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162A -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 Google Patents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162A
KR19990044162A KR1019980701396A KR19980701396A KR19990044162A KR 19990044162 A KR19990044162 A KR 19990044162A KR 1019980701396 A KR1019980701396 A KR 1019980701396A KR 19980701396 A KR19980701396 A KR 19980701396A KR 19990044162 A KR19990044162 A KR 1999004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b
frame
sign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죠셉 비타
Original Assignee
로이드 디. 도이간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이드 디. 도이간,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로이드 디. 도이간
Publication of KR1999004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1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8Driving gear incorporating flui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66D1/225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variable ratio or reversing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Abstract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캐브(14)는 신호 처리 제어기(43)(도 4 및 도 5)에 응답하여 일련의 승강로(11-13)에서 수평 이동수단(44-47)에 의해 복수개의 카 프레임(16-18) 사이에서 이송된다.

Description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종래 엘리베이터의 승강 시스템에서 로프의 절대 하중은 그 실제의 이동 길이를 한정한다. 이러한 한계를 벗어난 높은 건물의 일부에 도달하기 위하여, 승객들을 로비로 이동시킨 후 로비에서 승객들을 더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는 다른 엘리베이터로 도보 이동시키는 것은 통상적인 것이다. 그러나, 승객의 밀링 어라운드(milling around)는 전형적으로 불규칙적이며, 건물에서 상하로의 안정된 승객흐름을 방해한다.
건물의 상부층으로 가기 원하는 모든 승객은 건물의 하부층을 통하여 상향으로 이동해야만 한다. 따라서, 건물이 높아질수록, 더욱 더 많은 승객이 하부층을 통하여 이동되어만 하며, 이에 따라 보다 많은 건물이 엘리베이터 승강로[본 발명에서는 "코어(core)"로 언급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적절한 승객을 건물의 상부층으로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코어 양의 감소는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강로가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비율의 증가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공지의 이중 데크 카는 가장 혼잡한 시간에 이동될 수 있는 승객의 수를 2배로 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승강로의 수를 거의 절반으로 감소시켰다. 승강로에서 이동하는 복합 캐브를 갖는 것에 대한 제안은 이중 슬렁 시스템을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중 슬렁 시스템에 있어서 높은 캐브는 로핑비(roping ratio)로 인하여 낮은 캐브의 거리보다 2배의 거리를 이동하며, 엘리베이이터는 승강로의 측벽상에 위치된 선형 유도 모터들(linear induction motors : LIMs)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로핑(roping)이 필요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중 슬렁 시스템은 상당히 높은 건물에서 승객을 스카이 로비로 이송하는데는 유용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LIMs도 실제적인 것이 아니다. 그 이유는 평형추가 없을 경우 모터 부품과 동력 소모가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캐브를 제 1 승강로에서 제 2 승강로로, 제 2 승강로에서 제 3 승강로 등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건물에서 엘리베이이터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분측단면도.
도 2 는 이송층을 상세히 도시한, 도 1 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분측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이송층에서 엘리베이터의 부분평면도.
도 4 는 도 1 의 가장 낮은 축에서 제 1 카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로직 흐름도.
도 5 는 도 1 의 중간축에서 제 2 카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로직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수평 이동수단을 도시하는, 캐브와 카 프레임의 부분측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스카이 로비에서 엘리베이터 집단 사이에서 걸을 필요없이 매우 높은 건물에서 승객을 이송하고, 종래 엘리베이터의 실제 거리를 초과하는 건물의 수직거리로 엘리베이터 캐브를 이송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긴 거리에 도달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캐브는 지상으로부터 이송층으로 제 1 승강로의 제 1 카 프레임으로 이동되며, 제 2 승강로의 제 2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으로 수평이동되며, 이후 건물의 상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수평 이동수단은 카가 로비 랜딩부가 아닌 랜딩부에 있을 때 이송 신호에 응답하여 신호 처리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가 로비 랜딩부를 떠날 때, 이송 신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 신호는 카가 이송 랜딩부에 접근할 때마다 제공된다.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이송 신호가 있을 때 카가 캐브를 가질 때마다 방향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로핑 시스템의 최대 거리의 2배 이상으로 엘리베이터 캐브를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스카이 로비에서 도보로 하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승객의 이송에 기인한 승객 이송의 붕괴를 피할 수 있게 한다.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 양호하게 인식될 것이다.
도 1 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객이 포함된 캐브부를 제외하고는 완벽한 엘리베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3개의 오버랩된 승강로(11-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엘리베이터는 프레임(16-18)과, 승강 로프(20-22)와, 카 제어기(30-32)를 따라 장치 룸(27-29)에 배치된 브레이크와 모터와 외피를 구비하는 승강장치(24-26)를 포함한다. 제어를 위하여, 승강로(11-13)에서의 엘리베이터는 제 1 카(car one)와, 제 2 카(car two)와 제 3 카(car three)로 언급된다. 제 1 카는 승객을 로비층(32)과 제 1 이송층(33) 사이에서 이송시키며, 상기 제 1 이송층은 제 2 카보다 낮은 층이며, 제 2 이송층(34)은 제 2 카보다 높은 층을 표시한다. 제 3 카는 높은 이송층(34)과 상부 로비층(35) 사이에서 승객을 이송하며, 상기 로비층은 때로는 식당층이나 전망층으로 불리워지며 또는 로컬 엘리베이터에 의해 승객을 보다 높은(낮은) 층으로 이송시키는 로비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엘리베이터 캐브(14)와 로비층(32, 35) 사이에서의 접근은 승강 도어(37, 38)에 의해 제공된다. 각각의 승강로(11-13)의 바닥은 공지의 버퍼(40-42)를 포함한다. 각각의 엘리베이터는 평형추와 가버너(governer)와 안전장치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을 청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집단 제어기(43)는 도 4 및 도 5 를 참조로 서술되는 바와 같이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송층에는 캐브를 카의 한쪽 프레임(16-18)으로부터 카의 다른쪽 프레임으로 이송하기 위해 잭 스크류 조립체(44-47)와 같은 수평 이동수단이 제공된다. 도 2 에서 상기 캐브(14)는 캐브를 프레임(16)의 플랫포옴(51)으로부터 프레임(17)의 플랫포옴(52)으로 롤링시키기 위해 휘일(50)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브(14)는 승객을 하부 및 상부 로비층(32, 35)으로 접근시키는 도어 작동기구(54)에 의해 작동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53)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도어는 이송층(33, 34)에서 개방되지 않는다. 각각의 카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전자쌍안정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포함하는 층 폐쇄부(floor lock)(56)를 가지며, 상기 솔레노이드 플런저는 플런저가 승강로에서 지지되는 판(58, 59)과 결합되는 폐쇄위치(locked position)로 이동될 수 있다. 2중 코일형 전자쌍안정 솔레노이드의 사용은 코일이 작동중지되고 플런저가 결합된 상태로 된 후에 한쪽 코일을 작동시켜 플런저가 도시된 것처럼 결합되게 하며, 카가 이동되었을 때 대향의 코일은 플런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이동되며 그후 플런저는 다른쪽 코일이 일단 다시 작동될 때까지 결합을 벗어난 상태로 된다. 층 폐쇄부(56, 57)의 사용은 캐브가 한쪽 프레임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으로 이동될 때 로프 인장의 변화에 기인한 프레임(16, 17)의 불의의 이동을 감소시킨다. 상기 판(59)은 캐브(14)를 한쪽 프레임(16)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17)으로 롤링시키는 실(sill)(60)과 결합된다. 각각의 카 프레임(16-18)은 플런저(56) 및 판(58)에 대해 서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판을 캐브상에 결합하기 위하여 캐브를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플런저(61)를 포함하는 캐브/카 고정시스템을 갖는다. 각각의 프레임은 캐브가 각각의 카에 있음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캐브(14)상에 요소(65)의 존재를 검출하는 근접 검출기(63, 64)를 갖는다.
캐브를 한쪽 프레임(16)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17)으로 이송시에는 적어도 경고벨과 전화와 도어 폐쇄 스위치를 위한 신호 회로를 유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캐브를 조명하기 위한 동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1 에 도시된 셔틀 시스템에 있어서, 어떤 특정한 층을 선택하지 않고 2개의 로비층(32, 35) 사이를 이동하는 것은 카 호출 버튼을 갖는 완전한 카 동작 패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캐브가 하부 로비(32)에서 제 1 카에 있고 캐브가 상부 로비(34)에서 제 3 카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도어가 개방될 수 없기 때문에, 캐브(14)가 한쪽 프레임(16)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17)으로(또는, 이와 반대인 방향으로) 이송될 때 도어를 개방시킬 능력을 갖고 있을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을 위한 동력과 신호를 위한 회로는 그 말단부에 연결된 2측형 플러그-소켓 조립체(69)를 갖는 케이블(68)에 의해 지지되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 단부는 그 중심부에서 캐브에 들어간다. 상기 소켓/플러그 조립체(69)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필요한 회로의 갯수에 대한 적절한 갯수의 핀과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의 프레임(16, 17)상에서 부움 회전기구나 동작기(74, 75)에 의해 제어되는 각각의 부움(72, 73)에 부착된 대응의 소켓/플러그 조립체(70, 71)와 결합된다. 캐브가 카 프레임 사이나 카 프레임상에 있을 때, 상기 소켓/플러그 조립체(69)는 소켓/플러그 조립체(70, 71)의 어느 한쪽이나 양쪽과 항상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7)은 캐브가 카(2)의 프레임(17)으로부터 카(3)(도 1)의 프레임(18)으로 이송될 때 사용하기 위해 제 2 부움(78)과 부움 동작기(79)를 포함한다. 각각의 소켓/플러그 조립체(70, 71, 80)는, 해제 신호에 응답하여 대응의 소켓/플러그 조립체를 캐브(14)의 소켓/플러그 조립체(69)로부터 가압하여 이로부터 분리시키고 이에 따라 비사용시에는 부움(72, 73, 78)이 후퇴되게 하는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포함한다. 캐브가 카(2)의 프레임(17)에 로딩된 후 부움(73)으로부터 부움(78)으로 캐브 통신(cab communication)의 이송을 실시하기 위하여, 부움(73, 78)의 후퇴위치[부움(78)에 의해 도시]는 인접해 있으며, 이에 따라 소켓/플러그 조립체(69)는 부움(72)으로부터 부움(73)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그후 다시 부움(78)으로 이송된 후 카(3)(도시않음)의 프레임(18)상의 유사한 부움으로 이송될 수 있다.
캐브(14)를 한쪽 프레임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잭 스크류 조립체(44, 45)는 대응의 모터쌍(87, 88)에 응답하여 2개의 스크류(85, 86)에 의해 구동되는 범퍼(83, 84)를 각각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각각의 카가 이송층(33, 34)의 인접한 카상에서 캐브(14)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축(12, 13)은 축의 우측으로 오버랩된다. 그러나, 필요할 경우 축(13)은 축(11)의 바로 위에 위치된 축(12)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엘리베이터와는 관계없이 건물 디자인의 기준에 의존한다.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라면, 제 2 카는 제 1 카 및 제 2 카상에서 부움과 상호작동되기 위하여 단지 단일의 부움(73)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캐브(14)를 한쪽 프레임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양 프레임은 상술한 단일의 플런저(56, 57)에 의해 건물에 고정된다. 그러나, 프레임을 플로어에 고정하기 위한 최적의 모드는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서(도켓 넘버 OT-2286)에 서술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캐브(14)는 상술한 단일의 플런저(60, 61)에 의해 올라타는 프레임에 고정된다. 그러나, 카의 이송중 캐브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최적의 모드는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서(도켓 넘버 OT-2284)에 서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엘리베이터 축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므로, 캐브에 대한 이송 거리는 카 프레임의 폭에다 상술한 협소한 실(60)의 폭을 더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이송중 통신과 동력을 본 발명과 동시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서(도켓 넘버 OT-2288)에 서술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공하므로써, 상기 캐브(14)는 본 발명의 범위내의 카 사이에서 보다 긴 거리를 이동될 수 있다.
도 4 에 있어서, 제 1 카에 대한 제어 루틴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된다. 도 4 의 루틴은 시작점(91)을 통하여 도달되며, 제 1 테스트(92)는 카에 이동방향이 지령(즉,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지령)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캐브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하부 로비층(32)에서 준비중인 제 1 카(1)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 상기 카는 방향을 갖지 못하며, 따라서 테스트(92)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93)로 진행되어 전송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플래그는 카가 이송층에 도달되었을 때 캐브를 가지며 이를 다른 카로 이송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추적하기 위해 세팅된 것이다. 처음에, 이러한 플래그는 세팅되지 않으며, 따라서 테스트(93)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94)로 진행되어 카의 위치가 로비층[제 1 카, 하부 로비층(32)]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가정에 따라, 카는 로비에 있으므로 테스트(94)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95)로 진행되어 도어가 완정히 개방되었는 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도어는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가정되며, 따라서 테스트(95)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96)로 진행되어 도어 타이머가 완료되어 도어가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97, 98)로 진행되어 도어 역전 스위치(들어가려고 하는 승객의 존재를 검출하는 도어상에 있는)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작동중인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이들중 어느 것도 작동되지 않는다면, 테스트(97, 98)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99)로 진행되어 도어를 폐쇄할 것이다. 그러나, 도어를 폐쇄할 시간까지, 테스트(96)의 부정적인 결과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단계(100)로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타이머가 완료된 후에, 도어 역전 스위치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승객에 의해 작동되었다면, 도어 개방 단계(100)에 도달될 것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프로그래밍의 다른 부분은 복귀점(103)을 통하여 역전된다.
도 4 의 카 제어루틴을 통한 일련의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92, 93)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96-98)로 진행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지 폐쇄된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타이머가 완료되어 승객이 도어 역전 스위치나 도어 개방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없다고 가정한다면, 단계(99)에서는 캐브에 지령을 내려 도어를 폐쇄하며, 기타 다른 프로그래밍은 단계(103)을 통하여 역전된다. 도 4 의 카 루틴을 통한 일련의 통과에 있어서, 일단 테스트(93, 94)의 부정적인 결과가 단계(95)로 진행되기만 하면, 이 시간에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는다(폐쇄될 동안 또는 폐쇄된 후). 따라서, 테스트(95)의 부정적인 결과는 한쌍의 테스트(104, 105)에 도달되어 승객이 도어 개방 스위치를 눌렀는지 또는 도어 역전 스위치를 작동시켰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며, 이 경우 단계(100)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다시 반복된다. 그러나,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104, 105)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06)로 진행되어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테스트(106)의 부정적인 결과는 복귀점(103)을 통하여 다른 프로그래밍에 도달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어는 완전히 폐쇄되며, 테스트(106)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07, 108, 109)로 진행되는데, 상기 단계(107)에서는 이송 플래그(캐브는 제 1 카의 프레임으로부터 제 2 카의 프레임으로 늦게 이송되어야만 하는 것을 표시하는)를 세팅하며, 상기 단계(108)에서는 카 방향을 상향으로 지령하며, 단계(109)에서는 로비 복도 랜턴을 리세팅한다. 그리고, 다른 프로그램은 복귀점(103)을 통하여 도달된다.
도 4 의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92)는 긍정이므로 테스트(110)에 도달되어 카가 작동 지령을 받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테스트(110)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11)로 진행되어 캐브/카 고정부가 실제로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것은 플런저(60)(도 2 및 도 3)에 연결된 접점이나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발생된 안전 신호이다. 상기 캐브는 카에 제일 먼저 들어갔을 때 제 1 카에 고정되며[이하, 단계(169)], 다시 제 2 카로 이송될 때까지 고정된 상태로 존재한다[이하, 단계(150)]. 만일 캐브가 고정되었다면, 테스트(112)는 제 1 부움이 후퇴되었는지를 결정한다[즉, 도 2 및 도 3에서 부움(72)]. 만일 테스트(111, 112)중 어느 하나라도 부정이라면, 카는 작동이 중지된다. 도 4 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정적인 결과는 카에 대한 작동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간단히 우회한다. 그러나, 보다 완벽한 실시예에서, 테스트(111, 112)의 부정적인 결과는 경고와 유지보수의 간섭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승객의 방출을 초래한다. 그러나, 만일 테스트(111, 112)가 긍정이라면, 테스트(113)는 카가 플로어에 아직까지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로비층에서 카/플로어 상호고정은 플런저(56, 57)가 판(59)과 결합되는 것을 보장하고 카가 로비층(예를 들어, 제 2 카는 포함되지 않음)에 잇는 것을 보장하는 스위치의 접점의 안전 회로로서 완성된다. 테스트(113)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114)로 진행되어 카/플로어 고정을 리세팅하므로써 플런저(56)(도 2)를 복구시킨다. 일련의 루틴을 통과하여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 테스트(113)는 부정으로 되며, 프리토크 서브루틴(115)으로 진행되어 엘리베이터 모터에 적절한 전류가 제공되므로써 브레이크의 상승을 예상하여 엘리베이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단계(116)에서는 브레이크를 상승시킬 것이 요구되며, 단계(117)에서는 엘리베이터를 작동 모드로 세팅한다. 그후, 컴퓨터는 복귀 포인트(103)를 통하여 다른 프로그래밍으로 복귀된다. 일단 작동 모드에 돌입되면, 카 이동 제어기와 카 제어부(30)(도 1)의 일부는 속도 프로필에 응답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카를 이동시킬 것이다.
도 4 의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92)의 긍정적인 결과는 이제 긍정적인 상태인 테스트(110)로 진행될 것이다. 테스트(120)는 카의 방향이 하향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121)는 카가 로비층(32)에 대한 정지 제어 포인트(stop control point : SCP)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도달되었다면, 로비층(32)의 랜턴(도시않음)을 작동시킬 것이다. 만일 카가 정지 제어 포인트에 도달되지 않았다면, 루틴은 단계(122)를 우회하여 테스트(123)에 도달된 후 카가 내측 도어 영역(inner door zone : IDZ)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정지 제어 포인트에 도달되기 전에, 테스트(123)는 자연적으로 부정으로 되어 복귀 포인트(103)를 통하여 다른 프로그래밍이 도달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카는 도 4 의 루틴을 통한 일련의 통과에 있어서 정지 제어 포인트에 도달될 것이며, 테스트(121)는 긍정으로 되어 단계(122)에서 로비 랜턴[공(gong)을 포함하는]을 통상적인 형태로 작동시킬 것이다. 그후, 테스트(124)는 카가 외측 도어 영역(outer door zone : ODZ)에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그램은 테스트(124, 123)의 부정적인 결과를 통하여 북귀 포인트(103)로 진행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카는 외측 도어 영역에 도달되게 되며, 그후 도 4 의 루틴의 차후 통과는 테스트(124)의 긍정적인 결과가 단계(125)에 도달되게 하여 도어가 통상의 형태로 개방될 것을 지시하게 된다. 그후, 테스트(123)로 진행되며 그 부정적인 결과는 다른 프로그램이 복귀 포인트(103)를 통하여 도달되게 할 것이다.
카가 내측 도어 영역에 도달되었을 때, 테스트(123)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28)에서 카가 적절한 레벨에 있는 것을 제 2 위치 변환기(secondary position transducer : SPT)가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한다. 만일 그렇지않다면, 테스트(128)의 부정적인 결과는 서브루틴(129)에 도달되어 카를 통상적인 형태로 재위치시킨다. 카가 정상 레벨에 있을 때, 테스트(128)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30)로 진행되며, 이러한 테스트에서는 수미리세컨드에서는 발생되지 않는 카 속도가 제로인 것을 보장하므로써 일부만 도 4 의 루틴을 통과하게 된다. 엘리베이터가 작동되는 이러한 전체 시간중에서는 카 제어기(30)의 속도 프로필 루틴부에 응답하여 작동되며, 이것은 플로어에서 카를 완벽한 정지로 인도하므로써 재레벨 서브루틴(129)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마지막으로 카가 휴지중일 때, 도 4 의 루틴 통과는 테스트(130)의 긍정적인 결과를 갖게 되며, 상기 테스트는 단계(133)로 진행되어 브레이크 상승 지령을 세팅하므로써 브레이크를 낙하시켜 엘리베이터 로핑 시스쳄의 모든 동작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정 즉, 카는 완전개방된 캐브 도어를 갖는 로비층(32)에서 시작된다는 가정하에서, 카는 하강 작동이 아니라 상승 작동된다. 그후, 테스트(95-108)로 진행되며, 테스트(92, 110)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20)의 부정적인 결과를 도출시키므로써 단계 및 테스트(121, 122, 124, 125)를 우회한다. 따라서, 상승작동시 제 1 이벤트는 내측 도어 영역에 도달되며, 이 경우 테스트(123)의 긍정적인 결과는 위치와 속도를 체크한 후 상술한 단계(133-135)에서 브레이크를 하강시키고 방향과 작동 모드를 리세팅한다.
단계(134)에서 방향이 리세팅된 후, 도 4 의 루틴에 대한 차후 통과는 다시 테스트(92)의 부정적인 결과를 갖게 될 것이다. 이것은 다시 테스트(93)로 진행되지만, 이때 이송 플래그는 단계(106)에서 이미 세팅되었으므로 테스트(93)의 긍정적인 결과는 루틴의 일부에 도달되어 캐브를 제 1 카의 프레임(16)으로부터 제 2 카의 프레임(17)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테스트(138)는 방출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캐브가 프레임(16)과 프레임(17) 사이에서 이송된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플래그이다. 테스트(138)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39)로 진행되어 카/플로어 상호고정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카/플로어 상호고정은 도 2 및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4개의 모든 플런저(56, 57)가 연장될 때에만 즉, 프레임(16, 17)이 건물 플로어에 고정될 때에만 테스트(139)에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이송 플로어에서 양쪽 카상의 마이크로스위치나 접점을 통하여 연결되는 안전 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제 1 카가 먼저 제 1 이송층(33)에 도달되었을 때, 상기 플런저(57)는 이미 고정 프레임(17)에서 정위치되어 있지만, 그러나 플런저(56)는 프레임(16)을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연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테스트(139)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40)에 도달되어 카 속도가 아직 제로인 것을 보장하며, 테스트(141)에 도달되어 브레이크가 상승되지 않은, 즉 플런저(57)를 결합시켜 카를 건물 플로어에 고정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테스트(140)의 긍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41)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42)에 도달되어 플로어 고정부[이에 의해 플런저(56)가 연장되어 판(58, 59)과 결합된다]를 세팅하므로써 프레임(16)(제 1 카)을 건물 플로어에 고정한다.
단계(145)는, 캐브/플러그 조립체(69)가 정위치에 위치되어 제 2 카의 소켓/플러그 조립체(71)에 의해 결합되도록 부움(1)을 연장시키고 그 말단부를 실(60)(도 2 및 도 3)위로 외측으로 회전시킨다. 단계(146)에서는 부움(2)[즉, 제 2 카상의 부움(73)]이 연장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후술되는 도 5 의 제 2 제어부에 대해 서술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카의 제어부로부터 제 2 카의 제어부를 통과하게 된다. 부움(2)의 연장이 요구된 후에, 컴퓨터는 복귀 포인트(103)를 통하여 다른 프로그램으로 바뀐다.
도 4 의 루틴을 통하는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92)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93)의 긍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38)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39)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49)에 도달되어 통신 상호고정(communication interlock)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것은 제 1 카의 전기 시스템으로부터 소켓/플러그(69, 71)상의 커넥터와 케이블(68)을 통하여 캐브(14)로, 그리고 상기 케이블(68)로부터 부움(73)상의 회로를 거쳐 제 2 카의 전기 시스템으로, 그후 제 1 카의 전원 시스템으로 역류되는 신호에 의해 완성된다. 부움(72, 73)이 서로를 향하여 연장되는데는 불과 수밀리세컨드밖에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도 4 의 루틴을 통해서는 단지 몇 개의 통과만 있으며, 이러한 시간동안 테스트(149)의 부정적인 결과는 강화 단계(145, 146)가 부움(1)이 연장되고 부움(2)이 연장될 것이 요구되는 것을 보장하게 한다. 결국, 부움은 충분히 연장되므로써, 3개의 소켓/플러그 조립체(69-71)는 상호연결되며, 따라서 통신 상호고정 신호가 완성되며, 그 결과 플런저(60)(도 2 및 도 3)는 후퇴되고 캐브(14)는 프레임(16)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그후, 테스트(151)는 카/캐브 고정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은 플런저(60)상의 접점이나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져서 4개의 모든 플런저(60)가 캐브(14)로부터 자유롭게 되었을 때만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카/캐브 고정 플런저(60)를 비고정 상태로 이동시키는데는 불과 수밀리세컨드밖에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151)의 긍정적인 결과는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 포인트(103)를 통하여 도달되게 한다. 도 4 의 루틴을 통한 일련의 통과에 있어서, 결국 카/캐브 고정이 정확하게 되므로 테스트(151)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52)로 도달되어 캐브를 방출시켜 잭 스크류 조립체(44)를 작동시키고 캐브를 실(60)위의 프레임(16) 및 프레임(17)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캐브 방출 신호가 제공되자마자, 단계(153)에서는 캐브가 카 사이에서 림보상태로 이동중인 것을 나타내도록 방출 플래그를 세팅한다.
캐브(14)가 잭 스크류 조립체(44)에 의해 프레임(16)으로부터 프레임(17)으로 수평이동되었을 때, 케이블(68)의 중앙 단부도 캐브의 중앙이 도 2 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또는 그 반대로) 이동되는 것처럼 프레임(16)내의 중앙으로부터 프레임(17)내의 중앙으로 이동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68)은 상당히 길기 때문에, 3개의 소켓/플러그 조립체(69-71) 사이의 연결은 캐브(14)가 프레임(17)상에서 새로운 작동위치에 있을 때까지 유지될 것이다. 이렇게 되었을 때, 도 5 를 참조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 2 카 제어는 제 1 부움(1)의 해제를 요구하므로써 소켓/플러그 조립체(69)상의 플런저는 소켓/플러그 조립체(70)를 가압하여 소켓/플러그 조립체(69)와의 접촉을 해제할 것이다. 이렇게 되었을 때, 통신 상호고정은 제 1 카 제어로부터 부움(72)을 통하여 캐브로, 또한 부움(73)과 제 2 카 제어를 통하여 제 1 카 제어로 더 이상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파괴되게 된다. 따라서, 테스트(154)는 제 2 카가 후술의 방법으로 부움(1)의 해제를 요구할 때까지 긍정적으로 되지만, 일단 부움(1)이 소켓/플러그 조립체(69)로부터 해제되면, 통신 상호고정은 파괴되므로, 따라서 테스트(154)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55)로 진행되어 제 2 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부움(1)을 후퇴시킨다(즉, 그 말단부를 도 2 및 도 3에서 좌측으로 회전시킨다). 테스트(156)는 근접 스위치(64)를 작동시켜 캐브가 제 2 카에 있음을 표시하도록 캐브가 프레임(16)상으로 충분히 이동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캐브가 한쪽 프레임으로부터 다른쪽 프레임으로 이동될 때, 초기에는 완전히 제 2 프레임상에 있지 않으며, 따라서 테스트(156)의 부정적인 결과는 복귀점(103)을 통하여 다른 포로그래밍이 도달되게 할 것이다.
캐브가 카(2)를 향하여 계속해서 이동됨에 따라 도 4 의 루틴을 통한 일련의 통과는 테스트(92)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93, 108)의 긍정적인 결과를 맞게 되어 테스트(154)로 진행된다. 일단 통신 상호고정이 파괴되면, 테스트(154)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56)에 도달된다. 결과적으로, 태브는 완전히 프레임(17)상에 있으므로, 근접 스위치(64)는 제 2 카의 캐브에 신호를 제공하며, 테스트(156)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157)에 도달되어 방출 플래그(캐브는 제 1 카로부터 방출되어야만 하는 것을 표시하는)를 리세팅하며, 단계(158)에 도달되어 이송 플래그(캐브는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에서 이동중이었음을 표시하는)를 리세팅한다.
태브는 제 1 카로부터 제 2 카로 이송되었으며, 제 1 카는 제 2 카가 캐브를 제 1 이송층(33)으로 다시 하강시킬 때까지 기다리며, 그후 캐브는 다시 제 1 카로 이송될 것이다. 도 4 의 루틴을 통한 모든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92, 93)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94)에 도달되어 카가 로비에 있는 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그렇지 않으면, 테스트(161)에서 캐브가 제 1 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 경우, 그렇지 않다면, 테스트(161)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62)와 단계(163)와 단계(164)로 도달되며, 상기 단계(162)에서는 플런저가 벗어난 것을 간단하게 재확인하며, 단계(163)에서는 브레이크가 상승되지 않은 것을 재확인하며, 단계(164)에서는 제 1 카 프레임(16)이 플런저(56)에 의해 플로어에 고정된 것을 재확인한다. 그후, 테스트(165)에서는 제 2 카가 캐브를 제 1 카 위로 이송시키려고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이 경우 부움(1)이 연장될 것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캐브는 제 2 카에 의해 제 1 이송층(33)으로 되돌아오게 될 것이며, 도 5 에 대해 완전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제 2 카는 캐브와 제 1 카 사이에 통신을 형성하여 캐브가 제 1 카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부움(1)이 연장될 것을 요구하게 된다. 이렇게 되었을 때, 테스트(165)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166)에 도달되어 부움(1)(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위치내로)을 연장시킬 것이다. 도 4 의 루틴을 통하는 차후 몇개의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161)의 부정적인 결과는 스텝과 단계(162-166)를 다시 반복시킬 것이다. 이것은 캐브가 제 2 카로부터 제 1 카로 이송될 때의 시간주기이다.
결과적으로, 제 2 카의 잭 스크류 조립체(45)는 캐브(14)를 제 1 카의 프레임(16)상에서 가압하며, 이에 따라 제 1 카의 근접 센서(63)는 캐브가 이제 제 1 카에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도 4 의 루틴을 통하는 차후 통과는 테스트(161)의 긍정적인 결과에 도달되고 단계(169)로 진행되어 캐브/카 고정부[플런저(60)]를 세팅하며, 단계(170)에서는 부움(2)을 해제하여 소켓/플러그 조립체(69)의 우측상의 플런저가 소켓/플러그 조립체(71)를 가압하므로써 부움(1)에 연결된 캐브를 떠날 동안 부움(2)을 분리시킨다. 그후, 테스트(171)에서는 통신 상호고정이 파괴되었는지의 여부[즉, 소켓/플러그 조립체(71)가 소켓/플러그 조립체(69)]를 결정한다. 초기에는 분리되지 않으므로, 통신 상호고정 신호는 아직까지 제공되고 있으며, 테스트(171)의 긍정적인 결과는 복귀 포인트(103)를 통하여 컴퓨터가 다른 프로그램으로 역전되게 한다. 통신 상호고정이 파괴되자마자, 루틴을 통하는 차후 통과에서 단계(172)는 부움(1)을 후퇴시키며, 단계(173)는 제 1 카의 방향 지령을 하방으로 세팅한다.
따라서, 도 4 의 루틴을 통하는 바로 다음 통과는 테스트(92)의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므로, 엘리베이터의 시동시 테스트 및 단계(110-135)가 반복되어 하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며 낮은 로비층(32)의 레벨로 된다.
도 5 에는 제 2 카에 대한 제어 루틴이 도시되어 있다. 제 2 카의 제어루틴은 다음과 같은 2가지 점에서 제 1 카의 제어 루틴과 상이하다. 즉, 2개의 이송층 사이를 이동하기 때문에, 도어 제어 기능이 필요없으며, 캐브가 제 2 카의 좌측에서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에서 이송되지만 제 2 카의 우측에서는 제 2 카와 제 3 카 사이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2개의 부움(73, 78)은 제 2 카 제어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제 2 카 루틴은 입구 포인트(176)를 통하여 도달되며, 제 1 테스트(177)는 카가 방향을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캐브(14)가 제 1 카로부터 제 2 카로 이송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 2 카는 방향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테스트(177)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78)로 진행되어 이송 플래그(제 1 카의 이송 플래그와 유사)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테스트(178)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79)로 도달되어 캐브가 제 2 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테스트(179)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183)로 진행되어 캐브/카 고정을 세팅하므로써 플런저(61)가 캐브와 결합되게 한다. 테스트(184)는 제 2 카가 낮은 이송층(33)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하부 이송층에 있다면(이러한 가정하에서), 테스트(184)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185)에 도달되어 부움(1)을 해제하므로써 소켓/플러그 조립체(69)의 좌측상의 플런저가 소켓/플러그 조립체(70)를 가압하여 이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한편, 만일 제 2 카가 상부 이송층(34)에 있다면, 테스트(184)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86)에 도달되어 부움(2)을 해제하므로써, 소켓/플러그 조립체(69)의 우측상의 플런저가 부움(4)상의 대응의 소켓/플러그 조립체(70)를 가압하여 이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테스트(187)는 통신 상호고정이 아직까지 지지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이것은 수밀리세컨드밖에 소요되지 않으므로, 테스트(187)의 긍정적인 결과는 컴퓨터가 복귀점(188)을 통하여 다른 프로그래밍으로 역전시키게 한다. 캐브는 제 1 카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테스트(149)(도 4)에 의해 제 2 카와 연결(후크)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도 5 의 루틴을 통하는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177, 178)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79)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183, 185)가 과다하게 실행되게 한다. 만일 통신 연결이 파괴되었다면, 테스트(187)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190)에 도달되어 부움(2)을 후퇴시키고, 단계(191)에서 부움(3)을 후퇴시킬 것이다(실제로, 단지 이들중 하나만이 후퇴될 것이 요구되며, 다른 단계는 해를 끼치지는 않는 과잉 단계이다). 테스트(192)는 제 2 카가 하부 이송층에 위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단계(193a)는 제 2 카의 방향을 상향으로 세팅하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계(193b)는 제 2 카의 방향을 하향으로 세팅한다. 그리고, 단계(194)는 이송 플래그를 세팅하며,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캐브는 제 2 카로부터 제 3 카상으로 이동되며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된다는 사실을 추적한다.
도 5 의 루틴을 통하는 차후 통과에 있어서, 이제 카는 방향을 갖기 때문에, 테스트(177)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95)에 도달되어 카가 작동 모드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테스트(195)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96)에 도달되어 캐브/카 고정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플런저(61)가 캐브(14)와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197)는 부움(2)이 후퇴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테스트(198)는 부움(3)이 후퇴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캐브가 고정되고 부움이 후퇴되었다면, 테스트(198)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199)에 도달되어 카가 플로어에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초기에는 그러하므로, 테스트(199)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200)로 진행되어 카플로어 고정을 세팅하므로써 플런저(57)를 복구시킨다. 카 고정이 해제되는 일련의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199)의 부정적인 결과는 서브루틴(201)에 도달되며, 브레이크로부터 모든 변형율을 제거하도록 엘리베이터 모터를 프로토크한다. 단계(202)는 브레이크를 상승시키며, 단계(203)는 제어를 작동모드로 세팅시킨다. 그후,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역전된다. 이러한 점에서, 속도 제어는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인계받아서 공지의 형태로 지시된 속도 프로필에 따라 상향으로 진행시킨다.
도 5 의 루틴을 통하는 바로 다음의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177)의 결과는 긍정이며, 테스트(197)의 결과도 긍정이다. 이것은 테스트(204)로 진행되어 카가 차후 플로어[가정에 따르면, 상부 이송층(34)]의 내부 도어 영역에 도달된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다른 프로그래밍은 복귀 포인트를 통하여 역전된다. 카가 마지막으로 상부 이송층(34)에 대해 내부 도어 영역에 도달될 때, 테스트(204)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05)에 도달되어 카가 레벨링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만일 그렇다면 서브루틴(206)이 카를 레벨링시킬 것이고, 그렇지않다면 테스트(205)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06)로 진행되어 속도가 제로로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그후, 테스트(206)의 긍정적인 결과는 일련의 단계(207)에 도달되어 브레이크를 하강시키고 카의 방향을 리세팅하며 제 2 카의 작동모드를 리세팅한다. 그후,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된다. 이제 카는 캐브가 있는 상부 이송층(34)에 직립할 것이다.
도 5 의 제 2 카 루틴을 통한 차후의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177)는 일단 부정적이지만, 이때 테스트(178)는 긍정으로 되어 캐브가 잭 스크류 조립체(46)에 의해 제 2 카로부터 제 3 카로 이동되어야만 함을 나타낸다. 이것은 단계(208)로 진행되어 방출 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테스트(208)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09)로 진행되어 상호고정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 프레임이 플런저(57)에 의해 플로어(33)에 고정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테스트(211)는 카의 속도가 제로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테스트(212)는 브레이크가 상승되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카가 제동되어 있다면, 단계(213)는 플런저(57)를 작동시키므로써 플로어 고정부가 결합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속도가 제로가 아니거나 브레이크가 상승되었다면, 다른 프로그래밍이 역전된다. 보다 완벽한 실시예에 있어서, 테스트(211)의 부정적인 경과나 테스트(212)의 긍정적인 결과는 경보 상태를 초래하거나 유지보수에 간섭을 초래할 것이다.
플로어 상호고정이 설정되었을 때, 도 5 의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는 테스트(214)로 진행되어 통신 상호고정 신호가 존해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테스트(214)의 부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15)로 진행되어 제 2 카 위치가 하부층(33)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만일 그렇다면, 테스트(215)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16)으로 진행되어 부움(2)을 연장시키고 테스트(217)에서는 부움(1)이 연장될 것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는 상부 이송층(34)에 직립되어 있으므로, 테스트(215)의 부정적인 결과는 단계(218)로 진행되어 부움(3)을 연장시키고 단계(219)에서는 부움(4)이 연장될 것을 요구하게 된다. 그후,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된다. 도 5 의 제 2 카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177)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78)의 긍정적인 결과와 테스트(208)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209)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14)에 도달되어 통신이 후크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그렇지않다면, 단계 및 테스트(215-21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반복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부움의 상호연결되었을 때, 테스트(214)는 긍정적이며, 단계(222)는 플런저(61)를 후퇴시켜 캐브/카 고정부를 리세팅시킨다. 이것은 캐브를 잭 스크류 조립체(46)에 의해 제 2 카로부터 제 3 카의 프레임(18)으로 이동시킬 준비를 한다. 그후, 테스트(223)는 캐브/카 고정부가 모든 클리어된 카를 갖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이러한 신호가 존재한다면, 테스트(223)의 긍정적인 결과는 테스트(224)로 진행되어 카가 하부층(33)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단계(225)는 잭 스크류 조립체(45)를 작동시키고 카를 제 1 카를 향하여 방출시킬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제 카는 상부 플로어(34)에 있으므로 상기 잭 스크류 조립체(46)는 단계(226)에 응답하여 작동될 것이다. 그리고 단계(227)에서는 방출 플래그를 세팅하여 캐브가 카 사이로 이동된다는 사실을 추적할 것이다.
테스트(228)는 통신 상호고정 신호가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초기에는 그렇지 않으므로, 다른 프로그래밍은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된다. 도 5 의 제 2 카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208)는 긍정이므로 테스트(228)로 직접 도달되며, 도 5 의 루틴을 통한 일부 통과에 있어서, 통신은 제 2 카와 캐브와 제 3 카 사이에 아직까지 유효하므로, 테스트(228)의 긍정적인 결과는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되게 한다. 그러나, 부움(3)은 도 4 의 제 1 카 루틴에서 단계(170)와 유사한 단계를 거치는 제 3 카에 의해 해제될 것이므로, 제 2 카의 부움(78)(제 3 부움)상의 소켓/플러그 조립체(80)는 캐브/소켓 플러그 조립체(69)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캐브로부터 부움(3)을 분리시킨 후 도 5 의 제 2 카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에 있어서, 테스트(228)의 부정적인 결과는 카가 위치되는 이송층에 의존하여 테스트(229)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230 또는 231)로 진행되며, 부움이 필요할 때마다 후퇴가 이루어지며, 다른 부움은 영향받지 않는다. 그후, 테스트(232)는 캐브가 제 1 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이것은 본 실시예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테스트(233)는 캐브가 제 3 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이것은 결국 현재와 같은 상황에 있는 경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초기에는 카가 제 2 카와 제 3 카 사이로 이송되므로, 테스트(233)의 부정적인 결과는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되게 한다. 캐브가 제 3 카의 프레임(18)상으로 완전히 가압된 후에, 테스트(233)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234)로 진행되어 방출 플레그를 리세팅하며, 단계(235)에서는 이송 플래그를 리세팅할 것이다. 그후, 다른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도달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 2 카는 이제 상부 이송층(34)에서 빈(empty) 상태로 된다. 도 5 의 제 2 카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는 테스트(177)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78)의 부정적인 결과와, 테스트(179)의 부정적인 결과를 발견할 것이다. 이것은 단계(237)로 진행되어 캐브/카 고정부를 형성하는 플런저(61)가 후퇴되는 것을 보장하며, 단계(238)에서는 브레이크가 상승되지 않은 것을 보장하고, 단계(239)에서는 카가 플로어에 아직 고정된 것을 보장한다[플런저(57)에 의해]. 테스트(240)는 제 3 카가 부움(3)을 요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만일 요구한다면, 이것은 승강로(13)에서 캐브를 위한 이동이 완벽하고 제 3 카가 상부 이송층(34)으로 복귀되어 이제 캐브를 제 2 카로 가압하고 싶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테스트(240)의 긍정적인 결과는 단계(241)에 도달되어 부움(3)을 연장시켜 캐브와의 통신을 재설정한다. 한편, 만일 부움(3)이 요구되지 않는다면, 테스트(242)는 만일 부움(20)이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단계(225)는 부움(2)이 연장되게 한다. 캐브가 제 3 카에서 상부층(34)으로부터 멀어질 때마다 또는 제 1 카에서 하부층(33)으로부터 멀어질 때마다 테스트(240, 242)는 부정으로 되어 프로그래밍이 복귀점(188)을 통하여 역전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캐브가 제 2 카로부터 멀어질 때마다, 이것은 단순히 상태(condition)가 정확하고 아무것도 발생되지 않았음을 재확인한다. 캐브가 인접한 제 2 카로 복귀되었을 때, 부움중의 어느 한쪽은 요구되며, 이것은 또 다른 동작을 유발시킨다.
캐브가 제 3 카에서 상부 이송층으로 복귀되고 제 3 카 잭 스크류 조립체(47)가 캐브(14)를 제 2 카의 프레임(17)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면, 도 5 의 제 2 카 루틴을 통한 차후 통과는 캐브가 제 2 카에 다시 한번 있기 때문에 테스트(177)가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나고 테스트(178)가 부정적인 결과로 나타나고 테스트(179)가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이것은 단계 및 테스트(182-19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실행되게 하며,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움(4)은 단계(186)에서 해제되며, 방향은 단계(193b)에서 하향으로 세팅된다. 그후, 카는 상술한 상향 이동 카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형태로 하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제 3 카 제어기는 단계(108)는 하향이고 단계(120)는 상향이며, 단계(146)는 부움(3)으로 언급되고 단계 및 테스트(112, 145, 155, 166)는 모두 부움(4)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의 제 1 카 제어기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에서, 테스트(92-94, 161, 177-179)(제 3 카에 대한 테스트와 유사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테스트와 등가인)는 도시된 순서처럼 다양한 순서로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아무것도 실행될 필요가 없어서 카가 비워질 때까지 기다리기 때문에 처음에는 테스트(161)[캐브(1)에서의 카]를 위한 로직으로 보이지만, 그러나 이것은 카가 제 1 카를 벗어나 이동되면 이송 처리에 대한 제어를 제거하므로 이송 플래그 테스트(93)를 촉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송 플래그 테스트(93)는 캐브가 카를 떠날 때 제어를 지지해야 하므로 지속될 수 없다. 이송의 여부와 도어 동작의 여부 사이에 대한 선택은 카가 방향 지령이 없을 때에만 최적의 모드가 된다[예를 들어, 도 4 의 테스트(92)를 따르는 테스트(93, 94)]
본 발명은 각각의 카가 다른 카상의 캐브를 가압하는 간단한 잭 스크류 조립체(44, 45)를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었지만, 카 사이로 캐브를 이송시키기 위한 최적의 모드는 도 6 을 참조로 서술되는,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되는 미국 특허출원(도켓 넘버 OT-2320)호에 서술되어 있다.
도 6 에 있어서, 캐브(14)의 바닥은 전방에서 후방(도 6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으로 연장되는 고정된 메인 래크(250)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또는 좌측으로 외측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미끄럼 래크(253)를 포함한다. 각각의 카 프레임 플랫포옴(51, 52)상에는 전부 4개의 피니언이 설치된다. 먼저, 보조 피너언(255)은 미끄럼 보조 래크(253)를 캐브의 하부로부터 도시된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시된 위치에서는 래크(253)의 미끄럼을 제한하는 플랫포옴(52)상에서 보조 피니언(256)과 결합된다. 그후, 보조 피니언(25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메인 래크(250)의 단부(257)가 보조 피니언(256)의 바로 아래 위치된 메인 피니언(도시않음)과 결합될 때까지, 보조 래크(253)(이제 그 한계점까지 연장되어 있는)와 전체 캐브(14)를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가압한다. 그후, 상기 메인 피니언은 메인 래크(250)에 의해 전체 캐브(14)를 플랫포옴(52)상에 가압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은 상기 미끄럼가능한 보조 래크(253)를 캐브(14) 아래로 후퇴시킨다. 보조 피니언(59)은 캐브(14)를 우측으로 다른 카프레임이나 랜딩부(있을 경우)로 이송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보조 피니언(260)은 캐브를 카프레임이나 랜딩부(있을 경우)로부터 도 6 에 도시된 것의 좌측으로 플랫포옴(51)상으로 이송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캐브(14)를 플랫포옴(52)으로부터 플랫포옴(51)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보조 피니언(256)은 반시계방향으로 동작되어 미끄럼을 초래하며, 그 좌측 단부(261)가 보조 피니언(255)과 결합될 때까지 보조 래크(253)를 외측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그후, 보조 피니언(255)은 메인 래크의 좌측 단부(262)가 보조 피니언(255)의 바로 아래 위치된 메인 피니언(도시않음)과 결합될 때까지 보조 래크(253)와 전체 캐브(14)를 좌측으로 가압하여 프레임(51)상에 완전히 위치될 때까지 전체 캐브를 좌측으로 가압한다.
상술한 특허명세서는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5)

  1. 복수개의 레벨을 갖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하단부로부터 대응의 승강로의 상단부까지 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오버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승객 접근 도어를 갖는 수평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캐브와,
    상기 캐브를 제 1 카 프레임으로부터 제 2 카 프레임으로 또는 제 2 카프레임으로부터 제 1 카 프레임으로 선택적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카 프레임중 하나에서 상기 캐브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대응의 캐브-인-카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승강로에서 상기 카 프레임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대응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카 도어가 개방되고 완전히 폐쇄된 후 하나의 로비층으로부터 벗어난 방향을 나타내는 하나의 카 프레임용 제 1 카 방향 지령과 상기 캐브가 하나의 카 프레임으로부터 다른 카 프레임으로 이송되는 사실을 나타내는 이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승객의 이송용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제어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카 프레임중 하나가 상기 로비층중 대응의 층에 있음을 표시하는 상기 위치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 처리수단과,
    대응의 카 프레임을 그 승강로를 따라 대응의 카 방향 지령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 방향 지령에 대응하는 지령의 존재에 각각 응답하는 카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건물에서 승강로의 최하단부를 제외한 각각의 승강로는 상기 승강로들중 다른 승강로의 하단부와 동일한 건물 레벨에 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의 최하단부는 그 하단부에 승객 로비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의 가장 높은 곳은 그 상단부에 승객 로비를 포함하며, 상기 카 프레임이 하나의 카 프레임을 위한 상기 방향 지령의 부존재와 상기 하나의 카 프레임을 위한 캐브-인-카 신호의 존재와 함께 상기 카 프레임이 하나의 로비층이 아닌 위치에 있음을 표시하는 상기 위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하나의 카 프레임에 대한 이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킨 후 이송 신호를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의 카 프레임에 대한 이송 신호의 존재시 상기 위치로부터 벗어났음을 나타내는 하나의 카 프레임용 제 2 카 방향 지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브-인-카 신호와 상기 하나의 카 프레임에 대한 이송 신호가 있을 때, 상기 하나의 카 프레임은 상기 캐브의 이송을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대응의 하부 터미널 레벨과 상부 터미널 레벨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오버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상기 대응의 승강로의 터미널 레벨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엘리베이커 카와,
    수평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캐브와,
    상기 캐브를 제 1 카 프레임으로부터 제 2 카 프레임으로 또는 제 2 카프레임으로부터 제 1 카 프레임으로 선택적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카 프레임중 하나에서 상기 캐브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대응의 캐브-인-카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승강로에서 상기 카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대응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대응의 카가 상기 이송 레벨중 하나를 향하여 작동될 때마다 상기 각각의 카에 대한 이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처리수단과,
    대응의 카를 그 승강로를 따라 대응의 카 방향 지령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카 방향 지령에 대응하는 지령의 존재에 각각 응답하는 카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하나의 터미널 레벨은 이송층에서 다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하나의 터미널 레벨과 걸쳐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하부 터미널 레벨은 하부 로비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 터미널 레벨은 상부 로비를 포함하며, 로비를 포함하지 않는 터미널 레벨은 이송층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수단은 대응의 캐브-인-카 신호의 존재시 상기 하나의 카에 대한 카 방향 지령 신호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이송 신호의 존재시 상기 하나의 레벨로부터 벗어난 방향 지령을 표시하는 상기 하나의 카에 대해 카 바향 지령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이송 신호의 부존재시 캐브를 상기 하나의 카로부터 다른 카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킨후 상기 이송신호를 제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브-인-카 신호와 상기 하나의 카에 대한 이송 신호가 있을 때, 상기 하나의 카는 상기 캐브의 이송을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대응의 하부 터미널 레벨과 상부 터미널 레벨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오버랩된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상기 대응의 승강로의 터미널 레벨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카와,
    대응의 카 프레임을 그 승강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카에 대한 복수개의 카 이동수단과,
    수평이동가능한 엘리베이터 캐브와,
    상기 캐브를 제 1 카 프레임내로부터 제 2 카 프레임내로 또는 제 2 카프레임으로부터 제 1 카 프레임으로 선택적으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캐브를 하나의 카 프레임내로부터 다른 카 프레임내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대응의 카를 그 승강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그 내부에 캐브를 갖는 카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의 카 이동수단에 지령을 내리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하나의 터미널 레벨은 이송층에서 다른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하나의 터미널 레벨과 걸쳐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하부 터미널 레벨은 하부 로비를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상부 터미널 레벨은 상부 로비를 포함하며, 로비를 포함하지 않는 터미널 레벨은 이송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980701396A 1995-11-29 1996-10-25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KR19990044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64,754 US5657835A (en) 1995-11-29 1995-11-29 Elevator shuttle employing horizontally transferred cab
US8/564754 1995-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162A true KR19990044162A (ko) 1999-06-25

Family

ID=2425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396A KR19990044162A (ko) 1995-11-29 1996-10-25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657835A (ko)
EP (1) EP0863841B1 (ko)
JP (1) JP3953105B2 (ko)
KR (1) KR19990044162A (ko)
CN (1) CN1090149C (ko)
AU (1) AU701646B2 (ko)
CA (1) CA2231401A1 (ko)
DE (1) DE69607766T2 (ko)
TW (1) TW332193B (ko)
WO (1) WO1997019885A1 (ko)
ZA (1) ZA9693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8136B2 (en) * 2003-09-11 2007-04-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evice for a multi-sky-lobby system
DE102015103012A1 (de) * 2015-03-03 2016-09-08 Thyssenkrupp Ag Bremsvor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sanlage
CN107922158B (zh) * 2015-08-03 2020-11-24 奥的斯电梯公司 中间转运站
CN106395552B (zh) 2015-08-03 2020-03-17 奥的斯电梯公司 无绳电梯系统导轨组件
US9598265B1 (en) 2015-09-28 2017-03-21 Smart Lifts, Llc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bile elevator cabins
EP3691985B1 (de) * 2017-10-06 2021-07-07 Inventio AG Verfahren zum errichten einer aufzugsanlage mit zunehmender nutzbarer hubhöh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729A (en) * 1930-01-29 1933-12-19 Thomas W Cohill Elevator system
US2052690A (en) * 1934-08-03 1936-09-01 John T Austin Elevator
DE2203864A1 (de) * 1972-01-27 1973-08-02 Adolf H Borst Foerdereinrichtung mit haengebahnkabinen
DE69021417T2 (de) * 1989-03-20 1996-04-04 Hitachi Ltd Personenbeförderungseinrichtung.
GB8927129D0 (en) * 1989-11-30 1990-01-31 Pa Consulting Services Improvements to lifts
JP2507275B2 (ja) * 1990-10-17 1996-06-12 フジテック株式会社 循環式エレベ―タの横行移動装置
JPH06156928A (ja) * 1992-11-17 1994-06-03 Toshiba Corp 縦横走行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JP3091587B2 (ja) * 1992-11-24 2000-09-25 株式会社東芝 縦横移動エレベータ
DE59306673D1 (de) * 1993-03-18 1997-07-10 Inventio Ag Vertikal-/Horizontal-Personenförd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3841A1 (en) 1998-09-16
CN1090149C (zh) 2002-09-04
AU7471696A (en) 1997-06-19
CN1201436A (zh) 1998-12-09
WO1997019885A1 (en) 1997-06-05
ZA969393B (en) 1997-06-02
DE69607766D1 (de) 2000-05-18
CA2231401A1 (en) 1997-06-05
EP0863841B1 (en) 2000-04-12
DE69607766T2 (de) 2000-09-28
JP3953105B2 (ja) 2007-08-08
JP2000501057A (ja) 2000-02-02
AU701646B2 (en) 1999-02-04
US5657835A (en) 1997-08-19
TW332193B (en) 199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US5758748A (en) Synchronized off-shaft loading of elevator cabs
JP578404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US5660249A (en) Elevator cabs transferred horizontally between double deck elevators
CN105384039A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KR19990044162A (ko)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JP466102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点検方法
JP2000128453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004740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3412401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KR19980063701A (ko) 엔 캡, 2엔 랜딩, 및 3엔 덱크를 가진 엘리베이터 셔틀시스템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315200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1090623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H1095580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運転装置
JPH0313498Y2 (ko)
JPH0811671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50238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7203142A (zh) 层站门开关电路
JP202313387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1106447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
JPH05106357A (ja) 中間乗入型の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02182685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H03195681A (ja) エレベータの運転方式
JP2001146371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