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784B1 - 비데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784B1
KR100721784B1 KR1020047012767A KR20047012767A KR100721784B1 KR 100721784 B1 KR100721784 B1 KR 100721784B1 KR 1020047012767 A KR1020047012767 A KR 1020047012767A KR 20047012767 A KR20047012767 A KR 20047012767A KR 100721784 B1 KR100721784 B1 KR 10072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lid
main body
bid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523A (ko
Inventor
미츠오 타카이
토미오 아리카와
료이치 코가
히로아키 후지
마코토 니시무라
야스히로 카와모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41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4420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509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4522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697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653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28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65540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3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Abstract

본 발명의 비데 장치는, 변기(2) 위에 설치하며, 비데의 기능부(3)를 내장한 본체(1)와, 본체(1)와 이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변좌(5)와 변기(2)를 덮는 변기 뚜껑(6)을 구비하며, 변기 뚜껑(6)은 닫았을 때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열었을 때 본체(1)의 상면 및 변좌(5)의 상면을 개방하는 것으로서, 변기 뚜껑(6)은 본체, 변좌(5)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변기 뚜껑(6)의 상면 등의 먼지를 닦아내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변좌(5) 및 본체(1)를 덮는 변기 뚜껑(6)에 광투과부(108)를 설치하여,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본체(1)의 전방 상부에 있는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비데, 변기, 변기 뚜겅

Description

비데 장치{Toilet device}
본 발명은, 변기 위에 설치하여 용변 후의 인체의 국부를 온수로 세정, 그리고 건조, 탈취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비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의 비데 장치는, 도 25 내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본체(51)는, 용변 후의 인체의 국부를 온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국부 세정 장치, 세정 후의 국부에 온풍을 쐬어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 변기(52) 내의 냄새를 흡착하는 탈취 장치 등의 비데 기능부(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한 것으로, 변기(52)의 후단부 상에 가로로 길게 설치하고 있다. 변좌(53)는 변기(52) 위에 얹어지고, 변기 뚜껑(54)은, 변좌(53)와 변기(52)를 개폐하는 것으로, 변기 뚜껑(54)과 변좌(53)는, 본체(51) 바로 앞에서 본체(51)와 동일면상으로 병설하여 본체(51)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변기 뚜껑(54)은, 본체(51)의 바로 앞에서 회동 가능하게 본체(51)에 설치하고 있는 구성상, 닫았을 때 일반적으로 도 26과 같이 본체(51) 사이에 오목(凹) 형상의 틈새(55)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56은 상기 비데 기능부를 동작시키는 조작부이다.
일반적으로 비데 장치는, 용변시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뚜껑(54) 을 열고, 용변 후에 닫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통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뚜껑(54)을 닫고 있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공간이 좁은 화장실에서는, 용변을 볼 때마다 몸에 걸치고 있는 의복의 올리고 내림, 화장지의 사용 행위 등에 의해 먼지가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곳이며, 한편으로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해야만 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한편, 이 비데 장치는 닫힌 변기 뚜껑(54), 본체(51)의 각 상면에 먼지가 쌓일 뿐만 아니라, 변기 뚜껑(54)과 본체(51) 사이의 틈새(55)에 먼지가 끼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닫힌 변기 뚜껑(54), 본체(51)의 각 상면에 쌓인 먼지는, 변기 뚜껑(54)의 상면이 거의 평평하기 때문에, 또한 본체(51)의 상면도 언덕 형상의 다소 요철(凹凸)이 있긴 해도 비교적 간단하게 닦아 낼 수 있었다. 그러나, 변기 뚜껑(54)과 본체(51) 사이의 틈새(55)에 낀 먼지는, 변기 뚜껑(54), 본체(51)의 각 상면과 같이 간단하게는 닦아 낼 수가 없어, 틈새(55)에 헝겊 등의 걸레를 막대기 등으로 끼워 넣어 닦아내야만 했으며, 또 청소하는 간격이 길어지면 먼지가 많이 쌓여 닦아내는데 더 많은 수고가 들어, 청소하기가 상당히 번거로움과 동시에, 일단 청소를 게을리 하면 비위생적으로 되기 쉬운 구성이었다.
또한, 본체(51) 내의 비데 기능부인 국부 세정 장치는, 물을 데우는 온수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하고 있는 비사용시에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기로부터의 방열이 본체(51)를 통하여 수행되어 쓸데없이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었다. 물론, 방열을 억제하고자 하면 일반적으로는 단열재로 단열 구조를 채용하게 되는 데, 그만큼 설계 및 비용 상에서 부담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
변기 상에 얹어 고정하며 비데의 기능부를 내장한 본체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변좌 및 변기 뚜껑을 가지며, 변기 뚜껑은 닫았을 때에는 본체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상면 및 변좌의 상면을 덮음과 동시에, 열었을 때에는 본체의 상면 및 변좌의 상면을 개방하여 이루어지는 비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 및 본체의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았을 때의 개략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열었을 때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상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상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상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상면도.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 및 본체를 잘라내어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서의 비데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투시 상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와 변기의 사시도.
도 25는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의 변기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27은 종래의 비데 장치에서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변기
3 기능부 5 변좌
6 변기 뚜껑 6a 측부
6b 후단부 8 철(凸)부
11 장착부 12 수신부
13 조작부 14 표시부
46c 변기 뚜껑의 일부 105 표시부
108 광투과부 111 표시 소자
114 차광 수단 210 회동축
211 광투과부 214 발광 수단
215 인체 검지 수단 216 착좌 검지 수단
303a, 303b 광투과부 304 표시부(광전식 기기)
305 인체 검지 센서(광전식 기기)
306 변기 307 사용자
308 리모콘 수광 센서(광전식 기기)
309 착좌 검지 센서(광전식 기기)
이하, 본 발명의 비데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 및 본체의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체(1)는, 변기(2)의 후단부 상에 가로로 길게 배치하여 설치되며, 외곽을 구성하는 밑판 기판(1a)과 위에서 씌운 케이스(1b) 내부에, 비데의 기능부(3)를 내장하고 있다. 비데의 기능부(3)는 주지 사실인 용변 후의 인체의 국부에 데운 온수를 노즐(4)로 분사하여 씻는 국부 세정 장치, 세정 후의 국부에 온풍을 쐬어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 변기(2) 내로부터의 냄새를 공기와 함께 흡인, 흡착하여, 청정화된 공기만을 화장실로 배기하는 탈취 장치(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이다.
변좌(5)는, 변기(2) 위에 얹혀지고, 후부 양단을 본체(1)에 축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회동을 위하여 본체(1)와의 사이에 틈새(A)를 확보하고 있다. 변기 뚜껑(6)은, 본체(1) 및 틈새(A)와 변좌(5) 및 변기(2)를 덮고, 후부 양단을 본체(1)에 축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닫았을 때(도 1에 도시)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과 틈새(A) 및 변기(2)의 위쪽을 덮으며, 열었을 때(도 2에 도시)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과 틈새(A) 및 변기(2)의 위쪽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은, 본체(1)의 좌우측면을 덮는 측부(6a)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측부(6a)를 이용하여 변기 뚜껑 개폐용의 회동축(7)을 설치하여 본체(1)의 좌우측면에 회동축(7)을 축 지지하고 있다. 측부(6a)는, 본체(1)가 내장하는 국부 세정 장치에서 물을 데우는 온수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비사용시인 변기 뚜껑(6)의 닫힘에 의해 온수의 방열을 억제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기 위하여, 본체(1)의 상면을 덮는 변기 뚜껑(6)의 상면과 함께, 본체(1)의 좌우측면을 덮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변좌(5) 전체를 덮어, 변좌(5)가 난방되고 있는 경우 그 보온 효과를 높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볼록(凸)부(8)는, 본체(1)의 후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설치하여, 변기 뚜껑(6)이 90도 이상 열렸을 때 변기 뚜껑(6)의 후단부(6b)의 단면을 당접시켜 변기 뚜껑(6)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스토퍼(도 2, 도 3에 도시)이다. 또한, 변기 뚜껑(6)의 후단부(6b)는, 변기 뚜껑(6)이 열렸을 때에 본체(1)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본체(1)의 후면을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배기구(도 3에 도시)(9)는, 본체(1)의 후면과 볼록(凸)부(8)에 걸쳐 개구되어 있는 것으로, 비데의 기능부(3)의 하나인 냄새를 흡수하여 청정 공기를 배출하는 탈취 장치의 배기를 수행하는 것이며, 열린 변기 뚜껑(6)의 후단부(6b)에 의해 커버되어, 본체 뒤쪽에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로우 탱크(10)가 배치되어 있는 형태에서, 손을 씻을 때 용변자가 잘못하여 흘린 물이 직접적으로 배기구(9)로 들어가는 위험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장착부(11)는, 본체(1)의 측부에 바깥쪽으로 내어 달아 설치한 것으로, 이 장착부(11)에 비데 기능부(3)의 각각을 원격 조작하는 리모콘(도시하지 않음)에서 발사하는 적외선 등의 조작 신호를 받는 수단인 수광 유닛 등의 수신부(12), 수동용 버튼식 등의 수단인 조작부(13), 그리고 기능부(3)의 동작, 통전, 온도 등을 LED 등으로 나타내는 수단인 표시부(14)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11)는, 본체(1)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각각 설치되어 있는 수신부(12)는 조작 신호를 받을 수 있고, 조작부(13)는 수동 조작할 수 있으며, 표시부(14)는 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비데 장치는, 비사용시에 일반적으로 변기 뚜껑(6)을 도 1과 같이 닫아 본체(1), 틈새(A), 변좌(5), 변기(2)를 덮고 있다. 그리고, 용변을 위하여 화장실에 들어갔을 때 용변자가 변기 뚜껑(6)을 도 2와 같이 여는 것이다. 그리고, 변좌(5)에 착좌하여 용변을 본 후의 기능부(3)의 조작은, 화장실의 벽 등에 설치한 리모콘을 조작하여 신호를 발신하고, 장착부(11)의 수신부(12)가 신호 를 수신함으로써 수행되며, 또한 국부 세정 장치, 건조 장치 등이 동작한다. 그 후에는 변기 뚜껑(6)을 도 1과 같이 닫는다.
이렇게 제 1 실시예에서는, 변기 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변좌(5)는 물론, 틈새(A), 본체(1)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상면도 덮고 있어, 본체(1), 틈새(A), 변좌(5)는 커버되어 바깥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먼지가 쌓이는 변기 뚜껑(6) 및 장착부(11), 변기(2)의 외면을 닦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한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상 용이하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어야만 하는 이 종류의 비데 장치로서는 매우 유익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변기 뚜껑(6)은 평탄하기 때문에, 한층 닦아내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 우수한 디자인을 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변기 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변기 뚜껑(6)의 상면으로 본체(1)의 상면을, 변기 뚜껑(6)의 측부(6a)로 본체(1)의 좌우측면을 각각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 내의 기능부(3)의 하나인 국부 세정 장치에 있어 물을 데우는 온수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비사용시인 변기 뚜껑(6)의 닫힘에 의해 온수의 방열, 또한 변좌(5)의 전체를 덮기 때문에, 변좌(5)가 난방되고 있는 경우 그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의 측부(6a)는, 변기 뚜껑(6)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축(7)을 장착하는 개소에도 겸용할 수 있어 특별한 설치 개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용변을 위해 변기 뚜껑(6)을 도 2와 같이 열면 변기 뚜껑(6)의 후단부(6b)가 후방으로 돌아 들어가 도 3과 같이 본체(1)의 상면 후 부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탈취 장치의 배기구(9)를 후측으로부터 커버하기 때문에, 용변 후에 착좌하고 있던 용변자가 변좌(5)에서 일어나 뒤쪽에 있는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로우 탱크(10)에서 손을 씻었을 때, 잘못 흘린 물이 직접적으로 배기구(9)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은, 이 때에 후단부(6b)의 단면이 볼록(凸)부(8)에 닿아 지지되어 그 이상 열리지 않게 됨과 동시에, 볼록(凸)부(8)를 이용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하는 이외에 배기구(9)를 설치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어 구조의 간소화에 도움이 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본체(1)의 측부로부터 내어 단 장착부(11)에 수신부(12), 조작부(13), 표시부(14)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항상 밖으로 드러나 있으며, 따라서 기능부(3)의 조작 신호가 적외선이고 여러 방향에서 들어와도 수신부(12)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13)는, 설치 공사 후의 기능부(3)의 동작 확인 조작에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변기 뚜껑(6)이 닫혀 있기 때문에, 국부 세정 장치의 노즐(4)로부터 변기 내의 위쪽으로 분출하는 온수가 닫혀 있는 변기 뚜껑(6)에 닿아 주위로 흩뿌려지는 것을 막아 상당히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도 변기 뚜껑(6)의 개폐에 영향 받지 않으며, 항상 통전 및 기능부(3)의 동작의 표시가 보여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로서의 볼록(凸)부(8)가 변기 뚜껑(6)의 후단부(6b)의 단면과 접하게 하고 있는데, 단면이 아니라 후단부(6b)를 당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은 본체(1)의 후면도 덮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본체의 측부로부터 내어 단 장착부도 본체의 상면을 덮는 변기 뚜껑으로 덮도록 구성한 것이 실시예 1과 다르며, 그 이외의 동일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변기 뚜껑(6)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닫았을 때(도 4에 도시)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과 틈새(A) 및 변기(2)의 위쪽을 덮고, 열었을 때(도 2에 도시)에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과 틈새(A) 및 변기(2)의 위쪽을 개방함과 동시에, 본체(1)의 좌우측면을 덮는 측부(6a)를 설치하고, 또한 장착부(11)의 상면 전체를 덮도록 변기 뚜껑(6)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설치한 일부(46c)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변기 뚜껑(6)의 일부(46c)는, 수신부(12), 조작부(13), 표시부(14)의 위쪽을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비데 장치의 비사용시에는 도 4와 같이 변기 뚜껑(6)이 닫혀 있기 때문에, 본체(1), 변좌(5)의 상면 전체, 그리고 변기(2) 및 틈새(A)의 위쪽이 덮여지고, 또한 장착부(11)의 상면도 변기 뚜껑(6)의 일부(46c)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변기 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변좌(5)는 물론, 틈새(A), 본체(1)의 상면도 덮고 있기 때문에, 본체(1), 틈새(A), 변좌(5)는 커버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먼지가 쌓이는 변기 뚜껑(6) 및 변기(2)의 외면을 닦기만 하면 되므로, 아주 간단한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상 용이하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어야만 하는 이 종류의 비데 장치로서 매우 유익하다.
특히, 제 2 실시예에서는, 장착부(11)의 상면도 변기 뚜껑(6)의 일부(46c)에 의해 커버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변기 뚜껑(6)의 상면 전체를 닦을 때 일부(46c)의 상면도 닦아 냄으로써 변기 뚜껑(6) 전체를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46c)는 변기 뚜껑(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변시에 변기 뚜껑(6)을 여는 것만으로 일부(46c)도 동시에 열려, 따로 일부(46c)를 개폐하는 구성에 비하여 매우 편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비데 장치는, 변기 뚜껑을 닦는 청소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청소가 상당히 쉬워짐과 동시에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어야만 하는 이 종류의 장치로서 매우 유익하다.
(실시예 3)
도 5A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닫았을 때의 개략 구성도, 도 5B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열었을 때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6은 제 3 실시예의 비데 장치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6에 있어서, 변좌(5), 변기 뚜껑(6)은 함께 비데 장치 본체(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변기 뚜껑(6)은, 닫았을 때 본체(1) 및 변좌(5)의 거의 전역과 중합하며, 동시에, 닫힌 상태에서 본체(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광투과부(108)를 갖는다. 또한, 변기(2)의 조작부(104)는 비데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데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변기 뚜껑(6)은 닫은 상태로 해 두며, 그렇게 하면 비데 장치의 위쪽에는 틈새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산뜻할 뿐만 아니라, 가동부의 틈새 등에 먼지나 티끌이 들어가는 일도 없으며, 닦을 때에도 평평한 변기 뚜껑(6)의 표면을 닦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한편, 변기 뚜껑(6)은, 광투과부(108)를 갖기 때문에,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본체(1)의 전방 상부에 구비한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시부(105)에 표시하는 내용으로는, 전원의 온/오프를 나타내는 파일럿 램프나, 고장 상태를 나타내는 에러 표시, 절전 모드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표시가 있으며, 모두 사람이 화장실에 들어간 직후에 확인이 필요한 항목으로, 변기 뚜껑(6)의 개폐 동작 없이 표시부(105)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사람의 동작 피로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상 상태일 때 재빨리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 표시부(105) 그 자체를 본체(1)의 측면이나, 도면에 나타내는 조작부(104) 부근에 구비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변기 뚜껑(6)의 개폐 동작 없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비데 장치 정면에서는 보기 힘들기 때문에,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비데 장치의 측방으로 돌아 들어갈 필요가 있어 오히려 불편해지므로 과제의 해결은 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부(105)의 설치 장소의 자유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표시부(105)를 비데 장치의 리모콘 장치에 설치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비데 장치의 각종 동작 상태 정보를 리모콘 장치로 전달할 필요가 있어, 이것은 통상의 리모콘 장치의 통신 방향, 즉 리모콘 장치로부터 비데 장치로의 정보 송신이라는 통신 방향과는 역으로 되기 때문에, 별도로 비데 장치 본체로부터 리모콘 장치로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이 필요하게 되어, 복잡화, 비용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변기 뚜껑(6)의 중앙부가 광투과부(108)로 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광투과부(108)는, 변기 뚜껑(6)의 거의 전역이라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변기 뚜껑(6) 전체가 광투과 부재로 되어 있어도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들 광투과부(108)를 변기 뚜껑(6)의 중앙부에 넓게 설치하면,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변기(2) 안이 보여, 변기 물을 내렸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부(108)는 무색 투명하여도 좋지만, 유색의 투명이나 반투명이면 의장성이 높아진다.
(실시예 4)
도 7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7에서, 도 6과 다른 점은, 광투과부(108)를 표시부(105)에 대응하는 장소만으로 하여, 변기 뚜껑(6)에 대하여 작게 설치한 점이다.
다음으로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데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변기 뚜껑(6)은 닫은 상태로 해 두며, 그렇게 하면 비데 장치의 위쪽에는 틈새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산뜻할 뿐만 아니라, 가동부의 틈새 등에 먼지나 티끌이 들어가는 일도 없으며, 닦을 때에도 평평한 변기 뚜껑(6)의 표면을 닦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또한, 변기 뚜껑(6)은 대부분이 광을 투과하지 않기 때문에 변 기 안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다.
한편,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광투과부(108)를 통하여 본체(1)의 전방 상부에 구비한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8A, 도 8B는, 제 5 실시예의 비데 장치의 개략 구성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도 8B에 있어서, 광투과부(108)는, 변기 뚜껑(6)에 설치되며, 본체(1)의 전방 상부에 설치한 표시부(105)에 대하여 비데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의 8B-8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투과부(108)는, 표시부(105)에 대하여 비데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시점(視點)(110)이 비데 장치의 바로 위라도 대각선 전방이라도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출입구가 비데 장치에 대하여 정면 전방에 있기 때문에, 사람이 화장실에 들어온 직후에는, 표시부(105)를 대각선 전방에서 눈으로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재빨리 표시부(105)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9 및 도 10은, 제 6 실시예의 비데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 7과 다른 점은, 표시부(105)를 복수개 설치한 점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광투과부(108)도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105)로서 표시 소자(111)를 복수개 설치하면 복수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광투과부(108)는, 복수 의 표시 소자(111)를 전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기로 하면, 부품수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투과부(108)를 복수 설치한 표시 소자(111)의 각각에 대향하는 장소에 복수개 설치하면, 옆에 있는 표시 소자와의 간섭이 없어 확실하게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 소자가 LED 등의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빛의 누출로 인한 인식성의 저하가 과제가 되는데, 이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확실하게 광의 누출을 막기 위해서는 표시 소자 사이에 차광판을 설치하면 좋다. 또한, 발광 소자에 의한 표시는 색을 달리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으며(예를 들면, 이상 알림 표시는 적색), 종래에는 복수색의 발광 소자를 이용하고 있었는데, 각각의 광투과부(108)의 색을 바꿈으로써 발광 소자는 공통색(예를 들면 백색)을 이용할 수 있어 부품 종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소자(111)가 발광 소자인 경우에 광투과부(108)의 색을 바꾼다고 설명하였으나, 발광 소자가 아닌 표시부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실시예 7)
도 11A, 도 11B 및 도 12는, 제 7 실시예의 비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A, 도 11B에서, 비데 장치 본체(1)는, 전방 상부에 표시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 뚜껑(6)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닫았을 때 본체(1)와 중합하고, 표시부(105)에 대향하는 장소에 구멍(112)이 뚫려 있다. 구멍(112)에는 광투과 부재(113)가 중합하고 있으며, 광투과부(108)가 형성되어 있 다.
다음으로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기 뚜껑(6)에 있어서, 본체(1)에 설치한 표시부(105)에 대향하는 장소에 구멍(112)이 뚫려 있기 때문에,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변기 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도 표시부(105)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구멍(112)이 뚫린 채로는 물 등이 아래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광투과 부재(113)를 중합해 두면 물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05)는, 전기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고장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에 구멍이 없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강도도 저하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변기 뚜껑(6)과 광투과 부재(113)와의 중합 방법으로는, 변기 뚜껑(6)과 광투과 부재(113)의 끼워맞춤, 접착, 초음파나 진동 등을 이용한 열용착이라는 두 개의 피스를 합체시키는 방법이라도 좋으며, 변기 뚜껑(6) 혹은 광투과 부재(113)의 한 쪽을 미리 성형하고, 다른 한 쪽을 성형할 때 미리 성형한 부재를 금형 내에 세트한 후에 성형을 수행하여 중합하는 삽입 성형이라는 방법이라도 좋다. 어느 방법이라도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투과 부재(113)를 변기 뚜껑(6)에 설치한 구멍(112)보다도 크게 하면, 구멍(112)과 광투과 부재(113)의 형상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중합시 위치의 어긋남을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없어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 부재(113)는, 심플한 형상(예를 들면 직사각형, 원형)이라도, 구멍(112)을 복잡한 형상(예를 들면 별 모양)으로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저가로 의장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의장성이라는 측면에서는, 광투과 부재(113)를 크게 하면 변기 뚜껑(6)의 표면에 차지하는 투명 부재의 면적이 증가하여, 산뜻한 인상의 변기 뚜껑을 만들 수 있다. 광투과 부재(113)에 이용하는 투명부재는 무색 투명하여도 좋고, 반투명, 유색 투명이어도 좋다. 특히 유색 투명의 경우에는, 변기 뚜껑(6)의 색에 따라서는 색의 중첩에 의해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 계열의 변기 뚜껑에 녹색 계열의 투명 부재를 중첩하면, 변기 뚜껑의 베이스 색은 적색, 구멍을 통하여 보이는 표시부는 녹색, 변기 뚜껑과 투명 부재의 중합 부분은 진한 색이라는 3색 구성이 된다. 물론 색의 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한의 조합이 가능하다.
도 12에 있어서, 변기 뚜껑(6)은,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광투과가 필요한 부분을 남기고 차광 수단(114)(예를 들면 착색)을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별도 부재와의 조합이 아니라 변기 뚜껑을 구성하는 투명 부재와 착색의 조합이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변기 뚜껑의 이면(변기 뚜껑을 닫았을 때에 아랫면이 되는 쪽)에 착색을 실시하면 투명 광택의 하지에 다른 색이 부여된 상태가 되어, 의장성, 고급감이 상당히 증가한다. 색의 조합으로는, 무색 투명하게 착색하여도 좋고, 유색 투명과 착색의 색의 중첩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착색은 완전한 차광성 착색이면 변기 안은 전혀 보이지 않게 되고, 일부 광투과성을 갖는 차광 수단으로서 반투명이나 유화색이 되도록 하면, 어렴풋이 변기 내의 수조부가 보여 청량감을 준다. 금속 광택이 있는 착색을 실시하면 거울처럼 된다. 한편, 차광 수단(114)으로는, 차광판의 중합 성형, 차광 피막을 접합, 차광 도료를 도포, 차광 필름을 전사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면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광투과 부재의 이면에 착색 등의 차광 수단을 실시하는 방법을 도 11B의 광투과 부재(113)에 이용하여도 동일한 미관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비데 장치에 따르면, 변기 뚜껑이 변좌 및 비데 장치 본체를 덮어 가동부나 틈새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도 좋고 먼지 등이 끼는 일이 없으며 청소도 하기 쉬워 위생적이다. 그러면서,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도 광투과부를 통하여 본체 상부에 설치한 표시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3은,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 및 본체를 잘라 내어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6은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비데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도이며, 도 18은 비데 장치의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투시 상면도이다.
본체(1)는, 변기(2)의 후단부 상에 가로로 길게 배치하여 설치되고, 외곽을 구성하는 밑판(1a)과 위에서 씌운 케이스(1b)의 내부에, 비데 기능부인 용변 후 인체의 국부에 데운 온수를 세정 노즐(203)로 분사하여 씻는 인체 국부 세정 장치(204), 온수를 데우는 온수 가열 장치(205), 세정 후의 인체 국부에 온풍을 쐬어 건조시키는 건조 장치(206), 변기(2) 내로부터의 냄새를 공기와 함께 흡인, 흡 착하여 청정화된 공기만을 화장실로 배기하는 탈취 장치(207)를 내장하고 있다.
변좌(5)는, 변기(2) 위에 얹어지며, 후부 양단을 본체(1)에 축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회동을 위하여 본체(1)와의 사이에 틈새(A)를 확보하고 있다. 변기 뚜껑(6)은, 본체(1) 및 틈새(A)와 변좌(5) 및 변기(2)를 덮고, 후부 양단을 본체(1) 외측면의 회동축(210)에 축 지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닫았을 때(도 13에 도시)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과 틈새(A) 및 변기(2)의 위쪽을 덮고, 열었을 때(도 15에 도시) 본체(1) 및 변좌(5)의 상면과 틈새(A) 및 변기(2)의 위쪽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은 상태에서, 변기(2) 내, 본체(1)의 일부인 전측 중앙부가 화장실 안에 들어간 용변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광투과부(211)를 거의 중앙부에 설치하고 있다. 광투과부(211)는, 투명한 합성 수지 재료, 또는 인가 전압에 의해 광투과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액정 시트로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표시부(212)는, 닫은 상태의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화장실 안에 들어온 용변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본체(1)의 전부 상면 중앙에 병설한 것으로, 온수 가열 장치(205), 변좌(5)의 난방 수단(213), 탈취 장치(207) 등의 통전 상태 등을 표시하는 것이다.
발광 수단(214)은, 변기 뚜껑(6)으로 닫혀 있을 때의 변기(2) 안을 조명하여, 변기(2) 내의 오염이나 오물의 배출 상황이 용변자에게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여지고, 타부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회동축(210)의 근방에서 본체(1) 내에 설치하며, 동시에 밑판(1a)의 변기(2) 내에 당면하는 부분의 개구 또는 케이스(1b)와의 틈새(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변기(2) 내로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인체 검지 수단(215)은, 닫은 상태의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화장실 안으로 들어온 용변자를 검출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전면 중앙에 설치한 것으로, 화장실에 들어온 용변자를 직접 또는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검출했을 때 발광 수단(214)을 점등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탈취 장치(207)의 동작을 개시시키는 신호도 출력한다.
착좌 검지 수단(216)은, 변좌(5) 등에 설치하여, 변좌(5)에 용변자가 착좌한 것을 검출하면 지금까지 점등되어 있던 발광 수단(214)을 소등시키는 신호를 출력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체 제어부(217)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그 주변 회로로 이루어지며, 본체(1) 내에 있고, 원격 조작기인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받음으로써, 인체 국부 세정 장치(204), 온수 가열 장치(205), 건조 장치(206), 탈취 장치(207), 난방 수단(213) 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시에 표시부(212)에 표시를 수행시킨다.
또한, 본체 제어부(217)는, 인체 검지 수단(215)에 의한 인체 검출 신호를 받아 발광 수단(214)을 점등함과 동시에 탈취 장치(207)를 동작시키고, 착좌 검지 수단(216)에 의한 용변자의 변좌(5)로의 착좌 검출 신호를 받아 발광 수단(214)을 소등시키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돌출부(218)는, 본체(1)의 측부에 바깥쪽으로 내어 달아 설치되며, 비데 기 능부의 온도 설정 등의 설정부(219)를 주로 설치하고, 표시부(212) 등은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에 의해 보이도록 한 본체 전부(前部)에 배치하며, 본체(1)의 측부로부터 가능한 한 작게 내어 달아 본체(1)의 설치 공사를 하기 쉽게 구성하고 있다.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비데 장치는 비사용시에 일반적으로 변기 뚜껑(6)을 도 13과 같이 닫아, 본체(1), 틈새(A), 변좌(5), 변기(2)를 덮고 있다. 그리고, 용변을 위하여 화장실에 들어간 용변자는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변기(2)의 내부, 및 본체(1)의 전부(前部)에 있는 표시부(212)가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또한, 용변자는,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인체 검지 수단(215)에 의해 검출되어 발광 수단(214)이 점등함으로써 변기(2) 내가 조명되어, 한 층 더 변기(2) 내부 상황인, 오염 상태, 오물이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변기 뚜껑(6)을 열어 변좌(5)에 용변자가 착좌하면, 이것을 착좌 검지 수단(216)이 검지하여 본체 제어부(217)를 통하여 발광 수단(214)을 소등하게 된다. 용변 후의 비데 기능부의 조작은,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발신하여 수행되어 인체 국부 세정 장치(204), 건조 장치(206) 등이 동작하고, 또한 탈취 장치(207)는 용변자가 화장실에 들어왔을 때 인체 검지 수단(215)의 검출 신호에 의한 본체 제어부(217)를 통하여 이미 동작하고 있는 것이다.
그 후에는, 용변자가 변좌(5)로부터 일어선 것을 착좌 검지 수단(216)이 검출하면 본체 제어부(217)를 통하여 발광 수단(214)이 다시 점등하여 변기(2) 내를 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용변자는 변기 뚜껑(6)을 도 13과 같이 닫는 행위를 변좌(5)로부터 일어선 직후에 수행하여도, 또한 착의를 끝내고 나서 수행하여도,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변기(2) 안을 보면서 세정수를 변기(2)에 흘려 수세할 수 있는 것이다. 용변자가 화장실을 나오면 인체 검지 수단(215)은, 그것을 검출하여 본체 제어부(217)를 통하여 발광 수단(214)을 소등하고, 탈취 장치(207)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 8 실시예에서는, 변기 뚜껑(6)이 변기(2)를 덮은 상태에서 변기(2) 안이 보이는 광투과부(21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기 뚜껑(6)의 개폐, 그리고 변기(2)의 수세 조작의 방식, 즉 용변 후 옷 매무새를 가다듬은 후, 또는 용변 후에 변좌(5)에서 일어선 직후 중 어느 때 변기(2)의 수세 조작을 하더라도,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항상 변기(2) 내의 상황이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고, 따라서 의식하고 안하고에 상관없이 오물 배출의 수세 확인과, 오염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오물 배출의 기회와 청소할 기회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수세와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청소 타이밍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 편리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8 실시예에서는, 변기 뚜껑(6)이 닫힌 상태에서 본체(1) 및 변좌(5), 변기(2)를 덮는 구성이며, 또한 닫힌 상태에서 변기(2) 내 및 본체(1)가 보이는 광투과부(21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변기 뚜껑(6)의 개폐, 그리고 변기(2)의 수세 조작의 방식에 관계없이,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항상 변기(2) 내의 상황이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므로, 인식하고 안하고에 상관없 이 오물 배출의 수세 확인과, 오염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오물 배출의 기회와 청소할 기회를 용이하게 취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수세와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청소 타이밍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 편리한 것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 뚜껑(6)은, 닫힌 상태에서 변좌(5)는 물론, 본체(1)도 덮고 있기 때문에, 본체(1)와 변좌(5) 사이에 생기는 틈새(A)도 커버되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먼지가 쌓이는 변기 뚜껑(6)을 닦기만 하면 되는 청소하기 쉬운 것이며, 특히 변기 뚜껑이 일반적으로 평평한 경우에는 한층 더 청소가 쉬어짐과 동시에,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위생적이어야만 하는 이 종류의 비데 장치로는 매우 유익하며, 또한 본체(1), 변기 뚜껑(6)의 이중 구조에 의해 대기 중 온수 가열 장치(5)로부터의 방열을 다소나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는 닫힌 상태에서 본체(1)도 보이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1)에 비데 기능부의 통전 상태 등의 표시부(212), 인체 검지 수단(215)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원격 조작용의 신호 수신부 등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져, 본체(1)의 측부인 돌출부(218)에 표시부(212), 인체 검지 수단(215)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 만큼 돌출부(218)의 공간을 작게 한 본체(1)로 할 수 있어 본체(1)의 설치 공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를 액정 시트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액정 시트로의 인가 전압을 조정하여 액정 시트의 광투과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면 주위 환경의 밝기에 따라 인가 전압을 제어하여, 주위가 어두울수록 광투과도를 높임으로써 변기(2) 내를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214)에 의해 변기(2) 내가 밝혀져 광투과부(211)를 통하여 잘 볼 수 있음과 동시에, 변기 뚜껑(6)으로 닫혀 다소 어두어진 변기(2) 내의 오염 상태 등의 상황 확인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8 실시예에서는, 발광 수단(214)을 변기 뚜껑(6)의 회동축(210) 근방에 설치하여 본체(1) 내에서 다른 부재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여 효과적인 등광이 가능하다.
또한, 인체 검출시에 발광 수단(214)을 점등시키는 인체 검지 수단(215)을 설치하여, 화장실에 용변자가 들어온 것을 인체 검지 수단(215)이 검지했을 때 발광 수단(214)을 점등하여, 필요한 때에만 점등하게 되므로 항상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인체 검지 수단(215)을 닫힌 변기 뚜껑(6)의 광투과부(211)로부터 보이는 본체(1)의 전면 중앙에 설치하여, 변기 뚜껑(6)이 닫혀 있어도 인체의 검지가 가능하며, 따라서 변기 뚜껑(6)에 방해받지 않는 본체(1)의 돌출부(218)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돌출부(218)를 작게 한 본체(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체(1)의 설치 공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착좌 검출시에 발광 수단(214)을 소등하는 착좌 검지 수단(216)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변 중이어서 조명이 불필요한 때에 소등하여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8 실시예에서는, 발광 수단(214)을 회동축(210) 근방에 설치하였으 나, 회동축을 통형상으로 하여 내부에 수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변기 뚜껑의 개폐에 상관없이 항상 변기 내의 상황이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므로, 청소할 기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어 청소가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9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데 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1은 비데 장치의 변기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22는 비데 장치의 평면도, 도 23은 비데 장치의 측면도(변기 뚜껑만 단면도), 도 24는 변기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일어선 상태의 비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에 있어서, 본체(1)에는, 변좌(5) 및 변기 뚜껑(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변기 뚜껑(6)에는, 광투과 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투과부(303a, 303b)가 설치되어 있으며, 변기 뚜껑의 거의 중앙부의 광투과부(303a)와 본체(1)가 중합하는 위치에는 통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4)와 초전(焦電)형의 인체 검지 센서(305)와 적외 반사식의 착좌 검지 센서(309)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변기 뚜껑의 오른쪽 후부 상면에 설치한 광투과부(303b)와 본체(1)가 중합하는 위치에는 적외선식 원격 제어기의 수광 센서(308)가 장착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변기 뚜껑(6)에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광투과부(303a)를 설치함으로써, 본체(1)의 표시부(304)나 인체 검지 센서(305)를 변기 뚜껑(6)의 광투 과부(303a)로 구성한 부분과 중합하는 범위에 장착할 수 있어,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사용자(307)는 본체(1)의 표시부(304)를 눈으로 볼 수 있게 되며, 인체 검지 센서(305)는 투과부(303a)를 통하여 사용자(307)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광투과부(303b)와 본체(1)가 중합하는 위치에 리모콘 수광 센서(308)를 장착할 수 있어,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리모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외 반사식의 착좌 검지 센서(309)로부터 발산하는 적외광은 투과부(303b)를 통과하기 때문에, 인체와 변기 뚜껑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 있어, 변기 뚜껑의 형상이나 착좌 검지 범위의 제약이 없어지고, 변기 뚜껑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도 필요 없어진다.
따라서, 변기 뚜껑(6)을 닫은 상태에서도, 표시부(304), 인체 검지 센서(305), 착좌 검지 센서(309), 리모콘 수광 센서(308) 등의 광전식 기기를 본체(1)와 변기 뚜껑(6)이 중합하는 범위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를 가로로 내어 달 필요가 없어, 소형의 비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9 실시예에서는, 광투과부(303a, 303b)를 투명한 재료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투과도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광전식 기기가 적외광만을 이용하는 것이라면 광투과부는 적외광만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광투과부를 통하여 본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광투과부(303a)에 렌즈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표시부(304)를 확대하거 나, 집광 기능 혹은 편향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인체 검지 범위를 넓히거나, 범위를 한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센서의 특성이나 사용 목적에 따른 광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변기 뚜껑(6)은 변좌(5) 및 본체(1)의 거의 전역을 덮음으로써, 본체와 변좌의 틈새 등에 오물이 잘 부착되지 않아 청결하며 청소가 쉽고, 동시에 변좌의 방열 손실을 적게 하여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비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변기 뚜껑과 중합하는 영역의 본체 부분에 본체 표시나 광전식 기기를 배치할 수 있어 구성이나 디자인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콤팩트하고 청결하며 인테리어성이 높은 비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기 상에 설치하며, 용변 후의 인체의 국부를 온수로 세정, 그리고 건조, 탈취 등을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비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결성, 청소성, 에너지 절감성을 겸비함과 동시에 표시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3)

  1. 변기 위에 얹어 고정하며 비데의 기능부를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변좌 및 변기 뚜껑을 가지며,
    상기 변기 뚜껑은 닫았을 때에는 상기 본체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상면 및 상기 변좌의 상면을 덮고, 열었을 때에는 상기 본체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상면 및 상기 변좌의 상면을 개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 변기 위에 얹어 고정하며 비데의 기능부를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변좌 및 변기 뚜껑을 가지며,
    상기 변기 뚜껑은 닫았을 때에는 상기 본체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상면 및 측면 그리고 상기 변좌의 상면을 덮고, 열었을 때에는 상기 본체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상면 및 상기 변좌의 상면을 개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의 후단부가, 상기 변기 뚜껑이 열렸을 때 상기 본체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부에 상기 본체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볼록(凸)부를 추가로 가지며,
    열린 상기 변기 뚜껑의 후단부가 상기 볼록(凸)부에 당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상기 변기를 닫은 상태에서 변기 안이 보이는 광투과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안을 조명하는 발광 수단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화장실에 사람이 들어온 것을 검지하는 인체 검지 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인체 검지 수단이 사람을 검지했을 때 상기 발광 수단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검지 수단은, 상기 변기 뚜껑을 닫았을 때 상기 변기 뚜껑의 광투과부를 통하여 보이는 본체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사람이 변좌에 앉은 것을 검지하는 착좌 검지 수단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착좌 검지 수단이 사람의 착좌를 검지했을 때 상기 발광 수단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상기 변기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중합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광투과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닫았을 때 상기 변기 뚜껑의 상기 광투과부와 중합하는 본체 부분에, 광전식 기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식 기기는, 표시부, 인체 검지기, 리모콘 수광기, 착좌 검지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상부에 상기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기 뚜껑의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변기 뚜껑을 닫았을 때 상기 표시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변기 뚜껑의 일부이며, 그 외의 부분은 광을 투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전후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복수의 표시 소자에 대응한 복수의 광투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 중 적어도 일부에 렌즈 기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능은, 표시를 확대하는 확대 기능, 또는 광을 모으는 집광 기능, 또는 광을 굴절시키는 편향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19.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의 상기 광투과부는, 액정시트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차광성을 갖는 차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변기 뚜껑에서 광투과성이 필요한 부위에 개구를 설치하고, 상기 변기 뚜껑과 광투과성을 갖는 광투과 부재를 중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 부재는, 상기 변기 뚜껑에 설치한 개구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뚜껑은 광투과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차광 수단에 의해, 광투과성이 필요한 부위를 남기고 차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 수단은, 차광판을 중합 성형, 차광 피막을 접합, 차광 도료를 도포, 차광 필름을 전사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장치.
KR1020047012767A 2002-02-19 2003-02-19 비데 장치 KR100721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1072 2002-02-19
JP2002041072A JP4442074B2 (ja) 2002-02-19 2002-02-19 トイレ装置
JP2002050966A JP2003245221A (ja) 2002-02-27 2002-02-27 トイレ装置
JPJP-P-2002-00050966 2002-02-27
JP2002069703A JP2003265357A (ja) 2002-03-14 2002-03-14 トイレ装置
JPJP-P-2002-00069703 2002-03-14
JPJP-P-2002-00228875 2002-08-06
JP2002228875A JP2004065540A (ja) 2002-08-06 2002-08-06 トイレ装置
PCT/JP2003/001786 WO2003070076A1 (fr) 2002-02-19 2003-02-19 Dispositif de toilet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523A KR20040083523A (ko) 2004-10-02
KR100721784B1 true KR100721784B1 (ko) 2007-05-25

Family

ID=2776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767A KR100721784B1 (ko) 2002-02-19 2003-02-19 비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21784B1 (ko)
CN (1) CN100334990C (ko)
WO (1) WO20030700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48B1 (ko) * 2010-11-01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49946B (zh) * 2007-11-30 2011-02-02 Toto株式会社 卫生洗净装置
KR102117755B1 (ko) * 2018-06-25 2020-06-01 김설아 변기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400A (en) * 1978-12-14 1980-07-08 Hoechst Ag Certificate card
JPH0459794A (ja) * 1990-06-26 1992-02-26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Vip様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誘導体及びその用途
KR20000000604A (ko) * 1998-06-01 2000-01-15 윤종용 웨이퍼 검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검사방법
JP2001224531A (ja) * 2000-02-14 2001-08-21 Toto Ltd 便座装置
JP2001299644A (ja) * 2000-04-18 2001-10-30 Toto Ltd トイレ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400U (ko) * 1978-12-19 1980-06-21
JP2552417Y2 (ja) * 1990-09-29 1997-10-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 器
FR2670225A1 (fr) * 1990-12-10 1992-06-12 Denance Raymond W.c. dont la liberation de la colonne d'eau de rincage met en surpression la cuvette dont la fermeture est hermetique.
CN2131436Y (zh) * 1992-07-02 1993-05-05 黄亚欣 一种能够供给马桶座圈衬垫物的马桶盖子
JP2002282165A (ja) * 2001-03-27 2002-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400A (en) * 1978-12-14 1980-07-08 Hoechst Ag Certificate card
JPH0459794A (ja) * 1990-06-26 1992-02-26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Vip様活性を有するポリペプチド誘導体及びその用途
KR20000000604A (ko) * 1998-06-01 2000-01-15 윤종용 웨이퍼 검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검사방법
JP2001224531A (ja) * 2000-02-14 2001-08-21 Toto Ltd 便座装置
JP2001299644A (ja) * 2000-04-18 2001-10-30 Toto Ltd トイ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48B1 (ko) * 2010-11-01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34990C (zh) 2007-09-05
CN1633253A (zh) 2005-06-29
WO2003070076A1 (fr) 2003-08-28
KR20040083523A (ko) 200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21387A (ja) 衛生洗浄装置
JP5110932B2 (ja) トイレ用リモコン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CN100496367C (zh) 检测人体的马桶装置以及人体检测方法
KR100721784B1 (ko) 비데 장치
JP4509810B2 (ja) 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8075405A (ja) 衛生洗浄装置
JP2004232283A (ja) スイッチ表示方法
JP4442074B2 (ja) トイレ装置
CN201831803U (zh) 马桶座装置
JP3714001B2 (ja) 便蓋装置
JP4821080B2 (ja) 便蓋及び便座の自動開閉機構付きトイレ装置
JP5636670B2 (ja) 便座装置
JP6145687B2 (ja) 便座装置
JP2004275268A (ja) 便座装置
JP2003278242A (ja) 局部洗浄装置
JP2004089631A (ja) 便座装置
JPH11299707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H07317125A (ja) 便座ボックス
JP7022724B2 (ja) 洗浄スイッチおよび水洗式便器
JP2008002151A (ja) 局所洗浄便座操作用リモコン
JP5903561B2 (ja) 便座装置
JP5974285B2 (ja) 衛生洗浄装置
JP6074610B2 (ja) 便座装置
JP2008002139A (ja) 局所洗浄便座操作用リモコン
JP2013060766A (ja) 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