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070A -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 Google Patents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070A
KR20030060070A KR1020027017783A KR20027017783A KR20030060070A KR 20030060070 A KR20030060070 A KR 20030060070A KR 1020027017783 A KR1020027017783 A KR 1020027017783A KR 20027017783 A KR20027017783 A KR 20027017783A KR 20030060070 A KR20030060070 A KR 2003006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lid
water
port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하라가즈아키
구마모토야스히로
요네자와요시히로
시죠다츠오
야노쥰이치
카토사토시
Original Assignee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93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194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6381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078626A/ja
Application filed by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2005/1218Table mounted; Dispensers integrated with the mixing t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토출(吐出)하는 세정액 토출구(吐出口)를 마련함으로서,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속하여 형성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하여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하고, 또한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아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또한 세정액을 탱크에 넣어 물받이부의 내면에 탱크로부터 세정액을 보급하는 세정액 보급구를 형성하여, 펌프에 의해 탱크 내의 세정액을 세정액 토출구에 공급함으로서, 기능 케이스나 카운터를 더럽히지 않고 용이하게 세정액을 보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Wash-hand basin and hand-washing device with the wash-hand basin}
종래, 이런 종류의 세면기, 또는 세면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고 특개평1-23602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 장치 본체(100)의 볼부(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카운터(400) 상에 기능 케이스(300)를 장착하여, 이 기능 케이스(300)의 앞면에 세면 장치 본체(100)에 내장된 물비누 공급 장치, 세정수 공급 장치, 온풍 발생 장치에 각각 연속하여 접속한 물비누 토출 노즐(500), 세정수 토출(吐出) 노즐(600), 온풍 송풍 노즐(70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기능 노즐(300)의 상부에는 물비누를 보급하기 위한 보급구(800)가 마련되어 있고, 이 보급구(800)를 덮도록 기능 케이스(300) 상단에 커버(9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부호 500a, 600a, 700a는 물비누 토출 노즐(500), 세정수 토출 노즐(600), 온풍 송풍 노즐(700)의 근방에 마련되어 접근된 손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로 보내기 위한 손 검출 센서이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손을 씻은 후, 이동하지 않고 손을 말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물비누를 보급할 때, 기능 케이스(300)의 커버(900)를 떼어 내어야만 하므로, 보급 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보급할 때 물비누가 흘러 내려서 기능 케이스(300)나 카운터(400)가 더럽혀지거나, 각 손 검출 센서(500a, 600a, 700a)에 넘친 물비누가 부착되어 접근된 손이 검출되지 않고 물비누 검출 노즐(500)로부터 물비누가 토출되지 않거나 세정수 토출 노즐(600)로부터 물이 나오지 않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세면기 본체와 기능 케이스가 별체이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가 증가하여 시공 작업이 수고스러운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세면기 본체와 기능 케이스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청소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공중 화장실 또는 세면소 등에 설치되는 세면기, 또는 세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카운터 하부의 내부 공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착탈 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X-X선 단면도이며,
도 14는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착탈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뚜껑을 배면측에서 본 배면도이며,
도 16은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착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7은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착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8은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연결 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9는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연결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0은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의 연결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1은 걸림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2는 걸림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3은 물비누 보급구에 여과기를 마련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4는 액 위치 검출 수단을 마련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5는 플로트를 마련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6은 종래의 세면 장치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세면기 본체와 기능 케이스와의 사이에 틈이 벌어져 있기 때문에 청소성이 떨어지고 또한 세면기 본체와 기능 케이스와의 조립 작업이 수월하게 행할 수 없었고 또한 비누 등의 세정액을 용이하게 보급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물비누 등을 토출(吐出)하는 세정액 토출구를 마련함으로서 제 1 발명 그룹을 이루게 되었으며, 또한 세정액을 탱크에 넣어 물받이부의 내면에 탱크로부터 세정액을 보급하는 세정액 보급구를 형성하여 펌프에 의해 탱크 내의 세정액을 세정액 토출구로 공급함으로서 제 2 발명 그룹을 이루게 되었다.
제 1 발명 그룹으로서는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마련하여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세정액 토출구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장하여 형성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토출구는 상기 볼부 바닥측을 향하여 물비누 등을 토출하도록 하면 토출된 물비누 등을 상기 볼부로 보다 확실히 받을 수 있으며 세면기의 카운터 등의 주변부재로의 물비누 등의 비산(飛散)을 방지함으로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후부(後部)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하면, 사용자와 대면하는 위치에 세정액 토출구가 위치하게 되어 세정액에 의해 손을 씻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하여 냉온수를 토출하는 토수구(吐水口)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속하여 형성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케이스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토수구로부터 토출된 냉온수로 손이나 얼굴을 씻을 때 냉온수가 비산하는 것을 연장부에서 막아주기 때문에 세면기의 카운터 등의 주변 부분의 냉온수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토수구는 상기 볼부 바닥측을 향하여 냉온수를 토출하도록 하면 토출된 냉온수를 상기 볼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받을 수 있으며, 세면기의 카운터 등에 주변부재의 물비누 등의 비산을 방지함으로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하면 사용자와 대면하는 위치에 토수구가 위치하게 되어, 냉온수에 의해 손을 씻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하어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吹出口)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를 마련하면 사용자는 이동하지 않고 손을 말릴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세면기의 카운터나 마루 등을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으로 더럽히는 일이 없으므로 청결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이외의 상기 볼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를 마련하면 사용자는 이동하지 않고 손을 말릴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세면기의 카운터나 마루 등을 손에 부착한 물방울 등으로 더럽힐 일이 없으므로 청결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 볼부 내에 손이 삽입되므로 손에서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으로 세면기의 카운터 등을 더럽힐 우려가 적고 보다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체 송풍구를 상기 볼부의 앞부분에 형성하면 기체 송풍구로부터 내보내지는 기체가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나오기 때문에 손에 닿은 후의 기체가 사용자에게 닿아 머리가 날리거나 기체에 의해 날아간 물방울 등이 사용자에게 닿을 우려가 적으므로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체 송풍구를 하방 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향하여 기체를 내보내는 송풍 축선(軸線)을 가지도록 하면, 기체 송풍구로부터 나오는 기체의 송풍 방향이 볼부 내로 향하게 되므로, 손에서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으로 세면기의 카운터 등을 더럽힐 우려가 적게 되며 또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체 송풍구를 그 송풍 축선이 상기 연장부를 향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송풍 축선이 상기 연장부의 정점(頂点)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오도록 하면, 보다 확실하게 손으로부터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을 상기 연장부 또는 볼부에서 받을 수 있으며 세면기의 카운터 등을 더럽힐 우려가 보다 적어지게 되어 더욱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볼부의 앞부분에 속이 비어 있는 채임버를 마련하고 이 채임버를 상기 기체 송풍구에 기체를 공급하는 통풍로로 하면 확실(擴室) 내에서 기체의 송풍 압력을 균일화하여 기체 송풍구로부터 균일한 풍속의 기체를 내보낼 수 있고, 또한 채임버를 볼부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통풍을 위한 덕트나 패킹 등의 부재를 삭감할 수 있으며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세면기 본체를 도기제로 형성하면 볼부나 연장부에 부착된 물비누나 물방울 등의 더러움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통풍로를 용이하게 볼부와 일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에 대하여 내민 손을 검출하는 손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이 손 검출 수단을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 각각의 근방에 배치하면, 기구 등에 닿지 않고 자동적으로 물비누 등의 세정액이나 냉온수를 토출시키거나 기체를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함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손 검출 수단을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와 일체로 형성하면 부재를 삭감할 수 있고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를 상기 볼부의 앞부분 방향으로 경사시켜 형성하면 상방으로의 돌출 정도를 억제하여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액이나 물방울 등이 부착되어도 그것이 흐르기 쉽게 하여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송풍구를 볼부의 앞부분에 형성한 경우에는, 기체 송풍구로부터 내보내진 기체에 의해 손에서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이 대면한 벽면이나 카운터 등에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마련하여 이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볼부측으로부터 장착 부재를 통해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를 장착하도록 하면 세정액 토출구 또는 토수구 혹은 기체 송풍구의 장착이나 유지보수를 할 때 전방측에서 장착이나 탈착의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내보내는 세정액 토출구와 이 세정액 토출구에 물비누 등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속하여 형성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 케이스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세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냉온수를 내보내는 토수구를 마련하여 이 토수구에 냉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속하여 형성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 케이스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으며, 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세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토수구로부터 토출된 냉온수로 손이나 얼굴을 씻을 때, 냉온수가 비산하는 것을 연장부에서 막아주기 때문에 세면기의 카운터 등의 주변부재로 냉온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를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연장부가 종래의 기능 케이스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세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기체 송풍구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면, 사용자는 이동하지 않고 손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세면기의 카운터나 마루 등을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으로 더럽히지 않으므로 청결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이외의 상기 볼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를 마련하여 이 기체 송풍구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면, 사용자는 이동하지 않고 손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세면기의 카운터나 마루 등을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으로 더럽히지 않고 청결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 볼부 내에 손을 삽입하므로 손에서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으로 세면기의 카운터 등을 더럽힐 우려가 적고 보다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기체 공급 장치는 고압기체를 상기 기체 송풍구에 공급하도록 구성하면 젖은 손을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토출구에 대하여 내민 손을 검출하는 손 검출 수단과 이 손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세정액 공급 장치 또는 상기 온수 공급 장치 혹은 상기 기체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손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신호를 소정 시간 무효로 하기 위해 제어하면, 세면기의 청소시에 손 검출 수단이 손을 감지하여 세정액 공급 장치 또는 온수 공급 장치 혹은 기체 공급 장치가 작동함으로서 세정액이나 온수가 비산하여 카운터나 벽면 등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세정액 또는 온수나 전력을 쓸모없이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한 상기 손 검출 신호의 소정 시간을 무효로 하는 제어는 상기 소정 시간 사이에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한 재차 입력이 있는 경우 해소되도록 하면, 세면기의 청소가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경우에도 그대로 소정 시간을 무효로 하는 제어가 계속되어 해소될 때까지 세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사라지게 된다.
상기 세면기 본체를 배치하는 카운터를 마련하고 상기 연장부에 속이 비어있는 형상의 중공부(中空部)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후면벽을 상기 카운터의 상면벽 또는 하면벽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토출구와 상기 세정액 공급 장치 또는 상기 온수 공급 장치 혹은 상기 기체 공급 장치를 연결 통과하여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토출구에 접속하면, 접속부재가 연장부에 형성한 진공부로 숨겨져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발명 그룹으로서는 냉온수를 내보내는 토수구와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세정액 토출구와 이 세정액 토출구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수단과 상기 토수구로부터의 토수 및 상기 세정액 토출구에서부터 세정액을 받는 물받이부와 이 물받이부의 하방부에 마련한 배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공급 수단은 세정액을 넣는 탱크와 이 탱크에 세정액을 보급하는 세정액 보급구와 상기 탱크와 상기 세정액 공급구를 연결하여 통과시키는 보급로와 상기 탱크 내의 세정액을 세정액 공급로를 통하여 상기 세정액 토출구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하고, 상기 세정액 공급구는 상기 물받이부의 내면에 설치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받이부 내부에서 물비누 등의 세정액의 보급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정액이 흘러 내리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세정하여 배수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예를 들어 토수구나 세정액 토출구를 기능 케이스에 마련하더라도 그 기능 케이스나 카운터를 더럽히지 않고 신뢰성 높은 세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를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도록 하여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세정액 보급구는 상기 물받이 부분의 좌우 측면의 어딘가에 설치하면, 비교적 큰 세정액 보급용 용기라 하더라도 편안한 자세로 간단하게 세정액의 보급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상기 물받이부의 상단에서부터 저면까지의 깊이에서 상단으로부터 약 1/3 깊이의 위치에 설치하면, 세정액을 보급할 때 세정액 보급구에 대하여 세정액 보급용 용기의 입구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세정액을 흘리지 않고 수월하게 보급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상기 토수구와 세정액 토출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앞부분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는 기체 송풍구를 마련하면, 세정액 보급구로부터 토수구, 세정액 토출구, 기체 송풍구가 떨어진 부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세정액을 보급할 때, 토수구, 세정액 토출구, 기체 송풍구의 기능부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또한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을 연장부에서 막아주기 때문에 카운터 등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덮기 위한 뚜껑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 뚜껑을 착탈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도록 하면, 세정액 보급구 내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착탈 수단을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 또는 뚜껑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와 상기 뚜껑의 외주면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계합(係合)하는 볼록부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면 또는 뚜껑의 외면에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볼록부가 통과하는 홈부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과 상기 뚜껑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상기 뚜껑을 장착할 때, 상기 뚜껑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서 떨어진 방향에 부세(付勢)하는 용수철로 구성하면, 세정액 보급구의 오목부와 뚜껑의 볼록부에 의한 계합이 뚜껑을 회전시킴으로서 용수철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뚜껑의 볼록부가 홈부에서 통과하여 뚜껑이 떠오르므로 간편한 구성으로 세정액 보급구에서 뚜껑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뚜껑의 외측부에 상기 뚜껑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설치하면 보다 간편하게 뚜껑을 뗄 수 있다.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뚜껑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에 접합하는 내측 접합부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외주면에 접합하는 외측 접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의 일부를 잘라 없앤 절단부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에 부세하는 압접부(壓接部)를 가지는 부세 부재를 마련하면, 부세 부재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줄임으로서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의 계합이 해소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뚜껑을 탄성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을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장착시킬 때, 상기 뚜껑이 상기 물받이부의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단면시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뚜껑의 외주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마련하여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외면에 상기 계합구가 계합하는 피계합구를 마련하면, 뚜껑의 중앙을 미는 것으로 활 모양으로 휘어져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과의 계합이 해소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세정액 보급구에서 뚜껑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뚜껑의 외주부 또는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부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마련하고 다른 쪽으로 상기 자성체와 흡착하는 비자성체를 마련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및 상기 비자성체를 상기 뚜껑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대칭 부위에 각각 마련함과 동시에, 한 쪽에 형성한 부위보다 다른 쪽의 부위를 안쪽으로 위치시켜 형성하면 뚜껑의 일부를 미는 것으로 뚜껑이 떠오르기 때문에 더욱 간편하게 뚜껑을 뗄 수 있다.
상기 뚜껑의 외측부에 상기 뚜껑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마련하면 더욱 간편하게 뚜껑을 떼어낼 수 있다.
상기 뚜껑과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를 마련하도록 하면, 세정액 보급구로부터 뚜껑을 떼어내더라도,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뚜껑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덮기 위한 뚜껑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 뚜껑을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하면, 세정액 보급구 내로의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뚜껑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을 상기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을 경첩(hinge)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경첩을 상기 뚜껑이 손 앞쪽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면, 뚜껑의 개폐를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첩은 상기 뚜껑이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안쪽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면, 세정액을 보급할 때에, 뚜껑이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보급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뚜껑의 하부에 중심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뚜껑이 연직(鉛直) 또는 상기 뚜껑의 하단부가 상기 물받이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시켜,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상기 물받이부에 배치하면 보다 간편하게 뚜껑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뚜껑의 하부에 중심을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뚜껑이 대략 연직 상태가 되도록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상기 물받이부에 설치하고, 상기 뚜껑의 하부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하부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마련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자성체와 흡착하는 비자성체를 마련하면, 보다 간편하게 뚜껑의 개폐를 시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뚜껑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을 상기 뚜껑에 마련된 회전축과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마련한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과하는 삽입구멍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 빠지 나오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마련한 빠짐 방지부로 구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뚜껑의 개폐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이 부주의하게 열리지 않게 하기 위한 걸림 수단을 마련하면, 예를 들어 물받이부 내에서의 행위 중에 손 등이 닿더라도 간단하게 뚜껑이 열리지 않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세정액 보급구 내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뚜껑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마련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자성체와 흡착하는 비자성체를 마련하거나,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계합부(係合部) 또는 피계합부(被係合部)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계합부 또는 피계합부에 계합하도록 하는 피계합부를 형성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뚜껑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부에 먼지 등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여과기(strainer)를 마련하면, 세정액을 보급할 때에 먼지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먼지 등에 의해 세정액 공급로가 막혀 세정액 토출구로부터 세정액이 토출되지 않거나, 펌프가 파손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여과기에 손잡이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부에 마련하면, 여과기에 부착된 먼지 등의청소를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의 세정액의 상면이 소정의 액 위치에 달하는 것을 검출하는 액 위치 검출 수단을 마련하여, 이 액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액 위치에 달한 것을 알리는 통지 수단을 마련하면, 세정액을 보급할 때 세정액 보급구 내의 세정액의 물방울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세정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부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의 세정액이 거의 만수가 되었을 때 부력으로 상승하는 플로트(float)를 마련하면, 세정액을 보급할 때 세정액 보급구 내의 세정액의 만수 상황이 플로트의 움직임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세정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발명 그룹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 장치(A)는 세면기(1)와 이 세면기(1)에, 손(22)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소독액이나 물비누 등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2)와 냉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세면기(1)는 세면기 본체(11)과 세면기 본체(11)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볼부(103)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103a) 뒷부분을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106)와 이 연장부(106)에 마련되어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세정액 토출구(13) 및 냉온수를 토출하는 토수구(12)로 구성되어 있다.
연장부(106)는 볼부(103) 전방 방향으로 경사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속이 텅 빈 모양의 중공부(中空部)(106c)를 형성하고 있어, 그 전면벽(106a)에 마련된 개구부(106b, 106b)에 장착 부재(13b, 13c, 12b, 12c)를 통하여 나사 등의 고정구(13d, 12d)에 의해 세정액 토출구(13)와 토수구(12)가 볼부(103)의 전방측으로부터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장착 부재(13b, 12b)에는, 손 검출 센서(13a, 12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면기 본체(11)는, 도기제로 형성되어 볼부(103)의 중앙 최하부의 위치에 이후 설명할 캐비넷부(100) 내에 설치한 배수관(15)으로 연결되는 배수구(105)를 형성하고 있어, 카운터(10)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된 개구(102)에 세면기 본체(11)의 림(rim)부(104) 및 연장부(106)의 후면벽(106d)을 지지하는 방식(예를 들면, 셀프 리밍(self-rimming)식, 프레임식 등)으로 장착할 수 있다.
카운터(10)는 예를 들어 인조 대리석으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하방에 마련된 캐비넷부(100)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10)의 상면측과 림부(104) 및 연장부(106)의 후면벽(106d)의 하면측과의 사이에는, 시일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 캐비넷부(100) 내로의 누수(漏水)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비넷부(100)는 전면측에 장식 패널(101)이 설치되어 가운데가 비어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캐비넷부(100) 내에 세정액 보급 장치(2) 및 온수 공급 장치(3)를 배치하고 있다.
세정액 공급장치(2)는 세정액을 저장하는 세정액 저수 탱크(19)와 세정액 저수 탱크(19) 내의 세정액을 압송하기 위한 세정액 압송 펌프(18)로 구성되어 있어, 세정액 공급 호스(17)를 통하여 연장부(106)의 중공부(106c) 내에서 세정액 토출구(13)와 연결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편, 온수 공급 장치(3)는 온수 배관(40)과 냉수 배관(41)에 각각 접속된 지수전(止水栓)(21, 21)과 지수전(21, 21)에 접속되어 적정 온도의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혼합전(混合栓)(20)과 온수 혼합전(20)에 접속된 전자 밸브(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어, 온수 공급 호스(16)를 통하여 연장부(106)의 중공부(106c) 내에서 토수구(12)와 연결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면기 본체(11)의 카운터(10)로의 장착은, 셀프 리밍식이나 프레임식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10)의 하면측에 볼부(103)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103a) 및 연장부(106)의 후면벽(106d)에 연속 형성한 테두리부(brim)(106e)의 위치를 결정하고 배치하는 방식(언더 카운터식)으로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세정액 공급장치(2) 및 온수 공급장치(3)를 캐비넷부(100) 내에 설치하여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면기 본체(11)의 하방부만이 숨겨지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상자 모양으로 형성한 케이싱(107)이 장착용 나사(23)로 벽면(W)에 고정되어 있어, 세면기 본체(11)가 케이싱(107)의 대략 중앙부에 마련된 개구(108)에 세면기 본체(11)의 림부(104) 및 연장부(106)의 후면벽(106d)을 지지하는 방식(예를 들면 셀프 리밍식, 프레임식 등)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7)의 저면벽(107a)에는 배수관(15) 및 세정액 공급 호스(17)가 삽입 통과하는 개구(109)와 온수 공급 호스(16)가 삽입하여 통과하는 개구(11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07)의 상면측의 카운터 일부(107b)와 림부(104) 및 연장부(106)의 후면벽(106d)의 하면측과의 사이에는, 시일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 케이싱(107) 내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07)의 저면벽(107a)을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세면기 본체(11)의 케이싱(107)의 카운터 일부(107b)에의 장착을 도 3에서 도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언더 카운터 방식으로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면 장치(A)의 작동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22)을 볼부(103) 내에 삽입하여, 손 검출 센서(13a)의 앞으로 손(22)을 내밀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손 검출 센서(13a)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세정액 압송 펌프(18)를 구동제어하여, 세정액 저수 탱크(19) 내의 세정액이 압송되어 세정액 공급 호스(17)를 통하여 세정액 토출구(13)로부터 세정액이 토출되어 사용자는 손(22)의 오물을 제거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 때, 토출된 세정액이 손(22)에 닿아 비산하더라도, 볼부(103) 내에 직접 낙하하거나, 연장부(106)의 전면벽(106a)에 부착하여 볼부(103) 내로 낙하하기 때문에, 주변의 카운터(10) 등을 오염시킬 우려가 적고, 또한 세면기 본체(11)가 도기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의 토출 동작은 손 검출 센서(13a)에서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폐 조작용 레버 등의 기구에 손을 대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연장부(106)가 종래와 같은 기능 케이스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품점수나 시공공수를 삭감할 수 있고, 시공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와 같은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보다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정액으로 손(22)의 오물을 제거한 후, 손 검출 센서(12a)의 앞으로 손(22)을 내밀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손 검출 센서(12a)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전자 벨브를 구동 제어하여, 온수 공급 호스(16)을 통하여 토수구(12)로부터 온수가 토출되어, 사용자는 손을 씻는 동작을 행한다.
이 때, 토출된 온수가 손(22)에 닿아 비산하더라도, 볼부(103) 내로 직접 낙하하거나, 연장부(106)의 전면벽(106a)에 부착하여 볼부(103) 내로 낙하하기 때문에, 주변의 카운터(10) 등을 오염시킬 우려가 적고, 청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토수 동작은 손 검출 센서(12a)에서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사용자가 개폐 조작용 레버 등의 기구에 손을 대지 않아 위생적이다.
또한 세면기 본체(11)의 연장부(106)는 볼부(103)의 넘침 가장자리부분(103a)의 후부에 마련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부(103)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103a)의 우측부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서 후부에 걸쳐, 혹은 자측부에서 후부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세면기 본체(11)를 도기제로 형성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 등의 청소성이 우수한 부재로 형성하거나, 연장부(106)의 전면벽(106a)까지를 볼부(103)로부터 도기제로 연속하여 일체 형성하고, 연장부(106)의 후면벽(106d)은 도기 이외의 별도 부재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A)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A)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부(103)의 앞부분의 벽면에는, 손(22)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27)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체 송풍구(27)는 기체가 볼부(103)의 하방으로 향하며 또한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내보내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송풍구(27)가 배치된 볼부(103) 벽면의 뒷측에는, 가운데가 비어있는 모양으로 형성된 채임버(28)가 볼부(10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채임버(28)에는 어뎁터(2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00) 내에는 기체 송풍구(27)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기 등으로 구성된 기체 공급 장치(24)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제 공급 장치(24)에는 송풍 덕트(25)의 한 단이 접속되고 다른 단이 어뎁터(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체 송풍구(27)의 근방에는 볼부(103) 내에 삽입된 손(22)을 검지하여, 기체 공급 장치(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손 검출 센서(27a)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세면 장치(A)의 작동에 관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사용자가 손(22)을 볼부(103) 내에 삽입하고, 손 검출 센서(13a)의 앞으로 손(22)을 내밀어 세정액 토출구(13)로부터 토출시킨 세정액으로 손(22)의 오물을 없앤 후, 손 검출 센서(12a)의 앞으로 손(22)을 펼쳐 토수구(12)로부터 온수를 토출시켜 손(22)을 씻고, 다음으로 손 검출 센서(27a)의 앞으로 손(22)을 내밀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손 검출 센서(27a)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체 공급장치(24)를 구동 제어하고, 송풍 덕트(25)를 통하여 확실(擴室)(28) 내로 기체가 도입되고 채임버(28) 내에서 압력이 균일화되어, 기체 송풍구(27)로부터 삽입된 손(22) 전체에 균일한 풍속으로 기체를 불어 내보내어 손(22)의 건조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손(22)을 씻은 직후에 손(22)의 건조가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카운터(10)나 마루 등을 손(22)에 부착된 물방울 등으로 더럽혀지는 일이 없으므로, 청결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손(22)을 건조시키기 위한 볼부(103) 내에 손(22)이 삽입되므로, 손(22)으로부터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으로 카운터(10) 등을 더럽힐 우려가 적고, 보다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송풍구(27)를 사용자에게 가까운 볼부(103)의 앞부분의 벽면에 설치함으로서, 기체 송풍구(27)로부터 불어 나오는 기체가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나오기 때문에, 손(22)에 닿은 후의 기체가 사용자에게 닿아 머리를 날리거나, 기체에 의해 불어 날려진 물방울 등이 사용자에게 묻을 우려가 적으므로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불어 날아간 물방울 등이 연장부(106)에서 막아지므로, 세면 장치(A)가 장착되어 있는 벽면(W) 등을 물방울 등의 비산에 의해 더럽힐 우려도 적다. 또한 기체를 내보내는 동작은, 손 검출 센서(7a)에서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사용자가 기구 등에 손(22)을 대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이다. 또한 채임버(28)를 볼부(103)와 일체 형성하므로 부재의 삭감을 도모할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적소에 배치하여 세면기(1)의 청소시에 온으로 조작하여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정액 공급장치(2), 온수 공급장치(3), 기체 공급장치(24)가 소정시간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와 같이 하면, 세정액이나 온수가 비산하여 카운터(10)나 벽면(W) 등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세정액 또는 온수나 전력을 쓸데없이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면기 본체(11)의 카운터(10)의 장착은,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언더 카운터식으로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캐비넷(100) 대신에,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가운데가 비어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한 케이싱(107)으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A)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A)의 제 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며, 상술한 제 1, 제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06)의 전면벽(106a)에 형성한 개구부(106b)에는 기체 송풍구(29)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체 송풍구(29)의 근방에는, 볼부(103) 내에 삽입된 손(22)을 검지하여, 기체 공급장치(24)를 구동시키기 위한 손 검출 센서(2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106)의 중공부(106c) 내에는 기체 송풍구(29)와 일체 형성한 채임버(30)가 배치되어 있어, 이 채임버(30)에 송풍 덕트(25)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더라도 사용자는 이동하지 않고 손(22)을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함께, 세면기(1)의 카운터(10)나 마루 등을 손(22)에 부착한 물방울 등으로 더럽히지 않으므로, 청결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경우는, 반드시 고압 기체를 내보내도록 구성할 필요는 없고, 저속의 기체를 기체 송풍구(29)로부터 내보내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손(22)에 부착된 물방울 등의 비산수가 닿는 것을 줄이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이 상기 내용에만 한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온수 공급장치(3)로서 온수 혼합전(20)을 배치하여 온수를 토수구(12)에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수 공급전(20)을 형성하지 않고 냉수만을 토수구(12)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채임버(28)를 볼부(103)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합성 수지 등의 다른 부재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기체 공급장치(24)로부터 기체 송풍구(27, 29)까지의 기체의 공급로 중에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을 설치하여 가열 수단에 의해 기체를 가열하여 온풍을 기체 송풍구(27)로부터 내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발명 그룹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세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며, 도 11은, 카운터 하부의 내부 공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 장치(B)는 카운터(59)와 카운터(59)에 끼워 넣어져 물받이부(52)의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52a)에 형성한 물비누 토출구(53) 및 토수구(54)와 물받이부(52)의 측면에 배치한 물비누 공급구(56)와 물받이부(52)의 앞부분에 배치한 기체 송풍구(55)와 물받이부(52)의 하방부에 형성된 배수구(57)를 가지는 세면기 본체(58)로 구성되어 있다.
물받이부(52)는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도록 히여 대략 타원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도시에 있어서 좌측면에 물비누 보급구(5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호 62는 물비누 보급용 용기이며, 물비누 보급용 용기(62)로는 통상 일반적으로 시판하는 식료수용 페트병으로 사용되고 있는 길이 350mm 2L 들이 폴리 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물받이부(52)의 폭넓이측의 길이의 치수는 350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비누 보급용 용기(62)가 물받이부(52)에 옆으로 향하여 용이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편안한 자세로 간편하게 물비누를 물받이부(52) 내부로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보급할 수 있고, 물비누가 넘쳐 흐르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물비누 보급구(56)를 물받이부(52)의 상단에서 바닥면까지 깊이의, 상단에서 약 1/3(바람직하게는 상단에서 100mm 정도)의 깊이 위치에 배치하면 좋고, 이와 같이 하면 물비누를 보급할 때 물비누 보급구(56)에 대하여 물비누 보급용 용기(62)의 입구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세정액이 흐르는 일 없이 편안히 보급작업을 행할 수 있다.
세면기 본체(58)는 카운터(59)의 대략 중앙부에, 예를 들면 셀프 리밍식, 프레임식 등의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카운터(59)의 하방에는, 캐비넷부(51)가 형성되어 있어, 캐비넷부(51) 내에는, 물비누 토출구(53)에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보급수단(63)과 토수구(54)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66)와 기체 송풍구(55)에 고압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수단(67)이 배치되어 있다.
물비누 공급수단(63)은 물비누를 넣는 탱크(64)와 탱크(64)로 물비누를 보급하는 물비누 보급구(56)와 탱크(64)와 물비누 보급구(56)를 연결하여 통과시키는 보급로(65), 탱크(64) 내의 물비누를 물비누 공급로(68)를 통해 물비누 토출구(53)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P)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 공급부(66)는 물공급관(69)를 통하여 토수구(54)에 연결 통과하여 접속되어 있어, 기체 공급수단(67)은 기체 공급관(70)을 통해 기체 송풍구(55)에연결 접속되어 있다.
물비누 토출구(53)와 토수구(54)의 근방에는 내밀어진 손을 검출하는 손 검출수단(60, 6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손 검출 수단(60, 61)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물비누 토출구(53)로부터의 토출 동작 및 토수구(54)로부터의 토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 송풍구(55)의 근방에는 내밀어진 손을 검출하는 손 검출수단(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손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체 송풍구(55)로부터의 기체 송풍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면장치(B)의 작동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세면 동작을 행할 때는, 사용자가 물비누 토출구(53) 부근에 손을 내밀면, 그 손을 손 검출 수단(60)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펌프(P)가 동작하여 탱크(64)로부터 물비누 공급로(68)를 통하여 물비누 토출구(53)로부터 물비누가 토출되어, 사용자는 손에 부착되어 있는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토수구(54) 부근으로 손을 내밀면, 그 손을 손 검출 수단(61)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물공급부(66)가 동작하여 물 공급관(69)을 통하여 토수구(54)로부터 물이 토수되어, 사용자는 손에 묻어 있는 물비누를 씻어 내는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손을 씻는 동작 후, 젖은 손을 기체 송풍구(55) 부근에 내밀면, 그 손을 손검출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기체 공급수단(67)이 동작하여 기체 공급관(70)을 통해 기체 송풍구(55)로부터 고속의 기체가 송풍되어, 손에 부착된 물 등이 불어 날아가 손의 건조가 행해진다.
그리고 토출된 물비누나 토수된 물 및 불어 날아진 물 등은 배수구(57)로부터 배출된다.
물비누를 보급할 경우,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물비누 보급용 용기(62) 등을 사용하여 물비누를 보급하고, 보급로(65)를 통해 탱크(64)로 모이도록 되어 있다.
도 12는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과의 착탈 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의 입구에는, 뚜껑(71)이 착탈수단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어, 물비누의 보급시 이외에는 물비누 보급구(56)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착탈수단은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부(56a)와 뚜껑(71)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56a) 내에 삽입하여 계합하는 볼록부(71a)와 물비누 보급구(56)의 내면에 형성하여 오목부(56a)로부터 볼록부(71a)가 통과하는 홈부(71b)와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과 뚜껑(7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물비누 보급구(56)에 뚜껑(71)을 장착할 때에, 뚜껑(71)이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7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71c는 뚜껑(71)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이다.
따라서, 손잡이부(71c)를 손으로 잡아 도 13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뚜껑(71)을 회전시키면, 뚜껑(71)의 볼록부(71a)가 물비누 보급구(56)의 오목부(56a)를 따라 이동하여, 볼록부(71a)가 홈부(71b)의 위치에 오면 오목부(56a)와 볼록부(71a)와의 계합이 해소됨과 동시에, 용수철(72)의 부세력에 의해 뚜껑(71)이 떠오르게 되므로,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뚜껑(71)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을 간편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 내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비누 보급구(56)에 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뚜껑(71)에 오목부, 홈부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4는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는 뚜껑(71)을 배면측에서 본 배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수단은 뚜껑(71)에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56c)에 접합하는 내측 접합부(71e)와 물비누 보급구(56)의 외주면(56d)에 접합하는 외측 접합부(71d)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측 접합부(71e) 및 외측 접합부(71d)의 일부를 잘라 없앤 절단부(71f)를 형성하여 절단부(71f)에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56c)에 부세하는 압접부(74a)를 가지는 부세 부재(74)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물비누 보급구(56)에서 뚜껑(71)을 떼어낼 때는, 부세 부재(74)를부세력에 저항하여 줄이면,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56c)에 압접하고 있는 부세 부재(74)의 압접부(74a)가 느슨해져서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뚜껑(71)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물비누 보급구(56)에 뚜껑(71)을 장착할 때는, 마찬가지로 부세 부재(74)를 부세력에 저항하여 줄여 뚜껑(71)을 물비누 보급구(56)에 삽입하여, 부세 부재(74)의 축소를 해소하면, 부세 부재(74)의 압접부(74a)가 부세력에 의해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56c)에 압접하여 물비누 보급구(56)에 뚜껑(71)을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을 간편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 내로의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세 부재(74)를 양측에서부터 줄여 2개소의 압접부(74a)에 의해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56c)에 압접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세 부재(74)의 한쪽만을 줄여 1개소의 압접부(74a)에 의해 물비누 보급구(56)의 내주면(56c)에 압접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2개소 이상의 압접부(74a)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6은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71)을 탄성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뚜껑(71)을 물비누 보급구(56)에 장착할 때에, 뚜껑(71)이 물받이부(52)의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단면시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뚜껑(71)의 외주에 물비누 보급구(56)에계합하는 계합부(71g)를 형성하고 물비누 보급구(56)의 외면에 계합부(71g)가 계합하는 피계합부(56e)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물비누 보급구(56)에서 뚜껑(71)을 떼어낼 때는, 뚜껑(71)의 중앙부를 밀면, 뚜껑(71)이 활 모양으로 휘어져 계합부(71g)가 피계합부(56e)로부터 떨어지므로 물비누 보급구(56)에서 뚜껑(71)을 떼어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을 간편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 내로의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은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71)의 외주부의 대칭부위에 각각 마그넷(magnet)(75, 75)을 형성함과 동시에, 한 쪽의 마그넷(75)을 다른 쪽으로 형성한 마그넷(75)의 부위보다도 뚜껑(71)의 안쪽에 위치시켜 형성하여, 각 마그넷(75, 75)에 흡착하는 금속부(76, 76)를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뚜껑(71)을 떼어낼 때는, 마그넷(75)을 뚜껑(71)의 안쪽에 위치시켜 형성한 쪽의 뚜껑(71)의 외주면을 미는 것에 의해, 지레의 원리로 다른 쪽에 형성된 마그넷(75)과 금속부(76)의 흡착이 해제되어 떠오르기 때문에, 용이하게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뚜껑(71)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한 쪽의 마그넷(75)을 뚜껑(71)의 안쪽으로 위치시켜 형성하지 않고, 뚜껑(71)의 외주부에 2개소 혹은 복수의 마그넷을 마련함과 동시에 그 마그넷에 흡착하는 금속부를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경우 뚜껑(71)의 외측부에 뚜껑(71)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물비누 보급구(56)에 마그넷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마그넷에 흡착하는 금속부를 뚜껑(71)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착탈을 간편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 내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을 연결하는 사슬 등의 연결 부재를 마련하여 뚜껑(71)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8은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과의 연결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을 연결하는 경첩(77)을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하부에 형성하고, 뚜껑(71)을 손 앞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과의 개폐를 간편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 내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뚜껑(71)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첩(77)은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하부에 한정되지 않고,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d)의 원주상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19는 물비누 보급구와 뚜껑(71)의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을 연결하는 경첩(77)을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상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뚜껑(71)이 손 앞으로 열리지 않도록 물비누 보급구(56)의 윗 가장자리 부분에 스토퍼 일부(56f)를 형성하고, 뚜껑(71)이 물비누 보급구(56)의 안쪽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71)이 자동으로 닫힘 상태가 되도록, 뚜껑(71)의 하부에 무게점(78)을 마련함과 동시에, 뚜껑(71)을 닫았을 때, 뚜껑(71)이 대략 연직상태가 되도록 물비누 보급구(56)를 물받이부(52)에 설치하고 뚜껑(71)의 하부에 마그넷(89)을 배치함과 동시에 마그넷(89)이 흡착하는 금속부(90)를 물비누 보급구(56)의 하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비누를 보급할 때 뚜껑(71)이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보급 작업을 시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간편하게 뚜껑(71)의 개폐를 시행할 수 있으며, 또한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게점(78)을 형성하지 않고, 뚜껑(71) 자체를 뚜껑(71)의 중심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뚜껑(71)을 닫았을 때에, 뚜껑(71)이 연직 또는 뚜껑(71)의 하단부가 물받이부(52)의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시켜 물비누 보급구(56)를 물받이부(52)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 경우 마그넷(89) 및 금속부(90)는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도 20은 물받이 보급구(56)와 뚜껑(71)과의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수단은 뚜껑(71)의 하부에 마련한 회전축(71h)과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하여 회전축(71h)이 삽입하여 통과하는 삽입구멍(56g)과 회전축(71h)이 삽입구멍(56g)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회전축(71h)의 선단부에 형성한 빠짐 방지부(71i)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71h)을 지점으로 하여 뚜껑(71)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뚜껑(71)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71h), 삽입구멍(56g), 빠짐 방지부(71i)는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하부에 한정되지 않고,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의 원주상의 일부분에 형성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71)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걸림 수단을 형성하여도 좋다.
즉, 걸림 수단은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을 연결하여 형성된 경첩(77)과 상대하는 뚜껑(71)의 부위에 마그넷(79)을 형성함과 동시에, 마그넷(79)에 흡착하는 금속부(80)를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물비누 보급구(56)에 뚜껑(71)을 닫을 때,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된 금속부(80)에 뚜껑(71)에 형성된 마그넷(79)이 확실히 흡착하기 때문에 물받이부(52) 내에서의 행위 중에 손 등이 닿아도 간단하게 뚜껑(71)이 열리지 않고,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 내로의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비누 보급구(56)에 마그넷을 형성함과 동시에 마그넷에 흡착하는 금속부를 뚜껑(71)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마그넷(79) 및 금속부(80)를 경첩(77)과 상대하는 부위에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뚜껑(71) 및 물비누 보급구(56)의 원주상에 일부분에 마련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22는 걸림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와 뚜껑(71)을 연결하여 형성된 경첩(77)과 상대하는 뚜껑(71)의 부위에 계합부로서의 탄성을 가지는 볼록부(82)를 형성함과 동시에, 볼록부(82)가 끼워넣어져 연결하는 피계합부로서의 오목부(81)을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물비누 보급구(56)에 뚜껑(71)을 닫을 때, 뚜껑(71)에 형성된 볼록부(82)가 휘면서 물비누 보급구(56) 내로 삽입되어,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된 오목부(81)에 탄성력에 의해 볼록부(82)가 끼워넣어져 연결되기 때문에, 뚜껑(71)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71)에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물비누 보급구(56)에 볼록부를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볼록부(82) 및 오목부(81)를 경첩(77)과 상대하는 부위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뚜껑(71) 및 물비누 보급구(56)의 원주상의 일부분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23은 물비누 보급구(56)에 여과기(strainer)(83)를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17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의 내부에,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기(83)을 형성하고 있다.
여과기(83)에는 손잡이부(85)를 형성함과 동시에, 여과기(83)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84)를 물비누 보급구(56)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비누를 보급할 때에, 물비누 보급구(56) 내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먼지 등에 의해 물비누 공급로(68)가 막혀 물비누 토출구(53)에서 물비누가 토출되지 않거나, 펌프(P)가 파손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손잡이부(85)에 의해 여과기(83)를 물비누 보급구(56)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고, 여과기(83)에 부착된 먼지 등의 청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4는 액 위치 검출수단(86)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 내의 물비누의 상면이 소정의 액 위치에 달한 것을 검출하는 액 위치 검출수단(86)을 물비누 보급구(56)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물받이부(52) 내부의 물비누 보급구(56)에는, 통지 수단으로서의 부저 발신부(87)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비누 보급구(56) 내의 물비누의 상면이 소정의액 위치에 달하면 그 액 위치를 액 위치 검출수단(86)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가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어, 제어부로부터 부저 발신부(87)에 부저를 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비누를 보급할 때에 물비누 보급구(56) 내의 물비누의 만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물비누가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 위치 검출수단(86)으로서, 광전 센서, 플로트 스위치, 전극 센서, 초음파 센서, 정전 용량 센서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또한 초음파 센서, 정전 용량 센서는 물비누 보급구(56) 내부에 한정되지 않고 물받이부(52) 근방에 형성되어도 좋다.
더욱이, 부저 발신부(87)를 물받이부(52) 내부의 물비누 보급구(56)에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받이부(52) 주위나 카운터(59)상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통지 수단으로서 부저 발신부(87)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이나 램프의 점등/점멸, 혹은 문자 정보에 의해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도 25는 플로트(float)(88)을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며, 도 23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비누 보급구(56) 내부에 형성된 여과기(83)에 플로트(88)를 형성하고 있다.
플로트(88)는 액 위치의 상하이동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플로트부(88)와 플로트부(88a)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고, 통상시는 여과기(83)에 연결하는 스토퍼부(88b)와 플로트부(88a)와 스토퍼부(88b)를 연결하는 연결부(88c)로 구성되어 있어, 여과기(83)에 형성한 삽입구멍(83a)에 연결부(88c)를 접는 동작이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물비누를 보급할 때, 물비누 보급구(56) 내의 물비누가 대략 만수 상태가 되면, 플로트부(88a)가 부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스토퍼부(88b)가 여과기(83)로부터 상승하기 때문에, 물비누 보급구(56) 내의 물비누의 만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물비누가 물비누 보급구(56)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받이부(52)의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52a)에 물비누 토출구(53)나 토수구(54)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장부(52a)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독립된 물비누 토출구나 토수구를 카운터(59) 상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종래와 같이 카운터(59) 상에 기능 케이스를 배치하여 이 기능 케이스에 물비누 토출구나 토수구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물비누 토출구(53)로부터 물비누를 토출하도록 하였으나, 무스(mouss) 형상의 비눗물이나 소독액 등을 토출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물 공급부(66)를 제어하여 토수구(54)로부터 물을 내보내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수 공급부를 형성하여 토수구(54)로부터 온수를 내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세면기 또는 세면 장치는 일반가정이나 공중 화장실 또는 세면소 등에 설치하기에 적당하다.

Claims (52)

  1.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하여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세정액 토출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토출구는 상기 볼부 바닥측을 향하여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4.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하여 냉온수를 토출하는 토수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수구는 상기 볼부 바닥측으로 향하여 냉온수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7.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형성하여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불어내는 기체 송풍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8. 상기 연장부 이외의 상기 볼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불어내는 기체 송풍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송풍구는 상기 볼부의 앞부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송풍구는 하방 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향하여 기체를 불어내는 기체 송풍 축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송풍구는 그 송풍 축선이 상기 연장부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송풍 축선이 상기 연장부의 정점으로부터 하방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의 앞부분의 가운데가 빈 채임버를 형성하고, 이 채임버를 상기 기체 송풍구에 기체를 공급하는 통풍로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 본체는 도기제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에 대하여 내민 손을 검출하는 손 검출 수단을 형성하고, 이 검출수단은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의 각각 근방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손 검출수단은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와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볼부의 앞부분 방향으로 경사시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에 대하여 상기 볼부쪽으로부터 장착 부재를 통해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를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8.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세정액 토출구와 이 세정액 토출구에 물비누 등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19.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냉온수를 토출하는 토수구와 이 토수구에 냉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0. 세면기 본체와 이 세면기 본체의 볼부의 넘침 가장자리 부분의 일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형성한 연장부와 이 연장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와 이 기체 송풍구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1. 상기 연장부 이외의 상기 볼부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을 불어 날리기 위한 기체를 내보내는 기체 송풍구와 이 기체 송풍구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공급장치는 고압기체를 상기 기체 송풍구에 공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3.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에 대하여 내민 손을 검출하는 손 검출 수단과 이 손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세정액 공급장치 또는 상기 온수 공급장치 혹은 상기 기체 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해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손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신호를 소정 시간 무효로 하기 위해 제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한 상기 손 검출 신호의 소정 시간을 무효로 하는 제어는, 상기 소정 시간 사이에 상기 조작 스위치에 의한 재차 입력이 있으면, 해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5. 제 18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시 세면기 본체를 설치하는 카운터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에 가운데가 빈 모양의 중공부(中空部)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의 후면벽을 상기 카운터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와 상기 세정액 공급 장치 또는 상기 온수 공급 장치 혹은 상기 기체 공급 장치를 연결 통과하여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세정액 토출구 또는 상기 토수구 혹은 상기 기체 송풍구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6. 냉온수를 토출하는 토수구와 손에 부착된 오물이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물비누 등을 토출하는 세정액 토출구와 이 세정액 토출구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수단과 상기 토수구로부터의 토수 및 상기 세정액 토출구로부터의 세정액을 받는 물받이부와 이 물받이부의 하방부에 형성한 배수구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액 공급 수단은 세정액을 넣는 탱크와 이 탱크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구와 상기 탱크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연결하여 통과시키는 보급로와 상기 탱크 내의 세정액을 세정액 공급로를 통해 상기 세정액 토출구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하고, 상기 세정액 보급구는 상기 물받이부의 내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를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도록 하여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세정액 보급구는 상기 물받이부의 좌우측면의 어딘가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보급구는 상기 물받이부의 상단에서부터 바닥면까지 깊이의, 상단에서 약 1/3 깊이의 위치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는 그 후부를 상방으로 연장시켜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상기 토수구와 세정액 토출구를 배치함과 동시에, 그 앞부분에 손에 부착된 물방울 등을 불어 날리는 기체 송풍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손 건조 장치.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덮기 위한 뚜껑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뚜껑을 착탈 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 또는 뚜껑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와 상기 뚜껑의 외주면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 내에 삽입되어 계합(係合)하는 볼록부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면 또는 뚜껑의 외면에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볼록부가 통과하는 홈부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과 상기 뚜껑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상기 뚜껑을 장착할 때에 상기 뚜껑이 상기 세정액 보급구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측부에 상기 뚜껑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뚜껑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에 접합하는 내측 접합부와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외주면에 접합하는 외측 접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내측 접합부 및 외측 접합부의 일부를 잘라 없앤 절단부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면에 부세하는 압접부를 가지는 부세 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뚜껑을 탄성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을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장착할 때, 상기 뚜껑이 상기 물받이부의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단면시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뚜껑의 외주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외면에 상기 계합부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수단은 상기 뚜껑의 외주부 또는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주부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상기 자성체와 흡착하는 비자성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및 상기 비자성체를 상기 뚜껑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대칭 부위에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한 쪽에 형성한 부위보다도 다른 쪽의 부위를 안쪽으로 위치시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외측부에 상기 뚜껑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8. 제 30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39. 제 26 항 내지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덮기 위한 뚜껑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 뚜껑을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세정액 보급구와 뚜껑을 경첩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도록 구성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뚜껑이 손 앞쪽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뚜껑이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안쪽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자동으로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뚜껑의 하부에 중심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뚜껑이 연직 또는 상기 뚜껑의 하단부가 상기 물받이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시켜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상기 물받이부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자동으로 닫힘 상태가 되도록 상기 뚜껑의 하부에 중심을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뚜껑을 닫을 때, 상기 뚜껑이 연직 상태가 되도록 상기 세정액 보급구를 상기 물받이부에 배치하고, 상기 뚜껑의 하부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하부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른 쪽에 상기 자성체와 흡착하는 비자성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5.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뚜껑에 형성한 회전축과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형성한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과하는 삽입구멍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형성한 빠짐 방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6. 제 39 항 내지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부주의하게 열리지 않도록 걸림 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뚜껑 또는 세정액 보급구의 어느 한 쪽에 자성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다른 쪽으로 상기 자성체와 흡착하는 비자성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세정액 보급구에 계합부(係合部) 또는 피계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뚜껑에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계합부 또는 피계합부에 연결하는 피계합부 또는 계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49. 제 26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보급구의 내부에 먼지 등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여과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에 손잡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여과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를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51. 제 26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의 세정액의 상면이 소정의 액 위치에 달하는 것을 검출하는 액 위치 검출 수단을 형성하고, 이 액 위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액 위치에 달하는 것을 알리는 통지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52. 제 26 항 내지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보급구 내부에, 상기 세성액 보급구 내의 세정액이 대략 만수가 되었을 때의 부력으로 상승하는 플로트(float)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 장치.
KR1020027017783A 2000-06-27 2001-06-27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KR20030060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3122 2000-06-27
JPJP-P-2000-00193122 2000-06-27
JPJP-P-2000-00319378 2000-10-19
JP2000319378A JP2002119433A (ja) 2000-10-19 2000-10-19 手洗装置
JPJP-P-2001-00163812 2001-05-31
JP2001163812A JP2002078626A (ja) 2000-06-27 2001-05-31 手洗器及びそれを備えた手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070A true KR20030060070A (ko) 2003-07-12

Family

ID=2734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783A KR20030060070A (ko) 2000-06-27 2001-06-27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083546A1 (ko)
KR (1) KR20030060070A (ko)
CN (1) CN1525831A (ko)
AU (1) AU6782201A (ko)
TW (1) TWI221167B (ko)
WO (1) WO200200008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212A (ko) * 2005-02-24 2006-08-29 김대겸 전자동 세면대
KR200469572Y1 (ko) * 2012-01-30 2013-10-25 우동균 이원 센서가 구현된 사용자 지향적 세정장치
KR102267894B1 (ko) * 2020-03-05 2021-06-21 원동춘 종합 손 세정대
WO2021125692A1 (ko) * 2019-12-16 2021-06-24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7817A1 (de) * 2004-02-18 2005-09-08 Niro-Plan Ag Einbaumodul für eine Küchenarbeitsplatte
DE102008050894B4 (de) * 2008-09-25 2010-06-24 Hansgrohe Ag Waschbecken und Anordnung einer Sanitärarmatur an einem Waschbecken
US20120077166A1 (en) * 2010-09-28 2012-03-29 Dwayne Cyr Portable brushing station
CN103562468B (zh) * 2011-03-31 2016-10-26 卓越烘干机公司 带有整体水槽和消毒手部烘干机的洗手间清洗工作台
EP3125734A1 (en) * 2014-02-11 2017-02-08 Gojo Industries, Inc. Dispensing system with fluid level sensor
US20150376881A1 (en) * 2014-06-26 2015-12-31 David Moe Sink with undercounter hand drying apparatus
EP3298205B1 (en) * 2015-05-22 2019-06-19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Hospital sink and faucet
CN105011832B (zh) * 2015-08-02 2017-11-03 刘乐凝 一种洗手器
JP6819014B2 (ja) * 2016-01-18 2021-01-27 Toto株式会社 洗面化粧台
JP6813789B2 (ja) * 2016-01-18 2021-01-13 Toto株式会社 洗面化粧台
JP2017128862A (ja) * 2016-01-18 2017-07-27 Toto株式会社 洗面化粧台
JP6914478B2 (ja) * 2016-01-18 2021-08-04 Toto株式会社 洗面化粧台
CN107448661A (zh) * 2016-05-30 2017-12-08 梁颂轩 一种水龙头的控制方法
GB2551157A (en) * 2016-06-08 2017-12-13 Mechline Developments Ltd Basin
IT201600087924A1 (it) * 2016-08-29 2018-03-01 Marino Vidoni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detergente ed elemento di arredo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di erogazione
US10501356B2 (en) * 2016-11-21 2019-12-10 Franke Technology And Trademark Ltd Hospital ozone faucet
WO2018160894A1 (en) * 2017-03-02 2018-09-07 Kohler Co. Handwashing station
JP6490168B1 (ja) * 2017-09-12 2019-03-27 吉本産業株式会社 洗面器
CN108888152A (zh) * 2018-07-10 2018-11-27 江苏浙泰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专用液供应装置
CN109667317B (zh) * 2018-11-30 2020-10-16 永康市简零贸易有限公司 一种洗漱台
US11965321B2 (en) 2019-02-22 2024-04-23 Zurn Water, Llc Non-contact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luid flow
IT201900009594A1 (it) * 2019-06-20 2020-12-20 Fulvio Falini Sistema per lavare e asciugare le mani.
JP7369551B2 (ja) * 2019-06-27 2023-10-26 株式会社Lixil 洗面装置
JP7373312B2 (ja) * 2019-06-27 2023-11-02 株式会社Lixil 洗面装置
US11457736B2 (en) 2019-10-16 2022-10-04 Kohler Co. Vessel sink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US11311149B2 (en) * 2020-05-13 2022-04-26 Ermanno Mazzotti Autonomous hand-washing station for shop floor
USD941970S1 (en) 2020-08-05 2022-01-25 Kohler Co. Sink
JP1680320S (ko) * 2020-08-14 2021-03-01
US11560701B2 (en) * 2020-09-04 2023-01-24 Delta Faucet Company Conductive bonnet nut for an electronic fauc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6557A (ja) * 1988-02-23 1989-09-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嵌合型容器
JPH0623454B2 (ja) * 1989-05-24 1994-03-30 株式会社木村技研 便室内設置の指洗い器
JPH0531682U (ja) * 1991-10-09 1993-04-27 株式会社イナツクス 全自動洗面器の照明装置
JP3551472B2 (ja) * 1993-07-13 2004-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触媒
JPH10159145A (ja) * 1996-11-27 1998-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ンク装置
JP2000201241A (ja) * 1999-01-08 2000-07-18 Ricoh Co Ltd 原稿読み取り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212A (ko) * 2005-02-24 2006-08-29 김대겸 전자동 세면대
KR200469572Y1 (ko) * 2012-01-30 2013-10-25 우동균 이원 센서가 구현된 사용자 지향적 세정장치
WO2021125692A1 (ko) * 2019-12-16 2021-06-24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KR20210077070A (ko) * 2019-12-16 2021-06-25 강희찬 분수형 세면대
KR102267894B1 (ko) * 2020-03-05 2021-06-21 원동춘 종합 손 세정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5831A (zh) 2004-09-01
TWI221167B (en) 2004-09-21
WO2002000081A1 (fr) 2002-01-03
AU6782201A (en) 2002-01-08
US20040083546A1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0070A (ko)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WO2011092877A1 (ja) 便座洗浄装置
JP2003342993A (ja) 局部洗浄装置
KR101781848B1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JP2008202267A (ja) 温水洗浄装置
JP2017066639A (ja) 便器装置
JP2002078626A (ja) 手洗器及びそれを備えた手洗装置
KR101683151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3140480U (ja) 便座自動洗浄装置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CN110735275A (zh) 雾化装置和洗衣机
JP2009280979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210887Y1 (ko) 자동 세면장치
JP2002119433A (ja) 手洗装置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220099357A (ko) 보조 오물 배출 경로를 갖는 변기 시스템
JP2008202266A (ja) 温水洗浄装置
JPH05253094A (ja) 乾燥機能付き便座
JP7300100B2 (ja) 便座装置
JP4593771B2 (ja) 洗浄装置
JP2008095452A (ja) 便器
JP3589069B2 (ja) 暖房機能付き温水洗浄装置
JPH0239433Y2 (ko)
JP2008297889A (ja) 小便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