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224Y1 - 손세정기 - Google Patents

손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224Y1
KR200460224Y1 KR2020090011958U KR20090011958U KR200460224Y1 KR 200460224 Y1 KR200460224 Y1 KR 200460224Y1 KR 2020090011958 U KR2020090011958 U KR 2020090011958U KR 20090011958 U KR20090011958 U KR 20090011958U KR 200460224 Y1 KR200460224 Y1 KR 200460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ase
cleaning
cleaning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745U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2020090011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22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무실, 화장실 등 위생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세정부재 및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과 함께 손에 묻은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의 세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손세정기를 제공한다. 특히, 세정부재를 롤 형상으로 구성하고, 이송부재 즉, 한쌍의 이송롤과 안내롤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므로써 세정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손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세정 가능하도록 하고,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세정부재와 신체와 접촉없이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손을 세정을 실시하므로써 손의 위생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한 손세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는 케이스(20)와, 세정부재(30)와, 이송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는 정해진 크기의 내부공간(22)을 가지고, 내부공간(22)과 연통되는 개방부(24)가 일측에 형성된다. 세정부재(3)는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가져 내부공간(22)에서 이동하면서 개방부(24)로 노출되어진다. 이송부재(40)는 케이스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세정부재(3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세정부재(30)가 개방부(24)로 노출되도록 세정부재(30)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손세정기(10)는 이송부재(40)에 의해 이동하는 세정부재(30)가 노출되는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사용자가 손등, 손바닥, 손톱, 손가락을 포함하는 신체부위를 위치시키면서 신체부위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세정기, 손, 세정

Description

손세정기{Hand cleansing machine}
본 고안은 손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무실, 화장실 등 위생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세정부재 및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과 함께 손에 묻은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의 세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손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세정부재를 롤 형상으로 구성하고, 이송부재 즉, 한쌍의 이송롤과 안내롤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므로써 세정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손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세정 가능하도록 한 손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세정부재와 신체와 접촉없이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손을 세정을 실시하므로써 손의 위생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한 손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인해 감기를 포함한 각종 질병이 유발되며 그로 인해 특히 현대인들의 건강이 더욱 위협 받고 있으며 위생이나 살균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신종플루엔자로 인해 손의 세정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상기 위생이나 살균의 주요 대상으로서 손은 그 청결의 중요성을 거듭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들은 매일 바깥에서 여러 사회 활동을 하면서, 주로 손을 이용해서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영위하므로 수많은 세균과 병균 등이 손에 묻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을 간편하게 세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안되었는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20-0331761호 "자동 손 세척기"에서는 손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구와, 세척수와 비누의 혼합액인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구 및 세척된 손을 건조하기 위하여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구의 통로를 하나의 통로로 하고, 상기 통로는 세수대에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수대의 전방쪽의 면에는 손톱에 끼어 있는 이물질이나 때를 제거하기 위한 연질의 솔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아무런 손 동작을 취하지 않고 편안한 자세로 자동적으로 손을 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연질의 솔로 이물질을 제거할 때 사용한 부분을 타인이 사용할 경우 위생상 문제될 수 있으며, 손을 세척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98427호 "손 소독기"에서는 손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를 구비한 본체와,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소독액저장용기와 연결되어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손 소독기에 있어서, 분사구와 소독액저장용기는 일측에 송풍기를 구비한 T자 형태의 분기관으로 연결되고, 소독액저장용기의 하부에 에어콤프레샤로부터 에어를 투입하는 투입관이 삽입 설치되어, 송풍기 및 에어콤프레샤의 작동에 따라 소독액저장용기에 저장된 소독액이 분사구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손 소독기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제약을 받고, 소독액을 분사하여 손을 소독하는 효과가 있지만, 신체의 미세한 부분은 세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손의 세정을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무실, 화장실 등 위생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세정부재 및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과 함께 손에 묻은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의 세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손세정기에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세정부재를 롤 형상으로 구성하고, 이송부재 즉, 한쌍의 이송롤과 안내롤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므로써 세정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손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세정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손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세정부재와 신체와 접촉없이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손을 세정을 실시하므로써 손의 위생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손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정해진 크기의 내부 공간(22)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22)과 연통되는 개방부(24)가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20)와;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가져 상기 내부공간(22)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부(24)로 노출되는 세정부재(3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부재(3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세정부재(30)가 상기 개방부(24)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정부재(30)를 이송시키게 되는 이송부재(40) 및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세정부재(30)에 의해 세정되는 이물질을 받치기 위한 이물질 받침부(26)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4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세정부재(30)가 노출되는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사용자가 손등, 손바닥, 손톱, 손가락을 포함하는 신체부위를 위치시키면서 신체부위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이송부재(40)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정해진 길이의 이송부재(40)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이송롤(42)을 포함하되, 상기 한쌍의 이송롤(42) 중 어느 하나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세정부재(30)의 일단부가 다수겹의 롤 형상으로 감겨져 상기 세정부재(30)가 풀려나가게 되는 공급롤(42a)로 사용되고, 상기 한쌍의 이송롤(42) 중 나머지 어느 하나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세정부재(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공급롤(42a)로부터 풀려나가는 상기 세정부재(30)가 감겨지게 되는 감김롤(42b)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이송부재(40)는 상기 한쌍의 이송롤(42)이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부재(40)는 상기 한쌍의 이송롤(42)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 상에 설치되는 안내롤(44)을 더 구비하여, 서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상기 한쌍의 이송롤(42)과 안내롤(44)을 통해 상기 세정부재(30)의 이동이 유도되어 상기 세정부재(30)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 상에서 뽀족한 단면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부위를 포함하는 신체부위의 미세한 세정도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재(40)의 공급롤(42a) 및 감김롤(42b)이 상기 수용공간(52)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노출되는 세정부재(30)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급롤(42a)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플레이트(50)는 상기 공급롤(42a) 및 감김롤(42b)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김롤(42b)에 감긴 세정부재(30)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급롤(42a)에 감긴 세정부재(30)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격벽(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플레이트(50)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a)을 갖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52a)에 상기 공급롤(42a)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50a)와;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b)을 갖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52b)에 상기 감김롤(42b)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5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40)의 한쌍의 이송롤(42)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상기 세정액부(70)는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72)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세정액통(74)과, 상기 세정액통(74)과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므로써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도록 하기 위한 분사구(76)와, 상기 감지센서(72)와 접속되어 상기 감지센서(72)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사구(76)의 분사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에 의하면,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손의 세정을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무실, 화장실 등 위생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세정부재 및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과 함께 손에 묻은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의 세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세정부재를 롤 형상으로 구성하고, 이송부재 즉, 한쌍의 이송롤과 안내롤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므로써 세정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손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세정부재와 신체와 접촉없이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손을 세정을 실시하므로써 손의 위생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케이스(20)와 세정부재(30)와 이송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는 내부공간(22)을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공간(22)과 연통되는 개방부(24)가 일측에 형성되고, 세정부재(30)는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어 이 내부공간(22)에서 이동하면서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4)로 노출되어 진다. 이송부재(40)는 케이스(20) 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세정부재(3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세정부재(30)가 케이스(20)의 개방부(24)로 노출되도록 세정부재(3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이송부재(40)에 의해 이동하는 세정부재(30)가 노출되는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사용자가 손등, 손바닥, 손톱,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위치시키면서 신체부위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케이스 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여러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손세정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손세정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케이스(20), 세정부재(30), 이송부재(40), 플레이트(50), 액추에이터(60) 및 세정액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케이스(20)와 세정부재(30)와 이송부재(40)와 플레이트(50)와 액추에이터(60) 및 세정액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는 정해진 크기의 내부공간(22)을 가지고, 내부공간(22)과 연통되는 개방부(24)가 일측에 형성되어 진다. 이때, 케이스(20)의 뒤면 하측으로 연장되어 '┛'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세정부재(30)에 의해 세정되어 나오는 이물질을 받치기 위한 이물질 받침부(26)가 결합되어 진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커버가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세정부재(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세정부재(30)는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가져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서 이동하면서 케이스(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부(24)로 노출되어 진다.
이와 같은 세정부재(30)는 롤 형상을 갖고,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이 소재는 통상의 타월 및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부재(40)는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세정부재(30)가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세정부재(30)가 개방부(24)로 노출되도록 세정부재(3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이송부재(40)는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송부재(40)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한쌍의 이송롤(42)과, 이 이송롤(42) 사이에서 케이스(20)의 개방부(24) 상에 설치되는 안내롤(4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한쌍의 이송롤(42) 중 어느 하나는 초기 상태에서 세정부재(30)의 일단부가 다수겹의 롤 형상으로 감겨져 세정부재(30)가 풀려나가게 되는 공급롤(42a)로 사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초기상태에서 세정부재(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공급롤(42a)로부터 풀려나가는 세정부재(30)가 감겨지게 되는 감김롤(42b)로 사용되어 진다. 이때, 안내롤(44)은 이송롤(42) 사이에서 위치되되, 이송롤(42)이 상측에 위치되어 삼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되어, 이 안내롤(44)상에서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송부재(40)는 일측의 공급롤(42a)과 안내롤(44) 사이 및 안내롤(44)과 감김롤(42b) 사이에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보조롤(4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이 보조롤(46)은 세정부재(30)가 공급롤(42a)에서부터 감김롤(42b)까지 감길 때 원활히 감기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송부재(40)는 액추에이터(60)와 접속되어 액추에이터(60)에 의해 구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플레이트(50)는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을 갖는다. 이때, 이 수용공간(52)에는 상술한 이송부재(40)의 공급롤(42a) 및 감김롤(42b)이 위치되어 진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50)를 설치하므로써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노출되는 세정부재(30)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공급롤(42a)에 감겨지는 세정부재(30)에 묻지 않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52) 내에 위치되는 공급롤(42a)과 감김롤(42b) 사이에 설치되어 감김롤(42b)에 감긴 세정부재(30)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공급롤(42a)에 감긴 세정부재(30)에 묻지 않도록 격벽(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플레이트(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52a)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공급롤(42a)이 수용공간(52a)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플레이트(50a)와 제 1 플레이트(50a)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수용공간(52b)에 감김롤(42b)이 위치되도록 하는 제 2 플레이트(50b)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50)를 제 1 플레이트(50a)와 제 2 플레이트(50b)로 구성하므로써 세정부재(30)가 감긴 공급롤(42a)에 세정 후 나오는 이물질이 묻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깨끗한 세정부재(30)로 세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등, 손바닥, 손톱, 손가락을 포함하는 신체부위를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위치시키면 액추에이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부재(40)에 의해 세정을 실시하게 되고, 세정에 의해 나오는 이물질은 이물질 받침부(26)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손의 세정을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사무실, 화장실 등 위생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고, 세정부재(30)에 의해 손의 세정과 함께 손에 묻은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세정할 수 있도록 하며, 손의 세정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세정부재(30)를 롤 형상으로 구성하고, 이송부재(40) 즉, 한쌍의 이송롤(42)과 안내롤(44)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므로써 세정부재(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손의 미세한 부분까지도 세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손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세정액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이와 같은 세정액부(70)는 케이스(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72)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세정액통(74)과, 세정액통(74)과 접속되고,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므로써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도록 하기 위한 분사구(76)와, 감지센서(72)와 접속되어 감지센서(72)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응답하여 분사구(76)의 분사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세정액통(74)에 수용되는 세정액은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스의 일측 측면에 보조 케이스를 설치하여 버튼 형식으로 작동하는 세정액을 보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시켜 간편하게 손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보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는 세정액은 젤 형식의 세정액으로 사용자는 한손을 세정액 배출구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손으로 버튼을 누르면 세정액이 배출구에 위치한 손으로 세정액이 배출되고, 사용자는 양손을 비비거나 문지르면서 손의 세정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세정액부(70)를 설치하므로써 물의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세정부재(30) 및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과 함께 손에 묻은 이물질까지 간편하게 손을 세정할 수 있고, 손의 세정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도록 하여 바쁜 일상속에서도 손을 세정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케이스(20) 외부에 별도의 세정액을 설치하여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손을 세정을 실시하므로써 손의 위생을 더욱 더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세정액부(70)를 설치하므로써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손을 세정할 수 있고, 손의 세정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도록 하여 바쁜 일상속에서도 손을 세정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세정부재(30) 및 세정액부(70)에 의해 손을 세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신체의 미세한 부분까지 세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세정부재(30) 및 세정액부(70) 중 선택하여 손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손세정기(1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이송부재(40)가 동작하면 최초 공급롤(42a)에서 감김롤(42b)로 사용되지 않은 세정부재(30)가 감기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신체부위를 케이스(20)의 개방부(24)로 위치시키게 되면 이송부재(40)는 액추에이터(60)에 의해 풀림과 감김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세정액부(70)는 사용자의 손이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근접되게 위치되면 감지센서(72)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제어부(78)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후, 제어부(78)는 감지센서(72)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응답하여 분사구(76)에 분사신호를 보내고 분사구(76)에서 이 신호를 받아 사용자의 손에 세정액을 분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한 세정부재와 신체와 접촉없이 분사되는 세정액에 의해 손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선택하여 손을 세정을 실시하므로써 손의 위생을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이송부재의 안내롤이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10)는 케이스(20), 세정부재(30), 이송부재(40), 플레이트(50), 액추에이터(60) 및 세정액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20), 세정부재(30), 플레이트(50), 액추에이터(60) 및 세정액부(70) 는 도 2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부재(40)는 한쌍의 이송롤(42)과 안내롤(44) 및 보조롤(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안내롤(44)은 한쌍의 이송롤(42) 즉, 공급롤(42a) 및 감김롤(42b) 사이에서 다수개가 위치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안내롤(44)과 안내롤(44) 사이에는 보조롤(46)이 추가로 위치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안내롤(44)을 다수개 형성하므로써 하나의 안내롤(44)로 손가락 사이를 세정하는 시간에 비해 다수개의 안내롤(44)로 손가락 사이를 세정하는 시간이 더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세정기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케이스 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의 여러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손세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플레이트가 설치된 손세정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세정기에서 이송부재의 안내롤이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세정기 20 : 케이스
22 : 내부공간 24 : 개방부
26 : 이물질 받침부 30 : 세정부재
40 : 이송부재 42 : 이송롤
42a : 공급롤 42b : 감김롤
44 : 안내롤 50 : 플레이트
50a : 제 1 플레이트 50b : 제 2 플레이트
52, 52a, 52b : 수용공간 54 : 격벽
60 : 액추에이터 70 : 세정액부
72 : 감지센서 74 : 세정액통
76 : 분사구 76 : 제어부
삭제

Claims (9)

  1. 정해진 크기의 내부공간(22)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22)과 연통되는 개방부(24)가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스(20)와;
    신체와 접촉하여 세정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위치되며, 정해진 길이를 가져 상기 내부공간(22)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개방부(24)로 노출되는 세정부재(3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부재(30)가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세정부재(30)가 상기 개방부(24)로 노출되도록 상기 세정부재(30)를 이송시키게 되는 이송부재(40) 및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세정부재(30)에 의해 세정되는 이물질을 받치기 위한 이물질 받침부(26)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40)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세정부재(30)가 노출되는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사용자가 손등, 손바닥, 손톱, 손가락을 포함하는 신체부위를 위치시키면서 신체부위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40)는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 되어 상기 정해진 길이의 이송부재(40)의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이송롤(42)을 포함하되,
    상기 한쌍의 이송롤(42) 중 어느 하나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세정부재(30)의 일단부가 다수겹의 롤 형상으로 감겨져 상기 세정부재(30)가 풀려나가게 되는 공급롤(42a)로 사용되고, 상기 한쌍의 이송롤(42) 중 나머지 어느 하나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세정부재(3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상기 공급롤(42a)로부터 풀려나가는 상기 세정부재(30)가 감겨지게 되는 감김롤(42b)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40)는 상기 한쌍의 이송롤(42)이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이송부재(40)는 상기 한쌍의 이송롤(42)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 상에 설치되는 안내롤(44)을 더 구비하여,
    서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상기 한쌍의 이송롤(42)과 안내롤(44)을 통해 상기 세정부재(30)의 이동이 유도되어 상기 세정부재(30)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 상에서 뽀족한 단면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 부위를 포함하는 신체부위의 미세한 세정도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재(40)의 공급롤(42a) 및 감김롤(42b)이 상기 수용공간(52)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노출되는 세정부재(30)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급롤(42a)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플레이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0)는 상기 공급롤(42a) 및 감김롤(42b)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김롤(42b)에 감긴 세정부재(30)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상기 공급롤(42a)에 감긴 세정부재(30)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격벽(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0)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a)을 갖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52a)에 상기 공급롤(42a)이 위치되도록 형성 되는 제 1 플레이트(50a)와;
    상측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2b)을 갖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52b)에 상기 감김롤(42b)이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5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40)의 한쌍의 이송롤(42)을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부(70)는 상기 케이스(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72)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2)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수용하기 위한 세정액통(74)과,
    상기 세정액통(74)과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부(24)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세정액을 분사하므로써 사용자의 손을 세정하도록 하기 위한 분사구(76)와,
    상기 감지센서(72)와 접속되어 상기 감지센서(72)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분사구(76)의 분사시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세정기.
KR2020090011958U 2009-09-11 2009-09-11 손세정기 KR200460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58U KR200460224Y1 (ko) 2009-09-11 2009-09-11 손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958U KR200460224Y1 (ko) 2009-09-11 2009-09-11 손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45U KR20110002745U (ko) 2011-03-17
KR200460224Y1 true KR200460224Y1 (ko) 2012-05-10

Family

ID=4420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958U KR200460224Y1 (ko) 2009-09-11 2009-09-11 손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49B1 (ko) * 2021-06-15 2021-08-31 이희민 열전기 치료를 이용한 재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8645B (zh) * 2016-08-29 2018-09-07 谢兰英 一种节水洗手机
KR102165022B1 (ko) 2020-03-17 2020-10-13 오원철 손 세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52Y1 (ko) 2005-08-26 2005-12-14 김용철 살균 핸드 드라이어
KR200434940Y1 (ko) 2006-09-27 2006-12-28 장일현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KR20080002043U (ko) * 2006-12-18 2008-06-23 강성일 세정액 공급기
KR200441147Y1 (ko) 2007-06-12 2008-07-25 박병성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52Y1 (ko) 2005-08-26 2005-12-14 김용철 살균 핸드 드라이어
KR200434940Y1 (ko) 2006-09-27 2006-12-28 장일현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KR20080002043U (ko) * 2006-12-18 2008-06-23 강성일 세정액 공급기
KR200441147Y1 (ko) 2007-06-12 2008-07-25 박병성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49B1 (ko) * 2021-06-15 2021-08-31 이희민 열전기 치료를 이용한 재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45U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224Y1 (ko) 손세정기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102267894B1 (ko) 종합 손 세정대
KR100743269B1 (ko) 손 소독기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101466865B1 (ko) 이동식 사용기능을 갖는 다기능 손 세정장치
KR20180053847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KR20220103406A (ko) 미세한 부분까지도 세정 가능하도록 한 손소독기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102144257B1 (ko) 세정기능이 구비된 티슈 디스팬서
KR101191973B1 (ko) 좌변기용 변좌 세정액 분사장치
KR20110087516A (ko) 정화기능을 지닌 손소독기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WO2006119430A2 (en) Bid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210887Y1 (ko) 자동 세면장치
KR101675060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변기시트
KR102165022B1 (ko) 손 세정장치
JP2005013481A (ja) トイレ床清掃装置
KR102388649B1 (ko) 자동 손 세척 및 소독기
US20130014340A1 (en) Katy cleaner
JP2000120143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40077209A (ko) 비데기의 세정노즐 살균 소독장치
KR101715602B1 (ko) 살균세정 기능을 갖는 롤휴지 디스펜서
KR200329773Y1 (ko) 비데기용 살균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