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766A -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766A
KR20030091766A KR10-2003-0032859A KR20030032859A KR20030091766A KR 20030091766 A KR20030091766 A KR 20030091766A KR 20030032859 A KR20030032859 A KR 20030032859A KR 20030091766 A KR20030091766 A KR 20030091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document
pen
electronic pen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0954B1 (ko
Inventor
시라이시요꼬
다자와나오꼬
이께다히사시
사꼬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9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mage In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전자 펜을 이용하여 서류에 기입할 때에 이력 정보 파일(46)을 구성하는 서류 정보 파일(48)과 전자 펜 정보 파일(49)을 참조함으로써, 그 서류에 대한 기입자의 기입 권한을 전자 펜의 펜 ID와 전자 펜 정보 파일(49)로부터 판정 수단(61)이 판정하고, 그 서류에 대한 기입 순서를 펜 ID, 서류에 부여된 서류 ID 및 서류 정보 파일(48)로부터 판정 수단(62)이 판정한다. 판정 결과는 작성 수단(63)에 의해 통신 제어 장치(41)를 거쳐서, 전자 펜에 송신된다.

Description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SYSTEM FOR FILLING IN DOCUMENTS USING AN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되는 전자 펜 과 전자 처리용 페이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관공서나, 시청 혹은, 기업 등에서 문서 관리나 조회 등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신청서나 회람서 등의 서류의 전자 처리화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서류에 수기(手記)로 기록된 정보를, 바로 전자 데이터화하는 기술로서는, PCT 특허 출원의 국제 공표 번호 WO01/48590A1호 국제 공표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실현되는 전자 펜과, 전자 처리용 페이퍼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전자 처리용 페이퍼는, 특수한 도트 패턴이 형성된 지면(紙面)에, 서류의 포맷이 인쇄된 것이다. 도트 패턴은, 지면을 소정 사이즈의 격자로 구획하여 본 경우에, 그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도트를 고유하게 배열시킨 것으로, 방대한 영역에 형성된 도트 패턴의 일부가 할당된 것이다. 또한, 전자 펜은 잉크를 지면에 정착시킴으로써 기입한 문자 등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펜과, 지면의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카메라와, 펜에 작용하는 펜 압력을 검출하는 압전 소자와, 카메라와 압전 소자로부터 취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문자 등의 궤적에 대한 좌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작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와,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해 두는 메모리와, 위치 정보를 다른 장치 등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 처리용 페이퍼를 이용한 서류에 전자 펜을 사용하여 필요 사항을 기입하면, 압전 소자가 펜 압력을 검출할 때마다 카메라로 판독한 도트에 기초하여 펜 끝의 위치 정보를 작성한다. 작성된 위치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서류의 기입이 종료하면, 무선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송신된 데이터는 위치 정보와 서류의 포맷을 대응시키는 해석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고, 필요에 따라서 문자 인식 등이 행해진 후에 전자화된 서류가 된다.
그러나, 복수의 기입자가 순서대로 기입할 필요가 있는 서류의 경우에는, 특정한 사람이 특정한 란에 기입한 것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복수의 기입자 사이의 기입 순서를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기입 권한이나 기입 순서의 설명서를 서류에 첨부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자료 수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펜을 사용하여 서류를 작성할 때에, 기입자가 기입 권한의 유무나, 기입 순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서류 기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서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해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이력 정보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서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이력 정보 파일을 작성할 때 이용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서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전자 펜 정보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서류 정보 파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류 기입 시스템
2, 71 : 신청서(서류)
3 : 전자 펜
4 : 해석부
22 : 서류 ID 박스
23, 24, 25 : 기입란
26 : 송신란
41 : 통신 제어 수단(통신 수단)
46 : 이력 정보 파일
48 : 전자 펜 정보 파일
49 : 서류 정보 파일
62 : 판정 수단
63 : 작성 수단
72 : 전자 펜 확인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전자 펜과 전자 처리용 페이퍼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 서류와 기입자에 대하여 대응하는 이력 정보 파일을 활용하여, 기입자가 그 서류에 대한 기입 권한의 유무를 갖는지, 또는, 기입 순서가 올바른지의 여부 등을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를 기입자에게 통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전자 펜은 기입자의 시청각에 호소함으로써 기입자에게 통지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서류 기입 시스템에 사용되는 서류에는, 기입자의 기입 권한이나, 기입 순서를 확인하는 체크란을 마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파일을 전자 펜 자체를 이용하여 작성하기 위한 정의용 페이퍼를 활용하면, 서류 기입 시스템의 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류 기입 시스템(1)은 고유한 도트 패턴이 인쇄된 전자 처리용 페이퍼로서 기능하는 서류인 신청서(2)와, 신청서(2)에 필요 사항을 기입하는 전자 펜(3)과, 전자 펜(3)으로 작성된 위치 정보를 해석하는 해석 장치인 해석부(4)와, 기입 순서 등이 미리 정의된 이력 정보 파일(46)과,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업무 처리를 행하는 업무 처리부(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해석부(4) 및 업무 처리부(6)는 1개의 컴퓨터 단말 장치 내에 형성되어도 되고, 해석부(4)와 업무 처리부(6)가 다른 2개의 컴퓨터 단말 장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분할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2개의 컴퓨터 단말 장치는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신청서(2)는,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도트 패턴(일부만 도시)(21)과, 신청서(2)를 식별하기 위한 서류 ID 박스(22)와, 신청서(2)에 필요한 정보를 기입하는 제1 기입란(23), 제2 기입란(24) 및 제3 기입란(25)과, 전자 펜(3)에 축적된 펜 끝의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해석부(4)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허가 박스인 송신란(2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면에 인쇄되어 있는 도트 패턴(21)은, 방대한 양의 도트를 배열시킨 전체 도트 패턴(27) 중에서, 일부의 영역(27a)을 신청서(2)용으로 할당한 것이다. 또한, 서류 ID 박스(22)에 인쇄되어 있는 도트 패턴은, 신청서(2)용으로 할당된 도트 패턴(21)의 일부를 이용하여도 되고, 서류 ID 박스(22)용으로, 다른 영역(27b)의 도트 패턴을 할당하여도 된다. 다른 영역(27b)은, 전자 펜(3) 내에서 서류의 종류를 판정할 수 있도록 특별히 정의된 영역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에 구성을 도시한 전자 펜(3)은, 신청서(2)에 필요 사항을 기입하기 위한 필기 수단인 펜(31)과, 신청서(2)에 인쇄된 도트 패턴을 판독하는 카메라(32)와, 기입 시에 펜(31)에 작용하는 펜 압력을 검출하는 압전 소자(33)와, 카메라(32)와 압전 소자(33)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문자 등의 궤적에 대한 좌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작성하는 처리 장치(34)와, 위치 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해 두는 메모리(35)와, 위치 정보를 다른 장치 등에 송신하기 위한 무선 전송 장치(36)와, 후술하는 기입 시에 행해지는 판정 결과를 피드백하여 기입자에게 알리기 위해 이용되는 통지 수단(37)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전송 장치(36)의 예로서는,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의 일 규격인 블루투스(Bluetooth; 등록상표)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예로 들 수 있지만, 그 밖의 무선 기술이나, 무선 LAN, 혹은, 유선 통신 기술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메모리(34)에는, 전자 펜(3)마다 할당된 고유한 식별 정보인 펜 ID가 기억되어 있다.
통지 수단(37)은, 그 신청서(2)에 대한 기입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나, 기입 권한을 갖고는 있지만, 기입란을 다른 곳으로 착각한 경우에, 그 취지를 전자 펜(3)을 진동시켜서, 촉각에 의해 기입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진동 소자이다. 또, 통지 수단(37)은 빛의 점등, 점멸 등에 의해 시각을 통하여 알리는 발광 소자나, 소리의 발생에 의해 청각을 통하여 기입자에게 알리는 음원 등, 기입자에게 판정 결과를 알리는 수단이면, 어떠한 구성을 갖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전자 펜(3)은, 이러한 통지 수단(37)을 갖음으로써, 기입 실패에 대하여 신속한 대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 장치(3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ROM(Read Only Memory), 전기·전자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리 장치(34)의 기능으로서는, 상기한 위치 정보의 관리와 전송, 통지 수단(36)의 가동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위치 정보의 관리란, 압전 소자(33)와 카메라(32)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하여 위치 정보를 작성함과 함께, 메모리(35)에 대한 기입·판독을 행하는 처리이다. 위치 정보의 전송이란, 신청서(2)의 송신 허가 박스로서 기능하는 서류 ID 박스(22) 혹은 송신란(26)의 체크를 받아, 무선 전송 장치(36)를 제어하여, 해석부(4)에 펜 ID, 서류 ID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처리이다. 통지 수단(37)의 가동이란, 해석부(4)가 펜 ID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허가받지 않은 사람에 의한 기입이나, 허가받지 않은 란으로의 기입이나, 올바른 기입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의 정보(이하, 불가 정보라 함)를 전자 펜(3)이 해석부(4)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에, 불가 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통지 수단(37)을 가동시키는 처리이다.
도 3에 그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바와 같이, 해석부(4)는 전자 펜(3)으로부터의 정보를 수취하는 통신 수단인 통신 제어 장치(41)와, 각종 파일 등이 구축되는 기억 장치(42)와,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43)를 적어도 갖고, 이것에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 장치(44)나,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45)를 포함하여도 된다. 통신 제어 장치(41)는, 전자 펜(3)과 직접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것이지만, 전자 펜(3)과의 사이에 중계 장치를 설치하고, 중계 장치와 해석부(4) 사이를 유선의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상기한 무선 전송 기술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41) 대신에, 통신망에 적합한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통신 제어 장치가 적용된다.
기억 장치(4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며, 처리 장치(43)에 전개·기동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억 장치(42)에 구축되는 파일로서는, 서류마다 기입에 이용되는 전자 펜(3)이나 기입 순서 등을 정의한 이력 정보 파일(46)과, 위치 정보와 서류를 대응시키기 위한 패턴 데이터베이스(47)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력 정보 파일(46)은, 신청서(2)와 전자 펜(3)을 대응시키기 위해 준비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층 구조를 갖고 있다. 그 제1 계층(51)에는, 신청서(2) 등의 서류 수가 저장되는 서류 수(52)와, 각 서류의 상세한 정의를 행하는 데이터군의 메모리 상의 선두 어드레스가 저장된 서류 포인터(53)(서류1 포인터(53a), 서류2 포인터(53b), …)를 갖고 있다. 이 서류 포인터는 서류 수(52)로 정의한 수만큼 작성되어 있다.
제2 계층(54)은 서류 포인터(53)에 저장된 어드레스로부터 개시되고, 서류 ID(55)와, 그 서류에 대한 기입이 허가된 전자 펜(3)의 수를 저장하는 기입 펜 수(56)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하, 기입 펜 수(56)에서 정의된 전자 펜(3)에 상당하는 수만큼, 전자 펜(3)과 기입란(23∼25)과의 대응 관계를 정의하거나, 기입 순서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가 기입 순서에 따라서 배열된다. 이러한 정보로서는, 전자 펜(3)의 펜 ID(57)(펜 ID(57a), 펜 ID(57b), …)와, 펜 ID(57)로 정의된 전자 펜(3)으로 기입이 행해지는 기입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의 선두 어드레스가 저장된 펜 ID 기입란 포인터(58)(펜 ID 기입란 포인터(58a), 펜 ID(2) 기입란 포인터(58b), …)와, 기입 순서를 정의하기 위한 기입 순서 영역(59)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펜 ID 기입란 포인터(58)는 펜 ID(57)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다.
제3 계층(60)은, 펜 ID 기입란 포인터(52d)에 저장된 어드레스로부터 개시되고, 기입이 허가되어 있는 기입란(23∼25)의 영역을 좌표 등으로 정의한 기입란 범위(61)(기입란 범위(61a), 기입란 범위(61b) 등) 및 그 기입 범위에 대한 기입이 완료되었을 때에 플래그를 설정하는 기입 완료 플래그(62)(기입 완료 플래그(62a), 기입 완료 플래그(62b))를 예로 들 수 있다. 마련된 기입란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기입란 범위(61)에는 복수의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기입 완료 플래그(62)는 기입란 범위(61)에 대응하여 배열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패턴 데이터베이스(47)는 도트 패턴과 도 2에 도시한 신청서(2)의 각 란(22∼26)이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다. 즉, 신청서(2)를 전자 데이터로서 처리를 개시하기 위해서는, 패턴 데이터베이스(47)에 등록되어 있는 도트 패턴의 일부를 신청서에 할당함과 함께, 패턴 데이터베이스(47)에 신청서(2)의 서식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처리 장치(43)는 CPU, RAM(Random Access Memory), ROM 등으로 구성되고, 해석부(4)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처리 장치(43)에서의 본 실시예의 고유한 기능으로서는, 펜 ID를 포함하는 위치 청보의 수신이나, 불가 정보의 송신 혹은, 업무 처리 어플리케이션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 밖에 전자 펜(3)과 기입란(22∼26)과의 대응 관계의 정합을 판정하거나, 기입 순서에 대한 정합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62), 위치 정보와 패턴 데이터베이스(47)로부터 신청서(2)의 형식에 맞춘 이미지 데이터를 작성하거나, 상기한 불가 정보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63)을 예로 들 수 있다.
펜 ID가 부여되어 송신되는 위치 정보의 수신은, 통신 제어 장치(41)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전자 펜(3)이나 기입란(22∼26)에 관한 판정은, 상기한 이력 정보 파일(46)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판정한다. 불가 정보의 송신이란, 상기한 판정 결과, 전자 펜(3)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의 내용이 이력 정의 파일(46)에 정의되어 있는 내용과 다른 경우에, 그 취지를 전자 펜(3)에 송신하는 처리로서, 통신 제어 장치(41)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미지 데이터의 작성은 위치 정보를 시계열로 처리함으로써 기입된 문자 등을 이미지로서 재현하고, 이미지 데이터에, 패턴 데이터베이스(47)에 등록되어 있는 신청서(2)의 서식으로부터 이미지를 매립하는 위치를 부여하는 처리이다. 또, 이미지 데이터를 공지의 문자 인식 기술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이미지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기억 장치(42)에 텍스트 정보가 등록된 문자 인식용 데이터베이스가 기억된다. 업무 처리부(6)에 대한 데이터 송신은 통신 제어 장치(41)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업무 처리부(6)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신청서의 실제의 처리를 행하는 단말 장치로서, 도시하지 않은 통신 제어 장치나, 기억 장치, 처리 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갖는 공지의 컴퓨터 장치이다. 여기서의 업무 처리의 예로서는, 이미지 데이터의 작성에 의해 얻어진 이미지를 이용한 업무 흐름, 혹은,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인식 등을 하여 얻어지는 텍스트 데이터를 핸들링하는 처리를 예로 들 수 있다. 업무 처리부의 구성 및 처리는, 신청서(2)를 전자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처리하는 외에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전자 펜(3)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1)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도 5의 흐름도를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3개의 전자 펜(3)을 이용하여 도 2에 도시한 신청서(2)를 작성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단계 S1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서류 ID 박스(22)의 위치 정보의 추출을 행한다. 이 처리는, 제1 전자 펜(3)을 이용하여 서류 ID 박스(22)에 체크 마크를 기입함으로써 행해지고,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작성한 펜 끝의 위치 정보를 전자 펜(3)의 처리 장치(34)(도 1 참조)가 작성하고, 해석부(4)에 송신하는 것이다.
단계 S2는 서류의 특정, 여기서는 신청서(2)의 특정을 행한다. 먼저 구해진 위치 정보에 포함되는 서류 ID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력 정보 파일(46)을 검색하여 서류를 특정한다. 이 서류 ID는, 미리 등록하고 있는 위치 좌표 정보와 서류 ID와의 대응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계층 구조를 도시한 이력 정보 파일(46)의 제2 계층(54)의 데이터군으로부터, 취득한 서류 ID와 동일한 서류 ID가 저장되어 있는 서류 ID(55) 어드레스를 특정하는 것이다.
단계 S3은, 신청서(2)에 대한 제1 전자 펜(3)의 기입 권한의 유무의 판정을 행한다. 이 처리는, 서류 ID에서 특정된 제2 계층(52)의 데이터에서의 펜 ID(57)에 주목하여 행해진다. 즉, 판정 수단(62)은 전자 펜(3)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펜 ID의 값과, 펜 ID(57)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비교한다. 판정 결과, 일치하는 펜 ID의 값이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전자 펜(3)은 이 신청서(2)에 대한 기입 권한을 갖는다(권한이 있다)고 판정하고,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한편, 일치하는 펜 ID의 값이 펜 ID(57)에 없는 경우에는, 그 전자 펜(3)은 이 신청서(2)에 대한 기입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권한이 없다)고 판정하고, 단자 A로부터 진행하는 단계 S4 및 단계 S5의 처리를 행한다.
또, 단계 S4는, 전자 펜(3)에 기입 권한이 없을 때 등에 불가 정보를 통신 제어 장치(41)로부터 전자 펜(3)에 송신하는 처리이다. 불가 정보는, 전자 페이지(3)에 내장된 통지 수단(37)의 가동 명령으로서, 펜 ID를 지정하여 작성 수단(63)(도 3 참조)에 의해 작성된다. 계속되는 단계 S5에서는, 불가 정보를 수취한 전자 펜(3)이 통지 수단(37)을 이용하여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통지한다. 불가 정보는 전자 펜(3)의 무선 전송 장치(36)로부터 처리 장치(34)로 전달되고, 처리 장치(34)로부터 통지 수단(37)에 가동을 위한 신호가 출력된다. 통지 수단(37)은 신호의 입력에 의해, 전자 펜(3) 그 자체를 진동시키는 등으로 알린다. 이 경우에는, 서류 ID 박스(22)로의 체크에 대한 판정 결과이기 때문에, 전자 펜(3)이 진동하면, 그 전자 펜(3)을 사용하고 있는 기입자는 자신이 그 신청서(2)에 기입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바로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6에서는, 전자 펜(3)의 기입 순서를 판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이력 정보 파일(46)의 제2 계층(54)의 기입 순서 영역(59)을 참조하여, 여기에 저장되어 있는 기입란 포인터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기입 완료 플래그(62)를 순서대로 체크하고, 마지막의 기입 완료 플래그(62)를 검출함으로써 개시된다. 그리고, 마지막의 기입 완료 플래그(62)를 검출하면, 그 기입 완료 플래그(62)가 설정될 때에 이용된 전자 펜(3)의 펜 ID(57)를 취득한다. 이 펜 ID(57)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전자 펜(3)의 펜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판정 수단(62)(도 1 참조)은, 기입 순서가 "올바르다"라고 판정하여 단계 S7로 진행한다. 한편,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입 순서가 "오류"라고 판정하여 단계 S4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현재 사용할 수 있는 펜 ID(마지막으로 기재한 펜 ID의 다음 펜 ID)를 검출할 수 있어, 이 ID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펜의 ID를 비교함으로써, 기입 순서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서는, 최초의 전자 펜(3)에 의한 기입이기 때문에, 기입 완료 플래그(62)는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첫번째의 펜 ID(57a)를 취득하고, 펜 ID(57a)와 1개째의 전자 펜(3)으로부터 취득하는 펜 ID를 비교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7은, 단계 S3에서 기입 권한을 갖는다고 판정된 경우에 행해지고, 전자 펜(3)이 다른 기입란(23∼26)에 대한 위치 정보의 작성을 행하는 처리이다. 상기한 처리에서 예를 들면, 전자 펜(3)의 펜 ID의 값과, 펜 ID(57a)에 저장되어 있는 값이 일치한 경우에는, 기입란(23∼26)에 순서대로 체크 마크나 문자, 선화 등의 필요한 사항이 기입되므로, 전자 펜(3)은 지면의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작성한다. 이 위치 정보는 송신란(26)이 체크될 때까지 생성순으로 전자 펜(3)의 메모리(35)에 축적된다.
단계 S8은 해석부(4)에 의한 위치 정보의 축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는 송신란(26)이 체크될 때까지는 전자 펜(3)의 메모리(35)에 축적되지만, 송신란(26)이 체크되면 전자 펜(3)의 무선 전송 장치(36)로부터 해석부(4)에 송신된다. 도 3에 도시한 해석부(4)의 처리 장치(43)는 통신 제어 장치(41)를 이용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기억 장치(42) 등에 축적하고 나서 후의 처리를 행한다. 축적되는 위치 정보는 신청서(2)의 포맷과 대응시켜, 기입란(22∼26)마다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9는 기입 위치의 판정을 행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는, 도 4의 이력 정보 파일(46)에서, 서류 ID(55) 및 펜 ID(57)로 특정되는 제3 계층(60)의 데이터에 주목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상기한 처리에서 전자 펜이 펜 ID(57a)로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펜 ID(57a)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펜 ID 기입란 포인터(58a)가 나타내는 어드레스의 기입란 범위(61a)를 판정 수단(62)이 조사한다. 그리고, 제3 계층(60)의 기입란 범위(61a)에 정의되어 있는 영역(이하, 정의 영역으로 함) 중에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좌표(이하, 기입 영역으로 함)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기입 위치가 "올바르다"라고 판정하고,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한편, 기입 영역 내에 정의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입 위치는 "오류"라고 판정하고, 단자 A로부터 단계 S4 및 단계 S5로 진행하고, 전자 펜(3)에 문제점이 있는 것을 통지한다. 또, 기입 개소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단계 S9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10은 전자 펜(3)에 의한 기입 순서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이 처리는, 도 4의 이력 정보 파일(46)에서, 제2 계층(54)의 기입 순서 영역(59)에 주목하여 행해진다. 판정 수단(62)은, 전자 펜(3)에 의해 기입된 순서가, 기입 순서 영역(59)에서의 기입란의 배열순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는 기입 순서가 "올바르다"라고 판단하고, 단계 S11로 진행한다. 한편,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입 순서가 "오류"라고 판정하고, 단계 S4 및 단계 S5로 진행하여, 문제점이 있는 것을 통지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전자 펜(3)에 의한 최초의 기입이므로, 기입 순서는 올바르다고 판단하여 단계 S11로 진행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에서, 제1 전자 펜(3)에 관한 처리가 종료하므로, 단계 S11에서, 제1 전자 펜(3)에 대한 기입 완료 플래그(62a)의 설정을 행한 후에, 단계 S12에서 제1 전자 펜(3)의 기입에 의해 작성된 위치 정보를 업무 처리부(6)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 기입 완료 플래그의 설정이란, 기입 완료 플래그(62)에 값을 대입하여, 플래그를 설정하는 처리를 말한다.
계속해서, 2번째의 전자 펜(3)에 의한 기입 작업 및, 그것에 수반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제1 전자 펜(3)에 의해 일부 기입된 신청서(2)를 수취한 기입자는, 제2 전자 펜(3)을 사용하여 신청서에 기입을 한다. 기입은, 서류 ID 박스(22), 기입란(23∼25) 중 적어도 1개소, 송신란(26)의 순으로 행해진다.
이 때에, 전자 펜(3)은 서류 ID 박스(22)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작성(단계 S1)하므로, 해석부(4)가 서류의 특정(단계 S2) 및 기입 권한의 판정(단계 S3)을 행한다.
판정 결과, 제2 전자 펜(3)이 기입 권한을 갖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기입 완료 플래그(61)를 참조하여, 전자 펜(3) 사이의 기입 순서를 판정한다(단계 S6). 이 기입 순서도 올바르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전자 펜(3)에 의해 다른 기입란(22∼26)의 위치 정보가 작성되고(단계 S7), 해석부(4)가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축적한다(단계 S8). 그리고, 기입 위치의 판정(단계 S9)이 행해진다. 여기서의 기입 위치의 판정은, 예를 들면, 제2 전자 펜(3)의 펜 ID의 값이 펜 ID(57b)에 저장되어 있는 값인 경우에는, 펜 ID 기입란 포인터(58b)를 통하여 특정되는 기입란 범위(61b)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기입 순서의 판정(단계 S10)이 행해진다. 여기서의 기입 순서의 판정에서, 판정 수단(62)은 이력 정보 파일(46)의 제2 계층(54)에 정의되어 있는 기입 순서 영역(59)에 기입순으로 배열되어 있는 기입란 포인터로부터 제1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를 확인한다. 제1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즉, 먼저 기입하여야 할 사람이 기입하지 않았다고 간주되는 경우에는 단계 S4로 진행하고, 작성 수단(63)에 의해 불가 정보를 작성·송신하여, 단계 S5에서 기입 불가인 것을 알린다. 한편, 제1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1a)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즉, 제2 전자 펜(3)으로부터 먼저 기입하여야 할 전자 펜(3)에 의한 기입이 이미 완료되어 있다고 간주하는 경우에는, 단계 S11로 진행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에서, 제2 전자 펜(3)에 관한 처리가 종료하므로, 제2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b)를 설정(단계 S10)한 후에, 위치 정보를 업무 처리부(6)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단계 S12). 또, 각 판정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단계 S3, 단계 S9 및 단계 S10에서 각각 "권한 없음", 혹은, "오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해석부(4)는 불가 정보를 제2 전자 펜(3)에 송신(단계 S4)하므로, 전자 펜(3)은 통지 수단을 가동시켜, 그 취지를 알린다(단계 S5).
또한, 제3 전자 펜(3)의 기입 작업 및, 그것에 수반하는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첫번째 및 2번째의 전자 펜(3)이 기입된 후의 신청서(2)를 수취한 기입자는 서류 ID 박스(22), 기입란(23∼25) 중 적어도 1개소, 송신란(26)의 순으로 신청서(2)에 기입을 한다. 제3 전자 펜(3)의 기입에 대응하여 서류 기입 시스템(1)에서 행해지는 처리 중, 기입 순서의 판정 처리(단계 S10)는, 제3 전자 펜(3)의 기입 순서에 대해서도 판정을 행한다. 즉, 제1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의 확인 및, 제2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b)의 확인을 행하고, 2개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 62b)가 함께 설정되어 있는, 즉, 먼저 기입하여야 할 사람은 전부 기입 완료라고 간주하는 경우에는, 제3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를 설정하고(단계 S11), 위치 정보를 업무 처리부(6)로 전달한다(단계 S12). 한편, 적어도 한쪽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 62b)가 미설정인 경우에는, 불가 정보를 전자 펜에 송신함으로써 통지한다(단계 S4 및 단계 S5). 또 다른 처리는 제1 및 제2 전자 펜(3)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전자 펜(3)에 의해 신청서(2)가 완성되므로, 해석부(4)에 의한 처리는 전부 종료하고, 이후에는 업무 처리부(6)에서 신청서(2)의 접수 처리나, 그 밖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서류 기입 시스템(1)은, 복수의 전자 펜(3)을 이용하여 하나의 신청서(2)를 작성하는 경우에, 각 전자 펜(3)으로 기입하여야 할 장소나, 그 순서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류의 오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일 기입 장소나 기입 순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나, 권한이 없는 사람이 기입한 경우에는 전자 펜(3)을 통하여 그 기입자에게 알리도록 하였으므로, 오기를 바로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서류 기입 시스템(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류인 신청서(71)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신청서(2)는 전자 처리용 페이퍼로서 기능하며, 기입란(23∼25)으로의 기입에 앞서어, 전자 펜(3)의 기입 권한 및 순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펜 확인란(72)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펜 확인란(72)은, 신청서의 기입에 이용하는 전자 펜(3)의 수에 따라서 체크 박스(72a, 72b, 72c)가 기입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체크 박스(72a, 72b, 72c)에는 "1", "2", "3" 등 기입순을 눈으로 확인하여 알 수 있도록 한 표기가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전자 펜 확인란(72)을 갖는 신청서(71)를 이용한 경우의 서류 기입 시스템(1)의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서류 기입 시스템(1)은, 상기한 도 5의 흐름도에 기초한 처리에 앞서서, 도 7의 흐름도에 도시한 처리에 의해, 전자 펜(3)의 확인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처리는, 단계 S21에서 전자 펜(3)의 펜 ID와, 신청서(71)의 서류 ID를 취득함으로써 시작된다. 펜 ID는 그 전자 펜(3)으로 서류 ID 박스(22)나, 전자 펜 확인란(72)을 체크했을 때에, 위치 정보에 부속하는 데이터로서 얻어진다. 이 펜 ID는 전자 펜 확인란(72)을 체크했을 때에 해석부(4)에 송신된다.
단계 S22에서는 서류 ID로부터 서류, 즉, 신청서(2)를 특정한다. 신청서(2)의 특정은 취득한 서류 ID에서 이력 정보 파일(46)(도 4 참조)을 검색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S23에서는 그 전자 펜(3)이 신청서(71)에 기입 권한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 수단(62)에 의해 판정한다. 이력 정보 파일(46)에서 서류 ID(54)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는 펜 ID(57)에 저장되어 있는 값 중에, 전자 펜(3)의 펜 ID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전자 펜(3)은 "권한 있음"이라고 판정하여, 단계 S24로 진행한다. 한편, 일치하는 펜 ID가 없는 경우에는 그 전자 펜(3)은 "권한 없음"이라고 판정하여,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해석부(4)가 불가 정보를 전자 펜(3)에 송신하고, 계속되는 단계 S26에서 전자 펜(3)이 통지 수단(37)을 가동시켜, 기입자에게 통지한다.
단계 S24에서는 전자 펜(3)의 기입 순서를 판정한다. 기입 순서는 취득한서류 ID에서 특정되는 이력 정보 파일(46)의 제2 계층(54)의 기입 순서 영역(59)을 참조하여 판정한다. 예를 들면, 2번째의 기입에 이용되는 전자 펜(3)이면, 기입 순서 영역(59)의 기입란 포인터로 나타내는 첫번째의 기입에 이용하는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를 조사하고, 기입 완료 플래그(62a)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판정 수단(62)은 기입 순서가 "올바르다"라고 판정한다. 3번째의 기입에 이용되는 전자 펜(3)이면, 첫번째의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 및 2번째의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b)가 함께 설정되어 있다고 확인할 있으면, 기입 순서가 "올바르다"라고 판정한다. 한편, 기입 완료 플래그(62)의 설정을 확인한 결과, 기입 순서가 "오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5 및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문제점이 있는 것을 통지한다.
그리고, 기입 순서가 "올바르다"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여기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처리 흐름을 갖음으로써, 신청서(71)의 기입란(23∼25)에 구체적인 사항의 기입을 행하기 전에, 전자 펜(3)이 기입 권한을 갖고 있는 것 및, 신청서(71)에 기입을 하는 순서가 올바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을 행하면, 신청서(71)의 오기를 대폭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자 펜 확인란(72)의 각 체크 박스(72a, 72b, 72c)에 기입자의 성명 등의 기입자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한 문자, 도형을 기입함으로써, 다른 기입자가 이미 기입한 인물의 특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입 작업을 원활히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신청서(71)의 기입란(23∼25)에 필요 사항을 기입했을 때에 행해지는 처리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에서, 권한을 갖는 전자 펜(3)의 판정까지의 처리(단계 S1 내지 단계 S3), 기입 순서의 판정(단계 S10)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류 ID 박스(22)를 체크했을 때에는 펜 ID도 송신되기 때문에, 전자 펜 확인란(72)을 마련하지 않고서, 서류 ID 박스(22)만으로 기입 순서의 판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서류 ID 박스(22)에는 복수의 체크 마크 등이 중첩하여 기입된다. 전자 펜 확인란(72)을 갖는 경우에 비교하여, 다른 기입자가 이미 기입한 인물의 특정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게 되지만, 기입 순서의 판정 처리는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이력 정보 파일(46)을 간단히 작성하는 구성 및 그 처리에 관한 것이다. 또, 여기서의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이란, 이미 작성되어 있는 이력 정보 파일(46)에 새로운 정보를 부가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은, 필요한 데이터를 도 3에 도시한 해석부(4)에 입력하고, 처리 장치(43)에 전개·기동하는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행해진다. 이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서류 ID, 펜 ID 등의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는수단과, 식별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계층 구조의 이력 정보 파일(46)을 구축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 및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도 8은 이력 정보 파일(46)을 위한 데이터의 취득에 이용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파일 작성 화면(81)은, 이력 정보 파일(46)을 작성하는 서류의 서류 ID를 입력하는 서류 ID 등록란(82)과, 그 서류에서 사용하는 전자 펜(3)의 수를 등록하는 전자 펜 수란(83)과, 등록되는 전자 펜(3)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영역(84a, 84b, 84c)과, 입력한 데이터에 기초한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을 지시하는 등록 버튼(8, 5) 및 데이터의 취소를 하는 취소 버튼(8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영역(84a, 84b, 84c)은 전자 펜(3)의 펜 ID를 등록하는 펜 ID 등록 란(87)과, 복수의 전자 펜(3)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입자가 기입을 행하는 경우에 기입자 사이의 기입 순서를 펜 ID에서 관리하기 위한 기입순란(88)과, 그 전자 펜(3)으로 기입할 수 있는 기입란(예를 들면, 도 2의 기입란(23∼25))을 영역으로서 등록하기 위한 기입 범위란(89)을 전자 펜(3)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기입 범위 설정 란(89)은 복수의 기입란에 대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란이 배열되고, 그 추가나 삭제는, 도시하지 않은 삽입 버튼이나 삭제 버튼에 의해 행한다. 예를 들면, 영역(84a)의 기입 범위 설정란(89)을 하나 늘린 경우에는 그 만큼 영역(84b) 및 영역(84c)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영역(84a)의 기입범위 설정 란(89)을 하나 줄인 경우에는 그 만큼 영역(84b) 및 영역(84c)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파일 작성 화면(81)을 소정의 도트 패턴이 형성된 지면에 인쇄하여, 전자 펜(3)을 이용하여 각 란(82, 83, 87, 88, 89)을 기입하고, 기입한 수기의 정보를 전자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력 정보 파일(46)을 작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등록 버튼(85) 및 취소 버튼(86) 대신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송신란(26)이 마련된다. 또한, 그 서류가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용의 서류인 것을 서류 기입 시스템에 인식시키기 위해 서류 ID 박스(22)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로 기입 시에 사용하는 서류와 동일한 서류와 전자 펜(3)을 이용하여 이력 정보 파일(46)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자 펜(3)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청서(2)의 서류 ID 박스(22)에 체크하면 서류 ID가 얻어지고, 기입란(23∼25)의 네 코너를 체크(도 9에는 "×"표시로 나타냄)하면, 그 좌표로부터 기입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입란(23∼25)의 체크를, 기입 순서마다 실제로 기입에 이용하는 전자 펜(3)을 사용하여 행하면, 그 전자 펜(3)의 권한과 기입 순서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신청서(2)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 전자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전자 처리용 페이퍼(정의용 페이퍼)로서 기능하고, 서류 ID 박스(22)는 서류 ID 및 펜 ID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이며, 기입란(23∼25)은 상기 전자 펜이 기입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 및 기입 순서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이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청서(71)를 이용하여 이력 정보 파일(46)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서류 ID 박스(22)는 서류 ID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으로 되고, 기입란(23∼25)은 상기 전자 펜이 기입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 전자 펜 확인란(72)은 펜 ID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 및 기입 순서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으로 된다.
데이터가 입력되고 나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력 정보 파일(46)이 작성되기까지의 처리에 대하여, 도 9의 신청서(2)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준비 단계로서, 신청서(2)와, 신청서(2)의 기입에 사용하는 모든 전자 펜(3)(이 경우에는 3개)을 준비하고, 상기한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전자 펜(3)으로 서류 ID 박스(22)에 체크 마크를 기입한다. 서류 ID 박스(22)에 관한 위치 정보는, 전자 펜(3)으로 작성되고, 해석부(4)에 송신된다. 이 위치 정보로부터는 서류 ID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새롭게 제1 계층(51)을 작성하거나, 기존의 제1 계층(51)에 새로운 데이터를 부가한다. 새롭게 제1 계층(51)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서류 수(52)에 "1"을 저장하고, 서류1 포인터(53a)에, 후의 처리에서 저장하는 서류 ID의 저장 장소의 어드레스를 포인터로서 저장한다. 한편, 기존의 제1 계층(5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서류 수(52)를 1 인크리먼트하고, 새로운 서류 포인터(52)를 작성한다. 이 후의 처리는 어느 쪽의 경우에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새로운 이력 정보 파일(46)을 작성하는 처리로서 설명한다.
서류 포인터(52)를 설정한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서류1 포인터(53a)에저장한 어드레스에, 취득한 서류 ID의 값을 저장하고, 이것을 제2 계층(54)의 서류 ID(54)로 한다.
다음에, 작업자가, 첫번째의 기입에 이용하는 제1 전자 펜(3)을 이용하여 기입란(23)의 기입 영역의 네 코너를 체크한다. 이 때에, 체크 포인트(95a), 체크 포인트(95b), 체크 포인트(95c), 체크 포인트(95d)의 위치 정보가 전자 페이지(3)에서 작성된다. 이 전자 펜(3)으로 기입하는 개소가 별도로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기입란(24, 25) 등도 체크하고, 모든 기입 영역의 체크가 종료하면, 송신란(26)을 체크한다. 이 동안에 전자 펜(3)으로 작성되고, 축적되어 있던 위치 정보는 해석부(4)로 전달된다.
해석부(4)의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제2 계층(54)의 서류 ID(55)에 계속되는 어드레스에 전자 펜(3)의 수에 상당하는 값으로서 "1"을 저장하고, 기입 펜 수(56)로 한다. 또한, 위치 정보와 함께 취득할 수 있는 전자 펜(3)의 펜 ID의 값을, 계속되는 어드레스에 저장하여 펜 ID(57a)로 하고, 그 후에 제3 계층(60)의 개시 어드레스를 포인트로서 저장하는 펜 ID 기입란 포인터를 작성한다.
상기한 처리에서 지정된 제3 계층(60)의 개시 어드레스에는 체크 포인트(95a), 체크 포인트(95b), 체크 포인트(95c), 체크 포인트(95d) 등의 위치 정보가 기입란(23∼25)마다 저장되고, 기입란 범위(61a)로 된다. 또한, 기입란 범위(61a)에 계속되는 어드레스에는 기입 완료 플래그(62a)를 위한 영역을 확보한다.
여기까지의 처리에서, 그 신청서(2)에 대한 1개째의 전자 펜(3)의 등록 처리, 즉,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이 종료하므로, 마찬가지의 처리를 2개째의 전자 펜(3)에 대해서도 행한다.
작업자는, 2번째의 기입에 이용하는 제2 전자 펜(3)으로, 서류 ID 박스(22)를 체크한 후에, 기입란(24)의 기입 영역의 네 코너를 체크한다. 이 때의 체크 포인트(96a), 체크 포인트(96b), 체크 포인트(96c), 체크 포인트(96d)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전자 펜(3)으로부터 해석부(4)로 전달된다.
해석부(4)의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제2 계층(54)의 기입 펜 수(56)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하고, 먼저 작성한 1개째의 전자 펜(3)의 펜 ID 기입란 포인터(58a)에 계속되는 어드레스에 2개째의 전자 펜(3)의 펜 ID의 값을 저장하여 펜 ID(57b)로 한다. 이와 동시에, 먼저 작성한 1개째의 전자 펜(3)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에 계속되는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펜 ID 기입란 포인터(58b)에 저장한다. 또한, 저장된 어드레스에는, 체크 포인트(96a∼96d) 등의 기입 영역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입 완료 플래그(62b)를 위한 기억 영역을 확보한다.
마지막으로, 3번째의 기입에 이용하는 제3 전자 펜(3)으로, 서류 ID 박스(22)의 체크와, 기입란(25)의 기입 영역의 네 코너의 체크 및 송신란(26)의 체크를 행한다.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상기와 마찬가지로의 처리로, 펜 ID나 체크 포인트(97a∼97d)의 위치 정보 등을 소정 위치에 저장한다. 이 때에 기입 펜 수(56)에 저장되는 값은 1 인크리먼트된다.
모든 데이터의 입력 처리가 종료하면,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준비하는 화면 등에 의한 가이던스에 따라서, 작업자는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에 이력 정보파일(46)의 작성의 종료를 지시한다. 이 때에,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제3 계층(60)에 작성된 기입 완료 플래그(62)의 어드레스를 순서대로 취득하고, 각 어드레스를 제2 계층(54)의 기입 순서 영역(59)의 기입란 포인터에 순서대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자 펜(3)의 등록이나, 기입란(22∼25)의 설정·등록, 각종 순서의 설정 등을 행함으로써,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류 기입 시스템(1)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사용하는 전자 펜(3)의 수가 많은 경우나, 신청서(2)의 기입란(22∼25)이 많은 경우, 기입 순서대로 복잡한 룰이 있는 경우에 용이하게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이력 정보 파일(46)의 각 계층(51, 54, 60)을 구성하는 데이터는, 반드시 기억 장치에서 연속하는 어드레스에 저장될 필요는 없다. 또한, 신청서(2)를 이용하여 이력 정보 파일(46)을 작성하는 경우에서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이나, 이력 정보 파일(46)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화면을 파일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작성하고, 작업자가 이것을 확인한 후에, 이력 정보 파일(46)의 작성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전자 펜(3)을 복수의 사람이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해석부(4)가 보유하는 이력 정보 파일(46)은, 기입자와 전자 펜(3)을 대응시키는 전자 펜 정보 파일(48)과, 서류마다 기입자나, 그 기입 권한 등을 정의하는 서류 정보 파일(4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펜 정보 파일(48)은,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제1 계층(101)에는, 특정한 서류의 기입에 사용하는 전자 펜(3)의 수를 정의하는 전자 펜 수(102)와, 각 전자 펜(3)의 상세한 정의를 행하는 데이터군의 선두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저장된 펜 포인터(103)를 갖고 있으며, 펜 포인터(103)는 전자 펜 수(102)로 정의한 전자 펜(3)의 수만큼 작성되어 있다. 제2 계층(104)은, 펜 포인터(103)에 저장된 어드레스로부터 개시되고, 펜 ID(105), 그 펜 ID를 갖는 전자 펜(3)을 사용하는 사람의 이름 등, 기입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등록하는 기입자 정보(106)로 구성되어 있다. 기입자 정보(106)는, 그 전자 펜(3)을 사용하는 사람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기입자 정보(106)가 배열되게 된다.
서류 정보 파일(49)은, 도 4에 도시한 이력 정보 파일(46)과는 다른 제2 계층(110)을 갖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층 구조로부터 구축되어 있다. 즉, 제2 계층(110)은, 제1 계층(50)의 서류 포인터(53)에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로부터 개시되는 서류 ID(55)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청서(2)에 기입하는 사람의 수를 정의하는 기입자 수(111)를 갖고, 기입자 수(111)에 저장되어 있는 값의 수만큼, 기입자 정보(112)와 기입란 포인터(113)가 배열되어 있다. 기입자 정보(112)에는 기입자를 특정하는 정보가 저장되고, 기입란 포인터(113)에는 제3 계층(60)의 기입란 범위(61)의 어드레스가 포인터로서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펜 정보 파일(48)을 포함하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대하여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에 특징적인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의 서류 ID 박스(22)의 위치 정보의 작성 및, 단계 S2의 서류의 특정을 행한 후에, 단계 S3에서 기입 권한의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의 기입 권한이란, 기입자가 그 서류에 기입 권한을 갖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 수단(62)이 판정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펜(3)으로부터 취득한 펜 ID의 값으로부터, 도 10에 도시한 펜 정보 파일(48)의 제2 계층(104)의 펜 ID(105)를 검색하고, 펜 ID(105)에 대응시켜 저장되어 있는 기입자 정보(106)를 취득한다. 또한, 펜 ID의 값 및 서류 ID의 값으로부터 서류 정보 파일(49)을 검색하고, 제2 계층(110)의 기입자 정보(112)를 취득한다. 그리고, 기입 정보(106)와, 기입자 정보(112)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기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권한 있음"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일치하는 기입자가 없는 경우에는 "권한 없음"이라고 판정하여 단계 S4 및 단계 S5로 진행하고, 기입자에게 통지한다.
기입자가 권한을 갖으며, 또한, 기입 순서가 올바르다(단계 S6)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7에서 작성된 위치 정보를 해석부(4)가 단계 S8에서 축적하고, 단계 S9에서의 기입 위치의 판정으로 처리가 진행한다. 단계 S9에서는, 예를 들면, 기입자가 서류 정보 파일(49)의 제2 계층(110)의 기입자 정보(111a)에서 특정되는사람인 경우에는, 판정 수단(62)은 기입란 포인터(112a)에서 얻어지는 어드레스의 기입란 범위(61a)를 참조하여 기입 위치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10에서 기입자에 대한 기입 순서의 판정을 행한 후에, 단계 S11로 진행하면, 첫번째에 기입자가 기입 완료 플래그(62a)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위치 정보를 업무 처리부(5)로 전달하여, 여기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2번째의 기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첫번째의 기입자가 기입한 신청서(2)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경우의 기입 권한의 판정(단계 S3)은, 2번째의 기입자가 사용하는 전자 펜(3)의 펜 ID의 값에 기초하여 취득한 전자 펜 정보 파일(48)의 기입자 정보(106)와, 서류 정보 파일(49)의 기입자 정보(112b) 및 기입란 포인터(113b)를 이용하여 행한다. 또한, 기입 순서의 판정(단계 S10)은, 첫번째의 기입자의 기입 완료 플래그(62a)를 참조함으로써 행해진다. 기입 완료 플래그의 설정(단계 S11)은 서류 정보 파일(49)의 기입 완료 플래그(62b)에 값을 저장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3번째 이후의 기입자가 있는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러한 서류 기입 시스템(1)은, 복수의 기입자가 전자 펜(3)을 이용하여 하나의 신청서(2)를 작성하는 경우에, 각 기입자가 기입하여야 할 장소나, 각 기입자가 기입하여야 할 순서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서류의 오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일 기입 장소나 기입 순서가 잘못된 경우나, 권한이 없는 사람이 기입한 경우에는, 전자 펜(3)을 통하여 그 기입자에게 알리도록 하였으므로, 오기를 바로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 펜 정보 파일(48), 서류 정보 파일(49)의 작성에 대해서도, 제3 실시예와 같은 정의의 화면(도 8 참조)이나 정의용 페이퍼(도 9 참조)를 이용하면 간단히 작성할 수 있다. 전자 펜 정보 파일(48)에서 기입자 정보를 펜 ID와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기입자 정보 란을 마련하여, 이 란에 기입자의 정보를, 대응시키고자 하는 전자 펜(3)을 이용하여 기입하면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확대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신청서(2, 71)에서, 서류 ID 박스(22)는 송신란(26)과 겸용시켜도 된다. 특히, 신청서(71)인 경우에는 전자 펜 확인란(72)의 체크 후에 재차 서류 ID 박스(22)를 체크하지 않더라도 서류의 특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펜(3)의 통지 수단(37)은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고, 문자 표시에 의해 기입 권한의 유무나, 기입 순서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통지하여도 된다. 기입자에게 시각을 통하여 구체적인 에러 이유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기입자는 필요한 대처를 신속하게 강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지 수단(37)의 그 밖의 형태로서는, 전자 펜(3)에 내장된 노치가 돌출하는 등, 외관 형상이 변화함으로써 기입자의 촉각을 통하여 통지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그리고, 전자 펜(3)이 통지 수단(37)을 갖지 않고서, 전자 펜(3)과 대응시킨 휴대 정보 단말기나, 컴퓨터 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휴대 정보 단말기나, 컴퓨터 장치가 소리나, 문자 등에 의해 기입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의 단계 S9(기입 위치의 판정)와, 단계 S10(기입 순서의 판정)은 다른 순서로 처리되어도 된다.
또한, 기입자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도 10 참조)에서는, 펜의 이용 개시 시에 공지의 사인 대조 등으로 기입자 정보를 특정하고, 그 정보를 기입자 정보(106)에 저장하여, 기입 권한의 체크나 순서의 판정에 이용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펜을 이용하여 수기로 작성되는 서류라도, 전자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처리 속도의 향상이나, 처리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도트 패턴으로 형성한 지면(紙面)에 기입란을 마련하여 작성된 서류에 전자 펜을 이용하여 수기(手記)로 기입된 정보로부터 상기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작성한 펜 끝의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로서 취득함으로써, 기입된 정보를 전자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서류 기입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자 펜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과,
    복수의 서류를 식별하는 서류 ID에 기초하여 그 서류에 기입하는 권한을 갖는 전자 펜과 그 기입 순서를 정의하는 이력 정보 파일과,
    상기 전자 펜을 통하여 취득한 상기 서류의 서류 ID 및/또는 상기 전자 펜의 펜 ID와 상기 이력 정보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의 정합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를 상기 전자 펜에 통지하기 위한 정보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 파일은, 상기 전자 펜에 의한 기입이 가능한 기입란과 그 기입 순서가, 상기 서류 ID마다 및 상기 전자 펜마다 정의되어 있으며,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상기 이력 정보 파일을 참조하여 기입 가능한 기입란의 판정과, 기입된 순서의 판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 파일은, 상기 전자 펜에 대하여 복수의 기입자를 등록하기 위해서, 상기 펜 ID와 상기 기입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대응시킨 파일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 파일은, 상기 전자 펜에 대하여 복수의 기입자를 등록하기 위해서, 상기 펜 ID와 상기 기입자를 특정하는 정보를 대응시킨 파일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5. 도트 패턴으로 형성한 지면을 이용하여 작성된 서류에 마련된 기입란에 기입된 정보로부터 상기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작성한 펜 끝의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로서 취득하는 전자 펜으로서,
    상기 전자 펜을 특정하는 펜 ID와 상기 서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하여 상기 전자 펜이 상기 서류에 기입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받아, 상기 판정 결과를 상기 통신 수단으로 수신했을 때에, 기입자의 시각, 청각, 촉각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하여 상기 기입자에게 상기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
  6. 도트 패턴으로 형성한 지면에 기입란을 마련하여 작성된 서류에 전자 펜을 이용하여 수기로 기입된 정보로부터 상기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작성한 펜 끝의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작성하고, 해석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자 처리하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 이용되는 전자 처리용 페이퍼로서,
    상기 기입란을 복수 갖고, 그 적어도 하나에 기입하는데 있어서, 기입 권한의 확인과, 기입 순서의 확인을 하기 위해서, 상기 전자 펜에 부여된 펜 ID를 상기해석 장치로 송신하도록 체크하는 확인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처리용 페이퍼.
  7. 도트 패턴으로 형성한 지면에 기입란을 마련하여 작성된 서류에 전자 펜을 이용하여 수기로 기입된 정보로부터 상기 도트 패턴을 이용하여 작성한 펜 끝의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작성하고, 해석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를 전자 처리하는 서류 기입 시스템에서 전자 처리에 이용하는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전자 처리용 페이퍼로서,
    상기 기입란을 구비하는 서류를 특정하는 서류 ID를 취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기입란과, 상기 서류에 기입하는 전자 펜의 펜 ID를 취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기입란과, 상기 전자 펜이 기입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기입란과, 기입 순서를 취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입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 처리용 페이퍼.
KR1020030032859A 2002-05-24 2003-05-23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KR100540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51377 2002-05-24
JP2002151377A JP4102105B2 (ja) 2002-05-24 2002-05-24 電子ペンを利用した書類記入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766A true KR20030091766A (ko) 2003-12-03
KR100540954B1 KR100540954B1 (ko) 2006-01-10

Family

ID=293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859A KR100540954B1 (ko) 2002-05-24 2003-05-23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00110B2 (ko)
EP (1) EP1365314A3 (ko)
JP (1) JP4102105B2 (ko)
KR (1) KR100540954B1 (ko)
CN (2) CN1287261C (ko)
SG (1) SG110053A1 (ko)
TW (1) TWI2303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142A1 (ko) * 2022-01-25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알림 및 연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8222B2 (en) * 2002-02-08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Ink gestures
US7142197B2 (en) 2002-10-31 2006-11-28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computing device
US7009594B2 (en) 2002-10-31 2006-03-07 Microsoft Corporation Universal computing device
US7167166B1 (en) * 2003-08-01 2007-01-23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bservation charts
GB2405959A (en) * 2003-09-10 2005-03-1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 digital pen and paper system
JP4385744B2 (ja) 2003-11-28 2009-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載内容改ざん防止機能つき電子ペン利用書類記入システム
JP4150923B2 (ja) * 2003-12-09 2008-09-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出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WO2005109219A1 (ja) * 2004-05-07 2005-11-17 Wao Corporation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203699B2 (en) * 2004-06-28 2007-04-10 Bellamy Robert E Computerized system for automated completion of forms
JP4473686B2 (ja) * 2004-09-08 2010-06-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サーバ、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54299A (ja) * 2005-03-14 2006-09-21 Fuji Xerox Co Ltd 画像生成装置若しくは画像読取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277564A (ja) * 2005-03-30 2006-10-12 Hitachi Maxell Ltd 予約システム
JP2006277565A (ja) * 2005-03-30 2006-10-12 Hitachi Maxell Ltd 予約システム
JP5066669B2 (ja) * 2005-03-31 2012-11-07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医療業務における知識共有システム
JP2007048076A (ja) * 2005-08-10 2007-02-2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医療情報処理方法
GB2430505A (en) * 2005-09-16 2007-03-2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Digital pen system with guides provided on a substrate and positional feedback to user
GB2432341B (en) * 2005-10-29 2009-10-14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arking material
JP4752456B2 (ja) * 2005-11-09 2011-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情報アクセス権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情報管理システム
JP4977368B2 (ja) * 2005-12-28 2012-07-18 富士通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媒体処理方法,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媒体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4772592B2 (ja) * 2006-06-01 2011-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業務フロー管理装置、業務フロー管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8020974A (ja) * 2006-07-11 2008-01-31 Hitachi Ltd 文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736995B2 (ja) * 2006-07-28 2011-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決裁システム
US20080065619A1 (en) * 2006-09-07 2008-03-13 Bhogal Kulvir S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sharing collaborative data among a plurality of authors
JP4222399B2 (ja) * 2006-09-22 2009-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4301524B2 (ja) * 2007-03-27 2009-07-22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8242929A (ja) * 2007-03-28 2008-10-09 Oki Data Corp 手書き入力システム
US8719718B2 (en) * 2007-05-09 2014-05-06 Erik M. Erikson Digital paper-enabled product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20100289776A1 (en) * 2007-07-10 2010-11-18 Mattias Bryborn Krus System, software module and methods for creating a response to input by an electronic pen
JP5032245B2 (ja) * 2007-08-29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及び書類へのアクセス制御方法
JP5027017B2 (ja) * 2008-03-11 2012-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履歴記録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295759A1 (en) * 2008-05-29 2009-12-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touch screen pen
US20090309854A1 (en) * 2008-06-13 2009-12-17 Polyvision Corporation Input devices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US8375291B2 (en) * 2008-11-07 2013-02-12 Web Fil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persistent electronic tick marks
US9563616B2 (en) 2008-11-07 2017-02-07 Workiva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persistent electronic tick marks and use of electronic support binders
JP5210936B2 (ja) * 2009-03-27 2013-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ワークフロー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
SA110310576B1 (ar) 2010-07-06 2015-08-10 راكان خالد يوسف الخلف جهاز، نظام وطريقة لتسجيل وتوثيق التواقيع المخطوطة باليد
JP5720182B2 (ja) * 2010-11-01 2015-05-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32861B2 (ja) * 2011-01-14 2015-06-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732866B2 (ja) * 2011-01-20 2015-06-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950275B2 (ja) * 2011-12-21 2016-07-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表示装置上に表示可能な1又は複数の電子データ中に振動部分を設定する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08511B2 (ja) * 2012-04-09 2014-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ペン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40237388A1 (en) * 2013-02-21 2014-08-21 Atlassian Pty Ltd Two-level processing of approval notifications in a collaborative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JP5408513B2 (ja) * 2013-03-05 2014-02-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ペン・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135238B2 (ja) * 2013-03-28 2017-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関連付け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EP3279774B1 (en) * 2015-03-31 2021-02-24 Wacom Co., Ltd. Ink file output method, output device and program
JP6831661B2 (ja) * 2016-09-02 2021-02-17 株式会社ワコム 手書き情報入力装置及び手書き情報入力方法
CN109492212A (zh) * 2018-12-28 2019-03-19 贵州小爱机器人科技有限公司 辅助填表设备、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796A (en) * 1990-10-22 1995-10-17 The Watt Stopper System for entering handwritten data into computer generated forms
US5327342A (en) * 1991-03-31 1994-07-05 Roy Prannoy L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handwriting
JPH06161637A (ja) * 1992-11-18 1994-06-10 Fujitsu Ltd 電子ペン制御方式
US5453762A (en) * 1993-01-20 1995-09-26 Hitachi, Ltd. Systems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identifying individual
US5436639A (en) * 1993-03-16 1995-07-25 Hitachi,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3689127B2 (ja) * 1993-04-22 2005-08-31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文書処理システムと文書処理方法
JPH0729005A (ja) * 1993-06-25 1995-01-31 Hitachi Ltd 本人認証システム
JPH07160355A (ja) * 1993-12-08 1995-06-23 Hitachi Ltd 手書き文字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US5737740A (en) * 1994-06-27 1998-04-07 Numonic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documents
DE69534490T2 (de) * 1994-07-19 2006-06-29 Certco, Llc Verfahren zur sicheren anwendung digitaler unterschriften in einem kommerziellen verschlüsselungssystem
US6091835A (en) * 1994-08-31 2000-07-18 Penop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cribing electronic affirmations
US5544255A (en) * 1994-08-31 1996-08-06 Peripheral Vis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capture, storage, transport and authentication of handwritten signatures
US5799315A (en) * 1995-07-07 1998-08-25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tagging data files automatically correlated with a time of occurence in a computer system
US6081261A (en) * 1995-11-01 2000-06-27 Ricoh Corporation Manual entry interactive paper and electronic document handling and processing system
US6684188B1 (en) * 1996-02-02 2004-01-27 Geoffrey C Mitchell Method for production of medical records and other technical documents
JPH10207841A (ja) * 1997-01-22 1998-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ペン入力パーソナル情報端末装置
US6151611A (en) * 1997-10-31 2000-11-21 Hewlett-Packard Company System for editing graphical data based upon relative time of entry
US6050490A (en) * 1997-10-31 2000-04-18 Hewlett-Packard Company Handheld writing device and related data entry system
US6000946A (en) * 1998-03-09 1999-12-14 Hewlett-Packard Company Collaborative drawing device
WO1999050736A1 (en) * 1998-04-01 1999-10-07 Xerox Corporation Paper indexing of recordings
US6669385B1 (en) * 1999-05-25 2003-12-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er having a document transfer device
US7721948B1 (en) * 1999-05-25 2010-05-2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payments
US7055739B1 (en) * 1999-05-25 2006-06-0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dentity-coded surface with reference points
US6519571B1 (en) * 1999-05-27 2003-02-11 Accenture Llp Dynamic customer profile management
AU762560B2 (en) * 1999-06-30 2003-06-2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banking
US6456740B1 (en) * 1999-07-26 2002-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form type in a handwriting recognition based form completion system
US6925565B2 (en) * 2001-05-25 2005-08-02 Pen-One, Inc Pen-based transponder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SE9904744L (sv) 1999-12-23 2001-06-24 Anoto Ab Styrning av anordning
US20030046256A1 (en) * 1999-12-23 2003-03-06 Ola Hugosson Distributed information management
US6813396B1 (en) * 2000-02-16 2004-11-02 Telefona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reading devices
SE516109C2 (sv) 2000-03-21 2001-11-19 Anoto Ab Förfarande, system och datorprogram för dokumenthantering med hjälp av positionskodningsmönster
SE517875C2 (sv) * 2000-04-05 2002-07-30 Anoto Ab Förfarande och arrangemang för att associera en värdehandling med en delmängd av ett positionskodningsmönster
SE519356C2 (sv) * 2000-04-05 2003-02-18 Anoto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informationshantering
JP4317334B2 (ja) * 2000-09-08 2009-08-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文書管理システム
JP2002055768A (ja) * 2000-08-09 2002-02-20 Sharp Corp ペン型記録装置
US6722574B2 (en) * 2000-09-07 2004-04-20 Anoto Ab Business card
US20020107885A1 (en) * 2001-02-01 2002-08-08 Advanced Digital Systems, Inc. System,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form data
US7321692B2 (en) * 2001-11-13 2008-01-22 Anoto Ab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memory
JP4244614B2 (ja) * 2002-10-31 2009-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手書き入力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手書き入力方法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142A1 (ko) * 2022-01-25 2023-08-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펜 알림 및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00110B2 (en) 2006-08-29
TWI230353B (en) 2005-04-01
CN1658141A (zh) 2005-08-24
US20030229859A1 (en) 2003-12-11
CN1460921A (zh) 2003-12-10
EP1365314A3 (en) 2007-05-09
EP1365314A2 (en) 2003-11-26
KR100540954B1 (ko) 2006-01-10
JP4102105B2 (ja) 2008-06-18
TW200400455A (en) 2004-01-01
JP2003345945A (ja) 2003-12-05
SG110053A1 (en) 2005-04-28
CN1287261C (zh)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954B1 (ko) 전자 펜을 이용한 서류 기입 시스템
JP4781883B2 (ja) 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JP4137566B2 (ja) 電子ペン、帳票処理システム及び単位データ分割処理プログラム
US7231601B2 (en) Application system with function for preventing modification
WO2005119418A1 (ja) 電子ペンを用いた編集システム、編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412778B2 (ja) 業務支援システム
JP4770332B2 (ja) 電子ペン用カード申込書
JP4752565B2 (ja) 電子ペン用帳票製造方法
JP2005196536A (ja) 記入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電子ペン用帳票
JP2005215815A (ja) ペーパ利用システム
JP4802801B2 (ja) 電子ペン用帳票製造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特定方法
JP4848707B2 (ja) 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4094419A (ja) 電子ペン用用紙
JP2014038411A (ja) パスワード生成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
JP2008097404A (ja) 電子ペンを利用した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方法、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139807A (ja) 情報登録装置及び情報登録方法
JP4629409B2 (ja) 録画予約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169506B2 (ja) 作業管理装置、作業時間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43982B2 (ja) 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4234468A (ja) シール台紙、帳票セット、識別処理システム、識別処理サーバ、識別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98964B2 (ja) 帳票バージョン認識システム及び帳票バージョン認識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ペン用帳票
JP2007287047A (ja) 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電子ペン用複写帳票
JP504043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地図印刷媒体を用いた地点の選択方法
JP4941112B2 (ja) 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362323B2 (ja) 電子フォーム設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