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525A -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525A
KR20040025525A KR1020030012260A KR20030012260A KR20040025525A KR 20040025525 A KR20040025525 A KR 20040025525A KR 1020030012260 A KR1020030012260 A KR 1020030012260A KR 20030012260 A KR20030012260 A KR 20030012260A KR 20040025525 A KR20040025525 A KR 20040025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network
designation information
call destination
destination desi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3263B1 (ko
Inventor
가와바타히로타카
사기야요시하루
사이토가즈타카
후지이히데키
마에이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289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with carrierprovider selection by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되고 발호시 입력되는 행선 번호(destination number)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갖는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서 수행되는 행선 번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발호망 판별부는 분석에 따른 행선 정보 및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 판별하는데 필요한 선택망 설정정보는 발호망 판별부에 기억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COMMUNICATIONS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호시에 입력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에 의하여 IP망을 통하여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발호하는지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팩시밀리 장치는 IP망과 공중전화망 둘 다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공중전화망으로부터 발호한 경우 "FAX"를 선택하고, IP망으로부터 발호한 경우 "iFAX"를 선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발호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 모든 사용자는 IP망으로 발호가능한 호 수신자인지 아닌지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한발호는 저렴한 통신비가 부과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모든 사용자가 IP망으로 발호가능한 호 수신자인지 아닌지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한 발호는 저렴한 통신비가 부과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이런 이유로, 예를 들면 IP망을 통해 발호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하여 통신비가 낭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IP망을 통해 발호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IP망을 통해 발호를 시도하는 경우 통신에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는 예정된 재다이얼 구간에 예정된 횟수만 반복하게 된다. 회선의 다른 쪽에 있는 상대편이 BUSY인 경우와는 달리, 본래 발호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통해 발호하였기 때문에, 계속 통신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P망 및 공중전화망 양쪽에 접속되는 팩시밀리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IP망 및 공중전화망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발호를 하게 된다. 그러나 모든 사용자가 IP망으로 발호가능한 호 수신자인지 아닌지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한 발호는 저렴한 통신비가 부과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발호시 부적절한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일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즉, IP망을 통한 발호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공중전화망을 통한 발호하게 되거나, IP망을 통한 발호가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IP망을 통해 발호를 시도하게 되는 일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통신비의 낭비를 초래하고,후자의 경우는 통신에러를 가져와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여 IP망 및 공중전화망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일을 의식하지 않고 적절한 네트워크를 통해 발호를 가능하게 하여 통신비의 증가 및 통신에러 횟수의 증가를 피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a 내지 4g는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에서 선택망 설정정보의 설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시스템 제어부가 수행하는 발호망(call origination network) 판별 제어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7은 제 4 및 제 5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8은 제 6 및 제 7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9는 제 8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1 ~ 10-5, 10A ~ 10L : 통신 단말 장치
11 : 중앙처리장치(CPU)
12 : 조작/표시부
13 : 판독부
14 : 기억부
15 : 화상 처리부
16 : 화상 축적부
17 :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18 : 시스템 제어부
181 :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183 : 발호망 판별부
185 :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
19 : T.37 전송 제어부
20 : T.38 전송 제어부
21 : IP(Internet Protocol)망 제어부
22 :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제어부
23 : G3 FAX 전송 제어부
24 :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
25 : G4 FAX 전송 제어부
26 :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
27 : 시스템 버스
40 : IP망
50 : 공중전화망(공중망)
60, 61 : 해외 공중망
70 : 내선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부에 의해 입력되는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적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IP망을 통해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IP망 및 구내교환기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부에 의해 입력되는 발호처 지정정보를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상기 구내교환기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구내교환기를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 IP망을 통해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고,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및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적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작업, 및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 IP망을 통해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하면, IP망 및 구내교환기에 접속되고, 발호처를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및 상기 구내교환기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구내교환기를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적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작업, 및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 IP망을 통해 또는 구내교환기를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의하면, 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발호처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정보 입력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 및 상기 전화번호 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전화번호 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전화번호의 처음 3자리가 050인 경우 IP망을 통해 발호하는 발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의하면, 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고,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전화번호 정보 입력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및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전화번호 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전화번호 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전화번호의 처음 3자리가 050인 경우 IP망을 통해 발호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 단말 장치(10)는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11);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이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각종 조작(발호 조작 등)을 행함으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조작/표시부(12); 송신원고 또는 복사원고를 판독하는 판독부(13); 수신된 화상 데이터 또는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용지에 기록하고 출력하는 기록부(14);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부호화, 복호화, 확대 및 축소 등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15); 수신된 화상 데이터 또는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화상 축적부(16); 제어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동작영역으로 사용되는 RAM(17)(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이 동작영역에 기억한다); 팩시밀리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ROM)을 가지는 시스템 제어부(18); ITU-T 권고 T.37 절차에 따라 Store-and-Forward 통신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T.37 전송 제어부(19); ITU-T 권고 T.38 절차에 따라 실시간(real time) 통신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T.38 전송 제어부(20); IP망(40)에 접속되어 인터넷과 통신을 개시함으로써 각종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IP망 제어부(21); IP망 제어부(21) 내에 제공되어 IETF(Internet Engineer Task Force)의RFC3261(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및 RFC2327(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 규정되어 있는 절차를 사용하여 실시간 인터넷 FAX T38과 호의 확립, 유지 및 종료를 제어하는 SIP 호 제어부(22); ITU-T 권고 T.30 절차에 따라 팩시밀리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G3 FAX 전송 제어부(23); G3 FAX 전송 제어부(23)의 전송 제어 하에 아날로그 공중전화망을 통한 호의 확립 및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G4 팩시밀리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G4 FAX 전송 제어부(25); G4 FAX 전송 제어부(25)의 전송 제어 하에 디지털 공중전화망을 통한 호의 확립 및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 및 이 장치의 각 부간에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게 하는 시스템 버스(27)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 장치(10)는 IP망 제어부(21)에 의해 IP망(40)에 접속되고, IP망(40)에 의해 그 회선의 다른 종단에 있는 다른 통신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0)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의해 공중전화망(이하 "공중망"으로 약칭함)(50)에 접속되며 이 공중망(50) (예를 들면, PSTN 또는 ISDN)에 의해 다른 통신 단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IP망 제어부(21)는 IP망과 접속하는 제 1 회선 접속부로 기능하고, G3 FAX 전송 제어부(23),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G4 FAX 전송 제어부(25) 및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는 공중전화망과 접속하는 제 2 회선 접속부로 기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1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1, 10-2, 10-3, 10-4, 10-5)는 각각 도 1에 예시된 통신 단말 장치(10)를 사용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 장치(10-1)는 IP망(40) 및 공중망(50)과 접속되고 통신 단말 장치(10-2)는 단지 IP망(40)에만 접속된다.
통신 단말 장치(10-3)는 단지 공중망(50)에만 접속된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0-4)는 IP망(40) 및 내선망(PBX)(70) 양쪽에 접속된다. 통신 단말 장치(10-5)는 단지 내선망(PBX)(70)에만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접속 환경에서, 예를 들면 통신 단말 장치(10-1)는 IP망(40)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으며 또한 공중망(50)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10-3)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0-1)는 IP망(40)과 공중망(50)간에 제공되는 Gateway 서비스를 이용하여 IP망(40) 및 공중망(50)을 통해 통신 단말 장치(10-3)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0-4)는 내선망(70), 공중망(50)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10-3)와 통신할 수 있으며, 내선망(70)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10-5)와, 그리고 IP망(40)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10-2)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예를 들면 통신 단말 장치(10-1)가 어떤 통신 단말 장치와 통신을 개시하고자 시도하는 경우, IP망(40)을 통해 발호할 수 있는지 없는지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하는 것이 더 저가의 통신비를 가져오는지 아닌지 모든 사용자가 확인하는 것은 힘들다.
사용자에 부과되는 이와 같은 부담을 덜기 위해,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10)는 사용자가 단지 조작/표시부(12)의 키 조작을 수행하는 동안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송신 개시 지시 조작(즉, 송신 개시 버튼을 누름)을 수행함으로써, 그 회선의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즉,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기초하여 적절한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발호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표시부(12)는 발호 지정에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 정보 입력부로서, 또한 발호처 지정에 사용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입력하는 전화번호정보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조작/표시부(12)의 기능은 예를 들면 통신 단말 장치(10)의 시스템 제어부(18)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의 시스템 제어부(18)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18)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 발호망 판별부(183) 및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를 갖는다.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발호시 조작/표시부(12)에 의해 입력된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의 행선 번호를 분석한다.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가 수행하는 행선 번호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발호망 판별부(183)는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 및 분석된 행선 번호를 참조하여, IP망(40) 또는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한다.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는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기 위하여 발호망 판별부(183)에 필요한 선택망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 발호망 판별부(183)는 발호처 지정정보부에 의해 입력된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도 4a 내지 4h는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서 기억하는 선택망 설정정보의 설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IP망(40)에 접속되었음을 지시하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가 IP망(40)에 접속되었음을 지시하는 특정 정보는, 예를 들면, 발호처 지정정보에서 처음 3자리를 구성하는 "050" 정보에 해당한다.
도 4b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는 발호처 지정정보에서 처음 3자리를 구성하는 "*XX" 정보에 해당한다(참조부호 *는 "0" 이외의 수를 나타내고,X는 임의의 수를 나타냄).
도 4c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는 발호처 지정정보에서 처음 3자리를 구성하는 "*XX" 정보에 해당한다(참조부호 *는 "0" 이외의 수를 나타내고, X는 임의의 수를 나타냄).
도 4d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는 발호처 지정정보에서 처음 3자리를 구성하는 "0**" 정보에 해당한다(참조부호 *는 "0" 이외의 수를 나타냄).
도 4e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는 발호처 지정정보에서 처음 3자리를 구성하는 "0**" 정보에 해당한다(참조부호 *는 "0" 이외의 수를 나타냄).
도 4f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해외통화를 지시하는 해외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해외통화를 지시하는 해외 지정정보는 발호처 지정정보에서 처음 4자리를 구성하는 "00XX" 정보에 해당한다(참조부호 X는 임의의 수를 나타냄).
도 4g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단말 장치가 해외통화를 지시하고 국가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국가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국의 번호는 '1'이고 러시아의 번호는 '7'이다.
도 4h에는, 발호처 지정정보가 PBX를 통해 외선으로의 발호를 지시하는 내선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IP망을 통해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 이외의 경우는, 내선망(PBX)을 통해 내선(internal line)으로 발호하여 내선통화로 발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발호측이 통신 단말 장치를 PBX를 통해 외선(즉, 공중망)에 접속하는 경우 입력되는 내선 지정정보는 프리픽스(prefix) 번호(본 실시예에서는 "0")에 해당한다.
상술한 각종 선택망 설정정보는 장치 관리자 또는 보수 엔지니어에 의해 미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다.
다음, 발호시 도 3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시스템 제어부(18)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망 판별 제어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시스템 제어부(18)가 수행하는 발호망 판별 제어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먼저, 통신 단말 장치(10)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를 사용하여 통신 단말 장치로 발호하는 발호조작으로서 다른 종단에 있는통신 단말 장치의 다이얼 번호(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는 개시 버튼(송신 개시 버튼)을 누른다.
통신 단말 장치(10)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조작/표시부(12)를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발호조작에 의해 송신 개시 명령이 내려졌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단계 S501).
여기서, 송신 개시 명령이 내려진 경우(단계 S501에서 YES가 선택된 경우), 송신 개시 명령과 함께 입력되는 다이얼 번호(발호처 지정정보)를 획득하고(단계 S502), 이를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로 넘긴다.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획득한 다이얼 번호를 분석한다(단계 S503). 분석작업을 통해, 예를 들면, 입력된 다이얼 번호가 IP망(40)을 통한 발호를 지시하는 특정정보인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통화 정보인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통화 정보인지, 해외통화를 지시하는 해외통화 정보인지, 해외통화를 지시하고 국가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발호처 지정정보인지, 혹은 내선통화를 지시하는 내선통화 지정정보인지 등의 결과를 판별한다.
다음, 발호망 판별부(183)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를 참조하여(도 4 참조),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한다(단계 S504).
여기서, 발호처 지정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가 IP망(40)에 접속되었음을 나타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를 참조하여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에 따라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c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에 따라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에 따라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e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에 따라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발호처 지정정보가 해외통화를 지시하는 해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f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에 따라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발호처 지정정보가 해외통화를 지시하고 국가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도 4g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에 따라 국가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도 4h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선택망 설정정보가 기억되는 경우, 그리고 발호처 지정정보가 내선을 통한 외선으로의 발호를 지시하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IP망(40)을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그 이외의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내선망에 제공되는 PBX를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이어서, 시스템 제어부(18)는 발호망 판별부(183)가 제공하는 판별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제어부에 발호를 지시하고(단계 S505), 발호 명령을 수신한 네트워크 제어부는 대응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발호한다(단계 S506).
구체적으로, IP망(4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된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개시를 지시하여 IP망 제어부(21)가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하게 한다.
공중전화망(5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된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를 지시한다; 즉, G3 프로토콜의 경우 PSTN 또는 ISDN으로 발호한다. G4 프로코콜의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ISDN을 통한 발호를 개시한다.
다음,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망 판별 제어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계속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의 경우, 예컨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입력하고 개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발호 조작을 행하는 경우, 상기 다이얼 번호의 처음 3자리가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에 의해 분석된다.
여기서, 처음 3자리가 "050"으로 시작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처음 3자리가 "050"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a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이 판별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함으로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의 경우,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의 처음 3자리를 분석한다.
여기서, 첫째 자리가 "0"이 아닌 숫자인 경우; 즉, 처음 3자리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XX"에 대응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처음 3자리가 "*XX"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b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한 선택망 정보(도 4b 참조)에 의해, 발호망 판별부(183)는 예컨대 "*XX=323"인 경우 IP망(40)을 통한 발호가, 그리고 "*XX=345"인 경우 공중망(50)을 통한 발호가 결정된다.
IP망(4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함으로써,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공중망(5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고 G3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PSTN 또는 ISDN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를 지시한다. G4 프로코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ISDN을 통한 발호를 개시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에는, 도 4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의 처음 3자리를 분석한다.
여기서, 첫째 자리가 "0"이 아닌 숫자인 경우; 즉, 처음 3자리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XX"에 대응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처음 3자리가 "*XX"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c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공중전화망(5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고 G3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PSTN 또는 ISDN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를 지시한다. G4 프로코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ISDN을 통한 발호를 개시한다.
도 6은 제 1 내지 제 3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A, 10B)는 각각 IP망(40) 및 공중망(50)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C)는 단지 공중망(50)에만 접속되어 있다.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는 IP망(40)과 공중망(50)간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10A)가 제 1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처음 3자리의 다이얼 번호로 "050" (050-XXXX-XXXX)이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될 때, IP망을 통해 발호된다. 따라서, IP망(40)을 경유하여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A))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B)간에 통신 루트(RT11)가 확립된다.
이 경우에, 발호측은 SIP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을 제어하고; 넷 프린터(Net Printer)가 접속포트로 사용되고; T.38이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통신 루트(RT11)는 IP망(40)으로만 경유한다. 예컨대, 상시 접속의 경우, 고정 요금이 청구된다. 매번 통신에 기초하여 청구되는 추가 요금이 요구되지 않는다(즉, 통신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B)가 제 2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처음 3자리의 다이얼 번호로 "*XX"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된다. 이때, "*XX"에 응답하여 IP망(40)으로 발호되는 경우(즉, IP망을 통해 지역 코드가 다이얼되는 경우),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B))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C)간에 IP망(40), 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 및 공중망(50)을 경유하는 통신 루트(RT12)가 확립된다.
이 경우에, 발호측은 SIP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을 제어하고; 넷 프린터가 접속포트로 사용되고; T.38이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통신 루트(RT12)는 IP망(40)에서 공중망(50)을 경유한다. 통신 요금은 시내통화 요금에 부가 요금을 추가한 것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B)가 제 2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처음 3자리의 다이얼 번호로 "*XX"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된다. 이때, "*XX"에 응답하여 공중망(50)을 통해 발호되는 경우(즉, 공중망을 통해 지역 코드가 다이얼되는 경우),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B))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C)간에 공중망(50)을 경유하는 통신 루트(RT13)가 확립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B)가 제 2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처음 3자리의 다이얼 번호로 "*XX"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된다. 이때, 공중망(50)을 통해 발호되는 경우(즉, 공중망을 통해 지역 코드가 다이얼되는 경우),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B))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C)간에 공중망(50)을 경유하는 통신 루트(RT14)가 확립된다.
이 경우(지역 코드가 상기 통신 루트 (RT13, RT14)를 이용하여 공중망을 통해 다이얼되는 경우), 발호측은 다이얼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을 제어하고; 전화선이 접속포트로 사용되며; T.30이 프로토콜로 사용된다(G4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 루트(RT13, RT14)는 단지 공중망을 경유한다. 통신요금은 단지 시내통화 요금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내통화의 계약이 고정요금으로 조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경유한 발호에 대해 청구되는 요금에 비해 통화요금이 더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관리자 또는 보수 엔지니어는 통신 루트 RT13에 의해 부과되는 통신요금과 통신 루트 RT12에 의해 부과되는 통신요금을 주의깊이 검토하여 미리 요금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의 경우, 도 4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의 처음 3자리를 분석한다.
여기서, 첫째 자리가 "0"이고 둘째와 셋째 자리가 "0"이 아닌 숫자인 경우; 즉, 처음 3자리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0**"에 대응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처음 3자리가 "0**"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d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한 선택망 정보(도 4d 참조)에 의해, 예컨대 "0**=045"인 경우 IP망(40)을 통한 발호가 결정된다. "0**=011"인 경우 공중망(50)을 통한 발호가 결정된다.
IP망(4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하고, IP망 제어부(21)는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공중전화망(5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고 G3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PSTN 또는 ISDN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를 지시한다. G4 프로코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ISDN을 통한 발호를 개시한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에는, 도 4e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의 처음 3자리를 분석한다.
여기서, 첫째 자리가 "0"이고 둘째와 셋째 자리가 "0"이 아닌 숫자인 경우; 즉, 처음 3자리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0**"에 대응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처음 3자리가 "0**"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e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상기 판별과 일치하게,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하고,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도 7은 제 4 및 제 5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D)는 IP망(40)과 공중망(50)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E)는 단지 공중망(50)에만 접속되어 있다.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는 IP망(40)과 공중망(50)간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10D)가 제 4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처음 3자리가 "0**"인 다이얼 번호가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0**"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발호할 때(즉, IP망을 통해 시외 통화가 발호되는 경우), IP망(40), 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 및 공중망(50)을 경유하여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D))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E)간에 통신 루트(RT21)가 확립된다.
이 경우에, 발호측은 SIP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을 제어하고; 넷 프린터가 접속포트로 사용되고; T.38이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통신 루트(RT21)는 IP망(40)과 공중망(50)을 경유한다. IP망(40)을 통한 통신 요금은 청구되지 않는다(상시 접속에 대한 고정 요금이 청구되고 매번 통신에 대해 추가 요금이 청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총 통신 요금은 시내 통화 요금에 추가 요금을 추가한 것으로 구성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D)가 제 5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경우, 처음 3자리의 다이얼 번호로 "0**"이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되고 IP망(40)을 통해 발호되는 경우(즉, IP망을 통해 시외 통화가 다이얼되는 경우),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D))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E)간에 IP망(40), 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 및 공중망(50)을 경유하는 통신 루트(RT23)가 확립된다.
이 경우에, 발호측은 SIP 신호를 이용하여 접속을 제어하고; 넷 프린터가 접속포트로 사용되고; T.38이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통신 루트(RT23)를 경유하여 확립되는 네트워크는 통신 루트(RT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P망(40)및 공중망(50)에 의해 구현된다. 통신 요금은 시내통화 요금에 부가 요금을 추가한 것으로 구성된다.
시내통화의 계약에 따라,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를 경유한 발호에 의해 청구되는 요금에 비해 통화요금이 더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관리자 또는 보수 엔지니어는 통신 루트 RT21에 의해 부과되는 통신요금과 통신 루트 RT22에 의해 부과되는 통신요금을 주의깊이 검토하여 미리 요금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의 경우, 도 4f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다이얼 번호가 해외 통화(즉, 국제 통화)(예컨대, 처음 4자리가"00XX"인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처음 4자리가 "00XX"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f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한 선택망 정보(도 4f 참조)에 의해, 예컨대 "00XX=0011"인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IP망(40)을 통한 발호를 결정한다. "00XX=0022"인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공중망(50)을 통한 발호를 결정한다.
IP망(4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하고,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공중전화망(5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고 G3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PSTN 또는 ISDN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를 지시한다. G4 프로코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ISDN을 통한 발호를 개시한다.
제 6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모든 국제 통화가 공중망(50)을 통해 송신(발호)되도록 선택망 설정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제 7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의 경우, 도 4g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를 분석한다.
여기서, 다이얼 번호가 해외 통화(즉, 국제 통화)이고 국가 지정번호를 포함하는 경우(예컨대, 다이얼 번호 00XX+"1"+123+456+7890을 입력하는 경우 번호 "1"), 발호망 판별부(183)는 그 국가 지정정보를 조건으로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g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혹은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정한 선택망 정보(도 4g 참조)에 의해, 예컨대 국가 지정정보가 "1"(미국)"인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IP망(40)을 통한 발호를 판별한다. 국가 지정정보가 "7"(러시아)인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공중망(50)을 통한 발호를 판별한다.
IP망(4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면,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하고,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된다.
공중전화망(50)을 통한 발호가 판별되고 G3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PSTN 또는 ISDN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발호를 지시한다. G4 프로코콜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18)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ISDN을 통한 발호를 개시한다.
제 7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IP망으로부터 발호할 수 있는 국가번호의 리스트및 공중망(50)으로부터 발호할 수 있는 국가번호의 리스트를 선택망 설정정보로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 및 입력 다이얼 번호를 참조하여, 발호가 되는 네트워크에 대한 판별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치 관리자, 보수 엔지니어 등이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상기 리스트를 입력하거나 설정한다.
도 8은 제 6 및 제 7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F)는 IP망(40)과 공중망(50)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G)는 단지 해외 공중망(60)에만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 단말 장치(10H)는 또 다른 해외 공중망(61)에만 접속되어 있다.
IP망(40)과 해외 공중망(60)간에는 현지의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중망(50)은 위성통신 또는 해저 케이블에 의해 해외 공중망(60, 61)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10F)가 제 6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경우, 국제 통화를 지시하는 "00XX"를 포함하는 다이얼 번호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국가 지정번호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발호할 때, IP망(40), 현지 IP망, 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 및 해외 공중망(60)을 경유하는 동안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F))과 통신 단말 장치(10G)간에 통신 루트(RT31)가 확립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F)가 제 6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경우, 국제 통화를 지시하는 "00XX"를 포함하는 다이얼 번호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00XX"에 대한 응답으로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때, 공중망(50) 및 해외 공중망(60)을 경유하는 동안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F))과 통신 단말 장치(10G)간에 통신 루트(RT32)가 확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에서는 IP망(40)으로부터 현지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경유하여 호를 전송하는 통신 루트(RT31) 및 공중망(50)으로부터 호를 전송하는 통신 루트(RT32)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6 실시예는 해외 IP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IP망으로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 유효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F)가 제 7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경우, 국제 통화를 지시하는 "00XX"를 포함하는 다이얼 번호 및 국가 지정번호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국가 지정번호에 대한 응답으로 IP망(40)을 통해 발호할 때, IP망(40), 현지 IP망, 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 및 해외 공중망(60)을 경유하는 동안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F))과 통신 단말 장치(10G)간에 통신 루트(RT33)가 확립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F)가 제 7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국제 통화를 지시하는 "00XX"를 포함하는 다이얼 번호가 발호 조작을 통해 입력되고, 상기 국가 지정번호에 대한 응답으로 공중망(50)을 통해 발호할 때, 공중망(50) 및 해외 공중망(61)을 경유하는 동안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F))과 통신 단말 장치(10H)간에 통신 루트(RT34)가 확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에서, 호는 IP망(40)으로부터 현지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경유하여 현지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에 전송된다(즉, 통신 루트(RT33)). 호는 공중망(50)을 경유하여 현지 게이트웨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국가에 전송된다(즉, 통신 루트(RT34)).
따라서, 제 7 실시예는 제한된 해외 IP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에만 IP망으로 접속이 확립되는 경우 유효하게 된다.
제 8 실시예:
제 8 실시예는 공중망을 통한 발호시 다이얼 번호의 선두에 프리픽스 번호 (본 실시예에서는 "0")를 추가하여 발호하는 PBX(구내교환기)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10)를 전제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단말 장치가 예컨대 도 9(추후 상세히 기술함)에 나타낸 네트워크에서, 내선망(70)에 제공되는 PBX(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10I)와 같이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가정한 본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있어서, 장치 관리자 또는 보수 엔지니어는 미리 접속 회선을 PBX로 설정하고 내선망(70)(즉, 프리픽스 번호)을 경유하여 외선으로 발호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정보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상기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프리픽스 번호로 "0"이 등록되는 경우, 사용자는 다이얼 번호의 선두에 "0"을 추가하는 동안 회선의 다른 종단에 있는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다이얼함으로써 PBX를 경유하여 외선에 발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통신 단말 장치(10I)로부터 발호하는 경우, 프리픽스번호(통신 단말 장치(10I)가 발호한 경우 입력되는)에 의해 내선망(70)과 공중망(50)간에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통신 루트(RT40)를 확립하여 통신을 행하게 된다.
다이얼 번호의 선두에 "0"을 추가하지 않고 내선 번호만을 다이얼하여 내선망(70)으로 발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과 그에 대응하는 발호 조건을 전제로 하여, IP망(40)으로부터 통신 단말 장치에 발호를 시도하는 경우, 본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는 PBX를 경유하여 외선(즉, 공중망(50))으로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픽스 번호를 제거하면서 IP망(40)을 통해 발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의 발호망 선택 제어 동작의 하나의 예를 기술한다.
본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도 4h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적어도 선택망 설정정보가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에서, 사용자가 조작/표시부(12)의 10키 숫자 패드(단축 번호가 사용되어도 좋다)를 사용하여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에 지정된 다이얼 번호를 입력한다. 다음, 사용자가 발호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즉, 개시 버튼을 누른 경우, 시스템 제어부(18)의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는 상기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된 상기 다이얼 번호의 첫째 자리를 분석한다.
여기서, 첫째 자리가 "0"인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첫째 자리가 "0"인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h 참조)를 참조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할 것을 판별한다.
상기 판별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18)는 IP망 제어부(21)에 발호 개시를 지시하고, SIP 호 제어부(22)를 이용하여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18)는 공중망을 통한 발호시 추가되는 프리픽스 번호로 입력 다이얼 번호의 선두에 제공된 첫째 자리 "0"을 판별하고 상기 번호를 프리픽스 번호 "0"을 제거하여 IP망 제어부(21)에 전달함으로, IP망 제어부(21)가 나머지 다이얼 번호를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발호하게 한다.
예를 들면, 다이얼 번호 "0-03-3456-1234"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다이얼 번호의 선두에 제공된 "0"를 제거하고 번호 "03-3456-1234"를 이용하여 IP망을 통해 발호한다.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181)가 첫째 자리가 "0"이 아닌 숫자로 판별하는 경우, 발호망 판별부(183)는 선두의 첫째 자리가 "0"이 아닌 숫자의 경우에 대응하여 선택망 설정정보 기억부(185)에 기억된 선택망 설정정보(도 4h 참조)를 참조하여, 전화가 내선으로부터 발호하였음을 판별하고 내선망(70)에 제공된 PBX가 발호하게 한다.
상기 판별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18)는 PSTN 호/네트워크 제어부(24) 또는 ISDN 호/네트워크 제어부(26)에 지시하여 내선망(70)에 제공된 PBX를 통해 발호하게 한다.
도 9는 제 8 실시예에 의한 통신 단말 장치(1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I)는 IP망(40)과 내선망(70)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 장치(10J)는 IP망(40)과 공중망(50)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10K)는 단지 공중망(50)에만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 단말 장치(10L)는 단지 내선망(70)에만 접속되어 있다.
IP망(40)과 공중망(50)간에는 IP망-공중망 교환 게이트웨이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중망과 내선망(70)은 통신 케이블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10I)가 제 8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첫째 자리가 "0"인 다이얼 번호가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될 때(즉, 다이얼 번호가 내선망을 통한 통신이 아닌 경우), 다이얼 번호의 선두에 제공되는 수(즉, "0" = 프리픽스 번호)를 제거함으로써 IP망(40)을 통해 발호한다. IP망(40), IP망-공중망 게이트웨이 서비스 및 공중망(50)을 경유하면서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I))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K)간에 통신 루트(RT41)가 확립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10I)가 제 8 실시예의 통신 단말 장치(10)에 대응하는 경우, 첫째 자리가 "0"이 아닌 다이얼 번호가 발호 조작에 의해 입력될 때(즉, 다이얼 번호가 내선망 내의 통신을 지시하는 경우), 내선망(70) 내에 제공되는 PBX로 발호한다. 내선망(70)을 경유하여 발호측(즉, 통신 단말 장치(10I))과 다른 종단에 있는 통신 단말 장치(10L)간에 통신 루트(RT42)가 확립된다.
이와 같이, 내선망 내의 발호가 의도된 경우, 제 8 실시예의 통신 단말장치(10)는 IP망(40)을 경유한 발호를 방지한다(통신 루트(RT42 참조)). 내선망 내의 발호가 아닌 경우, IP망(40)으로부터 발호한다. 이때, 내선망(70)으로부터 공중망(50)과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픽스 번호(즉, 본 실시예에서 "0")는 제거된다.
이와 같은 제어 동작에 의해, PBX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픽스는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IP망(40)을 통해 발호시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다이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는 팩시밀리 장치가 통신 단말 장치로 언급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IP망과 공중전화망에 접속되는 일반 전화뿐 아니라 SIP를 이용한 호 제어 절차를 가진 통신 단말 장치 전반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에 대한 판별을 미리 기억시킨다. 발호시 발호처 지정정보가 분석되고, 기억된 정보를 참조한 분석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에 대하여 자동으로 판별한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는 발호 상대의 적절한 네트워크 선택을 의식하지 않고 IP망과 공중전화망 간에 적절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IP망과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발호함으로, 부적절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발호함으로써 초래되는 통신비용의 증가 및 통신에러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Claims (22)

  1. 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부에 의해 입력된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적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IP망을 통해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통신 단말 장치가 IP망에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상기 IP망을 통해 발호될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공중전화망으로 발호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으로 발호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해외통화를 지시하는 해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해외통화를 지시하고 국가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국가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9. IP망 및 구내교환기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상기 구내교환기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구내교환기를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IP망을 통해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판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내선을 경유하여 외선으로의 발호를 지시하는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P망을 통해 발호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선 접속부는 발호처 지정정보로부터 구내교환기를 경유하여 외선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픽스(prefix) 정보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IP망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12. IP망 및 공중전화망에 접속되고,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 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및 상기 공중전화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IP망을 통해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통신 단말 장치가 IP망에 접속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P망을 통해 발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 정보를 참조하여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정보를 참조하여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내통화를 지시하는 시내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시외통화를 지시하는 시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발호할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해외통화를 지시하는 해외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 정보를 참조하여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해외통화를 지시하고 국가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억부는 상기 국가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상기 기억 정보를 참조하여 IP망을 통해 혹은 공중전화망을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20. IP망 및 구내교환기에 접속되고, 발호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발호처 지정정보를 입력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발호처 지정정보를 분석하는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 상기 IP망과 접속하기 위한 제 1 회선 접속부, 및 상기 구내교환기와 접속하기 위한 제 2 회선 접속부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IP망을 통해 혹은 구내교환기를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행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발호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는 발호처 지정정보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IP망을 통해 또는 구내교환기를 통해 발호할 것인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가 내선을 경유하여 외선으로의 발호를 지시하는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발호처 지정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IP망으로 발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선 접속부는 발호처 지정정보로부터 구내교환기를 경유하여 외선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리픽스 정보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IP망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30012260A 2002-09-19 2003-02-27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573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3950A JP4131154B2 (ja) 2002-09-19 2002-09-19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2-00273950 2002-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525A true KR20040025525A (ko) 2004-03-24
KR100573263B1 KR100573263B1 (ko) 2006-04-24

Family

ID=31986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260A KR100573263B1 (ko) 2002-09-19 2003-02-27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27097B2 (ko)
JP (1) JP4131154B2 (ko)
KR (1) KR100573263B1 (ko)
CN (1) CN10045678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5667B1 (en) * 1998-03-04 2007-11-13 At&T Corp. Tele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method
WO2004034657A1 (ja) * 2002-10-10 2004-04-22 Canon Kabushiki Kaish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6975717B1 (en) * 2003-03-13 2005-12-13 Vulcan Research LLC Selective processing of calls using alternative network telephony
JP3983708B2 (ja) * 2003-04-22 2007-09-26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JP4495500B2 (ja) * 2004-03-30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p電話機及びip電話通話方法
JP2006157156A (ja) * 2004-11-25 2006-06-15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EP1672899B1 (en) * 2004-12-16 2010-09-29 Swisscom AG A method for deciding the network over which a communication should be routed
TW200743385A (en) 2006-05-05 2007-11-16 Amtran Technology Co Ltd Method of audio-visual communication using television and television using the same
US7873743B2 (en) * 2005-12-05 2011-01-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apparatus with router device for managing connections
JP4551866B2 (ja) * 2005-12-07 2010-09-29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制御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322905B2 (ja) * 2006-09-25 2009-09-02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US20100029257A1 (en) * 2006-09-27 2010-02-04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9191989B2 (en) * 2006-12-19 2015-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vity of a computer device with a computer network
US20090296691A1 (en) * 2007-01-08 2009-12-03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making telephone apparatus operative with multiple networks
BRPI0720668A2 (pt) * 2007-01-08 2014-01-28 Thomson Licensing Método para fazer chamadas telefônicas com um aparelho telefônico operativo em múltiplas redes
JP4739248B2 (ja) * 2007-02-08 2011-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GB0713784D0 (en) * 2007-07-16 2007-08-22 Cellfire Security Technologies Communication system trigger
TW200937955A (en) * 2008-02-22 2009-09-01 Sampo Corp Network monitoring system with common storage medium and method thereof
US8281369B2 (en) * 2008-03-12 2012-10-02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secure write-enabled web pages that are associated with active telephone calls
US9525710B2 (en) * 2009-01-29 2016-12-20 Avaya Gmbh & Co., Kg Seamless switch over from centralized to decentralized media streaming
US8879464B2 (en) 2009-01-29 2014-11-04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placement packet
US8238335B2 (en) 2009-02-13 2012-08-07 Avaya Inc. Multi-route transmission of packets within a network
US7936746B2 (en) * 2009-03-18 2011-05-03 Avaya Inc.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coordination across heterogeneous transport networks
US20100265834A1 (en) * 2009-04-17 2010-10-21 Avaya Inc. Variable latency jitter buffer based upon conversational dynamics
US8094556B2 (en) * 2009-04-27 2012-01-10 Avaya Inc. Dynamic buffering and synchronization of related media streams in packet networks
US8553849B2 (en) 2009-06-17 2013-10-08 Avaya Inc. Personal identification and interactive device for internet-based text and video communication services
US8800049B2 (en) * 2009-08-26 2014-08-05 Avaya Inc. Licensing and certificate distribution via secondary or divided signaling communication pathway
CN102130985A (zh) * 2010-01-13 2011-07-20 宏正自动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电话机功能的精简型计算机
CN102075649B (zh) * 2010-12-02 2016-05-18 大连天亿软件有限公司 一种voip的即时呼叫方法
US8917720B2 (en) * 2011-01-31 2014-12-23 Avay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nventional enterprise communication systems into an IP multimedia subsystem-based services environment
JP6362386B2 (ja) 2014-04-08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213244A (ja) 2014-05-02 2015-11-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123023A (ja) * 2014-12-25 2016-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545161A (en) * 2015-11-05 2017-06-14 Voneus Ltd VOIP hardware and software
FR3050352B1 (fr) * 2016-04-19 2019-05-03 Onoff Telecom Procede de gestion de la reception d'un appel telephonique sur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appel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3890A (en) * 1988-12-30 1991-12-17 At&T Bell Laboratories Remote agent operation for automatic call distributors
JPH07170383A (ja) 1993-12-14 1995-07-04 Fuji Xerox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US5638428A (en) 1995-02-16 1997-06-10 Broadcast Holdings (Cdn) Ltd.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and control apparatus
US6243373B1 (en) * 1995-11-01 2001-06-05 Telecom Interne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computer network/internet telephone system
US6069890A (en) * 1996-06-26 2000-05-30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Internet telephone service
US7092379B1 (en) * 1996-10-30 2006-08-15 8×8, Inc. Internet telephony arrangement and method
JP3667070B2 (ja) 1996-12-26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JP3576731B2 (ja) 1996-12-26 2004-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
US6519247B1 (en) 1996-12-26 2003-02-11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ng method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 plurality of kinds of networks
US6026087A (en) * 1997-03-14 2000-02-15 Efu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voice call to a PSTN extension for a networked client computer
US5862202A (en) * 1997-04-10 1999-01-19 Information Medical Retrieval, Inc. Fax routing system and method using standard fax machine and personal computer
CA2286338A1 (en) * 1997-04-22 1998-10-29 Telcordia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et telephony routing
US6463298B1 (en) 1997-09-29 2002-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acquiring an alternate communication system upon failure of reverse link communications
US6700674B1 (en) 1997-11-27 2004-03-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985862B2 (ja) 1998-01-07 1999-1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対応ファクシミリ装置
US6065061A (en) 1997-12-16 2000-05-16 Lucent Technologies Inc. Internet protocol based network architecture for cable television access with switched fallback
US6278707B1 (en) * 1998-01-07 2001-08-2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Platform for coupling a circuit-switched network to a data network
US6985478B2 (en) * 1998-02-17 2006-01-10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Using XML expressed primitives for platform and system-independent call modeling
US6088437A (en) * 1998-04-23 2000-07-11 Touch Tone Technologies Inc. Call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6292553B1 (en) * 1998-05-20 2001-09-18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P network call delivery
US7515583B2 (en) * 1998-06-19 2009-04-0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figurable quality of service threshold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JP2000165578A (ja) 1998-11-30 2000-06-16 Canon Inc ファクシミリ装置
JP4157221B2 (ja) 1999-04-08 2008-10-0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036641A (ja) 1999-07-19 2001-02-09 Fujitsu Ltd インターネット又は公衆電話網を経由する呼接続方法及びその交換機
US6385179B1 (en) * 1999-11-24 2002-05-07 Motorola, Inc. Packet and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JP4306908B2 (ja) 2000-01-31 2009-08-05 株式会社 沖情報システムズ 電話機の発信制御装置
US6700956B2 (en) * 2000-03-02 2004-03-02 Actiontec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electively connecting a telephone to a telephone network or the internet and methods of use
JP4169900B2 (ja) 2000-04-05 2008-10-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ダプタ
JP3733375B2 (ja) 2000-06-29 2006-01-11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通信装置、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画像通信方法
US20020031115A1 (en) * 2000-09-11 2002-03-14 Petryna Brian J.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telephone call over a computer network
KR100395680B1 (ko) 2001-09-07 2003-08-27 주식회사 모비스 일반전화와 인터넷폰의 통화로 자동전환 방법
ES2300559T3 (es) * 2002-01-30 2008-06-16 Interstar Technologies Inc. Transmision de faxes por la red de paquetes.
JP4107028B2 (ja) 2002-09-19 2008-06-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3263B1 (ko) 2006-04-24
CN1484423A (zh) 2004-03-24
CN100456789C (zh) 2009-01-28
US7627097B2 (en) 2009-12-01
JP2004112515A (ja) 2004-04-08
US20040057568A1 (en) 2004-03-25
JP4131154B2 (ja)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3263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1473947B1 (en) Method and controller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on incoming calls
JP410702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215868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igital or analog subscriber line of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ion device
JP2003258998A (ja) テレホンアダプタ装置及び回線切り換え方法
JPH11164018A (ja) 発信者情報通知方法
JP4310644B2 (ja) Pbx内線電話機の履歴発信方式
JP4590302B2 (ja) VoIPゲートウエイ装置および呼中継方法
JP3937537B2 (ja) 通信端末装置
JP2911455B2 (ja) 電話装置
JPH05161172A (ja) 電話交換装置
JP4127263B2 (ja) VoIP電話交換システムおよびその課金制御方法
JP3293553B2 (ja) 通信端末装置
JP2005236917A (ja) Ip電話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ip電話発番号通知方法
JPH05145682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481933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設定変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JP2006332892A (ja) 発信者番号通知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装置
JPH07147608A (ja) 呼出し確認機能付交換機
JPH05227562A (ja) 電話交換装置
JPH0865391A (ja) 発呼者番号通知サービス機能を備えた交換装置
JPH11122361A (ja) 電子交換装置
JP2001045138A (ja) 電子交換機
JPH03256436A (ja) 加入者番号変換方式
JP200807881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を接続するボタン電話装置
JPH10327246A (ja) 公衆回線専用線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