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1446A -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1446A
KR20030071446A KR1020020015982A KR20020015982A KR20030071446A KR 20030071446 A KR20030071446 A KR 20030071446A KR 1020020015982 A KR1020020015982 A KR 1020020015982A KR 20020015982 A KR20020015982 A KR 20020015982A KR 20030071446 A KR20030071446 A KR 2003007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tainer
developing
developer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995B1 (ko
Inventor
요꼬이아끼요시
와따나베가즈시
오구마도오루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초음파 용접시에 용접 수납부의 플랜지를 마련할 필요가 없는 현상제 용기의 형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장치 본체를 크게 만들지 않고도 현상제 용기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현상 프레임(13)의 대향면(25) 상의 플랜지(25a, 25b)들은 현상제 공급 개구(14e)가 형성되고 현상제 용기(14)를 구성하는 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 상의 상부 및 하부 상에 형성된 플랜지(22c)에 각각 접촉되고, 이들 플랜지들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연결부(X, Y)에서 용접된다. 그러면, 리드 프레임(23)의 플랜지(23a)는 초음파에 의해 용접면(U) 상의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2a)에 연결되고, 이로써 현상제 공급 개구(14e)가 프레임들 사이에 놓인 현상 프레임(13)에 용기 프레임(22)이 연결된 현상제 용기(14)가 형성된다. 이런 방식에서, 용접 평면(U)은 연결부의 외측 상의 양 연결부(X, Y) 위의 위치에 배치되며, 이로써 현상제가 수용될 수 없는 쓸모없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DEVELOPER CONTAINER}
본 발명은 전사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식 화상 현상 장치와, 현상 장치와,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처리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예컨대 전자 사진식 복사기, 전자 사진식 프린터(예컨대, 레이저 비임 프린터, 발광 다이오드(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계,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자진식 감광 부재와 적어도 현상 수단이 일체로 합체되고,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 외에도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 및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에,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상에서 작용하는 처리 수단이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에 일체로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자신은 수리공에 의존하지 않고도 장치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작업성은 크게 개선될 수 있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제 용기(114)와 현상 프레임(113)을 용접함으로써 일체 형성된 현상 장치 유닛(119)를 포함한다. 현상제 용기(114)는 현상제를 수용하며 교반 부재(115)는 현상제 용기(114) 내에 배치된다. 현상 프레임(113)은 현상 블레이드(112a)와 같은 현상 수단과 현상 부재와 같은 현상 롤러(111)를 유지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또한 감광 드럼(109)을 포함하는 감광 부재 유닛(120)과, 세척 블레이드(117a) 및 폐현상제 저장소(117b)를 포함하는 세척 수단(117)과, 대전 롤러(110) 등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드럼 프레임(118)에 부착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장치 유닛(119) 및 감광 부재 유닛(120)가 선회 가능하거나 통합된 상태로 결합되어 카트리지로 제조된다.
이런 프로세스 카트리지(B)에서, 현상 장치 또는 현상 장치 유닛(119)은 일반적으로, 현상 부재로서 현상 롤러(111) 및 현상 블레이드(112)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113)와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114)라는 두 개의 구획된 섹션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용기 프레임(122) 및 리드 프레임(123)을 용접 평면(U)에서 함께 초음파 용접함으로써 용기 형상의 현상제 용기(114)를 형성한다. 그 후, 현상제 용기(114)(용기 프레임(122))의 현상제 공급 개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122a, 122b)와 현상 프레임(113) 상에 형성된 용접 리브(113a, 113b)는 서로 끼워지고, 플랜지(122a, 122b)와 용접 리브(113a, 113b)는 연결부(X, Y)에서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종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현상제 용기(114)와 현상 프레임(113)을 초음파 용접하는 작업은 도16에 도시된 다음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즉, 현상제 용기(114) 상에 마련된 플랜지(122a, 122b)는 각각 수납 지그(170a, 170b)에 의해 그 하부면 상에서 지지된다. 그 후, 현상 프레임(113)은 플랜지(122a, 122b) 상에 위치되며, 현상 프레임(113)와 플랜지(122a, 122b)는 현상 프레임(113)의 상측으로부터 용접 혼(117a, 117b)을 사용함으로써 연결부(X, Y)에서 초음파에 의해 용접된다. 즉, 현상 프레임(113)과 현상제 용기(114)는 각각 수납 지그(170a, 170b)와 용접 혼(171a, 171b) 사이에 놓이며, 현상 프레임(113)과 현상제 용기(114)는 연결부(X, Y)에서 용접되어 고정된다. 결국, 현상 프레임(113)과 현상제 용기(114)는 플랜지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현상 프레임(113)과 현상제 용기(114)에서, 용접 평면(U)은 플랜지를 사용해서 두 개의 연결부(X, Y)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용접 평면(U)과 연결부(X, Y) 사이에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들 공간들은 현상제가 수용될 수 없는 쓸모없는 공간들이다. 결국, 현상제가 수용될 수 있는 현상제 용기(14)의 용량을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을 더욱 진보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 수용부의 현상제 수용 용량의 효율이 개선된 현상제 수용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수용 용량을 증가시킨 현상제 수용부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한 부분에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고 현상 프레임과 현상제 수용부를 연결할 수 있는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장치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크기뿐만 아니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도 증대시키지 않고 그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수용부 및 현상 프레임이 서로 연결될 때 현상제 수용부의 현상제 수용측에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현상제 수용부 및 현상 프레임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와, 현상제 용기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과,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용기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에 관련해서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형상에 대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외양에 대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제 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시일 부재가 부착된 현상제 용기 및 현상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제 용기의 용기 프레임 및 현상 프레임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b 및 도6c는 각각 용기 프레임과 현상 프레임의 연결부(X, Y)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의 연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시일 부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용기 프레임에 부착될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시일 부재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용기 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시일 부재를 인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 유닛에 시일 부재를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 유닛의 현상 프레임 및 용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 유닛의 용기 프레임에 리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장치 유닛의 현상 프레임과 용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15는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16은 종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 및 용기 프레임의 연결부에 대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전사 롤러
5 : 정착 롤러
6 : 전달 트레이
9 : 감광 드럼
10 : 대전 롤러
11 : 현상 롤러
12 : 현상 블레이드
13 : 현상 프레임
14 : 현상제 용기
14e : 현상제 공급 개구
15-1, 15-2 : 교반 부재
16 : 현상제 교반 부재
17 : 세척 수단
18 : 드럼 프레임
19 : 현상 장치 유닛
20 : 감광 부재 유닛
22 : 용기 프레임
22a : 개구 플랜지
22h : 개구
23 : 리드 프레임
U : 용접 평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와,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과, 현상 장치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식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를 특히 예시하기로 한다.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A)는 드럼 형상의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이하, 감광 드럼)(9)를 포함한다. 감광 드럼(9)은 대전 수단으로서 대전 롤러(10)에 의해 대전되며, 그 후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 비임이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 거울, 렌즈, 반사 거울 등을 포함하는 광학 수단(1)으로부터 감광 드럼(9)을 조사한다. 이로써,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9) 상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사용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장치는 내측에 자석 롤러를 합체한 현상 롤러(11)와, 현상 롤러(11)의 표면 상에 있는 현상제에 마찰 전기화 전하를 제공하고 소정 두께의 현상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제량 조절 부재로서 현상 블레이드(12)를 포함한다. 현상 프레임(13)은 현상 롤러(11)와 현상 블레이드(12)를 유지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13)은 현상 장치 유닛(19)을 구성하기 위해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현상제 용기(14)에 용접되어 현상제 용기(14)와 단일체로 제조된다.
현상제 용기(14)에는 내부에 현상제를 교반시키고 현상 프레임(13)으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교반 부재(15-1, 15-2)가 마련된다. 현상제 용기(14) 내의 현상제는 교반 부재(15-1, 15-2)의 회전에 의해 현상 프레임(13)의 현상 롤러(11)로 공급된다. 또한, 현상 프레임(13)의 내부에는 현상 롤러(11)의 근처에 현상제 교반 부재(16)가 마련된다. 현상제 교반 부재(16)는 현상 프레임(13)의 현상제를 순환시킨다.
현상제 용기(14) 내에 수용된 현상제(t)는 상술한 형상의 교반 부재(15-1, 15-2)의 회전에 의해 현상 프레임(13)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현상제는 현상 롤러(11)로 공급되는 동안 현상 프레임(13) 내의 교반 부재(16)에 의해 교반된다. 그리고, 현상제는 내부에 자석 롤러를 합체한 현상 롤러(11)의 표면에 부착되며, 현상제는 현상 롤러(11)의 회전에 의해 운반된다. 그 후, 현상제에는 현상 블레이드(12)에 의해 마찰 전기화 전하가 주어지고 소정 두께를 갖는 현상제층이 현상 롤러(11) 상에 형성되어 감광 드럼(9)의 현상 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 영역으로 공급된 현상제는 감광 드럼(9) 상의 정전 잠상으로 전사되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현상 롤러(11)는 일반적으로 현상 롤러(11)로 직류 전압에 추가된 교류로 된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와 접속된다.
한편, 카세트(3a)에 실장된 기록 매체(2)는 상술한 현상제 화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픽업 롤러(3b) 및 운반 롤러 쌍(3c, 3d, 3e)에 의해 전사 위치로 운반된다. 전사 위치에는 전사 수단으로서 전사 롤러(4)가 배치된다. 전사 롤러(4)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9) 상의 현상제 화상은 기록 매체(2)로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2)는 운반 가이드(3f)를 거쳐 정착 수단(5)으로 운반된다. 정착 수단(5)에는 구동 롤러(5c)와 내부에 히터(5a)를 합체한 정착 롤러(5b)가 마련되며, 정착 수단(5)은 통과하는 기록 매체(2)에 열과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의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그 후, 기록 매체(2)는 전달 롤러 쌍(3g, 3h)에 의해 표면 역경로(3i)를 거쳐 전달 트레이(6)로 전달된다. 전달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상면에 형성된다. 또한, 기록 매체(2)는 선회 가능한 플래퍼(3j)의 작업에 의해 표면 역경로(3i)를 지나지 않고 전달될 수도 있다. 픽업 롤러(3b), 운반 롤러쌍(3c, 3d, 3e), 운반 가이드(3f) 및 전달 롤러쌍(3g, 3h) 등은 기록 매체(2)에 대한 운반 수단(3)을 구성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 롤러(4)에 의해 기록 매체(2)로 전사된 후, 감광 드럼(9)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감광 드럼(9)이 후속 화상 형성 과정에 대비하도록 세척 수단(17)에 의해 제거된다. 세척 수단(17)은 감광 드럼(9)과 접촉하는 탄성 세척 블레이드(17a)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9)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벗겨내고, 세척 수단(17)은 폐현상제 저장소(17b)로 폐현상제를 수집한다.
상술한 형상의 화상 형성 장치(A)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도2 및 도3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B)는 용접 등에 의해 단일체로 형성된 현상제 용기(14)와 현상 프레임(13)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 유닛(19)을 포함한다. 현상 프레임(13)은 현상 롤러(11), 현상 블레이드(12) 등을 갖는 현상 장치를 유지한다. 카트리지(B)는 또한 감광 드럼(9), 세척 블레이드(17a)와 같은 세척 수단(17) 및 대전 롤러(10) 등이 부착된 드럼 프레임(18)으로 구성된 감광 부재 유닛(20)을 포함한다. 현상 장치 유닛(19)과 감광 부재 유닛(20)은 좌측 단부 상의 측면 커버(L)와 우측 단부 상의 측면 커버(R)에 의해 측면 지지(flank)되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카트리지로 일체로 연결된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의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우선 화상 형성 장치(A)의 장치 본체 상에 마련된 카트리지 도어(7)(도1)가 개방되고,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에 마련된 카트리지 장착부(8) 상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카트리지 장착부(8) 내에는, 카트리지(B)의 서로 대향하는 양 단부의 외면 상의 안내된 (도시 안된) 수단을 안내하고 이끌기 위한 안내 수단(도시 안됨)과, 카트리지(B)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수단(도시 안됨)이 마련된다. 결국, 장치 본체의 카트리지 도어(7)(도1)는 개방되며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로 삽입되어서 장치 본체의 양 측벽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 안내 수단을 따라 이동된다. 그 후,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장착부(8)의 위치 설정 수단에 의해 위치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현상제 용기(14)의 구조에 대해 도2, 도3, 도4, 도5, 도6a, 도6b 및 도6c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현상제 용기(14)는 용기 프레임(22)과 리드 프레임(23)을 포함한다. 현상제 용기(14)는 두 개의 수용부(14a, 14b)를 포함한다. 수용부(14a, 14b)의 바닥면이 서로 만나는 위치에서, 현상제가 수용부(14b)로부터 인출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바닥 구획부(14c)가 형성된다. 수용부(14b)로부터 수용부(14a)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작업은 구획부(14c) 위에 형성된 개구부(14d)를 거쳐 수행된다. 그 후, 교반 부재(15-1, 15-2)는 각각 수용부(14a, 14b)에 배치된다. 수용부(14a) 내의 교반 부재(15-1)는 교반 부재(15-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개구부(14d)를 통과한 현상제는 현상제의 자기 무게에 의한 현상제 낙하 현상을 이용해서 매끄럽게 운반될 수 있다.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교반 부재(15-1, 15-2)는 회전 막대 부재(15a)와, 폴리페닐 황화물(PPS)로 제조된 탄성 시트(15b)와, 가압 부재(15c)를 포함한다. 탄성 시트(15b)는 나사 결합, 아교 접합, 용접, 열을 사용한 코우킹 등에 의해 회전 막대 부재(15a)에 고정된다.
수용부(14b) 내의 교반 부재(15-2)는 개구부(14d)를 거쳐 수용부(14a) 내로 현상제를 공급하면서 수용부(14b) 내의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해 도2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수용부(14a) 내의 교반 부재(15-1)는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거쳐 현상 프레임(13) 내로 현상제를 공급하면서 수용부(14a) 내의 현상제를 교반시키기 위해 도2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2,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용기(14)는 하부의 용기 프레임(22)과 상부의 리드 프레임(23)을 포함한다. 용기 프레임(22)과 리드 프레임(23)은 용접 평면(U)에서 연결된다. 현상제 공급 개구(14e)는 용기 프레임(22)의 측벽부에 형성된다. 리드 프레임(23)에 의해 폐쇄될 개구(22h)는 용기 프레임(22)의 상부 상에 형성된다. 그러면, 개구(22h)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한 개구 플랜지(22a)가 개구(22h) 둘레에서 주변 리브(카운터 로크)와 일체로 마련된다. 또한, 리드 부재로서의 리드 부재(23)는 용기 프레임(22)의 개구(22h)를 덮는다.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2a)에 대응하는 플랜지(23a)는 리드 프레임(23)의 주변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며 리드 프레임(23)과 일체 형성된다. 플랜지(22a)와 플랜지(23a)는 용기 프레임(22)과 리드 프레임(23)이 서로 연결되도록 서로 접촉되어 용접된다. 리드 프레임 연결부로서 플랜지(22a)와 플랜지(23a)의 연결면은 용접 평면(U)이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23)의 플랜지(23a)는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2a)와 겹쳐지고, 용접 평면(U)은 용기 프레임(22)과 리드 프레임(23)이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초음파 용접된다. 그러면, 프레임(22, 23)은 현상제 용기(14)를 형성하도록 합체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평면(U)에서, 용기 프레임(22)의 폭방향으로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인용 부호 U1으로 지시되며 타 단부측 상에 위치된 다른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인용 부호 U2로 지시된다.
도2,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개구(14e)가 형성된 용기 프레임(22)의 측벽부에서, 그 상부측 및 하부측 상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모서리부에 평행하게 연장된 나사 홈(22f)은 현상제 공급 개구(14e) 위의 부분에서벽면(22b) 상에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22c)가 용기 프레임(22)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 아래에 형성된다. 도2,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2c) 상에는, 나사 홈(22g)이 나사 홈(22f)과 마찬가지로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모서리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용기 프레임(22)에 대향된 현상 프레임(13)의 대향면(25) 상에는, 도2 및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2b)과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2c)에 대향된 플랜지(25a, 25b)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25a, 25b) 상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나사(25c, 25d)가 각각 형성된다. 플랜지(25a)의 돌출 나사(25c)는 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 상에 형성된 나사 홈(22f)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나사 홈(22f)에 끼워진다. 그리고, 플랜지(25b)의 돌출 나사(25d)는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5c) 상에 형성된 나사 홈(22g)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나사 홈(22g)에 끼워진다. 또한, 초음파 용접을 위해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돌출 나사(25f, 25g)(도6b, 도6c)가 각각 돌출 나사(25c, 25d)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프레임(22)에 대향된 현상 프레임(13)의 대향면(25) 상에는, 현상 프레임(13)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원통형 다우얼(26a)과 직사각형 다우얼(26b)이 각각 대향면(25)의 상부에서 양 단부 상에 형성된다. 각각 다우얼(26a, 26b) 상에 끼워지도록 배치된 원형 구멍(27a)과 직사각형 구멍(27b)(도8)은 위치 설정을 위해 다우얼(26a, 26b)에 대응하는 용기 프레임(22) 상에 형성된다. 원형 구멍(27a)은 다우얼(27a) 상에 밀접하게 끼워진다. 직사각형 구멍(27b)은 직사각형 다우얼(27a)과 폭 방향(또는 도7 및 도8에서 수평 방향)으로 밀접하게 결합하고 길이 방향(또는 도7 및 도8에서 수직 방향)으로 느슨하게 결합한다. 또한, 도7에서, 인용 부호 30과 31은 시일 부재를 가리킨다. 시일 부재(30, 31)는 펠트와 같은 탄성재로 제조되며, 용기 프레임(22)에 대향되는 현상 프레임(13)의 대향면(25)의 길이 방향으로 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인용 부호 32는 테이프를 지시한다. 테이프(32)는 작은 마찰 상수를 갖는 합성 수지막이다. 테이프(32)는 일 측면 시일 부재(30)의 내부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용기 프레임(22)과 현상 프레임(13)이 연결되어 조립될 때, 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과 플랜지(22c)는 각각 현상 프레임(13)의 플랜지(25a, 25b)에 대해 끼워진다. 이 때, 현상 프레임(13)의 다우얼(26a)은 용기 프레임(22)의 구멍(27a)으로 끼워지고, 현상 프레임(13)의 다우얼(26b)은 용기 프레임(22)의 구멍(27b)과 결합된다. 결국, 현상 프레임(13)의 위치 설정 다우얼(26a, 26b)은 각각 용기 프레임(22)의 위치 설정 구멍(27a, 27b)으로 끼워진다. 그 후, 현상 프레임(13)과 용기 프레임(22)에 대한 위치 설정이 수행된다. 또한, 현상 프레임(13)의 돌출 나사(25c, 25d)는 용기 프레임(22)의 나사 홈(22f, 22g)에 끼워진다. 이런 방식에서, 용기 프레임(22)과 현상 프레임(13)은 서로 압력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현상 프레임(13)의 대향면(25)의 양 단부 상에 배치된 시일 부재(30, 31)는 용기 프레임(22)과 접촉하게 되어 용기 프레임(22)에 의해 압박된다. 용기 프레임(22)의 나사 홈(22f, 22g)과 현상 프레임(13)의 돌출 나사(25c, 25d)는 서로 끼워져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덮기 위한 시일 부재(3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온 용접에 의해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주연부에 부착된다(도8 및 도9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서로 용접되는 용기 프레임(22)과 현상 프레임(13)에서, 용기 프레임(22)과 현상제 프레임 몸체(13)의 두 개의 연결부(X, Y)는 상술한 시일 부재(35)의 부착부가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 놓인 상태에서 동일 평면 상의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상부 주연부의 위치 및 하부 주연부의 위치)에서 각각 배치된다(도2, 도5 및 도6a 내지 도6c 참조). 연결부(X)는 플랜지(25a) 상에 돌출 나사(25c)를 구비한 벽면(22b) 상의 나사 홈(22f)의 제1 현상 프레임 연결부이다. 연결부(Y)는 플랜지(25b)의 돌출 나사(25d)를 구비한 플랜지(22c) 상의 나사 홈(22g)의 제2 현상 프레임 연결부이다. 그리고, 용기 프레임(22)의 폭방향으로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U1)는 현상 프레임 연결부(X)에 수직한 평면(L1)의 외측 상에 위치된다. 평면(L1)은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 상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X)의 폭 방향으로 외측 단부(X1)를 통과한다. 또한, 현상 프레임 연결부(X)는 플랜지부 상에 위치되지 않지만, 현상제가 수용된 용기 프레임(22)의 측면에 대해 대향하는 측면 상에, 즉 현상제가 수용된 부분의 이면 상에 위치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도15 및 도16 참조), 용접 평면(U)은 용기 프레임(122)과 현상 프레임(113)의 두 개의 연결부(X, Y) 사이에 배치되며, 용접 평면(U)과 두 개의 연결부(X, Y)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들 공간은 현상제가 수용될 수 없는 쓸모없는 공간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용기 프레임(22)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U1)는 현상 프레임 연결부(X)에 수직한 평면(L1)의 외측 상에 위치된다. 평면(L1)은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 상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X)의 폭 방향으로 외측 단부(X1)(또는 본 실시예의 현상 프레임 연결부(X)를 구성하는 돌출 나사(25c) 및 나사 홈(22f)의 외측 단부(X1), 도5 및 도6a 참조)를 통과한다. 그러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프레임(22)과 리드 프레임(23)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 상에 위치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U1)는 연결부(X) 외측 그리고 위의 위치에서 연결된다. 결국, 상기한 쓸모 없는 공간이 현상제 수용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직 평면(L1)의 외측은 폭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부(14e)의 중심에 대향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또한, "위(above)"라는 의미는 현상제 용기(14)가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위쪽이라는 의미이다. 이외에도, 수직 평면(L1)은 연결부(X), 즉 돌출 나사(25c)와 나사 홈(22f)에 평행하다. 그리고 평면(L1)은 현상 프레임(13)에 사실상 수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리드 프레임 연결부(U1)의 형상은 리드 프레임 연결부(U2)에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를 리드 프레임 연결부(U2)에도 적용한다면, 리드 프레임 연결부(U2)는 다음과 같다.
즉, 용기 프레임(22)의 폭 방향의 타 단부측 상에 위치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U2)는 현상 프레임 연결부(Y)에 수직한 평면(L2) 외측에 배치된다. 평면(L2)은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폭 방향으로 타 단부 상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Y)의 폭 방향으로 외측 단부(Y1)를 통과한다.
이 경우, 현상 프레임 연결부(Y)는 플랜지부 상에 위치되지 않지만, 현상제가 수용된 용기 프레임(22)의 측면에 대향된 측면 상에, 즉 현상제가 수용된 부분의 이면 상에 위치된다. 결국, 현상 프레임 연결부(Y) 및 리드 프레임 연결부(U2)는 도5 및 도6a에 도시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X) 및 리드 프레임 연결부(U1)와 유사하다. 따라서, 현상 프레임 연결부(Y)와 리드 프레임 연결부(U2)의 배열 및 형상을 도시한 도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삼각형 단면 섹션을 갖고 있고 용접 리브인 현상 프레임(13)의 돌출 나사(25f, 25g)가 용기 프레임(22) 상에 형성되면, 용기 프레임(22)과 현상 프레임(13)은 유사하게 연결될 수 있다. 폴리스티렌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중합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페닐렌 산화물(PPO) 수지 등과 같은 수지가 용기 프레임(22)과 리드 프레임(23)과 현상 프레임(13)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덮기 위한 시일 부재(3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일 부재(35)는 알루미늄(Al) 막과, Al 막의 상부 및 하부측 상에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막과, 시일 부재(35)의 부착면 상의 고온 용접층(또는 밀봉제 층)으로 구성되며, 이 때 모든 층들은 서로의 상부상에 적층된다. 도5, 도6a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35)는 현상제 용기(14)(또는 용기 프레임(22))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덮도록 부착된다. 시일 부재(35)에서, 적층된 PET 막의 일 층의 상부 및 하부 단부 각각의 상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슬릿(35c)은 현상제 공급 개구(14e)가 개방될 때 시일 부재(35)를 찢기 쉽도록 마련된다. 후술하는 개방 작업은 현상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개방하기 위해 슬릿(35c)을 따라 시일 부재(35)를 찢는 것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일 부재(35)는 길이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길이의 두 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시일 부재(35)의 길이의 대략 1/2 정도는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주연부에 부착된다. 부착되지 않은 시일 부재(35)의 다른 부분은 부착된 반쪽 부분 상에 놓이게 될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길이 방향으로 일 단부(35a)에서 뒤로 접혀져서, 개구(14e)의 다른 측면 상의 단부로부터 그 외측으로 당겨진다.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주연부에 부착된 시일 부재(35)가 마련된 현상제 용기(14)와 현상 프레임(13)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때, 시일 부재(35)는 용기 프레임(22)에 대향된 현상 프레임(13)의 대향면의 길이 방향으로 단부에 부착된 펠트와 같은 시일 부재(30)와 접촉하게 되어 이를 압박하며, 그 후, 시일 부재(35)는 현상제 용기(14)(또는 용기 프레임(22))와 현상 프레임(13) 사이를 거쳐 외측으로 당겨진다. 또한, 합성 수지막으로 제조되고 작은 마찰 계수를 갖는 테이프(32)는 그 내부측 상에서 시일 부재(30)의 표면 상에 부착된다. 또한, 시일 부재(31)는 시일 부재(30)가 부착된 위치에 대향하는 대향면(25)의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다.
외측으로 당겨진 시일 부재(35)의 단부(그립 단부)(35b)는 핸드 그립인 그립 부재(14p)에 부착된다. 그립 부재(14p)는 현상제 용기(14)와 일체로 형성된다. 현상제 용기(14)와 그립 부재(14p)를 연결하기 위한 그립 부재(14p)의 연결부(14q)의 두께는 현상제 용기(14)로부터 그립 부재(14p)를 찢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얇도록 제조된다. 또한, 그립 부재(14p)는 약 90도만큼 절곡(도3)되고 포장된 카트리지(B)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카트리지(B)가 포장될 때 포장 효율이 양호하도록 포장된다. 사용자는 그립 부재(14p)를 들어 올려서 도10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시일 부재(35)를 당기기 위해 얇은(가요성) 연결부(14q)에서 그립 부재(14p)를 절단한다. 이로써, 시일 부재(53)는 슬릿(35c)을 따라 찢어져서 벗겨지고, 현상제 용기(14)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가 개방된다. 그 후, 현상제 용기(14)의 현상제는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거쳐 현상 프레임(13)으로 공급되고, 카트리지(B)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해서 현상 장치 유닛을 연결하는 방법을 과정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i) 시일 부재(35)의 부착 과정(도11)
우선, 시일 부재(35)는 현상제 공급 개구(14e)를 덮기 위해 고온 용접에 의해 현상제 용기(14)를 구성하는 용기 프레임(22)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에 부착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프레임(22)은 수납 지그(70a, 70b)가 각각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과 플랜지(22c)를 유지하도록 수납 지그(70a, 70b) 상에 고정된다. 그 후, 시일 부재(35)는 현상제 공급 개구(14e) 상에 설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고온 용접 지그(80)가 시일 부재(35)를 압박하기 위해 하강하도록 제조된다. 그 후, 고온 용접 지그(80)는 시일 부재(35)의 고온 용접층(밀봉제층)을 용융시키면서, 고온 용접 지그(80)는 시일 부재(35)를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주연부에 밀접하게 부착시킨다.
(ⅱ) 현상 프레임(13)과 용기 프레임(22)의 연결 과정(도12)
다음으로, 현상 프레임(13)은 시일 부재(35)가 초음파 용접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용기 프레임(22)에 연결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과 플랜지(22c)가 각각 수납 지그(70a, 70b)에 의해 유지되도록 용기 프레임(22)이 수납 지그(70a, 70b)에 의해 고정된 후, 현상 프레임(13)은 고정된 용기 프레임(22) 상에 위치된다. 이 때, 도6a, 도6b,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13)의 돌출 나사(25c, 25d)는 각각 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과 플랜지(22c) 상에 형성된 나사 홈(22f, 22g)으로 각각 끼워진다. 그 후, 용접 혼(71a, 71b)은 각각 용기 프레임(22)의 벽면(22b)과 플랜지(22c)로 현상 프레임(13)의 플랜지(25a, 25b)를 압박하도록 하강한다. 그러면, 초음파 진동이 돌출 나사(25c, 25d)와 나사 홈(22f, 22g)에 인가되어서 각각 삼각형 단면을 갖고 각각 돌출 나사(25c, 25d)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 홈(22f, 22g)을 마찰열로 용융시키며, 그 후, 돌출 나사(25c, 25d)는 용접에 의해 나사 홈(22f, 22g)의 바닥부에 연결된다. 이로써, 용기 프레임(22)의나사 홈(22f, 22g)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22f1, 22g1)는 용기 프레임(22)과 현상 프레임(13)이 서로 연결되도록 현상 프레임(13)의 플랜지(25a, 25b)에 대해 끼워진다. 결국,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대면하는 표면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주변 리브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다. 그 후, 시일 부재(35)는 이 공간에 배치된다.
이 경우, 수납 지그(70a, 70b)는 상술한 항목 (i)에서 시일 부재의 부착 과정에서와 같이 용기 프레임(22)의 동일면을 수납한다.
(ⅲ) 리드 프레임(23)의 연결 과정(도13)
다음으로, 리드 프레임(23)이 현상 프레임(13)이 연결된 용기 프레임(22)에 초음파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부재(15-1, 15-2)가 현상 프레임(13)에 연겨된 용기 프레임(22)에 합체된 후, 용기 프레임(22)은 수납 지그(70c)가 용접 평면(U)의 플랜지(22a)의 이면의 전체 원주를 수납하도록 수납 지그(70c) 상에 고정된다. 그 후, 리드 프레임(23)의 플랜지(23a)는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2a) 상에 위치되어 정렬되고, 리드 프레임(23)은 용기 프레임(22) 상에 고정된다. 그 후, 용접 혼(71c)은 하강하며, 초음파 용접에 의해 플랜지(22a)에 플랜지(23a)를 용접해서 연결하도록 작업된다. 이런 방식에서, 용기 프레임(22)의 플랜지(22a)는 리드 프레임(23)의 플랜지(23a)에 끼워진다. 그러면, 플랜지(22a, 23a)는 프레임(22, 23)이 용기의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되도록 초음파 용접으로 용접 리브를 용융시킴으로써 용접 평면(U) 상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현상제 용기(14)는 현상제로 충전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11), 현상 블레이드(12) 등과 같은 부분은 현상 프레임(13)으로 통합된다. 이로써, 현상 장치 유닛(19)은 완성된다.
그 후, 완성된 현상 장치 유닛(19)과 감광 부재 유닛(20)은 대향되는 양 단부에서 측면 커버(L)(37)와 측면 커버(R)(38)에 의해 측면 지지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B)로 일체로 연결된다.
비록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는 프레임 연결 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 방법은 초음파 용접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연결 방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은, 예컨대 나사 결합, 고온 용접, 진동 용접,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시일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일 부재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착제,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효율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용기의 형성을 위해 용기 프레임에 리드 프레임을 연결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리드 프레임(23)이 용기 프레임(22)의 상부 개구를 덮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형상도 유사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현상제 용기에는 리드 프레임이 마련됨으로써 현상제 수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현상제가 리드 프레임의 부분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 프레임(22)의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상측 상의 플랜지가 추가적인 현상제 수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되는 형상이 설명된다. 그러나, 현상제 공급 개구(14e)의 대향측(하부측) 상의 형상은 플랜지(22c)를 제거하기 위해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프레임(22)의 형상은 일체형 초음파 수납 지그(70d)가 용기 프레임의 내면 상의 양쪽 연결부를 수납하기 위해 리드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그 개구를 거쳐 용기 프레임으로 삽입되는 형상이다. 또한, 용기 프레임에서 어느 한 플랜지 또는 양 플랜지를 제거하면, 그 형상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그 이유는 어느 한 플랜지를 제거하더라도 본 발명의 장점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양 플랜지를 제거하는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장점도 얻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설명된 상세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변경 또는 개조를 포괄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프레임과 현상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한 부분의 플랜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현상제 용기의 형상을 취한다. 이로써, 현상제 용기의 현상제 수용 공간은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결국, 현상제 용기의 용량은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본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증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현상제 용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사용되고, 현상 부재에 의해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데 사용될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현상 부재가 배치된 현상 프레임으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 및 개구가 마련된 용기 프레임과,
    상기 용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프레임은,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서 연결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용기 프레임이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이 연결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시일부재가 고온 용접에 의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고온 용접에 의해 부착된 시일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용기 프레임의 표면은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현상 프레임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의 표면과 사실상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에는 상기 용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용기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에는 상기 리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리드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플랜지 및 상기 리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프레임은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6.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사용될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가 배치된 현상 프레임과,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현상 프레임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 및 개구가 마련된 용기 프레임과 상기 용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의 상기 용기 프레임은,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서 연결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용기 프레임이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이 연결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시일부재가 고온 용접에 의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고온 용접에 의해 부착된 시일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용기 프레임의 표면은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현상 프레임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의 표면과 사실상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에는 상기 용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용기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에는 상기 리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리드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플랜지 및 상기 리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프레임은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현상제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가 배치된 현상 프레임과,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현상 프레임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 및 개구가 마련된 용기 프레임과 상기 용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의 상기 용기 프레임은,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서 연결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용기 프레임이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이 연결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시일 부재가 고온 용접에 의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고온 용접에 의해 부착된 시일 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상기 용기 프레임의 표면은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상기 현상 프레임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의 표면과 사실상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에는 상기 용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용기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에는 상기 리드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의 주연부로부터 외향 돌출한 리드 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플랜지 및 상기 리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 프레임은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ⅰ) 현상 장치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및
    (ⅱ)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는,
    현상제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가 배치된 현상 프레임과,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현상 프레임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 및 개구가 마련된 용기 프레임과 상기 용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의 상기 용기 프레임은,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서 연결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용기 프레임이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이 연결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17.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ⅱ) 기록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와,
    현상제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사진식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 부재가 배치된 현상 프레임과,
    현상제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현상 프레임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개구 및 개구가 마련된 용기 프레임과 상기 용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연결된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의 상기 용기 프레임은,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서 연결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와 상기 용기 프레임이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이 연결된 현상 프레임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18.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될 현상제 용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용기 프레임이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의해 상기 현상 프레임에 상기 용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로서, 상기 용기 프레임에는 현상 부재가 배치된 상기 현상 프레임으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 및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용기 프레임은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의 주연부에서 연결된 리드 프레임 연결부 및 상기 용기 프레임이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거쳐 상기 현상 프레임과 연통하도록 상기 현상 프레임이 연결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를 갖는, 현상 프레임 연결 단계와,
    상기 리드 프레임이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에 의해 상기 리드 프레임에 상기 용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리드 프레임 연결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써 상기 용기 프레임과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가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고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가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의 외측에 위치되도럭 연결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 단계 전에 고온 용접에 의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를 폐쇄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시일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 단계는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상기 리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 단계는 나사,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온 용접 또는 진동 용접에 의해 상기 용기 프레임에 상기 현상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용기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일 단부측 상에 위치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에 수직한 평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평면은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상기 폭 방향으로 타 단부에서 상기 현상제 공급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상기 현상 프레임 연결부의 상기 폭 방향으로 외부 단부를 거쳐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KR10-2002-0015982A 2002-02-27 2002-03-25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KR100413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0657A JP3907496B2 (ja) 2002-02-27 2002-02-27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現像剤収納容器とその組立て方法
JPJP-P-2002-00050657 2002-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446A true KR20030071446A (ko) 2003-09-03
KR100413995B1 KR100413995B1 (ko) 2004-01-07

Family

ID=2767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982A KR100413995B1 (ko) 2002-02-27 2002-03-25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84040B2 (ko)
EP (1) EP1341061A1 (ko)
JP (1) JP3907496B2 (ko)
KR (1) KR100413995B1 (ko)
CN (1) CN10039252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40B1 (ko) * 2005-08-25 2007-06-2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접합 조립체, 분체 처리 장치, 접합 조립체의 조립 방법 및조립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1366B2 (ja) * 2002-09-17 2008-10-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11930B2 (ja) * 2002-02-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44045B2 (ja) * 2002-09-30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容器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802B2 (ja) * 2002-11-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970161B2 (ja) * 2002-11-08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548564B2 (ja) *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JP2004205950A (ja) * 2002-12-26 2004-07-22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257347B2 (en) 2004-02-13 2007-08-14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er contai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with housing sections welded together by vibration welding
JP3826148B2 (ja) * 2004-08-26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JP5039390B2 (ja) 2007-02-02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15785B2 (ja) * 2007-09-11 2013-10-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充填容器及び該容器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
JP5146308B2 (ja) 2008-12-26 2013-02-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473548B2 (ja) * 2009-03-03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942592B2 (en) 2009-12-16 2015-01-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unit,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012657A (zh) * 2010-11-11 2011-04-13 珠海市汇威打印机耗材有限公司 一种焊接密封式碳粉盒
JP6128823B2 (ja) 2011-12-21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容器、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る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344A (en) 1985-07-16 1988-07-12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artridges
KR930002247B1 (ko) 1989-01-30 1993-03-27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장치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134488A (ja) 1991-06-05 1993-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の組立て方法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5224476A (ja)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TE164953T1 (de) * 1993-01-11 1998-04-15 Indigo Nv Entwicklungsapparat für ein latentes bild
JPH07319368A (ja) * 1994-03-30 1995-12-08 Canon Inc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A2160649C (en) * 1994-10-17 1999-11-23 Yoshiya Nomur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114962A (ja) * 1994-10-17 1996-05-0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79625A (ja) 1994-12-21 1996-07-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185109A (ja) * 1994-12-29 1996-07-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75203B2 (ja) 1995-03-27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駆動力伝達部品、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
JP3372747B2 (ja) 1996-02-09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9222786A (ja) * 1996-02-16 1997-08-26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226478B1 (en) 1996-03-21 2001-05-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drive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US6240266B1 (en) 1996-03-21 2001-05-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drum mount for photosensitive drum
JPH09288413A (ja) * 1996-04-19 1997-11-0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7916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ガイド部品
JP3397590B2 (ja) 1996-07-0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7915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492109B2 (ja) 1996-09-26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53938A (ja) 1996-09-26 1998-06-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A2216905C (en) 1996-09-26 2001-03-0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force transmission part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JP3969804B2 (ja) 1996-09-2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049B2 (ja) 1996-09-26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26895B2 (ja) 1996-09-26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69805B2 (ja) 1996-09-26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7801B2 (ja) 1996-12-25 2002-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トナー容器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2043A (ja) 1997-0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89552B2 (ja) 1997-04-07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フレー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72829B2 (ja) 1997-06-23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466888B2 (ja) 1997-10-01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72108B2 (ja) 1997-10-01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20486B2 (ja) 1997-11-07 200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43226A (ja) 1997-11-11 1999-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2000029296A (ja) * 1998-07-08 2000-01-28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47467A (ja) * 1998-07-31 2000-02-18 Canon Inc トナー収納容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75651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530751B2 (ja) 1998-10-09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JP2001117306A (ja) * 1999-10-20 2001-04-27 Fujitsu Ltd 画像形成ユニット、潜像担持体ユニット、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745231B2 (ja) 2000-01-1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350343A (ja) * 2000-06-09 2001-12-21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密封部材
JP2002040781A (ja) * 2000-07-28 2002-02-06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枠体溶着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40B1 (ko) * 2005-08-25 2007-06-2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접합 조립체, 분체 처리 장치, 접합 조립체의 조립 방법 및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2526C (zh) 2008-06-04
US6684040B2 (en) 2004-01-27
JP2003248370A (ja) 2003-09-05
US20030161657A1 (en) 2003-08-28
EP1341061A1 (en) 2003-09-03
CN1441324A (zh) 2003-09-10
JP3907496B2 (ja) 2007-04-18
KR100413995B1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995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장치,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용기 조립 방법
US7127192B2 (en) Developing frame and process cartridge
US6205305B1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welded-together accommodating and developing containers
US7024131B2 (en) Process cartridge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remanufacturing method, and connecting member
JP3363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廃トナー容器の組立方法
US6266500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6496667B2 (en) Cartridge detachably attach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344512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9354552B2 (en) Cartridge with flexible container for accommodating developer
JP3472105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52544B2 (en) Method of reproducing process cartridge or developing apparatus
US20130164039A1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17369B2 (ja) 現像器及びこの現像器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H1017123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137971A (en) End member and process cartridge
JP200524225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把持部材部品
JP2002139904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89883B2 (ja) カートリッジ
JP200225111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US6493527B1 (en) Process cartridge
JP200002929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959864B2 (ja) 現像装置
JPH08314250A (ja)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2040781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枠体溶着方法
JP2021015182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