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940Y1 -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940Y1
KR200434940Y1 KR2020060026162U KR20060026162U KR200434940Y1 KR 200434940 Y1 KR200434940 Y1 KR 200434940Y1 KR 2020060026162 U KR2020060026162 U KR 2020060026162U KR 20060026162 U KR20060026162 U KR 20060026162U KR 200434940 Y1 KR200434940 Y1 KR 200434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ilter
wash
cas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현
Original Assignee
장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현 filed Critical 장일현
Priority to KR2020060026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용기가 케이스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인출/입되며, 케이스 내부에 수납공간 및 샤워기가 구비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는, 세면공간(124)이 함몰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한 세면용기(120)와,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140)와 세면용기(120)의 일측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세면용기(120)의 회동을 안내하는 링크(130)와, 상기 케이스(140) 일측에 함몰되어 비누 및 샴푸 등이 보관되는 수납공간(14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140)의 일측에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기(146)와, 상기 샤워기(146)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온수조절부(14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측에는, 상기 세면용기(120)에 천공된 배수홀(126)을 통해 낙수되는 오염수를 모으기 위한 드레인팬(17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면대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필터

Description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An opening and shutting type commode for multipurpos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세면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가 닫혀진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하부 내측의 설치 상태도.
도 4b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일구성인 물튐방지막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하부를 차폐하는 배관덮개를 보인 후면 사시도.
도 6a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요부 구성인 필터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b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에서 오염수의 유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120. 세면용기
122. 용기손잡이 124. 세면공간
126. 배수홀 128. 함몰부
130. 링크 140. 케이스
142. 수납칸 143. 수납공간
144. 발열스위치 145. 동작확인램프
146. 샤워기 147. 거치구멍
148. 냉/온수조절부 150. 배관공간
152. 물공급배관 152'. 냉수관
152". 온수관 154. 브라켓
154'. 관수용홈 156. 하수안내관
159. 하수관 160. 배관덮개
162. 고정돌기 164. 덮개손잡이
166. 안착돌기 170. 드레인팬
172. 차단막 174. 고정구
176. 프레임 180. 필터수단
182. 정화통 182'. 정화공간
184. 정화뚜껑 186. 필터
186'. 필터부 188. 필터장착판넬
189. 안착리브 190. 정화수안내관
본 고안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용기가 케이스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케이스 내부에 수납공간 및 샤워기가 구비되어 공간활용도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면장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는 세면장의 벽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세면장의 공간 활용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근래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원룸형 주택의 경우 좁은 공간 내부에 다양한 주거편의시설을 갖추어야 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은 편의시설이 요구되며, 이러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282581에는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세면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세면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면대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1)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된 것으로, 우측단부에는 힌지(2)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 는 벽면(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세면대(1)는 힌지(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며, 상기 힌지(2)를 기준으로 좌측단부가 상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공간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면대(1)의 내부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용수수납부(3)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용수수납부(3)의 우측단에는 경사지게 천공된 배수공(4)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4)은 용수수납부(3)에 수용되었던 오염수는 용수수납부(3)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배수공(4)은 벽면(10)에 매입 또는 노출되게 설치되는 배수관(5)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배수공(4)과 배수관(5)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관으로 형성된 배수연결관(6)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연결관의 양단부는 상기 배수공(4)과 배수관(5)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공(4)을 통해 용수수납부(3) 외부로 배수된 오염수는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세면대(1)의 좌측단부에는 고정부(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8)는 세면대가 힌지(2)를 기준으로 회전시에 벽면(10)에 근접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세면대(1)로부터 상측 벽면(10)에 이격 설치된 고정수단(7)과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세면대(1)가 회전하여 고정부(8)와 고정수단(7)이 서로 끼움 결합되면 상기 세면대(1)는 힌지(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제한되어 세 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7)과 고정부(8)가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면대(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수단(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7)은 우측단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8)를 내부에 수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고정수단(7)의 상단부를 우측으로 밀어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수단(7)과 고정부(8)의 구속을 해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배수연결관(6)은 세면대(1)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벽면(10)에 세워졌을 때 상기 세면대(1)의 바닥면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면대(1) 상측에 설치된 선반(12)과 벽면에 설치된 수도꼭지(9)는 세면대와 별개로 설치되므로 설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공(4)을 통해 배수되는 오염수는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배수관(5)을 따라 안내되어 배수되므로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면대가 케 이스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인출/입되며, 케이스 내부에 수납공간 및 샤워기가 구비되어 공간활용도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면대에서 배수되는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되어 환경오염이 방지되도록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는, 세면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한 세면용기와, 상기 세면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와 세면용기의 일측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세면용기의 회동을 안내하는 링크와, 상기 케이스 일측에 함몰되어 비누 및 샴푸 등이 보관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기와, 상기 샤워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온수조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면용기의 하측에는, 상기 세면용기에 천공된 배수홀을 통해 낙수되는 오염수를 모으기 위한 드레인팬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면용기의 후단부에는, 상기 드레인팬으로 낙수된 오염수가 케이스 외부로 튀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단막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의 하측에는, 다수개 배관이 설치되는 배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배관공간 내부 일측에는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수단은, 전/후로 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정화공간이 형성된 정화통과, 상기 정화통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정화뚜껑과, 상기 정화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통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정화통 내부로 돌출되어 필터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필터의 하중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안착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는 정화공간을 상/하로 구획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팬의 바닥면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세면대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가 닫혀진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100, 이하 '세면대'라고 칭함)는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크게 전면 외관의 대부분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필요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세면용기(120)와, 상면 및 좌우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면용기(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세면용기(120)의 좌/우측면에는 세면용기(120)가 케이스(14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130)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130)는 선단부가 세면용기(12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링크(130)의 후단부는 상기 케이스(140)의 내부 좌/우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130)는 세면용기(1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세면용기(12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세면용기(120)가 링크(130)에 의해 회전이 안내되면 상기 세면용기(120)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케이스(14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링크(130)는 세면용기(120)를 인출시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면용기(120)의 전면(도 2에서 볼 때) 상부에는 세면용기(120)를 개방시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용기손잡이(122)가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손잡이(122)를 파지한 후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세면용기(120)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케이스(140)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세면용기(1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면(도 3에서 볼 때)은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세면공간(12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면공간(124)의 바닥면 후단에는 상기 세면공간(124)에 모인 물(오염수)가 하수관(도 6b의 도면부호 159)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수홀(126)이 천공 형성되며,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배수홀(126)에는 세면공간(124) 내부의 물이 필요시에만 배수홀(126)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차폐하는 마개가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세면용기(120)의 전면 상단부에는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함몰부(128)가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128)는 사용자가 세면용기(120)에서 머리를 감기 위해 허리를 숙였을 때 안면이 부딪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 또는 목 둘레와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140)는 전면이 후방으로 함몰되며, 상기 케이스(140)의 전면 좌측 상부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후방으로 함몰된 수납칸(14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칸(142)은 수납공간(143)을 형성하여 내부에 샴푸나 비누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편의공간으로서, 상기 수납공간(143)에 수납된 샴푸나 비누가 너무 깊이 수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칸(142)의 전면 좌측에는 발열스위치(144)가 구비된다. 상기 발열스위치(144)는 상기 수납공간(143)에 수납된 샴푸나 비누가 차가워져 사용자가 이를 사용시에 감성불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즉, 도면상으로 확인되진 않지만 상기 수납공간(143)의 외측에는 상기 발열스위치(144)가 온(on)시에 선택적으로 발열하는 발열체가 구비된다. 상기 발열체는 수납공간(143)을 데울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어떠한 것도 적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열선을 적용하여 상기 수납공간(143) 외측을 권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발열스위치(144)에서 이격된 하측에는 동작확인램프(145)가 구비된다. 상기 동작확인램프(145)는 발열스위치(144)가 전원 온(on)시에 발열체(미도시)에 전원 인가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지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40)의 내부 우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납칸(142)의 우측에는 샤워기(146)와 냉/온수조절부(148)가 구비된다. 상기 샤워기(146)는 냉/온수조절부(148)의 작동시 냉/온수가 나오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샤워기(146)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샤워기(146)는 케이스(140)의 전면에 천공된 거치구멍(147)에 거치되며, 상기 샤워기(146)에 연결된 샤워호스(미도시)는 아래에서 설명할 물공급배관(도 4a의 도면부호 152)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샤워기(146)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샤워기(146)는 샤워호스와 함께 거치구멍(147)으로부터 인출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온수조절부(148)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킨 후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샤워기(146)에는 물공급배관(152) 및 샤워호스를 따라 안내된 물이 분사되며 물의 온도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40)의 하부에는 물공급배관(152) 등이 설치되도록 배관 공간(도 4a의 도면부호 150)이 구비되며, 상기 배관공간(1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관공간(150)의 전방에는 배관덮개(160)가 차폐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배관공간(150) 및 배관덮개(160)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하부 내측의 설치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일구성인 물튐방지막이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하부를 차폐하는 배관덮개(160)를 보인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공간(150)은 다수개의 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관공간(150)의 우측 후면에는 앞서 언급한 물공급배관(152)이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배관(152)은 냉수와 온수가 상기 샤워기(146)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냉수관(152')과 온수관(15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냉수관(152')과 온수관(152")은 브라켓(154)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브라켓(154)의 좌/우측에는 상기 냉수관(152')과 온수관(152")이 끼워지도록 관수용홈(154')이 형성되며, 상기 관수용홈(154')은 냉수관(152')과 온수관(152")의 외경과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관수용홈(154') 내부에 냉수관(152')과 온수관(152")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154)이 배관공간(150)의 후면에 체결부재(미도시) 등으로 고 정되면, 상기 냉수관(152')과 온수관(152")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관공간(150)의 내부 천장은 드레인팬(170)이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드레인팬(170)은 세면용기(120)가 도 2와 같이 케이스(140)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단부에 위치한 것으로, 상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배수홀(126)을 통해 배수된 오염수가 배관공간(150)으로 낙수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70)은 배관공간(150)의 횡단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70)은 좌측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배수홀(126)을 통해 세면공간(124)으로부터 빠져나온 오염수가 드레인팬(170)에 낙수될 때 경사면을 따라 좌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드레인팬(170)의 좌측 하면에는 상기 드레인팬(170)에 집수된 오염수가 하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하수안내관(156)이 구비된다. 상기 하수안내관(156)은 드레인팬(170)에 집수된 오염수가 아래에서 설명할 하수관(도 6a의 도면부호 159)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꼬불꼬불하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상기 하수안내관(156)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 중에서 무거운 이물들이 모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안내관(156)을 통해 하수도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드레인팬(17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홀(126)을 통해 배수된 오염수가 드레인팬(170) 상면으로 낙수될 때 전방으로 튀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막(172)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막(172)은 물이 스며들지 않는 방수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세면용기(120)의 좌/우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172)은 세면용기(120)가 도 3과 같이 개방시에 오염수의 튀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즉, 상기 세면용기(120)가 링크(13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면 상기 세면용기(120)의 후단부는 닫힌 상태보다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차단막(172)은 도 4b와 같이 하측으로 드리워짐으로써 상기 드레인팬(170)의 상측공간이 전방으로 완전히 차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레인팬(170)의 전방 좌/우측에는 고정구(17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174)는 전술한 배관덮개(160)의 상부를 구속하여 배관덮개(160)가 전방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배관공간(150)의 전면에 설치된 프레임(176)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구(174)는 배관덮개(160)의 후면(도 5에서 볼 때 전면) 상부 좌/우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62)와 끼움 결합되며 상기 고정돌기(162)가 끼워졌을 때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고정돌기(162)에 구속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덮개(160)의 상단부 중앙에는 덮개손잡이(164)가 구비된 다. 상기 덮개손잡이(164)는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여 형성된 것으로,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
Figure 112006070481516-utm00001
'모양의 종단면을 가진다.
상기 덮개손잡이(164)는 사용자가 필요시에 배관공간(150)을 개방하고자 할 때 파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덮개손잡이(164)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62)와 고정구(174)는 구속이 해지되며, 상기 배관덮개(160)는 케이스(140)의 전방으로 탈거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관덮개(160)의 전면(도 5에서 볼 때) 하부 좌/우측에는 안착돌기(166)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돌기(166)는 배관덮개(16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176)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안착돌기(166)는 도 5의 좌측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70481516-utm00002
'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하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프레임(176)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관덮개(160)를 하방향으로 내리면서 상기 안착돌기(166) 내부에 프레임(176)이 삽입되면 상기 배관덮개(160)는 프레임(176)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며, 이후 사용자가 상기 배관덮개(160)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62)와 고정구(174)는 서로 구속력을 발생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관덮개(160)는 도 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배관공간(150)의 대략 중앙부에는 필터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수단(180)은 하수안내관(156)을 통해 유동하는 오염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수안내관(156)과 하수관(159)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하수안내관(156)을 따라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낸 후 정화된 물을 상기 하수관(159)으 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수단(180)의 구성을 첨부된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요부 구성인 필터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에서 오염수의 유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수단(180)은 전/후로 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정화공간(182')이 형성된 정화통(182)과, 상기 정화통(182)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정화뚜껑(184)과, 상기 정화통(18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공간(182')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1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화통(182)은 전방이 개구되어 상기 정화뚜껑(18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정화통(182)의 외주면 좌측에는 상기 하수안내관(156)의 우측단부가 누설되지 않은 상태로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통(182) 내부 즉, 상기 정화공간(182') 내부에는 상기 하수안내관(156)을 따라 우측으로 유동한 오염수가 유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통(182)의 외주면 하측에는 상기 정화공간(182')과 하수관(159)을 연통시키는 정화수안내관(19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공간(182')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필터(186)에 의해 이물이 걸러진 오염수는 상기 정화수안내관(190)을 통해 하수관(159) 내부로 유입된다.
물론 상기 하수관(159)은 도시되진 않았지만 건물 지하에 매설된 하수도관과 연결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정화통(182)의 외주면 상측에는 필터장착판넬(188)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장착판넬(188)은 필터수단(18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정화통(182)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176)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수단(180)이 필터장착판넬(188)에 결합된 후 상기 필터장착판넬(188)의 상면이 프레임(176)에 고정되면 상기 필터수단(180)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화통(182) 내주면 좌/우측에는 상기 필터(186)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안착리브(189)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리브(189)는 부채꼴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기 정화통(18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안착리브(189) 상면에 필터(186)의 하면 좌/우측에 접촉한 상태로 안착되면 상기 필터(186)는 정화공간(18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186)는 전면이 대략 타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화공간(182')의 전/후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186)의 좌/우측 외면은 상기 정화공간(18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필터(186)는 좌/우측 하면이 안착리브(189)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정화공간(182')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인입되면 상기 필터(186)는 정화공간(182')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하수안내관(156)을 통해 정화 공간(182')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를 누설없이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필터(186)의 상면은 하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필터(186)의 바닥면은 이물만을 선택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망 모양의 필터부(186')에 의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수안내관(156)을 통해서 정화공간(182')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정화공간(182')을 상/하로 구획하는 필터(186)의 상면에 낙수되며, 상기 필터(186) 상면에 낙수된 오염수는 필터부(186')에 의해 이물만 선택적으로 걸러짐으로써 찌꺼기가 제거된 상태의 오염수만 상기 정화수안내관(190)을 통해 하수관(159)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의 작용 및 물의 유동 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6b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상기 세면용기(120)가 케이스(140)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면대(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용기손잡이(122)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세면용기(120)는 링크(130)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도 3과 같이 개방된다. 즉, 상기 세면공간(124)이 상부로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냉/온수조절부(148)를 조절하여 좌/우로 회전하여 물의 수온을 조절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샤워기(146)에는 물이 분사되어 사용자는 세면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40)의 전면 좌측에는 수납공간(14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납공간(143)에 수납되어 있는 비누, 샴푸 등을 꺼내 사용하면 된다.
물론 상기 세면공간(124)을 사용시에 샤워기(146)에서 분사된 물이 배수홀(126)을 통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배수홀(126)에 마개를 막아 사용 가능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수홀(126)을 막지 않고도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동절기에 샴프와 비누가 차가워져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으면, 상기 발열스위치(144)를 작동시켜 샴프와 비누를 따뜻하게 보관함으로써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마개를 이용하여 배수홀(126)을 막은 상태로 사용한 이후에는 상기 마개를 인출함으로써 상기 세면공간(124) 내부의 오염수가 배수홀(126)을 통해 상기 드레인팬(170) 상면으로 낙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레인팬(170) 상면에 낙수된 오염수는 드레인팬(170)에 집수되며, 낙차에 의해 튀겨지더라도 상기 차단막(172)에 의해 전방향으로는 유동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세면대(100) 외부로는 오염수의 누설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드레인팬(170)에 집수된 오염수는 드레인팬(170)의 상면을 따라 좌측으로 유동한 후 상기 하수안내관(156)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상기 하수안내관(156)으로 배수된 오염수 중에 포함된 무거운 이물 예컨대 모레 등은 상기 하수안내관(156)의 하측에 모이게 되며, 무거운 이물이 제거된 오염수는 상기 필터수단(180) 내부로 유입된다.(도 6b 화살표 참조)
상기 필터수단(180)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는 상기 필터(186)의 상면으로 낙수되며, 오염수 내부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가벼운 이물은 상기 필터부(186')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반면 상기 필터부(186')를 통과한 오염수는 상기 정화수안내관(190)을 따라 상기 하수관(159)으로 배출된다.
상기 세면대(100)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필터부(186')에는 많은 이물이 적재되어 오염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수단(180) 내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필터부(186') 상면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2와 같이 상기 배수공간이 차폐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덮개손잡이(164)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74)와 고정돌기(162)는 구속이 해지되며, 상기 배관덮개(160)는 안착돌기(166)를 기준으로 상부가 전방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덮개손잡이(164)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안착돌기(166) 내부에 삽입된 프레임(176)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돌기(166)와 프레임(176)이 서로 분리되면 상기 배수덮개는 케이스(140)의 하부 전면으로부터 탈거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배수공간은 도 4b와 같이 전방이 개방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정화뚜껑(184)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정화공간(182')을 개방한 후에 상기 필터(186)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인출하게 된다. 상기 필터(186)가 인출되면 사용자는 필터부(186') 상면에 모여 있는 이물을 비운 후 세 제 등을 이용하여 깨끗이 세정한 후 다시 상기 정화공간(182') 내부에 필터(186)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186)의 좌/우측 하면은 상기 안착리브(189)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하게 되며, 상기 안착리브(189)에 안내되어 삽입된 필터(186)는 상기 정화공간(182')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정화공간(182') 내부에 필터(186)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정화뚜껑(184)을 풀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정화공간(182')을 차폐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안착돌기(166) 내부에 프레임(176)을 삽입한 후 상기 배관덮개(160)를 후방으로 밀어 고정돌기(162)와 고정구(174)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배관덮개(160)는 배관공간(150)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에서는, 세면용기가 케이스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인출/입되며, 케이스 내부에는 비누, 샴푸 등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샤워기 및 냉/온수조절부도 동시에 구비된다.
따라서, 세면용기를 인출시에 다양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면대를 사용시에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세면용기를 인입시에 외관에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세면용기에서 배수되는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하수관으로는 필터에 의해 이물이 제거된 오염수만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이점들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세면공간(124)이 함몰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한 세면용기(120)와,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스(140)와,
    상기 케이스(140)와 세면용기(120)의 일측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세면용기(120)의 회동을 안내하는 링크(130)와,
    상기 케이스(140) 일측에 함몰되어 비누 및 샴푸 등이 보관되는 수납공간(14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140)의 일측에는,
    물이 분사되는 샤워기(146)와,
    상기 샤워기(146)에서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온수조절부(14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용기(120)의 하측에는,
    상기 세면용기(120)에 천공된 배수홀(126)을 통해 낙수되는 오염수를 모으기 위한 드레인팬(17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용기(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드레인팬(170)으로 낙수된 오염수가 케이스(140) 외부로 튀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단막(17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170)의 하측에는,
    다수개 배관이 설치되는 배관공간(150)이 형성되며, 상기 배관공간(150) 내부 일측에는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수단(18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180)은,
    전/후로 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정화공간(182')이 형성된 정화통(182)과,
    상기 정화통(182)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정화뚜껑(184)과,
    상기 정화통(18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공간(182')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18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통(182)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정화통(182) 내부로 돌출되어 필터(186)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필터(186)의 하중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안착리브(189)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86)는 정화공간(182')을 상/하로 구획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8.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170)의 바닥면은 일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KR2020060026162U 2006-09-27 2006-09-27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KR200434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62U KR200434940Y1 (ko) 2006-09-27 2006-09-27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162U KR200434940Y1 (ko) 2006-09-27 2006-09-27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940Y1 true KR200434940Y1 (ko) 2006-12-28

Family

ID=4178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62U KR200434940Y1 (ko) 2006-09-27 2006-09-27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9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24Y1 (ko) 2009-09-11 2012-05-10 김지연 손세정기
KR102653495B1 (ko) * 2022-10-05 2024-03-29 서병수 세면대 거치형 건식 다기능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24Y1 (ko) 2009-09-11 2012-05-10 김지연 손세정기
KR102653495B1 (ko) * 2022-10-05 2024-03-29 서병수 세면대 거치형 건식 다기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US8239982B2 (en) Openable twin tank flush box using recycled water
KR101299122B1 (ko) 벽체 내장형 접이식 양변기
US20090133185A1 (en) Toilet seat cleaning system
CN206847431U (zh) 一种热回收装置
KR200434940Y1 (ko) 다목적 여닫이식 세면대
KR100816677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CN206486952U (zh) 一种方便使用的马桶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CN106522324A (zh) 一种方便使用的马桶
CN206448313U (zh) 一种便于使用的洗手装置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5597845B2 (ja) サイフォン式トラップおよび家具
KR101119730B1 (ko) 매립형 수전 분배기
CN219961613U (zh) 一种具有自动冲洗功能的猫砂盆
CN206554190U (zh) 一种方便使用的蹲便装置
JP2018134456A (ja) 仮設トイレ
US6581218B1 (en) Water conservation apparatus
CN206554189U (zh) 一种节水型马桶
JPH07532Y2 (ja) 洗面化粧台
CN211186978U (zh) 一种卫生间镜柜、抽纸盒、烘手机一体化系统
JP2000060759A (ja) 給水カラン付カウンター
JPS6129359Y2 (ko)
CN107288180B (zh) 卫浴装置及加装卫浴房
JP3210261U (ja) 仮設トイ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