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891A -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891A
KR20030019891A KR1020020049955A KR20020049955A KR20030019891A KR 20030019891 A KR20030019891 A KR 20030019891A KR 1020020049955 A KR1020020049955 A KR 1020020049955A KR 20020049955 A KR20020049955 A KR 20020049955A KR 20030019891 A KR20030019891 A KR 20030019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quid crystal
light
ultraviolet
display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188B1 (ko
Inventor
우스이노리히사
히라노다다오
우에노마사토
마치다슈이치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17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splay elements may be activated at will or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 Liquid Crystal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의 기기에 적용하여 유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의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시켜서 표시소자에 설치된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키는 것으로,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ULTRAVIOLET RAY EMI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ULTRAVIOLET RAY EMITTING ELEMENTS}
본 발명은 손목시계, 휴대전화기,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의 기기에 적용하여 유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손목시계에 있어서는, 문자판이나 지침 등의 시계부품에 야광도료 등의 축광도료를 인쇄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도포하여 축광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밝은 장소에서 축광부가 외부광을 받아 에너지를 축적하고, 어두운 장소에서 축광부가 축적한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어두운 장소에서 축광부가 발광하여 시각을 알 수 있지만 사용자가 소망하는 때에 축광부를 발광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축광부가 발광할 뿐이기 때문에 색채성이 부족하고 충분한 장식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망하는 때에 표시소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키고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를 얻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발광체에 대하여 균등하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서 휘도얼룩이 없이 양호한 유색발광을 시킬 수 있는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를 얻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를 얻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발광체와 평면발광소자를 발광시킬 수 있고, 또 양자의 발광색을 혼합시켜서 보다 한층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를 얻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예를 들면 액정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자외선발광장치로부터 상기 표시소자에 설치된 발광체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상기 발광체를 조사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예를 들면 액정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된 자외선발광장치로부터 상기 표시소자에 설치된 발광체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동시에, 상기 표시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투명한 커버부재에 설치된 파장선택소자에 의하여 상기 자외선을 반사함으로써, 상기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예를 들면 액정표시소자)의 하부에 상기 표시소자를 하측으로부터 조명하는 평면발광소자를 설치하고, 이 평면발광소자의 상면에는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를 설치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표시소자의 상부외주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발명은 광투과성을 갖는 터치입력소자에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를 설치하고, 상기 터치입력소자의 하부에 자외선발광소자를 배치하고 상기 터치입력소자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2는 도 1의 문자판의 확대평면도.
도 3은 도 1의 지침의 확대평면도.
도 4a는 도 2의 문자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도 3의 지침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색선별거울이 설치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소자를 이용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의 액정표시소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8a는 액정셀의 상면에 발광체를 설치한 액정표시소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8b는 액정셀의 하면에 발광체를 설치한 액정표시소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8c는 하편광판의 하면에 발광체를 설치한 액정표시소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색선별거울이 설치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을 반투과반사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를 구비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액정표시소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액정표시소자의 반투과반사판의 하면에 발광체를 설치한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을 EL소자를 구비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반투과반사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및 EL소자를 구비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터치입력패널을 구비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터치입력패널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을 반투과반사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및 터치입력패널을 구비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의 요부의 확대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을 터치입력패널을 구비한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 터치입력패널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확대도.
도 19는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제 11 실시형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A-A화살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손목시계케이스2: 베젤
3: 시계유리4: 패킹
5: 문자판6: 시계모듈
7, 57: 틀상의 간격부재8: 안쪽덮개
9: 방수링10: 지침축
11: 관통구멍12: 지침
13: 자외선발광소자14: 수지판
15: 시계문자16: 발광체
17: 색선별거울20, 27, 30: 액정표시소자
21: 액정셀22a, 22b: 전극기판
23: 액정24: 시일재
25: 상편광판26, 28: 하편광판
29: 반투과반사판31: EL소자
32: 오목부35, 41: 터치입력패널
36: 유리기판37: 스페이서
38: 필름39: 고정접점
40: 가동접점42: 입력영역
43: 투명영역50: 기기케이스
51: 상케이스52: 하케이스
53: 보호유리54: 키버튼
55: 안테나56: 모듈
(1) 제 1 실시형태
이하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기기인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손목시계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이 손목시계는 기기케이스인 손목시계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외주에는 베젤(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중앙에는 시계유리(3)가 패킹(4)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에는 표시소자인 문자판(5)과 시계모듈(6)이 틀상의 간격부재(7)를 통하여 수납되어 있으며, 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하면에는 안쪽덮개(8)가 방수링(9)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틀상의 간격부재(7)는 시계유리(3)의 둘레부의 하면과 문자판(5)의 둘레부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시계모듈(6)은 아날로그기능과 디지털기능 중 적어도 아날로그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 시계모듈(6)은 지침축(10)이 문자판(5)의 관통구멍(11)을 통하여 그 위쪽에 돌출하고, 이 돌출한 지침축(10)의 상단부에 시침, 분침 등의 지침(12)이 부착되며, 이 지침(12)이 문자판(5)의 위쪽을 운침(運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시계모듈(6)에는 문자판(5)의 하측에 블랙라이트라고 불리는 자외선발광소자(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자외선발광소자(13)는 파장이 365nm(나노미터: 나노는 10억분의 1미터)부근 또는 254∼365nm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등 또는 자외선발광다이오드(LED) 등의 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문자판(5)은 투명한 수지판(14)의 중심부에 지침축(10)이 삽입하는 관통구멍(11)이 설치되고, 그 상면에 있어서의 외주부에 시계문자(15)가 설치되어 있다. 투명한 수지판(14)은 원형상의 평판이고 자외선발광소자(13)로부터 발생한 자외선을 대략 균등하게 확산하는 확산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문자판(5)의 상면에 있어서의 소정 장소, 예를 들면 마크부분이나 시계문자(15)의 상면에는 발광체(16)가 인쇄나 도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발광체(1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12)의 상면전역에도 설치되어 있다.
이들 발광체(6)는 파장이 350∼420nm 또는 254∼365nm의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 상면이 투명한 오버코트(도시하지 않음)로 덮여서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발광체(16)의 발광색은 녹색(또는 황색), 청색, 적색의 3색을 기본으로 하고 그 색배리에이션이 10∼13종류 있다. 이 경우 각 발광체(16)는 각 시계부품 둘다 모두 같은 색으로 발광해도 좋지만, 시각을 시인(視認)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적어도 문자판(5)과 지침(12)의 각 발광체(16)의 발광색이 각각 달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문자판(5)의 발광체(16)는 적색계 색으로 발광하고, 지침(12)의 발광체(16)는 청색계 색으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문자판(5)의 마크부분의 발광체(16)와 시계문자(14)의 발광체(16)의 각 발광색도 각각 달라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실내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문자판(5) 및 지침(12)에 각각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각 발광체(16)에 의하여 문자판(5) 및 지침(12)의 각 표면(바탕색)이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비쳐서 보이는 동시에, 이 상태에서 문자판(5)과 지침(12)에 의해 양호하게 시각을 시인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자외선을 발생시키면 자외선이 문자판(5)의 투명한 수지판(14)에 의해 대략 균등하게 확산되어 위쪽으로 출사되므로 자외선을 발광체(16)에 균등하게 조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시각을 시인할 수 있다.
이 때에는 문자판(5)의 발광체(16)와 지침(12)의 발광체(16)가 다른 색, 예를 들면 문자판(5)의 발광체(16)가 적색계 색으로 발광하고, 지침(12)의 발광체(16)의 청색계 색으로 발광함으로써 양호하게 시각을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에서는 소망하는 때에 표시소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의 색채가 풍부하고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문자판(5)의 투명한 수지판(14)의 상면에 발광체(16)를 부분적으로 설치하고 지침(12)의 상면전역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판(5)의 수지판(14)의 상면전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고, 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침(12)의 상면의 일부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문자판(5)의 발광체(16)와 지침(12)의 발광체(16)는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문자판(5)의 투명한 수지판(14)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반드시 문자판(5)의 수지판(14)의 상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문자판(5)의 수지판(14)의 하면에 설치해도 좋다.
(2)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3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시계유리(3)의 하면에 파장선택소자인 색선별거울(17)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색선별거울(17)은 자외선을 반사하고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파장선택막이며, 시계유리(3)의 하면에 하프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이 문자판(5)의 투명한 수지판(14)에 의해 확산되어 발광체(16)에 균등하게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므로, 시계유리(3) 및 색선별거울(17)을 통하여 시각을 시인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특히 문자판(5)의 투명한 수지판(14)을 투과한 자외선이 시계유리(3)의 색선별거울(17)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된 자외선이 다시 문자판(5)의 발광체(16) 및 지침(12)의 발광체(16)에 각각 조사되므로, 자외선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외부로 새는 일 없이 효율 좋게 발광체(16)에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발광체(16)를 선명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3)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1∼도 3에 나타내어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설치된 시계모듈(6)의 아날로그기능을 대신하여 디지털기능, 즉 문자판(5) 및 지침(12)을 대신하여 액정표시소자(20)를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액정표시소자(2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22a, 22b)간에 액정(23)을 시일재(24)로 밀봉한 액정셀(21)과, 이 액정셀(21)의 상면에 설치된 상편광판(25)과, 액정셀(21)의 하면에 설치된 반투과형의 하편광판(2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표시소자(2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3)를 투과한 외부광이 상편광판(25)을 투과하여 액정셀(21)에 입사하고, 이 액정셀(21)을 투과한 외부광의 일부가 반투과형의 하편광판(26)에서 반사됨으로써, 한쌍의 전극기판(22a, 22b)간에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한 상태에 따라서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체(16)가 인쇄나 도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액정표시소자(20)의 하측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표시소자(20)와 자외선발광소자(13)의 사이에는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확산시켜서 액정표시소자(20)의 하면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기 위한 확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실내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시계유리(3)를 투과한 외부광이 액정표시소자(20)의 발광체(16) 및 상편광판(25)을 투과하여 액정셀(21)에 입사하고, 이 액정셀(21)을 투과한 외부광의 일부가 하편광판(26)에서 반사되며,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소자(20)에 표시된 시각 등의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0)의 하편광판(26)을 투과하여 액정셀(21)에 입사한 후에 이 액정셀(21) 및 상편광판(25)을투과하여 발광체(16)에 조사되므로,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한다. 이 때문에 이 손목시계에서도 소망하는 때에 표시소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전체의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와 같이 상편광판(25)과 액정셀(21)의 사이, 즉 액정셀(21)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8b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액정셀(21)과 하편광판(26)의 사이, 즉 액정셀(21)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고, 또 8c에 나타내는 제 3 변형예와 같이 하편광판(26)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제 2, 제 3 변형예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발광체(16)가 액정셀(2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20)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도 완수할 수 있고, 이 때문에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을 배경으로 하여 액정표시소자(20)에 표시된 시각 등의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4)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5∼도 7에 나타내어진 제 2, 제 3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시계유리(3)의 하면에 파장선택소자인 색선별거울(17)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색선별거울(17)은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을 반사하고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파장선택막이며, 시계유리(3)의 하면에 하프증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이 닿지 않는 장소에서는 시계유리(3) 및 색선별거울(17)을 통하여 액정표시소자(20)에 표시된 시각 등의 정보를 시인할 수 있고,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0)에 설치된 발광체(16)에 조사되므로, 투명한 발광체(16)를 자외선에 반응시켜서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에는 특히 액정표시소자(20)를 투과한 자외선이 시계유리(3)가 색선별거울(17)에서 반사되고, 이 반사된 자외선이 다시 액정표시소자(20)에 입사하여 발광체(16)에 조사되므로, 제 2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을 효율 좋게 발광체(16)에 조사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 3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발광체(16)를 선명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5)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어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액정표시소자(27)의 구조가 제 3 실시형태와 다르고, 이것 이외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액정표시소자(27)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22a, 22b)간에 액정(23)을 시일재(24)로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셀(21)의 상면에 상편광판(25)을 설치하고, 액정셀(21)의 하면에 투과형의 하편광판(28)을 설치하며, 이 하편광판(28)의 하면측에 반투과반사판(29)을 배치하고, 이 반투과반사판(29)의 상면에 투명한 발광체(16)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소자(27)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유리(3)를 투과한 외부광이 상편광판(25), 액정셀(21), 하편광판(28) 및 발광체(16)를 투과하고, 이 투과한 외부광의 일부가 반투과반사판(29)에서 반사됨으로써, 한쌍의 전극기판(22a, 22b)간에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한 상태에 따라서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발광체(16)는 제 1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투과반사판(29)의 상면에 인쇄나 도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액정표시소자(27)의 하측에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액정표시소자(27)와 자외선발광소자(13)의 사이에는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확산시켜서 액정표시소자(27)의 하면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기 위한 확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실내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액정표시소자(27)의 반투과반사판(29)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시계유리(3)를 투과한 외부광이 상편광판(25), 액정셀(21), 하편광판(28) 및 발광체(16)를 투과하고, 이 투과한 외부광의 일부가 반투과반사판(29)에서 반사되며,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소자(27)에 표시된 시각 등의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7)의 반투과반사판(29)을 투과하여 발광체(16)에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투명한 발광체(13)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므로, 발광체(16)가 액정표시소자(27)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을 완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을 배경으로 하여 시각 등의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손목시계에 있어서도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각 발광체(16)가 각각 유색발광하므로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소자(27)의 반투과반사판(29)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반투과반사판(29)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상기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도 7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 및 도 8a∼도 8c에 나타낸 각 변형예와 똑같이 액정표시소자(27)의 상편광판(25)의 상면, 액정셀(21)의 상하면 및 하편광판(28)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제 5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도 시계유리(3)의 하면에 자외선을 반사하고, 또한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색선별거울(17)을 하프증착에 의해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켜서 액정표시소자(27)를 투과해도 그 투과한 자외선이 시계유리(3)의 색선별거울(17)에서 반사되어 다시 발광체(16)에 조사되므로, 자외선을 효율 좋게 발광체(16)에 조사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 5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발광체(16)를 선명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6) 제 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어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액정표시소자(30)의 하부에 EL소자(일렉트로루미네센스소자)(31)를 설치하고 액정표시소자(30)의 상부외주에 배치된 틀상의 간격부재(7)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3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액정표시소자(30)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액정셀(21)의 상면에 상편광판(25)을 설치하고, 이 액정셀(21)의 하면에 제 5 실시형태와 같은 투과형의 하편광판(28)을 설치한 투과형의 것이다.
EL소자(31)는 하부측의 전극기판(캐소드전극기판)상에 EL층을 통하여 투명한 전극기판(애노드전극기판)을 설치하고, 이 상태에서 상하의 전극기판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EL층을 발광시킴으로써 전체가 대략 균일하게 면발광하는 유색의 평면형 발광소자이다. 이 EL소자(30)의 상면에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체(16)가 인쇄나 도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자외선발광소자(13)는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있어서의 보호부재 또는 완충부재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는 틀상 부재인 간격부재(7)의 상부에 설치된 오목부(32)내에 배치되고, 발생한 자외선을 액정표시소자(30)에 비스듬한 위쪽방향으로부터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간격부재(7)의 오목부(32)는 액정표시소자(30)보다도 위쪽에 위치한 상태이고, 손목시계케이스(1)의 내부측을 제외하고 자외선발광소자(13)를 그 주위를 둘러싸서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EL소자(31)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EL소자(31)를 점등시켜서 면발광시키면 발광한 유색의 빛이 발광체(16)를 투과하여 액정표시소자(30)의 하면으로부터 입사하여 투과하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31)에 비스듬한 위쪽으로 조사되고, 이 조사된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30)를 투과하여 EL소자(31)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에 조사되며, 이것에 의해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한다.
이 때문에 이 손목시계에서는 발광체(16)에서 발광한 유색의 빛이 백라이트로서 기능하여 액정표시소자(30)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특히 EL소자(31)와 자외선발광소자(13)의 양자를 동시에 발광시키면 EL소자(31)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과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이 혼합하고, 이 혼합색을 배경색으로 하여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에 있어서도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EL소자(31)를 평면발광시켜도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고, 게다가 발광체(16)와 EL소자(31)를 동시에 발광시키면 각각 유색발광하므로 그 양자의 발광색이 혼합한 혼합색도 얻을 수 있고, 이 때문에 보다 한층 색채가 풍부하게 되어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는 EL소자(31)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a∼도 8c에 나타낸 각 변형예와 같이 액정표시소자(30)의 상편광판(25)의 상면, 액정셀(21)의 상하면, 또는 하편광판(28)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6 실시형태와 대략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자외선을 발생시켰을 때에 EL소자(31)의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과 액정표시소자(30)의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이 혼합한 혼합색을 얻을 수 있고, 이 때문에 제 6 실시형태보다도 더욱 색채가 풍부하게 되어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시계유리(3)의 하면에 자외선을 반사하고, 또한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색선별거울(17)을 하프증착에 의해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시계유리(3)의 색선별거울(17)에서 반사되므로, 자외선이 시계유리(3)를 투과하여 손목시계케이스(1)의 외부에 새는 일이 없이 효율 좋게 자외선을 발광체(16)에 조사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 6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발광체(16)를 선명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7) 제 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7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제 5, 제 6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반투과반사판(29)을 구비한 제 5 실시형태의 액정표시소자(27)의 하부에 EL소자(31)를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6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EL소자(31)의 상면에는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체(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액정표시소자(27)는 제 5 실시형태와 똑같이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22a, 22b)간에 액정(23)을 시일재(24)로 밀봉하여 이루어지는 액정셀(21)의 상면에 상편광판(25)을 설치하고, 액정셀(21)의 하면에 투과형의 하편광판(28)을설치하며, 이 하편광판(28)의 하면측에 반투과형반사판(29)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는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이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간격부재(7)의 상부에 설치된 오목부(32)내에 배치되고, 발생한 자외선을 액정표시소자(27)에 비스듬한 위쪽으로부터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액정표시소자(27)가 반투과반사판(29)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밝은 장소에서 시계유리(3)로부터 외부광을 모으고 이 모은 외부광이 액정표시소자(27)에 그 상면측으로부터 입사하며 이 입사한 외부광의 일부가 하면의 반투과반사판(29)에서 반사됨으로써, EL소자(31)를 점등시키지 않아도 액정표시소자(27)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다.
또 EL소자(31)를 발광시켜서 면발광시키면 EL소자(31)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이 발광한 유색의 빛이 발광체(16)를 투과하여 액정표시소자(27)의 하면의 반투과반사판(29)으로부터 입사해서 액정표시소자(27)를 투과하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액정표시소자(27)에 표시된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7)에 비스듬한 위쪽으로부터 조사되고 이 조사된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7)에 입사하며 이 입사한 자외선의 일부가 반투과반사판(29)을 투과하므로, 이 투과한 자외선이 EL소자(31)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에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한다. 이 때문에 발광체(16)에서 발광한 유색의 빛이 백라이트로서도 기능하여 액정표시소자(27)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액정표시소자(27)에 표시된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손목시계에 따르면, 밝은 장소에서는 EL소자(31) 및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지 않아도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EL소자(31)와 자외선발광소자(13)의 어느 쪽인가를 발광시켜도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는 외에, 특히 EL소자(31)와 자외선발광소자(13)의 양자를 동시에 발광시키면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이 EL소자(31)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과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이 혼합한 혼합색이 얻어지고, 이 혼합색을 배경색으로 하여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제 6 실시형태와 똑같이 색채가 풍부하게 되어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형태에서는 EL소자(31)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덧붙여서,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반투과반사판(29)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고, 또 도 12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반투과반사판(29)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또 도 7 및 도 8a∼도 8c에 나타낸 각 변형예와 같이 액정표시소자(27)의 상편광판(25)의 상면, 액정셀(21)의 상하면, 또는 하편광판(28)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7 실시형태와 대략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자외선을 발생시켰을 때에 EL소자(31)의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과 액정표시소자(30)의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이 혼합한 혼합색을 얻을 수 있고, 이 때문에 제 7 실시형태보다도 더욱 색채가 풍부하게 되어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시계유리(3)의 하면에 자외선을 반사하고, 또한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색선별거울(17)을 하프증착에 의해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이 시계유리(3)의 색선별거울(17)에서 반사되므로, 자외선이 시계유리(3)를 투과하여 손목시계케이스(1)의 외부로 새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자외선을 효율 좋게 발광체(16)에 조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제 7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발광체(16)를 선명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8) 제 8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8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어진 제 3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중앙부에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3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터치입력패널(35)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목시계케이스(1)의 상부중앙부에 패킹(4)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터치입력패널(35)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한 유리기판(36)상에 스페이서(37)를 통하여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38)을 설치하고,유리기판(36)의 상면에 투명한 고정접점(39)을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필름(38)의 하면에 투명한 가동접점(40)을 각 고정접점(39)에 이간대향시켜서 설치하고, 이 상태에서 필름(38)을 위쪽으로부터 누르면 필름(38)이 휘어서 가동접점(40)이 고정접점(39)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터치입력패널(35)의 하면, 즉 유리기판(36)의 하면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체(16)가 인쇄나 도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 손목시계케이스(1)내의 시계모듈(6)에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의 액정표시소자(20)가 터치입력패널(3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액정표시소자(20)의 하부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발광소자(13)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 따르면,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실내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터치입력패널(35)의 하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통하여 외부광을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모을 수 있고, 이 모은 외부광이 액정표시소자(20)에 입사하므로, 투명한 발광체(16) 및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통하여 액정표시소자(2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표시소자(20)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서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터치입력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0)를 투과하고, 이 투과한 자외선이 터치입력패널(35)의 하면의 발광체(16)에 조사되며,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므로,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발광색을 배경으로 하여 터치입력패널(35)을 터치입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손목시계에 있어서도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소망하는 때에 표시소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색채가 풍부하여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실시형태에서는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의 유리기판(36)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투명한 필름(38)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고, 또 도 8a∼도 8c에 나타낸 각 변형예와 같이 액정셀(21)의 상면 또는 하면, 혹은 하편광판(26)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가 터치입력패널(35)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정표시소자(20) 및 터치입력패널(35)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도 완수할 수 있다.
(9) 제 9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9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어진 제 8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의 하부에 반투과반사판(29)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27)를 설치한 구조이고, 이것 이외는 제 8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터치입력패널(35)의 하면, 즉 유리기판(36)의 하면에는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체(16)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액정표시소자(27)는 제 5 실시형태와 똑같이 액정셀(21)의 상면에 상편광판(25)을 설치하고, 액정셀(21)의 하면에 투과형의 하편광판(28)을 설치하며, 이 하편광판(28)의 하면측에 반투과반사판(29)을 설치하고, 이 상태에서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 및 투명한 발광체(16)를 투과한 외부광이 상편광판(25), 액정셀(21) 및 하편광판(28)을 투과하며, 이 투과한 외부광의 일부가 반투과반사판(29)에서 반사됨으로써 한쌍의 전극기판(22a, 22b)간에 전압을 선택적으로 인가한 상태에 따라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실내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터치입력패널(35)의 하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통하여 외부광을 손목시계케이스(1)내에 모을 수 있고, 이 모은 외부광이 액정표시소자(27)에 입사하며, 이 입사한 외부광의 일부가 반투과반사판(29)에서 반사됨으로써 액정표시소자(27)에 표시된 정보를 투명한 발광체(16) 및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통하여 시인할 수 있는 동시에, 액정표시소자(27)에 표시된 정보를 보면서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을 터치입력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7)의 반투과반사판(29)을 통하여 액정표시소자(27)에 입사하고, 이 입사한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7)를 투과하며, 이 투과한 자외선이 터치입력패널(35)의 하면의 발광체(16)에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 투명한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므로, 밝은 장소에서도 어두운 장소에서도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을 배경으로 하여 터치입력패널(35)을 터치입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손목시계에 있어서도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색채가 풍부하여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투명한 터치입력패널(35)의 유리기판(36)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투명한 필름(38)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또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고, 또 도 8a∼도 8c에 나타낸 각 변형예와 같이 액정셀(21)의 상면 또는 하면, 혹은 하편광판(26)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으며, 또한 도 11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 및 도 12에 나타낸 그 변형예와 같이 반투과반사판(29)의 상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이어도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가 터치입력패널(35)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정표시소자(20) 및 터치입력패널(35)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도 완수할 수 있다.
(10) 제 10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손목시계에 적용한 제 10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어진 제 8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손목시계는 투명한 터치입력패널(41)을 입력영역(42)과 투명영역(43)으로 2분할하고, 이 터치입력패널(41)의 하면의 소정 장소에 발광체(16)를 설치한 구조이며, 이것 이외는 제 8 실시형태와 대략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터치입력패널(41)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로 앞쪽(동일 도면에서는 하측)에 입력영역(42)이 설치되고, 안쪽(동일 도면에서는 상측)에 투명영역(43)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입력영역(42)은 유리기판(36)상에 스페이서(37)를 통하여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필름(38)이 설치되고, 유리기판(36)의 상면에 투명한 띠상의 고정접점(39)이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며, 필름(38)의 하면에 투명한 띠상의 가동접점(40)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고, 각 고정접점(39)과 각 가동접점(40)이 서로 교차하여 겹치는 부분이 각 키부에 상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투명영역(43)은 유리기판(36)상에 스페이서(37)를 통하여 투명한 필름(38)을 설치한 만큼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영역(42)의 유리기판(36)의 하면에는 고정접점(39)과 가동접점(40)의 겹치는 부분의 각 키부에 대응하여 발광체(16)가 매트릭스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투명영역(43)의 유리기판(36)의 하면에는 발광체(16)가 기호나 도형 등의 마크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목시계에서는 제 8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특히 액정표시소자(20)의 하부에 설치된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0)를 투과하고, 이 투과한 자외선이 터치입력패널(41)의 하면에 설치된 각 발광체(6)에 조사되며, 이것에 의해 각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한다. 이 때에는 특히 입력영역(42)의 각 발광체(16)가 각 키부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각 키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유색발광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터치입력패널(41)이 투명해도 각 키부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투명영역(43)의 각 발광체(16)는 기호나 도형 등의 마크부분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마크부분을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마크부분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제 10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터치입력패널(35, 41)의 하측에 액정표시소자(20, 27)를 설치하고 이 액정표시소자(20, 27)의 하측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설치했는데 반드시 액정표시소자(20, 27)를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터치입력패널(35, 41)의 하측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설치하고 이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직접 터치입력패널(35, 41)에 조사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터치입력패널(35, 41)과 자외선발광소자(13)의 사이에는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터치입력패널(35, 41)의 하면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기 위한 확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제 11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제 1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휴대전화기의 외관사시도, 도 20은 그 A-A화살표에 있어서 확대단면도이다. 이 휴대전화기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기기케이스(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기케이스(50)는 상케이스(51)와 하케이스(52)를 접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기기케이스(50)의 상면, 즉 상케이스(51)의 상면에는 상부측의 개구부에 보호유리(53)가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부측에 전화기능에 필요한 각종의 키버튼(54)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기기케이스(50)의 상단면에는 안테나(55)가 출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기기케이스(50)의 내부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화기용의 모듈(56)이 수납되어 있다. 이 모듈(56)은 액정표시소자(20) 등의 전화기능에 필요한 각종의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표시소자(20)는 제 3 실시형태와 같은 구조이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상의 간격부재(57)를 통하여 보호유리(53)의 하측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액정표시소자(20)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22a, 22b)간에 액정(23)을 시일재(24)로 밀봉한 액정셀(21)의 상면에 상편광판(25)을 설치하고, 액정셀(21)의 하면에 반투과형의 하편광판(26)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는 제 3 실시형태와 똑같이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고,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통상상태시에 투명한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체(16)가 인쇄나 도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액정표시소자(20)의 하측에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표시소자(20)와 자외선발광소자(13)의 사이에는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생한 자외선을 액정표시소자(20)의 하면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시키기 위한 확산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자외선이 거의 닿지 않는 실내 등의 밝은 장소에서는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 설치된 발광체(16)가 투명하기 때문에, 보호유리(53)를 투과한 외부광이 발광체(16) 및 상편광판(25)을 투과하여 액정셀(21)에 입사하고, 이 액정셀(21)을 투과한 외부광의 일부가 하편광판(26)에서 반사되며, 이것에 의해 액정표시소자(20)에 표시된 정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키면 그 자외선이 액정표시소자(20)의 하편광판(26)을 투과한 후에 액정셀(21) 및 상편광판(25)을 투과하여 발광체(16)에 조사되므로, 투명한 발광체(16)를 자외선에 반응시켜서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휴대전화기에서는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각 발광체(16)가 각각 유색발광하므로 색채가 풍부해서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소자(20)의 상편광판(25)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낸 제 1 변형예와 같이 액정셀(21)의 상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고, 또 도 8b에 나타낸 제 2 변형예와 같이 액정셀(21)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으며, 또한도 8c에 나타낸 제 3 변형예와 같이 하편광판(26)의 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또 액정표시소자(20)를 대신하여 도 11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반투과반사판(29)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27)를 이용하고, 이 액정표시소자(27)의 반투과반사판(29)의 상하면에 발광체(16)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액정셀(21)의 하측에 발광체(16)를 설치한 경우에는 제 11 실시형태와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특히 발광체(16)가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함으로써 액정표시소자(20)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도 완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액정표시소자(20)의 하측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어진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간격부재(57)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내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설치하며, 이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자외선을 비스듬한 위쪽으로부터 액정표시소자(30)에 조사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6 실시형태와 같이 액정표시소자(30)의 하면측에 EL소자(31)를 설치하고, 이 EL소자(31)에서 액정표시소자(20)의 하면을 조명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휴대전화기에서는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13)를 발광시켜서 발광체(16)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는 외에, EL소자(31)를 평면발광시켜도 액정표시소자(30)에 표시된 정보를 시인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양자를 동시에 발광시키면 발광체(16)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과 EL소자(31)에 의한 유색의 발광색이 혼합한 혼합색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한층 색채가 풍부해서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기기케이스(50)에 보호유리(53)를 단순히설치한 구조인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와 똑같이 보호유리(53)의 하면에 자외선을 반사하고, 또한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파장선택소자인 색선별거울(17)을 설치한 구조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광한 자외선이 보호유리(53)로부터 기기케이스(50)의 외부로 새지 않고 색선별거울(17)에서 반사되므로, 효율 좋게 발광체(16)에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어서 보다 한층 발광체(16)를 선명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제 11 실시형태 및 그 각 변형예에서는 손목시계 또는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수첩, 전자사전, 휴대단말기, 퍼스널컴퓨터, 인쇄기 등의 각종의 전자기기, 또는 자동차의 계기류 등의 각종 기기, 혹은 그들의 각 부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5 실시형태 및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도 12,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문자판(5), 액정표시소자(20, 27))와, 이 표시소자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 자외선발광장치에 따르면, 표시소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면 발광된 자외선이 표시소자에 설치된 발광체에 조사되어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각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장치 전체의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소자가 자외선발광소자에서 발광한 자외선을 확산하는 투명한 수지부재(14)를 구비한 문자판(5)이면 자외선발광소자로부터 발광한 자외선이 문자판의 투명한 수지부재에서 확산되므로, 문자판에 설치된 발광체에 대략 균등하게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발광체를 양호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또 표시소자가 적어도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22a, 22b)간에 액정(23)을 봉입한 액정셀(21)과, 이 액정셀의 상면에 설치된 상편광판(25)과, 상기 액정셀의 하면에 설치된 하편광판(26, 28)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20, 27)이면 액정표시소자에 의해 시각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으므로,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발광체가 액정표시소자의 액정셀의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발광장치이고, 또 발광체가 액정표시소자의 하편광판의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발광장치이며, 또한 발광체가 액정표시소자의 하편광판의 하부에 설치된 반투과반사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발광장치이면 발광체가 액정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광체의 유색발광에 의해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로서의 기능도 완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및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문자판(5), 액정표시소자(20))와, 이 표시소자에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와, 상기 표시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투명한 커버부재(시계유리(3))와, 이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반사하고 또한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파장선택소자(색선별거울(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 자외선발광장치에 따르면,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으므로,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는 외에, 특히 표시소자를 투과한 자외선이 커버부재의 파장선택소자에서 반사되어 다시 표시소자의 발광체에 조사되므로, 효율 좋게 발광체에 자외선을 조사시킬 수 있어서 보다 한층 발광체를 양호하게 유색발광시킬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액정표시소자(30))와, 이 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를 하측으로부터 조명하는 평면발광소자(EL소자(31))와, 이 평면발광소자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표시소자의 상부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 자외선발광장치에 따르면,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키면 자외선이 표시소자의 상측으로부터 발광체에 조사되어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또 평면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표시소자를 조명할 수 있는 외에, 특히 자외선발광소자와 평면발광소자를 동시에 발광시키면 양자의 발광색이 혼합되므로, 보다 한층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에서 제 10 실시형태는 도 15∼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갖는 터치입력소자(터치입력패널(35))와, 이 터치입력소자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터치입력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입력소자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 자외선발광장치에 따르면,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자외선을 터치입력소자의 발광체에 조사시킬 수 있으므로, 소망하는 때에 자외선발광소자를 발광시켜서 발광체를 유색발광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색채성 및 장식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터치입력소자에 의해 정보를 터치입력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 제 11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체(16)를 인쇄나 도포에 의해 상편광판(25)의 상면이나 유리기판(36)의 하면 등의 전면에 설치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편광판(25)의 상면이나 유리기판(36)의 하면 등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발광색에 대해서도 단일색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Claims (16)

  1.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와,
    이 표시소자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상기 자외선발광소자(13)에서 발광한 자외선을 확산하는 투명한 수지부재를 구비한 문자판(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적어도 상하 한쌍의 투명한 전극기판간에 액정을 봉입한 액정셀(21)과, 이 액정셀(21)의 상면에 설치된 상편광판(25)과, 상기 액정셀(21)의 하면에 설치된 하편광판(26)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6)는 상기 액정표시소자(20)의 상기 상편광판(25)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6)는 상기 액정표시소자(20)의 상기 액정셀(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6)는 상기 액정표시소자(20)의 상기 액정셀(21)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16)는 상기 액정표시소자(20)의 상기 하편광판(26)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20)는 상기 하편광판(26)의 하부에 설치된 반투과반사판(29)을 구비하고, 이 반투과반사판(29)의 상면에 상기 발광체(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20)는 상기 하편광판(26)의 하부에 설치된 반투과반사판(29)을 구비하고, 이 반투과반사판(29)의 하면에 상기 발광체(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10.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와,
    이 표시소자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와,
    상기 표시소자의 상부에 배치된 투명한 커버부재(3)와,
    이 커버부재(3)에 설치되어 자외선을 반사하고 또한 이것 이외의 빛을 투과하는 파장선택소자(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11. 광투과성을 갖는 표시소자와,
    이 표시소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를 하측으로부터 조명하는 평면발광소자(31)와,
    이 평면발광소자(31)의 상면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표시소자의 상부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12. 광투과성을 갖는 터치입력소자(35)와,
    이 터치입력소자(35)에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에 반응하여 유색발광하는 발광체(16)와,
    상기 터치입력소자(35)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입력소자(35)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발광소자(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발광장치.
  13. 청구항 1에 기재한 자외선발광장치를 기기케이스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청구항 10에 기재한 자외선발광장치를 기기케이스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청구항 11에 기재한 자외선발광장치를 기기케이스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청구항 12에 기재한 자외선발광장치를 기기케이스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기기.
KR10-2002-0049955A 2001-08-31 2002-08-23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KR100483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3599 2001-08-31
JP2001263599A JP2003076305A (ja) 2001-08-31 2001-08-31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891A true KR20030019891A (ko) 2003-03-07
KR100483188B1 KR100483188B1 (ko) 2005-04-14

Family

ID=1909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955A KR100483188B1 (ko) 2001-08-31 2002-08-23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5463B2 (ko)
JP (1) JP2003076305A (ko)
KR (1) KR100483188B1 (ko)
CN (1) CN1265692C (ko)
HK (1) HK1054486A1 (ko)
TW (1) TWI2831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2772A (ja) * 2002-10-09 2004-04-30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4212427A (ja) * 2002-12-27 2004-07-29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及び電子時計
JP4383306B2 (ja) * 2004-10-05 2009-12-1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照光装置
US20080123473A1 (en) * 2005-08-10 2008-05-29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7731374B2 (en) * 2005-10-24 2010-06-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Reconfigurable instrument cluster
US20080205201A1 (en) * 2005-11-02 2008-08-28 Hwa Su Time display apparatus
JP2008089945A (ja) * 2006-10-02 2008-04-17 Tokai Kogaku Kk 表示装置
US8045421B2 (en) * 2008-01-17 2011-10-25 Nike, Inc. Watch with planar light diffusion channel
US9235240B2 (en) * 2010-11-11 2016-01-12 Apple Inc. Insert molding around glass member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5962719B2 (ja) 2013-09-17 2016-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JP5949738B2 (ja) * 2013-12-09 2016-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および時計
US9377761B2 (en) * 2014-03-06 2016-06-28 Timex Group Usa, Inc. Illumination arrangement for a timepiece
JP6526942B2 (ja) * 2014-03-24 2019-06-05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566032B (zh) * 2014-12-30 2017-02-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防水背光模组
EP3379345A1 (fr) * 2017-03-21 2018-09-26 Montres Rado S.A. Montre squelette a cadran photochromique
EP3736644A1 (fr) * 2019-05-08 2020-11-11 Omega SA Boite de montre etanche
CN110320786A (zh) * 2019-07-23 2019-10-11 广东乐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表指针及其控制方法
EP3845976B1 (fr) * 2019-12-30 2024-03-20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Cadran de montre ayant un affichage à base de diodes électroluminescentes organiques
EP3845974B1 (fr) * 2019-12-31 2024-02-21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Indicateur mobile pour un dispositif d'affichage analogique
JP2021113775A (ja) * 2020-01-21 2021-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0781A (en) * 1985-02-08 1988-04-26 Itt Gilfillan Touch panel data entry device for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panels
US4705407A (en) 1986-11-14 1987-11-10 Andre Brien Portable time piece with light diffuser
JPH05223602A (ja) * 1992-02-18 1993-08-31 Kansei Corp 表示装置
US6218774B1 (en) * 1993-06-30 2001-04-17 Edward J. A. Pope Photoluminescent/electroluminescent display screen
EP0649046B1 (en) * 1993-10-19 2001-07-11 Sharp Kabushiki Kaisha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5671994A (en) * 1994-06-08 1997-09-30 Clio Technologies, Inc. Flat and transparent front-lighting system using microprisms
JPH08128865A (ja) * 1994-10-31 1996-05-21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メーター
US5604716A (en) 1994-12-22 1997-02-18 Cheung; James Black light illuminated analog watch
US5636185A (en) * 1995-03-10 1997-06-03 Boit Incorporated Dynamically changing liquid crystal display timekeeping apparatus
WO1996034514A1 (fr) * 1995-04-25 1996-10-31 Citizen Watch Co., Ltd. Dispositif d'electroluminescence organique
US5729250A (en) * 1995-05-08 1998-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ont cover assembly for a touch sensitive device
KR100267700B1 (ko) * 1995-12-30 2000-10-16 가시오 가즈오 신호광에 따른 표시조작수행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CN1182447C (zh) * 1996-03-08 2004-12-29 西铁城钟表股份有限公司 手表用指示板
JP3658629B2 (ja) 1996-03-28 2005-06-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時計
JPH1026670A (ja) * 1996-07-12 1998-01-27 Casio Comput Co Ltd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を備えた時計
US6025894A (en) * 1996-09-04 2000-02-15 Casio Computer Co., Ltd. Scatter control memb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 for passing light with or without scattering depending upon an incident angle
JP3300642B2 (ja) * 1997-09-08 2002-07-08 株式会社東芝 画像表示装置
JPH1195698A (ja) * 1997-09-19 1999-04-09 Casio Comput Co Ltd 発光装置、時計、電子機器、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6088069A (en) * 1997-10-21 2000-07-11 Reptron Acquisition, Inc. Shatter resistant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142850A (ja) * 1997-11-05 1999-05-28 Hitachi Ltd 偏光照射方法とその装置
US6172667B1 (en) * 1998-03-19 2001-01-09 Michel Sayag Optically-based touch screen input device
JPH11278151A (ja) 1998-03-31 1999-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電子機器の照明方法および照明装置
US6091838A (en) * 1998-06-08 2000-07-18 E.L. Specialists, Inc. Irradiated images described by electrical contact
KR20000007609A (ko) * 1998-07-04 2000-02-07 구자홍 외부 자외선 광원을 이용한 표시장치
JP2000137444A (ja) 1998-10-29 2000-05-16 Casio Comput Co Ltd 発光表示装置
JP3906956B2 (ja) * 1998-12-24 2007-04-1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0356964A (ja) * 1998-12-25 2000-12-26 Nemoto & Co Ltd 表示部材、表示装置、計測装置および時計
JP3781249B2 (ja) * 1999-03-19 2006-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スイッチ
JP2001249189A (ja) * 1999-11-12 2001-09-14 Casio Comput Co Ltd 時計用文字板および時計
US6295106B1 (en) * 2000-01-12 2001-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efficient full-color liquid crystal display
JP3489674B2 (ja) * 2000-02-28 2004-01-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6486561B1 (en) * 2000-09-12 2002-11-26 Luminary Logic,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formed on a clear or translucent substrate
JP3584908B2 (ja) * 2000-10-18 2004-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装飾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の装飾板を利用する装飾品および時計
WO2002090824A1 (en) * 2001-05-03 2002-11-14 Luminary Logic Limited Ultraviolet illumination of indicia
JP2003098272A (ja) * 2001-07-17 2003-04-03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04355A (zh) 2003-03-19
HK1054486A1 (zh) 2003-11-28
KR100483188B1 (ko) 2005-04-14
US7095463B2 (en) 2006-08-22
CN1265692C (zh) 2006-07-19
US20030042847A1 (en) 2003-03-06
JP2003076305A (ja) 2003-03-14
TWI283138B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188B1 (ko) 자외선발광소자를 이용한 자외선발광장치 및 전자기기
US722759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0409121C (zh) 电子装置和用于使紫外线照射到发光层上的液晶显示器件
KR100634514B1 (ko) 조명장치 및 전자기기
JP4178937B2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50046820A (ko) 자외선 방출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전자장치
JP4997689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979076B2 (ja) 電子機器
JP4048794B2 (ja) 電子機器
JP3979070B2 (ja) 紫外線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198681A (ja)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80238B1 (ko) 조명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JP4000948B2 (ja) 電子機器
JP2003098988A (ja) 紫外線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JP5029241B2 (ja) 電子機器
JP2003295794A (ja) 装飾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77689A (ja) 発光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162242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4069726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286075A (ja) 時計
JP2003162240A (ja)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029677A (ja) 発光部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5140649A (ja) 時計用文字板および電子機器
JP2004198449A (ja) 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357673A (ja) 表示部材、これを用いた時計用文字板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