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9829A -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9829A
KR20030069829A KR10-2003-0009960A KR20030009960A KR20030069829A KR 20030069829 A KR20030069829 A KR 20030069829A KR 20030009960 A KR20030009960 A KR 20030009960A KR 20030069829 A KR20030069829 A KR 2003006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rocessing apparatus
stack
detection flag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439B1 (ko
Inventor
세끼야마쥰이찌
하야까와야스요시
구와따다까시
이소베겐이찌로
후까쯔마사요시
아따히로노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4140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62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4140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2962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09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 B65H31/3018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dropping, e.g. removing the pile support from under the pile from opposite part-support elements, e.g.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1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dropping
    • B65H2301/422615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dropping from opposite part-support elements, e.g. opera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시트 처리 장치는 시트를 정렬하도록 시트의 모서리를 벽에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타격하기 위한 제1 중간 적층부와, 제1 중간 적층부로부터 시트를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전달 수단과, 시트를 이송하여 반송 방향으로 전달 수단의 하류 반송에서 지지하고 교차 방향으로 시트의 모서리를 정렬하기 위한 기능이 제공된 제2 중간 적층부와, 중력 방향으로 제2 중간 적층부의 아래에 위치된 시트 적층부와, 시트 적층부 상에 시트의 완전 적재를 검출하기 위한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완전 적재 검출 유닛은 상부면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해 시트 적층부 상의 상부면을 전달 수단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피봇 지지점을 갖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와 접촉시키며, 중간 적층부 내의 시트 처리 중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를 처리하는 시트 처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플래그로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하는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예컨대 위에 화상이 형성되는 카피 시트와 같은 시트에 대하여 정렬 및 제본과 같은 처리를 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사기, 프린터 및 팩시밀리기기와 같은 몇몇의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차례로 장치 내로 가져가서 시트에 정렬 및 제본과 같은 처리를 하도록구성된 시트 처리 장치를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그러한 시트 처리 장치는 간단히 시트를 시트 적층부로 전달하여 시트를 적층하는 모드와, 시트를 중간 적층부 등에 있는 시트에 정렬 및 제본한 후에 시트 적층부에 전달하는 모드와 같은 복수개의 모드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시트는 동일한 적층부 상에 적층된다. 시트 처리 장치는 때때로 광 감지기 등을 사용하여 시트 적층부가 시트로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한다.
그러나, 광 감지기가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예시와 같이 시트 적층부 상에 시트가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에, 광 감지기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몇몇 종래의 시트 처리 장치는 시트를 시트 적층부로 전달하기 위한 한 쌍의 전달 롤러 위에 피봇 지지점을 구비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에 따라 시트 적층부 상에 시트가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한다. 그러한 시트 처리 장치에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사용함으로써 비용 감소가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정렬 및 제본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시트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중간 적층부들 사이에 정렬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한 쌍의 전달 롤러 위에 피봇 지지점을 구비한다. 따라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가 시트 반송 경로로부터 중간 적층부로 후퇴되지 않으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시트가 전달될 때 시트에 의해 위로 가압된다. 위로 가압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중간 적층부에 접촉하여 피봇될 수 없고, 따라서 시트 걸림이 발생한다. 또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가 들어 올려지면, 중간 적층부가 시트 적층부 위에 위치되어 예컨대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가 시트가 정렬되는 시간 동안 시트에 의해 소정 기간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정렬 중에 정렬면을 검출하여 시트가 완전히 적재되었다고 잘못 검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현 상황의 측면에서 고안되었고, 플래그로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하는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위에서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조는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로부터 전달된 시트를 처리하는 시트 처리 장치이며, 이러한 장치는 시트를 정렬하도록 시트의 모서리를 시트의 전달 방향으로 벽에 타격하는 제1 중간 적층부와, 제1 중간 적층부로부터 시트를 전달하는 전달 수단과, 전달 수단의 시트 하류를 반송 방향으로 지지하여 이송하고 시트의 반송 방향과 수직한 교차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시트의 모서리를 정렬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제2 중간 적층부와, 제2 중간 적층부의 중력 방향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된 시트 적층부와, 시트 적층부 상에 시트가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하는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은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로 시트 적층부 상의 시트 상부면의 높이를 접촉 검출하고 전달 수단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피봇 지지점을 갖지만 중간 적층부에서 시트를 처리하는 기간에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 수단이다.
위에서 언급된 구조에 따르면, 중간 적층부에서 시트가 처리되는 기간에는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저가(低價)인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갖는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시트가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2a 및 도2b는 프린터 주 본체로부터 반송된 시트가 시트 처리 장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시트 처리 장치의 구조 및 각각의 부분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3a 및 도3b는 각각 시트 처리 장치의 실제 부분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4a 및 도4b는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활주 안내부가 원위치에 위치되고 적층된 시트가 강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5a, 도5b 및 도5c는 시트 처리 장치의 처리 작동에서 각각의 위치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6a 및 도6b는 시트가 활주 안내부에 의해 정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a 및 도7b는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스탬프 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8a 및 도8b는 스탬프 수단의 시트가 정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도시한 도5b의 부분 확대도.
도10a, 도10b 및 도10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한 도10a의 부분 확대도.
도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한 도10b의 부분 확대도.
도13a, 도13b 및 도13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린터 주 본체
300 : 시트 처리 장치
301, 302 : 활주 안내부
300B : 제1 중간 적층부
300C : 제2 중간 적층부
320 : 스테이플 롤러
322 : 패들
325 : 시트 적층부
330 : 전달 롤러
350 : 패드 샤프트
이후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치수, 재료, 형상 및 구성 부품의 상대적인 배열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조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형되며, 이러한 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유의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인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조)
도1에서, 도면 부호 100A는 화상 형성 장치의 역할을 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00은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의 역할을 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 주 본체(이하 프린터 주 본체라 한다)를 나타낸다. 레이저 빔 프린터(100A)는 LAN과 같은 네트워크 또는 컴퓨터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 인쇄 신호등에 기초한 소정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통해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문자 인쇄)하고, 시트를 전달한다.
또한, 도면 부호 300은 시트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시트 처리 장치(300)는 프린터 주 본체(100) 위에 배열된다. 또한, 시트 처리 장치(300)는 시트 처리 장치(300) 내의 반송 위치를 거쳐 제1 중간 적층부(300B)를 통해 제2 중간 적층부(300C; 이후에 설명되는 활주 안내부(301, 302)) 상에 시트의 화상면이 하향 대면하는 역전된 상태로 프린터 주 본체(100)로부터 외측으로 전달될 시트를 이송하여 적층한다. 그 후에, 시트 처리 장치(300)는 이후에 설명되는 제2 중간 적층부(300C)의 정렬 기능을 사용하여 시트를 각각의 소정의 역할을 위한 한 묶음의 시트로 정렬하고, 시트를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하도록 일부분 또는 복수개의 부분으로 시트를 스테이플러로 고정시켜서 그 위에 적층시키거나, 간단하게 시트를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하여 역전된 상태로 그 위에 적층한다.
여기서, 시트 처리 장치(300) 및 프린터 주 본체(100)는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시트 처리 장치(300)는 시트 처리 장치(300) 각각의 부분을 저장하기 위한 케이싱부(300A)를 갖고, 프린터 주 본체(100)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하게 제조된다.
(프린터 주 본체의 구조)
다음으로, 반송될 시트(S)의 반송 경로를 따라 프린터 주 본체(100)의 각각의 부분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프린터 주 본체(100)에서, 복수개의 시트(S)는 공급 카세트(200) 상에 적층되며, 다양한 롤러 수단에 의해 최상부 시트(S1)부터 한 장씩 분리되어 공급된다.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인쇄 신호에 따라, 우선 토너 화상은소위 레이저 빔 시스템의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 카세트(200)로부터 공급된 시트(S)의 상부면 상의 화상 형성부(101)에 전사된다. 그 후에, 반송 경로 상의 정착 장치(120)에서 시트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이러한 토너 화상이 영구적으로 시트 위에 정착된다.
다음에, 화상이 정착된 시트(S)는 전달 롤러(130)에 도달하는 대체로 U자형 시트 전사 경로에서 역전되어, 화상면이 역전된다. 시트(S)는 이러한 방법으로 화상면이 하향 대면하는 역전 상태로 프린터 주 본체(100)로부터 외측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예컨대 시트(S)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피봇하는 프린터 주 본체(100)의 플래퍼(150) 위치에 따라 전달 롤러에 의하여 위에서의 프린터 주 본체(100)에 제공된 역전 전달부(125)로 전달되거나 시트 처리 장치(300)의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되는 것이 선택된다.
(시트 처리 장치의 구조)
다음에, 프린터 주 본체(100)로부터 반송된 시트(S)가 시트 처리 장치(300)로 이동하는 경우의 시트 처리 장치(300)의 구조와 프린터의 각각의 부분의 이동이 도2a와 도2b 및 도3a 와 도3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2a에서 도면 부호 330a는 전달 상부 롤러를, 그리고 도면 부호 330b는 전달 하부 롤러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M은 구동원의 역할을 하는 조거(jogger) 모터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322는 패들을, 그리고 도면 부호 323은 시트의 후단 모서리(반송 방향 모서리)가 타격되는 기준벽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상부 롤러(330a)와 전달 하부 롤러(330b)로 구성된 전달 수단의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전달 롤러(330)는 플래퍼(150)의 시트 반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위치 내에 배열되어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전달 상부 롤러(330a)는 패들 샤프트(350)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한 아암(330c)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조거 모터(M; 도1 참조)는 이후에 설명될 각각의 활주 안내부(301, 30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태핑 모터는 조거 모터(M)로 사용된다.
또한, 반송 방향으로 시트의 모서리를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수단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복수개의 형태로 시트 반송 방향에 수직하게 패들 샤프트(350)에 고정된다. 그 후에, 시트(S)가 프린터 주 본체(100)로부터 전달될 때, 패들(322)은 패들 샤프트(350)의 구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시트(S)는 시트 반송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후단 모서리(반송 방향 모서리)는 시트(S)가 정렬되도록 기준벽(323)에 대향하여 접촉한다. 정렬 특성은 이러한 방식으로 패들(322)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시트 처리 장치(300)에서,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활주 안내부(301, 302)는 시트 반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교차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 제2 중간 적층부(300C; 정렬 수단)가 제공된다.
또한, 도3a에서, 도면 부호 H는 적층된 시트로 스테이플을 구동시킴으로써 적층된 시트에 제본 처리를 하는 제본 수단의 역할을 하는 스테이플러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테이플러(H)는 각각의 시트를 제본하기 위해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 화상면의 왼쪽 상부 모퉁이부에 스테이플을 구동시킴으로써 활주 안내부(301)측에 고정되도록 정렬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트 처리 장치(300)는 명령에 기초하여 컴퓨터 등으로부터 출력된 시트에 스테이플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시트 처리 장치(300)가 그러한 스테이플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플래퍼(150)는 스테이플러로 고정될 시트(S)가 프린터 주 본체(100)에 구비된 반송 롤러(121; 도1 참조)에 의해 전달되기 이전에 (도시되지 않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시트(S)는 반송 롤러(121)에 의해 시트 처리 장치(300)로 이송된다. 그 후에, 시트 처리 장치(300)로 이송된 시트(S)는 입구 센서(390)의 플래그(39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플래그(391)가 광 감지기(392)를 통과한 광을 전송할 때 검출된다. 그 후에, 시트(S)는 한 쌍의 입구 롤러(363)에 의해 상향 반송된다.
(전달 및 적층 작동)
부가하여, 이러한 실시예에서 시트 처리 장치(300)는 시트를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하도록 스테이플러로 고정시켜서 적층하거나, 간단하게 시트를 시트 적층부로 전달하여 역전 상태로 적층할 수 있다. 각각의 전달 및 적층 작동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역전 전달 및 적층)
우선, 역전 상태로 시트를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하여 적층하는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시트 이송 방향에 대한 우측 상의 활주 안내부(301) 및 좌측 상의 활주 안내부(302)의 바닥면은 이송될 시트(S)에 대향하여 바닥면이 접촉하지 않는 위치, 즉 소정량으로 시트의 교차 방향 외측 위치로 역전된다.
따라서, 한 쌍의 스테이플 롤러(320)를 관통한 후에, 한 쌍의 입구 롤러(363)에 의해 반송된 시트는 스테이플러(H)의 전방을 지나 한 쌍의 전달 롤러(330)에 의해 반송되고,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시트 적층부(325)를 향해 강하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2a의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피봇 중심(601) 주위의 시트(S)에 의해 위로 가압되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스테이플러로 고정한 후의 전달 및 적층)
다음에, 시트를 스테이플러로 고정하고 시트를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하여 적층하는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안내부(301, 302)는 시트 이송 방향에 대한 우측 상의 활주 안내부(301) 및 좌측 상의 활주 안내부(302)의 바닥면이 이송될 시트(S)에 대향하여 바닥면이 접촉하지 않는 위치, 즉 소정량이 시트의 교차 방향 외측 위치로부터 활주 안내부(301, 302)의 벽면 상에 제공된 기준 핀(303, 304)이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될 시트(S)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 즉 소정량 이상이 시트(S)의 교차 방향 외측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전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의 구동수단으로 사용되는 아암(330c)을 상향으로 피봇시킨다.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의 컴(cum)면(600b)은 아암(330c)의 컴면(330d)에 의해 위로 가압되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도9에 도시된 활주 안내부(301, 302)와 간섭하지 않는 제2 위치로 후퇴한다. 활주 안내부(301, 302)가 도4a의 상태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활주 안내부(301, 302) 내로 삽입되고, 아암(330c)은 한 쌍의 전달 롤러(330)가 다시 시트(S)를 이송하는 것을 준비하도록 시트(S)를 무는 위치로 하강된다. 이는 적층된 종이를 스테이플로 고정시킬 때의 초기 작동이다.
또한, 이 시점에서 두 개의 활주 안내부(301, 302)는 바닥면의 단부면 사이의 공간이 시트(S)의 폭보다 작은 위치에 있다. 두 개의 활주 안내부(301, 302)가 그러한 위치(제1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 중간 적층부(300C)는 인입 시트(S)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스테이플 롤러(320)가 관통한 후에, 한 쌍의 입구 롤러(363)에 의해 반송된 시트(S)는 스테이플러(H)의 전방을 지나가고, 그 후에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해 구성된 제2 중간 적층부(300C)의 안내면 상의 한 쌍의 전달 롤러(330)에 의해 반송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아암(330C)이 완전 적재 검출 센서의 구동 수단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시트 처리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시된 구동 수단이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간 적재부(300C)의 안내면은 수평 방향에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고, 동시에 시트 이송 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각각 다른 각도를 갖는다. 특히, 굴곡부(300D)는 상류측 상의 소정 섹션과 하류측 상의 소정 섹션 사이에 경사(α)의 각도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제2 중간 적층부(300C)가 그러한 굴곡부(300D)를 갖기 때문에, 제2 중간 적층부(300C)를 형성하는 각각의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해 안내되지 않는 시트(S)의 중심부에서 변형이 방지되는 것에 유의한다.
반면, 제1 시트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해 형성된 표면상으로 반송된 직후에, 아암(330c)은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한다. 따라서, 아암(330c)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 상부 이송 롤러(330a)는 상향으로 후퇴되어 한 쌍의 이송 롤러(330)가 서로 이격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피봇 중심(601) 주위의 아암(330c)의 컴면(330d)에 의해 활주 안내부(301, 302)로 들어 올려진다.
이와 동시에, 한 쌍의 이송 롤러(330)에 연결된 드라이브는 연결 해제되어 상부 이송 롤러(330a)와 하부 이송 롤러(330b)의 회전이 정지된다. 결국, 시트(S)의 후단 모서리는 한 쌍의 스테이플 롤러(320)를 완전히 지나가고, 시트(S)는 시트의 중력의 도움으로 반송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귀하여 기준벽(32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트의 교차 방향으로의 정렬 작동)
다음에, 좌측 상의 활주 안내부(302)만이 구동하여 제1 중간 적층부(300B)와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적층된 시트(S)의 교차 방향의 정렬 작동이 개시된다. 특히, 활주 안내부(302)는 조거 모터(M)에 의해 도3a 및 도3b의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활주 안내부(302)에 제공된 기준 핀(304)이 시트(S)를 활주 안내부(301) 측으로 가압하도록 시트(S)의 좌측에 대향하여 접촉한다.
그 후에, 시트(S)의 좌측은 활주 안내부(301)에 제공된 기준 핀(303)에 대향하게 접촉하여 활주 안내부(302)가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고, 시트(S)의 교차 방향으로의 정렬이 수행된다. 시트(S)가 정렬될 기준 핀(303)에 대향하게 접촉하는 위치에서, 시트(S)는 스테이플 설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정렬 작동 후에, 활주 안내부(302)는 시트(S)의 폭보다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시 준비 위치에 있는 다음 시트의 반송에 대처하도록 준비된다.
(활주 안내부의 구조)
여기서, 활주 안내부(301, 302)의 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각각의 활주 안내부(301, 302)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형 프레임(F)에 제공된 안내 핀(313a)으로 구성된 전체 네 개의 안내 핀에 의해 안내되고, 안내 핀(313b)은 (도시되지 않은) 금속 시트 프레임(F')에 제공되어 도3a 및 도3b의 수평 방향으로, 즉 시트 반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동 가능하게 제조되며, 동시에 조거 모터(M)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반송 방향의 하류에서 관측되었을 때, 각각의 활주 안내부(301, 302)는 시트(S)의 양 측면을 안내하는 각각의 벽부와 시트(S)의 상부 및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의해 대체로 단면이 "C"자 형상이 된다. 활주 안내부(301, 302)는 이러한 "C"자형 하부면에 의해 제1 중간 적층부(300B) 상에 이송되어 제2 중간 적층부(300C)로 반송된 각각의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중심부를 시트(S)의 교차 방향으로 안내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기어(317)와 정합하는 스퍼 래크(spur rack)를 갖는 활주 래크부(310)는 활주 안내부(302)에 제공된다. 또한, 스텝 기어(317)와 정합하는 스퍼 래크를 갖는 활주 래크(312)는 활주 안내부(301)에 제공된다.
여기서, 활주 래크(312)는 코일형 스프링(314)을 지나 활주 안내부(301)로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링(314)은 일단부측 상의 활주 안내부(301)에 대향하여 접촉하고 타단부측 상의 활주 래크(312)에 대향하여 접촉하여 이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활주 안내부(301)와 활주 래크(312)를 편위시키는 것에 유의한다. 또한, 활주 래크(312)는 활주 안내부(301)측 상에 양각부(301a)를 이동시키도록 정사각형 구멍부를 갖는다.
또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구성된 두 개의 기준 핀(303)은 활주 안내부(301)의 측벽 상에 제공되고, 두 개의 기준 핀(304)은 활주 안내부(302)의 측벽 상에 제공된다. 시트가 정렬될 때, 활주 안내부(302)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하고, 기준 핀(304, 303)은 각각 시트의 대향 측면 모서리(305, 306)에 대향하여 접촉한다.
또한, 활주 안내부(301, 302)는 높이 방향으로 스텝 기어(317)와 (도시되지 않은) 조그 금속 시트 프레임(F')에 의해 지지된다.
(활주 안내부의 작동)
다음에, 각각의 활주 안내부(301, 302)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시트 처리 장치(300)가 켜지면, 스테이플 롤러(320) 쌍이 회전을 개시하고, 그 후에 조거 모터(M)의 회전이 스텝 기어(317)를 회전시켜 활주 안내부(302)의 래크부(310)가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활주 래크(312)가 우선 각각 이동하여 활주 래크(312)의 정사각형 구멍부(312a)가 도3a의 활주 안내부(301)의 양각부(301a) 좌측 단부에 대향하여 접촉한 후에 조거 모터(M)의 회전이 스텝 기어(317)를 회전시키고, 활주 안내부(301)는 정사각형 구멍부(312a)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외측으로 후퇴한다.
슬릿부(301S)는 활주 안내부(301)에 제공된다. 슬릿부(301S)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후퇴 거리를 이동할 때, 광은 광 감지기(316)를 통해 전송되고, 이 시점에서 조거 모터(M)가 정지한다. 이러한 위치는 이후에 원위치로 참조된다.
반면, 시트(S)가 시트 처리 장치(300)에 인입되게 하는 신호가 프린터 주 본체(100)로부터 입력될 때, 조거 모터(M)가 회전하여 활주 안내부(301, 302)가 내부로 이동하고 활주 안내부(301, 302) 사이의 공간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량의 인입 시트의 폭 "d"보다 넓어지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시점에서, 스토퍼(301b)는 활주 안내부(301)를 더 이상 내부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안내 핀(313a)에 대향하여 접촉한다. 이러한 위치는 이후에 준비 위치로 참조된다. 이러한 준비 위치에서 활주 안내부(301)의 측면은 정렬 작동 시에 기준 위치가 되는 것에 유의한다.
이제 이 예에서, 시트(S)의 크기(폭)가 통과 가능한 최대 크기인 경우, 활주 안내부(301, 302)의 대기 위치는 양 측면 상의 갭들이 각각 소정량 "d" 이상이도록 설정된다.
이보다 좁은 폭을 갖는 시트가 정렬되면, 슬라이드 안내부(302)는 폭에 상응하는 양만큼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3a 도3b에 도시된 대기 위치의 좌측면 상의 갭은 항상 소정량 "d"이 된다. 반면에, 이 경우, 시트와 활주 안내부(301) 사이의 갭은 소정량 "d"로부터 감소된 양의 절반만큼 넓어진다.
반면에, 활주 안내부(301, 302)가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방향으로의 정렬을 수행한 후, 양 활주 안내부(301, 302)는 약간 외측으로 후퇴하여, 시트(S)의 정렬 방향의 조정은 시트(S)가 시트 반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도록 용이하게 한다. 그 결과,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들(322)은 시트의 상부면에 대해 접하면서 패들 샤프트(350)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한 번 회전하여, 시트(S)가 정렬될 기준벽(323)에 대해 타격된다.
그 후, 시트(S)가 시트 반송 방향과 이 작동들을 통해 교차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트(S)의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정렬된 시트(S)를 가압하기 위한 스탬프 수단(400)은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부재(400a)를 구비한 레버(400b)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상태로 시트(S)의 우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그 후, 정렬 작동이 종료된 후, 시트(S)의 상부면은 시트 처리 장치(300)로 진입하는 후속 시트가 정렬된 시트(S)에 접하기 전에 스탬프 수단(400)에 의해 가압되어, 정렬된 상태의 시트(S)는 정렬을 흐트러트리는 후속 시트에 의한 이동이 방지된다.
제1 시트의 정렬이 이러한 방식으로 종료된 후, 제2 시트가 반송된다. 이 경우, 제2 및 후속 시트들 각각의 반송 시, 한 쌍의 전달 롤러(330)는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의 후방 모서리가 한 쌍의 스탬프 롤러(320)를 완전히 통과할 때, 시트는 시트의 중력에 의해 반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복귀되고 기준 벽(323)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지점으로부터의 정렬 작동은 제1 시트의 작동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정렬 작동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일 작업의 마지막(n번째) 시트(Sn)를 정렬하는 작동이 수행되고, 활주 안내부(302)에 제공된 각 기준핀(304)은 시트의 좌측 모서리를 활주 안내부(301)의 각 기준핀(303)에 대해 타격하고, 시트의 후단 모서리의 우측면 상의 위치는 활주 안내부(302)의 이동이 정지된 도6a의 상태에서 시트 적층부의 후방 모서리에 우측면상에 위치된 작은 스테이플러(H)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와 작동에 따르면, 활주 안내부(301)는 정지되어 각 시트의 정렬 작동 중 기준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단지 활주 안내부(302)가 각 시트의 좌측면 상의 단부를 기준 위치와 정렬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활주 안내부(301) 상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스테이플러(H)에 의한 제본 처리가 정확하고 신뢰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예를 들어 작업 중 레터지로부터 A4지로, 이송되는 각 시트의 폭이 작업 중 변하거나 또는 시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각 시트의 좌측 단부의 위치가 정렬되기 때문에 스테이플러(H)에 의한 제본 처리의 마무리가 정밀하고 단정한 바람직한 결과를 얻게된다.
반면에,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작동이 이러한 방식으로 제본될 때, 아암(330c)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암(330c)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 전달 상부 롤러(330a)는 한 쌍의 전달 롤러(330)를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달 롤러(330)는 전달 상부 롤러(330a)와 전달 하부 롤러(330b)의 회전을 시작하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시트 적층부(S)는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해 형성된 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반송되도록 한 쌍의 반송 롤러(330)에 의해 물린다.
그 결과, 시트 적층부(S)가 한 쌍의 전달 롤러(330)로부터 완전히 전달될 때, 조거 모터(M)가 회전 구동되어 활주 안내부(302)는 도6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분산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활주 안내부(302)가 이동하기 시작할 때, 활주 안내부(301) 측 상에 활주 래크(312)는 도6a의 우측면으로 이동하고 활주 안내부(301) 자체는 직접 이동하지 않는다.
그 후, 활주 안내부(302)의 위치가 도3a에 도시된 대기 위치를 통과할 때, 활주 래크(312)의 정사각형 구멍부(312a)는 활주 안내부(301)의 양각부(301a)의 단부면에 접하고 활주 안내부(301)는 도3a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시작하고 양 활주 안내부(301, 302)는 이동한다.
또한, 양 활주 안내부(301, 302) 사이의 공간이 시트의 폭과 유사 또는 넓어질 때,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해 지지된, 스테이플로 고정된 시트 적층부는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여 시트 적층부(325) 상에 적층된다. 이 실시예에는 인쇄기 주 본체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일련의 작동과 구조가 존재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시트 처리 장치(300)는 인쇄기 주 본체(100) 위에 장착되고 인쇄기 주 본체(100)로부터 전달된 시트의 반송 경로는 플래퍼(150)에 의해 스위칭되어, 시트는 전달 및 적층되도록 역전될 수 있다.
시트 처리 장치(300)가 인쇄기 주 본체(100) 위에 장착되고 시트가 이러한 방식으로 전달 및 적층되도록 역전되기 때문에, 화상이 형성되는 시트는 스위치백 기구를 제공하지 않고 페이지들의 순서로 전달 및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시트 간격이 스위치백을 위해 넓어져야 하는 불편이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기 주 본체(100) 내에서 시트를 인쇄기의 상부면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트 처리 장치(300)는 인쇄기 주 본체(100)의 상부면 상에 전달부 위에 제공되고, 시트가 역전된 상태 또는 처리가 역전된 상태의 시트에 가해진 후, 시트를 시트 적층부(325)로 전달하기 위한 작동은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그 결과, 시트 처리 장치(300)의 구조는 간단하게 될 수 있으며, 동시에 시트 처리 장치(300)와 이를 구비한 인쇄기 주 본체(100)의 설치 면적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기재에서, 단지 활주 안내부(302)만이 시트의 정렬 작동과 동시에 작동하고 시트 안내부(301)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활주 안내부(301)도 시트의 정렬 작동 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활주 안내부(301) 내의 활주 안내부(302)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정렬 작동 후 시트가 하강되는 경우, 두 활주 안내부(301, 30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그러나, 두 활주 안내부 중 하나 만이 시트(S)가 하강될 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에서는 제본 처리가 시트에 대한 처리로서 수행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 구조에 따르면, 시트와 이전 시트 모두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기를 사용하여 시트 적층부를 만들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시트 처리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7a 및 도7b는 오정렬 방지 수단으로 사용되는 상기 스탬프(4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탬프 수단(400)은 그 팁단부에 마찰 부재(400a)를 구비하고, 동시에 지지점인 샤프트(400c)로 피봇될 수 있는 가압 부재로 사용되는 아암 레버(400b)와, 아암 레버(400b)의 가압 작동을 해제하기 위해 아암 레버(400b)를 피봇시키기 위한 해제 수단으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401)와, 화살표(402)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 즉 아암 레버(400b)가 활주 안내부(301)의 방향으로 시트(S)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아암 레버(400b)를 편위시키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작동이 수행될 때, 스탬프 수단(400)의 아암 레버(400b)는 후속 시트(Sb)가 통과하는 시트 반송 경로의 외측,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힘이 있는 시트 통과 영역 외측의 위치에 정렬된 선행 시트(Sa)를 가압한다.
그 결과, 아암 레버(400b)가 다음에 전달될 후속 시트(Sb)에 대해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정렬된 상태로 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이미 보유된 선행 시트(Sa)가 후속 시트(Sb)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에, 후속 시트(Sb)가 완전하게 전달될 때, 후속 시트(Sb)는 상술된 활주 안내부(302)의 이동에 따라 도8a에 도시된 화살표(403)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후속 시트(Sb)가 이러한 방식으로 움직이는 동안, 솔레노이드(401)가 켜진다. 그 결과, 아암 레버(400b)는 도8b에 도시된 화살표(404)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피봇되어 후속 시트(Sb)는 아암 레버(400b) 아래부분으로 활주한다.
그 결과, 패들(322)에 의한 시트 반송 방향으로의 정렬이 수행된 후, 활주 안내부(302)는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401)는 활주 안내부(302)가 대기 위치로 복귀하고 후속 시트(Sb) 내로 이송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기 전에 꺼진다. 그 결과, 아암 레버(400b)는 선행 시트(Sa)를 다시 가압한다. 그 결과, 선행 시트(Sa)가 반송될 후속 시트(Sb)에 의해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에 의한 완전 적재 검출)
다음으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의 이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9(도5b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구동 수단으로 사용된 아암(330c)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광 감지기(602)는 광 차폐 상태로부터 광 투과 상태로 이동시킨다. 시트 처리 장치(300)가 시트의 완전 적재로서 이 상태를 검출하면, 시트의 완전 적재의 오검출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활주안내부(301, 302) 내에 있는 경우(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활주 안내부(301, 302)를 간섭하지 않는 위치)(제2 위치), 즉 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시트 적층 시에 소프트웨어로 시트의 완전 적재를 점검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시트가 아암(330c)이 (도시되지 않은) 스텝핑 모터에 의해 하강하고(제1 위치) 시트 적층이 전달되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소정의 시간에서 시트의 완전 적재를 점검한다.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그 위치에서 광을 광 감지기(602)를 통해 소정의 시간 이상 동안 투과시키는 것을 검출하면, 시트 처리 장치(300)는 그것을 시트 적층부(325) 상에 시트의 완전 적재로 검출한다.
그러나, 활주 안내부(301, 302)가 도4a의 위치로 간단하게 후퇴되는 시트 적층의 경우,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항상 하강 상태(시트의 완전 적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위치)에 있으며, 시트 적재부(325) 상에 완전 적재를 항상 점검한다. 전달될 최대 길이의 시트가 전달 중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까지 밀리는 동안,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투과 상태이며, 시트 처리 장치(300)는 완전 적재를 검출한다.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적어도 시트가 전달 중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까지 밀리는 시간 이상 동안 광 감지기(602)를 통해 광을 투과하는 것이 확인된 경우, 시트 처리 장치(300)는 완전 적재 및 적층의 종료로써 그것을 검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정렬 및 적층 처리 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활주 안내부(301, 302) 및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서로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완전 적재 검출플래그(600)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완전 적재를 점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저가의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로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10a, 도10b, 도10c, 도11 및 도12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은 도10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12는 도10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0a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두 개의 광 감지기 광 차폐부(605, 606)를 구비하여 플래그의 회전각에 따라 두 개의 광 감지기 광 차폐부(605, 606) 내에서 광으로부터 광 감지기(602)를 차폐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도10a(도11)에서, 광 감지기(602)는 광 감지기 광 차폐부(605)에 의해 광으로부터 차폐되고, 시트들은 시트 적층부(325)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그 결과,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아암(330c)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경우(제2 위치), 즉 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정렬 및 적층될 때, 소프트웨어에 의해 완전 적재 검출의 기능, 즉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이 실시예의 아암(330c)에 의해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시트들이 시트 적층부(325) 상에 완전히 적재되었는지(광 감지기(602)가 광을 투과 또는 차폐하는지)를 결정하는 순서를 정지하는 대신에, 광 감지기(602)가 완전 적재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를 생성하도록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에 의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에 의해 광으로부터 차폐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구조는 덜 복잡해질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버그도 감소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13a, 도13b 및 도13c의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솔레노이드(607)에 의해 들어 올려지지만, 아암(330c)에 연결되지는 않는다. 즉, 이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607)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아암(330c)은 언제나 들어 올려지지만, 이 실시에에서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제1 실시예의 조거 정렬 시의 초기 작동에서 들어올려 지며, 이것은 제3 실시예에서 필수적이다. 아암(330c)이 스프링에 의해 하향 편위되고 아암(330c)이 작동될 때 큰 작동 소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소음에 대처하기 위해 아암(330c)이 가능한 작동되지 않고 다른 구동 수단(솔레노이드(607))으로 대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문제점과 소음이 감소되고,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의 피봇 반응이 향상되어, 초기 시간의 감소가 가능하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장치 주 본체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활주 안내부(301, 302) 내의 중심으로 피봇 중심(601)을 구비한 아암(330c)의 컴면(330d)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상태가 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럼펫 형상이 시트가 제1 중간 적층부(300B)로부터 이격된 한 쌍의 전달 롤러(330)를 통해 제2 중간 적층부(300C)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의 플래그 하부면(701)과 활주 안내부(301, 302)의 안내 상부면(700)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시트(S)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안내부(301, 302)(제2 중간 적층부(300C))로 말린 상태(시트가 상부면측으로 말린 상태)로 이송될 때, 안내 상부면(700)과 플래그 하부면(701)은 활주 안내부(301, 302)로 시트(S)를 안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시트(S)가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에 접하여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가 소정의 또는 더 강한 힘에 의해 밀리는 경우,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시트(S)의 말림을 완화하도록 상향 피봇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들이 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적층될 때,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의 하부면(701)이 시트를 제2 중간 적층부(300C)로 안내되도록 하는 상부측 안내부로 기능하도록 하는 구동 수단으로 사용된 아암(330c)을 이용하여 완전 적재 플래그(600)가 피봇된다. 그 결과, 시트가 제2 중간 적층부(300C)로 이송될 때 시트 반송 잼이 감소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는 회전각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복수의 단계로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14에 도시된 시트 반송에 가장 적절한 소정의 간극량(t)이, 시트들이 제2 중간 적층부(300C) 상에 적층될 때 복수의 시트들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상태에서도 대체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완전 적층 검출 플래그가 시트가 전달되기 전에 산출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의 평균 피봇량 만큼 (도시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된다. 제2 중간 적층부(300C)상에 적층되는 시트의 수가 변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이송하는 안내부가 대체로 동일한 조건하에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반송 잼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시트 적층부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두께의 데이터를 기초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제공되는 것은 당연하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 및 시트 처리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간극량(t)은 시트가 이송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시트가 제2 중간 적층부(300C)로 반송된 후, 시트가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해 정렬되기 전에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600)의 중력에 의해 그리고 활주 안내부(301, 302)에 의한 정렬 시 시트 적층부의 상부면을 편위시키도록 간극량(t)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0)으로 설정된다. 그 결과, 양 측단부 상에서 교차 방향으로 말린 시트들이 편평해지고 정렬 특성은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플래그로 완전히 적재되었음을 검출하는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할 수 있는 시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2)

  1.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로부터 전달된 시트를 처리하기 위한 시트 처리 장치이며,
    시트를 정렬하도록 시트의 모서리를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벽에 타격하기 위한 제1 중간 적층부와,
    제1 중간 적층부로부터의 시트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과,
    반송 방향에서 전달 수단의 하류로 시트를 이송 및 지지하고, 반송 방향에 수직한 교차 방향으로 시트의 모서리를 정렬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한 제2 중간 적층부와,
    중력 방향으로 제2 중간 적층부의 아래에 위치된 시트 적층부와,
    시트 적층부 상에 시트의 완전 적재를 검출하기 위한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을 포함하며,
    완전 적재 검출 수단은 상부면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해 시트 적층부 상의 시트의 상부면을 전달 수단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피봇 지지점을 갖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와 접촉시키며, 중간 적층부 내의 시트 처리 중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이 수행되는 제1 위치와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이 수행되지 않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중간 적층부에서 시트 처리 중에는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광으로부터 광 감지기를 차폐하기 위한 두 개의 광 차폐부를 가지며, 광 차폐부들 중 하나는 시트가 시트 적재부 상에 완전히 적재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광 차폐부이고, 다른 광 차폐부는 시트의 완전 적재 검출을 수행하지 않기 위한 광 차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완전 적재 검출은 하나의 광 차폐부가 완전 적재 검출 수단으로 소정의 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광 투과 상태에 있는 것을 검출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전달된 시트를 제본 처리하기 위한 스테이플러가 제공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시트가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시트 전달 포트 위에 피봇 지지점을 가지며 구동 수단에 의해 피봇 지지점에 대해 피봇 가능하고, 시트가 제2 중간 적층부로 이송될 때,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의 하부면이 제2 중간 적층부로 이송될 시트의 상부면측을 안내하기 위한 상부측 안내부로 기능하는 위치로 피봇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시트가 제2 중간 적층부로 이송될 때, 완전 적재 검출 플래그는 제2 중간 적층부로 이송될 시트의 수에 따라 제2 중간 적층부에 대해 시트 이송부의 간극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하기 위해 회전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교차 방향으로 시트의 모서리가 제2 중간 적층부 상에 정렬될 때, 시트의 상부면은 완전 적층 검출 플래그에 의해 연속적으로 편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전달된 시트를 제본 처리하기 위한 스테이플러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처리 장치.
  12. 화상 형성 장치이며,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와,
    화상 형성 장치 주 본체로부터 전달된 시트를 처리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09960A 2002-02-19 2003-02-18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506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1406 2002-02-19
JP2002041406A JP4006237B2 (ja) 2002-02-19 2002-02-19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041407 2002-02-19
JP2002041407A JP3902962B2 (ja) 2002-02-19 2002-02-19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829A true KR20030069829A (ko) 2003-08-27
KR100506439B1 KR100506439B1 (ko) 2005-08-10

Family

ID=2762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960A KR100506439B1 (ko) 2002-02-19 2003-02-18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22646B2 (ko)
EP (1) EP1336508B1 (ko)
KR (1) KR100506439B1 (ko)
CN (1) CN1251880C (ko)
DE (1) DE6031700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3898B2 (ja) * 2000-06-20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方法、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37897B2 (ja) 2002-04-10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排出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50727B2 (ja) * 2002-04-1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排出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519380C (zh) * 2003-05-20 2009-07-29 尼司卡股份有限公司 纸堆集器和具有该纸堆集器的成像装置
JP4401978B2 (ja) * 2004-02-20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413180B2 (en) * 2004-08-06 2008-08-19 Nisca Corporatio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2006096470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51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44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50132B2 (ja) * 2004-09-28 2009-04-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43A (ja)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93446B2 (ja) * 2004-09-28 2009-07-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280220B2 (ja) * 2004-09-28 2009-06-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4471207B2 (ja) 2004-09-28 2010-06-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7300045B2 (en) * 2004-09-28 2007-11-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Waiting tray for sheet processing tray
JP4034300B2 (ja) * 2004-09-28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61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6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53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処理トレイ
JP4297361B2 (ja) * 2004-09-28 2009-07-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57574B2 (ja) * 2004-09-28 2008-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4291243B2 (ja) * 2004-09-28 2009-07-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7A (ja)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8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57575B2 (ja) * 2004-09-28 2008-03-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59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54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096464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4018683B2 (ja) * 2004-09-28 2007-12-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4164058B2 (ja) * 2004-09-28 2008-10-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096447A (ja) * 2004-09-28 2006-04-13 Toshiba Tec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待機トレイ
JP2006124173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4034306B2 (ja) * 2004-09-29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6124166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71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4034307B2 (ja) * 2004-09-29 2008-01-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4315343B2 (ja) 2004-09-29 2009-08-1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64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54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70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2006124169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US7407156B2 (en) * 2005-03-22 2008-08-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20060214346A1 (en) * 2005-03-22 2006-09-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328894B2 (en) * 2005-03-22 2008-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7364149B2 (en) * 2005-03-22 2008-04-2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US20060214343A1 (en) * 2005-03-22 2006-09-2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finishing apparatus
JP4590298B2 (ja) * 2005-04-26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8845B2 (ja) * 2005-04-26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87965B2 (en) * 2005-07-22 2009-02-10 Pitney Bowes Inc. Multi-sheet in-line deformation binding apparatus
US7850161B2 (en) * 2006-03-31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90647B2 (en) * 2007-06-28 2010-04-06 Xerox Corporation Stack holding device to prevent push-out
JP5284047B2 (ja) 2007-12-07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1628509B (zh) * 2008-07-17 2011-03-16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纸样记录介质处理装置及组成该装置的模块及通道板
JP5555013B2 (ja) * 2010-03-05 2014-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411898B (zh) * 2010-07-30 2013-10-11 Primax Electronics Ltd 具有裝訂功能之影像形成裝置
JP5360036B2 (ja) * 2010-11-08 2013-1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387965B2 (en) * 2010-12-31 2013-03-05 Lexmark International, Inc. Stapler system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5716456B2 (ja) * 2011-03-01 2015-05-13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101871028B1 (ko) * 2011-11-17 2018-06-25 가부시키가이샤 프리마제스트 서류 처리 장치 및 서류 처리 방법
JP6245961B2 (ja) * 2013-11-28 2017-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積載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80361B2 (ja) * 2014-04-23 2017-08-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79785B2 (ja) * 2015-04-17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90112598A (ko) * 2018-03-26 2019-10-0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경로에 존재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인쇄매체의 크기를 감지하는 방법 및 기구
JP7371420B2 (ja) * 2019-09-30 2023-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排紙装置、処理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
CN110978817B (zh) * 2019-12-23 2021-07-20 容大合众(厦门)科技集团股份公司 一种智能调节纸宽的面单打印机
JP2022180103A (ja) * 2021-05-24 2022-12-06 株式会社リコー 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3425A (en) * 1982-05-24 1984-09-25 Eastman Kodak Company Binding apparatus and method
DE68923066D1 (de) * 1988-11-26 1995-07-20 Canon Kk Vorrichtung zur Bogenweiterverarbeitung und Vorrichtung zur Bilderzeugung.
JP2902499B2 (ja) * 1991-04-19 1999-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量検出装置及び前記シート積載量検出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US6422553B1 (en) * 1996-12-18 2002-07-23 Nisca Corporatio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US6142461A (en) * 1997-03-31 2000-11-07 Nisca Corporation Sheet processing device
JPH1135226A (ja) * 1997-07-18 1999-02-09 Fujitsu Ltd 排出媒体検出装置及びこの装置を有する媒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US6352253B1 (en) 1998-02-20 2002-03-05 Canon Kabushiki Kaisha Discharged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stacking apparatus
US6330999B2 (en) * 1998-05-14 2001-12-18 Graoco (Japan) Ltd Set binding, stapling and stacking apparatus
JP3649269B2 (ja) 1998-05-22 2005-05-1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材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0480463B1 (ko) * 1998-09-17 2005-09-12 주식회사신도리코 용지후처리장치
JP3437495B2 (ja) * 1999-07-09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450934B1 (en) * 1999-10-05 2002-09-17 Gradco Japan High speed post processing machine
JP4763898B2 (ja) * 2000-06-20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方法、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2167119A (ja) * 2000-12-05 2002-06-11 Sharp Corp 用紙排出検出装置
JP3884916B2 (ja) * 2001-02-15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2274729A (ja) * 2001-03-13 2002-09-25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7000T2 (de) 2008-07-31
EP1336508B1 (en) 2007-10-24
US20030155705A1 (en) 2003-08-21
US6722646B2 (en) 2004-04-20
DE60317000D1 (de) 2007-12-06
CN1251880C (zh) 2006-04-19
KR100506439B1 (ko) 2005-08-10
EP1336508A2 (en) 2003-08-20
EP1336508A3 (en) 2004-11-10
CN1439523A (zh)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439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6942206B2 (en)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047092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302606B1 (en) Sheet receiving/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60071418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144982A (ja) 綴じ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6061B2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7161468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394446B1 (en) Reverse feeding device
US6352253B1 (en) Discharged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stacking apparatus
JP5526699B2 (ja) 画像形成装置
JP4401978B2 (ja)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76779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006237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46983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5918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902962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2122B2 (ja) シート束綴じ装置
JP2006193283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4617033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64311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073011A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69736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74255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23042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