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87Y1 - 자동 세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87Y1
KR200210887Y1 KR2020000021080U KR20000021080U KR200210887Y1 KR 200210887 Y1 KR200210887 Y1 KR 200210887Y1 KR 2020000021080 U KR2020000021080 U KR 2020000021080U KR 20000021080 U KR20000021080 U KR 20000021080U KR 200210887 Y1 KR200210887 Y1 KR 200210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shing
soap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완수
박용성
Original Assignee
소완수
박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완수, 박용성 filed Critical 소완수
Priority to KR2020000021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87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비누나 수건등의 부대용품이 필요없이 위생적으로 손 세척은 물론 세면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물과 비누물이 소정간격으로 분사되고, 건조하는 과정을 한 사이클내에서 이루어지는 장치를 기존의 세면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에 구애됨이 없이 가정이나, 공공장소, 관공소, 일반건물등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활동이 불편한 지체부자유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들이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세면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효과적으로 물의 소비량을 줄일수 있는 자동 세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면대 상부의 벽면에 설치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그 일측은 수도관의 입구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타측에는 제1 내지 제3 포트가 형성되어 3방향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3웨이 밸브; 그 일측이 상기 3방향 밸브의 배출포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물공급수단의 일측에 위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수단; 상기 물공급수단의 타측에 위치되며 세척된 손의 투입에 따라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송풍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물공급수단, 물비누공급수단 및 송풍수단의 전반적인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손세척 및 세면선택에 따라 물공급과 물비누공급이 소정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세면장치{A auto washer}
본 고안은 손 세척 및 세면을 겸할 수 있는 자동 세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설치된 세면기에 부착되어 비누나, 수건등의 용품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물과 비누물이 소정간격으로 분사되고, 건조하는 과정이 한 사이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 세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들이 많이 드나드는 공원과 같은 각종 공공장소나 관공서, 일반 음식점이나 오락장이 임대되어 있는 상가건물등에는 편의시설의 일종으로 세면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세면시설에는 세면대 및 수도장치를 비롯하여 비누 및 수건등의 용품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손 세척 및 세면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세면시설은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비누가 놓이는 주변의 청소를 자주 해야 하고, 또 수건등은 자주 교체하여야만 세면장소가 지저분해지지 않는다. 그래서, 세면시설이 갖추어져 있는 곳에는 상기 세면장소가 항상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경을 많아 쓰고 있으며, 또한 별도의 관리인원을 두는 곳도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공장소나 관공서에서의 세면시설은 상기의 음식점이나 오락장에 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기 때문에 비누가 쉽게 소비되고, 또한 수건도 쉽게 더러워지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위생관리원이 채용되어 수시로 관리하고 있기는 하나, 상기 위생관리원만으로는 공공장소의 세면시설을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할 공공장소에서의 청결도가 저하되고 있으며, 상기 위생관리원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는 대중의 공중문화의식에 의존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세면대에서 손이나 얼굴을 씻을 경우, 수돗물이 그대로 배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누를 칠하기 때문에 수자원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의 세면시설은 일반 국민의 평균 체형에 맞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인이나 노약자, 어린이들에게는 이용상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일예로서, 종래에는 화장실에 별도로 손 건조장치가 설치되어 손세척후 자동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안되어 수건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세면대 주위의 청결을 유지하는데는 역부족이었으며, 수돗물의 낭비를 방지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안되어 있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원출원인에 의한 특허 제 99-14760호에서는 공공장소에서 설치된 세면시설 주위의 환경을 청결히 하면서 절수가 가능한 자동세수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장치는 부피가 크고 간이적으로 설치되는 이동식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의 세면대에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노약자, 어린이들에게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그대로 갖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누나 수건등의 부대용품이 필요없이 위생적으로 손 세척은 물론 세면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장치를 기존의 세면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가정이나, 공공장소, 관공소, 일반건물등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저렴한 자동세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활동이 불편한 지체부자유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높이등의 설치가 가능하며,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 세면을 할 수 있는 자동 세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과 비누물이 소정간격으로 분사되고, 건조하는 과정을 한 사이클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물의 소비량을 줄일수 있는 자동 세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공급경로상에 음향시설을 설치하여 손세척이나 세면도중에 공익광고방송이나 제품회사 소개등 다양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세면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세면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2a 내지 도2d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세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프레임 2: 간격지지대
3, 4: 손감지센서 5: 콘트롤 박스
6: 스위칭박스 11: 3웨이밸브
12: 주공급라인 13: 바이패스라인
14: 배수라인 15: 제1 솔레노이드 밸브
16: 제1 펌프 17: 수동전환레버
18: 위치검출 리미트 스위치 21: 물비누 저장용기
22: 물비누공급관 23: 제2 솔레노이드 밸브
24: 제2 펌프 25: 수동조작밸브
31: 열교환유니트 32: 물분사노즐
33: 물비누 분사노즐 34: 조명램프
41: 터치바 51, 52: 제1 및 제2 선택스위치
53: 제3 선택스위치 54: 작동램프
65: 스피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면대 상부의 벽면에 설치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그 일측은 수도관의 입구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타측에는 제1 내지 제3 포트가 형성되어 3방향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3웨이 밸브; 그 일측이 상기 3방향 밸브의 배출포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물공급수단의 일측에 위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수단; 상기 물공급수단의 타측에 위치되며 세척된 손의 투입에 따라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송풍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물공급수단, 물비누공급수단 및 송풍수단의 전반적인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손세척 및 세면선택에 따라 물공급과 물비누공급이 소정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세면장치는 물, 물비누 및 건조공기가 소정시간동안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비누와 수건등의 용품을 구입하지 않고도 손세척, 세면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지체부자유 장애인이나 노약자등이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손 세척 및 세면에 따른 물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대 상부의 벽면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각종 제반기기를 탑재시켜 지지하기 위한 본체프레임(1)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은 'ㄴ'자 형상의 패널과 같은 간격지지대(2)를 매개로 벽면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세면대 주변 청소시에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며, 또 벽면에 설치된 거울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상의 지지프레임(2)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을 벽면에 고정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 밖에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면에 걸이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벽면에 지지핀이나 후크편을 설치하여 상기 벽면과 본체프레임이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벽걸이 형식으로 걸어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의 구조와 같이 벽면에 본체프레임을 설치하는 변형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본체프레임(1)의 하단부 소정위치에는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손감지센서(3, 4)가 장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손감지센서(3, 4)는 본체프레임(1)의 하단부 양측위치 즉, 물공급부와 브로어 설치위치에 설치되어 손의 투입상태를 감지하여 후술할 콘트롤 박스에 송출하게 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내에는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10),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부(120), 물과 물비누를 분사하는 분사부(130) 및 세척된 손을 건조시키기 위한 브로어(140)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110)는 그 일단부가 수도관의 입구에 설치되며 타단부에는 제1 내지 제3 배출포트가 형성되어 3방향 개폐기능을 하는 3웨이 밸브(11)와, 상기 3웨이 밸브(11)의 제1포트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주공급라인(12)과, 상기 3웨이밸브(11)의 제2 포트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13)과, 상기 3웨이밸브(11)의 제3포트에 연결된 배수라인(14)과, 상기 주공급라인(12)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와,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15)의 후단측 배관라인에 설치되며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구동하는 제1펌프(16)와, 상기 3웨이 밸브(11)의 입구포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15)나 제1펌프(16)의 작동오류 또는 전원공급이 이룽지지 않을 경우 주공급라인(12)에서 바이패스라인(13)으로 물공급경로를 변환시키는 수동전환레버(17)와, 상기 3웨이밸브(11)와 수동전환레버(17)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동전환레버(17)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 리미트 스위치(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검출 리미트 스위치(18)는 그의 감지신호에 따라 후술할 콘트롤 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각종 제반기기의 작동을 멈추고, 전과정이 리셋되도록 하기위한 기능을 한다.
상기 물비누 공급부(120)는 상기 본체프레임(1)의 일측 공간부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 손잡이(21a)가 구비된 물비누 저장용기(21)와, 상기 물비누 저장용기(21)의 하부 배출구에 설치된 물비누공급관(22)과, 상기 물비누 공급관(22)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면서 물비누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와,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의 후단측 배관라인에 설치되며 물비누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구동하는 제2 펌프(24)와,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 전측의 물비누 공급관(22)에 설치되어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의 작동오류시나 물비누보충시 또는 세제통 청소시에 수동조작으로 물비누의 공급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수동조작밸브(25)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부(130)는 상기 물공급부(110)의 배관라인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손세척이나 세면에 적당한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한 열교환 유니트(31)와, 상기 열교환유니트(31)의 일측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그를 통과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32)과, 상기 물분사노즐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펌프(24)의 출구에 연결되어 그를 통해 공급되는 물비누를 분사하기 위한 물비누분사노즐(33)과, 상기 열교환유니트(31)의 저면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분사노즐(33)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램프(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램프(34)는 외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소정시간, 즉 세수 및 세면시간동안만큼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 유니트(31)의 내부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로어(140)는 열교환 유니트(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손감지센서(4)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건조공기를 손측으로 송풍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의 하부 소정위치에는 물의 공급후 소정량의 물이 더 필요할 경우 재공급해주기 위한 터치바(41)가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세수 또는 세면후 물이 부족함을 느낄 때, 상기 터치바(41)를 작동시킴에 따라 감지된 신호가 후술할 콘트롤 박스에 인가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는 소정시간동안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를 각 기기에 송출하여 아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1)의 내부 상측에는 각종 기기의 제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 박스(5)와, 스위칭박스(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박스(6)에는 세수 및 세면 선택을 위한 제1 및 제2 선택스위치(51, 52)와, 사용안내를 위한 제3 선택스위치(53) 및 작동램프(5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선택스위치(51, 52) 각각에는 두개의 버튼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물과 송풍 코스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고, 다른 하나는 물-물비누- 건조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제3 선택스위치(53)는 사용안내방송 선택스위치, 작동중 광고안내방송 선택스위치, 퍼지제어 스위치 및 온수선택스위치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종 스위치들은 콘트롤 박스(5)에 내장되어 상기 제3 선택 스위치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자동 제어되며, 상기 본체프레임(1)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안내방송이나 광고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6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 박스(5)의 구체적인 제어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 내지 제3 선택스위치(51, 52, 53)의 온-오프(ON-OFF)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15, 23)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동전환레버(17)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 리미트 스위치(18)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반기기의 작동을 멈추도록 하는 작동정지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전 과정을 리셋시키며, 상기 손감지신호를 인가받아 물- 물비누- 건조의 순차적인 단계를 거치는 한 사이클 내에서 소정시간동안 각각 순차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타이밍을 조절하며, 상기 터치바(41)의 동작시 1회동안 물을 재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와 제1 펌프(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 및 콘트롤 박스에 의한 제반 기기의 제어동작처리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외부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상기 작동램프(54)가 온(ON)상태로 점등되고, 콘트롤 박스(5)는 초기화 동작을 하게 된다(S101, S102). 그리고. 사용자가 세수 및 세면을 선택하게 된다(S103),
상기 세수를 선택하였을 경우, 먼저 제1 선택스위치(51)를 온(ON)시키고, 물- 건조 코스인지, 물-물비누-건조 코스인지를 선택한다(S104, S105).
상기 S105단계 수행후 손투입공간으로 손을 넣게 되면, 상기 손 감지센서(3)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콘트롤 박스(5)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5)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를 개방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제1 펌프(16)를 가동시킨다(S106, S107).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는 소정 시간(예를들면 3초)동안 2회 반복적으로 온-오프(ON-OFF)되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가 개방됨에 따라 수돗물이 3웨이밸브(11)에 연결된 주공급라인(12)을 통해 열교환유니트(31)로 공급되며, 상기 열교환유니트(31)를 거친 물은 물분사노즐(32)을 통해 사용자의 손으로 소정시간(예를들어 3초)동안 2회 분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 유니트(31)의 저부에 설치된 조명램프(34)가 점등되어 물분사부(110)가 작동중임을 사용자가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박스(5)내의 온수선택 스위치의 가동에 의해 상기 열교환유니트(31)를 통해 세척하기 알맞은 온도로 물이 데워진 후 분사된다(S110, S111).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가 자동세척이 아닌 수동세척을 원할 경우,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나 제1 펌프(16)가 고장등으로 오동작할 경우, 또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수동전환레버(17)를 상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그의 동작에 의해 상기 3웨이밸브(11)의 포트가 주공급라인(12)측에서 바이패스라인(13)측으로 전환되어 상기 물분사노즐(32)을 통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위치검출 리미트 스위치(18)에 의해 상기 수동전환레버(17)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신호를 상기 콘트롤 박스(5)에 인가하게 되면, 상기 콘트롤 박스(5)에서는 그의 제어신호로 구동되는 제반 기기, 예를들어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 밸브(15, 23) 및 제1 및 제2 펌프(16, 24), 조명램프(34)등에 작동정지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전 과정이 정지상태로 리셋된다.
상기 소정 시간동안 물분사노즐(32)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제1 코스 또는 제2 코스인가를 판단하여(S113), 제1 코스로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바로 재차 물분사동작을 수행하고(S118), 제2 코스로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2 솔레노이드 밸브(23)가 개방되면서 제2 펌프(24)가 가동하여 물비누저장용기(21)에 내재된 물비누를 물비누 분사노즐(33)측으로 공급하게 된다(S114). 상기 사용자가 물비누 분사노즐(33)로부터 공급되는 물비누를 손에 충분히 바른 후 소정시간(예를들면 2초)이 경과되면, 3초 대기하였다가 상기 콘트롤 박스(5)에서 물공급부(110)에 동작신호를 송출하여 3회 반복작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손을 세척한다(S115 내지 S119).
이때, 상기 손의 세척과정에서 사용자가 물이 부족함을 느낄 경우 상기 터치바(41)를 작동시키게 되면(S120), 상기의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와 제1 펌프(16)의 제어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1회 작동하여 재차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물비누가 잔재하지 않은 상태로 깨끗이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120-1).
상기 과정을 거친 후에 브로어(140)측의 손투입공간으로 손을 넣게 되면, 손감지센서(4)가 이를 감지하여 콘트롤 박스(5)에 인가하게 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5)는 브로어(140)에 작동신호를 송출함으로서 손을 건조시키게 되어 손세척을 완료하게 된다(S121내지 S124).
상기 손세척을 행하는 일련의 과정중에서 본 발명 제품의 사용안내나 제작회사의 광고, 또는 공익광고를 포함하는 별도의 광고내용과 같은 음향신호를 스피커(65)를 통해 출력할 수 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손세척 또는 세면동작시에만 음향신호가 출력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동작으로서는 상기 방송선택스위치(62)를 온(ON) 시킨후, 손이 물분사노즐(32)측으로 투입하게 되면 콘트롤 박스(5)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성신호가 송출하게 되는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전원투입에 따라 콘트롤 박스(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음성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할수 있다.
한편, 초기단계에서 세면을 하기 위한 제2 선택스위치(52)를 온(ON)시킬 경우(S204)에도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물- 물비누- 건조의 한 사이클을 거치게 되는데(S205 내지 S224), 이 경우에는 상기 물 및 물비누의 공급시간이 좀더 길어지게 되고, 또한 공급횟수도 한두번 더 많아지게 된다. 예를들어 S216단계에서 물비누의 공급시간이 3초로 설정되고, S217에서는 대기시간이 10초정도로 하여 충분히 세면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세수 및 세면을 겸용으로 하여 씻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한 사이클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세면대위에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가정이나, 공공장소, 관공소, 일반건물등에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세면장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지체부자유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들이 타인의 도움없이 스스로 세면을 하기에 적합하며, 비누나 수건등의 부대용품이 필요없으므로 위생적으로 세수 및 세면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세수 및 세면을 위한 물- 물비누- 건조과정이 한 사이클내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상 세면시설의 주변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으며, 물의 사용량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세면대 상부의 벽면에 설치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단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손의 투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그 일측은 수도관의 입구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타측에는 제1 내지 제3 포트가 형성되어 3방향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3웨이 밸브;
    그 일측이 상기 3방향 밸브의 배출포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본체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
    상기 물공급수단의 일측에 위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정시간동안 손세척 및 세면에 필요한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 공급수단;
    상기 물공급수단의 타측에 위치되며 세척된 손의 투입에 따라 건조공기를 제공하는 송풍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물공급수단, 물비누공급수단 및 송풍수단의 전반적인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손세척 및 세면선택에 따라 물공급과 물비누공급이 소정시간동안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3웨이 밸브의 제1포트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주공급라인과, 제2 포트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 및 제3 포트에 연결된 배수라인으로 이루어진 배관라인;
    상기 주공급라인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측 배관라인에 설치되며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구동하는 제1펌프; 및
    상기 배관라인의 주공급라인과 바이패스라인을 통합한 라인의 단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노즐를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비누 공급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 공간부에 설치되며 그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물비누 저장용기;
    상기 물비누 저장용기의 하부 배출구에 설치된 물비누공급관;
    상기 물비누 공급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되면서 물비누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단측 배관라인에 설치되며 물비누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구동하는 제2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의 배관라인 단부에 연결되어 물비누를 분사하는 물비누분사노즐
    을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3웨이 밸브의 입구포트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나 제1펌프의 작동오류시, 장치의 고장발생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주공급라인에서 바이패스라인으로 물공급경로를 변환시키는 수동전환레버; 및 상기 3웨이밸브와 수동전환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검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비누 공급수단은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 전측의 물비누 공급관에 설치되어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오류시 수동조작으로 물비누의 공급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키는 수동조작밸브를 더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의 배관라인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손세척이나 세면에 적당한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한 열교환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물공급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양을 보충해주기 위해 제어수단에 물보충신호를 출력하는 물보충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스위칭수단은
    세수 및 세면 선택을 위한 제1 및 제2 선택스위치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손의 투입이 감지되면 소정의 안내방송 및 광고가 흘러나오도록 출력하는 음향제공수단 및 작동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선택스위치는
    물- 송풍 코스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버튼과, 물-물비누- 송풍코스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제공수단은
    사용안내방송 선택스위치, 작동중 광고안내방송 선택스위치, 퍼지제어 스위치, 온수선택스위치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광고안내방송 선택스위치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음성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자동 세면장치.
KR2020000021080U 2000-07-24 2000-07-24 자동 세면장치 KR200210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080U KR200210887Y1 (ko) 2000-07-24 2000-07-24 자동 세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080U KR200210887Y1 (ko) 2000-07-24 2000-07-24 자동 세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87Y1 true KR200210887Y1 (ko) 2001-01-15

Family

ID=7308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080U KR200210887Y1 (ko) 2000-07-24 2000-07-24 자동 세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8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570A (ko) * 2002-04-12 2003-10-22 소완수 자동세수장치 및 그의 작동제어방법
KR20060094212A (ko) * 2005-02-24 2006-08-29 김대겸 전자동 세면대
KR100835878B1 (ko) 2007-03-06 2008-06-09 김재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벽면 부착용 손 소독기
KR101000416B1 (ko) 2008-06-27 2010-12-13 주식회사 대건주방 손 세척장치
KR101037737B1 (ko) 2008-06-20 2011-05-27 문재성 습진 방지 장치
KR101197352B1 (ko) * 2009-08-25 2012-11-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세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570A (ko) * 2002-04-12 2003-10-22 소완수 자동세수장치 및 그의 작동제어방법
KR20060094212A (ko) * 2005-02-24 2006-08-29 김대겸 전자동 세면대
KR100835878B1 (ko) 2007-03-06 2008-06-09 김재연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벽면 부착용 손 소독기
WO2008108578A1 (en) * 2007-03-06 2008-09-12 Jae Yun Kim Hand sterilizer gel dispenser with lcd media display device
KR101037737B1 (ko) 2008-06-20 2011-05-27 문재성 습진 방지 장치
KR101000416B1 (ko) 2008-06-27 2010-12-13 주식회사 대건주방 손 세척장치
KR101197352B1 (ko) * 2009-08-25 2012-11-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세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63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the supply of a medium, devices of this type comprising washing or drying units and a corresponding method
US4233692A (en) Rest rooms
KR200210887Y1 (ko) 자동 세면장치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1683151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CA2198340C (en) Flushing, cleaning device for servicing sanitary fixtures
KR100305500B1 (ko) 자동세수장치 및 그의 작동제어방법
KR100544210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자동세수장치
KR101358562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KR20040085873A (ko) 자동세수장치
KR200333404Y1 (ko) 자동세수기용 세척수 및 물비누 공급장치
JP2002356896A (ja) ノズル洗浄機能を有した衛生洗浄装置
KR200322588Y1 (ko) 자동세수장치
JP4593771B2 (ja) 洗浄装置
JPH0732608Y2 (ja) 連立埋込手洗器配管ユニット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KR200280087Y1 (ko) 자동세수장치
KR20010077555A (ko)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및 시스템
JP2001061694A (ja) 浴槽洗浄装置
KR200146941Y1 (ko) 비데의 에티켓 벨 장치
JP2000120143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H0547811Y2 (ko)
JPS62102729A (ja) 衛生装置
JP4744850B2 (ja) 浴室
JP2023111745A (ja) 電動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