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894B1 - 종합 손 세정대 - Google Patents

종합 손 세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894B1
KR102267894B1 KR1020200027795A KR20200027795A KR102267894B1 KR 102267894 B1 KR102267894 B1 KR 102267894B1 KR 1020200027795 A KR1020200027795 A KR 1020200027795A KR 20200027795 A KR20200027795 A KR 20200027795A KR 102267894 B1 KR102267894 B1 KR 10226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vertical part
faucet
front vertical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동춘
Original Assignee
원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동춘 filed Critical 원동춘
Priority to KR102020002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2005/1218Table mounted; Dispensers integrated with the mixing t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종합 손 세정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측에 마련된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이용자의 손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볼이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수전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정볼의 상단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설치공간에는, 상기 수전과 마주보는 상기 세정볼의 전방 수직부에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건조장치는, 건조용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 개구부가 상기 전방 수직부에 형성된 토출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 수직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노즐블럭; 일단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즐블럭에 결합되는 공급관; 및 상기 토출공 주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토출공에 근접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송풍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합 손 세정대{SYSNTHESIS HAND STERILIZED DEVICE}
본 발명은 종합 손 세정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소독 또는 손세정에 필요한 소독액, 세정액, 세척수가 자동으로 공급되고 건조용 공기가 자동으로 토출되도록 손 세정대와 일체화됨으로써 하나의 손 세정대에서 손세정과 손소독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종합 손 세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아파트, 주택, 사무실, 호텔 또는 여관 등의 숙박시설, 식당 등의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세면을 하거나 손을 씻을 수 있도록 수전과 세면볼, 배수장치 등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세면대는, 욕실 하부 수납장이나 상판 위에 세면대를 얻는 탑카운터형과, 욕실 하부 수납장이나 상판에 세면기를 넣는 언더카운터형과,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면에 세면기를 붙여 시공하는 평면 붙임형과, 자체 스텐드의 상면에 세면볼이 결합되는 스텐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텐드형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2429호(공고일 : 2003.01.29)에는, 스텐드형 세면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면대는, 물을 담을 수 있는 반구형의 볼을 구비한 상판이 하부커버의 상면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병원, 식품공장, 음식점, 단체 급식업체 기타 손의 위생을 요구하는 곳에서는 손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모든 병원균에 의한 질병 및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작업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손에 묻은 세균을 비누 등을 사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손 위생이 중요시 되는 장소를 출입하기 전에 사용되는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이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2716호(공고일 : 2016.6.16)로 개시되어 있다.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은 일측에 통과용 안내바가 수직으로 마련되고 상면에는 소독발판이 구비된 하부체, 상기 소독발판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안내바와의 사이에 1인 통과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손세정부 및 손소독부를 포함하는 소독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소독발판을 밟은 작업자의 신원을 인식하여 신발 및 손의 세정과 소독을 안내하고 표시하기 위한 안내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독부에 접하도록 상기 하부체에 설치되는 안내 표시용 하우징, 상기 통로의 출구 쪽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의 출구를 개폐 작동하는 스윙도어를 포함하는 손 세정부스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윙도어의 개방으로 상기 손 세정부스를 통과한 작업자가 입구쪽 도어로 진입하면 에어샤워기를 작동시켜 작업자를 에어샤워 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손 세정부스와 이격된 거리에 설치되는 클린룸 및 작업자가 상기 소독발판에 올라서고 신원이 확인되면 손 세정, 건조 및 살균 과정을 안내한 후 작업자의 손 세정 및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소독부를 제어하고, 손 세정, 건조 및 살균 과정이 순차적으로 완료된 경우에만 상기 스윙도어가 개방 작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클린룸의 입구쪽 도어를 개방한 후 에어샤워기를 작동시키고, 에어샤워가 완료되면 출구쪽 도어를 개방하여 작업자가 통과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특정 공간에 출입하기 위하여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었다. 그러나, 손 세정기를 이용하여 손 세정하고, 건조기로 건조한 후 살균기로 살균하기 위해서는 손세정기와, 건조기 및 살균기 등이 각각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2429호(공고일 : 2003.01.29)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32716호(공고일 : 2016.6.16)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손 세정대에서 손세정과 손소독 및 건조가 차례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개인 위생을 위한 장치의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줄여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마련된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이용자의 손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볼이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수전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정볼의 상단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설치공간에는, 상기 수전과 마주보는 상기 세정볼의 전방 수직부에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건조장치는, 건조용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 개구부가 상기 전방 수직부에 형성된 토출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 수직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노즐블럭; 일단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즐블럭에 결합되는 공급관; 및 상기 토출공 주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토출공에 근접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송풍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전방 쪽으로 돌출되는 수평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는 조명용 램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물비누 공급기, 상기 소독액 공급기, 상기 건조장치, 상기 조명용 램프, 상기 수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진행과정, 진행상황, 전달문구, 카운트를 위한 숫자를 포함한 안내문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정볼은, 상기 전방 수직부 및 후방 수직부,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배출홈이 배수구 쪽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수직부와 상기 바닥부의 연결영역 및 상기 후방 수직부와 바닥부의 연결영역이 다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다중 튐방지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전방 수직부와 상기 바닥부의 연결영역 및 상기 후방 수직부와 바닥부의 연결영역이 만곡지게 절곡되어 만곡 튐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측부 수직판재의 상단에는, 후방쪽에서 전방 쪽으로 경사진 튐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정볼은, 상기 전방 수직부 및 후방 수직부,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가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바닥부는 배수구가 형성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측부 수직판재의 상단에는, 후방쪽에서 전방 쪽으로 경사진 튐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부품 설치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의 주변에는 작동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램프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를 제어하여 물비누 및 소독액의 토출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양 조절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공급양 조절기는, 상기 부품 설치공간에 마련되는 교체용 용기들로부터 물비누와 소독액을 펌핑하여 상기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로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공급펌프; 및 상기 용기들을 교체한 경우에 물비누와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라인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물비누와 소독액이 노즐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공급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급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지지부재는, 2-4인용으로 사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전, 물비누 공급기, 소독액 공급기 및 표시부가 한 조를 이루어 2-4 조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즐블럭은, 바닥부에는 상기 공급관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후방부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향으로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개구부 쪽을 향하여 40 - 50°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거나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부에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돌기 또는 유도홈들이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손 세정대에 물비누 공급기, 소독액 공급기 및 건조장치가 일체로 구비된 올인원 구조를 갖음으로써 하나의 손 세정대에서 손세정과 손소독 및 건조가 차례로 이루어져 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손 세정대에 물비누 공급기, 소독액 공급기 및 건조장치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개인 위생을 위한 장치의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장치로부터 발생된 건조용 공기가 세정볼에서 토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손 세정과 건조 및 손 소독이 한 공간, 즉 세정볼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현저하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손 세정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합 손 세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노즐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세정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손 세정대를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공급양 조절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종합 손 세정대가 2인용 및 3인용으로 확장 형성된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손 세정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합 손 세정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노즐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단면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3에 도시된 세정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손 세정대를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손 세정대(10)는, 일측에 마련된 수전(4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이용자의 손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볼(22)이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부품 설치공간(S)이 마련된 몸체(20)와, 몸체(20)의 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재(26)와, 수전(40)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세정볼(22)의 상단 또는 지지부재(26)에 마련되는 물비누 공급기(50) 및 소독액 공급기(60)를 포함하고, 부품 설치공간(S)에는, 수전(40)과 마주보는 세정볼(22)의 전방 수직부(22A)에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손 세정대(10)의 몸체(20)는, 상향으로 개구된 세정볼(22)이 상부에 마련되고, 세정볼(22)은 하부체(21)의 내부에 형성된 부품 설치공간(S)에 수용된다. 하부체(21)는 금속 함체로 이루어지며, 전면에는 부품 설치공간(S)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24)가 설치된다. 그리고 부품 설치공간(S)의 배면에도 개폐용 패널이 결합된다. 이 개폐용 패널을 통하여 부품 설치공간(S)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부품 설치공간(S)에는,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건조장치(70) 등에 부품들과 저장탱크들이 설치되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몸체(20)의 하부체(21) 전면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접근할 때 사용자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발 앞쪽(발가락)이 하체부(21)의 상부쪽 전면보다 더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간섭없이 근접할 수 있게 된다.
세정볼(22)은, 바닥부(22A)의 중앙에 배출홈(22B)이 배수구(도시되지 않으나, 배출홈의 좌측, 우측 또는 중앙에 형성됨) 쪽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형성되고, 전방 수직부(22C) 및 후방 수직부(22D)의 중간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이 다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다중 튐방지부(22E)가 형성된다. 다중 튐방지부(22E)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수직부(22C) 및 후방 수직부(22D)와 바닥부(22A)의 연결영역이 하부로 갈수록(바닥부로 갈수록) 각각 소정의 각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 수직부(22C) 및 후방 수직부(22D)의 중간부 영역 및 하부 영역(바닥부와 전,후방 수직부의 연결영역)에 다중 튐방지부(22E)가 다중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수전(4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로 손을 씻을 때 물이 다중 튐방지부(22E)에 부딪힌 후 배출홈(22B)으로 모이게 되므로 세척수의 튐이 최소화된다.
또한, 다중 튐방지부(22E)가 다중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전방 수직부(22C) 및 후방 수직부(22D)와 각 측부 수직판재(22F)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중 튐방지부(22E)가 직선들로 이루어지도록 다각 절곡됨으로써, 다중 튐방지부(22E)의 직선부들을 양쪽 각 측부 수직판재(22F)와 용접하는 작업이 곡선부에 비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방 수직부(22C)와 바닥부(22A)의 연결영역 및 후방 수직부(22D)와 바닥부(22A)의 연결영역이 만곡지게 절곡되어 만곡 튐방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양쪽의 각 측부 수직판재(22F)의 상단에는, 후방쪽에서 전방 쪽으로 경사진 튐 방지부(22G)가 형성된다. 경사진 튐 방지부(22G)가 형성됨으로써, 세정볼(22)에서 손을 세정할 때 물이 손 세정대(10)의 양 옆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볼(22)은, 전방 수직부(22C) 및 후방 수직부(22D), 전방 수직부(22C)와 후방 수직부(22D)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22A)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바닥부(22A)가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되, 바닥부(22A)는 배수구(22A-2)가 형성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22A-1)이 형성된다. 즉,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22A-2)가 형성된 영역의 높이(H2)가 그 반대 영역의 높이(H1)보다 더 높게 되므로, 반대 영역에서 배수구(22A-2)가 형성된 영역으로 경사면(22A-1)이 형성되는 것이고, 따라서 세정수가 경사면(22A-1)을 따라 원활하게 배수구(22A-2)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정볼(22)과 몸체(20)의 하부체(21) 및 지지부재(2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이나 리벳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부재(26)는, 몸체(20)의 배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표시램프(86)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단에는 전방 쪽으로 돌출되는 수평부(28)가 마련되고, 수평부(28)의 저면에는 조명용 램프(28A)가 마련된다. 이 조명용 램프(28A)는 세정볼(22)의 상부를 비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지부재(26)의 전면에는 거울이 설치될 수도 있고, 수전(40), 건조장치(70), 조명용 램프(28A),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표시램프(86)과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성요소들의 진행과정, 진행상황, 전달문구, 카운트를 위한 숫자를 포함한 안내문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82)가 마련된다. 표시부(8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몸체(20)는, 본 실시예에서 1인용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4인용으로 사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수전(40),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건조장ㅈ치(70) 및 표시부(82)가 한 조를 이루어 2-4 조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건조장치(70)는 하나의 송풍기(76)에서 각각의 노즐블럭(72)으로 건조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건조장치(70)는, 수전(40)의 맞은편에서 건조용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부품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건조용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76)와, 개구부(72A)가 전방 수직부(22C)에 형성된 토출공(22C-1)에 위치하도록 전방 수직부(22C)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노즐블럭(72)과, 일단은 송풍기(76)와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블럭(72)에 결합되는 공급관(74)과, 토출공(22C-1) 주변에 관통 설치되고 토출공(22C-1)에 근접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송풍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송풍 감지센서(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즐블럭(72)은, 바닥부(72B)에 공급관(74)이 관통 결합되고, 개구부(72A)와 마주보는 후방부(72D)는, 공급관(74)으로부터 상향으로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개구부(72A) 방향으로 유도하여 토출공(22C-1)으로 토출되도록 개구부(72A) 쪽을 향하여 40 - 50°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방부(72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방부(72D)에는, 공급관(74)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개구부 방향(72A)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돌기(72D-2) 또는 유도홈(72D-3)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돌기(72D-2) 또는 유도홈(72D-3)들이 형성됨으로써 공급관(74)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가 방향성을 유지하여 원활하게 토출공(22C-1)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성요소들은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80)는, 제1 감지센서(84A)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수전(40)을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고, 제2 감지센서(84B)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물비누 공급기(5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고, 제3 감지센서(84C)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소독액 공급기(6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고, 송풍 감지센서(78)로 사용자를 감지하여 건조장치(7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80)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수전(40),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및 건조장치(70)를 순차적으로 작동 제어하거나, 제1,2,3 감지센서(84A,84B,84C) 및 송풍 감지센서(78)가 감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각 구송요소를 작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3 감지센서(84A,84B,84C) 및 송풍 감지센서(78)들은 각 해당 구성요소(40,50,60,70)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40,50,60,70)의 일측에는 각 구성요소(40,50,60,70)의 작동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86)가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수전(40)을 기준으로,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및 건조장치(70)들이 한 공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손세정, 손소독 및 손건조를 한 자리에서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전(40)의 좌측에는 물비누 공급기(50)가 노즐을 구비하여 구비되고, 우측에는 소독액 공급기(60)가 노즐을 구비하여 구비되며, 수전(40)의 맞은편에는 건조장치(70)가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양 손의 세정 및 소독, 건조 등을 수전(40) 주변에서 순차적으로 수행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80)는 수전(40), 물비누 공급기(50) 및 소독액 공급기(60)를 제어하여 물, 물비누 및 소독액의 토출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양 조절기(87)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공급양 조절기(8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설치공간(S)에 마련되는 교체용 용기(51,61)들로부터 물비누와 소독액을 펌핑하여 물비누 공급기(50) 및 소독액 공급기(60)로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공급펌프(87A)들과, 용기(51,61)들을 교체한 경우에 물비누와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라인(87C)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물비누와 소독액이 노즐(53,63)까지 도달하도록 하거나 도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공급펌프(87A)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급 스위치(8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용기(51,61)를 교체한 후 바로 물비누 공급기(50)나 소독액 공급기(60)를 작동시키면 공급라인(87C)에 공기가 차서 물비누나 소독액이 원할하게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공기만 배출되거나 공기와 내용물이 같이 공급되는 등의 문제), 용기(51,61)를 교체한 후 공급 스위치(87B)를 소정시간 동안 또는 물비누나 소독액이 노즐(53,63)으로 토출될 때까지 온 조작하여 공급펌프(87A)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기(51,61) 교체 후 손 세정대(10)의 작동시 물비누나 소독액을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합 손 세정대(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 세정대(10)의 전방으로 진입하면, 제어부(80)는 수전(40)을 작동 제어하여 세척수를 타이머에 따른 일정시간 또는 공급하거나 제1 감지센서(84A)가 감지하면 일정시간 동안 공급한다. 이 과정으로 세척수가 사용자의 양 손에 공급되며, 이어서 사용자의 손이 물비누 공급기(50)의 일측에 구비된 제2 감지에 감지되거나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제어부(80)는 수전(40)을 작동 정지시키고 물비누 공급기(50)를 작동제어하여 물비누를 소정시간 동안 공급한다.
사용자는 물비누로 손을 문지른 후 다시 수전(40) 쪽으로 손을 이동시키면 제1 감지센서(84A)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80)는 다시 수전(40)을 소정시간 동안 작동시켜 세척수를 공급한다.
이 과정으로 손 세척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손을 수전(40) 맞은 편에 구비된 송풍 감지센서(78)로 이동시키면, 제어부(80)는 이를 감지하여 송풍기(76)를 작동시켜 건조용 공기가 토출공(22C-1)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건조용 공기가 수전(40) 맞은 편에 구비된 토출공(22C-1)을 통하여 토출되므로 사용자는 장소를 이동하지 않고 손을 세척한 위치에서 그대로 손을 건조시킬 수 있다.
이어서 손 건조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손을 소독액 공급기(60) 주변에 마련된 제3 감지센서(84C)로 이동시키면 제어부(80)는 제3 감지센서(84C)를 통하여 감지된 감지신호를 토대로 일정시간 동안 소독액을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사용자의 손이 제1,2,3 감지센서(84A,84B,84C) 및 송풍 감지센서(78)에 순차적으로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정지하고 처음부터, 즉 손 세척부터 다시 진행하도록 표시부(82)에 안내문구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80)는 각 단계를 진행할 때마다 표시부(82)의 화면 및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멘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이 과정으로 사용자의 손에 소독액이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건조한 손을 소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전(40)과, 물비누 공급기(50), 소독액 공급기(60) 및 건조장치(70)가 하나의 손 세정대(10)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자리를 옮기지 않고 한 자리에서 손 세척, 건조 및 살균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현저하게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손 세정대 20 : 몸체
22 : 세정볼 24 : 개폐도어
26 : 지지부재 40 : 수전
50 : 물비누 공급기 60 : 소독액 공급기
70 : 건조장치 72 : 노즐블럭
74 : 공급관 76 : 송풍기
78 : 송풍 감지센서 80 : 제어부
82 : 표시부 84A,84B,84C : 제1,2,3 감지센서
86 : 표시램프

Claims (10)

  1. 일측에 마련된 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로 이용자의 손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볼이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부품 설치공간이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수전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정볼의 상단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는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 설치공간에는, 상기 수전과 마주보는 상기 세정볼의 전방 수직부에서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여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건조장치는,
    건조용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 개구부가 상기 전방 수직부에 형성된 토출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방 수직부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노즐블럭; 일단은 상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노즐블럭에 결합되는 공급관; 및 상기 토출공 주변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토출공에 근접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송풍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블럭은,
    바닥부에는 상기 공급관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후방부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상향으로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토출공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개구부 쪽을 향하여 40 - 50°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거나 원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방부에는,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돌기 또는 유도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전방 쪽으로 돌출되는 수평부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는 조명용 램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물비누 공급기, 상기 소독액 공급기, 상기 건조장치, 상기 조명용 램프, 상기 수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고, 진행과정, 진행상황, 전달문구, 카운트를 위한 숫자를 포함한 안내문구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볼은,
    상기 전방 수직부 및 후방 수직부,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배출홈이 배수구 쪽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수직부와 상기 바닥부의 연결영역 및 상기 후방 수직부와 바닥부의 연결영역이 다각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다중 튐방지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전방 수직부와 상기 바닥부의 연결영역 및 상기 후방 수직부와 바닥부의 연결영역이 만곡지게 절곡되어 만곡 튐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측부 수직판재의 상단에는, 후방쪽에서 전방 쪽으로 경사진 튐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볼은,
    상기 전방 수직부 및 후방 수직부,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가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되, 상기 바닥부는 배수구가 형성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수직부와 후방 수직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각 측부 수직판재의 상단에는, 후방쪽에서 전방 쪽으로 경사진 튐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의 주변에는 작동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램프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를 제어하여 물비누 및 소독액의 토출양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양 조절기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공급양 조절기는,
    상기 부품 설치공간에 마련되는 교체용 용기들로부터 물비누와 소독액을 펌핑하여 상기 물비누 공급기 및 소독액 공급기로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공급펌프; 및
    상기 용기들을 교체한 경우에 물비누와 소독액이 공급되는 공급라인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물비누와 소독액이 노즐까지 도달하도록 상기 공급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공급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지지부재는,
    2-4인용으로 사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전, 물비누 공급기, 소독액 공급기, 건조장치 및 표시부가 한 조를 이루어 2-4 조로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손 세정대.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27795A 2020-03-05 2020-03-05 종합 손 세정대 KR10226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95A KR102267894B1 (ko) 2020-03-05 2020-03-05 종합 손 세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95A KR102267894B1 (ko) 2020-03-05 2020-03-05 종합 손 세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894B1 true KR102267894B1 (ko) 2021-06-21

Family

ID=7659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95A KR102267894B1 (ko) 2020-03-05 2020-03-05 종합 손 세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7418A (zh) * 2021-07-19 2021-09-1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环绕喷雾节水洗手器
KR102472329B1 (ko) 2022-09-14 2022-11-30 (주)하인스 복합 세정대
KR20230031004A (ko) * 2021-08-26 2023-03-07 이정훈 손발 세척 건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670A (ja) * 1993-01-13 1994-08-02 Saraya Kk 洗浄装置
KR200262429Y1 (ko) 2001-08-20 2002-03-18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산업용 보안경
KR200286612Y1 (ko) * 2002-06-05 2002-08-22 (주)태왕 일체식 세면대
KR20030060070A (ko) * 2000-06-27 2003-07-12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KR20090032503A (ko) * 2007-09-28 2009-04-01 삼구컨설팅 주식회사 이동식 손 위생 처리 설비
KR20100070636A (ko) * 2008-12-18 2010-06-28 엑스앤와이(주)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와 그 방법
KR101632716B1 (ko) 2015-02-10 2016-06-23 원동춘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2670A (ja) * 1993-01-13 1994-08-02 Saraya Kk 洗浄装置
KR20030060070A (ko) * 2000-06-27 2003-07-12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세면기 및 그것을 구비한 세면 장치
KR200262429Y1 (ko) 2001-08-20 2002-03-18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산업용 보안경
KR200286612Y1 (ko) * 2002-06-05 2002-08-22 (주)태왕 일체식 세면대
KR20090032503A (ko) * 2007-09-28 2009-04-01 삼구컨설팅 주식회사 이동식 손 위생 처리 설비
KR20100070636A (ko) * 2008-12-18 2010-06-28 엑스앤와이(주) 강제 자동 수세 및 소독장치와 그 방법
KR101632716B1 (ko) 2015-02-10 2016-06-23 원동춘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7418A (zh) * 2021-07-19 2021-09-1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环绕喷雾节水洗手器
KR20230031004A (ko) * 2021-08-26 2023-03-07 이정훈 손발 세척 건조기
KR102535254B1 (ko) * 2021-08-26 2023-05-26 이정훈 손발 세척 건조기
KR102472329B1 (ko) 2022-09-14 2022-11-30 (주)하인스 복합 세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894B1 (ko) 종합 손 세정대
US5765242A (en) Hand sanitizing apparatus
US4942631A (en) Hand sanitizing station
KR101589689B1 (ko) 개별 식별이 가능한 자동 손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생관리 방법
CN110352026B (zh) 洗手台
US6523193B2 (en) Prevention system and preventing method against infectious diseases,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luids
US8997271B2 (en) Lavatory system with hand dryer
US9758953B2 (en) Basin and hand drying system
US20100084486A1 (en) Hand sterilizer gel dispenser with lcd media display device
KR101632716B1 (ko)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3625992U (zh) 一种组合式医护人员专用洗手池
KR20090059354A (ko)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100970888B1 (ko) 손 소독기
KR100712147B1 (ko) 이동식 세면대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1830865B1 (ko) 손 세정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110004195U (ko) 빌트-인 손 소독기
US202302110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plumbing fixtures and rooms with plumbing fixtures
JP4958057B2 (ja) 自動手洗い装置
KR200460224Y1 (ko) 손세정기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KR20120001647A (ko) 손 세척기
KR20020065160A (ko) 작업장용 신체 소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