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205B1 -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 Google Patents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205B1
KR101799205B1 KR1020160114993A KR20160114993A KR101799205B1 KR 101799205 B1 KR101799205 B1 KR 101799205B1 KR 1020160114993 A KR1020160114993 A KR 1020160114993A KR 20160114993 A KR20160114993 A KR 20160114993A KR 101799205 B1 KR101799205 B1 KR 10179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open
current position
glass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전자
Priority to KR102016011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루프 사용 중 외부 요인에 의해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의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스스로 진단하고 복구하는 자동 재설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루프 시스템 유형 중 하나인 세이프티 선루프(safety sunroof)의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글라스 및 블라인드의 자동 위치 재설정 방법의 원리는, 선루프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 상태에서 작동되면 오작동으로 인해 반전하거나 또는 글라스 개폐시에 개방 한계 지점 또는 틸트업 한계 지점에 닿아 스톨(stall)이 발생하게 되는데, 같은 위치에서 스톨 현상이 2회 발생되면 선루프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에서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 개방 한계 지점일 경우 현재 위치를 초기화 시 측정했던 개방 한계 위치 값으로 지정하고, 틸트업 한계 지점일 경우 현재 위치를 영점 위치(zero position)로 값을 지정해 위치를 보상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A METHOD OF AUTOMATIC RESETTING SUNROOF POSITION AND A SUNROOF APPARATUS ADOPT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선루프 사용 중 외부 요인에 의해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의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스스로 진단하고 복구하는 자동 재설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루프 시스템 유형 중 하나인 세이프티 선루프(safety sunroof)의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지붕)를 개폐하여 차내를 밝게 해주고 심리적으로 실내 공간을 크게 느끼게 하여 탑승자에게 해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환기가 잘되게 하여 차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루프는 차체의 지붕에 설치되는 선루프 조립체로서 구성되는바, 대략적으로, 선루프 조립체에 구비된 개구부를 선루프 글라스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주된 실시형태의 예로서, 선루프는 개구부가 차체 지붕의 전방쪽에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선루프 글라스로써 개폐하는 방식이 있다.
선루프는 선루프 글라스의 개폐 방식에 따라 슬라이드(slide) 방식, 틸트업(tilt-up) 방식, 또는 슬라이드-틸트업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모터, 기어, 레일, 글라스 및 고무패킹 등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20여 가지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선루프 사양의 유형은 넌세이프티 타입(non-safety type)과 세이프티 타입(safety type)으로 대별된다. 이들 타입 중 세이프티 선루프(safety sunroof)는 모터와 홀센서를 이용하여 선루프의 위치(가령, 선루프 글라스의 개폐 위치)를 제어한다. 이 위치제어는 모터 샤프트(motor shaft)부의 자석과 PCB부의 홀센서간의 출력 펄스에 의하여 선루프 위치 및 상태를 제어한다. 일례로 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홀센서 HALL SENSOR 1과 HALL SENSOR 2의 출력 펄스의 각각의 에지(edge)의 위치 차이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홀센서의 출력 펄스에서의 각 에지 간의 간격은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이동하는 중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에 따라 달라진다. 이때, 에지 간의 간격의 시간차를 측정해 마찰저항 값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홀센서의 펄스를 계수한 홀센서 카운트값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초기화 절차를 통해 선루프의 현 상태와 모터간의 매칭을 새로이 해주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초기화 과정 또는 초기화 절차는, 개구부와 매칭하기 위한 영점 세팅(zero position setting)과 개방 한계 지점의 파악, 그리고 선루프 폐쇄(close) 시의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 수행과 오반전 방지를 위해 영점부터 개방 한계 지점까지, 그리고 개방 한계 지점부터 영점까지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움직이면서 마찰저항을 학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가 학습기능으로써 각 차량의 특성에 맞게끔 자기 기본 데이터를 확보한다.
선루프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의 초기화 동작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초기화는 타 위치에서는 작업이 불가하고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폐쇄 완료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초기화가 시작되면 먼저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영점 세팅(zero position setting)을 실시한다. 영점 세팅은 글라스(또는 블라인드)를 폐쇄시켜 기구적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위치에 도달하게 한다. 파노라마 선루프의 경우에는 틸트업 한계 지점이 이에 해당 된다. 그리고 반대로 영점 위치를 참조하여 글라스(또는 블라인드)를 개방한다. 이 때 홀센서에 발생되는 펄스를 계수(count)하여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이동한 거리를 알 수 있고, 펄스간의 간격을 통해 마찰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기구적으로 더 이상 개방될 수 없는 위치, 즉, 개방 한계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영점부터 해당 위치까지 진행하는 동안 홀센서에서 발생된 펄스를 계수하는 펄스 카운터(pulse counter)를 통해 개방 한계 지점의 위치 값을 얻을 수 있고, 해당 값은 ROM에 저장한다.
도 2와 도 3의 트래블 맵(travel map)을 참조하여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safety panorama sunroof)의 글라스 및 블라인드의 이동 동선 및 위치를 설명하고 그 초기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글라스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 글라스의 트래블 맵은 크게 틸트업 한계(TUE), 틸트업(TU), 폐쇄(CL), 제1 및 제2 세이프티 구간(SZ1, SZ2), 개구부로부터 200mm 이상 떨어진 지점(P200), 개방(OP), 개방 한계(OPE) 지점으로 구성된다.
글라스가 현재 폐쇄(CL) 지점에 위치한다고 가정했을 때, 초기화가 시작되면 글라스는 폐쇄(CL) 지점에서 왼쪽 즉, 폐쇄 방향으로 이동해 틸트업(TU)을 지난 틸트업 한계(TUE)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글라스는 기구적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어 더 이상 모터와 홀센서 사이에 펄스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펄스가 일정 시간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타임아웃(timeout) 신호가 발생한다. 타임아웃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선루프는 더 이상 모터에 전류를 가하지 않고 이동을 멈춘다. 이렇게 찾은 틸트업 한계(TUE) 지점이 글라스의 영점 위치(zero position)에 해당한다. 이렇게 영점 위치를 찾은 후 글라스를 도 6의 오른쪽 즉,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폐쇄(CL) 지점과 개방(OP) 지점을 지나 개방 한계(OPE) 지점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홀센서에서 발생한 펄스를 계수하는 펄스 카운터(pulse counter)를 통해 개방 한계(OPE) 지점인 글라스의 최대 위치값을 알 수 있다. 또한 글라스가 개방 한계(OPE) 지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마찰 저항을 측정해 ROM에 저장한다. 그리고 글라스를 틸트업(TU) 지점까지 이동시키면서 마찰 저항을 측정해 ROM에 저장한다. 마찰 저항 측정이 완료되면 글라스를 폐쇄하고 초기화를 마친다.
도 2의 글라스 세이프티 구간(SZ)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세이프티 구간(SZ1)은 글라스가 틸트업(TU) 지점에서 폐쇄(CL) 지점까지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글라스의 이동 경로에 장애물의 끼임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장애물 끼임 시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을 수행하도록 안전 영역으로 설정해 놓은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 자동 반전(anti-pinch) 됐을 때, 글라스는 틸트업(TU)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세이프티 구간(SZ2)은 글라스 개구부로부터 200mm 이상 떨어진 지점(P200)에서 폐쇄(CL) 지점까지 폐쇄 방향으로 글라스가 이동할 때에 장애물 끼임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안전 영역으로서 장애물 끼임시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 자동 반전(anti-pinch) 됐을 때, 글라스는 개방(OP)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블라인드의 초기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의 블라인드의 이동 동선 및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트래블 맵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 블라인드의 트래블 맵은 크게 폐쇄 한계(CLE), 폐쇄(CL), 세이프티 구간(SZ), 개구부로부터 200mm 이상 떨어진 지점(P200), 개방(OP), 개방 한계(OPE) 지점으로 구성된다.
초기화가 시작되면 먼저 블라인드를 폐쇄 한계(CLE)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블라인드가 폐쇄 한계(CLE) 지점에 다다르면 글라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터와 홀센서 사이에 펄스가 발생하지 않아 타임아웃 신호가 발생하고, 블라인드가 멈춰 선 위치가 영점 위치가 된다. 이렇게 영점 위치를 찾은 후 블라인드를 폐쇄 한계(CLE) 지점에서 개방 한계(OPE) 지점까지 개방 방향으로 이동 시키면서 마찰저항을 측정하고 펄스를 계수하여 블라인드의 최대 위치 값을 찾아낸다. 이후 블라인드를 폐쇄 방향으로 개방 한계(OPE) 지점에서 폐쇄(CL) 지점까지 이동시키면서 마찰저항을 측정하고, 블라인드가 폐쇄(CL)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초기화를 마친다.
도 3의 블라인드 세이프티 구간(SZ)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라인드 세이프티 구간(SZ)은 블라인드가 개구부로부터 200mm 이상 떨어진 지점(P200)에서부터 폐쇄(CL) 지점까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장애물 끼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애물 끼임시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안전 영역이다. 이 구간(SZ)에서 자동 반전(anti-pinch) 됐을 때 블라인드는 개방(OP) 위치로 이동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글라스와 블라인드가 초기화 과정을 거치면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는 틸트업 한계(TUE) 지점과 개방 한계(OPE) 지점의 위치 데이터를, 블라인드는 폐쇄 한계(CLE) 지점과 개방 한계(OPE) 지점의 위치 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글라스(또는 블라인드)의 개방 방향으로의 측정이 끝나면 폐쇄 방향으로 마찰저항을 측정해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을 하는 데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상의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후 글라스(또는 블라인드)가 폐쇄되면 초기화 과정을 마친다. 초기화가 완료되면 선루프는 폐쇄(close)/개방(open), 틸트업(tilt-up) 등 스위치의 1회 입력으로 자동 동작을 수행하는 오토 모드(auto mode)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찰저항 학습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해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을 수행하고 오반전 방지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은 개구부로부터 최소 200mm 이상 떨어진 부분에서 글라스(또는 블라인드)에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기준치 이상으로 발생되면 세이프티(safety) 기능으로서 자동 반전(anti-pinch) 동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 기능의 오작동을 방지 하기 위해서 선루프는 항상 자기 위치를 알고 있어야 한다.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은 현재 글라스(또는 블라인드) 위치의 마찰저항과 초기화시 측정했던 마찰저항을 비교해 자동 반전(anti-pinch) 기능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선루프가 위치를 상실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면 현재 위치와 다른 마찰저항과 비교를 하기 때문에 오작동을 일으켜 오반전의 원인이 되고 자동 반전(anti-pinch) 등의 세이프티(safety)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개구부와 영점이 틀어져 폐쇄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더 진행되면 틸트업 한계 또는 개방 한계 지점에 닿게 돼 소음 발생 뿐만 아니라 선루프 노후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선루프 시스템에 있어서는 선루프(구체적으로는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의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되면, 예컨대, 선루프의 작동 중 개방 한계 또는 틸트업 한계 지점이 3mm이상 오버런(overrun) 작동하였을 경우에 선루프 컨트롤러는 초기화 모드로 넘어가며, 이때는 반드시 초기화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이때에 선루프 시스템은 매뉴얼 클로즈, 즉, 수동 폐쇄 기능만 인식한다. 즉, 초기화 모드에선 수동 폐쇄만 동작하게 되는데, 수동 폐쇄는 사용자가 선루프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 폐쇄만 시킬 수 있고 개방은 할 수 없는 상태이고, 폐쇄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선루프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드이다.
한편, 파노라마 선루프의 경우에는 초기화 모드에서 글라스를 닫지 못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폐쇄 스위치를 누른 채 선루프가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면 글라스가 폐쇄 위치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폐쇄 위치를 지난 틸트업 한계 지점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는 기구적인 설계 요소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대로 폐쇄시킬 수 없을 가능성이 있고, 그로 인해 정비소에 방문하기 전까지 빛샘/물샘 현상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선루프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된 상태에서 작동되면 오작동으로 인해 반전하거나 또는 글라스(또는 블라인드) 개폐시에 개방 한계 지점 또는 틸트업 한계 지점에 닿아 스톨(stall)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루프 시스템에서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에서 이탈했을 때 정비소에 방문하지 않아도 선루프 시스템이 스스로 위치 상실 및 정위치 이탈을 자가 진단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루프 사용 중에 외부 요인으로 인해 글라스(또는 블라인드)의 현재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였을 때, 선루프 시스템 스스로가 자가진단을 하여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의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을 판단하고 개방 한계 지점일 경우 초기화 시 측정했던 개방 한계 위치값을 현재 위치로 지정하고, 글라스의 경우에 틸트업 한계 지점일 때에는 현재 위치를 영점 위치로 값을 지정해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의 위치를 보상(재설정)함으로써, 현재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되더라도 사용자가 선루프 구동 중에 자가 복귀를 실시해 정상 동작을 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선루프의 글라스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시에 그 위치를 재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1) 글라스의 동작후에 멈춤이 발생하여 스톨이 감지되면 멈춰 있는 상태의 글라스가 현재까지 진행했던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는지 폐쇄 방향이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2-1)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위치를 확인하여,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다면 그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지 확인하고, 2-2)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다면 목적지 위치가 폐쇄 지점을 지난 틸트업 지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3-1) 상기 단계 2-1)에서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 경우에, 글라스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2) 글라스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에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개방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개방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3)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개방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고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으면,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4)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글라스의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개방 한계 위치로 설정하고 개방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선루프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 4-1) 상기 단계 2-2)에서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고 그 목적지 위치가 틸트업 지점인 경우에, 현재 위치가 틸트업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2) 글라스가 틸트업 지점보다 이전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폐쇄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폐쇄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3)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폐쇄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을 경우,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4) 폐쇄 멈춤 위치가 폐쇄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 현재 위치를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영점 위치로 설정하고 폐쇄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글라스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선루프의 블라인드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시에 그 위치를 재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1) 블라인드의 동작후에 멈춤이 발생하여 스톨이 감지되면 멈춰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가 현재까지 진행했던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는지 폐쇄 방향이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2-1)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위치를 확인하여,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다면 그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지 확인하고, 2-2)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다면 목적지 위치가 폐쇄 지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3-1) 상기 단계 2-1)에서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 경우에, 블라인드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2) 블라인드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에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개방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개방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3)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개방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고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으면,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4)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블라인드의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개방 한계 위치로 설정하고 개방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선루프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 4-1) 상기 단계 2-2)에서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고 그 목적지 위치가 폐쇄 지점인 경우에, 현재 위치가 폐쇄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2) 블라인드가 폐쇄 지점보다 이전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폐쇄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폐쇄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3)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폐쇄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을 경우,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4) 폐쇄 멈춤 위치가 폐쇄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 현재 위치를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영점 위치로 설정하고 폐쇄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블라인드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특징에 따른 선루프의 글라스 및 블라인드의 자동 위치 재설정 방법의 원리를 단적으로 말하자면, 선루프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 상태에서 작동되면 오작동으로 인해 반전하거나 또는 글라스 개폐시에 개방 한계 지점 또는 틸트업 한계 지점에 닿아 스톨(stall)이 발생하게 되는데, 같은 위치에서 스톨 현상이 2회 발생되면 선루프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에서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 개방 한계 지점일 경우 현재 위치를 초기화 시 측정했던 개방 한계 위치 값으로 지정하고, 틸트업 한계 지점일 경우 현재 위치를 영점 위치(zero position)로 값을 지정해 위치를 보상한다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단계 3-2에서 현재 위치가 이전 개방 멈춤 위치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위치가 이전 개방 멈춤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의 사전 정해놓은 범위는 예를 들어,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값의 전후로 ±2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단계 3-3에서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 개방 보상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의 사전 정해놓은 범위는 예를 들어, 이전 개방 보상 위치값의 전후로 ±8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단계 4-2에서 현재 위치가 이전 폐쇄 멈춤 위치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위치가 이전 폐쇄 멈춤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의 사전 정해놓은 범위는 예를 들어,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값의 앞뒤로 ±2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단계 4-3에서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 폐쇄 보상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의 사전 정해놓은 범위는 예를 들어, 이전 폐쇄 보상 위치값의 앞뒤로 ±8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선루프의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시에 그 위치를 재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 선루프 장치가 제공된다. 이 선루프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선루프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선루프의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포함한 기구적 구성요소를 동작시키며 선루프 구동시에 선루프의 글라스 및 블라인드의 위치를 파악하고 마찰저항 측정을 수행하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치로서, 상기 메인부는 상술한 것과 같이 수행되는 선루프의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루프의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을 실행하는 수단은 소프트웨어나 펌웨어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프로그래머블 로직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 제어수단이거나, 또는 소프트웨어나 펌웨가 배제된 순수한 하드웨어 회로일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과제 및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대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루프 사용 중에 외부 요인으로 인해 글라스(또는 블라인드)의 현재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되었을 때, 선루프 시스템 스스로가 자가진단을 하여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에서 이탈됨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선루프 구동 중에 자가 복귀를 실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일정한 선루프 장착의 이득을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 상실 및 정위치에서 이탈 발생시의 수동 폐쇄 기능에 의해 글라스(또는 블라인드)를 온전히 닫지 못하여 정비소에 방문하기 전까지 빛샘/물샘 현상에 노출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루프의 위치를 홀센서로써 제어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도 2는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 글라스의 동선 및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트래블 맵(travel map)을 나타낸다.
도 3은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 블라인드의 동선 및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트래블 맵을 나타낸다.
도 4는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의 글라스에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이 발생했을 때, 위치를 보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재설정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의 블라인드에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이 발생했을 때, 위치를 보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재설정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세이프티 타입의 파노라마 선루프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재설정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글라스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선루프의 글라스가 어떤 요인으로 인해 현재 위치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었으며 현재 선루프 글라스는 개방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 때에, 사용자가 선루프의 글라스를 닫으려 하는데 정위치 이탈로 인해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폐쇄(CL) 지점을 넘어 틸트 한계(TUE) 지점까지 가는 경우와, 닫는 도중에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의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오반전이 발생하거나, 글라스를 개방하는 데 있어서 글라스의 정위치 이탈로 인하여 개방 한계(OPE) 지점까지 글라스가 가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우선, 글라스 동작 후에 멈춤이 있을 때에 스톨(stall) 여부를 체크한다(100). 스톨인 것으로 판정된 연후에 이하의 후속 절차를 진행한다. 스톨 체크는, 예를 들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동안에 홀센서의 정해진 펄스가 카운트되지 않는 경우에 스톨이라고 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스톨을 감지하면, 이동이 완료되어 멈춰 있는 상태의 글라스가 현재까지 진행했던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는지 폐쇄 방향이었는지 체크한다(101). 그리고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위치(set position)를 확인하여,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다면(101a) 그 목적지 위치(SET POS)가 개방 지점인지(SET POS == OPEN POS) 확인하고(103), 폐쇄 방향이었다면(101b) 목적지 위치(SET POS)가 폐쇄 지점을 지난 틸트업 지점인지(SET POS == TILT POS) 확인한다(113).
단계 103에서 목적지 위치(SET POS)가 개방 지점(SET POS == OPEN POS)인 경우(103a), 현재 위치(CURR POS), 즉, 글라스가 멈춰 있는 위치의 펄스 카운터 값이 개방 지점(OPEN POS)의 펄스 카운터 값보다 작은지 확인한다(105). 이 단계는 글라스가 개방 지점(OP) 이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크다면 개방 지점(OP)을 넘은 것이므로 이하의 자동 재설정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작으면(105a), 즉, 글라스가 개방 지점(OP) 이전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에 개방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를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라고 함))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데, 이때에는 정확하게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대신에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의 전후로 소정 단위의 범위(도 4의 실시예에서는 ±2) 안에 드는지 확인한다(107).
만일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는, 초기값이 0이므로 현재 위치(CURR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에 현재 위치(CURR POS)값을 저장하고(108) 절차를 종료한다(122). 이후에 사용자의 선루프 글라스 조작 중에 이전과 같은 과정이 한번 더 반복된 경우에,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개방 멈춤 위치의 소정 범위(OPEN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것이다(107).
같으면, 즉, CURR POS == OPEN STOP POS ±2이면,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의 소정 범위(COMP OPEN POS ±8)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109). 여기서는 위치의 범위를 앞의 범위인 ±2보다 넓은 ±8로 설정하였다. 만일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에 보상했던 개방 위치(COMP OPEN POS)는, 초기값이 0이므로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위치(CURR POS)를 초기화 당시 측정하여 저장했던 개방 한계 위치로 설정하고 개방 보상 위치(COMP OPEN POS)에 현재 위치값(CURR POS)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한다(110).
이전에 보상했던 개방 위치(COMP OPEN POS)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 생산 업체에서 정해놓은 DTC (Dignostic Trouble Code)를 발생시키고, 선루프의 초기화를 해제한다(111). 이에 해당 자동차의 정비소로 가서 선루프 수리를 해야 한다.
한편, 앞의 단계 101b에서 글라스의 목적지 위치(SET POS)가 틸트업 지점인지(SET POS == TILT POS) 확인한 경우에는(113a)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틸트업 지점(TILT POS)의 펄스 카운터 값보다 큰지 확인한다(115).
크면(115a), 다음으로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117).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는 예컨대 12000이므로 현재 위치(CURR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에 현재 위치(CURR POS)값을 저장하고(118) 절차를 종료한다. 이 후 사용자가 선루프 조작 중에 위와 같은 과정이 한번 더 반복되면 다음으로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폐쇄 멈춤 위치의 소정 범위(CLOSE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117).
같으면,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가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위치의 소정 범위(COMP CLOSE POS ±8)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119).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위치(COMP CLOSE POS)는 초기값(가령, 12000)과 같으므로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위치(CURR POS)를 초기화 당시 측정했던 영점 위치(zero position)로 설정하고 폐쇄 보상 위치(COMP CLOSE POS)에 현재 위치(CURR POS)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한다(120). 만일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위치(COMP CLOSE POS)와 같을 경우에는 DTC(Diagnostic Trouble Code)를 발생시키고, 초기화를 해제하여(111) 정비소로 가도록 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의 블라인드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절차는 기본적으로 도 4의 절차와 유사하다. 다만, 블라인드의 경우에는 글라스의 틸트업 기능이 없기 때문에 도 4에서 틸트업에 관련된 동작이 없다. 따라서 도 5의 좌측 부분에 나타낸 프로세스는 도 4의 좌측에 나타낸 프로세스와 사실상 동일하고 우측 부분에 나타낸 프로세스만 차이가 있다.
먼저 선루프의 블라인드가 어떤 요인으로 인해 현재 위치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었으며 현재 블라인드는 개방 상태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 때에, 사용자가 선루프의 블라인드를 닫으려 하는데 정위치 이탈로 인해 완전히 닫히지 않거나 폐쇄(CL) 지점을 넘어 폐쇄 한계(CLE) 지점까지 가는 경우와, 닫는 도중에 현재 위치와 다른 위치의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오반전이 발생하거나, 블라인드를 개방하는 데 있어서 블라인드의 정위치 이탈로 인하여 개방 한계(OPE) 지점까지 블라인드가 가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블라인드의 경우에도 블라인드의 동작 후에 멈춤이 있을 때에 스톨 여부를 체크한다(200). 스톨인 것으로 판정된 연후에 이하의 후속 절차를 진행한다. 스톨 체크는, 예를 들어, 타이머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동안에 홀센서의 정해진 펄스가 카운트되지 않는 경우에 스톨이라고 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스톨을 감지하면, 이동이 완료되어 멈춰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가 현재까지 진행했던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는지 폐쇄 방향이었는지 체크한다(201). 그리고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위치(set position)를 확인하여,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다면(201a) 그 목적지 위치(SET POS)가 개방 지점인지(SET POS == OPEN POS) 확인하고(203), 폐쇄 방향이었다면(201b) 목적지 위치(SET POS)가 폐쇄 지점인지(SET POS == CL POS) 확인한다(213).
단계 203에서 목적지 위치(SET POS)가 개방 지점(SET POS == OPEN POS)인 경우(203a), 현재 위치(CURR POS), 즉, 블라인드가 멈춰 있는 위치의 펄스 카운터 값이 개방 지점(OPEN POS)의 펄스 카운터 값보다 작은지 확인한다(205). 이 단계는 블라인드가 개방 지점(OP) 이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크다면 개방 지점(OP)을 넘은 것이므로 이하의 자동 재설정 절차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작으면(205a), 즉, 블라인드가 개방 지점(OP) 이전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에 개방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를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라고 함))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데, 이때에는 정확하게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대신에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의 전후로 소정 단위의 범위(도 4의 실시예에서는 ±2) 안에 드는지 확인한다(207).
만일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는, 초기값이 0이므로 현재 위치(CURR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에 현재 위치(CURR POS)값을 저장하고(208) 절차를 종료한다(222). 이 후에 사용자의 선루프 블라인드 조작 중에 이전과 같은 과정이 한번 더 반복된 경우에,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개방 멈춤 위치의 소정 범위(OPEN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것이다(207).
같으면, 즉, CURR POS == OPEN STOP POS ±2이면,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의 소정 범위(COMP OPEN POS ±8)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209). 여기서는 위치의 범위를 앞의 범위인 ±2보다 넓은 ±8로 설정하였다. 만일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에 보상했던 개방 위치(COMP OPEN POS)는, 초기값이 0이므로 개방 멈춤 위치(OPEN STOP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위치(CURR POS)를 초기화 당시 측정하여 저장했던 개방 한계 위치로 설정하고 개방 보상 위치(COMP OPEN POS)에 현재 위치값(CURR POS)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한다(210).
이전에 보상했던 개방 위치(COMP OPEN POS)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 생산 업체에서 정해놓은 DTC (Dignostic Trouble Code)를 발생시키고, 선루프의 초기화를 해제한다(211). 이에 해당 자동차의 정비소로 가서 선루프 수리를 해야 한다.
한편, 앞의 단계 201b에서 블라인드의 목적지 위치(SET POS)가 폐쇄 지점인지(SET POS == CL POS) 확인한 경우에는(213a)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폐쇄 지점(CL POS)의 펄스 카운터 값보다 큰지 확인한다(215).
크면(215a), 다음으로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217).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는 예컨대, 12000이므로 현재 위치(CURR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에 현재 위치(CURR POS)값을 저장하고(218) 절차를 종료한다. 이 후 사용자가 선루프 조작 중에 위와 같은 과정이 한번 더 반복되면 다음으로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폐쇄 멈춤 위치의 소정 범위(CLOSE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217).
같으면,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가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위치의 소정 범위(COMP CLOSE POS ±8)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한다(219). 이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면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위치(COMP CLOSE POS)는 초기값(가령, 12000)과 같으므로 폐쇄 멈춤 위치(CLOSE STOP POS)와 다를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위치(CURR POS)를 초기화 당시 측정했던 영점 위치(zero position)로 설정하고 폐쇄 보상 위치(COMP CLOSE POS)에 현재 위치(CURR POS)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한다(220). 만일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위치(COMP CLOSE POS)와 같을 경우에는 DTC(Diagnostic Trouble Code)를 발생시키고, 초기화를 해제하여(211) 정비소로 가도록 한다.
이상의 프로세스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위치 재설정 방법의 동작을 요약하면, 선루프의 글라스 또는 블라인드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 상태에서 작동되면 오작동으로 인해 반전하거나 또는 글라스(또는 블라인드) 개폐시에 개방 한계 지점 또는 틸트업 한계 지점(또는 폐쇄 한계 지점)에 닿아 스톨이 발생하게 되는데, 같은 위치에서 스톨 현상이 2회 발생되면(즉, 상기한 프로세스에서 현재 위치(CURR POS)의 펄스 카운터 값이 이전 개방 멈춤 위치의 소정 범위(OPEN STOP POS ±2)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여(107, 207), CURR POS == OPEN STOP POS ±2로 확인된 경우), 선루프가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고, 개방 한계 지점일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초기화시 측정했던 개방 한계 위치 값으로 지정하고, 틸트업 한계 지점(또는 폐쇄 한계 지점)일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영점 위치로 값을 설정해 위치를 보상(자동 재설정)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위치 재설정 기능을 갖춘 세이프티 파노라마 선루프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입력부(10)는 사용자가 스위치/버튼 등의 조작에 의해 선루프 컨트롤을 할 때에 각종 컨트롤 신호를 메인부(50)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기구부(20)는 선루프의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위시한 각종 기구적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구동부(30)는 선루프의 기구부(20)를 구동하는 요소들(가령, 모터)을 나타낸다. 센서부(40)는 선루프 구동부(30) 중에, 특히 모터 구동시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홀센서(미도시)로 감지해 선루프의 위치 파악 및 마찰저항 측정을 수행한다. 메인부(50)는 선루프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총괄 수행한다. 입력부(10)에서 들어온 신호를 받아 신호에 따라 구동부(30)의 모터를 가동 시켜 기구부(20)의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움직이고, 이때 센서부(40)에서 펄스 카운터 값을 분석해 선루프를 더 이동시킬지 멈추게 할지 결정하고, 또 물체 끼임 등을 판단해 자동 반전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메인부(50)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재설정 방법을 탑재하여 위치 상실 또는 정위치에서 이탈을 스스로 판단해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 일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당업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회로(프로그래머블 로직을 포함) 또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을 도 6의 메인부(50)에 내장하여서 선루프를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입력부, 20: 기구부, 30: 구동부, 40: 센서부, 50: 메인부

Claims (7)

  1. 선루프의 글라스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시에 그 위치를 재설정하는 방법으로서,
    1) 글라스의 동작후에 멈춤이 발생하여 스톨이 감지되면 멈춰 있는 상태의 글라스가 현재까지 진행했던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는지 폐쇄 방향이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2-1)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위치를 확인하여,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다면 그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지 확인하고,
    2-2)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다면 목적지 위치가 폐쇄 지점을 지난 틸트업 지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3-1) 상기 단계 2-1)에서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 경우에, 글라스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2) 글라스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에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개방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개방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3)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개방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고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으면,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4)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글라스의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개방 한계 위치로 설정하고 개방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선루프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
    4-1) 상기 단계 2-2)에서 글라스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고 그 목적지 위치가 틸트업 지점인 경우에, 현재 위치가 틸트업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2) 글라스가 틸트업 지점보다 이전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폐쇄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폐쇄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3)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폐쇄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을 경우,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4) 폐쇄 멈춤 위치가 폐쇄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 현재 위치를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영점 위치로 설정하고 폐쇄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글라스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2. 선루프의 블라인드 위치가 상실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시에 그 위치를 재설정하는 방법으로서,
    1) 블라인드의 동작후에 멈춤이 발생하여 스톨이 감지되면 멈춰 있는 상태의 블라인드가 현재까지 진행했던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는지 폐쇄 방향이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2-1)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 위치를 확인하여,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개방 방향이었다면 그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지 확인하고,
    2-2)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다면 목적지 위치가 폐쇄 지점인지 확인하는 단계,
    3-1) 상기 단계 2-1)에서 목적지 위치가 개방 지점인 경우에, 블라인드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2) 블라인드의 현재 위치가 개방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에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개방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개방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3)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개방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고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개방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으면,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3-4)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블라인드의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개방 한계 위치로 설정하고 개방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개방 멈춤 위치가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선루프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
    4-1) 상기 단계 2-2)에서 블라인드의 진행 방향이 폐쇄 방향이었고 그 목적지 위치가 폐쇄 지점인 경우에, 현재 위치가 폐쇄 지점보다 이전의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2) 블라인드가 폐쇄 지점보다 이전에 위치하고 있으면, 현재 위치가 이전에 폐쇄되다가 멈추었던 위치(이하, '폐쇄 멈춤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3)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다를 경우, 폐쇄 멈춤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절차를 종료하고, 이전 폐쇄 멈춤 위치가 현재 위치와 같을 경우,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에 보상했던 위치(이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
    4-4) 폐쇄 멈춤 위치가 폐쇄 보상 위치와 다른 경우, 현재 위치를 초기화시 저장되어 있는 영점 위치로 설정하고 폐쇄 보상 위치에 현재 위치값을 저장하여 위치를 재설정하고, 이전에 보상했던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경우에는 DTC를 발생시키고 블라인드의 초기화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3-2에서 현재 위치가 이전 개방 멈춤 위치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위치가 이전 개방 멈춤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3-3에서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 개방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개방 멈춤 위치가 이전 개방 보상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4-2에서 현재 위치가 이전 폐쇄 멈춤 위치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위치가 이전 폐쇄 멈춤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4-3에서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 폐쇄 보상 위치와 같은 위치인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폐쇄 멈춤 위치가 이전 폐쇄 보상 위치의 전후로 사전 정해놓은 범위 안에 드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7. 사용자로부터의 선루프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선루프의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포함한 기구적 구성요소를 동작시키며 선루프 구동시에 선루프의 글라스 및 블라인드의 위치를 파악하고 마찰저항 측정을 수행하는 메인부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치에 있어서,
    이 메인부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을 실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장치.
KR1020160114993A 2016-09-07 2016-09-07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KR10179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93A KR101799205B1 (ko) 2016-09-07 2016-09-07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993A KR101799205B1 (ko) 2016-09-07 2016-09-07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05B1 true KR101799205B1 (ko) 2017-11-17

Family

ID=60808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993A KR101799205B1 (ko) 2016-09-07 2016-09-07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5947B2 (en) * 2018-08-23 2021-07-2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sunroof blind
CN115467602A (zh) * 2022-08-12 2022-12-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天窗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KR20230097869A (ko) * 2021-12-24 2023-07-03 디와이씨스 주식회사 선루프위치보정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979A (ja) 2000-09-28 2002-04-09 Aisin Seiki Co Ltd 開閉体制御装置
JP2002371750A (ja) 2001-06-19 2002-12-26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原点位置設定方法
JP2005290938A (ja) 2004-04-06 2005-10-20 Yachiyo Industry Co Ltd 車両用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979A (ja) 2000-09-28 2002-04-09 Aisin Seiki Co Ltd 開閉体制御装置
JP2002371750A (ja) 2001-06-19 2002-12-26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原点位置設定方法
JP2005290938A (ja) 2004-04-06 2005-10-20 Yachiyo Industry Co Ltd 車両用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5947B2 (en) * 2018-08-23 2021-07-2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cking location of sunroof blind
KR20230097869A (ko) * 2021-12-24 2023-07-03 디와이씨스 주식회사 선루프위치보정방법 및 장치
KR102634884B1 (ko) 2021-12-24 2024-02-08 디와이씨스 주식회사 선루프위치보정방법 및 장치
CN115467602A (zh) * 2022-08-12 2022-12-1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天窗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205B1 (ko)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US6590357B2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for cover
JP5242040B2 (ja) 自動ドア装置用センサ及びこのセンサを用いた自動ドア装置
JP4834747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US9777527B2 (en) Window lifter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window lifter
US6870340B2 (en) Position initialization for a vehicle power closure system
JP2005351042A (ja) 開閉体制御装置
US8143832B2 (en) Method and unit for operating an electromechanical adjusting device
US10464399B2 (en) Vehicle window opening device
JP2001253242A (ja) 開口覆材の開閉制御装置
JP4577552B2 (ja) 開閉体駆動装置
KR20170129130A (ko)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2001733A (ja) 自動ドアセンサ、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自動ドアセンサの制御方法
JP4981431B2 (ja) 車両用開閉体の制御装置
US7764036B2 (en) Sliding member controller
JP2007224685A (ja) 開閉制御装置及び開閉制御の設定方法
KR102151720B1 (ko) 속도 변화량을 이용한 모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908222B2 (ja) 安全装置を備える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02452535B1 (ko) 차량용 선루프의 오동작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081240B1 (ko)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JP4153181B2 (ja) サンルーフ制御装置及びサンルーフ制御方法
JP7010888B2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初期化方法
JP2018188003A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及び開閉体装置制御方法
JP6265686B2 (ja) 開閉体装置
JP7062468B2 (ja) 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自動ドアセンサ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