)에 의해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만 설명될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엘리베이터 카의 구동기 및 브레이크에 구동 신호의 인가를 허용 또는 금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특히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 안전하지 않은 상태가 존재할 때 엘리베이터 카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그러한 이유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예를 들어 다수의 안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안전 체인의 구성에서, 안전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엘리베이터 안전 장치의 도어 안전 스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카 도어 또는 모든 엘리베이터의 상태가 폐쇄되는지를 나타내는 1차 도어 폐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도어(12)가 움직일 때 펄스를 발생시키고 검출하기 위한 펄스 인코더(16)는 모터(26)의 구동 샤프트(28)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인코더 디스크(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펄스 인코더(16)는 또한 인코더 디스크(32)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34) 및 상기 인코더 디스크(32)의 대향 측에 배치된 수광기(36)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인코더 디스크(32)는 그 주변부 주위에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개구(38)를 포함한다. 동작 시, 구동 샤프트(28)가 회전할 때, 인코더 디스크(32)는 광 초퍼(light chopper)로서 작용하여 수광기(36)에 광 펄스들의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광기(36)에 충돌하는 각각의 광 펄스에 응답하여, 수광기(36) 전기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생성된 전기 신호는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기(14)를 제어하기 위해 도어 작동 제어기(18)로 출력된다.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펄스를 카운트하는 수단 및 카운트된 펄스를 도어 이동 커브에 대한, 한 방향으로의 완전한 도어 이동을 위한 총 펄스 개수의 백분율로서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관련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미리 선택된 이동 커브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에는 전압/토크 비, 주파수/속도 비 및 위상/방향 정보와 같은 관련 모터 특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모터(26)의 토크, 속도 및 방향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전압, 주파수 및 위상 출력 신호를 더 포함한다.
동작 시, 카 도어(12)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마다 메모리에 표시된 이동 곡선이 실행되도록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가 초기화된다. 전형적인 이동 곡선에서, 도어에 의해 이동된 거리는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이 100%인 이동 백분율의 척도로 도시된다. 예를 들면, 고 토크로부터 고속으로 또는 고속에서 고 토크로의 모터 스위칭 포인트는 도어 경로를 따라 미리 결정된 포인트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동 곡선에서, 카 도어(12)에 의해 이동된 거리는 수평축을 따라 도시되고, 수직축은 이동 중에 카 도어(12)의 속도를 나타낸다. 카 도어(12)를 폐쇄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카 도어는 매우 느린 속도, 즉 크리핑 속도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카 도어(12)는 이동될 총 거리의 약 0% 내지 약 10%의 이 속도로 계속 이동한다. 그 후, 속도는 폐쇄 속도까지 램핑하고, 전형적으로는 카 도어(12)에 의해 이동되는 총 거리의 약 다음 10%에 걸쳐서 램핑이 발생한다. 일단 폐쇄 속도에 도달하면, 카 도어(12)는 전형적으로 카 도어(12)에 의해 이동될 총 거리의 다음 약 50% 동안 그 속도로 계속 이동한다. 카 도어(12)가 총 거리의 약 70%를 이동하였을 때, 모터(26)의 속도는 이동한 총 거리의 다음 20%에 걸쳐 미리 선택된 폐쇄 속도로 감소될 수 있다. 그 후, 카 도어(12)는 기계적 정지에 도달할 때까지 그 폐쇄 속도에서 계속된다. 속도 대 거리 프로파일은, 본질적으로, 카 도어(12)를 개방하기 위해 역전될 수 있다. 실제로, 실제 속도뿐만 아니라 변속 포인트가 변경되어 임의의 카 도어에 적합하게 되거나 또는 원하는 임의의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을 단일 도어 또는 이중 도어로 조정할 수 있으며, 프로파일은 임의의 원하는 모터를 수용하도록 그리고 다양한 기어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카 도어(12)를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 도어 작동 제어 장치(10)는 임의의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도록 적용 가능하고 적용 가능한 자율 시스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증분 인코더 시스템으로, 이동 곡선을 따르는 모터 제어 포인트는 저장된 주행 곡선으로 카운트된 펄스 개수를 인가하는 수단에 의해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표시되거나 지시되어, 카 도어의 위치는 항상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알려진다".
엘리베이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은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완전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의 카 도어(12)의 완전 이동과 관련된 카운트의 개수를 학습하기 위해 단일 초기화를 요구한다. 일단 초기화되면,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이에 따라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에 따라 카 도어(12)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초기화를 달성하기 위해, 설치 시에, 카 도어(12)는 하나의 극단 위치로부터 다른 극단 위치로 이동되는데, 즉, 카 도어(12)는 개방 또는 폐쇄된다. 카 도어(12)는 기계적 정지, 즉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로 구동된다. 기계적 정지에 도달하면 펄스 카운터는 0으로 설정된다. 그 후, 카 도어(12)는 각각 미리 결정된 일정한 속도로 반대 기계적 정지, 즉, 완전 폐쇄 또는 완전 개방으로 구동된다. 이 이동 중에, 펄스 인코더(16)에 의해 생성된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도어가 이동한 거리를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도 측정된다. 결과적으로, 기준 속도는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와 관련하여 결정된다. 또한 기계적 정지 사이의 이동 중에 발생하는 총 펄스 개수를 또한 카운트하여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로 저장한다. 그 후 설치가 완료된다. 제어 목적을 위해,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는 한 방향 동안 카 도어(12)에 의해 이동된 거리의 100%를 나타내기 위해 설정된다. 100% 정규화가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사용되어 이동 커브에 따라 모터(26)를 제어한다.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일단 초기화되면,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를 알게 되고, 그에 따라 카 도어(12)의 속도 및 토크 프로파일을 계산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 체인에 연결된 카 도어 안전 스위치와 같은 카 도어(12)의 안전 컨택트에 의해 제공된 1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의해 또한 카 작동 제어기(18)의 카 도어 이동 거리 정보를 사용하도록 제안한다. 이하에서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로도 지칭되는 이러한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어, 1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 안전 컨택트가 바이패스된 경우에도, 카 도어(12)가 완전히 폐쇄될 때에만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카 도어 위치 정보는 카 도어의 마지막 2개의 정지 사이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증분 이동 거리 측정이므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충분히 신뢰성 있게 요구되는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oor Fully Closed Monitoring signal)(DFCM)를 제공하도록 직접 사용될 수 없다. 오히려, 카 도어 안전 컨택트에 의해 제공되는, 카 도어(12)의 위치의 절대적인 측정이 그러한 목적을 위해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카 도어(12)가 완전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10)에 사용되는 증분 카 도어 이동 거리 측정으로부터, 카 도어 위치의 절대 측정을 모방하기에 충분한 신뢰도를 갖는 카 도어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특정 제어가 제안된다. 특히, 카 도어(12)의 초기 위치가 불분명한 경우에 가장 가능성 있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중요하다.
도 1은 카 도어(12)가 도어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2개의 전형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도 1의 A로 나타낸 상황에서, 카 도어(12)는 도어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이동하므로,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증분 펄스 개수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 도어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중에 결정되는,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의 증분 개수는 원하는 신뢰성을 갖는 요구되는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를 전달할 것이며, 따라서 카 도어(12)가 실제로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의 B는 보다 복잡한 상황, 즉 카 도어(12)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을 정지한 후에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의 증분 개수가 초기화 중 결정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보다 작은 상황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어 완전 폐쇄 위치일 수 있는 것으로 이동하기 전에, 카 도어(12)의 초기 위치는 불명확하다. 카 도어(12)는 도어 완전 개방 위치와 도어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어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의 파워 리셋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카 도어는 도어 완전 개방 위치에서 시작한 다음 어떤 이유로든 중간 위치에서 정지했을 수 있다. 따라서, 카 도어(12)가 카 도어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시작하고 카 도어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되었는지, 또는 카 도어(12)가 중간 위치에서 시동하여 실제로 카 도어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이러한 불명확함을 해결하고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DFCM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가 제안하는 바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카 도어 제어 시스템(특히 카 도어 제어기(18))에 요청을 전송하는데, 상기 요청에 따르면 카 도어 제어 시스템(10)은 카 도어 완전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카 도어(12)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공하고, 다른 단부 위치, 즉 이상적으로는 카 도어 완전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카 도어(12)를 다시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증분 펄스 인코더(16)가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다수의 펄스를 생성하여 검출하기 직전에, 카 도어(12)가 초기화 동안 학습된 바와 같이 카 도어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카 도어 완전 폐쇄 위치로 전체 이동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가 적어도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와 같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제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 개수가 자동차 도어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되는 바와 같이,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더 큰 경우에 충분히 신뢰성 있는 DFCM 신호가 획득될 수 있다. 카 도어 이동의 이러한 시퀀스는 시나리오 B 하에서 도 1의 3개의 화살표로 표시된다.
도어 작동 제어기(18)의 초기화 과정 중에 결정되는 바와 같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실제로 카운트된 펄스 개수와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 사이의 비교는 합리적인 공차 임계치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 언급될 수 있다.
도 3은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제공된 도어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또는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를 획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된 절차(100)를 설명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110)에서, 안전 체인으로 연결된 카 도어 안전 컨택트에 의해 생성된 1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 또는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를 요청하는 명령이 엘리베이터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다. 요청(110)에 응답하여, 절차(100)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으로부터 DFCM 신호를 생성하고, 카 도어(12)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나타내거나(단계(200) 참조), 또는 카 도어(12)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단계(190) 참조), DFCM 신호를 피드백으로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제공한다.
절차(100)는 다음의 단계들을 따른다: 단계(120)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에 의해 표시되는 카 도어 위치가 유효하고 타당한지의 여부, 즉, 도 1의 A로 표시된 상황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응답이 예인 경우, 절차는 단계(130)로 진행하고, 요청(110) 직전의 도어 이동에서 도어 동작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인코더 펄스를 사용하여 카 도어(12)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180)에서, 카 도어 동작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가 완전 폐쇄된 도어에 대해 예상되는 펄스의 개수(즉,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의 초기화 과정 중에 결정되는 바와 같이,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에 상응하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대답이 "예"이면,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가 설정되어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50)으로 리턴된다(단계 200). 대답이 아니오이면,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는 리셋되고(카 도어(12)가 완전히 폐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냄), 이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으로 리턴된다(단계 190).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은 즉,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카 도어를 재-개방하고 다시 폐쇄하도록 요구함으로써 카 도어(12)를 완전히 폐쇄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단계(120)에서의 체크의 결과,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 개수에 의해 표시되는 카 도어 위치가 유효하지 않고 타당하지 않은 경우, 도 1의 B로 표시된 상황이 존재한다. 그 후, 절차는 단계(140)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카 도어(12)가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카 도어 제어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의한 요청 시, 카 도어(12)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카 도어(12)는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기계적 스위치 또는 정지에 도달하는 경우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계(1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코더(16)에 의해 검출되고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 개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경우에 정지에 도달된 것으로 간주된다. 대안적으로, 인코더(16)에 의해 검출되고 개방 동작 중에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의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가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경우 카 도어(12)는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 후, 단계(160)에서 카 도어(12)는 다시 폐쇄 방향으로 이동되고 폐쇄 이동 동안의 인코더 펄스의 개수가 카운트된다. 일단 카 도어(12)가 (예를 들어, 기계적 한계에 접함으로써) 다시 정지되면, 카운트된 펄스의 개수는 완전 폐쇄된 카 도어에 대해 예상되는 펄스의 개수와 비교된다(즉,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의 초기화 과정 중에 결정되는 바와 같이, 카 도어(12)의 전체 이동 거리에 대해 카운트된 펄스의 전체 도어 이동 개수). 응답이 예이면,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가 설정되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으로 리턴된다(단계 200). 응답이 아니오이면,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는 리셋되고(카 도어(12)가 완전 폐쇄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나타냄), 이 정보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으로 리턴된다(단계 190).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다시 카 도어(12)를 재-개방하고 폐쇄하도록 요청함으로써 카 도어(12)를 완전히 폐쇄하는 다른 시도를 개시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2차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추가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특히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과 카 도어 작동 시스템(10) 사이의 엘리베이터 제어의 기존 통신 채널, 예를 들어 CAN 버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의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다.
아래에서는 많은 추가 특징들이 설명된다. 이들 특징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특정 실시예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특징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 -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상기 카 도어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함 - , 및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의 카 도어 안전 스위치로부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에서 논의된 실시예는 도어의 전체 이동 거리를 알고 있고 이에 따라 그들의 속도 및 토크 프로파일을 계산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기의 이동 거리 신호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정보는 일반적으로 카 도어의 마지막 2개의 정지 사이의 증분 이동 거리 측정이므로, 특히 카 도어의 초기 위치가 불명확한 경우에, 도어 완전 폐쇄 모니터링 신호(DFCM)의 원하는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한 특정 제어가 제안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완전 도어 이동 학습이 시설 내에서 한번 수행되어야 한다. (2) 양 방향에서 합리적인 허용 오차를 고려하여, 최종 도어 폐쇄 작동은 초기화 중에 학습된 바와 같이 전체 이동 거리를 행해야 한다. (3) 완전 이동 거리가 수행되지 않으면, 도어는 재-개방되고 폐쇄되어야 한다. 이로써 조건(2)가 구현된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의한 명령은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한 모니터링 신호에 대한 요청을 식별해야 한다.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으로부터의 DFCM 신호는 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다는 피드백을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제공해야 한다.
추가 하드웨어, 예를 들어 베인 또는 마그넷과 같은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센서 또는 컨택트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과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 사이의 기존 통신 채널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AN 버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음의 임의의 특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 및 상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 중 어느 것도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는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가 바이패스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체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안전 체인과 관련된 신호에는 높은 신호 무결성 레벨이 필요하다. 따라서,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는 정상 제어 신호에 비해 높은 수준의 신호 신뢰성(안전 무결성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증분 인코더는 상기 카 도어가 움직일 때 펄스를 생성하여 검출하는 펄스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카 도어 작동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인코더는 카 도어 구동기의 구동 샤프트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인코더 디스크; 상기 인코더 디스크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 및 상기 인코더 디스크의 대향 측에 배치된 수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 디스크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 시 인코더 디스크가 광 펄스의 스트림을 상기 수광기에 제공하는 광 초퍼로서 작용하도록 주변부 주위에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개구를 포함하여, 수광기에 충돌하는 각 광 펄스에 응답하여, 전기 펄스 신호를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에 발생시키며,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되는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적어도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보다 작은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i)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상기 카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ii) 그 후 카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증분 인코더에 의해 이동 거리를 검출하면서 다른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카 도어를 다시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iii) 단계 ii)에서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카 도어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카 도어 안전 스위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으로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다음의 임의의 특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 및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 중 어느 것도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가 바이패스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상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체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카 도어가 펄스 인코더의 사용에 의해 움직일 때 펄스를 생성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은 카 도어 작동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펄스 인코더는 카 도어 구동기의 구동 샤프트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인코더 디스크; 상기 인코더 디스크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 및 상기 인코더 디스크의 대향 측에 배치된 수광기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 디스크는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 시 인코더 디스크가 광 펄스의 스트림을 상기 수광기에 제공하는 광 초퍼로서 작용하도록 주변부 주위에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개구를 포함하여, 상기 수광기에 충돌하는 각 광 펄스에 응답하여, 전기 펄스 신호를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에 발생시키며,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상기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보다 작은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방법은 (i)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상기 카 도어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ii) 그 후 카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거리 신호를 검출하면서 다른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카 도어를 다시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에서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른 장치 또는 구성도 또한 제작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것의 합리적인 해석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10: 엘리베이터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
12: 엘리베이터 도어
14: 도어 구동기
16: 펄스 인코더
18: 자동차 도어 작동 제어기
26: 모터
28: 구동 샤프트
30: 구동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카 도어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
32: 인코더 디스크
34: 광원
36: 수광기
38: 개구
50: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100: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 획득 절차
110: 요청: 도어 폐쇄 위치 체크
120: 체크: 도어 위치가 유효하고 타당한가
130: 인코더 펄스를 위치 인식에 사용할 수 있음
140: 완전히 개방 상태로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도어 개방 시작
150: 체크: 도어가 기계적 한계에 의해 정지(더 이상 펄스 없음)?
160: 도어 폐쇄 시작 및 인코더 펄스 카운트
170: 체크: 도어가 기계적 한계에 의해 정지(더 이상 펄스 없음)?
180: 체크: 완전히 폐쇄된 도어에 대해 예상되는 것과 동일한 펄스량?
190: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지는 않았음; 도어 폐쇄 신호 리셋
200: 도어가 완전히 폐쇄됨; 도어 폐쇄 신호 설정
12: 엘리베이터 도어
14: 도어 구동기
16: 펄스 인코더
18: 자동차 도어 작동 제어기
26: 모터
28: 구동 샤프트
30: 구동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카 도어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
32: 인코더 디스크
34: 광원
36: 수광기
38: 개구
50: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100: 2차 엘리베이터 카 도어 폐쇄 신호 획득 절차
110: 요청: 도어 폐쇄 위치 체크
120: 체크: 도어 위치가 유효하고 타당한가
130: 인코더 펄스를 위치 인식에 사용할 수 있음
140: 완전히 개방 상태로 도어를 이동시키도록 도어 개방 시작
150: 체크: 도어가 기계적 한계에 의해 정지(더 이상 펄스 없음)?
160: 도어 폐쇄 시작 및 인코더 펄스 카운트
170: 체크: 도어가 기계적 한계에 의해 정지(더 이상 펄스 없음)?
180: 체크: 완전히 폐쇄된 도어에 대해 예상되는 것과 동일한 펄스량?
190: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지는 않았음; 도어 폐쇄 신호 리셋
200: 도어가 완전히 폐쇄됨; 도어 폐쇄 신호 설정
Claims (16)
-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12)의 이동을 제어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 -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은 상기 카 도어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함 - , 및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의 카 도어 안전 스위치로부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을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 및 상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 중 어느 것도 상기 엘리베이터 안전 제어 시스템(50)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는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가 바이패스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제공되는 것인,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체인에 연결되는 것인,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인코더는 상기 카 도어(12)가 움직일 때 펄스를 생성하여 검출하는 펄스 인코더(16)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은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인코더(16)는 카 도어 구동기(26)의 구동 샤프트(28)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인코더 디스크(32); 상기 인코더 디스크(32)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34); 및 상기 인코더 디스크(32)의 대향 측에 배치된 수광기(36)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 디스크(32)는 상기 구동 샤프트(28)의 회전 시 인코더 디스크(32)가 광 펄스의 스트림을 상기 수광기(36)에 제공하는 광 초퍼(light chopper)로서 작용하도록 주변부 주위에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개구(38)를 포함하여, 수광기(36)에 충돌하는 각 광 펄스에 응답하여, 전기 펄스 신호를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발생시키며,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12)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DFCM)가 제공되는 것인,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상기 카 도어(12)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보다 작은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은 (i)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상기 카 도어(12)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ii) 그 후 카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증분 인코더에 의해 이동 거리를 검출하면서 다른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카 도어(12)를 다시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iii) 단계 ii)에서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12)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를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 도어(12)의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증분 인코더를 포함하는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카 도어(12)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카 도어 안전 스위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으로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와 독립적인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1차 카 도어 폐쇄 신호 및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 중 어느 것도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가 바이패스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50)에 상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안전 스위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 체인에 연결되는 것인, 방법.
-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12)가 펄스 인코더(16)의 사용에 의해 움직일 때 펄스를 생성하여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은 카 도어 작동 제어기(18)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인코더(16)는 카 도어 구동기(26)의 구동 샤프트(28)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인코더 디스크(32); 상기 인코더 디스크(32)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34); 및 상기 인코더 디스크(32)의 대향 측에 배치된 수광기(36)를 포함하고; 상기 인코더 디스크(32)는 상기 구동 샤프트(28)의 회전 시 인코더 디스크(32)가 광 펄스의 스트림을 상기 수광기(36)에 제공하는 광 초퍼로서 작용하도록 주변부 주위에 복수의 규칙적으로 이격된 개구(38)를 포함하여, 상기 수광기(36)에 충돌하는 각 광 펄스에 응답하여, 전기 펄스 신호를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18)에 발생시키며, 상기 도어 작동 제어기(18)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12)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2 카 도어 폐쇄 신호(DFCM)가 제공되는 것인, 방법.
-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상기 카 도어(12)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보다 작은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i)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상기 카 도어(12)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ii) 그 후 카 도어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거리 신호를 검출하면서 다른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 정지될 때까지 카 도어(12)를 다시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에서 증분 인코더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거리 신호가 상기 카 도어 작동 제어 시스템(10)의 초기화 과정 동안 결정된 바와 같이, 적어도 카 도어(12)의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와 동등한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경우 2차 카 도어 폐쇄 신호(DFCM)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EP2015/055697 WO2016146186A1 (en) | 2015-03-18 | 2015-03-18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c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9130A true KR20170129130A (ko) | 2017-11-24 |
KR102339633B1 KR102339633B1 (ko) | 2021-12-16 |
Family
ID=5274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657A KR102339633B1 (ko) | 2015-03-18 | 2015-03-18 |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079620A1 (ko) |
EP (1) | EP3271279B1 (ko) |
KR (1) | KR102339633B1 (ko) |
CN (1) | CN107406221B (ko) |
ES (1) | ES2734798T3 (ko) |
WO (1) | WO20161461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15450B1 (en) * | 2016-10-31 | 2019-10-30 | Otis Elevator Company | Automatic test of deterrent device |
US10332383B1 (en) * | 2017-05-12 | 2019-06-25 | Alarm.Com Incorporated | Connected door hinge |
JP7230698B2 (ja) * | 2019-06-06 | 2023-03-0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制御装置 |
CN110304515B (zh) * | 2019-07-15 | 2021-07-27 |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 电梯门位置检测方法及检测系统 |
EP3800157B1 (en) * | 2019-10-04 | 2023-02-15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apron |
CN111731974B (zh) * | 2019-12-19 | 2024-04-26 | 斯迈普电梯(中国)有限公司 | 一种预警式智能互补门机双驱动系统及方法 |
WO2021160501A1 (de) * | 2020-02-12 | 2021-08-19 | Inventio Ag | Kabinencontroller für eine aufzugskabine einer aufzugsanlage, aufzugsanlage, verwenden eines kabinencontrollers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abinentür einer aufzugskabine einer aufzugsanla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87565A (en) * | 1994-04-14 | 1996-12-24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doors |
KR19980087126A (ko) * | 1997-05-19 | 1998-12-05 | 가나이 쯔도무 |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 |
KR20040094348A (ko) * | 2003-04-30 | 2004-11-09 |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US20140339024A1 (en) * | 2013-05-17 | 2014-11-20 | Kone Corporatio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 of automatic do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80665B2 (ja) * | 1990-09-10 | 1995-08-3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の扉制御装置 |
JP2005502566A (ja) | 2001-09-18 | 2005-01-27 |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
EP1765713A4 (en) * | 2004-06-22 | 2010-03-03 | Otis Elevator Co | ELEVATOR DOOR POSITION DETECTOR |
JP4997275B2 (ja) * | 2009-10-23 | 2012-08-08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
-
2015
- 2015-03-18 US US15/558,943 patent/US2018007962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3-18 CN CN201580077955.XA patent/CN107406221B/zh active Active
- 2015-03-18 EP EP15712572.5A patent/EP3271279B1/en not_active Revoked
- 2015-03-18 ES ES15712572T patent/ES2734798T3/es active Active
- 2015-03-18 WO PCT/EP2015/055697 patent/WO201614618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18 KR KR1020177025657A patent/KR1023396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87565A (en) * | 1994-04-14 | 1996-12-24 | Otis Elevator Company |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doors |
KR19980087126A (ko) * | 1997-05-19 | 1998-12-05 | 가나이 쯔도무 |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장치 |
KR20040094348A (ko) * | 2003-04-30 | 2004-11-09 |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 엘리베이터 장치 및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US20140339024A1 (en) * | 2013-05-17 | 2014-11-20 | Kone Corporatio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 of automatic do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734798T3 (es) | 2019-12-12 |
EP3271279A1 (en) | 2018-01-24 |
KR102339633B1 (ko) | 2021-12-16 |
EP3271279B1 (en) | 2019-05-01 |
CN107406221A (zh) | 2017-11-28 |
CN107406221B (zh) | 2019-07-23 |
WO2016146186A1 (en) | 2016-09-22 |
US20180079620A1 (en) | 2018-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29130A (ko) |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US5789887A (en) | Automatic door | |
JP5207572B2 (ja) | エレベータ用床合わせ装置 | |
US7212897B2 (en) | Vehicle door controlling apparatus | |
CN105555697A (zh) | 电梯装置 | |
US20130118836A1 (en) | Elevator with safety device | |
KR20180031032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09220999A (ja) | エレベータのドア診断装置 | |
US9121216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building closure | |
KR101130998B1 (ko) | 슬라이딩 도어의 장애물 검지 장치 | |
CN110077943B (zh) | 电梯开关门状态的确定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
WO2017168619A1 (ja) |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 |
US7960932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door drive | |
US6710562B1 (en) | Synchronous motor with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devices in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m | |
CN105026299A (zh) | 电梯门控制装置 | |
US9126809B2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car door | |
US20180370765A1 (en) | Hydraulic elevator safet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open-door travel abnormality in hydraulic elevator | |
CN103493358B (zh) | 用于控制电子整流电动机的方法 | |
US874271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component driven by an electric motor | |
KR101799205B1 (ko) |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 |
US839026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reference position of a locking part moved by an electric motor | |
US12065868B2 (en) | Control and driv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 |
KR20010029517A (ko) | 외부의 힘에 의해 작동하는 폐쇄 부재를 움직이기 위한 엑츄에이터, 특히 전동기 기어 구동 장치 | |
US20230150797A1 (en) | Elevator door control | |
CN115362118B (zh) | 多轿厢电梯控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