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641A -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 Google Patents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641A
KR20030076641A KR10-2003-7010101A KR20037010101A KR20030076641A KR 20030076641 A KR20030076641 A KR 20030076641A KR 20037010101 A KR20037010101 A KR 20037010101A KR 20030076641 A KR20030076641 A KR 20030076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rotective varnish
silicone resin
modified silicone
coat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다다케시
스미다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윌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윌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윌슨
Publication of KR20030076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6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GPOLISHING COMPOSITIONS; SKI WAXES
    • C09G1/00Polishing compositions
    • C09G1/0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 C09G1/14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non-waxy substances
    • C09G1/16Other polishing compositions based on non-waxy substances on natural or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terials Applied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Mist Or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도포되고,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광택성, 발수성 및 오염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닦아내는 작업성에 대해서도 우수한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를 제공한다. 도장면에 도포할 때에 그 도포 작업의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이액성의 보호 광택제로, 유효 성분으로서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A액;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 작용을 가지는 반응촉매를 포함하는 B액; 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 등의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이다.

Description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Two component protective lustering agent for coated surface}
자동차, 전철의 차체, 항공기의 기체, 사무용 가구, 빌딩의 외벽 등의 도장면은, 자연 환경하에서 분진, 미세먼지, 배기가스, 아스팔트나 피치, 공사현장의 비산 먼지, 산성비나 태양광선 등에 매우 노출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도장면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오염되고, 또한, 퇴색 및 광택의 소실 등 소위 열화가 진행되어 간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이러한 도장면의 오염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자동차용으로서, 피막을 형성하여 광택성을 내는 왁스(밀납); 이 왁스를 유동화함과 동시에 형성되는 피막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실리콘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종 자동차 왁스가 제안되어, 시장에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왁스에 있어서는, 그 주성분이 왁스와 실리콘 오일이기 때문에, 도장 그 자체에 대한 보호 기능에 대해서는 만족할 수 있지만, 도장면에 도포했을 때에 그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이 점착성을 가져서, 오히려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쉬워져서, 장기간에 걸쳐 오염 방지 효과(오염 방지성)를 발휘할 수 없다는 점 이외에, 결과적으로 도장면의 광택성, 발수성 등의 효과도 그 지속성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자동차 왁스에 있어서는, 형성되는 피막이 점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도장면에 왁스를 도포한 후에 불필요한 왁스를 떼어내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자동차의 왁스 도포 작업에서 떼어내는 작업이 매우 귀찮은 작업이 되어, 결국은 수요자가 별로 왁스 도포를 행하지 않아서, 도포면의 열화를 앞당기는 큰 원인이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왁스에서 보여지는 단기간에서의 광택의 소실, 오염의 부착, 및 발수 성능의 저하 등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소정의 반응촉매의 존재하에 상온에서 경화하여 광택, 오염 방지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소정의 반응촉매의 존재하에 반응하여 발수성, 오염 방지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는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A액; 상기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에 대하여 경화 및/또는 촉매작용을 가지는 반응촉매를 포함하는 B액;을 준비하고, 도장면에 도포할 때에 그 도포 작업의 직전에 이들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광택을 유지함과 동시에, 우수한 오염 방지성 및 발수성을 발휘하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닦아내는 작업성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도포되어, 장기간에 걸쳐서우수한 광택성, 발수성 및 오염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닦아내는 작업성에 대해서도 우수한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철의 차체, 항공기의 기체, 사무용 가구, 빌딩의 외벽 등의 도장면에 도포함으로써, 그 도장면을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도장면에 광택성이나 발수성을 부여하는 도장면의 보호 광택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장면에 도포할 때에 그 도포 작업의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이액성의 보호 광택제에 관한 것으로, 유효 성분으로서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A액; 및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작용을 가지는 반응촉매를 포함하는 B액;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액을 구성하는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로서는 실리콘 수지가 그 분자중에 알콕시기, 수산기, 실라놀기, 카르복실기, 수소기, 알콜기 등을 가지고, 소정의 반응촉매의 존재하에 상온에서 경화하는 상온 경화형이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저급 알콕시기를 가지는 알콕시 변성 실리콘 수지나 카르복시 변성, 수산기 변성 실리콘 수지이고, 그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외에,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발수성 및 오염 방지성의 양 물성의 관점에서 GE 도시바 실리콘사 제품 상품명: XS66-B0704, XS66-A0399, XR31-B0270, XR31-B1410, 니혼유니카사 제품 상품명: FZ-3711, FZ-3722, FZ-3704, FZ-3703, 도레·다우코닝사 제품 상품명: DC-3037, SR-2402, BY16-606,신에츠실리콘사 제품 상품명: KR-500, KF851, KF-6001, X22-3710, KC-89, KR-213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오염 방지성이 우수한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와 병용하는 조건으로 발수성이 우수한 도레·다우코닝사 제품 상품명: SR-2450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와 함께 A액을 구성하는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에 대해서는, 반응촉매의 존재하에 반응하여 실록산 결합(siloxane bond)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되고, 플루오르알킬실란류, 플루오르폴리에테르실란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루오르알킬실란류는 일반식 Rf-Si(R1, R2, R3)[단지, 식중 Rf는 3원자 이상의 불소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3∼20의 불소치환알킬기, R1∼R3은 할로겐 원자, 탄소수 1∼5의 저급알콕시기, 아세톡시기, 히드록시기, 포화·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고리식 지방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서로 동일하여도 되고, 달라도 된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며, 여기에서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원자 이외의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요오드원자를 예시할 수 있고, 포화·불포화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헥실기, 데실기, 옥타데실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고리식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또한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기, 벤질기, 나프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플루오르알킬실란류의 적합한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CF3(CF2)5CH2CH2Si(OCH3)3, CF3(CF2)5CH2CH2Si(OC2H5)3, CF3(CF2)7CH2CH2Si(OCH3)3, CF3(CF2)7CH2CH2SiCH3(OCH3)2, CF3(CF2)7CH2CH2Si(OC2H5)3, CF3(CF2)7CH2CH2Si[OCH(CH3)2]3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루오르폴리에테르실란류의 적합한 구체예로서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실란, FLUOROLINK7007(AUSIMONT사 제품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액을 구성하고, A액의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작용을 가지는 반응촉매로서는, 유기금속 화합물, 산, 알칼리, 아미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반응촉매로서는,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의 양자에 대하여 촉매작용을 가지는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또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촉매작용을 가지는 것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게다가, 동일한 촉매작용을 가지는 것이라도 복수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유기금속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부틸주석 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CH3C(CH3)2CH2CH(CH3)CH2COO-)2Sn(-C4H9)2], 디부틸주석 디옥테이트,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주석 화합물이나,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톤), 알루미늄 트리스(아세트아세테이트에틸), 알루미늄 디이소프로폭시(아세트아세테이트에틸), 티타늄(아세틸아세톤), 지르코늄(아세틸아세톤), 지르코늄 트리스(아세틸아세톤), 티타늄 테트라키스(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티타늄 테트라키스(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티타늄 테트라키스(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지르코늄 테트라키스(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지르코늄 테트라키스(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지르코늄 테트라키스(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금속 킬레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산으로서는 염산, 질산, 황산, 인산 등의 광산류나, 포름산, 초산, 옥살산, 트리플루오르초산 등의 유기산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알칼리로서는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염기나, 에틸렌디아민, 알카놀아민 등의 유기염기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아미노 화합물로서는 아미노변성실리콘, 아미노실란, 실라잔,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액과 B액에 대해서는, 이들 A액과 B액을 혼합하여 얻어진 도포액 중에 있어서의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플루오르실란 화합물, 및 반응촉매의 비율에 대하여,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가 통상적으로 1∼20질량%, 바람직하게는 4∼10질량%의 범위가 되는 동시에,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이 통상적으로 0.05∼10질량%, 바람직하게는 0.1∼5질량%의 범위가 되고, 또한 반응촉매가 통상적으로 0.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05∼5질량%의 범위가 되도록 조제된다. 이 때의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의 비율이 1질량% 보다 적으면 광택이나 발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반대로 20질량%를 넘으면 광택에 의한 불균일이라는 점에서 완성이 어려워진다. 또한,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의 비율이 0.05질량% 보다 적으면 오염 방지성이 나타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10질량% 보다 많아지면 발수의 장기간 지속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게다가, 반응촉매의 비율이 0.01질량% 보다 적으면 완전 경화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10질량% 보다 많아지면 작업성의 폭이 없어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여기에서, 상기 A액을 형성하는 용제에 대해서는 이 A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 등과 반응하지 않고, 이들의 성분을 용해할 수 있고, B액과 상용성이 있다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어 적합한 용제로서 석유 나프타(naphtha), 솔벤트 나프타, 석유 에테르, 석유 벤진, 이소파라핀, n-파라핀, 데카린, 공업 가솔린, 유동 파라핀, 리그로인, 등유 등의 석유계 용제를 들 수 있고, 또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계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고리 형상 실리콘이나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등의 저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그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는 외에, 2종 이상의 혼합 용제로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B액을 형성하는 용제에 대해서도 A액의 경우와 동일하게, B액을 구성하는 각 성분, 반응촉매 등과 반응하지 않고, 이들의 성분을 용해할 수 있고, A액과 상용성이 있다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으며, 예를 들어 적합한 용제로서 석유 나프타, 솔벤트 나프타, 석유 에테르, 석유 벤진, 이소파라핀, n-파라핀, 데카린, 공업 가솔린, 유동 파라핀, 리그로인, 등유 등의 석유계 용제를 들 수 있고, 또한,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알콜계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고리 형상 실리콘이나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등의 저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그 1종만을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는 외에, 2종 이상의 혼합 용제로서도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A액측의 용제와 B액측의 용제는 상기 A액 및 B액의 조건을 만족하는 한, 서로 동일하여도 되고, 또한 달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A액측의 성분 및 B액측의 성분 이외에, 도장면의 보호 광택제로서 도장면의 광택성, 발수성, 오염 방지성, 세정성, 및 닦아내는 작업성 등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혹은, 용제 안정성, 피막의 밀착성, 방부성 등의 다른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고융점 왁스, 유기계 수지 분말, 비휘발성 액상오일, 열가소성 수지, 피막성 향상제 및 세정제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제 3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첨가의 방법으로서는 미리 A액 및/또는 B액에 첨가하여도 좋고, A액측의 성분 또는 B액측의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한, 상기 A액측에 첨가하여도 좋고 B액측에 첨가하여도 좋으며, 게다가 A액 및 B액의 양쪽 액체에 나누어서 첨가하여도 좋지만, A액의 보존 안정성의 관점에서 B액측의 성분인 반응촉매와 반응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B액측에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A액 및 B액과는 별도로, 1 또는 2이상의 제 3의 액체로서 구성하고, 사용하기 직전에 첨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융점 왁스는 형성되는 피막에 평활성을 부여하고, 또한 더욱 광택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오염 방지성을 침범하지 않기 위하여 융점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카나우바 왁스(밀납) 등의 식물 왁스나,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에스테르 왁스, 산화 왁스 등의 석유 왁스나, 유지 합성 왁스 등의 경화 피마자유나, 몬탄 왁스 등의 광물 왁스 등의 왁스류나, 지방산 아미드계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왁스나 지방산 아미드계 왁스이다.
또한, 유기계 수지 분말이나 비휘발성 액상 오일은 닦아내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유기계 수지 분말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실리콘 레진, 4불화 에틸렌,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수지, 폴리프로필렌, 미결정 셀룰로스, 나이론, 실리콘고무, 키토산, 폴리스틸렌, 벤조구아나민·멜라민 축합물, 아크릴, 페놀 등을 들 수 있고, 주로 부정형의 형상의 분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휘발성 액상 오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폴리실록산, 스핀들 오일, 이소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불소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발수 지속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사용하는 용제에 가용이라면 되고, 예를 들어 석유계 수지, 실리콘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테르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피막성 향상제는 피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실란, 에폭시실란, 메타크릴실란 등의 실란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세정제는 세정성을 부가시킬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계면 활성제, 연마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제 3성분의 첨가량에 대해서는 A액과 B액을 혼합하여 얻어진 도포액 중에 있어서, 고융점 왁스가 0.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1∼5질량%인 것이 좋고, 또한 유기계 수지 분말은 0.1∼15질량%,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인 것이 좋고, 또한 비휘발성 액상 오일은 0.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1∼5질량%인것이 좋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0.01∼5질량%, 바람직하게는 0.05∼1질량%인 것이 좋고, 또한 피막성 향상제는 0.01∼5질량%, 바람직하게는 0.05∼2질량%인 것이 좋고, 세정제는 0.1∼10질량%, 바람직하게는 0.2∼5질량%인 것이 좋다. 또한, 이 첨가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반대로, 너무 많으면 고융점 왁스의 경우는 작업성이 악화하고, 유기계 수지 분말의 경우는 분말성이 증가하고, 생성되는 피막이 얇아져서 장기간 발수 성능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비휘발성 액상 오일의 경우는 피막의 경화를 저해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는 닦아내는 것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피막성 향상제의 경우는 완성시에 광택의 불균일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세정제의 경우는 발수 성능의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얻어진 A액과 B액의 포장 방법에 대해서는 도장면으로의 도포 작업의 직전까지 이들 A액과 B액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자동차용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의 경우에는 한 차량 당의 A액과 B액을 각각 작게 나누어서 작은 용기에 수용하고, 자동차 도장면으로의 도포 작업의 직전에 이들 A액과 B액을 비교적 큰 용기에 옮겨서 잘 혼합하고, 이 용기내에서 도포액을 조제하거나, 혹은 A액 및 B액의 하나(예를 들어 A액)를 비교적 큰 용기에 수용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예를 들어 B액)를 작은 용기에 수용하고, 자동차 도장면으로의 도포 작업의 직전에 작은 용기에 수용된 B액을 비교적 큰 용기에 수용된 A액 내에 옮겨서 잘 혼합하고, 이 용기내에서 도포액을 조제할 수 있도록 포장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A액과 B액을 혼합하여 도포액을 조정할 때의 두가지 액체의 양적 비율에 대해서는, 이들 두가지 액체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도포액의 조성이 도장면의 보호 광택제로서 적정한 조성이 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이들 A액 및 B액의 조성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A액 및 B액의 포장형태나 취급성 등을 고려하여 A액과 B액의 용적 혼합비가 1:100∼100:1의 범위가 되도록, 이들 A액 및 B액의 성분 조성을 설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된 본 발명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의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우선 그 도포작업의 직전에 A액과 B액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고, 얻어진 도포액을 타올, 스폰지, 부직포, 티슈 등의 수단으로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도포하고, 그 다음에, 도포된 도포액의 용제를 휘발시키고 건조시킨 후, 도장면상의 불필요한 성분을 타올, 부직포, 양털 등 상처를 입히지 않는 것으로 닦아내어 완성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5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로서 상온 경화형 알콕시 변성 실리콘 수지(GE 도시바 실리콘사 제품: XR31-B0270), 상온 경화형 알콕시 변성 실리콘 수지(니혼유니카사 제품: FZ3704), 상온 경화형 알콕시 변성 실리콘 수지(신에츠실리콘사 제품: KR500)를, 플루오르실란 화합물로서 CF3(CF2)7CH2CH2Si(OC2H5)3(도레·다우코닝사제품: AY43-158E), CF3(CF2)7CH2CH2Si(OCH3)3(신에츠실리콘사 제품: KBM7803), CF3(CF2)7CH2CH2Si[OCH(CH3)2]3(GE 도시바 실리콘사 제품: XC95-A9715), 플루오르폴리에테르실란(아우지몬트사 제품: FLUOROLINK7007)을, 반응촉매로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가츠다화공사 제품), 티타늄[아세틸아세톤](니혼화학산업사 제품: 나세무티탄), 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주석디부틸(호프제약사 제품)을, 고융점 왁스로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라이온사 제품: 아모 왁스 EBS-B), 폴리에틸렌(도요 페토로라이트사 제품: 폴리 1000)을, 유기계 수지 분말로서 실리콘레진파우더(도레·다우코닝사 제품: 트레필 R902A), 실리콘레진파우더(GE 도시바 실리콘사 제품: 토스펄 240), PTFE 파우더(아사히 가라스사 제품: 아프론 L-169J)를, 열가소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미츠비시레이욘사 제품:BR-115), 플루오르올레핀-비닐에테르 공중합체(아사히 가라스사 제품: 루미프론 LF-810), 실리콘 수지의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신에츠실리콘사 제품: KF9002)을, 용제로서 이소파라핀(이데미츠석유사 제품: IP1620), 이소프로필알콜(닛세키미츠비시사 제품), 나프텐계 용제(엑손사 제품: 엑솔 D-40), 이소파라핀계 용제(쉐르사 제품: 쉐르졸70), 방향족계 용제(쉐르사 제품: LAWS), 이온 교환수를,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니혼에멀젼사 제품: 에머렉스 603)를, 세정제로서 규조 토(존즈·만빌사 제품: 세라이트 219), 미립 알루미나(스미토모 화학사 제품: AM21)를 각각 이용하여,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비율로 A액 및 B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도장면으로의 도포 작업의 직전에, 위에서 얻어진 A액 및 B액을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여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3의 도포액을 조제하고, 또한, 시판품의 보호 광택제를 비교예 4 및 5로 하고, 이하와 같이 하여 도포 후의 닦아내는 성질, 도포 직후의 광택성, 1개월 경과 후의 광택성, 오염 방지성, 도포 직후의 발수성, 1개월 경과 후의 발수성을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도포 후의 닦아내는 작업성]
도포 후의 닦아내는 성질에 대해서는 진한 색 차의 보닛(도장면)에 부직포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용제를 휘발시킨 후에 깨끗한 마른 타올로 닦아내고, 그 때에 도장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일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닦아내는 작업을 행하여, 이 닦아내는 작업성을 ◎: 간단하게 불균일 없이 깨끗하게 완성된다, ○: 불균일 없이 깨끗하게 완성되지만 수고가 든다, △: 불균일이 남아 깨끗하게 완성되지 않는다, 및 ×: 닦아지지 않는다, 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광택성, 발수성 및 오염 방지성]
진한 색(연한 색, 백색)차의 보닛(도장면)을 마스킹(masking) 테이프로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부직포를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하고, 용제를 휘발시킨 후에 깨끗한 마른 타올로 닦아내고, 그 후 옥외에 방치하여, 1주간 단위로 약 100km 이상을 주행하고, 이 1단위 당 1회의 비율로 물로 세척하고, 각 단위마다 광택성, 발수성 및 오염 방지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광택성에 대해서는 도포 직후의 광택성을 ◎: 아주 많이 광택이 있다, ○: 매우 광택이 있다, △: 광택이 있다, 및 ×: 광택이 거의 없다, 의 4단계로 평가함과 동시에, 1개월 경과 후의 광택성을 ◎: 초기와 동등, ○: 거의 양호, △: 약간 뒤떨어짐, 및 ×: 광택이 거의 없다, 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발수성에 대해서는 호스로 물을 뿌려서 형성된 물방울의 형상을 관찰하여, 도포 직후의 발수성을 ◎: 깨끗한 물방울을 형성한다, ○: 물방울은 이루지만 깨끗하게 형성되지 않는다, △: 물방울은 형성되지 않고 물이 튀긴다, 및 ×: 물이 묻어 깨끗하지 않다, 의 4단계로 평가함과 동시에, 1개월 경과 후의 발수성을 ◎: 초기와 동등, ○: 거의 양호, △: 약간 뒤떨어짐, 및 ×: 발수성이 거의 없다, 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오염 방지성에 대해서는 ◎: 초기와 동등, ○: 다소 오염, △: 약간 오염, 및 ×: 상당히 오염, 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도장면의 보호 광택제에 의하면, 자동차 등의 도장면에 도포되고,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광택성, 발수성, 및 오염 방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더욱이 그 닦아내는 작업성에 대해서도 우수하다.

Claims (9)

  1. 도장면에 도포할 때에 그 도포 작업의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이액성의 보호 광택제로,
    유효 성분으로서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A액; 및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에 대하여 촉매작용을 가지는 반응촉매를 포함하는 B액;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가, 알콕시 변성 실리콘 수지 또는 수산기 변성 실리콘 수지인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플루오르실란화합물이 플루오르알킬실란 및/또는 플루오르폴리에테르실란인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촉매가 유기금속 화합물, 산, 알칼리, 및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액은 상온 경화형 변성 실리콘 수지를 1∼20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함과 동시에, 플루오르실란 화합물을 0.05∼10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B액은 반응촉매를 0.01∼10질량%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액 및/또는 B액에는 고융점 왁스, 유기계 수지 분말, 비휘발성 액상 오일, 열가소성 수지, 피막성 향상제 및 세정제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7. 제 6항에 있어서, 고융점 왁스가 식물 왁스, 석유 왁스, 광물 왁스, 합성 왁스, 및 지방산 아미드계 왁스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8. 제 6항에 있어서, 세정제가 물, 계면 활성제, 및 연마제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융점 왁스, 유기계 수지 분말, 비휘발성 액상 오일, 열가소성 수지, 피막성 향상제 및 세정제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A액 및 B액과는 별도로, 1 또는 2이상의 제 3의 액체로 구성되는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KR10-2003-7010101A 2001-01-31 2002-01-18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KR20030076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24669 2001-01-31
JPJP-P-2001-00024669 2001-01-31
PCT/JP2002/000352 WO2002061007A1 (fr) 2001-01-31 2002-01-18 Agent bicomposant de lustrage protecteur pour surface revet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641A true KR20030076641A (ko) 2003-09-26

Family

ID=1888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101A KR20030076641A (ko) 2001-01-31 2002-01-18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98287B2 (ko)
EP (1) EP1380624A4 (ko)
JP (1) JP4084191B2 (ko)
KR (1) KR20030076641A (ko)
CN (1) CN1238454C (ko)
TW (1) TW555825B (ko)
WO (1) WO20020610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24B1 (ko) * 2006-02-14 2008-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형광빛 측정에 의한 오일 산화도 실시간 모니터링방법 및장치
KR20210125387A (ko) * 2020-04-08 2021-10-18 이승규 자동차 외부 도장용 이액형 파인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049A (ja) * 2006-08-08 2008-02-21 Soft99 Corporation 車両用艶出しコーティング剤
WO2008082493A1 (en) * 2006-12-22 2008-07-10 Angiotech Biocoatings Corp. Coated medical devices with adhesion promoters
WO2009060535A1 (ja) * 2007-11-09 2009-05-14 Cosmostechno Corporation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撥水コーティング剤
JP5697897B2 (ja) * 2010-05-31 2015-04-08 神戸合成株式会社 外装面用の表面撥水保護剤
JP6074655B2 (ja) * 2012-09-26 2017-02-08 石原ケミカル株式会社 車両の塗装表面用コーティング剤
CN105176407A (zh) * 2015-10-08 2015-12-23 广州粤润汽车服务有限公司 一种旧车漆面翻新精华素备制方法
CN105838259A (zh) * 2016-03-29 2016-08-10 沈阳化工大学 蜡基汽车乳化抛光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2467A (en) * 1959-09-01 Siloxane-silicate elastomers
JPS6134081A (ja) 1984-07-27 1986-02-18 Hitachi Ltd 艶出し剤
JPS6451477A (en) 1987-08-21 1989-02-27 Asahi Glass Co Ltd Silicone coating material
JP3126837B2 (ja) * 1992-12-24 2001-0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面処理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211A (ja) 1993-06-18 1995-01-06 Nippon Soda Co Ltd 表面処理剤
JPH07196988A (ja) 1993-12-28 1995-08-01 Taiho Ind Co Ltd 塗装面用艶出し剤
JP3572757B2 (ja) 1995-02-10 2004-10-06 株式会社ソフト99コーポレーション 長期持続型ガラス用撥水処理剤
JPH0953065A (ja) 1995-08-10 1997-02-25 Toyo Riken Kk 撥水処理剤、撥水処理方法及び撥水処理物品
JP3561769B2 (ja) * 1995-10-06 2004-09-02 株式会社ソフト99コーポレーション 長期持続型ガラス用撥水処理剤
JPH10219235A (ja) * 1997-02-10 1998-08-18 Toyo Riken Kk 撥水処理剤、撥水処理方法及び撥水処理物品
JP3969847B2 (ja) * 1998-06-08 2007-09-05 株式会社タイホーコーザイ 撥水剤及びその処理方法
JP3983900B2 (ja) * 1998-06-19 2007-09-26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艶出し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24B1 (ko) * 2006-02-14 2008-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형광빛 측정에 의한 오일 산화도 실시간 모니터링방법 및장치
KR20210125387A (ko) * 2020-04-08 2021-10-18 이승규 자동차 외부 도장용 이액형 파인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84191B2 (ja) 2008-04-30
TW555825B (en) 2003-10-01
WO2002061007A1 (fr) 2002-08-08
CN1238454C (zh) 2006-01-25
EP1380624A1 (en) 2004-01-14
US7098287B2 (en) 2006-08-29
US20040054046A1 (en) 2004-03-18
CN1527867A (zh) 2004-09-08
EP1380624A4 (en) 2004-07-14
JPWO2002061007A1 (ja) 200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540B2 (ja) 外装面用の表面撥水保護剤
JP2006045507A (ja) 屋外塗装面用表面保護剤
KR20140040634A (ko) 차량의 도장 표면용 코팅제
JP2008075021A (ja) 車両用コーティング剤
JP2003160361A (ja) ガラス面の二液型撥水剤
JP6975375B2 (ja)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JP2009138063A (ja) 外装面用の表面撥水保護剤
JP5697897B2 (ja) 外装面用の表面撥水保護剤
KR20030076641A (ko) 도장면의 이액성 보호 광택제
KR20220000908U (ko) 자동차 표면보호용 유리막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679596B2 (ja) 外装面用の表面撥水保護剤
WO2017187874A1 (ja) 硬化性組成物
JP2016141748A (ja) 塗装面用表面保護剤
JP7239836B2 (ja) 被膜形成組成物
JP2762121B2 (ja) 塗装面の汚れ防止液状組成物
JP2008150457A (ja) 拭き上げ型親水化処理剤、親水性保護膜の形成方法及び親水性保護膜
JP2014162918A (ja) 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その塗布方法
JP2009138062A (ja) 外装面用の表面撥水保護剤
KR102183199B1 (ko) 비 점착성이 우수한 수용성 오염 방지용 친환경 코팅제 조성물.
JP2003192997A (ja) 塗装面の二液性洗浄艶出し剤
JP2004035047A (ja) 撥水剤用容器
JP2022096138A (ja) ガラス撥水剤
JP2021080336A (ja) 撥水性に優れた硬化性樹脂組成物
JP2012115836A (ja) 親水性もしくは撥水性のコーティング剤すなわち塗料の塗布予定面の前処理用の脱脂剤組成物の適用方法
JP2005206663A (ja) 樹脂用艶出し保護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