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828A - 스로 어웨이 팁 - Google Patents
스로 어웨이 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66828A KR20040066828A KR10-2004-7007583A KR20047007583A KR20040066828A KR 20040066828 A KR20040066828 A KR 20040066828A KR 20047007583 A KR20047007583 A KR 20047007583A KR 20040066828 A KR20040066828 A KR 20040066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ed surface
- cutting
- tip
- cutting edge
- ma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22—Cutting tools with chip-break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41—Specially shaped plate-like cutting inserts, i.e. length greater or equal to width,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23B2200/0428—Loze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23B2200/049—Triangul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4—Overall shape
- B23B2200/049—Triangular
- B23B2200/0495—Triangular roun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B2200/081—Rake or top surfaces with proj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B2200/082—Rake or top surfaces with elevated clamping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B2200/085—Rake or top surfaces discontinu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B2200/161—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proj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B2200/163—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discontinu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 B23B2200/321—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by chip breaking projec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10T407/245—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comprising concave surface in cutting face o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모방 선삭가공에 있어서 생성되는 절삭분을 확실하게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으로서, 다각형의 평판형의 팁 본체의 다각형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다각형면의 변모서리부에 그 코너부 (C) 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절삭날을 형성하며, 경사면을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시킴과 동시에, 절삭날을 따라 형성한 랜드를 경사면의 경사각보다도 작은 경사각으로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시키면서 이들 경사면과 랜드의 경사각이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절삭날을 따라 이간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아지게 하고, 경사면 상에는 절삭날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코너부 (C) 의 돌출단측에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주도트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주도트로부터 한 쌍의 절삭날을 따라 각각 이간된 위치에도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적어도 한 쌍의 부도트를 각각 형성하였다.
Description
바이트에 의한 모방 선삭가공에 있어서는, 워크의 형상에 따라 바이트의 이송방향이나 랜싱이 가공 중에 변화하기 때문에, 이 바이트의 선단에 부착되는 팁의 절삭날에 의해서 생성되는 절삭분도, 그 유출방향이나 폭 및 두께도 차차 변화해 간다. 예컨대,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W) 의 외주에, 그 회전축선 (S) 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경부를 형성한 후에 R 부를 사이에 두고 축선 (S) 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부를, 도시되지 않은 바이트 본체의 선단에 부착된 팁 (T) 에 의해서 형성하고자 한 경우, 워크 (W) 표면으로의 랜싱을 일정하게 하여 절삭분의 두께는 같아지도록 했다고 해도, 외경부에서는 팁 (T) 의 코너부 (C) 주변에 절삭날에 의해서 폭이 좁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것에 대해서, 단면부에서는 팁 (T) 이 워크 (W) 의 외주측으로 인상되는 방향으로 이송되고, 코너부 (C) 로부터 어느 정도의 길이의 절삭날 길이를 사용하여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이들 외경부와 단면부 사이의 R 부에서는, 절삭분의 유출방향이 현저히 변화함과 동시에, 절삭전의 워크 (W) 의 형상에 따라서는 코너부 (C) 주변에서도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팁 (T) 의 경사면에 절삭분 처리를 위한 브레이커 (breaker) 를 형성해도, 폭이 좁은 절삭분에 따른 브레이커를 형성한 경우에는, 단면부의 인상 방향에 대한 절삭이나 R 부의 절삭에 있어서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된 경우에 이것을 확실히 처리할 수 없게 되는 한편, 반대로 이 폭이 넓은 절삭분에 따른 브레이커를 형성했다면, 외경부의 절삭시에 생성되는 폭이 좁은 절삭분이 분단되지 않고 길게 연장되어 바이트의 섕크에 얽히거나 하여, 원활한 절삭작업이 저해되는 결과가 된다. 또한, 이 외경부와 단면부 사이의 R 부의 가공에 있어서 절삭분의 유출방향이 변화할 때에도, 그러한 절삭분을 확실히 처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그러나,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8807호에는, 다각형의 판형을 이루고 그 상면 능선에 절삭날과 이에 근접하는 폭이 좁은 브레이커홈을 가지며, 이 브레이커홈에는 꼭대기각의 이등분선 상의 코너부 근방에 거의 반구형의 돌기를 형성하고, 또한 꼭대기각의 코너부로부터 등간격의 위치에 절삭날과 평행한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거의 타원형상인 돌기를 형성한 팁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팁에서는 절삭분은 단지 브레이커홈을 따라 경사면 내측으로 유출하여 상기 각 돌기에 충돌함으로써 분단될 뿐이기 때문에, 절삭분의 분단효과나 유출방향의 변화에 대한 효과가 약하고, 또한 단면부의 인상 방향으로의 절삭에 맞추어 상기 타원형상의 돌기와 절삭날 사이의 브레이커홈의 폭을 좁게 하면, 외경부를 고랜싱, 고이송으로 절삭했을 때에 절삭분 막힘을 일으키거나, R 부의 가공에서 절삭분의 유출방향을 따라갈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특히 모방가공에 사용하여 절삭분의 처리성을 향상시킨 스로 어웨이 팁 (이하, 팁 (tip) 이라 함) 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팁 중심선 (O)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 에 있어서 팁 본체 (1) 를 하방에서 본 도면임).
도 4 는 도 2 에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에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2 에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팁 중심선 (O)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10 에 있어서 팁 본체 (1) 를 하방에서 본 도면임).
도 12 는 도 10 에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0 에서의 YY 단면도이다.
도 14 는 도 10 에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낸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에서의 ZZ 단면도이다.
도 20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 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워크 (W) 의 단면부 (P), 외경부(Q) 및 모따기부 (M) 의 절삭시의 절삭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제 1 비교예에 의한 워크 (W) 의 단면부 (P), 외경부 (Q) 및 모따기부 (M) 의 절삭시의 절삭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제 2 비교예에 의한 워크 (W) 의 단면부 (P), 외경부 (Q) 및 모따기부 (M) 의 절삭시의 절삭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도 23 내지 도 25 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절삭가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워크 (W) 의 R 부의 절삭시의 절삭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제 1 비교예에 의한 워크 (W) 의 R 부의 절삭시의 절삭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모방 선삭가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모방 선삭가공에 있어서 생성되는 절삭분을 확실히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각형의 평판형을 이루는 팁 본체의 다각형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기 다각형면의 변모서리부에, 상기 다각형면의 코너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절삭날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팁으로서, 상기 경사면을 상기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시킴과 동시에, 상기 절삭날에는 상기 절삭날을 따라 랜드 (land) 를 형성하고, 이 랜드를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보다도 작은 경사각으로 상기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시키고, 또한 이들 경사면과 랜드의 경사각이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절삭날을 따라 이간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아지도록 하며, 상기 경사면 상에는 상기 절삭날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측에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주 (主) 도트 (dot) 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주도트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절삭날을 따라 각각 이간된 위치에도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적어도 한 쌍의 부 (副) 도트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팁에 있어서는, 우선 절삭날에 연속하여 그 날끝 강도를 확보하는 랜드와 이 랜드에 연속하는 경사면이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지고, 더구나 그 경사각이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한 쌍의 절삭날을 따라 이간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랜드와 경사면은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경사면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이 가장 깊어지는 골짜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우선 워크의 외경부나 R 부의 선삭시에 이 코너부의 돌출단측의 절삭날에 의해서 생성되는 폭이 좁은 절삭분은, 상기 랜드와 경사면이 이루는 골짜기형으로 안내되어 그 골짜기 바닥을 따라 유출되게 되고, 이 코너부 돌출단측의 경사면 상에 형성된 주도트의 볼록구면형의 표면에 충돌되어 컬링되고 분단된다.
한편, 워크의 단면부를 인상시키는 방향으로 선삭할 때에 발생되는 폭이 넓은 절삭분은, 랜드 및 경사면의 경사각이 절삭날을 따라 점차 감소되고 있음으로써, 그 폭방향으로 상이한 크기의 저항을 받아 만곡되고, 길이방향 즉 유출방향으로 분단되기 쉬워진 상태에서 유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절삭분이, 경사면 상의 코너부 돌출단측에 형성된 주도트와 이 주도트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된 부도트에 충돌되고, 그 유출방향으로 저항을 받아 컬링됨으로써, 상기 절삭분은 용이하게 분단되어 처리된다. 더구나, 이들 주도트 및 부도트는 구면형이기 때문에, 절삭분의 유출방향이 변화해도 절삭분과 점접촉으로 충돌시킬 수 있고, 외경부로부터 R 부, 단면부에 걸쳐 안정된 절삭분 처리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부도트는 1 개의 코너부에 대해 적어도 한 쌍, 즉 1 개의 절삭날에 대해서 적어도 1 개씩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사용되는 절삭날 길이가 긴 경우에는 1 개의 절삭날에 관해서 간격을 두어 복수의 부도트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경사면 상의 코너부의 돌출단측에 1 개의 상기 주도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주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을 상기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보다도 반경이 크면서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주도트의 최고점의 높이를 부도트의 최고점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코너부의 돌출단측에서 폭이 좁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는, 반경이 크면서 최고점의 높이도 높아진 주도트의 코너부측을 향하는 표면에 상기 절삭분을 충돌시켜 확실히 처리할 수 있는 한편, 어느 정도의 절삭날 길이를 사용하여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라도, 이 주도트의 상기 절삭날측을 향하는 표면과 부도트에 절삭분을 충돌시켜 역시 확실한 처리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의 상기 주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의 10 ∼ 26 % 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보다도 주도트의 반경이 크면, 도트의 기립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폭이 좁은 절삭분이 주도트에 충분히 충돌하지 않고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한편, 반대로 이보다도 주도트의 반경이 작고 중심위치가 에지에 가까우면 절삭분을 골짜기 바닥에 떨어뜨리는 효과가 작아져, 절삭분 처리의 효과가 작아진다. 또한, 절삭분을 골짜기 바닥에 떨어뜨리기 위해서 중심위치를 그대로 하면 에지와 구면의 기립의 벽이 멀어지기 때문에, 저랜싱시에 절삭분이 신장되기 쉬워진다. 또한,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부도트의 최고점과 이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높이가 높아진 주도트의 최고점과의 높이의 차이는 0.02 ∼ 0.12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차이가 너무 작아 주도트와 부도트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고, 즉 주도트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절삭날의 코너부 돌출단으로부터 생성되는폭이 좁은 절삭분이 이 주도트에 충분히 충돌하지 않고 통과하여 그 처리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이 차이가 너무 커 주도트가 너무 높아지면, 절삭분의 폭의 대소에 관계없이 절삭분의 충돌에 의한 저항이 너무 커져 주도트의 마모가 촉진되거나, 워크의 회전 구동력 증대를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이렇게 반경 및 높이가 큰 1 개의 주도트를 코너부 돌출단측의 경사면 상에 형성하는 대신에, 이 경사면 상의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측에 2 개의 주도트를 상기 코너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형성하고, 이들의 주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을 서로 동일하면서 상기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과도 거의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주도트의 최고점의 높이도 상기 부도트의 최고점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도, 코너부 돌출단측의 절삭날에 의해서 폭이 좁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는, 상기 절삭분은 랜드와 경사면이 이루는 상기 골짜기 바닥을 따라 유출함으로써, 코너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나란해진 상기 2 개의 주도트의 골짜기에 안내되어 이들 주도트의 일방 또는 쌍방에 충돌되는 한편,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도, 2 개의 주도트 중 사용에 제공되는 절삭날측의 주도트와 동일 절삭날측의 부도트에 절삭분이 충돌되기 때문에, 어떤 때라도 확실한 절삭분 처리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부도트보다도 반경 및 최고점의 높이가 큰 1 개의 주도트를 형성한 경우와 부도트와 반경 및 최고점의 높이가 거의 동일한 2 개의 주도트를 형성한 경우의 어떤 경우라도, 부도트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의 3.0 ∼ 6.5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이 너무 크면, 주도트의 반경도 커져 역시 코너부 돌출단과 주도트의 간격이 너무 커지는 것은 물론, 경사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부도트 표면의 경사각이 작아져 절삭분에 대한 브레이킹 효과가 약해지고, 저이송시에 절삭분의 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한편, 고랜싱시에는 절삭분과의 접촉부가 커져 절삭저항도 커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반대로 이 반경이 너무 작으면, 조기에 마모하여 팁 수명의 단축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한 쌍째인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중심 위치는, 상기 경사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부도트에 인접하는 상기 절삭날을 따른 방향을 향하여,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의 15 ∼ 40 % 의 거리의 범위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보다도 한 쌍째인 부도트가 떨어져 있으면,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라도 상기 절삭분이 부도트에 달하지 않고, 반대로 이보다도 한 쌍째인 부도트가 코너부의 돌출단즉 주도트에 근접하여 있으면, 역시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 절삭분의 코너부측만이 주도트 및 부도트에 충돌하게 되어, 모두 확실한 처리가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주도트가 1 개인 경우와 2 개인 경우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상기 경사면 상에 이 경사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주도트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형의 브레이커를 형성하고,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 브레이커의 높이를 상기 주도트 및 부도트의 최고점의 높이보다도 높게 하면, 이들 주도트 및 부도트에 충돌하여 상기 주도트 및 부도트를 넘은 절삭분을 다시 이 브레이커에 충돌시켜 한층 더 확실히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브레이커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 브레이커의 정점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에 이루는 브레이커 벽면에, 이 경사면에 이르는 도중에서 상기 경사면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상기 경사면의 코너부에서의 한 쌍의 절삭날의 교차각 즉 코너각의 크기에 따라서, 이 브레이커 벽면과 절삭날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거나 해도, 이 단차부에 절삭분을 충돌시켜 그 확실한 처리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드에 의해 절삭날의 날끝 강도를 확보하면서, 이 랜드와 경사면에 의한 상기 골짜기부에 의해 절삭분을 확실히 주도트를 향하여 안내하기 위해서는, 상기 랜드의 경사각은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2 ∼ 15°의 범위로 됨과 동시에, 상기 주도트에 인접하는 부도트의 중심위치에 있어서 12°이하의 범위로 되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과 이 랜드의 경사각의 차이는 10 ∼ 20°의 범위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팁 본체 (1) 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재료에 의해 대략 마름모형인 다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다각형면 즉 마름모형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경사면 (2) 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팁 본체 (1) 의 둘레면이 플랭크 (3) 가 되고, 이들 경사면 (2) 과 플랭크 (3) 가 교차하는 상기 마름모형면의 변모서리부에, 이 마름모형면의 코너부 (C) 에 교차하여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절삭날 (4)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팁 본체 (1) 는, 그 경사면 (2)이 형성되는 상기 마름모형면에 관해서 표리 대칭형상으로 됨과 동시에, 이들 표리의 마름모형면의 중심을 통과하여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팁 중심선 (O) 과 각 코너부 (C) 의 이등분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서도 각각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들의 마름모형면의 각 4 개의 변모서리부 모두에 동일하게 각 4 개의 코너부 (C…) 에 각각 교차하는 한 쌍씩의 절삭날 (4…) 이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하나의 팁 본체 (1) 에 표리 합쳐서 합계 8 쌍의 절삭날 (4…) 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팁은, 상기 마름모형면의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의 각도가 80°가 됨과 동시에, 상기 플랭크 (3) 가 상기 팁 중심선 (O) 에 평행으로 되어 여유각이 부여되지 않은 네거티브 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팁 중심선 (O) 을 따라 경사면 (2) 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각 코너부 (C…) 는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절삭날 (4…) 은 이 코너부 (C) 에 매끄럽게 접하도록, 또한 동일한 변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끼리가 일직선상에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코너부 (C) 를 포함하여 절삭날 (4…) 은 표리 각각에 있어서 상기 팁 중심선 (O) 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표리의 마름모형면의 중앙부 사이에는 상기 팁 중심선 (O) 을 중심으로 한 단면 원형인 장착구멍 (5) 이 관통 설치됨과 동시에, 이 장착구멍 (5) 의 개구부 주변에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마름모형면에 있어서 각각 절삭날 (4) 보다도 돌출하여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으로 가장 높아진 평탄면 (6) 이 팁 중심선 (O) 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팁은 한 쪽의 마름모형면측의 절삭날 (4) 을 절삭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쪽의 마름모형면의 평탄면 (6) 이 스로 어웨이식 바이트의 팁 장착시트 저면에 밀착하여 착석된 후에, 상기 장착구멍 (5) 에 삽입통과된 클램프나사를 상기 장착시트 저면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이 바이트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기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은 이들의 평탄면 (6, 6) 에 직교하는 방향이 되고, 이 두께 방향에서의 높이는, 예컨대 절삭날 (4) 이 절삭에 사용되는 상기 한쪽의 마름모형면측에 있어서는, 팁 장착시트 저면에 밀착하는 상기 다른쪽의 마름모형면 (다각형면) 의 평탄면 (6) 으로부터 상기 평탄면 (6) 에 수직으로 상기 한쪽의 마름모형면측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가 된다. 한편, 이 평탄면 (6) 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장착구멍 (5) 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마름모형의 각 변모서리부의 중점을 향하여 산꼭대기가 우묵하게 들어간 산형으로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 (2) 은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날 (4) 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경사면 (2) 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져 있고, 이에 따라 절삭날 (4) 에는 플러스의 경사각이 주어진다. 또한, 이 절삭날 (4) 에는 상기 절삭날 (4) 을 따라 랜드 (7)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랜드 (7) 도 절삭날 (4) 로부터 이간하여 상기 경사면 (2) 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이 함몰 경사지는 랜드 (7) 가 이루는 경사각 (α) 은, 절삭날 (4) 의 어느 부위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함몰 경사하는 상기 경사면 (2) 이 이루는 경사각 (β) 보다도 작아지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이들 랜드 (7) 와 경사면 (2) 은 둔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삭날 (4) 과 직교하는 단면에서의 이들의 경사각 (α, β) 은 모두 코너부 (C) 의돌출단, 즉 상기 평면에서 보아 원호형을 이루는 코너부 (C) 와 이 코너부 (C) 의 이등분선과의 교점으로부터, 그 코너부 (C) 에 교차하는 한 쌍의 절삭날 (4, 4) 을 따라 각각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평면에서 본 랜드 (7) 의 폭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마름모형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예컨대 코너부 (C)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렇게 랜드 (7) 및 경사면 (2) 의 경사각 (α, β) 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랜드 (7) 및 경사면 (2) 은, 상기 이등분선 상에 있어 경사면 (2) 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가장 큰 경사각 (α, β) 으로 경사되어 깊이 함몰함과 동시에, 이 이등분선 상으로부터 절삭날 (4, 4) 을 따라 멀어짐에 따라서 그 함몰이 점차 얕아지도록 형성되고, 즉 상기 이등분선 상이 경사면 (2) 의 내측을 향하여 깊이가 가장 깊어지는 골짜기 바닥부분으로 된 골짜기형을 나타내게 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코너부 (C) 돌출단에서의 상기 이등분선 상의 랜드 (7) 의 경사각 (α) 은 10°로, 또한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은 27°로 설정되고, 원호형의 코너부 (C) 의 양단에 있어서 절삭날 (4) 과 직교하는 단면 상의 랜드 (7) 의 경사각 (α) 은 8°로, 또한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은 25°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이렇게 경사각 (α, β) 을 변화시킬 때에, 랜드 (7) 나 경사면 (2) 은 경사각 (α, β) 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비틀림면형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한 경사각 (α, β) 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다단면형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코너부 (C) 에 있어서, 이렇게 경사진 경사면 (2) 상에는, 코너부 (C) 의 돌출단측에 주도트 (8) 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코너부 (C) 의 돌출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한 쌍의 절삭날 (4, 4) 을 따라 주도트 (8) 로부터 각각 이간된 위치에는 한 쌍의 부도트 (9, 9)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팁 본체 (1) 가 코너부 (C) 의 이등분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주도트 (8) 및 부도트 (9, 9) 도 이 이등분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이들 주도트 (8) 및 부도트 (9) 는, 모두 그 표면이 볼록구면형을 이루도록 하여 경사면 (2) 상에 돌출형성된 것으로, 단 그 경사면 (2) 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상기 주도트 (8) 및 부도트 (9) 가 이루는 구면의 반경보다도 충분히 작게 되어 있고, 이로써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의 표면과 경사면 (2) 은 둔각으로 교차되고 있다. 또한, 주도트 (8) 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된 부도트 (9, 9) 는, 그 표면도 주도트 (8) 와 중첩되지 않고 간격을 두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주도트 (8) 와 부도트 (9, 9) 사이에는 경사면 (2) 이 남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 (2) 의 코너부 (C) 돌출단측에 1 개의 주도트 (8) 가, 그 볼록구면의 중심을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이등분선 상에 위치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도트 (8) 와 부도트 (9, 9) 는 코너부 (C) 의 상기 이등분선을 이등변의 등분선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각 정점 상에 배치되는 것이 된다. 더구나, 이 주도트 (8)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은 부도트 (9)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 (2) 이 형성되는 팁 본체 (1) 의 상기 마름모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d) 이 12.7 ㎜ 로 됨과 동시에, 부도트 (9)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이 0.6 ㎜ 가 되고, 따라서 내접원 직경 (d) 에 대해서 부도트 (9) 의 반경 (r) 이 4.7 % 인 데에 대해서, 주도트 (8)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은 2 ㎜ 가 되고, 따라서 내접원 직경 (d) 에 대해서는 약 15.7 %, 부도트 (9) 의 반경 (r) 에 대해서는 약 3.3 배의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 주도트 (8) 의 최고점의 높이, 즉 상기 주도트 (8)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표면과, 이 주도트 (8)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팁 중심선 (O) 과 평행해지는 직선과의 교점의 팁 본체 (1) 의 상기 두께 방향의 높이는, 부도트 (9) 의 최고점의 높이보다도 약간 높게 되어 있고, 절삭날 (4) 에 대해서는 거의 동일한 높이이거나, 매우 약간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도트 (9) 는 이 부도트 (9)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중심 위치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평면에서 보아, 코너부 (C) 의 상기 돌출단으로부터 이 부도트 (9) 에 인접하여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삭날 (4) 을 따른 방향을 향하여, 상기 내접원 직경 (d) 의 15 ∼ 40 % 의 범위의 거리 (L) 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리 (L) 가 3.5 ㎜ 로 되어 내접원의 직경 (d) 에 대해서 27.6 % 로 되어 있다. 한편,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거리 (L) 의 위치에서의 절삭날 (4)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는, 랜드 (7) 의 경사각 (α) 이 6°가 됨과 동시에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은 22°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와 절삭날 (4)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의 경사면 (2) 과의 교차능선과 절삭날 (4) 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과의 사이의 가장 좁은 부분의 간격이 거의 동일하게 되거나, 또는 부도트 (9) 의 경사면 (2) 과의 교차능선과 절삭날 (4) 과의 간격이 주도트 (8) 의 교차능선과 절삭날 (4) 과의 간격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되어 있고, 단 이들의 교차능선이 랜드 (7) 에는 중첩되지 않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절삭날 (4) 의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주도트 (8) 와 경사면 (2) 의 교차능선까지의 상기 이등분선 방향의 간격은,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삭날 (4) 로부터 주도트 (8) 의 교차능선까지의 간격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 (2) 상에는, 상기 평면에서 보아 주도트 (8) 로부터 상기 이등분선을 따라 경사면 (2) 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선형의 브레이커 (1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브레이커 (10) 는, 상기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정점부가, 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 (6) 과 동일한 높이로 중심선 (O) 에 수직으로 된 평탄면 (11) 이 됨과 동시에, 이 평탄면 (11) 으로부터 경사면 (12) 에 이르는 브레이커 벽면 (12) 은 경사면 (12) 측을 향함에 따라서 산자락형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 브레이커 벽면 (12) 의 코너부 (C) 측의 선단부가 주도트 (8) 의 경사면 (2) 내측의 볼록곡면 부분에 중첩되도록 하여 연결되며, 또한 반대측의 브레이커 벽면 (12) 의 후단부는, 상기 평탄면 (6) 으로부터 경사면 (2) 을 향하여 역시 산자락형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져 연장되는 벽면 (13) 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브레이커 (10) 의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높이는,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의 최고점의 높이나 절삭날 (4) 의 높이보다도높아진다. 또한, 이 브레이커 (10) 의 상기 평면에서 본 상기 이등분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의 주도트 (8) 와의 연결부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함에 따라서 커지고, 상기 한 쌍의 부도트 (9, 9) 사이의 부근에서 일단 최대가 되며, 다시, 후단부측을 향하여 상기 브레이커 벽면 (12) 이 오목곡면을 이루도록 약간 폭이 좁아져 잘록해진 후에 폭이 넓어져 상기 벽면 (13) 에 연속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 브레이커 (10) 의 상기 평탄면 (11) 이 장착구멍 (5) 의 개구부에 달하는 부분에는, 이 평탄면 (11) 이나 상기 평탄면 (6) 에 대해서 1 단 움푹패인 오목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팁에 있어서는, 경사면 (2) 이 절삭날 (4) 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함몰 경사짐과 동시에, 절삭날 (4) 에는 상기 절삭날 (4) 을 따라 이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보다도 작은 경사각 (α) 으로 역시 절삭날 (4)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함몰 경사지는 랜드 (7) 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절삭날 (4) 의 날끝각을 크게 하여 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들 랜드 (7) 및 경사면 (2) 의 경사각 (α, β) 이 코너부 (C) 의 상기 돌출단으로부터 절삭날 (4) 을 따라 이간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아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 (2) 과 랜드 (7)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코너부 (C) 의 돌출단으로부터 경사면 (2) 내측을 향하는 부분이 골짜기 바닥이 된 골짜기형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 코너부 (C) 돌출단측의 경사면 (2) 상에는,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주도트 (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우선 워크의 외경부나 R 부의 선삭에 있어서 이 코너부 (C) 돌출단측의 절삭날 (4) 에 의해 생성되는 폭이 좁은 절삭분은, 상기 랜드 (7) 및 경사면 (2) 이 이루는 골짜기형의 골짜기 바닥을 따라 안내되어 경사면 (2) 내측으로 유출되고, 그 속에 위치하는 주도트 (8) 에 이끌려져 그 표면의 볼록구면에 확실히 충돌되고 컬링되며 분단된다.
한편, 워크의 단면부의 선삭에 있어서, 워크의 외주측으로 팁을 인상시키는 방향으로 이송을 부여하는 경우에 상기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까지의 어느 정도의 길이의 절삭날 (4) 에 의해서 생성되는 폭이 넓은 절삭분은, 이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절삭날 (4) 을 따라 이간되는 방향으로 랜드 (7) 및 경사면 (2) 의 경사각 (α, β) 이 작게 되어 때문에, 이들 랜드 (7) 및 경사면 (2) 상을 스쳐지날 때에 코너부 (C) 돌출단측과 이로부터 이간된 측에서 상이한 크기의 저항을 받고, 즉 코너부 (C) 돌출단측에서는 경사각 (α, β) 이 크기 때문에, 그 자체가 절삭분에 폭방향으로 만곡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더구나 저항은 작으며, 반대로 이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이간된 측에서는 경사각 (α, β) 이 작기 때문에 큰 저항을 받고, 이들에 의해 절삭분은 그 폭방향으로 만곡된 상태에서 경사면 (2) 의 내측으로 유출되며, 이 경사면 (2) 내측의 주도트 (8) 및 상기 절삭날 (4) 측의 부도트 (9) 에 충돌하여 그 유출방향으로 컬링된다. 그러나, 이렇게 폭방향으로 만곡된 절삭분은 그 길이방향 즉 유출방향으로 저항을 받아 컬링되면 무리한 힘이 생겨 용이하게 분단되기 때문에, 이러한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구성의 팁에 의하면 이것을 확실히 분단하여 처리할 수가 있다.
또한, 모방 선삭가공에 있어서 워크의 외경부의 선삭가공으로부터 R 부의 가공을 거쳐서 단면부의 가공으로 연속적으로 이행하거나, 또는 이것과는 반대로 단면부의 가공으로부터 외경부의 가공으로 역시 연속적으로 이행하는 경우와 같이, 절삭분의 유출방향이 차차 변화할 때에도, 상기 구성의 팁에 있어서는, 랜드 (7) 및 경사면 (2) 이 전술한 바와 같이 골짜기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이 좁은 절삭분이 코너부 (C) 돌출단에서 생성될 때에는 이 골짜기형의 골짜기 바닥부분에 안내되어 확실히 주도트 (8) 에 충돌되고, 또한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도 역시 이 골짜기형을 따라 골짜기 바닥측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경사각 (α, β) 이 절삭날 (4) 을 따라 작아짐에 따라서 절삭분이 만곡되어져 권취되기 때문에, 확실히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에 충돌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들 주도트 (8) 및 부도트 (9) 는 볼록구면형이기 때문에, 이렇게 절삭분의 유출방향이 변화할 때에도 각 도트 (8, 9) 는 절삭분과 항상 점접촉으로 충돌되게 되고, 즉 유출방향에 따라서 충돌이 변화하거나 하지 않고, 따라서 모방 선삭가공시의 외경부와 단면부 사이에 걸친 가공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절삭분 처리를 꾀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 (2) 상에는 코너부 (C) 의 돌출단측에 주도트 (8) 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코너부 (C) 에 교차하는 한 쌍의 절삭날 (4, 4) 을 따라 각각 이간된 위치에 한 쌍의 부도트 (9, 9)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팁 본체 (1) 가 상기 이등분선에 관해서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모방 선삭가공에 있어서 한 쪽의 절삭날 (4) 로부터 다른쪽의 절삭날 (4) 로 사용되는 부분이 이행되는 경우에도, 역시 안정된 절삭분 처리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절삭날 (4) 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아지는 랜드 (7) 및 경사면 (2) 의 경사각 (α, β) 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날 (4)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코너부 (C) 돌출단에서의 경사각 (α) 이 10°, 경사각 (β) 이 27°로 됨과 동시에, 부도트 (9) 의 중심위치 (상기 거리 (L) 의 위치) 에서의 경사각 (α) 이 6°, 경사각 (β) 이 22°로 되어 있지만, 코너부 (C) 돌출단에서의 경사각 (α, β) 이 너무 작으면 랜드 (7) 및 경사면 (2) 에 의한 전술한 골짜기형의 깊이가 얕아져 폭이 좁은 절삭분을 확실히 안내할 수 없고, 그렇다고 하여 이것이 너무 크면 코너부 (C) 돌출단에서의 절삭날 (4) 의 날끝 강도가 작아져 결손 등이 생기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부도트 (9) 의 위치에서의 경사각 (α, β) 이 너무 크면, 코너무 (C) 돌출단에서는 이보다도 경사각 (α, β) 이 커지기 때문에, 역시 결손이 생기기 쉬워지고, 반대로 너무 작으면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 이것을 폭방향으로 충분히 만곡시켜 쉽게 분단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랜드 (7) 의 경사각 (α) 에 대해서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이 너무 작으면, 도트의 돌출량이 작아져 절삭분을 컬링시키는 효과가 약해지는 한편, 반대로 너무 커도 경사면 (2) 으로부터 주도트 (8) 나 부도트 (9) 의 표면에 대한 기립이 너무 급경사가 되어, 절삭분이 충돌할 때의 저항이 너무 커질 우려가 생긴다. 이 때문에, 랜드 (7) 의 경사각 (α) 은, 상기 코너부 (C) 의 돌출단에 있어서 2 ∼ 15°의 범위로 됨과 동시에, 부도트 (9) 의 중심위치에 있어서 12°이하의 범위가 되면서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은 이들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 랜드 (7) 의 경사각 (α) 과의 차이가 10 ∼ 20°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랜드 (7) 의 경사각 (α) 및 경사면 (2) 의 경사각 (β) 은, 상기 코너부 (C) 의 돌출단으로부터 한 쌍의 절삭날 (4, 4) 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연속적으로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한 소정의 범위에서는 일정한 경사각 (α, β) 으로 되며, 상기 방향으로 그 다음의 소정의 범위에서는 이보다도 작은 일정한 경사각 (α, β) 으로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소정의 범위에서는 일치되는 경사각 (α, β) 으로 됨과 동시에 다른 소정의 범위에서는 경사각 (α, β) 이 상기 방향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될 수도 있고, 특히 후의 두 경우에는 경사각 (α) 과 경사각 (β) 이 서로 상이한 소정의 범위에서 각각 일정하게 되거나 상기 방향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랜드 (7) 와 경사면 (2) 이 교차하는 부분은, 절삭날 (4) 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원호 등의 볼록곡선에 의해서 매끄럽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한 적어도 경사면 (2) 에 관해서는 이 단면에 있어서 완만하게 움푹패인 오목곡선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코너부 (C) 로부터 연장된 상기 한 쌍의 절삭날 (4, 4) 에 연속되는 랜드 (7) 및 경사면 (2) 끼리가 교차하는 상기 골짜기형의 골짜기 바닥부분은, 상기 이등분선에 직교하는 단면이 V 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한 이 이등분선 상의 부분이 오목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도트 (8) 가 코너부 (C) 돌출단측의 경사면 (2) 상에 1 개만 형성되어 있고, 이 주도트 (8)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는 부도트 (9) 의 반경 (r) 보다도 커지고, 또한 그 상기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최고점의 높이도 부도트 (9) 보다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폭이 좁은 절삭분이 생성되어 랜드 (7) 와 경사면 (2) 이 이루는 상기 골짜기형의 골짜기 바닥부분을 따라 유출되었을 때에도, 이 반경 (R) 이 크고 최고점의 높이도 높은 주도트 (8) 에 이 절삭분을 확실히 충돌시키고 컬링시키며 분단시킬 수 있다. 또한,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도, 이 주도트 (8) 의 반경 (R) 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주도트 (8) 의 절삭날 (4) 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측의 표면을 상기 절삭날 (4) 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만곡되어 생성된 이 폭이 넓은 절삭분을, 역시 확실히 이 주도트 (8) 와 상기 부도트 (9) 에 충돌시켜 유출방향으로 컬링시키고 분단하여 처리할 수가 있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삭날 (4) 부분과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와의 간격이 거의 동일하거나, 부도트 (9) 와의 간격이 약간 작게 되어 있는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폭이 넓은 절삭분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거의 동시에 주도트 (8) 에 부도트 (9) 와 충돌시켜 유출방향으로 컬링시킬 수 있고, 이들 주도트 (8) 와 부도트 (9) 의 한쪽에만 절삭분이 충돌하여 절삭분의 전체적인 유출방향으로의 컬링이 저해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해서 대직경이고 최고점의 높이도 높아진 주도트 (8) 에 대해서 소직경이 되는 상기 부도트 (9)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을,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 (2) 이 형성되는 다각형면 (마름모형면) 의 내접원의 직경 (d) 에 대해서 4.7 % 의 크기로 하고 있지만, 이 반경 (r) 이 너무 커지면, 도 4 에 나타낸 경사면 (2) 으로부터 기립하는 부도트 (9) 표면의 볼록구면의 경사각 (θ) 이 작아지고, 절삭분에 대한 브레이킹 효과가 약해져 저이송시에 절삭분이 신장될 우려가 있는 한편, 고이송시에는 절삭분과 접촉하는 볼록구면의 표면부분의 둘레방향의 길이가 길어져 점접촉이 되지 않고, 이에 의해 절삭저항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부도트 (9) 의 반경 (r) 이 커지면, 이에 맞추어 주도트 (8) 의 반경 (R) 도 커지기 때문에, 폭이 넓은 절삭분이 적당히 만곡한 부분에서 주도트 (8) 및 부도트 (9) 에 충돌하여 유출방향으로 컬링하도록 이 주도트 (8) 와 직선형의 절삭날 (4) 부분과의 간격을 확보하고자 하면, 코너부 (C) 돌출단과 주도트 (8) 의 간격이 너무 커지고, 폭이 좁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 이것을 빠르게 주도트 (8) 에 충돌시켜 처리할 수 없을 우려도 생긴다. 그 한편으로, 반대로 이 부도트 (9) 의 반경 (r) 이 너무 작으면, 폭이 넓은 절삭분이 충돌할 때의 마모에 의해서 부도트 (9) 가 조기에 마멸되어 팁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부도트 (9) 의 상기 반경 (r) 은 팁 본체 (1) 의 상기 내접원 직경 (d) 에 대해서 3.0 ∼ 6.5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도트 (8) 의 반경 (R) 에 관해서도, 너무 크면 주도트 (8) 의 기립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폭이 좁은 절삭분이 주도트 (8) 에 충분히 충돌하지 않고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한편, 반대로 너무 작으면, 주도트 (8) 가 조기에 마멸될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이렇게 해서 반경 (R) 이 작아진 주도트 (8) 의 중심위치를 코너부 (C) 의 돌출단에 너무 근접시키면 전술한 절삭분을 골짜기 바닥에 떨어뜨리는 효과가 작아져 절삭분 처리의 효과도 작아지고, 또한 이렇게 절삭분을 골짜기 바닥에 떨어뜨리기 위해서 주도트 (8) 의 중심위치를 반경 (R) 이 큰 때와 그대로동일한 위치로 하면, 절삭날 (4) 과 주도트 (8) 표면의 볼록구면이 기립된 벽부가 멀어져 저랜싱시에 절삭분이 신장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주도트 (8) 의 반경 (R) 은 상기 내접원 직경 (d) 에 대해서 10 ∼ 26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도트 (8) 와 부도트 (9) 의 상기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최고점끼리의 높이의 차이에 관해서도, 이 차이가 너무 작아 주도트 (8) 와 부도트 (9) 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고, 즉 주도트 (8) 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절삭날 (4) 의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생성되는 폭이 좁은 절삭분이 이 주도트 (8) 에 충분히 충돌하지 않고 통과하여 그 처리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이 주도트 (8) 가 너무 높아지면, 절삭분 폭의 대소에 관계없이 절삭분의 충돌에 의한 저항이 너무 커져 주도트 (8) 의 마모가 촉진되거나, 워크의 회전구동력의 증대를 초래하기도 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높이의 차이는 0.02 ∼ 0.12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도트 (9) 의 중심위치와 절삭날 (4) 의 간격, 즉 상기 평면에서 본 부도트 (9)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중심과 절삭날 (4) 의 간격도, 이것이 너무 크면 주도트 (8) 도 경사면 (2) 의 내측으로 후퇴시키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상기 주도트 (8) 와 코너부 (C) 의 간격이 너무 커지는 한편, 이 부도트 (9) 와 절삭날 (4) 의 간격이 너무 작으면 워크의 단면부를 인상시키는 방향으로 선삭할 때에 생기는 폭이 넓은 절삭분이 그 폭방향으로 충분히 만곡되기 전에 부도트 (9) 나 주도트 (8) 에 충돌하여, 유출방향으로 컬링되어도 확실히 분단되지 않게 될 우려가 생기기 때문에, 상기 내접원 직경 (d) 에 대해서 5 ∼ 12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삭날 (4) 이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부도트 (9) 의 위치에 관해서도, 이것이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너무 멀어져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더라도 그 폭방향의 양단부 중 부도트 (9) 측의 단부가 상기 부도트 (9) 에 충돌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는 한편, 반대로 부도트 (9) 가 코너부 (C) 에 너무 근접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었을 때에 그 폭방향의 코너부 (C) 측의 부분만이 주도트 (8) 와 부도트 (9) 에 충돌할 뿐으로, 어느 경우에도 절삭분이 한쪽에 충돌하게 되고, 랜드 (7) 및 경사면 (2) 에 의해 절삭분이 폭방향으로 만곡되어도, 한쪽에 충돌하게 된 측에서만 분단이 생기고 반대측에서는 절삭분이 연결된 채로 되어 버릴 우려가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방향에서의 부도트 (9) 의 위치, 즉 상기 평면에서 본 직선형의 절삭날 (4) 을 따른 방향의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부도트 (9) 의 중심까지의 거리 (L) 는 상기 내접원의 직경 (d) 의 15 ∼ 40 % 의 범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부 (C) 에 교차하는 한 쌍의 절삭날 (4, 4) 에 대해서 각각 1 개씩인 한 쌍의 부도트 (9, 9) 를 각 코너부 (C) 에 형성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변형예의 경우과 같이 사용되는 절삭날 (4) 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각 절삭날에 대해서 복수씩인 복수쌍의 부도트를 상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거리 (L) 는 상기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한 쌍째인 부도트 (9) 까지의 거리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은 마름모형의 평판형의 팁에서는, 이것을 전술한 모방 선삭가공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이 마름모형의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에 교차하는 절삭날 (4, 4) 이 사용되기 때문에, 그러한 팁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이 예각의 코너부 (C) 에 있어서 상기 거리 (L) 가 상기 범위내로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 (2) 상에 주도트 (8) 로부터 다시 경사면 (2) 의 내측에 연장되는 돌출형의 브레이커 (10) 가 형성되어 있고,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 브레이커 (10) 의 높이, 즉 그 정점부의 평탄면 (11) 의 높이가, 부도트 (9) 는 물론 주도트 (8) 의 상기 최고점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절삭분이 이들 주도트 (8) 나 부도트 (9) 에 충돌해도 충분히 컬링되지 않고 통과하여 경사면 (2) 의 내측으로 유출되었다 해도, 그 안쪽에 위치하는 이 높은 브레이커 (10) 에 충돌되게 되기 때문에, 너무 확실한 절삭분의 분단, 처리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이 브레이커 (10) 는, 그 상기 이등분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선단의 주도트 (8) 와의 연결부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하여 커져 한 쌍의 부도트 (9, 9) 사이에서 일단 최대가 된 후에 다시 폭이 좁아지도록 되어 있고, 주도트 (8) 와 부도트 (9, 9) 의 내측에 상기 평탄면 (11) 과 브레이커 벽면 (12) 의 교차능선이 뾰족한 부분이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주도트 (8) 나 부도트 (9) 를 통과한 절삭분은 이 뾰족한 부분에서 역시 점접촉하여 컬링되기 때문에, 절삭분의 유출방향이 변화해도 그 확실한 분단을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도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브레이커 벽면 (12) 이 상기 평탄면 (6) 으로부터 산자락형으로 경사하는 벽면 (13) 에 접속되어 있고, 이 평탄면 (6) 은 경사면 (2)이 형성되는 팁 본체 (1) 의 상기 마름모형면의 각 변모서리부의 중점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산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이 변모서리부의 절반 이상인 길이의 절삭날 (4) 이 사용되는 경우라도, 이 산형의 정점부에 연속되는 상기 벽면 (13) 에 절삭분의 폭방향 단부를 충돌시켜 컬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것은 각각 이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중, 도 7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그 팁 본체 (15) 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대략 마름모형인 평판형을 이루고 있지만,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의 각도가 제 1 실시형태보다도 작게 55°로 되어 있고, 또한 둔각을 이루는 코너부측에는 주도트나 부도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팁은, 오로지 상기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에 교차하는 절삭날 (4, 4) 만이 사용되기 때문이고, 그 만큼 개개의 절삭날 (4) 의 절삭날 길이는 상기 마름모형의 1 변모서리부의 반보다도 길어지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절삭날 (4) 을 따라 복수쌍의 부도트 (9…) 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 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그 팁 본체 (16) 가 대략 정삼각형, 엄밀하게는 변모서리부의 길이가 동일하면서 각각 동일한 각도의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와 둔각을 이루는 코너부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대략 편육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편육각형의 각 변모서리부가 상기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에 교차하여 쌍을 이루는 절삭날 (4) 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는, 표리 각 3 개의 코너부 (C) 에 교차하는 합계 6 쌍의 절삭날 (4, 4) 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5 내지 도 22 는 이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모두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요소에는 역시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들의 변형예 중 도 15 및 도 17 내지 도 19 에 각각 나타낸 것은 도 7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와 동일하게 그 팁 본체 (15) 가 코너부 (C) 의 각도 55°의 마름모형의 평판형으로 된 것이고, 또한 도 16 에 나타낸 것은 도 8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팁 본체 (16) 가 대략 편육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20 에 나타낸 것은 그 팁 본체 (17) 가 대략 정방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도 21 에 나타낸 것은 팁 본체 (18) 가 변모서리부가 똑바른 대략 정삼각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도 22 에 나타낸 것은 팁 본체 (19) 가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의 각도가 35°로 더욱 좁아진 마름모형의 평판형으로 형성된 변형예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경사면 (2) 의 코너부 (C) 돌출단측에 1 개의 주도트 (8) 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이들 제 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는, 경사면 (2) 상의 코너부 (C) 의 돌출단측에 2 개의 주도트 (21, 21) 가 상기 코너부 (C) 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들 2 개의 주도트 (21, 21) 는, 상기 평면에서 보아 코너부 (C) 의 상기 이등분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역시 상기 이등분선에 관해서 대칭이 되도록 나란하게 되어있다. 단, 상기 주도트 (21, 21) 와 경사면 (2) 의 교차능선끼리는, 도 22 에 나타낸 변형예를 제외하고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멀어져있고, 상기 브레이커 (10) 의 선단부는 그 경사한 브레이커 벽면 (12) 이 이들의 주도트 (21, 21) 사이의 상기 이등분선 상에 있어서 경사면 (2) 에 교차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주도트 (21, 21) 는, 상기 주도트 (8) 와 동일하게 경사면 (2) 으로부터 그 반경보다도 작은 돌출 높이로 돌출하는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것이지만, 이들 주도트 (21, 21)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은 부도트 (9) 의 반경 (r) 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더구나 양 주도트 (21, 21) 의 반경끼리도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도트 (21, 21) 는, 그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에서의 최고점의 높이도 서로 동일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부도트 (9, 9) 와도 이 최고점의 높이가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제 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부도트 (9) 의 반경 (r) 은 상기 내접원의 직경 (d) 의 3.0 ∼ 6.5 % 로 되어 있고, 따라서 주도트 (21) 의 반경도 상기 직경 (d) 의 3.0 ∼ 6.5 % 로 되며, 또한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삭날 (4) 부분을 따른 방향의 부도트 (9) 중심까지의 거리 (L) 는 상기 내접원 직경 (d) 의 15 ∼ 40 % 의 범위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삭날 (4) 부분과 여기에 인접하는 주도트 (21) 및 부도트 (9) 의 간격은, 상기 주도트 (21) 및 부도트 (9) 와 경사면 (2) 의 교차능선과 절삭날 (4) 과의 간격으로서, 서로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제 1 실시형태 등과는 반대로 도 10 이나 도 15, 도 16, 도 18, 또는 도 20 내지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도트 (21) 와의 간격보다도 부도트 (9) 와의 간격쪽이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된 제 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의 팁에 있어서도, 절삭날 (4) 의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부분까지를 사용하여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 절삭날 (4) 에 연속하는 랜드 (7) 및 경사면 (2) 이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절삭날 (4) 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그 경사각 (α, β) 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삭분은 그 폭방향으로 만곡되어 분단되기 쉬운 상태에서 유출된다. 그리고, 이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절삭날 (4) 부분 안의 경사면 (2) 상에는, 상기 한 쌍의 부도트 (9, 9) 중 이 절삭날 (4) 에 인접하는 부도트 (9) 와, 상기 2 개의 주도트 (21, 21) 중의 역시 상기 절삭날 (4) 에 인접하는 주도트 (21) 가, 이 절삭날 (4) 이 연장되는 방향, 즉 절삭분의 폭방향으로 이간되어 형성되어 있고, 더구나 이들 주도트 (21) 와 부도트 (9) 는 그 반경과 상기 두께 방향에서의 최고점의 높이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분의 폭방향 양단부가 이들 주도트 (21) 와 부도트 (9) 와 거의 균등하게 충돌됨으로써 절삭분은 유출방향으로 저항을 받아 컬링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분단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처리 가능해진다.
그 한편으로, 본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경사면 (2) 의 코너부 (C) 돌출단측에 2 개의 주도트 (21, 21) 가 상기 코너부 (C) 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됨으로써, 상기 랜드 (7) 및 경사면 (2) 에 의해서 형성되는 골짜기형의 안에 이들의 주도트 (21, 21) 에 의한 2 개의 산이 이 골짜기형의 골짜기 바닥부분을 사이에 두고 솟아있게 되고, 따라서 코너부 (C) 돌출단측의 절삭날 (4) 에 의해서 폭의 작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골짜기형의 골짜기 바닥을 따라 유출된 이 절삭분은 이 골짜기 바닥부분으로부터 안의 상기 2 개의 산의 일방 또는 쌍방에 충돌되고 컬링되며 분단된다. 더구나, 이 경우의 절삭날 (4) 의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 주도트 (21, 21) 까지의 간격, 즉 이들 주도트 (21, 21) 와 경사면 (2) 의 교차능선까지의 간격은, 예컨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반경 (R) 이 크고 최고점의 높이가 높은 1 개의 산을 경사면 (2) 상에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도 2 와 도 10 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지고,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다 깊게까지 경사면 (2) 이 함몰 경사된 부분에서, 반경이 작고 따라서 곡률이 커진 주도트 (21, 21) 가 솟아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 (2) 상에서 유출된 절삭분에 의해 강한 저항을 주어 작게 컬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이 폭이 작고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특히 저랜싱이나 저이송의 경우와 같이 두께가 얇고 신장되기 쉬운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 우수한 절삭분 처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러한 제 2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도, 그 부도트 (9)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 (r) 이 너무 크면, 저이송시에 절삭분의 신장이 발생함과 동시에 고이송시에는 절삭저항이 커지거나, 또한 이 부도트 (9) 와 거의 동일 반경이 되는 주도트 (21) 의 반경도 커지기 때문에, 그러한 주도트 (21) 를 2 개 코너부 (C) 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나열하여 경사면 (2) 상에 형성하면, 상기 주도트 (21, 21) 와 코너부 (C) 돌출단의 간격이 너무 커져, 절삭분이 주도트 (21, 21) 에 충돌할 때까지 필요 이상으로 경사면 (2) 상을 유출하게 되고, 오히려 확실히 주도트 (21, 21) 에 충돌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생긴다. 그 한편으로, 반대로이 부도트 (9) 의 반경 (r) 이 너무 작으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이 부도트 (9) 가 조기에 마모되는 것은 물론, 주도트 (21, 21) 도 조기에 마모되기 때문에, 이 부도트 (9) 의 반경 (r) 은 역시 상기 내접원 반경 (d) 의 3.0 ∼ 6.5 %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주도트 (21) 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도, 경사면 (2) 이 형성되는 팁 본체 (1) 의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d) 에 대해서 3.0 ∼ 6.5 % 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너부 (C) 의 돌출단으로부터의 이 부도트 (9) 의 중심위치까지의 상기 거리 (L) 에 관해서도, 이것이 너무 커 부도트 (9) 가 주도트 (21) 로부터 너무 멀어지면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었을 때에 그 폭방향의 일단부만이 주도트 (21) 에 충돌되기만 할 우려가 있는 한편, 반대로 거리 (L) 가 너무 작아 부도트 (9) 가 주도트 (21) 에 너무 근접해도, 역시 폭이 넓은 절삭분의 일단부만이 이들 주도트 (21) 및 부도트 (9) 에 충돌되기만 하여, 어느 경우나 절삭분이 한쪽에 충돌되기 때문에 확실히 유출방향으로 컬링시켜 분단할 수 없어질 우려가 생긴다. 따라서, 이 거리 (L) 에 관해서도, 상기 내접원 직경 (d) 에 대해서 15 ∼ 40 % 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7 이나 도 15 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팁 본체 (15) 가, 그 예각을 이루는 상기 코너부 (C) 의 각도가 55°인 마름모형의 평판형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60°인 마름모형의 평판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브레이커 (10) 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코너부 (C) 의 이등분선에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주도트 (8) 와의 연결부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하여 커져 한 쌍의 부도트 (9, 9)사이에서 일단 최대가 된 후에 다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거나 하면, 이들 도 7 이나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날 (4) 을 따라 부도트 (9) 로부터 코너부 (C) 와는 반대측이 되는 부분의 브레이커 (10) 의 폭이 좁아진 부분에 있어서, 절삭날 (4) 과 브레이커 벽면 (12) 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고, 해당 부분의 절삭날 (4) 에 의해서 생성된 절삭분이 신장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간격이 벌어진 부분에도 부도트 (9) 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이외에, 예컨대 도 17 내지 도 19 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브레이커 (10) 의 상기 브레이커 벽면 (12) 에, 이 브레이커 벽면 (12) 이 상기 정점부 (11) 로부터 경사면 (2) 에 이르는 도중의 부분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커 벽면 (12) 으로부터 경사면 (2) 의 외측, 즉 절삭날 (4) 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단차부 (22) 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이 단차부 (22) 는, 브레이커 (10) 정점부의 상기 평탄면 (11) 에 평행하면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낮춰진 평탄면 (23) 과, 이 평탄면 (23) 으로부터 상기 브레이커 벽면 (12) 과 거의 동일한 경사로 경사면 (12) 에 이르도록 경사진 벽면 (24) 으로 구성되고, 브레이커 (10) 의 상기 평탄면 (11) 으로부터 1 단 내려 가는 계단형을 이루며, 이 벽면 (24) 은 상기 브레이커 (10) 의 폭이 좁아지기 시작하는 부근에서, 중심선 (O) 을 따라 경사면 (2) 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절삭날 (4) 과 거의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벽면 (13) 에 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차부 (22) 를 브레이커 벽면 (12) 에 형성한 변형예의 팁에 의하면, 비록 이 브레이커 벽면 (12) 과 절삭날 (4) 의 간격이 크게 벌어진 부분에 부도트 (9)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절삭날 (4) 에 의해서 생성된 절삭분을 이 단차부 (22) 의 벽면 (24) 이나 상기 벽면 (24) 과 상기 평탄면 (23) 의 교차능선 부분으로 밀어 충돌시킴에 따라 컬링시킬 수 있어, 절삭분이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처리를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1 이나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 본체 (1) 가 마름모형의 평판형이라도 그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의 각도가 85°로 큰 경우나,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 본체 (17) 가 정방형의 평판형으로 되어 상기 각도가 90°로 되어 있는 경우, 또는 도 8, 도 16,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 본체 (16, 18) 가 대략 정삼각형의 평판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그 경사면 (2) 이 이루는 다각형의 1 변모서리부에 있어서 그 양단의 코너부 (C, C) 로부터 절삭날 (4, 4) 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개개의 절삭날 (4) 의 절삭날 길이는 1 변모서리부의 절반정도로 짧아지기 때문에, 부도트 (9) 로부터 코너부 (C) 와는 반대측인 부분에서의 절삭날 (4) 의 길이도 짧고,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단차부 (22) 를 형성하지 않아도, 절삭분을 이들 부도트 (9) 나 주도트 (8, 21) 또는 브레이커 (10) 에 의해서 확실히 처리할 수 있다. 그 한편으로,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마름모형의 평판형의 팁 본체 (19) 를 갖고 있더라도 상기 예각을 이루는 코너부 (C) 의 각도가 35°로 날카롭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삭날 (4) 과 브레이커 (10) 사이에 원래부터 큰 간격이 두어지는 것 자체가 없기 때문에, 상기 단차부 (22) 는, 코너부 (C) 의 각도가 전술한 바와 같이 55°나 60°정도인 마름모형의 평판형의 팁 본체를 갖는 팁에 있어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도 23 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팁에 의해, 또한 도 24 및 도 25 는 이에 대한 제 1, 제 2 두 종류의 비교예의 팁에 의해, 모두 이송을 0.1 ∼ 0.2 ㎜/rev, 랜싱을 1 ㎜ 로 하고, 우선 도 2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 (W) 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단면부 (P) 와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외경부 (Q) 및 이들 단면부 (P) 와 외경부 (Q) 가 교차하는 부분에 모따기부 (M) 를 형성한 경우의 절삭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각 도면 중에 부호 P, Q, M 으로 나타낸 부분이 각각 단면부 (P), 외경부 (Q) 및 모따기부 (M) 의 절삭으로 생긴 절삭분이다. 단, 도 23 에 있어서는 단면부 (P) 와 모따기부 (M) 의 절삭분을 합쳐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때의 워크 (W) 의 재질은 S45C 재, 절삭속도는 170 m/min 으로 습식 절삭이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제 2 비교예의 팁은 모두 랜드의 경사각이 6°, 경사면의 경사각이 22°로 각각 경사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하게 된 것으로, 이 중 도 24 의 절삭분을 생성한 제 1 비교예의 팁에는 부도트 (9) 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한편, 도 25 의 절삭분을 생성한 제 2 비교예의 팁에는 반경이 1.5 ㎜ (내접원의 직경의 11.8 %) 로 큰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부도트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너부 (C) 돌출단으로부터의 거리 (L) 가 3.5 ㎜ (내접원의 직경의 27.6 %) 인 위치에 중심을 위치시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이외의 부분에 대한 형상, 치수는 제 1, 제 2 비교예 모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도면에서 비교예 1, 2 의 팁에서는 절삭분은 분단되지만, 일부에서 컬링이 불규칙하고 가늘고 길게 신장된 절삭분이 생성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형태의 팁에서는, 컬링성이우수한 절삭분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음에 도 27 은 상기와 동일하게 제 1 실시형태의 팁에 의해, 도 28 은 상기 2 개의 비교예 중 제 1 비교예의 팁에 의해, 도 29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하여 워크 (W) 의 외경부와 단면부 사이의 R 부를 절삭했을 때의 절삭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이 때의 이송은 0.25 ㎜/rev, 랜싱은 0.8 ∼ 3.5 ㎜ 이고, 피삭재는 S50C 상당으로 습식 절삭이었다. 그 결과, 이들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비교예의 팁에서는 절삭분을 분단할 수는 없고, 그 길이는 30 cm 이상이 되었지만, 이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팁에서는 우수한 절삭분 분단성이 얻어졌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절삭날의 코너부 돌출단측에서 폭이 좁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는, 이 절삭분이 랜드 및 경사면이 이루는 골짜기형으로 안내되어 유출되고, 이 경사면 상의 코너부 돌출단측에 형성된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주도트에 충돌되고 컬링된다. 그 한편으로, 코너부 돌출단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절삭날 길이를 사용하여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될 때에도, 랜드와 경사면의 경사각이 코너부 돌출단으로부터 절삭날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게 되어 있음으로써, 절삭분은 그 폭방향에 만곡되어 유출방향으로 분단되기 쉽게 생성되고, 그러한 절삭분의 폭방향 양단부가 주도트와 부도트에 충돌하여 유출방향으로 컬링되기 때문에, 이것을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분 폭의 대소나 그 유출방향에 관계없이 확실한 절삭분 처리를 꾀할 수있기 때문에, 특히 이러한 절삭분의 폭이나 유출방향이 순차 변화하는 모방 선삭가공에 사용하여, 높은 절삭분 처리를 나타낼 수 있고, 절삭분의 막힘이나 절삭저항의 증대를 방지하여 원활하면서 안정된 가공을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0)
- 다각형의 평판형을 이루는 팁 본체의 다각형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기 다각형면의 변모서리부에, 상기 다각형면의 코너부에 교차하여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절삭날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스로 어웨이 팁으로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짐과 동시에, 상기 절삭날에는 상기 절삭날을 따라 랜드가 형성되어 있고, 이 랜드는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보다도 작은 경사각으로 상기 절삭날로부터 이간됨에 따라서 점차 함몰되도록 경사되고, 또한 이들 경사면과 랜드의 경사각이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절삭날을 따라 이간되는 방향을 향하여 작아지게 되며, 상기 경사면 상에는 상기 절삭날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측에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주도트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주도트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절삭날을 따라 각각 이간된 위치에도 볼록구면형을 이루는 적어도 한 쌍의 부도트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상의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측에 1 개의 상기 주도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을 상기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보다도 반경이 크고, 또한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주도트의 최고점의 높이가 상기 부도트의 최고점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이,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의 10 ∼ 26 %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주도트의 최고점과 부도트의 최고점과의 높이의 차이가 0.02 ∼ 0.12 ㎜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상의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측에는 2 개의 상기 주도트가 상기 코너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이들 주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은 서로 동일하면서 상기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과도 거의 동일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주도트의 최고점의 높이도 상기 부도트의 최고점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반경이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의 3.0 ∼ 6.5 % 의 범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한 쌍째인 부도트가 이루는 볼록구면의 중심 위치가, 상기 경사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으로부터 상기 부도트에 인접하는 상기 절삭날을 따른 방향을 향하여,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다각형면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의 15 ∼ 40 % 의 거리의 범위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 상에는 이 경사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주도트로부터 상기 경사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형의 브레이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이 브레이커의 높이가 상기 주도트 및 부도트의 최고점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팁 본체의 두께 방향에서의 상기 브레이커의 정점부로부터 상기 경사면에 이르는 브레이커 벽면에는, 이 경사면에 이르는 도중에서 상기 경사면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의 경사각은, 상기 코너부의 돌출단에 있어서 2 ∼ 15 °의 범위로 됨과 동시에, 상기 주도트에 인접하는 부도트의 중심위치에 있어서 12 °이하로 되고, 또한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과 이 랜드의 경사각의 차이가10 ∼ 20 °의 범위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1-00354459 | 2001-11-20 | ||
JP2001354459 | 2001-11-20 | ||
JPJP-P-2002-00079717 | 2002-03-20 | ||
JP2002079717A JP3812473B2 (ja) | 2001-11-20 | 2002-03-20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PCT/JP2002/012058 WO2003043767A1 (fr) | 2001-11-20 | 2002-11-19 | Plaquette amovib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6828A true KR20040066828A (ko) | 2004-07-27 |
KR100965443B1 KR100965443B1 (ko) | 2010-06-24 |
Family
ID=2662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7583A KR100965443B1 (ko) | 2001-11-20 | 2002-11-19 | 스로 어웨이 팁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182555B2 (ko) |
EP (1) | EP1454690A4 (ko) |
JP (1) | JP3812473B2 (ko) |
KR (1) | KR100965443B1 (ko) |
CN (1) | CN100436011C (ko) |
AU (1) | AU2002366022A1 (ko) |
WO (1) | WO2003043767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470B1 (ko) * | 2007-07-05 | 2009-06-08 | 대구텍 주식회사 | 코너 리세스부를 지니는 절삭 인서트 |
KR100901471B1 (ko) * | 2007-08-10 | 2009-06-08 | 대구텍 주식회사 | 코너 돌기를 갖는 절삭 인서트 |
KR20200076899A (ko) * | 2018-12-20 | 2020-06-30 | 한국야금 주식회사 | 절삭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
KR20230046568A (ko) | 2021-09-30 | 2023-04-06 | 송용수 | 스로우어웨이 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346790A1 (de) * | 2003-10-08 | 2005-05-04 | Kennametal Widia Gmbh & Co Kg | Schneideinsatz |
JP4859815B2 (ja) * | 2004-09-29 | 2012-01-25 | 京セラ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
WO2006035910A1 (ja) * | 2004-09-29 | 2006-04-06 | Kyocera Corporation |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転削工具 |
JP5028757B2 (ja) * | 2005-06-28 | 2012-09-19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CN101218053B (zh) * | 2005-07-05 | 2010-07-21 | 山高刀具公司 | 具有为冷却射流提供空间的凹槽的车削切削刀片 |
CN100369704C (zh) * | 2005-12-27 | 2008-02-20 |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 可转位内孔车削刀片 |
DE102006011581B4 (de) * | 2006-03-10 | 2016-04-28 |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 Schneideinsatz und Fräswerkzeug |
JP4990374B2 (ja) * | 2007-02-16 | 2012-08-01 | デグテック エルティーディー | 両面使用可能な切削インサー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ミーリングカッタ |
JP4967721B2 (ja) | 2007-03-07 | 2012-07-04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 |
JP5109485B2 (ja) * | 2007-06-05 | 2012-12-26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旋削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JP5118197B2 (ja) * | 2007-06-26 | 2013-01-16 | テグテック・リミテッド | コーナー突起を有する切削インサート |
CN101795801B (zh) * | 2007-08-31 | 2013-01-02 | 京瓷株式会社 | 切削镶刀以及切削方法 |
JP5158490B2 (ja) * | 2008-03-06 | 2013-03-06 |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 刃先交換式切削チップ |
JP5515504B2 (ja) * | 2008-08-22 | 2014-06-11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 |
JP5295271B2 (ja) * | 2009-01-29 | 2013-09-18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被削材の切削方法 |
SE533017C2 (sv) * | 2009-02-20 | 2010-06-08 | Seco Tools Ab | Skärverktyg och skär med fluidströmningsstrukturer |
SE534512C2 (sv) * | 2009-06-24 | 2011-09-13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samt solitt indexerbart skär och solid grundkropp härför |
CN102458736A (zh) * | 2009-06-24 | 2012-05-16 | 株式会社钨钛合金 | 切削用刀片 |
KR101606935B1 (ko) | 2009-07-09 | 2016-03-28 | 대구텍 유한회사 | 양면 인덱서블 절삭 인서트와 보강재의 조립체 |
EP2481504B1 (en) * | 2009-09-25 | 2019-07-24 | Tungaloy Corporation |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
CN101695761B (zh) * | 2009-10-23 | 2012-08-22 |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 用于软质金属材料加工的切削刀片 |
JP5092133B2 (ja) * | 2009-11-19 | 2012-12-05 |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 刃先交換式チップ |
DE112011100215T5 (de) | 2010-01-07 | 2015-10-01 | Gkn Sinter Metals, Llc. | Bearbeitungswerk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KR101142902B1 (ko) * | 2010-02-05 | 2012-05-10 | 대구텍 유한회사 | 절삭 인서트 |
AT12004U1 (de) * | 2010-02-25 | 2011-09-15 | Ceratizit Austria Gmbh | Schneideinsatz |
JP5357096B2 (ja) * | 2010-03-31 | 2013-12-04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切削工具 |
RU2532612C2 (ru) * | 2010-05-11 | 2014-11-10 | Тунгалой Корпорейшн | Режущая пластина |
DE102010021730B4 (de) | 2010-05-27 | 2018-12-13 | Kennametal Inc. | Wendeschneidplatte |
JP5895456B2 (ja) | 2010-11-15 | 2016-03-30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 |
JP5853613B2 (ja) * | 2010-11-15 | 2016-02-09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 |
EP2455172B1 (en) * | 2010-11-19 | 2013-01-16 | SECO TOOLS AB (publ) | Cutting insert with evolutive wedge or clearance angle and toolholder using such a cutting insert |
SE536295C2 (sv) * | 2011-09-23 | 2013-08-06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Månghörnigt svarvskär med förbättrad spånkontroll |
WO2013129083A1 (ja) * | 2012-02-29 | 2013-09-06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DE102013101818A1 (de) * | 2012-03-20 | 2013-09-26 | Kennametal India Limited | Wendeplatten-Fräseinsatz |
WO2013146899A1 (ja) * | 2012-03-30 | 2013-10-03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US8814480B2 (en) * | 2012-04-17 | 2014-08-26 | Iscar, Ltd. | Cutting insert chip-control arrangement |
US8939684B2 (en) | 2012-05-15 | 2015-01-27 | Iscar, Ltd. | Cutting insert with chip-control arrangement having recess depths and projection heights which increase with distance from cutting edge |
KR101394631B1 (ko) * | 2012-06-14 | 2014-05-13 | 한국야금 주식회사 | 절삭 인서트 |
CN103008702B (zh) * | 2012-12-24 | 2015-05-27 | 株洲欧科亿硬质合金有限公司 | 一种用于软质金属材料加工的多边形切削刀片 |
CN103143741B (zh) * | 2012-12-24 | 2015-12-02 | 株洲欧科亿硬质合金有限公司 | 一种可转位的双面槽型切削刀片 |
CN103071816A (zh) * | 2013-01-30 | 2013-05-01 | 华南理工大学 | 一种具有非等限制接触长度的新型限制接触外圆车刀 |
WO2014132944A1 (ja) * | 2013-02-27 | 2014-09-04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SE536986C2 (sv) * | 2013-03-20 | 2014-11-25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Månghörnigt svarvskär med spånkontrollerande styrytor |
SE1350348A1 (sv) * | 2013-03-20 | 2014-09-21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 Dubbelsidigt, indexerbart svarvskär |
JP6096895B2 (ja) * | 2013-05-28 | 2017-03-15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JP6251988B2 (ja) * | 2013-06-14 | 2017-12-27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 |
EP2818266B1 (en) * | 2013-06-27 | 2019-01-02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 A metal cutting turning insert and a turning tool |
US20150023744A1 (en) * | 2013-07-22 | 2015-01-22 | Kennametal Inc. | Cutting insert with chip dividers |
US9409237B2 (en) * | 2013-09-16 | 2016-08-09 | Iscar, Ltd. | Finish depth turning insert comprising a chip control arrangement |
US10046396B2 (en) | 2013-09-30 | 2018-08-14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JP2017064797A (ja) * | 2014-02-07 | 2017-04-06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切削インサート |
WO2015119258A1 (ja) * | 2014-02-07 | 2015-08-13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切削インサート |
US10005131B2 (en) | 2014-03-25 | 2018-06-26 | Kennametal Inc. | Triangular-shaped cutting insert with twelve cutting edges and tool holder therefor |
JP6190039B2 (ja) * | 2014-03-27 | 2017-08-30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EP2946858B1 (en) * | 2014-05-19 | 2019-07-10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 Cutting tool insert and cutting tool insert holder |
US10076788B2 (en) | 2014-05-20 | 2018-09-18 | Iscar, Ltd. | Cutting insert with chip-control arrangement |
DE102014008263A1 (de) | 2014-06-06 | 2015-12-31 | Iscar Ltd. | Schneideinsatz mit Spankontrollanordnung |
EP3006141B1 (en) * | 2014-10-09 | 2021-09-29 | Seco Tools Ab | Double-sided, indexable turning insert and turning tool |
CN104475827B (zh) * | 2014-11-20 | 2017-04-05 | 厦门金鹭特种合金有限公司 | 一种四幅拳形刃分层钻削专用刀片 |
EP3034214A1 (en) * | 2014-12-19 | 2016-06-22 | Pramet Tools, S.R.O. | Drill and drill insert with chipbreaker protrusions |
JP6639051B2 (ja) * | 2015-02-24 | 2020-02-05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切削工具 |
US9802255B2 (en) * | 2015-06-18 | 2017-10-31 | Iscar, Ltd. | Rhombus-shaped reversible cutting insert and support seat therefor |
KR101838107B1 (ko) * | 2015-09-24 | 2018-03-14 | 한국야금 주식회사 | 절삭 인서트 |
EP3153260B1 (en) | 2015-10-09 | 2018-05-23 |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 Turning insert and method |
CN109562459B (zh) | 2016-08-03 | 2020-08-07 | 京瓷株式会社 | 切削刀片、切削工具及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
US11185930B2 (en) * | 2016-08-31 | 2021-11-30 |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 Cutting insert |
US10710167B2 (en) | 2017-08-02 | 2020-07-14 | Iscar, Ltd. | Negative finish turning insert with chip forming arrangement |
JP6708183B2 (ja) * | 2017-08-10 | 2020-06-10 | 株式会社タンガロイ |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
US11911828B2 (en) * | 2018-03-27 | 2024-02-27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US11446745B2 (en) * | 2018-09-27 | 2022-09-20 | Iscar, Ltd. | Turning insert having peninsula and island protrusions, and turning tool |
US20220379384A1 (en) * | 2019-11-13 | 2022-12-01 | Kyocera Corporation |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
EP3909709A1 (de) | 2020-05-13 | 2021-11-17 | CERATIZIT Austria Gesellschaft m.b.H. | Schneideinsatz, verwendung davon und zerspanungsverfahren |
CN114309682A (zh) | 2020-09-30 | 2022-04-12 | 肯纳金属公司 | 切削刀片 |
JP2024520886A (ja) * | 2021-06-06 | 2024-05-24 | ヴァーグス リミテッド | 切削挿入具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15470U (ko) * | 1971-06-29 | 1973-02-21 | ||
JPS5119271Y2 (ko) * | 1972-02-26 | 1976-05-20 | ||
SE361609B (ko) | 1973-01-08 | 1973-11-12 | Sandvik Ab | |
GB2004477B (en) * | 1977-08-05 | 1982-03-10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 Throw away insert |
JPS5537205A (en) | 1978-08-30 | 1980-03-15 | Toshiba Tungaloy Co Ltd | Throw-away tip |
US4318645A (en) * | 1980-09-02 | 1982-03-09 | Kennametal Inc. | Cutting insert |
DE3148535A1 (de) * | 1981-12-08 | 1983-07-21 | Fried. Krupp Gmbh, 4300 Essen | Vieleckiger schneideinsatz |
JPH066241B2 (ja) | 1986-02-03 | 1994-01-26 | 東芝タンガロイ株式会社 | スロ−アウエイチツプ |
JP2666935B2 (ja) * | 1987-10-30 | 1997-10-22 | 京セラ株式会社 | 切削加工チップ |
US4941780A (en) * | 1987-11-24 | 1990-07-17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Indexable cutting insert |
US5141367A (en) * | 1990-12-18 | 1992-08-25 | Kennametal, Inc. | Ceramic cutting tool with chip control |
US5192171A (en) * | 1991-01-07 | 1993-03-09 | Gte Valenite Corporation | Chip control insert |
US5116167A (en) * | 1991-02-19 | 1992-05-26 | Kennametal Inc. | Cutting insert with chip control |
US5193947A (en) * | 1991-03-04 | 1993-03-16 | Gte Valenite Corporation | High depth, low force cutting insert |
DE69215724T2 (de) * | 1991-03-29 | 1997-05-07 | Mitsubishi Materials Corp | Wendeschneidplatte |
JP2537102Y2 (ja) | 1991-03-29 | 1997-05-28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JP2556519Y2 (ja) | 1991-12-16 | 1997-12-03 | 京セラ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SE508452C2 (sv) * | 1992-07-02 | 1998-10-05 | Sandvik Ab | Skär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
JPH0655312A (ja) * | 1992-08-07 | 1994-03-01 | Toshiba Tungaloy Co Ltd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JPH0715206U (ja) | 1993-08-06 | 1995-03-14 | 東芝タンガロイ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US5449255A (en) * | 1994-03-11 | 1995-09-12 | Valenite Inc. | Cutting insert having multiple chip breaker surfaces |
SE9402378L (sv) * | 1994-07-05 | 1995-11-06 | Sandvik Ab | Vändskär med på primärfasen belägna mikrospånbrytare |
US5788427A (en) * | 1994-08-11 | 1998-08-04 | Kennametal Inc. | Indexable insert |
JP3292631B2 (ja) | 1995-07-28 | 2002-06-17 | 京セラ株式会社 | スローアウェイインサート |
US5746346A (en) | 1997-01-15 | 1998-05-05 | Crilly; Thomas G. | Paint carrier |
JP3487195B2 (ja) * | 1998-10-19 | 2004-01-13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大型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JP2001038507A (ja) * | 1999-07-29 | 2001-02-13 | Toshiba Tungaloy Co Ltd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
2002
- 2002-03-20 JP JP2002079717A patent/JP381247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11-19 WO PCT/JP2002/012058 patent/WO20030437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11-19 KR KR1020047007583A patent/KR1009654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2-11-19 EP EP02803521A patent/EP145469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2-11-19 US US10/496,233 patent/US7182555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11-19 CN CNB028273710A patent/CN100436011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11-19 AU AU2002366022A patent/AU2002366022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1470B1 (ko) * | 2007-07-05 | 2009-06-08 | 대구텍 주식회사 | 코너 리세스부를 지니는 절삭 인서트 |
KR100901471B1 (ko) * | 2007-08-10 | 2009-06-08 | 대구텍 주식회사 | 코너 돌기를 갖는 절삭 인서트 |
KR20200076899A (ko) * | 2018-12-20 | 2020-06-30 | 한국야금 주식회사 | 절삭인서트 및 이를 장착한 절삭공구 |
KR20230046568A (ko) | 2021-09-30 | 2023-04-06 | 송용수 | 스로우어웨이 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3043767A1 (fr) | 2003-05-30 |
JP2003220503A (ja) | 2003-08-05 |
JP3812473B2 (ja) | 2006-08-23 |
US7182555B2 (en) | 2007-02-27 |
AU2002366022A1 (en) | 2003-06-10 |
CN100436011C (zh) | 2008-11-26 |
KR100965443B1 (ko) | 2010-06-24 |
CN1615196A (zh) | 2005-05-11 |
EP1454690A1 (en) | 2004-09-08 |
EP1454690A4 (en) | 2010-05-05 |
US20050019111A1 (en) | 2005-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5443B1 (ko) | 스로 어웨이 팁 | |
JP4263617B2 (ja) | 溝削り及び倣い削りのための切削インサート | |
JP5651605B2 (ja) | チップブレーカパターンを有する回転式切削工具 | |
KR101585283B1 (ko) | 절삭 인서트 | |
KR100676951B1 (ko) | 드릴용 커팅 인써트 | |
KR100643677B1 (ko) | 드릴 | |
KR101408498B1 (ko) | 나사 절삭용 인서트 | |
CN1052931C (zh) | 钻头和钻头用的切削刀片 | |
KR100963868B1 (ko) | 스로어웨이팁 | |
KR20020083423A (ko) | 스로어웨이팁 | |
EP2193902A2 (en) | One-Piece Cutting Head for a Drill Bit | |
US20110033251A1 (en) | Rotary cutting tool with reverse chipbreaker pattern | |
US6238151B1 (en) | Drilling tool and throw-away tip for use in drilling work | |
KR20010020675A (ko) | 플런지 절삭용 총형 팁 | |
JP4654962B2 (ja)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
EP1038616A1 (en) | Tip having arcuate cutting edge | |
JP5262528B2 (ja) | 切削インサート | |
JP2012045634A (ja) | 切削インサート | |
JP2021062477A (ja) | 切削インサート | |
US20230330758A1 (en) | End mill | |
JP2519773Y2 (ja) |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 |
KR100486358B1 (ko) | 드릴인서트 | |
KR970004070Y1 (ko) | 드로우어웨이팁 | |
JP2019177467A (ja) | ラフィングエンドミル | |
JPH04102716U (ja) | エンドミ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