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198A -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198A
KR20070014198A KR1020067026139A KR20067026139A KR20070014198A KR 20070014198 A KR20070014198 A KR 20070014198A KR 1020067026139 A KR1020067026139 A KR 1020067026139A KR 20067026139 A KR20067026139 A KR 20067026139A KR 20070014198 A KR20070014198 A KR 2007001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broadcast
predetermined condition
incoming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285B1 (ko
Inventor
후미아키 마츠모토
미치아키 코이즈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1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65Arrangements for services using the result of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for using the result on users'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Abstract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와,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1O4)와, 메일의 착신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부(1O2)와,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고, 메일의 착신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지 않고, 그 후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는 제어부(1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MOBILE TELEPHONE HAVING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수신 중에 있어서의 메일 착신 통지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의 급속한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방송 수신 기능, 카메라 기능, 게임 기능 등 휴대 전화기 이외의 각종 부속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전화기의 다기능화의 진전에 수반하여,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사용하여 상기 부속 기능을 이용할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부속 기능의 이용 중에, 외부로부터 메일 등의 착신이 있고, 휴대 전화기 본래의 기능에 근거하는 처리가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대하여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상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게임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전화나 메일의 착신 등의 개입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의 의향에 따른 통지 형태에 의한 착신의 통지를 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뜻에 반하는 형태로 실행중의 게임이 중단되는 일 없 이, 착신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3-319020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게임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동 상태에 따른 알림 통지 형태를 선택하여 착신의 통지를 행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방송 수신 기능이 실행되고,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으며, 방송 프로그램 출력 중에 특별한 대응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 수신 기능이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없는 타이밍으로 착신의 통지를 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수단과,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수단과, 메일의 착신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고,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지 않고, 그 후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경우에,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시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 착신 정보가 통지되어도 되는 조건이나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이라도,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해야 할 조건을 소정의 조건으로 하여 휴대 전화기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통지 시기에 착신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조건에는 상기 방송 출력 수단이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있을 것, 상기 방송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레벨이 문턱값 이하일 것, 배터리의 잔류량이 문턱값 이하일 것, 방송 채널 전환 지시의 입력이 있었던 것, 방송 수신 종료 지시의 입력이 있었던 것, 검지된 메일의 착신 정보가 나타내는 메일의 발신처가 특정한 상대방으로부터 일 것, 검지된 메일의 착신 정보중 상기 통지 제어 수단에 의해 통지되어 있지 않은 메일의 착신 정보의 수가 문턱값을 넘고 있는 것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각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사용자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는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 예를 들면 CM 방송 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있는 시점에 있어서,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도중에, 메일 착신 정보가 통지되어서 시청을 방해받는 일 없이,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을 즐길 수 있다.
(2)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도중에, 수신 상태가 나빠져서 시청 곤란한 상태로 된 시점에 있어서, 검지된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시청을 도중에 방해를 받았다고 하는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일 없이,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3) 배터리가 적게 된 것이 검출되면,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이라도, 그 시점에 있어서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의 시청이 장시간 계속되었기 때문에, 그 사이에 착신한 메일의 착신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일 없이, 배터리가 끊겨 버린다고 하는 불편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4) 방송 전환 지시나 종료 지시가 입력되면, 그것을 검출하여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의사가 없어진, 사용자에게 있어서 시청을 방해받아도 지장이 없는 타이밍으로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5) 메일의 발신처가 특정한 상대방의 경우에는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이라도 해당 메일의 착신 정보가 착신한 시점에 있어서, 그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의 시청이 장시간 계속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중요한 상대방으로부터의 메일의 착신이 있었던 것의 통지 시기가 지연된다고 하는 불편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6) 미통지 상태의 메일의 착신 정보의 수가 한계치를 넘으면, 그 시점에 있어서 미통지 상태의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므로, 텔레비전의 시청이 장시간 계속되었기 때문에, 대량의 메일이 착신했음에도 불구하고 메일의 착신 정보가 미통지 인 채 방치된다고 하는 불편을 사용자에게 주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지 제어 수단은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제1의 표시 형태로 통지하고,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정보를 제2의 표시 형태로 통지하고, 그 후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제1의 표시 형태로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경우에,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 메일 착신 정보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시청의 방해가 되지 않는 것과 같은 표시 형태(예를 들면, 착신이 있었던 것만을 나타내는 작은 아이콘의 표시)로 통지하고, 그 이외의 방송 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 메시지의 자세한 내용을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통지한다고 하는 바와 같이, 메일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그것을, 사용자에게 불편을 발생시키지 않는 표시 형태로 통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특정 상대방 리스트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어부(115)가 행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메일 착신 정보의 표시부(105)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6은 제어부(215)가 행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표시 데이터 A 및 B에 근거하는 표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어부(115)가 행하는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의 전환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제어부(215)가 행하는 상기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의 전환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부.
도 10은 제어부(215)가 행하는 상기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의 전환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의 일부.
<부호의 설명>
100, 200 휴대 전화기
101 안테나
102 무선부
103 조작부
104 영상 처리부
105 표시부
106, 206 메모리
107 음성 처리부
108 마이크
109 스피커
110 방송 수신용 안테나
111 TV 방송 수신부
112 전계 강도 측정부
113 배터리 잔류량 측정부
114 배터리
115, 215 제어부
(실시 형태 1)
〈구 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101), 무선부(102), 조작부(103), 영상 처리부(104), 표시부(105), 제어 부(115), 메모리(106), 음성 처리부(107), 마이크(108), 스피커(109), 방송 수신용 안테나(110),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 전계 강도 측정부(112), 배터리 잔류량 측정부(113), 배터리(114)로부터 구성된다.
무선부(102)는 안테나(101)를 통하여 기지국(도외)으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 메일 착신 정보, 음성 신호, 문자 데이터,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처리하여 제어부(115)에 출력하며, 제어부(115) 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변조 처리하고, 안테나(101)를 통하여 기지국에 송신한다.
여기서,「위치 정보」은 제2 세대 무선전화 시스템 표준 규격 RCR-STD -28(RESEARCH AND DEVELOPMENT RADIO SYSTEM STANDARD-28)에 규정된 통지 메시지를 말하며, 위치 정보에는 송신처의 기지국을 식별하는 기지국 식별자, 해당 기지국이 속하는 호출 에어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에어리어 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메일 착신 정보」은 휴대 전화기(100)의 메일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 메일 서버에 외부의 단말로부터 해당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의 전자 메일이 송신된 경우에, 해당 메일 서버로부터 기지국을 통하여 휴대 전화기(100)에 송신되는 해당 전자 메일의 헤더 부분에 기술되어 있는 해당 전자 메일의 수신 일시, 발신 기지 및 발신처의 메일 어드레스, 메일의 타이틀, 메일의 송신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조작부(103)는 각종의 사용자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선택 키나 0 번 ~ 9 번까지의 번호 키 등의 각종 키를 포함하고, 각종 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지시를 수령하여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후술하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방송 수신 지시, 수신하는 방송의 채널을 전환하기 위한 방송 수신 채널 전환 지시, 텔레비전 방송의 수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방송 수신 종료 지시 등의 각종 지시를 수령하여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04)는 제어부(115)로부터 입력된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의 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105)에 출력한다.
표시부(105)는 영상 처리부(104)로부터다 입력된 영상 아날로그 신호에 근거하여, 문자 메시지나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데이터나 메일 착신 정보를 구성하는 문자 데이터에 근거하여 영상이나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메모리(106)는 방송 수신 레벨 및 배터리 잔류량의 각 문턱값, 착신 메일 미통지 허용수, 특정 상대방 리스트, 위치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방송 수신 레벨」및「배터리 잔류량」의 각 문턱값은 후술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에 있어서,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기준으로 되는 방송 수신 레벨 및 배터리 잔류량의 문턱값을 말한다.
또,「착신 메일 미통지 허용수」는 후술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에 있어서,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하는지의 여부의 판정 기준으로 되는 메일 착신 정보를 미통지 상태로 하는 것이 허용되는 최대의 착신 메일 수를 말한다.
또,「특정 상대방 리스트」는 후술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에 있어서,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중에 해당 상대방으로부터의 메일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하는 대상으로 되는 상대방 명칭과 해당 상대방이 소유하는 통신 단말의 메일 어드레스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리스트를 말한다.
도 2는 특정 상대방 리스트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음성 처리부(107)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D/A 변환하여 스피커(109)에 출력하고, 마이크(108)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또, 음성 처리부(107)는 제어부(115)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D/A 변환하여 스피커(109)에 출력한다.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는 제어부(115)로부터 지시된 수신 주파수의 방송파를, 방송 수신용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하고, 전계 강도 측정부(112) 및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전계 강도 측정부(112)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로부터 입력된 방송파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115)에 출력한다.
배터리 잔류량 측정부(113)는 배터리(113)의 전원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115)에 통지한다.
제어부(1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R0M에 격납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 전화기(100)의 전체의 제어를 행한다.
또, 제어부(115)는 R0M에 격납되어 있는 착신 메일 통지제어 프로그램에 따 라, 후술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115)는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로부터 입력된 방송파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분리하고,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04)에,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107)에 출력하고, 추가로 무선부(102)로부터 입력된, 문자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의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104)에, 음성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107)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15)는 분리한 상기 음성 데이터로부터 다중 제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한 신호의 주파수에 근거하여 방송파가 스테레오 방송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해당 판정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테레오 방송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이라고 판정한다.
또, 제어부(115)는 전계 강도 측정부(112)에 의해 측정된 방송파의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중의 방송의 수신 레벨이 문턱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115)는 배터리 잔류량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13)의 전원 전압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배터리 잔류량이 문턱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 동작 >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
도 3은 제어부(115)가 행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15)는 조작부(103)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방송 수신 지시를 받으면(단계 S301),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에 방송 수신을 개시시키고, 수신한 방송파의 영상 처리부(104) 및 음성 처리부(107)에의 출력을 개시하고(단계 S302), 무선부(102)로부터 메일 착신 정보의 착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3).
제어부(115)는 메일 착신 정보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단계 S303 : 예), 수신중의 방송파로부터 검출한 다중 제어신호의 주파수에 근거하여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4).
제어부(115)는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단계 S304 : 예), 입력된 메일 착신 정보를 영상 처리부(104)에 출력하고, 표시부(105)에 메일 착신 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한다(단계 S313).
여기서, 표시부(105)에 있어서의 메일 착신 정보의 표시 형태는 전체 화면표시라도 되며, 화면의 일부에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4는 메일 착신 정보의 표시부(105)에 있어서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또, 제어부(115)는 단계 S304에 있어서,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단계 S304 : 아니오), 전계 강도 측정부(112)로부터 입력되는 방송파의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수신중의 방송의 수신 레벨이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문턱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5).
제어부(115)는 수신중의 방송의 수신 레벨이 메모리(106)에 기억되고 있는 문턱값 이하인 경우(단계 S305 : 예), 단계 S313의 처리로 이행하고, 문턱값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 S305 : 아니오), 다시, 조작부(103)를 통하여 방송 수신 채널 전환 지시의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6).
제어부(115)는 방송 수신채널 전환 지시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306 : 예), 입력된 메일 착신 정보를 영상 처리부(104)에 출력하고, 표시부(105)에 메일 착신 정보를 표시시킴으로써,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하여(단계 S312), 단계 S302의 처리로 이행하며,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306 : 아니오), 다시, 조작부(103)를 통하여 방송 수신 종료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7).
제어부(115)는 방송 수신 종료 지시의 입력이 있었던 경우(단계 S307 : 예), 단계 S313의 처리로 이행하며, 입력이 없었던 경우(단계 S307 : 아니오), 다시, 배터리 잔량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113)의 전원 전압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배터리 잔량이 문턱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8).
제어부(115)는 배터리 잔량이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문턱값 이하인 경우(단계 S308 : 예), 단계 S313의 처리로 이행하며, 문턱값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 S308 : 아니오), 다시, 입력된 메일 착신 정보에 근거하여, 메일의 발신 기지의 메일 어드레스를 특정하고, 특정한 메일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메일 어드레스가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특정 상대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메일 착신 정보가 나타내는 발신 기지가 특정한 상대방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09).
제어부(115)는 특정한 메일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메일 어드레스가 메모 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특정 상대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메일 착신 정보가 나타내는 발신 기지가 특정한 상대방이라고 판정하고(단계 S309 : 예), 단계 S313의 처리로 이행하며, 특정한 메일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메일 어드레스가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특정 상대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메일 착신 정보가 나타내는 발신 기지가 특정한 상대방이 아니라고 판정하고(단계 S309 : 아니오), 다시, 메일 착신 정보가 미통지의 메일의 수가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미통지 허용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10).
제어부(115)는 메일 착신 정보가 미통지의 메일의 수가 메모리(106)에 기억되어 있는 미통지 허용수를 초과하는 경우(단계 S310 : 예), 단계 S313의 처리로 이행하고, 초과하지 않는 경우(단계 S310 : 아니오), 입력된 메일 착신 정보를 홀딩하며(단계 S311), 단계 S303의 처리로 이행한다.
제어부(115)는 단계 303에 있어서, 메일 착신 정보의 착신이 없는 경우(단계 S303 : 아니오), 홀딩중의 메일 착신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314), 있는 경우(단계 S314 : 예), 단계 S304의 처리로 이행하며, 없는 경우(단계 S314 : 아니오), 단계 S303의 처리로 이행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방송 수신중에 메일 착신 정보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에,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CM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 메일 착신 정보를 표시부(105)에 즉시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신중의 방송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마음에 드는 방 송 프로그램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경우에, 즉시 메일 착신 정보를 표시부(105)에 표시시키는 점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상이하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테나(101), 무선부(102), 조작부(103), 영상 처리부(104), 표시부(105), 제어부(215), 메모리(206), 음성 처리부(107), 마이크(108), 스피커(109), 방송 수신용 안테나(110), 텔레비전 방송 수신부(111), 전계 강도 측정부(112), 배터리 잔량 측정부(113), 배터리(114)로부터 구성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메모리(206)는 메모리(106)가 기억하고 있는 방송 수신 레벨 및 배터리 잔량의 각 문턱값, 착신 메일 미통지 허용수, 특정 상대방 리스트, 위치 정보에 더하여 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의 어드레스,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는 소정 기간내에 방송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이 속하는 장르, 방송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아티스트명 등), 프로그램명, 방송 시간대,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국의 주파수 등으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접 속되고, 휴대 전화기(100)를 통하여 송신되는 수신 주파수 및 현재 시각에 따라, 해당 수신 주파수와 현재 시각에 해당 하는 방송 프로그램 명칭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방송 프로그램 명을 휴대 전화기(200)에 송신하는 서버를 말하며, 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와 휴대 전화기(200)는 전기 통신회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는 미리 사용자에 의해서 등록된, 사용자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 명칭의 리스트를 말한다.
제어부(215)는 시각 계측부(2051)를 구비하고, 그 외 제어부(215)가 가지는 기능은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의 동작에 있어서, 제어부(115)가 가지는 기능과 상이하다.
시각 계측부(2051)는 시각을 계측하고, 제어부(215)에 통지한다.
도 6은 제어부(215)가 행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에 있어서, 제어부(115)가 행하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도 3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는 단계 번호와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동작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15)는 단계 S303에 있어서, 메일 착신 정보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단계 S303 : 예), 메모리(206)에 기억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의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해당 어드레스의 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에 무선부(102)를 통하여 접속하고, 시각 계측부(2051)로부터 현재 시각을 취득하고, 취득한 현재 시각과 출력중의 방송의 수신 주파수를 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에 통지하고, 해당하는 방 송 프로그램명의 검색을 의뢰하고(단계 S601), 의뢰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검색 서버로부터 송신되는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명을 특정하고(단계 S602),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명이 메모리(206)에 기억되어 있는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03).
제어부(215)는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명이 메모리(206)에 기억되어 있는 마음에 드는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단계 S603 : 아니오), 단계 S313의 처리로 이행하며,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 S603 : 예), 단계 S305의 처리로 이행한다.
도 6의 단계 S301 ~ 단계 S303 및 단계 S305 ~ 단계 S314의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이 끝난 상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 보충 >
이상, 본 발명에 관한 휴대 전화기(100 및 200)에 대해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1)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에 있어서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하고,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메일 착신 정보를 통지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으나,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만족하지 않는 것에 의해,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의 방법을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메모리(106 및 206)에 각각 2 종류의 메일 착신을 나타내는 표시용 데이터와 표시 미통지 허용수를 미리 기억해 두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A에 근거하는 표시(예를 들면, 메일 타이틀 및 발신 기지를 나타내는 문자 메시지)를 표시부의 화면 전체 또는 일부에 표시시키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데이터 B에 근거하는 표시(예를 들면, 메일의 아이콘 화상)를 표시부의 모서리에 작게 표시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표시 미통지 허용수」는 상기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의 전환 제어 처리에 있어서, 메일 착신 정보를 표시 데이터 A에 근거하는 표시에 의해 통지할 것인가의 여부의 판정 기준으로 되는 메일 착신 정보를 표시 데이터 A에 근거하는 표시에서 미통지 상태로 하는 것이 허용되는 최대의 착신 메일수를 말한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의 구체적인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b)는 표시 데이터 A에 근거하는 표시의 구체적인 예(여기서는 표시 데이터 A 및 메일 착신 정보가 나타내는 메일 타이틀 및, 메일 어드레스의 합성표시 예)를 나타내며, 도 7(a)는 표시 데이터 B에 근거하는 표시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제어부(115)가 행하는 상기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의 전환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9 및 도 10은 제어부(215)가 행하는 상기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 방법의 전환 제어 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 및 도 6에 있어서, 제어부(115) 및 제어부(215)가 행하는 착신 메일 통지 제어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대해서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도,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하,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동작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 다.
제어부(115 및 205)는 각각 도 8 및 도 9의 단계 S306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단계 S306 : 예), 메모리(106 및 206)로부터 각각, 표시 데이터 A를 판독하고, 표시 데이터 A와 취득한 또는 홀딩중의 메일 착신 정보에 근거하여 합성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104)에 출력하고, 휴대 전화기(100 및 200)의 각 표시부(105)에 합성 표시 데이터에 근거하는 표시시킴으로써,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를 한다(단계 S803).
또, 제어부(115 및 205)는 각각 도 8 및 도 10의 단계 S309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에(단계 S309 : 아니오), 생성한 합성 표시 데이터에 근거하는 표시로 미통지의 메일 착신 정보의 수가 표시 미통지 허용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도 8 및 도 10의 단계 S801), 초과하지 않는 경우(도 8 및 도 10의 단계 S801 : 아니오), 메모리(106 및 206)로부터 각각, 표시 데이터 B를 판독하여 영상 처리부(104)에 출력하고, 표시 데이터 B를 휴대 전화기(100 및 200)의 각 표시부(105)에 표시 데이터 B에 근거하는 표시시킴으로써,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를 하고(도 8 및 도 10의 단계 S802), 단계 S312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 제어부(115 및 205)는 각각 도 8, 도 9 및 도 10의 단계 S304, 305, 307 ~ 309 및 단계 S801 중 어느 하나의 판정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에, 메모리(106 및 206)로부터 각각 표시 데이터 A를 판독하고, 표시 데이터 A와 취득한 또는 홀딩중의 메일 착신 정보에 근거하여 합성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영상 처리부(104)에 출력하고, 휴대 전화기(100 및 200)의 각 표시부(105)에 합성 표시 데이터에 근거 하는 표시시킴으로써, 메일 착신 정보의 통지를 한다(단계 S804).
단계 S301 ~ S309 및 단계 S311 및, 단계 S314의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이 끝난 상태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 또, 본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 수신하는 방송은 디지털 방송이거나 아날로그 방송이라도 된다.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송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이 CM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송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CM 식별 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수신측에서 CM 식별 코드가 검출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제어부(115)는 실시 형태 1의 도 3의 단계 S304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전자 프로그램표를 송신하는 신호를 추출하고, 해당 전자 프로그램표에 근거하여 제어부(215)는 도 6의 단계 S602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3) 또, 본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기(100 및 200)는 텔레비전 방송에 대해 메일 착신 정보 통지 제어 처리를 행하고자 하였으나, 라디오 방송에 대해서도 각각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방송 수신중에 있어서의 메일 착신 통지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 수단과,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 수단과,
    메일의 착신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수단과,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고,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지 않고, 그 후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방송 출력 수단이 특정한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방송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레벨이 문턱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배터리의 잔량이 문턱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방송 채널 전환 지시의 입력이 있었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방송 수신 종료 지시의 입력이 있었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검지된 메일의 착신 정보가 나타내는 메일의 발신 기지가 특정한 상대방으로부터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검지된 메일의 착신 정보중, 상기 통지 제어 수단에 의해 통지되어 있지 않는 메일의 착신 정보의 수가 문턱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 수단은
    방송 프로그램 출력중에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제1의 표시 형태로 통지하고,
    메일의 착신 정보가 검지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정보를 제2의 표시 형태로 통지하고, 그 후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정보를 제1의 표시 형태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
KR1020067026139A 2004-05-12 2006-12-12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 KR101081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2552 2004-05-12
JP2004142552A JP4505257B2 (ja) 2004-05-12 2004-05-12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PCT/JP2005/008532 WO2005109831A1 (ja) 2004-05-12 2005-05-10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198A true KR20070014198A (ko) 2007-01-31
KR101081285B1 KR101081285B1 (ko) 2011-11-08

Family

ID=3532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139A KR101081285B1 (ko) 2004-05-12 2006-12-12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28560B2 (ko)
JP (1) JP4505257B2 (ko)
KR (1) KR101081285B1 (ko)
CN (1) CN100556049C (ko)
WO (1) WO20051098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87A (ko) * 2019-03-04 2020-09-14 현대위아 주식회사 매입형 영구자석 구동모터의 초기위치 자동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01919D0 (en) * 2006-01-31 2006-03-15 Sonaptic Ltd Themes for a mobile device
JP4728920B2 (ja) * 2006-09-15 2011-07-20 Necパーソナ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番組視聴システムおよび番組視聴方法
KR101405804B1 (ko) * 2007-11-27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송채널자동 변경 장치 및 방법
CN101447843B (zh) * 2008-06-16 2010-10-27 北京大学 多设备间事件信息实时共享方法
JP4991671B2 (ja) * 2008-10-15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1790054B (zh) * 2009-01-23 2013-05-01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即时信息显示模块与即时信息显示方法
US20110066942A1 (en) 2009-09-14 2011-03-17 Barton James M Multifunction Multimedia Device
GB2475237B (en) * 2009-11-09 2016-01-06 Skyp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ignalling and media
US20110137976A1 (en) * 2009-12-04 2011-06-09 Bob Poniatowski Multifunction Multimedia Device
US8682145B2 (en) 2009-12-04 2014-03-25 Tivo Inc. Recording system based on multimedia content fingerprints
JP4941871B2 (ja) * 2010-03-08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GB201005465D0 (en) 2010-03-31 2010-05-19 Skype Ltd Television set
GB201005458D0 (en) 2010-03-31 2010-05-19 Skype Ltd Media appliance
GB201005454D0 (en) 2010-03-31 2010-05-19 Skype Ltd Television apparatus
GB2479180B (en) 2010-03-31 2016-06-01 Skype System of user devices
US8639232B2 (en) * 2010-09-30 2014-01-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manage processes of a mobile device based on available power resources
US10404762B2 (en) 2010-12-31 2019-09-03 Skyp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291660B2 (en) 2010-12-31 2019-05-14 Skyp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8963982B2 (en) 2010-12-31 2015-02-24 Skyp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717090B2 (en) 2010-12-31 2017-07-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notifications of call-related services
GB2489399A (en) * 2011-03-21 2012-10-03 Sony Corp Suppression of further notifications during initial notification handling and automatic recording of parallel video/audio upon notification display
US9372556B2 (en) 2011-06-28 2016-06-21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nform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5873951B2 (ja) * 2011-06-28 2016-03-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3016915A (ja) * 2011-06-30 2013-01-24 Toshiba Corp 情報通信端末及び情報通信端末で使用される制御方法
JP2012029340A (ja) * 2011-11-09 2012-02-09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019336B2 (en) 2011-12-30 2015-04-28 Skype Making calls using an additional terminal
GB201301452D0 (en) 2013-01-28 2013-03-13 Microsoft Corp Providing notifications of call-related services
JP2013137827A (ja) * 2013-03-25 2013-07-11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受信メール表示方法及び受信メール表示プログラム
JP6284456B2 (ja) * 2014-08-27 2018-02-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2016192121A (ja) * 2015-03-31 2016-11-1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0249A1 (en) 1994-01-20 1995-07-27 Nippon Steel Corporation Satellite-broadcast receiving mobile antenna apparatus
US6108316A (en) * 1997-07-25 2000-08-22 At & T Corp Adaptive scheduling priorities based on battery power level in wireless access protocols
JP3212921B2 (ja) * 1997-09-17 2001-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端末機
US6289461B1 (en) * 1998-06-09 2001-09-11 Placeware, Inc. Bi-directional process-to-process byte stream protocol
FR2783979B1 (fr) 1998-09-28 2000-11-10 Cit Alcatel Dispositif electronique portable avec circuit de controle de la decharge d'une batterie, et procede associe
US20020087973A1 (en) * 2000-12-28 2002-07-04 Hamilton Jeffrey S. Inserting local signals during MPEG channel changes
JP4350185B2 (ja) * 1998-12-25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レビ電話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テレビ電話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1101095A (ja) * 1999-09-29 2001-04-13 Sharp Corp 電子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
JP2000270290A (ja) * 2000-06-06 2000-09-29 Kids City:Kk 放送記録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CN1288202A (zh) 2000-06-23 2001-03-21 林海 一种防止垃圾电子邮件的方法
JP4360033B2 (ja) * 2001-01-29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2002288084A (ja) * 2001-03-28 2002-10-04 Aiwa Co Ltd 情報着信処理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機能を有した受信装置
JP2003046601A (ja) * 2001-08-02 2003-02-14 Sharp Corp 通信装置
US7536704B2 (en) * 2001-10-05 2009-05-19 Opentv, Inc. Method and apparatus automatic pause and resume of playback for a popup on interactive TV
JP2003224626A (ja) * 2002-01-30 2003-08-08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で用いられる着信通知制御方法、及び着信通知制御プログラム
JP2003319020A (ja) * 2002-04-24 2003-11-07 Kyocera Corp 携帯端末
JP2004005492A (ja) * 2002-04-26 2004-01-08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動画付き文書表示方法および動画付き文書表示プログラム
JP2004072472A (ja) * 2002-08-07 2004-03-04 Sharp Corp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112406B2 (ja) * 2003-03-18 2008-07-02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87A (ko) * 2019-03-04 2020-09-14 현대위아 주식회사 매입형 영구자석 구동모터의 초기위치 자동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28560B2 (en) 2013-04-23
US20090017792A1 (en) 2009-01-15
WO2005109831A1 (ja) 2005-11-17
JP2005328167A (ja) 2005-11-24
JP4505257B2 (ja) 2010-07-21
KR101081285B1 (ko) 2011-11-08
CN1951090A (zh) 2007-04-18
CN100556049C (zh)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285B1 (ko) 방송 수신 기능 첨부 휴대 전화기
KR100574733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7986978B2 (en) Hands-free apparatus
US2009026407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lume adjusting method for audio device
EP194259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informat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42710A1 (en) Mobile terminals with media tuning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353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JP468062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776001B2 (ja) 携帯型地上波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20090013373A1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Receiving Television Broadcast
JP4419747B2 (ja) 緊急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632506B1 (ko) 방송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KR10067718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중 착신 호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JP4823365B2 (ja) 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JP2004343427A (ja) 携帯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JP4501833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情報受信方法
JP4178125B2 (ja) 放送を受信可能な携帯電話機
US201201514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portable terminal
JP2005057699A (ja) 放送受信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JP2009200650A (ja) 携帯通信端末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放送視聴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63018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메시지를 통한 통화수행방법
JP2012010270A (ja) 携帯端末装置
WO2005067266A1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0634016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チャンネル表示方法
KR100605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통화 중 번호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