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730B1 - 매립형 수전 분배기 - Google Patents

매립형 수전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730B1
KR101119730B1 KR1020090080874A KR20090080874A KR101119730B1 KR 101119730 B1 KR101119730 B1 KR 101119730B1 KR 1020090080874 A KR1020090080874 A KR 1020090080874A KR 20090080874 A KR20090080874 A KR 20090080874A KR 101119730 B1 KR101119730 B1 KR 10111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hot water
faucet
distributo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607A (ko
Inventor
원성문
Original Assignee
원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성문 filed Critical 원성문
Priority to KR102009008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7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03C1/023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with flow distribution, e.g. diver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는 분배기에서 각 수전에 벽체를 통해 냉,온수관을 직접 연결하도록 하면서 분배기 내부에서 각 냉,온수관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으면서 각 수전의 오수를 모아 하나의 오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매립되면서 전면에 뚜껑을 갖는 분배기(10)는 내부에 횡열로 냉수 분배관(20) 및 온수 분배관(30)을 각각 구비하여 냉수 분배관(20)에 냉수 주관(40)을 연결하고 온수 분배관(30)에 온수 주관(50)을 각각 연결하며, 상기 냉수 분배관(20) 및 온수 분배관(30)에 각 수전으로 각각 냉,온수를 보낼 수 있도록 여러개의 분기관(21,31)을 연결하도록 한 매립형 수전 분배기로서, 상기 분배기(10)의 어느 한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측벽에 체결부재(80)로 지지하는 오수 유입조(60)를 구비하여 오수 유입조(60)의 한 측으로 세면기, 욕조 등에서 나오는 오수를 유입시키는 각 오수 유입관(71)을 연결하고 오수 유입조(60)의 타측에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수관(72)을 연결하여 각 수전에서 나오는 오수를 오수 유입조(60)로 유입시킨 후 하나의 오수 배수관(7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수전 분배기, 매립형, 오수 유입조

Description

매립형 수전 분배기{landfill type water distributer}
본 발명은 매립형 수전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벽체에 매립된 상태에서 한 라인으로 유입되는 냉,온수를 세면기, 욕조 등의 각 수전에 분배하면서 동시에 각 수전에서 나오는 오수를 통과시키어 배수하도록 하는 배수전을 갖도록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하나의 냉온수라인을 분배라인에 의하여 욕실, 주방, 세면실, 베란다 등으로 각각 공급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욕실에는 세면기, 욕조, 변기 등 많은 수전을 설치하고 있고 각 수전에 연결하도록 벽체에 냉,온수관이 각각 인출되어져 있고 각 냉,온수관을 세면기, 변기 등의 수전에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음에 따라 시공할 때 각 수전마다 일일히 연결하여 연결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웠다.
뿐만 아니라 수전의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에 위치한 냉,온수관에 개폐밸브를 함께 연결하여 수전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냉,온수관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으나 연결부품들이 외관으로 노출되어 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청소하는데 번거롭고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며, 시공비의 상승등을 가져오는 등 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세면기, 욕조 등에서 나오는 오수는 욕실의 바닥에 매립된 배수트랩을 거쳐 배수하도록 하고 있으나 유지 보수하는데 번거롭고 비위생적일 뿐마 아니라 교환이나 수리할 경우 과다한 비용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벽체에 매립되는 분배기에서 각 수전에 벽체를 통해 냉,온수관을 직접 연결하도록 하면서 분배기 내부에서 각 냉,온수관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에 각 수전에서 나오는 오수를 모아지게 하여 하나의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면서 각 오수에 포함하는 이물질인 머리카락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수전 분배기는 벽체에 매립되는 분배기로 유입되는 냉,온수관을 각 분배관에 연결하여 각 수전에 냉,온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로서, 상기 각 분배관을 통해 수전으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단위 냉,온수관에 각각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각 수전으로 공급되는 냉,온수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배기의 내부에 각 수전으로부터 배수되는 오수를 모아 하나의 배수관 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오수 유입조를 체결부재로 분배기 내부에 설치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하나의 배수관으로 배수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분배기에서 각 냉,온수관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벽면의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각 수전에 냉,온수관을 공급함으로써 외관상 미려하고 시공비가 상당히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분배기에 각 수전에서 나오는 오수를 모아 배수함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매립상태에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오수 유입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와 같이, 벽면에 매립되는 함체 형상의 분배기(10)에 전면으로 개폐되면서 노출되는 뚜껑(11)을 구비한다.
상기 분배기(10)는 내부 적정위치에 횡열로 냉수 분배관(20) 및 온수 분배관(30)을 각각 구비하여 냉수 분배관(20)에 냉수 주관(40)을 연결하고 온수 분배관(30)에 온수 주관(50)을 각각 연결하여 냉,온수를 각각 냉,온수 분배관(20,3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냉수 분배관(20) 및 온수 분배관(30)에 각 수전인 세면기, 욕조, 변기 등으로 각각 냉,온수를 보낼 수 있도록 여러개의 분기관(21,31)을 연결하도록 하며, 상기 분기관(21,31)이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개폐밸브(22,32)를 구비하여 각 분기관(21,31)으로 배기되는 냉,온수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각 수전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경우 분배기(10)의 뚜껑을 열어 해당되는 수전의 냉,온수라인에 개폐밸브(22,32)를 잠궈 교체나 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배기(10)의 어느 한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측벽에 체결부재(80)로 지지하는 오수 유입조(60)를 구비하여 오수 유입조(60)의 한측으로 세면기, 욕조 등에서 나오는 오수를 유입시키는 각 오수 유입관(71)을 연결하고 오수 유입조(60)의 타측에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수관(72)을 연결하여 각 수전에서 나오는 오수를 오수 유입조(60)로 유입시킨 후 하나의 오수 배수관(7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오수 유입조(60)는 내부에 머리카락 등을 걸러내는 이물질 걸름대(90)를 탈착할 수 있도록 끼워져 오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을 때 오수 유입조(60)에서 이물질 걸름대(90)를 분리하여 머리카락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오수 유입관(71)을 통해 오수 유입조(60)에 유입되는 오수는 내부에 위치한 이물질 걸름대(90)를 거치면서 오수 배출관(72)을 통해 빠져 나갈 때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 걸름대(90)에 자연히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80)는 분배기(10)의 측벽 외부에서 끼워지는 볼트(81)에 너트(82)로 조임하여 고정하고 볼트(81)의 나사부에 체결캡(83)을 끼운 상태에서 다시 너트(82')를 체결한 후 체결캡(83)에 오수 유입조(60)의 입구를 나사체결로 지지되도록 하여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매립상태에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오수 유입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분배기 20: 냉수 분배관
30: 온수 분배관 40: 냉수 주관
50: 온수 주관 60: 오수 유입조
90: 이물질 걸름대

Claims (3)

  1. 삭제
  2. 벽면에 매립되면서 전면에 뚜껑을 갖는 분배기(10)는 내부 적정위치에 횡열로 냉수 분배관(20) 및 온수 분배관(30)을 각각 구비하여 냉수 분배관(20)에 냉수 주관(40)을 연결하고 온수 분배관(30)에 온수 주관(50)을 각각 연결하여 냉,온수를 각각 냉,온수 분배관(20,30)에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냉수 분배관(20) 및 온수 분배관(30)에 각 수전으로 각각 냉,온수를 보낼 수 있도록 여러개의 분기관(21,31)을 연결하도록 한 매립형 수전 분배기로서,
    상기 분배기(10)의 어느 한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측벽에 체결부재(80)로 지지하는 오수 유입조(60)를 구비하여 오수 유입조(60)의 한 측으로 세면기, 욕조 등 에서 나오는 오수를 유입시키는 각 오수 유입관(71)을 연결하고 오수 유입조(60)의 타측에 외부로 오수를 배출하는 오수 배수관(72)을 연결하여 각 수전에서 나오는 오수를 오수 유입조(60)로 유입시킨 후 하나의 오수 배수관(7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유입조(60)의 내부에 머리카락 등을 걸러내는 이물질 걸름대(90)를 탈착할 수 있도록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수전 분배기.
KR1020090080874A 2009-08-26 2009-08-26 매립형 수전 분배기 KR101119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74A KR101119730B1 (ko) 2009-08-26 2009-08-26 매립형 수전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874A KR101119730B1 (ko) 2009-08-26 2009-08-26 매립형 수전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607A KR20110021607A (ko) 2011-03-04
KR101119730B1 true KR101119730B1 (ko) 2012-03-23

Family

ID=4393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874A KR101119730B1 (ko) 2009-08-26 2009-08-26 매립형 수전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3924B2 (ja) 2016-06-23 2020-04-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調整用の支援装置、プラズマ調整方法及び記憶媒体
JP7067913B2 (ja) 2017-12-13 2022-05-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807A (ko) * 2004-10-04 2005-04-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80071239A (ko)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피아이피 방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807A (ko) * 2004-10-04 2005-04-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80071239A (ko)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피아이피 방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607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984Y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119730B1 (ko) 매립형 수전 분배기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0748404B1 (ko) 세정기능을 구비한 배수트랩 자동 급수장치
KR20160107569A (ko) 공용시설의 절수시스템
JPH08134971A (ja) 排水経路が二つある水道設備
KR20150002057U (ko) 세면수 재활용 변기 세척밸브절수장치
KR101304302B1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100895271B1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1204660B1 (ko) 세면기 물의 재활용 장치
JP3116422U (ja) 排水供給切替装置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JPH038933A (ja) 住居用水再利用装置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JPH038934A (ja) 住居用水再利用装置
KR200173540Y1 (ko) 배수관용 악취차단 슬리브
CN103669506A (zh) 厕所专用节水柜
KR200204931Y1 (ko) 배수장치
KR200235702Y1 (ko) 화장실 변기 세척을 위한 싱크대 오수 공급 장치
AU2006202133A1 (en) Grey Water System
RU2453660C2 (ru) Система экономии воды для внутридомовых водопроводов и подобных сетей
KR20150030186A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