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257A -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257A
KR20040023257A KR1020020054951A KR20020054951A KR20040023257A KR 20040023257 A KR20040023257 A KR 20040023257A KR 1020020054951 A KR1020020054951 A KR 1020020054951A KR 20020054951 A KR20020054951 A KR 20020054951A KR 20040023257 A KR20040023257 A KR 20040023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ulfur
positive electrode
sulfur battery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987B1 (ko
Inventor
정용주
김석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987B1/ko
Priority to US10/370,772 priority patent/US7303837B2/en
Priority to EP03004207A priority patent/EP1443585B1/en
Priority to DE60310674T priority patent/DE60310674T2/de
Priority to JP2003062292A priority patent/JP2004103548A/ja
Priority to CNB031205763A priority patent/CN1314146C/zh
Publication of KR2004002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6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orga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양극은 황 원소,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 도전재; 유기 바인더; 및 주사슬 또는 곁사슬에 아미노 나이트로젠기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바인더와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바인더의 결착력을 증가시키므로 양극 제조시 양극 활물질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고용량의 리튬-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극 활물질의 사용량이 증가되므로, 양극 합제당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COMPRISING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용량 전지를 제공할 수 있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휴대 전가기기의 발전으로 가볍고 고용량 전지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차 전지로 황계 물질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리튬-황 전지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황 전지는 황-황 결합(Sulfur-Sulfur bond)을 가지는 황 계열 화합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리튬과 같은 알카리 금속, 또는 리튬 이온 등과 같은 금속 이온의 삽입/탈삽입이 일어나는 탄소계 물질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이차 전지이다. 환원 반응시(방전시) S-S 결합이 끊어지면서 S의 산화수가 감소하고, 산화 반응시(충전시) S의 산화수가 증가하면서 S-S 결합이 다시 형성되는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 및 생성한다.
리튬-황 전지는 음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3830mAh/g이고,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S8)을 사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1675mAh/g으로,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는 전지중에서 에너지 밀도면에서 가장 유망한 전지이가. 또한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계 물질은 자체가 값싸고 환경친화적인 물질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직 리튬-황 전지 시스템으로 상용화에 성공한 예는 없는 실정이다. 리튬-황 전지가 상용화되지 못한 이유는 우선 황을 활물질로 사용하면 투입된 황의 양에 대한 전지 내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에 참여하는 황의 양을 나타내는 이용율이 낮아, 이론 용량과 달리 실제로는 극히 낮은 전지 용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산화환원 반응시에 황이 전해질로 유출되어 전지 수명이 열화되고, 적절한 전해액을 선택하지 못했을 경우 황의 환원 물질인 리튬 설파이드(Li2S)가 석출되어 더 이상 전기화학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리튬-황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은 부도체이므로 전기 화학 반응으로 생성된 전자의 이동을 위해서는 도전재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도전재로는 카본 블랙류나 금속 분말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양극 합제 구성물을 집전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바인더의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때 바인더가 가져야할 성질로는 소량의 첨가만으로 전극에 물리적 강도를 줄 수 있어서 고에너지 밀도의 양극 제조에 용이해야하며 전해액과의 반응성이 없어야 하며 전지 사용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리튬-황 전지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양극 극판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인 슬러리 조성물 제조시 사용되는 유기 용매에는 용해되고, 전해액에는 용해되지 않아야한다. 따라서 이러한 물성을 모두 만족하는 물질이 매우 적음에 따라 바인더로 사용하기 위한 물질의 선택의 폭이 너무 적은 문제가 있어 바인더의 주요 목적인 결착력의 우수 여부보다는 이러한 물성을 만족하는 물질만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상기 물성을 만족하여, 종래에 사용되는 바인더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들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는 전해액에 용해되는 바인더로서 결착력이 너무 약한 단점이 있고, 폴리비닐 피롤리돈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결착력을 나타내지 못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결착력이 약한 바인더를 사용함에 따라 양극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충분한 결착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과량의 바인더를 사용하여야 하고, 결과적으로 양극 합제 중 양극 활물질의 함량이 감소되어 용량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착력은 증가시켜주면서 리튬-황 전지 양극 합제에서 바인더의 양은 감소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양극을 사용하여 고용량을 나타내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 및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전지의 수명 10회 때의 방전곡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7 및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전지의 수명특성 비교
도 3은 본 발명의 리튬-황 전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 원소,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 도전재; 유기 바인더; 및 주사슬(main chain) 또는 곁사슬(side chain)에 아미노 나이트로젠기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양극;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리튬-황 전지의 양극에 첨가되는 첨가제로, 바인더와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바인더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폴리머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양극에 사용되는 유기 바인더와 물리화학적으로 결합(interaction)하여, 바인더의 결착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연결제(anchoring agent)로서의 역할을 하는 주사슬(main chain)이나 곁가지(side chain)에 아미노나이트로젠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상기 첨가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이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1차, 2차 및 3차 아미노 나이트로젠기를 갖는 고분자로서, 높은 양이온 밀도와 극성 폴리아민이다. 이 폴리에틸렌이민은 수용성 폴리머이며 반응성이 매우 높은 고분자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수용성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폴리에틸렌이민은 20,000 내지 15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 보다 작거나 15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기 위한 적절한 점도를 갖는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는 일반적으로 나노 사이즈 크기로서, 일반적으로 리튬-황 전지에서 사용되는 바인더로는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를 거의 접착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첨가제를 더욱 첨가함에 따라 양극 활물질과 도전재를 접착시킬 수 있어 극판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첨가제가 유기 바인더와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전해액에 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얻어지는 전지의 사이클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를 사용한 본 발명의 양극은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바인더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황 원소(elemental sulfur, S8),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황계 화합물로는 Li2Sn(n ≥1), 캐솔라이트(catholyte)에 용해된 Li2Sn(n ≥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 x=2.5 내지 50, n ≥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상기 도전재는 전자가 양극판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지 전도성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재로는 특히 한정하지 않으나, 흑연계 물질, 카본계 물질 등과 같은 전도성 물질 또는 전도성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흑연계 물질로는 KS 6(Timcal사 제품)가 있고 카본계 물질로는 수퍼 P(MMM사 제품), 케첸 블랙(Ketjen black), 덴카 블랙(denca black), 아세틸렌 블랙, 카본 블랙 등이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폴리티롤 등이 있다. 이들 전도성 도전재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상품명: Kynar),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아크릴릭 엑시드,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코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내에서, 아민계 폴리머인 첨가제의 함량은 바인더 100 중량부 당5 내지 5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바인더의 결착력을 증가시켜주는 첨가제를 사용함에 따라 양극 제조시 사용되는 합제(active mass,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의 혼합물) 고형분 중 바인더의 비율을 20%에서 7%까지 감소시키고, 합제 고형분 중 양극 활물질의 비율은 60%에서 85%까지 증가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전지의 용량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결착력이 다소 떨어지고 활물질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활물질 조성물의 점도가 떨어져 코팅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합제에서 차지하는 함량이 높아져서 전지의 합제중량 당 용량을 높이는데 장애가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양극은 전이 금속, IIIA족, IVA족 금속,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 금속을 포함하는 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Ta, W, Re, Os, Ir, Pt, Au 및 H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IIA족 금속은 Al, Ga, In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VA족 금속은 Si, Ge, Sn 및 P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양극은 우수한 황 이용율과 평균 전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양극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매에 바인더를 용해시켜 바인더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매로는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 및 첨가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쉽게 증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는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 이소프로필알콜, 디메틸 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액에 상기 유기 바인더에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바인더의 결착력을 증가시키는 폴리머 첨가제를 첨가한 후 1일 이상 적당한 반응이 일어날 때까지 반응시켜 첨가제와 바인더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바인더액에 도전재와 양극 활물질을 첨가하고, 12시간 이상 적절하게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양극 활물질 조성물은 코팅 공정에 적당한 점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집전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 극판을 형성한다.
상기 집전체로는 특히 제한하지 않으나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구리, 티타늄 등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본-코팅된 알루미늄 집전체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가 코팅된 알루미늄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탄소가 코팅되지 않은 것에 비해 활물질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촉 저항이 낮으며, 알루미늄의 폴리설파이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양극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리튬-황 전지(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11), 음극(12) 및 상기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위치한 세퍼레이터(13)를 포함하는 전지 캔(14)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전해액이 위치한다.
상기 음극(12)은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 또는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로는 탄소 물질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산화 주석(SnO2), 티타늄 나이트레이트, 실리콘(Si)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튬 합금으로는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Ba, Ra, Al 및 S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리튬 금속 표면에 무기질 보호막(protective layer), 유기질 보호막 또는 이들이 적층된 물질도 음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보호막으로는 Mg, Al, B, C, Sn, Pb, Cd, Si, In, Ga, 리튬 실리케이트, 리튬 보레이트, 리튬 포스페이트, 리튬 포스포르나이트라이드, 리튬 실리코설파이드, 리튬 보로설파이드, 리튬 알루미노설파이드 및 리튬 포스포설파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질 보호막으로는 폴리(p-페닐렌), 폴리아세틸렌, 폴리(p-페닐렌 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2,5-에틸렌 비닐렌), 아세틸렌, 폴리(페리나프탈렌), 폴리아센, 및 폴리(나프탈렌-2,6-디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도전성을 가지는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튬-황 전지를 충방전하는 과정에서,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황이 비활성 물질로 변화되어, 리튬 음극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활성 황(inactive sulfur)은 황이 여러 가지 전기화학적 또는 화학적 반응을 거쳐 양극의 전기화학 반응에 더이상 참여할 수 없는 상태의 황을 말하며, 리튬 음극 표면에 형성된 비활성 황은 리튬 음극의 보호막(protective layer)으로서 역할을 하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리튬 금속과 이 리튬 금속 위에 형성된 비활성 황, 예를 들어 리튬 설파이드를 음극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전해염과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단일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고 2이상의 혼합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2이상의 혼합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약한 극성 용매 그룹, 강한 극성 용매 그룹, 및 리튬 메탈 보호용매 그룹 중 두 개 이상의 그룹에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한 극성용매는 아릴 화합물, 바이사이클릭 에테르, 비환형 카보네이트 중에서 황 원소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5보다 작은 용매로 정의되고, 강한 극성 용매는 비사이클릭 카보네이트, 설폭사이드 화합물, 락톤 화합물, 케톤 화합물, 에스테르 화합물, 설페이트 화합물, 설파이트 화합물 중에서 리튬 폴리설파이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유전 상수가 15보다 큰 용매로 정의되며, 리튬 보호 용매는 포화된 에테르 화합물, 불포화된 에테르 화합물, N, O, S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같은 리튬금속에 안정한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 필름을 형성하는 충방전 사이클 효율(cycle efficiency)이 50% 이상인 용매로 정의된다.
약한 극성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자일렌(xylene),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톨루엔,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글라임, 테트라글라임 등이 있다.
강한 극성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헥사메틸 포스포릭 트리아마이드(hexamethyl phosphoric triamide), 감마-부티로락톤, 아세토니트릴,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N-메틸피롤리돈, 3-메틸-2-옥사졸리돈,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설포란,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 설페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메틸 설파이트, 또는 에틸렌 글리콜 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리튬 보호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에틸렌 옥사이드, 디옥솔란, 3,5-디메틸 이속사졸, 2,5-디메틸 퓨란, 퓨란, 2-메틸 퓨란, 1,4-옥산, 4-메틸디옥솔란 등이 있다.
상기 전해염인 리튬염으로는 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lithium trifluoromethansulfonimide), 리튬 트리플레이트(lithium triflate), 리튬 퍼클로레이트(lithium perclorate), LiPF6, LiBF4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예를 들어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TBABF4), 또는 상온에서 액상인 염, 예를 들어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퍼플루오로에틸 설포닐) 이미드(EMIBeti)와 같은 이미다졸리움 염 등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믹싱 용기에 이소프로필알콜 유기 용매 80g을 넣고, 이 용매에 폴리비닐 피롤리돈 바인더 1.0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이 바인더액에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첨가제 0.05g을 첨가하고 1일 이상 혼합하여 혼합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 바인더액에 탄소 블랙 도전재 2g 및 원소 황(S8) 양극 활물질 16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리튬-황 전지용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탄소-코팅된 Al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고, 코팅된 집전체를 상온, 대기 중에서 10시간 건조하여 양극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양극판의 로딩 레벨(loading level)은 2mAh/㎠였다.
제조된 양극판, 리튬 음극 및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황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1M LiN(CF3SO2)2가 용해된 디옥솔란, 디메톡시에탄, 디글라임 (2/4/4 부피비) 혼합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0.1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0.2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0.4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믹싱 용기에 이소프로필알콜 유기 용매 80g을 넣고, 이 용매에 폴리비닐 피롤리돈 바인더 1.5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이 바인더액에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첨가제 0.075g을 첨가하고 1일 이상 믹싱하여 혼합 바인더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0.15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0.30g을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믹싱 용기에 이소프로필알콜 유기 용매 80g을 넣고, 이 용매에 폴리비닐 피롤리돈 바인더 1.0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이 바인더액에 탄소블랙도전재 2g 및 원소 황(S8) 양극 활물질 16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리튬-황 전지용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탄소-코팅된 Al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고, 코팅된 집전체를 상온, 대기 중에서 10시간 건조하여 양극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양극판, 리튬 음극 및 전해액을 사용하여 리튬-황 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1M LiN(CF3SO2)2가 용해된 디옥솔란, 디메톡시에탄, 디글라임 (2/4/4 부피비) 혼합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믹싱 용기에 이소프로필알콜 유기 용매 80g을 넣고, 이 용매에 폴리비닐 피롤리돈 바인더 2.0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이 바인더액에 탄소블랙 도전재 2g 및 원소 황(S8) 양극 활물질 16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리튬-황 전지용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 슬러리를 사용하여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리튬-황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믹싱 용기에 물 100g을 넣고, 여기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바인더 1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첨가제 0.05g을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은 콜로이드 용액으로 바인더액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으며, 점도가 거의 없었다.
얻어진 생성물에 탄소 블랙 도전재 2g 및 원소 황(S8) 양극 활물질 16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켰으나, 이 혼합물도 점도가 거의 없었다. 이 혼합물을 탄소-코팅된 Al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여 양극판을 제조하여 결착력을 확인한 결과 결착력이 매우 약하여 합제층이 완전히 분리되었다.
(비교예 4)
믹싱 용기에 물 100g을 넣고, 여기에 폴리비닐알콜 바인더 1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첨가제 0.05g을 첨가하여 믹싱한 결과 콜로이드 용액이 형성되어 바인더액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으며, 점도가 거의 없었다.
(비교예 5)
믹싱 용기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유기 용매 100g을 넣고, 여기에 폴리비닐아세트아마이드 바인더 1g을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사 P-1050) 첨가제 0.05g을 첨가하여 믹싱한 결과 콜로이드 용액이 형성되어 바인더액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비교예 6)
믹싱 용기에 이소프로필알콜 유기 용매 80g을 넣고, 바인더로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 2.0g을 상기 용매에 용해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하였다. 이 바인더액에 탄소블랙 도전재 2g 및 원소 황(S8) 양극 활물질 16g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리튬-황 전지용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슬러리는 점도가 매우 낮았으며, 이 슬러리를 탄소-코팅된 Al- 전류 집전체에 코팅하여 양극을 제조한 결과, 집전체에 대한 합제층의 결착력도 매우 나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전지를 다음과 같은 충방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평가하였다. 전지 화성(formation)에 해당하는 첫 번째 방전, 두 번째 방전, 세 번째 방전, 네 번째 방전, 다섯 번째 방전시 전류 밀도는 각각 0.2, 0.2, 0.4, 1, 2mA/㎠ 였고, 이때 충전시 전류밀도는 모든 싸이클에서 동일하게 0.4mA/㎠였다. 이 때, 충전, 방전 컷-오프 전압은 각각 2.8, 1.5V 였고, 충전시에 셔틀현상으로 전압이 상승하지 않을 경우 이론 용량 대비 110% 충전량으로 충전하였다. 여기서 황 이용율은 용량이 837.5 mAh/g인 전지의 황 이용율을 100%로 정의한다. 실제 수명 테스트는 여섯번째 싸이클부터 진행되었다. 수명테스트에 적용된 방전시 전류밀도는 2 mA/㎠, 충전시 전류밀도는 1 mA/㎠ 였다.
* 전기 화학적 특성
상기 실시예 7 및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리튬-황 전지의 수명 1회(실제로는 6번째 방전)에서의 충방전 곡선과 수명결과를 도 1과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폴리에틸렌이민이 첨가된 실시예 7의 전지가 황 이용율 및 평균 전압(Mid-Voltage) 측면에서 폴리비닐 피롤리돈만 사용한 비교예 2 보다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수명 특성 역시 비교예 2의 전지와 비교해 볼 때 실시예 7에서 매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설퍼 이용율
상술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지에서 충방전 1회 사이클시 설퍼 이용율(%) 및 양극 활물질 슬러리 점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바인더 필름을 제조하여 이 필름의 전해액에 대한 안정성(용해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도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폴리비닐피롤리돈(g) 폴리에틸렌이민(g) 설퍼이용율(%)(수명 1회시) 슬러리 점도 전해액에 대한 용해도
실시예 1 1.0 0.05 81 코팅에 적당 불용해성
실시예 2 1.0 0.l0 82 코팅에 적당 불용해성
실시예 3 1.0 0.20 86 코팅에 적당 불용해성
실시예 4 1.0 0.40 78 코팅에 적당 불용해성
실시예 5 1.5 0.075 80 코팅에 적당 불용해성
실시예 6 1.0 0.15 85 코팅에 최적 불용해성
실시예 7 1.0 0.30 84 코팅에 최적 불용해성
비교예 1 1.0 0 58 매우 낮음 용해성
비교예 2 2.0 0 57 매우 낮음 용해성
* 공정성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7은 롤 코팅 공정에 적당한 점도를 갖음에 비하여, 비교예 1 내지 2는 점도가 너무 낮아 롤 코팅 공정을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였다. 가장 최적의 점도를 갖는 조성은 폴리에틸렌이민을 폴리비닐 피롤리돈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및 30 중량부를 사용한 실시예 6 및 7이었다.
* 전해액에 대한 안정성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폴리에틸렌이민이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는 전해액에 필름이 전혀 녹지 않았지만 폴리비닐 피롤리돈만으로 되어 있는 비교예 1 내지 2의 필름은 전해액에 조금 녹았다.
* 폴리에틸렌이민 분자량에 따른 점도 변화
폴리에틸렌이민 분자량에 따른 점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이 75,000인 폴리에틸렌이민(Nippon Shokubai 사, P-1050)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Nippon Shokubai 사, P-1050)인 폴리에틸렌이민을 사용하였다. 점도 측정 방법은 폴리비닐 피롤리돈 에탄올 용액에 폴리비닐 피롤리돈 질량 대비 5%, 10%, 20% 그리고 50%의 폴리에틸렌이민을 각각 넣고 1일 동안 교반한 후 이 용액들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점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폴리비닐피롤리돈(농도%)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에틸렌이민(%) 중량 평균 분자량이 75,000인 폴리에틸렌이민(%) 용액 점도(cP)
5 0 5 14
5 0 10 25
5 0 20 55
5 0 50 120
5 5 0 4.7
5 10 0 4.7
5 20 0 4.7
5 50 0 4.7
5 0 0 3.1
10 0 0 19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5% 폴리비닐 피롤리돈 에탄올 용액에 폴리에틸렌이민(중량 평균 분자량 75,000, Nippon Shokubai 사 P-1050)이 첨가된 경우 폴리에틸렌이민의 양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증가하였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인 폴리에틸렌이민의 경우는 점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코팅가능한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점도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양극 활물질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에틸렌이민은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폴리에틸렌이민의 화학적 특성
비교예 4, 5 및 6은 폴리에틸렌이민의 화학적 반응의 선택성을 말해준다. 실시예 1 내지 7과 같이 폴리비닐피롤리돈 바인더를 사용한 경우는 폴리에틸렌이민과 상호작용하여 결착력, 점도의 향상이 있었지만 비교예 4, 5 및 6의 경우에서와 같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바인더는 오히려 역효과를 보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튬-황 전지용 양극은 바인더와 물리화학적으로 결합하여 바인더의 결착력을 증가시키는 첨가제를 포함함에 따라 적은 양의 바인더를 사용하더라도 매우 탁월한 극판결착력을 보인다. 상기 양극에서는 합제 성분 중에서 바인더의 비율이 현저히 감소하고 황 이용율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합제 중량당 용량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양극은 수명특성 역시 우수하여 고수명의 리튬-황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황 원소,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
    도전재;
    유기 바인더; 및
    주사슬 또는 곁사슬에 아미노 나이트로젠기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첨가제
    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이민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20,000 내지 150,000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원소 또는 Li2Sn(n≥1), 캐솔라이트(catholyte)에 용해된 Li2Sn(n≥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 x= 2.5 내지 50, 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황계 화합물중 적어도 하나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아크릴릭 엑시드,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및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8. 황 원소,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 도전재; 유기 바인더; 및 주사슬 또는 곁사슬에 아미노 나이트로젠기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양극;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이민인 리튬-황 전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20,000 내지 150,000인 리튬-황 전지.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원소 또는 Li2Sn(n≥1), 캐솔라이트(catholyte)에 용해된 Li2Sn(n≥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 x= 2.5 내지 50, 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황계 화합물중 적어도 하나인 리튬-황 전지.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아크릴릭 엑시드,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및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리튬-황 전지.
  15. 황 원소,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
    도전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아크릴릭 엑시드,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및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인더; 및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첨가제
    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용 양극.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내지 5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20,000 내지 150,000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원소 또는 Li2Sn(n≥1), 캐솔라이트(catholyte)에 용해된 Li2Sn(n≥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 x= 2.5 내지 50, 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황계 화합물중 적어도 하나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20. 황 원소, 황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 도전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과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의 코폴리머, 폴리에틸 아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아크릴릭 엑시드, 이들의 유도체, 블랜드 및 코폴리머로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인더; 폴리에틸렌이민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양극;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가역적으로 리튬 함유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및 리튬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양은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20,000 내지 150,000인 리튬-황 전지.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은 황 원소 또는 Li2Sn(n≥1), 캐솔라이트(catholyte)에 용해된 Li2Sn(n≥1), 유기 황 화합물, 및 탄소-황 폴리머((C2Sx)n:x= 2.5 내지 50, n≥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황계 화합물중 적어도 하나인 리튬-황 전지.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민은 20,000 내지 150,000인 리튬-황 전지용 양극.
KR10-2002-0054951A 2002-09-11 2002-09-11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047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951A KR100477987B1 (ko) 2002-09-11 2002-09-11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US10/370,772 US7303837B2 (en) 2002-09-11 2003-02-24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same
EP03004207A EP1443585B1 (en) 2002-09-11 2003-02-25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same
DE60310674T DE60310674T2 (de) 2002-09-11 2003-02-25 Positivelektrode für Lithium-Schwefelbatterie und Lithium-Schwefelbatterie und Herstellungsartikel enthaltend eine solche Batterie
JP2003062292A JP2004103548A (ja) 2002-09-11 2003-03-07 リチウム−硫黄電池用正極、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硫黄電池
CNB031205763A CN1314146C (zh) 2002-09-11 2003-03-14 锂硫电池的正极和锂硫电池以及包含它的制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951A KR100477987B1 (ko) 2002-09-11 2002-09-11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257A true KR20040023257A (ko) 2004-03-18
KR100477987B1 KR100477987B1 (ko) 2005-03-23

Family

ID=3198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951A KR100477987B1 (ko) 2002-09-11 2002-09-11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03837B2 (ko)
EP (1) EP1443585B1 (ko)
JP (1) JP2004103548A (ko)
KR (1) KR100477987B1 (ko)
CN (1) CN1314146C (ko)
DE (1) DE60310674T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95A (ko) * 2002-09-18 2004-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1029534A1 (ko) *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에 인산 음이온이 흡착된 옥시수산화질산철, 이의 제조방법, 상기 표면에 인산 음이온이 흡착된 옥시수산화질산철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091174A1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454B1 (ko) * 2002-07-10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황 전지
JP4316951B2 (ja) * 2003-07-08 2009-08-19 Tdk株式会社 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7358012B2 (en) 2004-01-06 2008-04-15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lytes for lithium sulfur cells
US10297827B2 (en) * 2004-01-06 2019-05-21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8828610B2 (en) * 2004-01-06 2014-09-09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lytes for lithium sulfur cells
JP5651284B2 (ja) * 2005-01-18 2015-01-07 オクシス・エナジー・リミテッド リチウム−硫黄電池
FR2916905B1 (fr) * 2007-06-04 2010-09-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Nouvelle composition pour la fabrication d'electrodes, electrodes et batteries en resultant.
US8313864B2 (en) * 2009-05-08 2012-11-20 Robert Bosch Gmbh Li-ion battery with blended electrode
US9012087B2 (en) * 2009-10-29 2015-04-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vice and electrode having nanoporous graphite with lithiated sulfur for advanced rechargeable batteries
CN101916849B (zh) * 2010-08-17 2012-09-05 上海交通大学 一种二次电池用硫基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3538424A (ja) 2010-08-24 2013-10-10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 電気化学セルでの使用のための電解質材料
EP2623317A4 (en) * 2010-09-30 2014-07-09 Mitsubishi Plastics Inc POROUS LAMINATED FILM,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03339770B (zh) 2010-11-09 2016-05-25 康奈尔大学 含硫纳米多孔材料、纳米粒子、方法和应用
CN102208599B (zh) * 2011-05-13 2013-01-23 北京化工大学 一种锂-硫电池正极极片及其制备方法
KR101890971B1 (ko) * 2011-05-24 2018-08-22 시온 파워 코퍼레이션 전기화학 전지, 그의 구성성분, 및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US8735002B2 (en) 2011-09-07 2014-05-27 Sion Power Corporation Lithium sulfur electrochemical cell including insoluble nitrogen-containing compound
EP2787564B1 (en) * 2011-12-02 2017-06-14 Mitsubishi Rayon Co., Ltd. Binder resi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binder resin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lectrode, electrode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4081567B (zh) * 2012-01-11 2017-09-15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电池电极用粘合剂树脂组合物、二次电池电极用浆料、二次电池用电极、锂离子二次电池
CN102569730A (zh) * 2012-01-31 2012-07-11 中南大学 一种锂硫电池正极极片的制备方法
WO2013141195A1 (ja) 2012-03-19 2013-09-26 国立大学法人横浜国立大学 アルカリ金属-硫黄系二次電池
CN103427125B (zh) * 2012-05-15 2016-04-13 清华大学 硫基聚合物锂离子电池的循环方法
US9577289B2 (en) 2012-12-17 2017-02-21 Sion Power Corporation Lithium-ion electrochemical cell,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3915602A (zh) * 2013-01-09 2014-07-09 厦门大学 新型锂硫电池正极及包括此正极的锂硫电池
CN103326027B (zh) * 2013-05-29 2017-12-0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及锂离子电池
US10033040B2 (en) 2013-07-08 2018-07-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dford Junior University Stable cycling of lithium sulfide cathodes through strong affinity with multifunctional binders
KR101526677B1 (ko) * 2013-08-07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황 배터리를 위한 유황 양극
CN105900268B (zh) * 2013-10-18 2018-10-26 株式会社Lg化学 包含碳纳米管聚集体的碳纳米管-硫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R3018516B1 (fr) * 2014-03-13 2019-08-23 Blue Solutions Batterie lithium-soufre
EP3070765B1 (en) 2015-03-16 2019-05-08 Heraeus Battery Technology GmbH Use of pedot/pss in a cathode of a lithium-sulfur electrochemical cell
JP6330719B2 (ja) * 2015-04-27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極活物質および全固体二次電池
KR20170050078A (ko)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이차전지 양극용 아크릴 바인더
WO2017150048A1 (ja) * 2016-03-03 2017-09-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導電材ペースト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電極用スラリー組成物、非水系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系二次電池
JP2017195174A (ja) * 2016-04-14 2017-10-26 株式会社Adek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US10312517B2 (en) * 2016-10-31 2019-06-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 situ formation of sulfur particles using organic acids in the presence of polymer functionalized carbon
CN108011076B (zh) * 2017-11-27 2020-08-28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电池极片及其制备方法
KR20210054989A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CN110911668A (zh) * 2019-12-02 2020-03-24 电子科技大学 一种锂硫电池pip@s正极材料及制备方法
CN111224166A (zh) * 2019-12-12 2020-06-0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醚类电解液、其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520A (en) * 1980-06-25 1981-11-24 Union Carbide Corporation Cathode comprising the reaction product of bismuth, sulfur and lead or iron
FR2552093B1 (fr) 1983-09-20 1985-12-20 Centre Nat Rech Scient Nouveaux derives de sulfures de polycarbone, leur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en electrochimie
US5324599A (en) 1991-01-29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versible electrode material
JP3169188B2 (ja) 1991-01-31 2001-05-21 杏林製薬株式会社 カルバミン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50910A (ja) 1992-11-10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極の製造法
JPH06150932A (ja) 1992-11-10 1994-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 極
FR2711843B1 (fr) 1993-10-21 1995-12-01 Alsthom Cge Alcatel Matériau cathodique pour générateur électrochimique.
TW320784B (ko) 1994-05-13 1997-11-21 Gould Electronics Inc
JP3734113B2 (ja) 1996-12-27 2006-01-1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電極、および電池
JPH11111279A (ja) 1997-10-07 1999-04-23 Hitachi Maxell Ltd 水素吸蔵合金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ニッケル水素二次電池
JPH11154514A (ja) * 1997-11-20 1999-06-08 Hitachi Maxell Ltd アルカリ乾電池
US6703163B2 (en) 1998-03-31 2004-03-09 Celanese Ventures Gmbh Lithium battery and electrode
JP4552235B2 (ja) 1998-04-03 2010-09-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JPH11297329A (ja) 1998-04-03 1999-10-29 Nippon Zeon Co Ltd 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その製法、電池電極用スラリー、電池用電極および二次電池
KR100305669B1 (ko) * 1998-06-17 2001-11-30 박찬구 금속복합양극재로이루어진양극을포함하는리튬폴리머이차전지
US6576370B1 (en) * 1999-04-26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US6652440B1 (en) * 1999-05-04 2003-11-25 Moltech Corporation Electroactive polymers of high sulfur content for use in electrochemical cells
KR100325326B1 (ko) * 2000-06-30 2002-03-06 김성욱 전도성 고분자와 유기황 화합물의 혼합 파우더 제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양극의 제조 방법
KR100363277B1 (ko) * 2000-06-30 2002-11-30 주식회사 뉴턴에너지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KR100378007B1 (ko) * 2000-11-22 2003-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095A (ko) * 2002-09-18 2004-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1029534A1 (ko) * 2019-08-13 2021-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에 인산 음이온이 흡착된 옥시수산화질산철, 이의 제조방법, 상기 표면에 인산 음이온이 흡착된 옥시수산화질산철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091174A1 (ko) * 2019-11-06 2021-05-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3585A3 (en) 2004-08-11
EP1443585A2 (en) 2004-08-04
CN1314146C (zh) 2007-05-02
US7303837B2 (en) 2007-12-04
DE60310674D1 (de) 2007-02-08
DE60310674T2 (de) 2007-10-11
KR100477987B1 (ko) 2005-03-23
CN1482693A (zh) 2004-03-17
JP2004103548A (ja) 2004-04-02
EP1443585B1 (en) 2006-12-27
US20040048154A1 (en)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987B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0441514B1 (ko)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100612227B1 (ko) 리튬 설퍼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설퍼 전지
US6919143B2 (en) Positiv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fabricated using same
KR100484642B1 (ko) 리튬-설퍼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485093B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0467456B1 (ko) 리튬-황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1501267B1 (ko) 리튬-설퍼 전지용 양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설퍼 전지
KR20050038254A (ko) 리튬-설퍼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20140007128A (ko) 리튬 설퍼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설퍼 전지
US985328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sulfur battery and lithium-sulfur battery
KR100382302B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리튬-황 전지
US11545720B2 (en) Lithium-sulfur battery
KR100508920B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JPH1126571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0605B1 (ko)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100570606B1 (ko)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100570604B1 (ko)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100471982B1 (ko) 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0502896B1 (ko) 리튬-황 전지의 양극용 전류 집전체, 이를 포함하는리튬-황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CN110993929B (zh) 聚合物保护膜、金属负极材料、锂离子电池及制备方法
EP3510659B1 (en) Use of vinyl acetate-based polymers to make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KR20040013416A (ko) 리튬-황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