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240B1 -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 Google Patents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240B1
KR102081240B1 KR1020180072139A KR20180072139A KR102081240B1 KR 102081240 B1 KR102081240 B1 KR 102081240B1 KR 1020180072139 A KR1020180072139 A KR 1020180072139A KR 20180072139 A KR20180072139 A KR 20180072139A KR 102081240 B1 KR102081240 B1 KR 10208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glass
closing
sunroof
instruction
initi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70A (ko
Inventor
박승민
왕한석
김해성
전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바스토코리아홀딩스
Priority to KR1020180072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각 단계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은, 폐쇄 지시가 입력되면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반전 동작이 검출되면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와 소정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를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SUNROOF POSITION AND SUNROOF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의 오류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반전이 발생한 경우에 위치 정보의 초기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루프는 차량의 루프(지붕)를 개폐하여 차내를 밝게 해주고 심리적으로 실내 공간을 크게 느끼게 하여 탑승자에게 해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환기가 잘되게 하여 차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루프는 차체의 지붕에 설치되는 선루프 조립체로서 구성되며, 선루프 조립체에 구비된 개구부를 선루프 글라스를 통해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선루프 글라스가 선루프 개구부 내에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폐쇄 또는 개방 등의 동작 등을 수행할 때 개구부에서 선루프 글라스가 위치해야 할 곳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위치 정보의 초기화 동작은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초기화가 시작되면 먼저 선루프 글라스가 영점 세팅(zero position setting)을 실시한다. 영점 세팅은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시켜 기구적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위치에 도달하게 하여 그 위치를 기준점으로 세팅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영점 위치를 참조하여 선루프 글라스를 개방하면서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초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선루프 글라스에 지속 반전이 발생하는 등으로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영점 세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치 정보의 초기화가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루프 글라스에 지속 반전이 발생하여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될 수 없는 경우에도 초기화가 수행 가능한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은, 각 단계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으로서, 폐쇄 지시가 입력되면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반전 동작이 검출되면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와 소정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를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폐쇄 지시는, 폐쇄 스위치가 눌러진 것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초기화 지시는, 상기 폐쇄 스위치가, 상기 폐쇄 지시에 대응하여 눌러진 이후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일 때 상기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폐쇄 지시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상기 반전 동작은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구속 지점에서 개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소정 횟수는 2회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상기 반전 동작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폐쇄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를 상기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초기화 지시는,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폐쇄 지점에 위치한 이후 폐쇄 스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동작은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것을 기준으로 영점 세팅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폐쇄 지시를 수신하는 입력부; 선루프 글라스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폐쇄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하여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를 계산하고,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1 초기화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폐쇄 스위치이고, 상기 폐쇄 지시는, 상기 폐쇄 스위치를 누른 것에 해당하고, 상기 제1 초기화 지시는, 상기 폐쇄 스위치가, 상기 폐쇄 지시에 대응하여 눌러진 이후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쇄 지시가 입력된 후 상기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2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초기화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초기화 지시는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폐쇄 지점에 위치한 이후 폐쇄 스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선루프 장치에 의하면, 선루프 글라스에 지속 반전이 발생하여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위치 정보의 초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에서 선루프 글라스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에서 선루프 글라스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루프 글라스는 수평 방향에서 구속 지점과 개방 지점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 1의 구속 지점을 향하는 방향을 폐쇄 방향이라 하고, 개방 지점을 향하는 방향을 개방 방향이라 칭한다. 개방 지점은 선루프 글라스가 개방되었을 때의 선루프의 위치를 나타내고, 폐쇄 지점은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되었을 때의 선루프의 위치를 나타낸다. 구속 지점은 선루프 글라스가 구속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이동 가능한 한계를 나타내는 지점이며, 선루프 글라스의 동작에 마진을 주기 위해 폐쇄 지점과 별도로 존재한다. 구속 지점은 폐쇄 지점보다 폐쇄 방향측에 위치하며, 구속 지점은 예를 들어 폐쇄 지점보다 폐쇄 방향측으로 약3mm~5mm 사이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선루프 글라스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지시가 입력된 경우, 폐쇄 지점의 위치 정보가 선루프 글라스의 실제 위치보다 폐쇄 방향측(좌측)으로 판단되면 선루프 글라스는 폐쇄 지점으로 이동(폐쇄 동작)하고, 개방 지시가 입력된 경우, 개방 지점의 위치 정보가 선루프 글라스의 실제 위치보다 개방 방향측(우측)이면 선루프 글라스는 개방 지점으로 이동(개방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선루프의 계속적인 사용으로 위치 정보의 오차가 누적되거나 기타 다른 요인으로 인해 위치 정보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루프 글라스의 폐쇄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가 실제 폐쇄 지점보다 폐쇄 방향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폐쇄 지시를 입력하면, 선루프 글라스는 폐쇄 지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를 향해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 구속 지점에 도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선루프 장치는 물체가 끼인 것으로 인식하여 선루프 글라스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구속 지점에서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전 동작이 발생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폐쇄 지시를 입력해도, 선루프 글라스는 폐쇄 지점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 반전이 발생한다.
이하, 전술한 예와 같이 지속 반전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위치 정보의 초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의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며, 제어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폐쇄 스위치를 누른다(S100). 이에 따라 제어부는 폐쇄 지시를 입력받게 되고,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110).
다음으로, 제어부는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한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이 폐쇄 지점의 위치 정보가 실제 폐쇄 지점보다 폐쇄 방향측에 위치하는 경우 반전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이 검출되면(S120, Y), 제어부는 반전 동작의 누적 횟수, 즉 반전 횟수를 계산한다(S130). 반전 횟수는 이전의 반전 횟수에 1을 더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0). 여기서, 소정 횟수(N)는 예를 들면 2회일 수 있다.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에 도달하지 않으면(S140, N),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폐쇄 스위치가 눌러지기를 대기한다(S100). 즉, 제어부는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에 도달할 때까지 S100, S110, S120, S130 및 S140의 단계를 반복한다.
반면, 반전 동작이 소정 횟수에 도달하면(S140, Y), 제어부는 폐쇄 스위치가 S100 단계에서 눌러진 이후 소정 시간 T1 이상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신호(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한다(S150). 여기서,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10초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초기화 지시에 응답하여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S160), 선루프 글라스를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킨다(S170).
제어부는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를 수행한다(S180). 초기화가 완료되면(S190, Y),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초기화가 완료되지 않으면(S190, N), 처음으로 돌아간다.
한편,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이 검출되지 않으면(S120, N), 제어부는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를 검출한다(S122).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해 있으면(S122, Y), 폐쇄 지점의 위치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초기화를 수행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해 있지 않으면(S122, N),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폐쇄 스위치가 눌러지기를 대기한다(S100).
본 실시예에서, 처음에 사용자가 폐쇄 스위치를 눌렀다 떼었을 때 선루프 글라스가 반전하는 것을 보고 폐쇄 동작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는 폐쇄 스위치를 소정 시간 이상 누를 수 있고(폐쇄 지시 및 제1 초기화 지시에 해당), 이에 따라 초기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와 마찬가지로, 도 3의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은 후술하는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폐쇄 스위치를 누른다(S200). 이에 따라, 제어부는 폐쇄 스위치가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폐쇄 지시를 수신하여,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10).
다음으로, 제어부는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한다(S220).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이 검출되면(S220, Y), 제어부는 반전 동작의 누적 횟수(반전 횟수)를 계산하고(S230),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40). 여기서, 소정 횟수(N)는 예를 들면 2회일 수 있다.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에 도달하지 않으면(S240, N),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폐쇄 스위치가 눌러지기를 대기한다(S200). 즉, 제어부는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에 도달할 때까지 S200, S210, S220, S230 및 S240의 단계를 반복한다.
반전 횟수가 소정 횟수(N)에 도달하면(S240, Y), 제어부는 폐쇄 스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눌러진 상태에 해당하는 지시(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한다(S250). 여기서,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10초일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초기화 지시에 응답하여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켜(S260), 선루프 글라스를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킨다(S270).
제어부는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를 수행한다(S280). 초기화가 완료되면(S290, Y),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초기화가 완료되지 않으면(S290, N), 처음으로 돌아간다.
한편,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이 검출되지 않으면(S220, N), 제어부는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해 있는지를 검출한다(S222).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해 있고(S222, Y),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폐쇄 스위치를 소정시간 T2 이상 누르면(S225), 제어부는 제2 초기화 지시가 입력된 것으로 보아 선루프 글라스를 폐쇄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키고(S270), 초기화를 수행한다(S280). 여기서, 제2 초기화 지시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T2는 제1 초기화 지시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T1과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초일 수 있다.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해 있지 않으면(S222, N),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폐쇄 스위치가 눌러지기를 대기한다(S200).
도 3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S225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이 상이하며, 이에 따라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제2 초기화 지시(폐쇄 스위치를 소정 시간 이상 누름)을 수신하여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반전이 검출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반전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초기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장치(1)는 입력부(10), 기구부(20), 구동부(30), 센서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는 사용자가 스위치/버튼 등의 조작에 의해 선루프 컨트롤을 할 때에 각종 컨트롤 신호를 제어부(50)에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기구부(20)는 선루프의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위시한 각종 기구적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구동부(30)는 선루프의 기구부(20)를 구동하는 요소들(가령, 모터)을 나타낸다. 센서부(40)는 선루프 구동부(30) 중에, 특히 모터 구동시에 발생하는 자기장을 홀센서(미도시)로 감지해 선루프의 위치 파악 및 마찰저항 측정을 수행한다. 제어부(50)는 선루프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총괄 수행한다. 입력부(10)를 통해 들어온 신호를 받아 신호에 따라 구동부(30)의 모터를 가동 시켜 기구부(20)의 글라스와 블라인드를 움직이고, 이때 센서부(40)에서 측정된 값을 분석해 선루프를 더 이동시킬지 멈추게 할지 결정하고, 또 물체 끼임 등을 판단해 자동 반전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5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을 탑재하여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발생시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통상의 기술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회로(프로그래머블 로직을 포함) 또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을 도 4의 제어부(50)에 내장하여 선루프를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스위치를 통해 폐쇄 지시 및 초기화 지시(제1 초기화 지시 및 제2 초기화 지시)가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스위치가 아닌 버튼 형태 또는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폐쇄 지시 및 초기화 지시(제1 초기화 지시 및 제2 초기화 지시)가 하나의 폐쇄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각이 다른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각 단계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으로서,
    폐쇄 스위치가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폐쇄 지시가 입력되면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반전 동작이 검출되면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와 소정 횟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폐쇄 스위치가 상기 폐쇄 지시에 대응하여 눌러진 이후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를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폐쇄 지시의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동작은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구속 지점에서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횟수는 2회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10초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동작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폐쇄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를 상기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초기화 지시는,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폐쇄 지점에 위치한 이후 폐쇄 스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동작은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것을 기준으로 영점 세팅을 수행하는 것인 선루프 글라스의 위치 제어 방법.
  12. 사용자로부터, 폐쇄 스위치가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폐쇄 지시와, 상기 폐쇄 스위치가 상기 폐쇄 지시에 대응하여 눌러진 이후 소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제1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는 입력부;
    선루프 글라스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폐쇄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 동작을 검출하여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초기화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구속 지점에 강제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한 선루프 글라스에 대해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누적된 반전 동작의 횟수가 상기 소정 횟수보다 작으면 상기 폐쇄 지시의 입력을 대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선루프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폐쇄 지시가 입력된 후 상기 선루프 글라스의 반전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제2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초기화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구속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행하는 선루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폐쇄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는 선루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초기화 지시는 상기 선루프 글라스가 상기 폐쇄 지점에 위치한 이후 폐쇄 스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눌러진 것에 해당하는 선루프 장치.
KR1020180072139A 2018-06-22 2018-06-22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KR10208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39A KR102081240B1 (ko) 2018-06-22 2018-06-22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39A KR102081240B1 (ko) 2018-06-22 2018-06-22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0A KR20200000170A (ko) 2020-01-02
KR102081240B1 true KR102081240B1 (ko) 2020-02-25

Family

ID=6915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139A KR102081240B1 (ko) 2018-06-22 2018-06-22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05A (ko) 2020-05-26 2021-12-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선루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750A (ja) * 2001-06-19 2002-12-26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原点位置設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4572A (ja) * 1994-02-15 1995-08-22 Nippondenso Co Ltd 車両用パワーウィンド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750A (ja) * 2001-06-19 2002-12-26 Asmo Co Ltd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制御装置における開閉部材の原点位置設定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05A (ko) 2020-05-26 2021-12-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선루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0A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375B2 (en) Outer sliding sunroof apparatus
CN104114799A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
US11016573B2 (en) Vehicular input apparatus
US20160153226A1 (en) Openable and closable member control apparatus
KR102081240B1 (ko) 선루프 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선루프 장치
TW574467B (en) Trapping detection device of opening/closing member
US20200291706A1 (en) Vehicle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device
EP2907705A1 (en)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10464399B2 (en) Vehicle window opening device
US4311961A (en) Testing of enclosed electromagnetic relays
CN114435194A (zh) 用于控制车辆中电动座椅的防夹的检测的设备和方法
JP2006022570A (ja) 開閉体駆動装置
CN109151106B (zh) 滑动组件的滑动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US10024095B2 (en) Openable and closable member control apparatus
KR101799205B1 (ko) 선루프 위치 자동 재설정 방법 및 이 방법이 적용된 선루프 장치
EP1293635B1 (en) Power window apparatus for vehicle
KR20120090393A (ko) 사이드 도어글래스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928689B (zh) 电梯的目的层登记方法
JP2007224685A (ja) 開閉制御装置及び開閉制御の設定方法
JP2009161967A (ja) 車両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JP4664872B2 (ja) 挟み込み検知装置
US20170329429A1 (en) Input device
KR20180076486A (ko) 차량용 도어 사이드 스텝 구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691785B (zh) 开/闭体控制装置、车辆、开/闭体控制方法及记录介质
JP7087699B2 (ja) 窓開閉位置検出装置、窓開閉位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