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512A -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512A
KR20040011512A KR10-2003-7015426A KR20037015426A KR20040011512A KR 20040011512 A KR20040011512 A KR 20040011512A KR 20037015426 A KR20037015426 A KR 20037015426A KR 20040011512 A KR20040011512 A KR 20040011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reception
voice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733B1 (ko
Inventor
이꾸마 고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착신해도, 디지털 방송 시청과 휴대 전화의 동시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착신이 있는 경우, 전화 RF부(113)가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착신 이벤트를 올린다.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자막 방송 표시를 요구하고, 동시에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음성 패스를 전화 음성 처리부(114)의 출력측에 전환 요구를 행한다.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 자막 방송의 분리를 지시하고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105)는 분리된 자막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표시 중첩부(108)는 자막 디코드 출력과 영상 디코드 출력을 중첩하여 표시 출력부(110)가 표시한다. 이용자가 통화·통화 종료 버튼(116)을 누르면 통화 개시 이벤트가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로 보내어지고,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전화 RF부에 대하여 통화 요구를 행하여 통화를 개시시킨다. 이용자가 통화·통화 종료 버튼(116)을 눌러 통화를 종료한 경우,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전화 RF부(113)에 대하여 통화 종료를 요구하여 통화 종료시킨다. 동시에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대하여 음성 패스를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측에 전환 요구를 행하여 음성 패스를 전환하게 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대하여 자막 방송의 분리 종료를 요구하여 자막 방송 분리를 종료시킨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휴대 전화의 급속한 보급은 WEB 브라우저나 전자 메일 등 본래의 통화 기능 이외의 기능을 탑재한 것에 많이 기인하고 있다. 현재도 Java 어플리케이션이나 TV 전화 등 신규 기능의 탑재가 나날이 진보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미 CS(Communication Satellite), BS(Broadcasting Satellite) 등의 디지털 위성 방송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지상파 방송에서도 2003년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개시될 예정이다. 또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수신 단말기에 관해서는 부분 수신을 행하는 휴대형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서비스의 개시가 준비되고 있다.
금후, 휴대 전화는 WEB 브라우저나 전자 메일 이외에도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할 것이 예상되지만, 현 시점에서는 본 발명이 과제로 하는 분야의 종래 기술은 발견되지 않았다.
참고 기술로서 일본 특개평6-165073을 예로 든다.
도 8에 그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 발명에서는 리모콘 송신기(9) 또는 본체 키보드(8)에 의해 소음(消音) 버튼이 눌러졌을 때, 소음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캡션 디코더 온 오프 제어부(10)가 캡션 디코더(3)를 온으로 하고, 표시 처리부(5)에 의해 다중화되어 있는 캡션 데이터를 표시한다.
반대로 소음 중이며 또한 캡션 디코더 온 중에 리모콘 송신기(9) 또는 본체 키보드(8)에 의해 소음 해제 버튼이 눌러졌을 때, 소음 해제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캡션 디코더 온 오프 제어부(10)가 캡션 디코더(3)를 오프로 하고, 영상만을 표시 처리부(5)에 의해 표시한다.
일본 특개평6-165073은 음성을 소음하여 캡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뿐이며, 다른 기능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융합이 예측되는 가운데,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나, 반대로 전화의 발신이 요구되는 장면도 상정된다.
또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화면 사이즈가 작을 것이 예상되어, 자막 방송을 항상 표시하는 것은 보기 용이함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의 시청과 전화의 "동시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디지털 방송의 자막 방송의 표시를 최소 시간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 기능과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더불어 갖는 통신 장치 및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처리와 디지털 방송의 수신 처리를 행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전화 착신 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관리하는 이벤트 및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3에 따른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디지털 방송 시청 개시 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실시예 4에 따른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종래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적어도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화부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전화부에 의해 수신된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에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와,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발신 이벤트의 발생 및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하여, 상기 전화부, 상기 추출부 및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소정의 지시를 행하는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수신 전화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정지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전화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정지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부에의 입력을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부에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는, 영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함과 함께, 소정의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추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추출부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 추출된 추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입력된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음량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확성 음성 출력부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소정의 경우에,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어(ear) 음성 출력부와,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이어 음성 출력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이어 음성 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에 대하여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의 선택을 지시하는 확성 음성 선택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확성 음성 선택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를 선택하고,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에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해야 할 시각을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지시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지시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통지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송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의한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부에 의해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었던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해야 할 시각을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지시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지시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통지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송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의한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부에 의해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또한,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제어하는 바이브레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의한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부에 의해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바이브레이터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지시하는 바이브레이터 작동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바이브레이터 작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형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적어도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와,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단계와,
상기 음성 출력 단계에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 단계와,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발신 이벤트의 발생 및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하고,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전환 제어 단계에 대하여 소정의 지시를 행하는 지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단계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행하며, 상기 전환 제어 단계에 대하여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행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정지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행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행하며, 상기 전환 제어 단계에 대하여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전화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정지하며,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고,
상기 전환 제어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 단계에의 입력을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 단계로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는, 영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함과 함께, 소정의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또한,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추출 단계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 추출된 추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단계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행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행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의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1은 디지털 방송 튜너부, 참조 부호 102는 디지털 방송 복조부, 참조 부호 103은 다중 전송 분리부, 참조 부호 104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이고, 참조 부호 105는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이며, 참조 부호 106은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 참조 부호 107은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08은 표시 중첩부, 참조 부호 109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 참조 부호 110은 표시 출력부, 참조 부호 111은 음성 출력부, 참조 부호 112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 참조 부호 113은 전화 RF부, 참조 부호 114는 전화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15는 음성 입력부, 참조 부호 116은 통화·통화 종료 버튼, 참조 부호 117은 CPU, 참조 부호 118은 메모리이다.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자막 데이터(문자 데이터) 등이 다중화된 디지털 방송파를 수신한다.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는, 다중 데이터 수신부의 예이고, 또한,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가 수신하는 디지털방송파는 다중 데이터의 예이다.
디지털 방송 복조부(102)는,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파에 대한 복조 처리를 행한다.
다중 전송 분리부(103)는, 다중화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해당하는 스트림이나 섹션 데이터를 분리한다(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디지털 방송 처리에서는 기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는 기술하지 않는다. 다중 전송 분리부(103)는, 소정의 경우에,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와 자막 데이터의 분리 개시를 행한다. 또한, 다중 전송 분리부(103)는 추출부의 예이다. 또한,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 의해 분리된 영상 데이터는 추출 영상 데이터에 상당하고, 음성 데이터는 추출 음성 데이터에 상당하며, 자막 데이터는 추출 문자 데이터에 상당한다.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디지털 방송파로 송출되어 오는 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에 다중화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자막 데이터(문자 데이터) 등의 모노 미디어나 데이터 방송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고, 그 분리 정보를 알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처리에서는 기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는 기술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와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막 데이터의 분리 개시를 지시한다. 또한,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와 소음의 지시만을 행한다.
또한,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후술하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와 함께, 지시부의 예에 상당한다.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105)는, 자막 데이터나 그 밖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예를 들면, 자막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106)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소정의 경우에, 음성 데이터의 소음 처리를 행한다.
표시 중첩부(108)는, 다른 영상 데이터를 중첩하거나, 영상 데이터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중첩된 영상 데이터나 자막 데이터를 표시 출력부(110)에 표시한다. 디지털 방송 처리에서는 기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는 기술하지 않는다.
표시 출력부(110)는, 표시 중첩부(108)에 의해 중첩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는 음성 패스(음성 출력부(111)에의 입력)를 전화측 또는 디지털 방송 음성측으로 전환하고, 음성을 음성 출력부(111)로부터 출력시킨다. 또한,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는 전환 제어부의 예이다.
음성 출력부(111)는, 음성 패스가 전화측에 있을 때는, 전화 음성 처리부(114)로부터의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음성 패스가 디지털 방송 음성측에 있을 때는,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이용자가 디지털 방송의 영상, 음성을 시청 중에 전화의 착신 또는 발신이 있는 경우에,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디지털 방송 음성의 소음과 자막 데이터의 표시를 지시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동시에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음성 패스를 전화 음성 처리부의 출력측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이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통화를 종료한 경우에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복귀와 자막 데이터의 소거를 지시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음성 패스를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의 출력측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 및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를 합한 것이 지시부의 예에 상당한다.
전화 RF부(113), 전화 음성 처리부(114), 음성 입력부(115) 및 통화·통화 종료 버튼(116)은, 전화 기능을 실현하는 요소로서, 이들은 모두 전화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통신 장치의 예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전화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에 의해 디지털 방송파가 수신되고 있으며, 또한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서,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의 분리 처리가행해져, 표시 출력부(11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고, 음성 출력부(111)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의해 음성 패스는 디지털 방송 음성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용자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전화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전화 RF부(113)가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착신 이벤트를 공급한다.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서는, 착신 이벤트를 검지하여,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디지털 방송 음성의 소음과 자막 데이터의 표시를 지시한다. 동시에,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여, 음성 패스를 전화 음성 처리부(114)의 출력측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고, 또한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막 데이터의 분리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한다.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만을 지시한다.
다중 전송 분리부(103)는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와 자막 데이터의 분리 개시를 행하고,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는 소음 처리를 행하며,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105)는 자막 데이터를 디코드한다.
표시 중첩부(108)는 영상 데이터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출력부(110)에 표시한다.
또한,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는 음성 패스를 전화측으로 전환한다.
이용자가 통화·통화 종료 버튼(116)을 누르면,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통화 개시 이벤트를 받아, 전화 RF부(113)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하여,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를 지시하고, 통화를 개시시킨다.
이용자가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중에, 이용자가 전화의 발신을 행하는 경우도 상술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즉, 이용자가 통화·통화 종료 버튼(116)을 누르면,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가 발신 이벤트를 검지하고,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디지털 방송 음성의 소음과 자막 데이터의 표시를 지시한다. 동시에,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여, 음성 패스를 전화 음성 처리부(114)의 출력측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프로그램 정보를 참조하여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 대하여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 및, 자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자막 데이터의 분리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한다. 다중 전송 분리부(103)는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정지와 자막 데이터의 분리 개시를 행하고,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는 소음 처리를 행하며,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105)는 자막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표시 중첩부(108)는 영상 데이터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하여 표시 출력부(110)에 표시한다.
또한,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는 음성 패스를 전화측으로 전환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전화 RF부(113)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하여,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를 지시하고, 통화를 개시시킨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통화를 종료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에 의해 디지털 방송파가 수신되고 있으며, 또한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서, 영상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의 분리 처리는 행해지고 있지만, 음성 데이터의 분리 처리는 정지되어 있으며, 표시 출력부(110)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전화 RF부(113), 전화 음성 처리부(114), 음성 입력부(115)에 의해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음성 출력부(111)로부터는 전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다. 또한,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의해 음성 패스는 전화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용자가 통화·통화 종료 버튼(116)을 누르면,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통화 종료 이벤트를 검지하고, 전화 RF부(113)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송신하여, 통화를 종료시킨다.
대화자(통화 상대)가 먼저 통화 종료한 경우에는 전화 RF부(113)가 통화 종료 이벤트를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공급한다.
또한, 동시에,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개시(디지털 방송 음성의 복귀)와 자막 데이터의 분리 정지(자막 방송의 소거)를 지시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여, 음성 패스를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의 출력측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한다.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는, 다중 전송 분리부(103)에 대하여 지시 메시지(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 및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여,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개시와 자막 데이터의 분리 정지를 지시한다.
다중 전송 분리부(103)는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분리 개시와 자막 데이터의 분리 정지를 행하고,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107)는 음성 디코드 처리를 개시하며,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105)는 자막 데이터의 디코드를 정지한다.
이 결과, 표시 중첩부(108)는,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106)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만을 표시 출력부(110)에 표시한다.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의해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109)는 음성 패스를 디지털 방송 음성측으로 전환하고,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부(111)로부터 출력시킨다.
도 2는 착신 및 발신 시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내부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취급하는 이벤트 상태의 예이다. 도 3의(a)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관리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의 (b)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관리하는 이벤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의해,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착신한 경우 또는 발신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통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의 양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하이브리드 단말기에서는, 통화 중에만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화면에서의 자막 데이터의 표시 시간을 적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1은 디지털 방송 튜너부, 참조 부호 102는 디지털 방송 복조부, 참조 부호 103은 다중 전송 분리부, 참조 부호 104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이고, 참조 부호 105는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이며, 참조 부호 106은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 참조 부호 107은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08은 표시 중첩부, 참조 부호 109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 참조 부호 110은 표시 출력부, 참조 부호 112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 참조 부호 113은 전화 RF부, 참조 부호 114는 전화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15는 음성 입력부, 참조 부호 116은 통화·통화 종료 버튼, 참조 부호 117은 CPU, 참조 부호 118은 메모리, 참조 부호 201은 핸즈프리 제어부, 참조 부호 202는 확성 음성 출력부, 참조 부호 203은 이어 음성 출력부이다.
확성 음성 출력부(202)는 핸즈프리 모드에서의 휴대 전화의 전화 음성 데이터와 디지털 방송의 음성 데이터의 출력용이다. 이어 음성 출력부(203)는 통상 모드에서의 휴대 전화의 전화 음성 데이터의 출력용이다.
핸즈프리 제어부(201)는 핸즈프리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핸즈프리는 휴대 전화에서는 기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핸즈프리 제어부(201)는 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의 예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휴대 전화의 착신이 있는 경우 또는 발신을 행하는 경우,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의해 음성 패스는 전화측으로 전환되지만, 그 때,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핸즈프리 제어부(201)에 핸즈프리 모드의 온을 요구하고(확성 음성 선택 지시를 송신하고), 핸즈프리 제어부(201)는 핸즈프리 모드를 온으로 한다(확성 음성 출력부를 선택한다). 그 밖의 처리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의해, 디지털 방송 수신 시에 착신한 경우, 자동으로 핸즈프리 모드로 이행하여 쾌적하게 디지털 방송 수신과 동시에 휴대 전화의 통화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프로그램 시청 예약 가능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1은 디지털 방송 튜너부, 참조 부호 102는 디지털 방송 복조부, 참조 부호 103은 다중 전송 분리부, 참조 부호 104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이고, 참조 부호 105는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이며, 참조 부호 106은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 참조부호 107은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08은 표시 중첩부, 참조 부호 109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 참조 부호 110은 표시 출력부, 참조 부호 111은 음성 출력부, 참조 부호 112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 참조 부호 113은 전화 RF부, 참조 부호 114는 전화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15는 음성 입력부, 참조 부호 116은 통화·통화 종료 버튼, 참조 부호 117은 CPU, 참조 부호 118은 메모리, 참조 부호 301은 시청 예약 처리부이다.
시청 예약 처리부(301)는 디지털 방송파에 의해 송출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예정을 해석하여 시청 예약을 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처리에서는 기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는 기술하지 않는다. 또한, 시청 예약 처리부(301)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의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는, 사전에 시청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시청 예약 처리부(301)의 예약 기능에 의해 개시될 때, 시청 예약 처리부(301)는, 디지털 방송 튜너부(101)에 대하여 수신 개시를 지시함과 함께(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의 송신),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시청 개시 이벤트를 공급하고(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의 송신),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이용자가 통화 중인지의 여부의 판정, 즉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용자가 통화 중(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 중)이면,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104)에 대하여 디지털 방송 음성의 소음과 자막 데이터의 표시를 지시한다. 또한,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음성 패스 전환제어부(109)에 음성 패스의 전환을 지시하지 않고, 음성 패스를 그대로 전화측으로 한다. 또한, 그 밖의 처리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6에 디지털 방송 시청 개시 시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다.
그 운용으로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는 핸즈프리 모드로 이행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의해, 통화 중에 시청 예약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이 개시되어도 디지털 방송 수신과 전화의 동시 이용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프로그램 시청 예약 가능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 부호 101은 디지털 방송 튜너부, 참조 부호 102는 디지털 방송 복조부, 참조 부호 103은 다중 전송 분리부, 참조 부호 104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이고, 참조 부호 105는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이며, 참조 부호 106은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 참조 부호 107은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08은 표시 중첩부, 참조 부호 109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 참조 부호 110은 표시 출력부, 참조 부호 111은 음성 출력부, 참조 부호 112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 참조 부호 113은 전화 RF부, 참조 부호 114는 전화 음성 처리부, 참조 부호 115는 음성 입력부, 참조 부호 116은 통화·통화 종료 버튼, 참조 부호 117은 CPU, 참조 부호 118은 메모리, 참조 부호 301은 시청 예약 처리부, 참조 부호 401은 바이브레이터 제어부, 참조 부호 402는바이브레이터이다.
바이브레이터 제어부(401), 바이브레이터(402)는 휴대 전화의 착신을 알리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이것은 기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는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는, 사전에 시청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시청 예약 처리부(301)의 예약 기능에 의해 개시될 때,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에 시청 개시 이벤트를 공급하고, 이벤트 해석 처리부(112)는 이용자가 통화 중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용자가 통화 중인 경우에는, 바이브레이터 제어부(401)에 지시 메시지(바이브레이터 작동 지시)를 송신하여, 바이브레이터 온을 지시하고, 바이브레이터 제어부(401)는 바이브레이터(402)를 진동시킨다.
이후에는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동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의해, 휴대 전화의 착신 통지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시청 예약된 프로그램의 개시 통지에도 이용함으로써 이용자는 통화 중에 시청 예약되어 있던 프로그램이 개시되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 운용으로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는 핸즈프리 모드로 이행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4에서는, 휴대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1∼4에서 설명한 기구를 유선의 고정 전화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4에서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하이브리드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1∼4에서 설명한 기구를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하이브리드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시예 1∼4에 나타낸 처리 수순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도 실현 가능하다.
여기서, 실시예 1∼4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의 특징을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4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부와, 디지털 방송을 복조하는 디지털 방송 복조부와, 다중화된 전송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 전송 분리부와, 프로그램 정보를 해석하여 디지털 방송 튜너부에 선국 지시하고, 다중 전송 분리부에 분리 지시를 행하는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와, 다중 전송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자막 데이터 방송을 디코드 처리하는 자막·데이터 방송 처리부와, 동일하게 다중 전송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영상 방송을 디코드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영상 처리부와, 동일하게 다중 전송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디지털 방송 음성을 디코드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음성 처리부와, 자막·데이터 방송과 영상 방송을 중첩 표시하는 표시 중첩부와, 전화의 무선 처리를 행하는 전화 RF부와, 전화의 음성을 처리하는 전화 음성 처리부와, 전화의 착신·발신 이벤트를 해석·처리하는 이벤트 해석 처리부와, 디지털 방송 음성 출력과 전화 음성 출력을 전환하는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와, 음성 출력부로 구성되며,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전화 착신이 있는 경우에 음성 패스를 전화측으로 전환하며 또한 자막 방송을 표시하여 통화하고, 통화 종료 시에는 음성 패스를 디지털 방송 음성측으로 전환하며, 자막 방송을 소거하고 디지털 방송 영상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시청 중의 전화 착신인 경우,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에 자막 방송의 분리 표시와 디지털 방송 음성의 분리 정지·소음을 요구하고, 동일하게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에 음성 패스의 전환을 요구하여, 자막 표시, 음성 패스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전화 발신을 행하는 경우,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프로그램 방송 처리부에 자막 방송의 표시를 요구하고, 동일하게 이벤트 해석 처리부가 음성 패스 전환 제어부에 음성 패스의 전환을 요구하여, 자막 표시, 음성 패스의 전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핸즈프리 제어부를 부가하여, 디지털 방송 시청 중의 전화 착신인 경우, 음성을 소음하고, 자막 방송의 표시를 행하며, 동시에 핸즈프리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시청 예약 처리부를 부가하여, 전화 통화 중에 시청 예약된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경우,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가 음성 대신에 자막 방송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에 나타낸 하이브리드 단말기는, 바이브레이터 제어부와 바이브레이터를 추가하여, 전화 통화 중에 수신 예약된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경우,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이용자에게 프로그램 개시를 통지하며, 프로그램 정보 처리부가 음성 대신에 자막 방송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착신 이벤트 또는 발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음성 출력을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고, 또한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음성 출력을 추출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기 때문에, 다중 데이터의 수신·출력과 통화의 양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착신 이벤트 또는 발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추출 문자 데이터의 표시를 개시하고,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추출 문자 데이터의 표시를 정지하기 때문에, 문자 데이터의 표시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착신 이벤트 또는 발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확성 음성에 의한 음성 출력을 행하기 때문에, 다중 데이터의 수신·출력과 통화의 양방을 핸즈프리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에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추출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 중에 다중 데이터의 수신이 개시된 경우에도 다중 데이터의 수신·출력과 통화의 양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에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바이브레이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통화 중에 다중 데이터의 수신이 개시된 경우에도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통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적어도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화부와,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전화부에 의해 수신된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상기 음성 출력부에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와,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발신 이벤트의 발생 및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하여, 상기 전화부, 상기 추출부 및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소정의 지시를 행하는 지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정지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전화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정지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며,
    상기 전환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상기 음성 출력부에의 입력을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부에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는, 영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함과 함께, 소정의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추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추출부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 추출된 추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며,
    상기 추출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부는, 입력된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음량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확성 음성 출력부이고,
    상기 통신 장치는,
    소정의 경우에,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어 음성 출력부와,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이어 음성 출력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이어 음성 출력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에 대하여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의 선택을 지시하는 확성 음성 선택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확성 음성 이어 음성 선택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확성 음성 선택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를 선택하고, 상기 확성 음성 출력부에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해야 할 시각을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지시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지시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통지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송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의한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부에 의해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전환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해야 할 시각을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으로서 관리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이 도래하였을 때에,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지시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송신함과 함께, 상기 지시부에 대하여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에 의한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개시를 통지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송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의한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부에 의해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상기 추출부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바이브레이터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제어하는 바이브레이터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시각 관리부로부터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개시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전화부에 의한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전화부에 의해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바이브레이터 제어부에 대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지시하는 바이브레이터 작동 지시를 송신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바이브레이터 작동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휴대형의 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적어도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와,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단계와,
    상기 음성 출력 단계에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 제어 단계와,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발신 이벤트의 발생 및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하고,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 상기 추출 단계 및 상기 전환 제어 단계에 대하여 소정의 지시를 행하는 지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단계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행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행하며, 상기 전환 제어 단계에 대하여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행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 대하여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의 정지를 지시하는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행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행하며, 상기 전환 제어 단계에 대하여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 송수신 정지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전화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정지하며,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음성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며,
    상기 전환 제어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 단계에의 입력을 상기 수신 전화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 전환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음성 출력 단계로의 입력을 상기 추출 음성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는, 영상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가 포함된 다중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다중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함과 함께, 소정의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통신 방법은,
    상기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추출 단계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가 추출된 경우에, 추출된 추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시 단계는,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착신 이벤트의 발생 및 상기 발신 이벤트의 발생 중 어느 한쪽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개시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개시 지시를 행하고,
    상기 다중 데이터 수신 단계에서의 상기 다중 데이터의 수신 중에 상기 통화 종료 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추출 단계에 대하여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 정지를 지시하는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행하며,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개시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개시하고, 상기 지시 단계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추출 정지 지시를 받은 경우에, 상기 문자 데이터의 추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037015426A 2002-03-27 2002-03-27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0574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2974 WO2003081878A1 (fr) 2002-03-27 2002-03-27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512A true KR20040011512A (ko) 2004-02-05
KR100574733B1 KR100574733B1 (ko) 2006-04-28

Family

ID=2808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426A KR100574733B1 (ko) 2002-03-27 2002-03-27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7502386B2 (ko)
EP (2) EP1489818B1 (ko)
JP (1) JPWO2003081878A1 (ko)
KR (1) KR100574733B1 (ko)
DE (1) DE60235651D1 (ko)
WO (1) WO200308187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40B1 (ko) * 2006-02-23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
KR100757210B1 (ko) 2006-02-20 2007-09-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1051851B1 (ko) * 2005-11-22 2011-07-2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기
KR20160107599A (ko) 2015-03-04 2016-09-19 해주이엔씨 (주) 사석상자층 강제어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878A1 (fr) * 2002-03-27 2003-10-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P1407601B1 (en) * 2002-04-05 2018-10-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llowing content reception and voice communication
KR100526554B1 (ko) * 2003-07-21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이동단말에서 음성통화시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4551198B2 (ja) * 2003-12-10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装置
JP4583037B2 (ja) * 2004-02-05 2010-11-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テレビ視聴装置及びテレビ視聴装置
EP1571813A1 (en) 2004-03-02 2005-09-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 image to the called party identifying calling party
KR100809613B1 (ko) * 2004-06-24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기능 수행 중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그 방법
JP4747537B2 (ja) * 2004-09-07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携帯端末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34117B2 (ja) 2004-10-26 2011-02-16 京セラ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携帯端末装置、並びに携帯端末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
KR100594152B1 (ko) * 2004-12-28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노이즈를 제거하는 이어폰 잭과 그 동작방법
JP2006197183A (ja) * 2005-01-13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方法
KR100735255B1 (ko) 2005-01-24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디지털방송 수신장치
JP2006211431A (ja) * 2005-01-28 2006-08-10 Kyocera Corp ストリ−ム受信機能付き電話機およびストリーム受信機能付き電話機におけるストリーム再生方法
JP2006217087A (ja) * 2005-02-01 2006-08-17 Sanyo Electric Co Ltd 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6279592A (ja) * 2005-03-29 2006-10-12 Toshiba Corp 放送受信機
WO2006115012A1 (ja) 2005-04-20 2006-11-02 Sharp Kabushiki Kaisha 通話機能付情報処理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KR100557185B1 (ko) 2005-05-1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EP1724955A3 (en) * 2005-05-17 2007-01-03 Samsung Electronics Co.,Ltd. Method for taking a telephone call while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using this method
JP2007202010A (ja) * 2006-01-30 2007-08-09 Kyocera Corp 放送受信アプリケーションを含むマルチタスク処理方法およびマルチタスク処理装置
WO2007088609A1 (ja) * 2006-02-01 2007-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テレビ放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0826156B1 (ko) * 2006-04-11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오디오 채널의배경화면 설정 장치 및 방법
WO2008001423A1 (fr) * 2006-06-26 2008-01-03 Panasonic Corporation téléphone portable
JP2007074744A (ja) * 2006-10-25 2007-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
KR101294293B1 (ko) * 2006-10-27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연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0198B1 (ko) * 2007-01-03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방송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2008167373A (ja) * 2007-01-05 2008-07-17 Brother Ind Ltd 情報呈示装置
US20080244638A1 (en) * 2007-03-30 2008-10-02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and output of advertisements using subtitle data
JP2009055084A (ja) * 2007-08-23 2009-03-12 Sanyo Electric Co Ltd 電話機
JP5119813B2 (ja) * 2007-09-03 2013-01-16 株式会社ナカヨ通信機 通話中に電話帳機能を操作出来る電話装置
JP2008236796A (ja) * 2008-06-16 2008-10-02 Kyocera Corp 移動体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24319A (ja) * 2008-11-20 2010-06-03 Sony Corp 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装置、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方法、イベントカレンダー表示プログラム及びイベント情報抽出装置
JP5043156B2 (ja) * 2010-06-16 2012-10-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テレビ視聴装置
KR101452667B1 (ko) 2011-03-16 2014-10-22 페킹 유니버시티 중첩된 주석 출력
KR101919787B1 (ko) * 2012-05-09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69512B2 (en) * 2012-11-08 2017-09-1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based on viewer behavior
US9525830B1 (en) 2015-11-12 2016-12-20 Captioncall Llc Captioning communication systems
US9374536B1 (en) 2015-11-12 2016-06-21 Captioncall, Llc Video captioning communication system,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captioning during a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session
WO2019117884A1 (en) * 2017-12-13 2019-06-20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caption information based on volume setting adjustments
JP7205697B2 (ja) * 2019-02-21 2023-01-17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共用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5583A (en) * 1974-10-07 1976-08-17 First National Bank Of Decatur, Alabama Emergency civil defense alarm and communications systems
JPH04200082A (ja) * 1990-11-29 1992-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放送受信装置
US5243415A (en) * 1991-04-05 1993-09-07 Primo Microphoes, Inc. Limited range stereo-audio video RF transmitter to multiple receiver system
CA2067637C (en) * 1991-07-29 1997-11-18 John Lappington System for distributing radio telephone signals over a cable television network
JPH0799685A (ja) * 1991-11-26 1995-04-11 Casio Comput Co Ltd 無線電話の警告装置
JP2931487B2 (ja) * 1992-11-16 1999-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CA2154353A1 (en) * 1993-01-21 1994-08-04 Guy A. Primiano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close captioning in a digital program services delivery system
US5327176A (en) * 1993-03-01 1994-07-0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utomatic display of closed caption information during audio muting
JPH0730872A (ja) 1993-07-08 1995-01-31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放送受信機付テレビ電話装置
US5825407A (en) * 1993-09-13 1998-10-20 Albrit Technologies Ltd. Cable television audio messaging systems
US5495283A (en) * 1993-09-13 1996-02-27 Albrit Technologies Ltd. Cable television video messaging system and headend facility incorporating same
JPH07123376A (ja) 1993-10-20 1995-05-12 Hitachi Ltd 文字多重放送受信装置
US5425101A (en) * 1993-12-03 1995-06-13 Scientific-Atlanta,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authorizing multiple virtual channels
JP3256619B2 (ja) * 1993-12-24 2002-02-12 株式会社東芝 文字情報表示装置
JPH07203396A (ja) 1993-12-28 1995-08-04 Sony Corp 字幕データ復号化装置
DE4409458A1 (de) * 1994-03-18 1995-09-21 Sel Alcatel Ag Telekommunikationsendgerät insbesondere für elektronische Massenpost und Nachrichtenverteilnetz
KR100395040B1 (ko) * 1994-06-09 2003-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쌍방향다중액세스통신시스템,및이시스템에이용되는중앙스테이션및사용자스테이션
AU4364296A (en) * 1994-10-24 1996-05-15 Intel Corporation Video indexing protocol
JPH08125723A (ja) * 1994-10-27 1996-05-17 Toshiba Corp 着信音の出力方法、電源供給方法及び携帯電話機
US5701161A (en) * 1994-12-14 1997-12-23 Williams; Mark 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 time data on a viewing screen concurrently with any programing in process
JP3498403B2 (ja) * 1995-02-10 2004-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
US5852612A (en) * 1995-03-16 1998-12-22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rminal for receiving simulcast digital video programs
US5659353A (en) * 1995-03-17 1997-08-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5703997A (en) * 1995-04-14 1997-12-30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recording medium having reproduction tim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reproducing record data by using the reproduction timing information
US5708961A (en) * 1995-05-01 1998-01-13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Wireless on-premises video distribution using digital multiplexing
US5659366A (en) * 1995-05-10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Notification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s
US6785905B1 (en) * 1995-10-24 2004-08-31 Sony Corporation Television transmitter, television transmitting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ing method
US6199206B1 (en) * 1995-10-24 2001-03-06 Sony Corporation Television transmitter, television transmitting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television receiving method
SE515901C2 (sv) * 1995-12-28 2001-10-22 Dynarc Ab Resursadministrering, plan och arrangemang
JP3694981B2 (ja) * 1996-04-18 2005-09-14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処理方法
US5883675A (en) * 1996-07-09 1999-03-16 S3 Incorporated Closed captioning processing architecture for providing text data during multiple fields of a video frame
US5914719A (en) * 1996-12-03 1999-06-22 S3 Incorporated Index and storage system for data provided in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US6236653B1 (en) * 1996-12-23 2001-05-22 Lucent Technologies Inc. Local telephone service over a cable network using packet voice
JPH10243361A (ja) 1997-02-28 1998-09-11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7139031B1 (en) * 1997-10-21 2006-11-21 Principle Solutions, Inc. Automated language filter for TV receiver
US6972802B2 (en) * 1997-10-21 2005-12-06 Bray J Richard Language filter for home TV
US6008802A (en) * 1998-01-05 1999-12-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 function based on the reception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roadcast data
JPH11205696A (ja) * 1998-01-20 1999-07-30 Sony Corp 映像伝送装置及び映像伝送方法
US20020002039A1 (en) * 1998-06-12 2002-01-03 Safi Qureshey Network-enabled audio device
JPH11317701A (ja) 1998-05-07 1999-11-16 Canon Inc 通信装置
US6937618B1 (en) * 1998-05-20 2005-08-30 Sony Corporation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and signal receiving device and method
US6813777B1 (en) * 1998-05-26 2004-11-02 Rockwell Collins Transaction dispatcher for a passenger entertainment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US6931198B1 (en) * 1998-07-15 2005-08-16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oading desired data signal to user-selectable storage unit
US6430357B1 (en) * 1998-09-22 2002-08-06 Ati International Srl Text data extraction system for interleaved video data streams
US6594825B1 (en) * 1998-10-30 2003-07-1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version of an entertainment program based on user preferences
JP4350185B2 (ja) 1998-12-25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レビ電話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テレビ電話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547841B1 (ko) 1998-12-26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휴대폰의 동작 모드 전환 제어 방법
US6297845B1 (en) * 1998-12-29 2001-10-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in-service testing of compressed digital broadcast video
JP4264605B2 (ja) * 1999-03-29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6822580B2 (en) 1999-05-07 2004-11-23 Jimmie L. Ewing Emergency vehicle warning system
JP2001054085A (ja) * 1999-08-12 2001-0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US6469749B1 (en) * 1999-10-13 2002-10-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matic signature-based spotting, learning and extracting of commercials and other video content
US7047191B2 (en) 2000-03-06 2006-05-16 Rochester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captioning for AV signals
JP2001285738A (ja) 2000-03-29 2001-10-12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1309250A (ja) 2000-04-21 2001-11-02 Minolta Co Ltd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システム
JP2001309002A (ja) 2000-04-24 2001-11-02 Sharp Corp 携帯型移動通信端末
JP2001308978A (ja) 2000-04-25 2001-11-02 Niigata Seimitsu Kk 携帯端末装置用のアダプタ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1308993A (ja) 2000-04-25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押ボタン装置
US7565680B1 (en) * 2000-06-30 2009-07-21 Comcast Ip Holdings I, Llc Advanced set top terminal having a video call feature
CN1205820C (zh) * 2000-07-21 2005-06-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号发送装置及信号接收装置
JP4272801B2 (ja) * 2000-08-10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60051064A1 (en) * 2000-09-20 2006-03-09 Bray J R Video control system for displaying user-selected scenarios
KR100778470B1 (ko) * 2001-03-30 200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 자동 선택 장치
US6903779B2 (en) * 2001-05-16 2005-06-07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lated components of a media stream that has been transmitted over a computer network
US6963762B2 (en) * 2001-05-23 2005-11-08 Nokia Corporation Mobile phone using tactile icons
US7881441B2 (en) * 2005-06-29 2011-02-01 Ultratec, Inc. Device independent text captioned telephone service
KR100425302B1 (ko) * 2001-08-25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재생 방법
US20030065503A1 (en) * 2001-09-28 2003-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Multi-lingual transcription system
US8296800B2 (en) * 2001-12-17 2012-10-23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interactive features of electronic program guides from within promotional programming
US7373651B2 (en) * 2001-12-17 2008-05-13 Sedna Patent Services, Llc Metadata structure for providing access to EPG features from within broadcast advertisements
WO2003061285A2 (en) * 2001-12-24 2003-07-24 Scientific Generics Limited Captioning system
WO2003081878A1 (fr) 2002-03-27 2003-10-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US8099325B2 (en) * 2002-05-01 2012-01-17 Saytam Computer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transmission of multimedia based on subscriber behavioral model
JP3953886B2 (ja) * 2002-05-16 2007-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字幕抽出装置
US20040044532A1 (en) * 2002-09-03 2004-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udio caption visualizations
GB2400529A (en) * 2003-04-07 2004-10-13 Internet Pro Video Ltd Electronic device with media manipulation capabilities
US7421477B2 (en) * 2004-03-19 2008-09-02 Media Captioning Services Real-time media captioning subscription framework for mobile devices
US7844684B2 (en) * 2004-03-19 2010-11-30 Media Captioning Services, Inc. Live media captioning subscription framework for mobile devices
US8307402B2 (en) * 2008-01-22 2012-11-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erging voice and data features with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851B1 (ko) * 2005-11-22 2011-07-2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기
KR100757210B1 (ko) 2006-02-20 2007-09-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 오디오 패스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0753040B1 (ko) * 2006-02-23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
KR20160107599A (ko) 2015-03-04 2016-09-19 해주이엔씨 (주) 사석상자층 강제어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3864B1 (en) 2013-09-11
EP2003864A1 (en) 2008-12-17
US7983307B2 (en) 2011-07-19
US20060020991A1 (en) 2006-01-26
US20080123636A1 (en) 2008-05-29
US7502386B2 (en) 2009-03-10
US20080130636A1 (en) 2008-06-05
WO2003081878A1 (fr) 2003-10-02
EP1489818A1 (en) 2004-12-22
DE60235651D1 (de) 2010-04-22
US8265097B2 (en) 2012-09-11
EP1489818B1 (en) 2010-03-10
JPWO2003081878A1 (ja) 2005-07-28
EP1489818A4 (en) 2005-06-29
KR100574733B1 (ko) 200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733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JP4402677B2 (ja) 通信装置
JP3905509B2 (ja)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受信用移動端末における音声通話時のオーディオ信号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US8024758B2 (en) Method for providing a call service and a broadcast service,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therefor
KR20070014198A (ko)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
KR100606000B1 (ko) 통화 서비스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US200800829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igital broadcast data
JP2007201529A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装置
JP4183076B2 (ja) 携帯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8613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상 통화 중 방송 중계 방법
KR1006771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JP4359246B2 (ja) 出力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装置
JP2006211431A (ja) ストリ−ム受信機能付き電話機およびストリーム受信機能付き電話機におけるストリーム再生方法
JP2007074744A (ja) 通信装置
JP2006054613A (ja) Tv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tv駆動方法
JP4618983B2 (ja) 携帯端末
KR100812329B1 (ko)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128573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WO2008001423A1 (fr) téléphone portable
JP2006295286A (ja) テレビ付き通信装置及びそのテレビ番組通知方法
JP2010251975A (ja) テレビ受信機一体型携帯電話装置
JP200729506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