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848B1 -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 Google Patents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848B1
KR101781848B1 KR1020100107721A KR20100107721A KR101781848B1 KR 101781848 B1 KR101781848 B1 KR 101781848B1 KR 1020100107721 A KR1020100107721 A KR 1020100107721A KR 20100107721 A KR20100107721 A KR 20100107721A KR 101781848 B1 KR101781848 B1 KR 10178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main body
toilet
supply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871A (ko
Inventor
강기영
정창욱
황근배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8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워터(Micro Bubble Water)를 변기시트에 분사하여 변기시트의 세정 및 살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열풍을 통해 변기시트를 건조시키며, 자외선 살균부를 통해 변기시트를 추가 살균하는 변기 세척장치 및 상기 변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Washing Apparatus for Toilet and Toil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변기의 세척을 위한 관한 것이다. 종래 변기는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변기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변기시트가 오염될 경우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변기 사용자를 질병 감염의 위험에 노출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일부 변기의 경우 사용자는 일회용 변기시트 커버를 변기 사용 시 마다 변기시트에 씌워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회용 변기시트 커버를 변기 사용 시 마다 교체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소모품인 일회용 변기시트 커버가 소진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변기시트의 세척, 살균, 건조가 가능한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의성이 향상된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변기시트 방향으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분사홀로 미세기포(microbubble)가 포함된 세척수(microbubble water)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변기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미세기포가 포함된 세척수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나아가, 본 발명은 배수조 및 상기 배수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탱크가 구비된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되는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변기시트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분사홀로 미세기포(microbubble)가 포함된 세척수(microbubble water)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변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변기시트의 세척, 살균, 건조가 가능한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의성이 향상된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변기 세척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변기 세척장치 및 변기의 외부 구성을 살펴보면, 변기(3)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물탱크(31),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변기시트(33) 및 오물이 배출되는 배수조(35)를 포함한다.
한편, 변기 세척장치(1)는 상기 변기(3)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변기시트(33)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변기 세척장치(1)는 변기(3)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변기 세척장치를 변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독립적인 제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변기 세척장치가 후자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경우 사용자는 변기 세척장치만을 구입하여 변기(3)에 장착 가능하므로 변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변기를 구입하는 경우보다 비용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기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변기 세척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변기 세척장치(1)는 변기(3)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착탈부(11)와 상기 착탈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부(11)는 상기 본체(12)를 변기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변기 세척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탈부(11)가 상기 변기에 장착되기 위한 구조는 사용자가 변기 세척장치(1)를 변기에 착탈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의 구조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므로 변기와 착탈부의 구체적인 결합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12)는 상기 변기시트(33)가 수용되는 변기시트 수용부(121)와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를 덮는 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123)에는 사용자가 변기 내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윈도우(W)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를 통해 사용자는 후술할 변기시트의 세척, 건조, 살균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12)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125)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사홀(125)은 본체 내부에 구비된 유로부(13, 도 2 참고)와 연통하는 구성으로 상기 유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나 열풍이 상기 변기시트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본체(12)는 회전축(127)을 통해 착탈부(11)와 결합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본체(12)를 들어올리면 변기시트가 노출되고, 본체(12)를 닫으면 변기시트가 본체(1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변기에 접근하면 변기시트를 노출시키도록 회동하고,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변기에서 멀어지면 변기시트를 커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본체구동부(17), 사용자 감지센서(18a) 및 제어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구동부(17)는 제어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터(171)와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주동기어(173)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본체(12)의 회전축(127)에는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29)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감지센서(18a)는 제어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변기 세척장치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이 구비된 변기 세척장치의 경우, 상기 제어부(19)는 사용자 감지센서(18a)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모터(171)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기 때문에 본체(12)의 변기시트(33) 자동개폐가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9), 본체구동부(17) 및 사용자 감지센서(18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1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삭제
한편, 변기의 물탱크(31, 도 1참고)를 개방시키는 개방밸브(미도시)가 상기 제어부(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의 변기라면 상기 제어부(19)는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변기에서 멀어질 때 물탱크(31, 도 1참고) 내부의 물이 배수조(35, 도 1참고)로 유입되도록 물탱크의 개방밸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변기 세척장치 또는 이를 구비한 변기의 편의성 향상을 위함이다.
삭제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12)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수 공급부(1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14)는 본체(12)에 구비된 분사홀(125)과 연통하여 변기시트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세척수 공급부(14)는 단순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기포(microbubble)이 포함된 세척수(이하, 마이크로 버블 워터 Microbubble water)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미세기포는 직경이 10-200㎛의 기포로 특히 50㎛ 이하의 기포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기포는 수중에 있더라도 물의 표면으로 상승한 뒤 파열되지만 미세기포는 매우 느린 속도로 물의 표면으로 상승하므로 수압에 의해 수중에서 파열되며, 파열과정에서 초음파, 순간적인 고열, 프리 래디칼(free-radical, 유리기), 음이온 등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미세기포가 포함된 세척수인 마이크로 버블 워터는 미세공간에 잔류하는 노폐물이나 찌꺼기를 세척하는 세정효과 및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효과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세척수를 공급받아 미세기포(이하, 마이크로 버블)가 포함된 마이크로 버블 워터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는 현재 다양한 구조(Dissolved gas Type, Hydrodynamic Type 등)가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마이크로 버블의 효과를 변기시트의 세척에 활용하기 위해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세척수 공급부(14)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141),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43)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세척수 공급부(14)는 상기 변기시트에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 워터에 세제를 추가로 공급하는 세제탱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탱크(145)는 상기 세제공급관(147)을 통해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14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에서 배출되는 마이크로 버블 워터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도 2 'A'참고).
이 경우,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상기 세제공급관(147)의 개폐를 위한 밸브(V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세제탱크(145)를 본체(12)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탱크수용부(14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141)와 연통하는 분사홀(125)은 본체(12)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와 다수의 분사홀을 연통시키는 유로부(13)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유로부(13)는 상기 변기시트(33) 뿐만 아니라 커버(123)나 윈도우(W)에도 마이크로 버블 워터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N, B-B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N)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부(13)에서 분지된 2개의 유로가 밸브(V2)를 통해 개폐 가능한 형태(B-B참고)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개시된 노즐의 구조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유로부에서 공급되는 마이크로 버블 워터를 커버(123)나 윈도우(W)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즐은 유로부(13)의 말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 워터의 분사각을 변경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로부에 노즐이 구비되는 특징은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가 변기시트 세척뿐만 아니라 변기의 사용 중 변기 세척장치가 오염될 경우 자가 세척(self-clean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상기 착탈부(11)에 구비된 입력부(111, 도 1참고)를 통해 "자가세척코스"를 선택할 수 있고, 자가세척코스가 선택되면 제어부(19)는 유로부(13) 말단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커버(123)나 윈도우(W)에 잔류하는 오물을 세척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마이크로 버블 워터를 변기시트에 분사한 뒤 변기시트의 건조를 위한 열풍공급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15)는 본체(12) 외부 및 상기 분사홀(125)과 연통하는 챔버(151), 상기 챔버로 유입된 본체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변기시트로 송풍하는 히터(155) 및 팬(1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공급부(15)의 챔버(151)는 상기 유로부(13)에 독립적인 별도의 유로를 통해 분사홀(125)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부(13)에 연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마이크로 버블 워터의 공급을 위해 구비된 유로부(13)를 열풍공급유로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다만,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141)로 열풍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열풍공급부(15)로 마이크로 버블 워터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차폐 수단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열풍공급부에 더해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변기시트를 살균하는 살균부(16, 도 1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3)의 윈도우(W)주변에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살균부(16)의 형태는 일례에 불과할 뿐이므로 자외선을 변기시트로 조사할 수 있는 한 본체(12) 내부 어떤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본체(12)가 변기시트를 덮고 있는 경우에만 마이크로 버블 워터나 열풍이 분사될 수 있도록 본체(12)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변기 세척장치는 본체(12)의 위치를 제어부(19)가 판단할 수 있는 신호를 제공하는 위치감지센서(1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위치감지센서(18b)는 도 2와 같이 착탈부(11)에 단독으로 구비되어 본체(12)가 변기시트를 노출시키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변기시트 수용부(121)가 변기의 배수조(35) 상단과 접촉하는 부위에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11) 및 배수조(35) 상단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본체(12)가 변기시트(33)를 덮고 있는 경우에만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나 열풍공급부(15)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본체(12)가 변기시트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마이크로 버블 워터나 열풍이 공급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변기 세척장치: 1 착탈부: 11 본체: 12
변기시트 수용부: 121 커버: 123 분사홀: 125
회전축: 127 유로부: 13 세척수 공급부: 14
열풍공급부: 15 살균부: 16 본체구동부: 17
사용자 감지센서: 18a 위치감지센서: 18b 제어부: 19
변기: 3 물탱크: 31 변기시트: 33

Claims (15)

  1. 변기시트가 구비된 변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변기시트 방향으로 유체가 분사되는 분사홀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분사홀로 미세기포(microbubble)가 포함된 세척수(microbubble water)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변기시트를 수용하는 변기시트 수용부;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변기 내부를 확인 가능한 윈도우;
    상기 분사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변기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변기시트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은 상기 변기시트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분사홀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연결되고 상기 커버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미세기포가 포함된 세척수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미세기포가 포함된 세척수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외부공기 및 상기 분사홀과 연통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분사홀 방향으로 송풍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윈도우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미세기포가 포함된 세척수를 상기 변기시트 또는 상기 커버에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본체구동부;
    상기 본체구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상기 본체에 접근하면 상기 변기시트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지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본체에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본체가 상기 변기시트를 수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척장치.
  12. 배수조 및 상기 배수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탱크가 구비된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변기시트;
    상기 변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부;
    상기 착탈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며, 상기 변기시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변기시트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홀이 구비된 세척장치 본체;
    상기 세척장치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분사홀로 미세기포(microbubble)가 포함된 세척수(microbubble water)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 본체는
    상기 변기시트를 수용하는 변기시트 수용부;
    상기 변기시트의 상부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변기 내부를 확인 가능한 윈도우;
    상기 분사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변기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변기시트를 살균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홀은 상기 변기시트 수용부의 내주면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분사홀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연결되고 상기 커버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센서;
    상기 세척장치 본체를 회동시키는 본체구동부;
    상기 본체구동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상기 세척장치 본체에 접근하면 상기 변기시트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척장치 본체를 회동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세척장치 본체에서 멀어지면 상기 변기시트가 상기 세척장치 본체에 수용되도록 상기 세척장치 본체를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 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장치 본체가 상기 변기시트를 수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세척수 공급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변기본체에서 멀어지면 상기 배수조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되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조로 공급되도록 상기 변기본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KR1020100107721A 2010-11-01 2010-11-01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KR10178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721A KR101781848B1 (ko) 2010-11-01 2010-11-01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721A KR101781848B1 (ko) 2010-11-01 2010-11-01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71A KR20120045871A (ko) 2012-05-09
KR101781848B1 true KR101781848B1 (ko) 2017-09-26

Family

ID=4626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721A KR101781848B1 (ko) 2010-11-01 2010-11-01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877B1 (ko) * 2023-12-26 2024-05-22 권동환 좌변기의 위생용 물때 및 곰팡이 발생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209A (ko) 2015-03-27 2016-10-07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기능을 갖는 비데 및 변좌시트 살균 방법
KR102466767B1 (ko) 2015-04-07 2022-11-16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CN108894296B (zh) * 2018-08-10 2021-04-27 上海行恒科技有限公司 防溅微纳米气泡马桶配件装置
CN110179383A (zh) * 2019-06-14 2019-08-30 上海特力洁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消毒马桶盖
KR102341017B1 (ko) * 2020-02-06 2021-12-20 주식회사 로그 변기 시트 자동 세척 장치
KR102339402B1 (ko) * 2020-07-30 2021-12-13 박완재 분사형 변기 소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7188A (ja) * 2005-10-11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100721784B1 (ko) * 2002-02-19 2007-05-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데 장치
KR200444927Y1 (ko) * 2007-11-08 2009-06-17 강서익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84B1 (ko) * 2002-02-19 2007-05-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데 장치
JP2007107188A (ja) * 2005-10-11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444927Y1 (ko) * 2007-11-08 2009-06-17 강서익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877B1 (ko) * 2023-12-26 2024-05-22 권동환 좌변기의 위생용 물때 및 곰팡이 발생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71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848B1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TWI473927B (zh) Sanitary cleaning device
JP6699382B2 (ja) 温水洗浄便座装置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JP2013234539A (ja) 衛生洗浄装置
JP2016205125A (ja) トイレ設備
KR200444927Y1 (ko) 살균 장치를 구비한 비데
JP6653690B2 (ja) 医療・介護用容器の洗浄装置及び処理装置
JP2008202267A (ja) 温水洗浄装置
JP4882858B2 (ja) 衛生洗浄装置
JP4452589B2 (ja) 便座装置
JP5903655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8038475A (ja) 局部洗浄装置
JP7346896B2 (ja) 便座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JP2009189453A (ja) 浴室殺菌ユニット及び浴室の殺菌方法
KR200464137Y1 (ko)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KR102096836B1 (ko) 토일렛 장치 및 변좌 장치
KR20100027550A (ko) 좌변기용 비데의 변기 세척장치
JP2022056929A (ja) 便器装置
JP7236053B2 (ja) 便座装置
JP7212860B2 (ja) 便座装置
JP2005226253A (ja) 温水洗浄装置
KR20130096570A (ko) 양변기
JP7300100B2 (ja) 便座装置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